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633B1 -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 Google Patents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633B1
KR102452633B1 KR1020200120236A KR20200120236A KR102452633B1 KR 102452633 B1 KR102452633 B1 KR 102452633B1 KR 1020200120236 A KR1020200120236 A KR 1020200120236A KR 20200120236 A KR20200120236 A KR 20200120236A KR 102452633 B1 KR102452633 B1 KR 10245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light
vigil
user
module
c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8197A (en
Inventor
김정진
Original Assignee
김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진 filed Critical 김정진
Priority to KR102020012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63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32Query translation
    • G06F16/3334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rom queries, including natural language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은, 촛불집회의 특성을 유저에게 안내하는 안내 모듈 및, 촛불집회 참여 의사를 가진 유저를 모집하는 모집 모듈과, 상기 유저로부터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장소와 시간을 설정받는 참여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참여 인터페이스; GIS와 연동하여 상기 장소를 나타낸 지도를 복수 개의 섹터로 분류하는 섹터 분류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유저를 배정하는 배정 모듈 및, 상기 유저의 촛불 아바타를 생성하는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촛불 아바타를 표시한 상기 지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촛불집회 영상을 생성하는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 및, 상기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촛불집회 모집에서 장소의 배정 및 진행 상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여 마치 유저 자신이 오프라인 촛불집회에 직접 참여한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An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module for guiding us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andlelight vigil, a recruitment module for recruiting users willing to participate in a candlelight vigil, and a place where the candlelight vigil is held from the user and a participation interface including a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to set a time; A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map indicating the place into a plurality of sectors in conjunction with GIS; an assignment module for allocating the user to the sector; a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 avatar of the user; and a display interface including a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light vigil image that visually expresses the map displaying the candle avatar,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According to the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user himself participated in the offline candlelight vigil by visualizing in detail the allocation and progress of the place in the candlelight vigil recruitment.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촛불집회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마치 실제와 같이 운영하는 환경을 제공하여 시민들의 참여의식을 고취할 뿐 아니라 참여한 유저의 다양한 조건에 따라 맞춤형으로 촛불집회 상황을 역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andlelight vigil is operated as if it were real in an online virtual space, not only to inspire citizens' awareness of participation, but also to customize it according to the various conditions of the participating users. It relates to a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that can also express the candlelight vigil situation in various ways.

촛불집회는 사전적 의미로 다수의 사람이 주로 야간에 광장 등의 옥외에서 특정 사안에 대해 항의하거나 추모하기 위해 모인 다음 촛불을 들고 비폭력 평화시위 방식으로 진행하는 집회를 의미한다.A candlelight vigil is a dictionary definition of a non-violent peaceful demonstrati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to protest or commemorate a specific issue outdoors, mainly at night, and then hold candles.

촛불집회는 1960년대 말 미국의 반전운동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한국에서는 1992년 온라인 서비스의 유료화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저항적 시위에 활용된 첫 사례로 알려져 있다. The candlelight vigil 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anti-war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at the end of the 1960s, and in 1992, the candlelight vigil against the fee-for-service online service is known as the first case of resistance protests in Korea.

촛불집회가 집단시위나 저항행동의 주요 방식으로 자리 잡은 것은 2000년 이후로서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사망한 두 여중생의 추모 집회에 이어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반대 시위를 거치며 야간시위의 주요방식이 되었다.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 집회에서 최대 규모의 촛불시위가 전개되었고, 2016년에는 수 백만명의 시민이 움직여 대통령 탄핵의 단초가 되기도 하였다.The candlelight vigil has been established as a major form of collective protest or resistance action since 2000. Following a rally to commemorate two middle school girls who were killed by an American armored vehicle in 2002, the protests against President Roh Moo-hyun's impeachment in 2004 became the main form of nighttime protests. In 2008, the largest candlelight protest was held at a rally against the import of US beef, and in 2016, millions of citizens moved, which also led to the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이러한 촛불집회는 집회라는 사전적 의미의 성격상 야외 공간에서 모여 이루어지는데, 참여 의사는 있으나 개인적 상황이 여의치 못하여 참석을 못하거나 많은 사람이 모인 곳에 참석하는 것을 껄끄럽게 생각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 2020년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는 상황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위험성마저 존재한다는 특성이 있다.These candlelight vigils are held in an outdoor space due to the nature of the dictionary meaning of an assembly.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want to participate, but cannot attend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or feel uncomfortable attending a place where many people gather, especially in 2020.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even the risk of virus infection exists in a situation where social distancing is implemented due to the current corona virus.

한편,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적인 오프라인 집회를 넘어 온라인 집회를 구현하는 기술이 발달되기 시작하였다.On the other h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 online assembly beyond the classic offline assembly has begun to develop.

일 예로서,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7-0077284호인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집회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인터넷망을 통해 운영자 집회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후, 촛불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집회관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에 로그인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촛불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집회관련 프로그램을 운영자 집회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운영자 집회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보면서 투표/모금/서명 및 집회개설 등의 부가서비스를 운영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가 투표/모금/서명 및 집회개설 등의 부가서비스를 운영하지 않는 경우, 다운로드된 촛불이미지 만을 온(ON)시켜 해당 집회에 참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77284, a method of providing an assembly service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involves a user terminal accessing an operator assembly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joining as a member, followed by an assembly including a candle image, etc. Logging in if you want to download a related program; Downloading, by the user terminal, an assembly-related program including a candle image, etc. from an operator assembly server; determining, by the user terminal, whether to operate additional services such as voting / fundraising / signing and assembly opening while viewing the program downloaded from the operator assembly server; and if the user terminal does not operate additional services such as voting/collection/signature and assembly open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bove step, only the downloaded candle image is turned on to participate in the assembly. do.

상기 기술에 의하면, 온라인 기반의 집회를 개치한다는 상징성은 인정받을 수 있으나 주로 개최방식에 대한 프로세스만을 단편적으로 제시하였을 뿐 구체적인 촛불집회 방식이나 촛불집회 진행 시 발생될 수 있는 제반 사항에 대한 구체성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따른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symbolism of changing the online-based assembly can be recognized, but mainly only the process for the holding method is presented in a fragmentary manner, and the specific candlelight vigil method or all matters that may occur during the candlelight vigil are presented. The downside is that you can't do it.

따라서,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를 개최하되 촛불집회 개최 상황을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게 중계하거나 재생하여 마치 유저가 직접 오프라인 장소에 참여한 것과 같은 생동감을 전달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that can hold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s, but relay or reproduce the events of the candlelight vigils in a realistic and lively manner, as if users directly participated in offline venues. This is an emerging realit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제 오프라인 장소를 가상 처리한 공간에 유저를 모집하고 배치한 다음 촛불집회가 진행되는 상황을 시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온라인의 한계를 넘어선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provides a sense of reality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online by visually outputt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candlelight vigil is in progress after recruiting and arranging users in a virtual-processed space of an actual offline place.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n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는 물론 촛불을 일종의 아바타로 구체화시켜 표현함으로써 실제 촛불집회에 참여한 것과 같은 생동감을 전달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vey the vitality of participating in the actual candlelight vigil by embodying the candle as an avatar as well as the u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촛불집회 영상은 물론 함성과 같은 사운드를 제공하되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인원수에 따라 해당 사운드의 세기를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uch as a candlelight vigil as well as a video of the candlelight vigil, but to provide a means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작성한 문장을 출력하되 문장의 내용을 분석하여 촛불의 상태를 다양하게 가변 처리하는 것이다.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utput a sentence written by a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but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sentence to variably process the state of the can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은, 촛불집회의 특성을 유저에게 안내하는 안내 모듈 및, 촛불집회 참여 의사를 가진 유저를 모집하는 모집 모듈과, 상기 유저로부터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장소와 시간을 설정받는 참여 설정모듈을 포함하는, 참여 인터페이스; GIS와 연동하여 상기 장소를 나타낸 지도를 복수 개의 섹터로 분류하는 섹터 분류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유저를 배정하는 배정 모듈 및, 상기 유저의 촛불 아바타를 생성하는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촛불 아바타를 표시한 상기 지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촛불집회 영상을 생성하는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 및, 상기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module for guiding us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andlelight vigil, a recruitment module for recruiting us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user A participation interface, including a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to receive the setting of the place and time of the candlelight vigil from the; A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map indicating the place into a plurality of sectors in conjunction with GIS; an assignment module for allocating the user to the sector; a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 avatar of the user; and a display interface including a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light vigil image that visually expresses the map displaying the candle avatar, and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또한, 상기 참여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의 이름, 성별, 아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저 정보를 입력받는 유저 정보 입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 영상에서 어느 하나의 섹터의 선택 시, 선택된 섹터에 배정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interface includes a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user's name, gender, and ID, and the output module selects any one sector from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assigned to the selected sector.

더불어, 상기 모집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함성 사운드를 저장한 함성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유저의 인원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함성 사운드의 데시벨 수치를 차등 설정하는 데시벨 설정부를 포함한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 영상 출력 시, 설정된 데시벨 수치에 따라 상기 함성 사운드와 함께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ruitment module includes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display interface includes a shout sound database storing a shout sound, and a shout sou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number of the users. A shout sound setting module including a decibel setting unit for differentially setting a decibel value, wherein the output module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shout sound along with the shout sound according to the set decibel value whe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s output do it with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촛불집회 모집에서 장소의 배정 및 진행 상황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여 마치 유저 자신이 오프라인 촛불집회에 직접 참여한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고,1) In the candlelight vigil recruitment, the location allocation and progress are visualized in detail to provide a sense of reality as if the user himself participated in the offline candlelight vigil.

2) 촛불집회에 참석한 유저를 다양한 시각적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여 유저 자체의 존재감을 부각할 수 있어 참여 의식을 높일 수 있으며, 2) By expressing th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in various visual express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highlight the presence of the users themselves, thereby increasing the awareness of participation,

3) 촛불집회 진행 상황을 마치 현장 중계를 하는 방식으로 재생하여 실질적인 생동감을 더할 수 있을 뿐 아니라,3) The progress of the candlelight vigil can be reproduced in the same way as on-site broadcasting, adding practical vitality,

4)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작성한 문장을 통해 구체적인 유저의 참여 의사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문장에 대한 분석으로 촛불을 다양하게 가변 처리함으로써 직관적이면서 쉽게 촛불집회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4) Through the sentence written by the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ntion of the specific user to participate, and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the effect of intuitively and easily confirming the nature of the candlelight vigil by processing the candles in various ways by analyzing this sentence. do.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촛불집회를 2D 방식으로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유저 아바타와 촛불 표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촛불집회의 중계 화면 설정을 위한 카메라 배치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
도 5는 촛불집회문장을 표시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촛불의 채도와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을 예시한 개념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igital candlelight vigil is implemented in a 2D manner.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user avatar and a candle sig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arrangement state for setting a relay screen of a candlelight vigil.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ndlelight assembly sentence is displayed.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ation operation of a candle's saturation and a dynamic ma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bers in each figure refer to lik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디지털 촛불집회를 개최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바, 이를 위해 유저 단말(20)과 연동된 상태에서 웹 페이지/모바일 페이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유저를 모집함과 아울러 모집된 유저가 실제 오프라인 장소에 참여한 것처럼 구현된 디지털 촛불집회 상황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관제서버(1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function for holding a digital candlelight vigil based on online. It is based on including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visually outputting the digital candlelight vigil situation implemented as if the recruited user participated in an actual offline place as well as recruiting users through the medium.

본 발명에서 '디지털 촛불집회'라 함은 실제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는 촛불집회가 아니라 온라인 환경에서 디지털 장비(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유저 단말이나 모니터 등)을 매개로 가상으로 여러 유저가 특정 장소에 모여 촛불을 들고 집회를 수행하는 것처럼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촛불집회를 줄여 '촛불집회'로 명명하기도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digital candlelight vigil' refers not to a candlelight vigil that is actually conducted offline, but to virtual multiple users in an online environment using digital equipment (eg,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monitor) to a specific place. It means that it is implemented as if gathering at a place holding a candle and carrying out a r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digital candlelight vigil is also referred to as a 'candlelight vigil'.

또한, 유저 단말(20)은 유저가 소지하여 중앙관제서버(10)와 통신 가능함과 동시에 촛불집회를 출력하는 화면을 구비한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인 것이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 형식의 유저 단말(2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를 매개로 후술하겠지만 유저가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것은 물론 촛불집회를 시청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 refers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and having a screen for outputting a candlelight vigil,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tablet PC, or smartphone. it is possible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20 in the for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stalls the mobil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diu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rovide

중앙관제서버(1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유저 단말(20)과 통신하면서 정보를 교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as a cor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hardware having a CPU and a storage means in a state of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exchanging inform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CPU A series of modules and specific functions thereof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derived by the software to be executed in the .

즉, 중앙관제서버(10)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That is,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h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n a hardware basis having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and a hard disk,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and can execute this software. A series of specific configurations of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structural units called 'modules', 'parts', and 'interfaces'.

이때, 중앙관제서버(10)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s the signal (or data) processed therein. not shown), and may include a processor.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or a connection path (eg, a bus, etc.)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memory includes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a module or a unit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tored.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기반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the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중앙관제서버(10)의 저장 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즉,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of these 'modules' or 'parts' or 'interfaces' is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software executed via the CPU and memory, or hardware such as FPGA or ASIC. it means.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module', 'unit', and 'interface'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Functions provided by these 'modules' or 'units' or 'interfac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이하,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10)를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시스템(1)에 대한 기초적 구성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ed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red 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1)는 유저 단말(20)과 연동된 상태에서, 유저를 모집하고 유저 특성을 분류하기 위한 참여 인터페이스(100)와, 모집된 유저를 가상의 촛불집회 장소에서 실제 촛불집회가 개최된 것처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를 구비한 중앙관제서버(1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인 중앙관제서버(10)의 세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1 ,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ticipation interface 100 for recruiting users and classifying user characteristics, in a state interlocked with the user terminal 20 , and virtualizing the recruited users. It is based on including a central control server 10 having a display interface 200 that visually expresses as if an actual candlelight vigil was held at the candlelight vigil place.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which i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참여 인터페이스(100)는 기본적으로 안내 모듈(110)과, 모집 모듈(120), 참여 설정모듈(130)을 포함한다.The participation interfa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guide module 110 , a recruitment module 120 , and a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130 .

안내 모듈(110)은 촛불집회의 특성을 유저에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안내 모듈(110)은 일반적으로 유저 단말(20)의 화면에 안내 컨텐츠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guide module 110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use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vigi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guide module 110 generally serves to output guide conten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 .

여기서 촛불집회의 '특성'이라 함은 촛불집회의 취지와 성격은 물론 촛불집회의 장소와 시간과 같은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특성을 나타낸 정보를 문자 또는 이미지, 포스터, 영상 형식으로 표시한 것을 안내 컨텐츠라 한다.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vigil means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candlelight vigil as well as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andlelight vigil. Guidance content.

이 촛불집회의 특성을 수록한 안내 컨텐츠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content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vigil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ollowing information.

1) 취지와 성격 : <세월호 참사 추가 진상 규명을 위한 궐기대회>1) Purpose and Character: <A rally to find out the additional truth of the Sewol ferry disaster>

2) 장소와 시간: 서울 시청앞 광장. 2020년 9월 20일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2) Place and time: Plaza in front of Seoul City Hall. September 20, 2020 from 2pm to 5pm

3) 소개 문구 :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6년이 지난 시점에, 과거 정부에서 조사한 결과 보고가 미흡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진상 조사 위원회에서는 ~~~~와 같은 문제를 제기하였는데 아직 이 문제에 대한 진상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조속히 조사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민 여러분의 동참을 요구합니다."3) Introductory phrase: "Six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government's investigation results were insufficient to report. For example, the past fact-finding committee raised a problem like ~~~~, The truth of the matter has not been properly identified, so we ask for your particip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matter as soon as possible."

이러한 안내 컨텐츠는 이와 같은 텍스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나 포스터 형식으로 제작되는 것은 물론 동영상 형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Such guide contents are not limited to such texts, and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images or posters, as well as in the form of moving pictures.

이때, 본 발명의 촛불집회는 실제 오프라인에서 수행되는 촛불집회와 성격, 시간, 장소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참여 의사는 있으나 해당 장소와 시간에 참여할 수 없는 피치 못할 유저의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촛불집회를 개최하는 중요한 취지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촛불집회는 반드시 오프라인 촛불집회와 동일성을 가질 필요는 없고 온라인 전용 촛불집회만 별도로 개최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candlelight vigil of the present invention coincide with the actual offline candlelight vigil in nature, time, and place. This is beca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important purpose of holding a candlelight vigil on an online basis. Of course, the candlelight vigi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he same identity as the offline candlelight vigil,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hold only the online candlelight vigil.

모집 모듈(120)은 상기 안내 모듈(110)에서 제공된 안내 컨텐츠를 확인하여 촛불집회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유저를 모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ruitment module 120 performs a function of recruiting us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vigil by checking the guide content provided by the guide module 110 .

이러한 모집 모듈(120)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상술할 안내 컨텐츠를 표시함과 아울러 '참여'(또는 신청) 아이콘을 구비한 모집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 모집창이 출력되는 유저 단말을 매개로 상술한 참여 아이콘을 누르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모집 모듈은 허수 참여 방지를 위해 해당 유저에 대한 기본적인 인증 절차를 거치는 것이 가능하다. This recruitment module 120 provides, for example, a recruitment window with a 'participation' (or application) icon as well as displaying the guide content to be described in detail on a web page or a mobile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 Through this, the user can participate by pressing the above-mentioned participation icon through the user terminal through which this recruitment window is output, and in response, the recruitment module can go through a basic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user in order to prevent imaginary participation. .

이때 인증 절차는 네이버, 다음과 같은 유명 포털 사이트와 연동하여 해당 아이디를 입력받거나 SK, KT와 같은 통신사의 신원인증서비스와 연동하여 통신사 및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다음 인증번호를 유저 단말로 송출하고 이 인증 번호를 유저가 입력하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receives the corresponding ID by linking with the famous portal sites such as Naver and Daum, or receives the communication company and phone number by interworking with the identity authentication service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such as SK and KT, and then sends the authentication number to the user terminal. The authentication number can be processed by the user input.

이로써, 모집 모듈(120)은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유저의 개략적인 존재(아이디나 전화번호를 통한 실존 인물 확인 정보 및 이름, 성별 등의 기본 정보) 및 유저의 집합체(즉, 인원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As a result, the recruitment module 120 confirms the approximate existence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al people through IDs or phone numbers and basic information such as names and genders) and the aggregate of users (that is, the number of people). it is possible

더 나아가, 모집 모듈(120)은 기결정된 촛불집회에 참석하고자 하는 유저만 모집하는 것이 아니라 촛불집회 자체를 모집하는 것도 가능한데, 촛불집회를 개최하기 위한 일련의 기준을 제시하여 해당 기준에 적합한 촛불집회를 선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more, the recruitment module 120 can not only recruit users who want to attend the predetermined candlelight vigil, but also recruit the candlelight vigil itself.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function to select .

참여 설정모듈(130)은 참여 의사를 밝힌 유저를 대상으로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장소와 시간을 설정받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13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location and time at which the candlelight vigil is held for users who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는 반드시 하나의 시간과 장소에서 개최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의 장점을 십분 살려 복수의 시간과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개최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실제 참여하고자 하는 특정 장소와 시간을 입력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That is, the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held at a single time and place, but can be held simultaneously at multiple times and places by taking full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online. It is to provide a function to receive input of a specific place and time that the participating user actually wants to participate.

이때, 참여 설정모듈(130)은 동일한 특성을 가진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여러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유저에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저는 이를 통해 특정 장소와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130 can gu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various places and times where the candlelight vigil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is held, and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place and time through this.

만일 촛불집회가 하나의 장소와 시간에서 개최되는 경우일 경우, 참여 설정모듈은 예를 들어 해당 장소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존(후술할 섹터보다 상위 개념)과 실제 참여하는 세부 시간(예를 들어, 촛불집회가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개최된다 할 때 세부 시간은 오후 2시부터 3시)을 유저에게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If the candlelight vigil is held at one place and time, the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for example, divides the place into a plurality of areas (a higher concept than the secto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time (e.g. For example, if the candlelight vigil is held from 2 pm to 5 pm, the detailed time is 2 pm to 3 pm),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it.

즉, 본 발명의 참여 인터페이스(100)는 촛불집회의 특성을 유저에게 소개하고 참여 의사를 가진 유저를 모집한 다음 세부적인 장소와 시간을 선택받아 실제 오프라인에서 개최되는 촛불집회에 참여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the participation interfa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vigil to users, recruits us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and then selects a detailed location and time to participate in an actual offline candlelight vigil. It provides a function to provide to users.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는, 참여 의사를 가진 유저가 촛불집회에 참여한 상황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섹터 분류모듈(210)과 배정 모듈(220),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240), 출력 모듈(240)을 포함한다. The display interfa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visually outputting a situation in which a user willing to participate participates in a candlelight vigil. Specifically, the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210 and the allocation module 220, and candle avatar generation It includes a module 230 , a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240 , and an output module 240 .

도 2는 디지털 촛불집회를 2D 방식으로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igital candlelight vigil is implemented in a 2D manner.

섹터 분류모듈(210)은 지리정보시스템(GIS)와 연동하여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장소에 대한 지도를 수집 및 저장하는 기능은 물론, 해당 장소를 나타낸 지도를 여러 구획, 즉 섹터(sector)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210 has a function of collecting and storing a map of a place where a candlelight vigil is held in conjunct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s well as classifying a map showing the place into several divisions, that is, a sector. perform the function

즉, 본 발명에서는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해 실존하는 오프라인 장소를 기반으로 이 장소를 나타내는 지도에 유저를 배치하는데, 이때 지도는 2D 지도는 물론 3D 지도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서울 시청 앞 광장, 즉 서울광장의 2D 지도를 예시하였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s placed on a map indicating this place based on an existing offline place in order to provide a sense of realism. In this case, the map includes a 2D map as well as a 3D map. 2 exemplifies a 2D map of the square in front of Seoul City Hall, that is, Seoul Plaza.

도 2와 같이 촛불집회 장소가 서울광장일 때 2D 지도는 이 서울광장을 위에서 나타낸 평면 지도로 표현되고, 3D 지도의 경우 서울광장에 대한 입체감을 부여한 입체 지도로 표현되며 특히 3D 지도는 실제 존재하는 거리, 건물 등을 표시하여 현장감을 부각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항공 구도/지면 구도 등을 표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각도,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한 구도를 지원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place of the candlelight vigil is Seoul Plaza, the 2D map is expressed as the flat map shown above, and in the case of the 3D map, it is expressed as a three-dimensional map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Seoul Plaza. A sense of presence can be emphasized by displaying a street, a building, etc., and, for example, a composition in which the display angle and location are set in various ways to express an aerial composition/ground composition, etc. can be supported.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촛불집회가 온라인 기반이라 하여 아무런 공간을 가상화시킨 것이 아니라 실제 장소에서 수행되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실제 지도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유저가 마치 자신이 실존하는 오프라인 장소에 온 것과 같은 현장감을 부여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candlelight vig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real map in order to emphasize that it is performed in a real place rather than virtualized because it is online-based, so that the user feels as if he or she came to an offline place. It is possible to assist in giving.

이러한 2D 및 3D 지도는 공지의 GIS에서 제공되는 지도를 기반으로 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se 2D and 3D maps are based on maps provided by well-known GIS,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섹터(sector)라 함은 촛불집회가 열리는 장소에서 1명의 유저가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2D 지도의 경우 사각형으로, 3D 지도의 경우 직육면체나 정육면체와 같은 형상으로 표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tor means a space where one user is located at a place where a candlelight vigil is held, and in the case of a 2D map, it is a rectangle, and in the case of a 3D map, it is expressed in a shape such as a cuboid or a cube.

이 섹터는 다양한 사이즈로 설정될 수 있는데 2D 지도를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는 한 사람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인 2*2 미터로 설정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만일 모집 모듈을 통해 파악된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많을 경우에는 1.5*1.5 미터 단위로 가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이 섹터를 행렬 처리에 의한 격자 구조로 표시하였고,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실제 사이즈보다 크게 도시하였다.This sector can be set in various sizes. For example, on a 2D map, it is generally set to 2*2 meters, which is a space that can be located by one person. If there are many users, it is possible to set the variable in 1.5*1.5 meter increments. In FIG. 2, this sector is displayed in a grid structure by matrix processing, and is shown to be larger than the actual size for better understanding.

즉,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섹터 분류모듈(210)은 촛불집회를 나타낸 지도를 기준으로 일정 치수로 가로선과 세로선으로 그어 해당 지도에서 복수 개의 섹터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섹터는 A,B,C,D....를 가로선, 1,2,3,4,5...를 세로선으로 설정하여 만일 'B4'라 할 때 2번째 줄에서 왼쪽으로부터 4번째 위치와 같이 고유의 식별부호가 부여되어 후술할 배정 모듈에서 각 섹터에 유저를 배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That is, as can be seen from FIG. 2 , the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210 provides a function of setting a plurality of sectors on the map by drawing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in a predetermined dimension based on the map showing the candlelight vigil. At this time, the sector sets A,B,C,D... as horizontal lines and 1,2,3,4,5... as vertical lin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such as a location, may be assigned to provide a criterion for allocating a user to each sector in an allocation modu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배정 모듈(220)은 상술한 모집 모듈(120)에서 모집된 유저를 섹터에 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llocation module 220 performs a function of allocating the users recruited in the above-described recruitment module 120 to a sector.

예를 들어, 배정 모듈(220)은 상술한 식별부호를 기준으로 예시하면 모집 시간 순서에 따라 A,B,C,D...순서로 유저를 각 섹터에 배열하거나 도 2와 같이 랜덤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마치 온라인 영화 예매 시 극장 좌석을 유저가 직접 선택하는 것처럼 지도에서 구획된 섹터를 나타내는 위치 설정창을 유저에게 출력하여 유저가 특정 섹터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유저를 배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f the allocation module 220 is exemplifi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identification code, the users are arranged in each sector in the order of A, B, C, D ... according to the recruitment time order, or randomly as shown in FIG. Furthermore, as if a user directly selects a theater seat when making an online movie reservation, a location setting window indicating partitioned sectors on the map is output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be as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ector. .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유저는 물론 유저가 촛불을 든 모습을 일종의 아바타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같이 유저 및 초(촛불)을 포함한 아바타를 본 발명에서는 '촛불 아바타'라 한다.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not only the user but also the appearance of the user holding a candle as an avatar. As such, the avatar including the user and the candle (candle) is referred to as a 'candle avatar' in the present invention.

촛불 아바타는 표현의 단순함을 위해 초가 타오르는 촛불만으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구체적인 표현을 위해 캐릭터로 처리된 유저가 초를 들고 있는 모습에 초가 타올라 촛불이 형성된 형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촛불 아바타는 이미지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은 물론 실제 초가 타오르는 모습이나 손을 들어 구호를 외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처리하여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andle avatar may be formed with only a candle burning with a candle for simplicity of expression, or may be expressed as a shape in which a candle is formed by burning a candle when a user who is treated as a character is holding a candle for specific expression. In addition, the candle avatar can be implemented not only in the form of an image, but also in the form of a burning candle or raising a hand and shouting a slogan as a video.

도 2를 참조하면, 섹터에 배정된 촛불 아바타는 촛불 형상만을 표현하되 이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였을 경우 확대된 촛불 아바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같이 확대된 촛불 아바타는 유저를 캐릭터 처리한 형상과 촛불을 합성한 이미지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촛불 아바타는 반드시 하나의 형상으로 화체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상황에 따라 도 2에서와 같이 여러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andle avatar assigned to the sector expresses only the shape of a candle, but if any one of them is clicked, an enlarged candle avatar can be displayed.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image is composed of In other words, the candle avata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embodied in one shape, and may be expressed in several shapes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display situation.

즉,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유저의 촛불 아바타, 즉 유저가 초를 들고 촛불집회에 참가한 모습을 다양한 표현 기법을 동원하여 촛불 아바타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candle avatar generation module 23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the user's candle avatar, that is, the user holding a candle and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as a candle avatar by using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240)은 상술한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에서 생성된 촛불 아바타를 배정 모듈(220)에서 배정된 섹터에 배치하여 지도와 함께 시각적으로 표현한 영상, 즉 '촛불집회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240 places the candlelight avatar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in the sector assigned by the assignment module 220 and visually expresses it with a map, that is, a 'candlelight vigil image'. Provides the ability to create

이때, '영상'이라 표현되어 동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촛불집회 영상은 정적 이미지나 GIF 형식의 단순한 동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understood as expressed as 'video' and implemented as a moving picture, but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static image or a simple dynamic image in a GIF format.

촛불집회 영상을 동영상으로 표현한 것에 대한 일 예로서, 서울광장에 500명의 유저가 모인 장면을 실제감 있게 그래픽 처리한 다음 다양한 카메라 기법, 예를 들어 줌인/줌아웃, 무빙, 페이드인/페이드 아웃 등을 동원하여 실제 촛불집회를 촬영한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은 AR(증강현실) 기술을 연동하여 3D 지도에 촛불 아바타를 합성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경우 유저가 실제 촛불집회 장소를 이동하거나 움직이는 생생한 장면을 구현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expressing the video of the candlelight vigil as a video, the scene of 500 users gathered in Seoul Plaza is graphically processed in a realistic way, and then various camera techniques such as zoom in/zoom out, moving, fade in/fade out,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realism as if filming an actual candlelight vigil by mobilizing it. In this case, the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can synthesize and express the candle avatar on the 3D map by interworking with A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출력 모듈(250)은 상술한 촛불집회 영상을 유저 단말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output module 25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above-described candlelight vigil image to the user terminal.

다시 말해, 이러한 출력 모듈(250)은 촛불집회 영상을 재생하는 재생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촛불집회가 일어나는 설정 시간에 실시간으로 유저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은 물론 설정 시간 이후에 녹화 영상을 재생하는 것처럼 유저가 화면에 지원된 재생 버튼을 눌러 촛불집회 영상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is output module 250 supports the playback function of reproducing the candlelight vigil video, as well as outputting i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 real time at the set time when the candlelight vigil takes place, as well as playing the recorded video after the set tim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play the candlelight vigil video by pressing the supported play button on the screen.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의 화면에서 상부 영역인 영상표시창에는 상술한 촛불집회 영상을 재생하고 하부 영역인 확대표시창에서는 섹터를 비롯하여 지도의 특정 공간을 클릭하였을 때 해당 공간의 확대 장면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is reproduced on the image display window, which is the upper region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enlarged scene of the space is reproduced when a specific space on the map including the sector is clicked on the enlarged display window, which is the lower region. it is possible

또한, 이 출력 모듈(250)은 유저 자신이 참여한 촛불집회 영상은 물론 유저가 참여하지 않은 촛불집회 영상을 리스트 처리하여 유저가 특정 리스트를 선택하였을 때 해당 촛불집회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250 may support a method of reproduc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list by list process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n which the user has participated as well as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n which the user does not participate. .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에 의하면 촛불집회 참여 의사가 있으나 개인적 사정에 의해 참석하지 못할 때 온라인 기반의 촛불집회에라도 참여하여 다양한 정치/사회적 이슈에 참여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마치 실제 촛불집회에 참석한 것과 같은 실제감과 현장감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In summary, according to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vigil, but cannot attend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online-based candlelight vigil and raise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 various political/social issues, of course, It has characteristics that can provide a sense of reality and presence, as if attending an actual candlelight vigil.

추가적으로, 참여 인터페이스(100)는 촛불집회에 참여 의사를 밝힌, 다시 말해 모집 모듈에서 모집된 유저를 대상으로 이름, 성별, 아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저 정보를 입력받는 유저 정보 입력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rticipation interface 100 is a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that receives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name, gender, and ID for users who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vigil, that is, recruited from the recruitment module. may include

즉, 유저 정보 입력모듈(140)은 상술한 모집 모듈에서 참여 아이콘을 클릭하여 해당 유저가 참여 의사를 밝힌 다음 별도의 정보입력창을 유저 단말의 화면에 제공하여 이름, 성별, 아이디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clicks the participation icon in the above-described recruitment module to indicate that the user intends to participate, and then provides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window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o enter any one of name, gender, and ID. It is possible to receive input and save it.

이에 대응하여,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출력 모듈(250)은 영상표시창에서 재생되는 촛불집회 영상에서 어느 하나의 섹터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섹터에 배정된 유저의 유저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정보 출력부(251)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spondingly, as can be seen from FIG. 2 , the output module 250 includes a user information output unit ( 251) is possible.

이때 영상표시창에서 표시된 섹터의 실제 사이즈는 상당히 작기 때문에 이를 확대한 별도의 창, 즉 도 2에서는 영상표시창 아래에 위치한 확대표시창에 유저 아바타와 함께 그 주변에 해당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인'firegirl'을 표시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actual size of the sector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window is quite small, in a separate window that is enlarged, that is, in FIG. can be displayed

이에 따르면, 영상표시창에 수많은 촛불 아바타의 형상이 비슷하여 실제 자신이 어느 공간에 위치하였다는 현실감이 떨어질 수 있는데 자신이 위치한 섹터를 선택할 경우 아이디와 같은 유저 정보를 촛불 아바타와 함께 출력함으로써 실제 자신이 촛불집회 장소에 왔다는 현실감과 존재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is, since the shape of numerous candle avatars on the video display window is similar, the sense of reality that you are actually located in a certain space may be reduced. It provides the role of giving a sense of reality and presence to the place of the candlelight vigil.

도 3은 아바타와 촛불 표식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n avatar and a candle mark.

추가적으로, 유저 정보 입력모듈(140)은 유저 아바타 생성부(141), 표식 선택부(14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may include a user avatar generating unit 141 and a mark selecting unit 142 .

유저 아바타 생성부(141)는 유저의 아바타를 유저로부터 입력받거나 아니면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avatar generating unit 14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user's avatar from the user or generating it by itself.

즉, 유저 아바타는 상술한 촛불 아바타에 속하는 하위 또는 종속 아바타로서 유저 자신을 표현한 형상이라 할 수 있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아바타 선택창에서 다양한 아바타를 제시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유저로부터 선택받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유저가 성별이나 나이를 유저 정보의 일종으로 입력한 경우 이에 맞는 남자/여자, 청년, 중년, 청소년과 같은 모습을 띤 아바타를 유저에게 추천하여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avatar is a subordinate or subordinate avatar belonging to the above-described candle avatar, which expresses the user himself. It is possible to process In this case, when the user inputs gender or age as a type of user information, an avatar having the same appearance as male/female, youth, middle-aged, or adolescent may be recommended and output to the user.

표식 선택부(142)는 유저로부터 촛불 표식을 선택받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mark selection unit 142 provides a function of receiving a candle mark selected by the user.

촛불 표식 역시 상술한 촛불 아바타의 하위/종속 아바타로서, 유저가 들고 있는 불의 형상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 촛불은 초가 타오르는 불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횃불은 물론 불꽃과 상관없는 깃발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candle mark is also a sub/subordinate avatar of the above-described candle avatar, which means the shape of the fire held by the user.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ndle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torch, as well as a flag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flame, rather than a dissatisfaction with burning candles.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표식 선택부(142)는 촛불 표식 선택창을 제공하고 이 촛불 표식 선택창에서 촛불, 횃불, 깃발을 유저에게 출력한 다음 유저로부터 어느 하나의 촛불 표식을 선택받을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3 , the mark selection unit 142 provides a candle mark selection window, outputs a candle, a torch, and a flag to the user in the candle mark selection window, and then selects any one candle mark from the user. have.

이에 대응하여,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유저가 선택하거나 생성한 유저 아바타와 촛불 표식을 합성, 즉 유저 아바타가 촛불 표식을 들고 있는 모습을 합성하여 촛불 아바타로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spondingly,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can create a candle avatar by synthesizing the user avatar selected or created by the user and the candle symbol, that is, the appearance of the user avatar holding the candle symbol.

이로써, 단순한 그래픽이나 획일화된 형상을 시각화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이내믹하고 다양하게 유저의 형상은 물론 촛불을 촛불 아바타로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user's shape as well as the candle as a candle avatar in a more dynamic and diverse manner, rather than visualizing a simple graphic or a uniform shape.

도 4는 촛불집회의 중계 화면 설정을 위한 카메라 배치 상태를 예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mera arrangement state for setting a relay screen of a candlelight vigil.

앞서 설명하였듯이,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240)과 출력 모듈(250)의 기능에 의해 촛불집회 영상을 다양한 구도와 표현 방식으로 유저에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데, 마치 방송 촬영이나 중계 형식과 같은 실제적인 현장감을 부각함과 아울러 단순히 획일화된 촛불집회 영상을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촛불집회 영상을 능동적 방식으로 유저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구도로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by the functions of the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240 and the output module 250,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candlelight vigil image to the user in various compositions and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to highlighting the candlelight vigil, it provides a means of expressing the candlelight vigil video in various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an active wa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assively viewing the standardized candlelight vigil video.

구체적으로, 출력 모듈(250)은 카메라 선택부(252)와 카메라 출력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utput module 250 may include a camera selection unit 252 and a camera output unit 253 .

여기서, 카메라, 즉 가상 카메라는 비록 본 발명의 촛불집회가 온라인 기반의 가상공간에서 수행되는 것이지만 실제 오프라인 공간에서 여러 카메라가 현장을 촬영하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camera, that is, the virtual camera, although the candlelight vig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n an online-based virtual space, can be said to be introduced to provide a sense of presence, such as multiple cameras photographing the scene in an actual offline space.

다시 말해, 실제 지도를 기반으로 생성한 촛불집회 장소인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위치에 가상 카메라를 배치하여 특정 가상 카메라를 유저가 선택하면 해당 가상 카메라는 실제 카메라와 같이 자신이 촬영한 것과 같은 영상을 유저에게 선택 제공한다. 이를 위해,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240)은 하나의 촛불집회 영상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와 편집 기법을 통해 구분된 복수 개의 하위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In other words, when a user selects a specific virtual camera by placing virtual cameras in various locations in the online virtual space, which is the place for the candlelight vigils created based on the actual map, the virtual camera records the same image as the actual camera. provide users with a choice. To this end, the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240 includes a function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ub-images divided through various angles and editing techniques based on one candlelight vigil image.

더불어,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240)은 본 발명의 가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미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데, 가상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에서 보여지는 구도를 미리 파악하여 해당 구도에서의 영상을 미리 생성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In additio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240 is capable of grasping the shooting range of the virtual camer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vance, pre-determining the composition shown at the location where the virtual camera is installed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image in the corresponding composition in advance. it means that it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카메라 선택부(252)는 촛불집회 영상에서 표현된 촛불집회 장소에 복수 개로 가상 카메라를 배치시킨 영상을 유저에게 출력한 다음 이 가상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유저로부터 선택받는 기능을 제공하고, 카메라 출력부(253)는 유자에게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촬영 범위로 가상으로 촬영된 촛불집회 영상을 별도의 출력창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camera selection unit 252 outputs to the user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virtual cameras are arranged at the candlelight assembly place expressed i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and then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ng any one of these virtual cameras from the user, The camera output unit 253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through a separate output window,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which is virtually captured at the shooting angle and shooting range of the virtual camera selected by Yuja.

도 4를 참조하면, 서울광장에 여러 대의 가상 카메라를 배치한 다음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가상 카메라를 유저가 선택하면 해당 가상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유저에게 출력함으로써, 실제 중계 상황을 생동감 있게 구현한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fter arranging multiple virtual cameras in Seoul Plaza and selecting any one of these virtual cameras by the user, the video captured by the virtual camera is output to the user, thereby vividly realizing the actual relay situation. it can be seen that

이로써, 온라인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 실제 오프라인에서 촛불집회를 하고 있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배가할 수 있는 특징을 제공한다.In this way, it provides a feature that can double the sense of presence, such as holding a candlelight vigil in an actual offline space, beyond the limits of the online space.

더불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촛불집회 영상뿐 아니라 과거에 진행되었거나 유저가 참여하지 않은 다른 촛불집회 영상을 재생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촛불집회 영상은 특정 기준으로 순서를 정해 배열된 리스트로 생성되어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interfa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eans for reproducing not only the video of the candlelight vigil in real time, but also other images of the candlelight vigil that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or that the user has not participated in. In particular, such a candlelight vigil image is generated as a list arranged in an order based on a specific criterion, and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candlelight vigil image by selecting one of them.

구체적으로, 상술한 모집 모듈(120)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121)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recruitment module 120 includes a counting unit 121 for counting the number of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즉, 카운팅부(121)는 모집된 유저의 인원수를 세어 총 유저 인원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때 유저 정보와 함께 성별/연령대/지역과 같은 세부 분류 기준으로 유저 인원수를 세밀하게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ounting unit 121 may count the number of recruited users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users, and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number of users in detail based on detailed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gender/age/region together with user information.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는 분류부(261)와 선택 출력부(262)를 포함한 선택 출력모듈(2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display interfa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output module 260 including a classification unit 261 and a selection output unit 262 .

분류부(261)는 카운팅부(121)에서 파악한 유저의 인원수에 대한 고저에 따라 상기 촛불집회의 분류 순서를 정하여 분류된 촛불집회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분류부(261)는 유저의 인원수가 많은 촛불집회 영상의 순서를 높은 순위로 정하고 반대의 경우 낮은 순위로 정하여 복수 개의 촛불집회 영상을 리스트업(list-up)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따르면, 유저는 촛불집회에 참여한 인원수가 많은 촛불집회 영상을 먼저 알기 쉽게 접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261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a list of classified candlelight vigils by determining the classification order of the candlelight vigil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low of the number of users identified by the counting unit 121 . That is, the classification unit 261 serves to list-up the plurality of candlelight vigil images by setting the order of the candlelight vigil images with a large number of users as a high order and in the opposite case as a low order. According to this, the user can have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candlelight vigil video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선택 출력부(262)는 상술한 리스트에서 유저에게 선택된 촛불집회의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lection output unit 262 serves to output the candlelight vigil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above-described list.

즉, 상술한 출력 모듈(250)은 주로 자신이 참여한 촛불집회의 실시간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것에 대한 설명 위주였다면, 선택 출력부(262)는 리스트 처리된 다른 유저가 참여한 촛불집회의 과거 영상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다.That is, if the above-described output module 250 mainly describes outputting the real-time candlelight vigil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in which it participated, the selection output unit 262 displays the past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in which other users who have been processed in the list participated. It means you can choose to play.

이러한 선택 출력모듈(260)에 의하면, 마치 실시간은 물론 과거 영상을 볼 수 있는 스포츠 중계 방식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본 발명의 촛불집회에 대해 실제감 있게 표현함과 아울러 이를 확인한 유저의 촛불집회 참여 의식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election output module 260, it provides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sports broadcasting method in which real-time as well as past images can be viewed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candlelight vigi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s awareness of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앞서 설명한 촛불집회 영상은 단순히 시각적 영상만 포함한 것이 아니라 청각적 사운드를 포함하여, 현장감을 더욱 부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andlelight vigil video described above includes not only visual images, but also auditory sounds,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emphasize the sense of presence.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200)는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27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display interface 200 includes a shout sound setting module 270 .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270)은 함성 사운드 데이터베이스(271) 및, 데시벨 설정부(272)로 이루어져 있다.The shouting sound setting module 270 includes a shouting sound database 271 and a decibel setting unit 272 .

함성 사운드 데이터베이스(271)는 다양한 함성 사운드를 음원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한다.The shout sound database 271 refers to a database in which various shout sounds are stored in a sound source file format.

여기서, 함성 사운드는 실제 오프라인에서 진행된 촛불집회에서 녹음한 사운드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모집단 100명의 함성을 녹음하거나 공지의 사운드 믹서에 의해 기계적으로 생성된 음성일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함성 사운드는 특정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성별, 연령대에 비례하여 모집단의 성별과 연령대를 맞춘 다음 이들이 소리친 음성을 녹음하여 생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다시 말해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특성에 맞춘 함성 사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Here, the shouting sound may be a sound recorded at a candlelight vigil held offline, for example, may be a voice recorded by 100 people in the population or a voice mechanically generated by a well-known sound mixer. Furthermore, the shout sound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the gender and age group of the population in proportion to the gender and age group of the users participating in the specific candlelight vigil, and then recording the voices they shouted.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a shout sound.

데시벨 설정부(272)는 카운팅부(121)에서 파악한 유저의 인원수에 대한 고저에 따라 함성 사운드의 데시벨 수치를 차등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cibel setting unit 272 performs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setting the decibel value of the shouting sound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number of users identified by the counting unit 121 .

즉, 데시벨 설정부는 1,000명의 유저가 모였을 때보다 5,000명의 유저가 모였을 때 더 큰 세기, 즉 데시벨로 함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That is, the decibel setting unit can provide a basis for outputting a shout sound with a greater intensity, that is, decibels, when 5,000 users are gathered than when 1,000 users are gathered.

이에 대응하여, 출력 모듈(250)은 촛불집회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에 상술한 데시벨이 조절된 함성 사운드를 설정된 데시벨 수치에 따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254)를 포함한다.Correspondingly, the output module 250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254 for outputting the above-described decibel-adjusted shouting sound according to a set decibel value while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s output.

이러한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270) 및 사운드 출력부(254)를 통해 시각적 영상과 청각적 사운드를 함께 출력하여 더욱 박진감 있고 현장감 있는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참여한 유저의 인원수에 따라 함성 사운드의 세기를 차등 설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감을 더하는 특성을 제공한다.Through this shouting sound setting module 270 and sound output unit 254, a visual image and an auditory sound can be output together to output a more powerful and realistic candlelight vigil image, as well as a shouting sou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ng users. It provides a characteristic that adds a realistic sense of presence by differentially setting and outputting the intensity of

앞서 설명하였듯이, 출력 모듈(250)은 촛불집회 영상을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유저 단말(20)과 연동하여 유저에게 베니핏(benefit)을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module 250 performs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benefit) is provided additionally.

구체적으로, 유저 단말(20)은 자이로 센서는 물론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는데, 공지의 스마트폰은 이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자체적인 흔들림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20 may be a smart phone having an acceleration sensor as well as a gyro sensor. A known smart phone has a function of detecting its own shaking or movement through the gyro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이러한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과 연동하여, 유저 단말(20)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촛불집회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유저 단말 자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해당 움직임의 속도와 횟수에 따라 동작 지수를 설정하는 동작 지수 설정모듈(21)을 포함할 수 있다. In conjunction with such a basic function of the smartphone, the user terminal 2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itself while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s output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and sets the operation index according to the speed and number of the movement. It may include an index setting module 21 .

이때, '동작 지수'라 함은 유저 단말의 움직임(흔들림)의 정도, 즉 속도와 횟수에 비례하여 설정되는 상대적인 수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1분에 10번 흔드는 속도를 기준으로 유저 단말을 5번을 흔들었을 때 10이라는 동작 지수를 설정한다 할 때, 동작 지수 설정모듈은 1분에 20번 흔드는 속도를 기준으로 유저 단말을 10번 흔들면 동작 지수를 40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ovement index' refers to a relative value set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movement (shake) of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speed and the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peed of shaking 10 times per minute. When setting the motion index of 10 when shaking 5 times, the motion index setting module can set the motion index to 40 by shaking the user terminal 10 times based on the speed of shaking 20 times per minute.

이러한 동작 지수는 반드시 유저 단말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와 횟수에 정비례 또는 선형비례하는 것은 아니고 로그 함수나 하이퍼탄젠트 함수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수치가 커질 때 특정 수치에 수렴함과 동시에 비선형적으로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These motion indices are not necessarily directly or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speed and number of motions of the user terminal, but as a log function or hypertangent function, when the number increases above a certain level, it converges to a specific value and at the same time is non-linearly proportional. You can also set

이와 같이 유저 단말(20)을 흔들거나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동작 지수를 설정하는 것은 촛불집회가 진행될 때 유저는 실제 오프라인 장소에 참여한 것이 아니라 유저 단말에서 제공하는 촛불집회 영상만을 시청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는데, 유저 단말(20)을 흔드는 동작을 일종의 참여의식을 높이기 위한 동작으로 인식하여 실제로 유저 단말(20)을 흔들면서 단순히 촛불집회 영상을 시청하는 의미 이상의 참여 의지를 고취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setting the motion index according to the degree of shaking or moving the user terminal 20 is a situation where the user does not actually participate in the offline place when the candlelight vigil is in progress, but only watches the candlelight vigil video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 It is to inspire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beyond the meaning of simply watching a candlelight vigil video while actually shaking the user terminal 20 by recognizing the motion of shaking the user terminal 20 as a kind of action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participation.

이에 대응하여, 참여 인터페이스(100)는 해당 유저에게 베니핏, 즉 사이버머니를 지급할 수 있는 사이버머니 관리모듈(150)을 추가로 포함한다.In response to this, the participation interface 100 further includes a cyber money management module 150 capable of paying a benefit, ie, cyber money, to the user.

사이버머니(cyber money)는 온라인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재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이버머니 관리모듈(150)은 사이버머니 생성부(151)와 사이버머니 지급부(152)로 이루어져 있다.Cyber money refers to goods that can be used online like cash. Specifically, the cyber money management module 150 includes a cyber money generating unit 151 and a cyber money payment unit 152 .

사이버머니 생성부(151)는 유저의 촛불집회 참여 횟수와 동작 지수에 대한 산술평균의 고저에 따라 유저에게 지급될 사이버머니를 차등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yber money generating unit 151 performs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generating cyber money to be pai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high and low of the arithmetic mean of the operation index.

예를 들어, 유저가 10번의 촛불집회를 참여하고 동작 지수가 20일 때 1,000원의 사이버머니를 생성하였다 가정한 경우 사이버머니 생성부는 유저가 20번의 촛불집회를 참여하고 동작 지수가 30인 경우 3,000원의 사이버머니를 해당 유저를 대상으로 발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user participates in 10 candlelight vigils and generates 1,000 won of cyber money when the motion index is 20, the cyber money generator generates 3,000 won when the user participates in 20 candlelight vigils and the motion index is 30. This means that ONE's cyber money can be issued to the corresponding user.

사이버머니 지급부(152)는 생성된 사이버머니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해당 유저에게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yber money payment unit 152 performs a function of paying the generated cyber money to a corresponding user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이로써, 촛불집회에 참여한 만큼 베니핏을 받는 기회를 확보함과 동시에 촛불집회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이 촛불집회에 참여하고 있다는 일종의 모션을 취하는 노력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베니핏을 발행함으로써, 촛불집회에 유저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ile securing the opportunity to receive benefits as much a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while the candlelight vigil is in progress, by issuing additional benefits in consideration of the effort to take a kind of motion that one i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users to the candlelight vigil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도 5는 촛불집회문장을 표시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candlelight assembly sentence is displayed.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출력 모듈(250)은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직접 작성한 문장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 문장을 '촛불집회문장'이라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5 , the output module 250 is capable of displaying a sentence directly written by a user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sentence is referred to as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우선, 상술한 유저 정보 입력모듈(140)은 자신이 참여한 촛불집회에 대한 의견을 문장으로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해당 유저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above-described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may include a function of receiving, from a corresponding user,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in which an opinion on the candlelight vigil in which the user has participated is written.

이때, 촛불집회문장은 "타도하라!"와 같은 짧은 구호는 물론 복수의 단어 조합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sentenc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words as well as a short slogan such as "overthrow!"

이에 대응하여, 출력 모듈(250)은 촛불집회 영상에서 선택된 섹터에 배정된 유저가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출력하는 문장 출력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Correspondingly, the output module 250 may include a sentence output unit 255 for outputting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written by a user assigned to a sector selected i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이러한 촛불집회문장은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유저 정보를 표시하는 확대표시창 옆쪽에 마련된 문장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5 , the candlelight rally sentenc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sentence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nlarged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above-described user inform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른 유저가 마치 기사의 댓글과 같은 방식으로 이 촛불집회문장을 확인할 수 있어 다른 유저의 참여를 유도하거나 아니면 합리적인 비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provide a means to actively express their intentions, and at the same time, other users can check the text of the candlelight vigil in the same way as in the comments of an article to induce other users to participate or Or you can present an environment that can receive reasonable criticism.

앞서 언급하였듯이, 촛불집회문장은 짧은 구호일 수도 있고 긴 문장 형식일 수도 있는데, 물론 문장이 길다고 좋은 내용을 수록한 것으로 판단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짧은 구호보다는 문장으로 이루어진 형식이 유저 자신의 참여 의사나 주장을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여지는 충분하다.As mentioned earlier,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may be a short slogan or a long sentence format. There is enough room to see my argument as a concrete and logical expression.

다시 말해,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성향은 적극적 유저, 소극적 유저, 중도 유저 등으로 다양할 수 있는데 상술한 출력 모듈에서는 이러한 성향과 상관없이 획일적으로 촛불 아바타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In other words, the tendency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andlelight vigil may be varied, such as an active user, a passive user, a moderate user, and the like.

따라서, 유저의 적극성 여부, 열띤 참여의식 여부 등에 따라 촛불 아바타의 형상을 차등 설정하여 촛불집회 영상을 표시할 때 촛불집회 영상 자체에서 이러한 유저의 성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is for easily grasping the user's propensity from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tself when display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by differentially setting the shape of the candle avatar according to the user's activeness or a keen sense of participa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저의 적극성과 같은 성향에 따라 촛불의 상태를 차등 설정하여 표시하는 수단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differentially setting and displaying the state of the candle according to the user's propensity, such as activeness.

도 6은 촛불의 채도와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을 예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ation operation of a candle's saturation and a dynamic mark.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촛불 아바타 중에서 '촛불'에 대한 색상의 채도 및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을 가변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s can be seen from FIG. 6 , it is possible to variably process the color saturation of the 'candle' among the candle avatars and the active operation of the dynamic mark.

여기서, 촛불은 초 자체가 아니라 초가 타오르는 불꽃을 의미하는 것이고, 동적 표식이라 함은 촛불을 정적 이미지로 표시한 것이 아니라 동적 이미지, 즉 촛불이 이글이글 타오는 것과 같이 촛불의 끝이나 둘레 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촛불에 대한 동적 표식에서 촛불이 움직이는 것을 활성 동작이라 한다.Here, the candle does not mean the candle itself, but the flame that the candle burns, and the dynamic mark means that the candle is not displayed as a static image, but a dynamic image, that is, the tip or perimeter of the candle moves like a burning candle. means that In this way, the movement of the candle in the dynamic mark for the candle is called an active motion.

즉,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은 유저가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의 성향을 분석하여 성향에 따라 촛불의 색상에 대한 채도 및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을 가변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ovides a function of variably processing the chroma for the color of the candle and the active operation of the dynamic mark according to the tendency by analyzing the tendency of the candle assembly sentence written by the user.

물론, 앞서 촛불 아바타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는 것처럼 촛불의 색상 채도나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 역시 유저의 선택에 의해 표현할 수도 있지만, 유저가 애써 의지와 노력을 가지고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분석한 결과에 비해 단편적이라 유저의 성향을 나타낸다는 의미가 가벼워질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구성에 의해 촛불집회문장을 분석하여 촛불의 상술한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유저의 애쓴 노력을 더욱 의미 있고 깊이 있게 반영할 수 있다.Of course, just as the user can select the candle avatar above, the color saturation of the candle or the active motion of the dynamic mark can also be expressed by the user's selection, but compared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s written by the users with will and effort, Since it is fragmentary, the meaning of indicating the user's tendency can be lightened, so the user's effort can be reflected more meaningfully and deeply by changing the above-described shape of the candle by analyzing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참여 인터페이스(100)는 촛불집회문장을 분석하기 위한 성향 파악모듈(160)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articipation interface 100 includes a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160 for analyzing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s.

우선, 성향 파악모듈(160)에 대한 세부 구성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구호가 아닌 문장 형식으로 이루어진 촛불집회문장을 예시한다.First,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160, the candlelight rally sentence in the form of a sentence rather than a slogan is exemplified.

"이번 촛불집회에 비장한 각오로 참석했습니다. 지난 6년 전 발생한 세월호 진상 규명은 2020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턱없이 부족합니다. 처음에 제가 예상했던 것 보다 턱없이 늦은 것은 물론, 상당히 엉성하고 대충 때우고자 하는 부족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어 극심한 분노를 느낍니다. 이번 촛불집회를 통해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분들이 예상보다 많을 것이라 느끼면서 다른 분들 역시 분노를 참지 마시고 적극적인 동참을 요청합니다.""I attended this candlelight vigil with great determination. The truth about the Sewol ferry, which occurred six years ago, is still insufficient until now in 2020. Not only was it much later than I initially expected, but it was also quite sloppy and rough. I feel extreme anger because it is being handled in a way that is insufficient to satisfy me. I feel that there will be more people with the same thoughts as me through this candlelight vigil, so other people do not hold back their anger and ask for active participation."

즉, 이와 같은 촛불집회문장을 예시하면서 성향 파악모듈(16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at i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16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ile exemplifying such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구체적으로, 성향 파악모듈(160)은 문장 분류부(161), 제 1 키워드 추출부(162), 제 2 키워드 추출부(163), 제 3 키워드 추출부(164) 및 제 1 성향 지수 산출부(165)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tendency identifying module 160 includes a sentence classification unit 161, a first keyword extraction unit 162, a second keyword extraction unit 163, a third keyword extraction unit 164, and a first tendency index calculation unit. (165).

문장 분류부(161)는 촛불집회문장을 체언 및 용언과 수식언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ntence classification unit 161 serves to classify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s into adjectives, verbs, and modifiers.

여기서, 체언은 명사, 대명사, 수사를 아우르는 것으로 뒤에 격 조사가 올 수 있거나 앞에서 관형어가 꾸며줄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더하여,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를 아우르는 것으로서 사물의 동작, 작용 및 사물의 상태, 성질 등을 나타내며 어간에 어미가 붙는 어미로서 활용할 수 있다는 특성을 띤다. Here, the body language encompasses nouns, pronouns, and rhetoric, and has characteristics that can be followed by a case verb or adorned by an adjective in front. In addition, verbs encompass verbs and adjectives, and they indicate the action, action, state, and nature of things, and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can be used as endings with endings attached to the stem.

마지막으로, 수식언은 관형사와 부사를 아우르는 말로서 다양한 대상을 꾸며주는 역할을 수행한다.Lastly, modifiers are words that encompass adjectives and adverbs, and play a role in decorating various objects.

제 1 키워드 추출부(162)는 체언을 이루는 명사 중 등장 빈도수가 높은 명사를 제 1 키워드로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 1 키워드는 촛불집회문장의 주제, 핵심 키워드가 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The first keyword extraction unit 162 provides a function of extracting, as a first keyword, a noun with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nouns constituting the body language. can

즉, 상술한 촛불집회문장 예시에서 체언은 '촛불집회, 각오, 세월호, 진상, 규명, 2020년, 분노'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분노'가 제 1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candlelight vigil sentence example, the language may be 'candlelight vigil, resolution, Sewol ferry, truth, investigation, 2020, anger', etc. Of these, 'anger'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extracted as the first keyword. can be

제 2 키워드 추출부(163)는 용언을 이루는 형용사 중 등장 빈도수가 높은 형용사를 제 2 키워드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형용사는 성질 및 감정을 가장 잘 나타내므로 제 2 키워드는 촛불집회문장의 주체가 생각하거나 느끼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이 될 수 있다.The second keyword extraction unit 163 serves to extract, as a second keyword, an adjective having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adjectives constituting the verb. It can be the most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what the subject thinks or feels.

상술한 촛불집회문장 예시에서 용언은 '부족하다, 늦다, 엉성하다, 적극적인'가 될 수 있으며, 이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부족하다'가 제 2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ndlelight vigil sentence example, the verb may be 'sufficient, late, sloppy, active', and 'not enough', which is the most frequent of these, may be extracted as the second keyword.

제 3 키워드 추출부(164)는 수식언을 이루는 부사 중 등장 빈도수가 높은 부사를 제 3 키워드로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부사는 상술한 제 1, 2 키워드에 대한 평가를 강조할 수 있는 표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부사의 빈도수에 따라 유저의 감정의 활성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둔다. The third keyword extraction unit 164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as a third keyword, an adverb with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adverbs constituting a modifier, and the adverb is an expression that can emphasize the evalu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keywords. to b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intuitively grasping the user's emotional activation stat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dverbs.

즉, 상술한 촛불집회문장 예시에서 수식언은 '턱없이, 상당히, 대충'이 될 수 있으며, 가장 빈도수가 많은 '턱없이'가 제 3 키워드로 추출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the modifier may be 'not quite, quite, roughly', and 'not to mention', which is the most frequent, may be extracted as the third keyword.

이때, 제 1,2,3 키워드는 빈도수가 가장 높은 하나의 단어 또는 복수 개의 단어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한은 두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may be extracted as one word or a plurality of word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nd there is no specific limitation thereto.

제 1 성향 지수 산출부(165)는 제 1,2,3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를 기반으로 업체에 대한 성향 지수를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rst propensity index calculation unit 165 serves to calculate the propensity index for the company based o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즉, 촛불집회문장의 요체가 되는 키워드를 상술한 방식과 같이 제 1 내지 제 3 키워드로 추출한 다음 이들의 빈도수를 산출하여 촛불집회문장이 가진 강도(부사의 빈도수) 및 성향(형용사의 의미에 따른 빈도수)를 파악할 수 있는바, 바로 제 1 성향 지수가 이와 같은 유저가 표현하고자 하는 주장의 강도와 성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한 수치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keywords, which are the main points of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are extracted as the first to third keyword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ir frequency is calculated, so that the strength (frequency of adverbs) and tendencie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adjective) of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are obtained. frequency), and the first tendency index is a numerical value that intuitively grasps the strength and tendency of the claim that the user wants to express.

이러한 제 1 성향 지수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제 1,2,3 키워드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부사의 빈도수에 가중치를 부가한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알고리즘을 추가로 제시한다. This first propensity index can be calculated by giving weights to the frequencie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by various algorithm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eights are added to the frequency of adverbs and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An additional algorithm is presented.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1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1

여기서, X은 제 1 성향 지수, A는 제 1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 B는 제 2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 C는 제 3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를 의미한다.Here, X is the first tendency index, A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first keyword, B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second keyword, and C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hird keyword.

즉, 수학식 1은 제 1,2,3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에 특정 가중치를 부여하되 특히 제 3 키워드인 부사에 상대적으로 제일 큰 가중치를, 제 2 키워드인 형용사에 2번째 큰 가중치를 부여함과 아울러 아크 하이퍼볼릭 사인함수에 의한 비선형적인 비례항을 추가하여 제 1 성향 지수가 너무 커지거나 작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제공한다.That is, in Equation 1, a specific weight is given to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and in particular, the third keyword, which is an adverb, is given the largest relative weight, and the second, the adjective, which is the second keyword, is given a specific weight. In addition, by adding a non-linear proportional term by the arc hyperbolic sine function, it provides a characteristic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first propensity index becomes too large or small.

이 수학식 1에 따른 제 1 성향 지수에 의하면, 유저의 주장 강도가 세거나 적극적 성향을 띨수록 수치가 커지고 반대의 경우 수치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크 하이퍼볼릭 사인함수에 의해 일정 정도로 수차가 커지거나 작아지면 부사 등의 빈도수가 많아져도 일정 수치에 수렴되도록 하여 악의적으로 부사 등의 빈도수를 높인 문장을 필터링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propensity index according to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trength of the user's assertion or the more active the propensity is, the larger the numerical value becomes, and vice versa. When the aberration increases or decreases to a certain extent by , it is possible to filter sentences that maliciously increase the frequency of adverbs, etc.

여기서, 수학식 1 내의 아크 하이퍼볼릭 사인함수는 변수가 0에서 100인 조건에서 0 내지 5 사이의 값을 가지는데, 특히 변수값이 1에서 10일 경우 0에서 3 사이값을 나타내고 10에서 50으로 변수가 변화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급변하는 값을 나타낸다. Here, the arc hyperbolic sine function in Equation 1 has a value between 0 and 5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variable is 0 to 100. In particular, when the variable value is 1 to 10, it represents a value between 0 and 3 and changes from 10 to 50. It represents a value that changes relatively more rapidly than when a variable changes.

즉, 이러한 아크 하이퍼볼릭 사인함수는 변수의 비례에 따라 획일적으로 비례하는 것이 아닌 비선형적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커지되 빈도수가 10 이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드물거나 악의적이라는 가정 아래에서 10 이내 값을 갖는다고 할 때 이 변수 변화량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아크 하이퍼볼릭 사인함수의 특성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변수값이 10 이상 증가에 따라 결과값의 증가폭이 점점 작아지면서 증가하도록 하여 변수의 무의미한 증가가 성향 지수에 그대로 반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is arc hyperbolic sine function increases by drawing a parabola non-linearly rather than uniformly according to the proportionality of the variable. It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is variable can be appropriately reflected whe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and weights of the arc hyperbolic sine function, as the variable value increases by 10 or more, the increase in the result value gradually decreases and increases, thereby preventing the meaningless increase of the variable from being reflected in the propensity index as it is.

즉,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성향 지수는 제 1,2,3 키워드의 빈도수에 단순히 비례하지 않고 일련의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합리적으로 산출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That is, the propensity index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is not simp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but can be reasonably calculated through a series of specific algorithms.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촛불집회문장 내에서 제 1 키워드가 3개, 제 2 키워드가 4개, 제 3 키워드가 2개일 때,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성향 지수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three first keywords, four second keywords, and two third keywords in any one candlelight vigil sentence, the propensity index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m into Equation 1 as follows.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2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2

상술한 예시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제 1 성향 지수를 산출한 결과 10.27이 산출된 것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first propensity index by substituting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to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10.27 is calculated.

이 수학식 1에 다양한 제 1,2,3 키워드의 빈도수를 대입하여 보면, 제 1 키워드의 빈도수 변화보다 제 2,3 키워드의 빈도수 변화 시 제 1 성향 지수의 변화폭이 큰 것을 알 수 있고 특히 제 3 키워드의 빈도수 변화에 변화폭이 큰 것을 알 수 있으며, 대신 제 2,3 키워드의 빈도수가 10 이상으로 커질 경우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By substituting the frequencies of the various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in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he first propensity index is larger when the frequency of the second and third keywords is changed than when the frequency of the first keyword is changed.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3 keywords has a large change. Instead, when the frequency of the 2nd and 3rd keywords increases to 10 or more, the change in the change is relatively reduced.

이에 대응하여,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제 1 성향 지수의 고저에 따라 촛불 아바타를 이루는 객체 중 촛불에 대한 색상의 채도를 차등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spondingly,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can differentially set the color saturation of the candle among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candle avatar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first tendency index.

이때, 일반적으로 촛불의 색상을 적색이라 할 때 채도의 변화에 따라 선홍색과 같은 옅은 적색이나 자주색과 같은 짙은 적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olor of the candl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red, it may be expressed as a pale red such as bright red or a deep red such as purple according to a change in saturation.

이러한 채도는 공지의 기준으로 수치값을 갖고 이 수치값의 고저에 따라 채도가 낮거나 높은 것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촛불의 채도 수치를 1에서 5와 같은 상대적 레벨값으로 설정하여 예를 들어 채도 수치가 1인 경우 선홍색, 2인 경우 옅은 적색, 3인 경우 적색....5인 경우 자주색과 같이 채도 수치가 커질수록 진하고 짙은 적색이 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Such saturation has a numerical value as a known standard and can be set to be low or high in saturation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numerical value. For example, if the saturation value is 1, it is bright red, if it is 2, it is light red, if it is 3, it is red.... If it is 5, it is purple.

즉, 예를 들어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제 1 성향 지수가 크면 촛불 아바타를 자주색으로 표현할 수 있고, 반대로 제 1 성향 지수가 낮으면 촛불 아바타를 선홍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That is, for example,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can express the candle avatar in purple when the first disposition index is high, and conversely, when the first disposition index is low,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can express the candle avatar in bright red.

이를 통해 유저는 촛불집회 영상에 표현된 수많은 촛불 아바타의 색상 차이를 보면서 성향이 강하거나 적극적인 유저의 참여수를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정 촛불 아바타를 클릭할 때 해당 유저가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읽으면서 해당 유저의 구체적 주장이나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users can estimate the number of active or strong users' participation by looking at the color difference of numerous candle avatars expressed in the candlelight vigil video. As you read, you can check the specific claims or tendencies of the user.

이처럼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단순히 참여 인원이 많고 적은 정량적 기준을 넘어 성향의 강도를 알기 쉬운 시각적 표현으로 구체화함과 동시에 일종의 정성적 기준으로서의 가치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촛불집회를 표현하는 독특한 방식을 개척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it goes beyond the quantitative standard with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and materializes the intensity of the tendency into an easy-to-understand visual expressio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value as a kind of qualitative standard, and consequently pioneers a unique way of expressing the candlelight vigil. provides the characteristics that

다른 실시예로서, 제 1,2,3 키워드 추출부(162,163,164)는 등장 빈도수의 고저에 따라 제 1,2,3 키워드를 각각 2 내지 4개로 추출한 다음 추가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제 2 성향 지수를 산출하여 촛불 아바타에서 촛불의 색상 이외에 별도의 객체를 가변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 extraction units 162, 163, and 164 extract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into 2 to 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appearance frequency, and then calculate the second propensity index through an additional algorithm. In the candle avatar, it is possible to variably process a separate object other than the color of the candle.

이때, 제 1, 2, 3 키워드의 추출 개수는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추출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촛불집회문장을 이어서 예를 들면, 제 1 키워드로는 '분노, 각오', 제 2 키워드는 '부족하다, 적극적이다', 제 3 키워드는 ' 턱없이, 대충'이 추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number of extrac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may be extracted in order of increasing frequency. Following the above-mentioned candlelight vigil sentence, for example, the first keyword 'anger, determination', the second keyword 'not enough, active', and the third keyword 'not enough, roughly' can be extracted. .

구체적으로 상술한 성향 파악모듈(160)은 조합문장 생성부(166)와 제 2 성향 지수 산출부(167)를 추가로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tendency identifying module 160 further includes a combination sentence generating unit 166 and a second tendency index calculating unit 167 .

조합문장 생성부(166)는 제 1 키워드를 주어로, 제 2 키워드를 서술어로, 제 3 키워드를 부사어로 설정한 다음 제 1,2,3 키워드를 조합한 조합문장을 경우의 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mbination sentence generating unit 166 sets the first keyword as the subject, the second keyword as the predicate, and the third keyword as the adverb, and then sets the combination sentence by comb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ses. It plays the role of creating a number.

이때, 제 1 키워드가 a개, 제 2 키워드가 b개, 제 3 키워드가 c개 이고, 조합문장이 제 1 키워드, 제 3 키워드, 제 2 키워드의 순서대로 조합된다고 할 때, 조합 문장의 경우의 수는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3
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first keyword is a, the second keyword is b, and the third keyword is c, and the combination sentences are combined in the order of the first keyword, the third keyword, and the second keyword, in the case of a combination sentence the number of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3
can be

예를 들어, 제 1 키워드가 3개, 제 2 키워드가 2개, 제 3 키워드가 4개일 때, 조합문장은 총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4
개가 생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keyword is three, the second keyword is two, and the third keyword is four, the combined sentence is
Figure 112020099179090-pat00004
Dogs can be created.

제 2 성향 지수 산출부(167)는 조합문장에 대한 의미 성립 여부를 파악하여 의미가 성립된 조합문장의 개수를 제 2 성향 지수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second disposition index calculation unit 167 provide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meaning of the combination sentence is established and setting the number of combination sentences for which the meaning is established as the second tendency index.

즉, 제 2 성향 지수는 제 1 성향 지수와 달리 해당 유저가 자주 사용한 단어를 조합하였을 때 문장의 의미가 성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제 1 성향 지수가 유저가 사용한 단어의 강도와 세기를 판단하는 척도를 제시한 것이라면 제 2 성향 지수는 문장의 성립성을 기준으로 특정 의미만을 가진 단어를 남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종의 논리성을 판단하는 척도를 제시하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propensity index determines whether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established when word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re combined, unlike the first propensity index, that is, the first propensity index determines the strength and intensity of words used by the user. If a scale for judging , the second propensity index is to present a scale for judging a kind of logic by judging whether a word with only a specific meaning is overused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sentence.

여기서, 문장의 의미 성립, 즉 성립성 판단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에 기본적인 문법을 기준으로 미리 각각에 대한 단어들에 대한 주어+부사+형용사의 조합문장을 생성하여 생성된 조합문장이 제대로 의미가 성립되는지 여부를 학습적으로 판단하여 저장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보조적으로, 문장의 성립성은 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직접 조합문장의 성립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e., the validity of the sentence is established by generating a combination sentence of subject + adverb + adjective for each word in advance based on the basic grammar on a separate database server, etc. It can be performed based on a look-up table stored by learning whether or not it is determined. As a supplementary to this,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sentence through the system manager.

예를 들어, '분노+대충+부족하다', '각오+턱없이+적극적이다' 등의 조합 문장은 의미가 성립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고, '분노+턱없이+적극적이다'와 같은 조합문장은 말이 되지 않는 문장이기 때문에 의미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여 결과적으로 의미가 성립하는 특성, 즉 성립성을 가진 문장의 개수를 제 2 성향 지수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combination sentences such as 'Anger + Roughly + Not Enough', 'Resolve + Not Enough + Active'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meaning, and Combination Sentences such as 'Anger + Not Enough + Active' Since it is a sentence that does not make sense, it is understood that the meaning does not hold, and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that the meaning is established, that is, the number of sentences with plausibility can be set as the second propensity index.

이러한 제 2 성향 지수는 간단한 산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성립성을 갖춘 문장의 개수가 5개면 5, 3개면 3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This second propensity index may be calculated by simple arithmetic, for example, may be set as 5 if the number of sentences with validity is 5, and 3 if there are 3 sentences.

이에 대응하여,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촛불이 타오르는 활성 동작을 표시한 동적 표식을 합성하여 상기 촛불 아바타를 생성하되, 상기 제 2 성향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에 대한 활성 속도를 차등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Correspondingly,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generates the candle avatar by synthesizing a dynamic mark indicating an active operation of burning a candle, but depending on the high and low of the second tendency index, the activation of the dynamic mark for the activ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nclude a function for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speed.

이때, 촛불이 타오르는 동적 표식은 앞서 언급하였지만 도 6을 참조하면 촛불이 이글이글 타오르는 것과 같이 촛불이 움직이는 부분을 의미하고 활성 동작은 이 동적 표식의 움직이는 상태, 예를 들어 상하로 움직이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동작 상태를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dynamic mark in which the candle burns has been mentioned above, but referring to FIG. 6 , it means the part in which the candle moves as if the candle is burning hot, and the active operation is the moving state of this dynamic mark, for example, moving up and down or moving left and right. It can be seen that it means the same operating state as

즉,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230)은 제 2 성향 지수가 높을수록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을 빠르게 조절(예를 들어 1분에 100회 움직임)하고 그 반대의 경우 활성 동작을 느리게 조절(예를 들어 1분에 20회 움직임)하거나 아예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That is, the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230 adjusts the active motion of the dynamic marker faster (for example, 100 times per minute) as the second tendency index is higher, and vice versa, the active action slowly adjusts (for example, This means that it can be set to 20 movements per minute) or no movement at all.

상술한 제 1,2 성향 지수를 정리하면, 제 1 성향 지수는 촛불집회문장에 드러난 주장의 강도나 세기를 파악하는 기준을 의미하여 촛불의 색상, 특히 채도를 가변시키고, 제 2 성향 지수는 촛불집회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논리성을 파악하는 기준을 의미하여 촛불이 빨리 타오르거나 느리게 타오르는 것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Summarizing 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propensity indices, the first propensity index means a criterion for grasping the strength or strength of assertions revealed in the Candlelight Rally sentence to vary the color of the candle, especially the saturation, and the second propensity index is the candlelight It means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the logic of the words used in the assembly sentence, and it can be changed to one that burns quickly or burns slowly.

이로써, 획일적으로 같은 촛불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촛불의 색상 차이, 타오르는 정도를 다양하게 표현하여 해당 촛불집회에서 유저가 얼마나 모였는지 여부만을 파악하는 것을 넘어서 촛불의 상태를 확인하는 간편한 방식으로 얼마나 강하거나 약한 유저가 모였는지 여부, 또는 논리성을 가진 주장을 한 유저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In this way, rather than displaying the same candle uniformly, the difference in color of the candle and the degree of burning are expressed in various ways to determine how strong or how strong the candle is. It provides a characteristic that can determine whether weak users have gathered, or how many users have made a logical argument.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1: 시스템 10: 중앙관제서버
20: 유저 단말 21: 동작 지수 설정모듈
100: 참여 인터페이스 110: 안내 모듈
120: 모집 모듈 121: 카운팅부
130: 참여 설정모듈 140: 유저 정보 입력모듈
141: 유저 아바타 생성부 142: 표식 선택부
150: 사이버머니 관리모듈 151: 사이버머니 생성부
152: 사이버머니 지급부 160: 성향 파악모듈
161: 문장 분류부 162: 제 1 키워드 추출부
163: 제 2 키워드 추출부 164: 제 3 키워드 추출부
165: 제 1 성향 지수 산출부 166: 조합문장 생성부
167: 제 2 성향 지수 산출부 200: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210: 섹터 분류모듈 220: 배정 모듈
230: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 240: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
250: 출력 모듈 251: 유저 정보 출력부
252: 카메라 선택부 253: 카메라 출력부
254: 사운드 출력부 255: 문장 출력부
260: 선택 출력모듈 261: 분류부
262: 선택 출력부 270: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
271: 함성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272: 데시벨 설정부
1: System 10: Central control server
20: user terminal 21: operation index setting module
100: participation interface 110: information module
120: recruitment module 121: counting unit
130: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140: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141: user avatar generation unit 142: mark selection unit
150: cyber money management module 151: cyber money generating unit
152: cyber money payment unit 160: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161: sentence classification unit 162: first keyword extraction unit
163: second keyword extraction unit 164: third keyword extraction unit
165: first propensity index calculation unit 166: combination sentence generation unit
167: second propensity index calculator 200: display interface
210: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220: allocation module
230: candle avatar generation module 240: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on module
250: output module 251: user information output unit
252: camera selection unit 253: camera output unit
254: sound output unit 255: sentence output unit
260: selection output module 261: classification unit
262: selection output unit 270: shout sound setting module
271: shout sound database 272: decibel setting unit

Claims (11)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으로서,
촛불집회의 특성을 유저에게 안내하는 안내 모듈 및, 촛불집회 참여 의사를 가진 유저를 모집하는 모집 모듈과, 상기 유저로부터 촛불집회가 개최되는 장소와 시간을 설정받는 참여 설정모듈 및, 상기 유저의 이름, 성별, 아이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유저 정보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촛불집회에 대한 의견을 문장으로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입력받는 유저 정보 입력모듈을 포함하는 참여 인터페이스;
GIS와 연동하여 상기 장소를 나타낸 지도를 복수 개의 섹터로 분류하는 섹터 분류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유저를 배정하는 배정 모듈 및, 상기 유저의 촛불 아바타를 생성하는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과, 상기 섹터에 상기 촛불 아바타를 표시한 상기 지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촛불집회 영상을 생성하는 촛불집회 영상 생성모듈 및, 상기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촛불집회 영상에서 어느 하나의 섹터의 선택 시 선택된 섹터에 배정된 유저의 상기 유저 정보를 출력하는 유저 정보 출력부와 상기 선택된 섹터에 배정된 유저가 작성한 촛불집회문장을 출력하는 문장 출력부를 구비한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참여 인터페이스는,
상기 촛불집회문장을 체언 및 용언과 수식언으로 분류하는 문장 분류부와, 상기 체언을 이루는 명사 중 등장 빈도수가 가장 높은 명사를 제 1 키워드로 추출하는 제 1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용언을 이루는 형용사 중 등장 빈도수가 가장 높은 형용사를 제 2 키워드로 추출하는 제 2 키워드 추출부와, 상기 수식언을 이루는 부사 중 등장 빈도수가 가장 높은 부사를 제 3 키워드로 추출하는 제 3 키워드 추출부 및, 상기 제 1,2,3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를 기반으로 상기 촛불집회문장에 대한 제 1 성향 지수를 산출하는 제 1 성향 지수 산출부로 이루어진 성향 파악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은,
상기 제 1 성향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촛불 아바타에서 촛불에 대한 색상의 채도를 차등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As an online-based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A guide module for guiding the use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ght vigil, a recruitment module for recruiting us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candlelight vigil, a participation setting module for receiving from the user the location and time for the candlelight vigil to be held, and the user's name a participation interface including a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 gender, and ID and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written from the user in a sentence with an opinion about the candlelight vigil;
A sector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map indicating the place into a plurality of sectors in conjunction with GIS; an assignment module for allocating the user to the sector; a candle avatar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 avatar of the user; A candlelight vigil image generating module for generating a candlelight vigil image visually expressing the map displaying the candle avatar, and outputting the candlelight vigil image, which is assigned to a selected sector when any one sector is selected from the candlelight vigil image A display interface including an output module having a user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senten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andlelight vigil sentence written by a user assigned to the selected sector;
The participation interface is
A sentence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the candlelight vigil sentence into adjectives, verbs, and modifiers; A second keywor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adjective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as a second keyword; 2,3 A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comprising a first tendency index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rst tendency index for the candlelight rally sentence based o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keywords; and
The candle avatar generation module,
Digital candle vigil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saturation of the candle in the candle avatar is differentially set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first tendency index.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정보 입력모듈은,
상기 유저의 아바타를 유저로부터 입력받거나 생성하는 유저 아바타 생성부와,
상기 유저로부터 촛불, 횃불, 깃발 중 어느 하나의 촛불 표식을 선택받는 표식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은,
상기 유저 아바타가 상기 촛불 표식을 든 모습을 합성하여 상기 촛불 아바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formation input module,
a user avatar generating unit for receiving or generating the user's avatar from the user;
and a mark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ny one candle mark among candles, torches, and flags from the user,
The candle avatar generation module,
A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avatar is created as the candle avatar by synthesizing the image holding the candle sig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 영상에서 표현된 촛불집회 장소에 복수 개로 배치된 가상 카메라를 유저로부터 선택받는 카메라 선택부와,
상기 유저에게 선택된 가상 카메라의 촬영 각도와 촬영 범위로 가상으로 촬영된 촛불집회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module is
a camera selection unit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of a plurality of virtual cameras arranged at the candlelight vigil location expressed i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and a camera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that is virtually captured at the shooting angle and shooting range of the virtual camera selected by the us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에 참여한 유저의 인원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함성 사운드를 저장한 함성 사운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유저의 인원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함성 사운드의 데시벨 수치를 차등 설정하는 데시벨 설정부를 포함한 함성 사운드 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 영상 출력 시, 설정된 데시벨 수치에 따라 상기 함성 사운드와 함께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ruitment module is
Includes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the number of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ndlelight vigil,
The display interface is
A shout sound database storing shout sounds, and
A shouting sound setting module including a decibel setting unit for differentially setting the decibel value of the shouting soun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low of the number of users of the user;
The output module is
When the candlelight vigil image is output, the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ogether with the shouting sound according to a set decibel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촛불집회 영상을 상기 유저가 소지한 유저 단말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유저 단말은,
자이로 센서를 매개로 상기 촛불집회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유저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의 속도와 횟수에 따라 동작 지수를 설정하는 동작 지수 설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참여 인터페이스는,
상기 유저의 촛불집회 참여 횟수와 동작 지수에 대한 산술평균의 고저에 따라 유저에게 지급될 사이버머니를 차등 생성하는 사이버머니 생성부와,
상기 사이버머니를 상기 유저에게 지급하는 사이버머니 지급부를 포함하는 사이버머니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module is
Outputs the candlelight vigil imag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The user terminal is
And a motion index setting module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while the image of the candlelight vigil is output through the gyro sensor and setting the operation index according to the speed and number of movements,
The participation interface is
a cyber money generating unit for differentially generating cyber money to be pai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arithmetic mean of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operation index of the user;
and a cyber money management module including a cyber money payment unit that pays the cyber money to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성향 지수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제 1 성향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22502064050-pat00005

(X은 제 1 성향 지수, A는 제 1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 B는 제 2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 C는 제 3 키워드의 등장 빈도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ropensity index calculation unit,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first propensity index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Figure 112022502064050-pat00005

(X is the first propensity index, A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first keyword, B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second keyword, and C i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hird keywo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3 키워드 추출부는,
상기 등장 빈도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제 1,2,3 키워드를 각각 2 내지 4개로 추출하고,
상기 성향 파악모듈은,
상기 제 1 키워드를 주어로, 상기 제 2 키워드를 서술어로, 상기 제 3 키워드를 부사어로 설정한 다음 상기 제 1,2,3 키워드를 조합한 조합문장을 경우의 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생성하는 조합문장 생성부와, 상기 조합문장에 대한 의미 성립 여부를 파악하여 의미가 성립된 상기 조합문장의 개수를 제 2 성향 지수로 설정하는 제 2 성향 지수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촛불 아바타 생성모듈은,
촛불이 타오르는 활성 동작을 표시한 동적 표식을 합성하여 상기 촛불 아바타를 생성하되, 상기 제 2 성향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동적 표식의 활성 동작에 대한 활성 속도를 차등 조절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촛불집회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 extraction unit,
Extrac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keywords into 2 to 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The tendency identification module,
Set the first keyword as a subject, the second keyword as a predicate, and the third keyword as an adverb A combination sentence generation unit, and a second tendency index calcul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eaning of the combination sentence is established and setting the number of the combination sentences for which the meaning is established as a second tendency index,
The candle avatar generation module,
The candle avatar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a dynamic mark indicating an active motion of burning a candle, and comprising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activation speed for the active motion of the dynamic marker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of the second tendency index. A digital candlelight vigil providing system.
KR1020200120236A 2020-09-18 2020-09-18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KR102452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36A KR102452633B1 (en) 2020-09-18 2020-09-18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36A KR102452633B1 (en) 2020-09-18 2020-09-18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197A KR20220038197A (en) 2022-03-28
KR102452633B1 true KR102452633B1 (en) 2022-10-07

Family

ID=80997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36A KR102452633B1 (en) 2020-09-18 2020-09-18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63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11B1 (en) * 2019-06-03 2019-11-04 주식회사 키키케 Method of offering reward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284A (en) * 2006-01-23 2007-07-26 황나삼 Method for providing meeting service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KR20070043945A (en) * 2007-03-12 2007-04-26 신유진 A system and method of meeting and demonstration's holding in 3d vr
US8191001B2 (en) * 2008-04-05 2012-05-29 Social Communications Company Shared virtual area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apparatus and methods
KR101425920B1 (en) * 2012-12-11 2014-08-01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Method, apparatus, system for generating platform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s using platform
KR102111501B1 (en) * 2017-06-19 2020-05-15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911B1 (en) * 2019-06-03 2019-11-04 주식회사 키키케 Method of offering rewar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197A (en)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liston et al. ‘The metaverse and how we’ll build it’: The political economy of Meta’s Reality Labs
Tian Immersive 5G virtual reality visualization display system based on big-data digital city technology
Montero et al.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ractive and realistic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KR102620284B1 (en) System for providing metaverse based education platform service
Wang et al. Three‐dimensional virtual VR technology in environmental art design
Eilola et al. 3D visualisations for communicative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What systematic mapping of academic literature can tell us of their potential?
Schroth From information to participation: interactive landscape visualization as a tool for collaborative planning
CN115857704A (en) Exhibition system based on metauniverse,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Pollak Analyzing TV documentaries
Van den Oever Techné/Technology: Researching Cinema and Media Technologies-Their Development, Use, and Impact
KR102452633B1 (en) Online-based digital candle light vigil system
Rushton et al. Immersive architectural legacie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 virtual realities
EP3513555A1 (en)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 environment
Baroni In-side-out: photojournalists from community and mainstream media organisations in Brazil's favelas
Wilde Generative imagery as media form and research field: Introduction to a new paradigm
Shan et al. Research on data storytelling strategies for cultural heritag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Khan et al. Locative media interventionism: A conceptual framework for critical review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in the participatory spatial design context
Giraldo et al. Towards a sensitive urban wind representation in virtual reality
Jiang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virtual reality in urban planning: Evidence from a View corridor Virtual Reality project, Beijing
Gong et al.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Users’ Technology Acceptance of Virtual Museums
De Luca et al. A user experience analysis for a mobile Mixed Reality application for cultural heritage
Hruby From third-person to first-person cartographies with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Heimo et al. Mixed Reality for Industry? An Empirical User Experience Study
JP7331062B2 (en) PRESENTATION DEVICE, PRESENTATION METHOD AND PRESENTATION PROGRAM
Maciel et al. Visual and interactive concerns for vr applications: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