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13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13B1
KR102479513B1 KR1020180022628A KR20180022628A KR102479513B1 KR 102479513 B1 KR102479513 B1 KR 102479513B1 KR 1020180022628 A KR1020180022628 A KR 1020180022628A KR 20180022628 A KR20180022628 A KR 20180022628A KR 102479513 B1 KR102479513 B1 KR 10247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signal
unit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353A (ko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13B1/ko
Priority to PCT/KR2019/000551 priority patent/WO2019164127A1/ko
Priority to EP19757985.7A priority patent/EP3737105A4/en
Priority to US16/975,839 priority patent/US11128900B2/en
Publication of KR2019010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1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conditiona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보안 처리된 제2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하고, 영상 표시를 위하여 상기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보안처리모듈 간 송수신되는 상기 제1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영상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또는 셋탑박스 등의 전자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영상신호는 유료 컨텐츠를 포함한 신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당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이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에는 보안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보안 처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전자장치와는 별도의 모듈인 보안처리모듈(예를 들어, Conditional Access Module(CAM))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보안처리모듈은 전자장치와 USB(Universal Serial Bus)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이른바 USB CAM 방식).
USB CAM 방식에서, 전자장치와 보안처리모듈 사이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복수의 데이터 파이프(data pipe)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IPTV, OTT(Over The Top) 등의 영상신호를 이용하는 영상서비스가 복수 개 실행될 경우, 각 영상서비스에 대해 개별 데이터 파이프가 구성되어 이를 통해 전자장치와 보안처리모듈 사이에서 각 영상서비스의 영상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다만, 개별 데이터 파이프는 논리적인 개념으로서, 각 파이프가 물리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USB CAM 방식에서, 영상데이터와 같은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는 주로 벌크 전송 방식(Bulk transfer)을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벌크 전송 방식은 각 파이프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의 우선순위를 보장하지 않는다. 즉, 벌크 전송 방식은 각 파이프에 대해 동일한 우선순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바, 이는 하나의 파이프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다른 파이프를 통한 데이터 전송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파이프 하나로만 영상 데이터가 송수신되던 상황에서, 제2파이프를 통한 다른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이 추가되는 경우, 제1파이프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은 제2파이프의 추가로 인해 전체적인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스트리밍 영상 재생 시 영상 재생에 끊김이 발생하는 등, 영상이 연속적으로 처리되고 재생되는 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영상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보안 처리된 제2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하고, 영상 표시를 위하여 상기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보안처리모듈 간 송수신되는 상기 제1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영상을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될 상기 제1데이터가 저장되는 송신버퍼와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상기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량의 변화를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보안처리모듈을 거쳐 상기 수신버퍼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 소요시간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연속성 제한 여부를 상시적으로 식별하는 경우에 비해 전자장치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영상신호의 처리 중에 제2영상신호의 처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또는 상기 제2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속 처리는, 상기 식별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속성의 제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후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후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상기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관계에 대한 변화의 추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 식별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보안 처리된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표시를 위하여 상기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보안처리모듈 간 송수신되는 상기 제1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영상을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될 상기 제1데이터가 저장되는 송신버퍼와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상기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량의 변화를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보안처리모듈을 거쳐 상기 수신버퍼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 소요시간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연속성 제한 여부를 상시적으로 식별하는 경우에 비해 전자장치(100)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제1영상신호의 처리 중에 제2영상신호의 처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또는 상기 제2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후속 처리는, 상기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속성의 제한에 대응하여,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후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후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상기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관계에 대한 변화의 추이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 식별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위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이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서버 내의 매체에 저장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작동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과 데이터 전송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와 보안처리모듈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인터페이스부의 세부구성(버퍼)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데이터 처리 모습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데이터 처리 모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버퍼와 수신버퍼 저장 데이터량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버퍼와 수신버퍼 저장 데이터량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소요시간 변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소요시간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식별 결과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식별 결과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구체적인 작동 시나리오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예컨대, 셋탑박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장치, 예컨대, TV,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폰,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LFD(Large Format Display), 디지털 싸이니지 등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전자장치(100)가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종류에는 특별한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100)는 지상파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케이블 방송신호, IPTV 영상신호, OTT(Over The Top)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신호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부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정보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신호에 포함된 컨텐츠의 무단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영상신호는 보안 처리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신호는 조건적 액세스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CAS))에 의해 인크립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신호가 DVB 규격을 따르는 방송신호인 경우, 영상신호는 DVB-CA(Conditional Access), DVB-CSA(Common Scrambling Algorithm) 및 DVB-CI(Common Interface)의 규격에 따라 인크립트될 수 있다. 다만, 영상신호에 대한 보안 처리는 조건적 액세스 시스템과 같은 특정 시스템에 의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안 해제 처리 없이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처리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에는, 영상신호의 보안 해제를 위한 보안처리모듈(200)이 연결될 수 있다. 보안처리모듈(200)은 전자장치(100)와는 다른 별도의 기기로 마련될 수 있다. 보안처리모듈(200)은, 예를 들어, 조건적 액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CAM))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보안처리모듈(200)은 조건적 액세스 모듈과 같은 특정 모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신호의 보안 해제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모듈을 모두 포함한다.
전자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신호로부터 보안이 적용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한다. 보안처리모듈(200)은 전송 받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을 확인한다. 사용자의 이용 권한이 확인되면, 보안처리모듈(200)은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보안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 예컨대, 보안처리모듈(200)은,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할 수 있다. 보안처리모듈(200)은, 보안 해제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자장치(100)로 전송한다. 보안처리모듈(200)은, 컨텐츠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디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다시 인크립트하여 전자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장치(100)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라 하고,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전자장치(100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라 한다.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보안 처리에 있어서 보조모듈이 더 이용될 수 있다. 보조모듈은 보안처리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 관련 정보를 보안처리모듈(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조모듈은 사용자의 이용 권한 정보를 담은 집적회로를 구비한 구성, 예를 들어, 스마트카드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조모듈이 이용되는 경우, 보안처리모듈(200)은 보조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보안 해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신호수신부(101), 신호처리부(102), 인터페이스부(103), 프로세서(104)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1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다른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배제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01)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01)는 RF 신호 형태의 방송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튜너(tuner)(111)를 구비할 수 있다. 튜너는 복수의 채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01)는 외부장치와 통신하여 IPTV 신호 등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12)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 통신부(112)는 유선통신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며, 접속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Interface), HDMI-CF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USB,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규격에 따른 신호/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규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통신부(112)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복수의 서버들과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 통신부(112)는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WiFi Direct,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 통신부(112)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101)는 카메라, 서버, USB저장장치, DVD,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02)는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신호처리부(102)는 신호수신부(101)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02)가 수행할 수 있는 영상처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102)는 입력되는 신호의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121), 스크램블러에 의해 만들어진 임의 부호 계열로부터 원래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22), 코드화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decoder)(123),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서(deinterlacer)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02)는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02)는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신호 처리부(12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신호 처리부(124)는, 예를 들어,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된 통신패킷의 구조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3)는 보안처리모듈(200)과의 사이에서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부(103)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를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고,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3)는 USB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구현 가능한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터페이스부(103)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버퍼(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131)는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될 제1데이터가 저장되는 송신버퍼와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버퍼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전자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 이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전자장치(100)의 제조 시에 전자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로세서(104)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예컨대,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신호수신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는 신호처리를 수행하도록 신호처리부(102)를 제어할 수도 있고, 보안처리모듈(200)과 통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0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자장치(100)는 하나의 프로세서(104)에서 처리와 제어를 함께 수행하는 구성을 나타내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100)는 프로세서와 별도로 처리부 또는 제어부를 추가 구비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04)는 신호처리부(102)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전자장치(100)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30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처리된 영상을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작동과 전자장치(100)에서의 데이터 전송 흐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신호수신부(101)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한다(S401). 구체적인 예로,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신호수신부(101)의 튜너(111)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영상신호는 신호수신부(101)로 수신된다(도 2의 ①).
프로세서(104)는 신호수신부(101)로 수신된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도록 신호수신부(101) 및 인터페이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S402). 또는, 프로세서(104)는 신호수신부(101)로 수신된 영상신호가 신호처리부(102)에서 먼저 처리되도록 한 후, 그 중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04)는 튜너(11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가 신호처리부(102)의 디멀티플레서(121)에서 디멀티플렉싱 되도록 제어한 후, 디멀티플렉싱된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신호수신부(101)를 통해 수신된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는 (선택적으로 신호처리부(102)를 거친 후) 인터페이스부(103)를 거쳐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된다(도 2의 ②).
프로세서(104)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에 대해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처리된 제2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인터페이스부(103)를 제어할 수 있다(S403). 그에 따라,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는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된다(도 2의 ③).
프로세서(104)는 영상 표시를 위하여, 인터페이스부(103)를 통해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신호처리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S404). 그에 따라,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03)로부터 신호처리부(102)로 전송된다(도 2의 ④).
이후 프로세서(104)는 신호처리부(102)를 통해 처리된 제2데이터가 디스플레이장치(300)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도록 신호처리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에 대해 신호처리된 데이터는 신호처리부(102)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300)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어 표시된다(도 2의 ⑤).
이상과 같이 영상신호 또는 영상신호의 데이터는 전자장치(100)로 수신된 후 표시되고 재생되기까지 일련의 연속된 흐름에 따라 전송되고 처리된다. 전자장치(100) 내에서 그러한 처리의 연속성에 제한이 발생할 경우 영상 재생에 끊김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실시간 방송 재생 또는 스트리밍 영상 재생과 같이, 영상 신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민감할 수 있다.
전자장치(100) 내에서 영상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에 제한이 발생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데이터의 처리에는 신호수신부(101), 신호처리부(102), 인터페이스부(103) 등의 여러 구성요소가 관여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의 처리 지연 또는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의 전송 지연에 의해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보안처리모듈(200)을 통해 보안 해제 처리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경우, 전자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 그로 인해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에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 및 보안처리모듈(200) 간 송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S405) 그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S406).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에 의하여, 영상을 연속적으로 처리하고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는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증가시키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4)는, 도 3과 같이, 이벤트감지부(301) 및 식별부(302)를 실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감지부(301) 및 식별부(302)는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04)가 이들 소프트웨어/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편의상, 해당 소프트웨어/제어프로그램의 동작으로 설명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감지부(301) 및 식별부(302)의 동작의 일 예로, 이벤트감지부(301)에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될 경우 식별부(302)로 신호를 보내면, 식별부(302)는 그 신호에 따라 소정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03)의 버퍼(131)를 모니터링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하고, 그 결과를 이벤트감지부(301)로 보내 후속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즉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하면, 연속성 제한 여부를 상시적으로 식별하는 경우에 비해 전자장치(100)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벤트의 종류 및 그에 따른 동작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 흐름 및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는 파이프(pipe)를 통해 제어신호 및 데이터가 전송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USB 제어 파이프(501), 명령 및 제어 파이프(502), 복수의 데이터 파이프(503-504)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그 경우, 각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는 각 데이터 파이프(503-504)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OTT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프로세서(104)는 지상파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로서 보안 처리된 제1데이터를 제1파이프(503)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 데이터에 대해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처리된 제2데이터는 다시 제1파이프(503)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4)는 OTT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로서 보안 처리된 제1데이터를 제2파이프(504)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 데이터에 대해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처리된 제2데이터는 다시 제2파이프(504)를 통해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는 인터페이스부(103)의 버퍼(131)가 이용될 수 있다. 버퍼(131)는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각 데이터 전송 파이프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퍼(131)는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될 제1데이터가 저장되는 송신버퍼(132, 134)와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버퍼(133, 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버퍼(131)를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OTT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104)는 지상파 방송신호의 제1데이터를 그에 대응하는 제1파이프(503)의 송신버퍼(132)에 저장한다. 송신버퍼(132)에 저장된 위 제1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위 제1데이터에 대해 보안처리모듈(200)에서의 처리가 수행된 제2데이터는 제1파이프(503)를 통해 위 송신버퍼(132)에 대응하는 수신버퍼(133)로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저장된다. 수신버퍼(133)에 저장된 제2데이터는 향후 순차적으로 신호처리부(102)에 의해 처리된다.
OTT 영상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전송된다. 즉, 프로세서(104)는 OTT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를 그에 대응하는 제2파이프(504)의 송신버퍼(134)에 저장한다. 송신버퍼(134)에 저장된 위 제1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위 제1데이터에 대해 보안처리모듈(200)에서의 처리가 수행된 제2데이터는 제2파이프(504)를 통해 위 송신버퍼(134)에 대응하는 수신버퍼(135)로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저장된다. 수신버퍼(135)에 저장된 제2데이터는 향후 순차적으로 신호처리부(102)에 의해 처리된다.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인터페이스부(103)의 버퍼(131)가 이용되는 경우, 버퍼(131)에 언더플로우(underflow)나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지 않으면,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처리 및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전송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를 거쳐 보안처리모듈(200)에 도달하여 처리되고 다시 인터페이스부(103)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도 7과 같이, 송신버퍼(132)와 수신버퍼(133)에 모두 언더플로우(underflow)나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지 않으면, 위 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8과 같이, 송신버퍼(132)와 수신버퍼(133) 중 어느 하나라도 언더플로우(underflow) 또는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하면, 위 데이터에 대한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수 있다. 버퍼(301)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예를 들어 송신버퍼(132)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한 경우, 송신버퍼(132)를 향해 전송은 되었으나 송신버퍼(132)에 저장되지 못하고 손실되는 데이터가 존재 가능하므로, 그 데이터 손실로 인해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수 있다. 버퍼(301)에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경우에도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버퍼(133)에 언더플로우가 발생한 경우에, 수신버퍼(133)에 저장된 제2데이터를 신호처리부(102)에서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추후 수신버퍼(133)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어 신호처리부(102)가 처리할 데이터가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수 있다.
버퍼(1310의 오버플로우 또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가능성은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복수의 영상신호의 데이터가 전송될수록 높아질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에서 영상데이터와 같은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 시 주로 사용되는 벌크 전송 방식(Bulk transfer)은 각 파이프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의 우선순위를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6 또는 도 8과 같이, 제1영상신호의 데이터와 제2영상신호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경우, 논리적으로는 각 파이프(503-504)가 구별될 수 있으나, 각 파이프가 물리적으로 독립적이고 병렬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전송 라인을 두고 경합하므로, 제2파이프(504)에 따른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질 경우, 도 8과 같이, 제1파이프(503)에 따른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전송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수신버퍼(133)는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고, 송신버퍼(132)는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 및 보안처리모듈(200) 간 송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그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그 비율이 유지될 경우에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이 소정 시간 동안 소정 범위 이내의 값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은 서로 다른 시각에 대해 측정된 전송량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특정 시각 t에 측정된 제1데이터 전송량과 그로부터 s 시간이 지난 t + d 시각에 측정된 제2데이터 전송량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고, 그 변화 정도가 소정 값 이내일 경우에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복수의 시간에 대해 계산된 복수의 위 비율 값 사이의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제1데이터 전송량과 제2데이터 전송량의 상관 관계 또는 대응 관계 유무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104)는,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수신버퍼(133)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의 송신버퍼(132)를 모니터링하여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기록한다. 또한,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의 수신버퍼(133)를 모니터링하여 수신버퍼(133)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도 기록한다. 이후 프로세서(104)는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수신버퍼(133)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시간에 따라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가 그래프 901과 같이 파악되고, 수신버퍼(133)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가 그래프 902과 같이 파악되었다면,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한다. 그래프 901은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될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양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고, 그래프 902는 보안처리모듈(20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된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양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위 두 데이터양의 변화에 도 9와 같이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상관 관계 또는 대응 관계가 있는 것으로 식별된다면,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이후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제2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흐름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에 따른 별도의 후속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1데이터양의 변화와 제2데이터양의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 또는 대응 관계가 있는지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특정 시점 t에서의 제1데이터양과 (위 t 시점에서 d 시간이 경과한) t+d 시점에서의 제2데이터양 사이에 상관 관계 또는 대응 관계가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제1데이터양의 변화와 제2데이터양의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 또는 대응 관계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데이터양 사이의 상관관계 또는 대응관계 판단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도 10과 같이, 시간에 따라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가 그래프 1001과 같이 파악되고, 수신버퍼(133)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가 그래프 1002과 같이 파악되었다면,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된다고 식별하거나 적어도 제한될 우려가 높은 것으로 식별한다. 도 10의 그래프 1001과 그래프 1002 사이에서는, 도 9의 그래프 901과 그래프 902 사이에서와 같은, 소정 시간 간격을 둔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식별되지 않는바, 이는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이후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제2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흐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에 따른 별도의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후속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량의 변화를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수신버퍼(133)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를 모니터링하여,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된 각각의 데이터(도 11 내지 도 12의 A, B, C, D 등)에 대하여, 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의 송신버퍼(132)에서 전송되어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보안 처리되어 인터페이스부(103)의 수신버퍼(133)로 수신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프로세서(104)는 위 측정된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위 측정된 소요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각 데이터에 대하여 측정한 위 소요시간 값의 표준편차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수신버퍼(133)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가 그래프 1101의 형태로 파악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한다. 그래프 1101에 따르면, 송신버퍼(132)에 저장된 각 데이터가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수신버퍼(133)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대략 2ms 전후로 유지되고 있어,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어 처리되고 이후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제2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흐름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4)는 각 데이터에 대해 측정한 소요시간 값의 표준편차가 소정 값 미만임을 확인함으로써,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에 따른 별도의 후속 처리를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반면, 도 12와 같이,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수신버퍼(133)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가 그래프 1201의 형태로 파악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각 데이터에 대해 측정한 소요시간 값의 표준편차가 소정 값 이상임을 확인함으로써,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식별하거나 적어도 제한될 우려가 높은 것으로 식별한다. 그래프 1201에 따르면, 송신버퍼(132)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보안처리모듈(200)을 거쳐 수신버퍼(133)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일관되지 못함을 알 수 있고, 나아가 소요 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소요시간 값의 표준편차를 계산하면 소정 값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제1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에서 보안처리모듈(200)로 전송되고 이후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제2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흐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에 따른 별도의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후속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에서는 위 측정된 소요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로, 프로세서(104)가 각 데이터에 대하여 측정한 위 소요시간 값의 표준편차가 소정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측정된 소요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의 하나로, 프로세서(104)는 위 측정된 소요시간 값의 평균값이 소정 값 이상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고, 그 외의 소요시간이 변동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영상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데이터 전송 소요시간을 통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벤트란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재생, 실시간 방송 녹화, IPTV 시청, OTT 컨텐츠 시청 등 각종 영상신호를 이용한 서비스의 시작과 중단, 재개, 종료, 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종료, 채널 전환, 그리고 위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입력의 수신 등을 포함한다.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하는 예시로서, 프로세서(104)는, 제1영상신호의 처리 중에 제2영상신호의 처리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또는 제2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신호 수신 중 다른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5가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하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4)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S1501에서 S1504까지는 앞서 도 4의 S401에서 S404까지와 동일하다. 이후 프로세서(104)는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를 감지한다(S1505).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인터페이스부(103) 및 보안처리모듈(200) 간 송수신되는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S1506), 그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S1507).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4)는, 도 3과 같이, 이벤트감지부(301) 및 식별부(302)를 더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벤트감지부(301)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이벤트가 감지될 경우 식별부(302)로 식별을 시작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보낸다. 식별부(302)는 그 신호에 따라 소정 방법으로, 예를 들어 앞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103)의 버퍼(131)를 모니터링 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한다. 식별부(302)는 식별 결과를 이벤트감지부(301)로 보내 후속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식별부(302)는 직접 식별 결과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연속성 제한 여부를 상시적으로 식별하는 경우에 비해 전자장치(100)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결과는, 각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데이터 파이프(503-504)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는, 예를 들어 각 데이터 파이프의 대역폭 변화, 각 데이터 파이프에 대응하는 버퍼의 상태 변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양의 변화, 데이터가 송신버퍼에서 전송되어 수신버퍼로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식별 결과는, 이러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각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서비스에 관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결과에 따른 후속 처리의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것으로 식별된 서비스,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에 대응하는 서비스 또는 소정 영상신호 또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4)는 위 식별된 서비스를 다른 서비스에 비해 후순위로 설정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04)는, 위 식별된 서비스가 아닌, 그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 다른 서비스의 동작을 중단하거나 후순위로 설정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될 우려가 있는 경우, 특정 서비스의 동작을 사전에 중단하거나 후순위로 처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상이 연속적으로 처리되고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식별 결과에 따른 후속 처리의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4)가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거나 제한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식별한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 식별 결과를 디스플레이부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장치(100)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4)는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식별 결과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세서(104)는 제2데이터 처리의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는 터치 입력, 리모컨 입력, 음성 입력, 제스처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가능한 입력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가 인터페이스부(103) 및 보안처리모듈(200) 간 송수신되는 제1데이터의 전송량과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판단한 결과,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거나 제한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도 13과 같이, 그 식별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1301)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4)는 해당 서비스의 진행을 계속할 것인지, 진행하지 않을 것인지, 아니면 우선 실행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진행을 할 것인지 등을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선택할 수 있는 UI(1302-1304)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13은 하나의 예시일 뿐, 식별 결과 표시 형태, 메시지(1301)의 내용, UI(1302-1304)의 종류, 형태 및 내용 등이 도 13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우선 실행할 서비스를 선택하는 옵션에 대응하는 UI(1304)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된 경우, 프로세서(104)는 도 14와 같이,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중에서 우선적으로 실행할 서비스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UI(1401-1402)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위 UI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를 우선 실행할 것을 선택한 경우, 예를 들어 도 14에서 제1서비스를 우선 실행할 것을 선택하는 UI(1401)를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04)는 그에 따라 제1서비스가 우선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제2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종료함으로써 제1서비스가 우선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더욱 부합하는 후속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프로세서(104)는, 제1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관계에 대한 변화의 추이에 기초하여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신호 수신 중에 제2영상신호가 수신된 경우, 각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파이프(503-504)에 의해 송수신되는 제1데이터 및 제2데이터의 전송량은 변화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화가 일시적인 현상일 경우,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까지 고려하여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104)는 제1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관계에 대한 변화의 추이에 기초하여 연속성 제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4)는 변화가 지속된 시간은 얼마인지, 기존 전송량 대비 변화의 정도는 어느 정도인지, 변화의 정도는 점점 커지는지 아니면 작아지는지 등을 모니터링한 후, 그에 기초하여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 식별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신호처리부(102)는 제2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104)는, 위 신호처리부(102) 내 버퍼의 용량에 따라,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02) 내에 버퍼가 존재할 경우, 그리고 그 버퍼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상황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102) 내의 버퍼에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처리가 필요한 제2데이터가 상당량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더라도, 소정 시간 동안은 신호처리부(102) 내의 버퍼에 있는 제2데이터를 통해 처리를 수행하면서 그 처리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고, 보안처리모듈(200)에서 인터페이스부(103)로 전송되는 제2데이터 전송량의 변화가 원래대로 회복되기까지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전자장치의 하드웨어 특성에 부합하여 데이터 처리의 연속성 제한 여부 식별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4) 및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감지부(301)와 식별부(302)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시나리오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함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되는 이벤트감지부(301)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상파 방송채널의 녹화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하는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이벤트감지부(301)는 위 사용자명령의 입력을 감지한 후(S1601), 위 입력에 따라 지상파 방송채널 녹화 서비스를 실행한다(S1602).
또한, 이벤트감지부(301)는 위 사용자명령이 기 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로서 실시간 방송 재생, 녹화, 채널 전환 등)의 리스트 중의 하나에 해당하는 이벤트인지를 판단하여(S1603), 위 리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감지부(301)는 식별부(302)로 식별을 시작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604).
위 신호를 수신한 식별부(302)는,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파이프 중 사용자가 입력한 위 지상파 방송채널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1파이프를 모니터링 하여(S1605), 지상파 방송채널의 녹화 서비스로 인해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위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606). 예를 들어 식별부(302)는, 위 서비스의 실행 전후로, 위 제1파이프에 대응하는 송신버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두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부(302)는 위 서비스의 실행으로 인해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식별하여(S1606 No) 그 식별결과에 따라 위 서비스를 실행을 유지한다.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부(302)는 위 서비스의 실행으로 인해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 것으로 식별하여(S1606 Yes) 그 식별결과에 따른 후속처리, 예를 들어 위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거나, 그 식별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후, 연속성 제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위 서비스를 실행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UI를 표시한다(S1607).
이하 지상파 방송채널 녹화 서비스의 실행으로 인해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위 서비스의 실행이 유지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을 계속한다.
지상파 방송채널 녹화 서비스의 실행 중에,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OTT 재생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하는, 그리고 지상파 방송채널 녹화 서비스는 백그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면, 이벤트감지부(301)는 위 사용자명령의 입력을 감지한 후(S1608), 위 입력에 따라 OTT 재생 서비스를 실행한다(S1609).
또한, 이벤트감지부(301)는 위 사용자명령이 기 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로서 실시간 방송 재생, 녹화, 채널 전환 등)의 리스트 중의 하나에 해당하는 이벤트인지를 판단한다(S1610). 위 리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로 판단된 경우, 이벤트감지부(301)는 식별부(302)로 식별을 시작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1611).
위 신호를 수신한 식별부(302)는, 인터페이스부(103)와 보안처리모듈(200) 사이의 데이터 파이프 중 현재 녹화 중인 지상파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제1파이프 및 사용자가 입력한 위 OTT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제2파이프를 모니터링 하여(S1612), OTT 재생 서비스로 인해 신호처리부(102)에 의한 위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또는 기존 지상파 방송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한다(S1613). 예를 들어 식별부(302)는, 위 OTT 재생 서비스의 실행 전후로, 위 제2파이프에 대응하는 송신버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과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두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나아가 식별부(302)는, 위 서비스의 실행 전후로, (제2파이프 이외에) 기존의 제1파이프에 대응하는 송신버퍼와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 또한 비교하여, 두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파이프에 대응하는 버퍼의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제2파이프에 대응하는 버퍼의 변화 사이에도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별부(302)는 지상파 방송채널 녹화 서비스와 OTT 재생 서비스가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각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식별할 수 있고(S1613 No), 이는 두 서비스가 동시 실행 되더라도 영상 녹화 및 재생에 끊김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므로 프로세서(104)는 두 서비스의 실행을 유지한다.
반면, 두 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라도 버퍼의 변화 사이에 상관 관계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 식별부(302)는 해당 파이프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식별하고(S1613 Yes), 그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S1614).
후속 처리의 일 예로 프로세서(104)는, 처리 연속성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식별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두 서비스 중 우선순위가 낮은 서비스를 중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04)는,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사용자입력에 따른 OTT 재생 서비스의 실행으로 인해 해당 서비스 또는 다른 서비스에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다.
100: 전자장치
101: 신호수신부
102: 신호처리부
103: 인터페이스부
104: 프로세서
200: 보안처리모듈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
    신호처리부; 및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보안 처리된 제1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보안 해제 처리된 제2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하고,
    영상 표시를 위하여 상기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보안처리모듈 간 송수신되는 상기 제1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될 상기 제1데이터가 저장되는 송신버퍼와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데이터가 저장되는 수신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양의 변화와 상기 수신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의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버퍼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보안처리모듈을 거쳐 상기 수신버퍼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신호의 제1데이터 또는 제2데이터의 전송량을 변화시키는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영상신호의 처리 중에 제2영상신호의 처리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또는 상기 제2영상신호의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속 처리는, 상기 식별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속성의 제한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입력에 따라 상기 후속처리를 수행하는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상기 제2데이터의 전송량의 관계에 대한 변화의 추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한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10. 보안처리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의 보안 처리된 제1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보안처리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보안처리모듈로부터 보안 해제 처리된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표시를 위하여 상기 수신된 제2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보안처리모듈 간 송수신되는 상기 제1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데이터 전송량의 비율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제2데이터 처리의 연속성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에 따른 후속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전자장치와 결합되어 제10항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20. 삭제
KR1020180022628A 2018-02-26 2018-02-2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79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28A KR102479513B1 (ko) 2018-02-26 2018-02-2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9/000551 WO2019164127A1 (ko) 2018-02-26 2019-01-14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757985.7A EP3737105A4 (en) 2018-02-26 2019-01-14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CONTROL PROCESS
US16/975,839 US11128900B2 (en) 2018-02-26 2019-01-14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628A KR102479513B1 (ko) 2018-02-26 2018-02-2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353A KR20190102353A (ko) 2019-09-04
KR102479513B1 true KR102479513B1 (ko) 2022-12-21

Family

ID=6768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628A KR102479513B1 (ko) 2018-02-26 2018-02-26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28900B2 (ko)
EP (1) EP3737105A4 (ko)
KR (1) KR102479513B1 (ko)
WO (1) WO201916412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4236A1 (en) * 2012-02-15 2015-03-12 Giesecke & Devrient Gmbh Transmission of Data Streams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Security Module
US20170223412A1 (en) * 2016-02-01 2017-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1765761B1 (ko) * 2015-12-15 2017-08-08 주식회사 시큐아이 패킷 전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93921A1 (en) 1997-07-25 1999-01-27 Scientific Atlanta, Inc. Programmable two-level packet filter
US6507592B1 (en) * 1999-07-08 2003-01-14 Cisco Cable Products And Solutions A/S (Av) Apparatus and a method for two-way data communication
EP1284568A1 (de) * 2001-08-17 2003-02-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Daten über verschiedene Schittstellen
US7400728B2 (en) 2001-10-19 2008-07-15 Smardtv Sa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copy protection
KR100546371B1 (ko) * 2003-08-27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 부 및 제한수신/복제방지부를 구비하는 다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및 저장장치
US20060277330A1 (en) 2005-06-01 2006-12-07 Wilhelmus Diepstraten Techniques for managing priority queues and escalation considerations in USB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7037006A1 (ja) * 2005-09-29 2007-04-05 Fujitsu Limited マルチコアプロセッサ
CN101351780B (zh) * 2005-12-28 2012-04-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送装置及接收装置
FR2922401B1 (fr) * 2007-10-10 2010-04-16 Sagem Comm Dispositif de reception en continu de paquets de donnees audio et/ou video
KR101769370B1 (ko) * 2010-12-02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Usb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방법 및 장치
US9065878B2 (en) 2012-09-27 2015-06-23 Owl Comput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virtual screen view
US9647997B2 (en) * 2013-03-13 2017-05-09 Nagrastar, Llc USB interface for performing transport I/O
US9888283B2 (en) * 2013-03-13 2018-02-06 Nagrast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ansport I/O
EP2942725B1 (en) 2014-05-05 2017-01-04 TP Vision Holding B.V. Common interface host and common interface conditional access module
KR102447014B1 (ko) * 2015-09-07 2022-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4236A1 (en) * 2012-02-15 2015-03-12 Giesecke & Devrient Gmbh Transmission of Data Streams Between a Terminal Device and a Security Module
KR101765761B1 (ko) * 2015-12-15 2017-08-08 주식회사 시큐아이 패킷 전달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170223412A1 (en) * 2016-02-01 2017-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404346A1 (en) 2020-12-24
WO2019164127A1 (ko) 2019-08-29
EP3737105A1 (en) 2020-11-11
US11128900B2 (en) 2021-09-21
EP3737105A4 (en) 2020-11-11
KR2019010235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529B2 (en) Anticipatory video signal reception and processing
US10225299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controlling delivery of content
US864450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ciphering media content stream
US9774923B2 (en) Bandwidth management and advertisement insertion in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EP3145206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800159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istribute media content
US10250917B1 (en) Inserting secondary content after pause in delivery
US1094502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91365B2 (en) Temporally-seamless channel change functionality during multichannel streaming sessions
JP573901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9737B2 (en) Transport layer modification to enable transmission gaps
KR102479513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544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942606B2 (en) Application layer modification to enable transmission gaps
US10715856B2 (en) Device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enabling concurrent personal network streaming and wide area network access
US20110176495A1 (en) Video distribution network and methods therefor
JP5591953B2 (ja) ホワイトスペースデバイス中の送信機の静穏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3516910A (ja) 送信ギャップを使用可能に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レイヤ修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