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804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804B1
KR102465804B1 KR1020150066223A KR20150066223A KR102465804B1 KR 102465804 B1 KR102465804 B1 KR 102465804B1 KR 1020150066223 A KR1020150066223 A KR 1020150066223A KR 20150066223 A KR20150066223 A KR 20150066223A KR 102465804 B1 KR102465804 B1 KR 10246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ointer
layer
im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296A (ko
Inventor
허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804B1/ko
Priority to PCT/KR2016/004880 priority patent/WO2016182319A1/en
Priority to CN201680026969.3A priority patent/CN107580696A/zh
Priority to EP16169079.7A priority patent/EP3093747A1/en
Priority to US15/152,128 priority patent/US10678396B2/en
Publication of KR2016013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터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을 기초로 설정한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본 발명은 포인터를 출력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마트 TV,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표시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텔레비전, 스마트 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에는 사용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인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터의 초기 위치 설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새롭게 출력되는 레이어를 고려하여 포인터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을 기초로 설정한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가운데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의의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레이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최상위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일시정지 또는 정지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으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b)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을 기초로 설정한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레이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새롭게 출력되는 레이어를 고려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포인터의 출력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상위 레이어의 기 설정된 지점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동영상 콘텐츠의 출력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콘텐츠의 검색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 이러한 예로서, 텔레비전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 및 원격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11),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 저장부(13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제어부(180), 디스플레이부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구동유닛(150), 오디오 출력부(124), 전원공급부(190) 및 3D 시청장치(140a)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11)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1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1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는 3D 시청장치(140a)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3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121a)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121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11)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24)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 또는 원격 제어장치(121a)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또는 오디오 출력부(124)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1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22)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평평한 형태 또는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전면 상의 사용자를 감싸듯 곡선 형태로 변형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화질과 몰입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OLED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3D 시청장치(140a), 예를 들어 3D 안경 등이 없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외에 3D 시청장치(140a)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 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를 평평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변형시키도록 형성된다. 구동유닛(1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4)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2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열선을 포함하는 발열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121a)는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121a)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21)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121a)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블록 구성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 가능한 시각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TV 방송 화면, 인터넷 방송 화면, 방송 안내 자막, 선택 가능한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80)에 의해,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을 기초로 설정한 위치에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S220)가 진행된다.
포인터(pointer)는 사용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커서(cursor)를 의미하는 것으로, 화살표 모양, 손가락 모양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점멸 상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출력되는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121a)으로 가리키는 지점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제1 레이어는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출력되는 상위 레이어로, 상기 영상 정보와 전부 또는 일부분이 겹쳐져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방송 화면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메뉴 버튼을 누르면, TV 방송 화면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레이어가 화면(140)의 일 영역에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화면의 내용은 상위 레이어의 투명도에 따라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그 내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가운데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의의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레이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최상위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S220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 TV의 경우 인터넷 검색 창이나 웹브라우저 창 등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일시정지 또는 정지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으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가운데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위 레이어의 기 설정된 지점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V 방송 영상(31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에 의해, 상위 레이어(3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메뉴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TV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3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310)은 상위 레이어(32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3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위 레이어(320)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위 레이어(320)가 출력되는 영역의 가운데 지점(33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TV 방송 채널 정보를 가리지 않는 임의의 영역(340),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320)의 가장자리 영역(340)에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4는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V 방송 영상(41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에 의해, 상위 레이어(4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메뉴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TV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4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410)은 상위 레이어(42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4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위 레이어(420)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TV 방송 채널 정보 중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채널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43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녹화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 입력을 가하면, TV 방송 녹화 설정을 위한 상위 레이어(4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410)은 상위 레이어(44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44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TV 방송 녹화 설정을 위한 아이콘들 중 하나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녹화 시작을 위한 아이콘(45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의의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5는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TV 방송 영상(51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에 의해, 상위 레이어(5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확인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5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510)은 상위 레이어(52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5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해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드라마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520)의 출력 시, 포인터의 위치를 드라마의 지난 줄거리 보기 아이콘(530)으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가져간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포인터를 지난 줄거리 보기 아이콘(530) 위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드라마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520)의 출력 시, 포인터의 위치를 드라마에 나오는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아이콘(540)으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가져간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포인터를 구매 아이콘(540) 위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현재 방송 중인 드라마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520)의 출력 시, 포인터의 위치를 녹화 시작 아이콘(550)으로 기 설정된 횟수 이상 가져간 이력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포인터를 녹화 시작 아이콘(550) 위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동영상(61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에 의해, 상위 레이어(6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확인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동영상의 재생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6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동영상(610)은 상위 레이어(62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6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영상의 재생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 바(63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동영상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는 캡처 아이콘(64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b를 참조하면, 홈 쇼핑 방송 영상(64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에 의해, 상위 레이어(65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확인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홈 쇼핑 방송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65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홈 쇼핑 방송 영상(640)은 상위 레이어(65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상위 레이어(65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더 많은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66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품 구매를 위한 아이콘(67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레이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최상위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TV 방송 영상(710)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리모컨(121a) 조작이나 음성 명령에 의해, 제1 레이어(720)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볼륨 키워'라는 음성 명령을 발화하면, 볼륨조절을 위한 제1 레이어(720)가 TV 방송 영상(710)의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710)은 제1 레이어(72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레이어(7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1 레이어(720)가 출력되는 영역 내 볼륨 조절을 위한 아이콘(73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리모컨(121a)의 확인 버튼에 터치 또는 푸시입력을 가하면,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레이어(740)가 제1 레이어(720)의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제2 레이어(740)는 최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TV 방송 영상(710)과 제1 레이어(720)는 제2 레이어(740)의 투명도에 따라 그 내용이 가려질 수도 있고, 희미하게 보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레이어(720)의 출력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볼륨 조절을 위한 아이콘(730) 위에 출력되어 있던 포인터가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레이어(74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온(ON) 시키면, 이전에 시청하였던 채널 영상(750)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 영상(750)의 상위 레이어로 채널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 레이어(760)와, 제1 레이어(760)의 상위 레이어로 상기 채널 영상(750)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2 레이어(770)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이어(760)와 제2 레이어(770) 중, 사용자에 의해 우선순위가 설정된 제2 레이어(77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의 이전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레이어(77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이어(760)와 제2 레이어(770)가 출력중일 때, 사용자가 현재 시청 중인 채널 정보를 더 자주 확인하였던 이력에 근거하여, 제2 레이어(77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동영상 재생 화면(780)이 출력중인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음성명령이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채널 가이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 레이어(760)와 동영상 재생 화면(780)의 캡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3 레이어(790)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이어(760)와 제3 레이어(790) 중, 현재 출력중인 영상이 동영상임에 근거하여 제3 레이어(79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즉, 현재 출력 중인 화면정보(780)의 특성, 종류 등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영역에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자주 실행하는 것으로 설정해둔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81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인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82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가장 많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82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영역(83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입력창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인터넷 실행 화면이 출력 중인 경우, 인터넷 검색창이나 웹 브라우저 입력창 등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콘텐츠의 종류를 고려하여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84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텍스트, 동영상 콘텐츠 중 동영상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84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일시정지 또는 정지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재생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동영상 콘텐츠의 출력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일시정지 아이콘(910) 또는 정지 아이콘(92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 경우, 재생 아이콘(93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행하였던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최근에 실행하였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1010)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일정기간 동안 콘텐츠를 실행한 횟수를 근거로 자주 실행한 콘텐츠를 산출하고, 산출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1020)에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180)는 현재시간을 고려하여 현재시간대에 사용자가 자주 실행한 콘텐츠를 산출하고, 산출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1020)에 포인터를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으로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콘텐츠의 검색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1110)에 포인터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명령이나 제스처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목록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것에 근거하여, 포인터는 복수의 콘텐츠 중 사용자가 자주 실행하였던 제2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1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콘텐츠 검색 시 포인터가 이동되도록 사전에 설정해둔 영역(1120)으로 포인터가 이동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음성명령이나 제스처에 의해 복수의 채널 목록이 넘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콘(121a)을 이용하여 왼쪽 방향으로의 플리킹 제스처를 가하면, 복수의 채널 목록이 이에 대응되는 방향(1130)으로 넘겨지며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인터의 모양, 크기, 색상 등은 사용자가 가하는 플리킹 제스처의 속도나 정도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플리킹 제스처를 빠르게 가하는 경우, 포인터(1140)의 크기가 증가하여 출력(1150)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편성표를 검색하기 위한 음성명령이나 제스처가 가해지면, 시간과 채널 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다음 시간에 방송될 채널의 시청 예약을 위한 아이콘(116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아이콘(117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능을 실행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영상이 스마트 TV(100)의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이거나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말기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시 포인터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홈 화면 영상(1210)이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1220) 위에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 이력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자주 실행하였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도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동영상 화면(1230)이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동영상의 재생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재생 바(1240)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 중인 사진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1250)이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사진을 검색하기 위한 아이콘 위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이미지로 넘기기 위한 아이콘(1260) 위에 포인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의 출력 시,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객체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레이어나 아이콘일 수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는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객체가 출력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현재 방송중인 채널 영상(1310)과, 채널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채널 영상(1310)의 상위 레이어인 제1 레이어(132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포인터는 제1 레이어(1320)의 가운데 지점(1330)에 출력될 수 있으며,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제1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인 제2 레이어(13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2 레이어(1340)에는 TV 볼륨 조절, 채널설정, 리모콘 UI, 숫자키 등의 정보가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3b를 참조하면, 포인터는 제1 레이어(1320)의 가운데 지점(1330)에 출력될 수 있으며,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제1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인 제3 레이어(135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3 레이어(1350)에는 사용자가 설정하였거나 자주 사용했던 것으로 추천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채널, 기능 등의 정보가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포인터는 제1 레이어(1320)의 가장자리 영역(1332)에 출력될 수 있으며, 포인터와 인접하며 제1 레이어(1320)의 내용을 가리지 않는 영역(1352)에 제4 레이어(1352)가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3c를 참조하면, 포인터는 웹브라우저 검색창이나 인터넷 검색창(1360)에 출력될 수 있으며, 포인터와 인접한 영역에 상위 레이어(137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위 레이어(1370)에는 이전 입력 내용, 이전 검색 결과, 현재 입력한 내용의 검색 결과 등의 정보가 출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새롭게 출력되는 레이어를 고려하여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히스토리를 고려하여 포인터의 출력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정보의 출력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하는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때, 상기 복수의 객체 중, 상기 영상 정보의 출력 상태에 따른 어느 하나의 객체에 포인터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에 복수의 콘텐츠가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기 설정된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 또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선택되었던 콘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며,
    상기 포인터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는 속도 또는 정도에 근거하여 상기 포인터의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기 설정된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의 가운데 지점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 내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설정되었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선정되는 위치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객체가 출력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 정보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복수의 레이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기 설정된 레이어가 출력되는 영역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가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 동영상의 재생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레이어를 표시하고,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 중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일시정지 또는 정지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고, 상기 동영상 콘텐츠가 일시정지 또는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재생 아이콘 위에 상기 포인터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66223A 2015-05-12 2015-05-12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46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23A KR102465804B1 (ko) 2015-05-12 2015-05-12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CT/KR2016/004880 WO2016182319A1 (en) 2015-05-12 2016-05-10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680026969.3A CN107580696A (zh) 2015-05-12 2016-05-10 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16169079.7A EP3093747A1 (en) 2015-05-12 2016-05-11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152,128 US10678396B2 (en) 2015-05-12 2016-05-11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223A KR102465804B1 (ko) 2015-05-12 2015-05-12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296A KR20160133296A (ko) 2016-11-22
KR102465804B1 true KR102465804B1 (ko) 2022-11-10

Family

ID=5596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223A KR102465804B1 (ko) 2015-05-12 2015-05-12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78396B2 (ko)
EP (1) EP3093747A1 (ko)
KR (1) KR102465804B1 (ko)
CN (1) CN107580696A (ko)
WO (1) WO2016182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3017B2 (en) * 2016-09-29 2020-03-1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mage output system
EP3816789A1 (en) * 2018-05-07 2021-05-05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e graphical assistant interfaces for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WO2021002494A1 (ko) * 2019-07-02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014977B (zh) * 2021-02-07 2023-08-11 Vidaa(荷兰)国际控股有限公司 显示设备及音量显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9254A1 (en) * 2006-03-24 2008-09-18 Ervin-Dawson Warner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ursor control
US20120062457A1 (en) * 2010-09-10 2012-03-15 Lee Hongji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344731A1 (en) 2013-05-17 2014-11-20 Leap Motion, Inc. Dynamic interactive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0164A1 (en) * 1994-01-27 1995-07-28 Kenneth R. Robertso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cursor control
KR970008963B1 (en) * 1994-10-22 1997-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ling method & device
KR0129951B1 (ko) * 1994-11-25 1998-04-11 김광호 무선송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오버레이장치 및 제어방법
CN1110190C (zh) * 1996-11-01 2003-05-28 国际商业机器公司 视频中热连接的指示方法
KR100301015B1 (ko) * 1998-10-15 2001-09-06 윤종용 지시자 위치 제어 방법
US6640337B1 (en) * 1999-11-01 2003-10-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l television (DTV) including a smart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operating methods therefor
KR100437104B1 (ko) * 2001-10-29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메뉴제어 방법
KR100496503B1 (ko) * 2003-02-14 2005-06-22 심영택 커서제어시스템
US20040165013A1 (en) 2003-02-20 2004-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Cascading menu with automatic cursor relocation
JP4515458B2 (ja) * 2004-10-12 2010-07-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3次元ポインティング方法、3次元ポインティング装置、及び3次元ポインティングプログラム
US20070226642A1 (en) * 2006-03-22 2007-09-27 Business Object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ransparent windows when copying or moving items between windows
US8191003B2 (en) * 2007-02-14 2012-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transparent windows
KR101564785B1 (ko) * 2009-09-30 2015-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의 방송 가이드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94154B1 (ko) * 2010-06-29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9032293B2 (en) 2010-09-08 2015-05-12 Sony Corporation Dynamic iconic setting indicator
KR101708696B1 (ko) * 2010-09-15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185905A1 (en) * 2011-01-13 2012-07-19 Christopher Lee Kelley Content Overlay System
KR20120131294A (ko) * 2011-05-25 2012-12-05 고산 포인터 표시방법 및 포인터 표시장치
US9043720B2 (en) * 2011-10-11 201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st selection mouse pointer location
KR20130053929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서 이동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8819004B1 (en) * 2012-08-15 2014-08-26 Google Inc. Ranking image search results using hover data
KR102135092B1 (ko) * 2013-06-03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50081012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38194B2 (en) * 2014-05-06 2020-04-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mbedding interactive objects into a video session
US20160004411A1 (en) * 2014-07-03 2016-01-07 Qualcomm Incorporated Run-Time Adaptive Non-Uniform Mapping of Gesture User Interface Events
CN105677309B (zh) * 2014-11-18 2019-03-1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鼠标的方法及装置
WO2016166902A1 (en) * 2015-04-16 2016-10-20 Rakuten, Inc. Gesture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9254A1 (en) * 2006-03-24 2008-09-18 Ervin-Dawson Warner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ursor control
US20120062457A1 (en) * 2010-09-10 2012-03-15 Lee Hongji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344731A1 (en) 2013-05-17 2014-11-20 Leap Motion, Inc. Dynamic interactive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8396B2 (en) 2020-06-09
US20160334963A1 (en) 2016-11-17
EP3093747A1 (en) 2016-11-16
KR20160133296A (ko) 2016-11-22
CN107580696A (zh) 2018-01-12
WO2016182319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3081A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EP2424264A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420950B (zh) 图像显示装置和操作该图像显示装置的方法
US20110119611A1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US9055326B2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player using the same
US2012026609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the same
US9801291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426440B2 (en) Thumbnai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18421A (ko) 증강 원격제어장치, 증강 원격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5038195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9756398B2 (en) TV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6580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78635B1 (ko) 영상표시기기
KR102158210B1 (ko)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69961A (ko) 컨텐츠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23348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21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US20150012940A1 (en) Cont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content control apparatus
KR10235245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3053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510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02556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917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00451B1 (ko) 컨텐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48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3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216

Effective date: 20220419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