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378B1 -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 Google Patents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378B1
KR102433378B1 KR1020220013045A KR20220013045A KR102433378B1 KR 102433378 B1 KR102433378 B1 KR 102433378B1 KR 1020220013045 A KR1020220013045 A KR 1020220013045A KR 20220013045 A KR20220013045 A KR 20220013045A KR 102433378 B1 KR102433378 B1 KR 10243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nformation
driving
vehicle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유
최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최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최은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Priority to KR102022001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3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3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a driving environment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 system for controlling starting of a vehicle by measuring whether a driver is drunk comprises: a breathalyzer; an air measuring unit; a camera unit; an interface unit; a display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본 발명은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운전자 음주에 따른 차량의 시동방지와 함께 운전의 생체 환경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온라인상에서 운전자 정보 제공 및 운전자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한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nd more particularly, providing driver information online by analyz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driving in real time along with prevention of starting a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er's drinking. And it relates to a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that can be monitored at all times.

보다 편리한 차량의 개발 그리고 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자동차 숫자가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증가에 따라 도로망의 확충, 교통사고 문제 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음주운전은 대형 사고와 무고한 인명 희생의 원인으로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과 단속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음주운전 예방 시행정책 등과 함께,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와 시스템에도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re convenient vehicles and improvement of life, the number of automobile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every year. 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road network expansion an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as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drunk driving is the cause of major accidents and innocent lives, and measures and crackdowns to prevent them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Along with these active drunk driving prevention enforcement policie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devices and systems that can prevent drunk driving.

법률에서는 운전자의 의무로, 누구든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기준으로 구체적인 혈중 알코올 농도와 함께 벌금 또는 징역 등의 형법 규정과 면허 정지 내지는 취소 등의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The law stipulates that as a driver's duty, no one should drive a car while intoxicated. is provided.

또한, 경찰공무원은 교통안전과 위험을 막기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하였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운전자가 술에 취했는지를 호흡조사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이에 응해야 함을 명기하고 있어, 정기, 불시 음주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a police officer deems it necessary to prevent traffic safety and danger, or when there is a good reason to admit that he was driving a car while intoxicated, he or she may measure whether the driver is intoxicated by breathing examination. stipulates that you must comply with this, and regular and irregular drinking control is in place.

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은 시동 키만 있으면 누구나 운전할 수 있도록 제작되므로 현실적으로 운전자가 술에 취한 상태로도 아무런 제재 없이 시동을 걸고 운전할 수 있으며, 단속인력의 한계로 인해 음주 단속을 통한 적발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해마다 차량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음주운전의 빈도 및 사고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However, most vehicles are manufactured so that anyone can drive with just the ignition key, so realistically, even if the driver is intoxicated, he can start and drive without any sanctions. 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every year, the frequency of drunk driving and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이러한 음주운전은 운전자 자신은 물론 타인에게도 치명적인 사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동승자 및 방조자까지도 처벌하는 등 법 기준을 점차 강화하고 있으나 음주 운전자 본인의 의지에 좌우될 수밖에 없어 그 실효성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Since such drunk driving can cause fatal injuries not only to the driver himself but also to others, the legal standards have recently been gradually tightened, such as punishing passengers and abettors, but there is a clear limit to its effectiveness as it depends on the will of the drunk driver himself. .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음주 운전자의 운전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코올 인터락 장치가 연구ㅇ개발되어 북미, 유럽 및 일본 등과 같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이의 의무적용을 법제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Accordingly, recently, an alcohol interlock device that can fundamentally prevent drunk drivers from driving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and there is a movement to legislate its mandatory application mainly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North America, Europe and Japan.

그러한 연구 성과물들로서 생활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종래의 음주운전 방지장치나 시동 제어시스템의 예를 살펴보면, 먼저 자동차 운전자의 호흡공기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나 회로를 구비하고 이러한 장치에 운전자가 입김을 분 다음, 여기서 측정되거나 검출된 수치가 일정 이상으로 나오면 경고를 하면서 시동을 중지시키게 되며, 비음주상태로 판명되거나 알콜 농도가 낮은 경우 차량의 시동과 관련된 작동제어회로나 시동회로를 기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동 제어 장치나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As such research results, if we look at the examples of the conventional drunk driving prevention device or ignition control system that can be encountered in our daily life, we first have a sensing device or circuit that detects the driver's breathing air, and then blow the driver's breath into these devices. , When the measured or detected value exceeds a certain level, the engine stops with a warning. An ignition control device or system that enables operation is know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기술적으로 미흡하여 음주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었다.However, such a prior art was technically insufficient, and driving in a drunk state often occurred.

이와 같은 음주 운전은 차량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정상적인 운전이 이미 불가능한 상황이므로 사고는 이미 예견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음주운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한 상태이며, 사회적인 관심과 요구 또한 높은 실정이다.Such drunk driving is a situation in which normal driving of drivers is already impossible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vehicles is greatly increased, so accidents are already predicted. to be.

따라서, 차량의 시동시나 운전중에 실제 운전자의 음주 여부나 상태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차량의 시동 및 운행에 반영하여 제어하도록 설계됨으로써 음주운전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었다.Therefore, it was intended to fundamentally prevent drunk driving by continuously measuring whether or not the actual driver's drinking status or status while starting or driving the vehicle and reflecting this on the starting and driving of the vehicle to control it.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차량에 장착하는 데에 고가의 비용이 들어가고, 차량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기술은 그 설치 비용이 고가이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최고급 차량과 같이 고가의 차량이 아니고서는 실제로 차량에 적용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 requires a high cost to be mounted on a vehicle, and the vehicle must be completely rearranged. In particular, since such a technology is expensive to install and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a vehicle unless it is an expensive vehicle such as a high-end vehicle.

KR 10-0816249호KR 10-0816249 KR 10-2003-0083943호KR 10-2003-0083943 KR 10-2036838호KR 10-2036838 KR 10-2269739호KR 10-2269739 KR 20-0330745호KR 20-033074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주 운전 방지를 위하여 운전자의 음주 상태 여부를 측정함으로써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다양한 운전환경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함으로써 음주 운전 방지와 함께 운전자의 쾌적한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not only a function to prevent drunk driving by measuring whether the driver is intoxicated in order to prevent drunk driving, but also measures the various driving environment states of the driver in real time and uses it as a cloud-based method. The purpose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event drunk driving and provide a comfortable driving environment for drivers.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와 더불어 운전자의 상태 정보를 가족이나 지인의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응급 상황 발생시 조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ing system that implements a cloud-based monitoring system and enables prompt action in case of an emergency by linking the driver's status information with a terminal of a family member or acquaintance in real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주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BAC) 수치를 검출하는 음주측정부; 상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TVOC(유해성화합물), 미세먼지, 실내 온도,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를 검출하는 공기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인식된 운전자가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안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MCU)로부터 수신 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주측정부에서 검출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와, 상기 공기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검출된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 받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 공기정보,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설치되는 하나의 분석장치에 해당되며, 상기 대시보드에 설치 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운행시간과 주행거리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 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운전자 휴식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운전 환경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운전자로부터 기등록된 임의의 3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운전자의 운전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기등록된 상기 3자 단말기로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전 환경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 3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rt of a vehicle by measuring whether the driver has been drinking, a breathalyzer for detecting the level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of the driver in ord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been drinking wealth; an air measurement unit for detecting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fine dust,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mmonia, TVOC (toxic compounds), fine dust,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rides; a camera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recognized through the driver's face recognition corresponds to a previously registered driver's face;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 control unit (MCU) installed in the vehicl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reathalyzer unit,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air measuring unit,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driving time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 a display unit that output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mileag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air information,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network; one driver environment comprising: Consists of an analysis device, wherei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orresponds to one analysis devic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a separate connection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installed on the dashboard In addi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alculates the driver's rest time based on the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ll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displays driver rest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control, storing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toring an arbitrary third-party terminal number previously registered from the driver, and pre-registered when the driver'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cloud server that provide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terminal; and a third-party terminal that receive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loud server and receives the driver's state information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

또한, 상기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여 생체정보에 해당되는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 지문정보 인식이 가능한 독립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 가능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신된 생체정보는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된 후 운전의 생체정보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 3자 단말기로 이상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is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an independent wearabl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hear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iometric information worn by the driver, and the wearable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is provided,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s provided from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to the cloud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to the third-party terminal.

또한, 상기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검출되는 생체정보에 해당되는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표준수치를 벗어난 범위로 검출될 경우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의 이상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에서 측정된 수치정보를 상기 제 3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운전자 수치정보에 따른 제 3자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다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is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 signal of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detected outside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heart r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After being generated, it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loud server that has received the abnormal signal transmits the numerical information measured in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edback signal is received again from the third-party termi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제어되지 않도록 제어함에 따라 음주 운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운전자의 음주 상태 뿐만 아니라, 차량 환경이나 운전자의 신체 환경 등 종합적인 운전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drunk driving in advance by controlling so that the vehicle start is not controlled in the driver's drinking state, and in addition to the driver's drinking state, the vehicle environment or the driver's body Since the comprehensive driving environment such as the environment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table driving environment as a result.

특히,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상태와 운전환경(차량 내부 환경, 운전자 종합 환경)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이와 더불어 운전자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 3자인 운전자 가족이나 지인에게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응급 상황 시 즉각 운전자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a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ud-based system, the driver's state and driving environment (internal environment, driver's overall environment) are stored and managed in real time on a cloud-based basis while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in real time, and In addition, as the driver's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hird party, the driver's family or acquaintances,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mergency situations can be resolved by immediately providing the driver's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 시간, 운전 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상에 해당 정보와 더불어 휴식 알림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안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driving time and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a rest notification function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thereby reducing driver fatigue and consequently providing a system that enables the driver to drive safely.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전환경 측정 구성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 운전자가 착용한 외부 웨어러블 기가와 연동을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운전 환경 상태를 그래프화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driving environment measurement of the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oud-based of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interlocking with an external wearable giga worn by a driver as another embodiment of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driving environment st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in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in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주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BAC) 수치를 검출하는 음주측정부; 상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TVOC(유해성화합물), 미세먼지, 실내 온도,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를 검출하는 공기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인식된 운전자가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안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MCU)로부터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주측정부에서 검출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와, 상기 공기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검출된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받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 공기정보,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설치되는 하나의 분석장치에 해당되며, 상기 대시보드에 설치 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운행시간과 주행거리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 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운전자 휴식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운전 환경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운전자로부터 기등록된 임의의 3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운전자의 운전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기등록된 상기 3자 단말기로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전 환경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 3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a vehicle by measuring whether the driver has been drinking, in order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has been drinking, the driver'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 a breathalyzer for detecting the level; an air measurement unit for detecting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fine dust,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mmonia, TVOC (toxic compounds), fine dust,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rides; a camera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recognized through the driver's face recognition corresponds to a previously registered driver's face;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 control unit (MCU) installed in the vehicl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reathalyzer unit,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air measurement unit,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driving time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 a display unit that output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mileag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air information,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network; one driver environment comprising: Consists of an analysis device, wherei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orresponds to one analysis devic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a separate connection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installed on the dashboard In addi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alculates the driver's rest time based on the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ll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displays driver rest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control, storing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toring an arbitrary third-party terminal number previously registered from the driver, and pre-registered when the driver'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cloud server that provide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terminal; and a third-party terminal that receive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loud server and receives the driver's state information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의 음주 정보를 측정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 내부의 환경 정보(공기, 온도, 습도 등)와 운전자의 생체 정보(산소포화도 등)를 포함한 건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하거나 운전자의 가족이나 지인 등 사전에 등록된 제 3자 단말기로 운전자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응급 상황 발생시 조속히 조치할 수 있는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기술적 요지가 있다. The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ontrols the engine not to start by measuring the driver's drinking information, but also provid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ir, temperature, humidity) insid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is riding. etc.) and health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oxygen saturation, etc.) in real-time and manage it through a cloud-based communication network or provide the driver's status through a pre-registered third-party terminal such as the driver's family or acquaintances. There is a technical point in providing a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at can take immediate action in case of a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의 음주 상태 분석과 함께 차량의 환경 정보와 운전자 건강 정보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이상 신호 발생 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The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oud system that comprehensively measur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driver health information of the vehicle along with analysis of the driver's drinking state, and allows prompt actions to be taken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t consists of a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가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차량의 중앙 제어부에 해당되는 MCU(100)와 연결되어 필요한 신호를 제공받는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10 is configured, and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10 is connected to the MCU 100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o receive a necessary signal.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하나의 클라우드 서버(400)와 운전자의 가족 또는 지인들이 사용하여 운전자 응급상황 발생(차량 사고, 고장, 응급 상황)시 응급신호를 수신받는 제 3자 단말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e cloud server 400 and the driver's family or acquaintances to build a cloud-base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o receive an emergency signal when a driver emergency occurs (vehicle accident, breakdown, emergency situation). and a third-party terminal 500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에서 측정된 운전자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에 제공하기 때문에 원격에서 운전자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제공받는 제 3자 단말기(500)도 리얼타임으로 운전자 상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driver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is provided to the cloud server 400 in real time, driver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remotely, and driver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er is provided. Even the third-party terminal 500 that receives the driver statu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real time.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하나의 전자기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운전자 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다수의 센서 장치와 검출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한다.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may correspond to on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devices to collect driver situat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200 for monitoring detection values.

여기서,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쉽게 탈착 가능한 형태의 전자기기로써, 필요에 따라서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고 탈착 방식으로 쉽게 설치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된다.Here,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100 is an electronic device of a type that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corresponds to a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nd detached as needed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mmediately in a detachable manner.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0)가 필요하여, 여기에 추가적으로 클라우드 서버(400)와 제 3자 단말기(500)가 구성되어 하나의 운전자 환경 통합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First, on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0 is required to configure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00) is configured to constitute a single driver environment integrated analysis system.

본 발명의 주요 목적 및 기술적 요지에 따른 운전자의 음주 여부 상태 측정과 운전자 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0)는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음주측정부(300)와, 차량의 실내 공기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측정부(310), 그리고 외부와 온라인망으로 통신하기 위한 하나의 통신모듈(320) 및 차량의 제어부인 MCU(100)로부터 차량의 각종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measure the driver's drinking status and the driver's environment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main object and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0 includes a breathalyzer 300 for measuring the driver'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 an air measuring unit 310 for measuring the indoor air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one communication module 3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an online network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MCU 100 , which is a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face unit 330 for.

상기 음주측정부(300)와 공기측정부(310)는 알코올농도와 공기 중 유해성 가스, 미세먼지, 암모니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을 검출할 수 있는 화학센서의 구성으로써, 이러한 센서류를 통해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The breathalyzer 300 and the air measurement unit 310 are a configuration of a chemical sensor that can detect alcohol concentration and harmful gases in the air, fine dust, ammonia, carbon dioxide, carbon monoxide, etc., and measure the air condition through these sensors. can be measured

한편, 상기 음주측정부(300)에서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 값이 측정되었을 경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차량 MCU로 신호를 제어하여 차량 시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시동 정지를 위한 혈중알코올농도의 수치값은 작업자에 의해 세팅되겠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법규에 지정된 수치값을 통해 설정될 것이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음주 상태 여부를 측정한 후 차량 음주 발생 시 차량 시동을 정지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value of the driver is measured in the breathalyzer 300,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controls the signal with the vehicle MCU to stop the vehicle starting. At this time, the numerical value of th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for stopping the engine will be set by the operator, but this will generally be set through the numerical value specified in the law. will stop

또한, 운전자의 음주 발생 시(또는 음주 후 차량 탑승이나 시동 시도) 해당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저장되며, 이와 더불어 제 3자 단말기(500)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제 3자 단말기(500)는 운전자의 지인이나 가족 등을 운전자가 사전에 등록하여야 하며, 기본적으로 3자의 휴대폰 번호 등록을 통해 한명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 기등록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해당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drinks alcohol (or attempts to board or start the vehicle after drink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stored through the cloud server 400 and transmitted to the third-party terminal 500 along with this. In this case, in the third party terminal 500, the driver must register the driver's acquaintances or family members in advance, and basically, one or more users are registered through the third party's mobile phone number registration, and in case of an emergency, the corresponding signal will provide

음주 여부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중요한 차량 실내 공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데, 앞서 공기측정부(310)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기 상태를 센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통해 출력시켜 현재 공기 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내부 환기가 필요한 경우 환기를 요청하는 알림음이나 메세지를 출력시킬 수 있으며, 내부 클리닝이 요구될 경우 마찬가지로 해당 알림음이나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고장으로 인해 가스 누출시 지속적인 경보가 발생할 경우 차량 정비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o drin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time monitoring and provision of important vehicle indoor air condi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The air condition is sensed in real time through the air measurement unit 310 and th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00 . It informs the driver of the current air condition. For example, when internal ventilation is required, a notification sound or message requesting ventilation can be output, and when internal cleaning is required,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sound or message is output as well. In addition, if, for example, a continuous alarm i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gas leak due to a vehicle breakdown, maintenance of the vehicle is requested.

따라서, 본 발명은 크게 운전자의 음주 상태와 차량 내 공기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빠르게 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analyzes the driver's drinking state and the in-vehicle air state in real time,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corresponding measures so that the driver can take action quick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운전환경 측정 구성의 상세도이다.2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driving environment measurement of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차량의 대시보드상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전자기기로써, 이를 위하여 차량 대시보드의 임의 위치로는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1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30)와 연결되어 차량 정보를 송수신 받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e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 connec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connect to the , and the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330 to transmit and receive vehicl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환경과 차량 내부의 공기 정보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다양한 환경을 측정 및 관리하기 위하여 카메라부(33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era unit 330 to measure and manage various environments of the driver,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the driver's drinking environment and the air inside the vehicle.

상기 카메라부(330)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운전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데, 눈동자나 표정 등을 촬영하여 졸음 상태, 피로도 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딥러닝 기법을 통해 안면 스캐닝 후 사용자 얼굴을 통해 현재 상태를 진단 및 예측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사용자 얼굴 인식을 통하여 실제 등록된 해당 운전자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도난 방지나 어린아이들이 운전석에 탑승하여 차량을 조작할 경우 상기 카메라부(340)는 위험을 감지하고 차량 시동상태에서 완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시동 전일 경우라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330 may check the driver's state by basically recognizing the driver's face, and may measure the drowsiness state, fatigue state, etc. by photographing pupils or facial expressions. In general, such a function can diagnose and predict the current state through the user's face after facial scanning through deep learning techniques, and also check whether the driver is actually registered through the user's face recognition. This is to prevent theft or when young children operate the vehicle while riding in the driver's seat, the camera unit 340 can detect a danger and control the vehicle to completely stop in the starting state. If it is before starting,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engine does not start.

또한, 본 발명은 지문인식부(350)를 더 포함하여, 이는 기 등록된 운전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보안 기능으로써, 사전에 지문이 등록된 운전자만 운전이나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지문인식 기능을 적용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350, which is a security function for checking whether a previously registered driver is a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so that only a driver whose fingerprint is registered in advance can drive or operate a vehicle. apply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보안 매체로써의 기능과 음주 운전 방지, 운전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만족도 높은 차량 운행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mote high satisfaction vehicle operation and safety by integrating functions as various security media and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managing the driver's health.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를 기반으로 차량의 정보와 운전자 정보에 대한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한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oud-based of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builds a cloud-based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and driver information based 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에 구성된 통신모듈(320)을 통해 실시간으로 운전자 정보와 공기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게 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는 차량별 수신받은 정보를 누적 저장하여 보관한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을 통해 해당 차량의 운전자 환경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환경 정보를 예측하여 조기에 문제점을 찾고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다.The driver information and air cond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configured i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and provided to the cloud server 400 in real time, and the cloud server 400 is configured for each vehicle. Received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stored. Through this data storage,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monitor the driver's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ata and present a solution that can find and solve problems ear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위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비상버튼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상버튼부(360)는 운전자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거나 차량 고장,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한 번의 버튼 조작을 통해 위급 상황을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는 마찬가지로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에서 접수받아 신고, 제 3자 단말기 제공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unit 360 that can be directly operated by the driver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emergency button unit 360 may provide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single button operation when the driver has an emergency or a vehicle breakdown or accident occurs, and this signal is similar to the cloud server 400 Signal processing such as receiving, reporting, and providing a third-party terminal is performed so that emergency situations can be quickly dealt with.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 운전자가 착용한 외부 웨어러블 기가와 연동을 위한 구성도이다.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wearable giga worn by a driver as another embodiment of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 환경을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운전의 위급상황과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개별적으로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environment is more specifically and accurately grasped to provide an emergency and a safe environment for driving, and the wearable device is individually worn by the driver.

일반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 착용형이나 안경형 등은 다양한 장치들이 있으며, 이러한 웨어러블 기기는 착용자의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 혈압 등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수집할 수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devices such as a wrist wearable device or a glasses type wearable device, and the wearable device may measure and collect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 wearer's hear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blood pressure in real time.

이와 같이 운전자가 착용한 독립적인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생체정보를 수신받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의 통신모듈(320)은 웨어러블 기기와 연결되어 생체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은 바람직하게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규격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통신 규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th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independent wearable device worn by the driver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of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to receive the biometric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preferably use a short-range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o it.

이에 따라 생체정보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상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해당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400)에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an abnormal signal is similarly generated i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loud server 400 to perform a quick a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한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함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이상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is received by interworking with various wearable devices worn by the user, and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는 운전 환경 상태를 그래프화한 도면이다. 도 5는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0)에 나타내는 측정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로써, 여러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음주 상태, 공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운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5 is a graph illustrating the driving environment stat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and prevention of drunk driv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for showing a measurement resul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0 of the driver's environment analysis apparatus, and the driver can easily check the drinking state and air state information measured by various measurement modules in real time by measuring and outputting it.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운전자의 운행시간이나 운행거리를 판단하여 휴식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In this case, as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t notification function is provided by determining the driving time or driving distance of the driver.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차량의 제어부로부터 차량의 운행시간과 운행거리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휴식 시간을 제공하고 휴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may receive the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nd through this, provide a rest time for the driver and allow the driver to take a break, thereby promoting more stable vehicle operation. will be.

이것은 사전에 운전자가 자신의 피로도나 체력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정 운행거리와 운행 시간 그리고 그에 따른 적정 휴식 시간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등록시키면 차량의 운행거리와 운행시간에 따라 운전자가 휴식해야할 시점을 알려주거나 휴식 시간 도달 시 알람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river's fatigue or physical condition, if the driver inputs and registers the appropriate driving distance, driving time, and appropriate rest time information in advance, the driver informs the driver when to take a break according to the driving distance and driving time of the vehicle. It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larm when the break time is reached.

따라서, 운전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휴식 시점과 휴식 시간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졸음운전이나 피로로 인한 각종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차량 운행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the driver can be provided with a break point and break time suitable for him/herself, various accidents due to drowsy driving or fatigue can be prevented, and a stable vehicle operation is possible.

구체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검출되는 생체정보에 해당되는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표준수치를 벗어난 범위로 검출될 경우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의 이상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에서 측정된 수치정보를 상기 제 3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운전자 수치정보에 따른 제 3자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다시 수신받는다. 이것은 왜냐하면, 해당 운전자가 특정 질환으로 인한 생체정보 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 3자로 하여금 해당 이상신호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특정 조치를 수행하거나 의료진이 확인하고 있어야 할 정보가 있기 때문에 수치정보에 대한 제 3자의 피드백 신호를 제공받는다. 이때 피드백 신호는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나도록 피드백 될 수 있으며, 이것은 예를 들어 당뇨 질환을 가진 환자가 급성 쇼크가 올 경우 이에 대한 대처방법을 제 3자로부터 수신받고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시켰을 때 운전자가 위치한 현장에 의료진이 도착하면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고 빠르게 조치할 수 있기 때문인거다.Specifically,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is detected to be outside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heart r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iometr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an abnormal signal of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cloud server through , and the cloud server receiving the abnormal signal transmits the numerical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river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terminal, and then gives feedback from the third-party terminal according to the driver's numerical information signal is received again. This is because, if the driver has a change in biometric information due to a specific disease, a third party can take a specific action through feedback on the abnormal signal or there is information that the medical staff should check. A feedback signal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feedback signal may be fed back to appear on the display unit, and this is, for example, when a patient with diabetes receives an acute shock from a third party and outputs it on the display unit, the driver is located at the site. This is because when medical personnel arrive at the hospital, they can check the printed information and take action quick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in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차량의 대시보드 전면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구조의 전자기기로 구성된 하나의 전자장치로써, 이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대시보드 일측으로는 상기 장치가 설치 가능하도록 설치 공간부를 갖고 있으며, 여기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330)와 연결되는 접속부(110)를 포함하고 있다.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omposed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tructur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fron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It has an installation spa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110 connected to the interface part 33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here.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한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운전자가 쉽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분리 후 보관할 수 있으며, 고장이나 수리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Since the selectively detachabl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driver, it can be separated and stored if necessary, and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when a problem occurs due to a breakdown or repai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각종 화학적 센서가 적용되는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10)는 수시로 점검 및 교정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 대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구조로 채택된 것이다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to which various chemical sensors are applied may need to be inspected and corrected from time to time, so it is selectively adopted as a coupling structure in preparation for such an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10)가 독립적인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고, 독립된 장치를 차량 대시보드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시스템 업데이트, 유지보수, 교체 등의 작업에서 매우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처럼 선택적인 탈착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은 기존의 차량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is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separate devic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dependent device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vehicle dashboard, it is very convenient in tasks such as system update, maintenance, replacement, etc. It has the ability to manage This selective detachable monitoring system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xisting vehicle, and can be installed at low cost during install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의 설치 예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부(340)가 운전석 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설치 장소는 다양할 수 있다.7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in a system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unit 340 for recognizing the user's face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vary.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하기 가장 좋은 위치에서 설치되는 상기 카메라부(340)를 통해 최초 운전자가 음주 측정을 실시할 때 사용자의 얼굴을 인신하게 되고, 음주 측정된 운전자가 실제로 운전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증하면서 음주 측정 운전자와 실제 운전자 여부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400) 기반을 통해 모니터링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주 측정 후 실제 운전하는 사용자의 얼굴이 불일치할 경우 경보 발생, 시동 정지 등의 조치를 MCU를 통해 제어하게 된다. When the first driver performs a breathalyzer test through the camera unit 340 installed at the best position to recognize the driver's face, the user's face is recognized, and it is verified in real time whether the breathalyzed driver is actually driving. While the breathalyzer driver and the actual driver is monitored through the cloud server 400 based. For example, if the actual driving user's face does not match after a breathalyzer test, actions such as alarm generation and engine stop are controlled through the MCU.

또한, 상기 카메라부(340)는 운전자의 얼굴을 10분단위, 20분단위 등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최초 음주 측정 운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운전자의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340 monitors whether the driver's face is taken periodically, such as in units of 10 minutes or 20 minutes, and is consistent with the first breath-taking driver,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the driver's drunk driving in advanc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omote safe driving.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음주측정부(300)나 공기측정부(310)를 모듈 타입으로 구성하고 운전 환경분석장치(10)에서 쉽게 교체 가능한 교체형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음주측정부나 공기측정부는 다양한 센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오염의 이유로 측정값에 오류가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도록 모듈 타입으로 구성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reathalyzer 300 or the air measurement unit 310 is configured as a module type and is composed of a replaceable typ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in the driving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0 . This is because the breathalyzer and air measurement part are composed of various sensors, so when used for a long time, errors easily occur in the measurement value due to contamination, so it must be replaced regularly. will b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운전자의 음주 상태에서 차량 시동이 제어되지 않도록 제어함에 따라 음주 운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운전자의 음주 상태 뿐만 아니라, 차량 환경이나 운전자의 신체 환경 등 종합적인 운전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prevent drunk driving in advance by controlling so that the vehicle start is not controlled in the drunk state of the driver. Since the driving environment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stable driving environment as a result.

특히,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상태와 운전환경(차량 내부 환경, 운전자 종합 환경)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며, 이와 더불어 운전자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 3자인 운전자 가족이나 지인에게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응급 상황 시 즉각 운전자의 정보를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응급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a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ud-based system, the driver's state and driving environment (internal environment, driver's overall environment) are stored and managed in real time on a cloud-based basis while the driver is in the vehicle in real time, and In addition, as the driver's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third party, the driver's family or acquaintances, in real tim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mergency situations can be resolved by immediately providing the driver's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an emergency.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o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
11 : 대시보드
100 : 차량 MCU
110 : 접속부
200 : 디스플레이
300 : 음주측정부
310 : 공기측정부
320 : 통신 모듈
330 : 인터페이스부
340 : 카메라부
350 : 지문인식부
360 : 비상버튼부
400 : 클라우드 서버
500 : 제 3자 단말기
600 : 웨어러블 기기
10: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11: Dashboard
100: vehicle MCU
110: connection part
200: display
300: breathalyzer
310: air measurement unit
320: communication module
330: interface unit
340: camera unit
350: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360: emergency button unit
400: cloud server
500: third-party terminal
600: wearable device

Claims (3)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측정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음주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BAC) 수치를 검출하는 음주측정부;
상기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 내부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TVOC(유해성화합물), 미세먼지, 실내 온도,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를 검출하는 공기측정부;
상기 운전자의 안면 인식을 통해 인식된 운전자가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안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카메라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MCU)로부터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주측정부에서 검출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와, 상기 공기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 내부의 공기정보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검출된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받은 차량의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혈중알코올농도 수치 정보, 공기정보, 등록 운전자 확인 정보, 운행시간, 주행거리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선택적으로 탈착 설치되는 하나의 분석장치에 해당되며, 상기 대시보드에 설치 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차량 정보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별도의 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음주측정부와 공기측정부는 모듈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에서 쉽게 교체 가능한 교체형 타입으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된 차량의 운행시간과 주행거리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을 계산하여 일정 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운전자 휴식 알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신된 운전 환경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운전자로부터 기등록된 임의의 3자 단말기 번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운전자의 운전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기등록된 상기 3자 단말기로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운전 환경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운전자의 상태 정보와 운전 환경 정보를 제공받는 제 3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가 착용하여 생체정보에 해당되는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 지문정보 인식이 가능한 독립된 웨어러블 기기와 연동 가능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되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운전자의 지문정보 인식을 위한 지문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기 등록된 운전자 여부를 확인하여 사전에 지문이 등록된 운전자만 운전이나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지문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신된 생체정보는 상기 운전자 환경 분석 장치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제공된 후 운전의 생체정보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제 3자 단말기로 이상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비상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버튼부는 운전자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거나 차량 고장,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한 번의 버튼 조작을 통해 위급 상황을 외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검출되는 생체정보에 해당되는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표준수치를 벗어난 범위로 검출될 경우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의 이상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이상 신호를 수신받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운전자 생체정보에서 측정된 수치정보를 상기 제 3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운전자 수치정보에 따른 제 3자 단말기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다시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환경 분석을 통한 음주운전 방지와 운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vehicle by measuring whether the driver is drinking,
a breathalyzer for detecting a 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 level of the driver in order to detect whether or not drinking;
an air measurement unit for detecting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cluding fine dust,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mmonia, TVOC (toxic compounds), fine dust, in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rides;
a camera unit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recognized through the driver's face recognition corresponds to a previously registered driver's face;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a control unit (MCU) installed in the vehicle;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breathalyzer unit, air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measured through the air measurement unit,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camera unit, and the driving time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 a display unit that output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mileage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On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comprising; blood alcohol concentration leve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ir information, registere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riving tim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providing mileage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network consists of devices,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orresponds to one analysis device that is selectively detachably installed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a separat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for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data through the interface unit when installed on the dashboard,
The breathalyzer and air measurement unit are composed of a module type and are composed of a replaceable typ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in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calculates the driver's rest time based on the driving time and mile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coll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controls to display the driver's rest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Stores the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stores a pre-registered third-party terminal number from the driver, and when the driver'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3 A cloud server that provides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o its own terminal; and
and a third-party terminal that receives the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loud server and receives the driver's state information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is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an independent wearabl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heart rate, blood oxygen satur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iometric information worn by the driver, and the wearable device is wireless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is a wearable device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in
It further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driver's fingerprint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driver is already registered and recognizes fingerprint information so that only the driver whose fingerprint is registered in advance can drive or operate the vehicle,
After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s provided from the driver environment analysis device to the cloud server,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driving biometric information, the cloud server sen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to the third party terminal provide,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that the driver can directly operate, and the emergency button allows the driver to control the emergency situation through one button oper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a vehicle breakdown, or an accident occurs. can be provided as
The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generates an abnormal signal of the driver's bio-information when the bio-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a range outside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heart rate and blood oxygen saturation corresponding to the bio-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rable device. Transmitting to the cloud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loud server receiving the abnormal signal transmits the numerical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driver's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terminal, and then receives a feedback signal from the third-party terminal according to the driver's numerical information again Drunk driving prevention and driving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through driver environment analysi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13045A 2022-01-28 2022-01-28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KR1024333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45A KR102433378B1 (en) 2022-01-28 2022-01-28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045A KR102433378B1 (en) 2022-01-28 2022-01-28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378B1 true KR102433378B1 (en) 2022-08-19

Family

ID=8311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045A KR102433378B1 (en) 2022-01-28 2022-01-28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378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745Y1 (en) 2003-02-08 2003-10-24 장종기 The operation-control unit for preventing drinked driving
KR20030083943A (en) 2002-04-23 2003-11-01 장인철 The operation-control unit for preventing drinked driving
KR100816249B1 (en) 2007-05-14 2008-03-24 유도준 Apparatus for preventing drunken driving
KR102036838B1 (en) 2018-04-06 2019-11-26 (주)에코플러스 Start-up control system to prevent drunk driving
JP2020119385A (en) * 2019-01-25 2020-08-06 日本精機株式会社 Driving management device, driving management method, and driving management program
KR20210046096A (en) * 2019-10-17 2021-04-2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condition using driver data and car data
KR20210062768A (en) * 2019-11-21 2021-06-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69739B1 (en) 2020-02-17 2021-06-25 현상효 Ship's drinking start and navigation prevention system
JP2021194973A (en) * 2020-06-11 2021-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43A (en) 2002-04-23 2003-11-01 장인철 The operation-control unit for preventing drinked driving
KR200330745Y1 (en) 2003-02-08 2003-10-24 장종기 The operation-control unit for preventing drinked driving
KR100816249B1 (en) 2007-05-14 2008-03-24 유도준 Apparatus for preventing drunken driving
KR102036838B1 (en) 2018-04-06 2019-11-26 (주)에코플러스 Start-up control system to prevent drunk driving
JP2020119385A (en) * 2019-01-25 2020-08-06 日本精機株式会社 Driving management device, driving management method, and driving management program
KR20210046096A (en) * 2019-10-17 2021-04-28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condition using driver data and car data
KR20210062768A (en) * 2019-11-21 2021-06-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eventing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69739B1 (en) 2020-02-17 2021-06-25 현상효 Ship's drinking start and navigation prevention system
JP2021194973A (en) * 2020-06-11 2021-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contro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13B2 (en) Accident suppression device
KR102026806B1 (en) Health care apparatus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CN108944675B (en) Early warning and help seeking system based on external sensor and used for emergency condition of autonomous vehicle passenger
JP6627684B2 (en) Driver status determination device, vehicle control system
KR100898417B1 (en) A simulation system for operating train
KR102303023B1 (en) Taxi nomitoring system using smart band, gateway module and integrated control device connected with taxi service using smart band
US20120075094A1 (en) Sobriety Monitoring System
US201502444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ndividuals for Substance Abuse
WO2021023064A1 (en) Safe driv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train
CN205302556U (en) On -vehicle healthy safety coefficient of intelligence
WO2021023198A1 (en) Train safety driving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JP4783925B2 (en) Emergency call system
US10809248B2 (en) System for certifying a detection of a gaseous substance exhaled by an individual, and method using the system
CA2978809A1 (en) Safety detection in sealed vehicle spaces using capacitve sensors or thelike
KR102073561B1 (en) Health care method with a passenger physical condition measurement in a vehicle
JPH1134688A (en) System for monitoring mind and body information of driver engaging in vehicle-driving work and system for controlling safety operation
KR20150114781A (en) Driver's health status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JP2021501717A (en) Child seat check system and child seat check method
KR20100053264A (en) System for managing health in vehicle
KR102433378B1 (en) Prevention of drunk driving and monitoring system of driv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driver environment
KR20180108033A (en) Driver status information alarm system using biometric information
CN209895480U (en) Monitoring system based on red dot detection
RU121141U1 (en) TELEMETRIC SYSTEM FOR MONITORING THE WAKE-UP OF A HUMAN OPERATOR
KR101388984B1 (en) Alarm system for the lifes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