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671B1 -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 Google Patents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671B1
KR102452671B1 KR1020220039779A KR20220039779A KR102452671B1 KR 102452671 B1 KR102452671 B1 KR 102452671B1 KR 1020220039779 A KR1020220039779 A KR 1020220039779A KR 20220039779 A KR20220039779 A KR 20220039779A KR 102452671 B1 KR102452671 B1 KR 10245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boom
wing
drone
arm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7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미영
김형구
Original Assignee
(주) 사성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사성파워 filed Critical (주) 사성파워
Priority to KR102022003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which connects a main body of a drone to a wing module including a propelle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The arm structure may comprise: a boom having a pipe shape and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 first mount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a second mount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and transmitting power supplied from the boom to the motor or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nd a clamp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to surround an area where the first mount and the second mount overlap each other.

Description

구조전지를 이용한 드론용 암 구조체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본 발명은 구조전지를 이용한 드론용 암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드론용 암 구조체에 관련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using a structural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본 발명은 아래의 연구개발과제의 결과물로 도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follow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s.

가. 세부사업명: 산학협력(예비연구)go. Detailed project nam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eliminary Research)

나. 관련공고명: 2021년도 산학 Collabo R&D사업(예비연구) 시행계획 공고 me. Related Announcement: Announcement of the implementation plan for the 2021 Industry-University Collabo R&D project (preliminary research)

다. 주관기업: 사성파워All. Host company: Saseong Power

라. 전문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la. Specialized institution: Small and Medium Business Technology Information Promotion Agency

마. 과제번호: S3112783 mind. Assignment number: S3112783

바. 과제명: 차세대 무인비행체용 에너지 저장소재 및 구조설계 기술 개발bar. Project name: Development of energy storage materials and structural design technology for next-generation unmanned aerial vehicles

드론은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기를 총칭한다.A drone is a generic term for an airplane or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fly and be controlled by radio wave guidance without a pilot on board.

드론은 크기별, 고도별, 운용목적별로 분류 가능하다. 드론의 크기에 따라서 무게 25g의 초소형 드론에서부터 무게 1만 2천Kg에 40시간 이상의 체공 성능을 지닌 드론까지 다양하다. 고도에 따른 구분으로는 고고도, 중고도, 저고도로 구분되고, 고고도는 10Km 이상, 중고도는 3~10Km, 저고도는 3Km 이하로 구분된다. 또한, 운용목적에 따른 구분으로는 정찰용, 전투용, 전자전용, 통신중계용 등으로 구분된다.Drones can be classified by size, height, and purpose of opera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rone, it can range from a very small drone weighing 25g to a drone with a weight of 12,000kg and a flight performance of 40 hours or mor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ltitude is divided into high altitude, medium altitude, and low altitude. In additio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peration is divided into reconnaissance, combat, electronic only, communication relay, and the like.

드론은 군사용 무인기 개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가격하락, 소형화, 이동성 강화 등으로 상업적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기존의 교통수단과 차별화되면서 수요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드론은 의학분야에서는 응급환자 탐지 및 수송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상분야에서는 기상관측 및 태풍 등 기상변화 실시간 감시를 위해 활용되고 있으며, 과학분야에서는 멸종동물의 지역적 분포 및 이동경로 확인, 지리적 특성 파악 및 정밀한 지도제작에 활용되고 있으며, 예술분야에서는 영화 및 방송 등의 다양한 촬영 활용되고 있으며, 정유분야에서는 송유관 파손점검, 해상석 유시설관리에 활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Drones started with the development of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military use, and their commercial use is expanding due to price drop, miniaturization, and enhanced mobility. In the medical field, drones are used for emergency patient detection and transportation, etc. In the meteorological field, they are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and real-time monitoring of weather changes such as typhoons. In the field of art, dron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lm and broadcasting, and in the field of oil refining, the introduction of drones is expand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inspection for damage to pipelines and management of offshore oil facilities. to be.

일반적으로, 멀티콥터 드론에 있어서 드론의 메인 바디와 프로펠러가 장착되는 모터 하우징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 형태의 구조체가 사용되며, 이러한 구조체는 붐대(Boom)라고 부른다. In general, in a multicopter drone, a pipe-type structure is used to connect the main body of the drone and a motor housing on which a propeller is mounted, and this structure is called a boom.

메인 바디와 붐대, 모터 하우징과 붐대는 C나 U 형상의 클램프로 고정이 되며 붐대 내부에는 메인 바디로부터 모터 하우징까지 연결되는 전선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전선으로 인해 메인 바디와 모터 하우징의 분리가 어려우며, 이송시 부피가 커져 핸들링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The main body and boom stand, the motor housing and the boom stand are fixed with C or U-shaped clamps, and there is a wire from the main body to the motor housing inside the boom stan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main body from the motor housing due to these wires, and the volume increases during transport, so handling is not fre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드론용 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드론용 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드론용 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an be easily transpor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력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드론용 암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an smoothly supply pow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용 암 구조체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날개 모듈과 드론의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암 구조체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전력을 공급하는 붐대, 상기 붐대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 마운트, 상기 제1 마운트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붐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로 전달하는 제2 마운트, 및 상기 제1 마운트 및 상기 제2 마운트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onnects the main body of the drone with a wing module including a propelle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the arm structure has a pipe shape, and the A boom for supplying power to a motor and the main body, a first mount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and coupled with one end of the boom, and the A second mount for transferr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oom to the motor or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nd a clamp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to surround the area where the first mount and the second mount overlap.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핀 수용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핀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마운트에 상기 제2 마운트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irst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 and a second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 A portion is formed, and first and second pinhol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in receiving portions, the first pinhole and the second pinhol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pinhole and the second pinhol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pin hole, and the second mount is fixed to the first mou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붐대의 일단 및 상기 제2 마운트의 일단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붐대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가 결합되도록 상기 붐대와 상기 제2 마운트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erminal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om stand and one end of the second mount, respectively, so that the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boom stand and the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mount are coupled to the boom stand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coupling the mou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붐대는 구조 전지(structural battery)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om may include one used as a structural battery.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마운트는 상기 메인 바디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바디 마운트 및 상기 날개 모듈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메인 바디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마운트 및 상기 날개 모듈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날개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mount includes a first body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body and a first wing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wing module, wherein the second mount is adjacent to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body mount and a second wing mount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wing module.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날개 모듈과 드론의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전력을 공급하는 붐대, 상기 붐대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장착되는 제1 마운트, 상기 제1 마운트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의 일단 또는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붐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로 전달하는 제2 마운트, 및 상기 제1 마운트 및 상기 제2 마운트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ng a wing module including a propelle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and a main body of the drone, has a pipe shape, and the motor and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 boom for supplying power to a body, a first mount mounted on one or the other end of the boom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and coupled to one or the other end of the boom, and A second mount for transferr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oom to the motor or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nd a clamp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to surround the area where the first mount and the second mount overlap. may include

이에 따라, 드론의 메인 바디, 날개 모듈, 및 암 구조체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 전지로 사용되는 상기 암 구조체의 상기 붐대로부터 메인 바디 및 날개 모듈로 전력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ain body, wing module, and arm structure of the drone can be easily made, and power supply from the boom of the arm structure used as a structural battery to the main body and the wing module can be easily mad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드론의 베인 바디 및 날개 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날개 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드론의 메인 바디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분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와 제1 바디 마운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제2 바디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 제1 바디 마운트, 및 제2 바디 마운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바디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바디 클램프가 제1 바디 마운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제1 및 제2 바디 마운트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를 살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vane body and a wing module of a dron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wing modul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dron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ploded state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om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nd the first body mount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body mount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om, the first body mount, and the second body mount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ody clamp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lamp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mount.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y mounts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 by a fixing pin.
14 is a view for killing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s.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Also,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a complementary embodiment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드론의 베인 바디 및 날개 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날개 모듈과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드론의 메인 바디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vane body and a wing module of a drone, and FIG. 2 is a wing module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coupled to,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dron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AS)는, 드론의 메인 바디(MB), 및 날개 모듈(WM)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 모듈(WM)은 프로펠러(P), 및 상기 프로펠러(P)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암 구조체(AS)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1 to 3 , the arm structure (AS)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MB) of the drone, and the wing module (W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ng module WM may include a propeller P and a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propeller P. Hereinafter, the arm structure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분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ate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암 구조체(AS)는, 붐대(100), 제1 바디 마운트(210), 제2 바디 마운트(220), 바디 클램프(230), 제1 날개 마운트(310), 제2 날개 마운트(320), 및 날개 클램프(330)를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 the arm structure AS includes a boom 100 , a first body mount 210 , a second body mount 220 , a body clamp 230 , and a first wing mount 310 . ), a second wing mount 320 , and may include a wing clamp 33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 제2 바디 마운트(220), 및 바디 클램프(230)는 상기 암 구조체(AS)와 상기 메인 바디(M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암 구조체(AS)와 상기 메인 바디(MB)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 제2 날개 마운트(320), 및 날개 클램프(330)는 상기 암 구조체(AS)와 상기 날개 모듈(WM)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암 구조체(AS)와 상기 날개 모듈(WM)의 결함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암 구조체(AS)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body mount 210 , the second body mount 220 , and the body clamp 230 are disposed between the arm structure AS and the main body MB, and the It may be used for coupling the arm structure AS and the main body MB. Alternatively, the first wing mount 310 , the second wing mount 320 , and the wing clamp 330 are disposed between the arm structure AS and the wing module WM, and the arm structure AS ) and the defect of the wing module (WM).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rm structure A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와 제1 바디 마운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제2 바디 마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붐대, 제1 바디 마운트, 및 제2 바디 마운트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바디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바디 클램프가 제1 바디 마운트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의 제1 및 제2 바디 마운트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oom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boom and the first body mount of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body mount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a boom stand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mount, and the second body mount are coupled,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ody clamp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this view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ody clamp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first body mount, and FIG. 13 is a first and second body of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 is fixed by a fixing pin.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붐대(100)는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붐대(100)는 구조 전지(structural battery)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붐대(100)는 상기 메인 바디(MB)와 상기 날개 모듈(WM)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붐대(10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단자(100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붐대(10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100s)는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에 형성된 단자(220s)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붐대(200)의 타단에 형성된 단자(미도시)는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에 형성된 단자(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boom 100 may have a pipe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om 100 may be used as a structural battery. Accordingly, the boom 100 may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MB and the wing module W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erminals 100s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om stand 100 , respectively. The terminal 100s formed on one end of the boom 100 may be coupled to the terminal 220s formed on the second body mount 220 . Alternatively, a terminal (not shown)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om frame 200 may be coupled to a terminal (not shown) formed on the second wing mount 320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는 상기 붐대(100)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10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는 상기 붐대(10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100s)를 감싸도록, 상기 붐대(10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의 내경은 상기 붐대(10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를 상기 붐대(100)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를 상기 붐대(100)에 장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first body mount 210 may be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unit 10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unit 100 . In addition, the first body mount 210 may be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stand 100 so as to surround the terminal 100s formed on one end of the boom stand 10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mount 2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mount 21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om (100). Accordingly, in a method of inserting the first body mount 210 into the boom 100 , the first body mount 210 may be mounted on the boom 100 .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바디 핀 수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 핀 수용부(212)에는 상기 제1 바디 핀 수용부(21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제1 바디 핀 홀(212h)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body pin receiving part 21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mount 2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mount 210 . A first body pin hole 212h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in receiving part 2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pin receiving part 212 .

구체적 형상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는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는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와 달리, 상기 붐대(100)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Although a specific shape is not shown,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body mount 210 . However, unlike the first body mount 210 ,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om 100 .

즉,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는 상기 붐대(100)의 타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100)의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는 상기 붐대(100)의 타단에 형성된 단자를 감싸도록, 상기 붐대(100)의 타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의 내경은 상기 붐대(10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를 상기 붐대(100)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를 상기 붐대(100)에 장착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boom unit 100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om unit 100 . In addition,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boom unit 100 so as to surround the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om unit 100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wing mount 310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om (100). Accordingly, in a method of inserting the first wing mount 310 into the boom 100 ,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mounted on the boom 100 .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날개 핀 수용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핀 수용부(312)에는 상기 제1 날개 핀 수용부(312)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제1 날개 핀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wing pin receiving part 31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ng mount 3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wing mount 310 . A first wing pin hole (not shown)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rst wing pin receiving part 312 may be formed in the first wing pin receiving part 312 .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단은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10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단에는 단자(220s)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 및 상기 붐대(100)는,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220s)와 상기 붐대(10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100s)가 결합될 수 있다. 8 to 10 , one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mount 210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1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erminal 220s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the boom stand 100 are a terminal 220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a terminal 100s formed at one end of the boom stand 100 . ) can be combined.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바디 핀 수용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 핀 수용부(222)에는 상기 제2 바디 핀 수용부(220)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제2 바디 핀 홀(222h)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body pin receiving part 22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 A second body pin hole 222h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in receiving part 2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pin receiving part 222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핀 홀(212h) 및 상기 제2 바디 핀 홀(222h)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에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가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body mount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mount 210 such that the first body pin hole 212h and the second body pin hole 222h face each other. can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타단은 상기 메인 바디(MB)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상기 메인 바디(MB)와 연결된 복수의 전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MB)와 연결된 복수의 전선들은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220s)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일단과 상기 붐대(100)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타단과 상기 메인 바디(MB)가 결합된 경우, 상기 붐대(100)로부터 상기 메인 바디(MB)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MB.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hollow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mount 220 .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main body MB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mount 200 .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main body MB may be connected to a terminal 220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 Accordingly, when one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the boom 100 are couple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the main body MB are coupled, the boom 100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main body MB.

구체적 형상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는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단은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와 달리,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100)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단에는 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미도시)와 상기 붐대(100)의 타단에 형성된 단자(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Although a specific shape is not shown, the second wing mount 32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econd body mount 220 . However, one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wing mount 310 and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boom 100 , unlike the second body mount 22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erminal (not show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not shown)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and a terminal (not show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om stand 100 may be coupled.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마운트(3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날개 핀 수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핀 수용부(322)에는 상기 제2 날개 핀 수용부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제2 날개 핀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wing pin receiving part 322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unt 3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 A second wing pin hole (not shown) penetrating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wing pin receiv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wing pin receiving part 322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개 핀 홀 및 상기 제2 날개 핀 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에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가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wing mount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wing mount 310 so that the first wing pin hole and the second wing pin hole face each other.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타단은 상기 날개 모듈(WM)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는, 상기 날개 모듈(WM)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복수의 전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와 연결된 복수의 전선들은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일단과 상기 붐대(100)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타단과 상기 날개 모듈(WM)이 결합된 경우, 상기 붐대(100)로부터 상기 날개 모듈(WM)의 모터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may be coupled to the wing module W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hollow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wing mount 320 .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of the wing module WM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formed inside the second wing mount 320 . A plurality of wires connected to the motor may be connected to a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 Accordingly, when one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and the boom 100 are couple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and the wing module WM are coupled, the boom 100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wing module WM to the motor.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 클램프(230)는 고리(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 클램프(230)는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 및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의 외주면에 상기 바디 클램프(23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바디 클램프(230)에 의해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가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와 상기 붐대(100)의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11 and 12 , the body clamp 230 may have a ring shape. The body clamp 230 may b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mount 210 so as to surround a region where the first body mount 210 and the second body mount 220 overlap. When the body clamp 230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mount 210 ,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fixed to the first body mount 210 by the body clamp 230 . can Accordingly, the coupling state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the boom stand 100 may be more stably maintained.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날개 클램프(330) 또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날개 클램프(330)는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 및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의 외주면에 상기 날개 클램프(33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날개 클램프(330)에 의해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가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와 상기 붐대(100)의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wing clamp 330 may also have a ring shape. The wing clamp 330 may b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ng mount 310 so as to surround an area where the first wing mount 310 and the second wing mount 320 overlap. When the wing clamp 330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ng mount 310 , the second wing mount 320 is fixed to the first wing mount 310 by the wing clamp 330 . can Accordingly, the coupling state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and the boom 100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와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바디 핀 홀(212)과 상기 제2 바디 핀 홀(222)을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바디 핀 홀(212)과 상기 제2 바디 핀 홀(222)에 고정핀(4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바디 마운트(210)에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in order to more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body mount 210 and the second body mount 220 , the first body pin hole 212 and the second body pin hole A fixing pin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in hole 212 and the second body pin hole 222 to communicate with the 222 . Accordingly,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irst body mount 21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 핀 홀(212)과 상기 제2 바디 핀 홀(222)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붐대(10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ing pin 400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in hole 212 and the second body pin hole 222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m 100 is extended. have.

또한,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와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결합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날개 핀 홀(312)과 상기 제2 날개 핀 홀(322)을 연통하도록 상기 제1 날개 핀 홀(312)과 상기 제2 날개 핀 홀(322)에 고정핀(4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날개 마운트(310)에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more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wing mount 310 and the second wing mount 320 , the first wing pin hole 312 and the second wing pin hole 322 are formed. A fixing pin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wing pin hole 312 and the second wing pin hole 322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cond wing mount 32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first wing mount 31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개 핀 홀(312)과 상기 제2 날개 핀 홀(322)에 삽입된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붐대(10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xing pin 400 inserted into the first wing pin hole 312 and the second wing pin hole 322 may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om 100 is extended. have.

결과적으로, 프로펠러(P), 및 상기 프로펠러(P)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날개 모듈(WM)과 드론의 메인 바디(MB)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AS)는,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 모듈(WM)의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 바디(MB)에 전력을 공급하는 붐대(100), 상기 붐대(100)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10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장착되는 제1 마운트(210, 310), 상기 제1 마운트(210, 310)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100)의 일단 또는 타단과 결합되고, 상기 붐대(10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날개 모듈(WM)의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MB)로 전달하는 제2 마운트(220, 320), 및 상기 제1 마운트(210, 310) 및 상기 제2 마운트(220, 320)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운트(210, 3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23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rm structure ( AS) has a pipe shape, the boom 1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nd the main body MB of the wing module WM,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unit 100, the A first mount (210, 310) mounted on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boom stand (1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210, 310) and coupled with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boom stand (100), the boom stand (100) The second mounts 220 and 320, and the first mounts 210 and 310 and the second mount 220 for transferr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wing module WM to the motor or the main body MB. , 320 may include clamps 230 and 330 mounted on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mounts 210 and 310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region.

이에 따라, 드론의 메인 바디(MB), 날개 모듈(WM), 및 암 구조체(AS)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 전지로 사용되는 상기 암 구조체(AS)의 상기 붐대(100)로부터 메인 바디(MB) 및 날개 모듈(WM)로 전력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ain body MB, the wing module WM, and the arm structure AS of the drone can be made easily, and the boom 100 of the arm structure AS used as a structural battery ) from the main body (MB) and the wing module (WM) can be easily made power supply.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가 설명된다. Above,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를 살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for killing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와 구성이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 또한 붐대(100), 제1 바디 마운트(210), 제2 바디 마운트(220), 바디 클램프(230), 제1 날개 마운트(310), 제2 날개 마운트(320), 및 날개 클램프(3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 That is,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is also a boom 100 , a first body mount 210 , a second body mount 220 , a body clamp 230 , a first wing mount 310 , and a second wing. It may include a mount 320 , and a wing clamp 330 .

다만, 상기 변형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드론용 암 구조체와 달리 상기 고정핀(400)이 상기 붐대(10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However, unlike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may be disposed so that the fixing pin 400 is not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oom 100 is extended.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마운트(210, 220)에 배치된 고정핀(400)은, 상기 고정핀(400)의 헤드부(400h)가 상기 붐대(10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400)의 테일부(400t)가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고정핀(400) 헤드부(400h)의 레벨이 상기 고정핀(400) 테일부(400t)의 레벨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pins 400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y mounts 210 and 220 are disposed such that the head portion 400h of the fixing pins 400 faces the boom 100 , and The tail portion 400t of the fixing pin 400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body mount 220, and the level of the fixing pin 400 head portion 400h is the fixing pin 400 tail portion. It may be arranged to be higher than the level of (400t).

즉, 상기 고정핀(400)의 헤드부(400h)는 상기 붐대(100)의 상부면(100a)과 하부면(100b) 중 상부면(100a)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400)의 테일부(400t)는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상부면(220a)과 하부면(220b) 중 하부면(220b)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제2 바디 마운트(220)의 하부면(220b)으로부터 상기 붐대(100)의 상부면(100a)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head portion 400h of the fixing pin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100a of the upper surface 100a and the lower surface 100b of the boom 100, and the fixing pin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100a. The tail portion 400t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220b of the upper surface 220a and the lower surface 220b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 Accordingly, the fixing pin 400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inclina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220b of the second body mount 220 to the upper surface 100a of the boom stand 100 .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날개 마운트(310, 320)에 배치된 고정핀(400)은, 상기 고정핀(400)의 헤드부(400h)가 상기 붐대(10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400)의 테일부(400t)가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고정핀(400) 헤드부(400h)의 레벨이 상기 고정핀(400) 테일부(400t)의 레벨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ins 400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wing mounts 310 and 320 are disposed such that the head portion 400h of the fixing pins 400 faces the boom 100 and the The tail portion 400t of the fixing pin 400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wing mount 320 direction, and the level of the fixing pin 400 head portion 400h is the fixing pin 400, the tail portion ( 400t)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level.

즉, 상기 고정핀(400) 헤드부(400h)는 상기 붐대(100)의 상부면(100a)과 하부면(100b) 중 상부면(100a)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400)의 테일부(400t)는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상부면(320a)과 하부면(320b) 중 하부면(320b)과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400)은 상기 제2 날개 마운트(320)의 하부면(320b)으로부터 상기 붐대(100)의 상부면(100a)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pin 400, the head portion 400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100a of the upper surface 100a and the lower surface 100b of the boom 100, and the fixing pin 400 is The tail portion 400t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urface 320b of the upper surface 320a and the lower surface 320b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 Accordingly, the fixing pin 400 may be disposed such that an inclina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320b of the second wing mount 320 to the upper surface 100a of the boom stand 100 .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400)이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배치된 경우, 드론 동작 중 상기 고정핀(400)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400)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마운트(210, 220)의 결합과 상기 제1 및 제2 날개 마운트(310, 32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고정핀(400)이 상기 붐대(10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된 경우, 드론 동작 중 드론의 흔들림에 의해 상기 고정핀(400)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ing pin 400 is disposed such that an inclination is formed, the problem that the fixing pin 400 is sepa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dron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ly,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mounts 210 and 220 by the fixing pin 400 and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wing mounts 310 and 320 can be made more stab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pin 400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om 100 ,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fixing pin 400 is separated due to the shaking of the drone during operation of the dron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붐대
210: 제1 바디 마운트
220: 제2 바디 마운트
230: 바디 클램프
310: 제1 날개 마운트
320: 제2 날개 마운트
330: 날개 클램프
MB: 메인 바디
AS: 암 구조체
WM: 날개 모듈
P: 프로펠러
100: boom
210: first body mount
220: second body mount
230: body clamp
310: first wing mount
320: second wing mount
330: wing clamp
MB: main body
AS: arm structure
WM: wing module
P: propeller

Claims (5)

프로펠러, 및 상기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날개 모듈과 드론의 메인 바디를 연결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에 있어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와 상기 메인 바디에 전력을 공급하는 붐대;
상기 붐대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 마운트;
상기 제1 마운트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붐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상기 날개 모듈의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로 전달하는 제2 마운트; 및
상기 제1 마운트 및 상기 제2 마운트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핀 수용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핀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마운트에 상기 제2 마운트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
In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that connects a wing module including a propeller and a motor for driving the propeller and a main body of the drone,
a boom that has a pipe shape and supplies power to the motor and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 first mount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a second mount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and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oom to the motor or the main body of the wing module; and
Comprising a clamp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mount and the second mount,
A first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 and a second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
First and second pin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in receiving portions, respectively,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to communicate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comprising the second mount being fixed to the first mount.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붐대;
상기 붐대의 일단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붐대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 마운트;
상기 제1 마운트에 삽입되어 상기 붐대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 마운트; 및
상기 제1 마운트 및 상기 제2 마운트가 중첩된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핀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마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마운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핀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핀 수용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핀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을 연통하도록 상기 제1 핀 홀과 상기 제2 핀 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마운트에 상기 제2 마운트가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
a boom that extends in one direction;
a first mount mounted on one end of the boom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boom;
a second mount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boom stand; and
Comprising a clamp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so as to surroun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mount and the second mount,
A first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unt, and a second pin receiv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u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ount,
First and second pin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pin receiving portions, respectively,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to communicate the first pin hole and the second pin hole,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comprising the second mount being fixed to the first mou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일단 및 상기 제2 마운트의 일단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되,
상기 붐대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와 상기 제2 마운트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가 결합되도록 상기 붐대와 상기 제2 마운트가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erminal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boom stand and one end of the second mount, respectively,
The arm structure for a drone comprising coupling the boom stand and the second mount so that the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boom unit and the terminal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mount are coupl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구조 전지(structural battery)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comprising that used as a structural battery for the boo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트는 상기 메인 바디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바디 마운트 및 상기 날개 모듈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트는 상기 메인 바디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바디 마운트 및 상기 날개 모듈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 날개 마운트를 포함하는 드론용 암 구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unt includes a first body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body and a first wing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wing module,
The second mount is an arm structure for a drone comprising a second body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wing mount disposed adjacent to the wing module.
KR1020220039779A 2022-03-30 2022-03-30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KR102452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79A KR102452671B1 (en) 2022-03-30 2022-03-30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779A KR102452671B1 (en) 2022-03-30 2022-03-30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671B1 true KR102452671B1 (en) 2022-10-07

Family

ID=8359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779A KR102452671B1 (en) 2022-03-30 2022-03-30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985A (en) * 2016-03-22 2017-10-10 김하얀 Drone for distributing power from a single motor
KR20170134240A (en)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유비파이 A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80086472A1 (en) * 2016-09-25 2018-03-29 Impossible Aerospace Corporation Aircraft Battery Systems and Aircraft Including Same
KR101916165B1 (en) * 2016-10-14 2019-0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he battery unit and unmanned aircraft airfoil for sp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985A (en) * 2016-03-22 2017-10-10 김하얀 Drone for distributing power from a single motor
KR20170134240A (en) * 2016-05-27 2017-12-06 주식회사 유비파이 A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80086472A1 (en) * 2016-09-25 2018-03-29 Impossible Aerospace Corporation Aircraft Battery Systems and Aircraft Including Same
KR101916165B1 (en) * 2016-10-14 2019-01-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he battery unit and unmanned aircraft airfoil for sp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25 Quick Release System for Multirotor Arms(2015.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20397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2224077B (en) There is flight recorder and the method thereof of the integrated backup power in the oad of casing
US10454576B2 (en) UAV network
US2020004446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automatic charging device
EP3795474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00019098A1 (en) Ducted Fan Core for Use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4443431A (en) Triangular satellite configuration and system and assembly method
CN104890902A (en) Fusing type compression release mechanism and release method thereof
CN105235907B (en) It is provided with the power circuit detection unmanned plane of thermal source detector
US6615165B2 (en) Cable connections between an unmanned aircraft and a detachable data handling module
US20080041293A1 (en) Self Contained Underwater Vehicle Modules
KR102452671B1 (en) Arm Structure for Drone using structural battery
CA2485435A1 (en) Device for assembly of a shroud placed between an aircraft engine air intake and a pylon
US9074842B2 (en) Umbilical cable disconnect
CN214397286U (en) Aerial survey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amera protect function
CN110908406A (en)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suitabl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alling
CN205661645U (en) Multiaxis unmanned aerial vehicle's horn quick assembly disassembly structure
US20230339609A1 (en) Autonomous drone component integration
KR102240146B1 (en) Block dr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12099341U (en) Foldable many rotors rescue unmanned aerial vehicle
CN207658036U (en) A kind of fixed-wing unmanned plane
CN111061297A (en) Flight control computer system
KR20220151735A (en) Modular drones and drone parts
KR102240156B1 (en) Modular block dr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7889976U (en) A kind of unmanned plane during flying device that can adjust power output di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