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696B1 - Conc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Conc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696B1
KR102476696B1 KR1020200048901A KR20200048901A KR102476696B1 KR 102476696 B1 KR102476696 B1 KR 102476696B1 KR 1020200048901 A KR1020200048901 A KR 1020200048901A KR 20200048901 A KR20200048901 A KR 20200048901A KR 102476696 B1 KR102476696 B1 KR 10247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ode
power
pow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3145A (en
Inventor
신동환
이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1005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배 제어 장치는 전기 분배기와 콘센트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 분배기로부터 상기 콘센트부로 인가되는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분배 제어기,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분배 제어기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분배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분배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콘센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ribution control device, wherein the distribution control device includes a distribution controller located between an electric distributor and an outlet unit to control power applied from the electric distributor to the outlet unit, and a user input unit to set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troller and the user input unit,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unit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distributio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so that the electric distributor It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allows the applied power to be transferred to the outlet unit.

Description

콘센트 장치{CONCENT APPARATUS} Outlet device {CONCENT APPARATUS}

본 발명은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device.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concent) 즉, 소켓(socket)을 구비하여 벽 등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식 콘센트 장치나 소위 '멀티탭(multi- tap) 이라고 하는 이동식 콘센트 장치는 해당 콘센트에 각종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plug)가 삽입되어 전기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general, a fixed outlet device having at least one outlet, that is, a socket attached to a wall, or a movable outlet device called a 'multi-tap' is a plug of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to the corresponding outlet. (plug) is insert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설치 위치와 소비 전력량에 따라 고정식 콘센트 장치 및 이동식 콘센트 장치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mixes and uses the fixed outlet device and the movabl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to be used.

하지만, 이러한 콘센트 장치에 전기전자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는 해당 콘센트 장치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알 수 없다. 따라서,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나 해당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손상에 대한 위험을 인지할 수 없다.However, whe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are connected to and used in such an outlet device, the user cannot know the current consumed by the corresponding outlet device. Therefore, the risk of fire due to overload or the risk of damage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or electronic product cannot be recognized.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편의에 따라 콘센트 장치에 문어발 형태로 여러 개의 콘센트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s a result, a user has a problem in that a plurality of outlet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outlet device in the form of an octopus foo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한국 등록특허 제10-1183617호(등록일자: 2012년 09월 11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83617 (registration date: September 11, 2012)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과부하로 인한 콘센트 장치의 손상이나 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an outlet device or risk of an accident due to overloa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및 상기 전원 공급선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차단을 실시한다.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n outlet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and the outlet includes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lug of an electric or 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and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supply of power to the plug insertion hole,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plug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e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are electrically cut off to cut off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hole.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상기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 요청이 발생하는 지 판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in a state in which a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is a manual mode, the outlet device Determining whether a request for power supply occurs, and if the request for power supply occurs, operating the switching unit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is transmit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make it possible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 공급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공급 요청이 발생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switch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power supply switch is operated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witch, It can be determined that a power supply request has occurred.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는 허용 소비 전류량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원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에 의하 판단된 현재 소비 전류가 허용 소비 전류량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 상기 스위칭부로의 전원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be connected to the switch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further include a current sensing unit for detecting current consumption consumed in the plug insertion port, and the storage unit may additionally store an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amount. If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determined by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power detection unit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thereby providing power to the switching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Blocking can be done.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어 있는 전압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는 허용 소비 전력량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된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현재 총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총 소비 전력량이 허용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면, 상기 스위칭부를 연결 해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 상기 스위칭부로의 전원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the storage unit may additionally store an allowabl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may receive a voltag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voltage detection unit. The current total power consumption is calculated using the current voltage determined by the current voltage, and if the calculated current total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allowable power consumption,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disconnected so as to cut off power to the switching unit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can be carried out.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나 상기 통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허용 소비 전류량과 상기 허용 소비 전력량을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uses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to determine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and the allowable consumption. The amount of power may be determin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when a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is a regular mode. A part is opera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차단해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을 차단을 실시하는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and the operation controller may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when a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is a power cut mode. By controlling the unit to be unconnected,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are electrically cut off to cut off power from the power supply line to the plug insertion hole.

상기 특징에 따른 콘센트 장치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나 상기 통신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us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It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센트 장치에 구비되는 각 콘센트마다 동작 모드를 정할 수 있으므로, 해당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전자제품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로 해당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feature, since the user can set an operation mode for each outlet provided in the outlet device,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utlet in a mode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ic or electronic produc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 .

이에 따라, 사용자는 콘센트 장치에 구비된 콘센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iciently use the outlet provided in the outlet device.

또한, 각 콘센트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기량에 따라 각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 여부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므로, 과전류로 인한 화재 발생 등과 같은 사고 발생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supply of power to each outlet is individu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in each outlet, accidents such as fire due to overcurrent are prevented.

이에 더해,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플러그 삽입이 이루어지는 콘센트로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대기 전력의 소모가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outlet where the plug is inserted using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 unnecessary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a technology or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related field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m will be omitt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properly expres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people or customs related to the field.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only to refer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lso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utl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콘센트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0), 저장부(20), 사용자 입력부(10)와 저장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30), 동작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40), 상용 전원과 같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L1), 동작 제어부(30)와 전원 공급선(L1)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51-53)를 구비할 수 있다.전원 공급선(10)은 220V의 상용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전원 등과 같은 전원을 공급한다.As shown in FIG. 1, the outlet device of this example includes a user input unit 10, a storage unit 20, an operation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the user input unit 10 and the storage unit 2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30. A communication unit 40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L1 for supplying power such as commercial power, and at least one outlet 51-53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ler 30 and the power supply line L1. The power supply line 10 supplies power such as 220V commercial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사용자 입력부(1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동작에 필요한 명령이나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30)로 인가한다.The user input unit 10 is for inputting commands or data necessary for an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and applies i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입력되는 명령이나 데이터를 판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ler 30 reads the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10 to determine an input command or data.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 및 허용 소비 전기량 등을 입력할 수 있다.Using the user input unit 10, the user may input the operation mode and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by each outlet 51 to 53.

도 1에는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10)가 구비되어 각 콘센트(51-53)의 동작 조건을 조정하지만, 이와 달라, 각 콘센트(51-53)마다 별도의 사용자 입력부(10)가 구비될 수 있다. 1, one user input unit 10 is provided to adjust operating conditions of each outlet 51-53, but, unlike this, a separate user input unit 10 may be provided for each outlet 51-53. .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0)는 선택 동작에 따라 상태가 변하는 버튼식 스위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0 may include a button-type switch whose state changes according to a selection operation, a touch screen, and the like.

또한, 사용자 입력부(10)는 각 콘센트(51-53)를 위한 전원 공급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 전원 공급 스위치를 수동으로 온(on)시켜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0 may include a power supply switch (not shown) for each outlet 51-53, and the user manually turns on each power supply switch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 can be manually controlled.

저장부(20)는 소비전류 제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 is a storage medium in which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control device and data generated during operation are stored, and may be a memory or a hard disk.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판정된 각 콘센트(51-53)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stor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utlet 51 to 53 determined us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10 .

이때, 각 콘센트(51-53)의 동작 상태 정보는 사용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 및 허용 소비 전기량 등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ach outlet 51 to 53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and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of each outlet 51 to 53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 .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는 수동 모드, 상시 모드 및 단전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s 51 to 53 that can be set by the user may be one of a manual mode, a constant mode, and a power cut mode.

수동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다.The manual mode is a mode in which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to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상시 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무관하게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이 항상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드이다.The constant mode is a mode in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to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regardless of a user's operation.

또한, 단전 모드는 전원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모드로서,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완전히 차단시켜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기를 단전시키는 모드이다.In addition, the power-off mode is a mode in which power supply is completely cut off, and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is completely cut off to cut off electricity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소비 전기량은 소비 전류량과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허용 소비 전기량은 허용 소비 전류량과 허용 총 소비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may be at least one of current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and the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may be at least one of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and allowable total power consumption.

총 소비 전력량은 정해진 기간(예, 30일)동안 소비되는 전력량의 총 누적량, 즉 누적 전력량일 수 있고,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총 누적 전력량일 수 있다.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may be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eg, 30 days), that is, the accumulated amount of power, and the allowabl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may be the total amount of accumulated power determined by the user.

동작 제어부(30)는 콘센트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연산 등을 수행하는 제어 유닛으로, 한 예로 반도체 칩(chip)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중앙제어장치(CPU)나 메인제어장치(MCU)일 수 있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i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utlet device and performs calculations, and may be, for example, a central control unit (CPU) or a main control unit (MCU) made of a semiconductor chip. .

따라서, 이러한 동작 제어부(30)에 의해 콘센트 장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outlet device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

통신부(40)는 스마트폰(smart phone) 등의 사용자 단말(70)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is f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user terminal 70 such as a smart phone, and may perform at least one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통신부(40)는 인터넷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WiFi)나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include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zigbee, or blue-tooth.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70)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부(30)의 동작을 통해 생성되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입력부(10) 대신 사용자 단말(70)을 이용하여 콘센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나 필요한 데이터 등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receive operation state data gen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30 using the user terminal 70, and also use the user terminal 70 instead of the user input unit 10 to receptacle devices. It is possible to perform input operations such as control commands or necessary data to control the operation of.

사용자 단말(70)을 이용한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70)로부터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 설정 신호와 각 콘센트(51-53)의 허용 소비 전기량 설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되면, 동작 제어부(30)는 통신부(40)를 통해 전송되는 동작 모드 설정 신호와 허용 소비 전기량 설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신호에 따라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 허용 전류(즉 허용 부하량) 및 소비 전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mode setting signal of each outlet 51-53 and the allowable electricity consumption setting signal of each outlet 51-53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70 by the user's oper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70. 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operation mode setting signal and the allowable electricity consumption sett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 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ting signal, the operation mode of each outlet 51-53, the allowable current ( That is, the allowable load amount) and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can be set.

각 콘센트(51-53)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전기전자제품(100)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된 전기전자제품(10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Each of the outlets 51 to 53 is connected to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that operates using electricity, and serves to supply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to the connected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

본 예에서, 콘센트 장치에 구비된 콘센트의 개수는 3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개이거나 4개 이상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number of outlets provided in the outlet device is shown as thr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ne or four or more.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각 콘센트(51-53)는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511-531), 각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연결되어 있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 전원 공급선(L1)과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연결된 스위칭부[예, 릴레이(relay)](513-533), 플러그 삽입구(511-531)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류 감지부(514-534) 및 각 스위칭부(513-533)에 연결되어 있는 전압 감지부(515-535)를 구비할 수 있다.각 플러그 삽입구(511-531)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해당 스위칭부(513-533)를 통하여 전원 공급선(L1)과 연결되어 자신에게 삽입되어 있는 전기전자제품(100)으로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each outlet 51-53 has a plug insertion opening 511-531 into which a plug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and a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connected to each plug insertion opening 511-531. (512-532), a switching unit (eg, rela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L1) and the plug insertion port (511-531) (513-533),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plug insertion port (511-531) A current sensor 514-534 and a voltage sensor 515-535 connected to each switching unit 513-533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each plug insertion hole 511-531 is I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L1 through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 to 533 and can supply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nserted therein.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삽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A1-A3)를 동작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는 자신이 속한 콘센트(51-53)의 고유 식별정보도 함께 감지 신호(A1-A3)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512-532 detects whether or no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and transmits detection signals A1-A3 of the corresponding state to the operation controller 30 ) can be output. At this time, each plug insertion detector 512 to 532 may transmi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utlet 51 to 53 to which it belongs through detection signals A1 to A3.

따라서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는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대응되게 해당 콘센트(51-53)에 설치되어 있다.Accordingly, each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512-532 is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는, 예를 들어, 전기전자제품(100)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태가 변하여 출력되는 신호의 값이 변하는 두 개의 출력 단자(예, OUT1, OUT2)를 구비할 수 있다.Each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512-532 has two output terminals (e.g., OUT1 and OUT2) whose state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for example, and the value of the output signal changes. can do.

따라서,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기전자제품(100)이 삽입되면 전기전자제품(100)의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의 상태가 변하여 각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변해 해당 상태[예, OUT1= 1', OUT2 ='0'(제1 상태)]의 감지 신호(A1-A3)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동작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the state of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512-532 is changed by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and output from each output terminal The state of the signal changes and the detection signals A1-A3 of the corresponding state [eg, OUT1 = 1', OUT2 = '0' (first state)] are sen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through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can be printed out.

반대로, 플러그 삽입부(511-531)에 삽입되어 있는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511-531)에서 뽑히게 되면 해당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의 상태는 초기 상태로 변하여 제1 상태와는 다른 상태[예, OUT1= '0', OUT2 ='1'(제2 상태)]의 감지 신호(A1-A3)를 출력 단자(OUT1, OUT2)를 통해 동작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the plug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art 511-531 is pulled out of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detection part 512-532 changes to the initial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s A1-A3 in a state different from the first state (eg, OUT1 = '0', OUT2 = '1' (second state)) through the output terminals OUT1 and OUT2. can be output as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0)는 각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A1-A3)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es the state of the detection signals A1-A3 input from each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512-532 to place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n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port 511-531. It can determine whether a plug is inserted.

각 스위칭부(513-533)는 동작 제어부(30)와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Each of the switching units 513 to 533 may be located betwe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and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 to 531 .

각 스위칭부(513-533)는 동작 제어부(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각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로의 전원[즉, 전원 공급선(L1)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Each switching unit (513-533) changes its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and supplies power (that is,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L1)) to each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can control.

이러한 스위칭부(513-533)는 동작 제어부(30)에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코일 및 전원 공급선(L1)에 각각 일측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타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513-533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a coil and a power supply line L1, the other terminal of which is grounded, and a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It may be provided with two switches, the other terminals of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동작 제어부(30)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스위칭부(513-533)의 코일이 자화되거나 자화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ils of the respective switching units 513 to 533 may be magnetized or the magnetization state may be releas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

두 개의 스위치는 코일이 자화 상태를 유지할 때 온되고, 이러한 스위치의 온 상태(즉, 스위칭부의 동작 상태)에 의해, 전원 공급선(L1)은 플러그 삽입구(511-5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공급선(L1)의 전원은 해당 스위칭부(513-533)를 통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로 공급될 수 있다.The two switches are turned on when the coil maintains a magnetization state, and by the on state of these switches (ie,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ing unit), the power supply line L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s 511-531, and power Power of the supply line L1 may be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s 511-531 through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s 513-533.

반면, 코일의 자화 상태가 해제되면 두 개의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전원 공급선(L1)과 플러그 삽입구(511-531)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이로 인해,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오프 상태(예, 비동작 상태인 연결 해제 상태)인 비연결 상태의 해당 스위칭부(513-533)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511-531)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agnetization state of the coil is released, the two switches are turned off,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line L1 and the plug insertion holes 511 to 531 is cut off. Due to this,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is su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by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533 in an off state (eg, a disconnected state in an inactive state). will not be able to

각 전류 감지부(514-534)는 각 스위칭부(513-533)와 플러그 삽입구(511-5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즉, 해당 콘센트(51-53)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의 크기에 해당하는 신호(B1-B3)를 동작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Each current sensing unit 514-534 may be positioned between each switching unit 513-533 and the plug insertion opening 511-531, and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opening 511-531, that is, the correspond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outlets 51 to 53 may be detected, and signals B1 to B3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ensed current may be out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0)는 각 전류 감지부(514-534)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3)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an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each outlet 51-53 using the current detection signals B1-B3 applied from each current detection unit 514-534. have.

도 1에서, 전류 감지부(514-534)는 해당 스위칭부(513-533)와 플러그 삽입구(511-531)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스위칭부(513-533) 뒤에 위치하지만, 이와 달리, 해당 스위칭부(513-533)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전류 감지부(514-534)는 전원 공급선(L1)과 해당 스위칭부(513-533)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스위칭(513-533)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연결된 전기전자제품(10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소비되는 소비 전류(즉, 부하)를 감지할 수 있다.In FIG. 1, the current sensing unit 514-534 is located between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533 and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and is located behind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533.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parts 513-533. In this case, each current sensing unit (514-534) is located between the power supply line (L1) and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533),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513-533),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4) 531), consumption current (ie, load) may be sensed according to whether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operating.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각 전류 감지부(514-534)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B3)를 이용하여 각 플러그 삽입구(511-531)에서 소비되는 전류의 크기(즉, 부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es the current sensing signals B1 to B3 applied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s 514 to 534 to determin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each plug insertion port 511 to 531 (that is, the size of the load). amount) can be measured.

각 전압 감지부(515-535)는 각 콘센트(51-53)에 연결되어 있어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압의 크기에 해당하는 전압 감지 신호(C1-C3)를 동작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Each voltage detector (515-535) is connected to each outlet (51-53) and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to detect a voltage detection signal (C1)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detected voltage. -C3) can be output to the operation controller 30.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각 전압 감지부(515-535)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감지 신호(C1-C3)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pective outlets 51 to 53 using the voltage detection signals C1 to C3 applied from the voltage detection units 515 to 535.

전류 감지부(514-534)와 전압 감지부(515-535)에서 출력되는 각 감지 신호(B1-B3, C1-C3)에는 해당 콘센트(51-53)의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Each of the detection signals B1-B3 and C1-C3 output from the current detection unit 514-534 and the voltage detection unit 515-535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따라서, 이러한 전류 감지부(514-534)와 전압 감지부(514-534)의 각 감지신호(B1-B3, C1-C3)에 의해 판정된 각 콘센트(51-53)의 소비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부(30)는 각 콘센트(51-53)에서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refore, the current consumption and voltage of each outlet 51-53 determined by the detection signals B1-B3 and C1-C3 of the current detection unit 514-534 and the voltage detection unit 514-534 Using th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an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outlet 51 to 53.

다음,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예의 콘센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referring to FIGS. 2A and 2B , the operation of the outlet device of this example having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콘센트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제어부(30)의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S10).First, when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outlet device is supplied,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30 may be started (S10).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먼저 각 플러그(51-53)의 해당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로부터 인가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3)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에 전기전자제품(100)이 삽입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first detects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s A1-A3 a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512-532 of each plug 51-53 to each outlet 51-5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S11).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로부터 인가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3)에 의해,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기전자제품(100)이 삽입되지 않은 플러그가 존재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no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531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s A1-A3 applied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512-53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lug that does not exist.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기전자제품(100)이 삽입되지 않는 플러그(예, 제1 플러그)(51)가 존재하면(S12),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콘센트(51)의 동작 모드에 무관하게 해당 플러그(5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13).If there is a plug (eg, the first plug) 51 into the plug insertion holes 511 to 531, into which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not inserted (S12),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 Regardless of this,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plug 51 can be cut off (S13).

하지만,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로부터 인가되는 플러그 삽입 감지 신호(A1-A3)에 의해 전기전자제품(100)이 현재 삽입되어 있는 콘센트가 존재한 상태로 판단되면(S14), 동작 제어부(30)는 전기전자제품(100)에 삽입된 해당 콘센트(이하에서, 전기전자제품(100)에 삽입된 콘센트(51-53)를 '제어 대상 콘센트'라 함)(51-53)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판단된 동작 모드에 맞게 해당 콘세트(5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14).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let into which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currently inserted exists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signals A1 to A3 applied from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s 512 to 532 (S14),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i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outlet inserted in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hereinafter, the outlet 51-53 inserted in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referred to as a 'control target outlet') 51-53.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soles 51 to 53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by determining the mode (S14).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

저장부(20)에는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이미 정해져 있다. In the storage unit 20, the operation mode of each outlet 51 to 53 is already determined.

이러한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사용자 입력부(10)나 통신부(40)를 통해 인가되는 모드 설정 신호에 의해 동작 제어부(30)의 동작에 정해 정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s 51 to 5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by a mode setting signal appli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40.

예를 들어,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10)나 통신부(40)를 통해 모드 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지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ler 30 may determine whether a mode setting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40 .

따라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0)나 통신부(40)를 통해 해당 콘센트(51-53)에 대한 모드 설정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 제어부(51-53)는 모드 설정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콘센트 식별 부호를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콘센트(51-53)를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mode setting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4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51-53 transmits the signal together with the mode setting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utlets 51 to 53 whose operation mode is to be set or changed using the outlet identification cod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모드 설정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Then, the operation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corresponding mode setting signal.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콘센트, 즉 콘센트 식별 부호에 해당하는 콘센트의 현재 동작 모드를 판정된 동작 모드, 즉 입력된 모드 설정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onverts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that is, the outlet corresponding to the outlet identification code, into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that is, the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input mode setting signal. can be changed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마다 사용자 입력부(10)나 사용자 단말(70)을 이용하여 원하는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고, 동작 제어부(30)는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에 맞게 해당 콘센트(5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change the desired operation mode of the outlets 51 to 53 using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user terminal 70 whenever desired,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20.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ored operation mode of each outlet 51-53.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수동 모드, 상시 모드 및 단전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s 51 to 53 settable by the user may be one of a manual mode, a constant mode, and a power cut mode.

다음, 복수 개의 콘센트(51-53) 중에서 제1 콘센트(51)를 제어 대상 콘센트로 가정하여, 각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 대상 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assuming that the first outlet 51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51 to 53 is the outlet to be controlled, the operation of the outlet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each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콘센트(51)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S15),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10)에 구비된 전원 공급 스위치(미도시)의 동작 상태에 따라 해당 스위칭부(예, 제1 스위칭부)(513)의 동작을 제어하여 대응하는 제1 콘센트(51) 즉, 제1 플러그 삽입구(511)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정할 수 있다(S16).First,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51 determined by the user is the manual mode (S15),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performs a corresponding switc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a power supply switch (not shown) provided in the user input unit 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eg,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first outlet 51, that is, the first plug insertion hole 511 (S16).

즉, 사용자에 의해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고 이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온 동작에 대응하는 온 신호가 동작 제어부(30)로 입력되면(S16), 동작 제어부(30)는 제1 콘센트(51)의 제1 스위칭부(513)의 코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코일을 자화시킨다. 이러한 코일의 자화에 의해, 제1 스위칭부(513)의 스위치는 온되어 제1 스위칭부(513)은 비동작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하여 전원 공급선(L1)과 제1 콘센트(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16).That is, when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n by the user and an 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 is in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S16),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onnects the first outlet 51 A driving signal is output to the coi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to magnetize the corresponding coil. Due to the magnetization of the coil, the switch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is turned on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changes from a non-operating state to an operating st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L1 and the first outlet 51. Connect (S16).

따라서,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동작 상태인 제1 스위칭부(513)의 온된 스위치를 통해 전류 감지부(514)를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로 공급되어, 제1 콘센트(51)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활성 상태가 된다. Therefore,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 through the current sensing unit 514 through the turned-on switch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in an operating state, so that the first outlet 51 becomes an active state where power is supplied.

하지만, 사용자가 전원 공급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여 해당 오프 신호가 동작 제어부(30)로 입력되면, 동작 제어부(30)는 제1 스위칭부(513)의 코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코일은 비자화상태가 된다(S18). However, when the user maintains the power supply switch in an off state and the corresponding off signal is inpu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oes not output a driving signal to the coi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and the coil does not It becomes a non-magnified state (S18).

따라서, 제1 스위칭부(513)의 스위치는 오프 상태가 되어 제1 콘센트(51)는 전원 공급선(L1)과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로 인해,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콘센트(51)의 플러그 삽입구(511)로 인가되지 못해, 제1 콘센트(51)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활성 상태가 된다. Accordingly, the switch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is turned off and the first outlet 51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Due to thi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L1 cannot be appli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 of the first outlet 51, and the first outlet 51 is in an inactive state in which no power is supplied.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제1 콘센트(51)가 상시 모드로 정해지면(S19), 동작 제어부(30)는 제1 스위칭부(513)의 코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 플러그 삽입구(511)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로 인해, 상시 모드인 경우, 해당 콘센트(51)는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오프 동작에 무관하게 활성 상태가 된다(S110). However, when the first outlet 51 is set to the regular mode by the user (S19),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outputs a driving signal to the coil of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to the first plug insertion port 511. Power is supplied, and thus, in the case of the regular mode, the corresponding outlet 51 becomes active regardless of the off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 (S110).

하지만, 해당 콘센트(51)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와 상시 모드가 아닌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콘센트(51)의 동작 모드를 단전 모드로 판정한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 is not the manual mode and the normal mode, the operation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 as the power cut mode.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제1 콘센트(51)가 단전 모드로 정해지면, 동작 제어부(30)는 제1 스위칭부(513)로의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제1 스위칭부(513)를 비동작상태로 제어하여, 제1 콘센트(51)를 비활성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S111). 따라서, 단전 모드인 경우, 해당 콘센트(51)는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온 동작에 무관하게 비활성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first outlet 51 is determined to be in the power cut mode by the us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stops the output of the driving signal to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to put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in an inoperative state. By controlling t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outlet 51 in an inactive state (S111). Accordingly, in the power cut mode, the corresponding outlet 51 becomes inactive regardless of the on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

본 예에서, 플러그(51-53)에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동작과 각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의 순서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order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ugs 51 to 53 of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are inserted and the order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each outlet 51 to 53 may be changed. .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0)나 사용자 단말(70)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의 허용 소비 전기량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the permissi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by each outlet 51 to 53 using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user terminal 70 .

이때, 복수 개의 콘센트(51-53)에 대한 허용 소비 전기량(예, 허용 소비 전류량이나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eg, the allowable amount of current consumption or the allowabl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for the plurality of outlets 51 to 53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러한 각 콘센트(51-53)에 대한 허용 소비 전기량은 해당 콘센트(51-53)에 연결되는 전기전자제품의 소비 전기량(예, 소비 전력량)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The permissi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for each of these outlets 51 to 53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e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

각 콘센트(51-53)에 대한 허용 소비 전기량 역시 동작 모드 선택 동작과 동일하게 사용자 입력부(10)나 통신부(40)를 통해 사용자 단말(70)을 통해 행해질 수 있고,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10)나 통신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에 대한 허용 소비 전기량을 판정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The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for each outlet 51 to 53 can also be done through the user terminal 7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40 in the same way as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operation,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user Allowabl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outlet 51 to 53 may be determined using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4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제1 내지 제3 콘센트(51-53)에 대한 동작 상태 정보인 동작 모드의 종류와 허용 소비 전기량을 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store in the storage unit 20 the type of operation mode and allowabl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which ar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the first to third outlets 51 to 53 .

따라서,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 시, 사용자에 의한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온으로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스위칭부(513)가 동작 되어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상시 모드로서 해당 전원 공급선(L1)으로부터 해당 플러그 삽입구(511)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동작 제어부(30)는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해당 전류 감지부(514)와 전압 감지부(515)에서 출력되는 전류 감지 신호(B1)와 전압 감지 신호(C1)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5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is the manual mode, when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n by the user, the switching unit 513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is operated, and the power supply line L1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 511) or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L1 to the corresponding plug insertion hole 511 as a regular mode, the operation controller 30 controls the corresponding current detector 514 of the outlet 51 to be controlled. ) and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B1 and the voltage detection signal C1 output from the voltage detection unit 515,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제1 전류 감지부(514)에서 출력되는 각 전류 감지 신호(B1)와 제1 전압 감지부(515)에서 출력되는 전압 감지 신호(C1)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 콘센트(51)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와 현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112, S113).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es each current detection signal B1 output from the first current detection unit 514 and the voltage detection signal C1 output from the first voltage detection unit 515 to control the outlet to be controlled.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nd current voltage consumed in (51) can be measured (S112, S113).

또한, 동작 제어부(30)는 현재 소비 전류와 현재 전압을 이용하여 현재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총 소비 전기량인 총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할 수 있다(S114).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measure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nd the current voltage, calculate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ption, which is the total amount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20 (S114).

따라서, 동작 제어부(30)는 전류 감지부(514)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감지 신호(B1)를 이용하여 현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현재 소비 전류의 크기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 소비 전류의 크기를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 허용 소비 전류의 크기와 비교할 수 있다(S115).Therefor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e size of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to which power is currently supplied using the current detection signal B1 applied from the current detection unit 514, and determines the size of the current consumption. The size of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can be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 (S115).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현재 소비 전류의 크기가 허용 소비 전류의 크기보다 크면(S115), 동작 제어부(30)는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제1 스위칭부(513)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차단하여 제1 스위칭부(513)를 비동작 상태로 전환해, 제1 콘센트(5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S116).When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is greater than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S115), the operation controller 30 transmits a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By blocking the first switching unit 513 to an inoperative state, power applied to the first outlet 51 may be cut off (S116).

따라서, 제어 대상 콘센트(51)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전자제품(100)이나 이동식 콘센트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Accordingly, power supply to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or the movable outlet connected to the controlled outlet 51 is cut off.

이처럼, 제어 대상 콘센트(51)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의 크기가 허용 소비 전류의 크기를 초과하면, 동작 제어부(30)의 제어 동작에 따라 제어 대상 콘센트(51)로 인가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해당 콘센트(51)에 정해져 있는 허용 소비 전류의 크기 이하의 전류 소비만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f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consumed by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the power applied to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is automatically cut off accor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ler 30. Therefore, only current consumption tha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set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51 can be achieved.

따라서, 각 콘센트(51-53)에서의 과부하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이나 과도한 전류 소비를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isk of fire or excessive current consumption due to overload in each of the outlets 51 to 53 is prevented.

또한,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현재 총 소비 전력량(즉, 현재 총 소비 전기량)이 허용 총 소비 전력량(즉, 허용 총 소비 전기량)을 초과하면,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스위칭부(513)를 비동작 상태로 제어하여 해당 콘센트(51)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S117, S118). In addition, if the current total power consumption (ie, the current total consumption)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exceeds the allowable total power consumption (ie, the allowable total electricity consump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switches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outlet 51 by controlling the inactive state (S117, S118).

따라서, 제어 대상 콘센트(51)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나 상시 모드에 의해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더라도, 현재 소비 전기량뿐만 아니라 누적 소비 전기량(즉, 현재 총 소비 전력량)에 따라서도 제어 대상 콘센트(51)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target outlet 51 is a state in which power is currently supplied by the manual mode or the regular mode, the control object outlet ( Power supply to 51) can be controlled.

대안적인 예에서, 콘센트(51-53)는 전류 감지부(514-534)와 전압 감지부(515-535)를 생략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플러그 삽입 감지 여부와 동작 모드만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receptacles 51-53 may omit the current detectors 514-534 and voltage detectors 515-535, in which cas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lug is inserted and operates. The operation of each outlet 51 to 53 can be controlled using only the mode.

또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콘센트(51-53)는 전압 감지부(515-535)를 생략할 수 있고, 이런 경우, 동작 제어부(30)는 플러그 삽입 감지 여부, 동작 모드 및 허용 소비 전류량만을 이용하여 각 콘센트(5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alternative example, the outlets 51-53 may omit the voltage detectors 515-535, and in this cas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es only whether the plug is detected, the operation mode, and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Thus, the operation of each outlet 51 to 53 can be controlled.

또 다른 대안적인 예에서,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일 때는 현재 소비 전류와 총 소비 전력량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의 전원 공급 차단 제어를 실시하거나, 현재 소비 전류와 총 소비 전력량에 무관하게 해당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에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동안은 상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nother alternative exampl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s 51 to 53 is the constant mode, the power supply cut-off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outlet is performed using only one of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nd total power consumption, or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nd total power consumption.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ower, power can be supplied at all times while the plug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이러한 본 예의 콘센트 장치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outlet device of this examp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전기전자제품(100)을 사용하기 이전에 전기전자제품(100)이 해당 플러그(51-53)에 삽입된 상태로 감지된 경우 및 플러그 삽입 후 전기전자제품(410)이 사용중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누적 전력량이 사용자 입력부(10) 등의 동작에 의해 설정된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초과하면, 해당 콘센트(51-53)로 전달되는 전원이 자동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통신부(40)를 이용하여 사용자, 보호자 또는 관리자의 해당 단말[예, 사용자 단말(70)]로 현재 상태가 문자 등을 통해 통지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a case where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detect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ug 51-53 prior to using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and a case where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410 is in use after the plug is inserted , if the accumulated power exceeds the allowable total power consumption set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0, etc., the power deliver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is automatically cut off,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 if necessary. ), the current state may be notifie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70) of the user, guardian, or administrator through a text message or the like.

이를 위해, 해당 콘센트(51-53)의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외부로부터 수동 모드에 의해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즉,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온된 상태),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콘센트(51-53)의 스위칭부(513-533)를 구동시켜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lug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and a request for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made in a manual mode from the outside. When this is done (ie, the power supply switch is turned 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rives the switching unit 513-533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can do.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전류 감지부(514-534)와 전압 감지부(515-535)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부(51-53)에서 소비되는 현재의 누적 소비 전력량을 산출되고, 산출된 누적 소비 전력량이 설정값인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초과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스위칭부(513-533)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alculates the current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the corresponding outlet unit 51-53 using the current sensor 514-534 and the voltage sensor 515-535, and calculat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ccumulated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set value of the allowable total power consump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513-533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can block

또한, 동작 제어부(30)는 통신부(40)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리자 또는 보호자의 해당 단말(예, 70)로 문자 등을 전송하여 현재 상태, 즉 현재의 누적 소비 전력량이 허용 총 소비 전력량을 초과한 상태를 사용자, 관리자나 보호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es the communication unit 40 to transmit text messages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eg, 70) of the user, manager, or guardian, so that the current state, that is, the current accumulated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allowable total power consumption. The user, administrator or guardian can be notified of the status.

또한, 동작 제어부(30)는 현재 소비 전류(즉, 소비 부하)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51-53)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using current consumption (ie, consumption load).

예를 들어, 전기전자제품(100)이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및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삽입된 전기전자제품(100)의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현재 소비 전류량(즉, 현재 부하량)이 해당 콘센트(51-53)의 허용 소비 전류량을 초과하면 해당 콘센트(51053)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또는 보호자의 단말로 현재 상태가 문자 등으로 통지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case where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and a case where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511-531 is being used. , if the current consumption (i.e., current load)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053) is cut off and, if necessary, the terminal of the user, administrator or guardian The current state may be notified by text or the like.

이를 위해, 해당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나 상시 모드인 경우,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부(511-531)에 삽입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 제어부(30)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고,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콘센트(51-63)의 스위칭부(513-533)를 구동시켜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a manual mode or a normal mode, when the plug of the electric/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ion (511-531), the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512-531) 532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where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drives the switching units 513-533 of the corresponding outlets 51-63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outlets 51-63. 53) can be supplied with power.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전류 감지부(514-534)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51-53)에서 소비되는 현재 소비 전류량을 산출되고, 산출된 소비 전류량이 설정값인 허용 소비 전류량을 초과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스위칭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calculates the current consumption amount consumed in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using the current detection units 514-534, and the calculated current consumption exceeds the set value of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When determined to be in one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cut off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

또한, 동작 제어부(30)는 통신부(40)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리자 또는 보호자의 단말로 문자 등을 전송하여 현재 상태, 즉 현재의 소비 전류량이 허용 소비 전류량을 초과한 상태를 통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may use the communication unit 40 to transmit a text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user, manager, or guardian to notify the current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current consumption exceeds the allowable current consumption.

또한, 전기전자제품(100)이 플러그(51-53)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및 플러그(51-53)가 삽입되어 해당 전기전자제품(100)이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해당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로 정해지면, 해당 콘센트(51053)로의 전원 공급은 자동으로 차단되어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력이 강제로 단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 where the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plug 51-53 and the case where the plug 51-53 is inserted and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in use, the corresponding outlet ( When the operation mode of 51-53) is determined to be the power cut mod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053 is automatically cut off, so that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can be forcibly cut off.

이처럼, 단전 모드는 단전 모드로 정해진 해당 콘센트(51-53)의 전원을 무조건 강제 종료하는 모드로서, 단전 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As such, the power cut mode is a mode in which the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determined as the power cut mode is forcibly terminated unconditionally. have.

이를 위해,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에 삽입되면,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 제어부(30)로 해당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a plug of an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may detect this and transmit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

다음, 동작 제어부(3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칭부의 구동 전에 해당 콘센트부의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인지 판단하고, 해당 콘센트부가 단전 모드이면, 동작 제어부(30)는 스위칭부를 이용하여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해당 콘센트(51-53)에 대한 강제 단전을 실시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outlet unit is the power cut mode before driving the switching unit for supplying power, and if the corresponding outlet unit is in the power cut mode, the operation controller 30 uses the switch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outlet 51- Power supply to 53) may be cut off to force power cut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또한, 전기전자제품(100)이 콘센트(51-53)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및 콘센트(51-53)에 연결된 전기전자제품(100)이 사용 중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일 때, 해당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로 정해지면, 이미 기술한 것처럼 현재 소비 전류와 현재 총소비 전력량에 무관하게 해당 콘센트로의 전원을 상시 공급하여 전원이 오프(즉, 차단)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 wher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is connected to the outlet 51-53 and the case where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 100 connected to the outlet 51-53 is in use,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in use. If the operation mode of 53) is set to the constant mode, as described above,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outlet regardless of the current consumption current and the current total power consumption to prevent the power from being turned off (i.e., cut off).

하지만, 이러한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상시 모드인 경우에도, 긴급 상황이나 사용자에 의한 강제 종료 동작에 의해 해당 콘센트로의 전원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콘센트(51-53)마다 전원 공급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오프시켜 해당 콘센트(51-53)의 전원 공급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However, even in an always-on mode in which power is supplied at all times, power to a corresponding outlet may be cut off in an emergency or by a user's forced shutdown operation. At this time, a power supply switch may be provided for each outlet 51 to 53, and the user may forcibly terminat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 to 53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switch.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동작 제어부(30)로 강제 종료 명령을 입력하여, 동작 제어부(30)를 이용해 상시 모드로 정해진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즉, 동작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부나 사용자 단말(70)과 같은 외부로부터 해당 콘센트(51-53)에 대한 강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콘센트(51-53)가 상시 모드로 정해져 있더라도 해당 콘센트부로의 전원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puts a forced shutdown comman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using his/her user terminal, and uses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to forcibly terminate the supply of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 to 53 set to the regular mode. can do.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when a forced shutdown command for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input from an external source such as the user input unit or the user terminal 70, even i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set to the normal mode, the corresponding outlet It is possible to cut off the power to the unit.

이를 위해, 전기전자제품(100)의 플러그가 해당 콘센트(51-53)의 플러그 삽입부(511-531)에 삽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30)는 해당 콘센트(51-53)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콘센트(51-53)가 상시 모드이면, 동작 제어부(30)는 스위칭부(513-533)를 동작시켜 해당 콘센트(51-53) 로의 전원 공급을 유지하여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을 상시 공급할 수 있다.To this e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g of the electrical/electronic product 100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ion 511-531 of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the operation controller 30 operates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ode is always mode. When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is in the regular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30 operates the switching unit 513-533 to maintain the supply of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thereby supplying power to the corresponding outlet 51-53. can always be supplied.

이와 같이, 본 예에 따르면, 순간적인 소비 전기량뿐만 아니라 총 소비 전기량에 따라 해당 콘센트(51-53)로의 전원 공급이 제어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전기의 용량을 계획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기 사용이 방지되고 효율적인 전기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is example, since the power supply to the corresponding outlets 51-53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otal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as well as the instantaneous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the user can plan the amount of electricity to be used by the user, thereby, Unnecessary use of electricity can be prevented and efficient use of electricity can be achieved.

또한, 플러그 삽입 감지부(512-532)에 의해 플러그 삽입구(511-531)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는 콘센트(51-53)에는 동작 모드에 무관하게 전원 공급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콘센트(51-53)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의 소모가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outlets 51-53 in which plugs are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s 511-531 by the plug insertion detector 512-532 regardless of the operation mode, the outlets 51-53 ) Consumption of standby power consumed in is prevented.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and unless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 technical features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may be merged and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콘센트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out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10: 사용자 입력부 20: 저장부
30: 동작 제어부 40: 통신부
51-53: 콘센트 511-531: 플러그 삽입구
512-532: 플러그 삽입 감지 부 513-533: 스위칭부
514-534: 전류 감지부 515-535: 전압 감지부
301, 301a: 콘센트 100: 전기전자제품
L1: 전원 공급선
10: user input unit 20: storage unit
30: operation control unit 40: communication unit
51-53: outlet 511-531: plug inlet
512-532: plug insertion detection unit 513-533: switching unit
514-534: current sensing unit 515-535: voltage sensing unit
301, 301a: outlet 100: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L1: power supply line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어 있는 콘센트;
사용자 입력부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 및
상기 전원 공급선 및 상기 동작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수동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구비된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온 상태의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상기 스위칭부의 비동작 상태를 동작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를 활성 상태로 만들고,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면 상기 오프 상태의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가 오프 상태로 되어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를 비활성 상태로 만들며,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인 경우,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의 코일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전원 공급 스위치의 오프 동작과 무관하게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를 활성 상태로 만들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상기 수동 모드와 상시 모드가 아닌 단전 모드인 경우,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의 동작 상태를 오프시켜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를 비활성 상태로 만들며,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스위칭부의 동작을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 차단을 실시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상시 모드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콘센트의 동작 모드가 단전 모드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비연결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전원 공급선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전기적으로 차단해 상기 전원 공급선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의 전원을 차단을 실시하며,
상기 수동 모드는 사용자의 선택 동작에 따라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고, 상시 모드는 사용자의 동작에 무관하게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로의 전원 공급이 항상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드이며, 상기 단전 모드는 상기 해당하는 스위칭부에 연결된 콘센트로의 전기 공급을 단전시키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장치.
An outle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a user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connec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receiving an operation mode of an outlet set by a user;
the outlet
A plug insertion hole into which a plug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is inserted; and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plug insertion ho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storage unit for determining and storing an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us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outlet is the manual mode, when the power supply switch provided in the user input unit is in an on state, the inactive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s changed to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on state signal, so that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Makes an outlet connected to the active state, and when the power supply switch is of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urns off according to the off-state signal and makes the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nactive,
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outlet is a constant mode, a driving signal is output to a coil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to activate an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regardless of an off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witch,
When the operating mode of the outlet is a power cut mode other than the manual mode and the regular mod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to make the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inactive;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plug insertion detecting unit that the plug is not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to electr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so that the plug is remov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Cut off the power to the insertion port,
When a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is a regular mode, the switching unit is opera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so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ine is inserted into the plug. to be passed on to the sphere,
When a plug is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hol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outlet is a power cut mode, the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in a non-connected state to electrically cut off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lug insertion hole so that the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plug insertion hole. cut off the power of
The manual mode is a mode in which it is possible to select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to an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in the regular mode, power is supplied to the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regardless of the user's operation. The outl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ower supply mode is a mode in which electricity is always supplied, and the power cut mode is a mode in which power is cut off to an outlet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삭제delete
KR1020200048901A 2019-11-01 2020-04-22 Concent apparatus KR1024766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959 2019-11-01
KR20190138959 201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45A KR20210053145A (en) 2021-05-11
KR102476696B1 true KR102476696B1 (en) 2022-12-14

Family

ID=759149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901A KR102476696B1 (en) 2019-11-01 2020-04-22 Concent apparatus
KR1020200048906A KR102502019B1 (en) 2019-11-01 2020-04-22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istribut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906A KR102502019B1 (en) 2019-11-01 2020-04-22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istribu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6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153B1 (en) * 2022-02-11 2023-01-04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Integration control system for apartment house electricity
KR102655649B1 (en) * 2023-04-24 2024-04-08 주식회사 병오씨엠엔지니어링 Electricity cable protec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using Io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870A (en) 2011-08-30 2013-03-14 General Electric Co <Ge> Programmable power management system
JP2016220531A (en) 2012-02-10 2016-12-22 サーバー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power distribution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530A (en) * 2009-07-22 2011-01-28 (주)참소리전자통신 Power saving type multi outlet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to detect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99505B1 (en) * 2010-03-26 2011-12-27 제천시 Consent apparatus available for power control
KR101183617B1 (en) 2012-02-02 2012-09-18 주식회사 위너스 Multi-tap concent for cutting off standby-power and leakage current
KR101807766B1 (en) * 2015-09-30 2017-12-14 주식회사 네트워크코리아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ying of concent and mehtod for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870A (en) 2011-08-30 2013-03-14 General Electric Co <Ge> Programmable power management system
JP2016220531A (en) 2012-02-10 2016-12-22 サーバー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power distribu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019B1 (en) 2023-02-22
KR20210053145A (en) 2021-05-11
KR20210053146A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047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Electric Power Using the Smart Consent
EP23565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ower
US6744150B2 (en) Outlet strip controlled by PC using low voltage powertap
EP1769316B1 (en) Power saver controller
KR102476696B1 (en) Concent apparatus
US20100283329A1 (en) Green consent
KR101871878B1 (en) System for monitoring automatically setting and blocking of standby current of concent by usb plug insertion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KR20130125184A (en) Smart grid support intelligent power-saving receptacle
KR20150137429A (en) Multiconc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70409A (en) Standby pow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09790B1 (en) The socket outlet having a stand by power choice
KR20110111050A (en) Individual management system of standby power
KR1018018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Standby Power
JP2006149075A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receptacle
KR101763903B1 (en) Automatic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with automatic setup of standby power
KR20080112781A (en) Time set up possible green receptacle
KR20140126934A (en) Intelligent outlet for power sa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99354A (en) Multi-tap device with cutting off standby power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273708B1 (en) Intelligent outlet for power sav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200192B1 (en) Multi-tap including sleep mode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multi-tap
FI128767B (en) An electrical socket system and a method for an electrical socket system
KR20180003964A (en) A smart power outlet
KR101856418B1 (en) Standby power saving system
KR101022586B1 (en) Multi-tab with apparatus for cutting standby power and
KR20180024446A (en) Power consumption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multi-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