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239B1 -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 Google Patents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239B1
KR102442239B1 KR1020200026861A KR20200026861A KR102442239B1 KR 102442239 B1 KR102442239 B1 KR 102442239B1 KR 1020200026861 A KR1020200026861 A KR 1020200026861A KR 20200026861 A KR20200026861 A KR 20200026861A KR 102442239 B1 KR102442239 B1 KR 10244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route
information
digital signage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1954A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02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239B1/en
Publication of KR2021011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9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avig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구역 내에 존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실내 목적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만들어 실내 목적지 경로를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통해 안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정 공간에 배치되어 문자 또는 영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길안내 객체를 통해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길안내 객체를 통해 획득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를 길안내 하는 단말기, 및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좌표로 삼아 변환된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각 매장의 상대 위치좌표와 실내 디지털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찾기 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nd by using the location of a digital signage existing in a specific area as a reference location to create route guidance information for an indoor destination, guide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of the terminal It relates to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digital signage. To this end, it is placed in a specific space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ext or images on the display screen, and through digital signage and navigation objects that provid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navigation object. Based on the acquired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 terminal that guides a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the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of each store located in a specific space converted using the location of a digital signage as a reference coordinate and indoor digital Disclosed is an indoor route finding device using digital signage, comprising a server that reads a map from a database and provides it, and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digital signage selected by a user.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역 내에 존재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실내 목적지의 경로 안내 정보를 만들어 실내 목적지 경로를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통해 안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the location of a digital signage existing in a specific area as a reference location to creat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n indoor destination,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s augmented by the terminal It relates to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that guides through reality.

선행특허문헌인 10-2017-0094924(발명의 명칭 :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에는 각 스마트 사이니지끼리 경로 정보를 공유하고 다수의 스마트 사이니지를 연계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순차적 및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preceding patent document 10-2017-0094924 (Title of the invention: route guidance method and route guidance system using smart signage), each smart signage shares rout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connects multiple smart signages to reach a destination. A technique for sequentially and stepwise providing route information for a user is discl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문헌은 경로를 이동중에 사용자가 각 스마트 사이니지를 매 단계마다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매 스마트 사이니지 이용시마다 사용자를 인증하고 식별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prior patent documents as described above have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the user to find each smart signage at every step while moving the route, an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go through the steps of authenticating and identifying the user each time the smart signage is u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94924(발명의 명칭 :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94924 (Title of the invention: route guidance method and route guidance system using smart signag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4612(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 기반 건물 네비게이션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14612 (Title of the invention: augmented reality based building navigation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26227(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26227 (Title of the invention: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and its terminal)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88662(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 특이점을 이용한 이동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8662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singular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117633(발명의 명칭 : 비콘을 이용한 실내 IPS를 통한 증강현실 지도/길 안내 서비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17633 (Title of the invention: Augmented reality map/path guidance service through indoor IPS using beacon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87907(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찾기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7907 (Title of the invention: method of finding a way using augmented rea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87909(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찾기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7909 (Title of the invention: Direction find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17866(발명의 명칭 :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7866 (Title of the invention: road guidance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특정 구역의 실내 길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 좌표위치로 설정하고,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 원점으로 삼아 각 매장의 좌표를 설정하여 실내의 디지털 지도를 도출 제공하고, 작성된 디지털 지도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편리한 실내 길안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ets the position of the digital signage as a reference coordinate position to provide indoor navigation in a specific area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and the digital signage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digital map of the interior by setting the coordinates of each store using the location of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공간에 배치되어 문자 또는 영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길안내 객체를 통해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길안내 객체를 통해 획득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를 길안내 하는 단말기, 및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좌표로 삼아 변환된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각 매장의 상대 위치좌표와 실내 디지털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찾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signage that is arranged in a specific spac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ext or images on a display screen, and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destination input through a navigation object. , a terminal that guides a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oute guidance object, and th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as a reference coordinate for each store located in the converted specific space. Indoor road using digital signage, comprising a server that reads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and indoor digital maps from a database and provides them, and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a digital signage selected by a user Thi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locating device.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로부터 실내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목적지의 경로정보를 서버로 요청하는 경로정보 요청부,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를 바탕으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실내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경로정보 생성부, 경로정보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랜드마크 정보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생성하는 랜드마크 정보 생성부, 및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객체를 생성하는 길안내 객체 생성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indoor destination from a user, a route inform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route information of th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server, and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t the request of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and the route information requester that generate and display the entire route to the indoor destination through the display, landmark information that can compare and determine route errors during route guidance using the augmented reality of the termi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a landmark information generator for receiving and generating, and a route guidance object generator for generating a navigation object including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또한, 길안내 객체 생성부는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QR코드로 변환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object generating unit includes a QR code generating unit that converts and generat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into a QR code.

또한, 길안내 객체 생성부는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단말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하도록 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object generating unit includes a virtual character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virtual character that transmit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rminal.

또한, 단말기는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촬영된 QR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추출하는 QR코드 인식부, QR코드로부터 랜드마크 정보를 인식하고 추출하는 랜드마크 인식부,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기초로 실내 목적지까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현실을 통해 경로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의 안내를 돕도록 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 단말기의 이동정보인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포함하며,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준 좌표위치를 기준으로 단말기의 현재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경로 객체를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includes a camera unit that shoots a QR code, a QR cod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QR code and extract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 landmark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nd extracts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QR code, indoor An augmented reality route guide that guides a route through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o an indoor destination based on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a virtual character generator that creates a virtual character to help guide the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 a location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direction,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stance, which ar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e unit uses the curren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 position of the digital signage to the augmented reality path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또한, 증강현실 경로 객체는 증강현실 경로안내를 나타내는 화살표, 목적지 방향, 예상 거리, 및 예상 이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는 목적지 방향으로 점차 커지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표시된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path object is at least one of an arrow indicating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ance, a destination direction, an expected distance, and an expected moving time, and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ance arrow is displayed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in the destination direction.

또한,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통해 현실 랜드마크를 인식하고, 인식된 현실 랜드마크와 QR코드로부터 인식된 QR코드의 랜드마크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비교 판단하는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by recognizing a real landmark through the image taken from the camera unit, and comparing the recognized real landmark and the landmark information of the QR code recognized from the QR cod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determine path errors during navig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It further includes a path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또한, 단말기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실내 목적지의 변경을 가상 캐릭터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요청하는 경로변경 요청부,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준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변환된 현재 단말기의 실내 위치정보를 경로변경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변경된 실내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converted on the basis of the route change request unit that requests the digital signage to change the indoor destination during the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he reference coordinat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t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route change request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nged indoo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a digital signage.

또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변경되기 전 목적지의 경로오류를 비교 판단하는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전송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 위치좌표로 삼아 새롭게 변환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로오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경로오류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signage further includes a path error comparison determining unit for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path error of the destination before being chang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mitted terminal as the reference location coordinates, the newly converted indoor destination The path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path error, a path erro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제1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내 목적지의 제1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 제2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일 실내 목적지의 제2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를 저장하며,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atabase includes the first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of th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gital signage, and the location coordinates input by the user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gital signage. The second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ame indoor destination are stored, and the server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gital signag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selected digital signag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 원점 좌표로 하여 각 매장의 좌표를 설정하여 디지털 지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디지털 지도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길안내 객체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실내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통한 실내 길안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coordinates of each store using the digital signage as the reference origin coordinates to create a digital map, and transmitting the created digital map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a navigation object, the GPS signal is transmitted indoors. Even if it is not receiv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rminal can provide indoor navig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종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디지털 사이니지 또는 제2 디지털 사이니지를 출발지로 하여 각 매장의 실내 위치좌표를 작성하고, 실내 디지털 지도 맵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사용자가 목적지를 "A음식점"으로 입력 선택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지인 "A음식점"을 찾아가기 위한 실내 디지털 지도 맵을 서버로부터 수신받고, 길안내 객체인 "QR코드"를 생성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음식점"을 찾아가기 위한 실내 디지털 지도 맵을 서버로부터 수신받고, 길안내 객체인 "가상 캐릭터"를 생성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QR코드를 단말기의 카메라로 촬영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생성된 목적지 경로안내 정보가 포함된 실내 디지털 지도맵을 이용하여 소유자의 단말기에서 증강현실을 통해 길안내를 제공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중간에 길안내 객체로부터 전송된 랜드마크 정보와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실제 영상에 포함된 랜드마크를 인식하여 서로 비교함으로써 경로 오류를 확인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안내 객체에 의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도록 길안내 하는 것과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가 실제 영상을 트랙킹하여 엘리베이트 바닥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길안내를 통해 목적지인 "A음식점"에 도달한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for guiding an indoor route using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ypes of data stored in a database of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indoor location coordinates of each store can be created using a first digital signage or a second digital signage as a starting point and stored as an indoor digital map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user inputs and selects a destination as "restaurant A" in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at an indoor digital map map for finding a destination "restauran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eived from a server, and a "QR code" which is a navigation object is generated;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indoor digital map map for visiting "restaurant A" is received from a server, and a "virtual character" which is a navigation object is cre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QR code of FIG. 6 taken with the camera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directions for providing directions through augmented reality in the owner's terminal using an indoor digital map map including destinati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selected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11 is a view for confirming a path error by recognizing and comparing landmark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navigation object to an actual image obtained from a camera of a terminal in the middle of path gui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ego,
12 is a diagram showing how to guide a user to ride an elevator by a navigatio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to track an actual image and display it on the floor of the elevator,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terminal that has reached a destination "restaurant A" through augmented reality gui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on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reasonab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entir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essential as a solu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scriptions of the prior art and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may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찾기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wayfinding device using digital sign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는 특정 영역의 실내에서 목적지를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도록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찾기 또는 길안내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so that a destination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found indoors in a specific area. Hereinafter, an indoor route finding 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실내 목적지의 길찾기 또는 길안내 디지털 지도를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작성한다. 즉, 실내에서는 일반적으로 GPS신호를 수신받을 수 없기 때문에 길찾기 앱을 통해 목적지까지 경로안내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 구역 내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100)의 위치를 절대 기준위치로 삼아 그 구역 내에 존재하는 각각의 매장이나 음식점의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실내의 디지털 지도를 작성한다. As shown in FIG. 1 , a digital map for directions or guidance of an indoor destination existing within a specific area is creat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n other words, since GPS signals cannot be received indoors,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Directions app.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digital signage 100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is used as an absolute reference position to generate the location coordinates of each store or restaurant existing in the area, and a digital map of the room is created.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와 제2 디지털 사이니지(100b)가 각각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된다고 가정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 출발지(10))를 기준으로 매장1 내지 매장 16 각각의 제1 상대 위치좌표 및 제1 디지털 지도를 작성하고, 제2 디지털 사이니지(100b, 출발지(10))를 기준으로 매장1 내지 매장 16 각각의 제2 상대 위치좌표 및 제2 디지털 지도를 작성한다. 이때, 각각의 매장의 제1,2 상대 위치좌표는 각각의 매장에 도달하기 위한 제1,2 이동방향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 위치좌표(고도까지 포함), 이동방향 정보, 실내 디지털 지도, 또는 랜드마크 정보(후술함)를 이동 경로 정보라 할 수 있다. 다만, 특정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초로 제작된 실내 디지털 지도에는 각 매장의 상대 위치좌표(고도 좌표를 포함), 랜드마크 정보 등 이동 경로 정보가 다 포함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로부터 목적인 매장 4까지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거리,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역 내에서 그 구역 내에 존재하는 실내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위치한 디지털 사이니지(100a,100b)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는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매장에 대한 상대 위치좌표 또는 이동방향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 목적지의 길안내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목적지를 입력함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실내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안내받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에서 목적지인 매장 4를 입력하는 경우와 제2 디지털 사이니지(100b)에서 목적지인 매장 4를 입력하는 경우에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s an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and the second digital signage 100b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preset positions as shown in FIG. 4 ,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digital signage Based on (100a, departure point (10)), the first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and first digital map of each of stores 1 to 16 are created, and based on the second digital signage (100b, departure point (10)), store 1 To create a secon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and a second digital map of each of the stores 16.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store may be stored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for reaching each store.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including altitude),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indoor digital map, or landmark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eferred to as movement route information. However, the indoor digital map produced based on a specific digital signage may include all movement route information such as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including elevation coordinates) and landmark information of each store. As an example, it may be information for guiding a movement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to the target store 4 . Therefore, within a specific area, a user who wants to be guided to a route of an indoor destination existing within the area ha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from the digital signage 100a, 100b in which he or she is locat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More specifically, in FIG. 3 ,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or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for each store based on the location of each digital signage is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Accordingly, the user who wants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of the indoor destination receives route information to the indoor destination based on the selected digital signage as the user inputs the destination. As shown in FIG. 4 ,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destination store 4 in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and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destination store 4 in the second digital signage 100b, each digital signage is used as a reference can be provided with different movement route information.

디지털 사이니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특정 구역에 배치되어 문자 또는 영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실내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길안내 객체를 통해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 또는 키패드 등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실내 목적지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실내 목적지의 입력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The digital signage 100 is disposed in a specific area of the room as shown in FIG. 4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o the display screen through text or images, and use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indoor destination input as a route. It is provided through a guide object. As shown in FIG. 2 , the input unit 110 of each digital signage receives an indoor destination from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or a keypad.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variety of information as well as an input of an indoor destination from the user to provide desired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 digital signage.

경로정보 요청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목적지의 경로정보를 서버로 요청한다. 이때, 실내 목적지의 경로정보 요청은 후술하는 랜드마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매장 11을 목적지로 입력한 경우에 경로정보 요청부(120)는 서버로 목적지인 매장 11의 실내 경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에서 매장 11을 입력한 경우와 제2 디지털 사이니지(100b)에서 매장 11을 입력하여 경로 요청을 하였으면 서로 다른 경로가 전송되는 것은 당연하다. 서버는 목적지인 매장 11의 경로 요청을 받으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당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작성된 매장 11까지의 실내 이동경로정보(상대 위치좌표, 이동방향 정보, 디지털 지도맵 또는 랜드마크 정보)를 전송받아 요청한 디지털 사이니지로 다시 전송한다. The rout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requests the server for route information of th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request for route information of the indoor destination may include landmark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store 11 is input as the destination in FIG. 4 , the rout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20 requests the indoor route information of the store 11 as the destination from the serv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ore 11 is inputted in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and when a route request is made by inputting the store 11 in the second digital signage 100b, it is natural that different routes are transmitted. When the server receives a route request for the destination store 11, the server receives the indoor movement route information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digital map map or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to the store 11 created based on the digital signage. Send back to digital signage.

경로 정보 생성부(131)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내 이동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재생성하고, 실내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or 131 regenerate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door movement rou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entire route to the indoor destin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랜드마크 정보 생성부(132)는 경로정보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랜드마크 정보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재생성한다. 랜드마크 정보는 단말기에서 목적지까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이다. 랜드마크 정보는 일예로서 각 매장의 특징점이거나 또는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동상이거나 보도에 표시된 화살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11까지 가는 경로 상 어딘가에 "코끼리 동상"이 있는 경우 코끼리 동상이 랜드마크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 길안내 도중에 코끼리 동상이 있는 경우에는 경로오류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랜드마크 정보는 앞서 설명한 실내 디지털 지도 작성시에 이러한 랜드마크 정보를 함께 작성 및 저장할 수 있다. The landmar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2 receives and regenerates the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out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The landmark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ompare and determine path errors during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from a terminal to a destination. The landmark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 feature point of each store, a statue existing on a path, or an arrow displayed on a sidewalk. For example, if there is an "elephant statue" somewhere on the route to store 11, the elephant statue may be landmark information, and if there is an elephant statue in the middle of augmented reality guida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route error. The landmark information may be created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landmark information when creating the above-described indoor digital map.

길안내 객체 생성부는 실내 목적지의 이동 경로 정보인 상대 위치좌표, 이동방향 정보, 실내 디지털 지도, 및 랜드마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길안내 객체를 생성한다. 생성된 길안내 객체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다. 일예로서 길안내 객체는 QR 코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길안내 객체는 가상 캐릭터일 수 있다. QR 코드는 QR 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며, 가상 캐릭터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다. QR 코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에 의해 촬영되며, 단말기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실내 목적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받는다. 가상 캐릭터는 단말기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가상의 캐릭터로서 단말기에 기 설치된 앱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화면에 표시되는 가상 캐릭터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있는 실내 목적지의 이동 경로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navigation object generator generates a navigation object that stores at least one of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indoor digital map, and landmark information that are movement route information of an indoor destination. The generated navigation objec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70 . As an example, the navigation object may be a QR code. As another example, the navigation object may be a virtual character. The QR code is generated by the QR code generating unit, and the virtual character is generated by the virtual character generating unit. The QR code is photographed by the terminal as described later, and the terminal recognizes the QR code and receives a moving route of the indoor destination. The virtual character is a virtual character that can interact with th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and the virtual characte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signage interact with each other to obtain the movement route data of the indoor destination in the digital signage to the terminal. can be sent t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앞에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100)에 목적지를 "A 음식점"으로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서버로부터 "A 음식점"까지의 실내 경로 안내 데이터가 전송된다.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내 경로 안내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사이니지(100)는 도 6과 같이 QR 코드(60)를 생성하거나 도 7과 같이 가상 캐릭터(70)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QR 코드(60) 또는 가상 캐릭터(70)는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실내 경로 정보가 변환된 객체이다. 단말기(200)는 도 8과 같이 생성된 QR코드(60)를 촬영함으로써 실내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user inputs or selects a destination as “restaurant A” in the digital signage 100 in front of him, indoor route guidance data from the server to “restaurant A” is transmitted. Using the indoor route guidanc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he digital signage 100 generates a QR code 60 as shown in FIG. 6 or a virtual character 70 as shown in FIG. 7 . At this time, the generated QR code 60 or virtual character 70 is an object in which indoor route information to the input destination is converted. The terminal 200 may receive guidance on the route of the indoor destination by photographing the generated QR code 60 as shown in FIG. 8 .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단말기(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안내 객체를 통해 획득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를 길안내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실내 목적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즉, 동일한 단말기라 할지라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로부터 전송된 목적지인 매장 11까지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하는 증강현실 경로 정보와 제2 디지털 사이니지(100b)로부터 전송된 목적지인 매장 11까지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하는 증강현실 경로 정보가 서로 다르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terminal 200 guides a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based on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route guidance objec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digital signage selected by the user, the route of the indoor destination is guided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That is, even in the same terminal, as shown in FIG. 4 , the augmented reality rout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gital signage 100b that guide using route information from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to the destination store 11 are used. ), the augmented reality route information that guides using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store 11, which is the destina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단말기의 카메라부(24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정보가 저장된 QR코드를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부(242)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한다. 단말기(200)는 카메라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획득된 전방의 실제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를 맵핑(또는 합성)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목적지의 길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캐릭터(70)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화면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70)와 단말기(200)간의 상호 인터액션을 통해 길안내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앱은 화면에 나타난 가상 캐릭터(70)에게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을 받은 가상 캐릭터(70)는 단말기로 블루투스 등 통신수단을 통해 실내 목적지 경로 데이터를 인증방법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경로 데이터를 단말기가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에 표시된 가상 캐릭터(70)를 활용함으로써 좀 더 흥미와 재미를 유발할 수 있고 목적지의 경로 상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매장 정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는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 이외에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정보 또는 홍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camera unit 242 of the terminal captures the QR code in which the entire route information to the indoor destination is stored. In addition, the camera unit 242 acquires an actual image by photographing a front image. The terminal 200 maps (or synthesizes) a real image and a virtual image of the front acquir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mera unit to provide the user with directions to the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irtual character 70 is us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virtual character 70 and the terminal 20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gital signage. That is, the app of the terminal request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to the virtual character 70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virtual character 70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transmit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data together with the authenticat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to the terminal. By doing so, the terminal can acquire the route data. By utilizing the virtual character 70 displayed on the digital signage, more interest and fun may be induced, and information on store information that may cause interest on the route of the destination may be obtain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signage to the terminal may include various event information or promotional information tha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n the entire route to the destination in addition to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QR코드 인식부(251)는 카메라부(242)로부터 촬영된 QR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이벤트 정보 또는 홍보 정보도 추출될 수 있다. 랜드마크 인식부(252)는 QR코드로부터 랜드마크 정보를 인식하고 추출한다.The QR code recognition unit 251 recognizes and analyzes the QR code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242 to extract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In this case, event information or promotional information may also be extracted. The landmark recognition unit 252 recognizes and extracts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QR code.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220)는 도 9 내지 도 13과 같이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기초로 실내 목적지까지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현실을 통해 경로를 안내한다. 이때,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220)는 단말기의 이동정보인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이동정보를 전송받는다.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220)는 단말기의 현재 이동정보와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경로를 안내한다. 즉, "출발지(10)에서 10m 직진 후 우회전"이라는 최초의 경로 정보를 인식하면,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220)는 증강현실을 통해 "10m 직진 후 우회전"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경로 객체를 단말기의 화면에 나타내도록 하고, 사용자는 이를 따라 걷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10m"를 직진했는지 여부를 위치 산출부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산출부는 관성 센서부(241)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한 실내 측위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e 220 guides the route through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o the indoor destination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9 to 13 .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e 220 receives the curren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calculator that calculates the movement direction,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stance, which ar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e 220 guides the path through augmented reality using current movement information and indoor destination path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at is, when recognizing the first route information of "turn right after going straight 10m from the starting point 10",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e 220 uses the augmented reality to display the augmented reality path object corresponding to "turn right after going straight 10m"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terminal.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user walks along it. In this case, whether the user has gone straight "10m" may be calculated through the location calculator. The position calculator may include the inertial sensor unit 241 or ma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ased on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 Wi-Fi signal.

한편, 증강현실 경로 객체는 증강현실 경로안내를 나타내는 화살표(90)이거나 또는 목적지 방향, 예상 거리, 및 예상 이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90)는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도록 색깔을 구분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주의를 좀 더 환기시키기 위해 전방의 목적지 방향으로 점차 커지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화살표(90)를 점등 또는 점멸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ugmented reality path object may be an arrow 90 indicating augmented reality path guidance or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direction, an expected distance, and an expected movement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90 is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it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it is displayed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front in order to draw the user's attention more. It is preferable to be If necessary, the arrow 90 may be turned on or off.

가상 캐릭터 생성부(230)는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220)에 의해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받는 도중에 경로 안내를 원활하게 돕도록 하는 가상 캐릭터(70a)를 생성한다. 즉, 가상 캐릭터(70a)는 경로 안내중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와 상호 인터액션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서 도 10과 같이 경로 상에 매장 할인정보가 있는 경우에 가상 캐릭터(70a)를 통해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또는 도 9에서 경로 안내 메시지를 가상 캐릭터(70a)를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 가상 캐릭터(70a)는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와 서로 연동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로 안내 및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증강현실 객체가 될 수 있다. The virtual character generating unit 230 generates a virtual character 70a that smoothly assists in guiding a path while being guided to an indoor destination by the augmented reality path guiding unit 220 . That is, the virtual character 70a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200 while guiding a route, and may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by performing a mutual interaction with the user. As an example, when there is store discount information on the route as shown in FIG. 10 , the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virtual character 70a , or a route guidance message may be delivered through the virtual character 70a in FIG. 9 . The virtual character 70a may be an augmented reality object capable of delivering route guidance and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by interworking with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260)는 랜드마크 인식부(252)로부터 추출된 랜드마크 정보와 카메라부(242)로부터 입력된 실제 랜드마크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랜드마크 인지 여부를 비교 판단함으로써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비교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QR코드를 통해 랜드마크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길안내를 받는 도중에 잘못된 경로를 걷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길을 걸어가고 있음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랜드마크 정보는 실내 디지털 지도 작성시에 저장되거나 또는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저장될 수도 있다. 11 , the path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60 compares the landmark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landmark recognition unit 252 and the actual landmark input from the camera unit 242 with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the same landmark. By comparing and judging ,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determine path errors during navig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By transmitting the landmark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QR code in this way, if the user walks on the wrong path while receiving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user is walking on the wrong path. Such landmark information may be stored when creating an indoor digital map or may be stored through later update.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90)는 카메라부(242)로부터 촬영된 실제 사물을 트랙킹하여 증강현실로 표현된 것이다. 즉, 복도의 바닥을 트랙킹 하지 못하면 화살표(90)가 복도의 바닥에 붙어 있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도의 바닥을 인식 및 트랙킹(또는 추적)하고 복도의 바닥에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90)를 병합하여 단말기에 표시함으로써 실감나는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50)를 타고 위층으로 올라가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바닥을 인식 및 트랙킹하고 엘리베이터 바닥에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90)를 병합하여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90 shown in FIGS. 9 to 11 is expressed in augmented reality by tracking real objects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unit 242 . That is, if the floor of the corridor is not tracked, the arrow 90 cannot be attached to the floor of the corrido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realistic augmented reality by recognizing and tracking (or tracking) the floor of the hallway, merging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90 on the floor of the hallway and displaying it on the terminal. Figure 12 shows that the user rides the elevator 50 to go upstairs, it can recognize and track the elevator floor, merge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90 on the elevator floor, and display it on the terminal.

도 13은 최종 목적지인 "A음식점"에 거의 도착한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증강현실을 통한 실내의 길안내를 종료할 수 있다. 1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final destination "restaurant A" has almost arrived, and it is possible to end the indoor navig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한편, 일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지털 사이니지(100a)를 출발지(10)로 해서 매장16까지의 실내 경로를 안내 받은 경우에 안내 받은 경로대로 길안내를 받다가 매장6 부근에서 갑자기 사용자가 매장16이 아닌 매장9로 최종 목적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실내 목적지의 경로를 다시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이때, 경로변경 요청부(270)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실내 목적지의 변경을 가상 캐릭터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요청한다. 즉,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와 상호 인터액션을 수행하여 목적지의 변경을 요청하면, 경로변경 요청부(270)는 디지털 사이니지에 경로변경 요청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기와 디지털 사이니지는 각각의 통신부를 통해 연결 접속된다. 경로변경 요청메시지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보낼 때 현재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위치정보 생성부(280)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준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변환된 현재 단말기의 실내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경로변경 요청메시지에 포함되도록 한다. 단말기의 통신부는 변경된 실내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first digital signage 100a is the starting point 10 to guide the indoor route to the store 16, the user is guided along the received route and suddenly in the vicinity of the store 6.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final destination to store 9 instead of store 16,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route of the indoor destination again. At this time, the route change request unit 270 requests the digital signage to change the indoor destination during the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through a virtual character. That is, when the user requests to change the destination by performing a mutual interaction with the virtual character, the route change request unit 270 transmits a route change request message to the digital signage. The terminal and the digital signag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respective communication units. When sending a route change request message to a digital signag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must also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280 generates indo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converted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and includes it in the route change request message.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changed indoo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digital signage.

경로변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150)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변경되기 전 목적지의 경로오류를 비교 판단하고, 경로오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경로오류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The route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150 of the digital signage that has received the route change request message compares and determines the route error of the destination before the ch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route error, the route error message is sent to the terminal send to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의 경로정보 요청부(120)는 전송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서버로 전송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 위치좌표로 삼아 새롭게 변경된 실내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요청한다. 경로정보 생성부(131)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변경된 실내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재생성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새롭게 변경된 실내 목적지의 경로 정보를 증강현실을 통해 새롭게 다시 경로 안내한다. Meanwhile, the digital signage rout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transmits the transmitted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server, and requests the newly changed route information of the indoor destination by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s a reference location coordinate. The rout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1 regenerates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changed indoor destin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guides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newly changed indoor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agai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for matter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scription of these omitted components (methods) and functions will be sufficiently referenc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each part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f necessary, one configuration and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more subdivided.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figuration or a coupling relationship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something to do.

10 : 출발지
20 : 목적지
50 : 엘리베이터
60 : QR코드
70 : 디지털 사이니지의 가상 캐릭터
70a : 단말기의 가상 캐릭터
80 : 랜드마크
90 :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
100, 100a, 100b : 디지털 사이니지
110 : 입력부
120 : 경로정보 요청부
131 : 경로정보 생성부
132 : 랜드마크 정보 생성부
140 : 길안내 객체 생성부
150 :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통신부
200 : 단말기
210 : 입력부
220 :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
230 : 가상 캐릭터 생성부
241 : 관성 센서부
242 : 카메라부
251 : QR코드 인식부
252 : 랜드마크 인식부
260 :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
270 : 경로변경 요청부
280 : 위치정보 생성부
290 : 디스플레이부
300 :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10: Departure
20 : destination
50: elevator
60: QR code
70: Virtual character in digital signage
70a: virtual character of the terminal
80: landmark
90: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100, 100a, 100b: digital signage
110: input unit
120: route information request unit
131: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2: landmark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40: Direction object creation unit
150: path error comparison judgment unit
160: display unit
17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terminal
210: input unit
220: augmented reality route guide
230: virtual character creation unit
241: inertial sensor unit
242: camera unit
251: QR code recognition unit
252: landmark recognition unit
260: path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270: Path change request unit
280: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90: display unit
300 : server or database

Claims (10)

특정 공간에 배치되어 문자 또는 영상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제공하며, 사용자의 목적지 입력에 따라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길안내 객체를 통해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상기 길안내 객체를 통해 획득된 상기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통해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를 길안내 하는 단말기, 및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좌표로 삼아 변환된 각 매장의 상대 위치좌표와 실내 디지털 지도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GPS가 수신되지 않는 실내의 길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기준 좌표위치로 설정하여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를 절대 기준 원점으로 삼아 각 매장의 위치좌표를 도출하여 상기 실내 디지털 지도를 작성하고,
실내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일 실내 목적지의 경로정보는 각각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가 생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의 절대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사용자로부터 실내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목적지의 경로정보를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경로정보 요청부,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를 바탕으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실내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경로정보 생성부,
상기 경로정보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비교 판단할 수 있는 상기 실내 디지털 지도 작성시에 함께 작성된 랜드마크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생성하는 랜드마크 정보 생성부,
상기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길안내 객체를 생성하며, 상기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QR코드로 변환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를 구비하는 길안내 객체 생성부,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토대로 변경되기 전 목적지의 경로오류를 비교 판단하는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는,
전송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 위치좌표로 삼아 새롭게 변환된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경로오류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경로오류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기초로 실내 목적지까지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증강현실을 통해 경로를 안내하며,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준 좌표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경로 객체를 상기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하는 증강현실 경로 안내부,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실내 목적지의 변경을 가상 캐릭터를 통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에 요청하는 경로변경 요청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준좌표 위치를 기준으로 변환된 현재 단말기의 실내 위치정보를 상기 경로변경 요청부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부,
변경된 실내 목적지 정보 및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로 전송하는 통신부,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통해 현실 랜드마크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현실 랜드마크와 상기 QR코드로부터 인식된 QR코드의 랜드마크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랜드마크 인지 여부를 비교 판단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한 길안내 도중에 경로 오류를 안내하는 경로오류 비교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Digital signage that is placed in a specific space and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ext or images, and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tination input through a navigation object;
A terminal for guiding a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oute guidance object, and
and a server that reads the converted relative location coordinates and indoor digital maps of each store from the database using th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as reference coordinates and provides them,
To provide directions indoors where GPS is not received, th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s set as the reference coordinate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is taken as the absolute reference point to derive the location coordinates of each store to create the indoor digital map. do,
The route information of the sam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to receive route information to the indoor destination is generated based on each digital signage, and different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is generated.
Provide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bsolut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digital signage selected by the user,
The digital signag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door destination from a user;
A rout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that requests route information of an indoor destination input by a user to the server;
A rout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the entire route to the indoor destination through a display unit;
Landmark information generated by receiving from the server the landmark information created together when creating the indoor digital map that can compare and determine route errors during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out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wealth,
A navigation object generator including a QR code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navigation object including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the landmark information, and converting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the landmark information into a QR code;
and a path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path error of the destination before being chang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e digital signage,
Using the transmitted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s a reference location coordinate, newly converted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ute is an error, a route erro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is
Guides a route through augmented reality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to an indoor destination based on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and augments it using the curren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 position of the digital signage Augmented reality path guide to display the real path object on the terminal,
A route change request unit for requesting a change of an indoor destination to the digital signage through a virtual character during route guidance using augmented reality;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converted based on the reference coordinate location of the digital signag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oute change requesting sec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nged indoor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digital signage;
Augmented reality by recognizing a real landmark through the image taken from the camera unit, comparing the recognized real landmark with the landmark information of the QR code recognized from the QR code, and comparing whether they are the same landmark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digital sig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ute error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for guiding route errors during route guidance 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안내 객체 생성부는,
상기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 및 랜드마크 정보를 상기 단말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하도록 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navigation object creation unit,
and a virtual character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rtual character that transmits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nd landmark inform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QR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촬영된 QR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실내 목적지 경로정보를 추출하는 QR코드 인식부,
상기 QR코드로부터 랜드마크 정보를 인식하고 추출하는 랜드마크 인식부,
실내 목적지까지 경로의 안내를 돕도록 하는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가상 캐릭터 생성부,
상기 단말기의 이동정보인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is
A camera unit for taking the QR code,
A QR cod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nd analyzes the photographed QR code and extracts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A landmark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nd extracting landmark information from the QR code,
A virtual character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virtual character to help guide a route to an indoor destinatio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digital sig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direction,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stance, which ar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경로 객체는,
증강현실 경로안내를 나타내는 화살표, 목적지 방향, 예상 거리, 및 예상 이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증강현실 경로안내 화살표는 목적지 방향으로 점차 커지거나 점차 작아지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ugmented reality path object is,
At least one of an arrow indicating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 destination direction, an expected distance, and an estimated travel time,
The augmented reality route guidance arrow is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to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in the direction of the destin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1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내 목적지의 제1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
제2 디지털 사이니지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생성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동일 실내 목적지의 제2 실내 목적지 위치좌표를 저장하며,
상기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기준으로 생성된 실내 목적지 경로 정보를 상기 선택된 디지털 사이니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실내 길안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base is
The first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of th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first digital signage,
storing the second indoor destination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ame indoor destination input by the user generated based on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digital signage,
The server is
An indoor navigation device using a digital sign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destination rout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gital signage selected by the user is provided to the selected digital signage.
KR1020200026861A 2020-03-03 2020-03-03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KR102442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61A KR102442239B1 (en) 2020-03-03 2020-03-03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61A KR102442239B1 (en) 2020-03-03 2020-03-03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954A KR20210111954A (en) 2021-09-14
KR102442239B1 true KR102442239B1 (en) 2022-09-14

Family

ID=7777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861A KR102442239B1 (en) 2020-03-03 2020-03-03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2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4226B (en) * 2023-02-23 2023-04-28 北京数字光芯集成电路设计有限公司 Navig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digital projection lamp guid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528A (en) * 2005-11-30 2007-06-14 Navitime Japan Co Ltd Off-line route display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cognition code generator
JP2011070044A (en) * 2009-09-28 2011-04-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ignage guide map creating device and signage guide map creat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807A (en) * 2010-04-20 2011-10-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726227B1 (en) 2010-11-08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thereof
KR101214612B1 (en) 2010-12-03 2012-12-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Building navigation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150088662A (en) 2014-01-24 2015-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 navigation service used augmented reality singularity
KR102580576B1 (en) 2016-02-12 2023-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route using smart signages
KR20170117633A (en) 2016-04-14 2017-10-24 이지운 AR Navigation service which uses Beacon and Indoor Positioning System
KR20180087909A (en) 2017-01-25 2018-08-0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ath finding system using augmeneted reality
KR20180087907A (en) 2017-01-25 2018-08-0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ath finding method using augmeneted reality
KR101994521B1 (en) 2017-04-20 2019-09-30 김현우 Navigation system by using augmented reality
KR20170102191A (en) * 2017-08-28 2017-09-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using picture and method of cotnrolling the same
KR20190104945A (en) * 2019-08-23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7528A (en) * 2005-11-30 2007-06-14 Navitime Japan Co Ltd Off-line route display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recognition code generator
JP2011070044A (en) * 2009-09-28 2011-04-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Signage guide map creating device and signage guide map creat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954A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63047A1 (en) Navigation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navigational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294873B1 (en) Enhanced guidance for electronic devices using objects within in a particular area
US9074899B2 (en) Object guiding method, mobile viewing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US20100305845A1 (en) Device for Assisting in the Navigation of a Person
CN111157009A (en)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crea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and AR (augmented reality) intelligence
KR101994521B1 (en) Navigation system by using augmented reality
CN110431378B (en) Position signaling relative to autonomous vehicles and passengers
JPWO2002023128A1 (en) Route guidance system
GB2511096A (en) A Mobile Indoor Navigation System
JP6489600B2 (en) ELECTRONIC DEVICE, GUIDANCE GUIDANCE METHOD, GUIDANCE GUIDANCE PROGRAM
KR102622585B1 (en) Indoor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41672B1 (en) The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of architecture model tracing using mobile terminal
Low et al. SunMap+: An intelligent location-based virtual indoor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442239B1 (en) Indoor navigation apparatus using digital signage
KR20100004022A (en) Apparatus, system for navigating using road signs and method using the same
EP3827222B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two or more users to a meeting location
CN114608584A (en)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080053133A (en)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based route guidance
JP6384898B2 (en) Route guidance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14209139A (en) Spot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JP2002296061A (en)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CN109032330B (en) AR system, AR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seamlessly bridging reference states thereof
KR101950713B1 (en) Apparatus of detecting indoor position using lacation map image and method thereof
Ren et al. Experiments with RouteNav, A Wayfinding App for Blind Travelers in a Transit Hub
KR1022315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buliding data around the junction when driving in an a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