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367B1 -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 Google Patents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367B1
KR102467367B1 KR1020210028116A KR20210028116A KR102467367B1 KR 102467367 B1 KR102467367 B1 KR 102467367B1 KR 1020210028116 A KR1020210028116 A KR 1020210028116A KR 20210028116 A KR20210028116 A KR 20210028116A KR 102467367 B1 KR102467367 B1 KR 102467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body part
breakaway
protrusion
unmanned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4467A (en
Inventor
설윤호
Original Assignee
설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윤호 filed Critical 설윤호
Priority to KR102021002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67B1/en
Priority to PCT/KR2022/002797 priority patent/WO2022186556A1/en
Publication of KR2022012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Anchoring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20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to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having one side recessed and having a recessed portion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 from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art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can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at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to be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movement may be limited, and the location may be moved by being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so that the location may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or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Description

이탈 방지 수단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거치하여 보관하기 위해서 회전 가능한 이탈 방지 수단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in which a rotatable departure prevention means is installed to mount and store an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한다. 최근 무인 비행체는 정찰, 공격 등의 군사적 용도 이외에 영상 촬영, 무인 택배 서비스, 재해 관측 등 다양한 민간, 상업 분야에도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무인 비행체는 사람보다 이동성이 더욱 뛰어난 장점이 있지만, 베터리의 한계로 인해 운행 시간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무인 비행체가 충전될 수 있는 충전 시스템(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6909호, 2019. 12. 11, 등록)이 개발되어 적절한 장소에 설치가 되고 있다.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s a generic term for airplanes and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hat can fly and control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Recently, in addition to military uses such as reconnaissance and attack, UAV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various civil and commercial fields such as video recording, unmanned delivery service, and disaster observation. UAV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more mobile than humans, but due to battery limitations Because of this, the running time is lim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harging system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56909, registered on December 11, 2019) that can charge an unmanned aerial vehicle has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in an appropriate place.

기존의 충전 시스템은 충전 과정에서 무인 비행체를 효과적으로 위치 고정 시키지 못하게 때문에, 무인 비행체가 효과적으로 충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Existing charging systems do not effectively fix the position of the UAV during the charging proces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AV cannot be effectively charg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 비행체를 효과적으로 위치 고정 시킬 수 있는 이탈 방지 수단이 설치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means capable of effective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저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to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having one side recessed and having a recessed portion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 from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part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can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when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position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colliding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The movement may be limited, and the location may be moved by being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so that the location may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or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소정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may be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hinge axis so as to be moved on a virtual plane having an angle of .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release body portion based on the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정면과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면이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etachable body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irst detachable body portion and the front face and the side face of the first detachable body portion are connected in a rounded manner.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상면이 제1-1 상면 및 상기 제1-1 상면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1-2 상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is formed of a 1-1 upper surface and a 1-2 upper surfac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with the 1-1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releas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와 저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when the detachable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dispos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may be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is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the second release body portion rotates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It can be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a second separation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a third separation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And, in the first release main body, when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release main body, and the second release main body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eparation. When the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and the third breakaway body part is in the insertion position when the breakaway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gainst the side end of the third detachabl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s it is, the location may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econd releas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release body portion based on the recessed por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a second separation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a third separation body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And, in the first release main body, when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release main body, and the second release main body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eparation. When the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and the third breakaway body part is in the insertion position when the breakaway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gainst the side end of the third detachable body por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3 이 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a second separation body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a third separation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And,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unit may press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part,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따르면, 보관 중의 무인 비행체의 이탈로 인한 무인 비행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sto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due to sepa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storage.

또한, 무인 비행체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mproved.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보관되는 무인 비행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ed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c)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appearing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보관되는 무인 비행체의 전체 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ir vehicle stor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10)의 일부인 돌출부(11)가 제1 방향(W10)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P100)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100) 및 상기 하우징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P100)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1 방향(W10)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W2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ide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 11, which is a par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 can be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W10. The housing part 100 in which the part P100 is formed and the protrusion part 11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100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P100,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s in the first direction W10. )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W20) may include a departure prevention unit 200 to prevent movement.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300 supporting the housing part 100 so that the housing part 10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전원공급부(미도시), 상기 함입부(P100) 상에 배치되는 단자부(300)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단자부(300)를 서로 연결되는 배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n which electrical energy is stored, a terminal unit 300 disposed on the recessed unit (P100), and a wiring unit (not shown)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terminal unit 300 to each other. city)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상기 이탈방지부(200)를 위치 이동시키는 동력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unit for mov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200, a power supply unit,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unit.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상기 함입부(P100)가 제공하는 공간인 함입 공간(S100)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00 may be moved in position on the recessed space S100, which is a space provided by the recessed part P100.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제1 방향(W10)을 상측 방향이고, 제2 방향(W20)은 하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irst direction W10 may mea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20 may mean a downward direction.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방향(W10)과 제2 방향(W20)의 구체적인 방향은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설치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pecific directions of the first direction W10 and the second direction W2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보관되는 무인 비행체(10)는 비행체본체부(12), 상기 비행체본체부(12)에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비행체본체부(12)를 공중에 부양시키는 날개부(13) 및 상기 비행제본체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함입부(P100)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air vehicle 10 stored in the unmanned air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ir vehicle main body 12 and the air vehicle body 12, and rotates the air vehicle body 12 in the air. It may include a wing part 13 for lifting and a protrusion part 11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flight body part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P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300.

무인 비행체의 돌출부(11)가 상기 함입부(P100)에 삽입된 채로 이탈방지부(200)에 의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be restrict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0 while the protrusion 11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P100.

상기 무인 비행체가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무인 비행체는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UAV is coupled to the UAV storage device, the UAV may receive electric energy from the UAV storage device.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충전 기능이 제외되고 무인 비행체를 단순히 보관하기 위해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may be used to simply sto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except for the charging function.

이하, 무인 비행체를 하우징부에 결합시킬 수 있는 이탈방지부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한다.Hereinafter,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capable of coupl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he hous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3(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3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3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200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저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in a closed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thereby limiting positional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이탈방지부는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may be rotated and moved based on a predetermined axis to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or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상기 돌출부가 삽입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부와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is in an insertion position, the protrus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part.

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입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잇다.Alternatively, when the protrusion is in an insertion position, the protrus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cave portion.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제1 이탈본체부(210)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separation body 210 and a second separation body 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210 .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detachable body part 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detachable body part 220 based on the recessed part.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0)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소정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220 may be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hinge axis so as to move in position on an imaginary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일례로, 상기 가상의 평면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inary plane may b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determined angle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제1 이탈본체부(210)는 제1 상면(210a), 제1 하면(210b), 제1 정면(210c), 제1 일측면(210d) 및 제 1타측면(210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may include a first upper surface 210a, a first lower surface 210b, a first front surface 210c, a first one side surface 210d and a first other side surface 210e.

제2 이탈본체부(220)는 제2 상면(220a), 제2 하면(220b), 제2 정면(220c), 제2 일측면(220d) 및 제2 타측면(220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main body 220 may include a second upper surface 220a, a second lower surface 220b, a second front surface 220c, a second one side surface 220d, and a second other side surface 220e.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는 상기 하우징부(100)에 고정된 힌지축(H10)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main body 210 may be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or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shaft H10 fixed to the housing 100 .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0)는 상기 하우징부(100)에 고정된 힌지축(H20)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 또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body 220 may be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or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shaft H20 fixed to the housing 100 .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돌출부(11)는 상기 제1 방향(W10)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함입부(P100)가 제공하는 함입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when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200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11 located outsid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W10 to It may be located in the recessed space provided by the recessed part (P100).

마찬가지로,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함입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11)는 제2 방향(W20)으로 위치 이동되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00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11 disposed in the recessed space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W20 and disposed outside.

상기 이탈방지부(200)가 개방 위치인 상태에서 외부에 위치되는 돌출부(11)가 상기 함입부(P100, 도1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200 is in an open position, the protruding part 11 located out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P100 (see FIG. 1).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1)가 삽입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0)와 회전되어 상기 이탈방지부는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b),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11 is inserted,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220 are rotated so that the departure preventing part is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can be moved

상기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경우보다 상기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 상기 함입 공간에는 더 큰 부피의 이탈방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a larger volume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ed space than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unit is in the open position.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상기 함입 공간과 상기 하우징부(100) 내측 공간 상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200 may be positioned over the recessed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100 .

상기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11)의 하단부는 상기 이탈방지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돌출부(11)는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part 11 is caught 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nd thus the protruding part 11 may not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when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are in the closed position, they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4(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4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4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가 구비하는 제1 이탈본체부(1210)와 제2 이탈본체부(12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detachment main body 1210 and the second detachment main body 1220 provided by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1210)의 측단부에 저촉될 수 있다.When the detachment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ding part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detachment body part 1210.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탈본체부(1210)의 힌지축(H10)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1220)의 힌지축(H20)은 동일한 측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H10 of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1210 and the hinge axis H20 of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1220 may be dispos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based on the recessed part.

상기 제1 이탈본체부(1210)는 제1 회전 방향(R10)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1210 may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0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상기 제2 이탈본체부(1220)는 상기 제1 회전 방향(R10)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R20)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main body 1220 may be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R20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0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5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5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가 구비하는 제1 이탈본체부(2210)와 제2 이탈본체부(22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detachment main body 2210 and the second detachment main body 2220 provided by the detachment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2210)의 측단부에 저촉될 수 있다.When the detachment prevention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detachment main body 2210 .

상기 제1 이탈본체부(2210)의 힌지축(H10)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20)의 힌지축(H20)은 상기 함입부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H10 of the first detachable body part 2210 and the hinge axis H20 of the second detachable body part 22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상기 제1 이탈본체부(2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2220)는 제1 회전 방향(R10)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210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2220 may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R10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상기 제1 실시예의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경우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비교하여, 견딜수 있는 최대 하중이 더 크지만,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더 큰 각도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부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compared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s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the maximum load that it can withstand is greater, but the angle is larger during the position movement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Since it has to be rotated, the volume of the housing part can be increased.

반대로,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의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경우 제1 실시예의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와 비교하여,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더 작은 각도로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부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나, 견딜수 있는 최대 하중이 더 작을 수 있다.Conversely, in the case of the UAV storage device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compared to the UAV storag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ousing part must be rotated at a smaller angle in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volume can be minimized, but the maximum load it can withstand can be smaller.

설계자는 상황, 목적 등을 고려하여 이탈방지부의 유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A designer can desig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type of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purpose, and the like.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6(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6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6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3210), 상기 제1 이탈본체부(3210)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3220)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3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3220)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32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3210, a second separation body 3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3210, and the first separation body 3210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322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3230 spaced apart.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321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1 이탈본체부(321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321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protrusion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3210.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322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2 이탈본체부(322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322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insertion position, the protrusion 11 ,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3220 .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323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3 이탈본체부(323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32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insertion position, the protrusion 11 , collides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3230 .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이탈본체부(3210), 상기 제2 이탈본체부(3220) 및 제3 이탈본체부(3230) 사이에는 삼각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a triangular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3210,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32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3230.

제1 내지 제3 이탈본체부(3210, 3220, 3230)가 하우징부에 배치된 힌지축(H10, H20, H30)D을 기준으로 제1 회전 방향(R10)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인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detachment body parts 3210, 3220, and 3230 ar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R10 based on the hinge shafts H10, H20, and H30 D disposed in the housing, so that the detachmen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eventing portion may be moved to the open position.

반대로, 제1 내지 제3 이탈본체부(3210, 3220, 3230)가 하우징부에 배치된 힌지축(H10, H20, H30)D을 기준으로 제2 회전 방향(R20)로 회전되어 상기 개방 위치인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Conversely, the first to third breakaway body parts 3210, 3220, and 3230 ar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R20 based on the hinge shafts H10, H20, and H30 D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to be in the open positio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may be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본 실시예는 이탈방지부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극대화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maximize the maximum load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can withstand.

도 7(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a)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the separation preven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part, and it is a drawing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par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fifth to seventh embodiments may be modified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they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 및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와 정면과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의 측면이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7(a),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is connected so that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and the front 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are rounded. can be formed

제2 이탈본체부(220)도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the same way.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면(210c)과 상기 제1 타측면(210e)이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 제1 곡면(E11)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urved surface E11 may be formed by round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front surface 210c and the first other side surface 210e are connected.

상기 제2 정면(220c)과 상기 제2 타측면(220e)이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어 제2 곡면(E2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urved surface E21 may be formed by rounding a portion where the second front surface 220c and the second other side surface 220e are connected.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곡면 및/또는 제 2곡면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curved surface and/or the second curved surfac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이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돌출부에 저촉되어 폐쇄 위치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not moved to the closed position due to collision with the protruding part while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본체부(210)의 상면(제1 상면)은 제1-1 상면(210a-1) 및 제1 정면(210c) 방향으로 상기 제1-1 상면(210a-1)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1-2 상면(210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b), the upper surfac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210 is directed toward the 1-1 upper surface 210a-1 and the first front surface 210c. The upper surface 210a-1 and the first-second upper surface 210a-2 forming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마찬가지로 제2 상면은 제2-1 상면(220a-1) 및 제2 정면(220c) 방향으로 상기 제2-1 상면(220a-1)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2-2 상면(220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upper surface is the 2-1 upper surface 220a-1 and the 2-2 upper surface 220a-2 forming an inclined surface with the 2-1 upper surface 220a-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ront surface 220c. ) can be made.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1 상면(210a-1)과 상기 제1-2 상면(210a-2)은 라운드지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c) , the 1-1 upper surface 210a-1 and the 1-2 upper surface 210a-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und shape.

또한, 상기 제2-1 상면(220a-1)과 상기 제2-2 상면(220a-2)은 라운드지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upper surface 220a-1 and the 2-2 upper surface 220a-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und shape.

도 8(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a) is a view showing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b) is the separation preven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wealth.

제8 실시예 및 제9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일 수 있으며, 이하,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may be modified embodiments of the thir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they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상면(제1 상면)은 제1-1 상면(210a-1) 및 제1 타측면(210e) 방향으로 상기 제1-1 상면(210a-1)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1-2 상면(210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the upper surface (first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is directed toward the 1-1 upper surface 210a-1 and the first other side surface 210e (210a). -1) and the 1-2 upper surface 210a-2 forming an inclined surface.

마찬가지로 제2 상면은 제2-1 상면(220a-1) 및 제2 타측면(220e) 방향으로 상기 제2-1 상면(220a-1)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2-2 상면(220a-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upper surface forms a 2-1 upper surface (220a-1) and an inclined surface with the 2-1 upper surface (220a-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ther side surface (220e) (220a-220a-). 2) can be made.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1 상면(210a-1)과 상기 제1-2 상면(210a-2)은 라운드지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b) , the 1-1 upper surface 210a-1 and the 1-2 upper surface 210a-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und shape.

또한, 상기 제2-1 상면(220a-1)과 상기 제2-2 상면(220a-2)은 라운드지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upper surface 220a-1 and the 2-2 upper surface 220a-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und shape.

도 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9(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9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9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9를 참조하면, 제1 이탈본체부(4210)와 제2 이탈본체부(4220)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4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4220 may be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이탈본체부(4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42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4210 and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422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1 이탈본체부(4210)의 힌지축(H10)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4220)의 힌지축(H20)은 함입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H10 of the first detachable body part 4210 and the hinge axis H20 of the second detachable body part 42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제1 이탈본체부(4210)와 제2 이탈본체부(422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4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4220 may be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부(11)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개방 위치의 상기 제1 이탈본체부(4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4220)가 상기 돌출부(11)를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xternally disposed protrusion 11 into the depression,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4210 and the second detachable main body 4220 in the open position move along the protrusion 11 in the first direction. can be rotated That is,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are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the protruding part can be rotat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osition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It can be.

이로 인해,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와 무인 비행체의 체결 시간을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coupling time betwe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도 1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0(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0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10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본체부(5210)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522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5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5220 based on the recessed part.

상기 제1 이탈본체부(5210)의 힌지축(H1)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5220)의 힌지축(H20)은 함입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H1 of the first detachable body part 5210 and the hinge axis H20 of the second detachable body part 52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제1 이탈본체부(5210)와 제2 이탈본체부(5220)는 상기 제2 방향(W20)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5210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5220 may be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W20.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개방 위치의 상기 제1 이탈본체부(5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5220)가 상기 돌출부를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xternally disposed protrusion into the recessed portion,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part 5210 and the second detachable main body part 5220 in an open position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protrusion part.

도 1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1(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1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11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제12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회전 방향만이 상이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twelfth embodi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sixth embodiment only in the rotation direc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may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6210), 상기 제1 이탈본체부(6210)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6220)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6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6220)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62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6210, a second separation body 62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eparation body 6210, and the first separation body 6210. A third separation body 623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eparation body 6220 may be provided.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621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1 이탈본체부(621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621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protrusion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6210.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622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2 이탈본체부(622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622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protrusion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6220.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6230)의 측단부에 저촉되게 상기 제3 이탈본체부(6230)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623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protrusion 11,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portion of the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6230.

제1 이탈본체부(6210) 내지 제3 이탈본체부(623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6210 to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6230 may be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부(11)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개방 위치의 제1 이탈본체부(6210) 내지 제3 이탈본체부(6230)가 상기 돌출부(11)를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xternally disposed protrusion 11 into the depression,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6210 to the third detachable body 6230 in the open position ar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protrusion 11. can

제1 이탈본체부 내지 제3 이탈본체부(6210, 6220, 6230)은 힌지축(H10, H20, H30)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detachment main body parts 6210, 6220, and 6230 ar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hinge shafts H10, H20, and H30 to be moved to an open position or a closed position. can

도 1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2(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2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12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aps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7210), 상기 제1 이탈본체부(7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탈본체부(7220)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72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이탈본체부(72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ncludes a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7210, a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7220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7210, and the first separation body portion 7210. A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7230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7210 may be provided.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함입부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so as to be disposed above the recessed part.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이탈본체부(7220)와 상기 제3 이탈본체부(7230)는 삽입 위치인 돌출부(11)를 가압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 ,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an open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72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portion 7230 may not press the protrusion 11 at the inserted position. have.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이탈본체부(7220)와 상기 제3 이탈본체부(7230)는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11)의 양측을 가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7220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7230 are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part 11 at the insertion position. can pressurize.

이를 위해, 상기 제2 이탈본체부(7220)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7210)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3 이탈본체부(7230)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7210)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7220 can be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7210, and the third breakaway body part 7230 is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 7210) may be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도 12에는 제1 이탈본체부(7210)와 제2 이탈본체부(7220)를 서로 매개하는 힌지 구조가 생략되어 도시될 수 있다.In FIG. 12 , the hinge structure that mediates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7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7220 may be omitted.

제1 이탈본체부(7210)와 제2 이탈본체부(7220)를 서로 매개하는 힌지 구조는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힌지 구조가 채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hinge structure that mediates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7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7220 may be a commonly used hinge structur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또한, 도 12에는 제1 이탈본체부(7210)와 제3 이탈본체부(7230)를 서로 매개하는 힌지 구조가 생략되어 도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12 , a hinge structure that mediates the first and third separation body parts 7210 and 7230 may be omitted.

제1 이탈본체부(7210)와 제3 이탈본체부(7230)를 서로 매개하는 힌지 구조는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힌지 구조가 채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As the hinge structure that mediates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7210 and the third breakaway body part 7230, a commonly used hinge structure may be adop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또한,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는 거치 및 보관 기능만을 구현하기 위해 충전 기능이 제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 function may be excluded from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in order to implement only the stationary and storage functions.

도 13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의 이탈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3(a)는 이탈방지부가 개방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이탈방지부가 폐쇄 위치일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3 (a)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n open position, and FIG. 13 (b) is a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a closed position.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이탈본체부(8210)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822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8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8220 based on the recessed part.

상기 제1 이탈본체부(8210)의 힌지축(H10)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8220)의 힌지축(H20)은 함입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hinge axis H10 of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8210 and the hinge axis H20 of the second detachable main body 822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제1 이탈본체부(8210)와 제2 이탈본체부(8220)는 상기 제2 방향(W20)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8210 and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8220 may be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W20.

외부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개방 위치의 상기 제1 이탈본체부(8210)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8220)가 상기 돌출부를 따라서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externally disposed protrusion into the recessed portion, the first detachable main body 8210 and the second detachable main body 8220 in an open position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protrusion.

일례로, 상기 제1 이탈본체부(8210)는 힌지축(H1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1-1 이탈본체부(8211) 및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1 이탈본체부(8211)로부터 연장되는 제1-2 이탈본체부(821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8210 is rotated based on the hinge axis H10 and the 1-1 release body portion 8211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8211. I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second detachment body part 8212 that extends.

일례로, 상기 제2이탈본체부(8220)는 힌지축(H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제2-1이탈본체부(8221) 및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2-1 이탈본체부(8221)로부터 연장되는 제2-2 이탈본체부(822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etachment main body 8220 is separated from the 2-1 detachment main body 8221 rotated based on the hinge axis H2 and the 2-1 detachment main body 8221 at a predetermined angle. A 2-2 separation body portion 8222 may be provided.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that are not related to or detached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expressed or omit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하우징부 200 : 하우징부
300 : 지지부
100: housing part 200: housing part
300: support

Claims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를 구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소정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끝단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끝단부가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 hous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to form a recess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and prevents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from being mov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having a second separation body spaced apart from;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the case of the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limite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It is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hinge axis so as to be moved on a virtual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Based on the recessed portion, it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reakaway body portion,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indentation, and in the closed position, the end of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and the end of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정면과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면이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Formed so that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and the front face and the side of the first breakaway main body are connected roundly,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상면이 제1-1 상면 및 상기 제1-1 상면과 경사진 면을 이루는 제1-2 상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lease body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1-1 upper surface and the 1-2 upper surface forming the 1-1 upper surface and the inclined surface are formed,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지하며, 제1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를 구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소정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힌지축과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힌지축은 동일한 측 방향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 hous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to form a recess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and prevents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from being mov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having a second separation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the case of the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limite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It is rotated based on a predetermined hinge axis so as to be moved on a virtual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Based on the indentation, the hinge axis of the first breakaway body and the hinge axis of the second breakaway body are dispos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second breakaway body,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unit.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and 7,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and 7,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It is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 내지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되도록 소정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 hous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to form a recess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preventing the protruding portion,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from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the case of the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limited,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A first breakaway body part, a second breakaway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a third breakaway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to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I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hinge axis so as to be moved on an imaginary plan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direction, rotated in a first rotational direction and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and moved in a second rotational direction. It is rotated and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unit,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unit,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를 구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이탈방지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함입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 hous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to form a recess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and prevents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from being mov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having a second separation body spaced apart from; includes,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the case of the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and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limited,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protrusion is rotated in a first direction so that it can be rotat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and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While being rot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location is mov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second breakaway body,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based on the indentat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이격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3 이탈본체부의 측단부에 접촉되게 위치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A first breakaway body part, a second breakaway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a third breakaway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eakaway body part and the second breakaway body part,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unit,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uni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second separation body unit,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at the insertion position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end of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일측이 함입되어 무인 비행체의 일부인 돌출부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함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며, 상기 함입부에 삽입된 위치인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이탈본체부,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탈본체부 및 상기 제1 이탈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이탈본체부를 구비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개방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3 이탈본체부가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가압하지 않고,
폐쇄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3 이탈본체부가 상기 삽입 위치인 상기 돌출부의 양측을 가압하며,
상기 제1 이탈본체부는,
상기 함입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이탈본체부와 상기 제3 이탈본체부는,
상기 제1 이탈본체부를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폐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무인 비행체 보관 장치.
a hous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recessed to form a recess into which a protrusion, which is a part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inserted in a first direc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and prevents the protruding part, which is an insertion position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from being mov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separation prevention unit having a second separation body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nit and a third separation body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body,
The departure prevention unit,
In the case of the open position, the second and third detachment bodies do not press the side of the protrus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In the case of the closed position, the second breakaway main body and the third breakaway main body press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which is the insertion position,
The first separation body par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dentation,
The second separation body part and the third separation body part,
It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based on the first release body and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KR1020210028116A 2021-03-03 2021-03-03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KR1024673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16A KR102467367B1 (en) 2021-03-03 2021-03-03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PCT/KR2022/002797 WO2022186556A1 (en) 2021-03-03 2022-02-25 Device for receiving electricity, device for transmitting electricit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116A KR102467367B1 (en) 2021-03-03 2021-03-03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67A KR20220124467A (en) 2022-09-14
KR102467367B1 true KR102467367B1 (en) 2022-11-14

Family

ID=8315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116A KR102467367B1 (en) 2021-03-03 2021-03-03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7367B1 (en)
WO (1) WO2022186556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72B1 (en) * 2015-12-11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arcel engaging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718B1 (en) * 2014-07-16 2016-07-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Containing and charging apparatus of pole type for unmanned vtol aircraft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charging unmanned vtol aircraft using the same
KR101851596B1 (en) * 2016-10-07 2018-04-24 주식회사 진흥테크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for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9059326A (en) * 2017-09-26 2019-04-18 株式会社エンルート Unmanned flight vehicle
KR101865280B1 (en) * 2018-02-14 2018-06-07 중앙항업(주) lif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72B1 (en) * 2015-12-11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arcel engaging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6556A1 (en) 2022-09-09
KR20220124467A (en)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4652B2 (en) Apparatus for replenishing a vehicle energy source
CN111776237B (en) Unmanned aerial vehicle airpor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US841895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pherical loading portion and unmanned ground vehicle therefor
US9828093B2 (en) System for recharging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rechargeable remotely controlled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1279246B2 (en) Conduit structure for charging gun
EP3345831B1 (en) Drone capable of varying propeller arrangement shape
KR20170092292A (en) Expressway traffic monitoring system with unmanned flight electrical equipment
US20180105050A1 (en) Actuation Device
KR102467367B1 (e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departure prevention means
AU2017200095A1 (en) All-in-one payload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10217318A1 (en) Autonomous aerial vehicle system
GB2553604A (en) A drone and drone recharging and storage station
WO2014209470A2 (en) Integrated antenna and antenna component
US20230227185A1 (en) An aerial vehicle
CN108995820B (en) Cloud platform, have shooting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of this cloud platform
WO2019127392A1 (en) Drive device, pan-tilt, photographing devic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86500B1 (en) Expanded unmanned air vehicle assembly
KR102356245B1 (en) Electrical transmission device with a rotary anti-removable means through rotation method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28609B1 (en) the improved drone station and the drone takeoff and lan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843147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drione
CN217903575U (en) Charging device
KR102427766B1 (en) Flight module and Flight vehicle having the same
CN210212750U (en) Unmanned aerial vehicle fuselag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20210114122A (en) multi-copter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N107176289B (en) Aircraft with a fligh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