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081B1 -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 Google Patents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081B1
KR102440081B1 KR1020210016431A KR20210016431A KR102440081B1 KR 102440081 B1 KR102440081 B1 KR 102440081B1 KR 1020210016431 A KR1020210016431 A KR 1020210016431A KR 20210016431 A KR20210016431 A KR 20210016431A KR 102440081 B1 KR102440081 B1 KR 102440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companion animal
unit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3557A (en
Inventor
김민준
박영주
신성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6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081B1/en
Publication of KR2022011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5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0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B64C2201/066
    • B64C2201/12
    • B64C2201/1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하부에 구성되되, 반려동물과 연결된 연결 디바이스부,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관찰 카메라를 포함하고, 드론의 무선 통신부가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어플리케이션의 관찰부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In more detail, it is configur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unit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n observ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transmits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to the observation unit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It is a drone that can monitor pets.

Description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본 발명은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하부에 구성되되, 반려동물과 연결된 연결 디바이스부,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관찰 카메라를 포함하고, 드론의 무선 통신부가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어플리케이션의 관찰부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In more detail, it is configur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unit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n observ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transmits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to the observation unit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It is a drone that can monitor pets.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각 가정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reases, the number of cases of raising companion animals in each household is increasing.

이러한 반려동물은 건강 관리, 주인과의 관계증진 등을 위해 주기적으로 산책을 수행해야 한다.These companion animals should take regular walks for health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their owners.

반려동물의 동반 산책시, 반려동물 및 주변의 행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반려동물에 착용하고, 움직임을 일정 반경 이내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리드줄이 출시되고 있다.To protect the companion animal and passers-by when taking the companion animal for a walk, various types of lead leash that can be wor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restrict movement within a certain radius are being released.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용화된 반려동물용 리드줄(10)은 반려동물의 목 부위나 가슴 부위 등을 감싸는 착용밴드(200)와, 착용밴드(20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잡고 이끌 수 있도록 하는 핸들러(100)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e commercialized lead line 10 for companion animals includes a wearing band 200 that wraps around the neck or ches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s connected to the wearing band 200, and the user can hold and lead it. It is composed of a handler 100 that makes it possible.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반려동물용 리드줄(10)은 핸들러(100)를 잡은 사용자는 당기거나 놓는 동작을 통해 반려동물이 원하는 방향으로 착용밴드(200)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그 이동을 조정하거나, 제지할 수 있다.The lead line 10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user holding the handler 100 by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wearing band 200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pulling or releasing operation to adjust or restrain the movement. can

그러나, 장시간 산책을 수행하다 보면, 사용자가 피로하여 리드줄(10)을 주변 구조물에 묶어 놓고 잠시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 반려동물이 무작정 달려나가 실종 또는 도난 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ile walking for a long time, there are cases where the user is tired and takes a break for a while by tying the lead rope 10 to the surrounding structure. This often happens.

또한, 반려동물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드줄(10)을 잡고 반려동물과 함께 보행하더라도, 덩치가 큰 반려동물의 경우에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갑작스런 움직임으로 인해 사용자가 리드줄(10)의 핸들러(100)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holds the lead leash 10 and walks with the companion animal while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in the case of a large companion animal, due to sudden movements unexpected by the user, the user is the handler 100 of the lead leash 10 ) is frequently missed.

위와 같이 사용자가 리드줄(10)의 핸들러(100)를 놓치게 되면, 반려견의 행동반경의 통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반려견이 갑자기 도로쪽으로 달려들면서 지나는 오토바이나 차량 등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반려견이 우발적으로 주 변 사람들을 공격함으로써,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bove, if the user misses the handler 100 of the lead line 10,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og's action radius, so the dog suddenly rushes toward the road and collides with a passing motorcycle or vehicle, or the dog accident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human casualties occur by attacking people around.

또한, 코로나 19 전염병이 심해지면서 야외 활동이 힘들어진 시기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반려동물을 산책시키는 것 조차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t a time when outdoor activities are difficult as the COVID-19 epidemic intensifies, people who own pets will find it difficult to even walk their pets.

따라서, 사람이 직접 반려동물을 직접 산책시키는 것이 아닌,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반려동물이 자율적으로 산책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in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take a walk autonomously by int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ather than a person walking the companion animal directl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0291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02910

본 발명은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하부에 구성되되, 반려동물과 연결된 연결 디바이스부,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관찰 카메라를 포함하고, 드론의 무선 통신부가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어플리케이션의 관찰부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드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In more detail, it is configur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device unit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n observ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transmits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to the observation unit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It is a drone that can monitor pet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드론의 하부에 구성되되, 반려동물과 연결된 연결 디바이스부,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관찰 카메라,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관찰 카메라와 감지 센서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드론은 설정된 지역 내에서 반려동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경로로 산책시킨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 connection device unit connected to a companion animal, an observ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 detection sensor and an observation camera for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tection sensor is included, and the drone walks the companion animal along a movement path desired by the user within the set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드론의 내부에 GPS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에 설정된 지역 내를 이동하는 반려동물의 위치가 표시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capable of monitoring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PS is included in the interior of the drone, and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moving within a set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 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열 화상 카메라를 통해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detect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may sens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thermal imaging camer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부는 반려동물에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드론과 반려동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for fixing to the companion animal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and a battery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일단을 배터리에 연결하고, 연결부의 타단을 드론의 하부에 연결하면, 배터리의 전력이 드론에 전달되어 드론을 충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one, the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ferred to the drone to charge the dr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타측에 음성 알림부가 구성되고, 음성 알림부는 반려동물이 드론을 따라 산책 중인 것을 주변에 알린다.In addition, a voice notification unit i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oice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surroundings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along the dr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드론과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상에서 드론과 반려동물이 위치한 장소를 표시해주는 지도 표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to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includes a map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where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are located on the ma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이 이동하고 있는 장소를 일정 시간마다 음성으로 알려주는 전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that notifies the user of the place where the companion animal is moving by voice every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은 드론에 구성된 제어부가 감지 센서, GPS 및 카메라부를 컨트롤하고, 반려동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반려동물의 위치 또한 인식하여 반려동물이 현재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드론을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figured in the drone controls the detection sensor, GPS and camera unit,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lso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does not devia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control the dron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은 모든 구성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관리되므로, 코로나 19 및 전염병으로 반려동물을 산책시키기 어려운 경우나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주인이 단기간 집을 비운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산책에 사람이 동행하지 않고 반려동물의 산책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managed in all configurations, it is difficult to walk companion animals due to Corona 19 and infectious diseases, or when the owner is away from home for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business trips or travel It is possible to take a pet for a walk without a person accompanying the animal.

도 1은 종래의 반려동물 산책 목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이 반려동물을 산책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디바이스부의 본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한 지도 표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실행한 관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종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의 작동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companion animal walking leash.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lks the companion animal.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p display unit executed by the display unit.
6 illustrates an observation unit performed on the display unit.
7 is a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of a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발명에서 도 2를 기준으로 'X축'이라 함은 길이 방향이고, 'Y축'이라 함은 폭 방향이고, 'Z축'이라 함은 수직 방향이다.'전방'이라 함을 카메라부(300)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후방'이라 함은 전방의 반대 부분이다.'좌측'이라 함은 관찰 카메라(310)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고, '우측'이라 함은 열 화상 카메라(320)가 구성되어 있는 부분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FIG. 2, the 'X-axis'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Y-axis' i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Z-axis' is the vertical direction. 300 is configured, and 'rear' is the opposite part of the front. 'Left' refers to a part where the observation camera 310 is configured, and 'right' refers to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 is composed of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이 반려동물을 산책시키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 an exampl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lks the companion animal is shown.

본 발명은 드론(100), 연결 디바이스부(200), 카메라부(300), 디스플레이부(600) 및 제어부(7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drone 100 , a connection device unit 200 , a camera unit 300 , a display unit 600 , and a control unit 700 .

드론(100)은 무인항공기라고도 하며 실제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탑재임무장비, 지상통제장비(GCS), 통신장비, 지원장비 및 운용인력의 전체 시스템을 통칭한다.The drone 100 is also called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does not have an actual pilot on board, and it flies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route on the ground, onboard mission equipment, ground control equipment (GCS), communication equipment, support equipment and It refers to the entire system of operating personnel.

먼저, 드론(100)의 하부에는 카메라부(300)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카메라부(300)의 하부에는 반려동물과 드론(100)을 연결하는 연결 디바이스부(200)가 구성된다.First, the camera unit 30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 and the connection device unit 200 for connecting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drone 100 is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unit 300 . .

연결 디바이스부(200)는 본체부(210) 및 연결부(220)로 구성되며, 연결부(220)의 일단은 카메라부(300)의 하부에 결합되고 연결부(220)의 타단은 본체부(210)와 결합된다.The connection device unit 200 is composed of a body unit 210 and a connection unit 220 ,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unit 30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is the body unit 210 . is combined with

연결부(220)는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때 사용하는 목줄과 같은 형상이고, 연결부(220)의 길이는 사용자가 조절 가능하다.The connection part 220 is shaped like a leash used when walking a companion animal,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20 is adjustable by the user.

즉, 반려동물과 드론(100)은 연결부(220)를 통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지 않게 서로 연결되며, 산책 시 드론(100)과 연결부(220)는 분리되지 않아 연결부(220)는 반려동물의 일정 거리 이상 이동을 제한한다.That is,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dron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220 so as not to be separate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and the drone 100 and the connection unit 220 are not separated during a walk, so the connection unit 220 is the companion animal's schedule. Limit movement over distance.

드론(100)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600)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프로토콜 등으로 근거리 무선통신부로 통신 연결될 수 있고, 산책 시 드론(100)과 연결부(220)가 분리되거나 드론(100)과 반려동물이 멀어지면 후술할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이 전송되어 사용자가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The drone 10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rough Bluetooth or Wi-Fi protocol, etc. When it moves away,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the situation.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연결 디바이스부(200)의 본체부(2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 the body part 210 of the connection device par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체부(210)는 반려동물의 목이나 몸에 끼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부(210)는 배터리(211) 및 음성 알림부(212)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210 is preferably fixed to the neck or body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battery 211 and a voice notification unit 212 .

본체부(210)의 일측에는 배터리(2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음성 알림부(212)가 구성된다.A battery 211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a voice notification unit 212 is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전술한 연결부(220)의 일단은 배터리(211)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결부(220)의 타단은 드론(100)의 카메라부(300)의 하부에 결합된다.One end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unit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ttery 211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mera unit 300 of the drone 100 .

연결부(220)의 타단에는 전류를 전달하는 단자가 결합되어 있으며, 카메라부(300)의 하부에는 배터리(211)의 전류를 받을 수 있는 단자가 결합된다.A terminal for transmitting curren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20 ,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current from the battery 211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mera unit 300 .

연결부(220)의 양 단부가 배터리(211)와 카메라부(300)의 하부의 단자에 연결되면, 배터리(211)의 전력이 연결부(220)를 따라 드론(100)을 충전시키게 되고, 연결부(220)가 배터리(211)와 드론(100)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반려동물의 자율 산책 수행을 위해 비행한다.When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220 are connected to the battery 211 and the terminal at the bottom of the camera unit 300, the power of the battery 211 charges the drone 100 along the connection unit 220, and the connection unit ( 220) is only connected to the battery 211 and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flies for autonomous walking.

본 발명의 드론(100)은 배터리(211)로 전력을 충전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The dr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rge power with the battery 2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rged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배터리(211)의 우측에는 음성 알림부(212)가 구성되고, 음성 알림부(212)는 주위에 반려동물이 산책 중이라는 알림을 음성으로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notification unit 212 is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ttery 211 , and the voice notification unit 212 notifies the surrounding companion animal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by voice.

또한, 반려동물이 산책 중이라는 알림과 같이,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주소 등을 언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phone number or address may be mentioned, such as a notification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본체부(210)는 반려동물이 산책 중일 때, 산책에 방해되지 않는 곳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본체부(210)의 고정 위치는 다양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the main body 210 may be fixed to a pl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alk, and the fixing positions of the main body 210 may be variously fixed.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dr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드론(100)의 하부에는 회전부(400)가 맞닿아 결합되고, 회전부(400)의 하부에는 카메라부(300)가 맞닿아 결합되고, 드론(100)의 전방에는 GPS(미도시) 및 배변 키트부(500)가 결합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is abutted and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400,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unit 400 is abutted and coupled to the camera unit 300, and the front of the drone 100 is a GPS (not shown) and a toilet kit. A portion 500 is coupled.

드론(100)의 하부에는 회전부(400)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회전부(400)에는 감지 센서(410)가 구성된다.A rotating part 400 is formed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 and a detection sensor 410 is configured in the rotating part 400 .

감지 센서(410)는 반려동물의 동작(motion)이나 존재(presence)를 검출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식이며, 동작을 검출하는 방식은 PIR(Passive Infra Red)센서를 이용하고 센서등, 보안용 카메라 등에 응용되고 있다.The detection sensor 410 is a method that can control the device by detecting the motion or pre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method of detecting the motion uses a PIR (Passive Infra Red) sensor, and the It is used for cameras, etc.

본 발명에서 반려동물의 존재를 검출하는 센서는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이미지 센서나 적외선 센서일 수 있으며, 반려동물에서 발생하는 특정 파장 대역을 가진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여 감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companion animal may be an image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companion animal, and detects and detects an infrared signal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band generated by the companion animal.

따라서, 감지 센서(410)가 반려동물의 이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을 따라 회전부(400)가 회동 가능하다.Accordingly, the detection sensor 4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rotating unit 400 can rotate along the companion animal.

도 3의 도시와 같이, 감지 센서(410)는 하나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detection sensor 410 is configured as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회전부(400)의 하부에는 카메라부(3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카메라부(300)는 관찰 카메라(310) 및 열 화상 카메라(320)로 구성된다.A camera unit 300 is forme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unit 400 , and the camera unit 300 includes an observation camera 310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320 .

관찰 카메라(310)는 카메라부(300)의 좌측에 구성되어 반려동물이 산책로를 따라 이동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observation camera 310 may be configured on the left side of the camera unit 300 to capture an image of the companion animal moving along the trail.

카메라부(300)의 우측에는 열 화상 카메라(320)가 구성되고, 열 화상 카메라(320)의 구성으로 반려동물의 인식이 용이하고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A thermal imaging camera 320 is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mera unit 30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makes it easy to recognize the companion animal and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convenient to know immediately.

즉, 열 화상 카메라(320)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행동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신뢰도로 반려동물의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이탈 발생 이후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behavioral situ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monitored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has departed with higher reliability and to perform a quick response after the departure occurs.

열 화상 카메라(320)를 이용함에 따라 저조도 또는 심야와 같은 환경에서도 정확한 반려동물에게 발생하는 상황의 감지가 가능하고, 반려동물의 장시간 부동 상태에 따른 반려동물의 주기적 체온 체크 및 이상 체온 시 경보 등 유용하고 보조적인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situations occurring in companion animals even in low-light or late-night environmen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useful and auxiliary functions together.

드론(100)에 구성된 GPS는 반려 동물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한 GPS 추적 장비이다. GPS로부터 현재 반려동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GPS configured in the drone 100 is a GPS tracking device for che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obtained from the GPS.

또한, 드론(100)의 일측에는 배변 키트부(500)가 구비되어 있어 산책 시 반려동물의 배변활동이 발생하여도 배변 장소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bowel kit unit 5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one 100, even if the bowel movement of a companion animal occurs during a walk, the defecation place can be hygienically managed.

드론(100)에 구성된 제어부(700)는 감지 센서(410), GPS 및 카메라부(300)를 컨트롤하고, 반려동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반려동물의 위치 또한 인식하여 반려동물이 현재 위치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드론(100)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700 configured in the drone 100 controls the detection sensor 410, GPS, and the camera unit 300, and recognizes the presenc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lso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does not deviate from the current loca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rone 100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prevent i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은 모든 구성의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관리되므로, 코로나 19 및 전염병으로 반려동물을 산책시키기 어려운 경우나 출장이나 여행 등으로 주인이 단기간 집을 비운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산책에 사람이 동행하지 않고 반려동물의 산책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and manages all configuration operations, so it is difficult to walk companion animals due to Corona 19 and infectious diseases, or even when the owner is away from home for a short time due to business trips or travel It is possible to take a pet for a walk without a person accompanying the animal.

즉, 드론(100)을 이용하여 자율 산책의 주체인 반려동물이 사용자와 독립된 환경에서 스스로 자율 산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원격에서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remotely supporting the companion animal, which is the subject of the autonomous walk, by using the drone 100 to perform autonomous mountain climbing on its own in an environment independent of the user.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600)의 내부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610)의 지도 표시부(613)를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5 , the map display unit 613 of the application 610 configured in the display unit 600 is illustrated.

먼저, 드론(100)에 구성된 GPS가 무선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600)에 반려동물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610)의 지도 표시부(613)를 통해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다.First, the GPS configured in the drone 10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display unit 6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user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map display unit 613 of the application 610 . can figure out

지도 표시부(613)를 살펴보면, 반려동물이 위치한 곳은 사용자의 눈에 띄도록 원(614)으로 표시되어 있다.Looking at the map display unit 613 , the place where the companion animal is located is marked with a circle 614 to be conspicuous to the user.

지도 표시부(613)의 구성으로 반려동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드론(100) 뿐만 아니라 연결 디바이스부(200)의 본체부(210)에도 GPS가 구성되어 있어 반려동물이 산책로를 이탈하였을 경우에도 위험 상황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map display unit 613, the location of companion animals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GPS is configured not only in the drone 100 but also in the main body 210 of the connecting device 200, so that when the companion animal deviates from the trail Even dangerous situations can be detected quickly.

지도 표시부(613)가 실행되어 있는 화면의 좌측 하부에는 관찰부(611)를 실행할 수 있는 터치 메뉴가 있고, 우측 하부에는 체온부(612)를 실행할 수 있는 터치 메뉴가 있다.On the lower left of the screen on which the map display unit 613 is executed, there is a touch menu for executing the observation unit 611 , and at the lower right side, there is a touch menu for executing the body temperature unit 612 .

관찰부(611)를 실행하기 위하여 '관찰'이라는 메뉴를 터치하면, 관찰부(611)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살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f a menu called 'Observation' is touched to execute the observation unit 611 ,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checked through the observation unit 611 . Detailed information 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을 참고하면, 관찰부(611) 메뉴를 터치하면 어플리케이션(610)의 화면에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f you touch the menu of the observation unit 611 , you can see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o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610 .

먼저, 드론(100)에 구성된 감지 센서(410)가 반려동물을 감지하고, 관찰 카메라(310)가 반려동물을 촬영한다.First, the detection sensor 410 configured in the drone 100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bservation camera 310 photographs the companion animal.

드론(100)에 구성된 후술할 무선통신부(620)가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어플리케이션(610)의 관찰부(611)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configured in the dron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ransmits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hile walking to the observation unit 611 of the application 610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the companion animal.

관찰부(611)가 실행되어 있는 화면의 좌측 하부에는 지도 표시부(613)를 실행할 수 있는 터치 메뉴가 있고, 우측 하부에는 체온부(612)를 실행할 수 있는 터치 메뉴가 있다.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screen on which the observation unit 611 is executed, there is a touch menu for executing the map display unit 613 , and at the lower right side there is a touch menu for executing the body temperature unit 612 .

또한,'체온'이라는 메뉴를 터치하면 드론(100)에 구성된 열 화상 카메라(320)가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여, 어플리케이션(610)으로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a menu called 'body temperature' is touched,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configured in the drone 100 measure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610 .

체온부(612)를 실행하면, 반려동물의 체온과 함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사용자와 같이 산책을 나가지 않더라도 드론(100)의 자율 산책으로 걱정없이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다.When the body temperature unit 612 is executed, it is convenient to measure the health condition along with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even if the user does not go out for a walk, the companion animal can be taken for a walk without worry by autonomous walking of the drone 100 .

또한,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610)에 구성된 후술할 전달부(615)를 통해 드론(100)과 반려동물의 위치를 설정한 시간마다 알려주고, 반려동물이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경우나 드론(100)과 반려동물의 일정 간격이 멀어지면 사용자에게 주의 알림이 전달된다.In addition, the user is informed every set time of the location of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delivery unit 615 configured in the application 61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dangerous situation or with the drone 100 When the companion animal moves away from a certain distance, a warning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도 7은 드론(100)을 조종할 수 있는 조종부(800)를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control unit 800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 100 .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610)에서 직접 산책로를 설정할 수 있지만, 조종부(80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드론(100)을 직접 조종하여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수 있다.In the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t a walking path directly in the application 610 , but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drone 100 using the control unit 800 to walk the companion animal.

즉, 드론(100)의 하부에 구성된 관찰 카메라(310)로 촬영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산책 경로를 직접 보면서 드론(100)을 조종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one 100 while directly viewing the walking path through the display unit 600 on a screen captured by the observation camera 310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

조종부(800)는 안테나(810), 전원 센서(820), 전원 스위치(830), 좌측 레버(840), 우측 레버(850), LCD 모니터(860), 위치 버튼(870), 관찰 버튼(880) 및 체온 버튼(890)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800 includes an antenna 810, a power sensor 820, a power switch 830, a left lever 840, a right lever 850, an LCD monitor 860, a position button 870, an observation button ( 880) and a body temperature button 890.

조종부(800)의 전원을 키면 전원 센서(820)가 드론(100)을 감지하여, 조종부(800)와 드론(100)이 호환된다.When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800 is turned on, the power sensor 820 detects the drone 100 , and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drone 100 are compatible.

좌측 레버(840)는 스틱을 앞뒤로 밀어 드론(100)을 위로 띄우거나 아래로 내릴 수 있고, 우측 레버(850)는 스틱을 앞, 뒤로 밀어 드론(100)을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다.The left lever 840 may push the stick back and forth to float the drone 100 up or down, and the right lever 850 may push the stick forward and backward to move the drone 100 forward and backward.

드론(100)을 조종하는 조종부(800)의 좌측 및 우측 레버(85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left and right levers 850 of the control unit 800 for controlling the drone 100 are known techniqu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좌측 레버(840) 및 우측 레버(850)의 하측에는 제어부(700)가 구성되고, 제어부(700)는 LCD 모니터(860), 위치 버튼(870), 관찰 버튼(880) 및 체온 버튼(890)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A control unit 700 is configured below the left lever 840 and the right lever 850 , and the control unit 700 includes an LCD monitor 860 , a position button 870 , an observation button 880 , and a body temperature button 890 . plays a role in controlling

드론(100)의 하부에 구성된 관찰 카메라(310)가 반려동물을 촬영하면, 조종부(800)에 구성된 LCD 모니터(860)를 통해 반려동물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When the observation camera 310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photographs the companion animal,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observed through the LCD monitor 860 configured in the control unit 800 .

LCD 모니터(860)의 좌측에는 위치 버튼(870) 및 관찰 버튼(880)이 구성되고, 우측에는 체온 버튼(890)이 구성된다.A position button 870 and an observation button 880 are configured on the left side of the LCD monitor 860 , and a body temperature button 890 is configured on the right side of the LCD monitor 860 .

사용자가 위치 버튼(870)을 가압하게 되면, LCD 모니터(860)를 통해 지도가 나타나면서 반려동물의 위치를 알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location button 870 , a map appears on the LCD monitor 860 and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known.

위치 버튼(870)의 하측에는 관찰 버튼(88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구성되되, 관찰 버튼(880)을 가압하면 LCD 모니터(860)를 통해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이 나타난다.On the lower side of the position button 870, the observation button 880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when the observation button 880 is pressed,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through the LCD monitor 860 appears.

체온 버튼(890)을 가압하게 되면, 드론(100)의 하부에 구성된 열 화상 카메라(320)가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여 LCD 모니터(860)에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body temperature button 890 is pressed, the thermal imaging camera 320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may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display the health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on the LCD monitor 860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의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of a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은 드론(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610)이 탑재된 디스플레이부(600)와 무선통신부(620)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8 , the autonomous companion animal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6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in which the application 610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100 is mounted.

디스플레이부(600)는 드론(100)에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같은 무선통신부(620)를 통해 드론(100)에 신호를 수신하고, 드론(100)은 그 신호에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600 receives a signal from the drone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such as Wi-Fi or Bluetooth to the drone 100, and the drone 100 performs a command according to the signal.

디스플레이부(6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휴대용 이동식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에는, 개인용 통신 장치(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디지털 셀룰러 통신장비(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개인 통신 전화(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atnt, PD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데스크탑, 랩탑 등의 범용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로봇의 제어를 위한 전용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600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mobile terminal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The terminal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nd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terminals, smartphones, tablet PCs, etc.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included. .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is an intelligent device in which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are added to a portable device, and may be a smart phon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purpose computer such as a desktop or a laptop,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dicated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autonomous driving robot.

본 발명의 드론(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610)이 탑재된 디스플레이부(6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다.The application 610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600 mounted there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통신부(62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는 무선 인터넷 기술일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통신부는 상기에 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includ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ternatively, it may be a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and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es,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 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외부기기부 및 단말기와 무선 통신부 사이, 외부기기부와 다른 외부기기부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 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is located between an external device unit and a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etween an external device unit and another external device unit, or a mobile terminal and another mobile terminal or external server) through a wireless area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It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어플리케이션(610)은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관찰부(611), 반려동물의 체온을 알 수 있는 체온부(612), 반려동물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지도 표시부(613) 및 주위에 반려동물의 산책 여부를 전달하는 전달부(615)를 포함한다. The application 610 includes an observation unit 611 that can observe the appearance of a companion animal while walking, a body temperature unit 612 that can know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a map display unit 613 that can know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ts surroundings. and a transmission unit 615 for transmitting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or not.

디스플레이부(600)는 무선통신부(620)로 드론(100)과 연결되어 있으며, 드론(100)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700)에서 드론(100)의 모든 작동을 제어한다.The display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drone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 and the control unit 700 configured inside the drone 100 controls all operations of the drone 100 .

드론(100)의 제어부(700)는 GPS, 연결 디바이스부(200), 카메라부(300) 및 회전부(400)를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신호가 무선통신부(620)를 통해 드론(100)으로 수신된다.The control unit 700 of the drone 100 includes a GPS, a connection device unit 200 , a camera unit 300 , and a rotation unit 400 , and a signal of data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application 61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 ) through the drone 100 .

이후, 카메라부(300) 및 회전부(4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의 신호대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the camera unit 300 and the rotation unit 400 perform a command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카메라부(300)는 관찰 카메라(310) 및 열 화상 카메라(320)를 포함하고, 회전부(400)에는 감지 센서(410)가 구성된다.The camera unit 300 includes an observation camera 310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320 , and a detection sensor 410 is configured in the rotation unit 400 .

따라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위치, 행동 및 건강상태 등을 알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now the loca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while walking through the application 610 .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의 작동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연결 디바이스부(200)의 일단을 본체부(210)의 배터리(211)에 연결하고, 타단을 드론(100)의 하부에 구성된 충전 단자에 결합한다.First, one end of the connection devic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211 of the body unit 210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a charging terminal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

배터리(211)와 드론(100)이 연결 디바이스부(200)에 의해 연결되므로, 배터리(211)의 전력이 연결 디바이스부(200)에 의해 드론(100)으로 전달된다.Since the battery 211 and the drone 10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device unit 200 , the power of the battery 211 is transferred to the drone 100 by the connection device unit 200 .

즉, 자율 산책 드론(100)이 비행 시, 배터리(211)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utonomous walking drone 100 is flying, charging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by the battery 211 .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600)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610)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부(600)의 무선통신부(620)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610)과 드론(100)이 호환된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application 610 using the display unit 600 , the application 610 and the drone 100 are compatib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20 of the display unit 600 .

또한, 어플리케이션(610)에 사용자의 드론(100)을 등록할 수 있어 드론(100)에 구성된 GPS가 드론(100)의 위치를 감지하여 드론(100)의 위치가 지도 표시부(613)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user's drone 100 can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610, so that the GPS configured in the drone 10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drone 100, and the location of the drone 100 is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613. .

또한, 어플리케이션(610)에 반려동물을 등록할 수 있어 본체부(210)에 구성된 GPS가 반려동물의 위치를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위치가 지도 표시부(613)에 표시된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can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610 , so that the GPS configured in the main body 21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s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613 .

드론(100)과 반려동물의 위치가 지도 표시부(613)에 제대로 표시되는지 확인 후, 드론(100)이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산책로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After confirming that the positions of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are properly displayed on the map display unit 613 , the user can directly set a walking path for the drone 100 to walk the companion animal.

반려동물의 이동 지역, 이동 반경, 드론(100)과 반려동물이 떨어질 수 있는 최소 거리 등 구체적으로 산책 조건을 설정 가능하여 편리한 장점이 있다.It is convenient because it is possible to set specific walking conditions such as the moving area of the companion animal, the moving radius, and the minimum distance that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can fall.

이후, 자율 산책이 시작되면 드론(100)의 하부에 구성된 감지 센서(410)가 반려동물을 감지하고, 감지 센서(410)의 하부에 구성된 관찰 카메라(310)가 반려동물을 촬영한다.Thereafter, when autonomous walking starts, the detection sensor 410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100 detects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observation camera 310 configur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etection sensor 410 photographs the companion animal.

드론(10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600)로 반려동물의 모습이 전송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610)의 관찰부(611)로 산책 중인 반려동물의 모습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6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100 , and the user can monitor the appearance of the companion animal walking through the observation unit 611 of the application 610 .

또한, 지도 표시부(613)를 통해 드론(100)과 반려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체온부(612)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및 체온을 측정할 수 있고, 반려동물이 위험 지역에 진입하는지, 드론(100)과 반려동물의 거리가 멀어지는지, 반려동물이 위험한 상황에 처하였는지 모두 어플리케이션(610)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외부에 나가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반려동물을 산책 시킬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삶의 질이 향상되며, 산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map display unit 613 , the health state and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measured through the body temperature unit 612 , and the companion animal enters the danger area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100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creasing, and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dangerous situation can all be known through the application 610, so that the user can walk the companion animal even if the user is in a situation where he cannot go outside. The quality of life of companion animals is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walking can be further increased.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드론(100)을 조종하는 다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other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dron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스마트 장갑은 한 쌍의 장갑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에 스마트 장갑을 착용할 수 있다.The smart glov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gloves, and the user may wear the smart glove on the user's hand.

스마트 장갑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가상현실에서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VR리모컨(콘트롤러)의 VR 기반의 가상현실에서 사용되는 콘트롤러(Controller, 입력기)로서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 smart glove is a device that is worn on a user's hand to perform input in virtual reality, and can replace the function of a conventional VR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as a controller (controller, input device) used in VR-based virtual reality.

먼저 스마트 장갑은 사용자의 열 손가락 각각의 말단부 및 손바닥 전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햅틱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smart glov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ptic sensors installed on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user's ten fingers and the entire palm of the user's hand.

여기서, 햅틱 센서부의 위치 및 개수는 높은 수준의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실시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Here,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haptic sensor units may be adjusted by the operator so that a high level of tactile sensation can be felt.

스마트 장갑의 전체 모션(제스처)을 인식 및 측정하기 위해 6축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gyro sensor unit including a 6-axis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o recognize and measure the overall motion (gesture) of the smart glove.

또한, 플렉스 센서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의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값으로부터 손가락의 구부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ex sensor unit may measure bending information of the finger from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스마트 장갑은 플렉스 센서부로부터 센싱한 제1 데이터로부터 가상현실에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판단하고, 플렉스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도에 대한 제 1 데이터로부터 가상현실에서의 입력신호가 검출된 위치를 판단한다.The smart glove determines the input signal input to virtual reality from the first data sensed by the flex sensor unit, and the input signal in virtual reality is detected from the first data abou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user's finger obtained from the flex sensor unit determine the location

여기에, 자이로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6축 값에 대한 제2 데이터로부터 발생한 입력신호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를 바탕으로 햅틱 센서부로 전달되는 제3 데이터로부터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출력신호를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Here,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third data transmitted to the haptic sensor unit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second data for the 6-axis value obtained from the gyro sensor unit, and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transmitted to the drone 100 .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 장갑을 장착하고 드론(100)을 조종하는 제스처를 취하게 되면, 플렉스 센서부, 자이로 센서부, 햅틱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출력신호가 드론(100)에 전달되어 드론(100)이 스마트 장갑의 제스처대로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user wears a smart glove and takes a gesture to control the drone 100, the output signal generated from the flex sensor unit, the gyro sensor unit, and the haptic sensor unit is transmitted to the drone 100 and the drone 100 It moves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is smart glove.

조종부(800)가 익숙치 않은 사람들은 조종부(800)를 사용하여 직접 드론(100)을 조종할 필요 없이, 스마트 장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만으로 드론(100)을 조종하므로 쉽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People unfamiliar with the control unit 800 do not need to directly control the drone 100 using the control unit 800, but use smart gloves to control the drone 100 only with the user's gesture, so it is easy and convenient. have.

또한, 종래의 입력장치와는 달리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고 장갑의 형태로 이루어져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input device, it is worn on the user's hand and is made in the form of a glove to maximize portability.

또한,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입력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인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ognition rate can be increased by accurately detecting the input using the gyro sens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을 다회 사용 시, 드론(100)의 표면에 유해한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tonomous walking dron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multiple times, a problem of the proliferation of harmful bacteria on the surface of the drone 100 may occur and corrosion may occur.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드론(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드론(1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드론(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드론(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ating layer (not shown) is to be coat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and the coating layer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may exhibit an anti-corrosion effect. 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rone 100 by the coating layer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drone 100, and contains a metal with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the drone 100, It can prevent corros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loxa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rganic solvents, metal compounds and amine compounds: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1014891077-pat00001
Figure 112021014891077-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드론(100)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드론(100)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코팅층이 벗겨지지 않고, 드론(100)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 화합물을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rone 100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with the drone 100 is excellent, the coating layer is not easily peeled off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ionization tend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drone 100 As it contains a high metal compound, it may exhibit an excellent anti-corrosion effect.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계 화합물은 머캅토기를 치환기로 포함하고 있어, 드론(100)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낼 뿐 아니라,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성형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Specifically, since the siloxane-based compound contains a mercapto group as a substituent, it not only exhibits excellent adhesion to the drone 100, but also maintains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at a certain level to increase moldability and increase stability. .

상기 금속 화합물은 수분, 염분 또는 산소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침식 및 부식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금속 화합물은 침식 및 부식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높은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아연(Zn)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을 이용할 수 있고, 주로 아연(Zn)이 많이 사용된다. The metal compound serves as an erosion and corrosion inhibitor that blocks contact with moisture, salt or oxygen. Here, the metal compound may use a metal having a higher ionization tendency than iron in order to act as an erosion and corrosion inhibitor. That is, a metal or alloy such as aluminum (Al), magnesium (Mg), or zinc (Zn) may be used, and zinc (Zn) is mainly used.

상기 금속화합물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0㎛일 수 있다.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0.1㎛ 이상이면 금속화합물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금속화합물의 입자가 10㎛ 이하이면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may be 0.1 to 10㎛.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is 0.1 μm or m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etal compound can be reduced, and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metal compound is 10 μm or less, the metal particles can be uniformly dispersed.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organic solv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ethyl ketone (MEK), toluene, and mixtures thereof, and preferably methyl ethyl keton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아민 화합물은 변성 지방족 아민 또는 제3급 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아민 또는 아닐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코팅 조성물 내 포함되어,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의 접착력을 높여, 사용에 따른 코팅막의 균열 또는 박리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The amine compound may include modified aliphatic amines or tertiary amines, and specifically, trimethylamine or aniline may be used. The amin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to prevent cracking or peeling of the coating film. That is, by increas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he effect of preventing cracking or peeling of the coating film according to use is excellent.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bilizer as other additives, and the stabilizer may include a UV absorber, an antioxidant, etc.,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를 포함할 수 있다.For forming the coating layer,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organic solvents, metal compounds and amine compounds.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금속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부 및 아민 화합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siloxan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20 to 40 parts by weight of the metal compound, and 5 to 15 parts by weight of the amine compoun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a synergistic effect is expressed to the extent that the water repellency effect due to the interaction of each component has a critical significance, and when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ynergistic effect is rapidly reduced or almost absen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드론(100)의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More preferably,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1500 to 1800 cP, and when the viscosity is less than 1500 cP, when i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drone 100,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coating layer because it flows down, and when it exceeds 1800 c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 제조예production example 1: 코팅층의 제조] 1: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1. 코팅 조성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아연 및 트리메틸아민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ating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methyl ethyl ketone with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zinc and trimethylamine: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21014891077-pat00002
Figure 112021014891077-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상기 코팅 조성물의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A mor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유기용매organic solvent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폴리실록산polysiloxane 3030 4040 5050 6060 7070 금속 화합물metal compound 1010 2020 3030 4040 5050 아민 화합물amine compounds 1One 55 1010 1515 2020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2. 코팅층의 제조2. Preparation of coating layer

대표적으로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을 드론(100) 대신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Typicall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luminum, a metal material that easily corrodes, instead of the drone 100 .

10×10cm의 알루미늄 일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The coating composition of DX1 to DX5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10×10 cm aluminum, and then cured to form a coating layer.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표면 1. Surface 외관에 대한 평가Appraisal of Appearance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내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Due to the viscosity difference of the coating composition, after the coating layer was prepar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whether a uniform inner surface was formed. Whether or not a uniform coating layer was formed was evaluated, and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균일한 코팅층 형성○: uniform coating layer formation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Formation of a non-uniform coating layer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드론(100)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When the coating layer is formed, if the viscosity is less than a certain level, a flow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drone 100, so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after the curing process.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lowered. In addition, even when the viscosity i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mposition to form a uniform coating layer.

2. 부식 특성의 측정2. Measurement of corrosion properties

부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알루미늄 판을 사용하고, TX1 내지 TX5의 코팅층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을 이용하여 내부식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order to confirm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an aluminum plate without a coating layer was used as a control, and a corrosion resistance test was performed using an aluminum plate with a coating layer of TX1 to TX5.

10 중량%의 CuCl2 수용액이 담긴 비커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담궈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부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The aluminum plate was immersed in a beaker containing a 10 wt% CuCl2 aqueous solution, and the degree of corrosion was checked over time.

수소 기체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며, 24시간 경과 시까지 부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If the generation of hydrogen gas is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it will mean that corrosion occurs, and it was confirmed whether corrosion occurred until 24 hours had elapsed.

○: 부식 발생○: Corrosion

×: 부식 발생하지 않음×: Corrosion does not occur

TX1TX1 TX2TX2 TX3TX3 TX4TX4 TX5TX5 대조군control 부식 발생corrosion occurs ×× ×× ×× ××

상기 실험의 진행 결과, 대조군인 알루미늄판은 비커에 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1시간 미만으로 구리가 석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X1의 경우 3시간 경과 시점에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6시간 경과 시점에 구리 석출이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 aluminum plate was placed in a beaker and hydrogen gas was generated shortly thereafter, and copper was precipitated in less than 1 hour. In the case of TX1, hydrogen gas was generated after 3 hours, and copper precipitation was confirmed after 6 hours.

그 외의 코팅층의 경우에는 24시간 경과 시점에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부식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In the case of other coating layers, corrosion did not occur even after 24 hours had elapsed, confirming that there was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corrosion.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드론,
200 : 연결 디바이스부,
210 : 본체부,
211 : 배터리,
212 : 음성 알림부,
220 : 연결부,
300 : 카메라부,
310 : 관찰 카메라,
320 : 열 화상 카메라,
400 : 회전부,
410 : 감지 센서,
500 : 배변 키트부,
600 : 디스플레이부,
610 ; 어플리케이션,
611 : 관찰부,
612 : 체온부,
613 : 지도 표시부,
614 : 원,
615 : 전달부,
620 : 무선 통신부,
700 : 제어부,
800 : 조종부,
810 : 안테나,
820 : 전원 센서,
830 : 전원 스위치,
840 : 좌측 레버,
850 : 우측 레버,
860 : LCD 모니터,
870 : 위치 버튼,
880 : 관찰 버튼,
890 : 체온 버튼.
100: drone,
200: connection device unit,
210: body part,
211: battery;
212: voice notification unit,
220: connection,
300: camera unit,
310: observation camera;
320: thermal imaging camera,
400: rotating part,
410: detection sensor;
500: defecation kit unit,
600: display unit;
610; application,
611: observation unit,
612: body temperature unit,
613: map display unit,
614: circle,
615: transmission unit;
6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700: control unit;
800: control unit,
810: antenna;
820: power sensor;
830: power switch;
840: left lever,
850: right lever,
860: LCD monitor,
870: position button;
880: Observe button;
890: Body temperature button.

Claims (8)

드론;
상기 드론의 하부에 구성되되, 반려동물과 연결된 연결 디바이스부;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하는 관찰 카메라;
상기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관찰 카메라와 감지 센서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설정된 지역 내에서 상기 반려동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이동 경로로 산책시키고,
상기 반려동물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의 내부에 GPS;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설정된 지역 내를 이동하는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드론은,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 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열 화상 카메라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디바이스부는,
상기 반려동물에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드론과 상기 반려동물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배터리;가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을 상기 배터리에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을 상기 드론의 하부에 연결하면, 상기 배터리의 전력이 상기 드론에 전달되어 상기 드론을 충전시킬 수 있고,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음성 알림부;가 구성되고,
상기 음성 알림부는,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드론을 따라 산책 중인 것을 주변에 알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드론과 상기 반려동물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지도 상에서 상기 드론과 상기 반려동물이 위치한 장소를 표시해주는 지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반려동물이 이동하고 있는 장소를 일정 시간마다 음성으로 알려주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을 조종할 수 있는 스마트 장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장갑은,
상기 스마트 장갑의 열 손가락 각각의 일단 및 손바닥 전체에 형성되는 햅틱 센서부;
상기 스마트 장갑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자이로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구부림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플렉스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갑을 착용한 후 상기 드론을 조종하는 제스처를 취하면, 제스처가 상기 드론에 전달되어 상기 드론이 상기 스마트 장갑의 제스터대로 이동하고,
상기 드론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팅층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부식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금속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자율 산책 드론:
[화학식 1]
Figure 112022054063545-pat0001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drone;
Doedoe configur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 a connection device unit connected to the companion animal;
an observation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companion animal;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bservation camera and the detection sensor;
The drone walks the companion animal along the movement path desired by the user within the set area,
A display unit capable of monitoring the companion animal; further comprising,
The drone is
Including a GPS inside the drone;
The loc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moving within the set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drone is
Including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detect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thermal imaging camera,
The connection device unit,
a body part fix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Including;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A battery;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the battery,
Wh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one, the power of the battery is transferred to the drone to charge the drone,
A voice notification unit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he voice notification unit,
Notifying the surroundings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walking along the drone,
The control unit is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to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unit,
Including; a map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and the companion animal on the map;
The display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notifies the user of the place where the companion animal is moving by voice at regular intervals;
A smart glo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one; further comprising,
The smart glove,
a haptic sensor unit formed on one end of each of the ten fingers of the smart glove and the entire palm;
a gyro sensor unit for recognizing a gesture of the smart glove; and
Including; a flex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bending information of the user's finger;
When the user takes a gesture to control the drone after wearing the smart glove, the gesture is transmitted to the drone and the drone moves to the jester of the smart gl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rone,
The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coating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exhibits an anti-corrosion effect,
The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siloxane-bas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organic solvents; metal compounds; and an amine compound;
Pet autonomous walking drones:
[Formula 1]
Figure 112022054063545-pat00012

Here, n is an integer from 1 to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16431A 2021-02-05 2021-02-05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KR1024400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31A KR102440081B1 (en) 2021-02-05 2021-02-05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431A KR102440081B1 (en) 2021-02-05 2021-02-05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557A KR20220113557A (en) 2022-08-16
KR102440081B1 true KR102440081B1 (en) 2022-09-05

Family

ID=8306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431A KR102440081B1 (en) 2021-02-05 2021-02-05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08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83115A1 (en) * 2014-09-18 2016-03-24 Kevin H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system
WO2016065625A1 (en) 2014-10-31 2016-05-06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alking pets
WO2019173861A1 (en) 2018-03-15 2019-09-19 Smartvet Pty Ltd Smart delivery treatment apparatus for remote treatment of an animal
US20200163310A1 (en) * 2018-11-28 2020-05-28 Kathryn Rust Animal Bark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200178505A1 (en) * 2012-09-19 2020-06-11 Botsitter,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Care and Maintenance of Animal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432B1 (en) 2018-02-27 2020-05-15 (주)호모미미쿠스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separate operation of an anim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78505A1 (en) * 2012-09-19 2020-06-11 Botsitter, Ll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Care and Maintenance of Animals
US20160083115A1 (en) * 2014-09-18 2016-03-24 Kevin H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tethered aerial platform and system
WO2016065625A1 (en) 2014-10-31 2016-05-06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alking pets
US20190116758A1 (en) * 2014-10-31 2019-04-25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walking pets
WO2019173861A1 (en) 2018-03-15 2019-09-19 Smartvet Pty Ltd Smart delivery treatment apparatus for remote treatment of an animal
US20200163310A1 (en) * 2018-11-28 2020-05-28 Kathryn Rust Animal Bark Control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557A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62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lking pets
US2019012942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moving object capturing system
JP6635529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robot device
US20180067502A1 (en) Drone security system
US2018002742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nobtrusively and relocateably extending communication coverage and support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ctivities
KR102111432B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separate operation of an animal
WO2018090493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7521974A5 (en)
KR101882452B1 (en) Fire prevention drone system can charge wirelessly
WO2019041633A1 (en) Communication relay method, relay aerial vehicl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440081B1 (en) Companion animal autonomous walking drone
CN105615851B (en) Wireless vital sign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265564B1 (en) Smar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Y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ired drone docking system for cost-effective security system in IoT environment
CN107908163A (en) A kind of unmanned plane Reconnaissance system based on unmanned naval vessels
US10342217B2 (en) Multipurpose canine camera (MPCC)
Marques et al. Raposa: Semi-autonomous robot for rescue operations
KR102025683B1 (en) Autonomous flight system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Tanjim et al. Image Processing Intelligence Analysis for Robo-Res 1.0: A Part of Humanoid Rescue-Robot
KR102342206B1 (en) 119 fire fighting drone system
Prabhu et al. Small Unarmed Robot for Defense and Security: A Cost-Effective Approach Using Arduino Uno
US20180349745A1 (en) Induction system for mold remediation
KR1025360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invasion of wild animal using drones
Okutake et al. A collaborative safety flight control system for multiple drones
US9406218B1 (en) Chin-operated remot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