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13B1 -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 Google Patents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13B1
KR102443813B1 KR1020200130370A KR20200130370A KR102443813B1 KR 102443813 B1 KR102443813 B1 KR 102443813B1 KR 1020200130370 A KR1020200130370 A KR 1020200130370A KR 20200130370 A KR20200130370 A KR 20200130370A KR 102443813 B1 KR102443813 B1 KR 102443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server
information
strip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6991A (en
Inventor
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파도
Priority to KR102020013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13B1/en
Publication of KR2022004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9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눈, 치아, 피부, 귀의 질병과 소변검사를 통한 이상 상황과 비만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신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질병을 검사하는 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앱은 반려동물의 정보가 저장되는 반려동물 DB와, 쵤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판독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에는 각 사용자의 등록된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와, 반려동물의 종류 및 신체 부위 별로 분류된 질병의 정보가 저장되는 질병 DB와, 상기 질병 DB의 정보를 전처리한 후 전처리된 정보로 학습시킨 분석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companion animal in which a general user can easily check the eye, teeth, skin, and ear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abnormal conditions and obesity through urine test, even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It is about the inspe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 terminal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by wire or wireless, and an image or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analyzed. Consists of an app for examining a disease of a companion animal, wherein the app consists of a companion animal DB in which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s stored, and a reading module that transmits the screened video or image to the serv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he server includes a user DB for storing each user's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a disease DB for storing information on diseases classified by types and body parts of companion animals, and preprocessing after pre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disease D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nalysis module learned from the information.

Description

반려동물 검사장치{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Companion animal examination apparatus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눈, 치아, 피부, 귀의 질병과 소변검사를 통한 이상 상황과 비만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companion animal in which a general user can easily check the eye, teeth, skin, and ear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abnormal conditions and obesity through urine test, even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It is about the inspection device.

사회가 고도로 발달되면서 물질이 풍요로워지는 반면, 인간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마음은 고갈되어간다. 이에 비해 동물의 세계는 항상 천성그대로이며 순수하다. 사람은 이런 동물과 접함으로써 상실되어가는 인간본연의 성정(性情)을 되찾으려 한다. 이것이 즉 동물을 애완하는 일이며, 그 대상이 되는 동물을 애완동물이라고 한다.While society is highly developed and material abounds, human beings are increasingly self-centered, and their minds are exhausted. In contrast, the animal world is always intact and pure. Human beings try to recover the original human nature that is lost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se animals. This is the act of petting animals, and the target animal is called a pet.

1983년 10월 27~28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the human-pet relationship)를 주제로 하는 국제 심포지엄이 동물 행동학자로 노벨상 수상자인 K로렌츠의 80세 탄생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오스트리아 과학아카데미가 주최한 자리에서 개 ·고양이 ·새 등의 애완동물을 종래의 가치성을 재인식하여 반려동물로 부르도록 제안하였고 승마용 말도 여기에 포함하도록 하였다.On October 27-28, 1983 in Vienna, Austria,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subject of the human-pet relationship was held to commemorate the 80th birthday of Nobel Prize winner K. Lorenz, ethologist and scientist in Austria. At a meeting hosted by the Academy, it was suggested that pets such as dogs, cats, and birds be called companion animals by re-recognizing the conventional value, and horses for horse riding were also included.

그래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애완동물은 사람의 장난감이 아니라는 뜻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로 개칭하였다. So, respecting the various benefits that animals give to humans, pets were renamed as co-living animals in the sense that they are not human toys.

최근 반려동물 인구 1000만 시대 속 애완동물들의 건강관리에 특히 신경을 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은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닌 가족의 구성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서다.Recently, in the age of 10 million companion animals, more and more people ar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health care of their pets, and the recognition that companion animals are not simply pets but members of the family is spreading.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에게 평소에는 볼 수 없었던 이상 증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반려동물을 병행하여 동물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거나 주위의 사람 또는 인터넷과 전화를 통하여 정보를 입수하거나 하는 방법을 통하여 반려동물에게 발생한 이상 증세를 해결하여 왔다.In general, when an abnormal symptom occurs in a companion animal that is not normally seen, the companion animal goes to a veterinary hospital in parallel to receive treatment, or obtain information from a person nearby or the Internet or the phone. Problems that have occurred have been resolved.

또한,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약품과 물품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약품과 물품을 병원이나 상점에서 또는 인터넷에서 무작위로 구입하여왔다. In addition, if there are medications and items needed for companion animals, they have been purchased at random from hospitals, stores, or the Internet.

이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이상증세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를 위한 소유자의 대응이 그의 상황에 따라 신속하거나 정확히 이루어지기 힘들었으며, 그로 인하여 반려동물의 생명과 위생이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보장될 수 없다.Due to this, it was difficult for the owner to respond quickly or accurate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owner for a quick and accurate response to the abnormal symptom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refore the life and hygiene of the companion animal cannot be systematically and safely guaranteed.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17241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반려동물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단말기(10);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에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및 운동량을 측정하는 건강 상태 및 운동량 측정기(11); 및 상기 반려동물에게 놀이나 운동을 유도하도록 하거나 놀이나 운동을 관찰하기 위한 유도 관찰기(12)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자 단말기(10), 상기 건강 상태 및 운동량 측정기(11) 및 상기 유도 관찰기(12)는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보호자 단말기(10)에는 서버에서 제공된 "펫뷰" 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817241 as shown in FIG. 1 has been proposed, and its technical features include a guardian terminal 10 possessed by a guardian of a companion animal; a health state and exercise amount meter 11 attached to the companion animal's body to measure the companion animal's health state and exercise amount in real time; and an induction observer 12 for inducing play or exercise to the companion animal or observing play or movement, wherein the guardian terminal 10, the health state and momentum meter 11 and the induction observer 12 ) is capable of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PetView" app provided from the server is installed in the guardian terminal 10.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817241호에 기재된 기술은 반려동물의 운동상태 등을 스마트폰과 같은 보호자 단말기(11)를 확인하여 반력동물의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관리해주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통상적인 건강상태만을 관리할 수 있을 뿐, 반려동물의 구체적인 질병, 즉, 치아, 피부, 귓속 등에 질병이 발생할 경우에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7241 has the advantage of easily managing the health state of the reaction force animal by checking the guardian terminal 11 such as a smartphone for the exercis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but this is a common Only the health status can be manag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confirmed when specific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that is, diseases such as teeth, skin, and ears occur.

한국등록특허 제10-1817241호Korean Patent No. 10-181724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유무선 연결되는 촬영장치로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를 촬영하고,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촬영장치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에 질병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질병을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hotograph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a companion animal with a photograph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by wire or wireless, and to use the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 goal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esting device that allows you to quickly check the disease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by analyzing the video or image taken with the imaging device to check if there is a disease in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the companion anim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의 질병뿐만 아니라 소변을 통한 추가적인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눈, 피부, 치아, 귀를 촬영할 때, 단순한 가시광선만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및 자외선까지 촬영하도록 하며, 특히, 자외선 촬영시에 우드등을 조사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not only diseases of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companion animals, but also additional abnormal conditions through urine, and when photographing eyes, skin, teeth, and ears, only simple visible light Rather, it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inspection device that allows to photograph infrared and ultraviolet rays, and in particular, to irradiate wood, etc. during ultraviolet photographing, so that diseases can be more accurately identifi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종에 따른 특징과 이미지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를 계산할 수 있어 반력동물의 비만도까지 관리할 수 있는 반려동물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camera of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analyze the captured image or image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thereby capturing characteristics and images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esting device that can calculate the degree of obesity of companion animals and manage the obesity level of reaction force animal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반려동물의 신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 terminal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by wire or wireless, and an app installed on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앱은 반려동물의 정보가 저장되는 반려동물 DB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UI모듈과, 쵤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판독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pp consists of a companion animal DB in which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is stored, a UI module forming a user interface, and a reading module that transmits the screened video or image to the serv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characterized.

그리고, 상기 단말기에서 등록된 반려동물의 선택시 출력되는 화면은 검사하는 항목별로 현재까지 검사한 총 횟수, 최종 검사 일자, 검사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 output when the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s selected in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number of times tested so far, the final test date, and the test results are output for each test item.

이때, 상기 검사 결과는 정상, 의심, 경고로 분류하여 각 분류로 진단된 최종 횟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test result is classified into normal, suspicious, and warning, and the final number of times diagnosed by each classification is output.

한편, 상기 촬영장치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or image to the terminal, and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을 모두 촬영하고, 상기 서버는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 모두를 분석하여 질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amera captures all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and ultraviolet light, and the server analyzes all images or images captured with visible light, infrared light, and ultraviolet light to determine the disease.

이때, 상기 촬영장치에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더 구비되되, 상기 조명등은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부와 특수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우드등으로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body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wherein the lighting lam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visible ray part irradiating visible ray and a wood lamp irradiating a special ultraviolet ray.

그리고, 상기 서버에는 각 사용자의 등록된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와, 반려동물의 종류 및 신체 부위 별로 분류된 질병의 정보가 저장되는 질병 DB와, 상기 질병 DB의 정보를 전처리한 후 전처리된 정보로 학습시킨 분석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includes a user DB for storing each user's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a disease DB for storing information on diseases classified by types and body parts of companion animals, and preprocessing after pre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the disease DB.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nalysis module learned from the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서버에는 게시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분석모듈에서 판단하지 못할 경우, 상기 게시판에 촬영한 영상 및 이미지를 등록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rv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lletin board, and when the analysis module cannot determine 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tured image and image are registered on the bulletin board to receive an expert's opinion.

한편, 상기 앱은 반려동물의 소변을 더 검사하되, 상기 촬영장치를 사용하여 소변에 의해 색이 변색되는 검사부가 형성되는 스트립과, 상기 검사부의 변화되는 색의 기준색인 비색표가 인쇄된 비색표 키트를 동시에 촬영한 영상을 상기 판독모듈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pp further examines the urine of the companion animal, but using the photographing device, a strip in which an inspection unit discolored by urine is formed, and a colorimetric table printed with a colorimetric table that is a reference color of the changing color of the inspec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ding module transmits an image taken simultaneously with the kit to the serv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여기서, 상기 비색표 키트는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중심부에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트립 수용홈과, 상기 스트립 수용홈의 양측에 상기 비색표의 색이 인쇄되는 비색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lorimetric kit includes a bottom sheet forming a lower portion, a top sheet provided on the bottom sheet, a strip receiv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strip into the center of the top sheet, and the strip receiving groove and a colorimetric output unit on both sides of which the color of the colorimetric table is printed.

이때, 상기 스트립 수용홈의 양단부에는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ip fixing piece for fixing the strip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와 유무선 연결되는 촬영장치로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를 촬영하고,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촬영장치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에 질병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신속하게 질병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the companion animal are photographed with a photograph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by wire or wireless, and an image or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is captured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By analyzing i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sease in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a companion animal, so it is effective to quickly check the disease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눈, 피부, 치아, 귀의 질병뿐만 아니라 소변을 통한 추가적인 이상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눈, 피부, 치아, 귀를 촬영할 때, 단순한 가시광선만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및 자외선까지 촬영하도록 하며, 특히, 자외선 촬영시에 우드등을 조사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agnose not only diseases of the eyes, skin, teeth, and ears of companion animals, but also additional abnormal conditions through urine, and when photographing eyes, skin, teeth, and ears, only simple visible light Rather, infrared and ultraviolet are photographed, and 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irradiating wood, etc. during ultraviolet photographing, so that the disease can be identified mor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종에 따른 특징과 이미지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비만 정도를 계산할 수 있어 반력동물의 비만도까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ptures a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camera of the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and analyzes the captured image or image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so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s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obesity, so it has the effect of managing the degree of obesity of the reaction force animal.

도 1은 종래의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촬영장치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촬영장치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출력화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비색표 키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비색표 키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 예에서 스트립을 삽입한 상태의 스트립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출력화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b) is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It is a front view.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of the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lorimetric kit of the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lorimetric kit of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strip is fix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trip is inserted in the embodiment of FIG. 7 .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utput screen of the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촬영장치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촬영장치의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출력화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비색표 키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비색표 키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 실시 예에서 스트립을 삽입한 상태의 스트립의 단부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검사장치의 출력화면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a) is a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d is separated, (b)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and FIG. 5 is an output screen of the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lorimetric kit for a companion animal te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lorimetric kit for a companion animal 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strip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strip is inserted in the embodiment of FIG. 7, and FIG.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output screen of the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반려동물의 신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100)와 상기 촬영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앱(30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inspection apparatus, and as shown in FIGS. 2 to 5,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nd a terminal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by wire or wireless. 200) and an app 300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여기서, 상기 단말기(200)는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에 앱(30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촬영장치(100)에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반려동물이 질병에 걸렸는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terminal 200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used, or the app 300 may be installed and used on a smartphone or a smart pad. By analyzing the captured video or image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check whether a companion animal is ill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앱(300)은 반려동물의 정보가 저장되는 반려동물 DB(310)와 반려동물의 질병을 확인하는 판독모듈(330)과 유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UI모듈(32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pp 300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includes a companion animal DB 310 in which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is stored, a reading module 330 for checking diseases of companion animals, and a UI module forming a user interface ( 320).

여기서, 상기 판독모듈(330)은 상기 촬영장치(100)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신으로 연결된 원격지의 서버(400)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400)에서는 수신받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확인하여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Here, the reading module 330 transmits the image or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to the server 400 at a remote location connected by communication, and the server 40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or image. The disease is check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

이때, 상기 단말기(200)에는 통신모듈(210)이 구비되어 상기 서버(400)와 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판독모듈(330)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서버(400)로부터 수신받은 질병 분석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is connected to the server 400 by communication, and the reading module 330 is connected to the server ( ) through the display 220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 400) to output the disease analy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그래서, 사용자는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반려동물의 질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판독모듈(330)은 서버(400)로부터 수신받은 진단 결과에 따라 현재 상황에 수행하여야할 적절한 대응방안을 안내하여 반려동물의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check the diseas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display 220 of the terminal 200 , and the reading module 330 determines the appropriate method to be performed in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received from the server 4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from worsening by guiding the countermeasures.

한편, 상기 단말기(200)에 설치된 앱(300)에는 반려동물 DB(310)가 구비되어 다수의 반려동물을 등록할 수 있는데, 등록된 반려동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해당 반려동물의 검사 정보가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panion animal DB 310 is provided in the app 300 installed in the terminal 200 to register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When any one of the registered companion animals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terminal 200 is provided. Through 220 , inspec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mpanion animal is output.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220)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하는 항목별로 현재까지 검사한 총 횟수, 최종 검사 일자, 검사 결과가 출력된다.Here, as shown in FIG. 5 , on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220 , the total number of inspections up to now, the final inspection date, and the inspection result are output for each inspection item.

이때, 화면으로 출력되는 상기 검사 결과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정상, 특정 질병이 확인되는 경고, 정상상태는 아닌것 같지만 정확한 질병을 특정할 수 없는 의심으로 분류되며, 검사시 3가지 분류 중 한가지로 결정이 되는데, 상기 검사 결과에서는 각 분류별로 진단된 횟수를 출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est result output to the screen is classified as normal in which no abnormality is found, a warning that a specific disease is confirmed, and suspicion that does not seem to be in a normal state but cannot specify the exact disease, and is determined as one of three classifications during the examination In the test result, the number of times diagnosed for each classification is output.

따라서, 사용자는 세부 항목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각 반려동물의 진단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각 세부 항목(검사 항목)을 터치하게 되면 이전에 검사한 결과들이 시간의 순서대로 출력되어 어떠한 질병으로 진단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diagnosis status of each companion animal even without checking the detailed items, and when each detailed item (test item) is touch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examination are output in chronological order to determine which disease is diagnosed. You can check if it has been done.

물론, 사용자가 각 검사결과에서 도출된 진단에 대하여 어떠한 대처를 하였는지 그 대처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반려동물 DB(31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단말기(200)의 통신모듈(210)을 통하여 서버(400)로 전송되고 서버(400)의 사용자 DB(410)에 저장되어 빅데이터로 활용하게 된다.Of cours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response to the diagnosis derived from each test result and the result of the response can be stored in the companion animal DB 310, and the sto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200.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400 through the module 210 and stored in the user DB 410 of the server 400 to be utilized as big data.

그리고, 상기 서버(400)에는 각 사용자의 등록된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410)와 반려동물의 종류 및 신체 부위 별로 분류된 질병의 정보가 저장되는 질병 DB(420)와 질병 DB(420)의 정보를 전처리한 후 전처리된 정보로 학습시킨 분석모듈(43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rver 400 includes a user DB 410 storing information on each user's registered companion animal, a disease DB 420 storing information on diseases classified by types of companion animals and body parts, and a disease DB ( After pre-processing the information of 420), an analysis module 430 that learns from the pre-processed information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질병 DB(420)에 저장되는 질병의 정보는 각 동물의 부위별로 분류되어 각 부위별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의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다양한 사진과 각 질병의 특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Here, the dise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ease DB 420 is classified for each part of each animal, and various photo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disease that may occur for each part an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ease are stored.

이때, 상기 분석모듈(430)은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질병 여부를 진단하고, 이렇게 진단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analysis module 430 analyzes the captured image or image to diagnose whether the disease is present, and transmits the diagnos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한편, 상기 질병 DB(420)에는 상당한 자료가 모아져 있지만 모든 상황의 정보가 저장된 것이 아니므로 상기 분석모듈(430)에서도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siderable data is collected in the disease DB 420 , the analysis module 430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it because information on all situations is not stored.

여기서, 상기 서버(400)에는 게시판(440)이 더 구비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모듈(430)에서 의심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게시판(440)에 해당 영상 또는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어떠한 점에서 이상한 지에 대한 간략한 코멘트를 기재하게 된다.Here, the server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lletin board 440, 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nalysis module 430 determines that it is suspicious, the corresponding video or image is uploaded to the bulletin board 440, A brief comment on the

이때, 상기 서버(400)에는 단순 사용자만이 등록된 것이 아니라 동물에 대한 전문가도 등록되어 있어 게시판(440)에 업로드된 의심사항에 대하여 전문가의 추가 의견을 받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도 있고, 일반 사용자이지만 해당 상황에 대한 경험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코멘트를 기재할 수도 있어 보다 다양한 시각으로 질병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not only simple users are registered in the server 400, but also experts on animals are registered, so that a more accurate diagnosis can be made by receiving an additional opinion from an expert on the doubts uploaded to the bulletin board 440, and general users However, if you have experience with the situation, you can write a comment about it, so you can analyze the disease from a more diverse perspective.

그래서, 상기 게시판(440)에 업로드된 의심 사항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질병 또는 정상으로 확정판단이 된 경우, 그러한 정보가 질병 DB(420)에 저장되어 추후 질병을 진단할 때,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So, when it is finally determined that the suspicious matter uploaded to the bulletin board 440 is disease or normal, such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isease DB 420 so that when diagnosing a disease later,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disease more accurately. be able to

그리고, 상기 분석모듈(430)은 머신 러닝 기법의 인공지능이 활용되어 전술한 데이터를 통하여 학습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nalysis module 430 us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o learn from the above-described data, so tha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disease more accurately.

여기서, 상기 분석모듈(430)에서 판단할 수 있는 분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눈, 치아, 귀, 소변을 통한 질병 뿐만 아니라 비만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데, 각 질병의 예를 들자면 피부의 경우에는 후술하겠지만 세균성, 곰팡이성, 기생충성 피부병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눈의 경우에는 백내장, 결막염, 각막궤양 등의 질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치아의 경우에는 치은염, 치주염 등의 질병을 확인할 수 있고, 귀의 경우에는 외이염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변의 경우는 후술하도록 한다.Here, as shown in FIG. 9, the fields that can be determined by the analysis module 430 include not only diseases through skin, eyes, teeth, ears, and urine, but also the degree of obesity, examples of each diseas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k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bacterial, fungal, and parasitic skin diseases can be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eye, diseases such as cataract, conjunctivitis, and corneal ulcer can be confirmed; and in the case of teeth, diseases such as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can be confirmed. In the case of the ear, various diseases including otitis externa can be identified, and the case of urine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촬영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여 반려동물을 촬영하게 되고,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반려동물 DB(310)에 저장된 반려동물의 정보와 함께 서버로 보내지고, 상기 서버(400)의 분석모듈(430)에서는 반려동물의 종에 따른 특징과 이미지를 통하여 분석한 반려동물의 신체 비율을 비교하여 비만 정도를 계산하게 되며, 이렇게 도출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obesity, the companion animal is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not shown)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without using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the companion animal DB 310 . It is sent to the server together with the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and the analysis module 430 of the server 400 calculates the degree of obesity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propor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alyzed through the image. In this way, the deriv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100)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120)와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10)과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버튼(13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카메라(120)는 반려동물의 귓속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돌출바(125)의 단부 내측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includes a camera 120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 communication module 110 for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or image to the terminal 200, and an operation button 13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 the camera 120 is installed inside the end of the protruding bar 125 so as to photograph the companion animal's ear.

여기서, 상기 카메라(120)는 가시광선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어 가시광선과 적외선 모두를 촬영할 수 있는데, 촬영된 영상에는 태그가 부착되어 가시광선 촬영인지 적외선 촬영인지 확인할 수 있고, 서버(400)의 분석모듈(430)에서 이를 확인하여 가시광선 및 적외선 이미지 또는 영상을 모두 분석하여 질병을 판단하게 된다.Here, the camera 120 not only shoots visible light, bu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o capture both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he analysis module 430 of 400 checks this and analyzes both visible and infrared images or images to determine the disease.

이때, 상기 분석모듈(430)은 가시광선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는 환부의 색과 형태를 확인하게 되고, 적외선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에서는 각 부위의 온도와 열이 퍼진 상태 등을 확인하여 질병을 진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nalysis module 430 checks the color and shape of the affected part in the image or image taken with visible light, and checks the temperature and heat spread of each part in the image or image taken with infrared light to determine the disease to diagnose

한편, 상기 촬영장치(100)에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1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조명등(150)은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부와 특수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우드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lamp 150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body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lighting lamp 150 includes a visible ray part irradiating visible ray and a wood lamp irradiating a special ultraviolet ray. is done

여기서, 상기 조명등(150)을 구성하는 우드등은 최대 365nm의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특수 필터가 구비된 등으로서, 이 우드등의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병균, 박테리아 등에 의해 감염되거나 피부에 손상이 있을 경우 특정 색을 띄게 된다.Here, the wood lamp constituting the lighting lamp 150 is equipped with a special filter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with a wavelength of up to 365 nm. If there is, it will have a specific color.

이때, 상기 촬영장치(100)에는 조명버튼(140)이 더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조명버튼(140)을 작동시켜 일반 가시광선을 조사하거나 우드등을 조사하거나 조명을 조사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button 140, and if necessary, by operating the lighting button 140 to irradiate general visible light, irradiate a wood light, or control not to irradiate the light. .

그래서, 우드등을 조사하여 촬영한 경우에는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의 태그에 우드등으로 촬영한 영상이라는 코드가 부여되어 서버(400)의 분석모듈(430)에서 분석할 때, 이를 고려하여 진단 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하게 질병을 진단할 수 있게 된다.So, in the case of shooting by irradiating wood, etc., a code of the photographed image or the image photographed with wood is given to the tag of the image, so that when the analysis module 430 of the server 400 analyzes it, it is considered to diagnose This makes it possible to diagnose the disease more accurately.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100)의 전부에는 뚜겅(180)이 구비되어 돌출바(125)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촬영장치(100)의 전단에는 제1단턱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160)에는 뚜껑(180)의 단부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착탈된다.In addition, a lid 18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o prevent damage to the protruding bar 125 , and a first stepped portion 16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and the second The one-step portion 160 has an end of the lid 180 coupled to it by force fit and is easily detachable.

이때, 상기 촬영장치(100)의 후단에는 제2단턱부(170)가 형성되어 촬영시에는 상기 뚜껑(180)을 제2단턱부(170)와 연결함으로써,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second stepped portion 170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 and when photographing, by connecting the lid 180 with the second stepped portion 170 , loss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반려동물의 소변을 검사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앱(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변에 의해 색이 변색되는 검사부(532)가 형성되는 스트립(530)과 상기 검사부(532)의 변화되는 색의 기준색인 비색표가 인쇄된 비색표 키트(500)를 상기 촬영장치(100)를 사용하여 촬영한 후, 판독모듈(330)을 통하여 소변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for checking the health condition by examining the urine of a companion animal is further provided. The strip 530 and the colorimetric kit 500 printed with the colorimetric table, which is the reference color of the changing color of the inspection unit 532 , are photographed using the imaging device 100 , and then through the reading module 330 . Analyze the condition of your urine.

여기서, 상기 스트립(530)에 형성되는 검사부(532)에는 시약이 포함되어 있어 소변과 접하게 되면 시약 특유의 반응에 의해 색이 변하게 됨으로써, 변화된 색에 의해 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test unit 532 formed on the strip 530 contains a reagent, and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urine, the color changes due to a reaction peculiar to the reagent, so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xaminer can be confirmed by the changed color.

이때, 상기 스트립(530)에는 하나의 검사부(532)만이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의 검사부(532)가 형성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한가지 건강 상태만을 검사할 수도 있고 여러가지 건강 상태를 검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only one inspection unit 532 may be formed on the strip 530 or a plurality of inspection units 532 may be formed, so that only one health condition may be inspected or various health states may be inspe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

그리고, 상기 비색표 키트(500)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바닥 시트(510)와 상기 바닥 시트(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면 시트(5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표면 시트(520)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스트립 수용홈(522)이 형성되어 상기 스트립(530)이 삽입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lorimetric kit 500 includes a bottom sheet 510 forming a bottom portion and a top sheet 520 provided on the bottom sheet 510, and the center of the top sheet 520 has a length. A strip receiving groove 522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so that the strip 530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표면 시트(520)의 전면에는 상기 스트립 수용홈(522)의 양측에는 비색 출력부가 형성되어 비색표를 구성하는 각 색들이 인쇄된다.Here, colorimetric output uni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52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opsheet 520 to print each color constituting the colorimetric table.

그래서, 상기 비색표 키트(500)의 스트립 수용홈(522)에 소변을 묻혀 검사부(532)의 색이 변화된 상태의 스트립(530)을 삽입하여 단말기(300)로 비색표 키트(500)와 스트립(530)을 동시에 촬영하여 분석하게 된다.So, the colorimetric kit 500 and the strip are inserted into the terminal 300 by soaking urine in the strip receiving groove 522 of the colorimetric kit 500 and inserting the strip 530 with the color of the test unit 532 changed. (530) is taken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비색표 키트(500)는 직사각형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그 크기는 가로 2.5 ~ 4cm, 세로 8.5 ~ 10cm의 크기로 형성하여 촬영장치(100)나 스마트폰을 단말기(200)로 사용할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imetric kit 500 is made of a rectangular sheet, the size of which is 2.5 to 4 cm in width and 8.5 to 10 cm in length. You can easily take pictures using your smartphone's camera.

여기서, 상기 비색표 키트(500)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할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빛에 의해 비색표 키트(500)의 표면에 인쇄된 색들과 스트립(53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검사부(532)의 색의 왜곡 정도가 커 정확한 색을 감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ere, when the colorimetric kit 500 is made larger in size, the color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olorimetric kit 500 and the inspection unit 53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rip 530 by light acting from the outsid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an accurate color because the degree of color distortion is large.

반면에 상기 비색표 키트(500)의 크기를 더 작게 형성할 경우, 비색표 키트(500)의 표면에 인쇄된 비색의 크기가 너무 작아 촬영장치(100)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정확한 색을 추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orimetric kit 500 is made smaller in size, the size of the colorimetric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colorimetric kit 500 is too small to extract an accurate color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 has a difficult problem.

그래서, 상기 비색표 키트(500)의 크기를 가로 2.5 ~ 4cm, 세로 8.5 ~ 10cm로 형성하여 빛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정확하게 색을 도출할 수 있게 되어 검사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forming the colorimetric kit 500 to have a size of 2.5 to 4 cm in width and 8.5 to 10 cm in height, colors can be accurately derive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light, so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xaminer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 수용홈(52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스트립(530)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 고정편(524)이 각각 형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 strip fixing pieces 524 for fixing the strip 530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5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스트립 고정편(524)은 상기 비색표 키트(500)를 형성하는 표면 시트(520)에서 스트립 수용홈(522)의 양 단부를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trip fixing piece 524 can be easily formed by cutting both end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522 from the top sheet 520 forming the colorimetric kit 500 .

이때, 상기 스트립 고정편(5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절곡하여 스트립(530)의 양측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트립(530)의 양측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trip fixing piece 524 may be bent upward as shown in FIG. 8 so that both sides of the strip 530 may not be shaken,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cover the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strip 530 . It can be fixed more firmly by doing so.

그래서, 상기 스트립 수용홈(522)에 스트립(53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트립 고정편(524)이 스트립(53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게 됨으로써, 스트립(530)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촬영장치(100)로 촬영시 보다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trip 530 is inserted into the strip receiving groove 522, the strip fixing piece 524 fixes both ends of the strip 530,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the position of the strip 530 from being chan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oot more stably when shooting with the imaging device 100 .

한편, 상기 서버(400)에는 비색표의 정보가 저장되는 비색표 DB(450)가 더 구비되는데, 한가지 비색표의 정보만 포함된 것이 아니라, 다수의 비색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다양한 비색표 키트(500)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erver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lorimetric DB 450 in which colorimetric information is stored. Instead of only one colorimetric information, a plurality of colorimetric information is included, so that a user can use various colorimetric kits. (500) can be used to proceed with the inspection.

여기서, 상기 비색표 키트(500)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520)의 전면 일측에는 인식코드(528)가 더 인쇄되는데, 상기 인식코드(528)는 각 비색표의 고유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비색표 DB(450)에는 각 비색표의 고유번호가 같이 저장되어 있다.Here, an identification code 528 is further print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surface sheet 520 constituting the colorimetric kit 500, and the identification code 528 includes a unique number of each colorimetric table, and the colorimetric In the table DB 450, a unique number of each colorimetric table is stored together.

이때, 상기 분석모듈(430)에는 촬영된 이미지의 인식코드(528)를 통하여 비색표 키트(500)에 적용된 비색표를 감지하고, 상기 비색표 DB(450)에서 해당 비색표의 정보를 참고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nalysis module 430 detects the colorimetric table applied to the colorimetric kit 500 through the recognition code 528 of the photographed image, and refers to the colorimetric table information in the colorimetric table DB 450. .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비색표 키트(500)의 정보를 설정하지 않더라도 비색표 키트(500)를 촬영장치(100)로 촬영하는 것만으로 해당 비색표를 감지하여 소변의 분석을 진행하게 되며, 시판되는 다양한 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separately set information on the colorimetric kit 500, only by photographing the colorimetric kit 500 with the imaging device 100, the corresponding colorimetric table is detected and urine analysis is carried out. A variety of kits will be availa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일반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눈, 치아, 피부, 귀의 질병과 소변검사를 통한 이상 상황과 비만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려동물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companion animal in which a general user can easily check the eye, teeth, skin, and ear diseases of the companion animal, abnormal conditions and obesity through urine test, even without going to the hospital. It is about the inspection device.

100 : 촬영장치 110,210 : 통신모듈
120 : 카메라 130 : 동작버튼
140 : 조명버튼 150 : 조명등
200 : 단말기 300 : 앱
310 : 반려동물 DB 320 : UI 모듈
330 : 판독모듈 400 : 서버
410 : 사용자 DB 420 : 질병 DB
430 : 분석모듈 440 : 게시판
450 : 비색표 DB 500 : 비색표 키트
510 : 바닥시트 520 : 표면시트
530 : 스트립
100: photographing device 110, 210: communication module
120: camera 130: operation button
140: light button 150: light
200: terminal 300: app
310: companion animal DB 320: UI module
330: read module 400: server
410: user DB 420: disease DB
430: analysis module 440: bulletin board
450: colorimetric DB 500: colorimetric kit
510: bottom sheet 520: surface sheet
530: strip

Claims (12)

반려동물의 신체 부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와, 상기 촬영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앱은 반려동물의 정보가 저장되는 반려동물 DB와, 유저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UI모듈과, 쵤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분석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판독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버에는 각 사용자의 등록된 반려동물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 DB와, 반려동물의 종류 및 신체 부위 별로 분류된 질병의 정보가 저장되는 질병 DB와, 상기 질병 DB의 정보를 전처리한 후 전처리된 정보로 학습시킨 분석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서버에는 게시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분석모듈에서 판단하지 못할 경우, 상기 게시판에 촬영한 영상 및 이미지를 등록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Consists of a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 terminal connected to the photographing device by wire or wireless, and an app installed on the terminal,
The app consists of a companion animal DB in which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is stored, a UI module forming a user interface, and a reading module that transmits the screened video or image to the serv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The server includes a user DB in which information on each user's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s stored, a disease DB in which information on diseases classified by types and body parts of companion animals is stored, and information preprocessed after preprocessing the information in the disease DB. An analysis module trained with
The serv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lletin board, and when the analysis module fails to determine, the recorded video and image are registered on the bulletin board so that an expert's opinion can be receiv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등록된 반려동물의 선택시 출력되는 화면은 검사하는 항목별로 현재까지 검사한 총 횟수, 최종 검사 일자, 검사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output when the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s selected by the terminal outputs the total number of times tested so far, the final test date, and test results for each test i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결과는 정상, 의심, 경고로 분류하여 각 분류로 진단된 최종 횟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est result is classified into normal, suspicious, and warning, and the final number of times diagnosed by each classification is out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과,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hotographing device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body part of a companion animal,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aptured video or image to the terminal;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적외선을 모두 촬영하고,
상기 서버는 가시광선, 적외선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이미지 모두를 분석하여 질병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mera captures both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he server is a companion animal tes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of all images or images taken with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to determine the disea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에는 반려동물의 신체부위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이 더 구비되되,
상기 조명등은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가시광선부와 특수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우드등으로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hotograph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body par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lighting lamp is a companion animal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visible light portion for irradiating visible light and a wood light for irradiating a special ultraviolet ligh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앱은 반려동물의 소변을 더 검사하되,
상기 촬영장치를 사용하여 소변에 의해 색이 변색되는 검사부가 형성되는 스트립과, 상기 검사부의 변화되는 색의 기준색인 비색표가 인쇄된 비색표 키트를 동시에 촬영한 영상을 상기 판독모듈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pp further tests the pet's urine,
The reading module transmits an image obtained by simultaneously photographing a strip in which an inspection unit discolored by urine is formed using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a colorimetric kit printed with a colorimetric table, which is a reference color of the changing color of the inspection unit,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serv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색표 키트는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중심부에 상기 스트립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스트립 수용홈과,
상기 스트립 수용홈의 양측에 상기 비색표의 색이 인쇄되는 비색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lorimetric kit includes a bottom sheet forming a lower portion;
a top sheet provided on the bottom sheet;
a strip receiving groove formed to insert the strip into the center of the top sheet;
and a colorimetric output unit for printing the color of the colorimetric table on both side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수용홈의 양단부에는 스트립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립 고정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검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 companion animal te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trip fixing pieces for fixing the strip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rip receiving groove.
KR1020200130370A 2020-10-08 2020-10-08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KR102443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370A KR102443813B1 (en) 2020-10-08 2020-10-08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370A KR102443813B1 (en) 2020-10-08 2020-10-08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991A KR20220046991A (en) 2022-04-15
KR102443813B1 true KR102443813B1 (en) 2022-09-19

Family

ID=8121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370A KR102443813B1 (en) 2020-10-08 2020-10-08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81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40B1 (en) * 2015-01-28 2015-07-09 대신전자주식회사 Smart wood lamp for the diagnosis of ski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342B1 (en) * 2014-06-27 2016-07-20 주식회사 피엔브이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Management Service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KR101817241B1 (en) 2016-04-25 2018-02-21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Health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KR102055185B1 (en) * 2017-11-16 2019-12-16 주식회사 쉐어 ear disease diagnosis system
KR20200088592A (en) * 2019-01-15 2020-07-23 (주)센솔루션코리아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toring the health status of a companion animals
KR20200111151A (en) * 2020-09-21 2020-09-28 주식회사 핏펫 Computer program and terminal providing urine test using colorimetric tab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40B1 (en) * 2015-01-28 2015-07-09 대신전자주식회사 Smart wood lamp for the diagnosis of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991A (en)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6817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 disinfection quality control
WO20192398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783572B2 (en) Bio-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199791B2 (en) Pet health examination apparatus, pet health examination method and program
TWI645339B (en) Non-invasive multimodal biometrical identification system of animals
KR101494716B1 (en) Apparatus of Animal Recognition System using nose patterns
US20070127781A1 (en) Animal eye biometrics
CN114514585A (en) Disease prediction system, premium calculation system, and disease prediction method
KR101494717B1 (en) Apparatus of Animal Recognition System using nose patterns
JP2002520006A5 (en)
US202200429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contaminants on surfaces
KR102352071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pet
KR20210013901A (en) All in One Nose Pattern Image Detector Comprising at Least one Code Reader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Nose Pattern
Byrne et al. Predicting the suitability of service animals using instrumented dog toys
CN101843020A (en) Contactless multispectral biometric obtains
JP2021505162A (en) Animal identification methods and equipment
KR102443813B1 (en) detection apparatus of medical examination the pet
KR20210004213A (en) Apparatus for Acquiring Nose Pattern Imag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Noise Pattern
KR20170093450A (en) Apparatus for measuring surface using multiple lights and method thereof
KR20200075471A (en) Pet care system
JP2001076072A (en) Solid body discriminating system
JP7166402B2 (en)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WO2018179219A1 (en) Computer system, animal diagnosis method and program
KR1023417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stock monitoring
KR102347364B1 (en) Diagnostic Kit Reader and Avian Influenza Alarm System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