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816B1 -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816B1
KR102452816B1 KR1020210036603A KR20210036603A KR102452816B1 KR 102452816 B1 KR102452816 B1 KR 102452816B1 KR 1020210036603 A KR1020210036603 A KR 1020210036603A KR 20210036603 A KR20210036603 A KR 20210036603A KR 102452816 B1 KR102452816 B1 KR 10245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ody
removal device
stretching
wire
throm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6889A (en
Inventor
민지영
민성우
단쿠이노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벤트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벤트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벤트릭
Publication of KR2021003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8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15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 A61B2017/009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for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9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rossing total occlusions, i.e.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33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flexible cutting or scraping element, e.g. with a whip-like distal filament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튜브형 바디 및 제2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제1 길이를 가지고 제1 튜브형 바디의 제1 근위 정션 및 제1 원위 정션과 연결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와이어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제2 튜브형 바디의 제2 근위 정션 및 제2 원위 정션과 연결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제2 근위 정션과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는 혈전 제거 기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a stru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tubular body and a second tubular body, a first proximal junction and a first distal junc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having a first length a second wire connected to and extending therebetween, the second wire being connected to, and extending therebetween, a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a second distal junction of a second tubular body having a first wire and a second length extending therebetween; one wire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to within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wire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to within the second length. A thrombus removal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A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혈전 제거술(mechanical thrombectomy)에 이용되는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ombus removal device used for mechanical thrombectomy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혈관질환 중 하나인 허혈성 혈관질환은 혈관의 폐색(vessel occlusion)이나 협착(vascular stenosis)으로 인한 혈류량 감소에 기인한다. 따라서 허혈성 혈관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혈전을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거에는 정맥 내에 혈전 용해제를 주사하여 혈전을 용해시키는 것이 대표적인 치료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스텐트 리트리버(stent retriever)와 같이 혈관으로부터 기계적으로 혈전을 제거하는 기계적 혈전 제거술이 대두되고 있다. Ischemic vascular disease, one of the vascular diseases, is caused by a decrease in blood flow due to vessel occlusion or vascular stenosis. Therefore,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vascular disease, it is most important to remove the thrombus from the blood vessel of the patient. In the past, dissolving blood clots by injecting a thrombolytic agent into a vein was a typical treatment method.

그러나 기계적 혈전 제거술을 이용하는 임상에서 혈전의 회수 과정 중 스텐트 리트리버와 같은 혈전 제거 기기에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혈전이 혈전 제거 기기로부터 빠져나가거나 파편화되어 재관류율이 저하될 뿐 아니라 혈전 제거 기기와 혈관벽과의 마찰로 인해 혈관벽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However, in clinical practice using mechanical thrombectomy, a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such as a stent retriever is deformed during the thrombus recovery process, the thrombus escapes or fragments from the thrombus removal devic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reperfusion rate,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reperfusion rate betwe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the vessel wall. There have been many reports of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blood vessel wall due to the friction of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혈전 제거 과정에서 과도한 변형이 억제되는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in which excessive deformation is suppressed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제2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스트럿 구조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혈전을 인바이팅하는 마우스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됨 -, 제1 길이를 가지고 제1 근위말단에서 제1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근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의 제1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원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1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제2 근위말단에서 제2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근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과 제2 근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2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단면적의 감소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맞물린 혈전의 분리를 야기하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과도한 스트레칭을 방지하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tubular body and a second tubular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tubular body, one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tubular body relative to the other slidable, wherein the strut structure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 mouse inviting a thrombus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tubular body; having a first length and at a first proximal end a first wire extending to a distal end, the first proximal end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roximal junction of a proximal en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the first distal end being fixed to the first tubular body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end portion of a,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 and a second length a second wire extending from a second proximal end to a second distal end having fixedly connected at a second distal junction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ular body,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second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 wherein the first wire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to within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wire comprises: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to be within the second length, where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ut structure and prevent a thrombus engaging the strut structure Provided is a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prevents excessive stretching of the strut structure causing separat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두 길이 말단 및 두 원주 말단을 포함하는 소정의 바운더리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연결되고,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회수하는(extracting, retrieving) 조작을 받도록 구성되며, 조작을 받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풀 와이어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바운더리에 대응하는 제1 스트럿 구성(element)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하나에서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다른 하나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운더리에 의해 정의된 내부 영역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스트럿 구성(elemen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럿 구성은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고, 상기 길이 증가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기인하여 상기 제2 스트럿 구성이 없는 상기 복수의 셀 중 나머지에서 발생하며, 그로 인해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상기 회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변화를 감소시키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ells having a predetermined boundary shape including two lengthwise ends and two circumferential ends and connected to the strut structure, recovering the strut structure from the blood vessel of the patient A thrombu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ull wire configured to receive (extracting, retrieving) manipulation, and configured to receive manipulation and move the strut structur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wherein the plurality of cells correspond to the boundary wherein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extend linearly from one of the two longitudinal ends to the other of the two longitudinal ends, wherein the strut comprises an interior area defined by the boundar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rut element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strut arrangement prevents an increase in length of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wherein the increase in length causes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Occurs in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cells that do not have the second strut configuration due to, thereby provid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reduces the change in length of the strut structur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s, and solution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나 안티 스트레칭 구조의 셀 등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혈전 제거 과정에서 혈전 제거 기기에 결합되거나 포획된 혈전의 이탈 또는 파편화가 방지되어 재관류율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stretching mechanism such as an anti-stretching wire or an anti-stretching structure cell suppresses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or fragmentation of a thrombus bound to or captured by the thrombus removal device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This can improve the reperfusion r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혈관벽에 가해지는 마찰이 최소화되어 혈관벽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ress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friction applied to the vessel wall is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vessel wall.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 and the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혈전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은 혈전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에서 발생하는 혈전 파편화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에서 발생하는 혈전 이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one embodiment)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one exampl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another exampl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도 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른 예(still anothe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시 또 다른 예(yet anothe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구현예(one implementation)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another embodiment)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still another)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24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명세서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yet another)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서로 다른 상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30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명세서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yet still another embodiment)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다.
도 38은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셀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셀의 다른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40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1은 도 40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다.
도 42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42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다.
도 44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시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5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시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46은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일 예다.
도 47은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다른 예이다.
도 48은 도 4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한 도면이다.
도 49는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50 내지 도 58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양한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5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도 6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hape deformation of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occurs during a thrombus removal process.
2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shape deformation of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occurs during a thrombus removal process.
3 is a view of thrombus fragmentati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4 is a view of a thrombus separati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5 .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7 .
9 is a diagram illustrating still another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9 .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yet another)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11 .
13 is a view showing one implement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till anoth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18 is a view of an example of a shape modific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17 .
19 is a view related to another example of a shape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17 .
20 to 24 are diagrams of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5 is a view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yet anoth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6 and 27 are views illustrating different stat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28 is a side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29 is an exploded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30 is a view of an example of a shape modific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31 to 3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6 is a diagram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37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36 .
38 is a view of an example of an anti-stretching cell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36 .
FIG. 39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n anti-stretching cell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36 .
40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1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0 .
42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3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2 .
44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5 is a view of yet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46 is an example of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5 .
47 is another example of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5 .
48 is a view rela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7 .
49 is another example of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5 .
50 to 58 are views of various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59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60 is a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clearly explain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modifications or variation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custom, or emergence of new technology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However, when a specific term is defined and used in an arbitrary sense, the meaning of the term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contents of the entire specification, rather than the names of simple term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are for easi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본 명세서의 일 양상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는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제2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스트럿 구조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혈전을 인바이팅하는 마우스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됨 -, 제1 길이를 가지고 제1 근위말단에서 제1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근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의 제1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원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1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제2 근위말단에서 제2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근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과 제2 근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2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단면적의 감소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맞물린 혈전의 분리를 야기하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과도한 스트레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원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원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통해 변형이 제한될 때,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제1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제2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방사방향은 상기 제2 방사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사방향은 상기 제2 방사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hrombus removal device is a stru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tubular body and a second tubular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tubular body, wherein one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tubular body comprises: slidable relative to the other, wherein the strut structure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 mouse inviting a thrombus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tubular body; a first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first distal end, the first proximal end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roximal junction of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the first distal end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end portion of a first tubular body,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and a second wire having a second length and extending from a second proximal end to a second distal end, the second proximal end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second proximal junction with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ular body, two distal ends are fixedly connected at a second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ular body,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second length is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greater than a distance of - wherein the first wire limit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to within the first length, and wherein the second wire comprises the second wire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of two tubular bodies within the second length, where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ut structure and the strut structure Avoid excessive stretching of the strut structure causing separation of the thrombus engaged in it. In addition, the first wire may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wire may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ular body. In addition,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trut structure is limited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he first wire is located in a first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rut structure, and the second wire is the strut structure may be located in a second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 and the first radial direction may coincide with the second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radial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second radial direction.

본 명세서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는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내부에 배치된 제2 튜브형 바디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 중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스트럿 구조체는 상기 제1 튜브형 바디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혈전을 인바이팅하는(inviting, 유인하는) 마우스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됨 -, 제1 길이를 가지고 제1 근위말단에서 제1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근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과 제1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원위말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1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제2 근위말단에서 제2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근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근위말단 부분과 제2 근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원위말단은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원위말단 부분과 제2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에 대한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길이 비율은, 상기 제1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는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튜브형 바디의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hrombus removal device is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tubular body and a second tubular body disposed inside the first tubular body, wherein one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second tubular body comprises: slidable relative to the other, wherein the strut structure is configured to open or close a mouse inviting a thrombus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ubular bodies; a first wire having a length of one and extending from a first proximal end to a first distal end, the first proximal end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roximal junction with a proximal en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a first distal end is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first length is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 and a second wire having a second length and extending from a second proximal end to a second distal end, the second proximal end being fixed at a second proximal junction with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ular body wherein the second distal end is fixedly connect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econd tubular body at a second distal junction,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second length is equal to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tal junction,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first tubular body to the second tubular body is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of the first tubular body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constant by the second wire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of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tubular body within the first length to within the first length is kept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는 제1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위에 위치하는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의 길이방향의 축과 평행한 제1 가상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브릿지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및 제1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와이어의근위말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제1 점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제2 점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축을 따라 스트레칭 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 사이의 거리보다 큼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1 점은 상기 제1 가상라인을 따라 상기 제1 브릿지의 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1 가상라인을 따라 상기 제1 브릿지의 원위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축을 따라 스트레칭되면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브릿지에 나란히(alongside)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점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근위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원위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 구조체는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원위에 위치하는 제3 세그먼트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상기 제3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3 세그먼트의 길이방향의 축과 평행한 제2 가상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전 제거 기기는 제2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와이어의 근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와 제3 점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3 세그먼트와 제4 점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축을 따라 스트레칭 되지 않을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상기 제3 점과 상기 제4 점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3 점은 상기 제2 가상라인을 따라 상기 제2 브릿지의 근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점은 상기 제2 가상라인을 따라 상기 제2 브릿지의 원위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축을 따라 스트레칭되면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브릿지에 나란히(alongside)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제2 점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제3 점보다 근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상라인 및 상기 제2 가상라인은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원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1 가상라인에서 상기 제2 가상라인까지의 회전각은 대략적으로 90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hrombus removal device includes a first segment, a second segment distal to the first segment, and connecting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bridge extending along a first imaginary li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wo segments and a first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having a first length, the proximal of the first wire a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is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oint with the first segment, and a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is fixedly connected with the second segment at a second point, and the strut structure is not stretched along the axis; wherein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the first wire compri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of the strut structure as the first length wherein the first point is located proximal to the first bridge along the first imaginary line, and the second point is located distally of the first bridge along the first imaginary line, through which the The first wire is disposed alongside the first bridge when the strut structure is stretched along the axis. Further, the first point may be located at a proximal portion of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point may be located at a distal portion of the second segment. In addition, the strut structure includes a third segment located distally of the second segment and a third segment connecting the second segment and the third segment a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econd segment and the third segment. 2 ,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ridge extending along an imaginary line, where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s a second length and extends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the proximal end of the second wire and the second segment fixedly connected at a third point,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wire is fixedly connected with the third segment and at a fourth point,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not stretched along the axis, the second length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hree points and the fourth point, wherein the second wire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point and the fourth point of the strut structure to within the second length; 3 points are located proximal to the second bridge along the second imaginary line, and the fourth point is located distally of the second bridge along the second imaginary line, through which the strut structure is positioned along the axis. When stretched, the second wire may be disposed along the second bridge. Also, the second point of the second segment may be located more proximal than the third point of the second segment. In addition, the first virtual line and the second virtual line are loca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ut structure, and the rotation angle from the first virtual line to the second virtual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rut structure is approximately 90 It can also be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위에 위치하는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제1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와이어의근위말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근위부분과 제1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위부분과 제1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와이어의근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근위부분과 제2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원위부분과 제2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단면적의 감소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맞물린 혈전의 분리를 야기하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과도한 스트레칭을 방지하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주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원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를 통해 변형이 제한될 때,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2 와이어와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제2 와이어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제1 와이어에서 상기 제2 와이어까지의 회전각은 대략적으로 180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egment, a second segment distal to the first segment, and a bridge connecting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the strut structure having a first length; a first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wire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roximal junction with the proximal portion of the first segmen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being the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portion of a segment,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 and a second length a second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with fixedly connected at a second distal junction with the distal portion of the second segment,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second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and wherein the first wire limits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of the first segment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to within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wire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of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of the second segment. limi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ist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within the second length, whereby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cause a reduction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ut structure and separation of the thrombus engaged with the strut structure A thrombus removal device for preventing excessive stretching of a strut structur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first wire may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wire may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egment. In addition, when the deformation of the strut structure is limited through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the first wire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 wire. In addition, the first wire may b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second wire. In addition, a rotation angle from the first wire to the second wir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rut structure may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세그먼트,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위에 위치하는 제2 세그먼트 및 상기 제1 세그먼트와 상기 제2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제1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1 와이어 - 상기 제1 와이어의근위말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근위부분과 제1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원위부분과 제1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및 제2 길이를 가지고 근위말단에서 원위말단까지 연장되는 제2 와이어 - 상기 제2 와이어의근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근위부분과 제2 근위 정션(junction)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원위부분과 제2 원위 정션에서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무부하 상태일 때, 상기 제2 길이는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보다 큼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세그먼트에 대한 상기 제1 세그먼트의 길이 비율은, 상기 제1 세그먼트의 상기 제1 근위 정션과 상기 제1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1 길이 내로 제한하는 상기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세그먼트의 상기 제2 근위 정션과 상기 제2 원위 정션 사이의 거리를 상기 제2 길이 내로 제한하는 상기 제2 와이어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t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egment, a second segment distal to the first segment, and a bridge connecting the first segment and the second segment, the strut structure having a first length; a first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wire being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proximal junction with the proximal portion of the first segmen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being the distal end of the first wire fixedly connected at a first distal junction with a distal portion of a segment,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first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 and a second length a second wire extending from a proximal end to a distal end with fixedly connected at a second distal junction with the distal portion of the second segment,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unloaded, the second length is grea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and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first segment to the second segment comprises: the first wire and the first wire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roximal junction and the first distal junction of the first segment within the first length and a thrombus removal device held constant by the second wire limiting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roximal junction and the second distal junction of a second segment within the second length.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두 길이 말단 및 두 원주 말단을 포함하는 소정의 바운더리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연결되고,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회수하는(extracting, retrieving) 조작을 받도록 구성되며, 조작을 받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풀 와이어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은 상기 바운더리에 대응하는 제1 스트럿 구성(element)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하나에서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다른 하나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운더리에 의해 정의된 내부 영역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스트럿 구성(elemen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트럿 구성(element)은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고, 상기 길이 증가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 방향의 이동에 기인하여 상기 제2 스트럿 구성(element)이 없는 상기 복수의 셀 중 나머지에서 발생하며, 그로 인해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상기 회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변화를 감소시키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제1 셀 및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은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상이한 방사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제2 스트럿 구성(element)은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overlapping)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은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은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한 제1 셀, 제2 셀 및 제3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이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가지는 각도는 상기 제2 셀 및 제3 셀이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가지는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t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having a predetermined boundary shape including two length ends and two circumferential ends and connected to the strut structure, the strut structure is recovered from the blood vessel of the patient A thrombu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ull wire configured to be subjected to an extracting, retrieving operation, the pull wire configured to be manipulated to move the strut structur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wherein the plurality of cells are located at the boundary a corresponding first strut element, wherein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extend linearly from one of the two length ends to the other of the two length ends, and define an interior area defined by the boundar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rut element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strut element prevents an increase in length of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wherein the increase in length increases the length of the strut structure Occurs in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cells without the second strut element due to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by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reduce the change in length of the strut structur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A thrombus removal device is provided.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may include a first cell and a second cell, and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may be located i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strut structure. . In addition, a second strut element of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may overlap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In additio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may be sequential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In additio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cells include a first cell, a second cell, and a third cell sequential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and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are the length of the strut structur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direction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ngle of the second cell and the third cel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셀 및 제2 셀 -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은 두 길이 말단 및 두 원주 말단을 포함하는 소정의 형상을 가짐-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에 연결되고, 환자의 혈관으로부터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회수하는(extracting, retrieving) 조작을 받도록 구성되며, 조작을 받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럿 구조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풀 와이어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은 상기 소정의 형상의 바운더리에 대응되는 제1 스트럿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셀은 상기 소정의 형상의 바운더리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스트럿 구성 및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하나에서 상기 두 길이 말단 중 다른 하나로 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운더리에 의해 정의된 내부 영역을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럿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럿 구조체가 근위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셀은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부터 상이하게 변형되는 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트럿 구성이 상기 제2 셀을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유지하고, 그로 인해 제2 셀은 상기 회수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트럿 구조체의 길이변화를 감소시키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lurality of cells comprising a first cell and a second cell, wherein the first cell and the second cell have a predetermined shape including two lengthwise ends and two circumferential ends. a strut structure connected to the strut structure and configured to receive an operation for extracting, retrieving the strut structure from a blood vessel of a patient, wherei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o move the strut structur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t structure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ull wire configured to a first strut configuration and at least one second strut configuration extending linearly from one of the two longitudinal ends to the other of the two longitudinal ends and longitudinally traversing the interior area defined by the boundary; wherein when the strut structure is moved proximally, the first cell deforms differently from the predetermined shape while the at least one second strut configuration maintains the second cell in the predetermined shape, thereby Due to this, the second cell provides a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reduces the length change of the strut structur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무부하 조건하에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셀 및 제2 셀을 포함하는 복수의 셀을 형성하는 제1 스트럿을 포함하는 구조체 및 제2 셀에 배치되고, 제1 조인트(joint) 및 제2 조인트(joint)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는 안티 스트레칭 구조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제1 스트럿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셀의 근위부분에 위치하며, 제2 조인트는 상기 제1 스트럿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셀의 원위부분에 위치함-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안티 스트레칭 구조는, 상기 구조체의 길이 방향의 이동 중에, 상기 무부하 조건에서 상기 제1 조인트 및 제2 조인트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상기 제2 스트럿에 의해 상기 제2 셀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고, 그로 인해 상기 제2 셀은 상기 구조체의 과도한 스트레칭을 방지하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스트럿은 상기 구조체의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는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상기 제1 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셀은 상기 구조체의 길이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하나의 상기 제1 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셀은 서로 인접하지 않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trut forming a plurality of cells including a first cell and a second cell having the same shape under a no-load condition and a first strut is disposed in the second cell, the first joint an anti-stretching structure comprising a second strut extending between a joint and a second joint, wherein the first joint is located on the first strut and is located in a proximal portion of the second cell; and a joint is positioned on the first strut and positioned at a distal portion of the second cell, wherein the anti-stretching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during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tructure, in the no-load condition, the anti-stretch structure is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econd cell by the second strut having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second joint, whereby the second cell causes a thrombus preventing excessive stretching of the structure A removal devic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econd strut may extend along a straight line having an angl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tructure. One of the first cell and the other of the first cell may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One of the first cells and the other of the first cells may not be adjacent to each other.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행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행은 복수의 셀을 포함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와 연결되고, 조작을 받아 환자의 혈관 내의 상기 구조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풀 와이어; 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행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셀 중 일부는 제1 셀이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행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셀 중 나머지는 제2 셀이며, 제2 셀은 상기 제2 셀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제1 스트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은 상기 제1 셀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스트럿 및 상기 제1 셀의 상기 바운더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셀의 바운더리의 내부 영역을 횡단하는 제2 스트럿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트럿은 상기 구조체의 길이 방향의 이동 중에, 각각의 상기 복수의 행의 제1 셀의 길이를 유지하고, 그로 인해 상기 제1 셀은 상기 구조체의 과도한 스트레칭을 방지하는 혈전 제거 기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rows,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being connected to a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and the structure, is manipulated to move the structure in a blood vessel of a patient. configured pull wire; In a thrombus removal device comprising , the second cell includes a first strut forming a boundary of the second cell, wherein the first cell includes the first strut forming a boundary of the first cell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cell and a second strut extending to and traversing an interior region of a boundary of the first cell, the second strut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first ce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ws during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tructure; And, thereby, the first cell provides a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prevents excessive stretching of the structure.

본 명세서는 혈전 제거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혈전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혈전 제거 기기란 혈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기기로서, 혈전 제거 기기는 기계적 방식으로 혈관으로부터 혈관을 제거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a device used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s,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remove the blood vessel from the blood vessel in a mechanical manner.

일반적으로 혈전 제거 기기는 혈관벽에 들러붙은 혈전으로 인해 막히거나 저하된 혈류의 흐름을 복원하기 위하여 혈관으로부터 혈전을 제거하는데 이용되며, 허혈성 뇌졸증 등과 같은 뇌 혈관 질환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In general, a thrombus removal device is used to remove a thrombus from a blood vessel in order to restore the flow of blood that is blocked or reduced due to a thrombus adhering to the blood vessel wall, and is mai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s such as ischemic stroke.

혈전 제거 기기(clot removal device)는 혈관 폐색이나 혈관 협착을 막기 위해 체내에 삽입되는 기존의 스텐트(stent)와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흔히 스텐트 리트리버라고 불리기도 하며, 의학적으로는 기계적 혈전 제거 기구(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A clot removal device is often called a stent retriever because it has a structural feature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stent inserted into the body to prevent blood vessel occlusion or vascular stenosis. It is also called a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혈전 제거 기기를 이용하여 혈전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removing a thrombus us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사용자의 혈관에서 혈류가 막힌 위치를 검출한 뒤, 해당 위치까지 가이드 와이어를 이동시킨다. 가이드 와이어가 혈전의 부근에 자리잡으면 가이드 와이어의 안내를 받아 카테터를 혈전 부근까지 이동시킨다. 카테터까지 적당한 위치에 자리를 잡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카테터를 이용해 스텐트 리트리버, 즉 혈전 제거 기기를 체내로 삽입한다. 여기서, 혈전 제거 기기는 압축된 상태(collapsed configuration)에서 튜브 형태의 카테터의 내부를 따라 혈전 부근까지 이동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가 혈전 부근에 도달하면, 혈전 제거 기기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고 카테터를 회수하여 혈전 제거 기기를 카테터 외부로 나오게 한다(released from). 후술하겠지만, 혈전 제거 기기는 니티놀(Nitinol)이나 니티놀 기반의 기억 형상 합금과 같은 고탄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카테터로부터 나온 혈전 제거 기기는 팽창하여 전개 상태(deployed configuration)로 형태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팽창 과정에서 그 부근에 위치한 혈전과 결합(engaging)하게 된다. 혈전 제거 기기가 혈전과 충분히 잘 결합한 뒤, 풀 와이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와 함께 혈전을 체외로 회수함으로써 혈관 내의 혈전이 제거되고 재관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First, a location where blood flow is blocked in a user's blood vessel is detected, and then the guide wire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When the guide wire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thrombus, the catheter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thrombus under the guidance of the guide wire. Once the catheter is properly positioned, a stent retriever, that is, a blood clot removal device, is inserted into the body using the catheter in earnest. Her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move to the vicinity of the thrombus along the inside of the tube-shaped catheter in a collapsed configuration.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reaches the vicinity of the thrombu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held in place and the catheter is withdrawn to releas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the cathe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manufactured using a highly elastic material such as nitinol or a nitinol-based memory shape alloy,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the catheter expands and changes its shape to a deployed configuration. , during this expansion process, it engages with a thrombus located in its vicinity. After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sufficiently well combined with the thrombus, the thrombus is removed from the body together with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rough a pull wire, thereby removing the thrombus and reperfusion.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혈전 제거 기기는 기계적 혈전 제거술(mechanical thrombectomy)에 이용되는 장치로서, 구체적으로는 혈류 복원을 위해 혈관에 위치한 혈전을 소지(hold)하여 몸 밖으로 회수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는 혈전 제거 과정 중 형상 변형(shape deformation)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혈전 제거 기기에 소지된 혈전이 혈전 제거 기기로부터 이탈되거나 파편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형상 변형이 억제되는 혈전 제거 기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트 바디의 형상 변형을 억제하는 안티 스테레칭 메커니즘(anti-stretching mechanism)을 가지는 혈전 제거 기기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a device used for mechanical thrombectomy, and specifically, a device that holds a thrombus located in a blood vessel to restore blood flow and recovers it from the body.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shape deformation occurs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and thus the thrombus carri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thrombus removal device or fragmente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s a thrombus removal device in which shape deformation is suppressed, and in more detail, an anti-stretching mechanism for suppressing shap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It is a thrombus removal device with a mechanism).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에서 발생하는 형상 변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before describ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hape deformation occurring in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1은 혈전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hape deformation of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that occurs during a thrombus removal process.

압축 상태로 카테터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혈전 제거 기기가 카테터로부터 해제되면 혈전 제거 기기는 전개 상태로 팽창하게 되며 대개 스텐트 바디의 단면이 혈관의 단면을 거의 채우기까지 팽창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팽창 과정 중에 스텐트 바디를 구성하는 스트럿(strut)이 혈전을 파고들어 스텐트 바디와 혈전이 결합된다. 스텐트 바디와 혈전의 결합이 완료되면, 혈전을 혈관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혈전과 결합된 혈전 제거 기기를 체외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mmodated inside the catheter in a compressed state is released from the catheter, the thrombus removal device expands in a deployed state. Usually, the stent body is expanded until the cross section of the stent body almost fills the cross section of the blood vessel. During this expansion process, the stent The strut constituting the body digs into the thrombus, and the stent body and the thrombus are combined. When the binding of the stent body to the thrombus is complete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coupled with the thrombus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in order to remove the thrombus from the blood vessel.

이때 혈전 제거 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힘이 작용함에 따라 그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increased as the following forces are applied.

- 풀 와이어에 의해 체외 방향으로의 혈전 제거 기기에 인가되는 횡 방향의 힘(이하 '회수력(retrieving force)'이라 함) - Transverse force appli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the extracorporeal direction by the pull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trieving force')

- 스텐트 바디의 자체적인 팽창(self expansion)에 따른 방사 방향의 힘(이하 '방사력(radial force)'이라 함)에 의해 발생하는 스텐트 바디와 혈관벽 간의 마찰력이나, 스텐트 바디에 결합된 혈전과 혈관벽 간의 결합력으로 인해 회수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ent body and the vessel wall caused by radial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adial force') according to the self-expansion of the stent body, or a thrombus and vessel wall bonded to the stent body The forc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very force due to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liver

도 1은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는 초기 전개 상태에서 회수되는 과정 동안 스텐트 바디(11)의 길이가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을 살펴보면, 스텐트 바디(11)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스텐트 바디(11)의 직경이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1 shows that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increase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 during the recovery process from the initial deployed stat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 decreases a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 increase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는 카테터로부터 릴리즈되면 자체 팽창하여 제1 길이(L1)과 제1 직경(D1)을 가지는 초기 전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경(D1)은 혈관(D1)의 직경과 유사할 수 있다. 팽창 과정 중에 스텐트 바디(11)는 혈전과 인게이징될 수 있다. 이후 풀 와이어(12)를 통해 체외 방향으로 당기는 힘, 즉 회수력이 혈전 제거 기기(10)에 인가되면, 혈전 제거 기기(10)에는 회수력과 그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11)의 길이가 증가하여 제1 길이(L1)보다 큰 제2 길이(L2)가 될 수 있다. 또한, 스텐트 바디(11)는 전체적으로 유연한 고탄성의 스트럿 구조체로 제공되므로, 길이 증가로 인해 스텐트 바디(11)의 직경은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으로 감소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스텐트 바디(11)의 길이와 직경 변화는 스텐트 바디(11)를 구성하는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셀(13)의 형상 역시 변화시키게 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may self-expand when released from the catheter to reach an initial deployed state having a first length L1 and a first diameter D1. Here, the first diameter D1 may be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D1. During the expansion process, the stent body 11 may engage the thrombus. Afterwards, when a pulling force, that is, a recovery force, is appli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 through the pull wire 12 ,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very force acts 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 , and accordingly, the stent The length of the body 11 may increase to become the second length L2 greater than the first length L1 . In addition, since the stent body 11 is provided as an overall flexible and highly elastic strut structure,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 is reduced to a second diameter D2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D1 due to an increase in length. In addition, the change in length and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 also changes the shape of the cell 13 formed by the struts constituting the stent body 11 .

이러한 스텐트 바디의 길이, 직경, 셀 형상의 변화는 스텐트 바디(11)에 결합된 혈전의 이탈이나 파편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의 직경이 감소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바디(11)와 혈관벽 사이에 갭(gap)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전이 갭을 통해 스텐트 바디(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의 셀(13)은 대개 혈전 결합(clot engagement)에 최적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셀(13)의 형상이 변화하면 혈전과 스트럿 간의 결합이 약화되어 혈전이 스텐트 바디(11)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셀(13)의 형상 변화 과정 중에 셀(13)의 구성하는 스트럿이 혈전을 파쇄하여 혈전의 파편화가 발생할 수도 있다.Changes in the length, diameter, and cell shape of the stent body may cause separation or fragmentation of the thrombus coupled to the stent body 11 .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 decreases, a gap may occur between the stent body 11 and the blood vessel wall as shown in FIG. 11) can be deviated from. For another example, the cell 13 of the stent body 11 is usually designed to have an optimal shape for clot engagement. It may be detached from the stent body 11 . As another example, dur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hape of the cell 13 , the struts constituting the cell 13 may break the thrombus and fragmentation of the thrombus may occur.

따라서,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전 회수 과정 중에 형상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전의 이탈, 파편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혈류 복원에 실패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may change in shape during the thrombus recovery process as shown in FIG. 1 , which may lead to separ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 thrombus, which may result in failure to restore blood flow. will be.

도 2은 혈전 제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형상 변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에서 발생하는 혈전 파편화에 관한 도면이고, 도 4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에서 발생하는 혈전 이탈에 관한 도면이다. 2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shape de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that occurs in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and FIG. 3 is a diagram related to the thrombus fragmentation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FIG. 4 is a view related to thrombus separation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

혈전 제거 기기가 주로 이용되는 뇌 혈관은 통상적으로 급격한 커브 구간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위치 별로 그 직경은 약 1mm 내지 5mm로 일정치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혈전 제거 기기의 회수 과정 중 혈관벽의 커브나 직경 변화 등으로 인해 스텐트 바디의 특정 부분에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집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스텐트 바디(11)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Cerebral blood vessels, which are mainly used for thrombus removal devices, typically include many sharp curve sections, and their diameters are generally not constant, ranging from about 1 mm to 5 mm for each location. Therefore, a relatively high pressure may be concentrated on a specific part of the stent body due to a change in the curve or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wall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 of the stent body 11 may be wholly or partially deformed.

예를 들어, 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스텐트 바디(11)를 커브 구간을 기준으로, 커브 구간에 걸친 커브 부분, 커브 구간보다 체외 방향 상에 위치하는 근위 부분과 커브 구간보다 체외 방향의 반대 방향 상에 위치하는 원위 부분을 나누어 살펴보면, 커브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하므로 원위 부분에는 비교적 작은 횡력이 작용하고 커브 부분과 근위 부분에는 비교적 높은 횡력이 작용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부분들의 형상이 상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curve section of the stent body 11 of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passing through the curve section, the curve section spanning the curve section, the proximal section and the curve positioned in the extracorpore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urve section If we look at the distal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than the section, a relatively high pressure is applied in the curve section, so a relatively small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tal section and a relatively high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section and the proximal section. and,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part may be differently deformed.

도 3은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스텐트 바디(11)의 원위 부분에는 비교적 적은 변형이 발생하지만 커브 부분에는 비교적 큰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11)의 혈전을 포획한 부분이 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높은 압축력을 받아 혈전이 파편화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relatively small deformation occurs in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 of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but a relatively large deformation occurs in the curved portion, and thus the stent body 11 captures the thrombus. It shows that the thrombus is fragmented by receiving a high compressive forc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is curve section.

도 4는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10)의 스텐트 바디(11)의 원위 부분에는 비교적 적은 변형이 발생하지만 커브 부분에는 비교적 큰 변형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11)의 혈전을 포획한 부분이 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혈전이 스텐트 바디(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4 shows a relatively small deformation occurs in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 of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10, but a relatively large deformation occurs in the curved portion, and thus the stent body 11 captures the thrombus. It shows that the thrombus is separated from the stent body 11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is curve s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혈전 제거 기기는 회수 과정 등에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혈전 이탈이나 파편화를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재관류율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changed during the recovery process, etc., which may cause thrombus separation or fragmentation, which may act as a factor for lowering the reperfusion rate as a result.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는 상술한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형상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n anti-stretch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above-described shape deformation so that shape deformation may be suppressed.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혈전 제거 기기 특히 스텐트 바디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스텐트 바디의 길이 변형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에 작용하는 횡력(회수력과 그 반대 방향의 힘에 따라 스텐트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스텐트 바디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의 길이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그 직경의 변화나 셀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is a configuration that suppresses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particularly the stent body, and may be a structure that prevents or limits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Specifically,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prevent or limit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due to a lateral force acting on the stent body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according to th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very force). In addition, the anti-stretch mechanism can prevent or limit the change in diameter or deformation of the cell by inhibiting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본 명세서에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혈전 제거 기기의 두 지점에 고정되는 와이어 형태(이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라 함)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의 셀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스트럿 형태(이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이라 함) 또는 그러한 스트럿을 포함하는 셀 형태(이하 안티 스트레칭 셀'이라 함)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외력에 의한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변형을 제한하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xampl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ti-stretching wire') fixed to two point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ut crossing the inside of a cell of the stent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ti-stretching strut') or in the form of a cell including such a stru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nti-stretching cell). can In addition to this,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that limi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by external forc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는 혈관의 재관류를 위한 기계적 혈전 제거술에 이용되는 기기로서, 혈전 제거술 동안 과도한 형상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device used for mechanical thrombus removal for reperfusion of blood vessels, and excessive shape deformation during thrombus removal can be suppressed.

본 명세서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는 스텐트 바디, 풀 와이어 및 상술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텐트 바디는 혈전을 직접적으로 소지하는 구성(element)이고, 풀 와이어는 스텐트 바디에 회수력을 인가하는 구성이고,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형상 변형을 억제하는 구성이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stent body, a pull wire, and the anti-stretch mechanism described above. Here, the stent body is a component directly carrying the thrombus, the pull wire is a configuration that applies a recovery force to the stent body, and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is a configuration that suppresses excessive shap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구성 요소에 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component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는 스텐트 바디가 압축 상태에서 카테터에 수용되어 카테터가 시술 지점, 즉 혈관에 혈전이 위치한 지점에 도달한 뒤 카테터로부터 벗어나면(released from) 전개 상태로 팽창하고 팽창 과정 중 또는 팽창 후 혈전을 소지하고, 풀 와이어가 혈전을 소지한 스텐트 바디를 혈전과 함께 체외로 회수하고,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전개 상태에서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과도한 형상 변형을 억제하면서 높은 재관류율로 기계적 혈전 제거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nt body is accommodated in the catheter in a compressed state, and the catheter is released from the catheter after reaching the procedure point, that is, the point where the thrombus is located in the blood vessel, and then expands to the deployed state. and carrying a thrombus during or after the expansion process, the pull wire retrieves the stent body with the thrombus out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thrombus, and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prevents excessive deformation in the deployed state, thereby suppressing excessive shape deformation. Mechanical thrombectomy can be performed with a high reperfusion rate.

스텐트 바디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고탄성 매쉬 구조체(mesh framework)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tent body may be provided as a highly elastic mesh framework capable of shape deformation.

스텐트 바디는 체외로부터 카테터에 담겨 시술 지점까지 혈관을 통과해 이동한 뒤 카테터로부터 벗어나 혈전과 결합 또는 혈전을 포획하는데, 카테터는 담기기 위한 사이즈와 혈전과 결합 또는 혈전을 포획하기 위한 사이즈가 매우 상이하므로 형상 변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스텐트 바디는 카테터에 담기기 위해 압축된 압축 상태(collapsed configuration)으로부터 카테터에서 벗어나면 자체 팽창(self-expansion)하여 혈전을 소지하기 적절한 전개 상태(deployed configuration)로 변형할 수 있는 고탄성 구조체로 제공된다.The stent body is placed in a catheter from outside the body, moves through the blood vessel to the point of operation, and then leaves the catheter and binds to or captures a thrombus. Therefore, it needs to be deformed. Therefore, the stent body is a highly elastic structur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deployed configuration suitable for carrying a thrombus by self-expansion when it is released from the catheter from the collapsed configuration compressed to be placed in the catheter. is provided

이를 위해 스텐트 바디는 고탄성 소재의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매쉬 기반의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럿은 선상 구조를 가지며, 그 소재로는 주로 니티놀(Nitinol)이나 니티놀 기반의 기억 형상 합금을 비롯한 고탄성의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스텐트 바디는 이러한 고탄성 재질의 스트럿을 이용하여 내부가 빈 튜브 형상의 매쉬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럿은 매쉬 구조를 구성하는 셀의 테두리를 형성함으로써 스텐트 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고탄성 소재의 매쉬 기반의 구조체로 제공되는 스텐트 바디는 압축/팽창이 가능하므로, 압축 상태로 카테터에 삽입될 수 있으며, 카테터에서 벗어나면 자체 팽창해 전개 상태에 이를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stent body may be provided as a mesh-based structure formed by struts made of a highly elastic material. Here, the strut has a linear structure, and a material of high elasticity including nitinol or a memory shape alloy based on nitinol may be mainly used as the material. The stent body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tube-shaped mesh structure with an empty interior using struts made of such a high elasticity material. Here, the strut may form the stent body by forming the rim of the cell constituting the mesh structure. The stent body provided as a mesh-based structure made of high elastic material is compressible/expandable, so it can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in a compressed state, and when it comes out of the catheter, it self-expands to reach a deploy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스텐트 바디를 살펴보면, 스텐트 바디는 니티놀 등의 소재로 제공되는 스트럿으로 전개 상태에서의 형상을 먼저 형성하고 이를 고온 가열하여 전개 상태에서의 형상을 기억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제작된 스텐트 바디는 고탄성 재질로 제작되어 압축이 용이하며 압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고온에서 기억한 형상으로 복원하고자 하는 성질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사력을 가지고 팽창해 전개 상태에 이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looking at the stent body, the stent body may be manufactured by first forming a shape in a deployed state with a strut made of a material such as nitinol, and then heating it at a high temperature to memorize the shape in the deployed state. The stent body manufactured in this way is made of a high-elastic material, so it is easy to compress,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n the compressed state, it has the property of restoring to the shape remembered at high temperature.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스트럿은 스텐트 바디를 구성하는 요소 관점의 용어로 사용하며, 물리적인 가닥수를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스트럿의 물리적인 가닥수에 대해서는 스트랜드(strand)라는 용어를 이용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예시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스텐트 바디의 매쉬 구조를 이루는 셀이 4개의 테두리를 갖는 다이아몬드 형태인 경우 해당 셀은 실제로 한 가닥으로 형성되었는지 여러 가닥으로 형성되었는지와 무관하게 4개의 스트럿으로 구성된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예시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스텐트 바디가 복수의 셀을 가지는 매쉬 구조를 가지더라도 그 전체가 한 가닥의 선을 꼬아 만드는 바텀-업(bottom-up)의 제조 기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스텐트 바디 전체가 하나의 스트랜드(single-strand) 구조라고 표현될 수 있다. 다만, 스트럿과 스트랜드의 구분이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는 혼용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rut is used as a term in terms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stent body,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not meaning the number of physical strands. In addition, the number of physical strands of the strut will be expressed using the term "strand". Illustratively, if the cell constituting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 the form of a diamond having four edges, the cell may be expressed as consisting of four struts regardless of whether it is actually formed of one strand or multiple strands. have. Also exemplari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ven if the stent body has a mesh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ells, the entire stent body is made through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bottom-up by twisting a single strand of wire. may be expressed as a single-strand structure. Howeve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trut and the strand is not necessarily clear, an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y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스텐트 바디에는 혈전을 그 내부로 끌어들이기 위한 구조, 즉 혈전 초대 구조(clot inviting structure)를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nt body may optionally include a structure for introducing a thrombus into the stent body, that is, a clot inviting structure.

혈전은 크게 그 경도(hardness)에 따라 임상적으로 연혈전(soft clot)과 경혈전(hard clot)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혈관 폐색이나 혈관 협착은 혈액 내의 색전물(embolus)이 뭉쳐 혈전(clot)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데, 이러한 혈전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차 단단해져 연혈전으로부터 경혈전으로 성장하게 된다. 연혈전의 경우에는 스텐트 바디의 자체 팽창 과정에서 스트럿이 혈전 내부로 비교적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어 스텐트 바디와 결합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경도가 높은 경혈전은 스텐트 바디의 방사력이 부족한 경우 스텐트 바디의 형상을 변형시킬 뿐 스텐트 바디와 결합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경혈전이 스텐트 바디의 형상을 부분적으로 찌그러뜨릴 수도 있다. Thrombus is clinically divided into soft clot and hard clot depending on its hardness. In general, vascular occlusion or vascular stenosis occurs when embolus in the blood aggregates to form a clot, which gradually hardens over time and grows from a brittle thrombus to a menstrual thrombus. In the case of a thrombus, the strut can penetrate into the thrombus relatively easily during the self-expansion process of the stent body, so it is highly likely to be combined with the stent bod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ly deforms the shape of the stent body and does not combine with the stent body. In this case, the menstrual thrombus may partially distort the shape of the stent body.

혈전 초대 구조는 상술한 스텐트 바디에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경혈전에 의한 혈관 폐색에 대한 혈관 재관류율을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혈전 초대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몇몇 예시에 관하여 언급한다. The thrombus primary structure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vascular reperfusion rate for vascular occlusion due to the menstrual thrombus, which is not easily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stent body. The thrombus primary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some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는 스텐트 바디의 길이 방향 상 체외를 향하는 방향(이하 '근위 방향'이라 함) 측에 혈전이 통과할 수 있는 입구(opening)를 가질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tent body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a thrombus can pass in a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ximal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의 외면을 구성하는 셀 중 일부 셀은 해당 셀을 통해 혈전이 스텐트 바디 내부로 수용되도록(receiving) 다른 셀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텐트 바디는 스텐트 바디의 외부에 위치한 혈전이 통째로 스텐트 바디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셀(이하 '확장 셀(enlarged cell)'이라 함)을 가질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some of the cell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nt body may be provided larger than other cells so that the thrombus is received through the cells into the stent body. Specifically, the stent body may have a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larged cell') formed in a size large enough to serve as a passage for the thrombu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tent body to move into the entire interior of the stent body. have.

또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는 단일 매쉬 구조를 갖는 세그먼트를 복수 개 연결하여 형성되는 멀티 세그먼트(multi-segment) 형태로 제공되고, 세그먼트와 세그먼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가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stent body may be provided in a multi-segment form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egments having a single mesh structure,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having a gap formed between the segments. have.

한편 이상에서는 혈전을 경혈전과 연혈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혈전 초대 구조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물리적으로는 혈전이 특정 경도값을 기준으로 연혈전과 경혈전으로 구분되는 것은 아닐 뿐 아니라 후술되는 혈전 결합과 혈전 포획에 대한 설명과 관련해서도 혈전 결합이 반드시 연혈전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혈전 포획이 반드시 경혈전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연혈전의 경우에도 혈전 초대 구조를 통해 스텐트 바디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경혈전의 경우에도 스텐트 바디와 혈전 결합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 the thrombus has been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a menstrual thrombus and a soft thrombus, but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thrombus. Physically, thrombus is not divided into brittle thrombus and menstrual thrombus based on a specific hardness value, and in relation to the description of thrombus binding and thrombus capt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mbus binding must be performed only for brittle thrombus, and thrombus capture is not possible. It is not necessarily made only for menstrual thrombi, and even in the case of brittle thrombi,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ent body through the thrombus primary structure.

스텐트 바디는 혈전을 소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텐트 바디는 매쉬 구조나 혈전 초대 구조(clot inviting structure) 등을 이용하여 혈전과 결합하거나 혈전을 포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혈전 제거 기기가 혈전을 소지할 수 있다.The stent body can carry blood clots. Specifically, the stent body may bind to or capture a thrombus using a mesh structure or a clot inviting structure, and accordingly,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carry the thrombus.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는 시술 지점에서 자체 팽창하는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를 이루는 스트럿이 인근에 위치하는 혈전을 파고드는 것을 통해 혈전과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는 상술한 혈전 초대 구조를 통해 스텐트 바디 외부에 위치한 혈전을 스텐트 바디 내부로 수용(receiving)함으로써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nt body may combine with the thrombus through a strut constituting the stent body digs into a thrombus located nearby in the process of self-expanding at the operation point. In another example, the stent body may capture the thrombus by receiving the thrombus located outside the stent body into the interior of the stent body through the thrombus primary structure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스트럿이 혈전의 내부로 파고들어 혈전이 스텐트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혈전 결합(clot engagement)'으로, 스텐트 바디의 내부로 혈전이 수용되는 것을 '혈전 포획(clot capturing)'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또 스텐트 바디에 의해 혈전 결합이나 혈전 포획이 수행된 상태에 대해 혈전 제거 기기가 혈전을 소지(holding)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hen the strut penetrates into the thrombus and the thrombus is coupled to the stent body, it will be referred to as 'clot engagement', and the thrombus being accommodated into the stent body will be referred to as 'clot capturing'. do. In addition, the state in which the thrombus binding or thrombus capture is performed by the stent body will be expressed as holding the thrombus by the thrombus removal device.

풀 와이어는 스텐트 바디에 횡 방향 힘을 전달할 수 있다. The pull wire may transmit a lateral force to the stent body.

풀 와이어는 그 일단이 스텐트 바디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그 타단이 혈전 제거술을 수행하는 사용자 또는 로봇 수술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풀 와이어는 타단을 통해 사용자나 로봇 수술 장치로부터 당기는 힘 또는 미는 힘을 인가받고, 일단을 통해 스텐트 바디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pull wire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tent body and the other end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 user or robotic surgical device performing thrombus removal. The pull wire may receiv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from a user or a robotic surgical device through the other end, and may transmit the force to the stent body through one end.

일반적으로 횡 방향 힘은 주로 회수력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혈전과 스텐트 바디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한 기법의 하나인 푸쉬-앤-플러프 기법(push-and-pluff technique) 과정에서는 풀 와이어는 다소 간의 힘을 회수력의 반대 방향으로 스텐트 바디에 전달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transverse force may be primarily a recovery forc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For example, in the push-and-pluff technique, which is one of the techniques for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the thrombus and the stent body, the pull wire applies some force to the stent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very force. can also be forwarded to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mechanism can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텐트 바디의 회수 과정 등을 비롯하여 스텐트 바디가 이미 전개된 상태에서 풀 와이어를 통한 회수력 등의 외력에 의해 스텐트 바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스텐트 바디가 압축 상태에서 전개 상태에 이르기까지 자체 팽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Here, the anti-stretch mechanism is to prevent the stent body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ecovery force through a pull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stent body is already deployed, including the recovery process of the stent body, and the stent body is deployed in a compressed state It should be pointed out in advance that it is not intended to prevent self-deforma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self-expanding to a state.

한편, 후술되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과 관련된 설명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스텐트 바디의 변형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으나, 일정한 정도 이상의 변형은 제한하되 그 이하의 변형은 허용하되 수도 있는데, 완전한 변형 방지나 일정 수준 이상에 대한 변형 제한 등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to be described later,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fundamentally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It will be referred to as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with respect to the limitation of deformation for the above.

따라서, 과도한 변형(excessive deformation)이란 혈전 제거 기기에서 혈전 이탈이나 혈전 파편화가 발생할 정도로 스텐트 바디의 형상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과도한 변형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예시나 수치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하기로 한다. Therefore, excessive deformation means a change in the shape of the stent body to such an extent that thrombus separation or thrombus fragmentation occurs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specific examples or values corresponding to excessive deformation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later.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혈전 제거 기기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described below may use an anti-stretch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wire.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혈전 제거 기기의 적어도 두 지점에 부착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혈전 제거 기기의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고정시키거나 두 지점 간의 거리가 일정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비교적 탄성이 낮은 재질(예를 들어, 니켈-티타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이들과 기계적 특성이 유사한 금속이나 폴리머 등)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길이 변형에 강건한 특성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또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싱글 스트랜드 와이어는 물론, 필요에 따라 멀티 스트랜드 와이어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anti-stretch wire may be provided as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tached to at least two point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e anti-stretch wire may fix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or prev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from increas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To this end, the anti-stretch wire is provided with a material with relatively low elasticity (for example, nickel-titanium alloy, stainless steel, or a metal or polymer having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these), and thus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strong against length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may have, but not necessarily. In addition, the anti-stretch wire may be provided as a single-stranded wire as well as a multi-stranded wire if necessary.

한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혈전 제거 기기와 연결되는 두 지점은 주로 스텐트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스텐트 바디에 주로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스텐트 바디의 길이 변형을 억제(restrain)하고, 길이 변형의 억제를 기반으로 직경 변형과 셀 형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wo points where the anti-stretching wire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mainly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or clo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and accordingly, the anti-stretching wire is mainly located on the stent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pplying the tension,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can be restrained (restrain), and diameter deformation and cell shape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based on the inhibition of the length deformation.

이하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들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an anti-stretch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wir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5 .

도 5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스텐트 바디(1100), 풀 와이어(1300) 및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ncludes a stent body 1100 , a pull wire 1300 , and an anti-stretch wire 1500 .

도 5를 참조하면, 스텐트 바디(1100)는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속이 비고 외면에 셀이 배치되는 매쉬 구조체로 제공되며, 매쉬 구조를 통해 혈전과 결합하거나 그 내부에 혈전을 포획함으로써 혈전을 소지할 수 있다. 5, the stent body 1100 is provided as a mesh structure in which cells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ormed by the strut, and binds to the thrombus through the mesh structure or captures the thrombus therein. can

매쉬 구조는 스트럿(1101)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셀(110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럿은 셀(1103)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셀(1103)은 그 테두리를 구성하는 스트럿(110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럿(1101)이 다수의 셀(1103)을 형성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적인 매쉬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셀(1103)이 다이아몬드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셀(1103)의 크기나 형상 등은 혈전과 결합되는 정도,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력,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유연성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또 개별 셀(1103)들 간의 형상이나 크기가 반드시 동일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일부 셀(1103)은 혈전을 초대하기 위한 상술한 확장 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A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1103 formed by struts 1101 . Specifically, the strut forms the rim of the cell 1103 , the cell 1103 may be formed by the strut 1101 constituting the rim, and the strut 1101 forms a plurality of cells 1103 , thereby forming a stent An overall mesh structure of the body 1100 may be formed. In FIG. 5 , the cell 1103 is shown as having a diamond shape, but the size or shape of the cell 1103 is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it is combined with the thrombus, the radiation force of the stent body 1100, the flexibilit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nd the like. It may have an impact, so it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considering these factors. Also, the shape or size between the individual cells 110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In addition, some cells 110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he above-described expanded cell for inviting a thrombus.

상술한 매쉬 구조의 스텐트 바디(1100)는 다양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제조 방법의 일 예로는 레이져 컷팅(laser cutting), 미세 가공(micro machining), 방전 가공(EDM,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브레이딩(braiding)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기계적 물림(mechanical locks), 용접(welding), 솔더링(연납땜, soldering), 브레이징(경납땜, brazing), 접착제(adhesive) 몰딩(moding), 크림핑(criming) 등을 통해 스트럿을 연결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기계적 물림은 트위스팅(twist), 니팅(knitting), 웨빙(weaving), 메쉬(mesh) 또는 엮기(intertwi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예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스텐트 바디(1100)는 최종적으로 스트럿을 이용하는 매쉬 구조체로 완성되므로, 스텐트 바디(1100)를 스트럿 구조체(strut framework)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트럿 구조체는 금속 와이어 형태의 스트럿으로부터 제조된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는 물론, 금속 튜브를 깍아 만드는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해석되어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The above-described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an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s laser cutting, micro machining,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DM,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 braiding, etc., and other examples include mechanical locks, welding, soldering, brazing, and adhesive molding. ), a method of connecting the struts through crimping, and the like. Here, the mechanical engageme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wisting, knitting, webbing, mesh, or intertwining. Meanwhile, since the stent body 1100 is finally completed as a mesh structure using struts, the stent body 1100 may be referred to as a strut framework. Here, the strut structure should be interpreted in advance as a comprehensive term that includes both the stent body 1100 of the form manufactured from the strut of the metal wire form, as well as the stent body 1100 of the form made by cutting a metal tube. .

한편, 스텐트 바디(1100)는 혈전 제거 과정 중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계적 혈전 제거술은 체내에서 진행되므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위치나 동작, 형태 등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엑스레이(X-ray)나 이와 유사한 투시광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텐트 바디(1100)는 백금, 백금 이리듐 합금 또는 형광 투시법 하에서 가시성이 높은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 가시성 물질이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에 코팅되는 형태, 스트럿(1101)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 시인성을 제공하는 마커 등의 물체가 스텐트 바디(1101)에 부착되는 형태나 이들의 조합으로 시인성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stent body 1100 may include a material for securing visibilit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In general, since mechanical thrombus removal is performed in the body, it is impossible for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position, operation, or shap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and visibility can be improved using X-rays or similar see-through light. Efforts are being made to secure i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nt body 1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platinum, a platinum iridium alloy, or another material having high visibility under fluoroscopy to provide visual feedback to the user, and these visible materials are the stent body 1100 of the stent body 1100 . Visibility may be secured by a form coated on the surface, a form inserted into the strut 1101, a form in which an object such as a marker providing visibility is attached to the stent body 1101, or a combination thereof.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스텐트 바디(1100)는 풀 와이어(1100B) 측에 위치한 근위 말단 및 그와 반대 측에 위치한 원위 말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스텐트 바디(1100)에서 근위 말단에 가까운 부분은 근위부(proximal portion), 원위 말단 측에 가까운 부분은 원위부(dital portion), 근위부와 원위부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은 몸체부(body portion)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5 , the stent body 1100 may have a proximal end positioned on the pull wire 1100B side and a distal end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Here, in the stent body 1100, a portion close to the proximal end is a proximal portion, a portion close to the distal end is a distal portion, and a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roximal portion and the distal portion may be a body portion. have.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부는 스텐트 바디(1100)를 이루는 스트럿의 진행이 개시되는 부위로, 풀 와이어(1300)로부터 회수력 등의 힘을 전달받는 부위일 수 있다. The proxim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is a portion where the progress of the struts constituting the stent body 1100 is started, and may be a portion that receives a force such as a recovery force from the pull wire 1300 .

보다 구체적으로 스트럿(1101)은 근위 말단에서 일 지점에 모여있을 수 있으며, 근위부에서는 원위 방향, 즉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풀 와이어(1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근위 말단에서 한점에 모인 스트럿(1101)들이 퍼져나가면서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이 점차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근위 말단 또는 근위부의 일 지점에는 풀 와이어(1300)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위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이동이나 조작을 위한 힘을 풀 와이어(13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ruts 1101 may be gathered at a point at the proximal end, and at the proximal end in the dist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pull wire 1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t a point at the proximal end. As the gathered struts 1101 spread,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may gradually increase. In addition, the pull wire 130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r one point of the proximal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ximal portion transmits a force for movement or manipulation of the stent body 1100 from the pull wire 1300 can receive

스텐트 바디(1100)의 몸체부는 근위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로, 실질적으로 혈전을 소지하는 부위일 수 있다. The body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ximal portion, and may be a portion substantially carrying a thrombus.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는 속이 빈 튜브 형상일 수 있으며, 그 외면에는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셀을 포함하는 매쉬 구조일 수 있다. 몸체부는 이러한 매쉬 구조를 통해 혈전과 결합할 수 있으며, 그 내부 공간에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몸체부를 단순한 중공 실린더 형태(hollow cylinder shape)로 도시하고 있으나, 몸체부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몸체부의 직경이 몸체부 전체에 걸쳐 일정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몸체부의 직경이 길이 방향 상 다른 지점에서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는 몸체부를 단일 세그먼트 형태(single segment type)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몸체부가 복수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다수 세그먼트 형태(multi-segment type)일 수도 있다. 다수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에 관한 설명은 후술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may have a hollow tube shape, and an outer surface thereof may have a mesh structure including cells formed by struts. The body portion may be combined with the thrombus through such a mesh structure, and may trap the thrombus in its internal space. Although the body part is illustrated in a simple hollow cylinder shape in FIG. 5, the body par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shapes. For example, although FIG. 5 shows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is constant over the entire bod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is different at other poi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nother example, although FIG. 5 shows the body in a single segment type, the body may be of a multi-segment type having a plurality of segments.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multi-segment stent body 1100 will be described lat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부는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위이다. 원위부는 단순히 스텐트 바디의 말단을 이룰 수도 있으나, 스텐트 바디(1100)가 회수되는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최후단에서 최종적으로 혈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i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The distal portion may simply form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but may serve to ultimately prevent the thrombus from dislodg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stent body 1100 .

일 예로, 원위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힌 형태(closed end type)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닫힌 형태의 원위부에서는 스트럿(1101)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모여들어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스트럿(1101)들은 원위부의 원위 말단에서 일 지점에 모일 수도 있다. 다만, 스트럿(1101)들이 반드시 원위 말단에서 모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 원위부에서 원위 방향을 향해 직경이 점차 감소해야만 하는 것도 아닐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istal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closed end type as shown in FIG. 5 . In the closed distal portion, the struts 1101 are gathered in the dis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5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 At this time, the struts 1101 may converge at a point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portion. However, the struts 1101 may not necessarily converge at the distal end and may not necessarily have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from the distal portion to the distal direction.

닫힌 형태의 원위부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이 회수되는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최후단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의해 소지된 혈전 또는 파편화된 혈전의 이탈이나 유출을 방지하거나 이탈되거나 유출되는 혈전과 재결합(re-engaging)할 수 있다. The closed distal part prevents the separation or leakage of a thrombus or fragmented thrombus carried by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t the last end of the stent body 1100 in the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being recovered, or is separated or leaked. It can re-engage with blood clots.

다른 예로, 도 5는 원위부를 닫힌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원위부는 열린 형태(open end type)일 수도 있다. 관점에 따라 열린 형태의 원위부는 몸체부의 일부로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열린 형태의 원위부는 스텐트 바디(1100)가 혈류의 흐름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므로 회수 과정의 스텐트 바디(1100)가 빠르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열린 형태의 원위부를 가지는 스텐트 바디(1100)는 닫힌 형태의 원위부를 가지는 스텐트 바디(1100)에 비해 비교적 형상 변형이 용이하여 혈관의 커브 구간이나 직경이 좁은 구간의 통과에 다소 유리한 점도 있다. 열린 형태의 원위부도 닫힌 형태의 원위부와 같이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FIG. 5 shows the distal portion in a closed configuration, the distal portion may alternatively be of an open end typ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the open distal portion may be interpreted as a part of the body portion. Since the open distal portion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 stent body 1100 on the flow of blood, the stent body 1100 can be moved quickly during the recovery process. In addition, the stent body 1100 having an open distal portion has a relatively easy shape deformation compared to the stent body 1100 having a closed distal portion, so it is somewhat advantageous to pass a curved section or a narrow diameter section of a blood vessel. The open distal portion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of gradually decreasing diameter, such as the closed distal portion.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풀 와이어(1300)는 사용자나 수술 로봇으로부터 혈전 제거 기기(1000)를 조작하기 위한 힘을 인가받고, 이를 스텐트 바디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풀 와이어(1300)는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제조되어 체외로부터 전달된 지시(instruction)를 수행할 수 있으며, 풀 와이어(1300)의 소재로는 주로 니켈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이용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pull wire 1300 may receive a force for operat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from a user or a surgical robot, and may transmit it to the stent body. To this end, the pull wire 13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and can perform instructions transmitted from outside the body, and the material of the pull wire 1300 is mainly nickel-titanium alloy or stainless stee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풀 와이어(1300)는 그 일단 또는 그 일단에 가까운 부분을 통해 사용자나 수술 로봇 등으로부터 힘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풀 와이어(1300)의 일 부위가 체외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나, 풀 와이어(1300)가 반드시 직접적으로 사용자나 수술 로봇과 접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간접적으로 사용자나 수술 로봇의 구동부 등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풀 와이어(1300)의 일부가 반드시 체외까지 연장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The pull wire 1300 may receive force from a user or a surgical robot through one end or a portion close to one end thereof. For this purpose, it is common that a portion of the pull wire 1300 extends outside the body, but the pull wire 13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directly contact the user or the surgical robot, and indirectly the driving unit of the user or the surgical robot as necessary. Sinc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back, a portion of the pull wire 13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body.

또 풀 와이어(1300)는 그 타단 또는 그 타단에 가까운 부분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풀 와이어(1300)는 일 부위가 스텐트 바디(11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ll wire 1300 may transmit the force to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other end or a portion close to the other end. To this end, one portion of the pull wire 1300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

예를 들어, 풀 와이어(1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풀 와이어(1300)가 반드시 직접적으로 근위 말단에 부착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중간에 다른 매개물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와 연결되거나 또는 근위 말단 외의 다른 부위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pull wire 1300 may be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ull wire 130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rectly attached to the proximal end, and i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through another medium in the middle or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through a site other than the proximal end. It is also possible

한편, 도 5는 풀 와이어(13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단면의 중앙을 따라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 상에서 근위 말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부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스텐트 바디(1100)와 풀 와이어(1300)의 연결 관계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여러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예시들로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that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with the proximal end on the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long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but this is the stent body ( 1100),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ximal part.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tent body 1100 and the pull wire 1300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examples described through the various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사용자나 수술로봇 등은 풀 와이어(1300)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A user or a surgical robot can operat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rough the pull wire 1300 .

예를 들어,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가 혈관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풀 와이어(1300)를 당김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에 회수력이 인가되고, 이를 통해 혈전을 소지한 혈전 제거 기기(1000)를 체외로 회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술한 푸쉬-앤-플러프 기법 역시 풀 와이어의 조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stent body 1100 may be moved in the blood vesse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 Specifically, by pulling the pull wire 1300 , a recovery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 and through th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carrying the thrombus can be recovered outside the body. In addition, the push-and-fluff technique described above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적어도 두 지점에 부착되고,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일정 길이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길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길이 변형이 억제되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직경 변형이나 셀(1103)의 변형 역시 억제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 Specifically,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attached to at least two point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and by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to a predetermined length or less, length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suppressed. When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suppressed, the diameter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r the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can also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Excessive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도 5를 참조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그 양단이 각각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외력이 없는 무부하 조건 하의 전개 상태인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5,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fixe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no load without external force It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overall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n the deployed state under the condition.

상술한 도 5에 도시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의 길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llustrated in FIG. 5 described above may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가 혈관 내에서 전개된 후 풀 와이어(1300)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를 회수하는 등의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에 인가되는 횡력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변형에 강건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그 양단이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양 말단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 즉 무부하 조건 하의 전개 상태에서 스텐트 바디(1100)가 갖는 길이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에 대항할 수 있다. 따라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 for example, after the stent body 1100 is deployed in a blood vessel, a lateral force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rough the pull wire 1300 . may induce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 At this time, the anti-stretch wire 1500, which is robust to deformation, has both ends fixe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tent body 1100 is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That is, it is possible to counteract the increase in length beyond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n the deployed state under the no-load condition. Accordingly, the anti-stretch wire 1500 can prevent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

이상에서는 도 5의 형태로 제공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양 말단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와 결합되고, 무부하 조건 하에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전개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음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전체 길이 이상의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it is coupled with the stent body 1100 through both ends of the stent body 1100 provided in the form of FIG.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nti-stretch wire 1500 to prevent an increase of more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

그러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하나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외력이 작용할 때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막기 위한 다양한 예시를 모두 포괄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설계 변경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However,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only one of the most basic types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disclosed herein, and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disclosed herein is a thrombus removal Various examples for prevent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evice 1000 may be encompassed, and this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esign changes.

이하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의 설계와 관련된 몇몇 측면(aspect)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ome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anti-stretch wire will be described.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는 연결부(connection portion, 1502) 및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extending portion, 15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502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nd an extending portion 1504 extending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연결부(1502)는 주로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단부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임의의 지점이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부(1502) 중 혈전 제거 기기의 상대적으로 근위 방향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1502)는 전위 연결부(frontal connection portion)으로, 상대적으로 원위 방향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는 후위 연결부(rear connection portion)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1502 may be an end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any point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be used. Hereinafter, a connection portion 1502 positioned in a relatively proximal direc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mong two connection portions 1502 adjacent to each other is a frontal connection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located in a relatively distal direction is a rear connection portion ( rear connection portion).

또 연결부(1502)가 혈전 제거 기기와 연결되는 형태가 반드시 점 접촉 형태여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스텐트 바디(1100)의 스트럿(1101)의 일정 구간과 선 접촉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Also, the connection part 1502 with the thrombus removal devi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point contact type. For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may be connected through a lin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strut 1101 of the stent body 1100 .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는 연결부(1502)가 적어도 둘 이상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와 두 지점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1502)의 수가 그 이상인 것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가 3부위나 4부위 또는 그 이상의 부위에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부위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연결부(1502) 사이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길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3 이상의 연결부(1502)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연결부(1502)는 해당 연결부보다 근위 방향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대해서는 후위 연결부인 동시에 해당 연결부보다 원위 방향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대해서는 전위 연결부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stretch wire may have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ng portions 150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t two points, but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parts 1502 may be greater than that. For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t three or four or more sites.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t a plurality of sites may prevent a change in length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between two adjacent connection parts 1502 . As such, when the anti-stretch wire 1500 includes three or more connection parts 1502, the specific connection part 1502 is a rear connection part for the connection part located in the proximal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located on the distal direction than the connection part. For the connection part, it may be a potential connection part.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의 연결부(1502)가 반드시 스텐트 바디(1100)의 말단을 통해서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먼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임의의 두 지점 상에서 스텐트 바디(1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 외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다른 구성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1502)의 일부는 풀 와이어(1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와 연결되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부위는 결합부(coupling portion)로 지칭될 수 있다. 결합부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전위 연결부와 연결된 결합부는 전위 결합부(frontal coupling portion)로, 후위 연결부와 연결된 결합부는 후위 결합부(rear coupling portion)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에 대해 결합 지점(coupling point), 정션(junction) 또는 조인트(joint) 등의 용어를 혼용할 수 있으며, 이는 포괄적으로 결합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lso, the connection part 1502 of the anti-stretch wir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rough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 First,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on any two points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ther than the stent body 1100 .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1502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pull wire 1300 , and the oth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 Here, a por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connected to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referred to as a coupling portion. In relation to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al coupling por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rontal coupl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coupling por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rear coupling portion. Meanwhile, in the following, terms such as a coupling point, a junction, or a join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necessary, and this is understood to refer to the coupling part inclusively. should be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가 무부하 조건 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전개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야만 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양 말단이 아닌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가 전체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양 말단에서 스텐트 바디(1100)와 결합되더라도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어느 정도 허용하기 위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does not have to be the same as the total length in the deployed state of the stent body 1100 under no-load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portion is not at both ends of the stent body 1100,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smaller than the overall length. For another example, even i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mbined with the stent body 1100 at both ends of the stent body 1100, to allow som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It is also possible to be provided longer than the entir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상술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설계와 관련된 몇몇 측면(aspect) 중 결합부의 위치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 방지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자체 길이가 결합부 간의 거리를 제한하는 형태로 수행되므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안티 스트레칭 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mong some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above-described anti-stretching wire 1500 are, a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 since the deformation preven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performed in a form that limits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the anti-stretching effect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directly affected. It may be a factor,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와 연결되는 결합부의 위치는 커버링 비율(covering ratio)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링 비율이란 스텐트 바디(1100) 전체 영역 중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미치는 영역(이하 '커버링 영역(covering region)'이라 함)의 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6과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효과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와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연결된 지점 사이에서 발생하므로, 커버링 영역은 스텐트 바디(1100) 중 결합부와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링 비율은 구체적으로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결합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또 커버링 영역은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결합부와 결합부를 연결하는 직선의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성분 중 스텐트 바디(1100) 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t which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covering ratio. Here, the covering ratio may mean a ratio of a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vering region') to which an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applied among the entire region of the stent body 1100 . Again, as mention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anti-stretching effect occurs between the point where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re connected, so the covering area is combined with the coupling part of the stent body 1100 . It may be an area located between the parts. Accordingly, the covering ratio may be specifically defined a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position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fo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the covering region may be defined as a portion located within the stent body 1100 among the compone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stent body 1100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fo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coupling portion.

예를 들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에 연결된 형태에서는 커버링 영역은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영역과 일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커버링 비율은 100%일 수 있다. 이는 안티 스레칭 와이어(1500)에 의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 전체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form in which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s shown in FIG. 5 again, the covering area may coincide with the entire area of the stent body 1100 and , thus, the covering ratio may be 100%. This may mean that the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occurs throughout the stent body 1100 .

다른 예를 들어, 결합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의 10%만큼 원위 방향 상에 위치한 지점과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의 10%만큼 근위 방향 상에 위치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커버링 비율은 80%일 수 있다. 이때에는 스텐트 바디(1100)의 전방 10%로부터 후방 10%까지의 영역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해 길이 변형이 제한되지만, 나머지 영역에서는 외력에 의한 길이 변형이 제한없이 발생할 수 있다.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근위부, 직경이 일정한 몸체부, 직경이 감소하는 원위부로 구성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경우에는 몸체부의 양 단(근위부와 연결되는 부위 및 원위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결합부가 배치되고, 이에 따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몸체부의 변형은 제한하되 스텐트 바디(1100)의 다른 부위의 변형은 허용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근위부와 원위부는 기계적 혈전제거술의 시술 시 필요에 따라 그 형태 변형이 요청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결합부를 몸체부 양단에 배치하면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from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point where the engag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distal direction by 10% of the total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When it is located at a point located in the proximal direction by 10% of the total length, the covering ratio may be 80%. In this case, the length deformation is limited by the anti-stretch wire 1500 in the area from 10% to the front 10% to the rear 10% of the stent body 1100, but in the remaining area, length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may occur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the stent body 1100 consisting of a proximal part with a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 a body part with a constant diameter, and a distal part with a decreasing diameter, the coupling part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the part connected to the proximal part and the part connected to the distal part) Accordingly,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limit the deformation of the body portion, but allow deformation of other portions of the stent body 1100. Since the above-described shape of the proximal part and the distal part may be requested to change its shape as necessary during the procedure of mechanical thrombectomy, this request can be satisfied by disposing the coupling part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위 결합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보다 근위 방향 상(예시적으로 풀 와이어의 일 지점)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위 결합부가 풀 와이어(1300)의 일 지점에 위치하면,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에 위치하는 경우와 커버링 비율은 동일하지만,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간의 결합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dislocation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on the proximal direction than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eg, one point of the pull wire). When the potential coupling part is located at one point of the pull wire 1300, the covering ratio is the same as when it is locat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but ease of coupling betwe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nd the anti-stretch wire 1500 This can be improved.

한편, 커버링 비율이 증가할수록 스텐트 바디(1100)에서 안티 스트레칭 효과를 받는 영역이 증가하며 반대로 커버링 비율이 감소할수록 스텐트 바디(1100)에서 안티 스트레칭 효과를 받는 영역이 감소하므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커버링 비율이 일정한 값 이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버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상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covering ratio increases, the area receiving the anti-stretching effect in the stent body 1100 increases, and as the covering ratio decreases, the area receiving the anti-stretching effect in the stent body 1100 decreases, so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covering ratio needs to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valu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vering ratio may be preferably 1/2 or more, more preferably 2/3 or more.

한편, 동일한 커버링 비율을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있어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영역의 위치에 따라 스트레칭 방지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링 영역이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보다 근위 말단과 가까울수록 스트레칭 방지 효과는 클 수 있다. 이는 풀 와이어(1300)에 의해 스텐트 바디(1100)에 인가되는 회수력이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부보다 근위부에 더 크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전단이 연결되는 전위 커플링 포인트가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너무 멀어지는 경우에는 근위 말단과 전위 커플링 포인트 사이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해 커버되지 못하는 구간에서 길이 변형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전위 결합부와 근위 말단 간의 거리가 후위 결합부와 원위 말단 간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ving the same covering ratio, the anti-stretching effect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vering area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 For example, the closer the covering region to the proximal end than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the greater the anti-stretch effect. This is because the recovery force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by the pull wire 1300 may act more on the proximal portion than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when the dislocation coupling point 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is too far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between the proximal end and the dislocation coupling point is not covered by the anti-stretch wire 1500 In the section where it is not possible, excessive length deformation may occur. In consideration of these considerations, preferably,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imal end and the proximal end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는 결합부의 위치는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n angle formed by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다시 도 5를 살펴보면, 결합부들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작용하는 장력이 주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초래하는 횡력에 대항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배치되더라도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장력에 의해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길이 변형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들이 반드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coupling portions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That is,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may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This is so that the tension acting on the anti-stretch wire 1500 mainly 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o counteract the lateral force causing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 However, excessiv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the tens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an be suppressed even if the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refore, the coupling portions are not necessarily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다만, 결합부가 결합부 간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너무 큰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작용하는 장력 중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비율이 증가하여 안티 스트레칭 효율이 저하됨과 동시에 스텐트 바디(1100)에 편심 등이 인가되어 스텐트 바디(1100)에 원치않는 거동이 발생하거나 원치않는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결합부는 결합부 간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도 이하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if the coupling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 has a too larg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mong the tension acting on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of the stent body 1100 As the ratio of the force act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o the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reases, the anti-stretching efficiency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an eccentricity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so that the stent body 1100 is undesirable. Undesirable behaviors or undesirable shape deformations may occur. Therefore, illustrative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upling por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s is preferably 30 degrees, more preferably 15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연결되는 결합부의 위치는 중심축 또는 매쉬 구조체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disposed along a virtual plane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r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다시 도 5를 살펴보면, 결합부들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결합부들 중 적어도 일부는 스텐트 바디(1100)를 이루는 매쉬 구조체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결합부 들 중 적어도 일부는 풀 와이어(1300)에 위치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coupling portions may be dispos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However, unlike this, at least some of the coupling parts may be disposed along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constituting the stent body 1100 . Alternatively, at least some of the coupling parts may be located in the pull wire 1300 .

결합부들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장력이 스텐트 바디(1100)에 균형적으로 작용하므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coupling portions are arrang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the tens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ts in a balanced manner on the stent body 1100, so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stably prevented. there are advantages to

반대로 결합부들이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에 따라 연장된 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매쉬 구조체의 내부가 아닌 표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 공간으로 혈전을 초대하거나 내부 공간에 혈전을 포획하기 유리한 장점이 있다.Conversely, when the coupling portions are disposed on a surface extending along the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located on the surface rather than the inside of the mesh structure, so as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nt body 1100. There is an advantage of inviting a thrombus or trapping a thrombus in the internal space.

한편, 결합부들이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에 따라 배치되는 경우 중, 풀 와이어와 스텐트 바디(11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이 아닌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에 따라 연장되는 면 상에서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풀 와이어(1300)에 의해 스텐트 바디(1100)에 인가되는 회수력과 장력이 동일한 선상에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결합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에 따라 연장되는 면 중 풀 와이어의 연장 방향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portions are arranged along the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the pull wire and the stent body 1100 extend along the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rather than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When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top, the coupling portion preferably extends along the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so that the recovery force and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by the pull wire 1300 act on the same line. It may be disposed o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eavy pull wire.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비탄성 재질로 제공되며,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하지 않는 고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anti-stretch wire 1500 is provided of an inelastic material, and may have a fixed length that does not substantially elastically deform, and can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using this characteristic.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natural distance)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natural distance between coupling portions.

여기서, 자연 거리란 외력이 없는 조건 하에서 전개된 상태의 스텐트 바디(1100) 상의 임의의 두 지점 상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이 없는 조건이란 반드시 완벽하게 외력이 없는 상태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유도하는 회수력 등이 없는 상태, 무부하(no-load) 상태, 또는 카테터 등에 의해 구속되지 않은(unrestrained) 상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연 길이는 무변형 길이('undeformed length')라고 지칭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 유사한 관점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자연 길이(natural length)는 외력이 없는 조건 하에서 전개된 상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natural distance may mean a distance on any two points on the stent body 1100 in a deployed state under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Here, the condition without external force does not necessarily refer only to a state where there is no external force completely, and there is no recovery force to induc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a no-load state, or a cathet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clusive term that includes an unrestrained state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in this respect that the natural lengt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n 'undeformed length'. In addition, from a similar point of view, the natural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may refer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n a deployed state under a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일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커버링 영역에서의 길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커버링 영역의 길이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 간의 거리 중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성분값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커버링 영역에서 스텐트 바디의 길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may prevent length deformation in the covering area of the stent body 1100 . In other words,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fix the length of the covering region to the lengthwise component value of the stent body 1100 among the distances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5, the anti-stretch wire can prevent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in the covering area.

다른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커버링 영역에서의 길이 변형을 일정한 수준까지는 허용하되 그 이상의 길이 변형은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보다 작은 상태로부터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와 동일해지는 상태까지는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허용하고,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와 동일해지면 그 이상으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을 일정 수준까지 허용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가 혈관의 커브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에 필요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에 유리한 점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가 카테터에 삽입되기 위해 압축 상태로 변형될 때,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일정 수준까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 압축 상태에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The anti-stretch wire 1500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allows length deformation in the covering area of the stent body 1100 to a certain level, but further length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Specifically,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a stent body 1100 from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to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Allows length deformation of,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beyond that. For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1500 that allows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to a certain level is advantageous in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required when the stent body 1100 passes through a curved section of a blood vessel. there may be For another example, when the stent body 1100 is deformed in a compressed state to be inserted into the catheter,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o allow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to a certain level. It may be advantageous to minimize the diameter of the body 1100 .

또 다른 예를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에는 스텐트 바디(1100)가 자연 길이보다 다소 간 작은 상태로 유지되므로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력이나 탄성력 등에 유리한 점이 있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small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At this time, since the stent body 1100 is maintained in a slightly smaller state than its natural length, there may be advantages in the radiation force or elastic force of the stent body 1100 .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natural distance)를 고려하여 자연 거리와 동일하게, 자연 거리보다 크게, 또는 자연 거리보다 작게 결정될 수 있으나,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회전 구간 통과 시나 압축 시 필요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을 저해할 수 있고,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수치 범위 내에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가 설계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의 90%~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20% 사이일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natural distance, larger than the natural distance, or smaller than the natural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but if it is too small In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inhibit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required when passing or compressing the rotation 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if it is too large,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he stent body 1100. Because it can allow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it may be necessary to design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within an appropriate numerical range.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preferably between 90% and 150% of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more preferably between 100% and 120%.

이상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를 설명한 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설계와 관련된 몇몇 측면(aspect)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n anti-stretching wire 150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and then some aspects related to the desig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ve been described.

이하에서는 상술한 개시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예시들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후술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예시들과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개시한 혈전 제거 기기(1000)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 가능한 사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ving various types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35 . However, from the descrip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isclosed with reference to FIG. 5 in relation to the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ving the anti-stretch wire 1500 to be described later, detailed information on matters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도 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7 .

도 7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에 연결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되며, 그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s a single strand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dispos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provided, the length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도 8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카테터로부터 해제된 후 자체 팽창을 통해 전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느슨한 상태로 결합부 간에 걸려있을 수 있다. 이후 풀 와이어(1300)를 통해 회수력이 인가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느슨한 상태이므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장력이 발생하지 않고,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의 증가할 수 있다. 이후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에 따라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에 도달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팽팽한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장력으로 인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가 종료되고,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reach a deployed state through self-expansion after being released from the catheter. At this time,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hung between the coupling parts in a loose state. Afterwards, when the recovery force is applied through the pull wire 1300, since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in a loose state, tension does not occur in the anti-stretch wire 1500, and thu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may increase. . Afterwards, a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ncrease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reaches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in a taut state, and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Due to this,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s terminated, and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 간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일정한 수준까지는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허용하되, 그 이상의 길이 증가는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스텐트 바디(110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as shown in FIG. 7 allows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up to a certain level, but prevents an increase in length beyond that, and consequent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

도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9 .

도 9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의 메쉬 구조체의 표면 상에 길이 방향에 따라 일렬로 위치하는 결합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 중 전위 결합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몸체부의 근위 말단, 후위 결합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결합부에서 스텐트 바디와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는 그 길이가 두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s provided as one strand connecting the coupling portions position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can be In this case, the potential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rear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nd extending between the two connection portion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in the coupling portion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연장부는 스텐트 바디의 내측, 외측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바디(1100)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가 내측에 위치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회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텐트 바디(1100)와 혈관벽과의 마찰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다. The extension may be disposed along the inside, outside of the stent body, or a combination thereof. Here, the extension may be disposed inside the stent body 1100 as shown in FIG. 9 . When the extension is located on the inside,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relatively free from friction between the stent body 1100 and the blood vessel wall that occur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연장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보다 그 설계가 용이할 수 있다. 또, 이와 달리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두 결합부 사이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셀(1103)을 안팍으로 통과함으로써 연장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 및 외부에 교대로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unlike shown in FIG. 9 , the extension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ent body 1100 . In this case, the design may be easier than that the extension is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by passing the anti-stretch wire 1500 in and out of the cell 1103 of the stent body 1100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inside and outside the stent body 1100. .

도 10을 참조하면, 풀 와이어(1300)로부터 회수력에 의해 초기 전개 상태에서 느슨한 상태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팽팽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 때,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장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단면상 스텐트 바디(1100)의 원주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연장부가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150)는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오는 혈전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는 그 내부 공간에 혈전을 소지하기 쉬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anti-stretch wire 1500, which is in a loose state in the initial deployed state by the recovery force from the pull wire 1300, may be in a taut state, and at this time, the extension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a stent.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110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 As such, the extension is not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nt body 1100, so the anti-stretch wire 1150 may not interfere with the inflow of a thrombus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stent body 1100 is It can be easy to carry a blood clot in its interior space.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다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000 according to FIG. 11 .

이상의 설명에서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대해 그 중심축 상에서 풀 와이어(1300)가 연결되는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메쉬 구조체의 표면 측에서 풀 와이어(13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tent body 1100 of the form in which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s been described as a reference, but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a stent. It may be connected to the pull wire 1300 on the surface side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body 1100 .

도 1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의 메쉬 구조체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 중 풀 와이어(1300)로부터 연장되는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한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고, 그 길이는 두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두 결합부는 각각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또는 풀 와이어(1300)에 위치할 수 있음) 및 원위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s on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pull wire 1300 among virtual surfaces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It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rand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ortions located, and the length thereof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At this time, the two coupling portions may be located at the proximal end (or may be located in the pull wire 1300)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respectively.

도 12 를 참조하면, 풀 와이어(1300)가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되는 지점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100)에 연결되는 두 결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에 작용하는 회수력과 그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장력이 동일한 선상에서 작용할 수 있고,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한 효과는 장력과 회수력이 동일 선상에서 작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향상될 수 있다. 12 ,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100. Two coupling portions are substantially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 recovery force acting on the stent body 1100 and the tension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act on the same line, and the effect by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that the tension and the recovery force do not act on the same line. can be improved than the case.

이상에서 혈전 제거 기기의 스텐트 바디의 원위부는 닫힌 형태나 열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중 특히 열린 형태의 원위부를 갖는 스텐트 바디(11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소지된 혈전이 열린 원위 단말을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또한, 닫힌 형태의 원위부를 이용하는 경우라도 원위 말단의 스트럿 배치 형태에 따라 혈전 이탈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혈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부 측에는 바스켓(1900)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distal portion of the stent bod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provided in a closed form or an open form. Among them, when the stent body 1100 having an open distal part is used, the thrombus carri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separated from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rough the open distal terminal. Also, even when a closed distal portion is used, thrombus disengagement may occur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struts at the distal end. A basket 1900 may be optionally provided on the distal side of the stent body 1100 in order to prevent the thrombus from separating.

바스켓(1900)은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에 연결되고,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바스켓(1900)은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에 들어온 혈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혈전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ket 19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 and may have a profile that decreases in diameter as it moves away from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 Through this, the basket 1900 may prevent a thrombus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stent body 1100 from escaping or may prevent a thrombus from escap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바스켓(1900)은 니티놀이나 니티놀 기반의 기억 형상 합금과 같은 고탄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형광 투시법 하에서 가시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스켓(1900)은 브레이딩(braiding) 등의 방식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스텐트 바디(1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The basket 190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with high elasticity, such as nitinol or a nitinol-based memory shape alloy,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high visibility under fluoroscopy if necessary. The basket 190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through a method such as braiding and then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tent body 1100 .

한편, 바스켓(1900) 중 넓은 직경을 가지는 근위 말단이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과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바스켓(1900)의 근위 말단 외에 바스켓(1900)의 일 위치에서 스텐트 바디(11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이를 통해 바스켓(1900)의 근위 말단은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스텐트 바디(1100)가 혈관벽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을 때도 혈관벽과 접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common that the proximal end having a wide diameter of the basket 190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but this is not always the case, and in addition to the proximal end of the basket 1900, at a position of the basket 19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through this, the proximal end of the basket 1900 may have a wid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and even when the stent body 1100 is not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lood vessel wall, can be contacted

한편, 본 명세서를 통해 상술한 예 또는 후술될 예의 혈전 제거 기기(1100)는 바스켓(19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혈전 제거 기기(1100)가 바스켓(1900)을 포함하는 경우,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100)과 연결되는 결합부가 바스켓(1900)상에 위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On the other h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100 of the example described above or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basket 1900, and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100 includes the basket 1900, an anti-stretch wire ( It is obvious that the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1100 may be located on the basket 1900 .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구현예(one implementation)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3 is a view showing one implement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1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의 메쉬 구조체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면 중 풀 와이어(1300)로부터 연장되는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한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고, 그 길이는 두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 중 전위 결합부는 풀 와이어(1300), 후위 결합부는 바스켓(1900)에 위치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이 일직선을 따라 길게 연장됨으로써 후위 결합부와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는 스텐트 바디(1100)의 긴 근위 말단을 따라 연장되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텐트 바디(1100)에 대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비율은 100%일 수 있다.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connects two coupling parts located on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pull wire 1300 among the virtual surfaces extending from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It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rand, the length of which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two joints. At this time, the front coupling part of the coupling part may be located in the pull wire 1300, the back coupling part in the basket 1900, and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is extended along a straight line so that it is connected to the back coupling par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retching wire 150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to be wide. At this time, the covering ratio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to the stent body 1100 may be 100%.

본 예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100%의 커버링 비율을 가지고, 전위 결합부 및 후위 결합부 사이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므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는 외력에 의해 늘어나지 않고 그 자연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is example has a covering ratio of 100%, and since it is provided with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al coupling part and the backside coupling part,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s not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and its natural may remain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또한, 풀 와이어(1300)가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되는 지점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100)에 연결되는 전위 및 후위 결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에 작용하는 회수력과 그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장력이 동일한 선상에서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int at which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the front and back coupling portions at which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100 are substantially on the same straight line are positioned on the stent body ( The recovery force acting on the 1100 and the tens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act on the same line.

이상의 설명에서는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복수일 수도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만 갖는 경우보다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갖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이용하면 도 9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쉬 구조체의 표면에 결합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장력의 불균형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one anti-stretching wire 1500 , but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used. It may be possible to more stably limit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s a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than when it has only one anti-stretch wire 1500, By using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symmetrically arrang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tension imbalance that occurs when the coupling part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mesh structure as shown in FIG. 9 or FIG. 11 .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상의 위치나 단면 상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다양한 조합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may vary.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arranged in various combinations defined by a posi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direction in a cross-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일 예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종단면에서 볼 때,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서로 다른 방사 방향 상에 배치될 때에는 이들의 배치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4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한 쌍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방향 상에 배치되고 다른 한 쌍은 상기 한 쌍과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 상 반대 방향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when viewed from a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are disposed o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their arrangement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two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For another example, the three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disposed in a form that forms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each other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For another example, one pair of the four anti-stretch wires 1500 is disposed o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other pair is on the central axis of the pair and the stent body 1100 . It is also possible to be arranged on the opposite direction.

다른 예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측면에서 볼 때,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상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 상 서로 다른 위치란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결합부의 위치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영역이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커버링 영역이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치는 형태, 인접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영역의 시작과 끝이 일치하는 형태, 인접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영역이 서로 이격되는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커버링 영역이 겹치는 경우에는 단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길이 변형에 저항하는 효과가 강해질 수 있다. 또 인접한 커버링 영역의 시작과 끝이 일치하는 형태는 길이 변형에 대한 저항력은 단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이용하는 경우가 유사할 수 있으나 스텐트 바디(1100)의 커버링 영역 전체에 걸쳐 비교적 균등한 저항력이 발생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또 인접한 커버링 영역이 서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커버링 영역 사이에서 길이 변형이 허용됨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의 유연성과 탄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tent body 1100 . Here, the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understood that at least some of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portions of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are different, in other words, that the covering area of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mea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have a form in which the covering area partially or entirely overlaps, the start and end of the covering area of the adjacent anti-stretch wire 1500 match, the adjacent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covering region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adjacent covering areas overlap, the effect of resisting length deformation may be stronger than when using a single anti-stretching wire 1500 .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tart and end of the adjacent covering area coincide with the shape, the resistance to length deformation may be similar to the case of using a single anti-stretch wire 1500, but a relatively uniform resistance force over the entire covering area of the stent body 1100 is There may be advantages that arise. In addition, when adjacent covering reg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 may be an effect of increas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the stent body 1100 as length deformation is allowed between the covering regions.

한편, 상술한 예시들에 따른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배치는 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상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들이 단면 상에서도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may be combined. For example, anti-stretch wires 1500 disposed at different poin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central axis even on a cross-section.

이러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배치와 관련된 몇몇 예시들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배치가 후술되는 예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Some example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 However,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도 1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예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서로 커버링 영역이 겹치는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2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하나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 및 원위 말단에 위치한 두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몸체부의 근위 말단 및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에 위치한 두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각각의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include two anti-stretch wires 1500 having overlapping covering areas with each other, and each anti-stretch wire 1500 is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 It may b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At this time, one of the two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provided as one strand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ortions located at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 and the other is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and one strand connecting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length of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two coupling portions. .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 와이어(1300)로부터 회수력이 인가되면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팽팽한 상태가 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커버링 영역 내에 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커버링 영역의 길이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동일한 커버링 영역에 중복해서 작용함으로써 단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작용하는 경우보다 그 효과가 증가할 수 있으며, 2 개의 안티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비대칭하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그 효과가 균등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칭 방지 효과가 균등하게 발생한다는 것은 스텐트 바디(1100)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그 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사방향에 미치는 효과가 비교적 균등하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5, when a recovery force is applied from the pull wire 1300, the two anti-stretch wires 1500 can be in a taut state, and by generating tension in the covering area of the stent body 1100, the covering area length increase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by overlapping the two anti-stretching wires 1500 to act on the same covering area, the effect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ingle anti-stretching wire 1500 acts, and the two anti-stretching wires 1500 are symmetrical. By being arranged so as to be, the effect can be more uniform than when it is arranged asymmetrically. Here, that the anti-stretching effect is uniformly generated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effects on the different radial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i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are relatively uniform.

도 1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예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각 커버링 영역의 시작과 끝이 일치하는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120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include three anti-stretch wires 1500 whose beginnings and ends are coincident with each other, and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a stent body 1100 .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each anti-stretch wire 1500 may form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each other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이 때, 인접한 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커버링 영역의 시작과 끝은 일치하더라도, 비교적 근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후위 결합부와 비교적 원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전위 결합부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상에 위치한 전위 결합부 및 후위 결합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되며, 그 길이는 각각의 전위 결합부 및 후위 결합부 사이의 자연거리보다 클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covering area of the two adjacent anti-stretching wire 1500 coincides, the potential coupling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located relatively distally and the rear coupling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located relatively proximal. The portions may not match, and each anti-stretch wire 1500 is provided as a single strand extending between the posterior and posterior junctions located on the stent body 1100, the length of which is the length of each potential junction. And it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rear coupling portion.

또 이 때, 3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에 가깝게 위치한 것, 원위 말단에 가깝게 위치한 것 및 그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구분되며, 3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과도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복수인 경우에는, 그 커버링 영역은 통합하여 고려될 수 있으며 도 14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 길이를 커버하는 경우에는 커버링 비율을 100%로 산출할 수 있다. Also at this time, the three anti-stretching wires 1500 are divided into those located close to the proxim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those located close to the distal end, and those located in between, the three anti-stretch wires 1500 Through this,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entir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prevented. As such,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provid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e covering area may be considered integrally, and as in the case of FIG. 14 ,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are provided in the stent body When the entire length of 1100 is covered, the covering ratio can be calculated as 100%.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풀 와이어(1300)로부터 스텐트 바디(1100)에 회수력이 인가되면 각 커버링 영역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팽팽해질 때까지 그 길이 증가가 허용되며, 각기 다른 방사방향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팽팽한 상태가 됨으로써 그로 인해 발생한 장력이 스텐트 바디(1100)에 스텐트 바디(1100) 전체에 대해 고르게 작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6, when the recovery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from the pull wire 1300, each covering area is allowed to increase in length until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taut, and each different radiation As the anti-stretch wire 1500 located in the direction is in a taut state, the resulting tension may act evenly on the stent body 1100 over the entire stent body 1100 .

이상의 설명에서는 혈전 제거 기기의 스텐트 바디가 싱글 세그먼트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텐트 바디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일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tent bod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single segment form, but the stent body may have a multi-segment form.

여기서, 세그먼트란 스텐트 바디를 형성하는 메쉬 구조체를 지칭하는 단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싱글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는 단일한 메쉬 구조체로 형성되는 스텐트 바디를 의미하고,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는 복수의 메쉬 구조체를 포함하는 스텐트 바디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멀티 세그먼트란 스텐트 바디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메쉬 구조체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segment may be understood as a unit referring to a mesh structure forming the stent body, and thus, the single segment type stent body means a stent body formed of a single mesh structure, and the multi-segment type stent body is It may mean a stent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That is, the multi-segment may be a form in which the stent body has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는 서로 복수의 메쉬 구조체와 메쉬 구조체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는 인접한 두 개의 메쉬 구조체에 그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직선형 와이어 또는 스트럿일 수 있다. The multi-segment stent body may have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and a bridge connecting the mesh structures to each other. Here, the bridge may be a straight wire or strut in which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adjacent mesh structures.

브릿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17에는 세그먼트가 두 개의 브릿지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브릿지가 하나이거나 셋 이상인 것도 가능하다. 브릿지는 연결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가 서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 바디(11)의 종단면에서 볼 ??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 number of bridge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s needed.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ows that the segments are connected by two bridges, bu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one bridge or three or more bridges. The bridge is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tent body 11 to prevent the two connecting segments from being twisted together. A symmetrical arrangement may be advantageous.

또 브릿지는 인접한 두 개의 세그먼트에 각각 연결되는데, 이때 브릿지는 세그먼트의 단부릍 통해 세그먼트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외의 지점에서 세그먼트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7을 살펴보면, 브릿지는 두 인접한 세그먼트 중 근위 방향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후단과 원위 방향에 배치된 세그먼트의 전단을 통해 두 세그먼트를 연결하고 있으나, 반드시 해당 지점을 통해 세그먼트를 연결해야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In addition, the bridge is connected to two adjacent segments,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bridge can be connected to the segment through only the end of the segment, as well as being connected to the segment at other points.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 the bridge connects the two segment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segment arrang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segment arranged in the distal direction among the two adjacent segments. However, the segments must be connec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point. that is not what

상술한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는 싱글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와 비교하여 혈전 초대 면에서 유리한 점을 가진다. The above-described multi-segment type stent body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the primary thrombus compared to the single-segment type stent body.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에는 인접한 메쉬 구조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브릿지는 스텐트 바디에 마우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The multi-segment stent body includes a bridge connecting adjacent mesh structures, and such a bridge may form a mouse structure in the stent body.

여기서, 마우스 구조란 비교적 촘촘한 개구를 갖는 메쉬 구조체의 셀과 달리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비교적 큰 사이즈의 개구를 형성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마우스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는 일반적으로 혈전의 크기보다 큰 사이즈를 가져 혈전이 개구를 통해 스텐트 바디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입구 역혈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의 마우스 구조란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사이에 브릿지가 위치한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브릿지 사이에는 혈전이 스텐트 바디(11)의 내부로 들어오기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mouse structure may refer to a structure that forms an opening of a relatively large size formed by a bridge, unlike a cell of a mesh structure having a relatively fine opening. The opening formed by the mouse structure generally has a siz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hrombus, so that the thrombus can cause inlet retrograde blood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ent body through the opening. In other words, the mouse struc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fer to a segment and a region in which a bridge is located between the segments, and a space sufficient for a thrombus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ent body 11 may be formed between the bridges.

상술한 마우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바디는 혈전 초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마우스 구조는 후술되는 도 17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텐트 바디가 파고들기 어려운 경혈전을 스텐트 바디 내부로 끌어들이는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마우스 구조의 기능에서 연혈전을 초대하는 것이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The stent body having the above-described mouse structure can perform thrombus invitation. In particular, the mouse structure has an advantage in attracting the menstrual thrombus, which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stent body, into the stent body as shown in FIG. 17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vitation of blood clots in the function of the mouse structure is not excluded.

한편, 메쉬 구조체의 셀 중 일부를 혈전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확장 셀(enlarged cell)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확장 셀과 마우스 구조는 기구적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으나, 기능적인 면에서는 유사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마우스 구조는 기구적 관점에서는 확장 셀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하나, 문맥에 따라 기능적 관점에서는 확장 셀을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some of the cells of the mesh structure as enlarged cells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a thrombus. .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ouse structur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expanded cell from a mechanical point of view, but should be understood as a generic term including the expanded cell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depending on the context.

또, 브릿지 사이의 공간은 스텐트 바디의 다른 셀보다 큰 확장 셀, 또는 입구(lnlet)로 지칭될 수 있으며, 입구의 크기는 브릿지의 길이 및 세그먼트의 직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혈전 제거 기기의 회수 과정에서 그 횡력에 의해 스텐트 바디가 변형되면 세그먼트의 직경이 줄어듬으로써 입구의 크기 및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bridges may be referred to as an expansion cell, or an inlet, which is larger than other cells of the stent body, and the size of the inlet may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bridge and the diameter of the segment. In addition, when the stent body is deformed by the lateral forc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e size and shape of the inlet may be deformed as the diameter of the segment is reduced.

이하에서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관하여, 스텐트 바디가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와 스텐트 바디가 세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멀티 세그먼트의 형태가 듀얼 세그먼트 형태(dual segment type)나 트리플 세그먼트 형태(triple segment type)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예시들로 스텐트 바디의 세그먼트의 개수가 언급된 예시와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spect to the anti-stretch wir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multi-segment stent body, a thrombus removal device in which the stent body has two segments and a thrombus removal device in which the stent body has three segments will be described as examples. do. However, the shape of the multi-segment is not limited to a dual segment type or a triple segment type, and in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stent body is different from the mentioned example. It will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7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19는 도 1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hape modific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17 , and FIG. 19 is FIG. 17 It is a view related to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두 개의 세그먼트(1110, 1130), 두 개의 세그먼트(1110, 1130)를 연결하는 브릿지(1123) -도 20 이하에서는 제1 브릿지로 지칭됨- 및 두 개의 세그먼트(1110, 1130) 사이에 형성되는 마우스 구조(1120) - 도 20 이하에서는 제1 마우스로 지칭됨 -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1110, 1130)는 스트럿에 의한 매쉬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브릿지(1123)는 그 양단이 근위 방향 측의 메쉬 구조체의 원위부와 원위 방향 측의 메쉬 구조체의 근위부에 연결되고 양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1123)는 두 세그먼트의 사이에 마우스 구조(1120)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is example has two segments 1110 and 1130 and a bridge 1123 connecting the two segments 1110 and 1130 - FIG. 2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bridge - and a mouth structure 1120 formed between the two segments 1110 , 1130 - referred to as a first mouse hereinafter in FIG. 20 . The segments 1110 and 1130 may be provided as a mesh structure by struts. In addition, the bridge 112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distal portion of the mesh structure on the proximal side and the proximal portion of the mesh structure on the distal direction side and extending between both ends,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from The bridge 1123 may form a mouse structure 1120 between the two segments.

도 18을 참조하면, 상술한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시술 지점에 배치되어 전개될 수 있다. 시술 지점 부근의 혈전은 전개 과정 또는 전개된 후 풀 와이어(1300)를 통한 스텐트 바디(1100)의 회수 과정에서 마우스 구조(1120)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 내부로 초대될 수 있다. 여기서, 풀 와이어(1300)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회수력이 인가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의 각각의 세그먼트(1110, 1130)는 그 길이 증가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우스 구조(1120)의 입구의 크기가 변형되고, 혈전 초대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혈전 제거 기기(1000)에서 단일의 세그먼트(1110)에만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도 19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설치되지 않은 세그먼트(1110, 1130)에 형성 변형이 유발되어 역시 마우스 구조(1120)의 입구의 크기가 변형될 수 있다. 또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구조(1120)의 입구의 변형 이외에도 전체적인 직경 변화가 발생하여 혈전 제거가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escribed above may be deployed and deployed at a treatment point. The thrombus near the treatment point may be invited into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mouse structure 1120 during the deployment process or the recovery process of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pull wire 1300 after deployment. Here, when the recovery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pull wire 1300, each segment 1110, 1130 of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increases its length. Accordingly, the shape may be deform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entrance of the mouse structure 1120 may be deformed, and the thrombus invitation may not be smoothly made.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installed only in a single segment 1110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shown in FIG. 17,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not installed as shown in FIG. 19, the segment 1110, Formation deformation is induced in 1130 , so that the size of the entrance of the mouse structure 1120 may also be defo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8 and 19 , in addition to the deformation of the entrance of the mouse structure 1120 , an overall diameter change occurs, so that the thrombus removal may not be performed smoothly.

따라서,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는 스텐트 바디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에 전반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refor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anti-stretching effect is applied to the segments constituting the stent body as a whole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using the multi-segment stent body.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에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커버링 영역이 배치되도록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An anti-stretch wire may be provided in a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multi-segment stent body so that a covering region is disposed on each segment.

일 예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에 단일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포함되고, 혈전 제거 기기는 단일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바디의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안티 스테리칭 와이어에 관련된 결합부가 복수의 세그먼트 중 가장 근위 방향에 배치되는 세그먼트의 일 지점(예를 들어, 근위 측 세그먼트의 근위부의 일 지점)과 가장 원위 방향에 배치되는 세그먼트의 일 지점(예를 들어, 원위 측 세그먼트의 원위부의 일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의 세그먼트 별로 커버링 영역이 형성되고, 단일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모든 세그먼트들의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a single anti-stretch wire is inclu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suppress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by using the single anti-stretch wire. Here, one point of the segment (eg, one point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proximal side segment) disposed in the most proximal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and one of the segments disposed in the distal direc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gments related to the single anti-stitching wire It may be located at a point (eg, a point on the distal portion of the distal side segment). Accordingly, a covering area is formed for each segment of the stent body, and a single anti-stretching wire can suppress an increase in length of all segments.

다른 예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에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포함되고, 혈전 제거 기기는 복수의 안티 스테리칭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텐트 바디의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각각 세그먼트 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의 세그먼트 별로 커버링 영역이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모든 세그먼트들의 길이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suppress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by using the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Here,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may be installed for each segment. Accordingly, a covering area is formed for each segment of the stent body, and a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may suppress an increase in length of all segments.

또 다른 예에 따르면, 혈전 제거 기기에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포함되되,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 중 적어도 일부와 관련된 결합부는 복수의 세그먼트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스텐트 바디에 두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설치되며,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최근위 측의 세그먼트와 중간에 위치한 세그먼트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중간에 위치한 세그먼트와 최원위 측의 세그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의 커버링 영역은 중첩되거나, 이격되거나 또는 하나의 커버링 영역의 종료 지점과 다른 하나의 커버링 영역의 시작 지점이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may be inclu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a coupling portion rela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egments. For example, two anti-stretching wires are installed in a stent body having three segments, one anti-stretching wire is connected to the segment located in the middle and the most proximal side, and the other anti-stretching wire is in the middle. It may be connected to a positioned segment and a segment on the distalmost side. Here, the covering areas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may overlap, be spaced apart, or be formed so that the end point of one covering area and the start point of the other covering area coincide.

한편, 멀티 세그먼트의 형태의 스텐트 바디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의 커버링 비율은 마우스 구조 부위를 제외하고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에서 커버링 영역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의해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발생하는 메쉬 구조체 영역일 수 있으며, 커버링 비율은, 마우스 구조를 제외한 매쉬 구조체들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전체 커버링 영역의 길이의 비로 정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vering ratio of the anti-stretch wire provided to the stent body in the form of a multi-segment can be calculated excluding the mouse structure. Specifically, in the multi-segment type stent body, the covering area may be a mesh structure area in which an anti-stretching effect occurs by an anti-stretching wire, and the covering ratio is the length of the entire covering area with respect to the total length of the mesh structures except for the mouse structure. can be defined as the ratio of

또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에는 브릿지의 위치를 고려하여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ti-stretch wire may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bridge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multi-segment stent body.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에 걸쳐 연결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브릿지에 의해 인접한 세그먼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사이즈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When the anti-stretching wire is connected over at least two segments to the multi-segmented stent body,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mouth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egments by the bridge connecting the adjacent segments as described above is the anti-stretching wire. can be determined by

일 예로, 인접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 간에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가로지르지 않으므로, 브릿지의 개구를 통한 혈전 초대를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의해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사이즈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인접한 두 개의 세그먼트가 중심축으로부터 방사 방향 상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2개의 브릿지로 연결되는 스텐트 바디의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 간에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와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connected between two adjacent segments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bridge. Since the anti-stretch wire thus arranged does not cross the opening formed by the bridge, it may not inhibit the invitation of the thrombus through the opening of the bridge. This may be interpreted as not reducing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mouth structure by the anti-stretching wire. As a more specific example, in the case of a stent body in which two adjacent segments are connected by two bridg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the anti-stretch wire connected between the two adjacent segments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bridge. can

다른 예로, 인접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 간에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와 상이한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를 가로지르므로, 브릿지의 개구를 통한 혈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의해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사이즈가 감소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인접한 두 개의 세그먼트가 중심축으로부터 방사 방향 상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2개의 브릿지로 연결되는 스텐트 바디의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 간에 연결되는 두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종단면에서 볼 때 각각 브릿지와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마우스 구조에 4개의 개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connected between two adjacent segments may be positioned on a different line from the bridge. Since the anti-stretch wire arranged in this way crosses the opening formed by the brid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rombus from leav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bridge. This may be interpreted as reducing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mouth structure by the anti-stretching wire. As a more specific example, in the case of a stent body in which two adjacent segments are connected by two bridg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a radial direction from a central axis, two anti-stretch wires connected between two adjacent segments are each viewed in a longitudinal section It may be arranged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bridge so that four openings are formed in the mouse structure.

한편,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에 걸쳐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는, 브릿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는 두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두 개의 브릿지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 하나의 브릿지가 있고,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가 브릿지와 대칭되게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두 세그먼트가 두 개의 브릿지로 연결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ti-stretch wire connected across at least two segments may perform the function of a bridge. For example, two anti-stretch wires connecting between adjacent segments may be two bridges. As another example, there is one bridge between adjacent segments, and the anti-stretching wire connecting the adjacent segments is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the bridge, so that it can have substantially the same effect as two segments are connected by two bridges. .

이하에서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에 관한 예시들을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examples of the anti-stretch wir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multi-segment stent bod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4 .

도 2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2개(도면 상에서1510, 1520으로 지칭됨)로 제공되어, 각각의 세그먼트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according to this example, two anti-stretching wires 1500 are provided (referred to as 1510 and 1520 in the drawing),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each segment.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결합부는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에 위치하며, 결합부와 연결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 때, 연장부는 세그먼트의 셀(1103)의 내부 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으나, 마우스 구조의 입구는 가로지르지는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is located in one segment, respectively, and the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may be longer than the natural length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 In this case, the extension may cross the inner region of the cell 1103 of the segment, but may be disposed not to cross the mouth of the mouth structure.

한편, 도 20에서는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사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동일한 방사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고,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 20, two anti-stretch wires 1500 are shown to be located i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may be locat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an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may be placed.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가 당겨지면, 제1 세그먼트(1110) 및 제2 세그먼트(1130)의 길이 증가는 제1 와이어(1510) 및 제2 와이어(1520)를 통해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세그먼트(1110) 및 제2 세그먼트(1130)의 직경 크기가 일정 범위내로 유지됨으로써 제1 마우스(1120)의 크기는 과도하게 축소되지 않고 제1 마우스(1120)의 형상은 과도하게 찌그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마우스(1120)의 입구는 혈전이 들어오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stent body 1100 is pull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the length increase of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second segment 1130 is through the first wire 1510 and the second wire 1520. It may be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ly, since the diameter sizes of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second segment 1130 ar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the size of the first mouse 1120 is not excessively reduced and the shape of the first mouse 1120 is excessively distorted. may not support Through this, the entrance of the first mouse 1120 may have a size sufficient for the thrombus to enter.

도 2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하나로 제공되어, 인접한 2개의 세그먼트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서로 다른 세그먼트에 위치하며, 결합부와 연결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길이보다 길게 제공되므로 초기 전개 상태에서 느슨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provided as one,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prevent an increase in length of two adjacent segments. The two coupling parts to which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re connected are located in different segments, and the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coupl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longer than the natural length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so the initial deployment It can have a loose shape in the state.

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두 결합부는 2 개의 제1 브릿지(1123)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 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브릿지(1123)를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마우스 구조의 입구를 가리지 않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coupl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be located on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any one of the two first bridges 1123, and through this,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he first bridge 1123 ) can be provided in a form that does not cover the entrance of the mouse structure by being placed side by side along the .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가 당겨지면, 제1 세그먼트(1110) 및 제2 세그먼트(1130)의 직경 크기가 일정 범위내로 유지됨으로써 제1 마우스(1120)의 크기는 과도하게 축소되거나 찌그러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브릿지(1123)가 굴곡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브릿지형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20)를 통해 제1 브릿지(1123)의 길이 변형은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마우스(1120)는 혈전과 결합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stent body 1100 is pull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the diameter size of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second segment 1130 is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whereby the size of the first mouse 1120 is excessive. It may not be reduced or crushed. Even when the first bridge 1123 includes a bend, length deformation of the first bridge 1123 through the bridge-type anti-stretch wire 1520 may be limited. As such, the first mouse 1120 may have a size sufficient to bind with a thrombus.

도 2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세 개의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으며, 세그먼트들의 사이에 두 개의 마우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마우스 구조를 형성하는 브릿지들은 마우스 구조 별로 엇갈려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 구조가 엇갈려 배치되면, 마우스 구조에 의한 개구의 유입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어 혈전 제거 기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혈전의 유입 방향이 다변화되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may have three segments, and two mouse structures may be formed between the segments. In this case, the bridges forming each mouse structure may be alternately arranged for each mouse structure. When the mouse structures are arranged alternately, the inflow directions of the openings by the mouse structures may b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re may be an advantage in that the inflow directions of the thrombus located outsid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re diversified.

다시 도 2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3개일 수 있으며(도면 상에서1510, 1520, 1530으로 지칭됨), 상술한 도 20과 같이 각각의 세그먼트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2,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cording to this example may be three (referred to as 1510, 1520, and 1530 in the drawing), an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each segment as in FIG. may be provided in the form.

여기서,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즉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스트레칭 방지 효과 및 설계상의 이점을 고려?I여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three anti-stretch wires 15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that is, in a form that forms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each other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 taking into account the anti-stretching effect and design advantages, it can be appropriately arranged.

또 여기서,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결합부는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에 위치하며, 결합부와 연결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길이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횡력이 가해지면 각 세그먼트의 길이는 연장부의 길이 내로 증가할 수 있다. Also, here,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is located in one segment, respectively, and the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e natural length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It can be provided for a long time. Through this, when a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 the length of each segment may increase within the length of the extension.

자세하게는,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가 당겨지면, 제1 세그먼트(1110), 제2 세그먼트(1130) 및 제3 세그먼트(1150)의 길이 증가는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통해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처럼 각 세그먼트의 직경 변화가 방지됨으로써 제1 마우스(1120) 및 제2 마우스(1140)의 크기 및 형상은 혈전이 통과하기 용이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tent body 1100 is pull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the length increase of the first segment 1110, the second segment 1130 and the third segment 1150 is three anti-stretch wires Through 1500, it can be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by preventing the diameter change of each segment in this way,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mouse 1120 and the second mouse 1140 can be maintained at a level that is easy for the thrombus to pass through. can

도 23을 참조하면,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세 개의 세그먼트 및 두 개의 마우스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도 2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xample may have three segments and two mouse structures, and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shown in FIG. 22 . It may be arranged differently from that shown in .

다시 말해,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2 개일 수 있으며(도면 상에서1510, 1520으로 지칭됨),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인접한 2개의 세그먼트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re may be two anti-stretching wires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xample (referred to as 1510 and 1520 in the drawing), and as shown in FIG. 21 ,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adjacent to each other.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events an increase in length of the two segments.

여기서,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두 결합부는 서로 다른 세그먼트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근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10)의 후위 결합부와 상대적으로 원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20)의 전위 결합부가 위치하는 제2 세그먼트(1130)는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상술한 후위 결합부와 전위 결합부 사이의 위치관계에 따라 그 스트레칭 방지 효과가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two coupling portions of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be located in different segments, and the rear coupling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10 located relatively proximal and the anti-stretching wire 1520 located relatively distally. The second segment 1130 in which the potential coupling part is located may be affected by the two anti-stretch wires 1500, and the anti-stretching effec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bove-described back coupling part and the potential coupling part. can

또 여기서,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하나의 브릿지를 사이에 두고 그 브릿지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대적으로 근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10)의 두 연결부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제1 브릿지(1123)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원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20)의 두 연결부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제2 브릿지(1143)와 동일 선상에 위치함으로서 각 두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1 브릿지(1123) 및 제2 브릿지(1143)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제공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방사상 위치는 두 브릿지(1123, 1143)의 방사상 위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Also, here, the two coupling portions to which on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the bridge with one bridge therebetween. In other words, the two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two connect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10 located relatively proximal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bridge 1123, and the two connect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20 located relatively distally and Since the two connecting portions to be connected ar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bridge 1143 , an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two connecting portions may be disposed along the first bridge 1123 and the second bridge 1143 . Through this, the radial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 wires 1500 provi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signed to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radial positions of the two bridges 1123 and 1143 .

이때, 연장부의 길이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길이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초기 전개시 슬랙을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각 세그먼트의 길이 증가에 따라 팽팽한 상태가 되고,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브릿지(1123) 및 제2 브릿지(1143)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may be provided longer than the natural length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and through this,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ving a slack during initial deployment is in a taut state as the length of each segment increases, and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first bridge 1123 and the second bridge 1143 .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본 예의 풀 와이어(13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메쉬 구조체의 표면 측에서 연결될 수 있으며, 풀 와이어(1300)가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되는 지점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하나가 연결되는 두 결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작용하는 회수력과 장력이 동일 선상에서 작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상대적으로 근위에 배치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풀 와이어(1300)와 일치시킴으로써 다른 영역에 비해 그 길이 증가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부, 또는 제1 세그먼트(1110)의 형상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3 , the pull wire 1300 of this example may be connecte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mesh structure of the stent body 1100 , and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the anti-stretch wire Two coupling portions to which one of 1500 is connected may be located on substantially the same straight line.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overy force and the tension acting on the stent body 1100 can act on the same line. By matching with 1300 , shape deformation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stent body 1100 , or the first segment 1110 , which may easily increase its length compared to other region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회수 과정에서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에 횡력이 인가되면, 제1 세그먼트(1110), 제2 세그먼트(1130) 및 제3 세그먼트(1150)의 길이 증가는 2 개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통해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마우스(1120) 및 제2 마우스(1140)의 크기 및 형상은 혈전이 통과하기 용이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When a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in the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first segment 1110 , the second segment 1130 , and the third segment 1150 ) The increase in length may be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e two anti-stretching wires 1500, through which the size and shape of the first mouse 1120 and the second mouse 1140 are at a level at which a thrombus can easily pass through. can be maintained

도 24를 참조하면,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2개일 수 있고, 그 중 하나(1520)는 도 2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형태, 다른 하나(1510)는 도 21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xample may be two, one 1520 of which is in the form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of FIG. 20 , the other 1510 )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FIG. They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상술한 것과 같이, 풀 와이어(1300)가 스텐트 바디(1100)에 연결되는 지점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연결되는 결합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의한 스트레칭 방지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에 작용하는데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를 모두 풀 와이어(1300)와 동일 선상에 배치하기 위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일부는 도 20, 다른 일부는 도 2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ull wire 1300 is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the coupling portion where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substantially on the same straight line, anti-stretch The anti-stretch effect by the wire 1500 may have an advantage in acting on the stent body 1100 . Therefore, in order to arrange all of the anti-stretching wires 1500 provid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n the same line as the pull wires 1300, some of the anti-stretching wires 1500 are in the form of FIG. 20, and the other part is in the form of FIG. It may be provided a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implemented in other forms not mentioned in the above description.

한편, 초기 전개시 느슨한 상태를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에 인가된 회수력에 의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팽팽한 상태가 될 수 있고, 팽팽한 상태를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에 회수력과 반대 방향의 장력을 인가하여 스텐트 바디(1100)의 추가적인 길이 증가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 때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풀 와이어(1300)가 연결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일 지점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그 효과가 제대로 발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nti-stretch wire 1500 having a loose state during initial deployment may be in a taut state as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is changed by the recovery force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and having a taut state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may limit an additional increase in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by applying a ten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covery force to the stent body 1100, at this time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a pull As the wire 1300 is positioned substantially on the same line as a point of the stent body 1100 to which the wire 1300 is connected, the effect can be properly exhibited.

이상의 설명에서는 싱글 세그먼트 또는 멀티 세그먼트의 단일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혈전 제거 기기는 복수의 스텐트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single stent body of single segment or multi-segment has been described, bu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nt bodies.

독립적인 스텐트 바디란 일체(unibody)를 이루는 단일의 메쉬 구조체 또는 메쉬 구조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독립된 스텐트 바디란 다른 메쉬 구조체에 연결되지 않은 메쉬 구조체 또는 그 집합(a mesh structure or a group thereof)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메쉬 구조체가 브릿지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된 경우에는 비록 복수의 메쉬 구조체라하더라도 이는 단일의 스텐트 바디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메쉬 구조체가 서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메쉬 구조체가 복수의 스텐트 바디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independent stent body may refer to a single mesh structure or a set of mesh structures forming a unibody. In other words, an independent stent body may mean a mesh structure not connected to another mesh structure or a set thereof (a mesh structure or a group thereof).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ridge or the like,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this may be interpreted as a single stent body. 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should be interpreted as a plurality of stent bodies.

여기서, 서로 연결되지 않은 메쉬 구조체란 어느 하나의 메쉬 구조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회수력 등이 다른 메쉬 구조체로 전달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텐트 바디들은 서로 간에 힘의 전달이 어려워, 복수의 스텐트 바디에는 각각 개별의 풀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풀 와이어에 연결되는 메쉬 구조체는 서로 다른 스텐트 바디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mesh structures that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may mean that the recovery force applied to move one mesh structure is not transmitted to the other mesh structure. Therefore, in general, it is difficult for the plurality of stent bodies to transmit force to each other, and individual pull wires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ent bodies. In other words, the mesh structures connected to different pull wires may be understood as different stent bodies.

또한, 서로 연결되지 않은 메쉬 구조체란 서로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한 메쉬 구조체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메쉬 구조체가 서로 다른 풀 와이어에 연결되어 복수의 풀 와이어의 조작에 따라 메쉬 구조체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면 이를 서로 연결되지 않은 메쉬 구조체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복수의 풀 와이어를 동시에 동일하게 조작하여 메쉬 구조체를 함께 움직일 수 있다하더라도 이는 여전히 서로 독립적인 메쉬 구조체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a mesh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may mean a mesh structure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if each mesh structure is connected to a different pull wire so that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esh structures is possible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a plurality of pull wires, this may be understood as a mesh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Of course, even if a plurality of pull wires can be simultaneously manipulated to move the mesh structure together, this should still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mesh structure.

한편, 풀 와이어 등을 통한 회수력에 의해 실질적으로 일체로 동작하지 않는 메쉬 구조체들은 비록 회수력 등의 전달이 어려운 단순한 스트럿, 스트링이나 와이어 등으로 연결되어 있더라도 이는 별도의 스텐트 바디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풀 와이어가 서로 체결되는 등의 형태로 단일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복수의 풀 와이어가 동일하게 조작되어 복수의 메쉬 구조체가 일체로 이동하더라도 이는 역시 별도의 스텐트 바디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sh structures that do not operate substantially integrally by the recovery force through the pull wire, etc. may be understood as separate stent bodies, even if they are connected by simple struts, strings, or wires, etc., which are difficult to transmit the recovery force. will be. Similarly, even if a plurality of pull wires are equally manipulated by a single user's manipulation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ull wires being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mesh structures are moved integrally, this will also be understood as a separate stent body.

이하에서는 멀티 바디 타입의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두 개의 스텐트 바디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듀얼 바디 타입의 혈전 제거 기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멀티 바디 타입의 혈전 제거 기기의 스텐트 바디의 개수가 반드시 두 개여야만 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Hereinafter, a multi-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thrombus removal device (dual 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including two stent bodi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number of stent bodies of the multi-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two.

도 25는 본 명세서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 및 도 27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서로 다른 상태에 관한 도면이고, 도 28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에 관한 측면도이고, 도 29는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동작에 관한 분해도이다.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S. 26 and 27 are views of different stat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and FIG. 28 is It is a side view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and FIG. 29 is an exploded view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도 25 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A, 1100B) -이하에서는 (1100)으로 표기함-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텐트 바디(1000)는 세그먼트와 마우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스텐트 바디(1100)가 풀 와이어(1300)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조작됨으로써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위치관계는 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연혈전을 포획하기에 적합한 형태 또는 경혈전을 포획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two stent bodies 1100A and 1100B (hereinafter referred to as (1100)). Each stent body 1000 may include a segment and a mouse structure. Each stent body 1100 is connected to the pull wire 1300 and operated independently, so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can be changed. Through th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modified into a shape suitable for capturing a soft thrombus or a shape suitable for capturing a menstrual thrombus.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formed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여기서, 제1 상태는 혈전과 결합(engaging)하기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1 상태인 것에 대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혈전 결합 모드(clot engaging mode)로 동작하는 것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 스텐트 바디(1100)와 혈전의 결합은 주로 연혈전에 관한 것이므로, 이를 연혈전 모드(soft-clot mode)로 지칭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겠지만,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혈전 결합 모드는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가 마우스 구조와 메쉬 구조체가 서로 엇갈려(staggered)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가 다른 스텐트 바디(1100)의 메쉬 구조체로 인해 닫히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혈전 게거 기기(1000)가 제1 상태인 것에 대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폐쇄 배열(closed configuration)을 갖는다고 지칭할 수도 있다. Here, the first state may be a form suitable for engaging with a thrombus. Accordingly,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 a clot engaging mode. In addition, since the coupling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thrombus is mainly related to the thrombus, it may be referred to as a thrombus mode (soft-clot mode). Also,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thrombus coupling mod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mouse structur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is staggered and the mouse structure and the mesh structure are staggered, so that the mouse structure of the one stent body 1100 is different. Since it may be implemented by being closed due to the mesh structure of 1100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referred to as having a closed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tate.

또 여기서, 제2 상태는 혈전을 초대(inviting)하고, 포획(capturing)하기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2 상태인 것에 대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혈전 초대 모드(clot inviting mode) 또는 혈전 포획 모드(clot capturing)로 동작하는 것으로 지칭할 수 있다. 또 스텐트 바디(1100)와 혈전의 초대 및 수용은 주로 경혈전에 관한 것이므로, 이를 경혈전 모드(hard-clot mode)로 지칭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겠지만,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혈전 초대 모드나 혈전 포획 모드는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가 마우스 구조와 메쉬 구조체의 배치가 서로 일치하게(correspoing to each other) 배열됨으로써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와 다른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가 서로 겹쳐(overlapped) 마우스 구조의 개구가 열리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혈전 게거 기기(1000)가 제2 상태인 것에 대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개방 배열(open configuration)을 갖는다고 지칭할 수도 있다.Also, here, the second state may be a form suitable for inviting and capturing a thrombus. Accordingly,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second state,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 a clot inviting mode or a clot capturing mode. In addition, since the invitation and recep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thrombus is mainly related to the menstrual thrombus,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hard-clot mode. Also,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thrombus invitation mode or the thrombus capture mod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two stent bodies 1100 are arranged so that the mouse structure and the mesh structure are arranged to match each other (correspoing to each other), so that one stent body Since the mouse structure of 1100 and the mouse structure of the other stent body 1100 overlap each other and can be implemented by opening the opening of the mouse structur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second state to remove the thrombus The device 1000 may also be referred to as having an open configuration.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혈전 모드라는 용어가 경혈전의 결합을 배제하거나, 반대로 경혈전 모드라는 용어가 연혈전의 결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로, 혈전 결합 모드라는 용어가 혈전의 초대를 배제하거나, 반대로 혈전 포획 모드가 혈전의 결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t is clarified in advance that the term thrombus mode excludes the binding of the thrombus, or, conversely, the term thrombus mode does not exclude the binding of the thrombus. Similarly, the term thrombus binding mode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invitation is not excluded, or conversely, the thrombus capture mode does not exclude the binding of the thrombus.

보다 구체적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두 개의 스텐트 바디(10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5 , the two stent bodies 1000 may include a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cond stent body 1100B.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모두 상술한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1000)일 수 있다. Both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the above-described multi-segment stent body 1000 .

제1 스텐트 바디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세그먼트와 두 개의 마우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 개의 세그먼트는 근위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배열되는 제1 세그먼트(1110A), 제2 세그먼트(1130A) 및 제3 세그먼트(115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두 개의 마우스 구조는 제1 세그먼트(1110A)와 제2 세그먼트(1130A)에 위치하는 제1 마우스(1120A) 및 제 2 세그먼트(1130A)와 제3 세그먼트 (1150A)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마우스(1140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tent body may include three segments and two mouse structures as shown in FIG. 25 . Here, the three segments may include a first segment 1110A, a second segment 1130A, and a third segment 1150A arranged in an order from proximal to proximal. Also here, the two mouse structures are a first mouse 1120A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egment 1110A and the second segment 1130A, and a second mous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egment 1130A and the third segment 1150A. A mouse 1140A may be included.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세그먼트와 하나의 마우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세그먼트는 근위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배열되는 제5 세그먼트(1110B) 및 제6 세그먼트(1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여기서, 마우스 구조는 제5 세그먼트(1110B)와 제6 세그먼트(1130B) 사이에 위치하는 제5 마우스(112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include two segments and one mouse structure as shown in FIG. 25 . Here, the two segments may include a fifth segment 1110B and a sixth segment 1130B arranged in an order from proximal to proximal. Also, here, the mouse structure may include a fifth mouse 1120B positioned between the fifth segment 1110B and the sixth segment 1130B.

한편, 도 25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모두 멀티 세그먼트 형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두 스텐트 바디(1100)가 모두 멀티 세그먼트 형태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듀얼 바디 타입의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마우스 구조의 개구가 개폐(open/close)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25, it has been described that both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have a multi-segment shape, but both stent bodies 1100 must be in a multi-segment shape. not.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ual 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a stent body of a suitable shape to perform a function of opening/closing the opening of the m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 1100 , which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구체적으로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 중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마우스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 중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는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의 마우스 구조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은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ent body 1100 of any on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be provided in a multi-segment form, and thus may include at least one mouse structure. In addition, the other stent body 1100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have segment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mouse structures of any one stent body.

예를 들어, 상술한 도 25를 참조해 설명한 혈전 제거 기기(1000)를 다시 살펴보면, 제1 스텐트 바디(1100A)는 두 개의 마우스 구조를 가지는 트리플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로 제공되며,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의 개수와 동일한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더블 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1100)로 제공되고 있다.For example, looking back a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5 described above, the first stent body 1100A is provided as a triple segment stent body having two mouse structures,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provided as a stent body 1100 in the form of a double segment having two segments equal to the number of mouse structure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다른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가 쿼드러플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면,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는 트리플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가 더블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면,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는 싱글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또 다른 예를 들어,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가 모두 더블 세그먼트 형태 또는 트리플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any one stent body 11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quadruple segment, the other stent body 1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riple segment. For another example, when any one stent body 1100 is provided in a double segment form, the other stent body 1100 may be provided in a single segment form. As another example, both stent bodies 1100 may be provided in a double segment form or a triple segment form.

즉, 본 명세서의 듀얼 바디 형태의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는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와 멀티 세그먼트 형태 또는 싱글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의 개수는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많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마우스 구조의 개수는 세그먼트의 개수보다 1개 작으므로, 본 명세서의 듀얼 바디 형태의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1개 차이일 수 있다.That is, the dual 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one stent body 1100 provided in a multi-segment form and the other stent body 1100 provided in a multi-segment form or a single segment form.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other stent body 1100 should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the mouse structures of any one stent body 1100 . In general, since the number of mouse structures is one less than the number of segments, the dual body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by on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개폐(open/close)를 수행하기 위해 두 스텐트 바디의 서로 대응되는 마우스와 세그먼트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pen/close the opening of the mous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 length of the mouse and the segmen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two stent bodies are substantially the same. may be desirable.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내측에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위치하거나 반대로 제1 스텐트 바디(1100A)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삽입되거나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제1 스텐트 바디(1100A)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내측에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back to FIG. 25 , any on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other one. For example,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or conversely,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b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n other words,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or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본 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가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에 삽입되지만, 후술되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메쉬 구조체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메쉬 구조체가 단일한 메쉬 구조체와 유사한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내부로 삽입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이 외부에 배치되는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보다는 작지만 거의 비슷한 수치일 수 있다.In this example, any one stent body 1100 is inserted into another stent body, but in a first state to be described later, the mesh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mesh structur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re single In order to form a shape similar to one mesh structure, the diameter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or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inserted therei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disposed outside, but almost It could be a similar number.

이에 따라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원주면과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원주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두 스텐트 바디(1100)의 메쉬 구조체가 서로 엇갈려 배열(제1 상태)되면 마치 하나의 메쉬 구조체처럼 거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extend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and the mesh structure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are alternately arranged (first state), it can behave like a single mesh structure.

한편,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에는 바스켓(1900)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스켓은 두 스텐트 바디(1100) 중 적어도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원위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바스켓(1900)은 바람직하게는 두 스텐트 바디(1100) 중 외측에 배치되는 스텐트 바디(1100)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xample may optionally include a basket 1900 , and the basket may be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at least on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 Here, the basket 1900 may be advantageously disposed on the stent body 110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에는 두 개의 풀 와이어(1300A, 1300B) -이하에서는 (1300)으로 표기함-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풀 와이어 중 제1 풀 와이어(1300A)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연결되고, 제2 풀 와이어(1300B)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스텐트 바디(110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5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two pull wires 1300A and 1300B, hereinafter referred to as 1300 . Specifically, the first pull wire 1300A of the two pull wire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pull wire 1300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ccordingly, force may be transmitted to each stent body 1100 .

또, 두 개의 풀 와이어(1300)는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두 풀 와이어(1300)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풀 와이어(1300)는 독립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또 둘 풀 와이어(13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두 풀 와이어(1300)가 일체로 조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풀 와이어(130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두 풀 와이어(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를 일체로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의 변화를 위해 사용자는 서로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의 풀 와이어(1300)를 이용해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후술될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상태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고정한 채로 혈전 제거 기기(10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서로 간에 결합된 상태의 풀 와이어(1300)를 이용해 두 스텐트 바디(1100)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두 스텐트 바디(1100)를 일체로 움직이기 위해 반드시 두 개의 풀 와이어(1300)를 결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두 풀 와이어(1300)에 동시에 동일한 조작을 별도로 가하더라도 풀 와이어(1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물리적으로 풀 와이어(1300)가 결합된 것에 비해 결합되지 않은 두 개의 풀 와이어(1300)에 동일한 조작을 입력하는 것에는 사용자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풀 와이어(1300)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두 스텐트 바디(1100)를 일체로 움직이는데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pull wires 13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is released, each pull wire 1300 may be operated independently. 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two pull wires 13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wo pull wires 1300 may be operated integrally.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two pull wires 1300 is released, the user can independently operate the two stent bodies 1100,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two pull wires 1300 are coupled, the user can use the two stent bodies ( 1100) can be operated integrally. For example, for a change between a first state and a second stat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be described later, the user uses the pull wire 1300 in a state in which coupling is released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relative positions can be adjusted. For another example, in order to mov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while fixing the stat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be described later as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user may use the pull wire 1300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two stent bodies 1100 can be moved integrally.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combine the two pull wires 1300 to move the two stent bodies 1100 as one, for example, even if the same operation is separately applied to the two pull wires 1300 at the same time, the pull wire ( 1300) can obtain the same effect as operating in the combined state. However, since an error may occur by the user in inputting the same operation to the two pull wires 1300 that are not physically coupled compared to those in which the pull wire 1300 is physically coupled, the two pull wires 1300 are physically It may be advantageous to combine the two stent bodies 1100 as one.

예시적으로 두 풀 와이어(1300)의 결합은 물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잠금 구조(locking mechanism)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of the two pull wires 1300 may be physically made, for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ocking mechanism or the like.

일 예에 따르면, 두 풀 와이어(1300) 중 어느 하나는 중공형 와이어로 제공되고, 다른 하나가 어느 하나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잠금 구조는 외부로부터 중공형 와이어에 압력을 인가하여 두 풀 와이어(1300) 간에 마찰력에 의해 두 와이어를 결합시키거나 압력을 해제하여 두 풀 와이어(1300)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사용자 또는 로봇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any one of the two pull wires 1300 is provided as a hollow wire, and the other one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In this case, the locking structure may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by applying pressure to the hollow wire from the outside to couple the two wires by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or release the pressure. The lock can be operated by a user or a robot.

다른 예에 따르면, 두 풀 와이어(1300)가 서로의 길이 방향의 측면을 따라 인접 배치되고, 두 풀 와이어(1300)의 길이 방향 상 두 풀 와이어(1300)가 중첩되는 일 지점에 두 풀 와이어(1300)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하는 형태로 잠금 구조가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wo pull wires 13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side of each other, and two pull wires 1300 overlap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o pull wires 1300. 1300),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 locking structure in the form of fastening or releasing the fastening.

또 여기서, 혈전 제거 기기(1000)에는 선택적으로 회전 방지 구조(anti-rotating mechanism)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회전 방지 구조는 두 스텐트 바디(1100) 간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Als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n anti-rotating mechanism. The anti-rotation structure may prevent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

두 스텐트 바디(1100) 가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두 스텐트 바디(1100) 에 각각 포함되는 마우스 구조의 브릿지 간의 배치 관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 회전 방지 구조는 두 스텐트 바디(1100) 의 상대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두 스텐트 바디(1100) 의 브릿지들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마우스 구조의 개구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two stent bodies 1100 rotate relatively,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bridges of the mouse structure included in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be chang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the opening of the mouse structure may be changed. The anti-rotation structure prevents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bridge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size of the opening of the mouth structure.

여기서, 회전 방지 구조는 두 풀 와이어(1300) 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두 스텐트 바디(1100) 간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Here, the anti-rotation structure may indirectly prevent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by preventing the rotation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

예를 들어, 두 풀 와이어(1300) 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구조는, 중공형으로 제공되는 풀 와이어(1300) 의 내경면과 그 내부에 삽입되는 풀 와이어(1300)의 외경면에 형성되는 서로 상보적이고, 상대 회전을 억제하는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지 구조는 외측 풀 와이어(1300)의 내경면과 내측 풀 와이어(1300)의 외경면에 형성되는 사각형이나 십자가형의 단면 패턴으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i-rotation structure for preventing rotation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pull wire 1300 provided in a hollow shape and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pull wire 1300 inserted therein. It may be provided in a pattern that i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inhibits relative rotation. Specifically, the anti-rotation structure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or cross-sectional pattern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outer pull wire 1300 and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inner pull wire 130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may be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1 상태일 때,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는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의 개구를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가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또는 마우스 구조)가 서로 엇갈려 배열됨에 따라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the two stent bodies 1100 are arranged to close the opening of the mouth structure of one stent body 1100 and the segment of the other stent body 1100 to close. can Specifically, as the segments (or mouse structure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have a first state.

구체적으로 도 26을 참조하면,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마우스 구조가 세그먼트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에 의해 가려질(cover) 수 있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마우스 구조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구조들의 개구가 폐쇄되며, 외관 상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가 하나의 메쉬 구조체를 이루는 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스텐트 바디(1100)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튜브 형태의 단일한 메쉬 구조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최근위 지점으로부터 최원위 지점까지 셀 구조나 메쉬 구조를 통해 혈전과 결합할 수 있게 되어 혈전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6 , at least one of the segments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mouse structure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so that the mouse structure may be closed by the segment. In other words, the mouth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be covered by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nd the mouse structur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the first stent body 1100A. ) can be obscured by a segment of Accordingly, the openings of the mouse structures are closed, and in appearance,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forming one mesh structure. As such, when the stent bodies 1100 have a shape similar to a single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single tube as a whole, from the most proximal point to the most distal point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o combine with a thrombus through a cell structure or mesh structure. This can facilitate thrombus binding.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2 상태일 때,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는 서로 마우스 구조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또는 마우스 구조)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됨에 따라 혈전 제거 기기가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second state,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mouse structures overlap each other. Specifically, as the segments (or mouse structure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are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have a second state.

구체적으로 도 27을 참조하면,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게 배치됨으로써 마우스 구조가 개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마우스 구조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마우스 구조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우스 구조들의 개구가 개방되며,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외관 상 마우스 구조를 갖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의 단일한 스텐트 바디(1100)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스텐트 바디(1100)들에 의해 마우스 구조가 형성되면, 마우스 구조를 통해 혈전 초대가 용이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7 , at least one of the segments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segment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thereby opening the mouse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mouth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be opened by the mouth structur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nd the mouth structur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the first stent body 1100A. Can be opened by mouse structures. Accordingly, the openings of the mouse structures are opened,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single stent body 1100 having a multi-segment shape having a mouse structure in appearance. When the mouse structure is formed by the stent bodies 110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easy to invite a thrombus through the mouse structure.

본 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두 스텐트 바디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간의 상태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may perform a state transformation betwee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wo stent bodies.

구체적으로 두 풀 와이어(1300)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풀 와이어(1300)를 조작하여 두 스텐트 바디(1100)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간의 상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two pull wires 1300 is released, by manipulating any one pull wire 1300 to move any on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 state transformation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is can be performed.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초기에 제1 상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의 오프닝 영역이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에 의해 가려지는 것에 의해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마우스(1120A)는 제5 세그먼트(1110B)와, 제2 마우스(1140A)는 제 6 세그먼트(1130B)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제5 마우스(1120B)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제2 세그먼트(1130A)와 대응되게 배치됨에 따라 혈전 제거 기기는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28 and 29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initially have a first state. In detail,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have a first state because the opening region of the mouth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is covered by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at is, the first mouse 1120A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fth segment 1110B, the second mouse 1140A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ixth segment 1130B, and the fifth mouse 1120B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segment 1130A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so tha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have a first state.

이때, 제1 풀 와이어(1300A)와 제2 풀 와이어(1300B)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는 조작을 가하지 않고, 제2 풀 와이어(1300B)만을 조작하여 제2 스텐트 바디(1100B)를 스텐트 바디의 길이 방향 상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두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가 서로 겹칠 ??까지 제2 풀 와이어(1300B)를 통해 제2 스텐트 바디(1100B)를 이동시키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first pull wire 1300A and the second pull wire 1300B is released, the first stent body 1100A is not subjected to manipulation, and only the second pull wire 1300B is operated to the second The stent body 1100B may be moved in the proxim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When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moved through the second pull wire 1300B until the mic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overlap each other,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s a second state. can

물론, 상술한 바와 달리, 제1 스텐트 바디(1100A)를 이동시켜 상태 변형을 하거나 근위 방향이 아닌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상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또,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상태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경하는 것과 반대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Of course, unlike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tat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by moving the first stent body 1100A to change the state or by moving it in the distal direction instead of the proximal direction. In addition, as opposed to changing the stat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hange the state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한편,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서로 겹쳐짐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가 제2 상태에 도달하면, 스트럿(1101)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트(1110)의 셀(1103)과 제5 세그먼트(1110B)의 셀(1103)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혈전 제거 기기(1000)에서 혈전과 접촉하는 스트럿(1101)은 조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트럿(1101)은 혈전과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overlap each other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reaches the second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ts 1101 may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cell 1103 of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cell 1103 of the fifth segment 1110B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he strut 1101 in contact with the thrombus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can be densely located. Through this, the strut 1101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easily coupled to the thrombus.

이상에서 설명한 복수의 스텐트 바디(1100)를 포함하고, 스텐트 바디(1100)들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간의 변형이 가능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경우에는,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1000)와 달리 회수 과정뿐만 아니라 상태 변형을 위해 스텐트 바디(110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도 길이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cluding the plurality of stent bodies 1100 described above and capable of being deformed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ent bodies 1100, one stent body Unlik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ving 1100 , length deformation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latively moving the stent body 1100 for state change as well as the recovery process.

또한, 상술한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마우스 구조와 세그먼트를 이용해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가 다른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므로, 세그먼트와 마우스 구조 간의 길이 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어 횡력에 의한 길이 변형이 거의 없는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마우스 구조는 회수력 등과 같이 길이 방향의 힘을 인가받더라도 실질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지만, 메쉬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는 세그먼트는 길이 방향의 힘에 의해 길이 변형이 쉽게 일어나므로, 회수 과정이나 두 스텐트 바디(1100) 간의 상대적인 이동 중에 세그먼트의 길이가 마우스 구조의 길이보다 커져 마우스와 세그먼트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마우스 구조의 일부가 세그먼트에 의해 가려질 가능성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forementioned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uses a mouse structure and segment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he segment of one stent body 1100 closes or opens the mouse of the other stent body 1100, It may be important that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segment and the mouse structure remains constant. Specifically, the mouth structure formed by the bridge provided in the form of a wire and having little length deformation due to lateral force maintains a substantially constant length even when a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recovery force is applied, but the segment formed by the mesh structure is Since length deformation occurs easily by th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egment becom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mouse structure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r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so even if the mouse and the segment are plac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 part of the mouse structure is likely to be obscured by the segment.

도 30은 도 2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형상 변형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30 is a view of an example of a shape modific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25 .

도 30을 참조하면, 복수의 스텐트 바디(1100)를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상태 변형을 위한 횡력이 어느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에만 인가되면, 해당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들의 길이 증가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마우스 구조의 길이보다 보다 세그먼트의 길이가 커지고, 이로 인해 마우스 구조의 입구가 부분적으로만 개방되거나 개방될 수 없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2 상태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0 , when a lateral force for state transformation is applied to only one stent body 1100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cluding a plurality of stent bodies 1100 , the segments of the stent body 1100 are When the length increases, the length of the segment becom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mouse structure, and this causes the entrance of the mouse structure to be partially opened or cannot be opened, so tha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reaches the second state. it may be impossible

따라서, 복수의 스텐트 바디(1100)를 포함하고, 스텐트 바디(1100)들 간의 위치 관계에 따라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간의 변형이 가능한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포함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inclu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cluding a plurality of stent bodies 1100 and deformable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ent bodies 1100 . can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복수의 스텐트 바디(1100)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에 관한 예시들을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having a plurality of stent bodies 1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35 .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명세서의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31 to 3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본 예들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를 포함한다. 31 to 34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s includes a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cond stent body 1100B.

여기서, 단일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는 도 35를 제외하고, 도 31 내지 도 34의 스텐트 바디(1100)는 멀티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어, 제1 스텐트 바디(1100A)는 3개의 세그먼트 및 2 개의 마우스 구조를,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2개의 세그먼트 및 1개의 마우스 구조를 포함한다. Here, except for FIG. 35 provided in the form of a single segment, the stent body 1100 of FIGS. 31 to 34 is provided in a multi-segment form, and the first stent body 1100A has three segments and two mouse structures. ,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ncludes two segments and one mouse structure.

또한 각각의 스텐트 바디(1100)들과 연결되는 제1 풀와이어(1300A) 및 제2 풀와이어(1300B)는 각 스텐트 바디(1100)의 표면 측에 배치되고, 두 풀와이어(1300)는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조작되거나 결합에 의해 일체로써 조작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pull wire 1300A and the second pull wire 1300B connected to each of the stent bodies 1100 are disposed on the surface side of each stent body 1100, and the two pull wires 1300 are on the same line It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by being disposed on the pole, or can be operated integrally by coupling.

도 3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도 20 및 도 22와 같이 각각의 세그먼트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1,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s a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a second stent body 1100B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to prevent it. Here,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each segment as shown in FIGS. 20 and 22 .

자세하게는, 3개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제공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는 3개(1510A, 1520A, 1530A)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하나의 세그먼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 2개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제공된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2개(1510B, 1520B)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가 연결되는 두 결합부는 하나의 세그먼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provided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having three segments may be three (1510A, 1520A, 1530A), and each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is The two coupling portions to be connected may be located on one segment. In addition,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provided 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having two segments may be two (1510B, 1520B), and each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is connected to two The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on one segment.

여기서, 설계에 따라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 중 최근위 세그먼트에 연결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10A, 1510B)를 위한 전위 결합부는 풀 와이어(130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최원위 세그먼트에 연결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30A, 1520B)를 위한 후위 결합부는 바스켓(19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according to the design, the potential coupling portion for the anti-stretch wires 1510A and 1510B connected to the most proximal segment among the segments of one stent body 1100 may be located on the pull wire 1300, and connected to the most distal segment The back coupling for the anti-stretch wires 1530A, 1520B may be located on the basket 1900 .

도 31을 다시 참조하면, 하나의 스텐트 바디(1100)에 제공된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결합부가 풀와이어(1300)와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연결 지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이점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31 ,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provided in one stent body 1100 are shown to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which is an anti-stretching wire 1500 . The coupling portion to which is connected may be designed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pull wire 1300 and the stent body 1100, and the advantage thereof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한편, 스텐트 바디(110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따라 그 형태가 변형되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있어서, 두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길이 또는 직경 차이 값은 초기 전개 상태와 유사하게 유지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따라서, 두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거리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두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허용하는 범위를 고려하려 더 길게 제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whose shap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stent body 1100, the length or diameter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is maintained similar to the initial deployment state. can be beneficial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 length of each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provided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two stent bodies ( 1100) may be provided longer to account for a range that allows an increase in length.

또 한편,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화하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있어서, 위치관계가 변화하는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간섭은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배치는 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whose shape is changed to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tent body 1100 of which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s changed may preferably be minimized, and the anti-stretch wire The arrangement of 15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is.

또,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일부가 겹쳐지는 제 2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제 2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일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이로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두 스텐트 바디(11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1과 같이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와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 축으로부터 동일한 방사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the second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overlap, a por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verlaps each other in the second state has the same shape It may be advantageous to have, for this purpose, the radial position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provided to the two stent bodies 1100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1 ,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may be position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결합이 해제된 두 풀 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두 스텐트 바디(1100)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거나, 결합된 두 풀와이어(1300)의 조작에 따라 두 스텐트 바디(1100)가 동시에 이동하는 과정에서 두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증가는 제 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통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비율은 풀와이어(1300) 조작 전 후에 걸쳐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어 마우스 구조를 개폐할 수 있다.Either one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wo pull wires 1300 that are released, or the two stent bodies 1100 move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wo pull wires 1300 that are coupl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wo stent bodies 1100, the length increas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a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a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may be limited through Accordingly, the length ratio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can be maintained similarly throughout before and after the pull wire 1300 operation, an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Its shape is deformed to the state, and the mouse structure can be opened and closed.

도 32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도 21 및 도 23과 같이 인접한 2개의 세그먼트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2,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s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to prevent it. Here,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prevent an increase in length of two adjacent segments as shown in FIGS. 21 and 23 .

자세하게는, 2개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제공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는 2개(1510A, 1520A)일 수 있으며, 각각의 결합부는 서로 다른 세그먼트에 위치할 수 있다. 또, 2개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제공된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1개(1500B)일 수 있으며, 그의 결합부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두 세그먼트 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전위 결합부 또는 후위 결합부는 풀와이어(1300) 또는 바스켓(190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provided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having two segments may be two (1510A, 1520A), and each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in a different segment. In addition,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provided 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having two segments may be one (1500B), and its coupling portion is on the two segments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respectively. can be locat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coupling part or the back coupling part of each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located on the pull wire 1300 or the basket 1900 .

여기서,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혈전 제거 기기(1000) 상의 두 결합부는 하나의 브릿지(1123, 1143)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방사상 위치는 두 결합부 사이의 브릿지(1123, 1143)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two coupling portions 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which each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may be disposed on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along one bridge 1123 and 1143, and each anti-stretching wire ( The radial position of 150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ridges 1123 and 1143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도 32를 다시 참조하면,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중 일부는 스텐트 바디(1100)와 풀 와이어(1300) 사이의 연결 지점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각각의 길이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거리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효과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2 , some of the plurality of anti-stretching wires 1500 may be design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stent body 1100 and the pull wire 1300 , and each length is two combinations It can be provided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parts. This effec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형상 변형 또는 회수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증가는 제 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통해 제한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길이 비율이 외력이 인가되기 전과 후에 걸쳐 유사하게 유지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어 마우스 구조를 개폐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during the shape deformation or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e length increas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 and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and the length ratio of each is maintained similarly before and aft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can be deformed to open and close the mouse structure.

도 33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증가를 방지하는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는 도 24의 형태로,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도 21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3,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cording to this example is a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a second stent body 1100B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to prevent it. Here,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24 ,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21 .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는 도 24의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도 21의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처럼 각 스텐트 바디(11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두 결합부가 하나의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형태와 두 결합부가 각기 다른 세그먼트에 위치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스텐트 바디(1100)와 풀와이어(1300)의 연결 지점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FIG. 24 ,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FIG. 21 . As such, the anti-stretch wire 1500 provided to each stent body 1100 may include both a form in which two coupling parts are located in one segment and a shape in which two coupling parts are located in different segments, and accordingly, each The stretching wire 150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connection point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pull wire 1300 .

한편,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그 길이는 두 결합부 사이의 자연 길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효과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are located in the sam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length is the same as the natural length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and the effect thereof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형상 변형 또는 회수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증가는 제 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를 통해 제한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길이 비율이 외력이 인가되기 전과 후에 걸쳐 유사하게 유지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어 마우스 구조를 개폐할 수 있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during the shape deformation or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e length increas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 and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and the length ratio of each is maintained similarly before and aft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so that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can be deformed to open and close the mouse structure.

도 34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스트랜드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되는 전위 결합부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위치하고, 후위 결합부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내부 영역을 가로지르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34 ,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according to this example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rand connecting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n detail,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connected to the potential coupl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rear coupling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first stent body (1100A). Through this,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not cross the inner region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by being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제1 상태인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혈관에 전개되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느슨한 상태이거나 꼬인 상태일 수 있다. 느슨한 상태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이동에 따라 팽팽해질 수 있다.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팽팽해질 때까지 이동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형태를 제2 상태의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의 위치관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변형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에 따라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 the first state is deployed in the blood vessel, the anti-stretch wire 1500 may be in a loose or twisted state. The anti-stretch wire 1500 in a loose state may be tighte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By moving the second stent body 1100B until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ense, the shap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transformed into the shape of the second state. Therefore, the anti-stretch wire 1500 of this example ma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may be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

도 35를 참조하면,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단일 세그먼트 형태로 제공되고,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길이방향을 따라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xample is provided in a single segment form, and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have a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placed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각각 제1 풀와이어(1300A) 및 제2 풀와이어(1300B)에 연결되며, 두 풀와이어(1300)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됨으로써 두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pull wire (1300A) and the second pull wire (1300B), the two pull wires (1300) by being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two stent bodies You can change the distance between (1100).

예를 들어, 제2 풀와이어(1300B)를 당김으로써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이동하하고 두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거리가 좁혀짐에 따라 표적혈전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풀 와이어(1300B)를 근위로 더 당기거나 두 풀와이어(1300)를 결합함으로써,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일체로서 이동할 수 있고,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와 결합된 혈전을 체외로 회수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oves by pulling the second pull wire 1300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is narrowed, the target thrombus is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It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B). Here, by pulling the second pull wire (1300B) more proximally or by combining the two pull wires (1300),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can be moved as one piece, the first stent The thrombus combined with the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recovered outside the body.

이하에서는 본 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e present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혈관에 전개되면, 표적혈전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거리는 혈전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거리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마우스 구조의 길이와 유사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늘어진 상태일 수 있다.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deployed in the blood vessel, the target thrombu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greater than the size of the thrombu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mous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t this time, the first anti-stretch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may be in a stretched state.

제2 풀 와이어(1300B)의 조작에 따라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제공된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풀 와이어(1100B)의 조작에 따라 팽팽해질 수 있다. 팽팽해진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증가를 방지하여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직경변화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이 제2 스텐트 바디(1100B)를 이탈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ll wire (1300B),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move toward the first stent body (1100A).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close. Through this, the thrombus may be fixed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t this time, the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provided 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tighten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100B. The stretched second anti-stretch wire 1500B may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o limit the change in diameter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within a certain rang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rombus from leaving the second stent body 1100B.

혈관으로부터 혈전 제거 기기(100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2 풀 와이어(1300B)를 더 당기거나, 제1 풀 와이어(1300) 및 제2 풀 와이어(1300B)를 결합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회수될 때,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제공된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에 제공된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풀 와이어(1300B)의 조작에 따라 팽팽해질 수 있다. 팽팽해진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변형을 일정 범위내로 제한함으로써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위치한 혈전이 혈전 제거 기기(10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from the blood vessel,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simultaneously moved. This is by further pulling the second pull wire 1300B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re close, or by combining the first pull wire 1300 and the second pull wire 1300B. It may be possible.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withdrawn,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provided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provided to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re pull wires ( 1300B) may be tighte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taut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is the first stent body 1100A by limiting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rombus located between the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a thrombus removal device including an anti-stretch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wir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 형태로만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does not have to be provided only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wire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other forms.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 또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안티 스트레칭 셀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thrombus removal device including an anti-stretching strut or an anti-stretch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cell formed by an anti-stretching stru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트럿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스트럿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provided as a stru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side the cell 1103 . In this cas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trut forming the edge of the cell 1103 .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의 테두리의 적어도 두 지점에 부착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트럿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고정시키거나 두 지점 간의 거리가 일정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셀(110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처럼 내부에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을 포함하여 변형이 억제되는 셀(1103)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일 수 있으며,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부착되는 셀 구조는 안티 스트레칭 셀 구조(anti-stretching cell structure)일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 또는 안티 스트레칭 셀 구조에 의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길이 증가가 억제되면, 결과적으로 셀들(1103)로 형성되는 메쉬 구조체인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이 억제되고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의 감소나 셀(1103)의 형상 변형을 제어될 수 있다.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provided as a stru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tached to at least two points of the rim of the cell. The anti-stretch strut 1700 can fix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of the cell 1103 or prev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points from increasing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reby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 As such, the cell 1103 in which deformation is suppressed by including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therein may be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and the cell structure to which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is attached is an anti-stretching cell structure (anti- stretching cell structure). When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cell 1703 is suppressed by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or the anti-stretching cell structure, as a result,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which is a mesh structure formed of the cells 1103, is suppressed and the stent A reduction in the diameter of the body 1100 or a shape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may be controlled.

도 36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yet still another embodiment)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37은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고, 도 38은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셀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FIG. 36 is a view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37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36, and FIG. 38 is FIG. 36 It is a view of an example of an anti-stretching cell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복수의 셀(1103)을 포함하는 스트럿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 구조체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구조체에 포함되는 셀(1103) 중 적어도 일부의 셀(1103)의 테두리의 적어도 두 지점에 연결되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에는 각각 메쉬 구조체의 전체 셀 중 안티 스트레칭 셀이 각각 3개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안티 스트레칭 셀의 개수는 이와 상이할 수 있다.36 and 37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provided as a mesh structure formed by struts including a plurality of cells 1103 . Here,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connected to at least two points of the edge of the cell 1103 of at least some of the cells 1103 included in the mesh structure may be connected. 36 and 37 respectively show three and four anti-stretching cells among all cells of the mesh structure, but the number of anti-stretching cells may be different therefrom.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메쉬 구조체를 형성하는 스트럿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메쉬 구조체를 형성하는 스트럿과 그 재질이나 직경 등이 상이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니켈 티타늄 합금(nickel titanium alloy) 또는 가열 시 고온에서 기억시킨 형상으로 복원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에는 혈전 제거 과정 중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시인성을 제공하는 재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the same as the strut forming the mesh structur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different from the strut forming the mesh structure in material or diameter. For examp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made of a nickel titanium alloy or a material that restores a shape memorized at a high temperature when heated. In addition,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provides visibilit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테두리의 적어도 두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셀(1103)과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 간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two points of the rim of the cell 1103 . The connection between the cell 1103 and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performed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일 예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스텐트 바디(110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가 튜브 형태의 금속을 컷팅하여 제조될 때,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스텐트 바디(1100)의 일부로써 함께 제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ent body 1100 while the stent body 1100 is formed. For example, when the stent body 1100 is manufactured by cutting a tube-shaped metal,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as a part of the stent body 1100 .

다른 예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스텐트 바디(1100)에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완성된 3차원 매쉬 구조체인 스텐트 바디(1100)의 셀의 테두리에 기계적 물림(mechanical locks), 용접(welding), 솔더링(연납땜, soldering), 브레이징(경납땜, brazing), 접착제(adhesive), 몰딩(moding) 또는 크림핑(criming)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기계적 물림(mechanical locks)은 트위스팅(twist), 니팅(knitting), 웨빙(weaving), 메쉬(mesh) 또는 엮기(intertwining) 등의 기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3차원 메쉬 구조체로 완성되기 전 단계의 2차원 메쉬 구조체인 스텐트 바디(1100)의 셀의 테두리에 상술한 기법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the stent body 1100 . For examp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mechanically locked to the edge of the cell of the stent body 1100, which is a completed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welding, soldering (solder soldering), brazing ( It can be connected through brazing, brazing, adhesive, molding, or crimping. Mechanical locks may be connected through techniques such as twisting, knitting, webbing, meshing, or intertwining. For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connected to the cell edge of the stent body 1100, which is a two-dimensional mesh structure of a stage before being completed as a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에 의한 셀의 길이 변형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Control of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cell by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performed as follows.

도 38을 참조하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테두리(boundary) 중 두 지점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연결부 및 두 개의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셀(1103)의 테두리 중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두 개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지점은 결합부로 지칭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8 ,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include two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points of the boundary of the cell 1103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wo connecting portions. A point connected to two connect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mong the edges of the cell 1103 may be referred to as a coupling portion.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연결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의 혈전 제거 기기와 연결되는 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결합부는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와 연결되는 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였으나,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와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에 대해 동일한 결합부 및 연결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더라도 본 명세서 내에서 문맥 상 명백히 구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연결부란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 측의 혈전 제거 기기, 스텐트 바디, 메쉬 구조체나 셀과 연결되는 부위로, 결합부란 안티 스트레칭 매커니즘과 연결되는 혈전 제거 기기 측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 과 연결되는 부위로 포괄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과 관련된 설명에서는 연결부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의 셀과 연결되는 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결합부는 셀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과 연결되는 부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nti-stretching wire, the connection part was used as a term referring to a part connec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of the anti-stretching wire, and the coupling part was used as a term referring to a part connected to the anti-stretching wir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but the anti-stretch wire Even if the same terminology is used for an anti-stretching strut and an anti-stretching strut,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ontext with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a thrombus removal device on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side, a stent body, a mesh structure or a cell connected to it. As a site, the coupling part can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as a site connected to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As a term referring to the site, the coupling part will be us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site connected to the anti-stretch strut of the cell.

또 여기서, 두 결합부 중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근위 말단에 가까운 결합부는 전위 결합부로, 원위 말단에 가까운 결합부는 결합부로 지칭될 수 있고, 두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연결부 중 전위 결합부에 대응하는 연결부는 전위 연결부로, 후위 결합부에 대응하는 연결부는 후위 연결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혈전 제거 기기(1000)가 무부하 또는 구속되지 않은 조건 하에서 전개된 상태일 ??, 두 결합부 간의 거리를 두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로 지칭하기로 한다. Also, among the two coupling parts, a coupling part close to the proximal end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referred to as a potential coupling part, and a coupling part close to the distal end may be referred to as a coupling part, and a potential coupling part among the connection parts of the two anti-stretching struts 1700 . A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 is referred to as a front connection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connection portion is referred to as a rear connection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deployed under no-load or non-constrained condi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will be referred to as a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스텐트 바디(1100)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의 횡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셀(1103)에도 길이 방향에 따른 인장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때,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인장력에 저항해 연결부와 연결된 두 결합부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1103)의 길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 a later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ts over the entire stent body 1100 , and accordingly, a tensile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also act on the cell 1103 . At this time,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maintain a gap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two coupling par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by resisting the tensile force. Accordingly, length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can be prevented.

예시적으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 바디(1100)에 회수력 등이 작용함에 따라 셀(1103)에 길이 방향의 인장력이 인가되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없는 셀(1103)은 길이가 증가하고, 폭이 감소하는 형태의 변형을 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스텐트 바디(1100) 전체의 길이 증가와 직경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8 , when a tensile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ell 1103 as a recovery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 the cell 1103 without the anti-stretch strut 1700 has a length increases and the width decreases. This may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entire stent body 1100 and a decrease in diameter.

이때 예시적으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부하 상태의 전개 상태의 셀(110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셀(1103)의 길이 방향 상의 양 코너부에 연결되면, 셀(1103)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가 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셀의 형상이 유지되면 전체적으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이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 38, when anti-stretching struts 1700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cell 1103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no-load state are connected to both cor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ll 1103, Even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ell 1103 ,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maintain the shape of the cell. When the shape of the cell is maintained,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as a whole can be controlled.

한편, 상술한 셀(1103)의 코너(corner)란, 셀(1103)의 테두리 중에서 다른 인접 셀(1103)과 연결되는 지점 부근의 소정의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때, 코너와 코너 사이에서 연장되는 셀(1103)의 테두리는 모서리(edge)로 지칭될 수 있다. 또, '코너'를 통해 연결되는 두 인접 셀(1103)이란 하나의 셀(1103)과 그로부터 스텐트 바디의 열 또는 행을 따라 인접한 셀(1103)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 37을 참조할 때, 하나의 셀(1103)로부터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셀(1103) 또는 그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셀(1103)은 코너를 통해 연결되는 인접한 셀(1103)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orner of the cell 1103 may refer to a predetermined area near a point connected to another adjacent cell 1103 among the edges of the cell 1103 . In this case, the corner and the corner The edge of the cell 1103 extending therebetween may be referred to as an edge. In addition, two adjacent cells 1103 connected through a 'corner' refer to one cell 1103 and an adjacent cell 1103 along a column or row of the stent body therefrom. Referring to FIG. 37, one Cells 1103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from the cells 1103 of , or cells 1103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with may be adjacent cells 1103 connected through corners.

여기서, 메쉬 구조체를 형성하는 모든 셀(1103)이 안티 스트레칭 셀(1703)로 제공되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가 완전히 방지될 수 있으며, 일부 셀(1103)만 안티 스트레칭 셀(1703)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아닌 다른 셀(1103)들에서 발생하는 길이 변형으로 인해 스텐트 바디(1100)는 길이 변형은 일정 수준까지만 허용되고, 그 이상의 길이 변형은 억제될 수 있다.Here, if all cells 1103 forming the mesh structure are provided as anti-stretching cells 1703, the increase in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completely prevented, and only some cells 1103 are anti-stretching cells 1703.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anti-stretch cell 1703 due to the length deformation occurring in the cells 1103 other than the stent body 1100, the length deformation is allowed only up to a certain level, and further length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

한편, 상술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와는 달리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으로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길이 감소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부하 상태의 전개 상태의 셀(110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셀(1103)의 길이 방향 상의 양 코너부에 연결되면, 셀(1103)에 길이 방향에 따른 압축력이 작용하더라도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양 코너부의 길이를 유지함으로써, 셀의 길이 감소가 억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described anti-stretching wir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provided as an anti-stretching strut can suppress a decrease in length as well as an increase in length. Again, as shown in FIG. 38 , when anti-stretching struts 1700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cell 1103 in the deployed state in the unloaded state are connected to both cor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ll 1103, the cell 1103 ) by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maintaining the length of both corners even if a compressive for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he reduction in the length of the cell can be suppressed.

도 38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다이아몬드 형태의 셀(1103)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코너부를 통해 셀(1103)에 설치되고, 스텐트 바디(1100)가 무부하 조건 하의 전개 상태일 때 셀(1103)의 양 코너부 간의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과 셀(1103) 간의 연결 지점이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38,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installed in the cell 1103 through both corn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amond-shaped cell 1103, and the stent body 1100 is in a deployed state under no-load condition. When it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he same lengt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rners of the cell 1103,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nd the cell 1103 or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can be variously changed.

도 39는 도 36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셀의 다른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FIG. 39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n anti-stretching cell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36 .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과 연결되는 셀(1103)의 테두리 상의 결합부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도 39에는 그 예시들이 도시되고 있다.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n the edge of the cell 1103 connected to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vary, and examples thereof are shown in FIG. 39 .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두 결합부 간의 간격을 유지하려는 특성을 가지며,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은 주로 회수 과정에서 횡 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발생하므로, 두 결합부는 셀(1103)의 테두리 중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상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형태의 셀(1103)에 대해서는 결합부 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길이 방향 상의 양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 strut 1700 has a characteristic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and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is mainly caused by a lateral tensile force in the recovery process, the two coupling portions are the cell 1103 Among the edges, it may be preferable to be dispos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be disposed at both cor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is maximized for the diamond-shaped cell 1103 as shown in FIG. 39 .

또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가 횡 방향의 인장력이나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에 작용하는 저항력 중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성분의 비율이 높은 편이 유리하므로 두 결합부 간의 위치 관계는,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과 일정 각도 이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결합부는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과 적어도 4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lso, here, in order for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to resist the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if the ratio of the compon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mong the resistance forces acting on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is high. As fo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pling parts, it may be preferable that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arts forms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For example, an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arts may be the same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s shown in FIG. 39 . For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may preferably form an angle of at least 45 degrees or less wit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in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ortions.

다만,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이 아닌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 변형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오히려 두 결합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과 적어도 45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owever, if you want to prevent the diameter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rather than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anti-stretch strut 1700,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coupling portions is rather a stent body 1100.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n angle of at least 45 degrees or mor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한편,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에 의한 저항력이 셀(1103) 내에 비대칭적으로 작용해 셀(1103) 형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두 결합부가 셀(1103)의 모서리 중 셀(1103)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위치 또는 선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cell 1103 from being distorted by the resistance force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cting asymmetrically within the cell 1103 , the two coupling portions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re among the corners of the cell 1103 . It may be desirable to be disposed at a point symmetrical position or a line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ell 1103 .

또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반드시 다이아몬드 형태의 셀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셀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not necessarily applied only to the diamond-shaped cells, and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various types of cells.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 역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도 39에는 그 예시들이 도시되고 있다.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also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and examples thereof are shown in FIG. 39 .

일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길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The anti-stretch strut 1700 having a length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can prevent the cell 1103 from being deformed in length.

다른 예에 따르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는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클 수 있다. 결합부 간의 자연 거리보다 큰 길이를 갖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길이 변형을 일정한 수준까지는 허용하되 그 이상의 길이 변형은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보다 작은 상태로부터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와 동일해지는 상태까지는 셀(1103)의 길이 변형을 허용하고, 결합부 간의 거리가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와 동일해지면 그 이상으로 길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the natural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allows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to a certain level, but can prevent further length deformation. Specifically,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from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to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arts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of the cell 1103. Allowing length deformation,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ngth from increasing beyond that.

한편, 이상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셀 내에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은 서로 결합부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서로 길이 역시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one anti-stretching strut is positioned in the anti-stretching cell, the number of anti-stretching struts may be plural if necessary. The plurality of anti-stretching struts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coupling portions, and may also have the same or different lengths.

상술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에 의해 형성되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개수가 많을수록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 및 그에 따른 직경 변형, 형상 변형이 억제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유연성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안티 스트레칭 셀의 개수는 적절히 설계될 필요가 있다. At least one anti-stretch cell 1703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included in the stent body 1100 . As the number of anti-stretch cells 1703 increases,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its diameter deformation and shape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reduced, so the number of anti-stretch cells needs to be properly designed.

도 37과 같이 메쉬 구조체에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셀이 포함될 때에는 안티 스트레칭 셀의 배치는 다양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cells are included in the mesh structure as shown in FIG. 37,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cells may vary.

일 예로, 안티 스트레칭 셀은 커버링 비율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링 비율이란, 스텐트 바디(1100) 전체 영역 중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미치는 영역(즉, 커버링 영역)의 비를 의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한 커버링 비율이 30%~100% 수치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구조물의 전체 셀(1103) 중 스텐트 바디(1100)의 근위 말단으로부터 원위 말단까지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일렬의 셀(1103)들, 동일한 하나의 행에 속하는 모든 셀(1103) 또는 모든 열 별로 각각 하나의 셀들이 모두 안티 스트레칭 셀(1703)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커버링 비율은 100%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속하는 열과 일반 셀(안티 스트레칭 셀이 아닌 셀)만 가지는 열이 교대로 배치되고, 이때의 커버링 비율은 50%일 수 있다. 또는 2개의 연속되는 열에는 일반 셀만 배치되고, 그 다음의 열에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되는 패턴을 반복하는 형태로 스텐트 바디(1100)에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전체 열의 개수에 대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가지는 열의 개수의 비율이 커버링 비율이 될 수 있다. 다만,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억제하는 동시에 스텐트 바디(1100)의 압축성 및 유연성 확보를 위해 커버링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80%로 결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nti-stretch cell may be arranged in consideration of a covering ratio. Here, the covering ratio may mean a ratio of the area (ie, the covering area) to which the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applied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tent body 1100 . Preferably,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be arranged so that the covering ratio by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30% to 100%. For example, among all the cells 1103 of the mesh structure, a row of cells 1103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stent body 1100, all cells 1103 belonging to the same row, or One cell for each column may be provided as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and in this case, the covering ratio may be 100%. For another example, a column to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belongs and a column having only normal cells (non-anti-stretching cell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the covering ratio at this time may be 50%. Alternatively, only normal cells are arranged in two consecutive rows, and anti-stretching cells 1703 may be arranged in the stent body 1100 in a form that repeats the pattern in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in the next column,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number of columns having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to the total number of columns may be the covering ratio. However, in order to suppress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and at the same time ensure the compressi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stent body 1100, the covering ratio may be preferably determined to be 50 to 80%.

이상의 설명에서 '행(row)'란 스텐트 바디(1100)를 2차원 전개도로 볼 때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셀들이 속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3차원 메쉬 구조체에서도 역시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셀들이 속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 유사하게 '열(column)'이란 스텐트 바디(1100)를 2차원 전개도로 볼 때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속되는 셀들이 속하는 위치를 의미하며, 3차원 메쉬 구조체 상에서는 원주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여기서, 연속되는 셀을 연결한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과 각을 이루는 경우, 셀을 연결한 직선의 길이 방향의 성분보다 수직 방향의 성분이 크면, 해당되는 셀은 열을 따라 위치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row' means a position to which cells continuo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belong when the stent body 1100 is viewed in a two-dimensional development view, and als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It may mean a position to which consecutive cells belong. Similarly, when the 'column' is viewed in a two-dimensional development view of the stent body 1100, it means a position to which cells continuou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belong, and on the three-dimensional mesh structure, the circumference direction can be matched. Here, when a straight line connecting consecutive cells forms an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if the compon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compon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lls, the corresponding cell is located along the column can be considered to be

한편,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 상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길이 방향 상 안티 스트레칭 셀(1703) 간의 간격이 최대한 이격되도록 또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속하는 열 간의 간격이 비교적 균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개의 열을 갖는 스텐트 바디(1100)에 6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배열하고자 할 때,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12개의 열 중 홀수 번?? 혹은 짝수 번째 열에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o that the anti-stretching effect occurs equ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spaced apart between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far as possible, or the spacing between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This may be arranged to be constant. In other words,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intervals between the columns to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belong are relatively uniform. For example, when you want to arrange 6 anti-stretch cells 1703 in the stent body 1100 having 12 columns, the anti-stretch cells 1703 are odd number of 12 columns?? Alternatively, it may be placed in an even-numbered column.

또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 방향 상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종단면 상 서로 이루는 각도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또는 서로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안티 스트레칭 셀이 속하는 행 간의 간격이 비교적 균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에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배열하고자 할 때, 안티 스트레칭 셀(1703) 간이 서로 최대한 이격되도록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에 12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배열하고자 할 때, 안티 스트레칭 셀(1703) 간이 간격이 서로 일정하도록 임의의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방사 방향 상 배치된 특정 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특정 방향에 대해 90도 각도로 배치되고, 또 다른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특정 방향에 대해 180도를 이루도록 배치되고, 다시 또 다른 3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특정 방향에 대해 270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so that the anti-stretching effect occurs equ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so that the angles formed from each other o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r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or the angles formed from each other are constant. have. In other words,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rows to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s belong is relatively uniform. For example, when you want to arrange three anti-stretching cells 1703 in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so that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They may be disposed to form an angle of 12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For another example, when you want to arrange 12 anti-stretching cells 1703 in the stent body 1100, any thre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is constant with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Based on the specific direction arranged on the other thre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other three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to form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direction. Then, another three anti-stretch cells 1703 may be arranged to form a 270 degree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rection.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방사 방향 상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 방사 방향 상 동일한 방향에 배치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그들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시 12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상술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12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길이 방향 상 전체 길이의 1/12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길이 방향 상 가장 앞쪽의 1번 셀은 방사 방향 상 특정 방향으로, 2번 셀은 특정 방향에 대해 90도 각도로, 3번 셀은 방사 방향 상 특정 방향에 대해 180도로, 4번 셀은 방사 방향 상 특정 방향에 대해 270도로 배치되고, 5번 셀부터 12번 셀까지의 위의 패턴을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길이 방향 상의 간격과 방사 방향 상의 간격을 고려하여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배치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 전체에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분산되어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t least two anti-stretching cells 1703 among the plurality of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ti-stretching cells 1703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spacing between them is maximized. Specifically, 12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gain describ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example arranged to form a 90 degree angle with each other, the 12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at 1/12 intervals of the total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cell at the fro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a specific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cell is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e specific direction, and the third cell is 180 degrees to the specific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fourth cell is at an angle of 180 degrees to the specific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The cells may be arranged at 270 degrees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rec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above pattern from the 5th cell to the 12th cell may be repeatedly arranged. As such, by disposing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in consideration of the sp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pac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e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is dispersed throughout the stent body 1100 and can act equally.

이하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들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an anti-stretching mechanism in the form of an anti-stretching strut will be described.

한편,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40 및 도 44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스텐트 바디는 적어도 한가지 형태의 셀을 포함하고, 스텐트 바디의 열별로 적어도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셀이 제공됨으로써 커버링 비율이 100%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안티 스트레칭 셀에 의한 커버링 비율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커버링 비율이 100% 이하인 경우,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되지 않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구간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 허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prior to explaining the exampl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the stent body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S. 40 and 44 includes at least one type of cell, and at least one anti-stretching cell is provided for each column of the stent body. Although it shows that the covering ratio is 100%, the covering ratio by the anti-stretching cell may have various values, and when the covering ratio is 100% or less,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not disposed of the stent body 1100 of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the length section can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또, 도 40 내지 도 44에서 도시된 것과 달리 안티 스트레칭 셀(1703) 내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그 배치 형태 또는 길이등에 따라서 안티 스트레칭 셀의 스트레칭 방지 효과는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shown in FIGS. 40 to 44, the shape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in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nd the anti-stretching effect of the anti-stretching cell is may increase or decrease.

또, 한편, 도 40 내지 도 44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두께는 스텐트 바디(1100)의 스트럿(1101)의 두께 보다 얇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배치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두께는 도시된 것과 달리 스트럿(1101)의 두께와 유사하게 제공될 수도 있고, 그보다 두껍게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of FIGS. 40 to 44 is shown to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trut 1101 of the stent body 1100, but this is to emphasize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 the thickness of the anti-stretch struts 1700 may be provided similarly to the thickness of the struts 1101, unlike those shown, or may be provided thicker than that.

도 40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41은 도 40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다. 40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41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0 .

도 40 및 4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에 하나씩 제공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스텐트 바디(1100)의 행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모두 동일한 방향상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0 and 41 ,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are provided one for each column of the stent body 1100, thereby continuous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stent body 1100. By being arranged along the row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all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여기서,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제공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길이 방향상 양 코너부에 연결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길이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이 연결되는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ing struts 1700 provided in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be connected to both corn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ll 1103,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may be provided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to which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connected.

이 때, 인접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 중 상대적으로 근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후위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원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전위 연결부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ar connection portion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located relatively proximal among the adjacent anti-stretch struts 170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connection portion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located relatively distally, and a plurality of The anti-stretch struts 1700 may be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도 40 및 도 41과 같은 형태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되면 스텐트 바디(1100)의 전체에 대해 그 길이의 증가/감소가 억제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스텐트 바디(1100)에 횡력이 인가될 때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형상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위치한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의 길이 변형이 제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횡력이 인가된 후의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횡력이 인가되기 전의 길이와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When the anti-stretch cell 1703 is disposed in the form shown in FIGS. 40 and 41 , the increase/decrease in its length can be suppressed with respect to the entire stent body 1100 , and in detail, the later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 When the shape deformation of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is suppressed, the length deformation of each row of the stent body 1100 in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located can be limited, through which the stent body after the lateral force is applied. The length of 1100 may remain similar to the length before the lateral force is applied.

도 42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43은 도 42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이다. 42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IG. 43 is an explod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2 .

도 42 및 43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에 하나씩 제공되나,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90도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방사상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42 and 43, anti-stretch cells 1703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are provided one in each column of the stent body 1100, but radially by being spaced apart at a 90 degre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arranged differently.

여기서, 각각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제공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는 도 40 및 도 41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각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방사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인접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 중 상대적으로 근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후위 연결부는 상대적으로 원위에 위치한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전위 연결부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shape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provided in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i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S. 40 and 41 , and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By being disposed in different radial directions, the rear connection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located relatively proximal among the adjacent anti-stretching struts 17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tential connection portion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located relatively distally. have.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에 제공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그 형상변형이 억제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증가를 방지할 수 있고, 도 42 및 도 43과 같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한 안티 스트레칭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 방향상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 Anti-stretching cells 1703 provided in each column of the stent body 1100 can prevent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by suppressing its shape deformation, and anti-stretching cells 1703 as shown in FIGS. 42 and 43. When arranged to form a constan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can occur even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도 44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시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44 is a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4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에 2개씩 제공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각 열에 제공된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두 행을 따라 배치되고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4 ,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ccording to this example are provided in each row of the stent body 1100 by two, thereby continuous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two anti-stretching cells provided in each row. The stretching cells 1703 may be disposed along two rows of the stent body 1100 and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열에 두 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되면, 하나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길이 변형에 저항하는 효과가 강해질 수 있고, 두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하게 배치됨으로써 그 스트레칭 방지효과가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 When two anti-stretching cells 1703 are arranged in each column of the stent body 1100, the effect of resisting length deformation can be stronger than when on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arranged, and the two anti-stretching cells 1703 ) by being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the stretching prevention effect can occur equally.

이상에서는 혈전 제거 기기가 하나의 셀의 형상만을 갖는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스텐트 바디의 셀의 형태가 단일 형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thrombus removal device has the shape of only one cell has been described, but the shape of the cell of the stent body does not have to be a single shape.

도 45는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또 다시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46은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일 예고, 도 47은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다른 예이고, 도 48은 도 47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49는 도 45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전개도의 또 다른 예이다. 45 is a view of yet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46 is a preview of a development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5, and FIG. Another example of a developed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8 is a view relat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7 , and FIG. 49 is another example of a development view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FIG. 45 .

도 45를 참조하면, 스텐트 바디(1100)는 두 가지 형태의 셀(1103)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가지 형태의 셀은 제1 셀(1104) 및 제2 셀(110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텐트 바디(1100)는 두 가지 형태의 셀을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5 , the stent body 1100 may include two types of cells 1103 . The two types of cells may include a first cell 1104 and a second cell 1105 . Since the stent body 1100 includes two types of cell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an external force.

도 4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텐트 바디(1100)는 제1 셀(1104)이 배치된 행과 제2 셀(1105)이 배치된 행을 교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셀(1104) 및 제 2셀(1105)은 스텐트 바디(1100)의 원주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나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 나선을 따라 배치된 제1 셀(1104)을 연결한 가상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이루는 각은 90도보다 작을 수 있다. 45 , the stent body 1100 may alternately include a row in which a first cell 1104 is disposed and a row in which a second cell 1105 is disposed, through which the first cell 1104 is disposed. ) and the second cell 1105 may be disposed along a spiral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ent body 1100 . In addition, the angle formed by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cells 1104 arranged along the spir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less than 90 degrees.

외력에 의한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 정도는 셀(1103)의 크기, 형상 또는 배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도 45와 같이 스텐트 바디(1100)가 두가지 형태의 셀(1103)을 포함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회수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증가되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Since the degree of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an external force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cell 1103, the stent body 1100 as shown in FIG. 45 includes two types of cells 1103.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may vary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도 46을 참조하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제1 셀(1104)에 제공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배치는 도 41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6 , the anti-stretching struts 17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ell 1104 , and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as illustrated in FIG. 46 is illustratively similar to FIG. 41 . can be provided. In other words, the anti-stretch cell 1703 may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도 4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셀(1104)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스텐트 바디(1100)의 행을 구성하고, 각 행에 배치된 제1 셀(1104)은 스텐트 바디(1100)의 원주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나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전개된 스텐트 바디(1100)에서, 나선 상에 배치된 제1 셀(1104)을 연결한 가상 직선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은 90도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해 길이 변화가 억제되는 구간은 각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근위말단으로부터 원위말단에 이르는 거리 구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46, the first cell 1104 is arranged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o constitute a row of the stent body 1100, the first cell 1104 arranged in each row may be located on a spiral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ent body 1100 . At this time, in the deployed stent body 1100, an angle between the imaginary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first cells 1104 disposed on the spiral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less than 90 degrees, and thus The section in which the length change is suppressed by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be a distance section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each anti-stretching cell 1703 .

또 도 4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달리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제1 셀(1104)에 제공될 수 있고,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배치는 도 42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하며, 각 행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에 대해 서로 90도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47 ,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ell 1104 , and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42 . In other words, the anti-stretch cells 1703 are continuously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the anti-stretch cells 1703 in each row are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It can be arranged to achieve

도 4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셀(1104)이 배치된 행은 제2 셀(1105)이 배치된 행과 교대로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셀(1104)이 위치한 각 행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행에 배치된 제1 셀(1104)의 위치가 길이방향상 이격됨으로써 각각 다른 행에 제공된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길이방향상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7 , the row in which the first cell 1104 is disposed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with the row in which the second cell 1105 is disposed. may be located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cells 1104 arranged in different row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provided in different rows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술한 도 46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셀(1703)과 비교할 때, 도 47에 따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그 개수는 동일하나, 스텐트 바디의 길이방향상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그 스트레칭 방지효과가 길이방향상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 도 47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항에 배치됨으로써 그 스트레칭 방지효과가 방사방향상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Compared with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according to FIG. 46 described above,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according to FIG. 47 has the same number, but by being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the stretching prevention effect is incr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occur equally. In addition, since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of FIG. 47 is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ing effect thereof can occur equally in the radial direction.

도 49를 참조하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행 또는 열에 두 개씩 배치될 수 있다. 도 49에 따른 복수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길이 방향 상의 간격과 방사 방향 상의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에 의한 스트레칭 방지 효과가 스텐트 바디(1100)에 균등하게 작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9 , two anti-stretch cells 1703 may be disposed in a row or column of the stent body 1100 .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cells 1703 according to FIG. 49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rad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anti-stretching effect by the anti-stretching cells 1703 is equally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can work

한편, 도 49의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개수는 상술한 도 47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개수의 2배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에 발생하는 스트레칭 방지효과는 도 47과 비교하여 증가할 수 있다. 또, 스텐트 바디(1100)의 특정 길이 구간에서는 2개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작용하므로, 특정 길이 구간에 대해서는 스트레칭 방지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nti-stretching cells 1703 provi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FIG. 49 may be twice the number of anti-stretching cells 1703 of FIG. The effect of preventing stretching may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FIG. 47 . In addition, since the two anti-stretch cells 1703 act in a specific length 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the anti-stretch effect may appear stronger for a specific length section.

이상에서는 싱글-세그먼트 형태의 싱글-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를 기준으로 안티 스트레칭 셀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안티 스트레칭 셀은 멀티-세그먼트 형태의 스텐트 바디 또는 복수의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에도 이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anti-stretch cell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single-segment type single-stent body. can be

도 50 내지 도 58은 본 명세서의 또 다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의 다양한 예시들에 관한 도면이다. 50 to 58 are views of various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 스텐트 바디(1100)는 세그먼트와 마우스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랜덤하게 위치한 연혈전 또는 경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스트럿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으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0 and 51 ,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include a segment and a mouse structure, thereby capturing randomly located ligament thrombus or menstrual thrombus. Her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n anti-stretching strut 1700 in the form of a strut.

이때,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 크기가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가 혈전과 인게이징하여 혈전을 포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을 통해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한 다른 세그먼트의 길이 비율을 혈전 제거 과정 중에 일정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마우스 구조의 크기 및 형상은 무부하 상태의 마우스 구조의 크기 및 형상과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prevents the stent body 1100 from excessively reducing the diameter size of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 anti-stretch strut 1700 so that the stent body 1100 engages the thrombus to capture the thrombus. . In additi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can maintain a length ratio of one segment to another segment within a certain range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through the anti-stretch strut 1700, and the mouse structure of the stent body 1100 The size and shape can be maintained similar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mouse structure in a no-load state.

다시 도 50 및 도 51을 참조하면,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세그먼트의 셀(1103)에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다양한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의 각 세그먼트의 길이 변화는 억제될 수 있으며,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으로부터 다양한 방향에 위치한 셀(1103)의 변형은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S. 50 and 51 , anti-stretching struts 1700 may be provided in cells 1103 of each segment of stent body 1100 . Anti-stretch cells 1703 are located in various rad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is, a change in the length of each segment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suppressed, and deformation of the cells 1103 locat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the center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prevented.

여기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세그먼트 및 마우스 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세그먼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세그먼트에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further include a segment and a mouse structure. At this time, the anti-stretch cell 1703 may be provided in each segmen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egment.

세그먼트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 및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배치는 상술한 예를 참고할 수 있으나, 상술한 하나의 예로 한정하여서는 안되며,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provided in the segment and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include various examples not mentioned.

도 52 및 도 53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을 통해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직경 크기가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혈전의 이탈 및 혈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을 통해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대한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비율을 혈전 제거 과정 중에 일정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의 형태 또는 제2 상태의 형태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2 and 53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prevents excessive reduction in diameter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rough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thereby preventing thrombus. It can prevent the escape of blood and blood clots. In additio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maintain a length ratio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within a certain range during the thrombus removal process through the anti-stretch strut 1700 . Through th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formed between the shape of the first state and the shape of the second state.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각 세그먼트의 셀(1103)에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다양한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Anti-stretch struts 1700 may be provided in cells 1103 of each segment of first stent body 1100A and second stent body 1100B. Anti-stretch cell 1703 is located in various rad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tailed information on thi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regoing.

한편,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따라 제1 상태 또는 제 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는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있어서, 두 스텐트 바디(11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제 2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두 스텐트 바디(1100)의 세그먼트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스텐트 바디(1100)에 제공되는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방사상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whose shape is deformed to a first state or a second state according to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interference between the two stent bodies 1100 is prevented or the second The radial position of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provided to the stent body 1100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segments of the two stent bodies 1100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state have the same shap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an

또 한편,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 및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배치는 상술한 예를 참고할 수 있으나, 상술한 하나의 예로 한정하여서는 안되며,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form than shown, and the form of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nd the arrangement of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may refer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but the above-described one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xample of , and may include various examples not mentioned.

도 54 내지 도 56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도 52 내지 도 53의 혈전 제거 기기(10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부분적으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54 to 56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generally similar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FIGS. 52 to 53 , but has a partially different shape.

일 예로, 도 52 및 도 53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에서 마우스 구조의 브릿지는 인접한 두 세그먼트 중 상대적으로 원위에 위치한 세그먼트의 근위말단과 연결되었으나, 도 54 내지 도 56의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에서는 마우스 구조의 브릿지가 인접한 두 세그먼트 중 원위에 위치한 세그먼트의 근위말단 보다 원위에 위치한 소정에 위치에 연결된다. As an example, in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of FIGS. 52 and 53 , the bridge of the mous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relatively distal segment among the two adjacent segments, but in FIGS. 54 to 56 . In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he bridge of the mouse structure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distal to the proximal end of the distal segment among the two adjacent segments.

다른 예로,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 1상태와 제2 상태를 오가는 과정에서,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는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이 때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기계적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 1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제1 세그먼트(1110) 및 제2 세그먼트(1130)의 원위말단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제5 세그먼트(1110B) 및 제6 세그먼트(1130B)의 근위말단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간섭으로 인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변형이 제한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제1 세그먼트(1110) 및 제2 세그먼트(1130)의 원위말단은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제5 세그먼트(1110B) 및 제6 세그먼트(1130B)의 근위말단 또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 사이에 기계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은 간섭 감소 메커니즘(interference reduction mechanism)으로 지칭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proces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the position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with respect to each other may be changed, at this time Mechanical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For example, whi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deform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second segment 1130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re distal The distal end may interfere with the proximal end of the fifth segment 1110B and the sixth segment 1130B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n order to prevent a case in which deforma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limited due to interference,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segment 1110 and the second segment 1130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re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Also, the proximal ends of the fifth segment 1110B and the sixth segment 1130B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not be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As such, the shape for preventing mechan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ference reduction mechanism.

한편, 도 54 내지 도56의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각 세그먼트의 셀(1103)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6 및 도58의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도 46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다양한 방사방향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술한 예 또는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예로 제공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Meanwhile, the anti-stretch strut 1700 of FIGS. 54 to 56 may be provided in the cell 1103 of each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of FIGS. 56 and 58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46 . Anti-stretch cell 1703 is located in various rad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nd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t is not necessarily No, it is obvious that the above-described examples or various examples not mentioned may be provided.

도 57 및 도 58을 참조하면, 혈전 제거 기기의 기기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레일(rail)의 형태의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로 제공될 수 있다. 57 and 58 ,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of the devic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provided as an anti-stretching rail 1790 in the form of a rail.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의 원주면에 형성된 스트럿으로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가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방지/저하되며, 이에 따라 스텐트 바디(1100)의 직경의 크기 감소나 셀(1103)의 형상 변형이 방지/감소될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 rail 1790 is a strut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and may limit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Through this, the lengthening of the stent body 1100 is prevented/reduced, and accordingly, the size reduction of the diameter of the stent body 1100 or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can be prevented/reduced.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스텐트 바디(1100)의 원주면 상에 일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셀(1103)을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나의 셀(1103) 및 그와 인접한 셀(11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하나의 셀(1103)과 다른 하나의 셀(1103)을 연결함으로써 셀(1103)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를 넘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가 길이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rail 1790 may extend along one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nt body 1100, thereby connecting at least two cells 1103 disposed along the one direction, through which one cell 1103 And cells 1103 adjacent thereto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 As such, the anti-stretch rail 1790 connects one cell 1103 and another cell 1103, thereby preven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lls 1103 from moving away from or getting closer beyond a certain range, and the stent body ( 1100) may limit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인접한 두 셀(1103)이 서로의 근위말단 또는 원위말단을 통해 연결되지 않으므로, 인접한 두 셀(1103)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 셀(1103)의 근위말단 또는 원위말단은 스텐트 바디(1100)의 방사방향의 변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인접한 두 셀(1103)의 원위말단 또는 근위말단은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해 구부러질 수 있다.Here, since the two adjacent cells 1103 are not connected through each other's proximal or distal ends, the adjacent two cells 110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and are located in each cell 1103. The proximal end or the distal end may be free from radial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 The distal end or the proximal end of the two adjacent cells 1103 may be free to deform radially from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and may be bent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stent body 1100 .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스텐트 바디(1100)의 제조 방법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스텐트 바디(1100)의 일부로써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독립적으로 제조된 스텐트 바디(1100)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티 스트레칭 레일(1790)은 독립적으로 제작된 셀(1103)을 연결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3)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 rail 179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ent body 1100 . As an example, the anti-stretch rail 1790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as a part of the stent body 1100 . As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 rail 1790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independently manufactured stent body 1100 . As another example, the anti-stretch rail 1790 may form the stent body 1103 by connecting the independently manufactured cells 1103 .

여기서, 셀(1103)은 비대칭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셀(1103)의 양 말단부분은 곡률이 다른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셀(1103)의 단축을 기준으로 셀(1103)의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근위 말단을 포함하는 제2 영역을 정의할 때, 제1 영역의 곡률은 제2 영역의 곡률보다 클 수 있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보다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ere, the cell 1103 may be provided in an asymmetrical shape,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cell 1103 may have a curved shape having different curvatures. When defining a first region including the distal end of the cell 1103 and a second region including the proximal end of the cell 1103 with reference to the minor axis of the cell 1103 , the curvature of the first region may be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first region may have a longer shape than the second region.

이 때, 셀(1103)의 제 1 영역은 열 성형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의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외부 방향으로 플레어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인가되어 그 직경이 축소된 경우에도 플레어링된 셀(1103)은 혈관 벽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region of the cell 1103 may be flared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tent body 1100 through thermoforming, through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so that its diameter is Even when collapsed, the flared cell 1103 can remain in contact with the vessel wall.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예시들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a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일 예는, 상술한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 중 단일한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일 수 있다. 본 예에 관해서는 도 5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single stent body among the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described above.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9 .

도 5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일 예의 순서도이다. 59 is a flowchart of an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5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S1000)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59 , a method ( S1000 ) of removing a throm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s follows.

일 실시예에 따른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은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를 혈관 내에 삽입하는 단계(S1100);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가 혈관 내에서 팽창하는 단계(S1200); 혈전 제거 기기가 혈관 내에 전개되는 단계(S1300); 혈전 제거 기기가 외력을 인가 받는 단계(S1400); 및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혈전 제거 기기의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단계(S1500);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removing a thromb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insert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in a compressed state into a blood vessel (S1100); Expand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blood vessel (S1200);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deployed in the blood vessel (S1300); Step (S1400) of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prevent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being deformed in length (S1500).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관 내로 삽입될 수 있다(S1100).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inserted into a blood vessel (S1100).

환자의 혈관 내에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혈전의 위치가 검출되면 해당 위치까지 가이드 와이어가 이동되고, 이 후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카테터가 혈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카테터가 혈전 근처의 시술 지점에 도달하면,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된 후 카테터의 중공을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이동(delivery)될 수 있다. 이 때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카테터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며, 카테터를 통해 표적혈전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When a location of a thrombus that obstructs the flow of blood in a patient's blood vessel is detected, the guide wire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hen a catheter may be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along the guide wire. When the inserted catheter reaches a procedure point near the thrombu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livered through the hollow of the catheter after the guide wire is removed. At this tim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compressed by the catheter,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arget thrombus through the catheter.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관 내에서 팽창할 수 있다(S1100).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expand in the blood vessel ( S1100 ).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1000)가 표적혈전에 근접하게 배치된 후 카테터를 회수하면, 카테터에 의한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탄성체인 혈전 제거 장치(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팽창할 수 있다. 스텐트 바디(1100)는 그 직경이 혈관의 직경 크기와 유사할 때까지 팽창할 수 있으며, 팽창되는 과정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혈전과 결합할 수 있다. When the catheter is recovered after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 a compressed state is placed close to the target thrombus,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which is an elastic body, h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as the external force by the catheter is removed. can expand by itself. The stent body 1100 may expand until its diameter is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blood vessel, and during the expansion process,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combine with a thrombus.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관 내에 전개될 수 있다(S1300).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ployed in a blood vessel (S1300).

혈관 내에 전개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는 속이 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텐트 바디(1000)는 스트럿(1101)의 사이, 셀(1103)의 내부 또는 마우스 구조 등을 통과하여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로 들어온 혈전을 수용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가 그 내부 공간에 혈전을 수용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이처럼 전개된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스텐트 바디(1100)와 결합된 혈전 또는 스텐트 바디(1100)의 내부에 포획된 혈전을 소지할 수 있다.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eployed in the blood vessel may have a hollow shape. The stent body 1000 can accommodate the thrombus that has entered the interior of the stent body 1100 through between the struts 1101, the inside of the cell 1103 or the mouse structure, and the like, and the stent body 1100 is inside the stent body 1100. By accommodating the thrombus in the spac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capture the thrombu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deployed in this way may carry a thrombus coupled to the stent body 1100 or a thrombus captured inside the stent body 1100 .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외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S1400).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receive an external force (S1400).

혈전을 소지한 혈전 제거 기기(1000)를 체외로 회수함으로써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외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풀와이어(1300)의 조작을 통해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인가될 수 있다.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remove the thrombus by recover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carrying the thrombus outside the body, and specifically, the stent body 1100 through manipulation of the pull wire 1300 . ) can be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예를 들어, 혈전 제거 기기(100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풀 와이어(1300)를 조작하면, 스텐트 바디(1100)에는 풀 와이어(1300)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수력과 스텐트 바디(1100)와 혈관 사이의 밀착력, 혈전의 무게 등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작용하는 저항력이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혈전 제거 기기(1000)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스텐트 바디(1100)는 혈관의 커브 구간을 통과할 수 있고, 스텐트 바디(1100)의 일부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일부가 과도하게 변형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ull wire 1300 is manipulate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stent body 1100 has a recovery force acting in the proximal direction by the pull wire 1300 and the stent body 1100 . The resistance force acting in the distal direction may act due to the adhesion between the blood vessel and the weight of the thrombus. For another exampl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stent body 1100 may pass through a curved section of the blood vessel,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 part of the stent body 1100 , so that the stent body 1100 . Some of it may be excessively deformed.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혈전 제거 기기의 길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S1500).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prevent the length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being deformed (S1500).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혈전 제거 기기(1000)의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인가되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prevent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일 예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연결된 혈전 제거 기기(1000)의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내로 제한함으로써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가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면,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는 자연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as an anti-stretching wire 1500 .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prevents the length deformation of the stent body 1100 by limi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which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connected to within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 can do. Fo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 wire 1500 is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may be maintained substantially equal to the natural distance.

다른 예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가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보다 큰 값을 가지면, 두 결합부 사이의 거리는 느슨한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가 팽팽해질 때까지 증가하며, 그 길이 증가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길이 내로 한정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의 동작은 언급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다양한 예시를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As another example, if the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increases until the loos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taut, and the increase in length is It may be limited within the length of the stretching wire 1500 . The operation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including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또,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은 셀(1103)의 형상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셀(1103)의 길이가 그 자연 길이보다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과도하게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텐트 바디(1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이 위치한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구간은 안티 스트레칭 셀(1703)의 형상이 초기 전개시와 유사하게 유지됨에 따라 그 길이변형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스텐트 바디(1100)의 변형은 제한될 수 있다.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동작은 언급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다양한 예시를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an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as an anti-stretching strut 1700 . The anti-stretch strut 1700 can prevent the cell 1103 from being excessively stretched or excessively shortened than its natural length by suppressing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ell 1103 .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tent body 1100, the length section of the stent body 1100 in which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is located is maintained similarly to the shape of the anti-stretching cell 1703 during initial deployment. The length deformation may be limited, and thus the deformation of the overall stent body 1100 may be limited. The operation of the anti-stretch strut 17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including the various example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 또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를 가지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having the form of the anti-stretching wire 1500 or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unmentioned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혈전 제거 기기(1000)에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제공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전과 결합하거나 혈전을 포획하기 쉬울 수 있고,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체외로 회수될 때까지 소지한 혈전을 놓치지 않고 보유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증가를 억제하여 직경 크기를 일정범위내로 유지하고, 셀의 형상변형을 제한함으로써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기능이 온전히 발휘될 수 있으며, 포획된 혈전의 파편화가 방지되고, 스텐트 바디(1100)의 외부로 혈전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혈전 제거 기기(1000)가 멀티 세그먼트 헝태의 스텐트 바디(1000)를 포함하는 경우,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각 세그먼트의 직경 축소를 방지함으로써 마우스 구조의 크기 및 형상이 무부하 조건하에서 마우스 구조의 크기 및 형상과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혈전 포획 성공률이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easily bind to or capture the thrombus, and will not miss the thrombus until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recovered from the body. can be held without In detail,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suppresses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stent body 1100 to maintain the diameter size within a certain range, and by limiting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cell, the func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can be fully exhibited, and capture Fragmentation of the thrombus is prevented, and the thrombus leakage to the outside of the stent body 110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ncludes the multi-segment stent body 1000, the anti-stretch mechanism prevents the diameter reduction of each segment so that the size and shape of the mouse structure is the size and shape of the mouse structure under no-load conditions. may be maintained similarly to , and thereby, the success rate of thrombus captur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improv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다른 예는, 상술한 혈전 제거 기기의 예시 중 듀얼 스텐트 바디를 갖는 혈전 제거 기기를 이용하는 혈전 제거 방법일 수 있다. 본 예에 관해서는 도 60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example of the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thrombus removal method us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having a dual stent body among the examples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described above. This exam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0 .

도 6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혈전 제거 방법의 다른 예의 순서도이다. 60 is a flowchart of another example of a thrombus remova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60을 참조하면,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는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를 혈관 내에 삽입하는 단계(S2100);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가 혈관 내에서 전개된 상태로 팽창하는 단계(S2200); 혈전 제거 기기가 제1 상태인 단계(S2300); 제1 상태인 혈전 제거 기기가 제2 상태인 혈전 제거 기기로 그 형태가 변형되는 단계(S2400); 혈전 제거 기기가 제2 상태인 단계(S2500); 혈전 제거 기기가 외력을 인가 받는 단계(S2600); 및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혈전 제거 기기의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단계(S2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0 ,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moving a thrombus includes: inserting a thrombus removal device in a compressed state into a blood vessel (S2100); Expand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a compressed state in a deployed state in the blood vessel (S2200); Step (S2300) in which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in a first state; transform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the first state in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the second state (S2400); Step (S2500) in which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s in a second state; Step (S2600)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prevent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being deformed in length (S2700).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를 혈관 내에 삽입하는 단계(S2100) 및 압축된 상태의 혈전 제거 기기가 혈관 내에서 전개된 상태로 팽창하는 단계(S2200)는 전술한 S1100 및 S1200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The step of insert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a compressed state into the blood vessel (S2100) and the step of expand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in the compressed state into a deployed state in the blood vessel (S2200)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1100 and S1200 described above. have.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상태일 수 있다(S2300).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1 상태일 때,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혈전 제거 기기(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여 혈관벽과 접촉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를 통해 혈관 내 혈전과 결합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내부에 혈전을 수용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in a first state ( S2300 ).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first state, a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correspond to a mouse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The segment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gments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be alternate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to contact the blood vessel wall.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coupled to an intravascular thrombus through a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a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accommodate the thrombus i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풀 와이어(1300A) 또는 제2 풀 와이어(1300B)의 조작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S2400). 예를 들어, 제2 풀 와이어(1300B)를 조작함으로써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이동하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이동함에 따라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와 이격될 수 있다.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form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by manipulation of the first pull wire 1300A or the second pull wire 1300B (S2400). For example, by manipulating the second pull wire 1300B,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oves, and as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oves,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the first stent body. I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mouse structure of (1100A).

한편,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그 형태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외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대한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풀 와이어(1300B) 조작에 따라 제2 스텐트 바디(1100B)가 과도하게 변형되면,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가 대응되거나,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혈전 제거 기기(1000)의 형태는 미리 설정된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형태가 변화되지 않을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transform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receive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vary.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excessive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econd pull wire 1300B manipulation, the segment of the mouse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corresponds or , may not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not change to the preset first state or the second state.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제1 스텐트 바디(1100A)와 제2 스텐트 바디(1100)의 길이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스텐트 바디(1100A)에 대한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길이 비율은 외력이 인가되기 전과 후에 걸쳐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미리 설정된 제1 상태의 형태 또는 미리 설정된 제 2상태의 형태를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The anti-stretch mechanism may limit length deformation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 . Through this, the length ratio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o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be maintained within a certain range before and after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rough th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may be deformed to have a shape of a preset first state or a shape of a preset second state.

여기서,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은 제1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A) 및 제2 안티 스트레칭 와이어(1500B) 또는 안티 스트레칭 스트럿(17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Here,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the first anti-stretching wire 1500A and the second anti-stretching wire 1500B or the anti-stretching strut 1700, and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not mentioned.

혈전 제거 기기는 제2 상태일 수 있다(S2500). 혈전 제거 기기(1000)가 제2 상태일 때,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는 겹쳐질 수 있고,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외경에 위치한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세그먼트는 혈관벽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이 마우스 구조는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제1 스텐트 바디(1100A)의 마우스 구조와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마우스 구조는 겹쳐질 수 있고, 마우스 구조의 오프닝 영역은 개방될 수 있다. 혈전 제거 기기(1000)는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세그먼트를 통해 혈전과 인게이징하고,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마우스 구조를 통해 혈전을 인바이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혈전 제거 기기(1000)는 혈전과 결합하고, 혈전을 제1 스텐트 바디(1100A) 및 제2 스텐트 바디(1100B)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혈전을 포획할 수 있다. 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in a second state (S2500). When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is in the second state, a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correspond to a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The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overlap, and the segment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located at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is in contact with the vessel wall. can The mouth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may not be covered by the segment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e mouse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mouse structure of the second stent body 1100B may overlap, and an opening region of the mouse structure may be opened.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engages the thrombus through the segments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and the mouse structure of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thrombus can be invited through. Through this, the thrombus removal device 1000 binds to the thrombus and captures the thrombus by accommodating the thrombi in the first stent body 1100A and the second stent body 1100B.

혈전 제거 기기가 외력을 인가 받는 단계(S2600) 및 안티 스트레칭 메커니즘이 혈전 제거 기기의 길이 변형을 방지하는 단계(S2700)는 상술한 S1400 및 S1500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The step (S2600) of the thrombus removal device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nd the step (S2700) of the anti-stretching mechanism preventing the thrombus removal device from being deformed in length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1400 and S1500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각 방법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므로 각 방법은 그 단계들을 전부 포함하는 것은 물론 일부만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각 단계들이 설명된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방법에서 각 단계들이 반드시 설명된 순서대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each step described in each method is not essential, each method may include all of the steps and may be performed including only a part of the steps. In addition, since the order in which each step is described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step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in the described ord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스트럿에 의해 정의되며, 하나의 근위말단, 하나의 원위말단 및 두 개의 원주말단을 갖는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에 있어서,
제1 열에 배치되는 제1 복수의 셀들 및 상기 제1 열에 이웃한 제2 열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셀들을 포함하는 스트럿 구조체; 및
상기 스트럿 구조체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된(operatively coupled) 풀 와이어(pull wire);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셀들 중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은 상기 제1 복수의 셀들 중 다른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복수의 셀들 중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은 상기 제2 복수의 셀들 중 다른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복수의 셀 각각의 근위말단은 상기 제1 복수의 셀 각각의 원위말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셀들은 복수의 노말 셀들 및 복수의 안티스트레칭 셀을 가지되,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은 상기 노말 셀에 비하여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의 길이 변화를 제한하는 안티스트레칭 스트럿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복수의 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안티스트레칭 셀 및 복수의 제1 노말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안티스트레칭 셀 및 복수의 제2 노말 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안티스트레칭 셀의 원위말단은 상기 복수의 제2 노말 셀들 중 하나의 근위말단에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안티스트레칭 셀의 근위말단은 상기 복수의 제1 노말 셀들 중 하나의 원위말단에 연결되는
혈전 제거 기기.
A thrombus removal device defined by a strut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cells having one proximal end, one distal end and two circumferential ends,
a strut structure including a first plurality of cells arranged in a first column and a second plurality of cells arranged in a second column adjacent to the first column; and
a pull wire operatively coupled to the strut structure;
includes,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one cell of the first plurality of cells is connected to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the other cell of the first plurality of cells,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one cel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ells is connected to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the other cell of the second plurality of cells,
The proximal end of each of the second plurality of cells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first plurality of cells,
The plurality of cells includes a plurality of normal cells and a plurality of anti-stretching cells, wherein the anti-stretching cell further has an anti-stretching strut for limiting a change in length of the anti-stretching cell compared to the normal cell,
The first plurality of cells include at least one first anti-stretching cell and a plurality of first normal cells,
The second plurality of cells include at least one second anti-stretching cell and a plurality of second normal cells,
a distal end of the at least one first anti-stretching cell is connected to a proximal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normal cells;
a proximal end of the at least one second anti-stretching cell is connected to a distal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normal cells;
thrombus remov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에 이웃한 제3 열에 배치된 제3 복수의 셀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복수의 셀 각각은 하나의 근위말단, 하나의 원위말단 및 두 개의 원주말단을 가지며,
상기 제3 복수의 셀들 중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은 상기 제3 복수의 셀들 중 다른 하나의 셀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말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 복수의 셀 각각의 원위말단은 상기 제1 복수의 셀 각각의 근위말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복수의 셀들은 적어도 하나의 제3 안티스트레칭 셀 및 복수의 제3 노말 셀들을 포함하는
혈전 제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ird cells arranged in a third column adjacent to the first column,
Each of the third plurality of cells has one proximal end, one distal end and two circumferential ends,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one cell of the third plurality of cells is connected to one circumferential end provided in the other cell of the third plurality of cells,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third plurality of cells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each of the first plurality of cells,
The third plurality of cells includes at least one third anti-stretching cell and a plurality of third normal cells.
thrombus removal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안티스트레칭 셀의 원위말단은 상기 복수의 제1 노말 셀들 중 하나의 근위말단에 연결되는
혈전 제거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distal end of the at least one third anti-stretching cell is connected to a proximal end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normal cells;
thrombus remov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에 구비된 상기 안티스트레칭 스트럿은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의 근위말단에서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의 원위말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혈전 제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stretching strut provided in the anti-stretching cell extends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anti-stretching cell to the distal end of the anti-stretching cell.
thrombus remov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에 구비된 상기 안티스트레칭 스트럿은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을 정의하는 스트럿 상의 제1 지점에서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을 정의하는 스트럿 상의 제2 지점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혈전 제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i-stretching strut provided in the anti-stretching cell extends from a first point on the strut defining the anti-stretching cell to a second point on the strut defining the anti-stretching cell,
The second poi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int
thrombus removal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2 지점에 비하여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의 근위말단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에 비하여 상기 안티스트레칭 셀의 원위말단에 더 가까이 있는
혈전 제거 기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oint is closer to the proximal end of the anti-stretching cell than the second point,
The second point is closer to the distal end of the anti-stretching cell than the first point.
thrombus removal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원위말단은 상기 셀의 근위말단에 비하여 상기 풀 와이어에 보다 더 가까운
혈전 제거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l end of the cell is closer to the pull wire than the proximal end of the cell.
thrombus removal device.
KR1020210036603A 2019-07-29 2021-03-22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KR1024528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80008P 2019-07-29 2019-07-29
US62/880,008 2019-07-29
US201962897654P 2019-09-09 2019-09-09
US62/897,654 2019-09-09
US201962924335P 2019-10-22 2019-10-22
US62/924,335 2019-10-22
KR1020200085611A KR102232948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11A Division KR102232948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889A KR20210036889A (en) 2021-04-05
KR102452816B1 true KR102452816B1 (en) 2022-10-11

Family

ID=74229718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12A KR102232949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KR1020200085611A KR102232948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KR1020200085610A KR102445619B1 (en) 2019-07-29 2020-07-10 Clot removal device an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00085609A KR102232947B1 (en) 2019-07-29 2020-07-10 Clot removal device an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10036603A KR102452816B1 (en) 2019-07-29 2021-03-22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KR1020210036604A KR102578717B1 (en) 2019-07-29 2021-03-22 Device for removing clot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612A KR102232949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KR1020200085611A KR102232948B1 (en) 2019-07-29 2020-07-10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KR1020200085610A KR102445619B1 (en) 2019-07-29 2020-07-10 Clot removal device an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00085609A KR102232947B1 (en) 2019-07-29 2020-07-10 Clot removal device and clot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04A KR102578717B1 (en) 2019-07-29 2021-03-22 Device for removing clo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6) KR102232949B1 (en)
WO (3) WO202102076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05539A (en) 2021-02-01 2024-02-06 エムディー ヘルス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a viral infectious disease or respiratory disease containing Lactobacillus paracasei-derived vesicles
US20230062684A1 (en) * 2021-08-28 2023-03-02 Sheri Albers Intravascular thrombectomy device and process for treating acute ischemic stroke
CN114869407A (en) * 2022-06-17 2022-08-09 惠州市顺美医疗科技有限公司 Bolt taking device
US20240074765A1 (en) * 2022-09-02 2024-03-07 Merit Medical Systems, Inc. Embolization devices including braided wires,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0490A2 (en) 2011-03-09 2012-09-13 Neuravi Limited A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US20140243882A1 (en) 2013-02-22 2014-08-28 Jianlu Ma Design and methods for a devic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feature for embolus removal in human vasculatu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312A (en) * 1997-04-11 1998-10-27 Ube Ind Ltd Stent
CA2364136A1 (en) * 1999-03-08 2000-09-14 Microvena Corporation Minimally invasive medical device deployment and retrieval system
US7306618B2 (en) * 1999-07-30 2007-12-11 Incept Llc Vascular device for emboli and thrombi removal and methods of use
JP4510125B1 (en) * 2009-02-20 2010-07-21 株式会社ウィルファイン Intravascular thrombus trap
KR101021615B1 (en) * 2010-10-29 2011-03-17 메디소스플러스(주) Manufacturing process for stent
EP3398539B1 (en) * 2011-05-23 2020-08-26 Covidien LP Retrieval systems
US11026708B2 (en) * 2011-07-26 2021-06-08 Thrombx Medical, Inc. Intravascular thromboembolectomy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68885B1 (en) * 2012-03-16 2019-04-15 테루모 코퍼레이션 Stent and stent delivery device
US20150265299A1 (en) * 2012-10-03 2015-09-24 Christopher J. Cooper Minimally Invasive Thrombectomy
CN109157304B (en) * 2013-03-14 2021-12-31 尼尔拉维有限公司 A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a clogged clot from a blood vessel
US9724112B2 (en) * 2013-03-15 2017-08-0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hape memory metal emboli trap
JP6045036B2 (en) * 2014-01-28 2016-12-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Stent
KR101613279B1 (en) 2015-07-20 2016-04-18 (주)시지바이오 Double stent
ES2716926T3 (en) * 2015-09-21 2019-06-18 Stryker Corp Embolectomy devices
CN108348267B (en) * 2015-10-31 2022-04-08 纽瓦斯克医疗科技有限公司 Thrombus removal devic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and related methods
EP3370641B1 (en) 2015-11-04 2020-08-26 Rapid Medical Ltd. Intraluminal device
CA3006614A1 (en) * 2015-11-25 2017-06-01 Neuravi Limited A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JP7046924B2 (en) * 2016-09-06 2022-04-04 ニューラヴィ・リミテッド Clot recovery device for removing obstructive clots from blood vessels
US9993257B2 (en) * 2016-09-07 2018-06-12 NeuroVarc Technologies Inc. Clot retrieval device for ischemic stroke treatment
US10517708B2 (en) * 2016-10-26 2019-12-31 DePuy Synthes Products, Inc. Multi-basket clot capturing device
US11980380B2 (en) 2016-12-18 2024-05-14 Rapid Medical Ltd. Controllable retriever with distal clot anchor
CN110381855B (en) * 2017-01-06 2023-07-04 因赛普特有限责任公司 Antithrombotic coating for aneurysm treatment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0490A2 (en) 2011-03-09 2012-09-13 Neuravi Limited A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cclusive clot from a blood vessel
US20140243882A1 (en) 2013-02-22 2014-08-28 Jianlu Ma Design and methods for a devic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feature for embolus removal in human vascul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948B1 (en) 2021-03-26
KR20210014072A (en) 2021-02-08
WO2021020765A1 (en) 2021-02-04
WO2021020767A1 (en) 2021-02-04
KR102578717B1 (en) 2023-09-14
KR20210036890A (en) 2021-04-05
KR20210014069A (en) 2021-02-08
KR20210036889A (en) 2021-04-05
KR20210014071A (en) 2021-02-08
KR102445619B1 (en) 2022-09-21
KR102232949B1 (en) 2021-03-26
WO2021020766A1 (en) 2021-02-04
KR102232947B1 (en) 2021-03-26
KR20210014070A (en)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816B1 (en) Device for removing clot and method for removing clot using the same
US11839392B2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clot from a blood vessel
US20200297365A1 (en) Obstruction Removal System
US20200405469A1 (en) Methods for providing embolic protection
JP6231175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vascular and body conduits
JP4623792B2 (en) Intravascular stent with tapered struts
JP2017527348A (en) Aneurysm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WO2002094111A2 (en) Vascular device for emboli and thrombi removal
JP6033685B2 (en) Intraluminal device with improved flexibility and durability
JP2020116412A (en) Ivc filter retrieval systems with releasable capture feature
EP3398557B1 (en) Embolic protection device
KR102484532B1 (en) Device for removing c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