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472B1 -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 Google Patents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472B1
KR102460472B1 KR1020160184105A KR20160184105A KR102460472B1 KR 102460472 B1 KR102460472 B1 KR 102460472B1 KR 1020160184105 A KR1020160184105 A KR 1020160184105A KR 20160184105 A KR20160184105 A KR 20160184105A KR 102460472 B1 KR102460472 B1 KR 10246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panel
pulse signal
activ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9586A (en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472B1/en
Priority to CN201711422666.6A priority patent/CN108268153B/en
Priority to US15/856,394 priority patent/US10761619B2/en
Publication of KR2018007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receiv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ransmitted by the digitiser, e.g. tablet driv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75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WW interface, visual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티브 펜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펜 식별정보를 소정의 경로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펜 인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액티브 펜을 구별하여 인식하여 여러 개의 액티브 펜을 통한 펜 입력을 동시에 처리해줄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he active pen provid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thereby enabling rapid and accurate pen recogni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pen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active pens by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a plurality of active pens.

Description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tion method

본 실시예들은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in recent years,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re utilized.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중에는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터치 기반의 입력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있다. Among these display devices, there i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touch-based input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and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input information or commands by breaking away from a conventional input method such as a button, a keyboard, and a mouse.

또한, 요즈음, 단순한 터치가 아니라, 정확한 위치 지정, 이동 궤적 입력, 필기 입력 등의 응용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대되고 있다. In addition, these days,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functions such as accurate positioning, movement trajectory input, and handwriting input, rather than a simple touch, are increasing.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손가락, 펜 등의 단순한 터치를 정확하게 센싱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확한 위치 지정, 이동 궤적 입력, 필기 입력 등을 위한 정확한 펜 인식을 해줄 수 있어야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should be able to accurately detect a simple touch of a finger, a pen, etc., as well as accurately recognize a pen for accurate positioning, movement trajectory input, handwriting input, and the like.

하지만, 현재, 펜 인식이 정확하게 되지 못하여 펜 입력의 이질감 또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currently, pen recognition is not accurately performed, which causes a sense of heterogeneity or inconvenience in pen input.

이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펜에 대한 인식 처리가 되지 못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여러 개의 펜을 사용할 수도 없는 실정이다. In addition, since recognition processing for a plurality of pens is not performed, it is impossible to use a plurality of pens in one display device.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들은 신속하고 정확한 펜 인식을 할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rapidly and accurately pen recognition.

또한, 본 실시예들은 여러 개의 액티브 펜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여러 개의 액티브 펜에 대한 펜 데이터를 구별하여 처리함으로써, 여러 개의 액티브 펜을 통한 펜 입력을 동시에 처리해줄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 touch sensing system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pen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active pens by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a plurality of active pens and separately processing pen data for the plurality of active pens ,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may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들은 펜 인식을 위한 액티브 펜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신호 송수신 시, 펜 인식에 필요한 정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that enable reli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information required for pen recognition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n active pen for pen recognition and a display device. can

또한, 본 실시예들은 손가락에 의한 터치와 액티브 펜에 의한 터치를 동시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센싱할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액티브 펜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 active pen,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and accurately and rapidly sensing a touch by a finger and a touch by an active pen.

이러한 본 실시예들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s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예들은, 액티브 펜과,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을 포함하고,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an active pen,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display device that interworks with the active pen to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액티브 펜은,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패널로 방사하며,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may emit a pen pulse signal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anel through a pen tip, and wirelessly transmit pen data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고,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와,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touch sensing circuit that supplie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and outputs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nd receives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outputs the data, and a touch controller that acquir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nd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n do.

액티브 펜은,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필압, 펜 기울기 및 제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펜 데이터 이외에도, 펜 식별정보를 추가로 무선 송출할 수도 있다. The active pen may wirelessl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pe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pen pressure, pen tilt, and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선 통신 모듈은 펜 식별정보 및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may receive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and output them to the touch controller.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와,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ouch controller may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using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실시예들은,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association with an active pen.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과,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함에 따라 액티브 펜에서 패널로 방사되고 펜 식별정보가 표현된 펜 펄스 신호를 패널을 통해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와,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s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nd a row in which a pen pulse signal radiated from an active pen to the panel a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supplied to the panel and a pen pulse signal in which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xpressed is read through the panel. A touch sensing circuit that outputs raw dat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nd outputs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an active pen, and a pen obtained by acquir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It may include a touch controller that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실시예들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터치 센싱을 위한 다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며, 액티브 펜과 연동하는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panel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gate line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for touch sensing, and interoperates with an active pen. can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동안,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During the display driving period, the image data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the gate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사이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하는 터치 구동 구간은 업-링크 전송 구간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driving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lank section between the two display driving sections may include an up-link transmission section and a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 동안, 다수의 터치 전극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터치 구동 구간 내 업-링크 전송 구간 동안, 다수의 터치 전극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구별되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a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or a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 동안, 다수의 데이터 라인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 동안, 다수의 게이트 라인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과 접촉 또는 근접하는 펜 팁과, 패널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수신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수신부와,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방사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와,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pen tip in contact with or close to a panel of a display device, an analog front-end receiver that receive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the panel through the pen tip, and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tive pen including an analog front-end transmitter that emits a pen pulse signal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pen tip, and a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wirelessly transmits pen data.

액티브 펜의 펜 무선 통신부는, 펜 데이터 이외에, 펜 식별정보를 더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active pen may wirelessl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pen data.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액티브 펜이,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패널로 방사하고,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패널로부터 읽어 들여 생성된 로우 데이터(Raw Data)와,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 the steps of: supplying, by the display device,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a panel; Radiating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en data, the display device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raw data generated by reading from the panel to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nd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n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액티브 펜은 펜 데이터 이외에, 펜 식별정보를 더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may wirelessl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pen data.

본 실시예들은, 액티브 펜과,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을 포함하고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n active pen and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nd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e pen.

액티브 펜은, 패널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펄스 신호를 패널로 방사하고,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펜 식별정보를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may emit a pen pulse signal to the panel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the panel, and wirelessl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고,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와,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와,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펜 식별정보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touch sensing circuit that supplie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and outputs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nd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nd a touch controller for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액티브 펜에서 방사된 펜 펄스 신호는 펜 식별정보를 미 포함할 수 있다. The pen pulse signal emitted from the active pen may not includ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액티브 펜에서 방사된 펜 펄스 신호는 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n pulse signal emitted from the active pen may includ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액티브 펜은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펜 식별정보와 함께 펜 데이터를 추가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may additionally wirelessly transmit pen data along with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 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에서, 패널에 공급되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액티브 펜에서 방사되는 펜 펄스 신호와, 터치 센싱 회로에서 펜 펄스 신호를 읽어 들인 리드 값과, 리드 값의 부호에 따른 펜 식별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센싱 회로에서 패널을 리드하여 얻어진 로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내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액티브 펜 간의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에 공급되는 3가지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 펜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펜 인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tiv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n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a panel, a pen pulse signal emitted from an active pen, and a read value obtained by reading a pen pulse signal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in the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a diagram show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 of the lead valu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raw data obtained by reading a panel in the touch sensing circui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8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driving configurations in the case where the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a display panel having a built-in touch screen panel.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and a down-link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activ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i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ree panel driving pulse signals supplied to a pane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12A and 12B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a touch proces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n active pen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16 is a flowchart of a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pen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multi-pe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a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은, 액티브 펜(20)과, 액티브 펜(20)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The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n active pen 20 and a display device 10 that interworks with the active pen 20 to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드와 터치 겐싱을 위한 터치 센싱 모드를 갖는다. The display device 10 has a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touch sensing mode for touch gensing.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여,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센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operates in a touch sensing mode to sense a touch by a finger as well as sense a touch by the active pen 2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액티브 펜(20)과 연동하여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may sense a touch by the active pen 20 in association with the active pen 20 .

액티브 펜(20)은 전기적인 부품을 포함하고 터치 센싱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연동하는 액티브 한 동작을 수행하는 펜이다. The active pen 20 is a pen that includes electrical components and performs an active operation that interworks with the display device 10 in relation to touch sensing.

이러한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 센싱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하게 연동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 손가락과 동일하게 캐패시터만 형성되는 수동적인 펜에 의한 터치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수동적인 펜에 의한 터치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는 수동적인 펜에 의한 터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touch sensing by the active pen 20 , the display device 10 senses a touch by a passive pen in which only a capacitor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a finger without an operation actively interworking with the display device 10 . You may. However, a touch by a passive pen is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a touch by a finger. Accordingly, in this specification, a touch by a finger includes a touch by a passive pen.

본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을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pen recognition method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can efficiently recognize the active pen 20 and the display device 10 can simultaneously recognize a plurality of active pens 20 .

본 실시예들은, 액티브 펜(20)이 펜 식별정보를 소정의 경로(무선 통신 경로와 패널을 통한 경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펜 인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을 구별하여 인식하여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을 통한 펜 입력을 동시에 처리해줄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active pen 20 provid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through a predetermined path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and a path through the panel), so that rapid and accurate pen recognition is possible. Not only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nd recognize a plurality of active pens 20 to simultaneously process pen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active pens 20 .

먼저, 액티브 펜(20)이 펜 식별정보를 패널을 통해 신호 방사 형태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제공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First, embodiments in which the active pen 20 provid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in the form of signal radiation through a panel will be describ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패널(310)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액티브 펜(20)은 패널(310)로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PENS)를 펜 팁(4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로 방사한다. The display device 10 supplie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310 . Accordingly, the active pen 20 transmits the pen pulse signal PENS representing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pen tip 410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the panel 310 . radiate with a panel of

또한, 액티브 펜(20)은 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무선 송출한다. 이때, 액티브 펜(20)은 펜 식별정보를 추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무선 송출한다.Also, the active pen 20 wirelessly transmits pen data to the display device 10 . In this case, the active pen 20 wirelessly transmit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한다. The display device 10 generates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액티브 펜(20)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display device 10 receives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생성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무선으로 수신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may obtain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generated raw data, and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ly received pen data.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이 존재한다는 사실(즉,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 발생 사실)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의 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더 의미할 수 있다.Pe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mean that the display device 10 recognizes the fact that the active pen 20 exists (ie, the fact that a touch is generated by the active pen 20 ), and the display device (10) may further mean recogniz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tive pen 20 .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을 인식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의 위치(펜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더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pe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eans that the display device 10 recognizes the active pen 20 means that the display device 10 detects a position (pen position) of a touch by the active pen 20 . It could mean more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을 인식한다는 것은 액티브 펜(20)의 필압 또는 기울기 등의 펜 부가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더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in pe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recognizing the active pen 20 by the display device 10 may further mean recognizing pen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pen pressure or inclination of the active pen 20 . .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이 패널에 접촉하는 경우 터치로 센싱할 수도 있고,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이 패널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 이하로 근접한 경우 터치로 센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접촉 방식의 터치 센싱과, 비 접촉식 터치 센싱(호버 방식의 터치 센싱)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sense a touch as a touch when a finger or the active pen 20 contacts the panel, and even if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does not contact the panel, a certain level If it is close to the following, it can be sensed by touch.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provide both a contact-type touch sensing and a non-contact touch sensing (hover-type touch sensing).

아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액티브 펜(20)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바이스로서, 패널(310), 터치 센싱 회로(320), 터치 컨트롤러(330) 및 무선 통신 모듈(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a device that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the active pen 20 , and includes a panel 310 , a touch sensing circuit 320 , and a touch controller ( 33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and the like.

패널(310)에는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되며, 다수의 터치 전극(TE)과 터치 센싱 회로(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다수의 터치 라인(TL)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may be disposed on the panel 310 , and a plurality of touch lines TL may be dispo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

터치 센싱 회로(310)는 패널(310)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 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공급하고, 각 터치 전극(TE)을 통해 읽어 들인 리드 값(Read Value)을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 센싱 데이터라고도 함)를 생성한다.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suppli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disposed on the panel 310 , and read values read through each touch electrode TE. It generates raw data including (Read Value) (Raw Data, also called sensing data).

이러한 터치 센싱 회로(310)는, 일 예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입력 받아 패널(310)로 공급해주고 패널(3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치 증폭기(Pre-Amplifier)와, 전치 증폭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 적분기 등을 포함하는 센싱 유닛(Sensing Unit)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 내 적분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털 값에 해당하는 리드 값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등을 포함하는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includes, for example, a pre-amplifier that receiv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and supplies it to the panel 310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signal from the panel 310 ; , at least one sensing unit including an integrator that integrates and outpu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reamplifier, and reads the signal output from the integrator in at least one sensing unit to a digital value. It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that outputs.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과 패널(310)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 라인(TL) 간의 선택적인 전기적인 연결을 해주는 멀티플렉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해주는 멀티플렉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multiplexer circuit for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sensing unit and a plurality of touch lines TL disposed on the panel 310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multiplexer circuit for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t least one sensing unit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여기서, 각 터치 전극(TE)을 통해 읽어 들인 리드 값은, 각 터치 전극(TE)과 액티브 펜(20) 사이에 형성된 캐패시턴스 또는 그 변화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각 터치 전극(TE)과 손가락 사이에 형성된 캐패시턴스 또는 그 변화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read value read through each touch electrode TE inclu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pacitance formed between each touch electrode TE and the active pen 20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change, or It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fingers or a change thereof.

이러한 리드 값은 각 터치 전극(TE)마다 다를 수 있다. 즉, 리드 값의 크기는 해당 터치 전극(TE이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과 얼마나 근접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Such a lead value may be different for each touch electrode TE. That is, the size of the read value may vary depending on how close the touch electrode TE is to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

터치 센싱 회로(310)에서 생성된 로우 데이터(리드 값들을 포함)는, 터치 센싱 회로(310)과 터치 컨트롤러(330)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컨트롤러(33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싱 회로(310)과 터치 컨트롤러(330) 간의 인터페이스는, 일 예로, 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일 수 있다. Raw data (including read values) generated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330 through an interface between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and the touch controller 330 . Here, the interface between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and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be, for example,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10)에서 생성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sen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ouch by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or the touch position by using the raw data generated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10 .

무선 통신 모듈(300)은, 액티브 펜(20)과 무선 통신을 하기 구성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등을 활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300)은 소형 및 저전력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as a configu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tive pen 20, Bluetooth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irect Wi-Fi (Direct Wi-Fi), etc. It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enables small size and low power.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 펜(20)의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ctive pe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 펜(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과 접촉 또는 근접하는 펜 팁(410)과, 펜 팁(410)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수신부(AFE RX, 420)과, 펜 팁(410)을 통해 신호를 방사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AFE TX, 430)와,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펜 무선 통신부(400)와, 배터리(450)와, 신호 생성, 신호 송수신 제어, 전체적인 기능 제어 등을 수행하는 펜 컨트롤러(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active pe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pen tip 410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pen tip 410 . An analog front-end receiver (AFE RX, 420) for receiving, an analog front-end transmitter (AFE TX, 430) that radiates a signal through the pen tip 410, and a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that wirelessly transmits a signal; It may include a battery 450 and a pen controller 440 that generates signals, controls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nd controls overall functions.

펜 무선 통신부(4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과 무선 통신을 하는 구성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등을 활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is a configu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Bluetooth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direct Wi-Fi ( It may b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Direct Wi-Fi, or the lik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and may further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과 연동하여 액티브 펜(20)을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펜 인식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pen recognition method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 can efficiently recognize the active pen 20 by interworking with the active pen 20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n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싱 시스템에서, 패널(310)에 공급되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액티브 펜(20)에서 방사되는 펜 펄스 신호(PENS)와,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펜 펄스 신호(PENS)를 읽어 들인 리드 값과, 리드 값의 부호에 따른 펜 식별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llustrate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a pen pulse signal PENS e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and touch sensing in the touch sen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ad value read from the pen pulse signal PENS in the circuit 320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sign of the read value.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패널(310)을 리드하여 얻어진 로우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raw data obtained by reading the panel 310 in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터치 센싱 회로(320)는 패널(310)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액티브 펜(20)의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수신부(420)는 패널(310)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펜 팁(410)을 통해 수신한다(S10).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suppli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o the panel 310 . Accordingly, the analog front-end receiver 420 of the active pen 20 receiv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through the pen tip 410 ( S10 ).

액티브 펜(20)의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430)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Pen ID)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PENS)를 펜 팁(410)을 통해 패널(310)로 방사한다(S20-1).The analog front-end transmitter 430 of the active pen 20 transmits the pen pulse signal PENS representing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hrough the pen tip 410 . It radiates to the panel 310 (S20-1).

또한,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는 하나 이상의 펜 관련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할 수 있다(S20-2).Also,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may wirelessly transmit pen data including one or more pen-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S20-2).

터치 센싱 회로(320)는 패널(310)로 방사되고 펜 식별정보가 표현된 펜 펄스 신호(PENS)를 패널(310)을 통해 읽어 들인 리드 값들을 포함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생성하여 터치 컨트롤러(330)로 출력할 수 있다(S30-1).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generates raw data including read values read through the panel 310 with the pen pulse signal PENS radiated to the panel 310 and express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ouch the touch sensor. It can output to the controller 330 (S30-1).

무선 통신 모듈(300)는, 액티브 펜(20)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치 컨트롤러(330)로 출력할 수 있다(S30-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may receive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and output it to the touch controller 330 (S30-2).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Pen ID)를 획득하고,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무선 통신 모듈(300)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0). The touch controller 330 acquir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and recognizes the pen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40).

더 구체적으로, 터치 컨트롤러(330)는, 펜 인식 처리를 통해,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Pen ID)를 획득하고, 획득된 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액티브 펜(20)의 터치 위치(펜 위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touch controller 330 obtain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through pen recognition processing, and an active pe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touch position (pen position) of 20 may be sensed.

또한, 터치 컨트롤러(330)는, 펜 인식 처리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300)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티브 펜(20)에 대한 펜 부가 정보를 더 인식할 수 있다. Also,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further recognize additional pen information on the active pen 20 using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through pen recognition processing.

여기서, 펜 데이터는, 일 예로, 필압, 펜 기울기, 제어 정보 및 버튼 입력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의 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en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pen additional information among pen pressure, pen tilt, control information, and button input information.

또한,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터치 위치(손가락 위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Also,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sense the touch position (finger position) of the finger using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엑티브 펜(10)에 대판 펜 식별정보를 패널(310)을 통해 획득하고, 엑티브 펜(10)에 대판 펜 데이터를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획득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인식에 필요한 정보들(펜 식별정보, 펜 데이터)를 2가지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 obtains the bas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tive pen 10 through the panel 310 and obtains the base pen data to the active pen 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may acquire information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data) necessary for pen recognition through two paths.

따라서, 액티브 펜(20)은, 큰 데이터 용량을 가질 수 있는 펜 데이터와 펜 식별정보를 2가지의 다른 경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인식 처리에 필요한 정보(펜 데이터 내 펜 부가정보와, 펜 식별정보)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게 정확하게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tive pen 20 may divide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may have a large data capacity, into two different paths and transmit them to the display device 10 .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 ca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cqui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en recognition process (pen additional information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en data), so that the pen recogni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

또한, 액티브 펜(20)이 펜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해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액티브 펜(20)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멀티 펜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ctive pen 20 transmit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 the display device 10 can distinguish a plurality of active pens 20 , thereby providing multi-pen recognition. .

도 5를 참조하면, 액티브 펜(20)은, 펜 무선 통신부(400)를 통해, 필압, 펜 기울기 및 제어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펜 데이터 이외에, 펜 식별정보(Pen ID)를 더 무선 송출할 수 있다(S20-2).Referring to FIG. 5 , the active pen 20 wirelessly transmit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in addition to pen data including one or more of pen pressure, pen tilt and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 It can be transmitted (S20-2).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은 펜 식별정보 및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터치 컨트롤러(330)로 출력한다(S30-2)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receiv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and outputs it to the touch controller 330 (S30-2).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와, 무선 통신 모듈(300)에서 출력된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0).The touch controller 330 may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using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 S40 ).

전술한 바와 같이, 펜 식별정보(Pen ID)는, 패널(310)을 통해 터치 컨트롤러(330)로 전달되고, 무선 전송 방식으로 터치 컨트롤러(330)로 전달되기도 한다. 즉, 터치 컨트롤러(330)는 펜 식별정보(Pen ID)를 2가지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is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330 through the panel 310 and is also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330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That is, the touch controller 330 can obtain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through two paths.

전술한 바에 따르면, 액티브 펜(20)이 펜 인식(특히, 멀티 펜 인식)에 중요한 펜 식별정보를 2가지의 다른 경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함으로써, 터치 컨트롤러(330)는 멀티 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인 펜 식별정보를 신뢰성 있게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액티브 펜(20)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동시에 펜 인식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이상의 액티브 펜(20)을 동시에 사용하여 터치, 필기, 또는 입력 등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active pen 20 divide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mportant for pen recognition (especially, multi-pen recognition) into two different paths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device 10 , the touch controller 330 generates the multi-pen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mportant information enabling recognition, can be reliably obtained.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 may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active pen 20 , accurately distinguish two or more active pens 20 , and simultaneously provide pen recognition processing. Accordingly, the user may touch, write, or input by using two or more active pens 20 at the same time.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는,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패널(310)을 구동하는 신호로서, 터치 센싱 회로(320)가 패널(310)에 공급하는 신호이다.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s a signal for driving the panel 310 in order to sense a touch by a finger or the active pen 20 ,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operates the panel ( 310).

이러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는,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A, B, C, D, E, F, G, H)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A, B, C, D, E, F, G, and H.

액티브 펜(20)은, 패널(310)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펜 팁(410)을 통해 입력 받아. 이를 근거로 펜 펄스 신호(PENS)를 생성한다. The active pen 20 receiv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through the pen tip 410 . Based on this, a pen pulse signal PENS is generated.

펜 펄스 신호(PENS)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액티브 펜(20)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신호로서, 액티브 펜(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로 방사되는 신호이다. The pen pulse signal PENS is a signal that enables the display device 10 to recognize the active pen 20 , and is a signal radiated from the active pen 20 to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

액티브 펜(20)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이용하여 펜 펄스 신호(PENS)를 생성한다. The active pen 20 generates a pen pulse signal PENS by using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펜 펄스 신호(PENS)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기준으로, 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지털 코드(예: 0, 0, 0, 1, 0, 0, 1, 1)를 나타내는 복수의 펜 펄스(PA, PB, PC, PD, PE, PF, PG, PH)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n pulse signal PENS includes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eg, 0, 0, 0, 1, 0, 0, 1, 1) corresponding to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en pulses (PA, PB, PC, PD, PE, PF, PG, PH) representing

펜 펄스 신호(PENS)에 포함된 복수의 펜 펄스(PA, PB, PC, PD, PE, PF, PG, PH)는, 제1 디지털 코드(예: 0 또는 1)를 나타내는 제1 펜 펄스(예: PA, PB, PC, PE, PF)와, 제2 디지털 코드(예: 1 또는 0)를 나타내는 제2 펜 펄스(예: PD, PG, PH)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en pulses PA, PB, PC, PD, PE, PF, PG, PH included in the pen pulse signal PENS is a first pen pulse (eg, 0 or 1) representing a first digital code (eg, 0 or 1). Examples: PA, PB, PC, PE, PF) and a second pen pulse (eg, PD, PG, PH) representing a second digital code (eg, 1 or 0).

제1 펜 펄스(예: PA, PB, PC, PE, PF)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포함된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A, B, C, D, E, F, G, H)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예: A, B, C, E, F)의 라이징 시간(Rising Time)에 펄싱(Pulsing) 된다. The first pen pulse (eg, PA, PB, PC, PE, PF)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A, B, C, D, E, F, G included i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 H) is pulsed at the ris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s (eg, A, B, C, E, F).

제2 펜 펄스(예: PD, PG, PH)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포함된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A, B, C, D, E, F, G, H)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예: D, G, H)의 폴링 시간(Falling Time)에 펄싱(Pulsing) 될 수 있다. The second pen pulse (eg, PD, PG, PH) is one of the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A, B, C, D, E, F, G, H included i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t may be pulsed at the Fall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s (eg, D, G, H).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펜(20)은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PID)를 나타낸 펜 펄스 신호(PENS)를 생성하여 패널(310)로 방사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펄스 신호(PENS)를 정확하게 읽어 들일 수 있고, 펜 펄스 신호(PENS)가 나타내는 펜 식별정보(PID)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ctive pen 20 generates a pen pulse signal PENS representing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and radiates it to the panel 310 , the display The device 10 may accurately read the pen pulse signal PENS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indicated by the pen pulse signal PENS.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회로(320)에 의해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는, -N (N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상이고 +P (P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수 값을 갖는 다수의 리드 값(예: RA, RB, RC, RD, RE, RF, RG, RH)을 포함할 수 있다. 6 and 7,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310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is -N (N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or more and +P ( P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RF, RG, RH) having real values included in a range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다수의 리드 값은, 제1 펜 펄스(예: PA, PB, PC, PE, PF)에 대한 제1 리드 값(예: RA, RB, RC, RE, RF)과 제2 펜 펄스(예: PD, PG, PH)에 대한 제2 리드 값(예: RD, RG, RH)을 포함하고, 제1 리드 값(예: RA, RB, RC, RE, RF)의 부호와 제2 리드 값(예: RD, RG, RH)의 부호는 서로 다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ead values are: a first read value (eg RA, RB, RC, RE, RF) for a first pen pulse (eg PA, PB, PC, PE, PF) and a second pen pulse (eg, RA, RB, RC, RE, RF) PD, PG, PH), including the second read value (eg RD, RG, RH), the sign of the first read value (eg RA, RB, RC, RE, RF) and the second read value ( For example: RD, RG, RH) may have different signs.

예를 들어,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포함된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A, B, C, D, E, F, G, H) 와 펜 펄스 신호(PENS)에 포함된 복수의 펜 펄스(PA, PB, PC, PD, PE, PF, PG, PH) 간의 위상 관계가 정 위상인 경우, 해당 제1 리드 값(예: RA, RB, RC, RE, RF)은 음(-)의 실수 값을 가진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A, B, C, D, E, F, G, H included i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and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included in the pen pulse signal PENS If the phase relationship between the pen pulses (PA, PB, PC, PD, PE, PF, PG, PH) is positive, the corresponding first read value (eg RA, RB, RC, RE, RF) is negative (- ) has a real value.

이 경우, 터치 컨트롤러(330)는 음(-)의 실수 값을 갖는 해당 제1 리드 값(예: RA, RB, RC, RE, RF)은 제1 디지털 코드(예: 0)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interpret the corresponding first read values (eg, RA, RB, RC, RE, RF) having a negative (-) real value as a first digital code (eg, 0). have.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포함된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A, B, C, D, E, F, G, H) 와 펜 펄스 신호(PENS)에 포함된 복수의 펜 펄스(PA, PB, PC, PD, PE, PF, PG, PH) 간의 위상 관계가 역 위상인 경우, 해당 제2 리드 값(예: RD, RG, RH)은 양(+)의 실수 값을 가진다.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A, B, C, D, E, F, G, H included i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and a plurality of pen pulses PA included in the pen pulse signal PENS , PB, PC, PD, PE, PF, PG, and PH) are out of phase, the corresponding second read value (eg, RD, RG, RH) has a positive (+) real value.

이 경우, 터치 컨트롤러(330)는 양(+)의 실수 값을 갖는 해당 제2 리드 값(예: RD, RG, RH)은 제2 디지털 코드(예: 1)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interpret the corresponding second read values (eg, RD, RG, and RH) having a positive (+) real value as a second digital code (eg, 1).

따라서,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 의해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에 포함된 복수의 리드 값(예: RA, RB, RC, RD, RE, RF, RG, RH) 각각의 부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디지털 코드(예: 00010011)를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디지털 코드(예: 00010011)를 포함하는 펜 식별정보(PID)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ouch controller 330 includes a plurality of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eg, 00010011) may be determined based on each sign (RF, RG, RH),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including the determined plurality of digital codes (eg, 00010011) may be obtained. .

전술한 바에 따르면, 터치 센싱 회로(320)에 의해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에 포함된 리드 값들(예: RA, RB, RC, RD, RE, RF, RG, RH)를 이용하여 액티브 펜(20)의 펜 식별정보(PID)를 쉽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RF, RG, RH) included in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310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of the active pen 20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obtained using the .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싱 회로(320)에 의해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는, -N (N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상이고 +P (P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수 값을 갖는 다수의 리드 값(예: RA, RB, RC, RD, RE, RF, RG, RH)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310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is -N (N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or more and +P (P is a preset amount) )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RF, RG, RH) having real values included in the following ranges.

예를 들어, 로우 데이터는, -1 이상이고 +1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수 값을 갖는 다수의 리드 값(예: RA, RB, RC, RD, RE, RF, RG, RH)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raw data may include multiple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RF, RG, RH) with real values falling within the range of -1 or greater and +1 or less. can

터치 컨트롤러(330)는, 패널(310)에서 다수의 리드 값(예: RA, RB, RC, RD, RE, RF, RG, RH)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분포를 토대로 액티브 펜(20) 또는 손가락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touch controller 330,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all or a part of a plurality of read values (eg, RA, RB, RC, RD, RE, RF, RG, RH) in the panel 310, the active pen 20 or The position or presence of a finger can be detected.

즉, 터치 컨트롤러(330)는 수신하여 취합한 로우 데이터를 토대로 실수 값을 갖는 리드 값들의 분포(즉, 패널 위치 별 리드 값들의 크기 분포)를 산출하고, 산출된 분포를 토대로 특정 위치에서 리드 값들이 크게 다른 분포를 갖는다면, 이러한 특정 위치를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로서 감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touch controller 330 calculates a distribution of read values having a real value (ie, a size distribution of read values for each panel position) based on the received and collected raw data, and a read value at a specific position based on the calculated distribution. If they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distributions, the specific location may be detected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ouch by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and/or the location of the touch.

전술한 바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 의해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이용하여, 액티브 펜(20)의 펜 식별정보(PID)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 위치도 감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손가락에 의한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도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controller 330 acquir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of the active pen 20 by using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310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In addition, the touch position by the active pen 20 may be sensed, and in some cases, the presence/absence of touch by a finger and/or the touch position may also be sensed.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은 터치 센싱을 위한 전용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을 역할을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a dedicated touch screen panel for touch sensing, or in some cases, a display panel serving as a touch screen panel.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내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구성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display driving configurations in the case where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a display panel having a built-in touch screen panel.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내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패널(310)에는 제1 방향(예: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과, 제2 방향(예: 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터치 센싱을 위한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310)이 터치스크린 패널을 내장한다는 것은 패널(310)에 다수의 터치 전극(TE)이 내장되어 배치된다는 의미이다. Referring to FIG. 8 , when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a display panel having a built-in touch screen panel, the panel 310 i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eg, a column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to be use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eg, a row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for touch sensing may be disposed. Here, the fact that the panel 310 has a built-in touch screen panel means that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are embedded in the panel 310 .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810)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8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data driving circuit 810 for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gate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 driving circuit 820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경우에 따라서, 데이터 구동회로(810) 및 게이트 구동회로(82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 등의 제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configuration such as a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ing circuit 810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820 .

데이터 구동회로(810)와 터치 센싱 회로(320)는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data driving circuit 810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one integrated circuit.

또한, 데이터 구동회로(810), 게이트 구동회로(820), 타이밍 컨트롤러, 터치 센싱 회로(320) 및 터치 컨트롤러(330) 등 중 둘 이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wo or more of the data driving circuit 810 , the gate driving circuit 820 , the timing controller,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 and the touch controller 330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as one integrated circuit.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 간의 업-링크와 다운-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and a down-link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은 펜 인식을 위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9 ,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or pen recogni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서 액티브 펜(20)으로 신호(데이터, 정보 등을 모두 포함)가 송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 간에는 업-링크(Up-Link)가 존재한다고 한다. When a signal (including all data, information, etc.) is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10 to the active pen 20 , it indicates that an Up-Link exists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 do.

액티브 펜(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신호(데이터, 정보 등을 모두 포함)가 송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 간에는 다운-링크(Down-Link)가 존재한다고 한다. When a signal (including all data, information, etc.) is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to the display device 10 , it indicates that a down-link exists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 do.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동작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패널(310)에 공급되는 3가지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iod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nd FIG. 11 is three panel driving pulse signals supplied to the panel 310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a diagram showing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동작 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구동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operation period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include a display driving period and a touch driving period.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구동을 교번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play device 10 may proceed while alternately driving the display and driving the touch.

그리고, 터치 구동 구간은 2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사이의 블랭크 시간(Blank Time)에 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driving period may correspond to a blank time between two display driving periods.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구동 구간에서 패널 구동 상태를 알아본다. The panel driving state is examined in the display driving section and the touch driving section.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동안, 패널(310)에서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게이트 신호가 인가된다. During the display driving period, in the panel 310 , the image data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the gate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2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사이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하는 터치 구동 구간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에서 액티브 펜(20)으로 신호 전달을 위한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액티브 펜(2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신호 전달을 위한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driving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lank section between the two display driving sections includes an up-link transmission section ULNK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10 to the active pen 20 and a display in the active pen 20 . It may include a down-link transmission interval (DLNK)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device 10 .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패널(310)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in the panel 310 .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서, 다수의 터치 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가 인가될 수 있다.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in the panel 310 . have.

여기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구별되는 신호이다. Here,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a signal distinct from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한편, 터치 구동 구간이 분할된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각각에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Meanwhil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in each of the up-link transmission section ULNK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DLNK in which the touch driving section is divided will be described below.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패널 상태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가 패널(310)에 공급되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패널(310)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는 액티브 펜(20)으로 입력된다.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the pane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Accordingly,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is input to the active pen 20 .

이러한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PENS)가 액티브 펜(20)에서 패널(310)로 방사된다. During this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a pen pulse signal PENS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to the panel 310 .

또한,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펜 식별정보 및 펜 데이터가 액티브 펜(20)에서 무선 통신 모듈(300)로 무선 송출된다. Also,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en data are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

이에 따라,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손가락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진 손가락 위치(FLOC: Finger Location)를 감지할 수 있고, 액티브 펜(20)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진 펜 위치(PLOC: Pen Location)를 감지할 수 있으며, 액티브 펜(20)의 펜 식별정보(PID)를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a finger location (FLOC) touched by a finger can be detected, and a pen location (PLOC: Pen Location) touched by the active pen 20 can be detected. ) may be detected,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of the active pen 20 may be detected.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 상태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가 패널(310)에 공급되는 상태이다.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the panel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이에 따라, 패널(310)에 공급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는 패널(310)에서 액티브 펜(20)으로 입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upplied to the panel 310 may be input from the panel 310 to the active pen 20 .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공급되어 액티브 펜(20)로 전달되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는,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패널(310)에 공급되어 액티브 펜(20)으로 전달되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구별될 수 있다.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upplied to the panel 310 and transmitted to the active pen 20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is,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It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and transmitted to the active pen 20 .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구간을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으로 나누어,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각각에 대하여 펜 인식에 필요한 적절한 패널 구동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펜 인식을 위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신호 송수신이 가능해지고, 궁극적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펜 인식이 가능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driving section is divided into an up-link transmission section (ULNK) and a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DLNK), and the pen for each of the up-link transmission section (ULNK) and the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DLNK) It can make an appropriate panel driving state necessary for recognition. Through this, efficient and accurate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for pen recognition may be enabled, and ultimately accurate and efficient pen recognition may be enabled.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손가락 감지, 펜 감지)를 위해, 패널(310)에는 3가지 종류의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 BCON, PNG)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as described above, three types of panel driving pulse signals LFD, BCON, and PNG may be supplied to the panel 310 for touch sensing (finger sensing, pen sensing).

먼저,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는,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패널(310)에 공급되어 액티브 펜(20)으로 전달되는 신호로서, 하이 레벨 구간(HL)과 로우 레벨 구간(LL)이 교번하는 주기적 패턴을 갖는 신호이다. First,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s a signal that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and transmitted to the active pen 20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and is a high-level period HL and a low-level period. (LL) is a signal with an alternating periodic pattern.

액티브 펜(20)은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의 펄싱 타이밍에 맞추어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PENS)를 생성하여 패널(310)로 방사해줄 수 있다. The active pen 20 may generate a pen pulse signal PENS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lsing timing of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and radiate the generated pen pulse signal PENS to the panel 310 .

이러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는, 하이 레벨 구간(HL)과 로우 레벨 구간(LL)이 교번하면서 스윙 될 뿐, 의미 있는 정보가 실리지는 않는다.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only swings while alternating between the high level section HL and the low level section LL, and no meaningful information is loaded.

이에 비해,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와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는 의미 있는 정보가 실리는 신호이다. In contrast,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and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are signals carrying meaningful information.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는,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공급되어 액티브 펜(20)로 전달되는 신호로서, 패널 정보를 실은 비콘(Beacon) 신호일 수 있다.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is a signal that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and transmitted to the active pen 20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and may be a beacon signal carrying panel information.

액티브 펜(20)은 비콘 신호에 해당하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를 전달받음으로써, 패널(310)이 인접하여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패널(310)의 패널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By receiving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corresponding to the beacon signal, the active pen 20 may recognize that the panel 310 is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lay the recognized panel information of the panel 310 . can find out

여기서, 패널 정보는 패널 식별정보, 패널 해상도, 패널 제조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anel information may include pane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nel resolution, panel manufacturer, and the like.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는,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공급되어 액티브 펜(20)로 전달되는 신호로서, 터치 구동 구간 정보를 실은 핑(Ping) 신호일 수 있다.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a signal that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and transmitted to the active pen 20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and may be a ping signal carrying touch driving period information. have.

액티브 펜(20)은. 핑 신호에 해당하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를 전달받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또는 패널(310)의 구동 동작과 동기화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20 is. By receiving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corresponding to the ping signal, the operation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or the panel 310 .

액티브 펜(20)은 핑 신호에 해당하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몇 번째 프레임을 구동하는지, 그리고 프레임 내 몇 번째 터치 구동 구간을 진행하고 있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The active pen 20 detects, through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corresponding to the ping signal, what frame the display device 10 drives, and how many touch driving sections within the frame are in progress. can recognize

즉,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와 액티브 펜(20) 간의 동작을 시간적으로 동기화 시켜줄 수 있다. That is,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may temporally synchronize an operation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 and the active pen 20 .

위에서 언급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및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는 서로 구별되는 신호이다. The above-mentioned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and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are different signals.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손가락 감지, 펜 감지)를 위한 각 타이밍마다 그에 맞는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차별화하여 인가해줌으로써, 터치 감지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differentiating and applying a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itable for each timing for touch sensing (finger sensing, pen sensing), touch sensing can be accurately performed.

한편, 3가지 종류의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 BCON, PNG)는 기본적으로 패널(310)에 배치된 다수의 터치 전극(TE)의 전체 또는 일부에 공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hree types of panel driving pulse signals LFD, BCON, and PNG may be basically supplied to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TE disposed on the panel 310 .

이 경우, 패널(310)내 다른 전극들과 터치 전극(TE) 사이에는 불필요한 기생 캐패시터(Parasite Capacitor)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unnecessary parasitic capaci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other electrodes in the panel 310 and the touch electrode TE.

이러한 기생 캐패시터는 터치 전극(TE)에 대하여 RC (Resistor-Capacitor) 지연을 발생시키고, 캐패시턴스 기반의 터치 센싱 시 센싱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Such a parasitic capacitor may cause a resistor-capacitor (RC) delay with respect to the touch electrode TE, and may be a factor of lowering sensing accuracy during capacitance-based touch sensing.

따라서,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또한,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Also,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may be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여기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대응되는 신호는, 주파수, 진폭, 위상 및 다른 신호적 특징에 있어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완전하게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may be completely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n frequency, amplitude, phase, and other signal characteristics. .

한편,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대응되는 신호는, 주파수, 진폭, 위상 및 다른 신호적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와 완전하게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Meanwhil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s completely identical to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n at least one of frequency, amplitude, phase, and other signal characteristics. It could be a signal.

여기서, "실질적 동일"은 두 값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그 차이가 미리 결정된 허용 마진(tolerance Margin) 또는 측정 오차 범위 등 이내인 경우 두 값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허용 마진 또는 측정 오차 범위는 ±20%, ±10%, ±5%, ±1% 등일 수 있다.Here, "substantially identical" means that the two values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but can be regarded as identical if th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tolerance margin or a measurement error range. For example, the tolerance margin or measurement error range may be ±20%, ±10%, ±5%, ±1%, and the like.

전술한 바에 따르면, 터치 구동 구간 내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에서, 기생 캐패시터의 영향이 제거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된 상태에서, 손가락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진 손가락 위치(FLOC: Finger Location)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액티브 펜(20)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진 펜 위치(PLOC: Pen Location)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액티브 펜(20)의 펜 식별정보(PID)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DLNK) within the touch driving s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ffect of the parasitic capacitor is removed or substantially removed, a finger location (FLOC: Finger Location) where a touch is made by a finger is accurately detected A pen location (PLOC) at which a touch is made by the active pen 20 may be accurately detected,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of the active pen 20 may be accurately detected.

여기서, 기생 캐패시터의 실질적인 제거는, 기생 캐패시터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았더라도, 기생 캐패시터에 의해 터치 센싱 정확도의 변화 정도가 미리 정의된 허용 범위(예: ±20%, ±10%, ±5%, ±1%) 이내인 경우에는 기생 캐패시터가 제거되었다고 간주한다는 의미이다. Here, the practical removal of the parasitic capacitor is, even if the parasitic capacitor is not completely removed, the degree of change in touch sensing accuracy by the parasitic capacitor is within a predefined tolerance range (eg, ±20%, ±10%, ±5%, ±1%), it means that the parasitic capacitor is removed.

한편, 터치 구동 구간 내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가 공급되는 동안,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Meanwhile,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while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the second panel is driven in whole or in part by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BCON may be applied.

또한, 터치 구동 구간 내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가 공급되는 동안,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while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the second panel is driven by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BCON may be applied.

또한, 터치 구동 구간 내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가 공급되는 동안,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while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the third panel is driven by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PNG may be applied.

또한, 터치 구동 구간 내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가 공급되는 동안,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within the touch driving period, while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 the third panel is driven by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signal PNG may be applied.

여기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대응되는 신호는, 주파수, 진폭, 위상 및 다른 신호적 특징에 있어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완전하게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Here,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amplitude, phase and other signal characteristics.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may be completely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gnal.

한편,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대응되는 신호는, 주파수, 진폭, 위상 및 다른 신호적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와 완전하게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has at least one of frequency, amplitude, phase, and other signal characteristics,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 BCON)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signal.

여기서, "실질적 동일"은 두 값이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그 차이가 미리 결정된 허용 마진(tolerance Margin) 또는 측정 오차 범위 등 이내인 경우 두 값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허용 마진 또는 측정 오차 범위는 ±20%, ±10%, ±5%, ±1% 등일 수 있다. Here, "substantially identical" means that the two values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but can be regarded as identical if th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tolerance margin or a measurement error range. For example, the tolerance margin or measurement error range may be ±20%, ±10%, ±5%, ±1%, and the like.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하나의 프레임(디스플레이 프레임) 구간 동안,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을 진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proceed with one display driving period during one frame (display frame) period.

이 경우, 하나의 프레임 구간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하나의 터치 구동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frame period may include one display driving period and one touch driving period.

이와 다르게,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하나의 프레임 구간 동안,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을 진행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may perform two or more display driving periods during one frame period.

이 경우, 하나의 프레임 구간은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하나 이상의 터치 구동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frame section may include two or more display driving sections and one or more touch driving sections.

도 12a 및 도 12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2A and 12B are diagrams exemplarily illustrating a touch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2a를 참조하면,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하나의 프레임 구간 동안, 16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1, D2, ... , D16)을 분리하여 진행하고, 2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의 사이에 해당하는 블랭크 구간(1~16) 마다 터치 구동 구간을 진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 separates and proceeds 16 display driving periods D1, D2, ... , D16 during one frame period, and A touch driving sec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blank section 1 to 16 corresponding therebetween.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 구간은, 16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D1, D2, ... , D16)과 16개의 터치 구동 구간(T1, T2, ... , T16)으로 시분할 되어, 디스플레이 구동과 터치 구동이 교번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one frame section is time-divided into 16 display driving sections (D1, D2, ... , D16) and 16 touch driving sections (T1, T2, ... , T16), and display driving and touch driving This can be done alternately.

도 12b는, 도 12a에서의 16개의 터치 구동 구간(T1, T2, ... , T16) 각각에 대한 터치 감지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process for each of the 16 touch driving sections T1, T2, ..., T16 in FIG. 12A.

도 12b를 참조하면, 16개의 블랭크 구간(1, 2, ... , 16)에 대응되는 16개의 터치 구동 구간(T1, T2, ... , T16) 각각은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으로 나누어진다. 12B, each of the 16 touch driving sections T1, T2, ..., T16 corresponding to the 16 blank sections 1, 2, ..., 16 is an up-link transmission section (ULNK) and a down-link transmission interval (DLNK).

도 12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패널(310)에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가 공급되고, 손가락 위치(FLOC)가 감지되며, 펜 위치(PLOC)가 감지되고, 펜 식별정보(PID)가 인식된다. Referring to FIG. 12B ,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DLNK,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the finger position FLOC is sensed, and the pen position (PLOC) is detected,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ID) is recognized.

도 12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16개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중 전체 또는 일부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B ,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of all or part of the 16 up-link transmission periods ULNK,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is transmitted to the panel 310 . can be supplied.

예를 들어, 16개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중 첫 번째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중간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즉, 8번째 업-링크 전송 구간) 동안,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가 패널(310)에 공급될 수 있다.For example, during the first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ULNK) and the middle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ULNK, that is, the 8th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16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ULNK), the second The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may be supplied to the panel 310 .

도 12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16개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중 전체 또는 일부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패널(310)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가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B ,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iod (ULNK) of all or part of the 16 up-link transmission periods (ULNK), the panel 310 includes a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can be supplied.

예를 들어, 16개의 업-링크 전송 구간(ULNK) 중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BCON)가 패널(310)에 공급되는 업-링크 전송 구간 동안,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PNG)가 패널(310)에 공급될 수 있다. For example, during an up-link transmission period in which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BCON is supplied to the panel 310 among 16 up-link transmission periods ULNK,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PNG is transmitted to the panel 310 may be supplied.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펜(20)은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펜 무선 통신부(40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300)을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active pen 20 includes a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that wirelessly transmits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300) is included.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은, 일 예로,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등을 활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are, for example,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direct Wi-Fi or the lik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LTE (Long Term Evolution) may communicate.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없이, 상대방을 감지하여 페어링 동작으로 통해 상호 간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include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Direct Wi-Fi. -Fi), or the like, without an access poin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ther party and establish a mutual connection through a pairing operation.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은, 와이파이(Wi-Fi)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라우터, 기지국 등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통해, 상대방을 감지하여 상호 간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communicate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Long Term Evolution (LTE), Through an access point such as a router or a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 counterpart and establish a mutual connection.

따라서, 액티브 펜(20)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상호 간의 연결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tive pen 20 and the display device 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 mutual connection.

도 13 내지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 펜(20)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간의 무선 통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3 to 1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active pen 20 and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 간의 무선 통신 시, 노이즈에 의한 신호 간섭, 보안성 등을 강화하기 위하여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a spread spectrum technique to enhance signal interference due to noise, security, etc. can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즉,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는, 의사잡음(PN: Pseudo Noise) 코드(Y)를 이용하여, 보내고자 하는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호(X)를 스펙트럼 확산하고, 스펙트럼 확산된 신호(Z)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로 무선 송출할 수 있다. That is,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uses a Pseudo Noise (PN) code (Y) to spectrum the signal X including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e spread and the spectrum-spread signal Z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

더 구체적으로,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는, 일 예로, 보내고자 하는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PSK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1차 변조하고, 1차 변조된 신호(X)를 의사잡음 코드 생성기(PN Generator)에서 생성된 의사잡음(PN) 코드(Y)를 이용하여 2차 변조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통해 2차 변조된 신호(Z)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한다. More specifically,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for example, primary modulates the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sent in a PSK (Phase Shift Keying) method, and then the primary modulated signal ( X) is secondarily modulated using the pseudo noise (PN) code (Y) generated by the PN generator, and the second modulated signal ( Z)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an antenna.

여기서, 2차 변조된 신호(Z)는 1차 변조된 신호(X)와 의사잡음 코드(Y)의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Here, the secondary modulated signal Z may be generated by an exclusive OR of the primary modulated signal X and the pseudo noise code Y. As shown in FIG.

또한, 의사잡음 코드 생성기(PN Generator)는 칩 클럭 주기(Tc)를 갖는 칩 클럭(Chip Clock)을 이용하여 다수의 비트열로 이루어진 의사잡음 코드(Y)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pseudo-noise code generator (PN) generates a pseudo-noise code Y composed of a plurality of bit strings using a chip clock having a chip clock period Tc.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에서 사용하는 의사잡음 코드(Y)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에서 복조 시 동일하게 사용된다. The pseudo-noise code Y used i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is equally used in demodulation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는,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가 변조했던 방식의 역으로 복조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demodulate inversely to the method modulated by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는,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로부터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Z)를 의사잡음 코드 생성기(PN Generator)에서 생성된 의사잡음 코드(Y)를 이용하여 1차 복조하고, 1차 복조된 신호(X)를 PSK (Phase Shift Keying) 복조 과정을 거쳐서, 액티브 펜(20)이 보내고자 했던 펜 데이터 및 펜 식별정보를 얻게 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converts a signal wirelessly received from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Z) is first demodulated using the pseudo noise code (Y) generated by the pseudo noise code generator (PN Generator), and the first demodulated signal (X) is subjected to PSK (Phase Shift Keying) demodulation process Through this process,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active pen 20 intends to send are obtained.

여기서, 1차 복조된 신호(X)는 수신 신호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Z)와 의사잡음 코드(Y)의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Here, the primary demodulated signal (X) may be generated by the exclusive OR (Exclusive Or) of the digital signal (Z) converted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the pseudo noise code (Y).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 내 의사잡음 코드 생성기(PN Generator)는,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에서 사용하는 의사잡음 코드(Y)와 동일한 의사잡음 코드(Y)를 생성한다. In addition, the pseudo noise code generator (PN Generator)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is the same pseudo noise code (Y) used i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 Generate code (Y).

한편,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 간의 무선 통신 시, 이용되는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법은, 일 예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기법일 수도 있고, 주파수 호핑 확산 스펙트럼(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기법 또는 시간 호핑 확산 스펙트럼(THSS: Time Hopping Spread Spectrum) 등일 수도 있다. Meanwhile, a spread spectrum techniqu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is, for example,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It may be a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technique, a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FHSS) technique, or a Time Hopping Spread Spectrum (THSS) technique.

이뿐만 아니라,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 간의 무선 통신 시, 스펙트럼 확산을 위해 의사잡음 코드에 의존하지 않고, 정보 신호의 시간의 변화 구간 동안 선형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반송파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스펙트럼 확산 기법인 첩 변조(Chirp Modulation) 기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the time of the information signal does not depend on the pseudo-noise code for spectrum spreading.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hirp modulation technique, which is a spread spectrum technique that changes the carrier frequency using a linear frequency characteristic during a change period of .

전술한 바에 따르면, 액티브 펜(20)의 펜 무선 통신부(4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는,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내고자 정보를 실은 신호를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고, 정보에 대한 보안성도 높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펜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of the active pen 2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are not affected by noise and can accurate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carry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t can also enhance the security of information. Accordingly, more accurate pen recognition may be achieved.

도 1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액티브 펜(20)과의 연동을 통한 펜 인식 방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패널(310)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공급하는 단계(S1610)와, 액티브 펜(20)이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PENS)를 펜 팁(410)을 통해 패널(310)로 방사하고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제2 단계(S162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가 펜 펄스 신호(PENS)가 방사된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여 생성된 로우 데이터(Raw Data)와 액티브 펜(20)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제3 단계(S16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 in the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pen recognition method through interworking with the active pen 20 of the display device 10 is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10 using the panel 310 . 1 step of supplying a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1610), and the active pen 20 transmits a pen pulse signal PENS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o the pen tip ( A second step (S1620) of radiating to the panel 310 through 410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en data, and a row generated by the display device 10 reading from the panel 310 to which the pen pulse signal PENS is emitted A third step (S1630) of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raw data and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may be included.

전술한 펜 인식 방법을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엑티브 펜(10)에 대판 펜 식별정보를 패널(310)을 통해 획득하고, 엑티브 펜(10)에 대판 펜 데이터를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획득한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인식에 필요한 정보들(펜 식별정보, 펜 데이터)를 2가지 경로(패널과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Using the above-described pen recognition method, the display device 10 acquires the bas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tive pen 10 through the panel 310 and transmits the base pen data to the active pen 1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acquire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 may acquire information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data) necessary for pen recognition through two paths (a pane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따라서, 액티브 펜(20)은, 큰 데이터 용량을 가질 수 있는 펜 데이터와 펜 식별정보를 2가지의 다른 경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인식 처리에 필요한 정보(펜 데이터 내 펜 부가정보와, 펜 식별정보)를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하게 정확하게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tive pen 20 may divide pen data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may have a large data capacity, into two different paths and transmit them to the display device 10 .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 ca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cquir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en recognition process (pen additional information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pen data), so that the pen recogni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

또한, 액티브 펜(20)이 펜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해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복수의 액티브 펜(20)을 구별할 수 있게 되어, 멀티 펜 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ctive pen 20 transmit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 the display device 10 can distinguish a plurality of active pens 20 , thereby providing multi-pen recognition. .

S1620 단계에서, 액티브 펜(20)은 펜 데이터 이외에, 펜 식별정보를 더 무선 송출할 수 있다.In step S1620 , the active pen 20 may wirelessl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en data.

따라서, 액티브 펜(20)은 펜 인식(특히, 멀티 펜 인식)에 중요한 펜 식별정보를 2가지의 다른 경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액티브 펜(20)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동시에 펜 인식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2개의 이상의 액티브 펜(20)을 동시에 사용하여 터치, 필기, 또는 입력 등을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ctive pen 20 may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mportant for pen recognition (particularly, multi-pen recogni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by dividing it into two different paths.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 may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active pen 20 , accurately distinguish two or more active pens 20 , and simultaneously provide pen recognition processing. Accordingly, the user may touch, write, or input by using two or more active pens 20 at the same time.

도 1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과정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1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pen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7에 도시된 펜 인식 과정은, 도 5의 펜 인식 과정과 거의 유사하다. The pen recogni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17 is almost similar to the pen recognition process of FIG. 5 .

다만, 액티브 펜(20)이 펜 식별정보(Pen ID)를 무선 송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컨트롤러(330)에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고, 펜 식별정보(Pen ID)를 패널(3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컨트롤러(330)에 제공하는 것은 선택 사항일 수 있다. However, the basic principle is that the active pen 20 provid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to the touch controller 330 of the display device 10 in a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is provided to the panel 310 . It may be optional to provide to the touch controller 330 of the display device 10 through the .

S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센싱 회로(320)는 패널(310)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공급한다. In step S10 ,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of the display device 10 suppli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o the panel 310 .

액티브 펜(20)은 패널(310)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근거하여, 펜 펄스 신호(PENS)를 패널(310)로 방사하고(S20-1),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400)를 통해 펜 식별정보(Pen ID)를 무선 송출한다(S20-2). The active pen 20 emits a pen pulse signal PENS to the panel 310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S20-1), and the built-in pen wireless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is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0 (S20-2).

여기서, 액티브 펜(20)에서 방사된 펜 펄스 신호(PENS)는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의 펄싱에 따라 동기화되어 펄싱이 되되, 펜 식별정보(Pen ID)를 미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en pulse signal PENS e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may be synchronized and pulsed according to the pulsing of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but may not include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즉, 펜 식별정보가 2가지 경로를 통해 중복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제공되지 않는다. That i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verlapped through two paths and is not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10 .

이 경우, 액티브 펜(20)은 패널(310)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에 근거하여 펜 펄스 신호(PENS)를 생성하는 것이 쉬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tive pen 20 may easily generate the pen pulse signal PENS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supplied to the panel 310 .

또는, 액티브 펜(20)에서 방사된 펜 펄스 신호(PENS)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 식별정보(Pen ID)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pen pulse signal PENS e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may selectively includ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n ID as shown in FIG. 6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센싱 회로(320)는, 패널(310)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LFD)를 공급함에 따라 펜 펄스 신호(PENS)가 방사된 패널(310)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터치 컨트롤러(330)로 출력한다(S30-1). When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of the display device 10 supplies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LFD to the panel 310 ,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310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PENS is emitted. (Raw Data) is output to the touch controller 330 (S30-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모듈(300)은, 액티브 펜(20)에서 무선 송출된 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터치 컨트롤러(330)로 출력한다(S30-2).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of the display device 10 receiv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20 and outputs it to the touch controller 330 (S3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의 터치 컨트롤러(330)는, 터치 센싱 회로(320)에서 출력된 로우 데이터와, 무선 통신 모듈(300)에서 출력된 펜 식별정보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touch controller 330 of the display device 10 may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320 an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00 .

한편, 액티브 펜(20)은,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400)를 통해 펜 식별정보와 함께, 선택적으로, 펜 데이터를 추가로 무선 송출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active pen 20 may optionally additionally transmit pen data wirelessly along with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00 .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펜 데이터로부터 액티브 펜(20)에 대한 필압, 기울기, 제어정보 및 버튼입력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의 펜 부가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더욱 세밀하게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0 can know one or more pen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pen pressure, tilt, control information, and button input information for the active pen 20 from the pen data, so that the pen recognition process is performed more precisely. can do.

도 1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펜 인식을 나타낸 도면이다.18 is a diagram illustrating multi-pe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8을 참조하면,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이 펜 인식(특히, 멀티 펜 인식)에 중요한 펜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로 전송해줌으로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에 대한 펜 식별정보(에: 00010011, 10000001)를 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 two or more active pens 20 transmit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important for pen recognition (particularly, multi-pen recognition) to the display device 10 ,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 can display the two or more active pens 20 .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00010011, 10000001) for the pen 20 may be managed as a list.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는 각 액티브 펜(20)에 대한 로우 데이터 및 펜 데이터(필압, 기울기, 제어정보, 버튼 입력정보 등)를 해당 펜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 각각의 터치 유무, 터치 위치 등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다. Then, the display device 10 associates the raw data and pen data (pen pressure, tilt, control information, button input information, etc.) for each active pen 20 with the correspond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of the two or more active pens 20 and the location of the touch may be accurately distinguished and detected.

한편, 종래 펜 인식 기술은, 액티브 펜(20)을 찾기 위하여 패널(310)의 전 영역을 센싱하는 풀 스캔(Full Scan) 과정과, 패널(3100에서 찾아진 액티브 펜(200이 존재하는 일부 영역만을 반복적으로 센싱하여 펜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컬 센싱(Local Sensing) 과정을 거쳐서 펜 인식을 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pen recognition technology, a full scan process of sensing the entire area of the panel 310 to find the active pen 20 and a partial area in which the active pen 200 found in the panel 3100 exist Pen recogni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local sensing process in which pen data is acquired by repeatedly sensing only the pen.

하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에 따르면, 액티브 펜(20)을 찾기 위한 풀 스캔(Full Scan) 과정과 펜 데이터를 획득하는 로컬 센싱(Local Sensing) 과정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 없이, 풀 스캔(Full Scan) 과정을 통해서, 액티브 펜(20)을 찾고 액티브 펜(20)의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며 손가락의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erform a full scan process to find the active pen 20 and a local sensing process to acquire pen data. Without it, through a full scan process, finding the active pen 20, detecting the presence and/or touch position of the active pen 20, and simultaneously detecting the presence and/or touch position of a finger can do.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의 경우, 로컬 센싱(Local Sensing) 과정 없이, 풀 스캔(Full Scan) 과정을 통해서, 액티브 펜(20)을 찾고 액티브 펜(20)의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며 손가락의 터치 유무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의 터치 위치를 정확한 감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20)의 움직임 추적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active pen 20 is found through a full scan process without a local sensing process, and whether or not the active pen 20 is touched and/or touched Since the position is sensed and the touch presence and/or touch position of the finger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e touch position of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can be accurately detected, and the motion tracking of the finger or the active pen 20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can be done more accurately.

또한, 종래의 펜 인식 방법은,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에 대한 펜 인식 처리(위치 감지 포함)를 제공해줄 수 없지만,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펜 인식 방법의 경우, 2개 이상의 액티브 펜(20)에 대한 펜 인식 처리(위치 감지 포함)를 동시에 제공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en recognition method cannot provide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cluding position detection) for two or more active pens 20, but in the case of the pe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wo or more active pen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rovide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cluding position detection) for ( 20 ).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속하고 정확한 펜 인식을 할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액티브 펜(20)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the display device 10 , the active pen 20 ,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ing a pen.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을 구별하여 인식하고,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에 대한 펜 데이터를 구별하여 처리함으로써, 여러 개의 액티브 펜(20)을 통한 펜 입력을 동시에 처리해줄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액티브 펜(20)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pen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active pens 20 by distinguishing and recognizing the plurality of active pens 20 and processing the pen data for the plurality of active pens 20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uch sensing system, the display device 10 , the active pen 20 ,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ly processing .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펜 인식을 위한 액티브 펜(20)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간의 신호 송수신 시, 펜 인식에 필요한 정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액티브 펜(20)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between the active pen 20 and the display device 10 for pen recognition, a touch sensing system and a display device ( 10), the active pen 20 and a pen recognition method may be provided.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손가락에 의한 터치와 액티브 펜(20)에 의한 터치를 동시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센싱할 수 있는 터치 센싱 시스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 액티브 펜(20) 및 펜 인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touch sensing system, the display device 10, the active pen 20, and the pen recognition capable of simultaneously and accurately sensing a touch by a finger and a touch by the active pen 20 at the same time method can be provided.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ombine configuration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액티브 펜
300: 무선 통신 모듈
310: 패널
320: 터치 센싱 회로
330: 터치 컨트롤러
400: 펜 무선 통신부
410: 펜 팁
420: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수신부
430: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
440: 펜 컨트롤러
10: display device
20: active pen
30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10: panel
320: touch sensing circuit
330: touch controller
400: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0: pen tip
420: analog front-end receiver
430: analog front-end transmitter
440: pen controller

Claims (23)

터치 센싱 시스템에 있어서,
액티브 펜; 및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펜은,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상기 패널로 방사하며,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상기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와,
상기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상기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In the touch sensing system,
active pen;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nd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the active pen,
The active pen is
A pen pulse signal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adiated to the panel through a pen tip, and pen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device is
a touch sensing circuit for supplying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and outputting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and a touch controller configured to acquir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nd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은,
상기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필압, 펜 기울기 및 제어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펜 데이터 이외에도, 상기 펜 식별정보를 추가로 무선 송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펜 식별정보 및 상기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 출력하며,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 데이터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펜 데이터 및 상기 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e pen is
In addition to the pe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pen pressure, pen tilt, and control information,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dditionally transmitted wirelessly through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and outputs the received pen data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is
A touch sensing system for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using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은,
상기 패널을 통해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상기 펜 팁을 통해 입력 받고,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복수의 펜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펜 펄스 신호를 상기 패널로 방사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e pen is
receiving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through the panel through the pen tip;
The touch sensing system radiates the pen pulse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en pulses indicating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corresponding to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anel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 펄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펜 펄스는,
제1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제1 펜 펄스와,
제2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제2 펜 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펜 펄스는,
상기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의 라이징 시간(Rising Time)에 펄싱(Pulsing) 되고,
상기 제2 펜 펄스는,
상기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의 폴링 시간(Falling Time)에 펄싱(Pulsing) 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pen pulses included in the pen pulse signal,
a first pen pulse representing a first digital code;
a second pen pulse representing a second digital code;
The first pen pulse is
is pulsed at a rising time of a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The second pen pulse is
A touch sensing system that is pulsed at a falling time of a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는,
-N (N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상이고 +P (P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수 값을 갖는 다수의 리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리드 값은,
상기 제1 펜 펄스에 대한 제1 리드 값과 상기 제2 펜 펄스에 대한 제2 리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리드 값의 부호와 상기 제2 리드 값의 부호는 서로 다른 터치 센싱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is,
contains multiple read values with real values falling within the range greater than or equal to -N (N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and less than or equal to +P (P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The plurality of read values are
a first read value for the first pen pulse and a second read value for the second pen pulse;
A sign of the first read value and a sign of the second read valu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리드 값 각각의 부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포함하는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ouch controller is
determining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based on each sign of a plurality of read values included in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 touch sensing system for acquir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plurality of digital co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는,
-N (N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상이고 +P (P은 미리 설정된 양의 실수) 이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수 값을 갖는 다수의 리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에서 상기 다수의 리드 값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분포를 토대로 상기 액티브 펜 또는 손가락의 위치 또는 유무를 감지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is,
contains multiple read values with real values falling within the range greater than or equal to -N (N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and less than or equal to +P (P is a preset positive real number);
The touch controller is
A touch sensing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r presence of the active pen or the finger based on a distribution of all or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ad values in the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구간은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과 터치 구동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구동 구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상기 액티브 펜으로 신호 전달을 위한 업-링크 전송 구간(ULNK)과,
상기 액티브 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신호 전달을 위한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을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driving section and a touch driving section,
The touch driving section is
an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ULNK)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display device to the active pen;
and a down-link transmission interval (DLNK)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active pen to the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 구간(DLNK) 동안,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가 상기 패널에 공급되고,
상기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펜 펄스 신호가 상기 액티브 펜에서 상기 패널로 방사되고,
상기 펜 데이터가 상기 액티브 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무선 송출되며,
상기 업-링크 전송 구간(ULNK) 동안,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가 상기 패널에 공급되고,
상기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또는 상기 제3 패널 구동 펄스가 상기 패널에서 상기 액티브 펜으로 입력되며,
상기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또는 상기 제3 패널 구동 펄스는,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구별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interval (DLNK),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supplied to the panel;
the pen 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emitted from the active pen to the panel;
The pen data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ULNK),
a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or a third panel driving pulse is supplied to the panel;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is input from the panel to the active pen;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or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is
A touch sensing system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하이 레벨 구간과 로우 레벨 구간이 교번하는 주기적 패턴을 갖는 신호이고,
상기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패널 정보를 실은 비콘(Beacon) 신호이고,
상기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터치 구동 구간 정보를 실은 핑(Ping) 신호이며,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 상기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및 상기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서로 구별되는 터치 센싱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 signal having a periodic pattern in which a high-level section and a low-level section alternate;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 beacon signal carrying panel information,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 ping signal carrying touch driving section informati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he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and the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은 상기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 무선 통신부는,
의사잡음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로 무선 송출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e pen further includes a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en data,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touch sensing system that spreads the spectrum of the pen data using a pseudo noise code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pen data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display device.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
상기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액티브 펜에서 상기 패널로 방사되고 펜 식별정보가 표현된 펜 펄스 신호를 상기 패널을 통해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
상기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펜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an active pen,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 touch sensing circuit for outputting raw data that is read through the panel with a pen pulse signal emitted from the active pen to the panel and express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supplied to the panel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and
and a touch controller for acquir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nd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 및
터치 센싱을 위한 다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영상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며,
2개의 디스플레이 구동 구간 사이의 블랭크 구간에 해당하는 터치 구동 구간은 업-링크 전송 구간과 다운-링크 전송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전송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의 전체 또는 일부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업-링크 전송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터치 전극의 전체 또는 일부로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구별되는 제2 패널 구동 펄스 신호 또는 제3 패널 구동 펄스 신호가 인가되는 패널.
a plurality of data line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for touch sensing,
During the display driving period,
an image data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gate signal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The touch driving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lank section between the two display driving sections includes an up-link transmission section and a down-link transmission section,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During the up-link transmission interval,
A panel to which a second panel driving pulse signal or a third panel driving pulse signal distinct from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 구간 동안,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의 전체 또는 일부로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되거나,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의 전체 또는 일부로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가 인가되는 패널.
14. The method of claim 13,
During the down-link transmission perio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panel to which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s applied to all or part of the plurality of gate line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액티브 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패널과 접촉 또는 근접하는 펜 팁;
상기 패널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상기 펜 팁을 통해 수신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수신부;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상기 펜 팁을 통해 방사하는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 및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를 포함하고,
상기 펜 펄스 신호는,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복수의 펜 펄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펜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펜 펄스 신호는 상기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송신부로부터 상기 패널로 방사되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펜 식별정보와 상기 무선 송출된 상기 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액티브 펜.
In the active pen interlocking with a display device,
a pen tip in contact with or proximate to a panel of the display device;
an analog front-end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the panel through the pen tip;
an analog front-end transmitter emitting a pen pulse signal represen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pen tip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and
A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en data,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The pen pulse signal includes a plurality of pen pulses indicating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corresponding to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he pen pulse signal including the plurality of pen pulses is radiated from the analog front end transmitter to the panel;
The display device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gital codes and the wirelessly transmitted pen data.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펜 펄스 신호에 포함된 복수의 펜 펄스는,
제1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제1 펜 펄스와,
제2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제2 펜 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펜 펄스는,
상기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의 라이징 시간(Rising Time)에 펄싱(Pulsing) 되고,
상기 제2 펜 펄스는,
상기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 중 대응되는 패널 구동 펄스의 폴링 시간(Falling Time)에 펄싱(Pulsing) 되는 액티브 펜.
16. The method of claim 15,
A plurality of pen pulses included in the pen pulse signal,
a first pen pulse representing a first digital code;
a second pen pulse representing a second digital code;
The first pen pulse is
is pulsed at a rising time of a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The second pen pulse is
An active pen that is pulsed at a falling time of a corresponding panel driving puls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펜 무선 통신부는,
상기 펜 데이터 이외에, 상기 펜 식별정보를 더 무선 송출하는 액티브 펜.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addition to the pen data, the active pen further transmit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ly.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티브 펜과의 연동을 통한 펜 인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패널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단계;
상기 액티브 펜이,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펜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펜 펄스 신호를 펜 팁을 통해 상기 패널로 방사하고, 펜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상기 패널로부터 읽어 들여 생성된 로우 데이터(Raw Data)와, 상기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상기 펜 데이터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는 복수의 패널 구동 펄스를 포함하고,
상기 펜 펄스 신호는,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펜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나타내는 복수의 펜 펄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펜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단계의 상기 펜 펄스 신호는 상기 패널로 방사되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로우 데이터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펜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펜 식별정보와 상기 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펜 인식 방법.
A method for recognizing a pen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active pen of a display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supplying, by the display device,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a second step of, by the active pen, radiating a pen pulse signal indica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anel through a pen tip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en data; and
a third step of performing, by the display device,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raw data generated by reading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nd the pen data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 driving pulses;
The pen pulse signal includes a plurality of pen pulses indicating a plurality of digital codes corresponding to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In the second step, the pen pulse signal of the second step including the plurality of pen pulses is radiated to the panel;
In the third step, the display device acquir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digital codes from the raw data, and the display device performs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cquired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en data. How to recognize a pen to perform.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액티브 펜은 상기 펜 데이터 이외에, 상기 펜 식별정보를 더 무선 송출하는 펜 인식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In the second step, the active pen wirelessly transmit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pen data.
터치 센싱 시스템에 있어서,
액티브 펜; 및
다수의 터치 전극이 배치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펜과 연동하여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펜은,
상기 패널에 공급된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생성된 펜 펄스 신호를 상기 패널로 방사하고,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펜 식별정보를 무선 송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패널로 상기 제1 패널 구동 펄스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펜 펄스 신호가 방사된 상기 패널로부터 읽어 들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출력하는 터치 센싱 회로와,
상기 액티브 펜에서 무선 송출된 상기 펜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터치 센싱 회로에서 출력된 상기 로우 데이터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출력된 상기 펜 식별정보를 토대로 펜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In the touch sensing system,
active pen;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touch electrodes are disposed, and performing pen recognition processing in conjunction with the active pen,
The active pen is
radiating a pen pulse signal generated based on a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supplied to the panel to the panel,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device is
a touch sensing circuit for supplying the first panel driving pulse signal to the panel and outputting raw data read from the panel from which the pen pulse signal is emitte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ctive pen;
and a touch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pen recognition processing based on the raw data output from the touch sensing circuit and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에서 방사된 상기 펜 펄스 신호는 상기 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pen pulse signal emitted from the active pen includes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펜은,
내장된 펜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펜 식별정보와 함께, 펜 데이터를 추가로 무선 송출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active pen is
A touch sensing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en data along with the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built-in p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20160184105A 2016-12-30 2016-12-30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KR102460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05A KR102460472B1 (en) 2016-12-30 2016-12-30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CN201711422666.6A CN108268153B (en) 2016-12-30 2017-12-25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panel, active pen and pen recognition method
US15/856,394 US10761619B2 (en) 2016-12-30 2017-12-28 Touch-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05A KR102460472B1 (en) 2016-12-30 2016-12-30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86A KR20180079586A (en) 2018-07-11
KR102460472B1 true KR102460472B1 (en) 2022-11-01

Family

ID=6270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05A KR102460472B1 (en) 2016-12-30 2016-12-30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61619B2 (en)
KR (1) KR102460472B1 (en)
CN (1) CN10826815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396A1 (en) * 2015-06-23 2016-12-29 株式会社リコー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460472B1 (en) * 2016-12-30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TWI621972B (en) * 2017-01-12 2018-04-2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display panel
DE112018000363B4 (en) 2017-02-22 2023-11-02 Wacom Co., Ltd. METHOD EXECUTED IN A SYSTEM COMPRISING AN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 DEVICE, SENSOR CONTROL DEVICE AND ACTIVE STYLUS
US10877575B2 (en) * 2017-03-06 2020-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nge of active user of a stylus pen with a multi user-interactive display
US10877578B2 (en) * 2018-07-18 2020-12-29 Wacom Co., Ltd.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pen
KR102552745B1 (en) 2018-07-19 2023-07-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Touch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200042134A1 (en) * 2018-08-01 2020-02-0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used in the same
US20220171515A1 (en) * 2018-08-01 2022-06-02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Touch 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used in the same
KR102610819B1 (en) 2018-08-10 2023-12-07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Touch driv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7107787B2 (en) 2018-08-31 2022-07-27 株式会社ワコム Data communication method
KR102496108B1 (en) * 2018-08-31 2023-0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Touch driv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active pen
CN109343733A (en) * 2018-09-14 2019-02-15 北京科加触控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xtension Wri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9375799A (en) * 2018-09-14 2019-02-22 北京科加触控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xtension Writ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WI709887B (en) * 2018-10-24 2020-11-1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Touch system, its input device and its signal transmission method
CN111090351B (en) 2018-10-24 2023-08-18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Touch system, input device thereof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N111090352B (en) * 2018-10-24 2023-08-15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Touch system, touch device and input device thereof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2644692B1 (en) * 2018-12-20 2024-03-07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Touch Sensing Device for Implementing High Resolution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at Touch Sensing Device
KR102655484B1 (en) * 2018-12-28 2024-04-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0058723B (en) * 2019-01-28 2022-10-28 北京科加触控技术有限公司 Wri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2099660A (en) * 2019-06-18 2020-12-18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Touch display device and sensing system
JP7433005B2 (en) 2019-09-10 2024-02-19 株式会社ワコム Touch controller and pen input system
KR102623176B1 (en) * 2019-10-28 2024-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circuit
KR102619961B1 (en) * 2019-10-28 2024-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circuit,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riving method thereof
CN115712357A (en) * 2020-03-10 2023-02-2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tive pen and touch screen
KR20210145876A (en) * 2020-05-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JP7482706B2 (en) * 2020-07-08 2024-05-14 株式会社ワコム Method performed by a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KR20220094296A (en) 2020-12-28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20099031A (en) 2021-01-05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controller, touch sensing device including touch controller, operating method of touch controller
JP2022144911A (en) * 2021-03-19 2022-10-03 株式会社ワコム Active pen, sensor controller, and position detector
CN114063822A (en) * 2021-11-23 2022-02-1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Synchroniz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chip, synchroniz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active pen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1810B1 (en) * 1995-10-31 2002-08-27 Lsi Logic Corporation Telemetry encoding technique for smart stylus
US20020050983A1 (en) * 2000-09-26 2002-05-02 Qianjun Liu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uch sensitive system employing spread spectrum technology for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input devices
US8482545B2 (en) * 2008-10-02 2013-07-09 Wacom Co., Ltd. Combination touch and transducer input system and method
US8482539B2 (en) * 2010-01-12 2013-07-09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pen system
JP5442479B2 (en) * 2010-02-05 2014-03-12 株式会社ワコム Indic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JP2012022543A (en) * 2010-07-15 2012-02-02 Panasonic Corp Touch panel system
KR20140043299A (en) * 2010-10-28 2014-04-09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Synchronizing a stylus with a capacitive sense array
KR20130006165A (en) * 2011-07-08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8797301B2 (en) * 2012-02-15 2014-08-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Active stylus to host data transmitting method
JP5905645B2 (en) * 2013-05-17 2016-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WO2014188973A1 (en) * 2013-05-21 2014-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098124A1 (en) * 2013-06-07 2016-04-07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101489813B1 (en) * 2013-06-28 2015-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panel including Active stylus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329708B2 (en) * 2014-01-08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with electrostatic and radio links
GB2522247A (en) * 2014-01-20 2015-07-22 Promethean Ltd Touch device detection
EP3786769B1 (en) * 2014-01-22 2022-12-14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position detecting device, position detecting circuit, and position detecting method
US9904417B2 (en) * 2014-04-16 2018-02-27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Projected capacitive touch detection with touch force detection using self-capacitance and mutual capacitance detection
US20150355762A1 (en) * 2014-06-04 2015-12-10 Apple Inc. Mid-frame blanking
US20170102826A1 (en) * 2014-06-30 2017-04-13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70192549A1 (en) * 2014-06-30 2017-07-06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controller, stylus pen, touch pane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9763087B2 (en) * 2014-07-14 2017-09-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ryptographic key exchange over an electrostatic channel
KR102389698B1 (en) * 2014-11-17 2022-04-22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osition indicator
KR102257980B1 (en) * 2014-12-31 2021-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creen device
US9874968B2 (en) * 2015-01-05 2018-01-23 Synaptics Incorporated Point to point interface communication and reference
EP3611605B1 (en) * 2015-01-19 2024-04-03 Wacom Co., Ltd. Position indicator
CN107111413B (en) * 2015-01-29 2020-02-07 株式会社和冠 Electrostatic pen
US9977519B2 (en) * 2015-02-25 2018-05-22 Synaptics Incorporated Active pen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JP6082172B1 (en) * 2015-04-09 2017-02-15 株式会社ワコム Method, system,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stylus using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US9639183B2 (en) * 2015-04-20 2017-05-02 Waco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ylus and stylus sensor controller
CN107533384B (en) * 2015-04-20 2020-10-20 株式会社和冠 Method using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stylus
WO2016170888A1 (en) * 2015-04-20 2016-10-27 株式会社ワコム Method using active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sensor controller, active stylus and system
WO2016186191A1 (en) * 2015-05-21 2016-11-24 株式会社ワコム Active stylus
KR102496591B1 (en) * 2015-08-19 2023-02-07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How a stylus detects a sensor controller, stylus, and sensor controller
US10324547B2 (en) * 2015-12-31 2019-06-18 Lg Display Co., Ltd. Active stylus pen, touch sens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6824992B2 (en) * 2016-09-01 2021-02-03 株式会社ワコム Stylus, sensor controller, and electronic ruler
CN116795221A (en) * 2016-10-06 2023-09-22 株式会社和冠 Controller, sensor, system and method
US10474286B2 (en) * 2016-10-25 2019-11-12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ctive pen, touch system, touch circuit, and pen recognition method
KR102460472B1 (en) * 2016-12-30 2022-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86A (en) 2018-07-11
CN108268153A (en) 2018-07-10
US20180188836A1 (en) 2018-07-05
CN108268153B (en) 2021-10-12
US10761619B2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472B1 (en) Touch sensing system, display device, active pen, and pen recognizing method
CN106055127B (en) Active pen with two-way communication
CN109582170B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circuit, pen, touch system and multi-pen sensing method
KR102380214B1 (en) Touch display device, active pen, touch system, touch circuit, and pen recognition method
KR102314497B1 (en) Touch display device, active pen, touch system, touch circuit, and pen recognition method
US9746944B2 (en) Universal stylus communication with a digitizer
EP2642372B1 (en) Touch-controll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wireless signal interference to touch sensing function
US20140055420A1 (en) Display identification system and display device
KR101075747B1 (en)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indoor illuminating apparatus therefor
CN111373357B (en) Communication method executed between active pen and sensor controller and active pen
US20200064941A1 (en) Touch Sensitive Processing Apparatu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Carrying Pressure Information
US10503318B2 (en) Touch sensitiv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for despreading and method thereof
Wang et al. Ultra low-latency backscatter for fast-moving location tracking
EP1623366A1 (en) Remote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selected remote sensor components
KR20110046613A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and terminal and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thereof
KR1011047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and terminal and information controller device thereof
TW202119196A (en) Touch sensitiv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carrying pressure information
TW202119191A (en) Styl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carrying pressure information
JP2006012111A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TW202119190A (en) Touch sensitiv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carrying pressure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