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40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402B1
KR102452402B1 KR1020200177984A KR20200177984A KR102452402B1 KR 102452402 B1 KR102452402 B1 KR 102452402B1 KR 1020200177984 A KR1020200177984 A KR 1020200177984A KR 20200177984 A KR20200177984 A KR 20200177984A KR 102452402 B1 KR102452402 B1 KR 10245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nit
controller
linkage
fun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7692A (en
Inventor
이영윤
허지수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02B1/en
Publication of KR2022008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4Test management for test design, e.g. generating new test cases
    • B60K2370/1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기에서 서로 연계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기 사양서에서 복수의 기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사양 수집부; 상기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기능 연계부; 및 상기 기능 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연계 정보 확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과 연결된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연계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each other in a vehicle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unctions in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a function linking unit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function blocks representing the functions and connects the function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and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related function connected to a reference function serving as a reference function for checking link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blocks.

Figure R1020200177984
Figure R1020200177984

Description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vehicle controller linkage fun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본 발명은 차량 제어기 개발에 관련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차량 제어기에서 서로 연계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controller developm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each other in a vehicle controller.

자율 주행, 편의, 멀티미디어, 샤시, 파워트레인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 제어기(Electronic Control Unit, ECU)의 수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기들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서로 송수신한다. In order to meet various requirements for autonomous driving, convenience, multimedia, chassis, powertrain, etc., the number of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in vehicles is increasing. These controllers configure a network and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using CAN (Controller Area Network),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like.

아웃사이드 미러 폴딩/언폴딩, 램프 점등/소등, 시트 위치 제어 등 차량 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기능의 주요한 동작을 담당하는 제어기가 해당 기능 동작에 필요한 여러 신호들을 다른 제어기들과 구성된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 해야 한다. 즉, 차량 내 여러 제어기들이 관련되어 하나의 기능을 구현한다.In order to implement in-vehicle functions such as folding/unfolding of the outside mirror, turning on/off the lamp, and controlling the seat position, the controller in charge of the main operation of the function transmits various signals necessary for the function operation with other controllers. must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at is, several controllers in the vehicle are related to implement one function.

이에 따라, 차량 내 기능을 구현할 때, 제어기 간 서로 송수신하는 신호들에 대한 정합성 및 이 신호들이 타 제어기에 끼치는 영향성을 분석하고 확인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해당 기능 동작과 관련된 사양 변경 시 관련되어 있는 타 제어기를 담당하는 측에 정합성 및 영향성 분석 결과 등을 공유하여, 시스템 단위의 종합적인 검토를 진행함으로써 관련 제어기 간 발생 가능한 품질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Accordingly, when implementing in-vehicle functions, it is required to analyze and confirm the consistency of th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ntrollers and the influence these signals have on other controllers. This is to preemptively resolve possible quality problems between related controllers by sharing the results of consistency and impact analysis with the parties in charge of other controllers involved in changing the specifications related to the function operation, and conduct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ystem unit. because they can respond.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164호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7164

그런데, 어느 하나의 제어기의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사양에 따른 제어기 간 연계 기능을 확인하고 정합성을 확인하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제어기 개발자가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휴먼 에러를 야기할 수 있고, 제어기 간 연계 기능의 확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specification of any one controller is chang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roller developer has to directly check the linkage function between the controllers according to the changed specification and the means for confirming the consistency is not provided. This may cause a human error,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check the linkage function between the controllers.

이에 본 발명은, 차량 제어기에서 서로 연계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each other in a vehicle controller.

본 발명은, 제어기 사양서에서 복수의 기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사양 수집부; 상기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기능 연계부; 및 상기 기능 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연계 정보 확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과 연결된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연계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unctions in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a function linking unit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function blocks representing the functions and connects the function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and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related function connected to a reference function serving as a reference function for checking link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block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양 수집부는, 상기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상기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사양 추출부와, 상기 사양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기초 정보를 재구성하는 사양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includes a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basic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and a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for reconstructing the bas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또한, 상기 기능 연계부는, 상기 기초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능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 블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능 블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function linkage unit may include a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generating the function block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may display the function block on a display.

또한,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나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arranged to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또한, 상기 사양 수집부는, 상기 기능 블록에 상기 기능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기를 할당하는 제어기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allocating unit for allocating a controller executing the function block to the function block.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연계부는, 상기 기능 블록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기능 블록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 연결부는, 연결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방향성을 갖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unction linkage unit includes a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that connects the function block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nd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connects the plurality of connected function blocks with directionality.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가 특정 기능 블록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할 때 무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when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internal signals used only within a specific functional block, it may be ignored when the functional blocks are conn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 추출부는, 상기 기준 기능을 입력 또는 선택받는 기준 기능 선택부, 상기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연관 기능 추출부, 및 상기 기준 기능과 상기 연관 기능을 연계하여 출력하는 연관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ssoci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includes a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for inputting or selecting the reference function, a related func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related function, and an association outputting the reference function and the related function in connection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은, 사양 수집부가 제어기 사양서에서 복수의 기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능 연계부가 상기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단계; 및 연계 정보 추출부가 상기 기능 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연계 정보 확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과 연결된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unctions in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representing the functions by a function linking unit, and connecting the functional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and extracting, by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related function connected to a reference function that is a reference for checking link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nk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block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 연계부가 생성된 상기 기능 블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necting may include displaying the function block generated by the function association unit on a display, and the function block may be displayed to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또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 블록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연결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ay include connecting the functional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nd the plurality of connected functional block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o have directionalit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가 특정 기능 블록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할 때 무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the connecting step, when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internal signals used only within a specific functional block, the connection of the functional block may be ignor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기능과 상기 연관 기능을 연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extracting may include outputting the reference function and the related function in associ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간 송수신하는 신호들에 대한 정합성 및 이 신호들이 다른 제어기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nalyze and confirm the consistency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controllers and the effects of these signals on other controllers.

이를 통해, 시스템 단위의 종합적인 검토를 진행할 수 있어, 관련 제어기 간 발생 가능한 품질 문제를 선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ystem unit, which has the effect of preemptively preventing possible quality problems between related controll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에 있어서, 기능 연계부의 기능 블록 생성부에서 기능 블록을 생성하여 배치한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에 있어서, 기능 연계부의 기능 블록 연계부에 의해 기능 블록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 중 레인 센서의 기능 블록을 생성한 것을 예시한다.
도 6은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에 대하여 기능 블록 연결부에 의해 기능 블록을 연결한 것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a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exemplifies that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of the function association unit generates and arranges function blocks in the apparatus for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a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function blocks are connected by a function block association unit of a function association unit in an apparatus for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a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5 exemplifies the generation of a function block of the rain sensor among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s.
6 exemplifies the connection of the function block by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for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도면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할 것이다.Hereinaft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using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혹은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혹은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혹은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혹은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a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10)는, 사양 수집부(20), 기능 연계부(30), 및 연계 정보 추출부(40)를 포함한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제어기의 연계 기능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는 상태를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The vehicle controller linkage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20 , a function linkage unit 30 , and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40 . In addition, the management device 10 may present a state of proces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50 in order to check and manage the linkage function of the controller.

사양 수집부(20)는 제어기 사양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확인한다. 사양 수집부(20)는 제어기 사양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가공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양 수집부(20)는, 사양 추출부(22), 사양 재구성부(24) 및 사양 검토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extrac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and confirms the extracted information.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may process or reconfigu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In an embodiment,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may include a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2 , a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24 , and a specification review unit 26 .

사양 추출부(22)는 제어기 사양서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차량의 제어를 위한 차량용 제어기 사양서는, 텍스트 파일(예를 들면, MS-word 파일 또는 Excel 파일 등)로 작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용 제어기의 로직은 MS-Visio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로직 제어를 위한 변수(parameter) 값들은 테이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양 추출부(22)는 매크로 형태로 프로그램되어 사양서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2 extra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The vehicl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for vehicle control may be prepared and provided as a text file (eg, an MS-word file or an Excel file). Here, the logic of the vehicle 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MS-Visio file, and parameter values for logic control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ble. In an embodiment, the specification extractor 22 may be programmed in a macro form to extract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ation.

사양 재구성부(24)는 사양 추출부(22)에서 수집된 정보의 포맷 또는 양식 등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구성할 수 있다. 재구성된 정보는 사양 추출부(22)에서 추출한 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서, 기능(Function), 이름(함수 이름), 입출력 정보(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 기능 버전(함수 버전), 담당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에는 해당 기능이 적용되는 차량 종류(차종, 연식 등)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reconfiguration unit 24 may reconfigur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2 by changing the format or form of the information. The reconstructed information is the reconstructed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2, and includes a function, a name (function name), input/output information (input signal or output signal), a function version (function version), a controller in charge, and the like. may include 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ype of vehicle to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applied (vehicle model, year, etc.).

또한, 사양 재구성부(24)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에 특성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는 해당 기능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기능 내부 신호, 다른 기능과 CAN 통신, LIN 통신 또는 Ethernet 통신 등으로 연결되는 기능 외부 신호로 구분하여 특성이 부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24 may add characteristics to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For example,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may be divided into a function internal signal used only within the corresponding function, and a function external signal connected with other functions through CAN communication, LIN communication, or Ethernet communication, and characteristics may be added.

사양 검토부(26)는 사양 추출부(22)에서 추출한 정보 또는 사양 재구성부(24)에서 재구성된 정보의 오류 여부를 검토한다. 일례로, 사양 검토부(26)는 상기 정보에가 사양서에서 정의하는 규칙에 위반되는 명칭이나, 함수, 입출력 신호, 버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검토할 수 있다. 사양 검토부(26)는 상기 정보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발생을 청각 또는 시각 등의 방법으로 통지할 수 있다. The specification review unit 26 exa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2 or the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the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24 is in error. For example, the specification review unit 26 may examine whether the information includes a name, function, input/output signal, vers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violates rules defined in the specification. When an error exists in the information, the specification review unit 26 may notify the user of the occurrence of the error by auditory or visual methods.

기능 연계부(30)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해당 기능 블록에 관련 정보를 표시하며, 기능 블록을 배치하고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 연계부(30)는 기능 블록 생성부(32), 제어기 할당부(34) 및 기능 블록 연결부(36)를 포함한다. The function linkage unit 30 generates a function block indicating a function, displays related information on the function block, and arranges and connects the function block. In one embodiment, the function association unit 30 includes a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2 , a controller assignment unit 34 , and a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36 .

기능 블록 생성부(32)는, 사양 수집부(20)에서 수집, 처리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기의 기능에 따라 기능 블록을 생성한다. 하나의 제어기의 기능 사양이 다수의 소기능으로 구분되어 관리된다면, 세부적인 신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기능 단위로 기능 블록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생성된 기능 블록은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 블록은 하나의 열로 디스플레이(50)에 배치되어 제시될 수 있다. 도 2는 생성된 기능 블록(60)이 하나의 열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된 것을 예시한다. 한편, 각 기능 블록(60)에는, 함수 명칭, 함수 입출력 포트 명칭, 입력 신호, 출력 신호, 함수 버전 등과 같은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2 generates a function block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processed by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 If the functional specification of one controller is managed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functions, there may be cases in which it is desirable to create a functional block in small function units in order to grasp the detailed signal flow. The generated functional block may be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50 . In an embodiment,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arranged and presented on the display 50 in one column. 2 illustrates that the generated functional blocks 60 are arranged in one column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50 . Meanwhile, in each function block 60 , at least a portion of information such as a function name, function input/output port name, input signal, output signal, and function vers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제어기 할당부(34)는, 기능 블록 생성부(32)에서 생성된 기능 블록에, 해당 기능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기를 할당한다. 할당된 제어기 정보는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된 기능 블록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assignment unit 34 assigns a controller that executes the function block to the function block generated by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2 . The assigned controll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a function block displayed on the display 50 .

기능 블록 연결부(36)는, 생성된 기능 블록을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또한, 기능 블록 연결부(36)는 연결된 기능 블록을 방향성을 갖도록 디스플레이(50)에 배치하고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기능에서의 출력 신호가 CAN이나 Ethernet 통신을 통해 B 기능의 입력 신호로 전달되는 경우, A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과 B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36 connects the generated function block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output signal and the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functional block connection unit 36 may arrange and display the connected functional blocks on the display 50 to have directionality. For exampl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A function is transmitted as an input signal of the B function through CAN or Ethernet communication, the function block representing the A function and the function block representing the B fun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런데, 기능 블록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연결함에 있어서, 당해 기능 내부에서만 활용되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즉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앞서 설명한 기능 내부 신호인 경우에는 기능 블록 연결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기능 내부 신호는 다른 기능과 연계성을 갖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when connecting a function block using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if the input signal and output signal used only within the function, that is,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the above-described function internal signals, they are not displayed when the function block is connected. it may not be This is because a function internal signal may not have an association with other functions.

기능 블록에서의 출력 신호가 다른 기능 블록의 입력 신호가 되지 않는 경우, 또는 입력 신호는 존재하는데 해당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블록이 없는 경우에는 기능 블록의 연결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When an output signal from a function block does not become an input signal of another function block, or when there is an input signal and there is no function block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signal, the connection of the function block may not be displayed.

기능 블록 연결부(36)에서 생성된 기능 블록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는 해당 기능이 적용되는 차량 종류에 대한 정보도 활용될 수 있다. 동일한 차량 종류에 적용되는 기능 블록끼리만 연결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When the function blocks generated by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36 are interconnected, information on the type of vehicle to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applied may also be utilized. There may be cases in which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connection only between function blocks applied to the same vehicle type.

한편, 기능 블록 연결부(36)에서 기능 블록을 디스플레이(50) 등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방향성을 가지고 기능 블록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의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블록은 디스플레이(50)의 좌측에, 최종적인 입력 신호를 받는 기능 블록은 디스플레이(50)의 우측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기능 블록의 연계 흐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unctional block is displayed on the display 50 or the like in the functional block connection unit 36, it may be preferable to arrange the functional blocks with directionality. For example, a functional block generating an initial output signal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50, and a function block receiving a final input signal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50, so that the flow of the functional blocks is intuitive. can be understood a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에 있어서, 기능 연계부의 기능 블록 연계부에 의해 기능 블록(60)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다. FIG. 3 shows that the function blocks 60 are connected by the function block association unit of the function association unit in the apparatus for managing functions linked to the vehicl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기능 A는 기능 B와 기능 C에 각각 연결된다. 즉, 기능 A의 출력 신호가 기능 B와 기능 C의 입력 신호가 되는 경우가 표시된다. 기능 E는 기능 F에 연결된다. 각각의 기능 블록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ECU1~ECU5)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function A is connected to function B and function C, respectively. That is, the case where the output signal of the function A becomes the input signal of the function B and the function C is shown. Function E is connected to function F. In each function block, the controllers (ECU1 to ECU5)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연계 정보 추출부(40)는, 기능 간의 연계 관계를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을 입력받고, 해당 기준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능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계 정보 추출부(40)는, 기준 기능 선택부(42), 연관 기능 추출부(44) 및 연관 정보 출력부(46)를 포함한다. The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40 receives a reference function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linkag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s, extracts a function related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extracted function. In one embodiment, the associ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40 includes a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42 , a related function extraction unit 44 , and a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46 .

기준 기능 선택부(42)는, 연관된 기능을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을 입력 또는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 기능 선택부(42)는 사용자에게 기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양서에서 추출된 다수의 기능 중에서 변경 등으로 확인이 필요한 기능, 또는 해당 기능의 세부적인 정보(예를 들면, 버전, 입출력 포트 정보,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의 변경 등)가 기준 기능 또는 기준 기능의 세부 항목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The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42 inputs or selects a reference function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associated function. In an embodiment, the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4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selecting the reference function to the user. Among the many functions extracted from the specification, the function that needs to be confirmed due to change, or detailed information of the function (for example, version, input/output port information, change of input signal or output signal, etc.) is the reference function or reference function. It can be selected as a detail item.

연관 기능 추출부(44)는, 선택된 기준 기능 또는 기준 기능의 정보에 따른 연관 기능을 추출한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A 기능이 기준 기능으로 선택되면, B 기능과 C 기능이 연관 기능에 해당되어 추출될 수 있다. The related function extracting unit 44 extracts a selected reference function or a related func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function. For example, when function A is selected as a reference function in FIG. 3 , function B and function C may be extracted as corresponding functions.

연관 정보 출력부(46)는, 기준 기능과 이에 연관된 연관 기능을 출력한다. 연관 정보 출력부(46)는 연관 기능을 디스플레이(50)에 표시하거나 파일 형태(예를 들면, 엑셀 파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A 기능이 기준 기능으로 선택된 경우라면, 표 1과 같은 정보가 파일 형태로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46 outputs a reference function and a related function related thereto. The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46 may display the related function on the display 50 or provide it in the form of a file (eg, an Excel file). In the example of FIG. 3 , when function A is selected as a reference function,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file.

명칭designation 할당된 기능assigned function 해당 ECUCorresponding ECU 연결된 기능connected function 해당 ECUCorresponding ECU 기능 Afunction A 기능 A(1.0)Feature A (1.0) ECU1ECU1 기능 B(1.0)Feature B (1.0) ECU2ECU2 기능 C(1.1)Feature C(1.1) ECU3ECU3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관 정보 출력부(46)는, 기능 블록 연결부(36)에 의해 생성된 기능 블록 간의 연결 상태에서, 기준 기능과 연관 기능을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강조하여 디스플레이(50)에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46 displays or emphasizes the reference function and the related function in different colors on the display 50 i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unction blocks generated by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36 . can be presented.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에 대하여 연계 기능을 분석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The analysis of the linkage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controller linkage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4는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에는 관련 신호를 송수신하는 클러스터(100), 작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0), 클러스터(100)의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웨이(120), 빗방울을 검출하는 레인 센서(130), 운전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멀티 펑션 스위치(140), 후방 와이퍼 작동을 제어하는 후방 와이퍼 주제어부(IBU, 150), 및 후방 와이퍼 주제어부(150)에 의해 작동되어 후방 와이퍼를 구동하는 모터(16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4 ,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includes a cluster 100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related signal, a power supply 110 that supplies operating power, a gateway 120 that transmits a signal of the cluster 100, and a lane that detects raindrops. It is operated by the sensor 130, the multi-function switch 140 that receives the driver's operation input, the rear wiper main control unit (IBU, 15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ar wiper, and the rear wiper main control unit 150 to drive the rear wiper. A motor 160 is included.

이러한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의 기능 분석에 따라 제어기 및 기능 적용 현황을 표 2에 예시한다. According to the functional analysis of thes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s, the controller and function application status are exemplified in Table 2.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1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1

표 2에 나타낸 제어기 구성에 대하여, 차종 A에 관련된 적용 신호 현황을 표 3에 예시한다.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shown in Table 2, the status of the applied signal related to the vehicle model A is exemplified in Table 3.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2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2

전술한 사양 수집부(20)는 후방 와이퍼 제어에 관한 사양서로부터 제어기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기능 연계부(30)의 기능 블록 생성부(32)는 각 기능에 대한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제어기 할당부(34)는 해당 제어기를 기능 블록에 할당한다.The above-described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ler function from the specification sheet related to the rear wiper control, and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2 of the function linkage unit 30 generates a function block for each function, The controller assignment unit 34 assigns the controller to the functional block.

도 5는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 중 레인 센서의 기능 블록을 생성한 것을 예시한다. 5 exemplifies the generation of a function block of the rain sensor among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s.

도 5를 참조하면, 기능 연계부(30)의 기능 블록 생성부(32)가 표 2에 예시된 레인 센서의 F1 기능에 대하여 기능 블록(60)을 생성하여 입력 신호, 출력 신호, 버전 정보 등을 함께 나타내고, 관련 제어기 정보가 함께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function block generating unit 32 of the function linkage unit 30 generates a function block 60 for the F1 function of the rain sensor illustrated in Table 2 to generate an input signal, an output signal, version information, etc. , and it can be seen that related controller information is also displayed.

도 6은 후방 와이퍼 제어 사양에 대하여 기능 블록 연결부(36)에 의해 기능 블록을 연결한 것을 예시한다. 6 illustrates the connection of the function blocks by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36 for the rear wiper control specification.

기능 블록 생성부(32)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이 생성된 후, 기능 블록 연결부(36)는, 기능 블록을 연결한다. 도 6의 예시에서는 신호들의 흐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도록 기능 블록(60)을 연결한다. 전원, 스위치와 같이 동작의 시작에 관련된 기능 블록(60a)은 왼쪽에, 모터 구동과 관련된 신호들을 출력하는 기능 블록(60b)은 오른쪽에 위치한다. After each function block is generated by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2,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36 connects the function blocks. In the example of FIG. 6 , the functional blocks 60 are connected so that the flow of signals proceeds from left to right. A function block 60a related to the start of an operation, such as a power supply and a switch, is located on the left, and a function block 60b for outputting signals related to driving a motor is located on the right.

만약 도 3에서의 멀티 펑션 스위치(140)의 사양이 변경되어 연관된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연계 정보 추출부(40)는 표 4와 같은 연관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If the specification of the multi-function switch 140 in FIG. 3 is changed to check a related function, the linkage information extractor 40 may present related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4.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3
Figure 112020137754991-pat0000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양 수집부(20)는 제어기 사양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S10).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extracts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document (S10).

이후, 추출된 정보에 대하여 이후 활용을 위해 포맷 또는 양식 등의 형태를 변경하여 재구성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S20). 추출 또는 재구성된 제어기 사용서의 정보에는, 기능(Function), 이름(함수 이름), 입출력 정보(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 기능 버전(함수 버전), 담당 제어기, 해당 기능이 적용되는 차량 종류(차종, 연식 등)가 포함될 수 있고, 제어기의 입력 신호 및 출력 신호에 대해 신호의 사용 또는 전달에 따른 특성이 부가될 수 있다. Thereafter,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by changing the format or form for later use may be performed (S20). The extracted or reconstructed information in the controller user manual includes the function (Function), name (function name), input/output information (input signal or output signal), function version (function version), controller in charge, vehicle type to which the function is applied ( vehicle model, year, etc.) may be included,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use or transmission of signals may be added to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controller.

사양 수집부(20)의 사양 검토부(26)는, 사양 수집부(20)에서 수집된 정보 또는 사양 재구성부(24)에서 재구성된 정보의 오류 여부를 검토한다(S30).The specification review unit 26 of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exa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or the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the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24 is in error (S30).

사양 수집부(20)에서 수집, 처리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기의 기능에 따라 기능 블록이 생성된다(S40). 생성된 기능 블록은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기능 블록을 생성함에 있어, 해당 기능에 관련된 정보가 함께 포함 또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블록에는 해당 기능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기가 할당될 수 있고, 해당 제어기는 기능 블록에 표시될 수 있다.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processed by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0, a function block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S40). The generated functional block may be presented through the display 50 . In generating a function block, information related to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included or displayed together. In addition, a controller that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al block may be assigned to the functional block, and the corresponding controller may be displayed in the functional block.

생성된 기능 블록은 출력 신호와 입력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다(S50). 기능 블록을 연결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신호의 흐름에 따라 기능 블록이 재배치될 수 있다. The generated functional blocks are connected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output signal and the input signal (S50). In connecting and displaying the functional blocks, the functional blocks may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ignal.

기능 블록의 연결이 완료된 후, 연관된 기능을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이 입력 또는 선택된다(S60). 연계 정보 추출부(40)의 기준 기능 선택부(42)는, 사용자에게 기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fter the connection of the function blocks is completed, a reference function serving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the related function is input or selected ( S60 ). The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42 of the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4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reference function to the user.

연관 기능 추출부(44)는, 선택된 기준 기능 또는 기준 기능의 정보에 따른 연관 기능을 추출한다(S70).The related function extraction unit 44 extracts the selected reference function or a related func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function (S70).

연관 정보 출력부(46)는, 기준 기능과 이에 연관된 연관 기능을 출력한다(S80).The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46 outputs a reference function and a related function related thereto (S80).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제어기 간 관련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 동작과 관련된 사양 변경 시 시스템 단위의 종합적인 검토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관련된 제어기 간 품질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effective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controllers, but also to enabl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ystem unit when a specification related to a function operation is changed, ultimately preemptively responding to quality problems between related controllers.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xplaining,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20 : 사양 수집부 22 : 사양 추출부
24 : 사양 재구성부 26 : 사양 검토부
30 : 기능 연계부 32 : 기능 블록 생성부
34 : 제어기 할당부 36 : 기능 블록 연결부
40 : 연계 정보 추출부 42 : 기준 기능 선택부
44 : 연관 기능 추출부 46 : 연관 정보 출력부
50 : 디스플레이 60 : 기능 블록
10: vehicle controller linkage function management device
20: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22: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24: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26: specification review unit
30: function linkage unit 32: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34: controller assignment unit 36: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40: linked information extraction unit 42: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44: related function extraction unit 46: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50: display 60: function block

Claims (13)

차량용 제어기의 제어기 사양서에서 상기 제어기의 복수의 기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사양 수집부;
상기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기능 연계부; 및
상기 기능 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연계 정보 확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과 연결된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연계 정보 추출부;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a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ontroller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of the vehicle controller;
a function linking unit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function blocks representing the functions and connects the function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and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linkage function connected to a reference function serving as a criterion for checking link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nkage relationship of the functional blocks;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 수집부는, 상기 제어기 사양서로부터 상기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사양 추출부와, 상기 사양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기초 정보를 재구성하는 사양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fication collection unit includes a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basic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and a specification reconstruction unit for reconstructing the basic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pecification extra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연계부는,
상기 기초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기능 블록을 생성하는 기능 블록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 생성부는, 상기 기능 블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unction linkage unit,
and a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generating the function block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wherein the function block generation unit displays the function block on a displa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나열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block is a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to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 수집부는, 상기 기능 블록에 상기 기능 블록을 실행하는 제어기를 할당하는 제어기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hicle controller-linked func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allocating unit for allocating a controller executing the function block to the function blo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연계부는,
상기 기능 블록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기능 블록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 연결부는, 연결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방향성을 갖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linkage unit,
and a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unction block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wherein the function block connection unit displays the connected plurality of function blocks on a display to have directionality. Linkage function management devic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가 특정 기능 블록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할 때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unction blocks, i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internal signals used only within a specific function block, the function block is ignored when connecting the function block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 추출부는,
상기 기준 기능을 입력 또는 선택받는 기준 기능 선택부, 상기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연관 기능 추출부, 및 상기 기준 기능과 상기 연관 기능을 연계하여 출력하는 연관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vehicle controller linkage comprising: a reference function selection unit for inputting or selecting the reference function; a related func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related function; and a related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function and the related function in connection function management device.
사양 수집부가 차량용 제어기의 제어기 사양서에서 상기 제어기의 복수의 기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능 연계부가 상기 기능을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을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단계; 및
연계 정보 추출부가 상기 기능 블록의 연결 관계에 따라, 연계 정보 확인의 기준이 되는 기준 기능과 연결된 연관 기능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collecting, by a specification collecting unit, basic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unctions of the controller from a controller specification sheet of a vehicle controller;
genera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blocks representing the functions by a function linking unit, and connecting the functional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and
extracting, by a linkag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related function connected to a reference function that is a criterion for checking link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ink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blocks;
A vehicle controller linkage fun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 연계부가 생성된 상기 기능 블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ng includes displaying the function block generated by the function association unit on a display, wherein the function block is displayed to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 블록을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흐름에 따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연결된 복수의 상기 기능 블록을 방향성을 갖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necting step includes connecting the function block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nd displaying the connected plurality of the function blocks on the display to have directionality. How to manage functions.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가 특정 기능 블록 내에서만 사용되는 내부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기능 블록을 연결할 때 무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In the connecting step, if the input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are internal signals used only within a specific function block, the function block is ignored when the function block is connected.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기능과 상기 연관 기능을 연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기 연계 기능 관리 방법.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The extracting may include outputting the reference fun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function.
KR1020200177984A 2020-12-18 2020-1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KR102452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984A KR10245240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984A KR10245240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692A KR20220087692A (en) 2022-06-27
KR102452402B1 true KR102452402B1 (en) 2022-10-06

Family

ID=8224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984A KR102452402B1 (en) 2020-12-18 2020-12-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4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007B1 (en) 2014-07-24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function in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546B1 (en) 2010-11-03 2012-08-0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Generic system requirement design method for vehicles type
KR101500091B1 (en) * 2013-06-25 2015-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system thereof
KR101509907B1 (en) * 2013-08-12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diagnosing status of vehicle controller and system thereof
KR102518549B1 (en) * 2018-07-19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mbination switch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23249B1 (en) * 2018-10-27 2023-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007B1 (en) 2014-07-24 2015-08-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witch function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692A (en)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05375B4 (en) communication device
DE102006036322B4 (en) Vehicl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unction identif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control unit
CN109669442A (en) A kind of method for converting protocol and conversion equipment
DE60123898T2 (en) Diagnostic, protection and isolation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bus system of a motor vehicle
DE102015216121A1 (en) RETRANSMISSION DEVICE
WO2003027629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telediagnosis on a motor vehicle, vehicle diagnosis module and service center
DE102014208943A1 (en) Vehicle diagnosis system
DE102018217689A1 (en) Improved vehicle data communication network
DE1020161021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warning light treatment
DE102012205353A1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module for a vehicle
DE102013205390A1 (en) DATA DISTRIBUTION DEVICE FOR A VEHICLE
DE1020152043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grating vehicle applications
DE112016005896T5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WO2015192936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DE102013220526A1 (en) Fail-safe sensor architecture for driver assistance systems
KR102452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functions of vehicular ecu
DE102018217690A1 (en) Improved vehicle data communication network
EP3149710B1 (en) Vehicle diagnosis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
DE112018002487T5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EP3207664B1 (en) Use of a bus line to transmit alternative signal coding
DE102005057309A1 (en) Control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in data bus, has microprocessor detecting and evaluating data bus-voltage level, where high-speed-CAN and low-speed-CAN-transceivers are distinguishably and individually controllable over voltage level
EP3308192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sensor unit, communica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DE102007020480B4 (en) Method for check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E102008052322A1 (en) Integrated limp home system
DE102020117886A1 (en) Central processing uni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