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254B1 -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254B1
KR102447254B1 KR1020210121625A KR20210121625A KR102447254B1 KR 102447254 B1 KR102447254 B1 KR 102447254B1 KR 1020210121625 A KR1020210121625 A KR 1020210121625A KR 20210121625 A KR20210121625 A KR 20210121625A KR 102447254 B1 KR102447254 B1 KR 10244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stock
exchange
similarity
moving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렉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렉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렉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21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속 거래 체결을 위한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거래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종목에 대한 매매 관련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 획득부; 획득한 상기 매매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종목 매매를 수행하는 종목 매매부; 제1 종목을 이용하여 제2 종목을 매수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는 교환 적합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EXCHANGE 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IGH SPEED TRANSACTION EXECUTION}
본 발명은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종목 교환을 통한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주식 등을 매도, 매수할 수 있는 사이버 증권거래가 일반화 되고 있다. 이에 각 증권사들은 컴퓨터 사용자들이 네트워크 상에서 증권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HTS(Home Trading System)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되면서, HTS와 더불어 모바일 기기에서 증권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MTS(Mobile Trading System)을 이용하는 경우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기존에 오프라인 거래보다 개인의 종목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고, 거래 속도도 다양한 방법으로 인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대한 각종 상태정보에 따라 특정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종목을 매매함에 있어서, 매수와 매도가 별도로 행해지는바, 사용자가 A 종목을 가지고 있어서 A 종목을 매도하고 B 종목을 매수하고 싶은 경우에도, A 종목을 매도하고 매도하고난 후 발생한 예수금이 확보되고 나서야 확보된 예수금으로 B 종목을 매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는 신속하게 매매를 처리하고 싶음에도 사용자는 여러 번의 매매 체결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고속 거래 체결을 위한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거래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종목에 대한 매매 관련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 획득부; 획득한 상기 매매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종목 매매를 수행하는 종목 매매부; 제1 종목을 이용하여 제2 종목을 매수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는 교환 적합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정보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정보는 상기 매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종목의 매도 수량 및 매도 시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을 매도 종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종목을 임시 매수 종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체결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종목을 상기 임시 매수 종목에서 매수 종목으로 변경하고, 매수 종목으로 변경된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을 취소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1 종목의 최근 과거 5거래일 동안의 제1 평균 변동성 및 상기 제2 종목의 최근 과거 5거래일 동안의 제2 평균 변동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1 평균 변동성 및 상기 제2 평균 변동성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각각의 시세 흐름의 유사도, 시가 총액의 유사도, 공매도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교환 적합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각각의 이동평균선에 기초하여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평균선은 5일 이동평균선, 10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120일 이동평균선 및 240일 이동평균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1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2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S는 이동평균선 유사도, Ma는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Mb-는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x는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 y는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이고, 상기 성분값은 이동평균선의 일별 증감률이고, 상기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5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6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및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1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결정된 상기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4
상기 수학식에서, Ps는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 S1는 상기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S2는 상기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S3는 상기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S4는 상기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이고, w1은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2은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3은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4은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이며, w1 내지 w-4의 합은 1이며, w1은 w-2보다 크고, w2은 w-3보다 크고, w3은 w-4보다 높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고,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5
상기 수학식에서, E는 상기 교환 적합도, Ps는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 c1은 상기 제1 종목의 시가 총액, c2은 상기 제2 종목의 시가 총액, v는 상기 제1 종목의 공매도 비율(%), u는 상기 제2 종목의 공매도 비율(%)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한 번의 입력 신호에 따라 다수의 주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매매 체결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는 행위를 반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목 거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목 거래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목 간 교환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목 교환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은 도 1에 따른 종목 거래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종목 거래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목 거래 시스템(10)은 종목 거래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거래소 서버(300) 및 대출 기관 서버(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종목 거래 서버(100)를 통해 투자 상품에 대한 거래를 하길 원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일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home trading system),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 및/또는 웹페이지(webpage) 등을 통해 종목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홈 트레이딩 시스템(HTS; home trading system),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 및/또는 웹페이지(webpage) 등은 종목 거래 서버(100)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종목 거래 서버(100)와 연동되어 복수의 계좌 각각을 운영 및/또는 관리하는 서로 다른 증권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거래 종목을 주문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이하, 주문 UI로 지칭함)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계좌 정보 혹은 주문 정보에 의해 유동적으로 결정되는 주문 UI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미 주문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상기 주문 UI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종목에 대한 매도 입력, 매수 입력 및/또는 기 주문 내용에 대한 정정 입력, 기 주문 내용에 대한 취소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매수 입력에 대응하는 매수 주문, 매도 입력에 대응하는 매도 주문, 정정 입력에 대응하는 정정 주문 및 취소 입력에 대응하는 취소 주문 등을 거래소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비밀번호,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종목 거래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종목 거래 플랫폼을 통하여 종목을 매도 및/또는 매수한 이력, 평가손익, 수익률, 평가금액, 보유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종목'은 주식, 선물, 옵션 및 코인 등과 같은 증권 시장 및 가상 화폐 시장에서 취급되는 투자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종목 거래'라 함은 주식, 선물, 옵션, 코인 등과 같이, 증권 시장 및 가상 화폐 시장에서 취급되는 투자 상품에 대한 거래 행위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주식/ETF(Exchange Traded Fund), 펀드, 금, 선물, 옵션 및/또는 코인과 같은 가상 화폐를 포함하는 변동성이 있는 투자 상품을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투자상품의 매매/환매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증권사 서버, 투자운영사 서버 및/또는 펀드운영사 서버 등과 연동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종목에 투자될 사용자의 전체 투자 금액이 예치된 유동성 계좌를 운영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종목 관련 정보, 투자 정보, 기업 정보 및 시세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지수들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종목들의 등락율 추세 흐름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의 외국인 및 기관들의 수급, 원달러환율, 나스닥 선물 지수(나스닥 선물 시세), 상하이 종합 주가 지수 등을 실시간으로 크롤링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국내 주식 시황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목 거래 서버(100)는 HIS(Hang Seng Index), 닛케이 225(JPN225), 선전 종합 지수, DAX(Deutscher Aktien IndeX), FTSE(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100 지수, DJIA(다우 존스 산업평균지수)에 대한 정보를 더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고, 가공된 데이터를 숫자, 차트 및/또는 표 등과 같은 수단으로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종목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종목 관련 정보는 등록된 종목 이름, 주요 지표 정보 및 보조 지표 정보 등과 같이 공지된 종목 거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종목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래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아 적합한 거래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지표 정보는, 실시간 시세, 시가 총액, 매수 호가, 매도 호가, 등락률, 최저가, 최고가, 시가, 종가, 체결량, 체결강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지표 정보는, 추세지표, 변동성 지표, 모멘텀 지표 및 시장강도 지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세지표는, 추세선, 이동평균선,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DM(Directional Movement Index), ROC(Rate Of Change) 및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동성 지표는, 불린저벤드, ATR, Envelope 및 Keltner Channel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멘텀 지표는, 이격도, RSI(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투자심리선, 삼선전환도, AB Ratio, Mass Index, 스토케스틱, SONAR, P&F 및 TRI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강도 지표는, 거래량, MFI(Money Flow Index), EOM(Ease Of Movement), OBV, 거래량 이동평균선, Volume 오실레이터 및 Volume Rati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종목 거래 서버(100)는 종목 거래 서버(100)의 관리자 또는 종목 거래 서버(100)에 접속한 사용자에 의하여 매매 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매매 결정 정보는 종목 매수 정보 및 종목 매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종목에 대한 제1 주문 체결 목표 매도가 및 제2 종목에 대한 제2 주문 체결 목표 매수가를 획득할 수 있다. 주문 체결 목표 매도가는 사용자가 특정 종목을 매도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매도하고자 하는 종목의 목표 시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종목의 시세가 '251.90'이 되었을 때, 매도 주문이 체결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제1 종목에 대해 제1 주문 체결 목표 매도가인 '251.90'을 지정하여 매도 주문량 '2'를 입력한 경우,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상기 제1 주문 체결 목표 매도가인 '251.90'을 입력받을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주식, 선물, 코인, 금 및/또는 옵션 등 다양한 투자 상품에 대한 매매 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매매 결정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문 신호를 거래소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300)는 종목 거래 서버(100)로부터 획득된 계좌별 주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계좌별 주문 신호에 대응하는 거래가 체결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종목 거래 서버(100)는 소정의 로직 또는 알고리즘을 통해 특정 종목 또는 특정 종목군에 대한 매매 결정을 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상기 매매 결정에 기초하여 매매 결정에 대응하는 매매 결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목 거래 서버(100)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양할 수 있고, 다수의 시스템 트레이딩 로직 등이 공지되어 있거나 공연히 실시되고 있으며, 구체적인 매매 결정 정보의 로직 또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대출 기관 서버(400)와도 연동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종목을 담보로 담보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를 대출 기관 서버(400)와 연동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종목을 담보로 제공하여 대출 기관 서버(400)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 있다. 대출기관 서버(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목을 담보로 한 담보대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등의 대출 기관이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거래 종목의 매도, 담보권의 설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가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하거나, 상기 증권사가 운영하는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목 거래 서버(100)를 하나의 장치로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종목 거래 서버(100)는 종목 거래 서버(10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계좌가 각각 서로 다른 증권사에 의해 운영 및/또는 관리되는 계좌인 경우, 상기 종목 거래 서버(100)는 서로 다른 증권사의 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다.
도 2는 종목 거래 서버(10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획득부(101), 종목 매매부(102),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획득부(101)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종목에 대한 매도 입력, 매수 입력 및/또는 기 주문 내용에 대한 정정 입력, 기 주문 내용에 대한 취소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종목 매매부(102)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목 매매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 입력을 획득한 경우, 매수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매수 주문 신호에 대응하는 매도 주문 신호룰 결정하고, 결정된 매도 주문 신호 및 상기 매수 주문 신호에 기초하여 매매를 체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수가 체결된 경우, 매수 금액만큼의 예수금이 감소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정정 및 취소에 대한 입력 뿐 아니라,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종목 교환은 제2 종목으로 제2 종목과 구별되는 제1 종목을 매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종목 교환의 대상이 되는 제1 종목 및 제2 종목이 서로 교환되기에 적합한지 기준값이 되는 교환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종목 및 제2 종목은 교환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3은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종목 간 교환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것에 관한 도면이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사용자에게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목 교환 서비스는, 예수금으로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증권 계좌에 포함되어 있는 종목으로 타종목을 매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매수 매도에 대한 여러 번의 행위를 한 번의 행위로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종목을 가지고 있어서 A 종목을 매도하고 B 종목을 매수하고 싶은 경우, A 종목을 매도하고 매도하고난 후 발생한 예수금이 확보되고 나서야 확보된 예수금으로 B 종목을 매수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는 신속하게 매매를 처리하고 싶음에도 사용자는 여러 번의 매매 체결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교환하기를 원하는 종목들에 대한 교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신속하게 매매를 처리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종목 교환 서비스를 통해 교환할 종목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입력받은 상기 종목들 각각의 거래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거래량보다 높은지 확인할 수 있다. 임계 거래량보다 높지 않은 경우, 교환을 위한 매매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교환 종목들 각각의 거래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거래량보다 높은 경우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종목 교환 서비스를 통해 매도하고자 하는 제1 종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매수하고자 하는 제2 종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 종목과 제2 종목 간 교환을 요청받은 경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에 제1 종목의 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교환을 통해 매도하고자 하는 종목의 수량을 획득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획득된 제2 종목의 수량, 제2 종목의 실거래가 및 제1 종목의 실거래가에 기초하여, 제1 종목의 매도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교환하기를 원하는 종목들 각각의 해당 거래일 1거래일 전 거래일의 변동성, 종목 시세 흐름의 유사도, 시가 총액의 유사도, 각 종목에 대응하는 회사의 산업 분야의 유사도, 배당률, 공매도 비율 등에 기초하여, 교환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산업 분야는, 에너지, 공공재, 재료, 자유 소비재, 필수소비재, 의료, 금융, IT, 리츠, AI, 전기차, 2차 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각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기초하여, 종목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은 5일 이동평균선, 10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120일 이동평균선 및 240일 이동평균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5일 이동평균선, 10일 이동평균선, 20일 이동평균선, 60일 이동평균선, 120일 이동평균선 및 240일 이동평균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종목들 간 이동평균선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의 유사도는 유클리디안 유사도 및/또는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의 성분값은 이동평균선의 일별 증감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10거래일 동안 이동평균선에 대응하는 시세가 {10000원, 10120원, 10140원, 10170원, 10129원, 10017원, 10037원, 10047원, 10097원, 10087원}인 경우, 최근 10거래일 동안 이동평균선에 대응하는 이동평균선의 증감률은 {+1.2%, +0.2%, 0.3%, -0.4%, -1.1%, +0.2%, +0.1%, +0.5%, -0.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평균선의 증감률이 {+1.2%, +0.2%, 0.3%, -0.4%, -1.1%, +0.2%, +0.1%, +0.5%, -0.1%}인 경우, 이동평균선의 성분값은 {+1.2, +0.2, 0.3, -0.4, -1.1, +0.2, +0.1, +0.5, -0.1} 일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이동평균선 유사도(S)를 이하 수학식 1을 통해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6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7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8
수학식 1에서, S는 이동평균선 유사도, Ma는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Mb-는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x는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 y는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을 의미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수학식 1을 통해, 여러 종류의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5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6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및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1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1 종목 및 제2 종목 사이의 종목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5648517-pat00009
수학식 2에서, Ps는 종목 시세 흐름의 유사도, S1는 상기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S2는 상기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S3는 상기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S4는 상기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이고, w1은 제1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2은 제2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3은 제3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4은 제4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일 수 있다. w1 내지 w-4의 합은 1이며, w1은 w-2보다 크고, w2은 w-3보다 크고, w3은 w-4보다 높을 수 있다. 최근의 데이터일수록,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므로, 5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가 가장 높을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 이하 수학식 3을 통해 종목들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5648517-pat00010
상기 수학식 3에서, E는 교환 적합도, Ps는 종목 시세 흐름의 유사도, c1은 제1 종목의 시가 총액, c2은 제2 종목의 시가 총액, v는 제1 종목의 공매도 비율(%), u는 제2 종목의 공매도 비율(%)일 수 있다. 교환 적합도 산출부(104)는 산출된 종목들 간 교환 적합도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종목들 간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사용자가 교환하기를 원하는 종목들이 서로 교환 가능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상기 종목 교환 입력에 따라 제1 종목을 매도 종목으로 결정하고, 제2 종목을 임시 매수 종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임시 매수 종목은 아직 주문 번호가 생성되지는 않았지만, 제1 종목의 매도 여부에 따라 매수 종목으로 변경될 수 있는 종목을 의미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매도 종목으로 결정된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매도 주문이 요청된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체결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종목을 임시 매수 종목에서 매수 종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제2 종목이 매수 종목으로 변경된 것에 응답하여, 매수 종목으로 변경된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매수 주문이 요청된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이 체결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교환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 종목들 간 교환을 취소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을 취소하고,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을 취소할 수 있다. 제1 종목의 매도 주문이 체결될 때까지, 제2 종목의 시세가 사용자가 원치 않는 매수 시세로 올라갈수도 있으므로,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로 체결되어야 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변동성 및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변동성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제1 종목에 대한 최근 5거래일 동안의 제1 평균 변동성 및 제2 종목에 대한 최근 5거래일 동안의 제2 평균 변동성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103)는 제1 평균 변동성 및 제2 평균 변동성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짧게 설정하고, 제1 평균 변동성 및 제2 평균 변동성이 작을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종목 교환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목 거래 서버(100)가 제공하는 종목 교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종목 매수를 위한 매수 UI 및 종목 매도를 위한 매도 UI 뿐만 아니라, 종목 교환을 위한 종목 교환 UI를 제공할 수 있다. 종목 교환 UI는 사용자가 종목 교환을 통해서 매수하고 싶은 종목란 및 사용자가 종목 교환을 통해서 매도하고 싶은 종목란을 제공할 수 있다. 종목 교환을 통해서 매수하고 싶은 종목은 교환 매수 종목으로 표시되고, 종목 교환을 통해서 매도하고 싶은 종목은 교환 매도 종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종목 교환 UI에서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통해 교환 매수 종목 및 교환 매도 종목을 검색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된 교환 매수 종목에 대한 종목명 및 교환 매도 종목에 대한 종목명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교환 매수 종목 및 교환 매도 종목 각각에 대한 수량을 입력받을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경우, 도 3에서 설명된 종목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종목 교환 적합도에 기초하여 교환 매도 종목 및 교환 매수 종목에 대한 매매를 진행할 수 있다. 종목 거래 서버(100)는 교환 매수 종목에 대한 매수 체결 및 교환 매도 종목에 대한 매도 체결이 완료된 경우, 종목 교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UI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종목 거래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목 거래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종목 거래 서버(100)의 동작이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명령어들 형태로 구현되어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고, 저장 장치(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또는 각종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목 거래 서버(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종목 거래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거래소 서버 400: 대출 기관 서버

Claims (5)

  1. 고속 거래 체결을 위한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거래 서버로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종목에 대한 매매 관련 입력을 획득하는 사용자 입력 획득부;
    획득한 상기 매매 관련 입력에 대응하는 종목 매매를 수행하는 종목 매매부;
    제1 종목을 이용하여 제2 종목을 매수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는 교환 적합도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종목 교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체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을 취소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제1 종목의 최근 과거 5거래일 동안의 제1 평균 변동성 및 상기 제2 종목의 최근 과거 5거래일 동안의 제2 평균 변동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상기 제1 평균 변동성 및 상기 제2 평균 변동성이 클수록,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짧아지고,
    상기 교환 적합도 산출부는,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각각의 시세 흐름의 유사도, 시가 총액의 유사도, 공매도 비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교환 적합도를 산출하고,
    Figure 112022072499144-pat00019

    상기 수학식에서, E는 상기 교환 적합도, Ps는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 c1은 상기 제1 종목의 시가 총액, c2은 상기 제2 종목의 시가 총액, v는 상기 제1 종목의 공매도 비율(%), u는 상기 제2 종목의 공매도 비율(%)이고,
    산출된 상기 교환 적합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간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산출하고,
    Figure 112022072499144-pat00016

    Figure 112022072499144-pat00017

    Figure 112022072499144-pat00018

    상기 수학식에서, S는 상기 이동평균선 유사도, Ma는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Mb는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 추세도, x는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 y는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이고,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은 상기 제1 종목의 이동평균선의 일별 증감률이고,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에 대한 성분값은 상기 제2 종목의 이동평균선의 일별 증감률이고,
    상기 수학식을 통해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5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6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및 상기 제1 종목 및 상기 제2 종목 사이의 120일 이동평균선 유사도인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내지 상기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결정하되, 이하 수학식을 통해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를 결정하고,
    Figure 112022072499144-pat00020

    상기 수학식에서, Ps는 상기 시세 흐름의 유사도, S1는 상기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 S2는 상기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 S3는 상기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 S4는 상기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이고, w1은 상기 제1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2은 상기 제2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3은 상기 제3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 w4은 상기 제4 이동평균선 유사도에 대한 가중치이며, w1 내지 w4의 합은 1이며, w1은 w2보다 크고, w2은 w3보다 크고, w3은 w4보다 큰, 종목 거래 서버.
  2. 청구항 1에서,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정보를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정보는 상기 매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종목의 매도 수량 및 매도 시세를 포함하는, 종목 거래 서버.
  3. 청구항 2에서,
    상기 종목 교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종목 교환 입력을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종목을 매도 종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종목을 임시 매수 종목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종목에 대한 매도 주문이 체결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종목을 상기 임시 매수 종목에서 매수 종목으로 변경하고,
    매수 종목으로 변경된 상기 제2 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을 요청하는, 종목 거래 서버.
  4. 삭제
  5. 삭제
KR1020210121625A 2021-09-13 2021-09-13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244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25A KR102447254B1 (ko) 2021-09-13 2021-09-13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25A KR102447254B1 (ko) 2021-09-13 2021-09-13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254B1 true KR102447254B1 (ko) 2022-09-27

Family

ID=8345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25A KR102447254B1 (ko) 2021-09-13 2021-09-13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2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328A (ko) * 2022-10-18 2023-04-24 주식회사 도킹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 시스템의 유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2529B1 (ko) * 2022-10-18 2023-06-13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 및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시가 변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64333B1 (ko) * 2022-10-18 2023-08-08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 및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유동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09478B1 (ko) * 2022-10-18 2023-12-04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상 상황을 분석하고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34A (ko) * 2000-09-21 2002-03-28 홍원기 벤처기업 주식 교환 시스템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00108912A (ko) * 2009-03-31 2010-10-08 김대진 주문 관련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41478A (ko) * 2016-08-23 2019-04-22 라즐로 326 엘엘시 디지털 무기명 증권을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34A (ko) * 2000-09-21 2002-03-28 홍원기 벤처기업 주식 교환 시스템 제공방법 및 장치
KR20100108912A (ko) * 2009-03-31 2010-10-08 김대진 주문 관련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41478A (ko) * 2016-08-23 2019-04-22 라즐로 326 엘엘시 디지털 무기명 증권을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328A (ko) * 2022-10-18 2023-04-24 주식회사 도킹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 시스템의 유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54329A (ko) * 2022-10-18 2023-04-24 주식회사 도킹블록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에게 유동성에 관한 투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2529B1 (ko) * 2022-10-18 2023-06-13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 및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시가 변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64333B1 (ko) * 2022-10-18 2023-08-08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 및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유동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91445B1 (ko) * 2022-10-18 2023-10-20 주식회사 준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암호 화폐 거래 시스템의 유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09478B1 (ko) * 2022-10-18 2023-12-04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상 상황을 분석하고 안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30429B1 (ko) * 2022-10-18 2024-01-29 주식회사 준다 핀테크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투자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958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composite trading orders
KR102447254B1 (ko) 고속 거래 체결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20190156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posite trading orders at a client
KR20220080217A (ko) 탄력적인 증권화에 기반한 배당 수익 통화에 대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130226827A1 (en) Enhanced Clearing House Collateral Management System with Capabilities to Transfer Excess Collateral to Other Users
US20130282546A1 (en) Generating income from unused credit
JP6794431B2 (ja) 当初証拠金標準モデルに基づいて当初証拠金を計算及び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374522B1 (ko) 거래 위험 관리를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WO2016012217A1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balancing indexes
US20060041490A1 (en) Optimizing investment strategies for long/short fund portfolios
US201303179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der matching
JP6767828B2 (ja) 債券取引決済管理システムおよび債券取引決済管理方法
KR102447258B1 (ko) 투자 가이드 모델을 지원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85223A1 (en) Multi-level automated hedging process with news evaluation tool
US20130110741A1 (en) Multi-level automated hedging process
KR102447248B1 (ko) 다른 사용자와 연동하여 종목을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거래소 운영 방법 및 시스템
GUPTA et al. FinTech: the Financial Sector's Digital Reformation
Scharfman et al. Introduction to cryptocurrency compliance and operations
Ghosh et al. Evaluation of crypto assets and their adoption in the business world: a global perspective of the COVID-19 pandemic
KR102593556B1 (ko) 트레이딩 봇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운영 서버
US20180204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navigation tool for routing between multivariate datasets
JP645713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30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ctioning asset backed securities
Naidu The law of one price on bitcoin
Saraswathi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Cyrpto Currency And Share Mar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