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883B1 -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83B1
KR102434883B1 KR1020200119114A KR20200119114A KR102434883B1 KR 102434883 B1 KR102434883 B1 KR 102434883B1 KR 1020200119114 A KR1020200119114 A KR 1020200119114A KR 20200119114 A KR20200119114 A KR 20200119114A KR 102434883 B1 KR102434883 B1 KR 10243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ser
gaze
dementia
recogn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6644A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20011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8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Neu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버튼이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상기 획득한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is provided. The system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a screen, a butto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views of a problem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nd the problem in the display unit An eye-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the user's eye-recognition data for a period of time from the output to the moment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and the input button input by the user is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and a data analysis server for generating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input button corresponds to , and a result of analyzing the acquired eye recognition data.

Description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eye recognition data

본 발명은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치매(Dementia)의 치료를 위한 연구는 20년 넘게 전 세계적으로 수행되었지만, 아직 완전한 치료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특히, 초기 치매 환자는 기억력 저하 등을 제외하면 증상이 명확하지 않아 진단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치매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평가 또는 고가의 특수 검사 등을 필요로 한다. Research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has been conducted worldwide for over 20 years, but there is still no complete treatment method. In particular, early-stage dementia patients have difficulties in diagnosing them because the symptoms are not clear except for memory deterioration.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diagnose the occurrence of dementia, an expert evaluation or expensive special examination is required.

한국의 경우 현재 치매 환자는 약 76만명이고 2040년 경에는 약 2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될 정도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In the case of Korea, the current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about 760,000, and it is expected to reach about 2 million by 2040, which is a very serious situation.

치매 발생을 초기 단계 또는 사전에 진단할 수 있게 되면 환자의 치료와 요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 게 되는바 이를 사전에 예측하고 진단하기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유형별로 다양한 치매를 정확하고 빠르게 진단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If the onset of dementia can be diagnosed at an early stage or in advance, the cost of patient treatment and recuperation can be reduc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and quickly diagnose various types of dementia.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1164호(2016.01.06)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1164 (2016.01.0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시킨 후 사용자가 정답에 일치하는 버튼을 입력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와, 그 과정에서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답 영역을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 및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fter outputting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creen,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nputs a button matching the correct answer and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the correct answer area using eye recognition data in the proces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that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of dementia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patient and the gaze tim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다른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버튼이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상기 획득한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시간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주시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보기 영역) 중 정답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 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a screen, and a plurality of problems provided by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 butto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view, the user's eye recognition during the time from when the problem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until the moment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Dementia diagnosis for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data and whether the input button input by the user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quired eye recognition data It contains a data analysis server that generates results. At this time, the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azed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for the time as the eye recognition data, and the data analysis server uses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Diagnosis of dementia based on whether the user gazes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a correct answer (hereinafter, a correct answer region) among a plurality of regions (hereinafter, viewing regions) output on the screen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gazing time produce result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되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문제 영역과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은 각각 상응하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된 입력 버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output on the screen may include a problem area and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and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may include input button images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ca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는 복수 개이고,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안구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의 평균 문제 제공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주시한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 문제 제공 시간 대비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1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provided by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s plural, and the data analysis server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lurality of problems, and based on the eye recognition data, dementia for the user. The diagnosis result is generated, but the data analysis server calculates an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from the time each problem is output to the input button, and the user watches the screen until each problem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After calculating one average screen viewing time,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may be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to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satisfies a ratio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minimum gaze tim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문제 영역을 주시한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을 각각 주시한 시간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나머지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 대비 상기 정답 영역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2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ata analysis server,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for which the user gazes at the problem area until the respective question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and the time each time the user gazes at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calculates an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Based on whether or not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may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화면 상의 상기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의 좌표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에 상응하도록 매핑시키며, 상기 매핑된 결과에 따른 좌표정보를 통해 상기 보기 영역 중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 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obtains and stor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ing area on the screen in advance, and uses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o view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 area It is mapped to correspond to the area, and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may be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the correct area of the viewing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rough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ed resul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전의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주시하는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정답 영역에 대하여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extracts,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looks at for a predetermined time prior to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may be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the correct answer area through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유형별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체 문제 대비 정답률, 정답 유형별 정답률 및 난이도별 정답률을 더 반영하여 치매 유형, 치매 단계, 치매 경과, 맞춤형 훈련 정보 및 생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provides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pecific questions each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graded difficulty levels, and the correct rate for all questions, the correct rate for each correct type, and the correct rate for each difficulty are further reflected to generate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ncluding dementia type, dementia stage, dementia progress, customized training information, and life guidan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형별 문제 및 상기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에 상응하는 문제별로 상기 사용자의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고, 상기 소팅된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형별 및 등급별로 구분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sorts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problem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ypes of problems and the plurality of grades of difficulty, and the gaze corresponding to the sorted result. Based on the time,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divided by the type and the grade may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입력 버튼이 상기 문제의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주시하는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보기 영역) 중 정답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method performed by the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outputting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a screen; acquiring the user's eye recognition data for a period of time from when the problem is output on the screen until the moment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receiving, from the user, any one input button amo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xamples of problems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nd generating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received input button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and a result of analyzing the eye recognition data. In this case, the step of acquiring the eye recognition data includes: acquiring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t which the user gazes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for the time as the eye recognition data, and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ncludes: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hereinafter, the correct answer area) among the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iews output on the screen through the information (hereinafter, the correct answer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Generate dementia diagnosis resul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방법을 실행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combined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to execute a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the eye recognition data, and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자의 경우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치매 진단 결과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치매 진행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and especially for the elderly, it can be easily used, so that the diagnosis result of dementia can be easily generated, and only by using it can the progression of dementia be alleviated. There is this.

또한,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좌표정보와 주시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치매 진단시 활용함으로써 손상된 인지력 영역에 대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the impaired cognitive ability area by acquiring eye recognition data, extract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gaze time information, and using it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이와 더불어, 사용자별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맞춤형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report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for each user, an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train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와 버튼 입력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을 수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문제와 정답 결과, 그리고 치매 진단 결과 보고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100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and a button input uni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performing dementia diagnosis based on time information.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blem, correct answer result, and a dementia diagnosis result report.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 이하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버튼 입력부(120)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100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110 and the button input unit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10), 버튼 입력부(120),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130) 및 데이터 분석 서버(140)를 포함한다.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 a button input unit 120 , an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130 , and a data analysis server 140 .

디스플레이부(110)는 데이터 분석 서버(140)로부터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수신한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110 receives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from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and outputs the received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the screen.

일 실시예로,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복수의 문제로 구성된 게임 형태로 제공된다. 치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진단, 인지력 개선 훈련을 진행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게임은 치매가 심각하게 진행되더라도 재미라는 감정을 잃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다.In one embodiment,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am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dementia problem, early diagnosis and cognitive improvement training are required. Among them, games are very effective because even if dementia progresses seriously, the feeling of fun is not lost.

복수의 문제는 수리력, 기억력, 지남력, 어휘력, 주의집중력의 유형별로 분류된다. 또한, 복수의 문제는 각각 복수의 등급별로 구분되는 난이도에 따라 생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랜덤한 문제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정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를 제공하거나, 특정 난이도에 해당하는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Multiple problems are classified by type of numeracy, memory, orientation, vocabulary, and atten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blem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iculty divided by a plurality of grades,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may provide the user with a random problem as well as provide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type or a problem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ifficulty level.

여기에서 사용자는 초기 치매 환자, 중기 치매 환자, 치매 예방 학습자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user means an early dementia patient, a middle-stage dementia patient, a dementia prevention learner, and the lik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이와 같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화면 상에 문제 영역과 복수의 보기 영역을 갖도록 출력된다. 이때, 복수의 보기 영역은 각각 상응하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된 입력 버튼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is output to have a problem area and a plurality of viewing areas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as shown in FIG. 2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may include images of input buttons configured with different col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버튼 입력부(120)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버튼 입력부(120)는 고령자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빨강색, 초록색, 파랑색을 갖는 각각의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The button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xamples of problems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 one embodiment, the button input unit 120 includes each input button having red, green, and blue colors as shown in FIG. 2 so that even an elderly person can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사진과 "항아리 구멍속으로 보이는 이 동물은 무엇일까요?"라는 문장을 문제로 제공받고, 이에 대한 보기로 빨강색 테두리로 표시된 "닭", 초록색 테두리로 표시된 "오리", 파랑색 테두리로 표시된 "백조" 단어를 제공받으면, 버튼 입력부(120)를 통해 문제의 정답에 해당하는 색상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입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is provided with a specific picture and the sentence “What is this animal that looks in the hole of the jar?” through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nd as an example, “chicken” marked with a red border, When the words "duck" indicated by a green border and "swan" indicated by a blue border are provided,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is inputted through the button input unit 120 .

이후,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사용자의 입력 결과에 대한 정답 여부를 판별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input result is a correct answer and generates a dementia diagnosis resul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문제가 출력된 시각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시각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안구인식 데이터를 활용하면 손상된 인지력을 정밀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130 receives the user's eye for a time from the time when the problem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0 until the time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Acquire recognition data. The advantage of using such eye recognition data is tha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measure impaired cognition.

사용자는 화면 상에 문제가 출력되면 해당 문제를 풀기 위해 화면을 주시하며, 치매 측정을 위한 문제는 복잡성을 요하는 문제가 아닌 직관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이므로, 정답을 입력하는 순간까지 화면을 주시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제 출력 시각부터 버튼 입력 시각까지의 시간을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한다.When a probl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watches the screen to solve the problem, and since the problem for dementia measurement is a problem that can be solved intuitively, not a problem that requires complexity, keep an eye on the screen until the moment you enter the correct answer. it is common to have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the time from the time of problem output to the time of button input as eye recognition data.

또한,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130)는 상기 시간 동안 사용자가 화면을 주시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한다.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130 obtains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azed at the screen during the time period as the eye recognition data. A specific embodiment us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미리 구축된 문제 풀로부터 사용자에게 적합한 문제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버튼이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The data analysis server 140 extracts and provides a problem suitable for the user from a pre-built problem pool,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button input by the user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ye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is generated.

이는 기존의 설문지 형태나 치매 진단 시스템에서 우연한 계기로 문제의 정답을 입력한 것만으로 치매가 아닌 것으로 진단하는 오류가 다수 발생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문제에 대한 정답을 맞추었는지 여부와 더불어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인지 여부를 진단한다.This is to prevent a number of errors in diagnosing non-dementia just by accidentally entering the correct answer to the problem in the existing questionnaire form or dementia diagnosis system. It diagnoses whether or not dementia is diagnosed by analyzing eye recognition data along with whether or not

그리고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사용자별로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계열적 분석을 수행하며, 분석된 치매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훈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결과는 보고서 타입으로 제공할 수 있다.And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performs time-series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for each user, and can provide customized training based on the analyzed dementia diagnosis result, and all these results can be provided in a report type. have.

구체적으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보기 영역) 중 정답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 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Specifically,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is locat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mong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iews output by the user on the screen (hereinafter, the viewing region) through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hereinafter, the correct answer region).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is watch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based on this, a diagnosis result of dementia is generated.

즉, 사용자가 복수의 보기 중에서 정답을 선택하였고, 이와 더불어 복수의 보기 영역 중에서 정답 영역을 일정 시간 이상 주시한 경우, 데이버 분석 서버(140)는 우연에 의한 것이 아닌 실제 정답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ct answer from among a plurality of views and watches the correct answer area from among the plurality of view area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determines that the correct answer is entered rather than by chance do.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문제를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추출되는 각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plurality of problems through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 order to generate a dementia diagnosis result. In addition, a dementia diagnosis result may be generated based on each time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process of solving a plurality of problems.

도 3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을 수행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ents of performing dementia diagnosis based on time information.

예를 들어,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의 평균 문제 제공 시간을 산출하고, 안구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화면을 주시한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다.For exampl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calculates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until each problem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and the user can wait until each problem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based on the eye recognition data Calculates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for looking at the screen.

즉,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각각의 문제 별로 출제 시각과 입력 버튼 입력 시각을 산출하고, 각 문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각 문제에 대한 문제 제공 시간과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 후, 문제 수로 나누어 평균 문제 제공 시간과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다.That is,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calculates a question time and an input button input time for each question, and calculates a screen gaze time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each question. Then, after calculating the question providing time and screen watching time for each question, the average question providing time and the average screen watching time are calculated by dividing by the number of questions.

이후,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평균 문제 제공 시간 대비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1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generates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whether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to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satisfies a ratio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minimum gaze time.

이때, 제1 최소 주시 시간은 정답을 맞춘 것으로 확인된 다수의 사용자의 평균 화면 주시 시간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제1 최소 주시 시간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 수록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제1 최소 주시 시간은 사용자의 연령, 학력, 성별, 치매 정도 등에 따라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inimum gaze time may be determined from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confirmed to have given correct answers, and the first minimum gaze time may be updated as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creases. In addition, the first minimum gaze time may be set separately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us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degree of dementia, and the like.

간단한 예로,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상태에서 평균 문제 제공 시간 대비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1 최소 주시 시간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는 치매가 아닌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As a simple example, when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compared to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correct answer satisfies a predetermined first minimum gaze time or more,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diagnosed as not having dementia.

또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문제 영역을 주시한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하고, 복수의 보기 영역을 각각 주시한 시간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보기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제1 내지 제3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calculates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during which the user gazes at the problem area until each question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A corresponding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may be calculated. That is, when the first to third viewing regions exist,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calculates the first to third average viewing regions gaze time.

그 다음,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나머지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 대비 정답 영역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2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Then,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rea to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remaining average viewing zone gaze time satisfy a rat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minimum gaze time. Thus, a diagnosis of dementia can be generated.

이때, 제2 최소 주시 시간은 정답을 맞춘 것으로 확인된 다수의 사용자의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최소 주시 시간은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 수록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제2 최소 주시 시간은 사용자의 연령, 학력, 성별, 치매 정도 등에 따라 사용자별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minimum gaze time may be determined from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confirmed to have given correct answers, and the second minimum gaze time may increase when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creases. may be updated. In addition, the second minimum gaze time may be set separately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us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gender, dementia level, and the like.

한편,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화면 상의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의 좌표 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메모리 상에 저장한다. 그리고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주시 좌표정보를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에 상응하도록 매핑시키며, 매핑된 결과에 따른 좌표정보를 통해 보기 영역 중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obtain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 area on the screen in advance and stores it in the memory. Then,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is mapped to correspond to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ing area, and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ed resul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ct area of the viewing area is watched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gaze time. can judge

즉,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사용자가 화면을 주시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주시 좌표정보가 문제 영역에 위치한 것인지 아니면 보기 영역에 위치한 것인지를 시간에 따라 구분하여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에 상응하도록 매핑시키고, 매핑되는 좌표정보을 통해 정답 영역에 대한 주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gazes at the screen is located in the problem area or the viewing area according to tim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ing area. It can be mapped, and whether or not to focus on the correct answer area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mapped coordinate information.

또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제1 주시 좌표정보와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전의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가 주시하는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정답 영역에 대하여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may extract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extracts,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looks at for a predetermined time prior to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nd through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e user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paying attention to the correct answer area.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기 위해서는 누르기 직전에 다시 한번 해당 보기에 대한 입력 버튼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전의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초) 동안 사용자가 주시하는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제2 주시 좌표정보에 정답 영역에 상응하는 좌표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답 영역에 대해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ss the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it is generally necessary to go through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input button for the corresponding view is correct just before pressing i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looks at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 second) before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and the second gaze By checking whether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rea is included in the coordinate informatio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paying attention to the correct answer area.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우연히 정답을 맞춘 것이 아니라 인지 과정을 통해 정답을 맞춘 것임을 보다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more accurately confirmed that the user does not accidentally get the correct answer, but that the user answers the correct answer through a cognitive process.

위 실시예와 더불어,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과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에 기초하여 치매 진단 결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기반한 가중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과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embodiment,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assigns weights to the time for acquir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time for acquiring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generates a dementia diagnosis bundle based on this. can In this case, the weight based on the time for acquiring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ratio with the time for acquir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유형별 문제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may provide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of problems each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levels of difficulty.

여기에서 복수의 유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리력, 기억력, 지남력, 어휘력, 주의집중력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는 일 예로 상, 중, 하로 구성되는 난이도일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수리력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치매 정도 등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난이도를 결정한 후 이에 해당하는 문제를 화면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types may include types of numeracy, memory, orientation, vocabulary, and att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evels of difficulty may be, for example, high, medium, and low levels of difficulty. For exampl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may determine the difficulty level in consideration of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degree of dementia with respect to the problem related to numeracy, and then output the corresponding problem on the screen.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문제를 출제하여 그 결과를 입력받으면,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전체 문제 대비 정답률, 정답 유형별 정답률, 난이도별 정답률을 더 반영하여 치매 유형, 치매 단계, 치매 경과, 맞춤형 훈련 정보 및 생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plurality of questions are asked and the results are received,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further reflec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compared to all questions,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correct type, and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y difficulty, so that dementia type, dementia stage, dementia progress, customized training A dementia diagnosis result including information and life guidanc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또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복수의 유형별 문제 및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에 상응하는 문제별로 사용자의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고, 소팅한 결과에 상응하는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유형별 및 등급별로 구분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sorts the user's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problem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ype-specific problems and a plurality of grade-specific difficulties, and divides the user's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by type and grade based on the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sorted result. Dementia diagnosis results can be generated.

일 예로,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수리력-난이도 중' 문제에 대한 제1 주시 좌표 정보, '수리력-난이도 상' 문제에 대한 제1 주시 좌표 정보, '지남력-난이도 하' 문제에 대한 제1 주시 좌표 정보 등을 각각 소팅하고, 소팅한 결과에 상응하는 각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수리력, 지남력 등으로 구분되거나 난이도별로 구분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provides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numeracy-in difficulty' problem,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for the 'numeracy-difficulty level' problem, and the 'orientation-under difficulty' problem. 1 It is possible to sort the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generate a dementia diagnosis result divided by numeracy, orientation, or the like, or divided by difficulty, based on each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sorted result.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타겟 난이도 정보를 미리 입력받을 수 있다. 타겟 난이도 정보는 문제 유형과 상관없이 전체 문제와 관련된 타겟 난이도일 수 있거나, 문제 유형별로 설정된 타겟 난이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타겟 난이도가 '하'로 설정된 경우 데이터 분석 서버(140)에 의해 제공된 난이도 '중' 문제의 정답을 맞출 경우 소정의 가중치가 부가되어 치매 진단 결과에 반영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user's target difficulty information in advance. The target difficulty information may be a target difficulty related to the entire problem regardless of the problem type, or may be a target difficulty set for each problem type. For example, if the user's target difficulty for the entire problem is set to 'low', a predetermined weight is added to the correct answer of the difficulty 'medium' problem provided by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to be reflected in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can

한편,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는 것과 함께 또는 이와 별개로,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고, 소팅한 결과에 상응하는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유형별 및 등급별로 구분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시 좌표정보에 기반한 치매 진단 결과에는 전술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sorts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same way as sort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e sorting of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sorting result. Dementia diagnosis results divided by type and grad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gaze time.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문제와 정답 결과, 그리고 치매 진단 결과 보고서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blem, correct answer result, and a dementia diagnosis result re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문제 유형별, 그리고 난이도별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치매 진단을 수행할 수 있으며(도 4a), 그에 대한 정답 결과는 도 4b와 같이 제공된다. 정답 결과의 경우 문제와 정답 쌍으로 제공되며, 난이도와 문제 유형에 따라 구별되는 페이지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c는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각 유형별 문제를 수행한 결과를 평가한 내용으로, 예를 들어 기억력과 관련된 평가 항목에 대한 설명, 그리고 기억력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현재 사용자의 평가 등급이 보고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mentia diagnosis can be perform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roblems for each type and difficulty level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FIG. 4A), and the correct answer result is provided as shown in FIG. 4B. In the case of the correct answer result, it is provided as a pair of questions and answers, and may be provided as a page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difficulty and type of question. Figure 4c is the result of performing each type of problem finally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a description of the evaluation items related to memory, and the current user's evaluation grade for the problem related to memory is a report type can be provided.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는 화면 상에 제공되는 일부 유형 문제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 만여개의 문제가 데이터베이스 상에 구축되어 사용자의 치매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only some types of problems provided on the screen are shown in FIGS. 4A to 4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ens of thousands of problems are built on the database and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mentia of the user. to b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performed by 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100 using eye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한편, 도 5에 도시된 단계들은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100)의 데이터 분석 서버(14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steps illustrated in FIG. 5 may be understood to be performed by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of 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10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고(S110), 화면 상에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한다(S120).First,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outputs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the screen ( S110 ), and during the time from when the problem is output on the screen to the moment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the user Obtains eye recognition data of (S120).

그 다음, 데이터 분석 서버(140)는 사용자로부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튼을 수신하면(S130), 수신한 입력 버튼이 문제의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S140).Then, when the data analysis server 140 receives any one input button amo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views of a problem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from the user (S130), the received input button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input button corresponds to the correct answer to this question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ye recognition data (S140).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c의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100)의 내용은 도 5의 내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110 to S14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the steps may be changed.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100 of FIGS. 1 to 4C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ntents of FIG. 5 even if other contents are omitted.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및 예방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and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gram,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C, C++, JAVA, Ruby, which the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read through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t may include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110: 디스플레이부
120: 버튼 입력부
130: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
140: 데이버 분석 서버
100: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110: display unit
120: button input unit
130: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140: data analysis server

Claims (9)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문제 각각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버튼이 상기 복수 개의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상기 획득한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시간 동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주시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보기 영역) 중 정답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 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문제 영역을 주시한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을 각각 주시한 시간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나머지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 대비 상기 정답 영역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2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최소 주시 시간은 정답을 맞춘 다수의 사용자의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으로부터 결정되고, 사용자의 수에 상응하도록 갱신되며,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전의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주시하는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정답 영역에 대하여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기반한 가중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과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In 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A display unit that outputs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the screen,
a button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exampl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blems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n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user's eye recognition data for a period of time from when the problem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until the moment 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and
A data analysis server that generates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input button input by the user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lurality of problems a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obtained eye recognition data including,
The eye recognition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as the eye recognition data,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user gazed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for the time;
The data analysis server determine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hereinafter, the correct answer region) from among regions (hereinafter, view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iews output by the user on the screen through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whether the person is watching for more than a gaze time;
The data analysis server includes an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for the user to gaze at the problem area until the input button is input after each question is output, and an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the user gazes at each of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 and diagnose the dementia based on whether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rea to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remaining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satisfy a rat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minimum gaze time generate a result, wherein the second minimum gaze time is determined from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who have answered the correct answer, and is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users;
The data analysis server extracts,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focuses on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nd uses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the correct answer area, weight is given to the time for acquiring the first and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weight based on the time to acquir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ratio with the time for acquir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되는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문제 영역과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은 각각 상응하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된 입력 버튼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output on the screen includes a problem area and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Wherein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each include an input button image composed of a different colo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문제는 복수 개이고,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문제에 대한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안구인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의 평균 문제 제공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화면을 주시한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 문제 제공 시간 대비 평균 화면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1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blem provided by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s plural,
The data analysis server generates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based on whether the input button corresponds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lurality of problems and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data analysis server calculates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from the time each problem is output to the input button, and calculates the average screen viewing time for the user to look at the screen until the each problem is output and the input button is input. After the calculation,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the average screen gaze time to the average problem providing time satisfies a rat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minimum gaze time or mor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화면 상의 상기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의 좌표정보를 미리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문제 영역과 보기 영역에 상응하도록 매핑시키며, 상기 매핑된 결과에 따른 좌표정보를 통해 상기 보기 영역 중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주시 시간 이상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ata analysis server obtains and stor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ing area on the screen in advance, maps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o correspond to the problem area and the viewing area, and the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watching the correct answer area of the viewing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rough coordin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pped result,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유형별 문제를 포함하는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전체 문제 대비 정답률, 정답 유형별 정답률 및 난이도별 정답률을 더 반영하여 치매 유형, 치매 단계, 치매 경과, 맞춤형 훈련 정보 및 생활 지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analysis server provides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types of problems each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grades of difficulty,
To generate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ncluding dementia type, dementia stage, dementia progress, customized training information and life guidance information by further reflecting the correct answer rate compared to the whole question, the correct answer rate by correct answer type, and the correct answer rate by difficulty level,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석 서버는 상기 복수의 유형별 문제 및 상기 복수의 등급별 난이도에 상응하는 문제별로 상기 사용자의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소팅하고, 상기 소팅된 결과에 상응하는 상기 주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유형별 및 등급별로 구분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ta analysis server sorts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ype-specific problems and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grade-specific difficulties, and based on the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sorted result, for each type and grade To produce a diagnosis result of dementia separated by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치매 진단 프로그램을 화면 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문제가 출력된 이후부터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순간까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치매 진단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문제 각각에 대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 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버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입력 버튼이 상기 복수 개의 문제의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인지 여부 및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주시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 획득하고,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화면 상에 출력된 복수의 보기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보기 영역) 중 정답에 상응하는 영역(이하, 정답 영역)에 대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각 문제가 출력되어 입력 버튼이 입력되기까지 사용자가 상기 문제 영역을 주시한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상기 복수의 보기 영역을 각각 주시한 시간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나머지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 대비 상기 정답 영역에 상응하는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이 소정의 제2 최소 주시 시간에 따른 비율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제2 최소 주시 시간은 정답을 맞춘 다수의 사용자의 평균 문제 영역 주시 시간과 평균 보기 영역 주시 시간으로부터 결정되고, 사용자의 수에 상응하도록 갱신되며,
상기 안구인식 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정답에 상응하는 입력 버튼을 누르는 순간 이전의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주시하는 제2 주시 좌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정답 영역에 대하여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치매 진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2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에 기반한 가중치는 제1 주시 좌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간과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안구인식 데이터를 이용한 치매 진단 및 예방 방법.
In the method performed by the dementia diagnosis and prevention system using eye recognition data,
outputting a dementia diagnosis program on a screen;
acquiring the user's eye recognition data for a period of time from when the problem is output on the screen to the moment when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is input by the user;
receiving, from the user, any one of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view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blems provided in the dementia diagnosis program; and
Whether the received input button is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to the plurality of problems and generating a dementia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step of obtaining the eye recognition data includes:
Obtaining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t which the user gazes at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during the time as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step of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comprises:
Whether the user is looking a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hereinafter, the correct answer area) among the area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views output on the screen (hereinafter, the viewing area)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whether
calculating an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during which the user gazed at the problem area until each problem is output and an input button is input, and an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at which the user gazed at the plurality of viewing areas, respectively; generating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based on whether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area to the remaining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satisfies a rati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cond minimum gaze time; the second minimum gaze time is determined from the average problem area gaze time and the average viewing area gaze time of a plurality of users who have answered the correct answer, and is updat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users;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that the user looks at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moment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is extracted from the eye recognition data. The dementia diagnosis result is generat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user is watching, and weights are given to the times for acquiring the first and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respectively, and a time for acquiring the second gaze coordinate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weight based on tha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tio with the time for acquiring the first gaze coordinate information,
A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recognition data.
KR1020200119114A 2020-09-16 2020-09-16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KR102434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14A KR102434883B1 (en) 2020-09-16 2020-09-16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14A KR102434883B1 (en) 2020-09-16 2020-09-16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44A KR20220036644A (en) 2022-03-23
KR102434883B1 true KR102434883B1 (en) 2022-08-22

Family

ID=8096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14A KR102434883B1 (en) 2020-09-16 2020-09-16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31B1 (en) * 2013-05-14 2015-07-08 주식회사 넷블루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estimating dementi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164A (en) 2014-06-26 2016-01-06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for preventing dementia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831B1 (en) * 2013-05-14 2015-07-08 주식회사 넷블루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estimating dement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44A (en)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987B1 (en) Method for providing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s using scanned image
Foulsham et al. What can saliency models predict about eye movements? Spatial and sequential aspects of fixations during encoding and recognition
CN103561651B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US8864312B2 (en) Adaptive visual performance testing system
KR102108089B1 (en) Evaluation system of cognitive ability based on virtual reality for diagnosis of cognitive impairment
US20110118559A1 (en) Neurological and/or psychological tester
US20080312513A1 (en) Neurosurgical Candidate Selection Tool
US107221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analysis of cognitive flow
WO2009114795A2 (en) Non-natural pattern identification for cognitive assessment
CN108175425B (en) Analysis processing device and cognitive index analysis method for potential value test
KR1018296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tic of internet overflow
KR100735647B1 (en) Dementia check device, dementia check server, dementia check client, and dementia check system
CN112890815A (en) Autism auxiliar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deep learning
CN113658697B (en) Psychological assessment system based on video fixation difference
CN111700611B (en) Method for assessing insight capabilities and related device
López et al. Data analysis from cognitive games interaction in Smart TV application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Alzheimer's, and other types of dementia
KR20130095473A (en) Platform apparatur for serious game
KR1024348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venting dementia using eye tracking data
US2020018511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e in detecting malingering by a first subject in one or more physical and/or mental function tests
US10521728B2 (en) Schema and method for deception detection
KR102591797B1 (en) System for early diagnosis of dementia and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dementia using the same
CN115497621A (en) Old person cognitive status evaluation system
RU2640709C1 (en) Method of student's knowledge evaluation at computer-based testing
KR10201447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ux/ui service for broadcast standard
Davidow et al. The reliability of simultaneous versus individual data collection during stuttering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