KR102481843B1 -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43B1
KR102481843B1 KR1020220121446A KR20220121446A KR102481843B1 KR 102481843 B1 KR102481843 B1 KR 102481843B1 KR 1020220121446 A KR1020220121446 A KR 1020220121446A KR 20220121446 A KR20220121446 A KR 20220121446A KR 102481843 B1 KR102481843 B1 KR 102481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ticket
information
user
n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김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원 filed Critical 김태원
Priority to KR1020220121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43B1/ko
Priority to KR1020220175807A priority patent/KR2024004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43B1/ko
Priority to JP2023010957A priority patent/JP7272549B1/ja
Priority to PCT/KR2023/014733 priority patent/WO20240719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접근 가능한 가상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오브젝트;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발행 주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수단에 대한 수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4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METAVERSE SERVICE PLATFORM USING NFT BASED METAVERSE TICK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ERVICE}
본 개시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하는 메타버스(metaverse)와 관련된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다. 여기서, 메타버스는 추상을 의미할 수 있는 메타(meta)와 현실 공간을 의미할 수 있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 단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타버스 기술은 현실 공간에 존재하지 않은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구축된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공간에는 현실 세계에 존재하거나 또는 현실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할 법한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실 세계의 책상, 의자 또는 테이블 등이 오브젝트로 구현되어 가상 공간에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국내의 모기업에서는 메타버스 근무제를 실시한다는 기사로 화제를 몰기도 하였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하는 다른 분야로서 게임 분야가 존재할 수 있다. 게임 분야는 가상 공간에서의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들을 유치하기 위한 메타버스 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러나, 게임사, 기업 또는 여러 소프트웨어 제조 업체에서 메타버스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메타버스 기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42136호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접근 가능한 가상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오브젝트;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발행 주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수단에 대한 수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3 오브젝트;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4 오브젝트;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상기 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래 내역과 관련된 거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와 관련된 제 1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의 서버와 관련된 제 2 IP 주소 및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특정 목적지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이동시키기 위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 정보는 상기 아바타를 상기 목적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발행 주체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발행한 사업자와 관련된 사업자 등록번호 및 상기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발행 주체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구매한 일자를 나타내는 구매 일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구매한 가격을 나타내는 구매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행된 NFT에 대한 NF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앞면에 해당하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중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뒷면에 해당하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상기 메타버스 티켓은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위변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된 횟수에 대한 횟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인쇄 제한 횟수에 대한 횟수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횟수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되는 경우, 상기 실물 티켓이 인쇄된 횟수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은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Personal Computer) 또는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타버스 티켓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버스 티켓은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가상 공간(또는, 메타버스(metaverse)와 같은 공간) 내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티켓은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가상 공간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접속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이 투영된 아바타를 이동시킴으로써, 자신이 여행을 떠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메타버스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가 증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0)는 제어부(100), 저장부(200) 및 통신부(300), 디스플레이부(400) 및 사용자 입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컴퓨팅 장치(10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컴퓨팅 장치(10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통상적으로 컴퓨팅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컴퓨팅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20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 받기 위해 메타버스 티켓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30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일례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저장부(200)는 메모리 및/또는 영구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컴퓨팅 장치(1000)와 통신 시스템 사이, 컴퓨팅 장치(1000)와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사이, 컴퓨팅 장치(1000)와 메타버스 티켓을 발행한 발행 주체의 발행 주체 단말 사이, 컴퓨팅 장치(1000)와 블록체인 메인넷 사이, 또는 컴퓨팅 장치(1000)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컴퓨팅 장치(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는 컴퓨팅 장치(10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컴퓨팅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500)는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0)의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타버스 티켓(410) 또는 메타버스 티켓(410)이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버스 티켓(410)은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가상 공간 내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특정 지점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는 메타버스 티켓(410)은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가상 공간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접속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수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타버스 티켓(410)은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가상 공간 내의 특정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는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데이터일 수 있다. NFT는 디지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 안에 담음으로서, 고유성, 원본성 또는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0)는 컴퓨팅 장치(10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텍스트 파일을 가리키는 주소를 토큰안에 담음으로써, 사용자 정보의 고유성, 원본성 또는 소유권을 나타내기 위한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를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300)를 통해 발행 주체의 발행 주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발행 주체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메타버스 티켓(410)의 발행이 허용된 사업자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를 발행 주체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발행 주체 단말에 의해 NFT 발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통신부(300)를 통해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또는 발행 주체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담은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는 메타버스 티켓(410) 또는 메타버스 티켓(410)이 디스플레이되는 레이어에 포함되는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411)는 사용자 정보(4111), 위치 정보(4112), 날짜 정보(41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4111)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4111)는 컴퓨팅 장치(10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 이해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정보(4111)는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정보(4111)는 NFT 발행된 정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4111)는 제 1 식별 정보, 거래 정보, 제 1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일 수 있다.
거래 정보는 사용자의 거래 내역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발행 주체로부터 메타버스 티켓을 구매해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거래 내역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4111)는 이러한 거래 내역을 나타내는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IP 주소는 사용자와 관련된 컴퓨팅 장치(1000)의 IP 주소일 수 있다. 제 1 IP 주소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 접속한 컴퓨팅 장치(1000)의 IP 주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정보(4111) 또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사용자 정보(4111) 또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4111) 또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사용자 정보(4111) 또는 NFT 발행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식별 정보 및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식별 정보 및 제 1-1 식별 정보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계정에 위변조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위변조 패널티는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의 가상 공간으로의 접속을 거부하는 패널티, 가상 공간 내에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패널티 또는 아바타의 행동을 제한하는 패널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IP 주소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IP 주소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IP 주소 및 제 1-1 IP 주소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계정에 위변조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위치 정보(4112)는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접근 가능한 가상 공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4112)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아바타의 국적 및 출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4112)는 NFT 발행된 정보일 수도 있다.
위치 정보(4112)는 제 2 IP 주소 및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IP 주소는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와 관련된 서버의 제 2 IP 주소일 수 있다.
좌표 정보는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특정 목적지로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이동시키기 위한 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좌표 정보는 복수개의 가상 공간 중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위치 정보(4112) 또는 NFT 발행된 위치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위치 정보(4112) 또는 NFT 발행된 위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4112) 또는 NFT 발행된 위치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위치 정보(4112) 또는 NFT 발행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좌표 정보 및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좌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좌표 정보 및 제 1-1 좌표 정보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계정에 위변조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날짜 정보(4113)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발행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날짜 정보(4113)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 가능일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날짜 정보(4113)는 년/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날짜 정보(4113)는 NFT 발행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날짜 정보(4113) 또는 NFT 발행된 날짜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날짜 정보(4113) 또는 NFT 발행된 날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날짜 정보(4113) 또는 NFT 발행된 날짜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날짜 정보(4113) 또는 NFT 발행된 날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날짜 정보 및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날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날짜 정보 및 제 1-1 날짜 정보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계정에 위변조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제 2 오브젝트(412)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발행 주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오브젝트(412)는 제 1 오브젝트(411)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된다는 의미는 제 2 오브젝트(412)가 제 1 오브젝트(411)에 겹쳐서 디스플레이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제 2 오브젝트(412)는 제 1 오브젝트(411)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고, 메타버스 티켓(410)의 배경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 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발행 주체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한 사업자와 관련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발행 주체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에 의해 메타버스 티켓(410)의 발행이 허용된 사업자로 이해될 수 있다. 하나의 메타버스 서비스 내에서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할 권한을 가진 사업자는 복수명일 수 있다. 발행 주체 정보는 이와 같은 복수명의 사업자 중 사용자가 보유한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한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발행 주체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을 발행한 사업자와 관련된 사업자 등록번호 및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발행 주체 정보는 NFT 발행된 정보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발행 주체 정보 또는 NFT 발행된 발행 주체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발행 주체 정보 또는 NFT 발행된 발행 주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발행 주체 정보 또는 NFT 발행된 발행 주체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발행 주체 정보 또는 NFT 발행된 발행 주체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발행 주체 정보 및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발행 주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발행 주체 정보 및 제 1-1 발행 주체 정보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계정에 위변조 패널티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서버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진위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발행 주체 정보를 발행 주체와 관련된 발행 주체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3 오브젝트(413)는 아바타를 통해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수단에 대한 수단 정보(4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단 정보(4131)는 구체적으로 아바타를 목적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가상 공간에는 아바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에 대한 개념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은 비행기, 기차, 자동차 또는 동물 등과 같은 이동 수단들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수단 정보(4131)는 이와 같은 이동 수단 들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수단 정보(4131)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수단 정보(4131)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수단 정보(4131)를 수신한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410)에 포함된 제 1 수단 정보 및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하여 서버에 기록된 제 1-1 수단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서버는 제 1 수단 정보 및 제 1-1 수단 정보가 상이하다고 결정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제 1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 4 오브젝트(414)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및 제 3 오브젝트(413)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이 NFT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및 제 3 오브젝트(413)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날짜 정보, 발행 주체 정보, 수단 정보, 사용 정보, 구매 일자 정보 및 구매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행된 NFT에 대한 NF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날짜 정보, 발행 주체 정보, 수단 정보, 제 1 식별 정보, 거래 정보, 제 1 IP 주소, 제 2 IP 주소, 좌표 정보, 사업자 등록번호, 제 2 식별 정보, 사용 정보, 구매 일자 정보 및 구매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행된 NFT에 대한 NF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가상 공간 또는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특정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에서의 승인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가상 공간내로 진입된 경우, 제어부(100)는 메타버스 티켓(410)이 사용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구매 일자 정보는 사용자가 메타버스 티켓(410)을 구매한 일자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매 가격 정보는 사용자가 메타버스 티켓(410)을 구매한 가격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구매 가격 정보는 사용자가 메타버스 티켓(410)을 구매하기 위해 소모한 코인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바코드(barcode) 또는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및 QR 코드에는 서로 상이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일례로, 바코드에는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에 대한 NFT DID(Decentralized Identifier)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DID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탈중앙화 신원증명 또는 신원인증을 의미할 수 있다. 바코드에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 등에 대한 NFT DID가 포함되는 경우, QR 코드에는 IP Tracking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티켓(410)은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인쇄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메타버스 티켓(410)을 실물 티켓으로 인쇄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횟수 정보 및 횟수 제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횟수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이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된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횟수 제한 정보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인쇄 제한 횟수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횟수 정보 및 횟수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을 실물 티켓으로 인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인쇄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횟수 정보 및 횟수 제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인쇄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타버스 티켓(410)의 인쇄가 가능하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메타버스 티켓(410)을 실물 티켓으로 인쇄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출력 장치에 의해 메타버스 티켓(410)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횟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에 포함된 횟수 정보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가상 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버튼 또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사용자와 관련된 ID(또는 이름) 및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레이어(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가 메타버스 티켓(410)을 캡쳐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캡쳐 기능의 이용을 제한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비활성화한다는 의미는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거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블러(blur) 또는 모자이크 처리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40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타버스 티켓(41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이용과 관련된 조건 또는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흥미가 증진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들에 포함되거나 또는 오브젝트들과 관련된 정보들은 NFT 발행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메타버스 티켓(410)에 대한 위변조 여부가 검증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버스 티켓(410)은 복수개의 오브젝트들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위변조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앞면에 해당하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 중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뒷면에 해당하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타버스 티켓(410)은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위변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메타버스 티켓(410)을 실물 티켓으로 인쇄할 경우 실물 티켓의 앞면에 상기 제 1 영역의 오브젝트들이 인쇄되고, 뒷면에 상기 제 2 영역의 오브젝트들이 인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가 결정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티켓의 제 1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티켓의 제 2 영역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부(400)에 디스플레이되는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1 영역(410a)은 제 1 오브젝트(411) 및 제 2 오브젝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2 영역(410b)은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배치되는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1 영역(410a)에는 제 1 오브젝트(411) 및 제 4 오브젝트(414)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메타버스 티켓(410)의 제 2 영역(410b)에는 제 2 오브젝트(412) 및 제 3 오브젝트(413)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메타버스 티켓(410)은 제 1 오브젝트(411), 제 2 오브젝트(412), 제 3 오브젝트(413) 및 제 4 오브젝트(414)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위변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410a) 또는 제 2 영역(410b)에 해당하지 않는 오브젝트가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상기 영역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위변조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술한 위변조 패널티가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사용자 입력부(5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메타버스 티켓(410)을 이용하기 위한 인디케이터(415)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300)는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정보를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300)는 메타버스 티켓(410)과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통신부(30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에는 복수개의 오브젝트들이 메타버스 티켓(410)의 어느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티켓(410)의 위변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다라, 서버는 컴퓨팅 장치(1000)로부터 수신된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접근 가능한 가상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오브젝트;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발행 주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수단에 대한 수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4 오브젝트;
    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 정보, 상기 사용자의 거래 내역과 관련된 거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와 관련된 제 1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가상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의 서버와 관련된 제 2 IP 주소 및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의 특정 목적지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를 이동시키기 위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수단 정보는 상기 아바타를 상기 목적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발행 주체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발행한 사업자와 관련된 사업자 등록번호 및 상기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 2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발행 주체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구매한 일자를 나타내는 구매 일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구매한 가격을 나타내는 구매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발행된 NFT에 대한 NFT 정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앞면에 해당하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중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오브젝트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뒷면에 해당하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되고, 그리고
    상기 메타버스 티켓은 상기 제 1 오브젝트, 상기 제 2 오브젝트, 상기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제 4 오브젝트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기초하여 위변조 여부가 결정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의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 상기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아바타가 접근 가능한 가상 공간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날짜를 나타내는 날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오브젝트;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발행 주체를 나타내는 발행 주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적어도 일부가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제 2 오브젝트;
    상기 아바타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에 접근하는 수단에 대한 수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3 오브젝트;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위변조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가 디스플레이되는 제 4 오브젝트;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차원 코드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된 횟수에 대한 횟수 정보 및 상기 메타버스 티켓의 인쇄 제한 횟수에 대한 횟수 제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횟수 정보는,
    상기 메타버스 티켓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물 티켓으로 인쇄되는 경우, 상기 실물 티켓이 인쇄된 횟수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21446A 2022-09-26 2022-09-26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8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46A KR102481843B1 (ko) 2022-09-26 2022-09-26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175807A KR20240043045A (ko) 2022-09-26 2022-12-15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JP2023010957A JP7272549B1 (ja) 2022-09-26 2023-01-27 Nft基盤のメタバースチケットを利用するメタバース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そのサービス提供方法
PCT/KR2023/014733 WO2024071941A1 (ko) 2022-09-26 2023-09-26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46A KR102481843B1 (ko) 2022-09-26 2022-09-26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807A Division KR20240043045A (ko) 2022-09-26 2022-12-15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843B1 true KR102481843B1 (ko) 2022-12-26

Family

ID=8454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446A KR102481843B1 (ko) 2022-09-26 2022-09-26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72549B1 (ko)
KR (1) KR102481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41A1 (ko) * 2022-09-26 2024-04-04 김태원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692A (ko) * 2011-12-14 2013-07-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사용한 가상 세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13479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86278A (ko) * 2012-02-06 2018-07-30 사비에르 우리베-에체바리아 히메네스 원격 서비스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4821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케이티 아바타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KR20210048473A (ko) * 2018-07-06 2021-05-0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오브젝트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4685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인터파크 전자 티켓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8442B1 (ko)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2136B1 (ko) 2021-10-15 2022-09-13 주식회사 에르사츠 메타버스 대화 서비스 제공 기반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50175B1 (ko) * 2021-11-12 2022-10-04 주식회사 베이더엔터테인먼트코리아 5g 메타버스기반 장애인 사회성 증진을 위한 도슨트 콘텐츠시스템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055A1 (ja) * 2020-11-27 2022-06-02 グリ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127891B2 (ja) * 2021-02-08 2022-08-30 株式会社石井兄弟社 仮想航空サービ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692A (ko) * 2011-12-14 2013-07-2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사용한 가상 세계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86278A (ko) * 2012-02-06 2018-07-30 사비에르 우리베-에체바리아 히메네스 원격 서비스들을 통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3479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04821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케이티 아바타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KR20210048473A (ko) * 2018-07-06 2021-05-03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오브젝트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컴퓨터-구현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124685A (ko) * 2020-04-07 2021-10-15 주식회사 인터파크 전자 티켓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2136B1 (ko) 2021-10-15 2022-09-13 주식회사 에르사츠 메타버스 대화 서비스 제공 기반의 디지털 트윈 공간 생성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88442B1 (ko) * 2021-11-03 2022-04-20 김병걸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50175B1 (ko) * 2021-11-12 2022-10-04 주식회사 베이더엔터테인먼트코리아 5g 메타버스기반 장애인 사회성 증진을 위한 도슨트 콘텐츠시스템 운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941A1 (ko) * 2022-09-26 2024-04-04 김태원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72549B1 (ja) 2023-05-12
JP2024047515A (ja)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3946U (ja) 動的な情報コンテンツの遠隔供給、表示または提示のためのシステムと装置
CN113853627A (zh) 管理对象物的方法、智能合约及管理装置
US20140258110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martphone payments and transactions
CN109493087B (zh) 一种基于二维码查验不动产登记信息的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462865A (zh) 标签管理方法及系统、信息提供方法及系统以及所使用的装置和标签
JP6963218B2 (ja) チケット有効性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077631A (zh) 多卡生成方法、多卡使用方法和多卡系统
US20170111345A1 (en) Tokenization of sensitive personal data for use in transactions
JP5685877B2 (ja) サーバ装置、チケッ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電子チケット提供方法等
CN107248084A (zh) 票务安全管理方法及装置
KR102481843B1 (ko)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US20170109741A1 (en) Tokenization of Financial Account Information for Use in Transactions
KR101798603B1 (ko) 물품의 진위 인증용 코드를 포함하는 라벨의 제조방법
JP6889892B1 (ja) 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2303258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method and terminal
JP2013020599A (ja) 電子チケットの販売、利用及び入場管理の方法
US20170109747A1 (en) Telephone-Based Payments Using Tokens
KR20240043045A (ko) Nft 기반의 메타버스 티켓을 이용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JP2022002084A (ja) Qrコードとインターネットサービスとの連携方法
JP2017073049A (ja) バーコードを印刷したクーポン券
JP2015219888A (ja) 電子バリュー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661104B1 (ja) 管理装置、商品管理システム、商品管理方法、及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CN111598579B (zh) 商品内容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处理器
JP5458790B2 (ja) 販売可否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5234670A (ja) 物品購入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