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424B1 -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424B1
KR102435424B1 KR1020170117317A KR20170117317A KR102435424B1 KR 102435424 B1 KR102435424 B1 KR 102435424B1 KR 1020170117317 A KR1020170117317 A KR 1020170117317A KR 20170117317 A KR20170117317 A KR 20170117317A KR 102435424 B1 KR102435424 B1 KR 102435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yscale
duty
peak
value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0065A (en
Inventor
심동섭
정석희
홍순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424B1/en
Publication of KR2019003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영상데이터 판독부, 계조 변조부 및 듀티 가변부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 판독부는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의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를 판독하고,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계조 변조부는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되, 변조 계조값 중에서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한다. 듀티 가변부는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키시도록 듀티 비를 조절한다.A display device having a du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n image data reading unit, a grayscale modulation unit, and a duty variable unit. The imag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peak grayscale or average grayscale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nth frame period (n is a natural number), and outputs a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peak grayscale or average graysca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gradation modulator modulates each gradation value of the input image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modulated gradation value. Adjust the peak modulation gradation value belonging to .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the duty variable unit adjusts the duty ratio to reduce the emission period of the pixels during the n-th frame period.

Description

듀티 구동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듀티 구동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duty driving func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평판 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으로 인해서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컴퓨터, 태블릿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이하, OLED) 등이 있다. Flat panel displays (FPDs) are widely used in portable computers such as notebook computers, tablets, and mobile phone terminals, as well as monitors of desktop computers, due to their advantages in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표시장치는 공정 상에서의 편차 또는 패널 특성으로 인한 휘도 변화 특성으로 표시패널에 얼룩이 보이거나 색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표시장치의 휘도 변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중에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구동 기술이 있다. 펄스폭 변조 기술은 휘도 모드에 따라 한 프레임 내에서 픽셀들을 발광시키는 기간과 픽셀들의 발광을 중지시키는 기간을 가변하여 휘도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펄스폭 변조 기술은 높은 휘도를 표시하는 픽셀들의 표시 특성을 개선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만, 낮은 계조 영역에서는 휘도 특성을 개선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In the display device, due to variations in process or luminance change characteristics due to panel characteristics, there may be problems in that the display panel shows unevenness or color deviation occurs. Pulse Width Modulation (PWM) driving technology is one of the methods for improving the luminance change characteristic of a display device. The pulse width modulation technique is a method of improv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by varying a period in which pixels emit light and a period in which pixels emit light in one frame according to a luminance mode. Although the pulse width modulation techniqu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pixels displaying high luminance,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in a low grayscale region.

본 발명은 입력 영상데이터의 계조값이 낮을 경우에도 휘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듀티 구동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duty driving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luminance characteristics even when a grayscale value of input image data is low,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영상데이터 판독부, 계조 변조부 및 듀티 가변부를 포함한다. 영상데이터 판독부는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의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를 판독하고,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계조 변조부는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되, 변조 계조값 중에서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한다. 듀티 가변부는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시키도록 듀티 비를 조절한다.A display device having a dut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n image data reading unit, a grayscale modulation unit, and a duty variable unit. The image data reading unit reads the peak grayscale or average grayscale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nth frame period (n is a natural number), and outputs a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peak grayscale or average graysca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 gradation modulator modulates each gradation value of the input image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to generate a modulated gradation value. Adjust the peak modulation gradation value belonging to .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the duty variable unit adjusts the duty ratio to reduce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pixels during the n-th frame period.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듀티 구동방법은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의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어서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되, 변조 계조값 중에서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시키도록 듀티 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uty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ading a peak grayscale or an average grayscale of input image data in an nth frame period (n is a natural number). and outputting a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peak grayscale or the average graysca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hen,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each of the grayscale values of the input image data is modulated to generate a modulated grayscale value, and the peak modulated grayscale value obtained by modulating the peak grayscale amo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s falls within the range greater than the peak grayscale and less than the maximum grayscale. and adjusting the peak modulation grayscale value. and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adjusting the duty ratio to decrease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pixels during the nth frame period.

본 발명은 저계조 영역의 데이터를 높은 계조값으로 변조하여 픽셀을 구동함으로써 휘도 편차로 인한 표시패널의 얼룩 및 색 편차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최고 휘도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도 저계조 영역의 데이터들을 변조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 모드에 상관없이 휘도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unevenness and color deviation of the display panel due to luminance deviation can be improved by modulating data in a low grayscale region to a high grayscale value to drive pixels. 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ulate data in a low grayscale region even when driving in the highest luminance mode, luminance deviation can be improved regardless of the luminance mod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계조 변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듀티 가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듀티 구동에 의한 데이터전압 및 듀티 기간의 가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제어신호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uty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uty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rayscale modulation method.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uty variable method.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ariation of a data voltage and a duty period by duty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iming of the emiss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ary, and thus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본 명세서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display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픽셀(P)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패널(100), 데이터 구동부(120), 게이트 구동부(130,140) 및 타이밍 콘트롤러(1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in which pixels P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 data driver 120 , gate drivers 130 and 140 , and a timing controller 110 . be prepared

표시패널(100)은 픽셀(P)들이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00A) 및 시프트레지스터(140)가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부(100B)를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unit 100A in which pixels P are arranged to display an image, and a non-display unit 100B in which a shift register 140 is arranged and does not display an image.

표시부(100A)는 복수 개의 픽셀(P)를 포함하고, 각각의 픽셀(P)들이 표시하는 계조를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픽셀(P)들은 제1 내지 제n 픽셀라인(HL1 내지 HL[n])들을 따라 배열된다. 각각의 픽셀(P)은 컬럼라인(Column Line)을 따라 배열되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픽셀라인(HL)을 따라 배열되는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된다. 즉, 동일한 픽셀라인에 배치된 픽셀들은 동일한 게이트라인(GL)을 공유하여 동시에 구동된다. 그리고 제1 픽셀라인(HL1)에 배치된 픽셀들을 제1 픽셀(P1)들이라 정의하고, 제n 픽셀라인(HLn)에 배치된 픽셀들을 제n 픽셀(Pn)들이라고 정의할 때, 제1 픽셀(P1)들부터 제n 픽셀(Pn)들은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하나의 스캔라인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샘플링 기간을 1수평기간(1H)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게이트라인(GL)은 픽셀 구조에 따라 복수의 에미션라인과 복수의 스캔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00A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 and displays an image based on a gray level displayed by each pixel P. The pixels P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to nth pixel lines HL1 to HL[n]. Each pixel P is connected to a data line DL arranged along a column line, and connected to a gate line GL arranged along a pixel line HL. That is, pixels disposed on the same pixel line share the same gate line GL and are driven simultaneously. In addition, when pixels disposed on the first pixel line HL1 are defined as first pixels P1 and pixels disposed on the nth pixel line HLn are defined as nth pixels Pn, the first pixel From (P1) to n-th pixels (Pn) are sequentially driven. In addition, a sampling period for writing data in one scan line may be defined as one horizontal period (1H). The gate line GL may include a plurality of emission lines and a plurality of scan lines according to a pixel structure.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데이터 구동부(120) 및 게이트 구동부(130,14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RGB)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데이터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구동부(130,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0)는 영상데이터(DATA)와 데이터 제어신호(DDC) 및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듀티 구동부(10)로 제공한다.The timing controller 110 controls driving timings of the data driver 120 and the gate drivers 130 and 140 . The timing controller 110 rearranges the image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to match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timing controller 110 generates a data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and a gate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130 and 140 . The timing controller 110 provides the image data DATA, the data control signal DDC, and the gate control signal GDC to the duty driver 10 .

듀티 구동부(10)는 타이밍 콘트롤러(110)로부터 영상데이터(DATA)를 제공받고, 프레임 단위로 영상데이터(DATA)의 계조값을 판독한다. 듀티 구동부(10)는 한 프레임 내의 영상데이터(DATA)들 중에서 피크 계조를 검출하고, 피크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영상데이터들의 계조값을 높여서 변조 계조값을 생성한다. 듀티 구동부는 변조 계조값을 갖는 변조 영상데이터(MDATA)들을 데이터 구동부(120)에 공급하고, 게이트 제어신호(GDC)의 타이밍을 가변한다. 듀티 구동부(1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uty driver 10 receives the image data DATA from the timing controller 110 and reads a grayscale value of the image data DATA in units of frames. The duty driver 10 detects a peak grayscale among the image data DATA within one frame, and increases the grayscale value of the image data when the peak graysca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to generate a modulated grayscale value. The duty driver supplies the modulated image data MDATA havi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to the data driver 120 and varies the timing of the gate control signal GDC.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uty driving unit 10 will be described later.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라인부(DL)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데이터 제어신호(DDC)를 기반으로 듀티 구동부(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DATA) 또는 변조 영상데이터(M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DL)들에 공급한다. The data driving unit 120 is for driving the data line unit DL. The data driver 120 converts the image data DATA or modulated image data MDATA input from the duty driver 10 into analog data voltages based on the data control signal DDC and supplies them to the data lines DL. do.

게이트 구동부(130,140)는 레벨 시프터(130) 및 시프트레지스터(140)를 포함한다. 레벨 시프터(130)는 IC 형태로 표시패널(100)에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형성되고, 시프트레지스터(140)는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100B)에 형성되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이하 GIP) 방식으로 형성된다. The gate drivers 130 and 140 include a level shifter 130 and a shift register 140 . The level shifter 130 is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in the form of an IC, and the shift register 140 is a gat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100B of the display panel 100 . -It is formed in a gate-in-panel (GIP) method.

레벨 시프터(130)는 클럭들 및 스타트신호(VST)를 레벨 쉬프팅한 후 시프트레지스터(140)에 공급한다. 시프트레지스터(140)는 GIP 방식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100B)에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트랜지스터)조합으로 형성된다. 특히 게이트 구동부(130,140)는 듀티 구동부(10)의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따라 게이트라인(GL)들에 인가되는 게이트펄스들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The level shifter 130 provides the shift register 140 after level-shifting the clocks and the start signal VST. The shift register 140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hereinafter, transistors) in the non-display area 100B of the display panel 100 by the GIP method. In particular, the gate drivers 130 and 140 control the timing of gate pulses applied to the gate lines GL according to the gate control signal GDC of the duty driver 10 .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uty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듀티 구동부(10)는 영상데이터 판독부(11), 계조 변조부(14) 및 듀티 가변부(1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duty driver 10 includes an image data reading unit 11 , a grayscale modulator 14 , and a duty variable unit 15 .

영상데이터 판독부(11)는 입력 영상데이터들 중에서 피크 계조 또는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image data reading unit 11 outputs a duty control signal when a peak gradation among input image data or an average gradation of the input image data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계조 변조부(14)는 듀티 제어신호(S_d)에 응답하여 입력 영상데이터(DATA)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한다. 듀티 가변부(15)는 변조 계조값 중에서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한다.The grayscale modulator 14 modulates each grayscale value of the input image data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S_d to generate a modulated grayscale value. The duty variable unit 15 adjusts the peak modulated grayscale value obtained by modulating the peak grayscale amo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s to a peak modulated grayscal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peak grayscale and falls within the maximum grayscale range.

듀티 가변부(15)는 듀티 제어신호(S_d)에 응답하여, 한 프레임 기간 동안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키시도록 듀티 비(duty ratio)를 조절한다.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S_d, the duty variable unit 15 adjusts a duty ratio to reduce the emission period of pixels during one frame perio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uty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듀티 구동부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operation of the duty driver is as follows.

제1 단계(S301)에서, 피크 계조 판독부(12) 또는 평균계조 판독부(13)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DATA)를 판독한다. 피크 계조 판독부(12)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데이터(DATA)를 판독하여, 한 프레임에 속하는 영상데이터(DATA)의 피크 계조를 검출한다. 피크 계조는 한 프레임 내의 영상데이터(DATA)들 중에서 가장 높은 계조를 피크 계조로 검출할 수 있다. 평균계조 판독부(13)는 프레임 단위로 영상데이터(DATA)를 판독하여, 한 프레임에 속하는 영상데이터(DATA)들의 평균 계조를 검출한다. 피크 계조 판독부(12) 및 평균계조 판독부(13)는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S301, the peak gradation reading unit 12 or the average gradation reading unit 13 reads the input image data DATA. The peak gradation reading unit 12 reads the image data DATA frame by frame, and detects the peak gradation of the image data DATA belonging to one frame. As for the peak gray level, the highest gray level among the image data DATA in one frame may be detected as the peak gray level. The average grayscale reading unit 13 reads the image data DATA in units of frames, and detects the average grayscale of the image data DATA belonging to one frame. The peak gradation reading section 12 and the average gradation reading section 13 can be selectively driven.

제2 단계(S303)에서, 피크 계조 판독부(12)는 피크 계조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와 비교한다. 제1 임계치는 휘도 특성을 개선할 대상이 되는 저계조의 영상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피크 계조 판독부(12)는 피크 계조의 크기가 제1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S_d)를 출력한다. In the second step S303, the peak gradation reading unit 12 compares the magnitude of the peak gradation with a preset first threshold. The first threshold is for determining low-grayscale image data to be improved in the luminance characteristic. The peak grayscale reading unit 12 outputs the duty control signal S_d when the peak grayscale level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평균계조 판독부(13)는 평균 계조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와 비교한다. 제1 임계치와 제2 임계치의 크기를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및 제2 임계치를 임계치로 통일하기로 한다.The average gradation reading unit 13 compares the magnitude of the average gradation with a preset second threshold. The size of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may be the same or may be set differently. 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s will be unified as thresholds.

제3 단계(S305)에서. 영상데이터 판독부(11)가 듀티 제어신호(S_d)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표시장치는 노멀 구동을 유지한다. 노멀 구동은 휘도 모드에 따라 프레임 기간 동안 발광 기간을 계속 유지하거나, 사용자 선택에 의한 휘도 모드에 따라서 발광 기간을 줄이는 구동방법을 의미한다. In the third step (S305). In a state in which the image data reading unit 11 does not output the duty control signal S_d, the display device maintains normal driving. The normal driving refers to a driving method in which the light emission period is continuously maintained during the frame period according to the luminance mode or the light emission period is reduc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mode selected by the user.

제4 단계(S307)에서, 계조 변조부(14)는 듀티 제어신호(S_d)에 응답하여 영상데이터의 계조값을 변조한다. 계조 변조부(14)가 영상데이터(DATA)의 계조값을 변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fourth step S307, the grayscale modulator 14 modulates the grayscale value of the image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S_d. A method in which the grayscale modulator 14 modulates the grayscale value of the image data DATA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피크 휘도에 따라 영상데이터의 계조값을 변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기준 감마커브(gamma_R)는 최대 휘도 모드에서의 2.2 감마커브를 지칭한다. 도 4에서, 기준 감마커브(gamma_R)는 최대 계조(G_max)가 255계조이고, 최대 휘도(L_max)가 1000니트로 설정된 감마커브를 도시하고 있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odulating a grayscale value of image data according to a peak luminance. In FIG. 4 , the reference gamma curve gamma_R refers to a gamma curve of 2.2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In FIG. 4 , the reference gamma curve gamma_R shows a gamma curve in which the maximum grayscale G_max is 255 grayscales and the maximum luminance L_max is set to 1000 nits.

제1 내지 제4 데이터(data1, data2, data3, data4)는 임의의 한 프레임에 속한 영상데이터들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피크계조 판독부(12)에 의해서 듀티 제어신호(S_d)를 출력할 때, 피크 계조(G_peak)는 한 프레임에 속한 영상데이터들 중에서 가장 큰 계조를 지칭한다. 또는, 평균계조 판독부(13)에 의해서 듀티 제어신호(S_d)를 출력할 때, 피크 계조(G_peak)는 한 프레임에 속한 영상데이터들 중에서 평균 계조 이내의 계조 중에서 가장 큰 계조를 지칭한다.The first to fourth data data1, data2, data3, and data4 represent examples of image data belonging to an arbitrary frame. When the duty control signal S_d is output by the peak gray level reading unit 12, the peak gray level G_peak refers to the largest gray level among image data belonging to one frame. Alternatively, when the duty control signal S_d is output by the average grayscale reading unit 13, the peak grayscale G_peak refers to the largest grayscale among the grayscales within the average grayscale among image data belonging to one frame.

도 4는 제4 데이터(data4)의 계조값에 해당하는 127계조를 피크 계조라고 간주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최대 휘도 모드에서 127계조가 표시하는 휘도가 200nit라고 할 때, 제n 프레임에서 각 픽셀들은 0니트 내지 200니트 범위 내에서 휘도를 표시한다. 4 shows an example in which 127 grayscales corresponding to the grayscale values of the fourth data data4 are regarded as peak grayscale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luminance displayed by 127 grayscales is 200 nits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each pixel in the nth frame displays the luminance within the range of 0 nits to 200 nits.

계조 변조부(14)는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영상데이터들 중에서의 피크 계조(G_peak)를 기준 감마커브(gamma_R) 상에서의 최대 계조(G_max)로 변조한다. 그리고 계조 변조부(14)는 제n 프레임 영상데이터들의 계조값을 피크 계조(G_peak)의 변화율과 동일한 변화율을 갖도록 변조시킨다. 결과적으로, 계조 변조부(14)는 0계조에서 피크 계조(G_peak)까지의 범위를 갖는 제n 프레임 영상데이터들의 계조 범위를 0계조에서 최대 계조(G_max)까지로 리스케일(recale)한다.The grayscale modulator 14 modulates the peak grayscale G_peak in the nth (n is a natural number) frame image data to the maximum grayscale G_max on the reference gamma curve gamma_R. The grayscale modulator 14 modulates the grayscale values of the nth frame image data to have the same change rate as the change rate of the peak grayscale G_peak. As a result, the grayscale modulator 14 rescales the grayscale range of the nth frame image data having the range from 0 grayscale to the peak grayscale G_peak from 0 grayscale to the maximum grayscale G_max.

제n 프레임 영상데이터들을 리스케일 하는 방법은 피크 계조(G_peak)의 변화율을 이용할 수 있다. 0계조에서 피크 계조(G_peak) 범위 내에서 임의의 계조값(Gx)과 리스케일된 변조 계조값(G_mod)은 "G_peak:G_max = Gx:Gmod"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계조 변조부(14)는 제n 프레임에 속하는 임의의 계조값(Gx)에 대한 변조 계조값(G_mod)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A method of rescaling the n-th frame image data may use a change rate of the peak grayscale (G_peak). An arbitrary grayscale value (Gx) and a rescaled modulation grayscale value (G_mod) within the range of 0 grayscale to peak grayscale (G_peak) have a relationship of "G_peak:G_max = Gx:Gmod". Accordingly, the grayscale modulator 14 may calculate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G_mod for an arbitrary grayscale value Gx belonging to the nth frame by us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G_mod = (G_max/G_peak)×GxG_mod = (G_max/G_peak)×Gx

계조 변조부(14)는 변조 계조값(G_mod)들을 데이터 구동부(120)로 제공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변조 계조값(G_mod)들을 이용하여 데이터전압을 생성한다. The grayscale modulator 14 provides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s G_mod to the data driver 120 . The data driver 120 generates a data voltage usi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s G_mod.

제5 단계(S309)에서, 듀티 가변부(15)는 듀티 제어신호(S_d)에 응답하여, 듀티 비를 조절한다. 듀티 가변부(15)가 듀티 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fifth step ( S309 ), the duty variable unit 15 adjusts the duty ratio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S_d. A method for the duty variable unit 15 to adjust the duty ratio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피크 휘도에 따라 듀티 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변조 계조값(G_mod)을 이용하여 데이터전압을 생성하기 때문에, 제n 프레임의 발광 기간을 동일하게 유지하면 제n 프레임 표시 영상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상승한다. 따라서, 듀티 가변부(15)는 변조 계조값(G_mod)의 크기에 따라 제n 프레임의 발광 기간을 가변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duty ratio according to peak luminance. Since the data driver 120 generates a data voltage usi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G_mod, if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nth frame is maintained the same, the luminance of the image displayed in the nth frame is increased as a whole. Accordingly, the duty variable unit 15 varies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n-th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dulation grayscale value G_mod.

도 5를 참조하여 듀티 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기준 감마커브(gamma_R), 제1 내지 제4 데이터(data4)는 도 4에 도시된 일례와 동일하다. A method of adjusting the duty rati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In FIG. 5 , the reference gamma curve gamma_R and the first to fourth data data4 are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4 .

기준 감마커브(gamma_R)에서 127계조를 갖는 제4 데이터(data4)가 표시한는 휘도가 200nit라고 할 때, 제4 데이터(data4)가 변조된 제4 변조 계조값(G_mod)은 255계조를 갖는다.When the luminance displayed by the fourth data data4 having 127 grayscales in the reference gamma curve gamma_R is 200 nits, the fourth modulated grayscale value G_mod in which the fourth data data4 is modulated has 255 grayscales.

듀티 가변부(15)는 제n 프레임 영상이 전체적으로 높은 휘도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n 프레임 기간 내에서의 발광 기간을 감소시킨다. 한 프레임 기간에서 발광 기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듀티 비(Duty Ratio)라고 정의할 때, 한 프레임 기간 동안 표시패널(100)이 표시하는 전체적인 휘도는 듀티 비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 따라서, 듀티 가변부(15)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듀티 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duty variable unit 15 reduces the light emission period within the n-th frame period so that the n-th frame image does not display high luminance as a whole. When the ratio occupied by the light emitting period in one frame period is defined as a duty ratio, the overall luminanc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100 during one frame period i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duty ratio. Accordingly, the duty variable unit 15 may adjust the duty ratio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Duty_m=(L_max / L_peak)×100Duty_m=(L_max / L_peak)×100

[수학식 2]에서 변조 듀티 비(Duty_m)는 최대 계조(G_max)에 대비하여 피크 계조(G_peak)의 비율로 설정되는 듀티 비를 지칭한다. 따라서, [수학식 2]를 바탕으로 듀티 비를 조절하면, 제n 프레임 영상은 최대 휘도 모드에 대응하는 휘도를 표시한다. 표시장치는 휘도 모드에 따라서 이미 듀티 구동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는 사용자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듀티 비를 가변하여 255계조의 최대 휘도를 가변할 수 있다. 일례로, 255계조의 휘도값이 최대 휘도(L_max)의 50%의 휘도를 표시하는 휘도 모드를 설정하고 있다면, 듀티 구동부(10)는 피트 계조 또는 평균 계조에 상관없이 듀티 비를 50%로 설정한 상태이다. 사용자 선택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듀티 비를 설정 듀티 비(Duty_set)라고 할 때, 듀티 구동부(10)는 변조 듀티 비(Duty_m)를 설정 듀티 비(Duty_set)의 비율로 낮출 수 있다. 즉, 듀티 구동부(10)는 설정 듀티 비(Duty_set)가 a%이고, 변조 듀티 비(Duty_m)가 b%일 때, 휘도 모드 설정 상태에서의 변조 듀티 비를 "{(a/100)×(b/100)}100"으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 듀티 비(Duty_set)가 50%이고, 변조 듀티 비(Duty_m)가 20%라고 하면, 50% 휘도 모드 설정 상태에서의 변조 듀티 비는 (20×50)/100=10(%)로 설정할 수 있다.In [Equation 2], the modulation duty ratio (Duty_m) refers to a duty ratio set as the ratio of the peak gray level (G_peak) to the maximum gray level (G_max). Accordingly, if the duty ratio is adjusted based on [Equation 2], the n-th frame image displays the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luminance mode. The display device may be in a state in which duty driving has already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mode.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vary the maximum luminance of 255 grayscales by vary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a user or a preset condition. For example, if a luminance mode in which a luminance value of 255 grayscale is set to 50% of the maximum luminance L_max is set, the duty driver 10 sets the duty ratio to 50% regardless of the pit grayscale or the average grayscale is in one state When a duty ratio preset by a user selection is referred to as a set duty ratio (Duty_set), the duty driver 10 may lower the modulation duty ratio (Duty_m) to a ratio of the set duty ratio (Duty_set). That is, when the set duty ratio (Duty_set) is a% and the modulation duty ratio (Duty_m) is b%, the duty driver 10 calculates the modulation duty ratio in the luminance mode setting state as “{(a/100)×( b/100)}100". For example, if the set duty ratio (Duty_set) is 50% and the modulation duty ratio (Duty_m) is 20%, the modulation duty ratio in the 50% luminance mode setting state is (20×50)/100=10(%). can be set.

도 6은 본 발명의 듀티 구동부에 의한 데이터전압을 비교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comparing data voltages by the duty dri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100% 듀티 구동전압(Duty_100)은 일반적인 최대 휘도 모드로 동작하였을 때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제n 프레임 영상의 데이터전압이다. 20% 듀티 구동전압(Duty_20)은 본 발명의 듀티 구동부(10)에 의한 변조 계조값(G_mod)의 데이터전압을 나타낸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데이터전압들은 제4 데이터(data4)의 데이터전압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n 프레임과 제(n+1) 프레임에서 제4 데이터(data4)는 동일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In FIG. 6 , the 100% duty driving voltage Duty_100 is the data voltage of the n-th frame imag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when operating in the general maximum luminance mode. The 20% duty driving voltage Duty_20 represents a data voltage of the gradation value G_mod modulated by the duty driving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data voltages shown in FIG. 6 represent the data voltage of the fourth data data4, and the fourth data data4 represents the same value in the nth frame and the (n+1)th frame.

도 6을 참조하면, 듀티 구동을 하지 않는 최대 휘도 모드 상태에서 제4 데이터(data4)는 일정한 127계조전압(V_127G)을 유지한다. 127계조전압(V_127G)은 최대 휘도 모드에서 127계조에 대응하는 200니트의 휘도를 표시하기 위해서 픽셀(P)들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이다. Referring to FIG. 6 ,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state in which duty driving is not performed, the fourth data data4 maintains a constant 127 grayscale voltage V_127G. The 127 gradation voltage V_127G is a dat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s P to display 200 nits of luminance corresponding to 127 gradations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본 발명의 듀티 구동에 의하면 제4 데이터(data4)에 해당하는 계조는 계조 변조부에 의해서 255계조로 변조되고, 그 결과 제4 데이터(data4)를 인가받는 픽셀(P)은 최대 휘도 모드 상태에서 255계조전압(V_255G)을 이용하여 발광한다. 255계조전압(V_255G)은 최대 휘도 모드에서 255계조에 대응하는 1000니트의 휘도를 표시하기 위해서 픽셀(P)들에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듀티 구동에 의하면 제n 프레임 기간 동안에 픽셀(P)들은 20%의 듀티 비로 구동한다. 그 결과 제n 프레임 기간에서 20% 기간동안 발광을 유지하고, 80%기간 동안 발광을 중지한다. According to the duty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y leve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data data4 is modulated to 255 gray levels by the gray level modulator. As a result, the pixel P to which the fourth data data4 is applied is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It emits light using the 255 gradation voltage (V_255G). The 255 gradation voltage V_255G is a dat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s P to display a luminance of 1000 nits corresponding to the 255 gradation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uty driv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s P are driven at a duty ratio of 20% during the n-th frame period. As a result, light emission is maintained for a period of 20% in the nth frame period and light emission is stopped for a period of 80%.

도 7은 발광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제어신호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발광제어신호가 턴-온 전압일 때에 픽셀들이 발광하는 실시 예를 바탕으로 도시되었다.7 is a diagram showing the timing of the emiss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mission period. 7A and 7B are illustrated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pixels emit light when the emission control signal is a turn-on voltage.

도 7의 (a)를 참조하면, 듀티 구동을 하지 않는 최대 휘도 모드 상태에서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픽셀(P)들에 인가되는 발광제어신호(EM)는 턴-온 전압을 유지한다.Referring to FIG. 7A , the emission control signal EM applied to the pixels P maintains a turn-on voltage during the n-th frame period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state in which duty driving is not performed.

이에 반해서, 도 7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듀티 구동을 할 때에, 제n 프레임 기간의 20%의 기간 동안 발광제어신호(EM)는 턴-온 전압을 유지하고, 제n 프레임 기간의 80%의 기간 동안 발광제어신호(EM)는 턴-오프 전압을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B , when the duty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EM maintains the turn-on voltage for 20% of the n-th frame period, and the n-th frame period is During 80% of the frame period, the light emission control signal EM maintains a turn-off voltage.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계조 영역의 데이터를 높은 계조값으로 변조하여 픽셀을 구동함으로써 휘도 편차로 인한 표시패널의 얼룩 및 색 편차 개선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최고 휘도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에도 저계조 영역의 데이터들을 변조할 수 있기 때문에 휘도 모드에 상관없이 휘도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nevenness and color deviation of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luminance deviation can be improved by driving the pixels by modulating data in the low grayscale region to a high grayscale value. 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ulate data in a low grayscale region even when driving in the highest luminance mode, luminance deviation can be improved regardless of the luminance mode.

본 명세서는 듀티 구동부(10)가 타이밍 콘트롤러(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듀티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duty driving unit 10 is disposed outside the timing controller 110 , the duty driving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timing controller.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듀티 구동부 100: 표시패널
110: 타이밍 콘트롤러 120: 데이터 구동부
130,140: 게이트 구동부
10: duty driver 100: display panel
110: timing controller 120: data driver
130,140: gate driver

Claims (12)

다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의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를 판독하고, 상기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영상데이터 판독부;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되, 상기 변조 계조값 중에서 상기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상기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하는 계조 변조부; 및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시키도록 듀티 비(duty ratio)를 조절하는 듀티 가변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조 변조부는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이 0계조부터 상기 피크 계조 범위 내에 속하는 계조값일 때,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계조값 각각을 상기 0계조부터 최대 계조 범위 내에 속하는 변조 계조값으로 변조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an image data reading unit for reading a peak gradation or an average gradation of input image data in an nth frame period (n is a natural number) and outputting a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peak gradation or average grad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 modulated gradation value is generated by modulating each gradation value of the input image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a gradation modulator for adjusting a peak modulated gradation value belonging to a range of ; and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comprising a duty variable for adjusting a duty ratio (duty ratio) to reduce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pixels during the n-th frame period,
The gradation modulator
The display device modulates each of the grayscale values of the input image data into a modulated grayscale value that falls within the maximum grayscale range from the 0 grayscale when the input image data has a grayscale value that falls within the peak grayscale range from zero graysca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판독부는
프레임 기간 단위로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을 비교하고,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 중에서 가장 높은 계조값을 상기 피크 계조로 설정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data reading unit
The display device compares each of the input image data in units of a frame period, and sets a highest grayscale value among the input image data as the peak graysca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 판독부는
상기 제n 프레임에 속하는 상기 영상데이터들의 평균 계조를 산출하고, 상기 평균 계조가 상기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상기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data reading unit
The display device calculates an average grayscale of the image data belonging to the nth frame, and outputs the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average grayscal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reshold.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변조부는
상기 피크 계조에 대비한 상기 피크 변조 계조값의 비율이, 상기 제n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입력 영상데이터 계조값에 대비한 상기 변조 계조값의 비율과 동일하도록 상기 제n 프레임 내에서 임의의 입력 영상데이터 계조값을 상기 변조 계조값으로 변조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radation modulator
Any input image within the nth frame so that the ratio of the peak modulated grayscale value to the peak grayscale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to the input image data grayscale value in the nth frame A display device for modulating a data grayscale value with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변조부는
0계조부터 상기 피크 계조 범위에 속하는 임의의 계조값(Gx)이 변조된 변조 계조값(G_mod)를 다음의 [수학식1]을 이용하여 산출하되,
[수학식 1]
G_mod = (G_max/G_peak)×Gx
이때, G_max는 표시장치의 최대 계조이고, G_peak는 상기 피크 계조의 계조값인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radation modulator
A modulated gradation value (G_mod) in which an arbitrary gradation value (Gx) belonging to the peak gradation range from 0 gradation is modulated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G_mod = (G_max/G_peak)×Gx
In this case, G_max is the maximum gray scale of the display device, and G_peak is the gray scale value of the peak gray sca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가변부는
상기 피크 변조 계조값에 대응하는 휘도값에 대비한 상기 피크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값의 비율이, 100%의 듀티 비에 대비한 상기 제n 프레임의 듀티 비의 비율이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상기 제n 프레임 기간의 듀티 비를 제어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ty variable part
The ratio of th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eak grayscale to th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eak modulated grayscale value is equal to the ratio of the duty ratio of the nth frame to the duty ratio of 100%. A display device that controls the duty ratio of a frame peri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가변부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듀티 비를 조절하여 변조 듀티비(Duty_m)로 듀티 구동을 하되,
[수학식 2]
Duty_m=(L_max / L_peak)×100
이때, L_max 는 최대 휘도 모드에서 최대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값이고, L_peak는 최대 휘도 모드에서 상기 피크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값인 표시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uty variable part
By adjusting the duty ratio using [Equation 2] as shown below, duty driving is performed with the modulation duty ratio (Duty_m),
[Equation 2]
Duty_m=(L_max / L_peak)×100
In this case, L_max is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grayscale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and L_peak is a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peak grayscale in the maximum luminance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계조값을 입력받고, 상기 변조 계조값을 바탕으로 데이터전압을 상기 픽셀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ata dr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modulated gradation value and supply a data voltage to the pixels based on the modulated gradation value.
표시패널에 배치되는 픽셀들의 발광 기간을 제어하는 듀티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의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피크 계조 또는 평균 계조가 임계치 이하일 경우에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 각각의 계조값을 변조하여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되, 상기 변조 계조값 중에서 상기 피크 계조를 변조한 피크 변조 계조값을 상기 피크 계조 보다 크고 최대 계조 이하의 범위에 속하는 피크 변조 계조값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상기 픽셀들의 발광기간을 감소시키도록 듀티 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이 0계조부터 상기 피크 계조 범위 내에 속하는 계조값일 때, 상기 입력 영상데이터들의 계조값 각각을 상기 0계조부터 최대 계조 범위 내에 속하는 변조 계조값으로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듀티구동방법.
A duty driving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emission period of pixels disposed on a display panel, the method comprising:
reading a peak gradation or an average gradation of input image data in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frame period;
outputting a duty control signal when the peak grayscale or the average grayscal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A modulated gradation value is generated by modulating each gradation value of the input image data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adjusting to a peak modulation grayscale value belonging to a range of ; and
In response to the duty control signal,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duty ratio to decrease the light emission period of the pixels during the n-th frame period,
The step of generating the modulated gradation value includes:
and modulating each of the grayscale values of the input image data to a modulated grayscale value falling within the maximum grayscale range from the 0 grayscale when the input image data has a grayscale value that falls within the peak grayscale range from the zero grayscale. driving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계조값을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변조 계조값을 이용하여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듀티 구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generating the modulated gradation value,
and generating a data voltage by using the modulated grayscale valu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비를 조절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픽셀들에 인가되는 발광제어신호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듀티 구동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adjusting the duty ratio,
and adjusting the timing of the emission control signal applied to the pixels.
KR1020170117317A 2017-09-13 2017-09-13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35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317A KR102435424B1 (en) 2017-09-13 2017-09-13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317A KR102435424B1 (en) 2017-09-13 2017-09-13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65A KR20190030065A (en) 2019-03-21
KR102435424B1 true KR102435424B1 (en) 2022-08-23

Family

ID=6603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317A KR102435424B1 (en) 2017-09-13 2017-09-13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4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9231B (en) * 2019-05-23 2023-04-28 广东智媒云图科技股份有限公司 Draw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016346A (en) 2020-07-30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N112669768B (en) * 2020-12-29 2022-06-10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LED display screen brightness adjust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29188B1 (en) * 2021-08-31 2023-05-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2307B1 (en) * 2005-05-18 2011-12-28 Array Biopharma, Inc. Heterocyclic inhibitors of mek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080101679A (en) * 2007-05-18 2008-11-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Display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321455B2 (en) * 2007-05-25 2013-10-23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461019B1 (en) * 2008-04-14 2014-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3808B1 (en) * 2008-08-08 2014-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65A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4217B2 (en) Method and module for processing high dynamic range (HDR) imag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309880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9138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46107B1 (en) Display device and luminance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5424B1 (en) Display Device having Duty Driving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85270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10070638A (en) Method for driving local dimm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pparatus thereof
KR10231569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05047128A (en) 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3024197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02393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03751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70120279A (en)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and apparatus for driving the same
KR10112649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675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local dimming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52693B1 (en) Video wall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7007377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43858B1 (en) Self Light Emission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KR10204413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97751B1 (en) Multivision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1087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39271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4193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high dynamic range (hd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3549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reof
KR10262335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