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426B1 -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426B1
KR102471426B1 KR1020210094496A KR20210094496A KR102471426B1 KR 102471426 B1 KR102471426 B1 KR 102471426B1 KR 1020210094496 A KR1020210094496 A KR 1020210094496A KR 20210094496 A KR20210094496 A KR 20210094496A KR 102471426 B1 KR102471426 B1 KR 102471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mart lighting
input
output interfac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6359A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이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희 filed Critical 이광희
Priority to KR1020210094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426B1/en
Publication of KR20210116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LE 메쉬 노드의 그룹 설정을 노드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BLE 메쉬 노드의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한 저전력 무선 통신부;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저전력 무선 통신부와 통신하고, 저전력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서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무선 통신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미리 입력된 그룹 정보를 공유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들로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group of BLE mesh nodes as an input/output interface of the node and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group setting of BLE mesh n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a ligh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emit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hares group information input in advance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o the smart lighting devices.

Figure 112021083283607-pat00001
Figure 112021083283607-pat00001

Description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BLE mesh group and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조명 등기구에 센서를 부착하여 조명 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s sensor network technology develop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mart lighting technology that can control lighting fixtures by attaching sensors to lighting fixtur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스마트 조명 기술은 다수의 조명을 운영할 경우에 운영자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다만, 스마트 조명의 경우에도 이를 시공할 때 개별 조명에 대한 설정을 설치 작업자가 직접 해야 하고, 복수의 조명에 대한 설정 작업에 오류가 발생하면 재시공을 하거나 설정 정보를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Smart lighting technology can increase the operator's convenience when operating multiple lights. However, even in the case of smart light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worker must directly set the individual lighting when constructing it, and if an error occurs in the setting operation for a plurality of lights, re-construction or changing the setting information is required.

건물의 특정 장소에 수십개 수백개의 개별 조명을 설치할 경우에 각각의 조명은 식별 정보를 갖고 있다. 작업자는 개별 조명을 설치하면서 해당 조명의 식별 정보와 설치 장소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해두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구축한다.When dozens or hundreds of individual lights are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of a building, each light h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le installing individual lights, the operator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lights and arranges them into a database, and builds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lights based on this database.

이러한 설치 과정에서 작업자가 조명의 식별 정보를 구별하지 않고 시공 계획서와 다르게 조명을 설치한다거나 올바르게 설치하였더라도 데이터베이스에 잘못된 정보를 입력할 경우에는 해당 조명을 올바르게 제어할 수 없으므로 재시공을 하거나 오류가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지적되었다.During this installation process, if a worker installs lighting differently from the construction plan without distinguis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lighting, or if incorrect information is entered into the database even if it is installed correctly, the lighting cannot be controlled correctly. Difficulties to be corrected were noted.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조명을 인식하여 등록시켜두면, 등록된 조명 간에 서로를 식별하고, 공통 요소에 따라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체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조명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ifficulty, when lighting is recognized and registered,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a lighting system capable of self-grouping settings so that registered lights can identify each other and perform grouping according to common elements.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856891호(공고일 : 2018.05.10)Patent Document 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56891 (Announcement date: 2018.05.10)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5644호(공개일 : 2019.07.01)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5644 (published date: 2019.07.01) 특허문헌 3 :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1809호(공개일 : 2014.07.01)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1809 (published date: 2014.07.01) 특허문헌 4 :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32845호(공개일 : 2019.03.28)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2845 (published date: 2019.03.28) 특허문헌 5 : 한국등록특허 제10-1932686호(공고일 : 2018.12.27)Patent Document 5: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32686 (Announcement date: 2018.12.27)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스마트 조명 장치내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그룹 정보를 입력하여, 스마트 조명 장치들을 간편하게 BLE 메쉬 그룹화할 수 있는 BLE 메쉬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by the above-described need, is a smart lighting system capable of setting BLE mesh grouping that can easily group BLE mesh smart lighting devices by inputting group information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provided in a smart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It aims to provide a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한 저전력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와 통신하고,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서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미리 입력된 그룹 정보를 공유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들로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BLE mesh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a lighting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emits light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in advance.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delivered to smart lighting devices that share the input group information.

이 경우에,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ngy)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Bluetooth Low Energy.

이 경우에,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로써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단자 또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GPIO) terminal or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as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이 경우에, 상기 GPIO 단자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ing Switch), 엔코더 스위치(Encoder Switch) 및 딥 스위치(Dip Switc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엔코더 스위치 및 상기 딥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을 설정한다.In this case, the GPIO terminal further connects at least one or more of a sliding switch, an encoder switch, and a dip switch, and the slide switch, the encoder switch, and the dip switch. A switch is operated to set the input/output interface method of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한편, 상기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B(Universal Serial Bus),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및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이다.Meanwhile, th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is at least one of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B (Universal Serial Bus),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I2C (Inter-Integrated Circuit) method.

한편,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그룹화 정보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그룹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btains grou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ompares the obtained grouping information with group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if they are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스마트 조명 장치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그룹 정보를 입력하여 BLE 메쉬 그룹 설정하는 단계; 및 스마트 조명 장치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다른 스마트 조명 장치로 인접한 스마트 조명 장치로 BLE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BLE mesh grou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tting a BLE mesh group by inputting group information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provided in the smart lighting devic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smart lighting device, broadcasting the control signal to other smart lighting devices adjacent to the smart lighting device using the BLE mesh network.

이 경우에, 상기 BLE 메쉬 그룹 설정하는 단계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일한 그룹 정보를 갖는 스마트 조명 장치들 간에 동일한 그룹으로 인식한다.In this case, in the setting of the BLE mesh group, smart lighting devices having the same group information are recognized as the same group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조명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룹 정보를 전달하면 조명은 자체적으로 그룹을 설정하고,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group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n interface provided in a smart light, the light sets its own group,

스마트 조명에 직접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여타 BLE 메쉬 디바이스에 그룹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와 같은 그룹 지정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으며, By assigning groups directly to smart ligh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group designatio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smart pads required for setting groups in other BLE mesh devices are not required,

설치된 조명 장치에 대한 정보의 오류가 있더라도 그룹 재설정이 간단하여 기존 그룹에 신규 조명의 추가, 삭제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Even if there is an error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ed lighting device, group resetting is simple, so you can freely add or delete new lights to the existing group,

개별 조명에 대한 그룹화 방식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조명 설치 작업자, 운용자, 사용자 등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Since the grouping method for individual lighting can be set in various ways, 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ability of lighting installation workers, operators, and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를 이용한 그룹 정보 입력에 따른 그룹화의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엔코더 스위치 또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룹화 정보를 입력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한 그룹화의 결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룹화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의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를 4×7 배열하여 그룹화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룹별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메쉬 네트워크 그룹 내 노드를 갱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그리고,
도 10은 그룹화 결과에서 일부 노드를 변경할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illustrating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lf-grouping sett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2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grouping according to group information input using a slid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grouping information using an encoder switch or a dip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result of grouping for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lighting for a plurality of grouped smart lighting devices shown in FIG. 4 by way of exampl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smart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and grouped in a 4×7 arrange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orming a mesh network for each group shown in FIG. 6;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pdating nodes in the mesh network group shown in FIG. 7;
9 is a flowchart exemplarily illustrating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roblems that occur when changing some nodes in a grouping result;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범위에서 필수적인 구성만을 설명하였고,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구성이나 유사한 구성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mart lighting device described below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essential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esigned with additional configurations or similar configu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체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100, 이하 스마트 조명 장치라 함)는 저전력 무선 통신부(110)와 조명부(13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lf-grouping sett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1 , a smart light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lf-grouping sett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a lighting unit 130.

저전력 무선 통신부(11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 BLE)와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GPIO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GPIO와 통신 인터페이스에는 추가 또는 대체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및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Bluetooth Low Energy (BLE) and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Here, the input/output interface includes GPIO and communication interface. GPIO and communication interface can be expanded with various switches and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s that can be added or replaced.

구체적으로 다용도 입출력(General Purpose Input Output : GPIO)는 입력이나 출력을 포함한 동작이 런타임 시에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집적 회로나 전기 회로 기판의 디지털 신호 핀을 의미한다. GPIO는 특정한 목적이 미리 정의되지 않으며 기본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GPIO는 어셈블리 레벨의 회로망 설계자(집적 회로 GPIO의 경우에는 회로 기판 설계자, 기판 레벨 GPIO의 경우에는 시스템 통합자, S/I)에 의해 구현되어 있다.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GPIO의 목적과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Specifically, a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GPIO) refers to a digital signal pin of an integrated circuit or electronic circuit board whose operation including input or outpu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at runtime. GPIOs have no predefined purpose and are not used by default. GPIOs are implemented by assembly-level circuitry designers (circuit board designers in the case of integrated circuit GPIOs, system integrators in the case of board-level GPIOs, S/I). When using this, the purpose and operation of GPIO can be defined.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전송 라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방법이다.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는 UART, USB, SPI 및 I2C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Here, th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is a communication method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one or two transmission lines. Various methods such as UART, USB, SPI, and I2C can be applied to th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UART(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병렬 데이터의 형태를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일종이다. UART는 일반적으로 EIA RS-232, RS-422, RS-485와 같은 통신 표준과 함께 사용한다. UART의 통신 데이터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에 들어 있어 이것을 차례대로 읽어 직렬화 하여 통신한다. 최대 8비트가 기본 단위이다.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s a type of computer hardware that transmits data by converting the form of parallel data into a serial method. UART is commonly used with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EIA RS-232, RS-422, and RS-485. The communication data of UART is stored in memory or register, and it is read sequentially and serialized for communication. A maximum of 8 bits is the basic uni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는 하드웨어(예,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프로토콜이다.Universal Serial Bus (USB) is an input/output standard protocol used to connect hardware (e.g., a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버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 SPI)는 아키텍처 전이중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모토로라 아키텍처에 이름을 딴 동기화 직렬 데이터 연결 표준이다. 장치들은 마스터-슬레이브 모드로 통신하며, 여기서 마스터 장치는 데이터 프레임을 초기화한다. 여러 슬레이브 장치들은 개별 슬레이브 셀렉트(칩 셀렉트) 라인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The Serial Peripheral Interface Bus (SPI) is a synchronous serial data connection standard named after the Motorola architecture that operates in an architectural full-duplex communication mode. Devices communicate in master-slave mode, where the master device initiates data frames. Multiple slave devices can operate with individual slave select (chip select) lines.

I2C(Inter-Integrated Circuit)는 필립스에서 개발한 직렬 버스이다. 마더보드, 임베디드 시스템, 휴대 전화 등에 저속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이다.I2C (Inter-Integrated Circuit) is a serial bus developed by Philips. It is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used to connect low-speed peripherals such as motherboards, embedded systems, mobile phones, etc.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GPIO에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 엔코더 스위치(Encoder Switch), 딥 스위치(Dip Switch) 등을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저전력 무선 통신부(110)와 조명부(130) 사이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그룹 정보를 전달하여 자체 그룹화를 달성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output interface between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lighting unit 130 by additionally connecting a sliding switch, an encoder switch, a dip switch, etc. to the GPIO. method can be set. Group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nterface method set in this way so as to achieve self-grouping.

여기서 자체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는 각각의 노드(스마트 조명 장치)가 네트워크에 대해 데이터를 릴레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이다. 모든 메시 노드들은 네트워크 내의 제어 신호의 전파에 협업한다. 이러한 메쉬 네트워크는 무선 방식과 유선 방식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Here, a self-formed mesh network is a network topology in which each node (smart lighting device) relays data to the network. All mesh nodes cooperate in the propagation of control signals within the network. Such a mesh network can be applied to both a wireless method and a wired method.

본 발명의 경우에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의 설정에 따라 스마트 조명 장치가 자체적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smart lighting device can be grouped by itself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를 이용한 그룹 정보 입력에 따른 그룹화의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해서 GPIO에 연결된 슬라이딩 스위치(Sliding Switch)를 제1 위치로 위치시키는 조작을 통해서 해당 조명부(130)의 그룹 정보를 제1 그룹화 정보로 전달한다. 즉,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에 대해서 슬라이딩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위치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3)를 제1 그룹으로 자체적 그룹화 하기 위한 제1 그룹화 정보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서, 슬라이딩 스위치에 의해서 GPIO를 통해서 조명부(130)의 그룹화 정보를 제1 그룹화 정보로 입력하면, 제1 그룹화 정보가 입력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3)는 동일한 제어 신호(제1 그룹화 정보로 설정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서 동일하게 일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마치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함을 의미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grouping according to group information input using a sliding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a) , for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3, the corresponding lighting unit 130 is operated by positioning a sliding switch connected to a GPIO to a first position. Group information is delivered as first grouping information. That is, the first grouping for self-grouping the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3 into the first group by manipulating the button to the first position using the sliding switch for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 convey information In other words, when the grouping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130 is input as the first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GPIO by the sliding switch,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3 to which the first grouping information is input are controlled under the same control. Since it can be equally collectively controlled by a signal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smart lighting devices set as the first grouping information), it means that they operate as one group.

도 2(b)를 참고하면 슬라이딩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룹화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딩 스위치를 제1 위치로 위치시켜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1 내지 110-3)를 제1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하도록 한다. 이렇게 GPI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1 그룹화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1 내지 110-3)는 제1 그룹으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슬라이딩 스위치를 제4 위치로 위치시켜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4 내지 110-5)를 제2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 하도록 한다. 이렇게 GPI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그룹화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4 내지 110-5)는 제2 그룹으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b) , a method of inputting grouping information using a sliding switch can be confirmed. By placing the sliding switch in the first positio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1 to 110-3 are self-grouped into the first group.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1 to 110-3 receiving the first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GPIO interface in this way form a mesh network as a first group. In the same way, the sliding switch is positioned at the fourth position to self-group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4 to 110-5 into the second group.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 - 4 to 110 - 5 receiving the second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GPIO interface form a mesh network as a second group.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엔코더 스위치 또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룹화 정보를 입력하는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10)에 대해서 GPIO에 연결된 엔코더 스위치(Encoder Switch) 또는 딥 스위치(Dip Switch)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10)에 대해서 각각의 그룹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nputting grouping information using an encoder switch or a dip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10) are connected to GPIOs by using encoder switches or dip switches. 100-6 to 100-10) may deliver each grouping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엔코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 버튼을 위치시킴으로써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에 대해서는 제3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엔코더 스위치를 제2 위치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에 대해서 제3 그룹화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는 제3 그룹으로 자체적 그룹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엔코더 스위치에 의해서 GPIO를 통해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를 제3 그룹으로 설정하면, 제3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는 동일한 제어 신호(제3 그룹으로 설정된 스마트 조명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서 동일하게 일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마치 하나의 그룹으로 동작함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can be self-grouped into a third group by placing the button in the second position using the encoder switch. By manipulating the button to move the encoder switch to the second position, third group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and the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will form its own group as the third group. 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are set as the third group through the GPIO by the encoder switch,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self-grouped into the third group 8) can be equally collectively controlled by the same control signa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mart lighting devices set to the third group), meaning that they operate as one group.

도 3(b)를 참고하면 엔코더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3 그룹을 설정하는 방식과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4 그룹을 설정하는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엔코더 스위치를 제2 위치로 위치시켜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6 내지 110-8)을 제3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하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제3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6 내지 110-8)는 제3 그룹으로 메쉬 네트워크를 자체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딥 스위치를 제1 설정값으로 위치시켜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9 내지 110-10)을 제4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하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제4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10-9 내지 110-10)는 제4 그룹으로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을 자체적으로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b) , it can be seen how to set the third group using an encoder switch and how to set a fourth group using a dip switch. By placing the encoder switch in the second positio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6 to 110-8 are set to self-group into a third group.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 - 6 to 110 - 8 receiving the third group information in this way form a mesh network by themselves as a third group. In the same manner,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 - 9 to 110 - 10 are set to self-group into a fourth group by positioning the dip switch to the first set value.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10 - 9 to 110 - 10 receiving the fourth group information in this way form a BLE mesh network group by themselves as the fourth grou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한 그룹화의 결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슬라이딩 스위치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GIP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1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3)는 제1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가 되도록 설정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result of grouping for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a) , by placing the sliding switch in the first positio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3 receiving first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GIPO interface connect to the first BLE mesh network. It is set to self-group as a group.

도 4(b)를 참고하면, 슬라이딩 스위치를 제4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GIP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2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4 내지 100-5)는 제2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가 되도록 설정된다. Referring to FIG. 4 (b), by placing the sliding switch in the fourth positio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4 to 100-5 receiving the second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GIPO interface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LE mesh network. It is set to self-group as a group.

도 4(c)를 참고하면, 엔코더 스위치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GIP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3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6 내지 100-8)는 제3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가 되도록 설정된다. Referring to FIG. 4(c) , by placing the encoder switch in the first position,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6 to 100-8 receiving the third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GIPO interface are connected to the third BLE mesh network. It is set to self-group as a group.

도 4(d)를 참고하면, 딥 스위치의 값을 제1 설정값으로 세팅함으로써, GIPO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4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9 내지 100-10)는 제4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가 되도록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4 (d), by setting the value of the dip switch to the first set value,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9 to 100-10 receiving the fourth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GIPO interface It is set to self-group as a BLE mesh network group.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그룹화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한 조명 제어의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10개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10)에 대해서 각각에 대해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각 BLE 네트워크 그룹별로 그룹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10)를 BLE 네트워크 그룹별로 자체 그룹화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lighting for a plurality of grouped smart lighting devices shown in FIG. 4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 are transmitted by transmitting group information for each BLE network group through an interface for each of the 10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10. -10) to enable self-grouping for each BLE network group.

이때,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10)는 복수의 그룹화(제1 그룹 내지 제4 그룹)됨으로써, 같은 그룹의 스마트 조명 장치는 특정 제어 신호에 대해서 동일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10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first to fourth groups), so that the smart lighting devices of the same group perform the same control operation for a specific control signal. .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로부터 발생된 제1 제어 신호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10)로 전송된다. 제1 제어 신호는 그룹 식별 정보와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제어 신호의 그룹 식별 정보는 "Dip Switch", "101" 값을 포함하고, 제어 정보는 파워(Power)를 온(On)시키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제어 신호가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10)에 전송되면, 각 그룹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수신된다. 이때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조명 장치 중 그룹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9, 100-10)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8)는 수신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즉, 제1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9 스마트 조명 장치(100-9)와 제10 스마트 조명 장치(100-10)는 전원(Power)를 온(On)시키도록 동작한다. 반면에 나머지 스마트 조명 장치(100-1 내지 100-8)는 제1 제어 신호에도 불구하고 별도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first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10. The first control signal includes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rol signal includes values of "Dip Switch" and "101", and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power-on information. When such a firs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10, it is received by at least one smart lighting device for each group. At this time, among the smart lighting devices receiv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smart lighting devices 100 - 9 and 100 - 10 matching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However, the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8 that do not match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control signal do not execute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first control signal. 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ninth smart lighting device 100-9 and the tenth smart lighting device 100-10 operate to turn on power.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smart lighting devices 100-1 to 100-8 do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despite the first control signal.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동일한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스마트 조명 장치는 동일한 BLE 네트워크 그룹으로 자체적으로 그룹화하여 동일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를 할 수 있다.In this way, by transmitting grouping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the smart lighting devices receiving the same group information can group themselves into the same BLE network group and control them using the same control signal.

이렇게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전달하면, 동일한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는 하나의 노드(Node)로 동작하고, 복수의 노드는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 예를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In this way, when group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the smart lighting device receiving the same group information operates as one node, and the plurality of nodes form a mesh network. An example of forming a mesh networ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를 4×7 배열하여 그룹화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그룹은 제1 노드, 제3 노드, 제8 노드 및 제9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그룹은 제3 노드, 제4 노드, 제5 노드, 제6 노드, 제10 노드, 제11 노드, 제12 노드 및 제13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그룹은 제15 내지 20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4 그룹은 제7 노드 제14 노드 및 제21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노드 제22 내지 28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 정보가 아직 전달되지 않았으므로 그룹을 형성하지 못한 미배정 상태로 남아 있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smart ligh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and grouped 4×7.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group is composed of a first node, a third node, an eighth node, and a ninth node. The second group is composed of a third node, a fourth node, a fifth node, a sixth node, a tenth node, an eleventh node, a twelfth node, and a thirteenth node. The third group consists of 15th to 20th nodes. The fourth group is composed of the seventh node, the fourteenth node, and the twenty-first node. Nodes 22 to 28 remain in an unassigned state in which a group has not been formed because group information has not yet been transferred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7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28개의 복수의 스마트 조명 장치는 28개의 노드로 취급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일한 그룹 정보를 전달받은 스마트 조명 장치는 동일한 그룹을 자체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는 1개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개로 구성된 노드에 의해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예를 별도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28 smart lighting devices arranged in a 4×7 matrix are treated as 28 nodes, and the smart lighting devices receiving the same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form the same group on their own. will do The smart lighting device belonging to the same group may be composed of only one or a plurality of smart lighting devices. Hereinafter, an example of forming a mesh network by a plurality of nod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parate drawings.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그룹별로 메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그룹은 제1, 2, 8, 9 노드로 구성되고, 이들 노드들에 의해서 제1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을 구축하게 된다(도 7(a) 참고). 제2 그룹은 제3, 4, 5, 6, 10, 11, 12, 13 노드로 구성되고, 이들 노드들에 의해서 제2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을 구축하게 된다(도 7(b) 참고). 제3 그룹은 제15, 16, 17, 18, 19, 20 노드로 구성되고, 이들 노드들에 의해서 제3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을 구축하게 된다(도 7(c) 참고). 제4 그룹은 제7, 14, 21 노드로 구성되고, 이들 노드들에 의해서 제4 BLE 메쉬 네트워크 그룹을 구축하게 된다(도 7(d) 참고).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orming a mesh network for each group shown in FIG. 6 .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group is composed of nodes 1, 2, 8, and 9, and a first BLE mesh network group is built by these nodes (see FIG. 7 (a)). The second group is composed of nodes 3, 4, 5, 6, 10, 11, 12, and 13, and a second BLE mesh network group is built by these nodes (see FIG. 7 (b)). The third group is composed of nodes 15, 16, 17, 18, 19, and 20, and a third BLE mesh network group is built by these nodes (see FIG. 7(c)). The fourth group is composed of the 7th, 14th, and 21st nodes, and the 4th BLE mesh network group is built by these nodes (see FIG. 7(d)).

도 7에 도시된 제1 그룹으로 구성되는 제1 메쉬 그룹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룹 식별 정보와 매칭이 되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노드 외에도 주변 노드들에게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하는 제12 노드에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 식별 정보(제2 그룹화 정보 정보)와 매칭되는 제2 그룹에 속하는 그 밖의 노드들에도 제2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3 그룹에 속하는 제16 노드에 제3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3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 식별 정보(제3 그룹화 정보)와 매칭되는 제3 그룹에 속하는 그 밖의 노드들에도 제3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4 그룹에 속하는 제21 노드에 제4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4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 식별 정보(제4 그룹화 정보 정보)와 매칭되는 제4 그룹에 속하는 그 밖의 노드들에도 제4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st mesh group composed of the first group shown in FIG. 7,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neighboring nodes in addition to nod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matching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twelfth node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other node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matching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cond grou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control signal also receive the second control signal. 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 addition, when the 16th node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receives the third control signal, the other nodes belonging to the third group that match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ird grou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 control signal also receive the third control signal. signal is transmitted. In addition, when the fourth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21st node belonging to the fourth group, other nodes belonging to the fourth group that match the group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urth grou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ourth control signal also receive a second control signal. 4 I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메쉬 네트워크 그룹 내 노드를 갱신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7에 도시된 제1 그룹에 제3 노드를 추가하고, 제2 그룹에서 제3 노드를 제거하여 제1 메쉬 네트워크를 갱신하고, 제2 메쉬 네트워크를 갱신하여 노드 추가 및 제거를 반영할 수 있다.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updating nodes within the mesh network group shown in FIG. 7 . Referring to FIG. 8, a third node is added to the first group shown in FIG. 7, the third node is removed from the second group to update the first mesh network, and the second mesh network is updated to add a node and removal may be reflected.

본원의 이러한 방식에 비하여 기존 BLE 메쉽 그룹의 노드 갱신 방법에 따르면 전체 노드(28개 노드)에 대해서 스마트패드 또는 스마트단말을 이용하여 개별적인 그룹화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Compared to this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node update method of the existing BLE mesh group, there is a hassle of individually grouping using a smart pad or a smart terminal for all nodes (28 nodes).

이러한 기존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은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전달하거나 변경하는 것만으로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를 기존 그룹에서 제거하고 신규 그룹에 손쉽게 등록시킬 수 있다. 즉, 기존 BLE 메쉬 방식은 그룹화를 위해서 해당 그룹을 구성하는 노드에 대해서 그룹화 절차를 진행해 주어야 했지만, 본 발명은 BLE 메쉬에서 그룹 구성 설정을 위한 별도의 절차가 필요없이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변경해 주는 것만으로도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를 기존 BLE 메쉬 그룹에서 추가/제거하고 신규 그룹에 등록시킬 수 있다.Compared to these conventional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a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 from an existing group and easily register it in a new group simply by transmitting or changing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of the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 That is, in the existing BLE mesh method, a grouping procedure had to be performed for the nodes constituting the group for group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rocedure for group configuration setting in the BLE mesh. It is possible to add/remove a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device from an existing BLE mesh group and register it in a new group simply by changing the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is.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조명 제어 방법은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910)를 실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은 해당 스마트 조명 장치에 대해서 GPIO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화 정보를 입력하거나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조명에 대해서 특정 그룹으로 자체 그룹화가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smart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9 , the lighting control method executes a step (S910) of transmitting grouping information to a smart lighting device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The method of transmitting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is to input group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by manipulating the switch connected to the GPIO for the smart lighting device or by transmitting the group information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o be specific for the corresponding smart lighting. Groups can be set to enable self-grouping.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그룹 정보가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그룹으로 자체적으로 그룹화되고, 그룹 내에서 각각의 스마트 조명 장치(100)는 노드로 기능하며, BLE 메쉬 네트워크에서 그룹을 형성한다.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룹 정보를 확인하고, 그룹 정보가 자신의 그룹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만 해당 제어 신호를 저전력 무선 통신부(110)에서 조명부(130)로 전달한다. 저전력 무선 통신부(110)는 해당 제어 신호를 메쉬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노드에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달한다(S930).The smart lighting devices 100 are self-grouped into the same group when the group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is the same, and each smart lighting device 100 functions as a node in the group, and forms a group in the BLE mesh network. form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group information is checked, and only when the group information matches its own group information, the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fer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130.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other nodes belonging to the mesh network in a broadcasting manner (S930).

도 10은 그룹화 결과에서 일부 노드를 변경할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 그룹의 제13 노드를 제2 메쉬 네크워크에서 제거하고 제13 노드를 제1 그룹의 제1 메쉬 네트워크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은 새롭게 프로비져닝을 해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생성하여 배정한 뒤, 그룹화 단계를 거쳐서 제1 메쉬 네트워크와 제2 메쉬 네크워크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에 따른 방식에 비하여 그룹화 방식이 복잡하고, 스마트 조명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서 프로비져닝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전체 네트워크에 일부 추가나 변경이 발생할 경우에도 신규 장치 등록을 하는 방식과 동일한 절차에 따르기 때문에 절차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that occurs when some nodes are changed in a grouping result. Referring to FIG. 10, in order to remove the 13th node of the second group from the second mesh network and add the 13th node to the first mesh network of the first group, the existing method is to create and assign a network identifier through provisioning. After that, the first mesh network and the second mesh network can be updated through a grouping step. Compared to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method has a more complex grouping method and must go through provisioning to identify smart lighting devices. Therefore, even when some additions or changes occur to the entire network, the same procedure as the method of registering a new device is followed. The problem is that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그룹 정보를 스마트 조명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자체적인 그룹화를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노드에 대한 정보가 없어도 노드를 원하는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명 그룹 변경 방법을 매우 간소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group information to a smart lighting device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capable of various settings, so that it can be set to perform self-grouping. In this method, a node can be set as a desired group without information about the node, and thus, a method of changing a lighting group is greatly simplifi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자체 그룹화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110 : 저전력 무선 통신부
130 : 조명부
200 : 전자 장치
100: Smart lighting devices with self-grouping settings
110: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lighting unit
200: electronic device

Claims (8)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하고,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ngy)방식의 저전력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서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와 통신하고,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서 광을 발광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단자 또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로 구성되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해서 복수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그룹으로 지정되고, 지정된 특정 그룹과 동일 그룹에 속하는 다른 스마트 조명 장치들로 상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GPIO 단자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ing Switch), 엔코더 스위치(Encoder Switch) 및 딥 스위치(Dip Switch)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엔코더 스위치 및 상기 딥 스위치의 버튼 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조작하며,
상기 GPIO 단자에 추가된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 상기 엔코더 스위치 및 상기 딥 스위치의 버튼의 위치가 동일하면 동일 그룹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In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BLE mesh group,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using a low power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method; and
A ligh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and emitting light under control of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designated as at least one specific group among a plurality of groups by manipulating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composed of a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GPIO) terminal or a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and another member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designated specific group. Delivering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smart lighting devices,
The GPIO terminal further connects at least one of a sliding switch, an encoder switch, and a dip switch, and button positions of the slide switch, the encoder switch, and the dip switch to manipulate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by varying
If the positions of the buttons of the slide switch, the encoder switch, and the dip switch added to the GPIO terminal are the same, they are designated as the same group.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BLE mesh group,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단자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B(Universal Serial Bus),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및 I2C(Inter-Integrated Circuit)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terminal is at least one of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SB (Universal Serial Bus),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and I2C (Inter-Integrated Circuit) method BLE mesh group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mart lighting device capable of thi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무선 통신부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포함된 그룹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그룹화 정보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입력된 그룹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해당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E 메쉬 그룹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조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btains group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rol signal, compares the obtained grouping information with group information input through an input/output interfac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if they are identical. Smart lighting devices with BLE mesh group setting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94496A 2020-03-16 2021-07-19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1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96A KR102471426B1 (en) 2020-03-16 2021-07-19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258 2020-03-16
KR1020210094496A KR102471426B1 (en) 2020-03-16 2021-07-19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258 Division 2020-03-16 2020-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59A KR20210116359A (en) 2021-09-27
KR102471426B1 true KR102471426B1 (en) 2022-11-25

Family

ID=7792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96A KR102471426B1 (en) 2020-03-16 2021-07-19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291B1 (en) 2021-12-29 2023-02-08 주식회사 네오스텍 Indoor positioning and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mesh network-based lighting module
KR102415789B1 (en) 2021-12-31 2022-07-11 주식회사 노드톡스 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sensing data parallel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4646B2 (en) 2011-09-27 2018-02-2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Virtual general purpose input/output for a microcontroller
JP2015041438A (en) * 2013-08-21 2015-03-02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Illumination control system, terminal,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417801B2 (en) 2014-03-27 2016-08-16 Intel Corporation Virtual general-purpose I/O controller
KR20150095226A (en) * 2015-07-30 2015-08-2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by Group based on Wireless network
US10872049B2 (en) 2016-01-29 2020-12-22 Analog Devices, Inc. GPIO-to-GPIO communication on a multi-node daisy-chained network
KR101918999B1 (en) * 2017-03-13 2018-11-15 정환수 Digital Light Controlling System by Using Digital Multiplex
KR102366312B1 (en) 2017-09-20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reconnec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31886B1 (en) 2017-12-21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ntrrolling node in a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59A (en)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426B1 (en) Smart lighting device with BLE mesh group setting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EP2215872B1 (en) Design and control systems, commissioning tools, configuration adapters and method for wireless and wired networks design, installation and automatic formation
US20110276738A1 (en) Sensor node including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plug and play function, sensor board including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sensor device driver,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and operation method of sensor node, sensor board, and general-purpose interface port
WO2018221949A1 (en) Adaptive internet-of-things service system using detachable/attachable hardware module
CN104503796B (en) A kind of configurable whole network remote node firmware upgrade method based on IAP
CN106717127A (en) Control installation for a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putting into service said control installation
CN108881521A (en) Network ID configuration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10203526A1 (en) Control of vehicle-carried warning system through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s of global variables processed as operands of behavioral equations
Kooijman Building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Arduino
JP2019036400A (en) Lighting system, operating device, and mapping method of lighting system
CN109696832B (en) Method for support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an automation system
CA2870914C (en) Modular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nfigurable user inputs
US10342097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controller
TWI740126B (en) Pairing methods and programs for lighting appliances, terminals, lighting systems, information terminals, and lighting appliances
CN208737449U (en) A kind of board device for upgrading firmware
CN112596763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wireless upgrading of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KR102239008B1 (en) Sensor modul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assigning sensor id using the system
KR20170079389A (en) Device setup method of smart devices that control radio control devices linked with internet of things
KR20200053417A (en) Se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Kuchta et al. IQRF smart wireless platform for home automation: A case study
JP2019192538A (en) Terminal device, lighting fixture, information terminal, pairing method, and program
CN106228789A (en) Apparatus control system based on Bluetooth broadcast signal
CN109597335B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and intelligent controller
JP415567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TWI818508B (en) Communication device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s, lighting systems, and lighting contro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