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205B1 -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205B1
KR102453205B1 KR1020200140757A KR20200140757A KR102453205B1 KR 102453205 B1 KR102453205 B1 KR 102453205B1 KR 1020200140757 A KR1020200140757 A KR 1020200140757A KR 20200140757 A KR20200140757 A KR 20200140757A KR 102453205 B1 KR102453205 B1 KR 10245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ing
game
bowler
bowling game
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054A (ko
Inventor
서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드메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드메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드메이드
Priority to KR102020014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2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00Installations for bowling games, e.g. bowling-alleys or bocce cou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볼링장에 있는 볼러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통신단말기와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볼러에게 아이디를 부여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인증 및 정보 관리가 수행되는 회원관리서버 및 상기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볼링 경기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볼링 경기 기록 서버를 포함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되어 볼러의 경기 실시에 따른 점수 정보가 포함된 볼링 경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볼링 경기 시스템;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과 연계하여, 볼링 경기의 진행을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볼링 경기 진행 서버; 및 데이터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경기 상대방과 온라인으로 실제의 볼링장에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기 상대방과의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상대방과 실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체계적이며 객관적으로 볼러의 경기 기록을 관리할 수 있고, 볼링 경기의 재미를 향상시켜 볼링장의 수익률 확대와 생활 스포츠의 확대로 국민건강의 향상과 스포츠산업 발달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Bowling game online operation system that links the bowler management system and the bowling game system installed in the bowling alley}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장소의 볼링장에서 볼러들이 함께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볼링 경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볼링장에 있는 볼러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통신단말기와 데이터통신망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볼링(bowling)은 지름 22cm의 비금속성의 공을 굴려 약 20미터 전방에 정삼각형으로 세워 둔 열 개의 핀을 많이 쓰러뜨려서 승부를 겨루는 경기로써,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려는 '워라밸' 열풍이 꾸준히 이어지면서 취미 생활을 시작한 직장인들이 늘고 있으며, 일상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생활 스포츠로 자리를 잡고 있다.
특히,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실내 스포츠라는 장점이 있어 볼링을 즐기는 인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시설이 준비된 장소를 '볼링장'이라 하고, 볼링장에는 볼링 게임을 하기 위한 시설로 볼링공이 진행하는 바닥인 '레인'과 레인 양쪽에 배치되어 볼링공이 빠지는 '거터'와 레인의 앞쪽에 위치하는 '어프로치'와 레인 끝에 삼각형 형태로 세팅된 10개의 핀이 셋팅되는 '핀 스팟'과 볼링공이 진열되고 리턴되는 '볼랙'과 레인 위로 굴린 볼링공이 되돌아오게 하는 '공 반환기'와 레인 전면에 설치되어 핀을 털어내는 '스위퍼'와 매회 경기와 전체 경기의 볼링 점수계산 기록을 보여주는 ‘점수 기록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링 경기를 하는 방식은 볼링 핀은 총 10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볼링공을 레일을 따라 굴리고, 핀 스판에 셋팅된 볼링핀을 맞추면, 핀들끼리 부딛혀 넘어간 볼링핀의 갯수로 점수를 얻게 되며, 볼링 경기를 하는 2명 이상의 볼러들은 각각 총 10프레임을 진행한 결과의 점수 합으로 승패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먼저 한프레임에서 9개를 처리하고 다음에 0개를 처리시 그 프레임은 9점을 기록하게 된다.
여기서 9개 처리 후 다음 투구 때, 1개를 마저 처리하게 된다면 스페어 처리로 기록되고 해당 프레임은 일단 10점을 기록하게 된다.
스페어처리는 다음프레임과 점수가 관련되어 있어, 스페어처리를 기록 후 다음 프레임 첫번째 투구에서 7점을 기록하게 된다면 스페어처리를 한 프레임은 10점에 7점을 더해서 17점을 기록하게 된다.
스페어 처리 후 다음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처리하게 되면, 10점을 더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 프레임인 10프레임은 최대 세번의 투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총 12번의 스트라이크를 연속해서 친다면 300점을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볼링 경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소정의 '볼링장'을 여럿이 함께 방문을 해야만 볼링 경기를 즐길 수 있고, 이런 이유에서 볼링 경기를 즐기는데 있어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이 존재하여 볼링 경기를 즐기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볼링 경기를 함에 따라 누적되는 자신의 볼링기록에 대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볼링 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볼링 경기를 함께 할 볼링 경기의 상대방들이 있어야 하는 상대방 문제와, 상대방들과 시간을 맞춰야 하는 시간 문제와, 상대방들과 같은 볼링장을 방문해야하는 공간 문제가 있다.
또한, 볼러 개인적으로도 볼링 경기를 함에 있어, 자신의 볼링 기록과 다른 볼러들의 볼링 기록들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볼링 경기를 함에 있어,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2-0008565호 "실시간 볼링중계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원격지에 떨어진 경기자가 동일 장소에 있지 않더라도 상호 동일한 볼링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현재 진행되는 경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참관할 수 있음은 물론 경기 후에도 경기 내용을 다시 볼 수 있는 실시간 볼링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볼링경기에 따른 정보를 중계하며 인터넷에 접속되는 볼링사이트와, 볼링경기 진행에 따른 경기정보와 볼링경기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볼링정보를 상기 볼링사이트를 통하여 상호 송수신하는 다수의 볼링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거리에 떨어진 볼링장에서도 상호 볼링경기를 할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중계를 함으로써 일반인들도 볼링장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다양한 볼링경기를 참관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장치를 통하여 이동하면서도 볼링경기를 참관할 수 있다. 또한 경기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경기 후에도 언제든지 경기내용을 다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을 보면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상으로 강사와 일대일 강습을 함으로써 자신이 강습받고자 하는 강사가 원격지에 있더라도 강습을 받을 수 있으며, 원격지에 있는 동호회 회원들 간에도 온라인 강습 및 볼링경기를 행할 수 있으며, 볼링장비가 고장났을 경우에도 온라인 영상을 통하여 전문가로부터 조치 받을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습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거리에 떨어진 볼링장에서도 상호 볼링경기를 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중계를 함으로써 일반인들도 볼링장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다양한 볼링경기를 참관할 수 있으며, 이동단말장치를 통하여 이동하면서도 볼링경기를 참관할 수 있는 장점과 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핵심은 데이터통신을 기반으로 영상과 데이터를 중계 방식으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서로 다른 볼링장에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고, 이를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여전히 볼링 경기를 함께 할 볼링 경기의 상대방들이 있어야 하는 상대방 문제와, 상대방들과 시간을 맞춰야 하는 시간 문제와 볼링 기록들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보급과 볼링장 찾기, 예약, 경기 기록 등과 같은 볼링과 관련한 다양한 앱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볼러 정보와 볼러의 볼링 기록, 볼링장 등에 관한 정보와 활용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볼링 경기를 함에 있어, 볼러의 특정과 정보 관리를 위한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 경기를 실시하면서 정보의 취득과 송수신을 위해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을 통하여 볼링 경기의 상대방과 함께 시간을 맞춰 볼링장을 방문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 경기를 함에 따라 생성되는 자신의 볼링 기록과 다른 볼러들의 볼링 기록들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볼러에게 아이디를 부여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인증 및 정보 관리가 수행되는 회원관리서버 및 상기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볼링 경기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볼링 경기 기록 서버를 포함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되어 볼러의 경기 실시에 따른 점수 정보가 포함된 볼링 경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볼링 경기 시스템;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 및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과 연계하여, 볼링 경기의 진행을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볼링 경기 진행 서버; 및 데이터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은 볼링 경기 진행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에 제공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 및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와 연계하여 진행 중인 볼링 경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하는 볼링 경기 방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카메라부는 볼러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레인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와 핀 스팟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는 스마트단말기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되는 서비스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앱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 검색, 볼링 경기의 예약, 볼링 경기의 진행, 볼링 경기의 결과 및 볼러의 경기 기록과 관련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에 저장된 점수 정보를 기반으로 볼러의 전체 순위 또는 등급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는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입력받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는 볼링장에 설치된 점수 기록판을 촬영하며 상기 데이터통신망과 연결되는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데이터에서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는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의 스마트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볼링 경기 시스템이 구비된 볼링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함에 있어서, 경기 상대방과 온라인으로 볼링장에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경기 상대방과의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상대방과 실제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경기 상대방과 매칭을 통해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해 국내 볼러와 국외 볼러가 함께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체계적이며 객관적으로 볼러의 경기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 경기에 따른 기록 정보와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링 경기의 재미를 향상시켜 누구나 볼링 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여 볼링장의 수익률 확대와 생활 스포츠의 확대로 국민건강의 향상과 스포츠산업 발달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볼링 경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은 서로 다른 볼링장에 있는 볼러들이 함께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되, 보다 효과적으로 서로 다른 볼링장에 있는 볼러들과 매칭되어 볼링 경기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볼링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생성된 점수 정보 등과 같은 볼링 경기에 관한 기록을 저장하여 제공하며, 특히 각 볼러들을 아이디로 특정함으로써 볼러의 다양한 볼링 경기 기록을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은, 볼러 관리 시스템(10)과 볼링 경기 시스템(20)과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와 데이터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10)은 볼링 경기를 즐기려는 볼러들을 회원으로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원관리서버(110)와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소정의 가입절차를 통해 볼러에게 아이디를 부여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인증 및 회원 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은 회원관리서버(110)는 회원으로 등록하려는 자가 데이터통신망(40)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데이터통신단말기(2)를 통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110)에 접속하면, 회원가입절차를 통해 회원을 식별하기 위한 "아이디"를 부여하고, 이미 등록된 자(회원)이 인증을 요청하면 회원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회원의 등록과 인증 이외에도 회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의 볼링 경기 기록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는 볼러(회원)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볼링 경기를 통해 생성된 다양한 기록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는 볼링 경기에 따른 점수, 촬영된 영상 등 볼러의 볼링 경기 진행을 통해 생성되는 볼링 경기 관련 기록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10)은 포인트 서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러(회원) 별로 볼링 경기 진행에 따른 참가, 승리, 리워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여될 수 있는 포인트를 누적하고 관리하며, 이와 같은 포인트는 상품 구매 또는 볼링장 사용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결제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20)은 볼링장에서 볼링 경기를 즐기고 있는 볼러(회원)의 볼링 경기 데이터의 생성과, 생성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 볼러가 볼링 경기를 하려는 볼링장에 설치되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20)은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와 상기 데이터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면서 온라인으로 볼링 경기를 진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볼링 경기에 따른 순서 확인, 프레임별 점수 교환 및 확인 등이 이루어진다.
한편, 볼링 경기 상대방의 점수는 각 볼링 경기 시스템(20)이 설치된 볼링장의 점수 기록판에는 볼링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모든 경기자들의 점수가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매칭되어 있는 볼링 경기 시스템(20) 간에 프레임별 점수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져, 각 볼링장에 설치된 점수 기록판을 통해 점수 정보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4명이 서로 다른 볼링장에서 볼링 경기를 하는 경우, 4군데 볼링장의 레인에 설치된 각 점수 기록판의 화면은 모두 동일한 정보가 출력된다.
위와 같은 볼링 경기 시스템(20)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울, 부산, 대전, 미국, 중국 등과 같이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원격지에 있는 볼링장에 설치되고, 볼링 경기를 하려는 회원들간에 매칭이 이루어짐에 따라 서로 매칭된다.
예를 들어, 서울에 있는 홍길동과 미국에 있는 제임스가 볼링 경기를 하기 위하여, 홍길동은 서울소재 볼링장A를 방문하여 레인을 결정하고, 제임스는 미국소재 볼링장D를 방문하여 레인을 결정하면, 서울소재 볼링장A의 볼링 경기 시스템과 미국소재 볼링장D의 볼링 경기 시스템은 매칭되어 점수 기록 등과 같은 정보가 교환된다.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는 볼링 경기를 하기 위한 경기 상대방이 매칭된 회원들 간에 볼링장을 방문하여 볼링 경기의 진행이 준비된 상태에서 볼링 경기의 진행을 운영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10) 및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20)과 연계하여, 볼링 경기의 진행을 온라인으로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통신망(40)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10)과 볼링 경기 시스템(20)과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와 데이터통신망(40)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통한 볼러의 특정으로 볼러의 볼링 경기 기록의 관리가 가능하고, 다양한 볼러들과 볼링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볼링장에 있는 볼러들 간에 볼링 경기를 진행하면서, 볼링 경기의 진행 과정에서 발생한 점수 기록, 영상 기록 등과 같은 다양한 볼링 경기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추가적인 특징을 설명한다.
도 2 본 발명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의 볼링 경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의 볼링 경기 시스템(20)은 볼링 경기 진행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에 제공하는 카메라부(210)와 상기 카메라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는 모니터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210)는 볼러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210-1)와 레인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210-2)와 핀 스팟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210-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카메라부(210)가 제1 카메라(210-1)와 제2 카메라(210-2)와 제3 카메라(210-3)로 이루어지는 경우, 볼링공의 투구에서 궤적과 타격과 타격 결과 까지 연속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획득한 영상 정보를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220)는 카메라부(210)를 통해 취득된 경기 상대방의 볼링 경기 상황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의 운영에 따라 영상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링장A의 볼링 경기 시스템(20)과 볼링장B의 볼링 경기 시스템(20-1)이 매칭된 경우, 볼링장A의 카메라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은 볼링장B의 모니터부(220-1)에 출력되고, 볼링장B의 카메라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은 볼링장A의 모니터부(220)에 출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링 경기 시스템(20) 및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와 연계하여 진행 중인 볼링 경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하는 볼링 경기 방송 서버(50)를 더 포함하고, 시청자(3)들은 상기 볼링 경기 방송 서버(50)에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 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시청, 지난 경기 시청, 특정 회원의 경기 영상 시청 등 볼링 경기 관련 다양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은 데이터통신망(40)에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는 스마트단말기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되는 서비스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앱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 검색, 볼링 경기의 예약, 볼링 경기의 진행, 볼링 경기의 결과 및 볼러의 경기 기록과 관련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앱이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앱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의 상기 회원관리서버(110)는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에 저장된 점수 정보를 기반으로 볼러(회원)의 전체 순위 또는 등급을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체 회원 중에서 회원의 등수를 누적 점수의 평균으로 하여 순위를 결정하거나, 평균 점수에 따른 등급을 부여하고 등급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러(회원)의 볼링 경기에 따른 점수는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의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에 저장되며,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20)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입력받거나, 볼링장에 설치된 점수 기록판을 촬영하며 상기 데이터통신망과 연결되는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데이터에서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볼링 경기 기록 서버(120)는 볼링장의 점수 기록판의 점수 데이터를 직접 받거나, 상기 점수 기록판을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점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1)의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30)는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의 스마트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볼링 경기 시스템이 구비된 볼링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회원이 볼링 경기를 하려는 경우,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볼링 경기가 가능한 주변의 볼링장을 안내하며, 이때 회원의 스마트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볼링장을 안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2 : 데이터통신단말기
3 : 시청자
10 : 볼러 관리 시스템
20 : 볼링 경기 시스템
30 : 볼링 경기 진행 서버
40 : 데이터통신망
50 : 볼링 경기 방송 서버
60 : 서비스 제공 서버
110 : 회원관리서버
120 : 볼링 경기 기록 서버
210 : 카메라부
220 : 모니터부

Claims (9)

  1. 볼러에게 아이디를 부여하여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인증 및 정보 관리가 수행되는 회원관리서버 및 상기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이루어진 볼링 경기의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볼링 경기 기록 서버를 포함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되어 볼러의 경기 실시에 따른 점수 정보가 포함된 볼링 경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볼링 경기 시스템과,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하여 볼링 경기의 진행을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볼링 경기 진행 서버와, 데이터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데이터통신망을 포함하고, 서로 다른 장소의 볼러와 하나의 볼링 경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은,
    볼링 경기 진행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볼러 관리 시스템과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에 제공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고, 각 볼링 경기 시스템이 설치된 볼링장의 점수 기록판에는 볼링 경기를 진행하고 있는 모든 경기자들의 점수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데이터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는 스마트단말기와 상기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되는 서비스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앱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 검색, 볼링 경기의 예약, 볼링 경기의 진행, 볼링 경기의 결과 및 볼러의 경기 기록과 관련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 및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와 연계하여 진행 중인 볼링 경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방송하는 볼링 경기 방송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볼러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레인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와 핀 스팟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에 저장된 점수 정보를 기반으로 볼러의 전체 순위 또는 등급을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는
    상기 볼링 경기 시스템을 통하여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링 경기 기록 서버는
    볼링장에 설치된 점수 기록판을 촬영하며 상기 데이터통신망과 연결되는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 기록판 촬영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데이터에서 볼링 경기를 진행 중인 볼러의 각 프레임의 점수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링 경기 진행 서버는
    볼러가 아이디를 통해 로그인된 상태에서 볼러의 스마트단말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볼링 경기 시스템이 구비된 볼링장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1020200140757A 2020-10-27 2020-10-27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10245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57A KR102453205B1 (ko) 2020-10-27 2020-10-27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57A KR102453205B1 (ko) 2020-10-27 2020-10-27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54A KR20220056054A (ko) 2022-05-04
KR102453205B1 true KR102453205B1 (ko) 2022-10-14

Family

ID=8158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757A KR102453205B1 (ko) 2020-10-27 2020-10-27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954B1 (ko) * 2023-07-11 2023-12-11 서동원 볼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347B2 (ja) * 2009-12-16 2012-08-01 株式会社 空間コム ボウリング場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JP2013252340A (ja) * 2012-06-08 2013-12-19 Eagrande Co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ボウリングシステム
KR102061485B1 (ko) * 2019-05-10 2020-01-02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경기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92A (ko) * 2002-02-18 2003-08-25 박재홍 실시간 볼링중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0347B2 (ja) * 2009-12-16 2012-08-01 株式会社 空間コム ボウリング場の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映像表示方法
JP2013252340A (ja) * 2012-06-08 2013-12-19 Eagrande Co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ボウリングシステム
KR102061485B1 (ko) * 2019-05-10 2020-01-02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경기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54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628B1 (ko) 실시간 분석 및 예측에 의한 참여형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US83884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fantasy sports game
US20130060362A1 (en) Predictive gaming
CN103493504A (zh) 用于现场事件的增强现实
US200201198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in a live event
TW200821021A (en) Team-based networked video gaming and automatic event management
KR101458190B1 (ko)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JP2004512865A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介した対話型ゲーム
JP2021029280A (ja) ゲームシステム
KR102453205B1 (ko) 볼러 관리 시스템과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링 경기 온라인 운영 시스템
KR20210139021A (ko) 회원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 게임 관리 시스템
KR102453201B1 (ko) 볼링장에 설치된 볼링 경기 시스템을 연계한 볼러 커뮤니티 온라인 운영 방법
US20240033648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computing platform for centrally managing skill-based competitions
US20050143154A1 (en) Method of engaging in basketball shooting contest from different locations
KR101880196B1 (ko) 당구게임 관리시스템
JP2012187221A (ja) ビリヤード装置を利用し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11654357B1 (en) Computerized method and computing platform for centrally managing skill-based competitions
KR101987759B1 (ko) 당구 대회 운영 시스템
GB2430895A (en) Indoor network gam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90074487A (ko) 스포츠 빙고 게임 운영 시스템
JP6909513B2 (ja) 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スポーツ競技ライブ観戦システムの映像収集配信設備装置及び観戦者端末
JP5982411B2 (ja) ゲーム管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502504A (ja) 競技会を実行するコンピュータ実施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1030045A (ja) ゲームシステム
US20230078671A1 (en) Game system, storage medium used in such,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