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40B1 - Airba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ba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040B1
KR102434040B1 KR1020170110812A KR20170110812A KR102434040B1 KR 102434040 B1 KR102434040 B1 KR 102434040B1 KR 1020170110812 A KR1020170110812 A KR 1020170110812A KR 20170110812 A KR20170110812 A KR 20170110812A KR 102434040 B1 KR102434040 B1 KR 10243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head
communication tube
vehicle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4133A (en
Inventor
장래익
최유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040B1/en
Priority to US16/118,438 priority patent/US10611331B2/en
Publication of KR2019002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9Oblique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챔버; 제1 챔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챔버; 제1 챔버의 가스가 제2 챔버에 유입되도록 제1 챔버에 형성되는 연통 튜브; 및 연통 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챔버의 전개시 연통 튜브를 잡아당겨 연통 튜브를 폐쇄시키도록 제1 챔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밸브 테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n airbag device is disclosed. The airb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supporting the head of an occupant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chamber and configured to suppress a diagonal movement of the head of an occupant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a communication tube formed in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gas of the first chambe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and a pair of valve teth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by pulling the communication tube when the first chamber is deployed.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Airbag devic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하거나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diagonal movement or rotation of an occupant's head in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탑승자의 보호 부위에 따라 다양한 곳에 배치된다. 스티어링휠에는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운전석 에어백이 설치되고, 차량의 전방측에는 운전자 옆에 앉은 동승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동승석 에어백이 설치된다.In general, an airbag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protect an occupant. Airbags are placed in various places depending on the protection area of the occupant. A driver's seat airbag is installed on the steering wheel to protect the driver's head, and a passenger seat airbag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head of a passenger sitting next to the driver.

차량의 전방 또는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의 뇌관은 전자제어모듈에 의해 폭발 여부가 결정된다. 인플레이터에서 가스가 발생되면, 발생된 가스에 의해서 에어백 쿠션이 팽창된다. 탑승자 보호를 위한 차량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의 크기가 증가된다.In the event of a front or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detonator of the inflator is detonated by the electronic control module is determined. When gas i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by the generated gas. As vehicle regulations for occupant protection are strengthened, the size of the airbag cushion increases.

그러나, 에어백 쿠션이 완전히 팽창된 후에 에어백 쿠션에서 가스가 누설되면, 에어백 쿠션의 지지력 내지 팽창력이 저하된다. 이 경우, 탑승자의 머리가 에어백 쿠션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However, if gas leaks from the airbag cushion after the airbag cushion is fully inflated, the support or inflation force of the airbag cushion decreases.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prevent the occupant's head from moving diagonally in the airbag cushion.

또한, 에어백 쿠션의 크기가 증가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시간이 증가되므로,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의 구속 시간이 지연된다. 에어백 쿠션이 머리를 구속하는 시간이 지연되면, 머리의 대각선 방향의 거동이 억제되지 못함에 따라 머리나 목에 상해를 입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airbag cushion is increased, the inflation time of the airbag cushion is increased, so that the restraint time of the head is delayed in the case of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If the time for the airbag cushion to restrain the head is delayed, the head or neck may be injured as the diagonal movement of the head cannot be restrain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하거나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diagonal movement or rotation of the head of an occupant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2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가스가 상기 제2 챔버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1 챔버에 형성되는 연통 튜브; 및 상기 연통 튜브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챔버의 전개시 상기 연통 튜브를 잡아당겨 상기 연통 튜브를 폐쇄시키도록 상기 제1 챔버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밸브 테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supporting the head of an occupant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a second cha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chamber and configured to suppress a diagonal movement of the head of an occupant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a communication tube formed in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gas of the first chambe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and a plurality of valve teth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by pulling the communication tube when the first chamber is deployed. .

복수의 상기 밸브 테더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valve tethers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복수의 상기 밸브 테더는 띠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may be formed in a belt shape.

상기 밸브 테더는 상기 연통 튜브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밸브 테더의 일단부는 상기 연통 튜브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air of the valve tethers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tube, and one end of the pair of valve tethers may be disposed on the communication tube to face each other.

상기 연통 튜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ube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제2 챔버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회피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인보드 측에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first chamber to avoid the head of an occupant in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 에어백 장치는 상기 제2 챔버가 머리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챔버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 테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ba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ether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limit the second chamber from being pushed outward of the first chamber by the load of the head.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챔버가 제1 챔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가 제2 챔버의 일측으로 밀리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챔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머리나 목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hamb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chamber, and the head of the occupant is suppressed from mov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pant's head from being rotated while being push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hamber, an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chamber.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head is prevented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injury to the head or neck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챔버가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회피하도록 제1 챔버의 인보드(inboard) 측에 편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제2 챔버가 후방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더라도 탑승자의 목이 제2 챔버에 의해 후방측으로 꺽이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hamber is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avoid the head of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ck of the occupant from being bent backward by the second chamber or being injured even when the second chamber is expanded and deployed to the rear side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밸브 테더가 연통 튜브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폐쇄시키므로, 제2 챔버에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챔버의 팽창력 내지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머리가 충돌시 제2 챔버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머리의 대각선방향의 거동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by pulling in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gas leakage from the second chamber, thereby preventing the expansion or support force of the second chamber from being reduced. Accordingly, when the occupant's head collides, the bearing force of the second chamber can be increased, and the diagonal movement of the head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펼쳐서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2 챔버가 접철된 상태로 제1 챔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결 테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통 튜브와 밸브 테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통 튜브가 밸브 테더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차량의 경사 충돌시 제2 챔버의 가접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2 챔버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탑승자의 머리가 제2 챔버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머리가 제1 챔버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is installed in the first chamber in a folded state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ube and a valve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mmunication tube is closed by a valve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mporary joint of a second chamber is separated in the case of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hamber and a second chamber are inflated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is fully deployed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e fully deployed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of an occupant collides with a second chamb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d collides with a first chamber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airbag device, thicknesse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펼쳐서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2 챔버가 접철된 상태로 제1 챔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결 테더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is installed in the first chamber in a folded state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nection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제1 챔버(20), 제2 챔버(30), 연통 튜브(51) 및 복수의 밸브 테더(60)를 포함한다.1 to 5 ,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hamber 20 , a second chamber 30 , a communication tube 51 , and a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 .

제1 챔버(20)는 인플레이터(10)에 연결되고, 차량의 정면 충돌시 머리(H)를 지지한다. 제1 챔버(20)는 전개가 완료되었을 때에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20)는 차량 내부의 전방측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The first chamber 20 is connected to the inflator 10 and supports the head H in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first chamber 20 may be formed in a square box shape when the deployment is completed. The first chamber 20 is supported by a front side instrument panel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제2 챔버(30)는 제2 봉제부(35)에 의해 제1 챔버(20)에 연결된다. 제2 봉제부(35)는 제2 챔버(30)의 둘레를 따라 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chamber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20 by the second sewing part 35 . The second sewing part 35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hamber 30 .

제2 챔버(30)는 제1 챔버(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챔버(20)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H)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차량의 경사 충돌시 제2 챔버(30)가 머리(H)의 일측을 가로막으면서 머리(H)의 일측을 지지하므로, 탑승자의 머리(H)가 제2 챔버(30)의 일측으로 밀리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머리(H)의 구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H)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머리(H)나 목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탑승자의 머리(H)를 보호하기 위해 제1 챔버(2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3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chamber 20, and inhibits the occupant's head H from moving in the diagonal direction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 That is, since the second chamber 30 supports one side of the head H while blocking one side of the head H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occupant's head H is pushed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 . It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while being rotated, and the restraint time of the head (H) can be shortened. Since rotation of the head (H) is prevented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injury to the head (H) or the neck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in order to protect the head H of the occupant, the size of the first chamber 20 may not be increased or the increase in size may be minimized.

제2 챔버(30)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H)를 회피하도록 제1 챔버(20)의 인보드(inboard) 측에 편중되게 배치된다. 인보드 측은 차량의 폭방향 중심부 측을 의미한다. 제2 챔버(30)의 폭(차량의 폭방향 길이)은 제1 챔버(20)의 폭의 절반 이하로 형성된다. 차량의 정면 충돌시 제2 챔버(30)가 후방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더라도 머리(H)가 제2 챔버(30)에 의해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목이 제2 챔버(30)에 의해 후방측으로 꺽이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30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so as to avoid the head H of the occupant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inboard side means the cen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width (length of the vehic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chamber 30 is formed to be less than half the width of the first chamber 20 . By preventing the head H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by the second chamber 30 even when the second chamber 30 is expanded and deployed to the rear side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neck is bent to the rear side by the second chamber 30 This can prevent you from getting injured.

제1 챔버(20)의 둘레부는 제1 봉제부(21)에 의해 봉제된다. 제1 챔버(20)의 상단부에는 보강 봉제부(23)가 봉제된다. 제1 챔버(20)의 상단부가 보강 봉제부(23)에 의해 봉제되므로, 제1 챔버(20)의 상단부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The periphery of the first chamber 20 is sewn by the first sewing part 21 . A reinforcing sewing part 23 is sewn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amber 20 . Since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amber 20 is sewn by the reinforcing seam 23 ,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amber 20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제2 챔버(30)의 일측이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접철되고, 제2 챔버(30)의 접철된 부분(31)의 단부가 제1 챔버(20)에 가접된다. 제2 챔버(30)의 접철된 부분(31)은 한번 접철되거나 복수번 접철될 수 있다. 제2 챔버(30)의 접철된 부분(31)은 차량의 인보드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 챔버(30)의 일측이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접철되므로, 제2 챔버(30)가 접철되지 않고 설치되는 경우보다 제2 챔버(3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챔버(30)가 팽창되면서 전개될 때에 제2 챔버(30)의 팽창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머리(H)가 신속하게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H)가 제2 챔버(30)에 구속되어 회전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One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 is folded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nd an end of the folded portion 31 of the second chamber 30 is temporarily joined to the first chamber 20 . The folded portion 31 of the second chamber 30 may be folded once or folded multiple times. The folded portion 31 of the second chamber 30 is disposed to face the inboard side of the vehicle. Since one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 is folded whil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e length of the second chamber 30 may be increased compared to a cas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30 is installed without being folded. Since the expansion height of the second chamber 30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when the second chamber 30 is expanded and deployed, the head H of the occupant can be quickly restrain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head H of the occupant from being constrained by the second chamber 30 to rotate or to move in a diagonal direction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제2 챔버(30)의 접철된 부분(31)이 제1 챔버(20)에 가접합되므로, 제2 챔버(30)가 팽창되면서 전개될 때에 가접합부(33)가 뜯어지면서 제2 챔버(30)가 전개된다.Since the folded portion 31 of the second chamber 30 is temporarily joined to the first chamber 20, when the second chamber 30 is expanded and deployed, the temporary joint 33 is torn and the second chamber 30 is ) is developed.

제1 챔버(20)의 봉재시, 제2 챔버(30)의 접철된 부분(31)이 제1 챔버(20)에 가접된다. 따라서, 하나의 봉제 공정을 통해 제2 챔버(30)를 제1 챔버(20)에 가접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 장치의 제조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20 is sealed, the folded portion 31 of the second chamber 30 is temporarily welded to the first chamber 20 .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chamber 30 can be temporarily attached to the first chamber 20 through one sew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of the airbag device can be reduced.

에어백 장치는 제2 챔버(30)의 전개시 제2 챔버(30)가 인보드 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를 연결하는 연결 테더(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연결 테더(40)의 일단부는 제1 챔버(20)에서 제2 챔버(30)와 이격되는 위치에 연결되거나 제2 챔버(30)의 제2 봉제부(3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테더(40)는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의 팽창시 제2 챔버(30)를 제1 챔버(20) 측으로 당겨주도록 제2 챔버(30)에 인장력을 가한다.The airba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tether 40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to limit the opening of the second chamber 30 toward the inboard side when the second chamber 30 is deployed. do. In this case, one end of the connection tether 40 may be connec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hamber 30 in the first chamber 20 , o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wing part 35 of the second chamber 30 . The connection tether 40 applies a tensile force to the second chamber 30 to pull the second chamber 30 toward the first chamber 20 when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are expanded.

차량의 경사 충돌시 연결 테더(40)와 제2 챔버(30)가 머리(H)의 하중을 흡수하면서 단계적으로 변형된다. 즉, 머리(H)가 연결 테더(40)에 의해 1차적으로 구속된 후 제2 챔버(30)에 의해 2차적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H)의 구속 시간이 단축되므로, 머리(H)의 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머리(H)나 목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tether 40 and the second chamber 30 are deformed step by step while absorbing the load of the head H. That is, after the head H is primarily constrained by the connection tether 40 , it is secondarily constrained by the second chamber 30 . Accordingly, since the restraint time of the head H is shortened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H or the neck from being injured as the rotation of the head H is prevented.

또한,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H)가 차량의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는 경우, 연결 테더(40)가 제1 챔버(20)의 지지력(반력)에 의해 제2 챔버(30)를 제1 챔버(20) 측으로 당기므로, 머리(H)가 제2 챔버(30)를 벗어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H)를 보호하기 위해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d H is moved obliquely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vehicle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tether 40 releases the second chamber 30 by the supporting force (reaction force) of the first chamber 20 . Since it is pulled toward the first chamber 2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H from leaving or leaving the second chamber 30 . Therefore, to protect the head (H), the size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may not be increased.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머리(H)가 연결 테더(40)와 제1 챔버(20)에 하중을 가하면, 연결 테더(40)와 제1 챔버(20)가 단계적으로 머리(H)의 하중을 흡수한다. 이때, 제1 챔버(20)가 머리(H)의 하중에 의해 전방측으로 수축되면, 제2 챔버(30)의 반력이 연결 테더(40)를 잡아당기므로, 머리(H)의 하중이 연결 테더(40)의 인장력과 제2 챔버(30)의 반력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d H applies a load to the connection tether 40 and the first chamber 20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tether 40 and the first chamber 20 gradually increase the load of the head H to absorb At this time, when the first chamber 20 is contracted to the front side by the load of the head (H), the reaction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pulls the connection tether 40, so the load of the head (H)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tether It may be buffered by the tensile force of 40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

연결 테더(40)는 머리(H)가 접촉되도록 제1 챔버(20)의 후방측과 제2 챔버(3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머리(H)가 제1 챔버(20)나 제2 챔버(30)에 충돌될 때에 연결 테더(40)가 머리(H)의 하중을 1차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The connection tether 4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hamber 30 so that the head H is in contact. Therefore, when the head (H) collides with the first chamber 20 or the second chamber 30, the connection tether 40 may primarily buffer the load of the head (H).

연결 테더(40)는 제1 챔버(20)의 후방측 일면과 제2 챔버(30)의 후방측 일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면 테더(41)일 수 있다(도 2 참조). 제1 챔버(20)의 후방측 일면과 제2 챔버(30)의 후방측 일면은 머리(H)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면 테더(41)의 양측은 연결 봉제부(45)에 의해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에 연결된다. 면 테더(41)는 길이에 비해 폭이 작게 형성되는 직사각 형태나 타원 형태의 테더를 의미한다. 연결 테더(40)가 면 테더(41)일 경우, 면 테더(41)가 머리(H)의 충돌 부분과 거의 고르게 접촉되므로, 머리(H)의 특정 부위에 압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H)가 연결 테더(40)에 의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ther 40 may be a surface tether 41 covering a part of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0 (see FIG. 2 ).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rea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hamber 30 are parts in which the head H is in direct contact. Both sides of the cotton tether 41 are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by the connecting seam 45 . The face tether 41 refers to a tether of a rectangular or elliptical shape having a smaller width than a length. When the connection tether 40 is the face tether 41, since the face tether 41 is in almost even contact with the collision part of the head 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sure from being concentrated on a specific part of the head H.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H from being injured by the connection tether 40 .

연결 테더(40)는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선형 테더(42)일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연결 테더(40)는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를 연결하는 하나의 선형 테더(42)일 수 있다. 선형 테더(42)의 양측은 연결 봉제부(45)에 의해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에 연결된다. 선형 테더(42)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는 끈 형태나 밴드 형태의 테더를 의미한다. 선형 테더(42)의 개수는 제1 챔버(20)와 제2 챔버(30)의 높이나 차량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ther 40 may be a plurality of linear tethers 42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see FIG. 5 ). Also, the connecting tether 40 may be a single linear tether 42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 Both sides of the linear tether 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by a connecting seam 45 . The linear tether 42 refers to a tether in the form of a string or a band formed long and thin. The number of linear tethers 42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second chamber 30 or the size of the vehic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통 튜브와 밸브 테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연통 튜브가 밸브 테더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tube and a valve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tube is closed by the valve tether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통 튜브(51)는 제1 챔버(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튜브(51)는 제1 챔버(2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후 제1 챔버(20)에 봉제될 수 있다.6 and 7 , the communication tube 5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first chamber 20 . After the communication tube 51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hamber 20 , it may be sewn into the first chamber 20 .

연통 튜브(51)는 제1 챔버(20)의 가스가 제2 챔버(30)에 유입되도록 제1 챔버(20)에 형성된다. 연통 튜브(51)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튜브(51)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통 튜브(51)의 원주방향으로 가스의 압력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ube 51 is formed in the first chamber 20 so that the gas of the first chamber 20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30 . The communication tube 5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polygonal shape. As the communication tube 5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ressure of the gas may be uniformly appli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

복수의 밸브 테더(60)는 연통 튜브(51)에 각각 연결되고, 제1 챔버(20)의 전개시 연통 튜브(51)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연통 튜브(51)를 폐쇄시키도록 제1 챔버(20)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챔버(20)의 전개시 복수의 밸브 테더(60)가 연통 튜브(51)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연통 튜브(51)를 폐쇄시키므로, 연통 튜브(51)의 단부는 중심부 측으로 일자 형태로 부착됨에 의해 가스의 통로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제2 챔버(30)의 팽창력(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ube 51, and when the first chamber 20 is deployed, the communication tube 51 is pulled inward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51 ( 20), respectively. When the first chamber 20 is deployed, 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pull the communication tube 51 inward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51 , s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is attached to the center side in a straight line. It closes the gas pass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forc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from being reduced.

각 밸브 테더(60)의 일단부는 연통 튜브(51)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각 밸브 테더(60)의 타단부는 제1 챔버(2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각 밸브 테더(60)의 일단부는 고정 봉제부(63)에 의해 연통 튜브(51)에 고정되고, 각 밸브 테더(60)의 타단부는 밸브 봉제부(67: 도 3 참조)에 의해 제1 챔버(120)에 고정된다.One end of each valve tether 6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 and the other end of each valve tether 6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20 . At this time, one end of each valve tether 60 is fixed to the communication tube 51 by the fixing sewing part 63, and the other end of each valve tether 60 is fixed by the valve sealing part 67 (refer to FIG. 3). It is fixed to the first chamber 120 .

복수의 밸브 테더(60)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면, 밸브 테더(60)는 연통 튜브(51)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한 쌍의 밸브 테더(60)의 일단부는 연통 튜브(51)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챔버(20)의 전개시 한 쌍의 밸브 테더(60)가 연통 튜브(51)의 단부를 내측(중심부 측)으로 당겨 가스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For example, a pair of valve tethers 6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 and one end of the pair of valve tethers 60 is disposed on the communication tube 51 to face each other. Accordingly, when the first chamber 20 is deployed, the pair of valve tethers 60 can close the gas passage by pulling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to the inside (center side).

복수의 밸브 테더(60)는 띠 형태로 각각 형성된다. 밸브 테더(60)가 띠 형태로 형성되므로, 밸브 테더(60)가 연통 튜브(51)의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더라도 가스의 유동 저항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are each formed in a band shape. Since the valve tether 60 is formed in a band shape, even if the valve tether 60 is disposed to cross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51 , gas flow resistance is hardly generated.

제1 챔버(20)의 전개시 밸브 테더(60)가 연통 튜브(51)를 내측으로 잡아당겨 연통 튜브(51)를 폐쇄시키므로, 제2 챔버(30)에서 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챔버(30)의 팽창력(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머리(H)의 충돌시 제2 챔버(30)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머리(H)의 대각선방향의 거동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hamber 20 is deployed, since the valve tether 60 pulls the communication tube 51 inward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51 , it is possible to prevent gas from leaking from the second chamber 30 . . Theref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forc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from being lowered, the support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is increased when the head H collides, and the diagonal behavior of the head H is can be suppress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차량의 경사 충돌시와 정면 충돌시의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n operation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bag device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and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먼저, 차량의 경사 충돌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case of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차량의 경사 충돌시 제2 챔버의 가접합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2 챔버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제1 챔버와 제2 챔버가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머리가 제2 챔버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mporary joint of a second chamber is separated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e inflate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is fully deployed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re fully deployed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head in the airba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llision state.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의 경사 충돌시 인플레이터(10)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제1 챔버(20)에 주입된다. 제1 챔버(20)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즉, 제1 챔버(20)는 상측이 먼저 팽창되면서 전개되고 점차적으로 하측이 전개된다. 제1 챔버(20)의 가스는 연통 튜브(51)를 통해 제2 챔버(30)로 유입된다. 제2 챔버(30)가 팽창됨에 따라 접철된 부분(31)의 가접합부(33)가 분리된다(도 8 참조). 8 to 12 ,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10 is injected into the first chamber 20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a vehicle. The first chamber 20 is deployed while expan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That is, the first chamber 20 is expanded while the upper side is first expanded, and the lower side is gradually expanded. The gas of the first chamber 2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hamb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51 . As the second chamber 30 is expanded, the temporary joint 33 of the folded portion 31 is separated (see FIG. 8 ).

이때, 제1 챔버(20)가 전개되는 중에는, 제1 챔버(20)의 후방측과 연통 튜브(51)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도 9 참조). 제1 챔버(20)가 완전히 전개되기 이전에는 밸브 테더(60)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는다. At this time, while the first chamber 20 is being deployed, the rear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and the communication tube 51 are mov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see FIG. 9 ). The valve tether 60 is not pulled taut until the first chamber 20 is fully deployed.

제2 챔버(30)는 제1 챔버(20) 보다 먼저 완전히 전개된다(도 10 참조). 제1 챔버(20)의 전개가 거의 완료되면, 연통 튜브(51)가 제1 챔버(20)의 후방측에서 멀어지므로, 밸브 테더(60)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팽팽하게 펴진다(도 7 및 도 11 참조). 이때, 복수의 밸브 테더(60)가 연통 튜브(51)를 내측으로 조임에 따라 연통 튜브(51)가 차폐되므로, 제2 챔버(30)의 가스가 제1 챔버(2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챔버(30)의 팽창력 내지 지지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hamber 30 is fully deployed before the first chamber 20 (see FIG. 10 ). When the deployment of the first chamber 20 is almost completed, the communication tube 51 moves away from the rear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so that the valve tether 60 is stretched out to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Figs. 7 and Figs. 11). At this time, since the communication tube 51 is shielded as 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60 tighten the communication tube 51 inward, the gas of the second chamber 30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first chamber 20 . can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ansion or support force of the second chamber 30 from being reduced.

차량의 경사 충돌에 의해 머리(H)가 전방측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2 참조). 머리(H)가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챔버(30)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2 챔버(30)가 머리(H)에 밀착되어 머리(H)의 회전을 방지하고, 머리(H)의 구속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The head H is moved diagonally to the front side by the oblique collision of the vehicle (refer to FIG. 12). As the head H moves in the diagonal direction, it presses the second chamber 30 . Therefore, the second chamb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H) to prevent rotation of the head (H), the restraint time of the head (H) can be shortened.

또한,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H)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머리(H)나 목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H)가 차량의 인보드 측으로 비스듬하게 이동되는 경우, 연결 테더(40)가 제2 챔버(30)의 지지력(F12)에 의해 제2 챔버(30)를 제1 챔버(20) 측(아웃보드 측)으로 당기므로, 머리(H)가 제2 챔버(3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rotation of the head (H) is prevented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y to the head (H) or the neck. In addition, when the head H is moved obliquely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vehicle, the connection tether 40 moves the second chamber 30 to the first chamber 20 by the supporting force F12 of the second chamber 30 . Since it is pulled to the side (outboard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H from leaving the second chamber 30 .

한편, 차량의 경사 충돌시 머리(H)의 하중은 연결 테더(40)의 인장력에 의해 먼저 흡수되고(F2), 제2 챔버(30))의 완충력(F1)에 의해 흡수된다. 이때, 연결 테더(40)는 제1 챔버(20)가 당기는 힘에 의해 머리(H)의 하중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제2 챔버(30)는 머리(H)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머리(H)의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한다. 제2 챔버(30)에 전달된 머리(H)의 하중은 제1 챔버(20)에 전달됨에 따라 3차적으로 흡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load of the head H is first absorb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connection tether 40 (F2), and is absorbed by the buffering force F1 of the second chamber 3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tether 40 primarily absorbs the load of the head (H) by the force of the first chamber 20 pulling, and the second chamber 30 is deformed by the load of the head (H) while the head Secondary absorption of the impact of (H). The load of the head H transferred to the second chamber 30 is absorbed tertiarily as i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hamber 20 .

다음으로, 차량의 정면 충돌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머리가 제1 챔버에 충돌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ead collides with a first chamber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a vehicle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챔버(20)가 머리(H)의 전방측에 배치되므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머리(H)가 제1 챔버(20)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챔버(30)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H)를 회피하도록 제1 챔버(20)의 인보드(inboard) 측에 편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제2 챔버(30)가 후방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더라도 머리(H)가 제2 챔버(30)에 의해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목이 제2 챔버(30)에 의해 후방측으로 꺽이거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since the first chamber 2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d H, the head H is moved to the first chamber 20 in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second chamber 30 is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first chamber 20 to avoid the head H of the occupant in the cas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fore, even when the second chamber 30 is expanded and deployed to the rear side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t prevents the head H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by the second chamber 30, so that the neck is rearward by the second chamber 30 It can prevent bending to the side and injury.

제1 챔버(20)가 머리(H)의 하중에 의해 변형됨에 따라 연결 테더(40)의 양측은 제2 챔버(30)에 의해 당겨진다. 따라서, 머리(H)의 하중이 연결 테더(40)의 인장력(F4)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되고, 제1 챔버(20)의 완충력(F3)에 의해 2차적으로 흡수된다.As the first chamber 20 is deformed by the load of the head H,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tether 40 are pulled by the second chamber 30 . Accordingly, the load of the head H is primarily absorbed by the tensile force F4 of the connection tether 40 , and is secondarily absorbed by the buffer force F3 of the first chamber 2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인플레이터 20: 제1 챔버
21: 제1 봉제부 23: 보강 봉제부
30: 제2 챔버 31: 접철된 부분
33: 가접합부 35: 제2 봉제부
40: 연결 테더 41: 면 테더
42: 선형 테더 45: 연결 봉제부
51: 연통 튜브 60: 밸브 테더
63: 고정 봉제부
10: inflator 20: first chamber
21: first sewing part 23: reinforcing sewing part
30: second chamber 31: folded part
33: temporary joint 35: second sewing part
40: connection tether 41: cotton tether
42: linear tether 45: connecting seam
51: communication tube 60: valve tether
63: fixed sewing part

Claims (7)

인플레이터에 연결되고,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일측에 연결되고, 차량의 경사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대각선 방향으로 거동되는 것을 억제하며, 일측이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접철되고, 접철된 부분의 단부가 상기 제1 챔버에 가접합되는 가접합부를 구비하는 제2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가스가 상기 제2 챔버에 유입되도록 상기 제1 챔버에 형성되는 연통 튜브; 및
상기 연통 튜브의 단부에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 챔버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챔버의 전개시 상기 연통 튜브를 잡아당겨 상기 연통 튜브를 폐쇄시키는 복수의 밸브 테더; 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밸브 테더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며,
상기 밸브 테더는 상기 연통 튜브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밸브 테더의 일단부는 상기 연통 튜브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a first chamber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supporting the head of an occupant in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irst chamber, inhibits the head of the occupant from moving in a diagonal direction during an inclined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is folded with one side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e folded portion a second chamber having an end portion of which is provisionally joined to the first chamber;
a communication tube formed in the first chamber so that the gas of the first chamber flows into the second chamber; and
a plurality of valve tethers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the other e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hamber, and pulling the communication tube to close the communication tube when the first chamber is deployed; includes,
A plurality of the valve tethers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 pair of the valve teth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tube,
An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pair of valve tethers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communication tub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밸브 테더는 띠 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valve tethers are each formed in a belt shap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튜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tub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차량의 정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회피하도록 상기 제1 챔버의 인보드 측에 편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hamber is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inboard side of the first chamber so as to avoid the head of an occupant in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가 머리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챔버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연결하는 연결 테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nection tether connecting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to limit the second chamber from being pushed outward of the first chamber by the load of the head.
KR1020170110812A 2017-08-31 2017-08-31 Airbag apparatus KR102434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12A KR102434040B1 (en) 2017-08-31 2017-08-31 Airbag apparatus
US16/118,438 US10611331B2 (en) 2017-08-31 2018-08-31 Airba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12A KR102434040B1 (en) 2017-08-31 2017-08-31 Airba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33A KR20190024133A (en) 2019-03-08
KR102434040B1 true KR102434040B1 (en) 2022-08-19

Family

ID=6580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12A KR102434040B1 (en) 2017-08-31 2017-08-31 Airba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04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2297A1 (en) * 2008-09-01 2010-03-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ront passenger seat air bag apparatus
US20170217397A1 (en) * 2014-08-04 2017-08-0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20461U1 (en) * 1997-11-19 1998-02-26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 with adjustable outlet cross-section
US9650011B1 (en) * 2016-05-04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airbag including deployable extens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2297A1 (en) * 2008-09-01 2010-03-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ront passenger seat air bag apparatus
US20170217397A1 (en) * 2014-08-04 2017-08-03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33A (en)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5519B2 (en) 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US10611331B2 (en) Airbag apparatus
KR102399335B1 (en) Airbag apparatus
US5765863A (en) Airbag cushion having compression-deployed section
US10787146B2 (en) Airbag apparatus
JP5662814B2 (en) Airbag device
US20060071461A1 (en) Airbag cushion with cinch tube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9150189B1 (en) Airbag systems with side venting
KR102399336B1 (en) Airbag apparatus
KR102434047B1 (en) Airbag apparatus
JP4836494B2 (en) Airbag device
KR102434046B1 (en) Airbag apparatus
KR102416285B1 (en) Airbag apparatus
KR102434040B1 (en) Airbag apparatus
KR102434042B1 (en) Airbag apparatus
KR102412358B1 (en) Airbag apparatus
KR102434041B1 (en) Airbag apparatus
KR102383189B1 (en) Airbag apparatus
KR102501381B1 (en) Airbag device
KR102352415B1 (en) Airba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25558B2 (en) Airbag apparatus
KR101718693B1 (en) Airbag for vehicle
KR101743651B1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KR101549970B1 (en) Seatback Covering
KR20180055149A (en) Passenger airba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