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02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802B1
KR102474802B1 KR1020170121951A KR20170121951A KR102474802B1 KR 102474802 B1 KR102474802 B1 KR 102474802B1 KR 1020170121951 A KR1020170121951 A KR 1020170121951A KR 20170121951 A KR20170121951 A KR 20170121951A KR 102474802 B1 KR102474802 B1 KR 10247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ignal
wake
volta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3319A (en
Inventor
유종일
이한길
신원호
정지현
임태곤
서주성
오범영
송봉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0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장치 및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and the switch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wake-up signal.

Description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압 분배 방식의 스위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웨이크 업(wake-up) 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generating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 voltage distribution type switch.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시트(seat)는 실내 전방측에 운전석시트와 운전석 시트의 측부에 동승석 시트가 위치하고, 실내 후방측에는 좌측 및 우측의 후석 시트들이 각각 설치된다.In general, as for seat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s seat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driver's seat at the front side of the interior, and left and right rear seats are installed at the rear side of the interior, respectively.

한편, 차량에는 여러 가지의 전자 제어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 수동으로 조절되던 차량 내부의 각종 장치 및 시스템 역시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Meanwhile, various electronic control systems are applied to vehicles. As a result, various devices and systems inside the vehicle, which were manually controlled in the past, are also electronically controlled.

그 중 차량 시트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 역시 일 예에 해당한다. 기존에는 레버를 회전시키거나 당김으로써 위치를 제어해왔지만 최근에는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Among them,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seat is also an example. In the past, the position was controlled by rotating or pulling the lever, but recently, a method of electronically controlling it has emerged.

예를 들어, 차량의 시트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주행 전에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차량 시트의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seat set to suit the body shape of the driver may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efore driving.

일반적으로 차량의 파워시트는 탑승자의 착석 및 자세를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레일을 이동하는 시트프레임 위에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트레일과 시트프레임의 후미에는 운전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하고,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장치와 리클라이닝 장치를 구비한다.In general, a power seat of a vehicle is to maintain a seated posture of an occupant, and is configured to have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on a seat frame moving on a seat rail. In addition, a sliding device and a reclining device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eat rail and the seat frame to maintain a posture suitable for driving and to maintain a posture suitable for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이러한 파워시트 장치는 탑승자가 손으로 레버 또는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기적 에너지가 물리적 이동 에너지로 변화되고, 슬라이딩 및 리클라이닝 장치가 작동하여 시트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시트백을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In this power seat device, electric energy is changed into physical movement energy when the occupant manipulates a lever or switch with their hands, and the sliding and reclining device operates to move the sea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r adjust the tilt angle of the seat back. .

근래에 들면서는 탑승자의 편익을 도모하는 측면에서 이와 같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동으로 시트를 작동하도록 한 파워시트(또는 메모리 시트라고도 칭함)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in terms of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occupants, a power seat (also referred to as a memory seat) is widely used to operate the seat by electric power using a switch.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파워시트 장치는 다수의 스위치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하여 스위치와 다수의 와이어 수, 커넥터 핀, 제어부 핀 등이 필요하고, 필요한 스위치, 와이어 및 핀 등으로 인하여 파워시트의 무게 및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ower seat device requires a switch, a number of wires, connector pins, control pins, etc. to receive a plurality of switch signals, and the weight and size of the power seat due to the necessary switches, wires and pins There are increasing problems.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 2017-0089679호.[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89679.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 분배 방식의 스위치를 이용하고, 각각의 스위치에 대응하는 공통의(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스위치 장치에서 제공하는 스위치 신호와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common (singl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switch by using a switch of a voltage distribution method, thereby using a switch signal and a wake-up signal provided by a switch device to control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pow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 vehicle capable of controlling a power sea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장치 및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and the switch devic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wake-up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상기 제어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device may output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to the control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전진 스위치 및 후진 스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 다수의 다이오드 및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including a forward switch and a reverse switch, a plurality of diodes, and resistor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웨이크업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witch device generates a wake-up signal that corresponds to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outputs the generated wake-up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wealth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럽트부,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n interrupt unit receiving the wake-up signal, a conversion unit receiving a voltage output from a switch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verting the received voltage, and the wake-up signal.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output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은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utputting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generating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and the switch device. and controlling a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output from and the wake-up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배된 전압을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outputting the divided voltage includes outputting the divided voltage to a control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generating the wakeup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on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stributed from a switch unit including the plurality of switch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fter generating the wakeup signal, outputting the generated wakeup signal to a control devic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and the wakeup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includes receiving the wakeup signal, output from a switch unit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the received voltage, converting the received voltage, and controlling a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ake-up signal and the output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스위치부에서 제공하는 스위치 신호와 웨이크업 생성부에서 제공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트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pow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eat can be controlled using a switch signal provided by a switch unit and a wake-up signal provided by a wake-up generat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스위치로부터 생성된 공통의 웨이크업 신호(하나의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웨이크업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와이어 핀 및 커넥터 핀의 무게, 사이즈 또는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mmon wake-up signal (signal for performing a wake-up function using one interrupt pin)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switches, The weight, size or number of wire pins and connector pins may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에 구비된 웨이크업 생성부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ing of generating a wakeup signal by a wakeup generating unit provided in 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uting system execu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10)은 스위치 장치(100) 및 제어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power seat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switch device 100 and a control device 200.

스위치 장치(100)는 다수의 스위치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고,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100)는 스위치부(110) 및 웨이크업 생성부(120)를 포함한다.The switch device 100 outputs voltages distributed by a plurality of switches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s. The switch device 100 includes a switch unit 110 and a wakeup generation unit 120 .

스위치부(110)는 차량의 시트의 측면 구조물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슬라이드(slide), 리클라인(recline), 틸트(tilt), 높이(height), 헤드레스트(headrest), 쿠션(cushion) 등 시트 조절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최적의 시트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스위치는 제 1 스위치(111), 리클라인 스위치는 제 2 스위치(112), 틸트 스위치는 제 3 스위치(113), 높이 스위치는 제 4 스위치(114), 헤드레스트 스위치는 제 5 스위치(115)로 명명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witch unit 110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side structure of the seat of the vehicle, and functions as a slide, recline, tilt, height, headrest, cushion, etc. Includes multiple switches for seat adjustment. Through this, the driver or passenger can find the optimal seat position with a simple operation. Here, the slide switch is the first switch 111, the recline switch is the second switch 112, the tilt switch is the third switch 113, the height switch is the fourth switch 114, and the headrest switch is the fifth switch (115), which is only an example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스위치부(110)는 각각의 스위치(각각의 전압을 분배하는 스위치)에서 분배된 전압을 제어 장치(200)의 변환부(2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10)는 웨이크업 생성부(120)에 프롭 전원(예를 들어, 5V)을 출력하고, 제어 장치(200)에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된 전압은 스위치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제어 장치(200)에서 입력될 수 있으며, 스위치 장치(100)는 스위치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간에 연결된 1개의 와이어, 커넥터 핀 또는 제어 핀(또는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를 제어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 (100) 내 제 1 스위치(111, 슬라이드 스위치)에서 생성된 5V는 VCC 전압이 걸리는 신호(입력이 없는 신호), 3.4V 내지 4V는 슬라이드 전진 신호, 2V 내지 2.7V는 슬라이드 후진 신호로 나타낼 수 있다.The switch unit 110 outputs the voltages divided by each switch (switch that distributes each voltage) to the conversion unit 220 of the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the switch unit 110 may output prop power (eg, 5V) to 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and output a forward signal and a backward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00 . Specifically, the divided voltage may be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100 and input from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switch device 100 may include one wire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A forward signal and a backward signal may be output to the control device 200 using a connector pin or a control pin (or an interrupt pin). For example, 5V generated from the first switch 111 (slide switch) in the switch device 100 is a signal with a VCC voltage (signal without input), 3.4V to 4V is a slide advance signal, and 2V to 2.7V is a signal It can be represented by a slide backward signal.

스위치부(110)는 전진 스위치(11) 및 후진 스위치(12)를 포함하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다수의 다이오드(13) 및 저항(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13)는 스위치부(110)가 동작하고, 전원 인가가 되는 경우에 스위치부(110)에서 웨이크업 생성부(120)에 지속적으로 출력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고, 저항(14)은 제어 장치(200)의 인터럽트 핀(Interrupt Pin)의 폴링 에지(Falling Edge)를 발생시켜서 출력된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including a forward switch 11 and a reverse switch 1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13 and resistors 14 . For example, the diode 13 may block the voltage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switch unit 110 to 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from being applied when the switch unit 110 operates and power is applied. , The resistor 14 may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put voltage decreases by generating a falling edge of an interrupt pin of the control device 200 .

웨이크업 생성부(120)는 스위치부(110)의 각각의 스위치에서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공통의(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생성부(120)는 제 1 스위치(111)부터 제 5 스위치(115)까지 각각의 출력된 전압을 모두 입력 받고, 공통의(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The wakeup generator 120 generates a common (singl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output from each switch of the switch unit 110 . For example, 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receives all output voltages from the first switch 111 to the fifth switch 115 and generates a common (single) wakeup signal.

웨이크업 생성부(120)는 생성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 장치(200)의 인터럽트부(210)로 출력한다.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outputs the generated wakeup signal to the interrupt unit 210 of the control device 200 .

제어 장치(200)는 스위치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웨이크업 생성부(120)로부터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200)는 인터럽트부(210), 변환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한다.The control device 200 controls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y using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200 and the wakeup signal received from the wakeup generating unit 120 . This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n interrupt unit 210, a conversion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인터럽트부(210)는 스위치 장치(100)의 웨이크업 생성부(12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다.The interrupt unit 210 receives a wake-up signal from the wake-up generating unit 120 of the switch device 100 .

변환부(220)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를 포함하고, 스위치 장치(100)의 각각의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을 변환한다.The converter 220 includes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receives a voltage output from each switch of the switch device 100, and converts the received voltage.

제어부(230)는 인터럽트부(210) 및 변환부(220)가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 및 출력된 전압에 따라 시트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시트(미도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시트 모터는 스위치 장치(100)의 조작에 따라 시트가 조절되도록 구동력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써,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driving of a seat motor (not shown) according to the wake-up signal received by the interrupt unit 210 and the conversion unit 220 and the output voltage to control a seat (not show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seat motor is configured to output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100, and thus corresponds to a general technology,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specif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부(110)는 각각의 스위치(각각의 전압을 분배하는 스위치)에서 분배된 전압을 제어 장치(200)의 변환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110)는 웨이크업 생성부(120)에 프롭 전원(예를 들어, 5V)을 출력하고, 제어 장치(200)에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배된 전압은 스위치 장치(100)에서 출력되고, 제어 장치(200)에서 입력될 수 있으며, 스위치 장치(100)는 스위치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간에 연결된 1개의 와이어, 커넥터 핀 또는 제어 핀(또는 인터럽트 핀)을 이용하여 전진 신호 및 후진 신호를 제어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 (100) 내 제 1 스위치(111, 슬라이드 스위치)에서 생성된 5V는 VCC 전압이 걸리는 신호(입력이 없는 신호), 3.4V 내지 4V는 슬라이드 전진 신호, 2V 내지 2.7V는 슬라이드 후진 신호로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witch unit 110 may output voltages divided by each switch (switch for distributing each voltage) to the conversion unit 220 of th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switch unit 110 may output prop power (eg, 5V) to 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and output a forward signal and a backward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00 . Specifically, the divided voltage may be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100 and input from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switch device 100 may include one wire connected between the switch device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A forward signal and a backward signal may be output to the control device 200 using a connector pin or a control pin (or an interrupt pin). For example, 5V generated from the first switch 111 (slide switch) in the switch device 100 is a signal with a VCC voltage (signal without input), 3.4V to 4V is a slide advance signal, and 2V to 2.7V is a signal It can be represented by a slide backward signal.

스위치부(110)는 전진 스위치(11) 및 후진 스위치(12)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복수의 다이오드(13) 및 저항(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이오드(13)는 스위부(110)가 동작하여 전원 인가 시, 스위치부에서 웨이크업 생성부에 지속적으로 출력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저항(14)은 제어 장치(200)의 인터럽트 핀(Interrupt Pin)의 폴링 에지(Falling Edge)를 발생시켜 출력된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witch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es including a forward switch 11 and a reverse switch 1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13 and resistors 14 . For example, when the switch unit 110 operates and power is applied, the diode 13 blocks the voltage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switch unit to the wake-up generating unit from being applied, and the resistor 14 blocks the control device 200 from being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output voltage decreases by generating a falling edge of the interrupt pin of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에 구비된 웨이크업 생성부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ing of generating a wakeup signal by a wakeup generating unit provided in a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웨이크업 생성부(120)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 1 스위치(예를 들어, 분배된 전압을 생성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111)는 입력 없는 신호(No input, 5V),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 2 스위치(예를 들어, 분배된 전압을 생성하는 리클라인 스위치, 112)는 입력 없는 신호(No input),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이 없는 신호는 5V이고, VCC 전압이 걸린 상태의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10)은 제 1 스위치(111) 및 제 2 스위치(112)의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생성된 웨이크업 신호의 생성 타이밍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looking at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wake-up signal of the wake-up generation unit 120 in detail, the first switch (eg, a slide switch generating a divided voltage, 111) has no input signal ( No input, 5V), forward signal (eg 3.7V), reverse signal (eg 2.38V), and a second switch (eg recline switch that generates a divided voltage) , 112) may operate with a no input signal, a forward signal (eg, 3.7V), or a backward signal (eg, 2.38V). Here, the signal without input is 5V, and means a signal in a state where the VCC voltage is applied. For example, the power seat control system 10 of the vehicle generates a wake-up signal generated from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timing can be known.

제 1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는 입력이 없는 신호에서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로 출력된 전압이 변화하고, 제 2 스위치(112)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인 경우에,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는 슬립(sleep) 상태에 있다가 제 1 스위치(111)에서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first period, the first switch 111 changes the voltage output from a signal without input to a forward signal (eg, 3.7V) or a backward signal (eg, 2.38V), and the second switch (eg, 2.38V) 112) is in the state of a signal with no input,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is in a sleep state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111.

제 2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 및 제 2 스위치(112)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이므로,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는 슬립(sleep) 상태에 있다.In the second period, since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are in a signal state with no input,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is in a sleep state.

제 3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이고, 제 2 스위치(112)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에서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로 출력된 전압이 변화하는 경우에,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는 슬립(sleep) 상태에 있다가 제 2 스위치(112)에서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third period, the first switch 111 is in a signal state with no input, and the second switch 112 is in a signal state with no input, forward signal (eg, 3.7V), reverse signal (eg,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output to 2.38V) changes,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is in a sleep state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 112. do.

제 4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 및 제 2 스위치(112)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이므로,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는 슬립(sleep) 상태에 있다.In the fourth period, since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are in a state of signals with no input,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is in a sleep state.

제 5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에서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로 출력된 전압이 변화하고, 제 2 스위치(112)는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인 경우에, 웨이크업 신호 생성부(120)는 슬립(sleep) 상태에 있다가 제 1 스위치(111)에서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fifth period, the first switch 111 changes the voltage output as a forward signal (eg, 3.7V) from the signal state without input, and the second switch 112 changes the state of the signal without input. In this case, the wakeup signal generator 120 is in a sleep state and generates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output from the first switch 111 .

제 6 구간에서는, 제 1 스위치(111)는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로 출력된 전압이 변화하고, 제 2 스위치(112)는 전진 신호(예를 들어, 3.7V), 후진 신호(예를 들어, 2.38V)로 출력된 전압이 변화하는 경우에, 제 1 스위치(111) 및 제 2 스위치(112)에서 동시에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한다.In the sixth period, the first switch 111 changes the output voltage in the state of a forward signal (eg, 3.7V), a backward signal (eg, 2.38V), and a signal without an input, and the second When the voltage output as the forward signal (eg, 3.7V) or the reverse signal (eg, 2.38V) of the switch 112 changes, the first switch 111 and the second switch 112 At the same time, a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is gen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computing system execu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and a storage connected through a bus 1200.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commands stored in the memory 1300 and/or the storage 1600 . The memory 1300 and the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directly implemented as hardw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0, a soft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A software module resides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a removable disk, or a CD-ROM. You may.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and the processor 1100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with the processor 1100.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 ASIC may reside within a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11: 전진 스위치
12: 후진 스위치
13: 다이오드
14: 저항
100: 스위치 장치
110: 스위치부
111: 제1스위치
112: 제2스위치
113: 제3스위치
114: 제4스위치
115: 제5스위치
120: 웨이크업 생성부
200: 제어 장치
210: 인터럽트부
220: 변환부
230: 제어부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장치
15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장치
1600: 스토리지
17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 Vehicle's power seat control system
11: forward switch
12: reverse switch
13: diode
14: Resistance
100: switch device
110: switch unit
111: first switch
112: second switch
113: third switch
114: fourth switch
115: 5th switch
120: wake-up generating unit
200: control device
210: interrupt unit
220: conversion unit
230: control unit
1000: computing system
1100: processor
1200: system bus
1300: memory
1310: ROM
1320: RAM
1400: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500: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600: storage
1700: network interface

Claims (10)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전압에 대응하는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장치; 및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모두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인 것에 대응하여 슬립(sleep) 상태에 있거나, 상기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웨이크업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a switch device that outputs a voltage divided by a switch unit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generates on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utput voltage;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and the wake-up signal.
including,
The switch device,
and a wake-up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on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stributed by the switch unit or in a sleep state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a signal having no input of all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b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상기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device,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voltage distributed in the switch unit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to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전진 스위치 및 후진 스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스위치, 다수의 다이오드 및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witch unit,
The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plurality of switches, a plurality of diodes and resistors including a forward switch and a reverse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생성부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ake-up generation unit,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wake-up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럽트부;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device,
an interrupt unit receiving the wake-up signal;
a conversion unit for receiving a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 unit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verting the received voltage; and
Power seat control system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ake-up signal and the output voltage.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모두 입력이 없는 신호의 상태인 것에 대응하여 슬립 상태에 있거나, 상기 스위치부에서 분배된 전압에 대응하는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
outputting a divided voltage from a switch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generating one wake-up signal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stributed by the switch unit or being in a sleep state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a signal having no input of all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based on a voltage output from a switch device including the switch unit and the wakeup signa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배된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분배된 전압을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divided voltage,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divided voltage to a control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
상기 생성된 웨이크업 신호를 제어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fter generating the wake-up signal,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of a vehicle,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generated wake-up signal to a control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로부터 출력된 전압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파워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스위치부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압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및 상기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트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파워시트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Controlling the power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switch device and the wake-up signal,
receiving the wake-up signal;
receiving a voltage output from a switch unit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verting the received voltage; and
Controlling a sea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wake-up signal and the output voltage.
KR1020170121951A 2017-09-21 2017-09-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KR102474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51A KR102474802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51A KR102474802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19A KR20190033319A (en) 2019-03-29
KR102474802B1 true KR102474802B1 (en) 2022-12-06

Family

ID=6589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51A KR102474802B1 (en) 2017-09-21 2017-09-2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0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519A (en) 2000-09-26 2002-04-12 Alps Electric Co Ltd Wake-up starting circuit
KR101131526B1 (en) 2010-10-25 2012-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Wake up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JP2014145188A (en) 2013-01-29 2014-08-14 Asmo Co Ltd Opening/closing member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2583B (en) * 1996-03-05 1997-04-11 Microchip Tech Inc Integrated voltage regulating circuit useful in high voltage electronic encoders
KR19990051908A (en) * 1997-12-20 1999-07-05 홍종만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memory power seat
KR101031962B1 (en) * 2008-11-26 2011-04-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memory power seat for a car
KR101814974B1 (en) 2016-01-27 2018-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t for vehicl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position controlling method of sea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8519A (en) 2000-09-26 2002-04-12 Alps Electric Co Ltd Wake-up starting circuit
KR101131526B1 (en) 2010-10-25 2012-04-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Wake up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JP2014145188A (en) 2013-01-29 2014-08-14 Asmo Co Ltd Opening/closing member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19A (en)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0654B (en) Pre-impact seat actuator system and method
US9073574B2 (en)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interior
US9340126B2 (en)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seats
US9975453B2 (en) Apparatus for controlled power sea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7387184B2 (en) Setting system for pre-crash setting of a motor vehicle seat
US20150137564A1 (en)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seats
JP4306534B2 (en) Crew protection device
US10386936B2 (en) Power wheelchair hand control with dual configurable keypads
US8042868B2 (en) Power seat system for vehicle
CN110949223B (en) Vehicle seat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4456861A (en) Automatic positioning system for fully reclining vehicle seats
US102937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US9994126B2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front and rear seats for vehicle
AU2003243625A1 (en) Automotive seat with control system
US1114855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seatback
KR1024748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of vehicle
JP2009247080A (en) Vehicle seat device
US9559622B2 (en) Motor driving device, electronic appliance, and vehicle
CN105774705B (en) A kind of seat attitude control method and system
CN205130975U (en) Automobile electric seat control system
CN109435788B (en) Vehicle seat remote control system and vehicle seat remote control method
CN207916759U (en) A kind of vehicle seat position memory storage
KR20170119041A (en) Bed type seat in Automobile
JP2011042293A (en) Seat state-changing device
KR19980072532A (en) Position regeneration device of car outside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