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18B1 -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18B1
KR102459218B1 KR1020220012997A KR20220012997A KR102459218B1 KR 102459218 B1 KR102459218 B1 KR 102459218B1 KR 1020220012997 A KR1020220012997 A KR 1020220012997A KR 20220012997 A KR20220012997 A KR 20220012997A KR 102459218 B1 KR102459218 B1 KR 10245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ility
information
path
rear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디텍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18B1/en
Priority to PCT/KR2022/004352 priority patent/WO20231460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6Direction of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which is capable of providing visibility information considering both location and direction with high accuracy. The method comprises: a step (A) in which when a route (P) and a route traveling direction (Dp0) are input to a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checks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constituting the route (P) and further uses the input route traveling direction (Dp0) so as to check a movement direction (Dp) in each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and a step (B) in which a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calculates visibility information by setting the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as reference coordinates (s0) in each of the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and setting a direction (D) as the movement direction (Dp) so that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of the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included in the route (P) is calculated and provided.

Description

3차원 시정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이동체와 프로그램{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라이다와 레이다와 같은 송수신 기기, 대기학 및 인공지능의 융합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송수신 기기를 통해 확인되는 신호를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등의 학습 알고리즘으로 정보처리하여 대기학에 적용하여 정확한 시정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ceiver device such as lidar and radar, and a convergence technology of atmospheric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t relates to technology that provides accurate correction information by applying it.

시정(visibility)은 물체나 빛이 보이는 최대 가시 거리를 의미한다. 안개가 있거나 대기 오염 물질이 많은 경우 시정은 짧아지게 된다. Visibility refers to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through which an object or light is visible. Visibility is shortened when there is fog or there is a lot of air pollutants.

시정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이동체(mobility)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항공기의 운항 및 이착륙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 지표로 사용된다. Visibility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safe driving of a mobility moving at high speed. In particular, it is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determining whether an aircraft is operating and taking off and landing.

일반적인 시정 측정은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항에서는 활주로 인근 2.5m 높이에 시정측정용 오브젝트인 측기(flag)를 설치해두고 전문관측가가 이를 살펴보면서 시정을 결정하여 공지한다.Typical visibility measurements are made by humans. At the airport, a flag, an object for measuring visibility, is installed at a height of 2.5 m near the runway, and a professional observer determines the visibility and announces it.

시정계와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시정계는 카메라를 통해 시정측정용 오브젝트가 포함되는 영상을 확보한 후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가 어느 정도의 선명도로 확인되는지를 통해 시정을 연산한다. 여기에 인공지능이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It may also be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such as a visibility meter. After securing an image including the object for measurement of visibility through the camera, the visibility system calculates the visibility through the degree of clarity of the object in the image. Artificial intelligence can also be applied here.

한국등록특허 제10-1912874호는 광조사를 이용하여 시정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등록특허에서는 시정 감지부가 빛을 조사하고 산란광을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시정 감소 정도를 산출한다. Korean Patent No. 10-1912874 discloses a technology for measuring visibility using light irradiation. In this patent, the visibility reduction unit is calculated by irradiating light and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cattered light.

설명한 모든 종래기술에서의 시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갖는다.The correction in all the 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common.

첫째, 시정 측정의 방향성이 없다. 특정 위치에서의 시정은 방향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예컨대, 북쪽으로의 시정은 8km이나 서쪽으로의 시정은 5km) 종래기술에 따라 측정되는 시정정보는 해당 위치에서의 시정을 나타낼 뿐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시정정보만으로는 경로를 결정하여야 하는 항공기 또는 자동차 입장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시정이 좋아지는지, 시정을 고려한다면 경로를 어떻게 결정하여야 하는지 결정할 수 없다.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체라면 저시정시 센서들의 기능 저하로 인해 자율주행에 불확실성이 매우 커짐으로 안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자율주행으로 자동차가 운행이 되든 사람이 운전을 할 경우에도 시정이 좋은 길을 찾고 안전한 도로에서 운행될 필요가 있다. First, there is no directionality of visibility measurement. Visibility at a specific loc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eg, visibility to the north is 8 km but visibility to the west is 5 km). does not Visibility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ider the direction alone cannot determine which direction to move to improve visibility from the viewpoint of an aircraft or vehicle that must determine the route, and how to determine the route if visibility is considered. If it is a moving object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t can have a big impact on safety as the uncertainty in autonomous driving increase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ensors at low visibilit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find a road with good visibility and drive it on a safe road, whether a vehicle is operated by autonomous driving or a human driving.

둘째, 지상과 가까운 곳에서만 시정이 측정된다. 항공기는 특히 이착륙시 지표 혹은 어느 정도 높은 고도에서의 시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현재의 시정정보는 지표에서의 시정만을 반영하여 고도별 방향성 있는 시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Second, visibility is measured only close to the ground. An aircraft needs to check the visibility at the surface or at a certain high altitude, especially during takeoff and landing, but the current visibility information reflects only the visibility at the surface and does not include directional visibility by altitude.

셋째, 광조사를 이용한 시정측정 방법은 한 위치 혹은 가까운 거리의 두지점에서의 광투과 방식으로 대기 산란 흡수 정도로 시정을 판단하기에 지점기반 시정 측정기로부터 수백미터 떨어진 곳에 빠르게 국지적으로 생성된 안개가 있을 경우 안개가 생성된 지역에서는 시정이 저하되고 있지만 지점기반 혹은 광투과 방식의 시정 측정기의 경우 해당 위치에서 안개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 시정이 좋은 것으로 판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시정의 공간적 불균일성을 반영하지 못한다.Third, the visibility measurement method using light irradiation judges the visibility by the degree of atmospheric scattering absorption by the light transmission method at one location or two points at a close distance. In this case, visibility is decreasing in the area where fog is generated, but in the case of a point-based or light transmission type visibility measuring device, if the fog is not affected at the location,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visibility is judged to be good. It does not reflect the spatial non-uniformity of visibility.

일본공개특허 2020-042020 AJapanese Patent Laid-Open Patent 2020-042020 A 한국등록특허 10-1912874 BKorean Patent Registration 10-1912874 B 미국등록특허 11,194,043 B2US Patent 11,194,043 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기존의 방식으로 시정정보를 연산할 경우 정확성이 낮고 방향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이동체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accuracy and inability to consider directions when calculating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existing method, and to provide a navigation system, a moving object, and a program using this metho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차원 위치좌표가 반영된 시정모델을 생성한 후, 대기에 전자파를 조사하고 대기 중 물질에 의해 돌아오는 후방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기기(10)를 이용하되, 후방신호를 상기 시정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시정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송수신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 및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의해 수행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고,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기준좌표(s0)와 방향(D)이 입력되면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은 상기 획득된 후방신호정보(L(s))를 이용하여 입력된 기준좌표(s0)에서 입력된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며, 상기 후방신호정보(L(s))는 위치좌표(s)에서의 후방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며, 위치좌표(s)는 기 설정된 단위값으로 구분된 3차원 좌표이며, (A)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에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이 입력되면,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이 경로(P)를 구성하는 경로위치좌표(Sp)들을 확인하고, 입력된 경로진행방향(Dp0)을 더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이동방향(Dp)을 확인하여, 경로위치좌표(Sp)와 이동방향(Dp)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 경로위치좌표(Sp)를 기준좌표(s0)로 하고 이동방향(Dp)을 방향(D)으로 하여 시정정보를 연산함으로써, 경로(P)에 포함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transceiver device ( 10), but by inputting a rear signal to the visibility model to calculate and provide visibility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a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device 10 and a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when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 device 10 receives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 three-dimensional omnidirectional directio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s a preset three-dimensional Whe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obtained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within the limit range, and the reference coordinate (s0) and the direction (D) are input to the correction information operation module 121, the correction information operation module ( 121) calculates visibility information from the input reference coordinate s0 to the input direction D using the obtained rear signal information L(s), and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ncludes the intensity of the rear signal in the position coordinates (s), the position coordinates (s) ar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divided by preset unit values, (A) the path P in the path data operation module 131 and When the path proceeding direction Dp0 is input, the path data operation module 131 checks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constituting the path P, and further uses the input path proceeding direction Dp0. checking the moving direction Dp in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and confirming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and the moving direction Dp; and (B)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sets the path position coordinate Sp as the reference coordinate s0 and the movement direction Dp as the direction D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By calculating ,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d providing visibility information at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included in the path P.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 (C1) 출력 모듈(132)이 경로(P)를 출력하되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B), (C1) the output module 132 outputs the path P, but outputs the correction information at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confirmed in the step (B) toge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 (C2)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하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경로위치좌표(Sp)에 대하여 출력 모듈(133)이 저시정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B), (C2)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identified in the step (B)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ower limit value 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arning the low visibility of the output module 133 with respect to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corresponding to this when determined as follows.

또한,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 및 상기 출력 모듈(133)은 이동체(30)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 and the output module 133 are provided in the movable body 30 .

또한, 상기 이동체(30)는 자율주행 기능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C2) 단계는, (C21)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하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경로위치좌표(Sp)에 대하여 출력 모듈(133)이 자율주행 오류를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ing object 30 is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in step (C2), (C21)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checks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confirmed in step (B).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alue of the correction inform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lower limit, and warning the autonomous driving error by the output module 133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route position coordinate Sp when i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lower limit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이동체(30)는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 둘 이상의 경로(P) 및 경로진행방향(Dp0)을 연산하고,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에 상기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둘 이상의 경로(P) 각각에 대하여 이에 포함된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bile body 30 is provided with a navigation system 20, and in step (A), (A1) the navigation system 20 calculates two or more routes P and a route progress direction Dp0. and inputting the path P and the path progress direction Dp0 to the path data calculation module 131, wherein the step (B) includes: (B1)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included therein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aths (P).

또한, 상기 (B1) 단계 이후, (C3)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1) 단계에서 확인된 둘 이상의 경로(P) 각각에 대하여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력 모듈(133)이 이하로 판단한 경로위치좌표(Sp)를 포함한 경로를 저시정 경로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B1) step, (C3)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aths (P) identified in the (B1) step,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s (S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by the output module 133, a path including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low visibility path by determining whether th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lower limit value.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는 단계; (A02) 시정정보 획득 모듈(113)이 상기 송수신 기기(10)의 위치에서의 실제의 시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A03) 시정모델 생성 모듈(114)이 상기 (A01) 단계에서 획득된 각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입력변수로 하고 상기 (A02) 단계에서 획득된 시정정보를 출력변수로 하여 상기 시정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01) 하나 이상의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는 단계; (B02)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기준좌표(s0)와 방향(D)이 입력되면, 위치좌표 확인 모듈(122)이 상기 기준위치(s0)에서 시작하여 입력된 방향(D)으로 진행하면서 통과하게 되는 다수의 위치좌표(s)를 확인하는 단계; (B03)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B01) 단계에서 확인된 다수의 위치좌표(s) 각각에 해당하는 후방신호정보(L(s))를 확인하는 단계; 및 (B04)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A03) 단계에서 생성된 시정모델에 상기 (B03) 단계에서 확인된 후방신호정보(L(s))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기준좌표(s0)에서 입력된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efore the step (A), (A01) when the transceiver device 10 receives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s preset obtaining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within a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A02) obtaining, by the corr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3, actual correction information at the location of the transceiver device 10; and (A03) the visibility model generation module 114 use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obtained in the step (A01) as an input variable, and the visibility obtained in the step (A02) and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using the information as an output variable, wherein the step (B) is, (B01) When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 devices 10 receive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 obtaining, by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within a preset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rear signal information (L(s)); (B02) When the reference coordinate (s0) and the direction (D) are input to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position coordinate check module 122 start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moves to the input direction (D) Checking a plurality of position coordinates (s) to pass while proceeding; (B03) confirming, by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coordinates (s) identified in the step (B01); and (B04)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input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nfirmed in the step (B03) to the visibility model generated in the step (A03), thereby input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input direction (D) in s0).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이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navigation syste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이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된, 이동체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provides a mobile body mounted with a navigation system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이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되며 기억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제공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0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provides a computer program.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됨으로써, 높은 정확성으로 위치 및 방향이 모두 고려된 시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짧은 간격 단위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될 때마다 새로운 시정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By apply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isibility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with high accurac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new visibility information whenev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relatively short interval unit are changed.

특정 지역에서의 시정이 얼마인지 정도로만 제공하였던 종래 기술과 달리, 특정 위치에서 특정 방향으로 시정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느 경로가 보다 양호한 시정을 갖는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시정이 중요한 자율주행 차량, 항공기 등에서는 이러한 정보는 중요하다.Unlike the prior art, which provided only the degree of visibility in a specific area, by providing visibility information in a specific direction at a specific location, useful information on which route has better visibility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such information is important in autonomous vehicles and aircraft, where visibility is important.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안전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By providing a navigation system using this, the driver can select a safer route.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이동체에서 본 발명 적용시, 저시정으로 인한 자율주행 오류를 예측하여 방지하거나 수동주행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되어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ving object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and prevent an autonomous driving error due to low visibility or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switch to manual driving, thereby enabling saf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송수신 기기가 전자파를 조사하는 방식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어 특정 방향(D)에 따라 시정정보를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모델인 시정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carrying out a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ystem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transceiver device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visib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direction D by performing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ction model that is a learning model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송수신기기"는 전자파를 조사하여 대기 중 물질에 의해 반사 내지 산란되어 돌아오는 후방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예컨대 후방신호의 세기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송수신기기는 라이다 기기일 수도 있고 레이다 기기일 수도 있다. 라이다 기기인 경우 후방산란신호를 수신할 것이며 그 세기를 통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레이다 기기인 경우 에코신호를 수신할 것이며 그 세기를 통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Hereinafter, "transceiver device" means a device capable of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receiving a back signal that is reflected or scattered by a substance in the air, and analyzing it to check, for example, the strength of the back signal. The transceiver may be a lidar device or a radar device. In the case of a lidar device, it will receive a backscatter signal and can analyze information through its strength. In the case of a radar device, it will receive an echo signal, and information can be analyzed through its strength.

이하에서, "위치좌표(s)"는 3차원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3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x, y, z로 표현될 수 있다. 기준좌표(so), 경로위치좌표(sp)도 마찬가지로 3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3차원 좌표로 표현될 경우 기 설정된 단위값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100m 간격으로 표현될 수 있어서 각 위치좌표(s)들의 합은 100m 단위 격자와 같이 표현된다(도 2 참조). Hereinafter, "location coordinates (s)" means a three-dimensional position and may be expressed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For example, it may be expressed as s=x, y, and z. The reference coordinates (so) and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may also be expressed a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hen expressed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it may be expressed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a preset unit value. For example, since it can be expressed at intervals of 100 m, the sum of each position coordinate (s) is expressed as a 100 m unit grid (see FIG. 2 ).

이하에서, "방향(D)"은 특정 위치좌표(s)에서 특정한 위치를 향하는 쪽을 의미하며 3차원 좌표계에서 3차원 방위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θx, θy, θz로 표현될 수 있다. 이동방향(Dp)도 마찬가지로 3차원 방위각으로 표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direction D” refers to a direction toward a specific location in a specific location coordinate s, and may be expressed as a 3D azimuth in a 3D coordinate system. For example, it may be expressed as D=θx, θy, and θz. The moving direction Dp may also be expressed as a three-dimensional azimuth.

이하에서, "후방신호정보(L(s))"는 특정 위치좌표(s)에서 송수신 기기를 통해 확인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송수신 기기에서 확인되는 후방신호의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 기기가 라이다 기기인 경우, 후방신호인 후방산란신호를 이용하여 연산되는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편광신호 및 그 외 대기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다양한 물리특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는 송수신 기기에서 확인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되지 않고 별도의 계측장치를 직접 이용하여 확인되는 등 다른 방식으로 연산되어 확인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 및 그 외 대기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다양한 물리특성들이 후방신호정보(L(s))에 포함되는 것으로 규정한다.Hereinafter, "rear signal information (L(s))" refers to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 transceiver device at a specific location coordinate (s). For example, it may include the strength of the rear signal confirmed by the transceiver device. In addition, when the transceiver device is a LIDAR device,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polarization signal and other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present in the atmosphere calculated using a backscatter signal that is a back signal. . However, th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th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the polarization signal may be calculated and confirmed in other ways, such as directly using a separate measuring device instead of calculating using the information identified in the transceiver. It is stipulated that the extinction coefficient, th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the polarization signal and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substances present in the atmosphere are included in the back signal information (L(s)).

이하에서 "기상정보"는 후방신호정보(L(s))와 함께 시정정보 연산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로서, 온도, 습도, 풍향 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상정보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될 수도 있고, 송수신 기기 인근에 위치한 웨더스테이션에서 확인될 수도 있고, 또는 송수신 기기가 도플러 송수신 기기 및 원격 측정 송수신 기기를 더 포함하여 여기에서 확인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weath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alculate visibility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and may include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the like. The weather information may be confirmed in a weather information database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ay be confirmed at a weather station located near the transceiver, or the transceiver may further include a Doppler transceiver and a telemetry transceiver, and may be identified here. have.

이하에서 "시정정보"는 물체나 빛이 보이는 최대 가시 거리를 의미하며 그 단위는 거리이다. 일반적인 시정정보에는 방향(D)의 개념은 포함되지 않으나(예컨대, 인천공항의 시정 1km), 본 발명에서의 시정정보는 특정 위치좌표(s)를 기준으로 특정 고도 및 특정 방향(D)이 포함된다(예컨대, 인천공항에서 고도 1km에서 동쪽으로 시정 1km)Hereinafter, "visibility information" means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at which an object or light is visible, and the unit is the distance. Although the concept of direction (D) is not included in general visibility information (eg, visibility of 1 km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fic altitude and a specific direction (D)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coordinate (s) (e.g., visibility 1km to the east at an altitude of 1km fro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이하에서 "이동체(mobility)"는 이동 가능한 모든 물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자동차, 오토바이 등의 차량은 물론 항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mobility” refers to any object that can move, and for example, may include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nd motorcycles as well as aircraft. It may include urban air mobility (UAM).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시스템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system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한다. A syste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송수신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100)와, 후방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시정정보 데이터베이스(220) 및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210, 220, 230)들은 송수신 기기(10)와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장치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으나 상호 이격되어 개별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ransceiver 10, a rear signal information database 210, a visibility information database 220, and a weather forecast. an information database 230 . The controller and the databases 210 , 220 , and 23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device at the same location as the transceiver 10 , but may be locat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송수신 기기(10)는 대기에 전자파를 조사하고 대기 중 물질에 의해 반사 내지 산란되어 돌아오는 후방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대기 중 물질은 대기분자, 대기 중 오염물질 등 대기에 위치하여 송수신 기기(10)로부터 조사되는 전자파를 반사 내지 산란시키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의미한다. The transceiver device 10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atmosphere and receives a back signal that is reflected or scattered by substances in the atmosphere and returned. Here, the atmospheric substances refer to all kinds of substances that are located in the atmosphere, such as atmospheric molecules and atmospheric pollutants, and reflect or scatter electromagnetic waves irradiated from the transceiver 10 .

송수신 기기(10)는 시정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로서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며, 그리고 시정모델이 생성된 이후 특정 위치 특정 방향의 시정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실제 자료로서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기도 한다. 하나의 송수신 기기(10)가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기기일 수도 있다. 즉, 시정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송수신 기기(10)와, 시정모델이 생성된 후 실제 시정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현재의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기 위한 송수신 기기(10)는 동일한 것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기기일 수도 있다. Transceiver device 10 obtai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as learning data for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and after the visibility model is generated, the rear as real data for calculating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a specific location specific direction Signal information (L(s)) is also acquired. One transceiver device 10 may perform both functions, or it may be a separate device. That is, the transceiver 10 for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and the transceiver 10 for obtaining the current rear signal information L(s) to calculate the actual visibility information after the visibility model is generated are the same It may be a single device or it may be a separate device.

송수신 기기(10)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송수신 기기(10)마다 한계 범위가 설정될 수 있는데(예를 들어, 도 2에서 3차원 격자의 최대값) 다수의 송수신 기기(10)가 활용될 경우 그 개수 및 위치에 따라 한계 범위가 커질 것이다. One or more transceiver devices 10 may be us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limit range may be set for each transceiver 10 (eg, the maximum value of the three-dimensional grid in FIG. 2 ). range will increase.

제어부(100)는 송수신 기기(10)에서 수신되는 후방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각 위치좌표(s)별로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시정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시정모델을 더 이용하여 특정 위치좌표(s)에서 특정 방향(D)으로 시정정보를 연산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The control unit 100 obtains the rear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10 and through this, obtai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In addition, a visibility model is generated using this, and visibility information is calculated in a specific direction (D) from a specific location coordinate (s) using the generated visibility model. A specific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00)는 별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20) 또는 이동체(30)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0)에 의해 연산된 시정정보를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나 이동체(30)에 전달한다.The controller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parate navigation system 20 or a moving object 30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100 to the navigation system 20 or the moving object 30 . do.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 기상정보 획득 모듈(112), 시정정보 획득 모듈(113), 시정모델 생성 모듈(114),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21), 저시정 경고 모듈(132), 출력 모듈(133) 및 통신 모듈(190)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의 기능은 후술하는 방법 설명에서 함께 기술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00 includes a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a weath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2, a corr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3, a correction model generation module 114, a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 121), a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21, a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an output module 133, and a communication module 190. The function of each module is described together in the metho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은 현재 위치와 지도를 함께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구현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The navigation system 20 refers to a terminal in which all kinds of navigation programs capable of outputting a current location and a map together are implemented.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은 이동체(30)에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체(30)가 시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이동체(30)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 시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물론, 이동체(3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체(30)의 제어부(미도시)가 시정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The navigation system 20 may be provided in the mobile body 30 . Accordingly, when the moving object 30 receives the visibility information, the navigation system 20 provided in the moving object 30 may receive the visibility information. Of cours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oving object 30 that controls various operations of the moving object 30 may receive and utilize the correction information.

한편, 제어부(10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는 모듈들의 일부는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나 이동체(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21), 저시정 경고 모듈(132)과 출력 모듈(133)은 제어부(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나 이동체(30)에 위치한 것일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modules shown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0 may be provided in the navigation system 20 or the moving body 30 . For example, in FIG. 2 ,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21 ,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 and the output module 133 are shown to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00 , but are not connected to the navigation system 20 or the moving body 30 . may be located.

2. 시정모델 생성 방법의 설명2. Description of how to create a correction model

본 발명은 시정정보를 연산하기 위해 시정모델을 생성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정모델 생성 방법을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visibility model to calculate the correction information. A method of generating a correction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

먼저, 시정모델 생성을 위한 데이터 획득을 위해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한다. 조사된 전자파가 대기 중 물질에 의해 반사 내지 산란되면 후방신호가 생성되며, 송수신 기기(10)는 이를 수신하여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에 전달한다.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은 수신한 후방신호를 토대로 후방신호의 세기를 포함한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할 수 있다. First, the transceiver 10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o obtain data for generating a visibility model. When the irradiated electromagnetic waves are reflected or scattered by substances in the air, a back signal is generated, and the transceiver 10 receiv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back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may acquir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ncluding the strength of the rear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rear signal.

여기서, 송수신 기기(10)는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함에 주의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송수신 기기(10)의 위치를 중심으로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가 조사되어 후방신호가 수신된다. Here, it is noted that the transceiver 10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Referring to FIG. 3 , electromagnetic waves are irradiated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around the position of the transceiver 10 to receive a rear signal.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는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방사상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한 후 기 설정된 범위까지 송수신 고도각을 변경하면서 방사상 조사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평 높이에서 방사상 전 방향인 R1 방향으로 조사한 후, 송수신 고도각을 소정의 단위로 변경하면서 R2, R3 등의 방향으로 조사를 수 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Any method of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may be used. For example, after 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radial directions, the radial irradiation may be repeatedly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elevation angle up to a preset range. As shown in FIG. 3 , after irradiating in the R1 direction, which is a radial all-round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height, the irradiation in the R2, R3, etc. directions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while chang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elevation angle by a predetermined unit.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기에, 모든 위치좌표(s)에서 각 위치좌표(s)별로 후방신호정보(L(s))가 획득된다. 다만, 무한대의 위치좌표(s)가 아닌 송수신 기기(11)의 조사 특성에 의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에서 모두 획득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서 격자의 최대수치가 한계범위이며 각각의 위치좌표(s)에는 개별적으로 후방신호정보(L(s))가 획득된다.Since the transceiver 10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obtained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in all position coordinates s. However, all of the position coordinates (s) within the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set by the ir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ransceiver device 11 rather than the infinite position coordinates (s) will be obtain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maximum value of the grid is the limit range, and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individually obtained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획득된 후방신호정보(L(s))는 후방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방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위치좌표(s)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좌표(s)에 대한 후방신호정보(L(s))를 확인할 수 있다. The acquired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stored i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database 210 . Accordingly, when the user inputs the position coordinates (s) to the rear signal information database 210, the user can check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the corresponding position coordinates (s).

다음, 시정정보 획득 모듈(113)은 송수신 기기(10)의 위치(도 3에서 중심 위치)를 기준위치(s0)로 하여 실제 시정정보를 획득한다. Next, the correction information acquiring module 113 acquires the actual correc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position (the central position in FIG. 3 ) of the transceiver device 10 as the reference position s0.

이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정모델 생성 모듈(114)이 앞서 획득된 각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입력변수로 하고 실제 시정정보를 출력변수로 하여 시정모델을 생성한다. 모델의 생성은 기계 학습을 비롯한 인공지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회귀분석 등 다양한 학습 알고리즘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Now, as shown in Fig. 5, the visibility model generation module 114 uses the previously obtained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as an input variable, and uses the actual visibility information as an output variable, Create a correction model. The model may be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cluding machine learning, or by various learning algorithm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변수인 후방신호정보(L(s))에는 후방신호의 세기 외에도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which is an input variab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n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a polarization signal in addition to the intensity of the rear signal.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은 송수신 기기(10)로부터 획득한 후방신호를 이용하여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를 연산할 수 있다. 각각의 연산 방법은 이미 알려진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별도의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를 직접 계측하는 계측 기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may calculate a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n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a polarization signal using the rear signal obtained from the transceiver 10 . Since each calculation method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lternatively, a separat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n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a measurement device for directly measuring the polarization signal may be used.

이와 같이, 후방신호의 세기 외에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를 더 사용하여 학습한다면 모델의 정확성이 상승한다.As such, if learning is performed using th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th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the polarization signal in addition to the intensity of the rear signal, the accuracy of the model increas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변수로서 기상 정보가 더 사용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ather information may be further used as an input variable.

기상정보 획득 모듈(112)이 송수신 기기(10)의 위치(또는 기상정보가 확인되는 그 인근의 위치)에 대한 실제 기상정보를 획득하여 후방신호정보(L(s))와 함께 입력변수로 사용하여 시정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기상정보는 기상청의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웨더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계측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송수신 기기(10)에 포함된 도플러 송수신 기기 및 원격 측정 송수신 기기에서 측정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상정보는 온도 및 습도와 풍향 풍속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은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230) 또는 별도의 웨더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도 있고, 또는 송수신 기기(10)에 포함되어 풍향 풍속을 확인할 수 있는 도플러 송수신 기기와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할 수 있는 원격 측정 송수신 기기에서 확인될 수 있다. The weath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2 acquires actual weather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transceiver 10 (or a location nearby where the weather information is confirmed) and uses it as an input variable together with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Thus, a correction model can be created. The weath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database 230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r may be directly measured using a separate weather station, or in the Doppler transceiver and telemetry transceiver included in the transceiver 10 . It may be measured. For example, the weather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each of which may be checked using the weather information database 230 or a separate weather station, or included in the transceiver 10 and wind direction It can be confirmed in the Doppler transceiver that can check the wind speed and the telemetry transceiver that can check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이와 같이, 후방신호정보(L(s)) 외에 기상정보를 더 사용하여 학습한다면 모델의 정확성이 상승한다.In this way, if you learn using weather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the accuracy of the model increas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후방신호정보(L(s))가 불확실하거나 누락된 위치좌표(L(s))가 있는 경우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은 인접한 좌표의 후방신호정보(L(s'))를 이용하여 보간법(interpolation)에 의해 해당 위치좌표(s)의 후방신호정보(L(s))를 추정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uncertain or there is a missing position coordinate (L(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is adjacent to the rear signal information ( Using L(s')),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and confirm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coordinates (s) by interpolation.

3. 시정모델을 이용한 시정정보 연산 방법의 설명3. Description of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correction model

전술한 방식으로 시정모델이 생성되면, 여기에 위치좌표(s)와 방향(D)을 입력하여 시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에서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의 좌표를 기준좌표(s0)로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the visibility model is generated in the above manner,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n be checked by inputting the location coordinates (s) and the direction (D) here. Hereinafter,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for which visibility information is to be checked are referred to as reference coordinates s0.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시정모델이 생성된 상태에서 실제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 또는 그 인근 위치에 구비된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면,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각 위치좌표(s)별로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한다. 후방신호정보(L(s)) 획득 방법은 시정모델 생성시 수행하였던 방법과 유사하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visibility model is generated, when the transceiver 10 provided at or near the position to check the actual visibility information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 dimens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sets the preset 3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acquired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within the dimensional limit range. The method of obtaining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similar to the method performed when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이후,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인 기준좌표(s0)와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방향(D)이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입력된다. 도 4에서는 기준좌표로서 s0이 도시되고 방향인 D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s0의 좌표는 (0, 0, 0)이고 D는 x축 방향과 동일하다. Thereafter, the reference coordinate s0, which is a position at which the correction information is to be checked, and a direction D, which is a position to check the visibility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 In FIG. 4, s0 is shown as a reference coordinate and D is shown as a direc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 the coordinates of s0 are (0, 0, 0) and D is the same as the x-axis direction.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은 기준위치(s0)에서 시작하여 입력된 방향(D)으로 진행하며 통과하게 되는 모든 위치좌표(s)를 확인한다. 후방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는 측정한 3차원 한계범위 이내에서만 유효하므로 위치좌표(s)가 무한한 것은 아니다. 도 4의 예시에서, s0, s1, s2, s3, s4, s5의 6개의 위치좌표(s)가 확인될 것이다. 3차원 좌표계에서는 (0, 0,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의 6개의 좌표이다.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start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proceeds in the input direction (D) and checks all the position coordinates (s) passing through. Since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stored i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database 210 is valid only within the measured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the position coordinates (s) are not infinite. In the example of FIG. 4 , six position coordinates (s) of s0, s1, s2, s3, s4, and s5 will be identified. In the 3D coordinate system, (0, 0,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 ) is the six coordinates of

이제,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은 앞서 확인된 위치좌표(s)에 해당하는 후방신호정보(L(s))를 확인하고, 이를 시정모델에 입력하면, 해당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즉, 입력된 기준좌표(s0)에서 입력된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Now, when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check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dentified position coordinates (s), and inputs it to the visibility model,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D) is calculated That is, the correc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reference coordinate s0 to the input direction D is calcula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된 시정정보는 방향(D)을 고려한 것임에 주목할 수 있다. 방향(D)이 다르면 선택되는 위치좌표(s)들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후방신호정보(L(s))가 달라져서 다른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방향(D)이 x축 방향인 경우 (0, 0, 0), (1, 0, 0), (2, 0, 0), (3, 0, 0), (4, 0, 0), (5, 0, 0)의 위치좌표가 확인되었으나, x축과 z축 사이 45도 방향이라면 (0, 0, 0), (1, 0, 1), (2, 0, 2), (3, 0, 3), (4, 0, 4), (5, 0, 5)의 위치좌표가 확인될 것이며, 해당 좌표에 해당하는 후방신호정보(L(s))가 달라져서 다른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물론, 해당 위치좌표(s)들의 후방신호정보(L(s))가 도 4에 도시된 예시와 동일하였다면 동일한 시정정보가 연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위치를 기반으로 방향(D)을 고려하지 않고 시정정보를 제공하는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해당 방향(D)에 특화되어 정확성이 크게 상승한 시정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 It can be noted that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ed in this way takes the direction D into consideration. When the directions D are different, the selected position coordinates s are different, and accordingly,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s different, so that other visibility information is calculat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when the direction (D) is the x-axis direction, (0, 0, 0), (1, 0, 0), (2, 0, 0), (3, 0, 0), ( The position coordinates of 4, 0, 0), (5, 0, 0) were confirmed, but if the direction is 45 degrees between the x-axis and the z-axis, (0, 0, 0), (1, 0, 1), (2, The position coordinates of 0, 2), (3, 0, 3), (4, 0, 4), (5, 0, 5) will be confirmed, and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s is different, and different correc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Of course, if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coordinates (s)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same visibility information may be calculated. Therefore, based on the specific position, the direction (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at provides correction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이와 같은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송수신 기기(10)의 위치는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기준위치(s0)와 동일할 필요가 없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에서, 기준위치(s0)의 좌표가 (0, 0, 0)이 아니라 얼마든지 다른 좌표일 수도 있고 여기에 어떠한 방향(D)이 인가되어도 시정모델에 입력되어야 하는 위치좌표(s)들이 확인된다.As can be seen from this example, the position of the transceiver 10 does not need to be the same as the reference position s0 for checking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position (s0) are not (0, 0, 0), but may be any other coordinates, and no matter what direction (D) is applied,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to be input into the visibility model (s) are confirmed.

또한, 시정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송수신 기기(10)를 충분한 개수만큼 활용함으로써 한계범위가 없을 정도로 실질적으로 모든 대기에 대한 후방신호정보(L(s))가 확인되었다면, 시정모델에 입력하기 위한 해당 방향(D)으로의 위치좌표(s)의 개수를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준위치(s0)와 방향(D)이 입력되면 기준위치(s0)에서 시작하여 해당 방향(D)으로 진행하는 위치좌표(s) 중 100개만을 확인하여 시정모델에 입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substantially all of the air is confirmed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limit range by using a sufficient number of the transceiver devices 10 for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for input into the visibility model is confirmed. The number of position coordinates s in the direction D may be arbitrarily set.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the direction (D) are input, it may be set to check only 100 of the position coordinates (s) starting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proceed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D) and input to the visibility model. have.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예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는 이동체(30)가 이동함을 가정하여 시정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이다. Another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The example shown in FIG. 6 is a case in which the correction information is check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bile body 30 moves.

이동체(30)는 기준좌표(s10)에서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y축 방향(D1), z축 방향(D2), x축 방향(D3), z축 방향(D4)으로 이동하고자 한다. The movable body 30 starts from the reference coordinate s10 and intends to sequentially move in the y-axis direction D1, the z-axis direction D2, the x-axis direction D3, and the z-axis direction D4.

D1 방향 이동에서, s10을 기준좌표로 하고 D1을 방향으로 하여 한계범위까지 위치좌표 s10, s11, s12, s13, s14, s15의 6개 좌표를 확인한다. 이를 시정모델에 입력하면 s10 위치에서 D1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In the movement in the D1 direction, six coordinates of the position coordinates s10, s11, s12, s13, s14, and s15 are checked with s10 as the reference coordinate and D1 as the direction to the limit range. If this is input to the visibility model, the visibility information from the s10 position to the D1 direction is calculated.

다음, D2 방향 이동에서, s20을 기준좌표로 하고(이는 s15와 동일함) D2를 방향으로 하여 한계범위까지 위치좌표 s20부터 s210의 11개 좌표를 확인한다. 이를 시정모델에 입력하면 s20 위치에서 D2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Next, in the movement in the D2 direction, 11 coordinates of the position coordinates s20 to s210 are checked with s20 as the reference coordinate (this is the same as s15) and D2 as the direction to the limit range. When this is input to the visibility model, the visibility information from the s20 position to the D2 direction is calculated.

마찬가지로, D3 방향 이동에서는 s30부터 s35까지 6개 좌표를 확인하여 시정모델에 입력함으로써 s30 위치에서 D3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되며, D4 방향 이동에서 s40부터 s43까지 4개 좌표를 확인하여 시정모델에 입력함으로써 s40 위치에서 D4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Similarly, in the movement in the D3 direction, 6 coordinates from s30 to s35 are checked and input into the visibility model, and the visibility information from the s30 position to the D3 direction is calculated. By inputting to , the time correction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 s40 to the direction D4 is calculated.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체(30)가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각 경로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시정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동 중에도 실시간 연산이 가능하다. In this way, when the moving object 30 wants to move, visibility information from a specific location to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each path can be checked, and real-time calculation is possible even while moving.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입력변수인 후방신호정보(L(s))에 후방신호의 세기 외에 광소멸계수, 에어로솔소멸계수, 및 편광신호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산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th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 and the polarization signal are further included in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which is the input variable, in addition to the intensity of the rear signal, in the same way calculation is possible.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기상 정보가 더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상정보 획득 모듈(112)이 시정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위치인 기준위치(s0)에 대한 기상정보를 더 획득하여 시정모델에 입력하여야 한다. 정확한 기준위치(s0)에서의 기상정보 획득이 어려운 경우 획득 가능한 인접 위치에서의 기상정보가 입력된다. 기상정보 입력에 의해 보다 정확한 시정정보 연산이 가능하다.When meteorological information is further used as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weath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2 further acquires meteor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s0, which is a position to check the visibility information, and adds it to the visibility model. must be entered. When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weather information at the accurate reference position s0,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at an obtainable adjacent position is input. By inputt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more accurate visibility information.

4.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응용 기술4. Application techniqu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특정 위치에서 특정 방향으로 실시간 정확한 시정정보 연산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fields by enabling accurate calculation of corrective time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a specific location to a specific direction.

4.1 위치별 시정정보 제공4.1 Provision of correction information by location

종래의 시정정보가 위치마다 다른 시정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보다 세밀한 위치와 방향마다 상이한 시정정보를 정확히 연산하여 제공한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여 좌표의 간격인 기 설정된 단위값마다 시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에 이를 출력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별 시정정보 제공이 가능하다. 이 때에 사용자가 방향을 입력하면 각각의 위치에서 입력된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제공되고, 다른 방향으로 변경하면 해당 방향으로의 시정정보가 제공된다. While the conventional visibility information cannot reflect the different visibility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calculates and provides different visibility information for each more detailed location and each direction.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2 , visibil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ach preset unit value that is an interval of coordinat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accurate visibility information for each location by outputting it on a map. At this time, when the user inputs a direction,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input direction is provided from each location, and when the user changes to another direction,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provided.

4.2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경로 안내4.2 Route guidance in the navigation system

위치와 방향에 따라 시정정보 제공이 가능한바 내비게이션 시스템(20)에서 경로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시정이 양호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Visibili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By applying this to the route in the navigation system 20, a route with good visibility can be provide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a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을 통해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이 연산된 상태이다. 경로진행방향(Dp0)은 출발점과 도착점을 이용하여 확인된다. 도 7a의 예시에서 우하단에서 좌상단으로 진행하는 방향이다. As shown in FIG. 7A , the path P and the path progress direction Dp0 are calculated through the navigation system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route progress direction (Dp0) is confirmed using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In the example of FIG. 7A , it is a direction from the lower right end to the upper left end.

이렇게 연산된 경로(P) 및 경로진행방향(Dp)은 본 발명 시스템의 제어부(100)의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에 입력된다.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이 입력되면,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은 경로(P)를 구성하는 경로위치좌표(Sp)들을 확인하고, 입력된 경로진행방향(Dp0)을 더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이동방향(Dp)을 확인한다. 이동방향(Dp)은 해당 지점에서 운전자가 바라보는 방향이 될 것이다. The calculated path P and the path progress direction Dp are input to the path data calculation module 131 of the control unit 100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th P and the path proceeding direction Dp0 are input, the path data operation module 131 checks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constituting the path P, and further adds the input path proceeding direction Dp0. By using it, the movement direction Dp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is confirmed. The moving direction Dp will be the direction the driver is looking at at the corresponding point.

여기에, 위치좌표(s)의 간격인 범위값(예를 들어, 100m)가 사용된다. 도 7a와 같이 설정된 경로(P)에 기 설정된 범위값의 격자가 투영되어 경로(P)에 해당하는, 또는 경로(P)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이격된 위치좌표(s)들이 확인되어 경로위치좌표(Sp)가 된다. 도 7b는 이를 도시한다. 또한,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 경로진행방향(Dp0)을 고려하면 각각의 이동방향(Dp)이 확인된다. 도 7c는 이를 함께 도시한다. 도 7c에 도시된 예시에서 총 19개의 경로위치좌표(Sp)와 각각에서의 이동방향(Dp)을 확인할 수 있다. Here, a range value (eg, 100m) that is an interval of the position coordinates (s) is used. As shown in FIG. 7A, a grid of a preset range value is projected on the set path P,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s corresponding to the path P or spaced apart from the path P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identified and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becomes (Sp). Figure 7b shows this. In addition, when the path progress direction Dp0 is considered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each movement direction Dp is confirmed. Figure 7c shows this togeth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c , a total of 19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and a movement direction Dp in each can be confirmed.

이러한 19개의 경로위치좌표(Sp) 및 이동방향(Dp)이 각각 기준위치(s0)와 방향(d)이 되어 미리 생성된 시정모델에 입력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가 연산된다. These 19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and the movement direction Dp become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the direction d, respectively, and are input to the pre-generated visibility model, whereby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Correction information is calculated.

출력 모듈(133)에 의해 연산된 시정정보는 경로와 함께 출력된다. 수치로 출력될 수도 있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output module 133 is output together with the path. It may be output as a numerical value or may be output as a color as shown in FIG. 7D .

한편, 도 7d에서는 2차원 상에서 차량이 운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z축이 변수로 설정되어 있어 고도의 변화에 따른 시정정보 연산이 가능하므로, UAM과 같은 항공기에서도 당연히 적용 가능하다. Meanwhile, in FIG. 7D , a case in which a vehicle is driven in two dimension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since the z-axis is set as a variab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visibil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altitude, so it is naturally applicable to an aircraft such as a U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시정 경고 모듈(132)은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를 할 수 있다. 도 7d와 같이 출력되는 경우 출력 모듈(133)이 저시정 위치를 경고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may give a warning by determining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 S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ower limit value. When output as shown in FIG. 7D , the output module 133 may warn of the low visibility position.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 저시정 경고 모듈(132) 및 출력 모듈(133)은 이동체(30)에 위치한 내비게이션 시스템(20)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동체(3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제어부(100)로부터 시정정보를 수신한 후 자체적으로 연산하여 도 7d와 같이 경로(P)와 함께 시정정보와 저시정 경고를 출력하게 될 것이다.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 and the output module 133 may be located in the navigation system 20 located in the mobile body 30 . In this case, the mobile body 30 is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 ), after receiving the corr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00, it will calculate on its own and output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the low visibility warning along with the path P as shown in FIG. 7D.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 둘 이상의 상이한 경로를 제안하는 경우, 시정이 양호한 경로를 추천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둘 이상의 경로(P) 각각에 대하여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출력 모듈(133)은 이하로 판단한 경로위치좌표(Sp)를 포함한 경로를 저시정 경로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심각하게 시정이 좋지 않은 경로는 제안하지 않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When the navigation system 20 suggests two or more different routes, a method of recommending a route with good visibility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 S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ower limit value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aths P, and the output module 133 may output a path including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determined below as a low visibility path. Alternatively, a path with severely poor visibility may operate in a way that it does not suggest.

4.3 자율주행 경고4.3 Autonomous Driving Warning

이동체(30)가 RGB 카메라 및 소형 라이다, 레이다 기기에 의해 감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 기능을 구비한 것이라면, 저시정 상태에서는 자율주행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를 경고할 수도 있다. If the moving object 30 is equipp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an RGB camera, a small lidar, and a radar device, since an autonomous driving error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a low visibility state, this may be warned.

즉,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하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경로위치좌표(Sp)에 대하여 출력 모듈(133)이 자율주행 오류를 경고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s Sp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lower limit value,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corresponding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The output module 133 may warn of an autonomous driving error.

10: 송수신 기기
20: 내비게이션 시스템
30: 이동체
100: 제어부
111: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
112: 기상정보 획득 모듈
113: 시정정보 획득 모듈
114: 시정모델 생성 모듈
121: 시정정보 연산 모듈
131: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
132: 저시정 경고 모듈
133: 경고 모듈
190: 통신 모듈
210: 후방신호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시정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기상정보 데이터베이스
10: transceiver device
20: navigation system
30: mobile
100: control unit
111: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2: weather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3: corr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4: correction model generation module
121: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31: path data operation module
132: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3: warning module
190: communication module
210: rear signal information database
220: municip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database
230: weather information database

Claims (13)

3차원 위치좌표가 반영된 시정모델을 생성한 후, 대기에 전자파를 조사하고 대기 중 물질에 의해 돌아오는 후방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 기기(10)를 이용하되, 후방신호를 상기 시정모델에 입력함으로써 시정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송수신 기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 및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의해 수행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고,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기준좌표(s0)와 방향(D)이 입력되면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은 상기 획득된 후방신호정보(L(s))를 이용하여 입력된 기준좌표(s0)에서 입력된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며,
상기 후방신호정보(L(s))는 위치좌표(s)에서의 후방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며, 위치좌표(s)는 기 설정된 단위값으로 구분된 3차원 좌표이며,
(A)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에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이 입력되면,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이 경로(P)를 구성하는 경로위치좌표(Sp)들을 확인하고, 입력된 경로진행방향(Dp0)을 더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이동방향(Dp)을 확인하여, 경로위치좌표(Sp)와 이동방향(Dp)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각각의 경로위치좌표(Sp)에서 경로위치좌표(Sp)를 기준좌표(s0)로 하고 이동방향(Dp)을 방향(D)으로 하여 시정정보를 연산함으로써, 경로(P)에 포함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fter generating the visibility model reflect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al coordinates, use the transceiver 10 that ir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atmosphere and receives the rear signal returned by the material in the atmosphere, but the visibility is corrected by inputting the rear signal into the visibility model As a method of calcul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 method is performed by the back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device 10,
When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 devices 10 receive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s positioned within a preset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s) Acquire the star rear signal information (L(s)),
When the reference coordinates s0 and the direction D are input to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uses the obtained rear signal information L(s) to input the reference coordinates. Calculates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D) input from (s0),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includes the intensity of the rear signal in the position coordinates (s),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s) ar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divided by preset unit values,
(A) When the path P and the path progress direction Dp0 are input to the path data calculation module 131, the path data calculation module 131 checks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constituting the path P and confirming the moving direction Dp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by further using the input path moving direction Dp0, and confirming the path position coordinate Sp and the moving direction Dp; and
(B)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uses the path position coordinate Sp as the reference coordinate s0 and the movement direction Dp as the direction D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 Sp to generate the correction information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nd providing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included in the path P by calculating,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기기(10)는 라이다 기기며, 상기 후방신호는 후방산란신호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ceiver device 10 is a lidar device, and the back signal is a backscatter signal,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기기(10)는 레이다 기기이며, 상기 후방신호는 에코신호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ceiver device 10 is a radar device, and the rear signal is an echo signal,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C1) 출력 모듈(132)이 경로(P)를 출력하되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ep (B),
(C1) the output module 132 outputs the path (P), but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together with the correction information in each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confirmed in the step (B),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C2)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하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경로위치좌표(Sp)에 대하여 출력 모듈(133)이 저시정을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ep (B),
(C2)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 Sp confirmed in step (B)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lower limit,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output module 133 warning low visibility with respect to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Wa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 및 상기 출력 모듈(133)은 이동체(30)에 구비된 것인,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and the output module 133 are provided in the moving body 30 ,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30)는 자율주행 기능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C2) 단계는,
(C21)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 단계에서 확인된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하로 판단한 경우 이에 해당하는 경로위치좌표(Sp)에 대하여 출력 모듈(133)이 자율주행 오류를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ovable body 30 is provided with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The step (C2) is,
(C21)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determines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 Sp confirmed in step (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lower limit value,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less than The output module 133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warning an autonomous driving error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30)는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을 구비한 것이고,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내비게이션 시스템(20)이 둘 이상의 경로(P) 및 경로진행방향(Dp0)을 연산하고, 상기 경로데이터 연산 모듈(131)에 상기 경로(P)와 경로진행방향(Dp0)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둘 이상의 경로(P) 각각에 대하여 이에 포함된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ovable body 30 is provided with a navigation system 20,
The step (A) is,
(A1) The navigation system 20 calculates two or more routes P and a route progress direction Dp0, and inputs the route P and a route progress direction Dp0 to the route data calculation module 131 comprising the steps of
The step (B) is,
(B1)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by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route location coordinates Sp included therein for each of the two or more routes P,
W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 이후,
(C3) 상기 저시정 경고 모듈(132)이 상기 (B1) 단계에서 확인된 둘 이상의 경로(P) 각각에 대하여 각 경로위치좌표(Sp)에서의 시정정보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하한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력 모듈(133)이 이하로 판단한 경로위치좌표(Sp)를 포함한 경로를 저시정 경로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step (B1),
(C3) whether the value of the visibility information in each path location coordinates Sp for each of the two or more paths P confirmed in the step (B1) by the low visibility warning module 13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lower limit valu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path including the path position coordinates (Sp) determined below by the output module 133 as a low visibility path by determining
Way.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A01)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는 단계;
(A02) 시정정보 획득 모듈(113)이 상기 송수신 기기(10)의 위치에서의 실제의 시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A03) 시정모델 생성 모듈(114)이 상기 (A01) 단계에서 획득된 각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입력변수로 하고 상기 (A02) 단계에서 획득된 시정정보를 출력변수로 하여 상기 시정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01) 하나 이상의 상기 송수신 기기(10)가 3차원 전 방향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 후방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후방신호정보 획득 모듈(111)이 기 설정된 3차원 한계범위 내의 위치좌표(s)별 후방신호정보(L(s))를 획득하는 단계;
(B02)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에 기준좌표(s0)와 방향(D)이 입력되면, 위치좌표 확인 모듈(122)이 상기 기준위치(s0)에서 시작하여 입력된 방향(D)으로 진행하면서 통과하게 되는 다수의 위치좌표(s)를 확인하는 단계;
(B03)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B01) 단계에서 확인된 다수의 위치좌표(s) 각각에 해당하는 후방신호정보(L(s))를 확인하는 단계; 및
(B04) 상기 시정정보 연산 모듈(121)이 상기 (A03) 단계에서 생성된 시정모델에 상기 (B03) 단계에서 확인된 후방신호정보(L(s))를 입력함으로써, 입력된 기준좌표(s0)에서 입력된 방향(D)으로의 시정정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Before step (A),
(A01) When the transceiver device 10 receives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s positioned within a preset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s) obtaining star rear signal information (L(s));
(A02) obtaining, by the correc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3, actual correction information at the location of the transceiver device 10; and
(A03) The visibility model generation module 114 use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for each position coordinate (s) obtained in the step (A01) as an input variable, and the visibility information obtained in the step (A02) and generating the correction model by using as an output variable,
The step (B) is,
(B01) When one or more of the transceiver devices 10 receive a rear signal by ir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in all three-dimensional direction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11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s positioned within a preset three-dimensional limit range. (s) obtaining each rear signal information (L(s));
(B02) When the reference coordinate (s0) and the direction (D) are input to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position coordinate check module 122 starts from the reference position (s0) and moves to the input direction (D) Checking a plurality of position coordinates (s) to pass while proceeding;
(B03) confirming, by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coordinates (s) identified in the step (B01); and
(B04) The visibility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121 inputs the rear signal information L(s) confirmed in the step (B03) to the visibility model generated in the step (A03), thereby inputting the reference coordinates s0 )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visibility information in the input direction (D),
Way.
제 8 항에 따른 방법이 수행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A navigation system, on which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is performed
제 10 항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탑재된, 이동체.
A mobile body on which the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is mounted.
제 10 항에 따른 방법이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되며 기억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00)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a computer program.
KR1020220012997A 2022-01-28 2022-01-28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KR102459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97A KR102459218B1 (en) 2022-01-28 2022-01-28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PCT/KR2022/004352 WO2023146023A1 (en) 2022-01-28 2022-03-28 Method for providing 3d visibil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generating visibility mode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2997A KR102459218B1 (en) 2022-01-28 2022-01-28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18B1 true KR102459218B1 (en) 2022-10-26

Family

ID=8378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997A KR102459218B1 (en) 2022-01-28 2022-01-28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18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43B1 (en) 2010-05-12 2012-10-24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2017194487A (en) * 2013-04-11 2017-10-26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for detecting weather state using on-vehicle sensor, and system therefor
KR20180088789A (en) * 2016-12-21 2018-08-07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t least one trajectory of a vehicle based on a context around the vehicle
KR101912874B1 (en) 2017-10-20 2018-10-30 (주) 정상라이다 Integrated weather detection system
JP2019125372A (en) * 2018-01-18 2019-07-25 アナログ・ディヴァイシス・グローバル・アン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Radar for detecting weather, dynamically control of vehicle system, and operation
JP2019148530A (en) * 2018-02-28 2019-09-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Estimation device,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20042020A (en) 2018-08-10 2020-03-19 オーロラ フライト サイエンシズ コーポレーション System and method to reduce dve effect on lidar retur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043B1 (en) 2010-05-12 2012-10-24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efabricated Revet Constr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2017194487A (en) * 2013-04-11 2017-10-26 グーグ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ethod for detecting weather state using on-vehicle sensor, and system therefor
KR20180088789A (en) * 2016-12-21 2018-08-07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t least one trajectory of a vehicle based on a context around the vehicle
KR101912874B1 (en) 2017-10-20 2018-10-30 (주) 정상라이다 Integrated weather detection system
JP2019125372A (en) * 2018-01-18 2019-07-25 アナログ・ディヴァイシス・グローバル・アン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Radar for detecting weather, dynamically control of vehicle system, and operation
JP2019148530A (en) * 2018-02-28 2019-09-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Estimation device, estim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20042020A (en) 2018-08-10 2020-03-19 オーロラ フライト サイエンシズ コーポレーション System and method to reduce dve effect on lidar retu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70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external parameters of on-board sensors and related vehicles
US10699135B2 (en) Automatic localization geometry generator for stripe-shaped objects
EP3570061B1 (en) Drone localization
US10970542B2 (en) Scalable three dimensional object segmentation
US10976421B2 (en) Interface for improved high definition map generation
US20190219697A1 (en) Lidar localization
US11782129B2 (en) Automatic detection of overhead obstructions
US10955257B2 (en) Interactive 3D point cloud matching
CN102472686B (en) Driver's aid device and driver's aid system
CN108139225A (en) Determine the layout information of motor vehicle
WO2018181974A1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N113340325B (en)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verifying vehicle-road cooperative roadside perception fusion precision
US11861784B2 (en) Determination of an optimal spatiotemporal sensor configuration for navigation of a vehicle using simulation of virtual sensors
CN111007834B (en) Laboratory test system and method for ADAS path planning function
CN107826104A (en) The method for the information being intended to for the predicted travel provided on means of transport
WO2020139373A1 (en) Interactive 3d point cloud matching
US20220090939A1 (en) Ehorizon upgrader module, moving objects as ehorizon extension, sensor detected map data as ehorizon extension, and occupancy grid as ehorizon extension
JP6785933B1 (en) Porosity estimation device, porosity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Ort et al. Maplite: Autonomous intersection navigation without a detailed prior map
CN116348739A (en) Map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y casting and semantic image
KR102459218B1 (en)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navigation system and a mobility and a program using the same
KR102430344B1 (en) A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isibility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 visibility model for the same
CN112146627A (en) Aircraft imaging system using projected patterns on featureless surfaces
WO2020139377A1 (en) Interface for improved high definition map generation
CN116710809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iDAR sensor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