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890B1 -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890B1
KR102461890B1 KR1020170122503A KR20170122503A KR102461890B1 KR 102461890 B1 KR102461890 B1 KR 102461890B1 KR 1020170122503 A KR1020170122503 A KR 1020170122503A KR 20170122503 A KR20170122503 A KR 20170122503A KR 102461890 B1 KR102461890 B1 KR 10246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active
message
screen
block gri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872A (ko
Inventor
형다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Publication of KR2018006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 효과를 제어하는 기술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VE SCREEN}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통해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모자익(mosaic)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이용해서 화면에 표시 효과를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과거 TV는 단방향 서비스만을 제공하였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표준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압축 기술이 발전하게 되어 네트워크의 처리 용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양방향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어려움이 많은 부분에서 해소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흐름과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여, 대부분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는 다양한 서비스 프로바이더나 특정 서버와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접속된 사물인터넷 단말기를 통해서도 양방향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같이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기기에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양방향 서비스가 구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유저인터페이스의 발전이 만족할 수준은 아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1/0296460호(2011.12.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USER INTERFACE(UI) SERVICE" 미국공개특허 제2013/0091525호(2013.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BASED USER MENU"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되,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직관적으로 표현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의 모양,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입력 신호는, 키 입력 신호, 음성 신호, 기기 감지 신호, 및 기저장된 예약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기기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정보 타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하는 단계,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상기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커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인 경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인 경우,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3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표시 중, 검색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노티스(notic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노티스 정보에 미리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스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이머전시(emergency)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이머전시 정보를 표시하되, 노티스 정보에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는 다른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머전시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머전시 정보는 상기 노티스 정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수신된 이머전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이머전시 정보에 적용된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하고,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상기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상기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신부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마커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인 경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인 경우,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신부는,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제3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되, 직관적으로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대화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4a 내지 4c는 영화 시청 중 대화형 메시지가 활용되는 화면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콘텐츠를 녹화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6a는 내지 도 6d는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의 대화형 메시지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대화형 방식의 화면에서 노티스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에서 노티스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콘텐츠 시청 중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다른 콘텐츠를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같이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되, 직관적으로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데 있어, 특정 영역이 강조될 수 있도록 특정 영역에 적용된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하여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단계 101).
제1 입력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입력되는 이벤트에 의해서 생성되는 신호로서,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신호, 음성 신호, 기기 감지 신호, 및 기저장된 예약 신호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생성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생성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기기 감지 신호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기기를 센싱함으로써 생성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기저장된 예약 신호는 타이머 등의 알람을 통해 생성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는 화면을 구성하는 정보에 오버랩 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는 다양한 투명도를 갖는 형태로 렌더링될 수 있고, 투명도와는 별도로 색상, 모양, 위치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102).
대화형 메시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기록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의 예로는, 화면 상에 표시되는 메시지로서 소포와 관련된 정보나,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나, 질문들에 대한 대답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화면에 표시되는 메시지나 오브젝트의 좌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거나, 인접하도록 블록 그리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정지영상, 동영상, 이미지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입력 신호라 함은 기기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정보 타입 등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고,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브리핑이라 함은, 특정한 이벤트(택배 수신, 가족 위치 등)에 대해 정보 타입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요점만을 간략히 설명하는 것으로서, 간략히 설명되는 정보들의 각각을 정보 메시지로 해석할 수 있다.
이후,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단계 103).
블록 그리드는 모자익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계 103에서는 모자익 형태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 블록 그리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체 블록 그리드들 중 선택된 블록 그리드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블록 그리드에 대비될 수 있도록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위치, 모양, 및 색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색도, 명도, 채도 등을 나머지 블록 그리드에 차별하여 변경하거나, 디밍 효과를 부여하거나, 점멸의 빈도를 빠르거나 느리게 하는 등의 제어를 통해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에 대해서는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화면(210)은 모자익 형태로 표현되는 블록 그리드들(211, 212)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블록 그리드들(211, 212)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어 차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색도, 명도, 및 채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이용해서 각각의 블록 그리드들이 주변의 블록 그리드들에 대비될 수 있다. 화면(2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 그리드들이 고유 식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3~4개의 종류로 식별되는 블록 그리드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설명한다. 따라서, 한정된 종류로 식별되는 블록 그리드를 이용해야만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2b를 참고하면, 화면(220)에 대화형 방식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정보는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 오브젝트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220)의 일부 영역에 대화형 방식의 정보로서 'message'가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면(220)상에 표시되는 정보, 즉 'message'에 기초하여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가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는 'message'와 일부가 중첩되거나 상하로 인접해 있는 블록 그리드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가 대비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에 대한 색도, 채도, 명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에 대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에서도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와 유사한 색도, 채도, 명도를 갖는 블록 그리드가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222)에는 유의미한 패턴(점멸, 디밍 등)이 적용되어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에 대비될 수도 있다.
선택된 블록 그리드(222)를 전체의 블록 그리드(221)에 대비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도 2c를 살펴보면, 화면(230)은 기기를 시작하거나, 기기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화면(230)은 'Welcome!!'의 대화형 메시지(231)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체의 블록 그리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b의 실시예와 달리, 도 2c에서는 대화형 메시지(231)와 관련 있는 블록 그리드들의 표시 효과가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블록 그리드들에 대한 표시 효과가 제어될 수도 있다. 다만, 대화형 메시지(231)가 화면(230)에 표시되기 전과 후로 시점을 구분하여, 표시되기 전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와, 표시된 후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대화형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3a를 살펴보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화면상의 제1 영역(310)에서 대화형 메시지(30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제2 영역(32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메시지(302, 303, 304)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320)은 제1 영역(310)의 일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20)을 상하로 구분되는 영역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하, 좌우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2개 또는 3개 이상의 영역으로도 구분될 수도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에 상응하도록 적용되는 제2 영역(320)에서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320)에서 표시되는 블록 그리드는 정보 메시지에 오버랩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정보 메시지(302, 303, 304)에 대한 강조 표시가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메시지(302, 303, 304)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301)에 상응하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메시지(302, 303, 304)는 제1 영역(310)에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301)가 오브젝트에 의한 브리핑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이를 부연 설명하거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용이 제2 영역(320)에서 블록 그리드에 의해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은 대화형 메시지(301)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301)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영역(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대화형 방식의 화면은 시간이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 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화형 메시지나 정보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메시지(302, 303, 304)는 도면부호 302, 303, 304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메시지(302)는 사용자(John)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위치를 식별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현재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예: 서초 오피스, 2.1km, 16min)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메시지(303)는 사용자(David)와 전체 가족(Family) 각각의 계정에 수신된 메시지의 개수를 포함할 수 있고, 정보 메시지(302)에 연이어 브리핑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정보 메시지(304)는 배달된 품목에 대한 정보로서, 택배사나 관리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메시지(303)에 연이어 브리핑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브리핑되는 정보 메시지(304)를 통해 우유(milk) 1개 항목, 돼지고기(pork) 1개 항목, 야채(vegetable) 2개의 항목이 배달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310)에서는 대화형 메시지로서, 대화형 메시지 및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310)에서 'Hello, David'의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오브젝트가 관련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 이때, 'David'는 사용자(이용자)의 이름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320)에 표시되는 정보 메시지들(302, 303, 304)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하거나, 사용자와 관련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미리 세팅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에 노출되어 브리핑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예: Lin)가 현재 가족(John)의 위치에 대해 브리핑하는 경우, 가족(John)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메시지(302)가 강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메시지(302)가 표시된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가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301)에 적용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들이 나머지 블록 그리드에 대비되도록 강조할 수 있다.
도 3b를 살펴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오브젝트를 화면에 노출하여 브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를 통해 현재 가족들(David 등)에게 기록된 메시지에 대해 브리핑하는 경우, 가족(David 등)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메시지(306)가 강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메시지(306)가 표시된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가 제어될 수 있고, 정보 메시지(306)에 대응되는 대화형 메시지(305)가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c를 살펴보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오브젝트를 화면에 노출하여 브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를 통해 배달된 패키지들에 대해 브리핑하는 경우, 배달된 패키지들과 관련된 정보 메시지(308)가 강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메시지(308)가 표시된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가 제어될 수 있고, 정보 메시지(308)에 대응되는 대화형 메시지(307)가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영화 시청 중 대화형 메시지가 활용되는 화면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에 따라 화면에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함께 일 측에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401)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미디어 콘텐츠의 표시와 함께 일측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크기는 콘텐츠의 일측에서 작게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40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40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커(403)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마커(403)의 실시예로 '>'의 표시를 사용했지만, 마커(403)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단 모양과 같이 여러 층을 갖는 형태로 마커(403)를 구현하여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마커(403)를 캐릭터나 애니메이션의 형태로 구현하여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릴 수도 있다.
한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402)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형 메시지(402)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대한 정보를 메시지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메시지(402)는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을 위해 매주 금요일에 채널 '000'으로 변경 하였음을 알릴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음성 입력, 문자 입력, 키 입력 등을 통해 오브젝트와 연속적인 대화가 가능하며, 대화에 관련된 정보가 대화형 메시지나 정보 메시지 등을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이벤트는 특정 그룹의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으로 해석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 이벤트는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일 수 있다.
이 경우,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b를 살펴보면, 대화형 메시지(404)는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대화형 메시지와 제1 입력 신호에 응답하기 위한 제2 대화형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대화형 메시지는 화면에 노출되어 브리핑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예: Lin)가 제공하는 대화형 메시지로서, "Do you want to watch it at the beginning?"에 해당한다.
또한, 제2 대화형 메시지는 제1 대화형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이용자)의 대답으로서, "No, any other interesting programmes?"에 해당한다.
도 4c의 도면부호 40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관심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요청하고,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오브젝트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대답(대화형 메시지)을 회신할 수 있다.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오브젝트(Lin)의 추천 리스트를 정보 메시지(405)로서 화면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콘텐츠를 녹화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적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5a를 살펴보면,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최근 프로그램들 중 기록을 원하는 미디어 콘텐츠(501)가 표시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대화형 메시지(502)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501)에 대한 기록과 관련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501)에 대한 확인 및 관심 여부를 알려 달라는 대화형 메시지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표시된 미디어 콘텐츠(Arrow5)를 먼저 기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메시지(502)를 통해 이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 이벤트는 다른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일 수 있다.
이 경우,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고,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가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b는 미디어 콘텐츠(Arrow5)를 기록하기 위해 동기화할 디바이스의 목록(503)을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목록(503)에는 모바일 폰, 타블렛, PC, 냉장고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목록(503) 중에서 모바일 폰이 선택되면, 화면의 일 측에 모바일 폰을 통한 동기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 메시지(504)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대화형 메시지(505)는 정보 메시지(504)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505)에는 현재 미디어 콘텐츠(Arrow5)가 모바일 폰에 기록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a는 내지 도 6d는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중 샤워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화면의 일 측에 사용자의 샤워 요청을 대화형 메시지(601)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고,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6b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샤워를 희망하는 취지의 대화형 메시지(601)에 응답하여 hot water가 준비 되었다는 대화형 메시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대화형 메시지(603)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hot water가 준비 되었다는 대화형 메시지(603)에 대응하여 정보 메시지(602)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정보 메시지(602)는 욕조에 hot water가 5분 후에 준비될 예정이고, 희망하는 hot water의 온도는 섭씨 30도, 현재의 온도는 섭씨 28도씨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의 실시예에서 외부 기기는 온도센서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티비를 시청하던 사용자(David)는 오브젝트(Lin)에게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샤워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에, 오브젝트(Lin)는 hot water를 준비하고 hot water가 준비 되었음을 정보 메시지와 브리핑 메시지를 통해 안내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예를 들면 물의 양이나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기나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오브젝트(Lin)에 의해 화면 상에서 브리핑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David)와 오브젝트(Lin) 간 대화 형태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3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는 집에 들어온 또 다른 가족으로 해석될 수 있고, 제3 입력 신호는 다른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 신호, 음성 신호, 기기 감지 신호, 및 기저장된 예약 신호 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해당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c는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시나리오이다.
도 6c은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이 정보 메시지(604)를 통해 다른 사용자(John)가 근거리에 위치함을 브리핑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정보 메시지(604)에 대응하여 대화형 메시지(605)를 화면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메시지(604)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가족의 이름(John), 현재 거리(1km), 도착 예정 시간(12min)을 간략하게 나타내고, 대화형 메시지(605)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을 서술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대화형 메시지를 입력하지 않거나, 응답이 없을 경우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기기를 대기 모드로 설정 변경하고, 도면부호 606과 같이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a를 살펴보면, 대기 모드 중 다른 사용자가 집으로 들어옴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이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화면(701)으로 'Welcome!!'의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전체의 블록 그리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메시지와 관련 있는 블록 그리드들의 표시 효과가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블록 그리드들에 대한 표시 효과가 제어될 수도 있다. 다만, 대화형 메시지가 화면(701)에 표시되기 전과 후로 시점을 구분하여, 표시되기 전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와, 표시된 후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b를 살펴보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화면상의 제1 영역에서 대화형 메시지(70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제2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메시지(703, 704, 70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일 측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702)에 상응하도록 적용되는 제2 영역에서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에서 표시되는 블록 그리드는 정보 메시지에 오버랩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정보 메시지(703, 704, 705)에 대한 강조 표시가 가능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메시지(703, 704, 705)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702)에 상응하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메시지(703, 704, 705)는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702)가 오브젝트에 의한 브리핑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 이를 부연 설명하거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내용이 제2 영역에서 블록 그리드에 의해 강조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은 대화형 메시지(702)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702)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대화형 방식의 화면은 시간이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상태 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영역에서는 대화형 메시지(702)로서, 대화형 메시지 및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에서 'Hello, John'의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오브젝트가 관련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 이때, 'John'는 사용자(이용자)의 이름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 메시지들(703, 704, 705)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하거나, 사용자와 관련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미리 세팅된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에 노출되어 브리핑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예: Lin)가 현재 가족(Amanda)의 위치에 대해 브리핑하는 경우, 가족(Amanda)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메시지(703)가 강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메시지(703)가 표시된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가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대화형 메시지(702)에 적용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들이 나머지 블록 그리드에 대비되도록 강조할 수 있다.
도 8은 대화형 방식의 화면에서 노티스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도중에 노티스(notice) 정보(801)를 표시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외부 기기나 내장된 메모리로부터 노티스 정보(801)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노티스 정보(801)에 미리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노티스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노티스 정보(801)는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해 놓거나, 기본적인 신상 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정보들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념일, 생일, 관심일 등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정보 메시지의 형태로 화면의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다.
화면 상에는 노티스 정보(801)에 대응되는 대화형 메시지(802)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8월1일 저녁 9시에 있을 예방 접종 일정과 관련하여, 대화형 메시지(802)는 "There are two issues require confirmation"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에서 노티스 정보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살펴보면, 화면의 일 측에는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는 지진, 해일, 폭우, 낙석, 우뢰, 싱크홀 등과 같은 재해 발생 시에 이러한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와, 대피로 등과 같은 주요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9a의 실시예에서는, 지진의 발생 시간, 발생 위치와 함께, 현재 건물에서의 대피로에 대한 정보를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로 나타낸다.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는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정보로서, 사용자의 설정이나 미디어 콘텐츠의 중요도에 관계없이 화면 상에 즉각 표시될 수 있다.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가 표시되면,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와 관련한 대화형 메시지("The earthquake occurred, Please evacuate!")가 화면 일 측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머전시(emergency) 정보(901)와 대화형 메시지("The earthquake occurred, Please evacuate!")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블록 그리드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이머전시(emergency)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이머전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노티스 정보에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는 다른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이머전시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경보 정보에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서, 경보 정보의 등급을 고려하여 블록 그리드의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례로,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경보 정보의 등급을 고려하여, 노란색, 초록색, 흰색 등을 통해 노티스 정보를 나타내고, 이보다는 강렬한 색인 붉은색, 자주색, 주황색 등을 이용해서 이머전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b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이머전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이머전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이머전시 정보를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고, 이머전시의 종류, 발생 지역, 발생 시간, 대피 경로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사전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등록된 기기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머전시 정보는 다양한 기기에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된 이머전시 정보에 적용된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콘텐츠 시청 중 대화형 메시지를 통해 다른 콘텐츠를 요청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의 표시 중, 검색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고,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도중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다른 미디어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시청 중인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100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1001)를 확인하여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채널이나 다른 장르의 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육성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의 육성을 입력 신호로 하여 대화형 메시지(1002)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대화형 메시지(1002)는 사용자의 요청으로서, 다른 로맨틱 영화를 보고 싶다는 사용자의 요청일 수 있다.
이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은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로맨틱 영화에 대한 리스트를 추출하여 정보 메시지(1003)로서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메시지(100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래식 영화들을 더 보여 달라는 요청("show me some classical films, too")에 따라 클래식 영화들에 대한 제안을 보여줄 수 있다. 클래식 영화들에 대한 리스트는 로맨틱 영화에 대한 리스트와 함께 정보 메시지(1003)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110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110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되, 직관적으로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1100)는 수신부(1110) 및 화면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1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면 제어부(1120)는 제1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부(11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제어부(1120)는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1120)는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브리핑 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화면 제어부(1120)는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10)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제어부(1120)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화면 상에 재생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 제어부(112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를 표시할 수 있다. 마커는 '>'와 같이 EPG의 일 측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인 경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제어부(1120)는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인 경우,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120)는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고,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화면 제어부(1120)는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미디어 콘텐츠가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면 제어부(1120)는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는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1120)가 전송된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며,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10)는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제3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 제어부(1120)는 수신된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제어부(1120)는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되, 직관적으로 효율적인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데 있어, 특정 영역이 강조될 수 있도록 특정 영역에 적용된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에 대한 표시 효과를 제어하여 정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텐츠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영역 이외에 정보 전달에 사용하는 영역을 열(column) 또는 행(row)을 기준으로 여러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세부 영역에 관련 정보들을 시계열적으로 누적하여 표시 함으로써 한정된 화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방법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이때의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0: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1110: 수신부
1120: 화면 제어부

Claims (27)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부터 기기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정보 타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의 모양, 색상,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신호는,
    키 입력 신호, 음성 신호, 기기 감지 신호, 및 기저장된 예약 신호 중 어느 하나인,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하는 단계;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상기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마커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인 경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외부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인 경우,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3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표시 중, 검색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콘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콘텐츠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노티스(notice)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노티스 정보에 미리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노티스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이머전시(emergency)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이머전시 정보를 표시하되, 노티스 정보에 지정된 등급의 컬러와는 다른 등급의 컬러와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머전시 정보를 브리핑하면서 해당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머전시 정보는 상기 노티스 정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표시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이머전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이머전시 정보에 적용된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방법.
  18.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서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영역과 다른 영역에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정보 타입 별로 구분하여 나열하고,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상기 나열된 정보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정보 메시지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19. 삭제
  20.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화면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대화형 메시지를 대체하여 정보 메시지 각각에 대응하는 브리핑 메시지를 상기 브리핑 순서에 맞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브리핑 메시지와 연동하여 상기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브리핑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재생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일 측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되는 미디어 콘텐츠의 시청 가이드와 관련된 대화형 메시지를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대화형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대화형 메시지의 일 측에 표시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더 있음을 알리도록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마커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관심 프로그램(interesting program)에 대한 요청인 경우,
    현재 사용자에 대응되는 추천 콘텐츠 리스트, 최근 시청 리스트, 및 유사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들에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며, 상기 표시되는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브리핑하면서 브리핑 순서에 따라 해당 리스트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해당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기기와의 동기화 요청인 경우, 동기화를 위한 후보 기기들에 대한 목록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후보 기기들 중에서 선택된 기기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기기와의 동작과 관련된 싱크 정보에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를 적용하여 표시하고, 상기 싱크 정보의 표시 영역이 활성화 되도록 상기 블록 그리드의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표시 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메시지를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한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발생한 사용자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기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응답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정보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제3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3 입력 신호에 따라, 모자익 형태의 블록 그리드가 적용된 새로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와 연동하여 블록 그리드가 활성화 되도록, 상기 다른 사용자에 따른 대화형 메시지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해당 블록 그리드에 대한 비주얼 효과를 제어하는 대화형 방식의 화면 제공 장치.
KR1020170122503A 2016-12-07 2017-09-22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61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085 2016-12-07
KR20160166085 2016-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72A KR20180065872A (ko) 2018-06-18
KR102461890B1 true KR102461890B1 (ko) 2022-11-02

Family

ID=6276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503A KR102461890B1 (ko) 2016-12-07 2017-09-22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8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94B1 (ko) * 1997-12-01 2004-06-07 스타사이트 텔레케스트, 인코포레이티드 팝업 내에 광고 메시지를 구비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6425B2 (en) *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KR20070014333A (ko) * 2005-07-28 200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56036B1 (ko) * 2010-03-08 2012-06-18 주식회사 코리아퍼스텍 음성인식형 양방향 콘텐츠 제공방법 및 장치
US20110296460A1 (en) 2010-05-31 2011-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user interface (ui) service
KR101302569B1 (ko) 2012-02-08 2013-09-02 전자부품연구원 호스트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40004515A (ko) * 2012-07-03 201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대화형 시스템 및 응답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94B1 (ko) * 1997-12-01 2004-06-07 스타사이트 텔레케스트, 인코포레이티드 팝업 내에 광고 메시지를 구비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72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189B2 (en) Smart televis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elevision screen shot
US11601719B2 (en) Method for processing television screenshot, smart television, and storage medium
US83870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authorized use of a user equipment device
US91251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CA282353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through content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92016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content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6436903B2 (ja) タイムバーを使用してメディアアセットアクセス衝突を示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911686B (zh) 信息提供设备、信息显示设备、信息提供系统和控制方法
US20140223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a search request
US201502489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 user selected object as marked based on its context in a program
US201101674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hannel surfing application o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20120125471A (ko)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미디어 안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808182A (zh) 显示控制方法及系统、广告破口判断装置、影音处理装置
EP28597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content or conflicts from multiple receiving devices on a second screen device
JP2010226706A (ja) 1次メディア・ストリーム内に2次メディア・ストリームを表示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59251B2 (en) Integrating broadcast media streams with user media streams
WO2015067082A1 (zh) 一种机顶盒的界面显示方法
KR20190010396A (ko) 사용자 궤적에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의 추천
US201402453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media listings
KR102461890B1 (ko) 대화형 방식의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710252A (zh) 用于向消费媒体的用户提醒其它消费媒体的进度的系统和方法
US20170164050A1 (en) Presenting alternate content
TW201626807A (zh) 顯示控制方法及系統、廣告破口判斷裝置、影音處理裝置
US20140380364A1 (en) Methods and systems of generating a display of media listings in dynamic cells
US20180152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edia Pres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