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44B1 -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44B1
KR102451844B1 KR1020190169161A KR20190169161A KR102451844B1 KR 102451844 B1 KR102451844 B1 KR 102451844B1 KR 1020190169161 A KR1020190169161 A KR 1020190169161A KR 20190169161 A KR20190169161 A KR 20190169161A KR 102451844 B1 KR102451844 B1 KR 10245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ignal strength
sensor
vehicl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7481A (en
Inventor
이정석
문상철
최원준
조대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9016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44B1/en
Priority to CN202011464299.8A priority patent/CN113075646A/en
Publication of KR2021007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4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센서별로 각각 산출하는 신호 세기 산출부; 및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상기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차량 주변에 구획지어진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for each sensor; and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partitioned around a vehicl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Description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for vehicle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차량 주변에 기 설정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that selects any one of a grid set around a vehicle as a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t relates to a position measuring device.

일반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차량의 키 박스에 별도의 키를 삽입하거나, 작동을 위한 특별한 조작 없이도 외부에서 차량 도어의 개폐 및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In general, a smart key system is a system that enables a driver to insert a separate key into a key box of a vehicle or to open and close a vehicle door and start a vehicle from the outside without a special operation for operation.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차량(즉, 차량 내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와의 알에프(RF : Radio Frequency) 통신(통상 315/433MHz 사용)을 통해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별도의 키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도어를 열 수 있고, 차량에 탑승한 후 시동키를 삽입하는 과정 없이도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차량(즉, 차량 내의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스마트키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인증 요구(LF 주파수 : 보통 125/134.2KHz를 사용)와, 이에 대하여 스마트키가 회신을 주는 인증 응답(RF 주파수)을 차량에서 수신하여 이루어지게 된다.When a driver with a smart key approaches the vehicle, the vehicle (that is, the smart key system in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unlocked throug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usually using 315/433MHz) with the smart key.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inserting a separate key, and the vehicle can be started withou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gnition key after boarding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smart key system requires an authentication request (LF frequency: usually use 125/134.2KHz)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in the vehicle (that is, the smart key system in the vehicle), and authentication in which the smart key responds to this. This is accomplished by receiving a response (RF frequency) from the vehicle.

한편, 블루투스 통신은 적외선 통신 방법과 달리 방향의 제한이 없는 무지향성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크기가 엄지손톱보다 작은 비교적 저렴한 블루투스 칩셋만 장치에 장착하면 무선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여러 장치들을 이용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Bluetooth communication has a feature that can connect and use several devices using an omni-directional radio frequency having no direction limitation. If only a relatively inexpensive Bluetooth chipset, which is smaller than a thumb, is installed in the device,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fore, various configurations using various devices having a Bluetooth module are possible.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은 원격 제어 시스템 또는 스마트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Bluetooth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to a remote control system or a smart key system.

그러나,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키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1~3m이상되는 오차율, 금속물질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로 인해 스마트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원격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a smart key system is constructed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the location of the smart key cannot be accurately determined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n error rate of 1 to 3 m or more and metal materials, and the remote control command requested by the us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could 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71434호(2019.06.24)의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를 이용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Vehicle smart key system using Bluetooth low energy'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1434 (2019.06.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차량 주변에 기 설정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ocate any one of the preset grids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signal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to provide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to be selec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센서별로 각각 산출하는 신호 세기 산출부; 및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차량 주변에 구획지어진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a vehicl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for each sensor; and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partitioned around a vehicl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본 발명의 상기 격자 각각은 상기 센서별로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grat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for each sensor.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상기 센서별로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검출된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detected during a preset time for each sensor.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상기 센서별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 환경과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environment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a measurement condition, and a measurement method are reflected and set.

본 발명의 상기 측정 환경은 상기 차량이 주차된 공간 및 지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ement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ace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and a ground state.

본 발명의 상기 측정 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높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ement cond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heigh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olding method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측정 방법은 상기 센서별 측정 시간, 측정 횟수 및 측정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time for each sensor, the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and a measurement period.

본 발명의 상기 위치 측정부는 상기 격자 각각에 설정된 상기 센서별 상기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상기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격자 검출부; 및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set in each of the gratings, and selects at least one of the grating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grating detection unit to detect; and a location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of the gratings detected by the grating detector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무게 중심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sel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center of gravity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grid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nd selects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를 검출하고 공통된 격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se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a commonly detected grating among the gratings detected by the grating detecting unit and selects any one of the common gratings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무게 중심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sition sel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enter of gravity based on the central position of a grating commonly detected among the gratings detected by the grating detection unit, and selects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본 발명은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매칭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preset operation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본 발명의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격자를 복수 개의 설정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설정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선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설정 영역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grid into a plurality of setting areas,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in any one of the setting areas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the operation set in the setting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characterized by performing

본 발명의 상기 설정 영역은 RKE(Remote keyless entry) 동작을 위한 RKE 영역, 운전석 도어 개방을 위한 운전석 도어 영역, 보조석 도어 개방을 위한 보조석 도어 영역, 및 트렁크 개방을 위한 트렁크 영역, 및 차량 실내 기능 제어를 위한 인테리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tting ar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RKE area for remote keyless entry (RKE) operation, a driver's door area for opening a driver's door, a passeng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passenger's door, and a trunk area for opening the trunk, and vehicle interior function contro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interior area fo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차량 주변에 기 설정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주변 환경과 시간과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y one of the grids set around the vehicl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can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regardless of the environment and ti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의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내 각 영역을 구분한 예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gr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dividing each region in a 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의 예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자 내 각 영역을 구분한 예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of a gr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ample in which each region in the grid is di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는 센서(10), 신호 세기 산출부(20), 위치 측정부(30) 및 동작 제어부(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0 , a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20 , a position measuring unit 30 ,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40 .

센서(1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센서(10)는 사용자 단말(50)과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ensor 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50 . The sensor 10 may receive a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50 and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센서(10)와 사용자 단말(5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sensor 10 and the user terminal 50 may include Bluetooth Low Energy (BLE). However,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센서(1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10)는 차량의 전방 범퍼 중심, 전방 범퍼 좌측, 전방 범퍼 우측, 양측 B 필러, 후방 범퍼 중심, 후방 범퍼 좌측, 후방 범퍼 우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10)의 설치 위치와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plurality of sensors 10 are provided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vehi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sensor 1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bumper, the left side of the front bumper, the right side of the front bumper, both B pillars, the center of the rear bumper, the left side of the rear bumper, the right side of the rear bumper, and the like of the vehicle. As such,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sensor 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사용자 단말(50)은 센서(10)를 향해 신호를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50)은 모바일 폰이나 스마트키 등과 같이 차량 제어를 위해 각종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r terminal 50 transmits a signal toward the sensor 10 . The user terminal 50 may include any device that transmits various signals for vehicle contro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 ke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신호 세기 산출부(2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송신되어 각 센서(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산출한다.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20 calculates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ea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50 and received by each sensor 10 .

즉, 각 센서(10)에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세기 산출부(20)가 이들 센서(10)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That is, when each sensor 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50 ,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20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each of these sensors 10 .

각 센서(10)는 차량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사용자 단말(50)과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그 결과, 각 센서(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센서(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가 서로 상이하므로, 이를 토대로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측정될 수 있다. Since each sensor 10 is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vehicle, th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5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each sensor 1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gnal strengths of the signals received by the respective sensors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50 may be measured based on this.

위치 측정부(30)는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차량 주변에 구획지어진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한다. The position measuring unit 30 sele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partitioned around the vehicl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20 . .

격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변의 기 설정된 설정범위 이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범위는 가로 세로 10×10(m)의 넓이로 설정될 수 있다. 각 격자의 중심 위치는 사전에 설정된다.The grid may be set within a preset setting range around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 The setting range may be set to a width of 10 × 10 (m). The center position of each grid is set in advance.

설정범위의 넓이는 사용자 단말(50)과 센서(10) 간의 통신 방식이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idth of the setting rang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user terminal 50 and the sensor 10 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설정되는데, 각 격자에는 각 센서(10)별로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된다. A plurality of gratings are set as described above, and a signal intensity range is set for each sensor 10 in each grating.

신호 세기 범위는 센서(10)별로 설정된다. 일 예로, 센서(10)가 8개일 경우, 각 격자별로 이들 8개의 센서(10)별로 그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되므로, 하나의 격자에는 총 8개의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된다. The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for each sensor 10 . For example, when there are eight sensors 10 , since the signal intensity ranges are set for each of these eight sensors 10 for each grid, a total of eight signal intensity ranges are set in one grid.

각 신호 세기 범위는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검출된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설정된다. Each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the signal strength detected for a preset time.

이 경우, 신호 세기 범위는 센서(10)별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 환경과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ignal strength range may reflect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environment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10 , a measurement condition, and a measurement method.

본 실시예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데 BLE는 그 측정 환경이나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에 따라 신호 세기가 상이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BLE, may have different signal strength depending on its measur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conditions, and measurement method.

따라서, 각 격자별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되는 경우, 이들 측정 환경이나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이 반영됨으로써, 사용자 단말(50)의 위치 정확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whe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grid is set, these measurement environments, measurement conditions, and measurement methods are reflected, so that the positional accuracy of the user terminal 50 can be secured.

측정 환경에는 차량이 주차된 공간 및 지면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측정 환경에는 오픈된 공간이고 맑은 상태, 오프된 공간이고 지면이 물에 젖은 상태, 지상 주차장, 지하 주차장인지 등이 반영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environment may include the spac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nd the ground condition. For example, the measurement environment may reflect an open space and a clear state, an off space and a wet ground state, an above-ground parking lot,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측정 조건에는 사용자 단말(50)의 높이 및 사용자 단말(50)의 소지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측정 조건에는 사용자 단말(50)의 높이가 1m 이상(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손에 들고 있는 상태)이 상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주머니에 넣고 있는 상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가방(백팩이나 핸드백 등)에 넣고 있는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conditions may include a height of the user terminal 50 and a holding method of the user terminal 50 . For example, the measurement conditions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user terminal 50 is 1 m or more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user terminal 50 in his hand), a state in which the user puts the user terminal 50 in a pocket, and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the user.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50 is placed in a bag (such as a backpack or handbag) may be included.

측정 방법에는 센서(10)별 측정 시간, 측정 횟수 및 측정 주기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측정 방법에는 각 격자마다 2분 동안 정지후 측정, 센서(10)별로 초당 10개의 수집하여 전체 총 1000개 이상의 유효 데이터 획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method may include a measurement time for each sensor 10 , the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and a measurement period. For example, the measurement method may include measurement after stopping for 2 minutes for each grid, collecting 10 pieces per second for each sensor 10, and acquiring a total of 1000 or more valid data.

여기서, 측정 환경,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measurement environment, the measurement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 metho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set in various ways.

즉, 상기한 신호 세기 범위는 차량이 주차되는 위치에서의 측정 환경과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에 따라 각기 설정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위치에서도 측정 환경과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above-described signal strength range may be set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condition, and measurement method at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environment, measurement condition, and measurement method even at the same location.

위치 측정부(30)는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으로서, 격자 검출부(31) 및 위치 선정부(32)를 포함한다.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30 selects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20 , and the grid detection unit 31 ) and a location selection unit 32 .

격자 검출부(31)는 격자별로 설정된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 각각이 포함되는 격자를 검출한다. The grid detection unit 31 detects a grid including each of the signal strengths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on unit 20 within a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set for each grid.

즉, 격자 검출부(31)는 각 격자마다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를 저장한다. 예컨데, 격자 검출부(31)는 각 격자별로 8개의 센서(10)별로 신호 세기 범위를 저장한다. That is, the grid detector 31 stores a signal intensity range for each sensor 10 for each grid. For example, the grid detector 31 stores a signal intensity range for each of the eight sensors 10 for each grid.

격자 검출부(31)는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신호 세기가 산출되면, 이들 각 센서(10)별 신호 세기를 기 설정된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센서(10)별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격자를 검출한다. When the signal strength is calc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on unit 20, the grid detection unit 31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10 with a preset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and each sensor 10 At least one of the signal strengths detects a grating that i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signal strength range.

이 경우, 그 센서(10)별 신호 세기가 해당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격자는 복수 개가 그룹지어져 검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atings whos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10 is included within a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may be grouped and detected.

한편, 격자를 검출하는 경우,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모든 신호 세기가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각각에 모두 포함될 필요는 없다. 즉, 격자 검출부(31)는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해당 신호 세기 범위에 포함되는 격자를 검출할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the grating is detected,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signal strengths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20 are included in each of the signal strength ranges for each sensor 10 . That is, the grating detector 31 may detect a grating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ignal intensities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intensity calculator 20 ar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signal intensity range.

위치 선정부(32)는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한다. The location selection unit 32 selects any one of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31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즉, 위치 선정부(32)는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하는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 중심점을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한다.That is, the position selection unit 32 selects any one of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31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and as shown in FIG. 4, the The center of gravity is detected based o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grid, and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is selected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한편, 격자 검출부(31)는 기 설정된 설정횟수 예컨데 3회에 걸쳐 상기한 바와 같이 격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선정부(32)는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3회에 걸쳐 검출된 격자 중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rating detection unit 31 may detect the grating as described above over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in this case, the positioning unit 32 detects the grating three times by the grating detecting unit 31 Any one of the commonly detected gratings may be selected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이 경우에도 격자 검출부(31)는 설정횟수에 걸쳐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들의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 중심점을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Even in this case, the grating detector 31 may detec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ratings commonly detected over a set number of times, and select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동작 제어부(40)는 격자를 복수 개의 설정 영역을 구분하고, 위치 측정부(30)에 의해 설정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선정되면, 사용자 단말(50)이 위치한 설정 영역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divides the grid into a plurality of setting regions,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selected in any one of the setting regions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30, the setting reg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50 is located Execute the action set in

즉, 동작 제어부(40)는 격자를 복수 개의 설정 영역으로 구분한다.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divides the grid into a plurality of setting areas.

설정 영역은 RKE(Remote keyless entry) 동작을 위한 RKE 영역, 운전석 도어 개방을 위한 운전석 도어 영역, 보조석 도어 개방을 위한 보조석 도어 영역, 및 트렁크 개방을 위한 트렁크 영역, 및 차량 실내 기능 제어를 위한 인테리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etting areas include the RKE area for remote keyless entry (RKE) operation, the driv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driver's door, the passeng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passenger's door, and the trunk area for opening the trunk, and the interior area for controlling vehicle interior functions At least one of them may be included.

동작 제어부(40)는 위치 측정부(30)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RKE 영역에 포함되면 해당 RKE 동작을 수행한다. 동작 제어부(40)는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운전석 도어 영역에 포함되면 운전석 도어를 오픈시킨다. 동작 제어부(40)는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보조석 도어 영역에 포함되면 보조석 도어를 오픈시킨다. 동작 제어부(40)는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트렁크 영역에 포함되면 트렁크를 오픈시킨다. 동작 제어부(40)는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인테리어 영역에 포함되면 차량 내부의 각종 기능, 예컨데 엔진 시동 등을 수행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performs a corresponding RKE oper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50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30 is included in the RKE area.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opens the driver's door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included in the driver's door area.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opens the passenger door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included in the passenger door area. The operation controller 40 opens the trunk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included in the trunk area.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included in the interior area,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performs various functions inside the vehicle, for example, starting the engin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easuring a posi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easuring a location of a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소지하고 차량에 접근하면, 센서(1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S10). 센서(10)와 사용자 단말(5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with the user terminal 50 , the sensor 1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50 ( S10 ).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sensor 10 and the user terminal 50 may include Bluetooth Low Energy (BLE).

센서(10)에 의해 사용자 단말(50)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신호 세기 검출부는 각 센서(10)에 의해 수신된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S20). 이 경우, 각 센서(10)와 사용자 단말(50)과의 거리는 서로 상이하므로, 각 센서(10)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s th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50 is received by the sensor 10 , the signal strength detector calculates a signal strength of each signal received by each sensor 10 ( S20 ).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s between the respective sensors 10 and the user terminal 5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ignal strengths of the signals received by the respective sensors 1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격자 검출부(31)는 격자별로 설정된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센서(10)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S30).The grid detection unit 31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10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on unit 20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set for each gri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t least one of the grids is detected (S30).

즉, 격자 검출부(31)는 각 격자별로 각 센서(10)별로 신호 세기 범위를 저장하며, 신호 세기 산출부(20)에 의해 신호 세기가 산출되면, 이들 각 센서(10)별 신호 세기를 상기한 기 설정된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와 각각 비교하여 그 센서(10)별 신호 세기가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격자를 검출한다. 이 경우, 그 센서(10)별 신호 세기가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격자는 복수 개가 그룹지어져 검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grid detection unit 31 stores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for each grid, and when the signal strength is calc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on unit 20,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se sensors 10 is described above. A lattice in which the signal strength of each sensor 10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of each sensor 10 is detected by comparing with a preset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atings having a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10 within a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may be grouped and detected.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센서(10)별 신호 세기가 센서(10)별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격자가 검출됨에 따라, 위치 선정부(32)는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S40)하고 검출된 무게 중심점을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한다(S50).As the grid detection unit 31 detects a grid whos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10 is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10 , the positioning unit 32 selects the grid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31 . The center of gravity is detected based on the central position (S40), and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is selected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S50).

이 경우, 격자 검출부(31)는 기 설정된 설정횟수 예컨데 3회에 걸쳐 상기한 바와 같이 격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위치 선정부(32)는 격자 검출부(31)에 의해 3회에 걸쳐 검출된 격자 중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들의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 중심점을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grating detection unit 31 may detect the grating as described above over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three times, and the positioning unit 32 detects the grating three times by the grating detecting unit 31 .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gratings commonly detected among them, and select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선정됨에 따라, 동작 제어부(40)는 사용자 단말(50)이 위치한 설정 영역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S60). As described above,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selected, the operation controller 40 performs an operation set in the setting area where the user terminal 50 is located (S60).

즉, 동작 제어부(40)는 격자를 복수 개의 설정 영역, 예컨데 RKE 동작을 위한 RKE 영역, 운전석 도어 개방을 위한 운전석 도어 영역, 보조석 도어 개방을 위한 보조석 도어 영역, 및 트렁크 개방을 위한 트렁크 영역, 및 차량 실내 기능 제어를 위한 인테리어 영역 등으로 구분하고, 사용자 단말(50)의 위치가 포함되어 있는 설정 영역의 동작을 수행한다. That is,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 sets the grid to a plurality of setting areas, for example, an RKE area for RKE operation, a driv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driver's door, a passeng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passenger's door, and a trunk area for opening the trunk, and It is divided into an interior area for controlling vehicle interior functions, and an operation of a setting area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is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센서(10)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토대로 차량 주변에 기 설정된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50)의 위치를 주변 환경과 시간과 무관하게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50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10 in any one of the grids set around the vehicle. By selecting ,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50 can be relatively accurately measured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m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센서
20: 신호 세기 산출부
30: 위치 측정부
31: 격자 검출부
32: 위치 선정부
40: 동작 제어부
10: sensor
20: signal strength calculator
30: position measurement unit
31: grating detection unit
32: positioning unit
40: motion control

Claims (14)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센서별로 각각 산출하는 신호 세기 산출부; 및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차량 주변에 구획지어진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각각은 상기 센서별로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되며,
상기 위치 측정부는 상기 격자 각각에 설정된 상기 센서별 상기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상기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격자 검출부; 및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무게 중심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for each sensor; and
And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partitioned arou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for each of the gratings for each sensor,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set in each of the grids, and detects at least one of the grid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ction unit; and a loca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selection unit detects a center of gravity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of the grid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nd selects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상기 센서별로 기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검출된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strength range is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set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detected signal strength for a preset time for each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세기 범위는
상기 센서별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측정 환경과 측정 조건 및 측정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반영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strength range is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by reflecting at least one of a measurement environment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for each sensor, a measurement condition, and a measurement metho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환경은
상기 차량이 주차된 공간 및 지면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ement environment is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pace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and a ground sta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조건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높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지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ement condition is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eight of the user terminal and a holding method of the user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방법은
상기 센서별 측정 시간, 측정 횟수 및 측정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asuring method is
The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time, the number of times, and the measurement period for each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신호 세기를 센서별로 각각 산출하는 신호 세기 산출부; 및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에 따라 차량 주변에 구획지어진 복수 개의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각각은 상기 센서별로 신호 세기 범위가 설정되며,
상기 위치 측정부는 상기 격자 각각에 설정된 상기 센서별 상기 신호 세기 범위 이내에 상기 신호 세기 산출부에 의해 상기 센서별로 산출된 신호 세기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격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격자 검출부; 및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위치 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를 검출하고 공통된 격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며,
상기 위치 선정부는 상기 격자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격자 중 공통적으로 검출되는 격자의 중심위치를 토대로 무게 중심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무게 중심점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for each sensor; and
And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grids partitioned around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ing unit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for each of the gratings for each sensor,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strength calculated for each sensor by the signal strength calculator is included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for each sensor set in each of the grids, and detects at least one of the grid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etection unit; and a location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selection unit detects a grid detected in common among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nd selects any one of the common grids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selector detects a center of gravity based on a center position of a grid commonly detected among the grids detected by the grid detection unit, and selects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매칭된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a preset operation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격자를 복수 개의 설정 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상기 설정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선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설정 영역에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The gri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tting regions,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selected in any one of the setting regions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 operation set in the setting region where the user terminal is located is performed. A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영역은
RKE(Remote keyless entry) 동작을 위한 RKE 영역, 운전석 도어 개방을 위한 운전석 도어 영역, 보조석 도어 개방을 위한 보조석 도어 영역, 및 트렁크 개방을 위한 트렁크 영역, 및 차량 실내 기능 제어를 위한 인테리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용자 단말 위치 측정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tting area is
At least one of an RKE area for remote keyless entry (RKE) operation, a driv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driver's door, a passenger's door area for opening the passenger's door, and a trunk area for opening the trunk, and an interior area for controlling a vehicle interior function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190169161A 2019-12-17 2019-12-17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KR1024518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61A KR102451844B1 (en) 2019-12-17 2019-12-17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CN202011464299.8A CN113075646A (en) 2019-12-17 2020-12-14 Vehicle user terminal position meas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161A KR102451844B1 (en) 2019-12-17 2019-12-17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81A KR20210077481A (en) 2021-06-25
KR102451844B1 true KR102451844B1 (en) 2022-10-11

Family

ID=7660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161A KR102451844B1 (en) 2019-12-17 2019-12-17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1844B1 (en)
CN (1) CN113075646A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5073B2 (en) * 2010-12-17 2015-03-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Electronic key system
KR101791258B1 (en) * 2011-06-24 2017-10-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erminal, Position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loud Computing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ccess Poi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JP5662906B2 (en) * 2011-08-25 2015-02-0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US9775100B1 (en) * 2016-03-22 2017-09-26 Livio, Inc. Passenger zone detection with signal strength data aided by physical signal barriers
KR20180054318A (en) * 2016-11-15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ing th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81A (en) 2021-06-25
CN113075646A (en)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3230B2 (en) Keyless entry device
JP4673234B2 (en) Keyless entry device
CN102398566B (en) Wireless key system and key position method of discrimination
JP4673251B2 (en) Keyless entry device
KR101915420B1 (en)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US6924738B2 (en) Method for locating a transmitter and receiver device
KR20190069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 object
EP3663794B1 (en) In-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distance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JP2007132139A (en) Radio device
CN113196099B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al-time location
KR202200302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ccess intent recognition for use in a vehicle having a handleless door
JP7107994B2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4152458A (en) Keyless system for vehicle
JP2014234667A (en) In-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JP2022082562A (en)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vehicl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CN111163977A (en) Access system and access verification method
KR102451844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of user device for vehicles
JP711016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VEHICLE CONTROL SYSTEM
KR2016004411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key system
JP2022023634A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17087603A (en) Method for activating a vehicle function and associated activation device
CN1113447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mobile identity transmitter
KR20150011032A (en) Device of improving car's door and trunk open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JP2008266894A (en) Keyless entry system
CN205375633U (en) Key position decision -making system and electronic lock of electronic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