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737B1 -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737B1
KR102480737B1 KR1020170140175A KR20170140175A KR102480737B1 KR 102480737 B1 KR102480737 B1 KR 102480737B1 KR 1020170140175 A KR1020170140175 A KR 1020170140175A KR 20170140175 A KR20170140175 A KR 20170140175A KR 102480737 B1 KR102480737 B1 KR 102480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irror
precision
hous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6406A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7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6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4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정밀기어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작동기어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와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며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하여, 미러부의 미세 조정 및 신속한 파킹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relates to a housing, a motor that is mounted on the housing and provides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nd a precision gear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And, including an operating gea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ortion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portion, and a mirror portion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precision gear portion and the operating gear portion to rotate and reflect signals, the mirror portion Fine adjustments and rapid movement to the park position are possible.

Description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s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구면 미러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구면 미러를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an aspheric mirror and rapidly rotating the aspherical mirror.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내부에 마련되는 표시장치가 투사되는 표시광을 차량의 전면 유리에 반사시켜 운전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In general,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refers to a device for providing an image to a driver by reflecting display light projected from a display device provided inside an instrument panel on a windshield of a vehicle.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기, 제1반사기, 제2반사기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데, 제2반사기의 오목면 미러부의 각도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구동모듈이 구비된다. 구동모듈은 미러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미러부에 동력을 전달한다.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rst reflector, a second reflector, and a housing, and a driving module is provided to adjust the angular position of the concave mirror of the second reflector. The driving module transmits power to the mirror unit so that the mirror unit is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종래에는 구동모듈과 미러부가 점접촉되어 미러부에 동력이 전달되므로, 진동 및 가속도와 마찰 등에 의한 외력이 한 점에 집중되어 마모 및 형상 변형이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모 및 형상 변형은 구동 정밀도의 저하를 야기하고, 시스템의 광학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Conventionally, since the drive module and the mirror unit are in point contact a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irror unit, external forces such as vibration, acceleration, and friction are concentrated at one point, resulting in relatively large wear and shape deformation. And, such abrasion and shape deformation cause deterioration of driving precision and deterioration of optical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9806호(2016.05.27. 공개, 발명의 명칭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동모듈)에 게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ublish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6-0059806 (published on May 27, 2016, title of the invention: drive module for head-up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비구면 미러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구면 미러를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ead-up display device capable of rapidly rotating the aspheric mirror as well as fine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aspheric mirror.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정밀기어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작동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며,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a motor unit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preci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an operation gear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a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part; and a mirro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rotated by being hooked on the precision gear unit and the operation gear unit, and reflecting a signal.

상기 정밀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정밀부; 상기 제1정밀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작동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정밀부; 및 상기 제2정밀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미러부를 가압하여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제3정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recision gear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a second preci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first precision unit and engaging with the operation gear uni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a third preci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second precision unit and pressing the mirror unit to rotate the mirror unit.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미러부를 가압하여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gear unit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and a second operation unit protruding from the first operation unit and pressing the mirror unit to rotate the mirror unit.

상기 미러부는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창부; 상기 미러창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미러축부;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상기 미러축부를 회전시키는 미러레버부; 및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미러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미러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rror unit includes a mirror window unit that reflects signals; mirror shaft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rror window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portion; a mirror lever par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and engaging the precision gear part and the operation gear part to rotate the mirror shaft part; and a mirror restoring uni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unit and providing restoring force to the mirror shaft unit.

상기 미러레버부는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는 레버판부; 상기 레버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는 레버돌기부; 및 상기 레버돌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는 레버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rror lever unit includes a lever plate uni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unit; a lever protrusion mounted on the lever plate and rotated by being caught on the operation gear; and a lever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ver protrusion and rotating by being caught on the precision gear.

상기 미러복원부는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는 복원막대부; 및 상기 복원막대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rror restoring part includes a restoring rod par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and a restor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storing rod par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미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sensing rotation of the mirror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and control the motor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터부의 작동으로 정밀기어부가 회전되면서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미러부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mirror unit can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while the precision gear unit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밀기어부와 연동되는 작동기어부가 미러부를 신속하게 파킹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gear unit interlocked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can quickly move the mirror unit to the parking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밀기어부와 작동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의 초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키 작은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키 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의 파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cision gear unit and an operating gea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itial operating state of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in FIG. 4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a short user.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in FIG. 4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a tall user.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king state of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우징부(10)와, 모터부(20)와, 정밀기어부(30)와, 작동기어부(40)와, 미러부(5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10, a motor part 20, a precision gear part 30, and an operating gear part 40. and a mirror unit 50.

하우징부(10)는 차체에 장착된다. 일 예로, 하우징부(10)는 운전석과 전면유리창 사이에 위치되는 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0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For example, the housing unit 10 may be installed on a panel positioned between a driver's seat and a windshield.

모터부(20)는 하우징부(10)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모터부(20)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구동부(21)와, 모터구동부(21)에 의해 회전되고 웜기어가 형성되는 모터축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unit 20 is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For example, the motor unit 20 may include a motor driving unit 21 that is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and a motor shaft unit 22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driving unit 21 and forms a worm gear.

정밀기어부(3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부(20)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정밀기어부(3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30)와 웜기어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The precision gear unit 3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20 . For example, the precision gear unit 3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30 in a worm gear manner.

작동기어부(4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30)와 맞물려 회전된다.The operating gear unit 4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30 .

미러부(50)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30)와 작동기어부(40)에 걸려 회전되며, 신호를 반사시킨다. 일 예로, 광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는 미러부(50)에서 반사되어 전면유리창 또는 컴바이너에 도달되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다.The mirror unit 5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rotates by being caught by the precision gear unit 30 and the operating gear unit 40, and reflects signals. For example, the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light generator is reflected by the mirror unit 50 and reaches the windshield or combiner, whereby the driver can recognize i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정밀기어부와 작동기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ecision gear unit and an operating gea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정밀기어부(30)는 제1정밀부(31)와, 제2정밀부(32)와, 제3정밀부(3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precision gear unit 30 includes a first precision part 31 , a second precision part 32 and a third precision part 33 .

제1정밀부(31)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부(20)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제1정밀부(31)는 모터축부(22)와 웜기어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The first precision part 3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art 10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part 20 . For example, the first precision part 31 may be engaged with the motor shaft part 22 in a worm gear manner.

제2정밀부(32)는 제1정밀부(31)에서 돌출되고, 작동기어부(40)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제2정밀부(32)는 제1정밀부(31)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제1정밀부(31) 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ecision part 32 protrudes from the first precision part 31 and engages with the operation gear part 40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For example,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has the same axis of rotation as the first precision part 31 and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recision part 31 .

제3정밀부(33)는 제2정밀부(32)에서 돌출되고, 미러부(50)를 가압하여 미러부(50)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제3정밀부(33)는 제2정밀부(32)의 측면상에서 돌출되는 막대가 될 수 있다. 제3정밀부(33)는 제2정밀부(32)의 가장자리에 위치되되, 제2정밀부(32)의 반경이 작아 제2정밀부(32)의 회전축에 근접될 수 있다.The third precision part 33 protrudes from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and presses the mirror part 50 to rotate the mirror part 50 . For example, the third precision part 33 may be a rod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 The third precision part 33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is small so that it can be close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작동기어부(40)는 제1작동부(41)와 제2작동부(4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operating gear unit 40 includes a first operating unit 41 and a second operating unit 42 .

제1작동부(41)는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정밀기어부(30)와 맞물려 회전된다. 일 예로, 제1작동부(41)는 제2정밀부(3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정밀부(32)와 평기어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The first operating unit 4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30 .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ng unit 41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and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in a spur gear manner.

제2작동부(42)는 제1작동부(41)에서 돌출되고, 미러부(50)를 가압하여 미러부(50)를 회전시킨다.The second operation unit 42 protrudes from the first operation unit 41 and presses the mirror unit 50 to rotate the mirror unit 5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부(50)는 미러창부(51)와, 미러축부(52)와, 미러레버부(53)와, 미러복원부(54)를 포함한다.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mirror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rror window unit 51, a mirror shaft unit 52, a mirror lever unit 53, and a mirror restoration unit 54. ).

미러창부(51)는 신호를 반사시킨다. 미러축부(52)는 미러창부(51)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하우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The mirror window portion 51 reflects signals. The mirror shaft portion 5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rror window portion 51 and is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portion 10 .

미러레버부(53)는 미러축부(52)에 장착되고, 정밀기어부(30)와 작동기어부(40)에 걸려 미러축부(52)를 회전시킨다. 미러복원부(54)는 미러축부(52)에 장착되고, 미러축부(52)에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mirror lever unit 53 is mounted on the mirror shaft unit 52 and rotates the mirror shaft unit 52 by engaging the precision gear unit 30 and the operation gear unit 40 . The mirror restoring unit 54 is mounted on the mirror shaft unit 52 and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mirror shaft unit 5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레버부(53)는 레버판부(531)와, 레버돌기부(532)와, 레버안착부(533)를 포함한다.The mirror lever part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plate part 531, a lever protrusion part 532, and a lever seating part 533.

레버판부(531)는 미러축부(52)에 장착된다. 일 예로, 한 쌍의 미러축부(52) 중 어느 하나에 레버판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plate part 531 is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52. For example, the lever plate part 531 may be formed on one of the pair of mirror shaft parts 52 .

레버돌기부(532)는 레버판부(531)에 장착되고, 작동기어부(40)에 걸려 회전된다. 일 예로, 레버돌기부(532)는 제1작동부(41)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lever protrusion 532 is mounted on the lever plate 531 and is rotated by being caught on the operating gear 40 . For example, the lever protrusion 532 may extend to cros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41 .

레버안착부(533)는 레버돌기부(532)에서 연장되고, 정밀기어부(30)에 걸려 회전된다. 레버안착부(533)는 레버돌기부(532)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제3정밀부(33)를 안내하기 위한 안착홈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seating portion 533 extends from the lever protrusion 532 and is rotated by being caught on the precision gear portion 30 . The lever seating portion 533 extends from an end of the lever protrusion 532, and a seating groove 534 for guiding the third precision portion 33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복원부(54)는 복원막대부(541)와 복원탄성부(542)를 포함한다.The mirror restoring unit 5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storing rod part 541 and a restoring elastic part 542 .

복원막대부(541)는 미러축부(52)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원막대부(541)는 미러축부(52)를 기준으로 레버돌기부(53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레버돌기부(532)와 일직선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estoring rod part 541 is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52 . For example, the restoring rod portion 541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ver protrusion 532 based on the mirror shaft portion 52 and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lever protrusion 532 .

복원탄성부(542)는 복원막대부(541)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복원탄성부(542)는 하우징부(10)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복원막대부(541)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며, 코일스프링 형상을 할 수 있다.The restoring elastic part 542 elastically supports the restoring rod part 541 . For example, the restoring elastic part 542 may have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10,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toring rod part 541, and a coil spring shap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센서부(60)와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센서부(60)는 미러부(50)의 회전을 감지한다. 일 예로, 정밀기어부(30)와 작동기어부(40)에 의해 미러레버부(53)가 회전되면서 센서부(60)와 접촉되면, 센서부(6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의 제어로 모터부(20)의 구동이 중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60 and a control unit 70 (see FIG. 2 ). The sensor unit 60 detects rotation of the mirror unit 50 . For example, when the mirror lever unit 53 is rotated by the precision gear unit 30 and the operating gear unit 40 and contacts the sensor unit 60, the controller 7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60. The driving of the motor unit 20 can be stopped by the control of.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의 초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에 전원이 인가되어 주행 상태가 되면, 제3정밀부(33)가 제2정밀부(32)의 회전축과 수평선상에 배치되어 레버안착부(533)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작동부(42)는 레버돌기부(532)의 상방에 위치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itial operating state of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in a driving state, the third precision part 33 is dispos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horizontal axis of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and is seated on the lever seating part 533 . Also, the second operating unit 42 is located above the lever protrusion 532 .

도 5는 도 4에서 키 작은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키 작은 운전자가 자신의 눈높이에 영상신호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스위치를 조작한다.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모터부(20)가 구동되어 제1정밀부(31) 및 제1정밀부(31)와 연동되는 제2정밀부(32)가 도면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2정밀부(32)에 형성되는 제3정밀부(33)가 하방 이동되어 레버안착부(533)를 미세하게 가압한다. 레버안착부(533)에 대한 가압으로 미러창부(51)는 도면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예로, 미러창부(51)는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1도 내지 5도가 회전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in FIG. 4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a short user. Referring to FIG. 5 , a short driver manipulates an operating switch so that an image signal reaches his/her eye level. By operating the operating switch, the motor unit 20 is driven to rotate the first precision unit 31 and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interlocking with the first precision unit 31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As a result, the third precision part 33 formed on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is moved downward to finely press the lever seating part 533 . By pressing the lever mounting portion 533, the mirror window portion 5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mirror window unit 51 may be rotated 1 degree to 5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4 .

도 6은 도 4에서 키 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키 큰 운전자가 자신의 눈높이에 영상신호가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스위치를 조작한다.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모터부(20)가 구동되어 제1정밀부(31) 및 제1정밀부(31)와 연동되는 제2정밀부(32)가 도면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2정밀부(32)에 형성되는 제3정밀부(33)가 상방 이동되고, 레버안착부(533)는 미러복원부(54)에 의해 미세하게 상승한다. 레버안착부(533)에 대한 상승으로 미러창부(51)는 도면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예로, 미러창부(51)는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1도 내지 5도가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정밀부(32)와 맞물린 제1작동부(4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작동부(41)에 형성되는 제2작동부(42)가 레버돌기부(532)와 접촉되어 레버돌기부(532)의 추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tated state in FIG. 4 to secure the field of view of a tall user. Referring to FIG. 6 , a tall driver manipulates an operating switch so that an image signal reaches his/her eye level. By operating the operating switch, the motor unit 20 is driven so that the first precision unit 31 and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interlocked with the first precision unit 31 are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As a result, the third precision part 33 formed on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is moved upward, and the lever seating part 533 is slightly raised by the mirror restoring part 54 . As the lever seating part 533 rises, the mirror window part 51 is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mirror window unit 51 may be rotated 1 degree to 5 degrees 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4 . Meanwhile, the first operation unit 41 engaged with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42 formed on the first operation unit 41 rotates with the lever protrusion 532. It is in contact with the lever protrusion 532 may be suppressed from further risin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미러부의 파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시동이 꺼지거나 파킹 변속이 이루어지면, 모터부(20)가 구동되어 제1정밀부(31) 및 제1정밀부(31)와 연동되는 제2정밀부(32)가 도면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일 예로, 제2정밀부(32)에 형성되는 제3정밀부(33)가 360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정밀부(32)와 맞물린 제1작동부(4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작동부(41)에 형성되는 제2작동부(42)가 레버돌기부(532)를 가압한다. 일 예로, 제2작동부(42)는 도 6에서 추가적으로 하방 이동되어 미러창부(51)의 신속한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제2작동부(42)에 의해 미러창부(51)는 도 4를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15도 내지 25도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러창부(51)의 회전으로 인해 외부광이 미러창부(51)에서 반사되어 광생성부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arking state of a mirror unit i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when the vehicle engine is turned off or the parking shift is performed, the motor unit 20 is driven to generate a first precision unit 31 and a second precision unit 32 interlocking with the first precision unit 31. is rotated clockwise based on the drawing. For example, the third precision part 33 formed in the second precision part 32 can be rotated 360 degrees. Meanwhile, the first operation unit 41 engaged with the second precision unit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42 formed on the first operation unit 41 rotates the lever protrusion 532. pressurize For example, the second operation unit 42 may be additionally moved downward in FIG. 6 to induce rapid rotation of the mirror window unit 51 . The mirror window unit 51 may be rotated by 15 to 25 degre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FIG. 4 by the second operation unit 42 . Due to the rotation of the mirror window unit 51, a phenomenon in which external light is reflected from the mirror window unit 51 and damages the light generating un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모터부(20)의 작동으로 정밀기어부(30)가 회전되면서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미러부(50)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mirror unit 50 is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er's eye level while the precision gear unit 3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20.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밀기어부(30)와 연동되는 작동기어부(40)가 미러부(50)를 신속하게 파킹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head-up display device 1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gear unit 40 interlocked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30 can quickly move the mirror unit 50 to the parking posi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하우징부 20 : 모터부
30 : 정밀기어부 31 : 제1정밀부
32 : 제2정밀부 33 : 제3정밀부
40 : 작동기어부 41 : 제1작동부
42 : 제2작동부 50 : 미러부
51 : 미러창부 52 : 미러축부
53 : 미러레버부 54 : 미러복원부
60 : 센서부 70 : 제어부
10: housing part 20: motor part
30: precision gear unit 31: first precision unit
32: second precision part 33: third precision part
40: operating gear unit 41: first operating unit
42: second operating unit 50: mirror unit
51: mirror window portion 52: mirror shaft portion
53: mirror lever part 54: mirror restoration part
60: sensor unit 70: control unit

Claims (11)

삭제delete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정밀기어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작동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며,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밀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정밀부;
상기 제1정밀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작동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정밀부; 및
상기 제2정밀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미러부를 가압하여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제3정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housing part;
a motor unit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preci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an operation gear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a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part; and
A mirro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rotated by being hooked on the precision gear unit and the operation gear unit, and reflecting a signal;
The precision gear unit
a first precision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a second preci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first precision unit and engaging with the operation gear uni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and
and a third precision unit protruding from the second precision unit and pressing the mirror unit to rotate the mirror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밀부는 상기 제1정밀부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제1정밀부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ecision part has the same rotation axis as the first precision part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recision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작동부; 및
상기 제1작동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미러부를 가압하여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gear unit
a first operating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unit; and
and a second operating unit protruding from the first operating unit and pressing the mirror unit to rotate the mirror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는 상기 제2정밀부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perating un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precise unit.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장착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모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정밀기어부;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작동기어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며,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부는
신호를 반사시키는 미러창부;
상기 미러창부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미러축부;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와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상기 미러축부를 회전시키는 미러레버부; 및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미러축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미러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housing part;
a motor unit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providing a driving force when power is applied;
a precision gea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motor unit;
an operation gear par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part and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precision gear part; and
A mirror unit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unit, rotated by being hooked on the precision gear unit and the operation gear unit, and reflecting a signal;
the mirror part
a mirror window for reflecting signals;
mirror shaft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irror window portion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housing portion;
a mirror lever par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and engaging the precision gear part and the operation gear part to rotate the mirror shaft part; and
and a mirror restoring uni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unit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mirror shaft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레버부는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는 레버판부;
상기 레버판부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는 레버돌기부; 및
상기 레버돌기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정밀기어부에 걸려 회전되는 레버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irror lever unit
a lever plate par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a lever protrusion mounted on the lever plate and rotated by being caught on the operation gear; and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ver sea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ver protrusion and rotating by being caught on the precision gea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복원부는
상기 미러축부에 장착되는 복원막대부; 및
상기 복원막대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irror restoration unit
Restoration rod part mounted on the mirror shaft part; and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restoring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storing rod par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탄성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복원막대부의 저면에 상단부가 연결되며, 코일스프링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oring elastic part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toring rod part, and has a coil spring shape.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or 6,
a sensor unit sensing rotation of the mirror unit; and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controlling the motor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미러부와 접촉되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stops driving of the motor unit when the sensor unit contacts the mirror unit.
KR1020170140175A 2017-10-26 2017-10-26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24807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75A KR102480737B1 (en) 2017-10-26 2017-10-26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75A KR102480737B1 (en) 2017-10-26 2017-10-26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06A KR20190046406A (en) 2019-05-07
KR102480737B1 true KR102480737B1 (en) 2022-12-23

Family

ID=6665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75A KR102480737B1 (en) 2017-10-26 2017-10-26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73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6226A (en) 2005-09-20 2007-04-05 Toyota Motor Corp Head-up display apparatus
KR101364767B1 (en) 2012-12-18 2014-02-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compensation double image and method thereor
JP2016180796A (en) * 2015-03-23 2016-10-13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329A (en) * 2013-07-16 2015-01-26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head up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6226A (en) 2005-09-20 2007-04-05 Toyota Motor Corp Head-up display apparatus
KR101364767B1 (en) 2012-12-18 2014-02-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compensation double image and method thereor
JP2016180796A (en) * 2015-03-23 2016-10-13 日本精機株式会社 Head-u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406A (en)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572B2 (en) Display device for a motor vehicle, having a force sensor, a motor vehicle, and a method
CN107209368B (en) Head-up display for a motor vehicle
WO2014065097A1 (en) Head-up display device
JP4336245B2 (en) Head-up display device
CN110103825B (en)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JP2009224037A (en) Vehicle headlamp
KR102321099B1 (en) Rotating drive apparatus
KR20150092989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480737B1 (en) Head 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6760220B2 (en) Angle adjustment mechanism, reflector unit, and display device
KR20200052581A (en) Head 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N112955342B (en) Head-up display
CN209756981U (en)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2452806B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EP3683615A1 (en)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KR101753038B1 (en)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O2023022003A1 (en) Display device
WO2021193634A1 (en) Head-up display
JP7327263B2 (en) virtual image display
JP7327262B2 (en) virtual image display
JP7327261B2 (en) virtual image display
JP7294342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6808291B2 (en) Head-up display device
JP6973940B2 (en) Projection device
JP2021156955A (en) Head-up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