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328B1 -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328B1
KR102450328B1 KR1020200172774A KR20200172774A KR102450328B1 KR 102450328 B1 KR102450328 B1 KR 102450328B1 KR 1020200172774 A KR1020200172774 A KR 1020200172774A KR 20200172774 A KR20200172774 A KR 20200172774A KR 102450328 B1 KR102450328 B1 KR 10245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count
authenticated
profil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669A (ko
Inventor
이은혜
김춘호
박지회
함효진
박우영
김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0017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328B1/ko
Priority to JP2021200803A priority patent/JP7414792B2/ja
Priority to US17/547,239 priority patent/US20220191183A1/en
Publication of KR2022008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669A/ko
Priority to KR1020220123359A priority patent/KR102628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프로필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에서 수행되는 프로필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프로필 제공 방법은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의 요청에 반응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에 반응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PROFILE}
아래 실시예들은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서버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른 사용자들과 교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정보 공유 및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2 이상의 사용자 간의 실시간 컨텐츠 통신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IMS) 등이 있다.
이러한 SNS, IMS 등의 서비스에서 프로필은 사용자의 이름, 사진 등 자신을 나타내기 위한 개인 정보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필은 자신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타인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은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프로필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본인 인증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된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실명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된 실명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해당하는 자격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하는 자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발급 기관과 연계된 제1 자격 정보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급 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의 요청은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된 자격 정보에 기초한 검색을 통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검색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허용 옵션은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옵션; 및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계정에게만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된 자격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각적 마크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 인증 표시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함-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제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서버는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고,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프로필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하고, 본인 인증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필 인증 표시를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한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가 표시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ging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102) 및 제2 사용자(103)는 서버(101)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사용자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컴퓨터, 포터블(portable) 컴퓨터,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웹 타블렛(web tablet) 등의 전자 장치 중 하나로 서버(101)와 관련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101)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서버(101)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서버(101)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등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 사이의 통신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므로, 하기 실시예들에 포함되는 사용자 계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버(101)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는 프로필에 정보를 부가하는 방법 및 프로필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다양화함으로써, 활용도가 향상된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버(101)는 이를 위한 프로필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1)에서 수행되는 프로필 제공 방법은 본인 인증된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120)하는 단계, 제1 사용자 계정과 구분되는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의 요청(130)에 반응하여, 제2 사용자 계정에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140)하는 단계,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150)에 반응하여, 제2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160)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170)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은 서버(101)를 통해 본인 인증을 수행(110)할 수 있다. 본인 인증은 서비스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가 서비스 사용자 본인의 개인 정보가 맞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본인 명의의 휴대폰 번호로 인증 번호를 보내 입력 받은 이름과 주민번호의 실소유자를 확인하는 휴대폰 본인 인증,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본인 인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1)는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서버(101)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획득된 인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본인 인증에 기초한 인증된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된 실명 정보는 본인 인증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의 실제 이름 정보에 해당한다. 인증된 자격 정보는 사용자 계정이 보유한 신분, 지위, 능력 등을 증명하는 정보로, 예를 들어 운전면허증, 학생증, 사원증, 기타 자격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 정보는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발급 기관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인 인증된 사용자는 서버(101)를 통해 자신이 보유한 제1 자격 정보의 발급을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101)는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자격 정보를 부여하는 제1 발급 기관으로부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제1 자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자격 정보는 서버(101)에서 관리하는 메모리에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서버(101)는 제1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1)는 본인 인증된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interfacing) 객체를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120)할 수 있다. 인터페이싱 객체는 인터페이스 내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도록 구현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클릭으로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구현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는 간략하게 '인터페이싱 객체'로 지칭될 수 있다.
서버(101)는 본인 인증된 제1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필 인증 표시의 요청에 반응하여,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120)할 수 있다. 프로필 인증 표시는 본인 인증되지 않은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과 구분되도록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에 인증 표시를 하는 것으로, 서버(101)는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120)함으로써, 프로필 인증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필 인증 표시를 통해 자신이 본인 인증된 사용자에 해당함을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자신의 신원 증명 및 자격 증명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한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이하의 도 3에서 상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한하여 서버(101)에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구현될 수도 있으나, 본인 인증 여부에 관계없이 서버(101)에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101)의 동작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101)의 정보 처리 방법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프로필 인증 표시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210),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한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20),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한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해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230),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한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240) 및 프로필 인증 표시를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는 단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1)는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수신된 프로필 인증 표시의 요청에 반응하여,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본인 인증이 되지 않은 계정에 대해 본인 인증을 요청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인 인증의 요청에 따라 본인 인증이 수행된 경우, 서버(101)는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증 표시를 위하여,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계정은 서버(101)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의 요청(130)이 있는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140)할 수 있다. 본인 인증된 제1 사용자(102) 계정에 대응하는 프로필은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계정은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한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서버(101)를 통해 수신(140)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프로필의 요청은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된 자격 정보에 기초한 검색을 통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비스 내 검색창을 통해 특정 자격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서버(101)는 검색 결과로 특정 자격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제1 사용자 계정에 포함된 자격 정보에 기초한 검색 요청을 수신한 경우, 이에 반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제2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계정이 제1 자격 정보를 검색한 경우, 서버(101)는 검색 결과로 제1 자격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검색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프로필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계정은 검색 허용 옵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서버(101)는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필을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검색 허용 옵션은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옵션 및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계정에게만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계정은 사용자 계정과 친구 관계에 있는 계정, 사용자 계정과 동일 채팅방에 참여 중인 계정, 사용자 계정과 동일 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 검색에 반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설정된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 계정에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을 설정한 경우, 검색 결과로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나, 제1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옵션을 설정한 경우, 검색 결과로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계정이 친구 관계에 있는 계정에게만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을 설정한 경우, 제1 사용자 계정과 친구 관계에 있는 제2 사용자 계정의 검색 요청에 반응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가 검색 결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은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101)에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요청(1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계정은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클릭함으로써, 서버(101)에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 요청(150)에 반응하여, 제2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160)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제2 사용자 계정에 제공(170)할 수 있다.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제공(170)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할 수 있다.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한다는 것은 인증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 또는 인증 정보 중 일부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2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서버(101)는 제2 사용자 계정에 본인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101)의 요청에 따라 제2 사용자 계정에서 본인 인증이 수행된 경우, 서버(101)는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의 실명 정보 및/또는 자격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를 제2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가 표시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이하의 도 4a 및 도 4b에서 상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자격 정보는 유효한 자격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101)는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자격 정보 중 유효한 자격 정보를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2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자격 정보 중 제1 자격 정보의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제1 자격 정보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자격 정보의 유효 여부 외에 자격 정보가 표시되기 위한 조건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격 정보가 표시되기 위한 조건은 사용자가 특정 자격 정보를 공개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 특정 자격 정보가 불특정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1)는 자격 정보가 표시되기 위한 조건에 기초하여, 자격 정보를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제1 사용자 계정은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증 정보의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계정은 제2 사용자(103)에게 인증 정보가 표시되도록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계정은 인증 정보를 선택적으로 다른 사용자 계정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관한 실시예는 이하의 도 5a 및 도 5b에서 상술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한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300)는 일반적으로 프로필에 포함되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사진, 프로필 이름 등)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되는 인터페이싱 객체(310)는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과 본인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계정을 구분하기 위한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310)는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프로필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싱 객체(310)를 포함한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인터페이싱 객체(310)를 통해 제1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임이 직관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싱 객체(310)의 유형은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에 포함된 자격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유형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계정에 포함된 자격 정보의 개수에 따라 인터페이싱 객체(310)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 계정에 특정 자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인터페이싱 객체(310)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객체(310)가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되는 경우, 인터페이싱 객체의 유형은 시각적 마크의 모양, 색깔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에 포함된 자격 정보에 따라, 모양, 색깔 또는 이들의 조합이 다르게 구성된 시각적 마크가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계정에 n개 이상의 자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는 제1 색깔의 시각적 마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사용자 계정에 n개 미만의 자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2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는 제2 색깔의 시각적 마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사용자 계정에 제1 자격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3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는 제3 색깔의 시각적 마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싱 객체(310)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싱 객체는 반드시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터페이싱 객체가 부가되지 않은 프로필 인터페이스와 구분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객체는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도록 청각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가 표시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및 도4b를 참조하면, 인증 정보는 프로필 인터페이스(410, 4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프로필 인터페이스(410, 420)에 포함된 인터페이싱 객체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싱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인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정보는 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명 정보는 프로필 인터페이스(410)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한 실명을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필 인터페이스(420)를 통해 표시되는 인증 정보는 실명 정보 및 자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격 정보는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의 자격 정보 항목들의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자격 정보 항목은 자격증 카드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복수의 자격 정보 항목들 중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표시되는 것으로 선택된 일부의 자격 정보 항목만이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자격 정보 항목의 개수는 미리 정해진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실명 정보는 실명의 일부가 마스킹되어 표시될 수 있다. 실명의 일부를 마스킹하여 표시함으로써, 다른 사용자에게 실명 전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증된 실명 전체가 표시될 것인지, 일부가 마스킹된 실명이 표시될 것인지는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 계정에 인증 정보의 표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은 인증 정보의 표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에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함으로써, 다른 사용자 계정에 인증 정보가 표시되도록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인증 정보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 본인 인증된 제1 사용자 계정은 단말을 통해 프로필 관리 인터페이스(510) 내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511)를 클릭하여 도 5b에 도시된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520)에 진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를 때,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프로필 인증 표시 요청을 수신한 서버는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본인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계정에서 프로필 인증 표시를 요청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인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계정에서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싱 객체(511)를 클릭한 경우, 사용자 계정의 단말은 도 5b에 도시된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520)에 바로 진입할 수 없으며, 본인 인증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진입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계정은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520)를 통해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인증 정보 표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인증 정보 표시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요청한 본인 인증된 제2 사용자 계정에 제1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은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520)를 통해 제2 사용자 계정에 표시될 실명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의 설정에 따라 제2 사용자 계정에게 제공되는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실명 전체가 표시될 수도 있고, 실명 중 일부가 마스킹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은 프로필 인증 표시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520)를 통해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의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획득된 자격 정보가 복수인 경우, 제1 사용자 계정은 복수의 자격 정보 각각에 대하여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는 제1 사용자 계정의 자격 정보 각각에 대한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계정이 표시하는 것으로 설정한 자격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2 사용자 계정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는 단계;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프로필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 인증 표시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본인 인증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인증된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실명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된 실명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된 자격 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해당하는 자격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해당하는 자격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제1 발급 기관과 연계된 제1 자격 정보의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발급 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자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의 요청은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된 자격 정보에 기초한 검색을 통한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검색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검색 허용 옵션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허용 옵션은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옵션; 및
    상기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계정에게만 상기 사용자 계정이 검색되는 것을 허용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상기 인증 정보에 포함된 인증된 자격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각적 마크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가입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을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함-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 인증 표시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를 제한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1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본인 인증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하고,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프로필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인증 정보의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인증된 실명 정보 및 인증된 자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를 상기 사용자 계정의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부가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프로필 인증 표시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사용자 계정의 본인 인증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된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이 본인 인증되지 않은 계정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인증 정보의 제공을 제한하는, 서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설정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의 상기 인증 정보의 표시 기능을 활성화하고,
    본인 인증된 상기 다른 사용자 계정의 단말에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표시하는, 서버.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싱 객체는 시각적 마크의 형태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서버.


KR1020200172774A 2020-12-10 2020-12-10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5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74A KR102450328B1 (ko) 2020-12-10 2020-12-10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1200803A JP7414792B2 (ja) 2020-12-10 2021-12-10 ユーザプロフィール提供方法及び装置
US17/547,239 US20220191183A1 (en) 2020-12-10 2021-12-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profile
KR1020220123359A KR102628504B1 (ko) 2020-12-10 2022-09-28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774A KR102450328B1 (ko) 2020-12-10 2020-12-10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59A Division KR102628504B1 (ko) 2020-12-10 2022-09-28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669A KR20220082669A (ko) 2022-06-17
KR102450328B1 true KR102450328B1 (ko) 2022-10-04

Family

ID=819420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774A KR102450328B1 (ko) 2020-12-10 2020-12-10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123359A KR102628504B1 (ko) 2020-12-10 2022-09-28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59A KR102628504B1 (ko) 2020-12-10 2022-09-28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91183A1 (ko)
JP (1) JP7414792B2 (ko)
KR (2) KR102450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608B1 (ko) * 2022-10-27 2023-12-14 박동기 토큰 및 배지 기반 온라인 데이터 증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41B1 (ko) * 2012-05-08 2015-11-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소셜 네트워크들에 대한 사용자-기반 식별 시스템
JP6100773B2 (ja) * 2011-07-14 2017-03-22 ドキュサイン,インク. 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オンライン署名の身分証明及び照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3067A (ja) 2000-09-08 2002-03-22 Casio Comput Co Ltd 音楽教習システム
JP5225587B2 (ja) 2006-03-20 2013-07-03 楽天株式会社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システム
US20090320101A1 (en) * 2008-06-18 2009-12-24 Doyle Iii Richard Proctor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s in a social network
JP5707036B2 (ja) 2009-12-16 2015-04-22 ヤフー株式会社 開示制御機能提供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136794A1 (en) 2010-04-30 2011-11-03 America Teleconferencing Services, Ltd Record and playback in a conference
US9070117B2 (en) 2011-05-26 2015-06-30 Google Inc.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enabling group communication for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JP5639125B2 (ja) * 2012-07-19 2014-12-10 株式会社プラネットG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
JP6357636B2 (ja) 2012-08-01 2018-07-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管理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2014128836A (ja) 2012-12-27 2014-07-10 Brother Ind Ltd 切断装置、保持部材、及び切断部材
JP6096274B2 (ja) * 2013-02-19 2017-03-1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44442A (ko) 2013-10-15 2015-04-27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US9672336B1 (en) * 2014-08-29 2017-06-06 ProfileCorrect LLC Security system for verification of user credentials
US20160080346A1 (en) * 2014-09-17 2016-03-17 Transunion Rental Screening Solutions, Inc. Identity certification badge
US10924473B2 (en) * 2015-11-10 2021-02-16 T Stamp Inc. Trust stamp
JP6348622B2 (ja) * 2017-02-15 2018-06-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
GB2581657A (en) * 2017-10-10 2020-08-26 Laurie Cal Llc Online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 and process
US11398917B2 (en) * 2018-08-08 2022-07-26 Kelley Cahill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JP7332141B2 (ja) * 2018-09-12 2023-08-23 株式会社Youtrust 求人求職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WO2020067387A1 (ja) 2018-09-28 2020-04-02 Kddi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管理装置、通信装置、及び中継装置
JP6843106B2 (ja) 2018-12-11 2021-03-17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0773B2 (ja) * 2011-07-14 2017-03-22 ドキュサイン,インク. コミュニティにおけるオンライン署名の身分証明及び照合
KR101571741B1 (ko) * 2012-05-08 2015-11-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소셜 네트워크들에 대한 사용자-기반 식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4792B2 (ja) 2024-01-16
US20220191183A1 (en) 2022-06-16
KR102628504B1 (ko) 2024-01-23
JP2022092617A (ja) 2022-06-22
KR20220082669A (ko) 2022-06-17
KR20220137590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0539B1 (e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login method, apparatuses, and computer device
EP3365827B1 (en) End user initiated access server authenticity check
KR102454203B1 (ko) 멀티-테넌트 컴퓨팅 시스템의 보안 및 허가 아키텍처
US8572701B2 (en) Authenticating via mobile device
US93051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updating of randomly generated user passwords
US10389730B2 (en) Visitor access management
KR20170096116A (ko) 멀티-테넌트 컴퓨팅 시스템의 보안 및 허가 아키텍처
US11539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authentication in a blockchain network
US10110578B1 (en) Source-inclusive credential verification
EP3613188B1 (en) Personal identifier sign-in for organizational users
CN110086783A (zh) 一种多账户管理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00302086A1 (en) Controlling access to a secure computing resource
KR20220137590A (ko) 사용자 프로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36935B1 (ko) 사용자 프로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40011030A (ko) 단일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JP7416860B2 (ja) 資格情報を伝達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70109504A (ko)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아이핀 간편인증방법 및 이를 활용한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081555A (ko) 전자 신분증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60125322A1 (en) Determining a status to secure an event ti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