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774B1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774B1
KR102441774B1 KR1020220029896A KR20220029896A KR102441774B1 KR 102441774 B1 KR102441774 B1 KR 102441774B1 KR 1020220029896 A KR1020220029896 A KR 1020220029896A KR 20220029896 A KR20220029896 A KR 20220029896A KR 102441774 B1 KR102441774 B1 KR 10244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e
cognitive function
solution
external factor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봉두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2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7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7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which comprises: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step of deriving an improved solution for the external factors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the external factors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a trainee terminal;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trainee is implementing the solution by collecting the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 is exposed from the trainee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ized solution is provided for each trainee to improve the individual'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described cognitive function state such that systematic management can be achieved.

Description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자의 인지 정도와 조절 가능한 외적 환경에 대한 요인을 기초로 훈련자마다의 인지기능 개선 난이도를 구성하고, 생활 양식 개선 솔루션을 수립하여 훈련자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Specifically,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difficulty for each trainee is configured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level and factors related to the 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is improved It is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establishing a solution and managing trainees more systematically.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Global Action Against Dementia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치매환자의 사회적, 경제적 비용 부담 절감을 목적으로 한 치매 발병율 감소 방안을 논의하였고, 치매 발병 요인 중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Modifiable risk factor)을 기반으로 근거 중심적 치매 예방법을 통한 치매 위험 감소 필요성이 제기되었다.In 201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ld the Global Action Against Dementia conference to discuss ways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mentia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and economic cost burden of dementia patients. ), the need to reduce the risk of dementia through evidence-based dementia prevention was raised.

아울러 공공 보건 차원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에 대한 홍보와 치매를 유발하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등의 비전염성질환(NCDs) 감소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으며, 국제 알쯔하이머협회에서는 치매예방 및 인지기능 저하가 생활 속 라이프 스타일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발표하기도 하였다.In addition, the need for public health promotion of healthy lifestyles and efforts to reduce non-communicable diseases (NCDs) such a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and diabetes that cause dementia have been raised. It was also announce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ifestyle in life.

그러나 종래 치매의 증상을 개선, 예방하기 위해 개시된 선행 기술들에서는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7727호에 개시된 치매 예방 인지 훈련 시스템 등과 같이 대상자의 인적 사항을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훈련자의 인지 기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훈련 콘텐츠의 제공 기술이 대부분이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isclosed to improve and prevent the symptoms of dementia,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rainee by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training system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487727. Most of the training contents were provided for the purpose.

즉 종래에는 치매예방 및 인지기능 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외적 환경요인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이에 치매환자 등 훈련자의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인 외적 환경 요인을 제어하여 치매 예방 및 인지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통합 솔루션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control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function decline was not performed. An integrated solution to prevent this needs to be developed.

이에 본 훈련자의 인지 정도와 조절 가능한 외적 환경에 대한 요인을 기초로 훈련자마다의 인지기능 개선 난이도를 구성하고,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first purpose is to configure the difficulty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for each trainee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level and factors related to the 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 and to provide an improvement solution for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은 훈련자의 실제 인지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여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하여, 훈련자의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립된 개인 솔루션을 제공 및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providing and monitoring a personal solution established to improve a trainee's controllable risk factors by measuring the trainee's actual cognitive functioning state and external factors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ing state There is th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단계; 및,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a trainee a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external factors; a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step of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the trainer's terminal; And, whether the trainee's solution is implemente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상술한 측정 단계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훈련자 단말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에 기초하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평가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함으로써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한 측정값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step, in order to measure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by providing an evaluation item based on a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to the trainee terminal, and collecting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item, It is desirable to derive a measure of the cognitive functioning state of the trainee.

또한 상술한 측정 단계는, 훈련자의 외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훈련자 단말에 훈련자의 생활 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공하고, 설문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하되, 설문 문항은, 음주, 흡연, 식이, 수면, 신체활동 및, 사회활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적 요인에 대한 설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step, in order to measure the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questionnaire question for grasping the life style of the trainee is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are collected, but the questionnaire question is, drink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questions about external factors including at least one of smoking, diet, sleep,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또한 상술한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의 측정 결과에서, 기 설정된 임계 기준값을 미충족하는 인지 영역을 선정하여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으로 정의하고,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과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selects, from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 cognitive region that does not meet a preset threshold reference value, defines it as a cognitive region that needs improvement, and has an external product that is related to the cognitive region that needs improvement. It is desirable to have a trigger condition set for the factor.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단계는, 기 설정된 단위 주기마다,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을 훈련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훈련자와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 측정값이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적어도 한 명의 타 훈련자와 매칭시켜 훈련 메이트 그룹으로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step calculates th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of the trainee from the monitoring result of whether the trainee implements the solution for each preset unit cycl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to the trainee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trainee and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at least one other trainee whose extrinsic factor measurement value is similar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to be managed as a training mate group.

또한 상술한 훈련 메이트 그룹에는,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이행율을 충족하는 우등 훈련자 및,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이행율을 미충족하는 열등 훈련자가 매칭되도록 하고, 동일 훈련 메이트 그룹에 소속된 복수의 훈련자들은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 수집값을 상호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training mate group, the superior trainee whose calculated solution adherence rate satisfies the preset threshold adherence rate and the inferior trainee whose calculated solution adherence rate does not meet the preset threshold adherence rate are matched, and the same training mate It is desirable that a plurality of trainees belonging to the group be able to mutually share the collected values of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s are exposed.

또한 상술한 솔루션 제공 단계에서는, 훈련자 단말에 제공되는 솔루션으로서,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난이도가 설정된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olution provid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which a training difficulty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is set may be included as a solution provided to the trainee's terminal and provided.

또한 상술한 모니터링 단계는,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불만족할 경우, 훈련자 단말에 솔루션 불이행에 따른 경계 알림을 제공하고, 경계 알림이 제공된 이후, 기 설정된 집중 모니터링 기간에 솔루션의 정상 이행이 미감지될 시, 훈련자의 보호자 단말로 경계 알림을 확대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step, when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do not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an alert notification according to solution failure is provided to the trainer terminal, and after the alert alert is provided, the solution is normally implemented during a preset intensive monitoring period When this is not detect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n enlarged alert notification to the trainer's guardian terminal.

한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장치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 및,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devic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is a measurement for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a trainee wealth; a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unit for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and the correlation of the external factor,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the trainee's terminal; And, whether the trainee's solution is implemente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단계; 및,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ere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s instructions for causing a computing device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the steps of: determining a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an external factor of a traine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step of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the trainer's terminal; And, whether the trainee's solution is implemente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인지 정도와 조절 가능한 외적 환경에 대한 요인을 기초로 훈련자마다의 인지기능 개선 난이도를 구성하고,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제공하여, 훈련자의 치매 증상 예방 및 완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iculty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for each trainee is configured based on factors for the trainee's cognitive level and 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 and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By provid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this,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ng and alleviating dementia symptoms of traine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마다 개인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상술한 인지 기능 상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외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맞춤화된 솔루션이 제공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ized solution for improving an individual's cognitive function status and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cognitive function status is provided for each trainee, so that systematic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에게 수립된솔루션을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훈련자가 솔루션을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높여 훈련자의 인지 기능 관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established to the trainee is monitored whether the trainee i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solution through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measur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feedback is provided.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rainee's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thereby increasing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manage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인지 기능 상태가 유사하고, 외적 요인의 개선 방향이 유사한 훈련자들 중, 솔루션 이행율이 높은 훈련자와, 솔루션 이행율이 낮은 훈련자를 훈련 메이트로 매칭시켜, 훈련자들 간의 상호 교류 활동으로, 솔루션 이행율이 낮은 훈련자의 훈련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훈련자들 간의 상호 교류에 따른 사회 활동 영역의 인지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rainees having similar cognitive function states and similar improvement directions of external factors, a trainee with a high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nd a trainee with a low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re matched as training mates. As a mutual exchange activity between traine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ining participation of trainees with a low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n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ocial activity area according to the mutual exchange between traine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제공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자의 생활 양식과 관련된 외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제공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솔루션 제공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훈련자 또는 훈련자의 보호자 측에 제공되는 경계 알림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훈련 메이트가 매칭되는 개념도와, 훈련 메이트 그룹의 생성에 따른 훈련 결과가 교류되는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 flowchart of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measurement tool for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a train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measurement tool for measuring an external factor related to a life style of a train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providing a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n alert provided to a trainer or a guardian of a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in which a training mate is mat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ample in which a training resul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 training mate group is exchanged.
7 is a block diagram of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devic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bove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본 발명은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훈련자의 인지 정도와 조절 가능한 외적 환경에 대한 요인을 기초로 훈련자마다의 인지기능 개선 난이도를 구성하고, 생활 양식 개선 솔루션을 수립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훈련자의 실제 인지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여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하여, 훈련자의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을 개선시키기 위해 수립된 개인 솔루션을 제공 및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Specifically,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difficulty for each trainee is configured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level and factors related to the 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lifestyle is improved The first purpose is to provide a lifestyle AI management technology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o establish a solution, measure the actual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control risk factors of the trainee A second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o provide and monitor personal solutions established to improve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개진하기로 하며, 하나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as a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plurality of drawing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o describe one or more technical features 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vention. may be referenced.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flowchart of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ing step (S10) of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may be performed.

상술한 S10 단계에서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훈련자 단말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에 기초하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평가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함으로써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In step S1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easure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evaluation questions based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are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to collect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questions. Measures of the functional state can be derived.

이때 상술한 간이 정신 상태 검사란, 치매 선별 검사 중 가장 간편하고, 가장 유용한 검사 방법 중 하나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간이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훈련자의 현재 인지 기능 수준을 가늠하여 볼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implified mental state test is one of the simplest and most useful tests for dementia screening,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cognitive function level of a trainee can be assessed and viewed through this simplified mental state test.

한 실시 예로서, 도 2를 참조하여보면 도 2의 100에서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에 기초하여 훈련자의 인지 기능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문항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As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 , 100 of FIG. 2 shows an example of an evaluation item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of a trainee based on a simple mental state test.

도 2의 100에서 보여지듯 본 발명에서는 인지 영역별 평가 문항으로서, 시간 지남력, 장소 지남력, 기억 등록, 주의 집중 계산, 언어 등을 비롯한 인지 영역별 평가 문항을 준비하고, 각 평가 문항에 배점을 부여한 뒤, 훈련자 단말에서 입력된 응답으로부터 인지 영역별 정답 점수를 합산하여 훈련자의 인지 기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100 of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as evaluation items for each cognitive domain, evaluation questions for each cognitive domain including time orientation, place orientation, memory registration, attention calculation, language, etc. are prepared, and points are assigned to each evaluation question. Th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by summing the correct scores for each cognitive domain from the responses input from the trainer's terminal.

이때, 도 2의 110에서는 훈련자 단말에 제공되는 간이 정신 상태 검사에 기초한 평가 문항의 예를 살펴볼 수 있다.In this case, in 110 of FIG. 2 , an example of an evaluation item based on a simple mental state test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can be viewed.

구체적을 도 2의 110에서는 전술한 도 2의 100에서 훈련자의 기억 등록 영역에 대한 인지 기능을 판단하기 위해 준비된 평가 문항인 물건 이름 세가지를 맞추는 평가 문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훈련자는 훈련자 단말의 키패드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별도 마련된 응답 제출창에 나무, 자동차 및 모자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여 인지 기능 평가에 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in 110 of FIG. 2, it can be understood as an evaluation item matching three object names, which are evaluation items prepared to determin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rainee's memory registration area in 100 of FIG. By inputting responses to trees, cars, and hats in a separate response submission window through a keypad or a microphone,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전술한 S10 단계에서는 인지 기능과 함께 훈련자의 생활 양식에 대한 외적 요인이 측정된다. Meanwhile, in the aforementioned step S10, external factors for the trainee's lifestyle are measured along with the cognitive func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외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훈련자 단말에 훈련자의 생활 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공하고, 설문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easure the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questionnaire item for grasping the life style of the trainee may be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may be collected.

이때, 상술한 외적 요인을 수집하기 위한 설문 문항은, 음주, 흡연, 식이, 수면, 신체활동 및 사회활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적 요인에 대한 설문 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적 요인은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밀접하게 관련된 생활 양식에 관한 것으로서, 인지 기능 영역의 발달과, 저하에 밀접한 영향을 기치는 조절 가능한 위험 요인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questionnaire questions for collecting the above-described external factors may consist of questionnaire questions about external factors including at least one of drinking, smoking, diet, sleep,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As it relates to the lifestyle closely related to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rainee,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controllable risk factors that have a clos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 domain.

한편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 단말에 도 3의 실시 예 20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설문 문항을 제공하고, 설문 문항별로 객관식 형태의 응답 리스트를 제공하여, 훈련자 단말에서 선택 입력된 응답으로 훈련자의 외적 요인을 수집 및 측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naire item as shown in Example 200 of FIG. 3 is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and a multiple-choice response list is provided for each question item, and the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re collected as responses selected and inputt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to measure.

한편 이렇게 측정된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은 기 설정된 훈련자 관리 서버에 백업되어 관리될 수 있을 것이고, 전술한 S10 단계에서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S20)가 수행되게 된다.Meanwhile,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measured in this way may be backed up to a preset trainee management server and managed, and trigger condition setting for setting trigger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measured in step S10 described above Step S20 is performed.

상세하게, 상술한 S20 단계에서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의 측정 결과에서, 기 설정된 임계 기준 값을 미충족하는 인지 영역을 선정하여 훈련자마다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을 정의할 수 있고,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과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above-described step S20, from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a cognitive region that does not satisfy a preset threshold value can be selected to define a cognitive region requiring improvement for each trainee, and the cognitive region requiring improvement and It is possible to set the trigger condition for a relevant external factor.

이때 트리거 조건의 설정이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훈련자에게 권고되는 외적 요인의 기준값이 설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외적 요인의 기준 값은 훈련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서 치매 증상 및. 치매 증상을 유발하는 위험 질환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외적 요인을 학습값으로 사전 수집하여, 기계 학습함으로써 도출된 값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of the trigger condition can be understood as sett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external factor recommended to the trainee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us measurement result,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external factor is the dementia symptom in the trainee's gender and age group. and.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value derived by machine learning by pre-collecting an external factor of a person who is not exposed to a risky disease causing dementia as a learning value.

물론 상술한 외적 요인의 기준 값은 치매를 전문으로 하는 전문의 등에게 자문을 통해 도출된 값이거나, 훈련자의 인지 기능 측정값을 정량화하여 평균값을 충족하지 않는 값을 기준 값으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reference value of the above-mentioned external factors may be a value derived through consultation with a specialist specializing in dementia, or a value that does not meet the average value by quantifying the cognitive func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trainee as a referenc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step S20, an improvement solution for the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is deriv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derived solution is provided to the trainer's terminal. Step S30 may be performed.

이에 대한 실시 예로서 도 4의 300을 참조하여 보면, 도 4의 300에는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측정값이 나타나 있는데 즉 상술한 S20 단계에서는 이러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훈련자에게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을 선정하여 트리거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300 of FIG. 4 as an example of this, measured values of cognitive function states and external factors are shown in 300 of FIG. It is possible to set the trigger condition by selecting an area.

이를 테면 도 4의 300의 실시 예에서 S20 단계는 훈련자에게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으로서, 기 설정된 기준값을 충족하지 아니하는 기억등록 영역 및 주의집중 계산 영역을 선정한 후, 상기 인지 영역에 대한 외적 솔루션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300 embodiment of FIG. 4 , step S20 is a cognitive region that requires improvement for the trainee. After selecting a memory registration region and attention-focusing calculation region that do not meet a preset reference value, an external solution for the cognitive region is provided. that can be derived.

한편, 훈련자에게 제공되는 솔루션은 전술하였듯이 외적 요인, 즉 음주 관련, 흡연 관련, 식이 관련, 수면 관련, 신체 활동 관련, 사회 활동 관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적 요인에 대한 솔루션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난이도가 설정된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olution provided to the trainee may consist only of solutions for external factors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external factors, that is, alcohol-related, smoking-related, diet-related, sleep-related, physical activity-related, and social activity-related. However, preferably, it may be provided by includ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which the training difficulty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is set.

즉 도 4의 300에서 보여지는 솔루션 중 고스텝 운동이 제안되는 예를 참조하여 볼 수 있는데, 솔루션으로 제공된 고스텝 운동은 걷기 형태의 인지 재활 운동 프로그램 중 하나로서, 정해진 스텝 순서 및 스텝 개수를 기억하였다가 훈련자가 스텝 순서 및 스텝 개수를 따라 하는 운동 프로그램의 일종이다.That is, it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an example in which a high-step exercise is proposed among the solutions shown in 300 of FIG. 4, and the high-step exercise provided as a solution is one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s in the form of walking, and the determined step sequence and number of steps are stored in memory. It is a type of exercise program in which the trainee follows the step order and number of steps after doing so.

이 고스텝 운동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정도에 따라 스텝 순서가 복잡해지거나, 스텝 개수가 많아져 훈련자의 하지 근육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기억등록 영역, 주의 집중 계산 영역의 인지 기능을 발달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신체 활동이 부족하고, 기억 등록 영역 및 주의 집중 계산 영역의 인지 기능의 개선이 필요한 훈련자에게 적합한 솔루션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This high-step exercise has a function to activate the lower extremity muscles of the trainee as the step sequence becomes complicated or the number of steps increases depending on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trainee, while developing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memory registration area and attentional calculation area. By doing so, it can be utilized as a solution suitable for trainees who lack physical activity and who nee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s in the memory registration area and attention-focusing calculation area.

한편 도 4 및 첨부된 도면에는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 단말에 솔루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기 설정된 단위 주기로 솔루션의 이행 계획이 설정된 형태의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하여, 훈련자가 규칙적으로 솔루션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4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solution to a trainee terminal, a solution in a form in which an implementation plan of the solution is set at a preset unit cycle is provided, so that the trainee regularly provides a solution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도 1의 S30 단계의 수행 후에는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Next, after performing step S30 of FIG. 1 , extrinsic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r is exposed are collect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r terminal, and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By determining , a monitoring step (S40) of monitoring whether the trainee implements the solution may be performed.

이때 상술한 외적 요인의 수집은 전술하였듯이 훈련자 단말을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lection of the above-described external factors may be collected from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cluding the traine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외적 요인별 측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구체적인 측정 수단이 대중화되지 않은 음주 및 흡연에 관한 외적 요인은, 훈련자 단말에 매일 음주 여부 및 흡연 여부에 대한 질의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훈련자 단말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measurement method for each external factor is described in detail, for external factors related to drinking and smoking, for which specific measurement means have not been popularized, a query about whether to drink or not smoke every day is requested from the trainer's terminal, and responses from the trainer's terminal are collected. You can do it.

물론, 이 경우 훈련자가 솔루션을 불이행했음에도 임의로 음주 및 흡연 여부에 대하여 솔루션 이행에 대한 응답을 제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훈련자 단말에서 직접 질의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훈련자의 동거인 등 보호자 단말에 훈련자의 음주 여부 및 흡연 여부에 대한 질의를 함께 전송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외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this case, sinc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 respons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olution may be submitted arbitrarily for whether or not to drink or smoke even if the trainee fails to implement the solution, in the case of direct inquiry from the trainee terminal, the guardian terminal such as the trainee's housemate It will be possible to collect information on external factors with higher accuracy by sending a query on whether the trainee is drinking or smoking together.

또한, 외적 요인 중 식이 정보의 수집은, 훈련자 단말로부터 아침, 점심 및 저녁에 먹은 음식의 사진 제출을 요청하거나,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식사량, 섭취 영양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훈련자에 대해 설정된 트리거 조건과 비교하여 솔루션 이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dietary information among external factors is to request the submission of photos of the food eaten in the morning, lunch and dinner from the trainer terminal, or collect information on the food consum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nutrition information, etc. , i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olution is implemented by comparing it with the trigger condition set for the trainee.

또한, 외적 요인 중 수면에 대한 정보의 수집은, 훈련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심박수와 훈련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수면 시간, 숙면시간, 렘수면 및 비렘수면주기 등에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S40단계가 기록하여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sleep information among external factors uses the smart watch worn by the trainee to analyze the trainee's heart rate and trainee's movements to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sleep time, deep sleep time, REM sleep and non-REM sleep cycle, etc. and it is recorded in step S40 to determine whether the trainer implements the solution.

또한, 외적 요인 중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의 수집은, 훈련자가 착용하고 있는 스마트 워치 또는 훈련자 단말에 내장된 3축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활용하여 훈련자의 이동 거리, 소모된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훈련자에 대해 설정된 트리거 조건과 비교하여 솔루션 이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physical activity among external factors utilizes a smart watch worn by the trainee or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built into the trainee's terminal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trainee's movement distance and calories consumed. After collection, it is compared with the trigger condition set for the trainee to determine whether the solution is implemented.

또한, 외적 요인 중 사회활동에 대한 정보의 수집은, 훈련자 단말에 탑재된 GPS 모듈 등을 이용하여 훈련자가 방문한 장소를 분석하고, 방문 장소가 종교시설, 레저시설, 복지시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로서, 타인과의 교류가 예측되는 시설일 경우, 체류 시간, 방문 빈도 등을 고려하여 훈련자의 사회활동에 대한 외적 요인 정보를 수집한 뒤, 훈련자에 대해 설정된 트리거 조건과 비교하여 솔루션 이행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social activities among external factors analyzes the places visited by the trainee using the GPS module installed in the trainee's terminal, and the visiting place includes at least one of religious facilities, leisure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In the case of a facility where interaction with others is expected, information on external factors on the trainee's social activities is col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stay and frequency of visitation, and then the solution is implemented by comparing it with the trigger conditions set for the trainee. will be judged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방식으로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불만족하는 경우, 훈련자 단말에 솔루션 불이행에 따른 경계 알림을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ernal factors collect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do not satisfy the preset trigger condition, it can function to provide a warn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solution failure to the trainer terminal.

이에 대한 설명으로서 도 5의 400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도 5의 400에는 훈련자가 외적 요인 중 식이, 특히 야채 섭취가 부족함에 따른 경계 알림이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As an explanation for this, referring to 400 of FIG. 5 , 400 of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warning aler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trainer's lack of dietary, particularly, vegetable intake, among external factors.

즉 훈련자는 도 5의 400과 같이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지 아니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경계 알림을 제공받음으로써, 개선이 필요한 외적 요인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400 of FIG. 5 , the trainee may be alerted to an external factor that needs improvement by being provided with a boundary notification for an external factor that does not satisfy the trigger condition.

또한 상술한 경계 알림에는 외적 요인의 유형에 따라 솔루션의 이행을 촉진하는 부가 정보가 더 제공될 수도 있는데, 식이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도 5의 400과 같은 추천 식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information for facilitating implementation of the solutio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alert not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xternal factors. It is understood that recommended dietary information such as 400 in FIG. can be

이때 상술한 부가 정보는, 흡연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과도한 흡연에 따른 폐 손상, 인지기능 저하 정보가 제공되거나, 음주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과도한 음주에 따른 간 손상, 인지기능 저하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신체 활동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비만, 심혈관질환에 대한 건강 악화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회활동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우울감과 관련한 정보, 수면에 대한 경계 알림의 경우, 수면 부족에 따른 건강 악화 정보가 부가적으로 더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information may provide information on lung damage and cognitive decline due to excessive smoking in the case of alert for smoking, or liver damage and cognitive decline information due to excessive drinking in case of alert on alcohol. In the case of alert on physical activity, health deterioration information o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may be provided, in case of alert on social activity, information related to depression, alert on sleep, sleep It may be understood that information on deterioration of health due to the shortag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아울러, 훈련자 단말에 경계 알림이 제공된 후에는, 경계 알림을 제공받은 훈련자를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분류하고, 기 설정된 집중 모니터링 기간에 훈련자에게 제공된 솔루션의 정상 이행이 여전히 미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될 시, 훈련자의 보호자 단말에 경계 알림을 확대하여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alert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trainer terminal, the trainee who has received the alert alert is classified as an intensive monitoring targe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implementation of the solution provided to the trainee during the preset intensive monitoring period is still not detected, the trainee By providing an expanded alert notification to the guardian's terminal, it may be possible to directly help the trainee in implementing the solution.

이때 상술한 보호자 단말은 훈련자의 동거인이거나, 훈련자의 담당 복지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guardian terminal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ny one or more of the trainee's cohabitation or the trainee's in charge of the welfare worker.

또한, S40 단계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훈련자가 솔루션을 이행하였는지 또는 불이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훈련자마다의 솔루션 이행율을 산출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step S4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manage th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for each trainee, going further than simply determining whether the trainee implemented the solution or not.

이때 상술한 솔루션 이행율이라 함은, 기 설정된 단위 주기(예를 들어 일주일 단위 또는 한달 단위) 동안 훈련자가 이행하기로 약속된 전체 솔루션 이행 횟수 대비, 실제 훈련자가 솔루션을 이행한 횟수로 산출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성실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may be calculated as the number of times the actual trainer implemented the solution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olution implementations promised by the trainee during the preset unit cycle (eg, weekly or monthly). There will be, a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judge the sincerity of the trainee in implementing the solution.

또한 이렇게 산출된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은 훈련자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시계열적으로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누적 관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alculated trainee's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ee management server to accumulate and manage the trainee's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in time series.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S40 단계에서는 솔루션 이행율이 상대적으로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견인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술한 훈련자와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 측정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하거나,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 개선 방향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적어도 한 명의 타 훈련자를 매칭시켜, 훈련 메이트 그룹으로서 관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step S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transition rate is a means for driving th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of the trainee rel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match at least one other trainee whos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external factor are similar by more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so that it can be managed as a training mate group.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훈련 메이트 그룹을 생성함에 있어,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상한 이행율(예를 들어 솔루션 이행율 90%)을 충족하는 우등 훈련자와,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하한 이행율(예를 들어 솔루션 이행율 60%)을 미충족하는 열등 훈련자를 상호 매칭시켜 훈련 메이트 그룹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일 훈련 메이트 그룹에 소속된 복수의 우수 훈련자 및 열등 훈련자들 간에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 수집값을 상호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열등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증진시키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reating the above-described training mate group, the calculated solution transition rate is an honors trainee who satisfies a preset threshold upper limit transition rate (for example, solution transition rate 90%), and the calculated solution transition rate is It is possible to form a training mate group by matching inferior trainees who do not meet the set threshold lower limit transition rate (for exampl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60%), and between a plurality of excellent trainees and inferior trainees belonging to the same training mate group. By allowing trainees to share extrinsic factor collections in the exposed environment, it can help improve th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of inferior trainees.

한 실시 예로서 도 6의 실시 예 500을 참조하여 보면, 인지 기능 상태가 유사하고, 외적 요인의 개선 방향이 유사한 훈련자 중, 솔루션 이행율이 25% 밖에 되지 않는 훈련자 A와, 솔루션 이행율이 100%에 달하는 훈련자 B가 훈련 메이트로 매칭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의 510에서는 훈련 메이트들 간에 솔루션 이행 결과(5101)를 공유하며, 채팅(5102)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예를 살펴볼 수 있다. As an example, referring to Example 500 of FIG. 6 , among trainees with similar cognitive function states and similar improvement directions of external factors, trainee A, whos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is only 25%, and a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of 100 An example of matching % of trainer B as a training mate is shown. In 510 of FIG. 6 , an example of sharing a solution implementation result 5101 between training mates and providing an interface supporting chat 5102 can be seen. have.

종합적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의 인지 정도와 조절 가능한 외적 환경에 대한 요인을 기초로 훈련자마다의 인지기능 개선 난이도를 구성하고, 훈련자의 인지 기능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제공하여, 훈련자의 치매 증상 예방 및 완화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iculty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for each trainee is configured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level and factors related to the controllable external environment,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By provid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external factors that have thi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trainee's dementia symptom prevention and allevi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마다 개인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상술한 인지 기능 상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외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맞춤화된 솔루션이 제공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customized solution for improving an individual's cognitive function status and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cognitive function status is provided for each trainee, so that systematic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훈련자에게 수립된솔루션을 훈련자 단말 및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측정 디바이스를 통해, 훈련자가 솔루션을 성실히 이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높여 훈련자의 인지 기능 관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ution established to the trainee is monitored whether the trainee is faithfully implementing the solution through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measur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e trainee terminal, and feedback is provided.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rainee's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thereby increasing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manage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인지 기능 상태가 유사하고, 외적 요인의 개선 방향이 유사한 훈련자들 중, 솔루션 이행율이 높은 훈련자와, 솔루션 이행율이 낮은 훈련자를 훈련 메이트로 매칭시켜, 훈련자들 간의 상호 교류 활동으로, 솔루션 이행율이 낮은 훈련자의 훈련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훈련자들 간의 상호 교류에 따른 사회 활동 영역의 인지 기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rainees having similar cognitive function states and similar improvement directions of external factors, a trainee with a high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nd a trainee with a low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re matched as training mates. As a mutual exchange activity between traine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ining participation of trainees with a low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an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ocial activity area according to the mutual exchange between trainees.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장치(1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6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apparatus 10 for lifestyle habit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에는 측정부(11), 트리거 조건 설정부(12), 솔루션 제공부(13) 및 모니터링부(1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11 , a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12 , a solution providing unit 13 , and a monitoring unit 14 .

이때 상술한 측정부(11)는 준비된 인지 기능 평가 도구(간이 정신 상태 검사) 및, 훈련자의 생활 양식과 관련된 외적 요인을 수집 도구(외적 요인 설문)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도록 기능한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unit 11 measures the cognitive function status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using the prepared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tool (simple mental state test) and a tool for collecting external factors related to the life style of the trainee (external factor questionnaire). function to measure.

즉 상술한 측정부(11)는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측정부(11)의 기능 수행을 통해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와 외적 요인의 연관성에 대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unit 11 may be understood to be capable of performing all the functions performed in step S10 of FIG. It is possible to derive meaningful data on the correlation of factors.

또한 다음으로 상술한 트리거 조건 설정부(12)는 측정부(11)에서 측정된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도록 기능한다.In addition, the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12 described above functions to set the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1 and external factors.

이때 트리거 조건의 설정이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훈련자에게 권고되는 외적 요인의 기준값이 설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외적 요인의 기준 값은 훈련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서 치매 증상 및. 치매 증상을 유발하는 위험 질환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외적 요인을 학습값으로 사전 수집하여, 기계 학습함으로써 도출된 값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tting of the trigger condition can be understood as sett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external factor recommended to the trainee based o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us measurement result,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external factor is the dementia symptom in the trainee's gender and age group. and.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value derived by machine learning by pre-collecting an external factor of a person who is not exposed to a risky disease causing dementia as a learning value.

물론 상술한 외적 요인의 기준 값은 치매를 전문으로 하는 전문의 등에게 자문을 통해 도출된 값일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f course, the reference value of the above-described external factor may be a value derived through consultation with a specialist specializing in dementia,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결국 상술한 트리거 조건 설정부(12)는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트리거 조건 설정부(12)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후술할 솔루션 제공 기준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12 can perform all the functions performed in step S20 of FIG. 1 ,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to be described later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12 It is possible to establish provision standards.

이어서, 본 발명의 장치(10) 구성에는 전술한 솔루션 제공부(13)가 포함되는데, 솔루션 제공부(13)는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20)로 제공하도록 기능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olution providing unit 13 described above, and the solution providing unit 13 analyzes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rnal factors to determine the control target external factors. It functions to derive an improved solution for the training and provide the derived solution to the trainee terminal 20 .

즉, 이러한 솔루션 제공부(13)는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솔루션 제공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개개의 훈련자에게 치매 예방, 치매 증상의 완화를 위한 개인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치매 증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인지 재활 훈련과, 생활 양식의 개선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치매 증상의 예방 및 완화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ution providing unit 13 is understood to be able to perform all the functions performed in step S30 of FIG.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personalized solution for dementia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dementia symptom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ment solution for external factors closely related to dementia symptoms, thereby improv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and lifestyle. The synergistic effect can increase the prevention and alleviation of dementia symptoms.

아울러, 본 발명의 장치(10) 구성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14)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onitoring unit 14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상술한 모니터링부(14)는 훈련자 단말(20) 및 훈련자 단말(20)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기능하고, 모니터링부(14)에서의 모니터링 결과는 기 설정된 훈련자 관리 서버(30)로 전송되어 시계열적으로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unit 14 collects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r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20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r terminal 20, and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trigger a preset trigg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it functions to monitor whether the trainee implements the solution, and the monitoring result from the monitoring unit 14 is transmitted to the preset trainee management server 30 to be managed in time series.

즉 상술한 모니터링부(14)는 전술한 도 1의 S4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니터링부(14)의 기능 수행에 의해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가 관리되기 때문에, 훈련자가 제공된 솔루션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 문제를 저감하고,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unit 14 is understood to be able to perform all the functions performed in step S40 of FIG. Since implementation is mana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that trainees do not faithfully implement the provided solution and to inspire trainees to implement the solution.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FIG. 8 show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of unnecess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8,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 a power circuit 1150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a flash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input/output subsystem 11400 .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8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8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8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8,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에 있어서,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단계; 및,
상기 훈련자 단말 및, 상기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lifestyl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step of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a trainer's terminal; an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r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the preset trigger condition, the trainee's A lifestyle AI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solution is impleme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에 기초하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함으로써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한 측정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step is
In order to measure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by providing an evaluation question based on a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to the trainee terminal, and collecting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evaluation question, the trainee's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erives a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cognitive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훈련자의 외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훈련자 단말에 훈련자의 생활 양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공하고, 상기 설문 문항에 대한 훈련자의 응답을 수집하되,
상기 설문 문항은,
음주, 흡연, 식이, 수면, 신체활동 및, 사회활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적 요인에 대한 설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asurement step is
In order to measure the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questionnaire question for understanding the lifestyle of the trainee is provided to the trainee terminal, and the trainee'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a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questions are,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questionnaire items on external factors including at least one of drinking, smoking, diet, sleep,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는,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의 측정 결과에서, 기 설정된 임계 기준값을 미충족하는 인지 영역을 선정하여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선이 필요한 인지 영역과 연관성이 있는 외적 요인에 대한 트리거 조건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is
From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 cognitive region that does not satisfy a preset threshold reference value is selected and defined as a cognitive region that needs improvement,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trigger condition for an external factor related to the cognitive area requiring improvement i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기 설정된 단위 주기마다, 상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상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율을 연산하고,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을 훈련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훈련자와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 측정값이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적어도 한 명의 타 훈련자를 매칭시켜 훈련 메이트 그룹으로서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tep is
For each preset unit cycle, calculating the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of the trainee from the monitoring result on whether the trainee implements the solution,
Reco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transmitting the calculated solution implementation rate to the trainee management server, the trainee and at least one other trainee whos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 measurement value are similar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re matched to be managed as a training mate group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to improve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메이트 그룹에는,
상기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이행율을 충족하는 우등 훈련자 및, 상기 연산된 솔루션 이행율이 기 설정된 임계 이행율을 미충족하는 열등 훈련자가 매칭되도록 하고,
동일 훈련 메이트 그룹에 소속된 복수의 훈련자들은 상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 수집값을 상호 공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training mate group,
The calculated solution adherence rate meets a preset threshold adherence rate, and an inferior trainee whose calculated solution adherence rate does not meet a preset threshold adherence rate is matched;
A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rainees belonging to the same training mate group can share the collected values of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es are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훈련자 단말에 제공되는 솔루션으로서,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에 대응하는 훈련 난이도가 설정된 인지 재활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olution providing step,
As a solution provided to the trainer's termina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method for lifestyl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rovided by including a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in which a training difficulty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is 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트리거 조건을 불만족할 경우, 상기 훈련자 단말에 솔루션 불이행에 따른 경계 알림을 제공하고,
상기 경계 알림이 제공된 이후, 기 설정된 집중 모니터링 기간에 상기 솔루션의 정상 이행이 미감지될 시, 상기 훈련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경계 알림을 확대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step is
When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do not satisfy a preset trigger condition, providing a warn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solution failure to the trainer terminal,
After the alert notification is provided, when the normal implementation of the solution is not detected during a preset intensive monitoring period, the alertness alert is expanded and provided to the trainer's guardian terminal. How to manage your intelligence.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장치에 있어서,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부;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부; 및,
상기 훈련자 단말 및, 상기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생활습관 인공지능 관리 장치.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device for lifestyl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trigger condition setting unit for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unit for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of the trainee and the external factor,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the trainer's terminal; an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r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the preset trigger condition, the trainee's Lifestyle artificial intelligence management devic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nitoring unit to monitor whether the solution is implemented.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측정된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에 따라서, 트리거 조건을 설정하는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
상기 훈련자의 인지 기능 상태 및, 외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외적 요인에 대한 개선 솔루션을 도출하고, 도출된 솔루션을 훈련자 단말로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단계; 및,
상기 훈련자 단말 및, 상기 훈련자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훈련자가 노출된 환경에서의 외적 요인을 수집하고, 수집된 외적 요인이 기 설정된 상기 트리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훈련자의 솔루션 이행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es instructions for causing a computing device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rainee;
a trigger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 trigger condi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 solution providing step of deriving an improvement solution for an external factor to be controll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ee's cognitive function state and external factors, and providing the derived solution to a trainer's terminal; and,
By collecting extern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to which the trainer is exposed from the trainer terminal and one or more measurement devices interlocked with the train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llected external factors satisfy the preset trigger condition, the traine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whether the solution is implemented.
KR1020220029896A 2022-03-10 2022-03-10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41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96A KR102441774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896A KR102441774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774B1 true KR102441774B1 (en) 2022-09-08

Family

ID=83279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896A KR102441774B1 (en) 2022-03-10 2022-03-10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7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45A (en) * 2019-10-24 2021-05-04 김창호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mentia and system thereof
KR20210065418A (en) * 2019-11-27 2021-06-04 박도영 Mild cognitive impairment improvement system
KR20210076561A (en)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Recognition Train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KR20210106271A (en) * 2020-02-20 2021-08-30 김창호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gitive reinforcement training game based on mediaservice
KR20210106634A (en)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VR-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For Treating Depression and Insomni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45A (en) * 2019-10-24 2021-05-04 김창호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mentia and system thereof
KR20210064153A (en) * 2019-10-24 2021-06-02 김창호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game
KR20210065418A (en) * 2019-11-27 2021-06-04 박도영 Mild cognitive impairment improvement system
KR20210076561A (en)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Recognition Training System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KR20210106271A (en) * 2020-02-20 2021-08-30 김창호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gitive reinforcement training game based on mediaservice
KR20210106634A (en) *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에스와이이노테크 VR-Based Recognition Training System For Treating Depression and Insomn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ricelli et al. Human digital twin for fitness management
CN107423549B (en) Health tracking device
Schelling et al. A development framework for decision support systems in high-performance sport
Asri et al. Big data in healthcar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KR10216602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u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e a training model for dementia care
Chen et al.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feature selection with application in obstructive sleep apnea diagnosis
Paraschiakos et al. Activity recognition using wearable sensors for tracking the elderly
Bavaresco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context-aware model based on psychophysiology
Kwon et al. Single activity sensor-based ensemble analysis for health monitoring of solitary elderly people
Angelides et al. Wearable data analysis, visualisation and recommendations on the go using android middleware
Bhavnani et al. Virtual care 2.0—a vision for the future of data-driven technology-enabled healthcare
Montoye et al. Validation of a wireless accelerometer network for energy expenditure measurement
Kim et al. Modeling long-term human activeness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s for biometric data
Holmes et al. Modelling patient behaviour using IoT sensor data: a case study to evaluate techniques for modelling domestic behaviour in recovery from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Bhattacharyya et al. Delirium prediction in the ICU: designing a screening tool for preventive interventions
KR102441774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managing life style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shari et al. Memory-aware active learning in mobile sensing systems
KR102296885B1 (en) User-customized health habit service device
Yee et al. Hospital data analytics system for tracking and predicting obese patients' lifestyle habits
KR102166440B1 (en) Balanc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Dementia
Stojanovic et al. Using mobile-based complex event processing to realize collaborative remote person monitoring
Velickovski et al. Detection and assessment of behaviour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obesity in adolescents
Poli et al. Cross-Domain Classification of Physical Activity Intensity: An EDA-Based Approach Validated by Wrist-Measured Acceleration and Physiological Data
KR102543503B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mmending health care exercise according to changes in weather conditions
KR102450417B1 (en) Method, Comput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edicting the Effect of Exercise Prescription for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Patien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