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528B1 -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528B1
KR102452528B1 KR1020180026203A KR20180026203A KR102452528B1 KR 102452528 B1 KR102452528 B1 KR 102452528B1 KR 1020180026203 A KR1020180026203 A KR 1020180026203A KR 20180026203 A KR20180026203 A KR 20180026203A KR 102452528 B1 KR102452528 B1 KR 102452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authentica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1751A (en
Inventor
신동목
백인식
이종근
김정영
최성빈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프리마에이치큐
Priority to US16/137,38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755500B2/en
Publication of KR2019005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751A/en
Priority to US16/930,284 priority patent/US11462063B2/en
Priority to US17/939,827 priority patent/US11887417B2/en
Priority to KR1020220126431A priority patent/KR1025711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인증 서버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제어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이때,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비교 인증 정보 중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유효한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ss control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without intervention of an authentication server In the method,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In this case,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 to obtain;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authentication; obtain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tored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valid as a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Figure R1020180026203
Figure R1020180026203

Description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은 마그네틱 카드 등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소유물을 기반으로 한 인증 방식,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지식 기반의 인증 방식 및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 method of authenticating the user in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is a property-based authentication method that authenticates a user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s terminal such as a magnetic card, and a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method that compares a preset password with an input password. A method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re being used.

종래에는 출입 관리 시스템에서는 지식 기반의 인증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분실 및 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위변조가 어려운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식을 도입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Conventionally, the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method has been mainly used in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However, due to problems such as loss and theft, access management systems adopting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which are difficult to forge or forge, are on the rise.

이러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식에 사용되는 정보는 기존 인증 방식에 비해 데이터의 용량이 큰 단점이 있다.The information used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using such biometric inform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ata capacity is large compared to the existing authentication method.

이로 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입력 받은 생체 정보와 기 저장된 생체 정보를 비교할 때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required for comparing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or user authentication with pre-stored biometric information increases.

또한 생체 정보의 비교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생체 정보를 잘못 인식하는 오인식이 발생할 수 있다. 기 저장된 생체 정보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비교 건수가 증가하는 함으로써 오인식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user authentication using comparison of biometric information, erroneous recogni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may occur. When the number of pre-stored biometric information increases, the number of comparisons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isrecognition rat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인증 시 전체 비교 인증 정보 중 실질적으로 인증에 필요한 비교 인증 정보를 선별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 시 시간 소요를 최소화 하고 오인식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uthentication by selecting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bstantially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among all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during authentication, thereby minimizing the time required for authentication and suppressing the possibility of misrecognition, and access control using the same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서버 장치와의 연결 없이도 도어 개폐 장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update of a door opening/closing device without connection with a server device by obtaining update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performing the update, and a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인증 서버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제어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이때,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미리 저장된 비교 인증 정보 중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유효한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cess control method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user terminal without intervention of an authentication server, wherein at least one us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btain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terminal, where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authentication; obtain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pre-stored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valid as a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인증 서버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user terminal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n authentication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비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비교 인증 정보 중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인증 정보 및 상기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유효한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unit for obtain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user authentication, and obta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torage unit obtain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pen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시 전체 비교 인증 정보 중 실질적으로 인증에 필요한 비교 인증 정보를 선별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 시 시간 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ime required for authentication can be minimized by selecting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bstantially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from among all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시 전체 비교 인증 정보 중 실질적으로 인증에 필요한 비교 인증 정보를 선별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인증에 사용하는 비교 인증 정보를 최소화 하여 비교 인증 정보의 증가에 따른 오인식률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is minimized by selecting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by selecting the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bstantially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among all the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during authentication,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false recognition rate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서버 장치와의 연결 없이도 도어 개폐 장치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update by obtaining the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updat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without connection with the server device.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환경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nvironmental diagram of an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environment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vironment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also that an element or layer is “on” or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What is referred to includes all cases in which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in the middle as well as directly on top of another component or layer.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principle.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dentification symbol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의 환경도이다.1 is an environmental diagram of an access management system 10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10000)은 도어 개폐 장치(10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 서버(3000) 및 도어(40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ccess management system 10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 a server 3000 , and a door 4000 .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400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control opening or closing of the door 4000 .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4000)에 설치되어 도어(4000)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반드시 도어(4000)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4000)와 인접한 벽에 설치되어 도어(4000)에 장애물을 제공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4000)가 자동문인 경우 문짝의 위치를 변경하여 도어(400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4000 to control locking or unlocking of the door 4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on the door 4000 ,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selection. 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be installed on a wall adjacent to the door 4000 to provide or release an obstacle to the door 4000 . Also, when the door 4000 is an automatic door,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open or close the door 400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oor leaf.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1 사용자 단말기(2000a), 제2 사용자 단말기(2000b) 및 제3 사용자 단말기(2000c) 등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0a, the second user terminal 2000b, and the third user terminal 2000c.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서버 장치(3000)와 연결되는 전자기기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the server device 3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연결되어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to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인증 정보를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제공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provi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버 장치(3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인증 토큰을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전송하여 도어(4000)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server device 3000 , and transmits the acquired authentication token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to open the door 4000 . you can request

사용자 단말기(30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DA, 노트북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3000 may be,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a PDA, a notebook computer, and a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인증 토큰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store the authentication token in advance.

인증 토큰은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에 부여된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토큰은 도어 개폐 장치(2000) 및 도어(40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토큰은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도어(40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방 또는 통과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 지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toke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 and/or the authority granted to the user terminal 2000 . The authentication toke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000 and the door 4000 . In addition, the authentication token may include authority information on whether the authority to open or pas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the door 4000 is grant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 인증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provide an authentication token to the user terminal 2000 .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의 제공을 요청 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인증 토큰을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인증 토큰의 제공을 요청 받는 경우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유효한 경우 인증 토큰을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receive a request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the user terminal 2000 and/or an authentication token corresponding to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2000 .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request to provide an authentication token, the server device 3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on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and transmit the authentication token to the user terminal 2000 if valid. 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도어(4000)는 일 구역에 대한 통과를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다. 도어는 문틀(doorframe) 및 문짝(door leaf)을 포함할 수 있다. 문틀은 통과를 차단 또는 허용하고자 하는 일 구역을 정의하는 고정된 구성일 수 있다. 문짝은 위치에 따라 통과를 차단 또는 허용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는 구성일 수 있다. 문짝의 위치 가변은 문짝 전체의 위치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에 의한 이동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문틀(doorframe) 및 문짝(door leaf)을 통칭하여 도어로 표현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어의 이동 및 위치 변화는 문짝의 이동 및 위치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The door 4000 may block or allow passage to an area. A door may include a doorframe and a door leaf. A doorframe may be of a fixed construction defining an area to block or allow passage through. The position of the door leaf blocking or allowing pass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position may be of a variable configura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door leaf may have a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both the movement by rotation as well as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entire door leaf.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uch a doorframe and door leaf are collectively expressed as a door. Accordingly, the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door described herein may mean the movement and position change of the door leaf.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리더기(1100),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 도어 음성 출력부(1300),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 도어 저장부(1500), 도어 동력부(1600) 및 도어 제어부(17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includes a door reader 1100 , a door display unit 1200 , a door voice output unit 1300 , a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0 , a door storage unit 1500 , and a door. It may include a power unit 1600 and a door control unit 1700 .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door reader 110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acquiring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더기(1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reader 1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quire data from the user terminal 2000 using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RFID.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oor display unit 120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도어 디스플레이부(1200)는 터치 입력을 기반으로 한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The door display unit 1200 may output information to be visually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door display unit 1200 includes a touch panel, the door display unit 1200 may operate as an input device based on a touch input.

도어 음성 출력부(1300)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oor voice output unit 1300 may output information to be audibly provided to the user.

예를 들어 도어 음성 출력부(13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및 부져(Buzzer)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voice output unit 1300 may be a speaker and a buzzer that output sound.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인증에 필요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may acquire a signal required for authentication of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인증에 사용되는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of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

대상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er's fingerprint, iris, vein, face, and gesture.

예를 들어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 정맥 및 안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0 may acquire information on the user's fingerprint, iris, vein, and face.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는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모듈,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40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module, a camera, or the like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 fingerprint, iris, vein, face, and gesture.

도어 저장부(1500)는 도어 제어부(1700)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도어 제어부(1700)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door storage unit 1500 may store a program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door control unit 1700 , and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data generated from the door control unit 1700 .

도어 동력부(1600)는 문짝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동력부(1600)는 도어(4000)가 자동문으로 구현되는 경우 문짝의 개방 또는 폐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power unit 1600 may provide power required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leaf. In addition, when the door 4000 is implemented as an automatic door, the door power unit 1600 may provide power necessary for opening or closing the door.

도어 제어부(17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door control unit 17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 개폐 장치(1000)의 구성이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이 부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제외된 도어 개폐 장치(100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도어 리더기(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는 생략되어 제공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s necessar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with additional components added or some components excluded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acqui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door reader 1100 ,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may be omitted and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단말기 통신부(210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 단말기 입력부(2300), 단말기 인증 정보 수집부(2400), 단말기 저장부(2500) 및 단말기 제어부(2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2000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0 , a terminal display unit 2200 , a terminal input unit 2300 , a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2400 , a terminal storage unit 2500 , and a terminal control unit 2600 . ) may be included.

단말기 통신부(2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를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 통신부(2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를 서버 장치(3000) 및 도어 개폐 장치(1000) 등의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21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0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2000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0 may connect the user terminal 2000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server device 3000 and 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 Also,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terminal display unit 220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1200)는 단말기 입력부(2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에 따라 별도의 단말기 입력부(230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볼륨 조절, 전원 버튼 및 홈 버튼 등 제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 입력부(2300)가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display unit 2200 is provided as a touch screen, the terminal display unit 120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nput unit 2300 .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selection, a separate terminal input unit 2300 may not be provided, and a terminal input unit 2300 performing limited functions such as volume control, power button, and home button may be provided.

단말기 입력부(23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input unit 2300 may obtain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단말기 입력부(2300)는 예를 들어 키보드, 키 패드, 버튼, 조그셔틀 및 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input unit 230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keyboard, a key pad, a button, a jog shuttle, and a wheel.

또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터치 및 드래그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input may be, for example, a button press, a touch, and a drag.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200)가 단말기 입력부(2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display unit 2200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terminal display unit 2200 may serve as the terminal input unit 2300 .

단말기 인증 정보 수집(240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2400 may acqui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단말기 인증 정보 수집(2400)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2400 may acqui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of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er's fingerprint, iris, vein, face, and gesture.

단말기 인증 정보 수집(2400)는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2400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 fingerprint, an iris, a vein, a face, and a gesture.

단말기 인증 정보 수집(2400)는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모듈,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2400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module, a camera, or the like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 fingerprint, iris, vein, face, and gesture.

본 발명에서 인증 정보는 비교 인증 정보, 대상 인증 정보 및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비교 인증 정보는 인증 시 대상 인증 정보와 비교하기 위하여 인증 수행 주체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일 수 있다.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an authentication performing subject to compare with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during authentication.

대상 인증 정보는 인증 원하는 대상이 제공한 인증 정보로 예를 들어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일 수 있다.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an authentication target, and may be, for exampl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has requested authentication.

레퍼런스 인증 정보는 비교 인증 정보 중 실질적으로 인증에 사용하기 위해 선별된 인증 정보일 수 있다.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elected to be substantially used for authentication among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단말기 저장부(2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00 may store data.

단말기 저장부(250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RAM, ROM, SSD, SD CARD 및 광학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00 may be implemented with, for example, flash memory, RAM, ROM, SSD, SD CARD, and an optical disk.

단말기 저장부(25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500 may store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0 .

단말기 제어부(26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ler 2600 may oversee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3000)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device 3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0)는 서버 통신부(3100),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 서버 입력부(3300), 서버 저장부(3400), 및 서버 제어부(3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rver device 3000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 a server display unit 3200 , a server input unit 3300 , a server storage unit 3400 , and a server control unit 3500 .

서버 통신부(3100)는 서버 장치(3000)와 외부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3100)는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필요에 따라 통신 연결을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시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may connect the server device 3000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is,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may transmit/receive data to/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ls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may maintain or release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0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may be provided to always maintain a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또한, 서버 통신부(31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t least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display unit 320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는 LCD, OLED,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display unit 3200 may be an LCD, OLED, or AMOLED display.

서버 입력부(3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입력부(3300)는 키패드, 키보드, 스위치, 버튼 및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nput unit 3300 may obtain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server input unit 3300 may include a keypad, a keyboard, a switch, a button, and a touch screen.

서버 저장부(3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storage unit 3400 may store data.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4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 저장부(34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storage unit 3400 may store data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As another example, the server storage unit 3400 may store a program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server device 3000 .

서버 제어부(3500)는 서버 장치(3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ler 3500 may oversee the operation of the server device 3000 .

본 발명의 서버 장치(3000)가 반드시 상술한 구성을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에 따라 일부 구성이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가 직접적인 시각적 정보의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서버 장치(3000)는 서버 디스플레이부(3200)가 제외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선택에 따라 추가적인 기능 및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excluded according to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server device 3000 does not directly provide visual informa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server display unit 3200 is excluded. 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s and operations is added according to selection.

1.One. 레퍼런스 인증 정보 간소화Simplify Reference Credential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의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은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I1)를 획득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비교 인증 정보 중에서 식별 정보(I1)에 대응하는 비교 인증 정보만을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사용자 및/또는 대상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I2) 및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20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1 may b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dentified from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Only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1 may be acquired as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performs authentication for the user and/or the user terminal 2000 based o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2 and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arget user and/or the target user terminal 2000. can

대상 사용자는 도어의 개방을 요청하는 사용자일 수 있으며, 대상 사용자 단말기(2000)는 대상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2000)일 수 있다.The target user may be a user requesting to open the door, and the target user terminal 2000 may be a user terminal 2000 used by the target user.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식별 정보(I1) 및 대상 인증 정보(I2)를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제공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00a)가 대상 사용자 단말기(1000)일 수 있다.For example, in FIG. 5 , the first user terminal 1000a that provid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1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2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be the target user terminal 1000 .

따라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미리 저장된 전체 비교 인증 정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증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even if the entir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s not used, thereby increasing the authentication speed.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비교 인증 정보 중 실질적으로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 만을 선별하여 인증에 사용하는 인증 정보의 수를 최적화 함으로써 인증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 수의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오인식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100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the number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by selecting only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a user substantially located in the vicinity from among all comparat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optimizing , there may be an effect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false recognition rate that may occur as the number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increases.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0),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0),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40) 및 도어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6 , th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10), a step of acquir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120), a step of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130), and authentication. It may include performing (S140) and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S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11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0)와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2000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one user terminal 2000 from another user terminal 2000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located nearby.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도 5를 예시로 설명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 범위(CA) 내에 위치한 제1 사용자 단말기(1000a), 제2 사용자 단말기(1000b), 및 제3 사용자 단말기(1000c)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 범위(CA) 밖에 위치한 제4 사용자 단말기(1000d)로부터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4 사용자 단말기(1000d)가 위치를 이동하여 통신 범위(CA) 내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제4 사용자 단말기(1000d)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5 as an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obtain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00a, the second user terminal 1000b, and the third user terminal 1000c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CA. can do. Als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not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user terminal 1000d located outside the communication range CA. However, when the fourth user terminal 1000d moves and is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CA,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ourth user terminal 1000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2000)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by reques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2000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Also,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20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reque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o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 식별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reng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reques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and identifies it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2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obtain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12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비교 인증 정보 중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mong previously stored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저장부(1500)는 적어도 하나의 비교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저장부(1500)는 비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storage unit 1500 may store at least one piece of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Also, the door storage unit 1500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비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비교 인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for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ly,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미리 저장된 전체 비교 인증 정보 중 획득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비교 인증 정보를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all previously stored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복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복수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복수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비교 인증 정보를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Also, when the plurality of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s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iec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13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기(20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를 통하여 대상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target user through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를 통하여 대상 사용자의 지문, 홍채, 정맥, 안면 및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fingerprint, an iris, a vein, a face, and a gesture of a target user through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리더기(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door reader 1100 .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리더기(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홍채, 정맥, 안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user's fingerprint, iris, vein, and face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door reader 11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을 더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acquire an authentication tok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4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S14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 사용자 단말기(20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uthenticate at least one of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2000 based o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 중 대상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valid user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ists. have.

인증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포함된 지문 정보 중 대상 인증 정보로 획득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지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fingerprint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ad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re is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i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cquired as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determined as a valid user.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 중 대상 인증 정보와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인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selects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valid user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ving a similar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milarity with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ists. can be judged 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을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5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may be performed (S15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ntrol the door to be opene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한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은 인증 토큰에 포함된 권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obtains the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further considers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token to open the door. You can decide whether to control it or no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가 유효하더라도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Also, even if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not open the door by determining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does not includ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determining that it does not hav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의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에 사용할 레퍼런스 인증 정보(I3)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레퍼런스 인증 정보(I3) 및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 중 어느 하나의 대상 사용자 단말기(2000) 및/또는 대상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비교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하지 않더라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3 to be used for authent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nearby.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is obtained from the target user terminal 2000 and/or the target user of any one of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3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s 2000 located in the vicinity and the user terminals 2000 located in the vicinity.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acquired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even if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previously stor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인증 방법은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10),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20),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230), 도어 개방을 수행하는 단계(S240), 인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250)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10),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20), performing authentication (S230), and performing door opening (S210) S240), and dele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1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obtain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21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저장된 인증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인증 정보를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by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to the user terminal 2000 , and us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a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located nearby.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통신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2000)로 레퍼런스 인증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by requesting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0 to which communication is connect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2000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Als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user terminal 200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신호의 강도가 미리 정해진 세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r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22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target user.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를 통하여 대상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target user through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리더기(1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door reader 11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an authentication tok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3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S23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 중 대상 인증 정보와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인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selects a us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valid user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ving a similar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milarity with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ists. can be judged 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4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door opening control may be performed (S24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ntrol the door to be opene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한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은 인증 토큰에 포함된 권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obtains the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further considers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token to open the door. You can decide whether to control it or no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가 유효하더라도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Also, even if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not open the door by determining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does not includ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determining that it does not hav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25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le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25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획득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lete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획득한 인증 정보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대상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her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정보를 획득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경우 획득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lete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of acqui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는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delet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된 경우 인증에 사용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lete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uthentic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미리 정해진 시점이 도래하는 경우 획득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lete the acqui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arrives.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현재 시간이 오후 9시인 경우 획득하여 저장된 인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time is 9 p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lete the acquired and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자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us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인증 방법은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S320),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330), 도어 개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other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310), requesting authentication (S320), obtaining an authentication result (S330), and opening the door. It may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ntrol (S3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31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target user.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1400)를 통하여 대상 사용자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target user through the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4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을 더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further acquire an authentication tok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requesting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S32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주변 사용자 단말기(200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request authentication from the neighboring user terminals 2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인증 정보를 주변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request authentication by transmitt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인증 정보를 미리 정해진 암호키로 인코딩한 인코딩 대상 인증 정보를 주변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transmit the encod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encoding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encryption key to the peripheral user terminal 2000 .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인코딩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0)는 획득한 인코딩된 대상 인증 정보를 미리 정해진 암호키로 디코딩하여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encoded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decoding the obtained encoded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encryption ke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3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obtaining an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performed (S33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인증 결과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resul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result from the user terminal 2000 requesting authentication.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인증 결과 중 유효가 포함된 경우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a valid user when valid is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requesting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34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door opening control may be performed (S34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ntrol the door to be opene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 유효한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한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은 인증 토큰에 포함된 권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도어 개방을 제어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400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도어 동력부(1600)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obtains the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further considers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token to open the door. You can decide whether to control it or no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provide power through the door power unit 1600 so that the door 4000 is in an unlocked state.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가 유효하더라도 인증 토큰이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도어(4000)를 개방할 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를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Also, even if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not open the door by determining that the authentication token does not includ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determining that it does not have the right to open the door 40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이 상술한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의 수행 주체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연결된 서버 장치(3000)가 제공되는 경우 도어 개폐 장치(1000)를 대신하여 서버 장치(3000)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in th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subject of authentication has been described a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device connected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When 3000) is provided, the server device 3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instead of 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

2.2.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Update using user termina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버 장치(3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업데이트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저장된 권한 정보, 인증 정보 등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정보는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권한 정보, 인증 정보 등의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device 3000 . The upd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for updating information such as software for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uthority information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pd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uch as authoriz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업데이트는 도어 개폐 장치(1000)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도어 개폐 장치(1000)에 저장된 권한 정보, 인증 정보 등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n update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Here, the update may include updating software for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nd updating information such as authority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은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 업데이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S4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btaining update information (S410), determining whether the update is valid (S420), and performing the update. It may include step S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1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obtaining updat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41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한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an update request including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업데이트 정보를 서버 장치(30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device 3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버 장치(3000)로 업데이트 정보를 요청하여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the update information by requesting the update information from the server device 3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2000)는 서버 장치(3000)의 요청에 의해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server device 3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ncludes the update informa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he up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어 개폐 장치(1000)는 대상 인증 정보에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s include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acquire the up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인증 토큰에 포함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토큰에 업데이트에 대한 권한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and based on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token, if the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an update authorization Updat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2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pdate is valid may be performed (S42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vali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폐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이후 버전인 인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mpare a version of software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a version of software previously install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may determine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valid when the version of the software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s a later version of the software previously install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또는 추가 사항이 있는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mpare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authoriz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compares the per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permiss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when there is a change or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can be considered valid.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권한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compares the per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permiss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s a result, the permission for at least one user is changed. If necessar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valid.

다른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에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에 존재하지 않던 사용자에 대한 권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compares the permiss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permiss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and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When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ncludes authority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did not exist in the authorit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vali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또는 추가 사항이 있는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compa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when there is a change or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can be considered valid.

예를 들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한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에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에 존재하지 않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가 포함된 경우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and the update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includ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did not exist 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pdated information I4 is val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43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update may be performed (S430).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n update based on the update information I4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n upd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4 is valid.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데이터를 도어 저장부(1500)에 저장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perform an update by storing data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권한 정보를 도어 저장부(1500)에 저장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erform the update by storing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권한 정보 중 도어 저장부(15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와 중복되는 권한 정보는 제외하고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store authority information that is duplicated with authorit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from among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저장부(15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 중 변경이 생긴 권한 정보를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권한 정보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may compare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 and use the changed authority information among the pre-stored authority information to the update information I4 . ) can be updated with the included permiss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도어 저장부(1500)에 저장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update by sto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업데이트 정보(I4)에 포함된 인증 정보 중 도어 저장부(15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와 중복되는 권한 정보는 제외하고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sto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I4 except for authorization information that overlaps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storage unit 1500 .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environment using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의 환경은 하나의 도어 제어부(1700)에 복수의 도어 리더기(1100)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를 도어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700)는 복수의 도어 리더기(1100) 중 하나의 도어 리더기(11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를 연결된 도어 리더기(110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n update environment using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in which a plurality of door readers 1100 are connected to one door control unit 1700 . The door reader 1100 may transmit the update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o the door control unit 1700 . The door controller 17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from one door reader 1100 among the plurality of door readers 1100 . The door control unit 1700 may transmit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to the connected door reader 11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0)를 이용한 업데이트의 환경에서 도어 리더기(1100)는 인증 정보,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 리더기(1100)는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update environment using the user terminal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reader 11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uthorization information. The door reader 1100 may include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and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또한 도어 리더기(1100)의 저장부(미도시)에는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door reader 1100, a program for oper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은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10), 업데이트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S520) 및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5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n update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update information (S510), obtaining an update target (S520), and transmitting the update information (S530).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updat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510).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reader 11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한 업데이트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reader 1100 may obtain an update request including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ncludes the update information, the door reader 1100 may acquire the up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어 리더기(1100)는 대상 인증 정보에 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dentifier indicating that the update information is included, the door reader 1100 may acquire the upd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더기(11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인증 토큰에 업데이트에 대한 권한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reader 1100 may acquire an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and when the authentication token includes an update authority, the door reader 1100 may acquire updat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can

도어 리더기(11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를 도어 제어부(17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door reader 1100 may transmit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to the door controller 170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 대상을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acquiring an update target may be performed (S520).

도어 제어부(1700)는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control unit 1700 may obtain update information.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여 업데이트를 요청할 도어 리더기(1100)를 획득할 수 있다.The door controller 1700 may acquire the door reader 1100 to request an update by transmitting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복수의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1000 may compare the software versions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the software versions previously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door readers 1100 with each other.

또한 도어 제어부(17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이후 버전인 인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Also, when the version of the software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is a later version of the software pre-installed in the door reader 1100, the door controller 1700 acquires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as an update target. can do.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복수의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700)는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또는 추가 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controller 1700 may compare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plurality of door readers 1100 . The door control unit 1700 may compare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reader 1100 and acquire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as an update target if there is a change or addition.

예를 들어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권한이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control unit 1700 compares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reader 1100. When the authority for at least one user needs to be changed,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may be acquired as an update target.

다른 예를 들어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에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에 존재하지 않던 사용자에 대한 권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door control unit 1700 compares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reader 1100, and adds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update information to the door reader 1100. When the pre-stored permission information includes permission information for a user who did not exist,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may be acquired as an update target.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복수의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700)는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와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또는 추가 사항이 있는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control unit 1700 may compa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plurality of door readers 1100 . The door control unit 1700 may compa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reader 1100 and acquire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as an update target if there is a change or addition.

예를 들어 도어 제어부(1700)는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와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를 비교한 결과 획득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권한 정보에 도어 리더기(1100)에 미리 저장된 권한 정보에 존재하지 않던 사용자에 대한 권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도어 리더기(1100)를 업데이트 대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control unit 1700 compares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quired update information with the authority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oor reader 1100, and provides the authorit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tained update information to the door reader 1100 in advance. When the stored permission information includes permission information for a user who did not exist, the corresponding door reader 1100 may be acquired as an update targ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530).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updat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530).

도어 제어부(1500)는 업데이트 정보를 업데이트 대상에 포함된 도어 리더기(1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oor controller 1500 may control to transmit update information to the door reader 1100 included in the update target.

또한 도어 제어부(1700)는 도어 리더기(1100)로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로 소프트웨어, 권한 정보,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Also, the door controller 1700 may request to update at least one of software, authorization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updat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door reader 1100 .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환경도이다.14 is an environment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서버 장치(300)는 복수의 도어 개폐 장치(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 개폐 장치(1000a) 및 제2 도어 개폐 장치(1000b)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server device 3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000 . For example, 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a and the seco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b as shown in FIG. 14 .

서버 장치(300)는 비교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 may stor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0 and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또한 서버 장치(3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 방법은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10),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640) 및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650)를 포함할 수 있다.15 , the authent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acqui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610), a step of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S620), a step of acquir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620), and authentication It may include a step of performing (S640)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S65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10).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610).

서버 장치(3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

서버 장치(3000)는 연결된 도어 개폐 장치(1000)가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2000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e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도어 개폐 장치(1000)가 획득한 식별 정보 및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20).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620).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서버 장치(3000)는 서버 통신부(3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0 .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을 원하는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도어(40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the door 4000 desired to be ope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인증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an authentication token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btaining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S620)

서버 장치(3000)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연결된 복수의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connected door opening/closing devices 1000 .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제1 도어 개폐 장치(1000a)로부터 A, B, C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도어 개폐 장치(1000b)로부터 D, E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획득한 식별 정보 A, B, C, D 및 E에 대응하는 비교 인증 정보를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 and C from the firs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a, and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D and E from the seco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b. can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C, D, and E a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연결된 복수의 도어 개폐 장치(10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중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획득한 개방을 원하는 도어 개폐 장치(1000) 및 도어(40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device 3000 includ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and the door 4000 that want to be opened obtai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connecte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s 1000 . ),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예를 들어 서버 장치(3000)는 제1 도어 개폐 장치(1000a)로부터 A, B, C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도어 개폐 장치(1000b)로부터 D, E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장치(3000)는 사용자 단말기(2000)로부터 개방을 원하는 제1 도어 개폐 장치(1000a)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획득한 식별 정보 A, B, C, D 및 E 중 제1 도어 개폐 장치(1000a)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 A, B 및 C 에 대응하는 비교 인증 정보를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er device 3000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 and C from the firs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a, and may acqui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D and E from the second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b. can Also, the server device 30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a desired to be opened from the user terminal 2000 . The server device 3000 obtains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and C obtained from the first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a among the obtai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C, D and E as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40).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S640).

서버 장치(3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perform authentication based o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레퍼런스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 정보 중 대상 인증 정보와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인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유효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device 3000 sets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s a valid user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ving a similarity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imilarity with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exists amo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jud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650).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performed (S650).

서버 장치(3000)는 인증 결과를 대상 인증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20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2000 that has transmitte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인증 결과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2000)는 인증 결과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하여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0 having obtained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to request the door to be opened.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 따르면 서버 장치(3000)는 인증 결과를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3000)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전송한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대응하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oor opening/closing device 1000 . The server device 30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1000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0 .

또한 도어 개폐 장치(1000)는 인증 결과가 유효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0)가 전송한 도어 개폐 장치(1000)에 대응하는 도어 개폐 장치(1000)로 도어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Also, when the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may request the door open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1000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0 to open the door.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0 도어 개폐 장치
2000 사용자 단말기
3000 서버 장치
4000 도어
1000 door opener
2000 user terminals
3000 server units
4000 door

Claims (13)

인증 서버의 개입 없이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의 출입 제어 방법으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미리 저장된 비교 인증 정보 중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인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되지 않는,
출입 제어 방법.
An access control method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a first user terminal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n authentication ser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is determin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btain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obtain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first user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users who use the user terminal;
acquiring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user authentication of the first user;
obtaining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Controlling the door to be ope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is valid as a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인증 정보, 상기 비교 인증 정보,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는 지문, 홍채, 정맥 및 안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fingerprint, an iris, a vein, and a face
Access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도어 인증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 수집부가 수집한 인증 정보를 상기 대상 인증 정보로 획득하는 단계인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do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he step of acquiring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 step of acquir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s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 주변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중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강도 이상인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btain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having a signal streng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trength among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btaining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having a signal streng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rength obtain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장치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인증 정보를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로 획득하는,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quiring, as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by match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mo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btaining, as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by matchin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의 유사도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의 유사도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의 유사도 중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의 유사도 중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의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유사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user authentication is,
determining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milarity,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1 Determining that the user's user authentication is valid;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인증 토큰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ntrolling to open the door comprises:
obtaining an authentication token;
Access control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토큰은,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방 또는 통과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uthentication token i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door and permissi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permission to open or pas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door is granted,
Access contro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권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방 또는 통과에 대한 권한을 더 고려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권한 정보에 상기 도어 개폐 장치 및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개방 또는 통과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출입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controlling to open the door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authority to open or pas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door based on the authority information,
Controlling the door not to be opened when the authority for opening or passing through at least on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door is not granted in the authority information,
Access control method.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0 is recorded.
인증 서버의 개입 없이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한 대상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비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거리 및 상기 도어 개폐 장치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 상기 제1 식별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1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대상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도어 개폐 장치에 미리 저장된 상기 비교 인증 정보 중 상기 제1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레퍼런스 인증 정보 및 상기 제2 레퍼런스 인증 정보와 상기 대상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대상 인증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되지 않는,
도어 개폐 장치.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first user terminal without the intervention of an authentication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obtaining data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comprising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is determin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obtain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obtain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1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users,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
Acquir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user authentication of the first user,
Obtaining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aring the first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ith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is valid, the door is controlled to open,
The targ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no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door ope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교 인증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하는,
도어 개폐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obtains update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controls to update the comparis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pdate information,
door opener.
KR1020180026203A 2017-11-06 2018-03-06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452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37,380 US10755500B2 (en) 2017-11-06 2018-09-20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6/930,284 US11462063B2 (en) 2017-11-06 2020-07-15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7/939,827 US11887417B2 (en) 2017-11-06 2022-09-07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20126431A KR102571165B1 (en) 2017-11-06 2022-10-04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82070P 2017-11-06 2017-11-06
US62/582,070 2017-11-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431A Division KR102571165B1 (en) 2017-11-06 2022-10-04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751A KR20190051751A (en) 2019-05-15
KR102452528B1 true KR102452528B1 (en) 2022-10-12

Family

ID=6657986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02A KR102151843B1 (en) 2017-11-06 2018-03-06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KR1020180026203A KR102452528B1 (en) 2017-11-06 2018-03-06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220153177A KR20220159925A (en) 2017-11-06 2022-11-16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KR1020230109985A KR20230125162A (en) 2017-11-06 2023-08-22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02A KR102151843B1 (en) 2017-11-06 2018-03-06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177A KR20220159925A (en) 2017-11-06 2022-11-16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KR1020230109985A KR20230125162A (en) 2017-11-06 2023-08-22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1518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272B1 (en) * 2019-06-05 2021-02-03 주식회사 슈프리마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096746B1 (en) *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System and method for gate management for harbor security based on blockchain
KR20210031173A (en) 2019-09-11 2021-03-19 성현시스템 주식회사 Access controlling system
CN111192393B (en) * 2019-09-19 2022-04-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Network door open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KR102493220B1 (en) * 2020-08-31 2023-01-30 (주)씨유박스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gate access
KR102493219B1 (en) * 2020-08-31 2023-01-30 (주)씨유박스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gate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3210A1 (en) * 2004-02-27 2005-09-09 Bqt Solutions (Australia) Pty Ltd An access control system
US9558604B2 (en) * 2009-02-10 2017-01-31 Yikes Llc System for permitting secure access to a restricted area
KR20100116994A (en) * 2009-04-23 2010-11-02 주식회사 케이티 Entry device, entry management server and entry management system
US9563794B2 (en) * 2011-03-17 2017-02-07 Assa Abloy Ab Method for upgrading RFID readers in situ
US20170228953A1 (en) * 2014-08-07 2017-08-10 8857911 Canada Inc. Proximity access control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640927B1 (en) * 2014-08-25 2016-07-19 양수한 Method for providing door locking or unloking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162A (en) 2023-08-29
KR102151843B1 (en) 2020-09-04
KR20220159925A (en) 2022-12-05
KR20190051751A (en) 2019-05-15
KR20190051750A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528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10467832B2 (en) Configurable digital badge holder
US9378599B2 (en)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002233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unctions of smart key
US11887417B2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07810526B (en)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70195322A1 (en) Entry and exi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user terminal and server for the same
JP2022110033A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04796857A (en) Location-based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160401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device, entrance / exi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18147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digital door-lock using smartphone
TW201640258A (en) User authentication device
CN103544749A (en) Cloud control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of
US20230075252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ccess to access control locations
KR102211272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60016244A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between Controller and User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571165B1 (en)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CN107070663B (en) Mobile terminal-based field authentication method and field authentication system
JP6714283B1 (en) Electronic unlocking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07170019A (en) Gate control system and gate controller
KR102469412B1 (en) Sub reader and sub reader control method
US20240005712A1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a machine-learning model
JP2020144927A (en) Electronic unlocking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05056227A (en) Network conn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7120508A (en) Authentication order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