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601B1 -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 Google Patents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601B1
KR102475601B1 KR1020190022316A KR20190022316A KR102475601B1 KR 102475601 B1 KR102475601 B1 KR 102475601B1 KR 1020190022316 A KR1020190022316 A KR 1020190022316A KR 20190022316 A KR20190022316 A KR 20190022316A KR 102475601 B1 KR102475601 B1 KR 10247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ming mode
cultivation space
plant
light source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7874A (en
Inventor
최선묵
권오용
최승훈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0305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54237B1/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601B1/en
Publication of KR20200027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조명 환경을 자연광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조명 디밍 제어)시키고, 식물의 품종을 반영하여 변화(조명 조도 제어)시키고, 식물의 재배 공간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변화(조명 조닝 제어)시키고, 식물의 성장 과정을 반영하여 변화(조명 성장 제어)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과 식물 재배기가 제공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식물의 생육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이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environment is changed by reflecting the change of natural light over time (light dimming control), the plant variety is changed (light intensity control), and the plant cultivation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to change (lighting dimming control) Light zoning control) and a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cultivator capable of reflecting and changing a plant growth process (light growth control) and a plant cultivator are provided.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ant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growth process of a plant through a user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grower using IoT, smart plant grower and smart plant grow system

본 발명은 IoT를 이용한 스마트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스마트 식물 재배기 및 스마트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source module for a smart plant grower using IoT, a smart plant grower, and a smart plant grow system.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가 상호 소통되도록 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각종 사물에는 센서와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한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들이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서 사물들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ternet of Things (IoT) represents a technology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people and objects and between objects based on the Internet. Sensors and communication modules are embedded in various objects to connect to the Internet. The Internet of Things (IoT) allows obje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alyze and learn by themselves, and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or allow users to remotely monitor and control objects through the Internet.

이 같은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스마트 홈 구축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다. 스마트 홈은 TV, 에어컨,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을 비롯하여 수도, 전기, 조명, 냉난방 등의 에너지 소비 장치와, 도어락, CCTV 등의 보안 장치 등 집 안의 모든 장치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나타낸다.As the IoT technology develops, smart home construction is becoming a reality. In a smart home, all devices in the house, including home appliances such as TVs, air conditioners, and refrigerators, energy consumption devices such as water, electricity, lighting,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nd security devices such as door locks and CCTV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so that users can remotely monitor them. and technology that enables control.

식물 재배기(Plant cultivation device)는 재배 공간의 환경을 인공적으로 제어하여, 씨드나 모종을 성숙한 식물로 생장시키는 기기이다. 일 예로, 식물 재배기는 광원 모듈의 전자 제어를 통해 인공적으로 조명 환경을 조성하고, 배양액 모듈의 전자 제어를 통해 인공적으로 수분 환경과 영양분 환경을 조성하고, 공기조화 모듈의 제어를 통해 인공적으로 기류 환경과 온열 환경을 조성한다.A plant cultivation device is a device for growing seeds or seedlings into mature plants by artificially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a cultivation space. For example, a plant grower artificially creates a lighting environment through electronic control of a light source module, artificially creates a moisture environment and a nutrient environment through electronic control of a culture solution module, and artificially creates an airflow environment through control of an air conditioning module. and create a warm environment.

한편, 최근 시장에서는, 웰빙 라이프와 고품질의 식재료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추어, 가전 제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nt market, a plant grower that can be used as a home appliance is being release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a well-being life and high-quality food ingredients.

그러나 일반적인 가정용 식물 재배기는 식물의 품종을 반영하여 재배 환경을 설정할 수 없고, 광원 모듈의 조닝 제어가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식물의 생육 과정을 직관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기록(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general household plant growers cannot se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plant variety, cannot control the zoning of the light source module, and provide a means for users to intuitively monitor and record (database)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I have a problem that I ca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5783호, 2017.11.15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5783, published on November 15, 2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명 환경을 자연광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변화(조명 디밍 제어)시키고, 식물의 품종을 반영하여 변화(조명 조도 제어)시키고, 식물의 재배 공간을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변화(조명 조닝 제어)시키고, 식물의 성장 과정을 반영하여 변화(조명 성장 제어)시킬 수 있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과 식물 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light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change over time of natural light (light dimming control), to reflect the variety of plants (light intensity control), and to change the plant cultivation space into a plurality of zones. It is to provide a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cultivator and a plant cultivator that can be partitioned into and changed (light zoning control) and changed by reflecting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light growth control).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식물의 생육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through a user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은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식물 재배기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로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될 수 있다.A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light source module used in a plant cultivator having a cultivation space,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wherein a first dimming mode, a second dimming mode, a third dimming mode, and a fourth dimming mode are configured. The sequential changes are controlled to be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illumination in the second dimming mode decreases.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상기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상기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A time required for the first dimming mode may be shorter than a time required for the third dimming mode.

삭제delete

상기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30분 이상 2시간 이하이고,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1시간 이상 5시간 이하이고,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 모듈은 오프(Off)될 수 있다.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dimming mode is 30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2 hours,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s maintained constant in the second dimming mod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third dimming mode is 1 hour or more and 5 hours or less, ,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은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재배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캡슐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재배 공간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로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되,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캡슐이 배치된 활성 상태와, 상기 캡슐이 배치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를 가진 상태 센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램프는 복수의 램프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상기 복수의 램프 그룹은 상기 상태 센싱 정보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활성 상태를 가지는 상기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램프 그룹은,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생성되는 식물의 성장 정보에 따라, 복수의 구성 램프들 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램프를 온오프할 수 있다.A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grow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a cultiva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are formed, and senses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provides sensing information. A light source module used in a plant cultivator including a sensor module for generating a sensor module and a camera module for generating a photographed image by photographing the cultivation space,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the plurality of lamps. and state sensing information having an activ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capsule is disposed and an inactive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not disposed for each capsule disposition point, the plurality of lamp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and the plurality of lamp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The lamp group of is independen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sensing information, but the lamp group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placement point having an active state is amo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lamps according to plant growth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A lamp placed on the edge can be turned on and off.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의 품종에 대한 품종 센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품종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값이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의 적정 조도의 평균값이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variety sensing information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adjust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cultivation space to an average value of appropriate il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ccording to the variety sensing information. can be controlled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식물 재배기는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케이스;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될 수 있다.A plant cultiv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ase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exists; a tray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o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a light source module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includes: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wherein a first dimming mode, a second dimming mode, a third dimming mode, and a fourth dimming mode are configured. The sequential changes are controlled to be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illumination in the second dimming mode decreases.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may be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복수의 캡슐; 상기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식물 재배기; 상기 식물 재배기와 통신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재배기는,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케이스;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상기 복수의 캡슐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모듈;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식물 재배기의 센싱 정보에 따라 재배 정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Plant cultiv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lurality of capsules; a plant cultiva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and a user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plant cultivator, wherein the plant cultivator includes: a case in which a cultivation space exists; a tray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o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a sensor module that senses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a light source module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wherein the light source module includes: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wherein a first dimming mode, a second dimming mode, a third dimming mode, and a fourth dimming mode are configured. The sequential changes are controlled to be repeated at regular intervals,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illumination in the second dimming mode decreases.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s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and the user device generates a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according to sensing information of the plant grower. can be displayed.

본 발명에서는 광원 모듈이 자연광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제어되고, 식물의 품종(캡슐의 씨드의 품종)에 따라 재배 공간의 조도를 설정하도록 제어되고, 복수의 램프를 캡슐의 배치 지점에 따라 그룹핑하여 제어되고, 식물의 성장 과정을 반영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디밍, 조도, 조닝 및 성장 제어가 가능한 광원 모듈과 식물 재배기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module is controlled to reflect the change of natural light over time, and is controlled to set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according to the plant variety (capsule seed variety), and a plurality of lamps are set according to the capsule placement point. It is controlled by grouping, and can be controlled by reflecting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source module and a plant grower capable of controlling dimming, illumination, zoning, and growth.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식물의 생육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을 제공한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the growth process of plants through a user device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캡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캡슐의 커버가 개봉되기 전의 상태(도 3의 (1)와, 본 발명의 캡슐의 커버가 개봉된 후의 상태(도 3의 (2))와, 본 발명의 커버에서 인식부가 배치되는 부분(도 3의 (3))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캡슐이 트레이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상판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원 모듈의 조닝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자연광의 조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광원 모듈의 디밍 제어에 따라 재배 공간의 조도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눈부심 발생 조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복수의 램프를 그룹핑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모듈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리필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배양액 모듈과 공기조화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배양액 모듈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모듈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재배 정보 이미지(앱 리스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lant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state before the cover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3 (1) and the state after the cover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3 (2)), and the state recognized by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which shows the part ((3) of FIG. 3) in which a part is arrange|position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ant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plant gr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tray.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op plate removed.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zoning control of the light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that the illuminance of natural light changes with time.
10 is a graph illustrating changes in illuminance of a cultivation space according to dimming control of a light source module.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glare generating conditions.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plurality of lamps are grouped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in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13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ill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lture solution module and an air conditio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culture solu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app list) provided by a us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that is shown in a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캡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캡슐의 커버가 개봉되기 전의 상태(도 3의 (1)와, 본 발명의 캡슐의 커버가 개봉된 후의 상태(도 3의 (2))와, 본 발명의 커버에서 인식부가 배치되는 부분(도 3의 (3))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캡슐이 트레이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를 상판을 제거하고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광원 모듈의 조닝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자연광의 조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광원 모듈의 디밍 제어에 따라 재배 공간의 조도가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눈부심 발생 조건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2는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복수의 램프를 그룹핑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광원 모듈의 성장 제어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리필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배양액 모듈과 공기조화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배양액 모듈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모듈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재배 정보 이미지(앱 리스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Hereinafter,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lant cultiv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tate before the cover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1 in FIG. 3 and th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over of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3(2)) and a part of the cover in which the identification unit is disposed (Fig. 3(3)),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the plant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aps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tray,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zoning control of the light sourc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natural light over time, and FIG. 10 is a dimming control of the light source module.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independent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lamps by grouping under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and FIG. 13 is a light source It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growth control of the module,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fill 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lture solution module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ulture solu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ystem diagram showing the air condition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app list) provided from the us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1000)은 캡슐(100), 식물 재배기(200), 사용자 기기(300) 및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재배 시스템(1000)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Internet of Things, IoT)이 적용되어, 캡슐(100)의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식물의 재배 환경을 자동적으로 전자 제어할 수 있는 식물 재배기(200)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00)를 통해, 식물의 재배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재배 기록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사용자 기기(300)에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300)를 통해 식물 재배기(20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식물의 재배 환경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할 수도 있다.The plant cultivation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psule 100 , a plant cultivation device 200 , a user device 300 and a server 400 . In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s appli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capsule 100, a plant cultivation machine capable of automatically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plants ( 200) is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 can monitor the plant cultivation process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device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cultivation record can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stored in the user device 300. Furthermore,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the plant cultivator 200 through the user device 300 to customize the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캡슐(100)은 씨드(150, Seed)가 패키징(Packaging)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씨드(150)는 그 자체의 의미인 씨드뿐만 아니라, 씨드가 발아한 모종(Nursery plants)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캡슐(100)의 종류는 씨드의 품종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장(Market place)에서 자신의 기호에 맞게 캡슐(100)의 품종을 취사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The capsule 100 may be a component in which a seed 150 (Seed) is packaged. In this case, the seed 150 may be a concept including not only the seed itself, but also nursery plants from which the seed germinates. The type of capsule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eed. The user can select and purchase varieties of the capsule 100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in a market place.

캡슐(100)은 식물 재배기(200)의 트레이(220)에 배치될 수 있다. 캡슐(100)의 씨드나 모종은 식물 재배기(200)의 재배 공간(s1)에서 배양되어 성숙될 수 있다.The capsule 100 may be placed on the tray 220 of the plant grower 200. Seeds or seedlings of the capsule 100 may be cultured and matured in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plant cultivator 200 .

캡슐(100)의 품종은 식물 재배기(200)의 센서 모듈(270)에 의해 센싱(무선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인식 방법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The variety of the capsule 100 can be sensed (wireless recognition) by the sensor module 270 of the plant growing machine 200 . 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methods may be used as th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일 예로, 캡슐(100)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에 의해 무선 인식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캡슐(100)의 무선 인식 방식에는 바-코드(Bar code),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sule 100 may be wirelessly recognized by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ethods such as bar code, QR-code (Quick response cod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f the capsule 100. can

상술한 바에 따르면, 캡슐(100)의 품종은 센서 모듈(270)에 의해 식별(IDentification)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 모듈(270)은 "품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ype of capsule 100 may be identified by the sensor module 270, and accordingly, the sensor module 270 may generate “type information”.

캡슐(100)은 커버(110), 인식부(120), 프레임(130), 수용부(140) 및 씨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psule 100 may include a cover 110 , a recognition unit 120 , a frame 130 , an accommodation unit 140 and a seed 150 .

커버(110)는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10)는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1)의 개방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The cover 110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frame 131 of the frame 130 . The cover 110 may cover an open portion of the upper frame 131 of the frame 130 .

커버(110)는 제1커버(111) 및 제2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11)는 씨드 캡(100)을 개봉하였을 때 보존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커버(111)는 대략적으로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1)을 따라서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110 may include a first cover 111 and a second cover 112 . The first cover 111 may be a part that is preserved when the seed cap 100 is opened. The first cover 111 may be disposed substantially in a ring shape along the upper frame 131 of the frame 130 .

제1커버(111)는 본체(111-1)와 제1커버(111)의 본체(111-1)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추가 영역(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111)의 본체(111-1)는 상부 프레임(131)의 본체(13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커버(111)의 추가 영역(111-2)은 상부 프레임(131)의 지지부(131-2)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111 may include a main body 111-1 and an additional area 111-2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main body 111-1 of the first cover 111. The main body 111-1 of the first cover 11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31-1 of the upper frame 131, and the additional area 111-2 of the first cover 11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31-2 of the frame 131.

제2커버(112)는 캡슐(100)을 개봉하였을 때 제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커버(112)를 제거하기 위해, 제2커버(112)와 제1커버(111)의 경계선에는 이지 컷(Easy-cut)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cover 112 may be a part that is removed when the capsule 100 is opened. In order to remove the second cover 112, an easy-cut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econd cover 112 and the first cover 111.

제2커버(112)는 대략적으로 프레임(130)의 상부 프레임(131)의 개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커버(112)는 원 형태의 본체(112-1)와, 제2커버(112)의 본체(11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커버(111)와 오버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커버(111)의 본체(111-1)뿐만 아니라, 제1커버(111)의 추가 영역(111-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를 파지한 후,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를 당겨 제2커버(112)를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를 파지하기 쉽도록,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는 제1커버(111)와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즉, 제2커버(112)의 돌출부(112-2)의 하면은 제1커버(111)의 상면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112 may be approximately positioned at an open portion of the upper frame 131 of the frame 130 . The second cover 112 may include a circular body 112-1 and a protrusion 112-2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112-1 of the second cover 112.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12 - 2 of the second cover 112 may overlap the first cover 111 . In this case, at least a part of the protrus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is not only the main body 111-1 of the first cover 111, but also the additional area 111-2 of the first cover 111. and may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Meanwhile, the user may remove the second cover 112 by pulling the protrus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after gripping the protrus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The protruding port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may exist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first cover 111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protruding port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2 of the second cover 112 may exist separate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111.

인식부(120)는 식물 재배기(200)의 센서 모듈(270)에 의해 인식되는 부분일 수 있다. 캡슐(100)의 인식 방식으로 RFID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인식부(120)는 "태그(Tag)"일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a part recognized by the sensor module 270 of the plant cultivator 200 . When the RFID method is used as the recognition method of the capsule 100,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a “tag”.

이 경우, 인식부(120)는 캡슐(100)의 "품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과, 센서 모듈(270)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유닛"과, "IC 칩"과 "무선 통신 유닛"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으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120 is an "IC (Integrated circuit) chip" in which the "breed information" of the capsule 100 is store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module 27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n which an "IC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mounte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ay be used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외에도, 캡슐(100)의 인식 방식에는 다양한 센싱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캡슐(100)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자기장을 홀 센서(Hall-sensor)에 의해 인식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 경우, 캡슐(100)의 인식부(120)는 고유의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sensing methods may be used for recognizing the capsule 100 .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uniqu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apsule 100 by a Hall-sensor.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unit 120 of the capsule 100 may be a magnetic material that generates a unique magnetic field.

인식부(120)는 커버(110)의 제1커버(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식부(120)는 커버(110)의 제1커버(111)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슐(100)을 개봉한 경우, 인식부(120)는 보존되어 식물 재배기(200)의 센서 모듈(27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cover 111 of the cover 110 . That is,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covered by the first cover 111 of the cover 110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user opens the capsule 100, the recognition unit 120 can be preserved and sensed by the sensor module 270 of the plant growing machine 200.

인식부(120)는 제1커버(111)의 본체(111-1)와 제1커버(111)의 추가 영역(111-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식부(120)는 제2커버(112)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식부(120)에서 제1커버(111)의 본체(111-1)에 배치되는 부분은 제1커버(111)의 본체(111-1)에서 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111 - 1 of the first cover 111 and the additional area 111 - 2 of the first cover 111 . Also,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ver 112 . That is, the part disposed on the body 111-1 of the first cover 111 in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radially inside the body 111-1 of the first cover 111.

한편, 인식부(12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변형례(미도시)에서는 인식부(120)가 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부(120)는 프레임(130)의 가이드(1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in various positions. For example, in a modified example (not show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on the frame 130 .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134 of the frame 130 .

프레임(130)은 캡슐(110)의 골격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 프레임(130)의 재질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수용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30)의 상부에는 커버(11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rame 130 may be a member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capsule 110 . The material of the frame 130 may include synthetic resin. Frame 130 may be fabricat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An accommodation part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130 . A cover 110 may be disposed above the frame 130 .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31), 측부 프레임(132) 및 하부 프레임(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31) 및 하부 프레임(133)은 링 형태일 수 있고, 상호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31)은 링 형태의 본체(131-1)와 링 형태의 본체(131-1)에서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32-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32)은 상부 프레임(131)과 하부 프레임(133)을 연결할 수 있다. 측부 프레임(132)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측부 프레임(132-1), 제2측부 프레임(132-2) 및 제3측부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30 may include an upper frame 131 , a side frame 132 and a lower frame 133 . The upper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may have a ring shap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frame 131 may include a ring-shaped body 131-1 and a support portion 132-1 protruding radially inward from the ring-shaped body 131-1. The side frame 132 may connect the upper frame 131 and the lower frame 133 . The side frame 132 may include a first side frame 132-1, a second side frame 132-2, and a third side frame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프레임(130)은 상부 프레임(131)에 형성된 1개의 상측 개방 부분과, 하부 프레임(133)에 형성된 1개의 하측 개방 부분과, 제1 내지 제3측부 프레임(132-1, 132-2, 미도시)의 사이에 형성된 3개의 측방 개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부(140)는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프레임(130)의 개방 부분에 의해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다.The frame 130 includes one upper ope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frame 131, one lower open portion formed on the lower frame 133, and the first to third side frames 132-1 and 132-2, not shown. It may have three lateral open portions formed between the si). Accordingly, the accommodating portion 140 disposed inside the frame 130 can smoothly absorb external air and moistur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frame 130 .

프레임(130)에는 식물 재배기(20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가이드 수용부(221-4)에 수용되는 가이드(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130)의 가이드(134)는 상부 프레임(131)의 하면과 측부 프레임(13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130)의 가이드(134)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프레임(130)의 가이드(134)는 상호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측부 프레임(132-1), 제2측부 프레임(132-2) 및 제3측부 프레임(미도시) 중 적어도 2개에 1개씩 배치될 수 있다.A guide 134 accommodated in the guide accommodating portion 221-4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of the plant grower 200 may be formed on the frame 130. In this case, the guide 134 of the frame 13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frame 132 . Furthermor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guides 134 of the frame 130, and the guides 134 of the plurality of frames 130 ar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orm a first side frame 132-1 and a second side frame. (132-2) and the third side frame (not shown) may be disposed one by one at least two.

수용부(140)는 자연 상태에서의 토양과 같이, 씨드(150)를 수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수용부(140)의 재질은 통기성 재질 및 수분 흡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부(140)의 재질은 다공성의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be a part accommodating the seed 150, like soil in a natural state. The material of the accommodating part 140 may include a breathable material and a moisture absorbing material.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40 may include a porous spong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식물 재배기(200)는 전자 제어에 의해 식물의 재배 환경을 설정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기기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하여, 재배되는 식물의 품종에 따라 적정한 재배 환경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조명 제어가 가능한 식물 재배기(200)를 제공한다.The plant cultivator 200 may be a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by setting a plant cultivating environment by electronic control.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or 200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n appropriate cultiv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variety of a plant to be cultivated and controlling various lighting by applying IoT technology.

식물 재배기(200)는 케이스(210), 트레이(220), 광원 모듈(230), 카메라 모듈(240), 배양액 모듈(250), 공기조화 모듈(260), 센서 모듈(270), 센서 유닛(280) 및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식물 재배기(200)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설계적 요청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The plant grower 200 includes a case 210, a tray 220, a light source module 230, a camera module 240, a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n air conditioning module 260, a sensor module 270, a sensor unit ( 280) and a control module (not shown).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plant cultivator 200 may be omitted due to various design requests.

케이스(210)는 식물 재배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식물이 재배되는 재배 공간(s1)과, 상기 재배 공간(s1)의 하측에 위치하는 추가 공간(s2)과, 상기 재배 공간(s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공간(s3)과, 상기 재배 공간(s1)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210 may be a component forming the exterior of the plant cultivator 200 . Inside the case 210, a cultivation space s1 in which plants are grown, an additional space s2 located below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a first space located above the cultivation space s1 (s3) and a second space (s4) located behind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formed.

재배 공간(s1)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물 재배기(200)에 적층된 2개의 재배 공간(s1)이 존재할 수 있다.A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may ex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wo stacked cultivation spaces s1 may exist in the plant cultivator 200 .

재배 공간(s1)이 복수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재배 공간(s1)마다 트레이(220)와 광원 모듈(230)과 카메라 모듈(24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트레이(220), 광원 모듈(230) 및 카메라 모듈(240)은 재배 공간(s1)과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exist, the tray 220,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nd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osed in each cultivation space s1. That is, the tray 220,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nd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cultivation space s1.

케이스(210)의 재배 공간(s1)에는 트레이(220), 광원 모듈(230) 및 카메라 모듈(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210)의 재배 공간(s1)의 바닥면(하측 부분)에는 트레이(220)가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210)의 재배 공간(s1)의 천정면(상측 부분)에는 광원 모듈(230) 및 카메라 모듈(240)이 배치될 수 있다(도 5의 (1) 참조).The tray 220,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nd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case 210. In this case, the tray 22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lower part) of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case 210, and the light source on the ceiling surfac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case 210. The module 230 and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osed (see (1) in FIG. 5).

한편, 추가 공간(s2)은 단순한 수납 공간이거나, 재배된 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이거나, 복수의 캡슐(100)이 저장되고 배양되어 복수의 캡슐(100)의 씨드(150)가 발아하는 공간일 수 있다. 추가 공간(s2)이 재배된 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경우, 추가 공간(s2)의 온도는 자동 제어 또는 커스터마이징 제어될 수 있고, 별도의 온도 제어 모듈이 추가되거나 공기조화 모듈(260)을 통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추가 공간(s2)이 복수의 캡슐(100)의 씨드(150)가 발아하는 공간인 경우 추가 공간(s2)의 온도 및 조도는 자동 제어 또는 커스터마이징 제어될 수 있고, 별도의 온도 제어 모듈이 추가되거나 공기조화 모듈(260)을 통해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광원 모듈이 추가될 수 있다.Meanwhile, the additional space s2 may be a simple storage space, a space for storing cultivated plants, or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100 are stored and cultured so that seeds 150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germinate. have. When the additional space s2 is a space for storing cultivated plants, the temperature of the additional space s2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or customized, and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 module may be added or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can control. In addition, when the additional space (s2) is a space where the seeds 150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germinate, the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of the additional space (s2) can be controlled automatically or customized, and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 module is used. The temperature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or a separate light source module may be added.

한편, 제1공간(s3)과 제2공간(s4)은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공간(s3)과 제2공간(s4)에는 배양액 모듈(250)이 위치할 수 있고, 제2공간(s4)에는 공기조화 모듈(260)이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pace (s3) and the second space (s4) may be interconnected,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s3) and the second space (s4), the second space (s3)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be located in the space s4.

케이스(210)는 본체(211)와 도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의 본체(211)는 대략적으로 전방 부분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중공 부분에는 재배 공간(s1)과 추가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상부에는 제1공간(s3)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후방에는 제2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The case 210 may include a body 211 and a door 212 .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may have a substantially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an open front portion. A cultivation space s1 and an additional space s2 may b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and a first space s3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A second space s4 may be formed behind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

케이스(210)의 본체(211)는 트레이(220)와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내측면에는 레일(21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may be slidably engaged with the tray 220 . To this end, a rail 211-1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전방의 개방 부분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210)의 본체(211)와 도어(212)의 접촉 부분에는 씰링 부재(일 예로, 가스켓)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재배 공간(s1)의 기밀성이 유지되어(외부로부터 격리), 외부로부터 독립된 식물의 재배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The front open portion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 Meanwhile, a sealing member (eg, a gasket) may be disposed at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body 211 of the case 210 and the door 212 . As a result, the airtightness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s maintained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a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independent from the outside can be provided.

케이스(210)의 도어(212)에는 윈도우(212-1)가 배치되어, 사용자는 재배 공간(s1)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재배 공간(s1)의 조도는 식물의 재배 환경에 맞추어 높게 설정되므로, 사용자의 눈부심이나 안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윈도우(212-1)에 광 확산 코팅, 광 흡수 코팅 및 광 반사 코팅 등이 배치될 수 있다.A window 212-1 is disposed on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cultivation space s1. Meanwhile, sinc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s set high according to the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the window 212-1 is coated with a light diffusing coating, a light absorbing coating, and a light reflecting coating in order to prevent glare or eye damage to the user. etc. can be placed.

트레이(220)는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재배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220)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트레이(220)의 개수는 재배 공간(s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트레이(220)와 복수의 재배 공간(s1)은 일대일로 대응되어, 1개의 재배 공간(s1)에 1개의 트레이(2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tray 220 may be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 A plurality of trays 220 may exist. The number of trays 22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cultivation spaces s1. That is, the plurality of trays 220 and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correspond to each other on a one-to-one basis, so that one tray 220 may be disposed in one cultivation space s1.

트레이(220)는 케이스(210)의 본체(211)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220)는 케이스(210)의 본체(211)의 레일(2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트레이(220)를 케이스(210)로부터 분리하여, 트레이(220)를 세척하거나 보수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유지 보수 및 관리의 용이).The tray 2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in a sliding manner. In this case, the tray 220 may slide along the rail 211 - 1 of the main body 211 of the case 210 . Meanwhile, the user can separate the tray 220 from the case 210 to clean, repair, or replace the tray 220 (easy maintenance and management).

트레이(220)는 상판(221), 하판(222), 측판(223), 손잡이(224), 복수의 이랑부(225), 복수의 고랑부(226) 및 배양액 분사 유닛(227)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20)의 상판(221)은 트레이(220)의 하판(222)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트레이(220)의 측판(223)은 트레이(220)의 상판(221)과 트레이(220)의 하판(222)을 연결할 수 있다.The tray 220 may include an upper plate 221, a lower plate 222, a side plate 223, a handle 224, a plurality of ridges 225, a plurality of ridges 226, and a culture solution spraying unit 227. can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22 of the tray 220, and the side plate 223 of the tray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and the tray. The lower plate 222 of 220 can be connected.

트레이(220)의 상판(221)과 트레이(220)의 하판(222)과 트레이(220)의 측판(223)에 의해, 트레이(220)의 내부에는 중공의 배양액 챔버(c)가 형성될 수 있다.A hollow medium chamber c may be formed inside the tray 220 by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the lower plate 222 of the tray 220, and the side plate 223 of the tray 220. have.

트레이(220)의 상판(221)에는 복수의 캡슐(100)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은 트레이(220)의 상판(221)을 관통하는 홀과 그 주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where a plurality of capsules 100 are dispos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may be defined as a hole penetrating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and an area around the hole.

그 결과, 복수의 캡슐(100)은 트레이(220)의 내부(배양액 챔버)로 노출되도록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에 배치되어,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에서 배양액을 흡수할 수 있다. 트레이(22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은 트레이(220)의 상판 상에서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도 8 참조, 매트릭스 배열).As a result,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re disposed at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tray 220 (culture medium chamber), and the culture medium is stored in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20. can absorb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of the tray 220 may be arranged alo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columns on the upper plate of the tray 220 (see FIG. 8, matrix arrangement).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은 홀(221-2)과, 홀(221-2)에서 아래로 단차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3)와, 지지부(221-3)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수용부(221-4)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includes a hole 221-2, a support part 221-3 protruding inward while forming a step downward from the hole 221-2, and a support part 221-3 ) It may include a guide receiving portion 221-4 formed in.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홀(221-2)에는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이 삽입될 수 있고,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지지부(221-3)는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의 상부 프레임(131)을 지지하여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을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가이드 수용부(221-4)에는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의 가이드(134)가 수용되어 삽입되는 캡슐(100)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가이드 수용부(221-4)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의 복수 개의 가이드(134)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복수의 가이드 수용부(221-4)의 개수는 복수 개의 캡슐(100) 각각의 복수 개의 가이드(134)의 개수와 같으며, 상호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21-2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nd the support portion 221-3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may fix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by supporting the upper frame 131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Furthermore, the guide 13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accommodating part 221 - 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 - 1 to guide the inserted capsule 100 . A plurality of guide accommodating parts 221 - 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 - 1 may exist, and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guides 13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on a one-to-one basis. That i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guide receiving portions 221-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is equal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guides 134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mutual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은 복수의 캡슐(10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있는 "활성 상태"와 복수의 캡슐(10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캡슐(100)을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임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에 배치시킬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에서 복수의 캡슐(10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 캡슐 배치 지점은 "활성 상태"를 가지며,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에서 복수의 캡슐(10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지 않은 캡슐 배치 지점은 "비활성 상태"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may have an “activ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disposed and an “inactive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not disposed. have. That is, the user can place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t an arbitrary capsule placement point 221-1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 the capsule disposition point wher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disposed has an “active state”,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not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A deployment point can have an "inactive state".

한편,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에는 하나의 캡슐(100)만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활성 상태에 있는 캡슐 배치 지점은 복수의 캡슐(100)과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Meanwhile, only one capsule 100 may be dispos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That is,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 capsule placement point in an active state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on a one-to-one basis.

또한, 트레이(220)의 상판(221)은 광원 모듈(230)과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그 결과, 트레이(22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도 광원 모듈(230)과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220)의 상판(221)의 하면에는 복수의 캡슐(100)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모듈(270)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plate 221 of the tray 2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of the tray 220 It may also be disposed to fac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 sensor module 270 for sensing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

트레이(220)의 측판(223)에는 배양액 모듈(240)로부터 배양액을 공급받기 위한 유입 채널(223-1)이 형성될 수 있고, 트레이(220)의 하판(222) 또는 측판(223)에는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223-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 패널(223-2)에는 배양액 챔버(c)에서 배출되는 배양액에서 이물질(식물의 뿌리 잔가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는 메쉬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에서는 배양액의 적어도 일부가 순환하므로, 순환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유로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n inlet channel 223-1 for receiving the culture solution from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40 may be formed on the side plate 223 of the tray 220, and the culture solu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plate 222 or side plate 223 of the tray 220. A discharge channel 223-2 for discharging the culture medium in the chamber (c) may be formed. Meanwhile, a mesh filter capable of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e.g., plant roots and twigs) from the culture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culture solution chamber (c) may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panel 223-2.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at least a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circulates in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prevent the passage from being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during the circulation process.

트레이(220)의 손잡이(224)는 트레이(220)의 하판(222)의 전방 부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220)의 손잡이(224)를 파지한 후 트레이(2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트레이(220)를 케이스(210)에 장착하거나 트레이(220)를 케이스(22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트레이(220)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트레이(220)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캡슐(100)을 트레이(22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에 배치시킬 수 있다.The handle 224 of the tray 220 may be disposed at an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late 222 of the tray 220 . The user grips the handle 224 of the tray 220 and then slides the tray 220 to mount the tray 220 to the case 210, separate the tray 220 from the case 220, or remove the tray 220 from the case 220. A portion of 220 may be exposed. Meanwhile, the user may place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t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ng points 221-1 of the tray 220 while partially exposing the tray 220.

또한, 트레이(220)의 상판(221)에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배치되는 복수의 열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이랑부(225)와, 복수의 이랑부(225)의 사이에 함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고랑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a plurality of ridge portions 225 corresponding one-to-one to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re disposed,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ridge portions 225 A plurality of grooves 226 disposed in a recessed manner may be formed.

복수의 이랑부(225) 각각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대응되는 캡슐 배치 지점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은 복수의 고랑부(226)와 비교하여,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ridge portions 225 may be formed alo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a corresponding capsule placemen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may have a relatively high phase relative to the plurality of grooves 226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복수의 이랑부(225) 각각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배치되는 복수의 열 중 대응되는 열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는 경사부(22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225-1)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배치되는 행 중 대응되는 행을 따라 연장되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경사부(225-2)와 제2경사부(225-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ridge portions 225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25-1 inclined upward toward a corresponding row among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re disposed.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225-1 extends along a corresponding row among the rows where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ng points 221-1 are disposed,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5-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25-2 are disposed side by side. A part 225-3 may be included.

복수의 이랑부(225)의 경사부(225-1)는 광원 모듈(230)의 출사광을 이웃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을 향하여 반사시켜, 광 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s 225-1 of the plurality of ridge portions 225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oward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djacent to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light efficiency. can

배양액 분사 유닛(227)은 복수의 분사관(227-1), 연결관(227-2) 및 연결 포트(22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injection unit 227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a connection pipe 227-2, and a connection port 227-3.

복수의 분사관(227-1)은 트레이(220)의 상판(221)을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분사관(227-1)은 트레이(220)의 상판(221)의 하면에 밀착(접촉)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복수의 분사관(227-1)은 복수의 행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고(다만, 설계 조건에 따라 변형례에서는 복수의 분사관이 복수의 열과 일대일로 대응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캡슐(100)의 측방 개방 부분을 향하여 배양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분사구는 복수의 분사관(227-1)이 배치되는 복수의 행(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may be arrang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rows (however, in a modified example,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may be arranged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column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formed to spray the culture medium toward the side opening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may be arranged along a plurality of rows (or a plurality of columns in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are disposed.

한편, 복수의 캡슐(100)의 측방 개방 부분은 식물의 뿌리가 자라나는 시발점이므로,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에서는 복수의 분사관(227-1)의 배치와 복수의 분사구의 분사 방향에 의해 식물의 뿌리 모든 부분에 배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에서는 이웃하는 식물의 뿌리에 의해 배양액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lateral open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re the starting point for plant roots to grow, in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and the sp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he culture solution can be supplied to all parts of the plant's roots. Furthermore, in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ly of the culture medium from being cut off by the roots of neighboring plants.

복수의 분사관(227-1)이 배치되는 복수의 행(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열)과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배치되는 복수의 행(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열)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복수의 분사관(227-1)이 배치되는 복수의 행(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열)은 대략적으로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이 배치되는 복수의 행(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분사관(227-1) 중 하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둘의 사이에 끼어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둘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ows (a plurality of columns in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are arranged and a plurality of rows (a plurality of columns in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ng points 221-1 are arranged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y may not overlap based on the direction. That is, a plurality of rows (a plurality of columns in the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are arranged are approximately a plurality of rows in which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ng points 221-1 are arranged (a plurality of rows in the modified example). column) can be placed between them. As a result, one of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wo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wo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

이 경우,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에서는 모든 식물의 뿌리에 배양액을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분사구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일측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으로 배양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구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타측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으로 배양액을 분사하는 제2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분사구와 제2분사구는 한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qually supply the culture solution to the roots of all plant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e directed to a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It may include a first injection hole for spraying the culture solution and a second injection hole for spraying the culture solution to a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the first injection hole and the second injection hole They can exist as a pair.

연결관(227-2)은 일측이 복수의 분사관(227-1)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유입 채널(223-1)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227-2)은 복수의 분사관(227-1)과 유입 채널(223-1)을 연결하여, 배양액 모듈(250)의 배양액이 복수의 분사관(227-1)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연결관(227-2)은 단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분사관(227-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관(227-2)이 분기되어 복수의 분사관(227-1)을 형성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connection pipe 227-2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inflow channel 223-1. The connecting tube 227-2 connects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and the inflow channel 223-1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of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can move to the plurality of injection tubes 227-1. Euros can be provided. Meanwhile, the connecting pipe 227-2 may exist singularl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That is, the connection pipe 227-2 may be branched to form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227-1.

연결 포트(227-3)는 연결관(227-2)과 수직으로 배치되고 유입 채널(223-1)을 상측에 배치되어, 연결 포트(227-3)와 유입 채널(223-1)의 유로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입 채널(223-1)은 직각으로 만곡되거나 절곡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포트(227-3)는 연결관(227-2)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입 채널(223-1)은 본체와 유입 채널(223-1)의 본체에서 상측으로 만곡되는 도킹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 포트(227-3)는 유입 채널(223-1)의 도킹부에 하측으로 가압되도록 도킹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 포트(227-3)와 유입 채널(223-1)은 견고하고 기밀하게 체결되어 배양액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 227-3 is disposed vertically with the connection pipe 227-2 and the inlet channel 223-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connection port 227-3 and the inflow channel 223-1 flow path. may b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is end, the inflow channel 223-1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curved or bent at a right angle.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 227-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pipe 227-2, and the inlet channel 223-1 is curved upward in the body of the main body and the inlet channel 223-1. A docking portion may be included, and the connection port 227-3 may be docked so as to be pressed downward into the docking portion of the inlet channel 223-1. As a result, the connection port 227-3 and the inlet channel 223-1 are firmly and airtightly coupled to prevent leakage of the culture medium.

광원 모듈(230)은 재배 공간(s1)의 조명 환경을 결정하는 모듈일 수 있다. 즉, 광원 모듈(230)은 재배 공간(s1)의 조도를 결정할 수 있다. 광원 모듈(230)은 재배 공간(s1)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 모듈(230)의 출사광은 재배 공간(s1)의 측면과 트레이(220)의 상판(221) 등에 입사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a module that determines the lighting environment of the cultivation space s1. That is,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determin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emit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s1. For examp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incident on the sides of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the upper plate 221 of the tray 220 .

광원 모듈(230)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광원 모듈(230)의 개수는 재배 공간(s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 모듈(230)과 복수의 재배 공간(s1)은 일대일로 대응되어, 1개의 재배 공간(s1)에 1개의 광원 모듈(230)이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exist in plurality. The number of light source modules 23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cultivation spaces s1. That i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modules 230 and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are in one-to-one correspondence, so that on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disposed in one cultivation space s1.

광원 모듈(230)은 재배 공간(s1)의 천정면(상측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모듈(230)은 기판(231)과, 광원 모듈(230)의 기판(231)에 실장되어 있는 복수의 램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 모듈(230)의 기판(231)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고, 복수의 램프(232)는 LED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일 수 있다.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upper part) of the cultivation space s1.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include a substrate 231 and a plurality of lamps 232 mounted on the substrate 231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In this case, the substrate 231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array (LED array).

한편, 복수의 램프(232)의 출사광의 파장 대역은 백색 파장 대역, 적색 파장 대역 및 청색 파장 대역일 수 있다. 자연광의 파장 대역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램프(232) 중에서 백색 파장 대역의 램프의 비율이 가장 높고, 적색 파장 대역의 램프의 비율이 그 다음으로 높고, 청색 파장 대역의 램프의 비율이 가장 낮을 수 있다.Meanwhile, wavelength bands of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include a white wavelength band, a red wavelength band, and a blue wavelength band. In order to implement the wavelength band of natural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lamps 232, the ratio of lamps in the white wavelength band is the highest, the ratio of lamps in the red wavelength band is next highest, and the ratio of lamps in the blue wavelength band is the lowest. can

복수의 램프(232)는 트레이(22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조닝 제어(Zoning control) 또는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의 제어를 위해 복수의 램프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램프(232)는 1개 이상의 개수로 그룹핑될 수 있다. 즉, 1개의 램프 그룹에 1개의 램프(232)만 속해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램프(232)가 속해있을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for zoning control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of the tray 220 or control in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in one or more numbers. That is, only one lamp 232 may belong to one lamp group, or a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long.

복수의 램프(232)는 다양한 방식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램프(232)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대향하는 캡슐 배치 지점이 동일한 램프끼리 그룹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복수의 램프 그룹은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도 8의 (1) 참조, 하나의 캡슐 배치 지점을 기본 단위로 조닝 제어).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with lamps having the same opposing capsule placement points. That is,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nd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can be matched one-to-one (refer to (1) of FIG. 8, zoning control based on one capsule placement point).

또한, 복수의 램프(232)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대향하는 캡슐 배치 지점이 동일한 행에 위치하는 램프끼리 그룹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복수의 행과 복수의 램프 그룹은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도 8의 (2) 참조, 하나의 행을 기본 단위로 조닝 제어).Also,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with lamps whose opposing capsule placement points are located in the same row. That is,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and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can be matched one-to-one (refer to (2) of FIG. 8, zoning control based on one row).

또한, 복수의 램프(232)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대향하는 캡슐 배치 지점이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램프끼리 그룹핑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복수의 열과 복수의 램프 그룹은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다(도 8의 (3) 참조, 하나의 열을 기본 단위로 조닝 제어).Also,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with lamps whose opposing capsule placement points are located in the same column. That is, the plurality of column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and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can be matched one-to-one (refer to (3) of FIG. 8, zoning control based on one column).

또한, 복수의 램프(232)는 파장 대역에 따라 복수의 램프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램프 그룹은 백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1램프 그룹과 적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2램프 그룹과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3램프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파장 대역에 따라 제어).Also,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according to wavelength band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may include a first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a white wavelength band, a second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a red wavelength band, and a third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a blue wavelength band. Ye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wavelength band under glare-generating conditions).

복수의 램프 그룹은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232)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을 기준으로 복수의 램프 그룹으로 그룹핑되므로(캡슐 배치 지점에 램프를 매칭),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은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복수의 구역 각각의 조명 환경은 이에 매칭되는 특정한 램프 그룹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조닝 제어). 또한, 복수의 램프(232)는 파장 대역으로 그룹핑되어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사용자의 눈에 해로운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램프 그룹만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lamp groups may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lamps 232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based on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matching the lamps to the capsule placement points),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lighting environ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zones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specific lamp group matched therewith (zoning control).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by wavelength band, and only the lamp group emitting light of a wavelength band harmful to the user's eyes may be selectively controlled in a glare-generating condition.

카메라 모듈(240)은 재배 공간(s1)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듈일 수 있다. 즉, 카메라 모듈(240)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듈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의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가 재배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사용자 기기(3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240)은 사용자 기기(3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240 may be a module that generates a “photographed image” by capturing the cultivation space s1. That is,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a module that creates a “photographed image” by capturing a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 "photographed image" of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300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the cultivation process.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24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device 300 .

또한, 카메라 모듈(240)의 "촬영 이미지"는 제어 모듈(미도시)에서 분석 및 처리되어, "식물의 재배 정보"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카메라 모듈(240)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캡슐(100) 각각에서 성장된 식물의 엽면적(Leaf area, 葉面積)을 산출하고, 이를 식물의 성장 단계와 매칭시켜 "식물의 성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photographed images” of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in a control module (not shown), and processed into “plant cultiv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analyzes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module 240 to calculate the leaf area of the plant grow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atching it with the growth stage of the plant to generate "plant growth information".

카메라 모듈(240)은 재배 공간(s1)의 천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240)은 광원 모듈(230)의 기판(231)에 실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은 복수로 존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의 개수는 재배 공간(s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카메라 모듈(240)과 복수의 재배 공간(s1)은 일대일로 대응되어, 1개의 재배 공간(s1)에 1개의 카메라 모듈(240)이 배치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osed on the ceiling surfa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is case, the camera module 24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231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240 may exist. The number of camera modules 240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cultivation spaces s1. That is,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240 and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are in one-to-one correspondence, so that one camera module 240 may be disposed in one cultivation space s1.

배양액 모듈(250)은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모듈일 수 있다. 배양액 모듈(250)은 워터 탱크(251), 영양액 탱크(252), 배양액 탱크(253), 수분 라인(254) 및 리필 포트(2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may be a module that supplies the culture solution to the culture solution chamber (c) of the tray 210 .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may include a water tank 251 , a nutrient solution tank 252 , a culture solution tank 253 , a water line 254 and a refill port 255 .

워터 탱크(251)는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재배 공간(s1)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워터 탱크(251)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일 수 있다. 워터 탱크(251)의 물은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될 수 있다. 워터 탱크(251)에는 제1수위 센서(251-1)가 배치되어, 워터 탱크(251)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제1수위 센서(251-1)는 워터 탱크(251)의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의 수위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워터 탱크(251)에 저장된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워터 탱크(251)에 저장된 물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리필 포트(255)를 통해 워터 탱크(251)에 물을 채울 수 있다(Refill). 한편, 워터 탱크(251)는 영양액 탱크(25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워터 탱크(251)의 수직 방향 위상은 영양액 탱크(252)보다 높을 수 있다.The water tank 251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 The water tank 251 may be a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Water in the water tank 251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 A first water level sensor 251-1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251 to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251.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51-1 may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251 and provide an alarm to the user when the water level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s a result,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51 in real time, and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51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51 through the refill port 255. Refill. Meanwhile, the water tank 251 may be located above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 That is, the vertical phase of the water tank 251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

영양액 탱크(252)는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재배 공간(s1)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영양액 탱크(252)는 영양액이 저장되는 탱크일 수 있다. 영양액 탱크(252)의 영양액은 배양액 탱크(252)로 공급될 수 있다. 영양액 탱크(252)에는 제2수위 센서(252-1)가 배치되어, 영양액 탱크(252)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제2수위 센서(252-1)는 영양액 탱크(252)의 영양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영양액의 수위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영양액 탱크(252)에 저장된 영양액의 양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고, 영양액 탱크(252)에 저장된 영양액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리필 포트(255)를 통해 영양액 탱크(252)에 영양액을 채울 수 있다(Refill). 한편, 영양액 탱크(252)는 워터 탱크(251)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영양액 탱크(252)의 수직 방향 위상은 워터 탱크(251)보다 낮을 수 있다.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a tank in which a nutrient solution is stored.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tank 252 . A second water level sensor 252-1 is disposed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to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52-1 may detect the level of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and provide an alarm to the user when the level of the nutrient solution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s a result, the user can check th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in real time, and i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nutrient solution is transferred to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through the refill port 255. Nutrient solution can be filled (Refill). Meanwhile,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water tank 251 . That is, the vertical phase of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water tank 251 .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에서는 영양액 탱크(252)는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미도시). 그 결과, 사용자는 영양액 탱크(252)에 저장된 영양액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이거나 영양액이 고갈된 경우, 영양액 탱크(252)를 교체할 수 있다.Meanwhile, in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manufactured as a replaceable cartridge type (not shown). As a result, the user can replace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or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exhausted.

또한, 영양액 탱크(252)는 영양액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양액 탱크(252)는 2개로 구비될 수 있고, 2개의 영양액 탱크(252)는 상호 성분이 다른 제1영양액과 제2영양액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영양액 탱크(252)의 제1영양액과 제2영양액은 배양액 탱크(253)로 각각 공급(상호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2개의 영양액 탱크(252) 각각에 제2수위 센서(252-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nutrient solution tanks 252 may exist depending on the type of nutrient solution. For example, two nutrient solution tanks 252 may be provided, and the two nutrient solution tanks 252 may separately store a first nutrient solution and a second nutrient solution having different components. In additio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of the two nutrient solution tanks 252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tank 253 (not mixed but supplied independently). Furthermore,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52-1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wo nutrient solution tanks 252, respectively.

배양액 탱크(253)는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추가 공간(s2)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배양액 탱크(253)는 배양액이 저장되는 탱크일 수 있다. 배양액 탱크(253)에서는 워터 탱크(251)에서 공급된 물과 영양액 탱크(252)에서 공급된 영양액이 혼합되어 배양액을 형성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tank 253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space s2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 The culture medium tank 253 may be a tank in which culture medium is stored.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51 and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nutrient tank 252 may be mixed to form a culture medium.

배양액 탱크(253)의 배양액은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어, 재배 중인 식물에 수분과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은 배양액 탱크(253)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양액은 배양액 탱크(253)와 배양액 챔버(c)를 순환하며, 일부는 식물로 흡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is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10 to provide moisture and nutrients to plants under cultivation. In addition,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chamber (c) may be discharg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hat is, the culture medium circulates through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and some of it may be absorbed by plan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양액 탱크(253)에는 제3수위 센서(253-1)가 배치되어, 배양액 탱크(253)의 배양액의 수위를 센싱할 수 있다. 제3수위 센서(253-1)는 배양액 탱크(252)의 배양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배양액의 수위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어 모듈(미도시)에 알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양액 탱크(253)에 저장된 배양액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워터 탱크(251)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영양액 탱크(252)로부터 영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A third water level sensor 253-1 is disposed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o sense the level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he third water level sensor 253-1 may detect the level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2 and transmit an alarm signal to a control module (not shown) when the level of the culture medium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s a result,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lture medium stored in the culture tank 253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51 and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from the nutrient tank 252 .

배양액 탱크(253)에는 농도 센서(253-2)와 온도 센서(253-3)가 배치되어, 배양액의 농도와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양액의 잔여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어 모듈은 알람 신호를 수신하고, 먼저 배양액 탱크(253)로 워터 탱크(251)의 물이 공급되도록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하고, 그 후, 배양액의 농도가 기준치를 만족할 때까지 배양액 탱크(253)로 영양액 탱크(252)의 영양액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배양액의 잔여량과 농도 제어는 제어 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A concentration sensor 253-2 and a temperature sensor 253-3 are disposed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o sense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the culture mediu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ulture medium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odule receives an alarm signal, first controls the culture medium module 250 to supply water from the water tank 251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then,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tank 253 until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solution satisfies the reference value. Control of the remaining amount and concent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ulture medium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또한, 배양액의 온도가 기준치와 다른 경우, 배양액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배양액의 온도를 기준치에 맞출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온도 조절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medium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the temperature of the culture medium may be adjusted to the reference value by heating or cooling the culture medium. To this end, a separate temperature control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수분 라인(254)은 물, 영양액 및 배양액이 흐르는 유로일 수 있다. 수분 라인(254)은 제1수분 라인(254-1), 제2수분 라인(254-2), 제3수분 라인(254-3) 및 제4수분 라인(25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isture line 254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nutrient solution, and culture solution flow. The water line 254 may include a first water line 254-1, a second water line 254-2, a third water line 254-3, and a fourth water line 254-4. .

제1수분 라인(254-1)은 워터 탱크(251)와 배양액 탱크(253)를 연결하는 라인일 수 있다. 워터 탱크(251)의 물은 제1수분 라인(254-1)을 통해,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moisture line 254-1 may be a line connecting the water tank 251 and the culture medium tank 253. Water in the water tank 251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hrough the first water line 254-1.

워터 탱크(251)는 배양액 탱크(253)보다 높은 위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워터 탱크(251)에 저장된 물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워터 탱크(251)의 물이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될 수 있다. 제1수분 라인(254-1)에는 제1밸브(256-1)가 배치되어, 워터 탱크(251)에서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밸브(256-1)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서, 제어 모듈에 의해 전자 제어될 수 있다.The water tank 251 may be located at a higher phase tha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 As a resul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51 can be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by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51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power. A first valve 256-1 is disposed in the first moisture line 254-1 so that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51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first valve 256-1 is a solenoid valve and may be electronically controlled by a control module.

제2수분 라인(254-2)은 영양액 탱크(252)와 배양액 탱크(253)를 연결하는 라인일 수 있다. 영양액 탱크(252)의 영양액은 제2수분 라인(254-2)을 통해,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수분 라인(254-2)에는 제어 모듈에 의해 전자 제어되는 전자식 유량 제어 장치(256-2)가 배치되어, 영양액 탱크(252)에서 배양액 탱크(253)로 공급되는 영양액의 유량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수분 라인(254-2)에는 유량 제어 장치(256-2) 외에 제2밸브(256-3)도 배치될 수 있으며, 유량 제어 장치(256-2)의 잉여 영양액이 영양액 탱크(252)로 공급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밸브(256-3)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서, 제어 모듈에 의해 전자 제어될 수 있다.The second moisture line 254-2 may be a line connecting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and the culture solution tank 253.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tank 253 through the second water line 254-2. An electronic flow control device 256-2 electron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is disposed in the second moisture line 254-2,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to the culture solution tank 253 is precisely controlled. can be controlled Furthermore, a second valve 256-3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line 254-2 in addition to the flow control device 256-2, and the surplus nutrient solution of the flow control device 256-2 is stored in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 can be reliably blocked. In this case, the second valve 256-3 is a solenoid valve and may be electron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제3수분 라인(254-3)은 배양액 탱크(253)와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를 연결하는 라인일 수 있다. 배양액 탱크(253)의 배양액은 제3수분 라인(254-3)을 통해,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수분 라인(254-3)은 "배양액 공급 라인"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third moisture line 254 - 3 may be a line connecting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10 .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may be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through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Therefore,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may be referred to as a “culture medium supply line”.

제3수분 라인(254-3)에는 필터(256-4), 펌프(256-5) 및 제3밸브(256-6)가 배양액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256-4)와 펌프(256-5)는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추가 공간(s2)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210)의 추가 공간(s2)은 케이스(210)의 재배 공간보다 전장 길이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추가 공간(s2)과 대응되는 부분의 전장 길이는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재배 공간(s1)과 대응되는 부분의 전장 길이보다 길 수 있다.A filter 256-4, a pump 256-5, and a third valve 256-6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along the supply direction of the culture medium. In this case, the filter 256-4 and the pump 256-5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space s2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That is, since the additional space s2 of the case 210 has a shorter overall length than the cultivation space of the case 210,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space s2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is relatively small. The overall length of may be longer than the overall length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

따라서 제품의 특성 상, 전장 길이가 긴 공간에 배치되어야 하는 배양액 탱크(253)와 필터(256-4)와 펌프(256-5)를 케이스(210)의 제2공간(s4)에서 추가 공간(s2)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시킨 것이다.Therefore,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he filter 256-4, and the pump 256-5, which must be placed in a space with a long overall length, are added to the second space s4 of the case 210 in an additional space ( It is locat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s2).

필터(256-4)는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는 배양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배양액 챔버(c)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lter 256-4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ulture medium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accumulating in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제3수분 라인(254-3)에서는 펌프(256-5)의 동력에 의해 배양액 탱크(253)의 배양액을 배양액 챔버(c)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배양액 탱크(253)의 수직 방향 위상은 필터(256-4)의 수직 방향 위상보다 높을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에너지의 차이에 의해, 필터(256-4)에는 항상 잉여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펌프(256-5)의 동력 시 필터(256-4)의 잉여수가 펌프(256-5)로 진입하여 펌프(256-5)가 배양액 없이 공회전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may be moved to the medium chamber c by the power of the pump 256-5. Meanwhile, the vertical phase of the culture medium tank 253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filter 256-4. As a result, due to the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surplus water can always be stored in the filter 256-4, and when the pump 256-5 is powered, the surplus water in the filter 256-4 is transferred to the pump 256-5.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s due to idling of the pump 256-5 without a culture medium.

한편, 트레이(210)가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제3수분 라인(254-3)은 분기되거나 복수 개로 존재하여, 복수 개의 트레이(210)에 배양액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rays 210, the third moisture lines 254-3 may be branched or exist in plurality to supply the culture medium to the plurality of trays 210, respectively.

이를 위해, 제3수분 라인(254-3)은 복수의 트레이(210) 각각에 배양액을 공급하도록 복수로 분기될 수 있고, 제3수분 라인(254-3)의 분기점에는 제3밸브(256-6)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밸브(256-6)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로서 제어 모듈에 의해 전자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 모듈은 복수의 트레이(210) 각각에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제3밸브(256-6)를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may be branched in plurality to supply the culture medium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210, and the third valve 256-3 may be branched at the branch point of the third moisture line 254-3. 6) can be placed. In this case, the third valve 256-6 is a solenoid valve and may be electron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Furthermore,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third valve 256-6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independently and sequentially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210.

제3수분 라인(254-3)은 트레이(220)의 유입 채널(223-1)과 연결되어,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유로로 이용될 수 있다.The third moisture line 254-3 is connected to the inflow channel 223-1 of the tray 220 and may be used as a flow path for supplying the culture medium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20.

제4수분 라인(254-4)은 배양액 탱크(253)와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를 연결하는 라인일 수 있다.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은 제4수분 라인(254-4)을 통해, 배양액 탱크(253)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4수분 라인(254-4)은 "배양액 배출 라인"으로 호칭될 수 있다.The fourth moisture line 254 - 4 may be a line connecting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10 .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chamber (c) may be discharg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hrough the fourth moisture line 254-4. Accordingly, the fourth moisture line 254-4 may be referred to as a “culture fluid discharge line”.

제4수분 라인(254-4)은 트레이(220)의 배출 채널(223-2)과 연결되어,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을 배출하는 유로로 이용될 수 있다.The fourth moisture line 254-4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channel 223-2 of the tray 220 and may be used a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culture medium of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20.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는 배양액 탱크(253)보다 높은 위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배양액 챔버(c)에 저장된 배양액의 위치 에너지에 의해,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은 배양액 탱크(253)로 배출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10 may be positioned at a higher phase than the culture medium tank 253 . As a result,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chamber (c) can be discharged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by the potential energy of the culture medium stored in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power.

한편, 트레이(210)가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제4수분 라인(254-4)은 분기되거나 복수 개로 존재하여, 복수 개의 트레이(210) 각각에서 배양액을 배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rays 210, the fourth moisture lines 254-4 may be branched or exist in a plurality, and the culture medium may be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210.

상술한 바에 따르면, 배양액은 제3수분 라인(254-3)을 통해 배양액 탱크(253)에서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고, 제4수분 라인(254-4)를 통해 트레이(210)의 배양액 챔버(c)에서 배양액 탱크(253)로 배출되어, 배양액 탱크(253)와 배양액 챔버(c)를 순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culture medium is supplied from the culture medium tank 253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10 through the third water line 254-3, and the tray through the fourth water line 254-4. It is discharged from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210 to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may circulate through the culture medium tank 253 and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한편, 배양액 챔버(c)의 배양액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데, 배양액의 일부만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별도의 드레인 라인이 추가될 수 있고, 배양액의 전부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제4수분 라인(254-4)이 외부와 연결되어 드레인 라인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in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only a portion of the culture mediu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separate drain line may be added, and when all of the culture mediu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ourth The moisture line 254-4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a drain line.

리필 포트(255)는 물과 배양액이 리필되는 포트일 수 있다. 리필 포트(255)는 케이스(210)의 제1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다. 리필 포트(255)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1리필 채널(255-1)과, 배양액이 유입되는 제2리필 채널(255-2)과, 제1리필 채널(255-1)과 워터 탱크(251)를 연결하고 제2리필 채널(255-2)과 영양액 탱크(252)를 연결하는 공급 라인(25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리필 채널(255-2)은 복수 개의 영양액 탱크(252)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refill port 255 may be a port through which water and culture medium are refilled. The refill port 255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s3 of the case 210 . The refill port 255 includes a first refill channel 255-1 through which water flows, a second refill channel 255-2 into which culture medium flows, a first refill channel 255-1, and a water tank 251 ) and a supply line 255-3 connecting the second refill channel 255-2 and the nutrient solution tank 252. Meanwhile, a plurality of second refill channels 255-2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nutrient solution tanks 252.

공기조화 모듈(260)은 재배 공간(s1)으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 모듈(260)은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 모듈(260)은 압축기(261), 제1열교환기(262), 제2열교환기(263), 송풍기(264) 및 공기조화 라인(26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supply outside air to the cultivation space s1.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change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include a compressor 261 , a first heat exchanger 262 , a second heat exchanger 263 , a blower 264 , and an air conditioning line 265 .

냉매는 압축기(261), 제1열교환기(262) 및 제2열교환기(263)를 순환할 수 있고, 재배 공간(s1)의 기체는 송풍기(264)의 송풍 동력에 의해 재배 공간(s1) 및 제2열교환기(263)를 순환할 수 있고, 외기는 송풍기(264)의 송풍 동력에 의해 제2열교환기(263)를 지나 재배 공간(s1)으로 공급되어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refrigerant may circulate through the compressor 261,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and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oves through the cultivation space s1 by the blowing power of the blower 264. And it can circulate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and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s1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by the blowing power of the blower 264, so that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form at least part of it.

압축기(261)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기기일 수 있다. 제1열교환기(262)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와 외기 간의 열교환(방열)을 통해 기체 상태의 냉매를 저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로 응축시키는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열교환기(262)는 "응축기"로 호칭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263)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가열시키는 기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열교환기(263)는 "증발기"로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2열교환기(263)에서는 재배 공간(s1)의 기체와 외기가 증발하는 냉매와 열교환(냉각)하여 냉각될 수 있다. 그 결과,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온도 및/또는 습도는 제2열교환기(263)에서의 열 교환 과정에서 변화될 수 있다.The compressor 261 may be a device that compresses the gaseous refrigerant to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may be a device that condenses gaseous refrigerant into low-temperature and high-pressure liquid refrigerant through heat exchange (heat dissipation) between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compressed refrigerant and the outside air. Accordingly,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may be referred to as a "condenser".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may be a device that heats the liquid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ndenser into a gaseous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may be referred to as an "evaporator". Meanwhile,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gas and outdoor air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cooled by exchanging heat with the evaporating refrigerant (cooling).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changed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in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

공기조화 라인(265)은 냉매, 재배 공간(s1)의 기체 및 외기가 흐르는 유로일 수 있다. 공기조화 라인(265)은 제1공기조화 라인(265-1), 제2공기조화 라인(265-2) 및 제3공기조화 라인(26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line 265 may be a flow path through which a refrigerant,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outside air flow. The air conditioning line 265 may include a first air conditioning line 265-1, a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2, and a third air conditioning line 265-3.

제1공기조화 라인(265-1)은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냉매는 제1공기조화 라인(265-1)을 따라, 압축기(261)에서 출발하여 제1열교환기(262) 및 제2열교환기(263)를 순차적으로 거쳐 다시 압축기(261)로 도착하는 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공기조화 라인(265-1)은 압축기(261)와 제1열교환기(262)를 연결할 수 있고, 제1열교환기(262)와 제2열교환기(263)를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air conditioning line 265-1 may be a line for circulating a refrigerant. The refrigerant starts from the compressor 261 along the first air conditioning line 265-1,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sequentially, and arrives at the compressor 261 again. can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first air conditioning line 265-1 may connect the compressor 261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and may connect the first heat exchanger 262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

제2공기조화 라인(265-2)은 외기를 재배 공간(s1)으로 공급하거나 재배 공간(s1)의 기체를 다시 재배 공간(s1)으로 공급하기 위한 라인일 수 있다. 한편, 재배 공간(s1)으로 유입된 외기는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기와 재배 공간(s1)의 기체는 제2열교환기(263)을 경유하여, 재배 공간(s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와 재배 공간(s1)으로 다시 공급되는 기체는 냉매와 열교환하여,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 - 2 may be a line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cultivation space s1 or supplying gas from the cultivation space s1 back to the cultivation space s1 . Meanwhile,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addition, the outdoor air and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s1 via the second heat exchanger 263 . In this case, the outdoor air and the gas supplied back to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exchange heat with the refrigerant to change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이를 위해, 제2공기조화 라인(265-2)은 재배 공간(s1)과 송풍기(26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송풍기(264)의 동력에 의해, 제2공기조화 라인(265-2)을 따라, 외기가 재배 공간(s1)으로 공급될 수 있고, 재배 공간(s1)의 기체가 다시 재배 공간(s1)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제2공기조화 라인(265-2) 상에는 제2열교환기(263)가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2 may connect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the blower 264. That is, outside air can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s1 along 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2 by the power of the blower 264, and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is returned to the cultivation space s1. ) can be supplied. Furthermore, a second heat exchanger 263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2.

한편, 재배 공간(s1)이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제2공기조화 라인(265-2)은 분기되거나 복수 개로 존재하여, 복수 개의 재배 공간(s1)에 외기를 각각 공급하거나 복수 개의 재배 공간(s1)의 기체를 다시 복수 개의 재배 공간(s1)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s 265-2 are branched or exist in plurality to supply outside ai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or to supply air to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 The gas of s1)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again.

제3공기조화 라인(265-3)은 재배 공간(s1)의 기체가 배출되는 라인일 수 있다. 한편, 제3공기조화 라인(265-3)을 통해 배출된 재배 공간(s1)의 기체는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2공기조화 라인(265-2)을 통해 다시 재배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적어도 일부는 재배 공간(s1)에서 배출되어 다시 재배 공간(s1)으로 유입되는 순환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 air conditioning line 265 - 3 may be a line through which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is discharged. Meanwhil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ir conditioning line 265-3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s1 again through the second air conditioning line 265-2. have.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discharged from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space s1 again, performing a circulation.

이를 위해, 제3공기조화 라인(265-3)은 재배 공간(s1)과 송풍기(264)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송풍기(264)의 개방 부분을 통해 재배 공간(s1)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송풍기(264)의 동력에 의해 재배 공간(s1)의 기체가 다시 재배 공간(s1)으로 공급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hird air conditioning line 265-3 may connect the cultivation space s1 and the blower 264. That is,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blower 264, or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supplied to the cultivation space s1 again by the power of the blower 264. have.

한편, 재배 공간(s1)이 복수 개로 존재하는 경우, 제3공기조화 라인(265-3)은 분기되거나 복수 개로 존재하여, 복수 개의 재배 공간(s1)의 기체를 각각 배출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the third air conditioning lines 265-3 may be branched or exist in plurality to discharge gases from the plurality of cultivation spaces s1, respectively.

센서 모듈(270)은 복수의 캡슐(100)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정보"는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대한 "품종 정보"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각각의 상태에 대한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270 may be a module that senses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nsing information" may include "variety information" for each variety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placement information" for each state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이를 위해, 센서 모듈(270)은 복수의 캡슐(100)을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캡슐(100)의 무선 인식 방식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센서 모듈(270)은 캡슐(100)의 인식부(120)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sensor module 27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means for recognizing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 For example, when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is used as a wireless recognition method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the sensor module 270 is a "reader" for recognizing the recognition unit 120 of the capsule 100. can

이 경우, 센서 모듈(270)은 캡슐(100)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과, 사용자 기기(300) 및/또는 서버(4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유닛"과, "IC(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 과 "무선 통신 유닛"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27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n "IC (Integrated circuit) chip" for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of the capsule 100 and the user device 300 and/or the server 400. It may be compose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IC (Integrated circuit, integrated circuit) chip"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mounted.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나아가 캡슐(100)의 인식 방식에는 다양한 센싱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캡슐(100)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자기장을 홀 센서(Hall-sensor)에 의해 인식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270)은 캡슐(100)의 인식부(120)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자기장을 센싱하기 위한 홀 센서(Hall-sensor)와, 사용자 기기(300) 및/또는 서버(4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유닛(일 예로, 안테나)"과, "Hall IC(Hall Integrated circuit, 집적회로) 칩" 과 "무선 통신 유닛"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Furthermore, various sensing methods may be used for recognizing the capsule 100 . 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 uniqu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apsule 100 by a Hall-sensor.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270 includes a Hall-sensor for sensing a uniqu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ecognizing unit 120 of the capsule 100, the user device 300, and/or the server 400. A printed circuit board (PCB,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Hall Integrated circuit (IC) chip"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re mounted can be done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한편, "무선 통신 유닛"은 Wi-Fi, Li-Fi, Bluetooth, UWB(Ultra Wide Band), Zigbee 및 Z-wave 방식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기기(3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모듈(270)의 "센싱 정보"는 사용자 기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device 300 using at least one of Wi-Fi, Li-Fi,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Zigbee, and Z-wave communication. have. Accordingly,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27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vice 300 .

또한, 센서 모듈(270)은 제어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모듈(270)은 "센싱 정보"를 제어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27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module (not shown) to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sensor module 270 may transmit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module.

센서 모듈(270)은 트레이(210)의 상판(2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270)은 트레이(210)의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11-1)과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27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1 of the tray 210 . In this case, the sensor module 27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ng points 211-1 of the tray 210 in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센서 유닛(280)은 "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는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센서 유닛(280)에서 생성된 정보는 제어 모듈(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센서 유닛(280)에서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눈부심 발생 조건"은 광원 모듈(230)의 출사광에 의해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끼거나 사용자의 눈이 손상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80 may be a member that generat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Meanwhil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280 may be transmitted to a control module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may use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280 to determine whether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established. can In this case, the “dazzling condition” may mean a condition in which the user feels glare or the user's eyes are damaged by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나아가 "눈부심 발생 조건"은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접근하는 "제1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1) 참조)"과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와 접촉하는 "제2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2) 참조)"과 케이스(210)의 도어(212)가 개방되는 "제3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접근하는 상황은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상황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인근(케이스의 도어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멈추어 위치하는 상황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접촉하는 상황은 일 예로,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를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손잡이를 파지하는 상황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스(210)의 도어(212)가 개방되는 상황은 케이스(210)의 도어(212)가 사용자의 당김에 의해 개방되는 상황뿐만 아니라 이 외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상황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glare generating condition" refers to the "first glare generating condition (see FIG. 11(1))" in which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and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t may include a “second glare generating condition (see FIG. 11 (2))” in contact and a “third glare generating condition (see FIG. 11 (3))” in which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can In this case,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not only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moves to get closer to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but also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t may be a concept that includes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stops and is located nearby (within a certain radius based on the door of the case). In addi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ontact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for example, the user pulls the handle of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to open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t may be a gripping situ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includes not only a situation in which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by pulling by a user, but also a situation in which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by a naturally occurring external force. It may be a concept that

한편, 센서 유닛(280)은 "제1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1센서 유닛(281)과, "제2눈부심 발생 조건" 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2센서 유닛(282)과, "제3눈부심 발생 조건" 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3센서 유닛(283)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280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281 for generating variou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established, and a "second glare generating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t may include a second sensor unit 282 generat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third sensor unit 283 generating variou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hird glare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제1센서 유닛(281)은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전방면의 상단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센서 유닛(281)에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센서 유닛(281)은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서 유닛(281)이 적외선 센서인 경우, 제1센서 유닛(281)은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28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 Various sensors may be used in the first sensor unit 281 .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unit 281 may be an infrared sensor for sensing the user's lo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first sensor unit 281 is an infrared sensor, the first sensor unit 281 may sense the user's location and generate "user location information".

제2센서 유닛(282)은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손잡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센서 유닛(232)에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센서 유닛(282)은 접촉식 센서로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판단하는 로드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센서 유닛(282)이 로드 센서인 경우, 제2센서 유닛(282)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인가되는 압력(사용자가 케이스의 도어의 손잡이를 파지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센싱하여 "도어 압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sensor unit 282 may be disposed on a handle of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 Various sensors may be used for the second sensor unit 232 .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unit 282 is a contact sensor and may be a load sensor that determines whether pressure is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second sensor unit 282 is a load sensor, the second sensor unit 282 applies pressure to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pressure generated when the user grips the door handle of the case). By sensing the "door pressur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제3센서 유닛(283)은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센서 유닛(283)에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센서 유닛(283)은 대상체의 운동 방향과 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센서 유닛(283)로서 대상체의 자세를 판단하는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제3센서 유닛(283)이 가속도 센서인 경우, 제3센서 유닛(283)은 케이스(210)의 도어(212)가 개방되는 상황에서 케이스(210)의 도어(212)의 운동 방향과 속도를 센싱하고, "도어 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sensor unit 283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 A variety of sensors may be used for the third sensor unit 283 . For example, the third sensor unit 283 may b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motion direction and speed of the objec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ensors including a gyro sensor for determining the posture of the object may be used as the third sensor unit 283 . When the third sensor unit 283 is an acceleration sensor, the third sensor unit 283 measures the movement direction and speed of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when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sensing, and “door movement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자동 제어 모드"와 "커스터마이징 제어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자동 제어 모드"는 제어 모듈에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 배양액 모듈(250) 및 공기조화 모듈(260)을 제어하는 운전 모드일 수 있고, "커스터마이징 제어 모드"는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300) 등을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 배양액 모듈(250) 및 공기조화 모듈(260)의 제어값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광원 모듈(230), 배양액 모듈(250) 및 공기조화 모듈(260)이 제어되는 운전 모드일 수 있다.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automatic control mode" and "customizing control mode". The "automatic control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using "sensing information" in the control module, and the "customizing control mode" may be a user Set the control values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using the user device 300, etc., and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nd the air It may be an operating mode in which the coordination module 260 is controlled.

제어 모듈(미도시)은 센서 모듈(270)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받아, 식물 재배기(200)를 제어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 배양액 모듈(250) 및 공기조화 모듈(26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not shown) may be a module that controls the plant grower 200 by receiving "sensing information" from the sensor module 270 .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using “sensing information”.

즉, 제어 모듈은 복수의 캡슐(100)의 품종에 대한 "품종 정보"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상태(활성 상태와 비활성 상태, 복수의 캡슐이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에 배열된 형태)에 대한 "배치 정보"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 배양액 모듈(250) 및 공기조화 모듈(260)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provides "variety information" for the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statu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active state and inactive state, the plurality of capsules are arranged at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nd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may be controlled using the "arrangement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form).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에 따라 광원 모듈(230)을 제어하여, 재배 공간(s1)의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조명 조도 제어). 즉,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복수의 캡슐(100)의 상호 다른 다양한 품종을 반영하여, 조명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값이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조도의 평균값이 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조도는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하여 온전하게 생장하기 위해 정해진 조도일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ccording to the “variety information” to chang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llumination intensity control). That is,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lighting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so that the value of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becomes the average value of the appropriate il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by using the “variety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ppropriate il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varies depending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may be a predetermined illuminance for the plant to photosynthesize and grow intact.

또한, 제어 모듈은 "배치 정보"에 따라 광원 모듈(230)을 제어하여, 광원 모듈(230)의 복수의 램프 그룹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조명 조닝 제어). 즉, 제어 모듈은 복수의 램프 그룹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캡슐 배치 지점(적어도 하나의 캡슐이 배치되는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램프 그룹을 On시킬 수 있고, 복수의 램프 그룹 중 비활성 상태를 가지는 캡슐 배치 지점(적어도 하나의 캡슐이 배치되지 않는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램프 그룹을 Off시킬 수 있다.Also, the control module may independently control a plurality of lamp groups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by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light zoning control). That is, the control module may turn on one or more lamp groups corresponding to a capsule disposition point (capsule disposition point where at least one capsule is disposed)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a plurality of lamp groups, and may turn on one or more lamp groups among a plurality of lamp groups in an inactive state. At least one lamp group corresponding to a capsule placement point (capsule placement point where at least one capsule is not placed) having ? can be turned off.

또한, 제어 모듈은 자연광의 변화를 반영하여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조명 디밍 제어).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연광에 의한 조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태양의 일출 및 일몰) 하루 동안, 조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제1구간과 조도의 변화량이 작은 제2구간과 조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제3구간과 조도가 0이 되는 제4구간을 가지며 변화한다. 한편, 자연광에 의한 조도의 변화는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지만, 평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및 제4구간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3구간은 조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제3-1구간과 조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제3-2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Also,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by reflecting changes in natural light (lighting dimming control). As shown in FIG. 9, the illuminance by natural light is a first section in which the illumination intensity rapidly increases and a second section in which the illumination intensity rapidly decreases and the illumination intensity rapidly decreases with the passage of time (sunrise and sunset). It has a third section and a fourth section in which the illuminance becomes 0 and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illuminance due to natural light varies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season, but may have the above-described first section, second section, third section, and fourth section on average. Further, the third section may be divided into a 3-1 section in which the illuminance rapidly decreases and a 3-2 section in which the illuminance gradually decreases.

본 발명에서는 광원 모듈(230)을 자연광의 변화와 대응되게 제어함으로써, 자연 환경과 유사한 조명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environment similar to a natural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o correspond to changes in natural light.

일 예로,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모듈은 광원 모듈(230)이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은 하루를 주기로 반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control module allows the light source module 230 to sequentially change to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t regular intervals. You can control it. In this case, sequentially changing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may be repeated every day.

이 경우, 제1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1구간이 유추되어 적용되는 모드일 수 있고, 제2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2구간이 유추되어 적용되는 모드일 수 있고, 제3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3구간이 유추되어 적용되는 모드일 수 있고, 제4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4구간이 유추되어 적용되는 모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imming mode may be a mode in which a first section of natural light is inferred and applied, a second dimming mode may be a mode in which a second section of natural light is inferred and applied, and a third dimming mode is a mode in which a second section of natural light is inferred and applied. The third section may be inferred and applied, and the fourth dimming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fourth section of natural light is inferred and applied.

한편, 광학 설계에는 다양한 측면이 있고 조명 제어의 단순화를 위해, 각각의 디밍 모드에 자연광의 각각의 구간이 완벽하게 매칭되어 적용되진 않지만,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여 자연광과 유사한 조명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aspects of optical design, and although each section of natural light is not perfectly matched and applied to each dimming mode to simplify lighting control,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create natural light A similar lighting environment can be implemented.

제1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는 증가하고, 제3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는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제2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제4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제1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제3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조도의 변화량은 단위 시간에 변화된 조도의 절대값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first dimming mod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increase, and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decrease. Furthermore,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fourth dimming mode are the values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first dimming mode. It may be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average value and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third dimming mode. In this case, the amount of change in illuminance may mean an absolute value of illuminance changed in unit time.

즉, 제1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1구간에 대응되도록 재배 공간(s1)의 조도를 급격히 증가시킬 수 있고, 제3디밍 모드는 자연광의 제3구간에 대응되도록 재배 공간(s1)의 조도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1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이 지배적이며, 상대적으로 제2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은 미미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dimming mode can rapidly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ction of natural light, and the third dimming mode can increas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to correspond to the third section of natural light. can be drastically reduced. As a resul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s dominant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may be relatively insignificant. have.

또한,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30분 이상 2시간 이하일 수 있고,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1시간 이상 5시간 이하일 수 있다.Also, the required time of the first dimming mode may be 30 minutes or more and 2 hours or less, and the required time of the third dimming mode may be 1 hour or more and 5 hours or less.

한편, 도 10의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가 대략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4디밍 모드에서 광원 모듈(230)이 오프(off)되어 재배 공간(s1)의 조도가 0이 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1) of FIG. 10 , in the second dimming mode,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and in the fourth dimming mod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is turned off. Thus,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be 0.

또한, 도 10의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자연광의 제1구간의 소요 시간이 자연광의 제3구간의 소요 시간보다 짧기 때문이다.Also, as shown in (2) of FIG. 10 , the required time for the first dimming mode may be shorter than the required time for the third dimming mode. This is because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section of natural light is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third section of natural light.

또한, 도 10의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디밍 모드에서도 재배 공간(s1)의 조도가 증가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제1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제3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3) of FIG. 10 ,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s1 may also increase in the second dimming mode.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second dimming mode is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third dimming mode. ) may be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또한, 도 10의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연광의 제3-1구간과 제3-2구간을 반영하여, 제3디밍 모드는 재배 공간(s1)의 조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제3-1디밍 모드와 재배 공간(s1)의 조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제3-2디밍 모드로 구분될 수도 있다. 즉, 제3-1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은 제3-2디밍 모드에서 재배 공간(s1)의 조도의 변화량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제3-1디밍 모드는 제3-2디밍 모드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4) of FIG. 10, the third dimming mode reflects the 3-1 section and 3-2 section of natural light, and the 3-3 dimming mode rapidly reduces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t may be divided into a 1st dimming mode and a 3-2nd dimming mode in which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gradually decreases. That is,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3-1 dimming mode may be greater than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in the 3-2 dimming mode. In this case, the 3-1st dimming mode may be performed prior to the 3-2nd dimming mode.

또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에 따라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하여,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에 공급되는 배양액의 농도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농도 제어). 즉,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복수의 캡슐(100)의 상호 다른 다양한 품종을 반영하여, 수분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200)의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는 배양액의 농도의 값이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농도의 평균값이 되도록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농도는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식물이 수분과 배양액의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온전하게 생장하기 위해 정해진 배양액의 농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ccording to the “variety information” to change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chamber c of the tray 220 (concentration control). That is,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oisture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uses the "variety information" so that the concentration value of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00 becomes the average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appropriate culture medium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odule 250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concentration of the appropriate culture sol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solution is determined for the plant to sufficiently absorb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culture solution and grow intact. can

또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에 따라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하여,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에 공급되는 배양액의 공급 주기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주기 제어). 즉,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복수의 캡슐(100)의 상호 다른 다양한 품종을 반영하여, 수분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200)의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는 배양액의 공급 주기의 값이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공급 주기의 평균값이 되도록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공급 주기는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식물이 수분과 배양액의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온전하게 생장하기 위해 정해진 배양액의 공급 주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ccording to the “variety information” to change the value of the supply cycle of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chamber c of the tray 220 (cycle control). That is,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oisture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uses "variety information" so that the value of the supply cycle of the culture medium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00 is the average value of the supply cycle of the appropriate culture mediu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to be. In this case, the supply cycle of the appropriate culture sol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supply of the culture solution determined for the plant to sufficiently absorb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culture solution and grow intact. can be cycles.

또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에 따라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하여, 트레이(220)의 배양액 챔버(c)에 공급되는 배양액의 공급량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공급량 제어). 즉,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복수의 캡슐(100)의 상호 다른 다양한 품종을 반영하여, 수분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트레이(200)의 배양액 챔버(c)로 공급되는 배양액의 공급량의 값이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공급량의 평균값이 되도록 배양액 모듈(2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배양액의 공급량은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식물이 수분과 배양액의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온전하게 생장하기 위해 정해진 배양액의 공급량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culture solution module 250 according to the "variety information" to change the value of the supply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ure solution chamber c of the tray 220 (supply amount control). That is,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oisture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s an example, the control module uses the "variety information" so that the value of the supply amount of the culture solution supplied to the culture medium chamber (c) of the tray 200 becomes the average value of the supply amount of the appropriate culture sol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module 250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supply amount of the appropriate culture solu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amount of supply of the culture solution determined for the plant to sufficiently absorb moisture and nutrients from the culture solution and grow intact can

또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에 따라 공기조화 모듈(260)을 제어하여,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온도 및/또는 습도 제어). 즉, 본 발명의 식물 재배기(200)는 복수의 캡슐(100)의 상호 다른 다양한 품종을 반영하여, 기상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 공간(s1)의 기체의 온도 및/또는 습도의 값이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온도 및/또는 습도의 평균값이 되도록 공기조화 모듈(2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적정 온도 및/또는 습도는 복수의 캡슐(100) 각각의 품종에 따라 다르며, 식물이 온전하게 생장하기 위한 기상 조건에 따라 정해진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module 260 according to “variety information” to change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values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temperature and/or humidity control). That is, the plant cultiva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meteorological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different varieti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performs air conditioning so that the value of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gas in the cultivation space s1 becomes an average value o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by using "species information". module 260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varies depending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and the temperature and/or humidity of the air determined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for the intact growth of plants. can be

제어 모듈은 "눈부심 발생 조건"을 판단하여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부심 현상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눈이 손상될 수 있는 조건에서,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by determining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That is, in order to protect the user's eyes,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so that the light output is lower than normal or turned off under a condition in which glare may occur or the user's eyes may be damaged.

이 경우, "눈부심 발생 조건"은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접근하는 제1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1) 참조, 사용자가 케이스의 도어에 접근하고 일정 시간 머무르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과, 사용자가 케이스(210)의 도어(212)와 접촉하는 제2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2) 참조)과, 케이스(210)의 도어(212)가 개방되는 제3눈부심 발생 조건(도 11의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the first glare generating condition in which the user approache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see (1) in FIG. concept), the second glare generating condition in which the user contacts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see (2) in FIG. 11), and the third condition in which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is opened. A glare generating condition (see (3) in FIG. 11) may be included.

이 경우, "정상 조건"은 "눈부심 발생 조건"이 발생하지 않은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정상 조건"에서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270)의 "센싱 조건"을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normal condition” may mean a condition in which “glare generating condition” does not occur. In the "normal condition",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using the "sensing condition" of the sensor module 270 .

이 경우, "광출력량"에는 다양한 밝기의 정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출력량"은 광원 모듈(230)에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도, 광속 및 휘도 등일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definitions of brightness may be used for "light output amount". For example, “light output amount” may be the luminous intensity, luminous flux, and luminanc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제어 모듈은 센서 유닛(280)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광원 모듈(230)의 광출력량을 낮추거나 광원 모듈(230)을 오프하여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glare generating conditio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80 and uses it to determine whether the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established, and accordingly lowers the light output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or the light source module By turning off 230, the light source module 230 can be controlled.

일 예로, 제어 모듈은 제1센서 유닛(281)으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여, 제1눈부심 발생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receives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unit 281,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glare generation condition is established using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first glare generation condition is met. In one cas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output is lowered or turned off than normal conditions.

또한, 제어 모듈은 제2센서 유닛(282)으로부터 "도어 압력 정보"를 전달받고, "도어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제2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여, 제2눈부심 발생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door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or unit 282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using the "door pressure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glare generating condition is satisfied.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output is lowered or turned off than normal conditions.

또한, 제어 모듈은 제3센서 유닛(282)으로부터 "도어 운동 정보"를 전달받고, "도어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제3눈부심 발생 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여, 제3눈부심 발생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door movement information" from the third sensor unit 282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hird glare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using the "door movement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light output is lowered or turned off than normal conditions.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 유닛은 센서 유닛(280)으로부터 상술한 "사용자 위치 정보", "도어 압력 정보" 및 "도어 운동 정보"외의 다양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발생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user location information", "door pressure information" and "door movement information" from the sensor unit 280 and uses them to determine the "glare generating condition" can judge

일 예로, 케이스(210)의 본체(211)와 케이스(210)의 도어(212) 중 어느 하나에는 마그네트가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에는 마그네트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센서 유닛(282)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도어 운동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magnet may be disposed on one of the body 211 of the case 210 and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and a sensing means capable of detect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 That is, the third sensor unit 282 may generate “door motion information” using magnetic force.

한편, 제어 모듈은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도 복수의 램프 그룹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모듈은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복수의 램프 그룹 중 일부의 램프 그룹만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램프 그룹 중 일부의 램프 그룹(제어되는 램프 그룹)은 복수의 램프 그룹 중 나머지 램프 그룹보다 케이스(210)의 도어(21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may independently control a plurality of lamp groups even in a "glare condi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light output of some of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to be lowered or turned off than normal conditions under the glare-generating condition. In this case, some lamp groups (controlled lamp group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door 212 of the case 210 than the other lamp group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즉, 제어 모듈은 복수의 램프 그룹 중 사용자의 눈에 손상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전방에 위치하는 램프 그룹만 제어함으로써, 나머지 램프 그룹에 의해 "정상 조건"에서의 조명 환경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module can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lighting environment under “normal conditions” by the remaining lamp groups by controlling only the lamp group located in the front, which is likely to cause damage to the user's eyes, among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hav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232)는 파장 대역에 따라 그룹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백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1램프 그룹보다 적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2램프 그룹과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제3램프 그룹이 사용자의 눈에 더 해로울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lamps 232 may be grouped according to wavelength bands. In this case, the second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the red wavelength band and the third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the blue wavelength band may be more harmful to the user's eyes than the first lamp group emitting light in the white wavelength band. .

따라서 제어 모듈은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제2램프 그룹과 제3램프 그룹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거나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 모듈은 "눈부심 발생 조건"에서 제1램프 그룹을 "정상 조건"보다 광출력량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제2램프 그룹과 제3램프 그룹을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lamp group and the third lamp group to be lowered or turned off in the "glare condition" than in the "normal condition." Furthermore,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of the first lamp group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condition" under the "glare condition" and control the second lamp group and the third lamp group to be turned off.

한편, 제어 모듈은 카메라 모듈(240)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전달받아, "식물의 성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모듈은 카메라 모듈(240)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캡슐(100) 각각에서 성장된 식물의 엽면적을 산출하고, "품종 정보"를 이용하여 식물의 엽면적을 식물의 성장 단계와 매칭시킴으로써, 복수의 캡슐(100) 각각에 대한 "식물의 성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은 "무선 통신 유닛"을 통해 사용자 기기(300)와 무선 통신하여, 복수의 캡슐(100) 각각에 대한 "식물의 성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의 "무선 통신 유닛"은 제어 모듈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제어 모듈의 "무선 통신 유닛"으로 센서 모듈(270)의 "무선 통신 유닛"을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 module may receive a “photographed image” from the camera module 240 and generate “plant growth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calculates the leaf area of a plant grow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by analyzing the “captured image” of the camera module 240, and calculates the leaf area of the plant by using the “variety information”. By matching with the steps, "plant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can be generated. Meanwhile, the control module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device 3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plant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100 .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control modul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nsor module 270 may be used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control module.

이 경우, 제어 모듈은 "식물의 성장 정보"에 따라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성장 조명 제어). 식물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식물의 엽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은 복수의 램프 그룹 각각에서 "식물의 성장 정보"에 따라 복수의 구성 램프(램프 그룹을 구성하는 램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module 230 according to "plant growth information" (growth lighting control). This is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leaf area of the plant increases as the plant grows. 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may independently control a plurality of constituent lamps (lamps constituting a lamp group) according to "plant growth information" in each of a plurality of lamp groups.

일 예로, 복수의 램프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 중 대향하는 캡슐 배치 지점이 동일한 램프끼리 그룹핑된 경우(하나의 캡슐 배치 지점을 기본 단위로 조닝 제어), 복수의 램프 그룹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램프 그룹 각각에 있어서, 식물의 엽면적이 좁을 때(식물의 성장 초기)에는 1개 이상의 램프 그룹 각각에서 복수의 구성 램프 중 평면도 상에서 중심에 인접한 구성 램프를 On하고 평면도 상에서 가장자리에 인접한 구성 램프를 Off할 수 있고(도 13의 (1) 참조), 식물의 엽면적이 넓을 때(램프 그룹의 식물의 성장 중기 및 후기)에는 1개 이상의 램프 그룹 각각에서 복수의 구성 램프 모두를 On할 수 있다(도 13의 (2) 참조).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lamps are grouped with lamps having the same capsule disposition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zoning control based on one capsule disposition point), active among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In each of one or more lamp groups corresponding to a capsule placement point having a state, when the leaf area of a plant is narrow (in the early stages of plant growth), among a plurality of lamp groups in each of one or more lamp groups, a component lamp adjacent to the center on a plan view On and off the configuration lamps adjacent to the edge on the plan view (see (1) in FIG. 13), and when the leaf area of the plant is wide (in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plant growth of the lamp group), each of one or more lamp groups All of the plurality of constituent lamps can be turned on (see (2) of FIG. 13).

나아가 제어 모듈은 광원 모듈(230)의 "조명 조도 제어", "조명 조닝 제어", "조명 디밍 제어" 및 "조명 성장 제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제어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제어 모듈은 "품종 정보", "배치 정보", "식물의 성장 정보" 중 적어도 2개를 이용하여 광원 모듈(230)을 제어하거나, "품종 정보", "배치 정보", "식물의 성장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이용하고 제1디밍 모드, 제2디밍 모드, 제3디밍 모드 및 제4디밍 모드를 순차적으로 일정 주기로 반복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module may simultaneously control at least two of “light intensity control”, “light zoning control”, “light dimming control”, and “light growth control” of the light source module 230 . That is,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light source module 230 using at least two of "variety information", "arrangement information", and "plant growth information", or "variety information", "arrangement information", "plant growth information"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to sequentially repeat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t regular intervals using at least one of "growth information".

일 예로, 제어 모듈은 활성 상태를 가지는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되는 램프 그룹 각각에 대응되는 재배 공간(s1)의 조도(조명 조닝 제어)를 복수의 캡슐 각각의 적정 조도의 평균값(조명 조도 제어)이 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활성 상태를 가지는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되는 램프 그룹 각각에서 "식물의 성장 정보"에 따라 복수의 구성 램프를 독립적으로 제어(조명 성장 제어)하며,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조명 디밍 제어)되도록 광원 모듈(230)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e illumination intensity (light zoning control) of the cultivation space (s1) corresponding to each lamp group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arrangement point having an active state, and the average value (light intensity control) of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intensity of each of a plurality of capsules.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constituent lamps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growth control) according to the "plant growth information" in each lamp group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arrangement point having an active state, and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second dimming mode are controlled. The light source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so that sequential changes to the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re repeated (lighting dimming control) at regular intervals.

사용자 기기(300)는 식물 재배기(200)와 통신하여, 식물 재배기(200)로부터 "센싱 정보", "촬영 이미지" 및 "성장 정보"를 전달받거나,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식물 재배기(2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식물 재배기(200)를 제어하는 기기일 수 있다.The user device 300 communicates with the plant grower 200 to receive "sensing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 and "growth information" from the plant grower 200, or to the plant grower 200 by a user's manipulation. It may be a device that controls the plant cultivator 200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사용자 기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등과 같은 전기 통신 장치, 리모트 콘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device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le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PDA, a laptop, and the like, and a remote controll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를 위해, 사용자 기기(300)는 식물 재배기(200)의 카메라 모듈(240)과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식물 재배기(200)의 센서 모듈(270)과 무선 통신할 수 있고, 식물 재배기(200)의 제어 모듈(미도시)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방식으로는 Wi-Fi, Li-Fi, Bluetooth, UWB(Ultra Wide Band), Zigbee 및 Z-wave 방식의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ser device 30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camera module 240 of the plant cultivator 200,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ensor module 270 of the plant cultivator 200,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lant cultivator 200.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a control module (not shown) of. In this case, as a communication method, at least one of Wi-Fi, Li-Fi, Bluetooth, UWB (Ultra Wide Band), Zigbee, and Z-wave communication may be used.

한편, "센싱 정보", "촬영 이미지", "성장 정보" 및 "제어 신호"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사용자 기기(300)와 식물 재배기(200) 간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고, 원거리 통신에 의해 서버(400)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300)와 식물 재배기(200) 간에 전달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ensing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 "growth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 may be directly transferred between the user device 300 and the plant grower 200 by short-distance communication, or by a server ( It may be transferred between the user device 300 and the plant grower 200 via 400 .

사용자 기기(300)는 식물 재배기(200)의 "센싱 정보", "촬영 이미지", "성장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 정보 이미지(31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기기(30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스마트 폰"에 설치되어 있는 앱(App, Application) 등을 통해, 재배 정보 이미지(310)를 포함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앱 리스트 제공).The user device 300 may provide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by using "sensing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 and "growth information" of the plant grower 2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device 300 is a "smart phone",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is provided through an app (App,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smart phone". can be provided (app list provided).

이하, 사용자 기기(300)를 통해, 제배 정보 이미지(310)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재배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은 사용자 기기(300)에서 식물 재배기(200)로부터 "센싱 정보", "촬영 이미지",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기기(300)에서 "센싱 정보", "촬영 이미지", "성장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 정보 이미지(310)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the breeding information image 310 through the user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for providing cul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sensing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 and "growth information" from the plant grower 200 in the user device 300, and the user device 300 receiving at least one of "sensing information" A step of providing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using "information", "photographed image", and "growth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재배 정보 이미지(310)는 촬영 정보 이미지(320) 또는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로 전환될 수 있으며,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는 제2상세 정보 이미지(340)로 전환될 수 있거나 오픈 마켓 웹 사이트(350)의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재배 정보 이미지(310), 촬영 정보 이미지(320),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 제2상세 정보 이미지(340) 및 오픈 마켓 웹 사이트(350)는 앱 리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may be converted into a shooting information image 320 or a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and the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may be converted into a second detailed information image 340, or A link to the open market website 350 may be provided.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the shooting information image 320, the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the second detailed information image 340, and the open market website 350 may be provided as an app list.

재배 정보 이미지(310)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제1선택 아이콘(312), 제2선택 아이콘(313) 및 제3선택 아이콘(314)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식물 재배기(200)에는 온도계, 습도계, 기압계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300)는 식물 재배기(200)로부터 재배 공간(s1)의 온도, 습도 및 기압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재배 정보 이미지(310)에는 식물 재배기(200)의 재배 공간(s1)의 온도, 습도, 압력 등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a first selection icon 312, a second selection icon 313, and a third selection icon 314 may be displayed o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Furthermore, a thermometer, a hygrometer, a barometer, etc. may be disposed in the plant cultivator 200, and the user device 300 may receive temperature, humidity, atmospheric pressure, etc. of the cultivation space s1 from the plant cultivator 200. In this case,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may display the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etc. of the cultivation space s1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은 "센싱 정보"와 "성장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기기(300)는 "센싱 정보"만 이용하여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을 생성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be created using “sensing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Meanwhile, the user device 3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using only “sensing information”.

식물 아이콘(311)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을 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센싱 정보(배치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The plant icon 311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on a one-to-one basis.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be arranged along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columns like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Meanwhile, “sensing information (arrangement information)” may be used to indicate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

또한,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은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의 상태와 대응되도록 "활성 상태(캡슐이 배치된 상태)"와 "비활성 상태(캡슐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have an “active state (capsules are placed)” and an “inactive state (capsules are not placed)” to correspond to the states of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can have

이 경우,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은 디자인이 식물의 품종, 재배 기간 및 성장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은 식물의 품종과 재배 기간 및 성장 단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디자인이 상호 다를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비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은 디자인이 상호 동일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lant icon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have a design determin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lant variety, cultivation period, and growth stage. That is,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have different designs depending on at least one of plant species, cultivation periods, and growth stages. Unlike this, plant icons having an in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have the same design.

일 예로,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은 "센싱 정보(품종 정보, 배치 정보)" 및 "성장 정보"에 따라 바탕색과 아이콘의 형태(잎의 개수 등)와 아이콘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품종 정보"를 통해 식물의 품종이 결정될 수 있고, "배치 정보"를 통해 재배 기간이 결정될 수 있으며, "성장 정보"를 통해 성장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ant icon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has a background color and icon shape (number of leaves, etc.) Sizes may vary. In this case, the plant variety may be determined through "variety information", a cultivation period may be determined through "placement information", and a growth stage may be determined through "growth information".

한편, "성장 정보"가 활용되지 않는 경우, "센싱 정보(품종 정보, 배치 정보)"를 통해 품종과 재배 기간을 도출한 후 이로부터 성장 단계를 결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growth information" is not used, the growth stage may be determined after deriving the variety and cultivation period through "sensing information (variety information, batch information)".

한편,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지 않는 식물 아이콘은 단색 바탕색, "EMPTY" 등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인 경우 상호 동일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plant icons that do not have an active state may have various designs, such as a solid background color and “EMPTY,” and may have the same design.

사용자는 제1선택 아이콘(312)을 통해 복수의 트레이(22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조작, 터치, 클릭 등). 이 경우, 재배 정보 이미지(310)는 복수의 트레이(220)에서 제1선택 아이콘(312)을 통해 선택된 트레이에 대응되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을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trays 220 through the first selection icon 312 (manipulation, touch, click, etc.). In this case,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may display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corresponding to a tray selected through the first selection icon 312 from the plurality of trays 220 .

즉, 재배 정보 이미지(310)는 복수의 트레이(220)에서 제1선택 아이콘(312)을 통해 선택된 트레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대응되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을 표시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제1선택 아이콘(312)을 통해(조작, 터치, 클릭 등), 제1트레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대응되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을 제2트레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221-1)과 대응되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으로 전환할 수 있다.That is,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is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formed on the tray selected through the first selection icon 312 from the plurality of trays 220. ) can be switched to display.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psule placement points 221-1 disposed on the first tray through the first selection icon 312 (manipulation, touch, click, etc.). can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221-1 disposed on the second tray.

사용자는 제2선택 아이콘(313)을 통해 재배 정보 이미지(310)을 촬영 정보 이미지(320)를 전환시킬 수 있다. 촬영 정보 이미지(320)는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얻어지는 복수의 배치 지점(221-1)에 대한 촬영 이미지로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재배 공간(s1)을 실사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can convert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to the shooting information image 320 through the second selection icon 313 .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image 320 is a photographic image of the plurality of arrangement points 221-1 obtained through the camera module 240, an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real-time image of the cultivation space s1.

사용자는 제3선택 아이콘(314)을 통해 식물 재배기(200)의 운전 모드를 "자동 제어 모드"와 "커스터마이징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the "customizing control mode" as the driving mode of the plant grower 200 through the third selection icon 314 .

사용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선택된 식물 아이콘을 통해, 재배 정보 이미지(310)를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로 전환시킬 수 있다(조작, 터치, 클릭 등).The user may convert the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310 into the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through a selected plant icon among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nipulation, touch, click, etc.) ).

즉, 사용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대해 집중적으로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having an active state and receive intensively detailed information about it.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선택된 식물 아이콘에 대응되는 재배 등급 아이콘(331), 성숙도 그래프(332), 제4선택 아이콘(333) 및 오픈 마켓 링크 아이콘(334)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a cultivation level icon 331 corresponding to a selected plant icon among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a maturity graph 332, and a fourth selection icon 333 and an open market link icon 334 may be displayed.

재배 등급 아이콘(331)은 "품종 정보", "배치 정보(재배 기간 도출)", "성장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재배 등급 아이콘(331)은 특정 품종의 식물이 단위 재배 기간에서 가지는 "성장 정보"와 매칭되는 성장 등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재배 등급 아이콘(331)을 통해 자신이 재배하는 식물이 양질의 식물로 성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고, 피드백을 받아 재배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The cultivation grade icon 331 may be determined using “variety information”, “placement information (cultivation period derivation)”, and “growth information”. The cultivation grade icon 331 may be determined as a growth grade matched with "growth information" of a plant of a specific variety during a unit cultivation period.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the plant he/she cultivates has matured into a high-quality plant through the cultivation grade icon 331, and can grow into a cultivation expert by receiving feedback.

성숙도 그래프(332)는 막대 비율 그래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성숙도 그래프(332)에서는 재배 기간을 기준으로 성장 단계가 비율로 표시될 수 있다.The maturity graph 332 may have a bar ratio graph form. In the maturity graph 332, the growth stage may be displayed as a ratio based on the cultivation period.

사용자는 제4선택 아이콘(333)을 통해 제1상세 정보 이미지(330)를 제2상세 정보 이미지(340)로 전환할 수 있다(조작, 터치, 클릭 등). 제2상세 정보 이미지(340)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선택된 식물 아이콘에 대응되는 재배 정보 스크립트(341)가 표시될 수 있다. 재배 정보 스크립트(341)에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선택된 식물 아이콘에 대한 품종 설명, 재배 조건 등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을 수 있다.The user can convert the first detailed information image 330 to the second detailed information image 340 through the fourth selection icon 333 (manipulation, touch, click, etc.). In the second detailed information image 340 , a cultivation information script 341 corresponding to a plant icon selected from among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a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be displayed. In the cultivation information script 341 , variety descriptions, cultivation conditions, and the like of a plant icon selected from among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may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는 오픈 마켓 링크 아이콘(334)을 통해 오픈 마켓 웹 사이트의 링크를 제공받을 수 있다(조작, 터치, 클릭). 오픈 마겟 웹 사이트(350)에서는 복수의 식물 아이콘(311) 중 활성 상태를 가지는 식물 아이콘 중 선택된 식물 아이콘에 대응되는 품종을 가지는 캡슐을 판매할 수 있다.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ink to the open market website through the open market link icon 334 (manipulation, touch, click). The open market website 350 may sell capsules having a variety corresponding to a selected plant icon among plant icons having an active state among the plurality of plant icons 311 .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forementioned program is C, C++, JAVA, machine language, etc. It may include a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of. These codes may include functional codes related to functions defining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s, and include control codes related to execution procedures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se codes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s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computer's internal or external memory should be referenced for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required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execute the functions.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remote computer or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related codes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kind of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user's comput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to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0)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식물 재배기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로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A light source module used in a plant grower with a growing space,
Board;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re sequentially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controlled to be repeate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second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s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상기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보다 짧은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grower in which a time required for the first dimming mode is shorter than a time required for the third dimm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30분 이상 2시간 이하이고,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의 소요 시간은 1시간 이상 5시간 이하이고,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 모듈은 오프(Off)되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time required for the first dimming mode is 30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2 hours, the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s maintained constant in the second dimming mod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third dimming mode is 1 hour or more and 5 hours or less, , In the fourth dimming mode, the light source module for a plant grower is turned off.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재배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캡슐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재배 공간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기에 사용되는 광원 모듈로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 각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캡슐이 배치된 활성 상태와, 상기 캡슐이 배치되지 않은 비활성 상태를 가진 상태 센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램프는 복수의 램프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상기 복수의 램프 그룹은 상기 상태 센싱 정보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어되되,
활성 상태를 가지는 상기 캡슐 배치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램프 그룹은, 상기 촬영 이미지로부터 생성되는 식물의 성장 정보에 따라, 복수의 구성 램프들 중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램프를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There is a cultivation space where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are formed, a sensor module sensing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and a camera module capturing the cultivation space and generating a photographed image. A light source module used in a plant grower comprising a,
Board;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light source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and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state sensing information having an active state in which the at least one capsule is disposed and an inactive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not dispos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Including,
The plurality of lamp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lamp groups, and the plurality of lamp groups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tate sensing information.
The lamp group corresponding to the capsule disposition point having an active state turns on or off a lamp disposed at an edge amo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lamps according to plant growth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hotographed image. light source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의 품종에 대한 품종 센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상기 품종 센싱 정보에 따라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값이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의 적정 조도의 평균값이 되도록 제어되는 식물 재배기용 광원 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ing information includes variety sensing information on the varie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adjusts the illuminance value of the cultivation space to an average value of appropriate il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psules according to the variety sensing information. Light module for controlled plant grow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케이스;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재배기.
Cases where growing space exists;
a tray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o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a light source module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The light source module,
Board;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re sequentially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controlled to be repeate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second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s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복수의 캡슐;
상기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식물 재배기;
상기 식물 재배기와 통신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 재배기는,
재배 공간이 존재하는 케이스;
상기 재배 공간에 배치되고, 복수의 캡슐이 배치되는 복수의 캡슐 배치 지점이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
상기 복수의 캡슐을 센싱하고,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재배 공간으로 광을 출사하여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제1디밍 모드와 제2디밍 모드와 제3디밍 모드와 제4디밍 모드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1 및 제2 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증가하고,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는 감소하며,
상기 제2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1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과 상기 제3디밍 모드에서 상기 재배 공간의 조도의 변화량의 평균값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내지 제4디밍 모드는 하루를 주기로 순차적으로 변경되되, 상기 제4디밍 모드에서 상기 광원모듈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식물 재배기의 센싱 정보에 따라 재배 정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multiple capsules;
a plant cultiva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Including a user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plant grower,
The plant grower,
Cases where growing space exists;
a tray disposed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capsule disposition points on which a plurality of capsules are disposed;
a sensor module that senses the plurality of capsules and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a light source module emitting light into the cultivation space;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module;
The light source module,
Board; and
A plurality of lamps mounted on the substrate and emitting light to the cultivation space to determine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The first dimming mode, the second dimming mode,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ourth dimming mode are controlled to be sequentially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increases in the first and second dimming modes, and the illumination of the cultivation space decreases in the third dimming mode,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second dimming mod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first dimming mod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cultivation space in the third dimming mode. and
The first to fourth dimming modes are sequentially changed on a daily basis, and the light source module is turned off in the fourth dimming mode.
The user device,
A plant cultiv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cultivation information image according to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20190022316A 2018-08-30 2019-02-26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2475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16A KR102475601B1 (en) 2018-08-30 2019-02-26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056A KR101954237B1 (en) 2018-08-30 2018-08-30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20190022316A KR102475601B1 (en) 2018-08-30 2019-02-26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056A Division KR101954237B1 (en) 2018-08-30 2018-08-30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74A KR20200027874A (en) 2020-03-13
KR102475601B1 true KR102475601B1 (en) 2022-12-09

Family

ID=8444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16A KR102475601B1 (en) 2018-08-30 2019-02-26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6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777B1 (en) * 2020-07-13 2023-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KR20230094555A (en) * 2021-12-21 202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for caring pla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85B1 (en) * 2012-02-16 2013-04-02 주식회사 태종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034B1 (en) * 2016-11-30 2018-07-19 주종문 Independent module-type personalization plant cultivating device and plant factory system based on independent module-type personalization plant cultivating device
KR102137860B1 (en) 2017-11-06 2020-08-13 정운성 The Device of the Multiple Vertical Planting Vegetation
KR20180072641A (en) * 2018-06-20 2018-06-2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lant growing data collecting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85B1 (en) * 2012-02-16 2013-04-02 주식회사 태종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874A (en)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914B2 (en)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oT
KR101954251B1 (en) Caps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1954259B1 (en) Culture medium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using internet-of-things
KR101954237B1 (en)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1954246B1 (en)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CA3091297A1 (en) Controlled agricultural system and method for agriculture
KR101954248B1 (en) Tray for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US20170311414A1 (en)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device
US8468741B2 (en) Semi-automated crop production system
CA3130218A1 (en) Controlled agricultural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agricultural systems
US20190208711A1 (en) Intelligent Web-Enabled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 of Growing Plant
KR102021578B1 (en) IoT-BASE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CAN COLLECT PLANTS BY SEED BED UNIT AND PREVENT LEAKING OF CULTURE SOLUTION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CN102740681B (en) Plant cultivation system
KR101348486B1 (en) Plants cultivation device and Plants cultiva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20160000020A1 (en)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program, and cultivation method
WO2015140820A1 (en) An intelligent integrated plant growth system and a process of growing plant thereof
KR102475601B1 (en) Light source module for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1516732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on of plant-curture factory
CN205161283U (en) Intelligence planter
KR200469809Y1 (en) Cultivation device for garden products
KR20130065828A (en) Plants factor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2035326B1 (en) IoT-BASED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THAT INTRODUCE OUTDOOR AIR USING CONTROL DATA ON NUMBER AND RACE OF PLANTS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KR101463982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equipped with LED lighting
KR102413073B1 (en)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KR101954229B1 (en) Smart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smart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of-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