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32B1 -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32B1
KR102453932B1 KR1020200185222A KR20200185222A KR102453932B1 KR 102453932 B1 KR102453932 B1 KR 102453932B1 KR 1020200185222 A KR1020200185222 A KR 1020200185222A KR 20200185222 A KR20200185222 A KR 20200185222A KR 102453932 B1 KR102453932 B1 KR 10245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phere
dimensional
siz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3992A (en
Inventor
이종현
정재훈
권순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마인드
Priority to KR102020018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32B1/en
Publication of KR2022009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9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1Detecting tooth mo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치아영역인식장치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고,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기 설정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한 후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제1 구체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제2 크기까지 축소하고,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면 제1 구체의 위치를 기초로 각 치아의 위치를 파악한다.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he tooth region recognition device generates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d after expand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a preset first size,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he size of is reduced to a preset second size, and when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is moved and positioned in the tooth direction, the position of each tooth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phere.

Description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imag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치아교정이나 임플란트, 틀니제작 등 다양한 치과적 시술이나 치료를 위하여 치아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치아 CT 영상을 기초로 3차원 치아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치아 교정의 경우 치과의사가 직접 3차원 치아이미지를 보면서 일일이 치아의 배열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교정방향을 결정한다. 인공지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향후에는 인공지능 등을 이용하여 교정방향 등을 치과의사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등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치아와 잇몸이 함께 존재하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 먼저 해결되어야 한다.It creates 3D images of teeth for various dental procedures or treatments such as orthodontics, implants, and denture production. For example,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a tooth CT image. In the case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dentist directly sees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grasps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one by one, and decides the correct orthodontic direction. Since various algorithm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rapidly developing, in the future, a method of notifying the dentist of the direction of corr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tc. may appear. However, for this,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oth area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in which teeth and gums exist together must first be solv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아와 잇몸이 함께 존재하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in which teeth and gums exist togeth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방법의 일 예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기 설정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하는 단계; 상기 확대 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제1 구체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제2 크기까지 축소하는 단계; 상기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각 제1 구체의 위치를 기초로 각 치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e example of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an inter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enlarg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a preset first size;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fter the enlargement to a preset second size; moving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in the tooth direction;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tooth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first spher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장치의 일 예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는 구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기 설정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한 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제1 구체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제2 크기까지 축소하는 부피변경부; 상기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각 제1 구체의 위치를 기초로 각 치아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xample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her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an inter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 volume change unit for enlarg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a preset first size and then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a preset second size;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in the tooth direction; And it includes a; and a positio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tooth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first sphe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3차원 치아미미지에서 치아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치아영역을 기반으로 치아의 교정방향 등을 자동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a tooth region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Based on the recognized tooth area, the correction direction of the tooth can be automatically identified and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치아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을 파악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구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를 치아영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의 확대에 따라 공간에서 구체가 밀려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파악한 치아영역을 이용한 교정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치아영역인식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rasping the inter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spheres in a three-dimensional dental image inter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ving a sphere to a too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sphere is pushed out of space according to an enlargement of a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rthodontic method using an identified toot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ooth region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치아영역인식장치(이하, '장치'라 함)(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를 입력받으면, 3차원 치아이미지 내 치아영역을 파악하여 출력한다. 장치(100)는 메모리, 프로세서, 입출력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 예에서 각 단계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탑재된 후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tooth region recogni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vice') 100 receives a 3D tooth image, identifies and outputs a tooth area in the 3D tooth image.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emory, a processor, and an input/output device, an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each step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and loaded in a memory and then performed by the processor.

3차원 치아데이터(110)는 치아 부위를 촬영하여 생성한 3차원 치아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데이터이다. 3차원 치아데이터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STL(Stereo Lithography) 파일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3차원 치아데이터(110)는 다양한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 3차원 치아데이터(110)에 포함된 3차원 치아이미지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3차원 치아이미지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거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치아이미지에서 잇몸의 아래쪽 방향은 면으로 막혀있거나 막혀있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치아이미지는 표면정보만을 가지며 내부 공간은 비어있는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치아이미지는 내부 공간이 채워져 있는 3차원 이미지일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tooth data 110 is image data including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tooth part. The 3D tooth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n STL (Stereo Lithography) file having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the 3D tooth image. In addition to this, the 3D dental data 11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ats. An example of a 3D tooth image included in the 3D tooth data 110 is shown in FIG. 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may be an image that forms an enclosed space or does not form an enclosed space. For example, in the tooth image of FIG. 3 ,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gum may or may not be blocked with a surface. As another example, the tooth image may be a three-dimensional image having only surface information and an empty inner space. Alternatively, the tooth image may be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illed.

치아영역정보(120)는 치아와 잇몸이 함께 존재하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가 존재하는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치아영역정보(120)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tooth area information 120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tooth exists i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in which the tooth and the gum exist together. A method of grasping the tooth region information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역인식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에 복수의 제1 구체를 생성한다(S200). 예를 들어, 장치(100)는 도 6와 같이 3차원 치아이미지(500)의 내부 공간에 기 정의된 일정 크기의 제1 구체(600)를 복수 개 생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evice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 S200 ). For example, the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600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as shown in FIG. 6 .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미리 정의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한다(S210). 제1 구체의 부피를 제1 크기까지 확대하면, 제1 구체의 일부는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서 바깥으로 밀려난다.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 치아의 개수만큼의 제1 구체가 남아있을 정도까지만 제1 구체의 부피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구체의 지름이 일반적인 치아의 평균 두께나 폭이 되도록 확대하거나 평균 두께나 폭보다 수mm 더 큰 지름이 되도록 확대할 수 있다. 치아의 평균 두께나 폭은 실험이나 여러 자료를 통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크기는 실시 에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The device 100 enlarges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a predefined first size (S210). When the volume of the first sphere is enlarged to the first size, a part of the first sphere is pushed ou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ce 100 enlarges the volume of the first sphere only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sphere as many as the number of teeth remain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enlarge the diameter of the first sphere to be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of a general tooth, or to enlarge the diameter to be several millimeters larger than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of a tooth can be predefined through experiments or various data. In addition, the first size may be set to various size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장치(100)는 복수의 제1 구체의 부피를 제1 크기까지 확대하면서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서 바깥으로 완전히 밀려나거나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에 일부 걸쳐 있는 제1 구체를 제거한다. 경우에 따라, 두 개의 제1 구체가 어느 한 공간에서 서로 표면으로 밀려 함께 제거되면 내부 공간의 일부에는 제1 구체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두 개의 제1 구체가 서로 밀리면 두 개의 제1 구체가 모두 표면에 걸쳐있게 되어 모두 제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The device 100 removes the first spheres that are completely pushed ou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or partially over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while enlarg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the first size. In some cases, when the two first spheres are pushed to the surface of each other in one space and removed together, the first sphere may not exist in a part of the inner space. For example, when the two first spheres are pushed together as shown in FIG. 8 , the two first spheres are all over the surface,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they are all removed.

이를 해결하는 방법의 일 예로,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한쪽 방향의 면은 뚫리지 않는 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도 6의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가 존재하는 아래쪽 면을 고정된 막힌 면으로 설정하고, 위쪽면을 제1 구체가 통과할 수 있는 면으로 설정한 후 제1 구체의 부피를 확대하여 제1 구체가 위쪽으로 밀려나도록 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solving this, the apparatus 100 may set a surface in one direction in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s a non-piercing surface. For example, the device 100 sets the lower surface where the teeth are present i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of FIG. 6 as the fixed blocked surface, and sets the upper surface as the surface through which the first sphere can pass, and then sets the first The volume of the sphere can be enlarged so that the first sphere is pushed upward.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 밖으로 밀려난 제1 구체를 제거하고 내부 공간에 남아 있는 제1 구체의 부피를 제2 크기로 축소한다(S220). 예를 들어, 장치(100)는 제1 구체의 지름이 일반적인 치아의 평균 두께나 폭보다 더 작도록 축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크기는 제1 크기보다 작다. 다만, 제2 크기를 너무 작게 할 경우에 하나의 치아영역에 2개 이상의 제1 구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제2 크기는 치아의 평균 두께나 폭보다는 작고 치아의 평균 두께나 폭의 1/2보다는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2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The device 100 removes the first sphere pushed out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d reduces the volume of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ner space to a second size (S220).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reduce the diameter of the first sphere to be smaller than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of a typical tooth. In other words, the second size is smaller than the first size. However, since two or more first spheres may exist in one tooth region when the second size is made too small, the second size is smaller than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of the teeth and less than 1/2 of the average thickness or width of the teeth. It can be set to large. In addition, the second size may be set to various sizes according to embodiments.

장치(100)는 제2 크기로 축소한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30). 제1 구체의 크기가 하나의 치아영역에 하나씩 들어갈 정도의 크기이므로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면 각 치아영역에 하나의 제1 구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치아방향에 가상의 중력을 설정하고, 제1 구체가 중력에 따라 가장 낮은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evice 100 moves the first sphere reduced to the second size in the tooth direction (S230). Since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is large enough to fit into one tooth area, when the first sphere is moved in the tooth direction, one first sphere is present in each tooth area.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set virtual gravity in the tooth direction, and cause the first sphere to move to the lowest position according to gravity.

장치(100)는 제1 구체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1 구체의 위치(예를 들어, 구체중심)를 기초로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각 치아가 위치한 영역을 파악한다(S240). 예를 들어, 장치(100)는 각 구체의 중심을 각 치아의 중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movement of the first sphere is completed, the device 100 identifies an area in which each tooth is located i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sphere (eg, the center of the sphere) (S240).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set the center of each sphere as the midpoint of each tooth.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가 존재하는 가상이 공간에 제1 구체를 복수 개 생성하고, 제1 구체의 확대와 축소, 이동 등을 위하여 종래의 다양한 3차원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a virtual spac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exists, and use various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o enlarge, reduce, and move the first spher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치아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차원 치아이미지(310)는 3차원 치아데이터가 나타내는 일정 공간(300) 상에 위치한다. 3차원 치아데이터는 위턱에 위치한 치아에 대한 3차원 치아이미지 및/또는 아래턱에 위치한 치아에 대한 3차원 치아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영역은 내부에서 바라보면 주머니처럼 움푹 들어간 모양이 된다. 즉 3차원 치아이미지를 표면정보만으로 구성하면, 각 치아영역은 잇몸에 달려있는 주머니 같은 영역이 된다. Referring to FIG. 3 ,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is located on a predetermined space 300 indicated by three-dimensional tooth data. The 3D tooth data may include a 3D tooth image of a tooth located in the upper jaw and/or a 3D tooth image of a tooth located in the lower jaw. When viewed from the inside, the tooth area in the 3D tooth image becomes a hollow shape like a pocket. That is, i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is composed only of surface information, each tooth area becomes a pocket-like area that is attached to the gums.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공간에만 복수의 제1 구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잇몸 아래쪽 부분을 면으로 막아 3차원 치아이미지(310)를 밀폐된 3차원 객체로 형성하여 내외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치아이미지(310)가 밀폐된 공간을 가지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잇몸 아래쪽 부분 등이 열려 있는 경우)에 3차원 치아이미지(310)을 구성하는 면의 어느 쪽이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인지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가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지에 관계없이 표면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내부 공간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The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only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using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for divid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 For example, by blocking the lower part of the gum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with a surface to form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as a sealed three-dimensional object,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However, whe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does not have an enclosed space (for example, when the lower part of the gum is open), which side of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is the inside of the tooth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it is a space. Accordingly, the device 100 proposes a method of quickly identify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using surface inform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forms an enclosed space, and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is shown i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을 파악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rasping the inter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내부 공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치아데이터가 나타내는 3차원 공간(300)의 일정 지점에 기 정의된 크기의 제2 구체(320)를 생성한다. 제2 구체(320)의 초기 크기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수mm의 매우 작은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구체(320)를 생성하는 초기 위치는 미리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치아이미지(310)는 아치형태이므로 3차원 공간(300)의 중심은 일반적으로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외부 공간일 수 있다. 3 and 4 together, the device 100 determines the internal space of the 3D tooth image 310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3D space 300 indicated by 3D tooth data. A second sphere 320 is created. The initial size of the second sphere 320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may be set to a very small size of several millimeters, for example. An initial position for generating the second sphere 320 may be predefined. For example, since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has an arch shape, the center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300 may generally be an ex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

장치(100)는 제2 구체(320)의 부피를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과 닿을 때까지 확대한다. 부피를 확대한 제2 구체(400)가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표면과 닿으면, 장치(100)는 제2 구체(400)가 맞닿은 표면의 반대쪽 영역을 3차원 치아이미지(310)의 내부 공간으로 파악한다. 만약 3차원 치아이미지(310)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장치(100)는 잇몸 아래쪽 부분을 면으로 막아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device 100 enlarges the volume of the second sphere 32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When the volume-enlarged second sphere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the device 100 returns the area opposite to the surface where the second sphere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identified as the inner space. I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310 does not form an enclosed space, the device 100 may form a sealed internal space by block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um with a surface.

장치(100)는 파악한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identified 3D tooth imag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구체를 생성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pheres in an internal space of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500)에서 치아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3차원 치아이미지(500)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턱에 위치한 치아에 대한 3차원 치아이미지의 경우 치아가 원래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이를 회전하여 재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아래턱에 위치한 치아에 대한 3차원 치아이미지의 경우 치아가 위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아래쪽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5 and 6 , the apparatus 100 may arrange the 3D tooth image 500 so that the teeth face downward in the 3D tooth image 50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3D tooth image of a tooth located in the upper jaw, there is no need to rotate and reposition it because the tooth is originally facing downward. It can be rotated to face downwards.

본 실시 예는 이후 살펴볼 제1 구체의 확대와 치아방향 이동 등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중력 방향인 아래쪽을 향하도록 3차원 치아이미지를 배치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3차원 치아이미지를 특정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This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of arranging a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face downward, which is a general direction of gravity,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enlargement of the first sphere and movement in the tooth direction,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but this is only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the tooth image in a specific direction.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500)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600)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도 4에서 살핀 제2 구체(400)가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에 닿으면, 그 표면의 반대쪽의 어느 한 위치에 제1 구체(600)를 생성하고, 제1 구체(600)의 생성위치에서 상하좌우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한 위치에 다시 제1 구체를 생성한다. 다시 생성한 각각의 제1 구체를 기준으로 또 다시 상하좌우로 일정 간격 이동한 위치에 제1 구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만약 어느 하나의 제1 구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한 위치가 표면이거나 표면의 반대쪽이면 그 방향에 대한 제1 구체의 생성은 종료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 간격으로 3차원 치아이미(500)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600)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vice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600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 For example, the device 100 generates a first sphere 600 at any one pos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when the second sphere 400 salpin in FIG. 4 touches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d the second A first sphere is generated again at a position mov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various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sphere 600 .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irst spheres is repeatedly performed at positions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each of the re-created first spheres. If the position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in any one of the first spheres is the surface or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he generation of the first sphere in the direction is termina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600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at regular intervals.

또 다른 예로, 장치(100)는 제2 구체(400)가 치아이미지의 표면에 닿으면, 그 표면의 반대쪽의 어느 한 위치에 제1 구체(600)를 생성한 후 제1 구체(600)를 임의의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이동시키면서 일정 시간간격(즉, 일정 이동거리)마다 제1 구체를 복제할 수 있다. 제1 구체(600)는 이동 중에 표면을 만나면 표면에서 반사되어 계속하여 움직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 정의된 개수가 되도록 제1 구체를 복수 개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1 구체의 크기(이하, 제3 크기)는 도 2에서 살핀 제2 크기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크기(확대시 크기) > 제2 크기(축소시 크기) > 제3 크기(초기 크기)의 관계가 성립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sphere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oth image, the device 100 generates the first sphere 600 at any one pos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and then the first sphere 600 is formed. The first sphere may be duplic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e, a predetermined moving distance) while moving at a constant speed in an arbitrary direction. When the first sphere 600 meets a surface during movement, it is reflected from the surface and continues to move. In this way,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may be repeatedly generated to a predefined number.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hereinafter, the third siz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second size salpin in FIG. 2 . T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first size (size when enlarged) > second size (size when reduced) > third size (initial size) is established.

본 실시 예는 3차원 치아이미지(500)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면 될 뿐 도 6에서 설명한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 공간에 동일한 모양을 복수 개 복제하여 생성하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이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only to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identical shapes by duplicating them in the internal space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를 치아영역으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moving the sphere to the tooth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확대 후 축소시켜 일정 개수의 제1 구체(700)가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device 100 enlarges and then reduces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so that a certain number of first spheres 700 are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let it remain

예를 들어, 장치(100)는 도 6과 같이 3차원 치아이미지(500)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한 후 이를 제1 크기가 되도록 확대한다. 이때 장치(100)는 3차원 치아이미지(500)에서 치아가 존재하는 방향(즉, 도 5,6의 아랫방향)의 면을 뚫리지 않는 막혀있는 면으로 설정하고, 위쪽 방향의 면은 제1 구체가 통과할 수 있는 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체(600)의 부피가 커지면 일부의 제1 구체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서 위쪽 방향을 통해 바깥으로 밀려난다.For example, the device 100 generates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as shown in FIG. 6 and then enlarges them to a first size. At this time, the device 100 sets the 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eth are present in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500 (that is, the downward direction in FIGS. 5 and 6) as a blocked face, and the face in the upper direction is the first sphere It can be set as a face that can pass through. In this case, when the volume of the first sphere 600 increases, some of the first sphere is pushed outward through the upward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장치(100)는 밀려난 제1 구체를 제거한 후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 남아 있는 제1 구체(700)를 제2 크기로 축소한다. 크기가 축소된 제1 구체(700)를 치아방향에 설정한 가상의 중력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각의 제1 구체(700)는 치아영역에 해당하는 움푹한 곳에 들어가게 된다.The device 100 reduces the first sphere 700 remain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a second size after removing the pushed out first sphere. When the reduced size of the first sphere 7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virtual gravity set in the direction of the teeth, each of the first spheres 700 enters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tooth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체의 확대 시에 구체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하도록 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llowing at least one sphere to exist in space when the sphere is enlar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구체(830)가 공간(800)에 존재하여야 하나 구체의 부피를 증가함에 따라 두 개의 구체(810,820)가 서로 밀려 함께 제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구체(810,820)가 표면에 걸쳐져 있거나 외부로 밀려날 수 있다. 따라서 공간(800)의 일측면(예를 들어, 아래면)을 뚫리지 않는 면으로 설정하면, 구체는 다른 면으로 밀려나게 되어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체(830)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8 , although the sphere 830 should exist in the space 800 , as the volume of the sphere increases, the two spheres 810 and 820 are pushed together to be removed together. That is, the two spheres 810 and 820 may be spread over the surface or pushed outward. Therefore, if one side (eg,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800 is set as a non-piercing surface, the sphere is pushed to the other surface, so that at least one sphere 830 can exist in the spac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파악한 치아영역을 이용한 교정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rthodontic method using an identified tooth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장치(100)는 도 7과 같이 제1 구체(700)가 이동하여 치아영역에 위치하면 각 제1 구체(700)의 중심을 각 치아영역의 위치로 파악할 수 있다. 장치(100)는 미리 정의된 치아교정선(900)과 각 구체(700)의 중심을 비교하여 각 치아의 교정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center of each first sphere 700 as the position of each tooth region when the first sphere 700 moves and is located in the tooth region as shown in FIG. 7 . Th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orthodontic direction of each tooth by comparing the predefined orthodontic line 900 with the center of each sphere 700 .

예를 들어, 장치(100)는 아치형의 치아교정선(900)을 기준으로 도 7에서 파악한 각 구체(700)의 중심을 위치시킨다. 각 구체(700)의 중심이 각 치아의 중점과 일대일 대응된다. 따라서 장치(100)는 치아교정선(900)의 바깥쪽에 위치한 구체중심(910)에 맵핑되는 치아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힘을 가하는 교정이 필요하고, 치아교정선(900)의 안쪽에 위치한 구체중심(920)에 맵핑되는 치아는 안쪽에서 바깥으로 힘을 가하는 교정이 필요함을 파악하여 알려줄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100 positions the center of each sphere 700 identified in FIG. 7 based on the arcuate orthodontic line 900 . The center of each sphere 700 corresponds to the midpoint of each tooth one-to-one. Therefore, in the device 100, the teeth mapped to the spherical center 91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orthodontic line 900 require correction by applying a forc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spherical center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orthodontic line 900 The tooth mapped to 920 may be informed by recognizing that correction by applying a forc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s requir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치아영역인식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tooth region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100)는 치아공간파악부(1000), 구체생성부(1010), 부피변경부(1020), 이동부(1030) 및 위치파악부(1040)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장치(100)는 교정부(1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apparatus 100 includes a tooth space determining unit 1000 , a sphere generating unit 1010 , a volume changing unit 1020 , a moving unit 1030 , and a position determining unit 104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alibration unit 1050 .

치아공간파악부(1000)는 3차원 치아데이터에 포함된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공간을 파악한다. 치아공간파악부(1000)는 3차원 이미지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종래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을 파악할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치아공간파악부(1000)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위치의 제2 구체의 부피를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과 맞닿을 때까지 확대하여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을 파악할 수 있다. The tooth space finding unit 1000 grasps the internal space of the 3D tooth image included in the 3D tooth data. The tooth space finding unit 1000 may grasp the internal space of the 3D tooth image by using various conventional algorithms for classify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3D image. In another embodiment, the tooth space finding unit 1000 can grasp the internal space of the 3D tooth image by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econd sphe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3D tooth imag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have.

구체생성부(1010)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한다. 구체생성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The sphere generating unit 1010 generates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 example of spherogenesis is shown in FIG. 6 .

부피변경부(1020)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제1 크기까지 확대하면서 내부 공간에서 밀려나는 제1 구체를 제거한다. 예를 들어, 부피변경부(1020)는 치아가 위치하는 면을 막혀있는 면으로 설정하여 제1 구체를 확대할 때 제1 구체가 잇몸방향으로 밀려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부피변경부(1020)는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 공간에서 밀려난 제1 구체를 제거하고 내부 공간에 남아 있는 제1 구체를 제2 크기로 감소한다. 부피변경부(1020)가 제1 구체를 제1 크기로 확대한 후 제2 크기로 감소하면, 내부 공간에는 치아의 개수에 해당하는 만큼의 제1 구체만이 존재할 수 있다.The volume change unit 1020 removes the first spheres pushed out from the internal space while enlarging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a first size. For example, the volume change unit 1020 may set the surface on which the teeth are located as the blocked surface so that the first sphere is pushed in the gum direction when the first sphere is enlarged. The volume change unit 1020 removes the first sphere pushed out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d reduces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to a second size. When the volume change unit 1020 expands the first sphere to the first size and then decreases to the second size, only the first spher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eth may exist in the internal space.

이동부(1030)는 제2 크기로 감소된 제1 구체를 치아가 존재하는 면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부(1030)는 치아방향에 가상의 중력을 설정하여 제1 구체가 중력에 따라 가장 아랫면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구체는 치아에 의해 형성된 움푹한 공간으로 각각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체가 각 치아영역으로 이동한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The moving unit 1030 moves the first sphere reduced to the second size in the direction of the tooth surface. For example, the moving unit 1030 may set a virtual gravity in the tooth direction so that the first sphere moves to the lowermost surface according to the gravity. In this case, the first spheres may each move into the hollow space formed by the teeth.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phere moves to each tooth area is shown in FIG. 7 .

위치파악부(1040)는 제1 구체의 중심을 기초로 각 치아의 영역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체가 존재하는 위치가 치아영역이며, 제1 구체의 중심을 각 치아영역의 중점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localization unit 1040 recognizes the area of each tooth based on the center of the first sphere.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the first sphere exists is a tooth region, and the center of the first sphere may be identified as a midpoint of each tooth region.

교정부(1050)는 제1 구체의 중점과 기 정의된 치아교정선을 비교하여 각 치아의 교정방향 등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다. 치아교정선을 이용한 치아의 교정방향 등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The orthodontic unit 1050 may compare the midpoint of the first sphere with a predefined orthodontic line to determine and provide the orthodontic direction of each tooth. An example of a method of providing an orthodontic direction, etc. of teeth using an orthodontic line is shown in FIG. 9 .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looked 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기 설정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하는 단계;
상기 확대 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제1 구체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제2 크기까지 축소하는 단계;
상기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각 제1 구체의 위치를 기초로 각 치아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enlarg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a preset first size;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fter the enlargement to a preset second size;
moving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in the tooth direction;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each tooth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first sphere;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3차원 치아데이터가 나타내는 3차원 공간에서 기 정의된 위치에 제2 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구체를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과 닿을 때까지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체가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과 닿으면 상기 표면의 반대쪽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공간으로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pheres,
generating a second spher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represented by three-dimensional dental data;
enlarging the second sphere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nd
and, when the second spher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recognizing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as the inne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의 구체를 복수 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plurality of spheres,
A method for recognizing a tooth region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pheres having a third size smaller than the second siz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까지 확대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증가함에 따라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 밖으로 밀려나는 제1 구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enlarging to the first size,
and removing the first sphere that is pushed out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s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is increa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단계는,
3차원 치아이미지에서 치아방향에 가상의 중력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중력에 따라 상기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 내에서 가장 낮은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step comprises:
Setting a virtual gravity in the tooth direction in the 3D tooth image, and moving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to the lowest position in the 3D tooth image according to the virtual gravity. tooth area recogni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구체의 중심을 상기 치아의 위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Setting the center of the first sphere to the position of the tooth; tooth region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th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의 위치와 기 정의된 치아교정선을 비교하여 각 치아의 교정방향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mparing the position of the tooth with a predefined orthodontic line to determine the orthodontic direction of each tooth;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tooth region recognition method.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복수 개의 제1 구체를 생성하는 구체생성부;
상기 복수 개의 제1 구체의 부피를 기 설정된 제1 크기까지 확대한 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 내부 공간에 남아있는 제1 구체의 크기를 기 설정된 제2 크기까지 축소하는 부피변경부;
상기 제2 크기의 제1 구체를 치아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각 제1 구체의 위치를 기초로 각 치아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장치.
a spher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first spheres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a volume change unit for enlarging the volu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pheres to a preset first size and then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sphere remaining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o a preset second size;
a moving part for moving the first sphere of the second size in the tooth direction; and
A tooth region recognition device comprising a; a position finding unit for acknowledging the position of each tooth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first sphere.
제 8항에 있어서,
3차원 치아데이터가 나타내는 3차원 공간에서 기 정의된 위치에 제2 구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구체의 부피를 확대하여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표면과 닿으면, 상기 표면의 반대쪽을 상기 3차원 치아이미지의 내부공간으로 파악하는 치아공간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a second sphere is created at a predefined pos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dicated by the three-dimensional dental data,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sphere is enlarge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tooth image,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is placed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Tooth area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ooth space grasping unit to grasp the inner space of the tooth imag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의 위치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치아연결선과 기 정의된 치아교정선을 비교하여 각 치아의 교정방향을 파악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역인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rthodontic unit for determining the orthodontic direction of each tooth by comparing the tooth connection line created by connecting the positions of the teeth with a predefined orthodontic line.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s recorded.


KR1020200185222A 2020-12-28 2020-12-28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KR102453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22A KR102453932B1 (en) 2020-12-28 2020-12-28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222A KR102453932B1 (en) 2020-12-28 2020-12-28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992A KR20220093992A (en) 2022-07-05
KR102453932B1 true KR102453932B1 (en) 2022-10-14

Family

ID=8240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222A KR102453932B1 (en) 2020-12-28 2020-12-28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3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178A (en) 2007-12-14 2009-07-02 Hitachi Medical Computer Systems Inc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device and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program
CN107106117B (en) 2015-06-11 2020-07-0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Method and device for segmenting and reconstructing teeth and alveolar bones
US20200237475A1 (en) 2019-01-28 2020-07-30 Airnivo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ntal data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dental aligner
KR102160097B1 (en) 2018-01-25 2020-09-25 (주)바텍이우홀딩스 Dental area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369B1 (en) * 2018-08-23 2020-07-09 주식회사 쓰리디산업영상 Tooth segment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6178A (en) 2007-12-14 2009-07-02 Hitachi Medical Computer Systems Inc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device and medical diagnostic imaging supporting program
CN107106117B (en) 2015-06-11 2020-07-0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Method and device for segmenting and reconstructing teeth and alveolar bones
KR102160097B1 (en) 2018-01-25 2020-09-25 (주)바텍이우홀딩스 Dental area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US20200237475A1 (en) 2019-01-28 2020-07-30 Airnivo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ental data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dental alig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992A (en)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0428A1 (en) Fabrication of Dental Appliances
US11553989B2 (en) Tooth modeling system
US106951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thodontic treatments
US106319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thodontic treatments
KR102243185B1 (en) Method for planning implant surger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for the same
US119037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osition for an orthodontic attachment
KR102453932B1 (en) Method for recognizing teeth from 3D teeth data and apparatus therefor
US202302484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n orthodontic treatment
KR101949199B1 (en) Dental implant placement planning guide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230012309A1 (en) Gingiva strip processing using asynchronous processing
CN112206064B (en) Digital dental model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KR102418811B1 (en) Method for picking insertion path setting interface and dental CAD device for same
CN116710024A (en) Method for optimizing arcuate line and device using the same
JP7288628B2 (en) dental imaging system
KR102611060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orthodontic status based on dental scan data of a patient
US20230218374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US2023021837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KR102418898B1 (en) Method for Modifying Occlusal Surface of Prosthesis and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EP4226893A1 (en) Fastening channel through a dental restoration
US20230404708A1 (en)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same
KR20210047015A (en) Method for anchor pin placement and guide design apparatus for implant surgery
CN117409176A (en) Block position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for chair-side CAD/CAM system
KR20200026515A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Adjusting Angle of Implan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