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20B1 -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20B1
KR102433120B1 KR1020220040059A KR20220040059A KR102433120B1 KR 102433120 B1 KR102433120 B1 KR 102433120B1 KR 1020220040059 A KR1020220040059 A KR 1020220040059A KR 20220040059 A KR20220040059 A KR 20220040059A KR 102433120 B1 KR102433120 B1 KR 10243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inting
unit
dispos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04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20B1/en
Priority to KR1020220098502A priority patent/KR20230141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20B1/en
Priority to PCT/KR2023/003836 priority patent/WO202319138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smoothly printing a design on the surface of a print medium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print medium is disclosed. The printing apparatus may comprise: a device body having an opening hol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 ink member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xposing a prin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height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part and the print medium.

Description

프린팅 장치{PRINTING APPARATUS}Printing device {PRINTING APPARATUS}

본 개시는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a height between a printing unit of an ink member and a printing medium.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린터의 기능은 종이, 직물 등에 원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A commonly known function of a printer is a device that outputs a desired image on paper, fabric, or the like.

과거에는 비교적 크기가 큰 프린터를 사무공간, 집 등에 배치하고 사무용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성이 강조되는 특정 목적의 제품들이 요구되고, 일 예로 사진 출력 목적의 프린터 등과 같은 소형화된 프린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In the past, relatively large printers were placed in an office space, home, etc. and used for office purposes, but recently, products for a specific purpose that emphasize portability are required. have.

최근에는 핸드 헬드 프린터(hand heid printer)가 유행을 하고 있다. 핸드 헬드 프린터는 크기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고, 종이, 직물 등 비교적 평평한 곳뿐 아니라 사람의 피부, 가죽 등 표면에 변화가 있는 곳에도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Recently, hand-held printers are in vogue. Handheld printers are small and easy to carry, and they can print designs not only on relatively flat surfaces such as paper and textiles, but also on areas with changes in the surface, such as human skin and leather.

그런데, 핸드 헬드 프린터가 종이, 직물, 사람의 피부, 가죽 등의 인쇄매체에 디자인을 제대로 프린팅하기 위해서는 핸드 헬드 프린터에 장착된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However, in order for the hand-held printer to properly print a design on a print medium such as paper, fabric, human skin, or leather, a certain distance must be maintained between the printing unit of the ink member mounted in the hand-held printer and the print medium.

그 간격이 너무 가깝거나 또는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에 접촉이 일어난다면 프린팅이 제대로 되지 않아 디자인이 어그러질 수 있다. If the distance is too close or if contact occurs between the printing part of the ink member and the printing medium, printing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and the design may be distorted.

예컨대, 종이, 직물 등의 비교적 평평한 인쇄매체에서는 문제되지 않으나, 사람의 피부와 같은 부드러운 인쇄매체의 경우 디자인을 프린팅을 하기 위해 핸드 헬드 프린터를 사람의 피부에 닿게 하고 이동시키면, 이동과정에서 사람의 피부에 변형이 발생한다. For example, it is not a problem in a relatively flat print medium such as paper or fabric, but in the case of a soft print medium such as human skin, if the handheld printer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human skin and moved to print the design, the Deformation occurs in the skin.

이 경우,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사람의 피부간에 간격이 너무 가깝거나 또는 닿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원하는 디자인이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part of the ink member and the human skin is too close or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s a result, a desired design may not be printed.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7-0136784- (2017.10.20 출원)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136784- (filed on October 20, 2017)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쇄매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인쇄매체의 재질에 상관없이 그 표면에 디자인을 원활하게 프링팅할 수 있는 프린팅 장치를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moothly print the design on the surface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by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of the ink member and the printing medium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A print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that purpose.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프린팅 장치는 하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로 프린팅부가 노출되는 잉크부재; 및 상기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apparatus body having an opening hole formed therein; an ink member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xposing the prin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height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and the printing medium.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조절모듈은,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버튼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may include: a lifting block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a button portion disposed on the elevating block; and an eleva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ner frame of the device body and the button unit, and elevating the elevating block.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가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유닛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frame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and disposed with the button unit;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levating unit passes and is dispos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이동홀;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block may include: a depression formed to be depress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 protrus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pression and formed to protrude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moving hole formed through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이동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동작버튼; 및 상기 동작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는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unit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moving hole; and a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nd seated on the protrusion.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하단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 상기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단프레임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프레임홀; 및 상기 프레임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는 승강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lower fram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ner frame, the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first frame includes: a frame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frame passes; and a lifting bulkhead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ame hole and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버튼부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제1 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제2 샤프트로 연결되는 링크빔;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bracket formed in the button part; a second bracket formed on the inner frame; and a link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by a first shaf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by a second shaf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guide block disposed on the first frame;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block and into which the first shaft is movably inserted.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2 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 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상기 제2 샤프트가 각각 상기 제1 브라켓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formed by being cu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first shaft; a second fixing groove cut and formed in the second shaf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xing piece fit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or the second fixing groove and preventing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racket or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hav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상에서 상기 프린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프레임상에서 상기 프린팅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block may include: a first 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ing unit on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unit on the first frame.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샤프트는 복수개의 절곡부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승강블록의 승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unit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formed therein, wherein the first shaft moves between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to adjust the lifting position of the lifting block.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solutions obtaina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s, and other solution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개시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해 인쇄매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잉크부재의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of the ink member and the printing medium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이에 따라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른 표면 변형을 감안하여 인쇄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표면에 디자인을 원활하게 프링팅할 수 있다.Accordingly, by forming the printing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that may occur during the printing process, the design can be smoothly printed on the surface.

궁극적으로는 종래 기술에 비해 사람의 피부, 가죽 등 부드러운 재질의 인쇄매체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을 제대로 프린팅할 수 있어 제품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선호도를 향상할 수 있다. Ultimately, compared to the prior art, a user's desired design can be properly printed on a print medium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human skin or leather, thereby improving product performance, thereby improving product preference.

본 개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라 높이조절모듈을 승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collectively. In the following examples,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however, that such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is a top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a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b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a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b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A and 9B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in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프린팅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it with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개시의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본 개시의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unless it is clear from context to refer to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comprising”,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개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의미의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의 "또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 “or”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understood as “or” in an inclusive sense and not “or” in an exclusive sense.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X employs A; X employs B; or when X employs both A and B, "X employs A or B" may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as used in this disclosure refers to and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하측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하강 후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에서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라 높이조절모듈을 승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이다.1 is a top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a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b is a lowe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a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b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lowering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in 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장치(100)는 장치리드(200), 장치바디(300), 잉크부재(400), 높이조절모듈(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프린팅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프린팅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1 to 10, the prin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evice lead 200, a device body 300, an ink member 400, a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and a control unit ( 600)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printing apparatus 100 , the printing apparatus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도 1 내지 도 4,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장치리드(200)는 장치바디(300)의 상부에 탈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장치리드(200)의 내부 및 장치바디(300)의 상부에는 탈착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1 to 4 , 7A and 7B , the device lead 2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300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detachable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n the inside of the device lead 200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300 .

사용자는 장치리드(200)를 장치바디(300)의 상부에서 탈착하여 장치바디(300)의 내부에서 잉크부재(400)를 교체할 수 있다. The user can replace the ink member 400 inside the device body 300 by detaching the device lead 200 from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body 300 .

장치바디(300)는 장치리드(200)와 결합하며 프린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바디(300)의 내부에는 내부프레임(350)과 하단프레임(32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device body 300 may be coupled to the device lead 200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inting device 100 . An inner frame 350 and a lower frame 3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300 .

내부프레임(350)의 중앙부에는 수용홈(3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351)에는 잉크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프레임(350)의 외측 둘레에는 제어부(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프린팅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회로기판, 각종 회로부품, 배터리, 각종 제어로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A receiving groove 351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350 , and the ink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351 . And the control unit 6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frame 350 . The control unit 6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100,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 unit 600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circuit board, various circuit parts, a battery, various control logic, and the like. .

장치바디(300)의 외측에는 관통된 인터페이스홀(3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홀(310)에는 제어부(600)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V)가 노출되며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V)에 외부 케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 배터리 충전 등을 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인터페이스부(V)를 이용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V)는 USB단자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through interface hole 31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evice body 300 , and the interface part V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00 may be exposed and disposed in the interface hole 310 . A user may connect an external cable to the interface unit V to transmit data, charge a battery, and other various operations using the interface unit V.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terface unit V may be a USB termi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하단프레임(320)은 내부프레임(35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단프레임(320)의 중앙부에는 수용홈(351)과 연결된 개구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351)에 배치된 잉크부재(400)의 하단에 형성된 프린팅부(410)는 개구홀(330)을 통해 장치바디(3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lower frame 32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350 , and an opening hole 330 connected to the receiving groove 351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frame 320 . Accordingly, the printing unit 41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k member 400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351 may b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300 through the opening hole 330 .

잉크부재(400)는 내부프레임(350)에 형성된 수용홈(35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부재(400)의 하단에는 인쇄매체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프린팅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팅부(410)는 상술한 개구홀(330)을 통해 인쇄매체에 노출될 수 있다.The ink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351 formed in the inner frame 350 , and a printing unit 410 for printing a design on a print medium may b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ink member 400 .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410 may be exposed to the printing medium through the above-described opening hole 330 .

한편, 도 2 내지 도 4,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높이조절모듈(500)은 장치바디(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잉크부재(400)의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인쇄매체에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이 되기 위해서는 인쇄매체와 프린팅부(410)간에 일정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to 4 , 7A and 7B , 8A and 8B ,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may be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300 , and the printing of the ink member 400 . The height between the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can be adjusted. In order for the design to be properly printed on the print medium, a certain distance must be maintained between the print medium and the printing unit 410 .

만약 인쇄매체와 프린팅부(410)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가 직접 맞닿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쇄매체에 디자인이 뭉게져 프린팅될 수 있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medium and the printing unit 410 is too close,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ing medium may come into direct contact, and in this case, the design may be crushed and printed on the printing medium.

특히 인쇄매체가 사람의 피부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인 경우, 프린팅 장치(100)를 사람의 피부에 대고 디자인을 프린팅하기 위해 이동시킬 때, 사람의 피부가 변형되며 프린팅부(410)와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사람의 피부에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printing medium is a soft material such as human skin, when the printing device 100 is moved to print the design on the human skin, the human skin is deformed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inting unit 410 . . In this case, the design may not be printed properly on the human skin.

따라서 높이조절모듈(500)은 인쇄매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잉크부재(400)의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디자인이 인쇄매체에 제대로 프린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of the ink member 400 and the printing medium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so that the design can be properly printed on the printing medium.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모듈(500)은 승강블록(510), 승강유닛(560) 및 버튼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lifting block 510 , a lifting unit 560 , and a button unit 520 .

승강블록(510)은 장치바디(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승강블록(510)은 장치바디(300)를 구성하는 내부프레임(3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블록(510)은 제1 프레임(511) 및 제2 프레임(51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block 510 may be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300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fting block 510 may be disposed below the inner frame 350 constituting the device body 300 . The lifting block 510 may include a first frame 511 and a second frame 517 .

제1 프레임(511)은 장치바디(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프레임(511)에는 버튼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frame 511 may be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300 , and the button unit 52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rame 511 .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511) 및 제2 프레임(517)은 내부프레임(3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버튼부(520)는 함몰부(512), 돌출부(512a) 및 이동홀(513)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frame 511 and the second frame 517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frame 350, and the button unit 520 includes a depression 512, a protrusion 512a and It may include a moving hole 513 .

함몰부(512)는 제1 프레임(511)의 하부에서 장치바디(300)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2a)는 함몰부(512)의 반대편에는 장치바디(30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pression 512 may be formed to be de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300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11 . The protrusion 512a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30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pression 512 .

이동홀(513)은 함몰부(512) 및 돌출부(512a)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The moving hole 51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depression 512 and the protrusion 512a.

여기서, 버튼부(520)는 승강블록(510)과 승강유닛(560)에 연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유닛(5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에에서 버튼부(520)는 동작버튼(521) 및 이동판(522)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utton unit 520 may be disposed in connection with the elevating block 510 and the elevating unit 560 , and may operate the elevating unit 560 by a user's manipul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unit 520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521 and a moving plate 522 .

동작버튼(521)은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하나로 용이하게 이동홀(513)의 내부에서 동작버튼(52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손가락으로 조작이 용이한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The operation button 521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move the operation button 521 inside the movement hole 513 with one finger. In addition, other shapes that are easy to operate with a finger are also possible.

이동판(522)은 동작버튼(521)에 연결되고, 제1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돌출부(512a)에 안착될 수 있다. 이동판(522)은 상부에 승강유닛(56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대체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ving plate 522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21 and seated on the protrusion 512a positioned on the first frame. The moving plate 522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so that the lifting unit 560 can be connected there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프레임(511)에는 프레임홀(519a) 및 승강격벽(51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rame hole 519a and a lifting bulkhead 519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frame 511 .

프레임홀(519a)은 제1 프레임(511)상에서 하단프레임(3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프레임(320)은 프레임홀(519a)에 삽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단프레임(320)의 개구홀(330)에 노출되어 있는 잉크부재(400)의 프린팅부(410)도 프레임홀(519a)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rame hole 519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320 on the first frame 511 , and the lower frame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frame hole 519a and disposed. At this time, the printing part 410 of the ink member 400 exposed in the opening hole 330 of the lower frame 320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frame hole 519a.

승강격벽(519)은 제1 프레임(511)상에서 프레임홀(519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511)이 승강할 때, 하단프레임(320)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The lifting bulkhead 519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ame hole 519a on the first frame 511, and suppor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320 when the first frame 511 is raised and lowered. You can go up and down in any direction.

제2 프레임(517)은 장치바디(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프레임(5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프레임(511)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체결부(511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체결부(511a)를 통해 제1 프레임(511)과 제2 프레임(517)은 볼트체결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결합 형태도 가능하다.The second frame 517 may be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300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11 . Referring to FIG. 4 ,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511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11 , and the first frame 511 and the second frame 517 are bolt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511a. can be contracted. Other bonding forms are possible.

또한 제2 프레임(517)에는 승강유닛(560)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관통홀(518)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유닛(560)은 관통홀(518)을 관통하며 배치되며 내부프레임(350)의 하부 및 이동판(522)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518 through which the lifting unit 56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rame 517 . The lifting unit 56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518 and may connec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3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522 .

그리고, 승강블록(510)은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fting block 5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oller 530 and a second roller 540 .

도 4를 참고하면, 제1 프레임(511)상에서 승강격벽(519)의 일측에는 제1 롤러브라켓(514a)이 형성되고 제1 롤러브라켓(514a)에는 제1 롤러(5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격벽(519)의 타측에는 제2 롤러브라켓(514b)이 형성되고 제2 롤러브라켓(514b)에는 제2 롤러(54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a first roller bracket 51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bulkhead 519 on the first frame 511 , and a first roller 53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roller bracket 514a. . A second roller bracket 514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bulkhead 519 , and a second roller 54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roller bracket 514b.

도 2를 참고하면,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가 프린팅부(410)의 양측에 프린팅부(4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프린팅부(410)가 인쇄매체에 디자인을 프린팅하기 위해 이동할 때, 프린팅부(410)의 이동방향으로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가 각각 배치되어 있어, 프린팅부(4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는 프린팅부(41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unit 4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nting unit 410 , and referring to FIGS. 9A and 9B , the printing unit When the 410 moves to print the design on the print medium,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unit 410, so that the printing unit 410 moves. It can be seen that it facilitates That is,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may assist the movement of the printing unit 410 .

사용자가 장차바디를 잡고 이동시킬 때,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가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프린팅부(410)의 이동 또한 원활하여 인쇄매체에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될 수 있다.When the user holds and moves the body in the future,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move smoothl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rinting unit 410 is also smooth, so that the design can be properly printed on the print medium. .

여기서,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600)는 엔코더모듈(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n encoder module 610 .

엔코더 모듈(610)은 제1 기어(611), 제2 기어(612) 및 감지센서(6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611)는 제1 롤러(530)의 회전축(530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기어(612)는 제1 기어(611)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감지센서(613)는 제2 기어(612)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기어(612)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613)는 감지한 제2 기어(612)의 회전수를 제어부(600)로 송출하고 제어부(600)는 이를 연산하여 프린팅 장치(100)가 이동한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The encoder module 610 may include a first gear 611 , a second gear 612 , and a detection sensor 613 . The first gear 61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30a of the first roller 530 , and the second gear 612 may be disposed to mesh with the first gear 611 . The detection sensor 61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gear 612 to detec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second gear 612 . The detection sensor 613 transmits the sensed number of rotations of the second gear 612 to the control unit 600 , and the control unit 600 calculates this to determine the moving distance the printing apparatus 100 moves.

예컨대, 제1 롤러(530)가 1인치(inch)만큼 회전시 600개의 펄스가 발생한다고 하면, 제어부(600)는 600개의 펄스가 발생했다고 인식했을 때 프린팅 장치(100)가 1인치 만큼 이동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600 pulses are generated when the first roller 530 rotates by 1 inch, the control unit 600 says that the printing apparatus 100 has moved by 1 inch when recognizing that 600 pulses are generated. can decide

한편, 제어부(600)는 펄스 1개당 1 dpi 해상도로 동기화하여 1인치내에 600dpi 해상도로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프린팅 장치(100)를 잡고 인쇄매체의 표면에서 1인치만큼 이동시키면, 프린팅부(410)가 1인치 이동 거리내에 인쇄매체의 표면에 디자인을 600dpi로 프린팅하게 된다.Meanwhile, the controller 600 may print the design at a resolution of 600 dpi within 1 inch by synchronizing with a resolution of 1 dpi per pulse. In this case, when the user holds the printing apparatus 100 and moves it by 1 inch from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the printing unit 410 prints the design on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at 600 dpi within a moving distance of 1 inch.

사용자는 단말기, 컴퓨터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앱, 컴퓨터프로그램 등의 제어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롤러(530)의 회전수에 비례하여 디자인의 해상도를 다른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user may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design to a different valu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first roller 530 by using a control program such as an app or a computer program that may be installed on a terminal or a computer.

그리고, 도 4,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승강유닛(560)은 장치바디(300)의 내부프레임(350)과 버튼부(520)간에 연결되고, 버튼부(520)의 동작에 따라 승강블록(5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560)은 제1 브라켓(566), 제1 샤프트(564), 제2 브라켓(567), 제2 샤프트(565), 고정피스(568), 링크빔(563) 및 가이드블록(561)을 포함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S. 4, 7A and 7B, 8A and 8B, the lifting unit 560 is connected between the inner frame 350 and the button part 520 of the device body 300, and the button part (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520 , the lifting block 510 may be raised and lowered. The lifting unit 5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bracket 566, a first shaft 564, a second bracket 567, a second shaft 565, a fixing piece 568, a link beam ( 563) and a guide block 561 may be included.

제1 브라켓(566)은 버튼부(520)의 이동판(522)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566)에는 샤프트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홀에는 제1 샤프트(564)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air of first brackets 566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522 of the button unit 520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 shaft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566 , and a first shaft 564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to be disposed.

제2 브라켓(567)은 내부프레임(350)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567)에는 샤프트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홀에는 제2 샤프트(565)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air of second brackets 567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under the inner frame 350 . A shaft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567 , and a second shaft 565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to be disposed.

링크빔(563)은 한 쌍의 제1 브라켓(566) 사이와 한 쌍의 제2 브라켓(567)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브라켓(566)과는 제1 샤프트(564)로 연결되고, 제2 브라켓(567)과는 제2 샤프트(565)로 연결될 수 있다. The link beam 563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first brackets 566 and between a pair of second brackets 567,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566 by a first shaft 564, The second bracket 567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565 .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제1 샤프트(56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제1 고정홈(56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샤프트(56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제2 고정홈(565a)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4 , a pair of first fixing grooves 564a cu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both edges of the first shaft 564 , and both edges of the second shaft 565 have a circumference A pair of second fixing grooves 565a cut in the direction may be formed.

고정피스(568)는 한 쌍의 제1 고정홈(564a) 또는 한 쌍의 제2 고정홈(565a)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제1 샤프트(564) 또는 상기 제2 샤프트(565)가 각각 상기 제1 브라켓(566) 또는 상기 제2 브라켓(567)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piece 568 is fitted into a pair of first fixing grooves 564a or a pair of second fixing grooves 565a, respectively, and the first shaft 564 or the second shaft 565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first bracket 566 or the second bracket 567 .

제1,2 샤프트(564,565)에 형성된 각 한 쌍의 제1,2 고정홈(564a,565a)에 4개의 고정피스(568)가 결합되며, 제1,2 샤프트(564,565)가 제1,2 브라켓(566,567) 및 링크빔(56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Four fixing pieces 568 are coupled to each pair of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564a and 565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hafts 564,565, and the first and second shafts 564,565 are first and second I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s (566, 567) and the link beam (563).

여기서, 고정피스(568)는 고정피스(568)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568a)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돌기부(568a)가 제1,2 고정홈(564a,565a)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2 샤프트(564,56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Here, the fixing piece 568 may include a protrusion 568a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ixing piece 568, and the protrusion 568a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564a and 565a. ,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564,565.

가이드블록(561)은 제1 프레임(511)의 상부에서 버튼부(520) 및 승강유닛(560)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561)에는 가이드홀(5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562)에는 제1 샤프트(564)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air of guide blocks 561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unit 520 and the lifting unit 56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11 . In addition, a guide hole 562 may be formed in the guide block 561 , and a first shaft 564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62 to be disposed.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동홀(513)을 따라 동작버튼(521)을 움직이면, 동작버튼(521)과 연결된 이동판(522)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때 이동판(522)의 상부에 제1 브라켓(566)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샤프트(564)가 가이드홀(562)을 따라 동작버튼(5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button 521 along the movement hole 513 using a finger, the movement plate 522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21 moves together. At this time, the first shaft 564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522 by the first bracket 566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ration button 521 along the guide hole 562 .

도 8a를 참고하면, 승강블록(510)이 하강하기 전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동작버튼(521)은 이동홀(513)에서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샤프트(564) 또한 가이드홀(56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8A , the state before the elevating block 510 is lowered is disclosed. In this case, the operation button 52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ving hole 513 , and the first shaft 564 is also located on one side of the guide hole 562 .

도 8b를 참고하면, 승강블록(510)이 하강한 후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동작버튼(521)을 이동시키면, 동작버튼(521)과 연결되어 있는 이동판(522)이 함께 이동한다.Referring to FIG. 8B , the state is disclosed after the lifting block 510 descends. 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button 52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ith a finger, the moving plate 522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521 moves together.

그리고 이동판(522)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브라켓(566)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샤프트(564)가 가이드홀(5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nd the first shaft 564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566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522 mov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562 .

제1 샤프트(564)가 가이드홀(5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제1 샤프트(564)에 연결된 링크빔(563)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블록(510)이 장치바디(30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빔(563)의 상부는 내부프레임(35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링크빔(563)의 하부와 연결된 승강블록(510)이 하강하게 된다.When the first shaft 564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562 , the link beam 563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564 rotates, and accordingly, the lifting block 510 moves the device body 300 . ) moves downward.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link beam 56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frame 350 and the position is fixed, the elevating block 51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nk beam 563 is lowered.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승강유닛(560)의 다른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승강유닛(560)의 다른 형태에서는 삽입홈(562a) 및 탄성부재(5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 another form of the elevating unit 560 is disclosed. In another form of the lifting unit 56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562a) and an elastic member (569).

삽입홈(562a)은 가이드홀(562)의 내측에 절개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69)는 삽입홈(562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절곡부(569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69)는 판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른 것도 가능하다.The insertion groove 562a may be cut and formed inside the guide hole 562 .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569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562a, and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569a may be form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elastic member 569 may be a leaf spr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other materials capable of exerting an elastic force are also possible.

탄성부재(569)의 양측을 구부려 삽입홈(562a)에 끼워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69)가 다시 펴지면서 복수개의 절곡부(569a)가 가이드홀(5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It can be arranged by bending both sides of the elastic member 569 to fit into the insertion groove 562a, and as the elastic member 569 is unfolded again,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569a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hole 562. can

이 경우 제1 샤프트(564)는 복수개의 절곡부(569a) 사이를 이동하며 승강블록(510)의 승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haft 564 may move between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569a to adjust the lifting position of the lifting block 510 .

즉, 절곡부(569a)는 탄성재질로 이뤄져 있으므로, 제1 샤프트(564)가 이동할 때는 제1 샤프트(564)의 미는 힘에 의해 가이드홀(562)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절곡부(569a)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벌어지고, 제1 샤프트(564)는 어느 하나의 절곡부(569a)를 넘어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at is, since the bent portion 569a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en the first shaft 564 moves, a pair of bend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ide hole 562 by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shaft 564 are bent. The portions 569a are spread vertically, respectively, and the first shaft 564 allows the first shaft 564 to move beyond any one of the bent portions 569a.

그리고 제1 샤프트(564)가 이동을 완료하면, 제1 샤프트(564)의 미는 힘이 사라지므로 어느 하나의 절곡부(569a)는 다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 샤프트(564)의 양측에 위치한 절곡부들이 가이드홀(562)의 내부에서 제1 샤프트(564)의 위치를 고정한다.And when the first shaft 564 completes the movement, since the pushing force of the first shaft 564 disappears, any one of the bent portions 569a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again, and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aft 564 . The positioned bent portions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shaft 564 in the guide hole 562 .

한편, 도 5a 및 도 5b에는 높이조절모듈(500)의 승강 전후의 하측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7a 및 도 7b에는 높이조절모듈(500)의 승강 전후의 측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5a and 5b is a lower perspective view before and after the elev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is disclosed, Figures 7a and 7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before and after the elev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is disclosed.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매체의 재질에 대응하여 인쇄매체와 프린팅부(410)간의 소정 거리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5a 및 도 7a에 개시되어 있는 동작버튼(521)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동홀(513)의 내부에서 도 5b 및 도 7b에 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medium and the printing unit 410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the user uses the finger to press the operation button 521 shown in FIGS. 5A and 7A.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S. 5B and 7B in the inside of the moving hole 513 .

동작버튼(521)의 이동에 따라 상술한 승강유닛(560)이 작동하며 하방향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승강블록(510)을 하강시킨다. 즉, 승강유닛(560)은 동작버튼(521)의 이동에 따라 승강블록(51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521, the above-described lifting unit 560 operates and lowers the lifting block 51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the lifting unit 560 may adjust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ing medium by moving the lifting block 510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521 .

여기서 도 5a 및 도 7a를 참고하면, 제1 프레임(511)의 하단면 및 프린팅부(410)의 하단면간의 높이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정확하게는 제1 프레임(511)의 하단면과 프린팅부(410)간의 높이차는 이하 검토할 Z1 만큼의 거리를 유지한다. Here, referring to FIGS. 5A and 7A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5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ing unit 410 . Precisel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511 and the printing unit 410 maintains a distance as much as Z1 to be discussed below.

이제 도 5b 및 도 7b를 참고하면, 높이조절모듈(500)이 작동한 후에, 제1 프레임(511)이 하강한 상태이므로, 제1 프레임(511)의 하단면 및 프린팅부(410)의 하단면간의 높이차가 더 커지게 된다. 정확하게는 제1 프레임(511)의 하단면과 프린팅부(410)간의 높이차는 이하 검토할 Z2 만큼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조절되었다.Referring now to FIGS. 5B and 7B , after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operates, the first frame 511 is in a lowered state, s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511 and the lower end of the printing unit 410 .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aces becomes larger. Precisel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511 and the printing unit 410 was adjusted to maintain a distance as much as Z2 to be discussed below.

이 경우에도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는 제1 프레임(5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함께 하강하면 인쇄매체의 표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Even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a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11 , when they descend together,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can be smoothly moved.

도 6a 및 도 6b에는 높이조절모듈(500)의 승강 전후의 측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6A and 6B are side views before and after the elev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are disclosed.

본 도면에서는 인쇄매체를 G1, G2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른 구분일 수 있다. In this drawing, the print media are denoted as G1 and G2, which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int media.

가령 인쇄매체(G1)는 비교적 평평하고 또는 딱딱한 재질일 수 있으며, 예컨대 종이, 직물, 벽, 나무판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인쇄매체(G2)는 부드러운 재질일 수 있으며, 예컨대, 사람의 피부, 고무 등 프린팅 과정에서 표면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ing medium G1 may be made of a relatively flat or hard material, for example, paper, fabric, wall, wooden board, or the like. In addition, the printing medium G2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for example, human skin, rubber, etc., may be a material whose surface can be deformed during the printing process.

또한 본 도면에서는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의 거리를 Z1, Z2로 표시하고 있는데, 이는 프린팅부(410)가 인쇄매체에 프린팅을 할 수 있는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Z1, Z2를 프린팅 거리 또는 젯팅 거리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lso, in this figure, the distances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are indicated by Z1 and Z2, which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at which the printing unit 410 can print on the print medium. Hereinafter, Z1 and Z2 will be defined and described as a printing distance or a jetting distance.

도 6a를 참고하면, 인쇄매체(G1)가 비교적 평평하고 또는 딱딱한 재질인 경우, 프린팅부(410)가 인쇄매체(G1)에 원활하게 프린팅을 하기 위해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1) 간의 거리는 제1 젯팅거리(Z1)를 유지해야한다. 이때 사용자는 승강블록(510)은 하강시키지 않고 장치바디(300)의 하부 내측에 위치시키면 된다. Referring to FIG. 6A , when the printing medium G1 is made of a relatively flat or hard material,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ing medium G1 in order for the printing unit 410 to smoothly print on the printing medium G1. The distance between them should maintain the first jetting distance Z1. At this time, the user may position the lifting block 510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device body 300 without descending.

도 6b를 참고하면, 인쇄매체(G2)가 부드러운 재질이어서 프린팅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프린팅부(410)가 인쇄매체(G1)에 원활하게 프린팅을 하기 위해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1) 간의 거리는 제2 젯팅거리(Z2)를 유지해야한다. 이는, 인쇄매체(G2)의 표면 변형을 감안한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승강블록(510)을 하강시켜야 한다. Referring to FIG. 6B , when the printing medium G2 is made of a soft material and deformation occurs during the printing process,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ing medium in order to smoothly print on the printing medium G1. The distance between (G1) should maintain the second jetting distance (Z2).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deformation of the print medium G2. At this time, the user must lower the lifting block 510 .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버튼(521)을 동작하여 승강블록(5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블록(510)의 하강에 따라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다만, 도 5b 및 도 7b에 개시된 것과 같이 프린팅부(410)는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may lower the lifting block 510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521 as described above. As the elevating block 510 descends,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may also descend. However, as shown in FIGS. 5B and 7B , the printing unit 410 may not descend.

이에 따라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2)간의 젯팅거리는 Z1 에서 Z2 로 조절된다. 이후 사용자가 프린팅 장치(100)를 잡고 인쇄매체의 표면을 따라 움직일 때, 인쇄매체의 표면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2)간에 젯팅거리(Z2)가 유지되므로 디자인을 원활하게 프린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jetting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G2 is adjusted from Z1 to Z2. Then, when the user holds the printing device 100 and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even if a change occurs in the surface of the printing medium, the jetting distance Z2 is maintained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ing medium G2. You can print smoothly.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인쇄매체별로 표면 변화에 따른 프린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 the operation of the printer apparatus according to a surface change for each print medium is shown.

도 9a를 참고하면, 인쇄매체(G1)가 비교적 평평하고 또는 딱딱한 재질인 경우, 사용자는 높이조절모듈(500)을 작동시키지 않고 프린팅 장치(100)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자인을 인쇄매체(G1)에 프린팅할 수 있다. 본 도면에 표시된 P1은 인쇄영역을 나타내고 프린팅부(41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인쇄매체(G1)에 잉크를 입사하여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영역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ure 9a, if the print medium (G1) is a relatively flat or hard material,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but hold the printing device 100 and move i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change the design to the print medium ( G1) can be printed. P1 indicated in this figure indicates a printing area and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printing unit 4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int the design by injecting ink into the printing medium G1.

이때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는 인쇄매체(G1)의 표면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여기서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1)간에 유지되는 거리는 도 6a에 개시된 제1 젯팅거리(Z1)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smooth the surface movement of the print medium G1. Here, the distance maintained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G1 may be the first jetting distance Z1 illustrated in FIG. 6A .

도 9b를 참고하면, 인쇄매체(G2)가 부드러운 재질인 경우 프린팅 장치(1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인쇄매체(G2)에 변형이 발생한다. 특히 제1 롤러(530) 및 제2 롤러(540)가 인쇄매체(G2)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때, 눌림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 when the printing device 1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en the printing medium G2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printing medium G2 is deformed by the user's pressing force.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roller 530 and the second roller 540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print medium G2, the pressure may be severe.

본 도면에서 사용자는 인쇄매체(G2)의 재질을 고려하여 높이조절모듈(500)을 동작하여 승강블록(510)을 하강시켰다. 이에 따라 인쇄매체(G2)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변형정도를 반영하였으므로, 궁극적으로 인쇄영역(P2)에서는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G2)간에 소정 간격이 유지된다. In this drawing, the user lowered the lifting block 510 by operating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500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int medium G2. Accordingly,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print medium G2, the degree of deformation is reflected, and thus a predetermined distance is ultimately maintained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G2 in the print area P2.

본 도면에 표시된 P2는 인쇄영역을 나타내고 프린팅부(41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인쇄매체(G2)에 잉크를 입사하여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P2 indicated in this figure indicates a printing area, and indicates an area in which the printing unit 4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injecting ink into the printing medium G2 to print the design.

젯팅거리(Z2) 조절에 따라 도 9a에 개시된 인쇄영역(P1)과 도 9b에 개시된 인쇄영역(P2)은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에 비교적 동일한 간격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jetting distance Z2, the printing area P1 illustrated in FIG. 9A and the printing area P2 illustrated in FIG. 9B may have a relatively equal distance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and the print medium.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쇄매체의 재질을 고려하여 잉크부재(400)의 프린팅부(410)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린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쇄매체의 재질에 따른 표면 변형을 감안하여 인쇄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표면에 디자인을 원활하게 프린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410 of the ink member 400 and the printing medium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esign can be smoothly printed on the surface by forming the printing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surface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inting medium that may occur during the printing process.

본 개시에서 프린팅 장치는 상기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몇몇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som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printing apparatu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may be

100:프린팅 장치
200:장치리드 300:장치바디
310:인터페이스홀 320:하단 프레임
330:개구홀 350:내부 프레임
400:잉크부재 410:프린팅부
500:높이조절모듈 510:승강블록
511:제1 프레임 512:함몰부
513:이동홀 517:제2 프레임
518:관통홀 519:승강격벽
519a:프레임홀 520:버튼부
521:동작버튼 522:이동판
530:제1 롤러 540:제2 롤러
560:승강유닛 561:가이드블록
562:가이드홀 562a:삽입홈
563:링크빔 564:제1 샤프트
565:제2 샤프트 566:제1 브라켓
567:제2 브라켓 568:고정피스
569;탄성부재
600:제어부 610:엔코더모듈
G1,G2:인쇄매체
P1,P2:인쇄영역
Z1,Z2:젯팅 거리
100: printing device
200: device lead 300: device body
310: interface hole 320: lower frame
330: opening hole 350: inner frame
400: ink member 410: printing unit
500: height adjustment module 510: elevating block
511: first frame 512: depression
513: moving hole 517: second frame
518: through hole 519: lifting bulkhead
519a: frame hole 520: button part
521: operation button 522: moving plate
530: first roller 540: second roller
560: elevating unit 561: guide block
562: guide hole 562a: insertion groove
563: link beam 564: first shaft
565: second shaft 566: first bracket
567: 2nd bracket 568: fixed piece
569; elastic member
600: control unit 610: encoder module
G1, G2: print media
P1, P2: print area
Z1, Z2: Jetting distance

Claims (11)

하부에 개구홀이 형성된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로 프린팅부가 노출되는 잉크부재; 및
상기 프린팅부와 인쇄매체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모듈은,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프레임과 상기 버튼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장치바디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가 배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유닛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an apparatus body having an opening hole formed therein;
an ink member disposed inside the device body and exposing the printing part through the opening hole; and
a height adjustment module for adjusting the height between the printing unit and the printing medium;
including,
The height adjustment module,
an elevating block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a button unit disposed on the elevating block; and
an elevating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ner frame of the device body and the button unit, and elevating the elevating block;
including,
The lifting block is
a first frame disposed under the device body and disposed with the button unit;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lifting unit passes;
comprising,
prin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이동홀;
을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block is
a depression portion formed to be depress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 protrus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epression and formed to protrude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moving hole formed through the depression and the protrusion;
containing,
prin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이동홀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동작버튼; 및
상기 동작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는 이동판;
을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utton part,
an operation button inserted into the moving hole and disposed; and
a moving plate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nd seated on the protrusion;
containing,
pr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하단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 상기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하단프레임이 관통하며 배치되는 프레임홀; 및
상기 프레임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의 외측 둘레를 지지하는 승강격벽;
을 더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fram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frame, and the op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The first frame is
a frame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frame passes; and
a lifting bulkhead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rame hole and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frame;
further comprising,
pr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버튼부에 형성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내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1 브라켓에 제1 샤프트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제2 샤프트로 연결되는 링크빔;
을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is
a first bracket formed on the button part;
a second bracket formed on the inner frame; and
a link beam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by a first shaf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cket by a second shaft;
comprising,
prin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이드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fting unit is
a guide block disposed on the first frame; and
a guide hole formed in the guide block and into which the first shaft is movably inserted;
containing,
print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 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2 샤프트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되며 형성되는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1 고정홈 또는 상기 제2 고정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상기 제2 샤프트가 각각 상기 제1 브라켓 또는 상기 제2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피스;
를 더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lifting unit is
a first fixing groove cut and formed in the first shaf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econd fixing groove cut and formed in the second shaf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fixing piece fitted into the first fixing groove or the second fixing groove and preventing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racket or the second bracket,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prin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제1 프레임상에서 상기 프린팅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프레임상에서 상기 프린팅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
를 더 포함하는,
프린팅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block is
a first rolle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ing unit on the first frame; and
a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inting unit on the first frame;
further comprising,
print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복수개의 절곡부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승강블록의 승강위치를 조절하는,
프린팅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ifting unit is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including,
The first shaft is
Moving between the plurality of bent parts to adjust the lifting position of the lifting block,
printing device.
KR1020220040059A 2022-03-31 2022-03-31 Printing apparatus KR1024331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59A KR102433120B1 (en) 2022-03-31 2022-03-31 Printing apparatus
KR1020220098502A KR20230141397A (en) 2022-03-31 2022-08-08 Printing apparatus
PCT/KR2023/003836 WO2023191381A1 (en) 2022-03-31 2023-03-23 Pr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59A KR102433120B1 (en) 2022-03-31 2022-03-31 Prin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502A Division KR20230141397A (en) 2022-03-31 2022-08-08 Pr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120B1 true KR102433120B1 (en) 2022-08-18

Family

ID=831121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059A KR102433120B1 (en) 2022-03-31 2022-03-31 Printing apparatus
KR1020220098502A KR20230141397A (en) 2022-03-31 2022-08-08 Prin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502A KR20230141397A (en) 2022-03-31 2022-08-08 Pr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33120B1 (en)
WO (1) WO202319138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81A1 (en) * 2022-03-31 2023-10-05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Print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016A (en) * 1987-06-08 1991-03-12 Canon Kabushiki Kaisha Hand recording apparatus
JPH0528654U (en) * 1991-08-02 1993-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Head support mechanism
US20020070988A1 (en) * 1999-10-27 2002-06-13 Desormeaux David A. Solid and semi-flexible body inkjet printing system
JP4453812B2 (en) * 2003-05-08 2010-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Gap adjusting device, recording device, liquid ejecting device
KR20170136784A (en)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잼 Smart measuring tape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65665B1 (en) * 2017-09-08 2018-06-08 스케치온 주식회사 Skin printer
US20200084333A1 (en) * 2018-09-10 2020-03-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120B1 (en) * 2022-03-31 2022-08-1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n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016A (en) * 1987-06-08 1991-03-12 Canon Kabushiki Kaisha Hand recording apparatus
JPH0528654U (en) * 1991-08-02 1993-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Head support mechanism
US20020070988A1 (en) * 1999-10-27 2002-06-13 Desormeaux David A. Solid and semi-flexible body inkjet printing system
JP4453812B2 (en) * 2003-05-08 2010-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Gap adjusting device, recording device, liquid ejecting device
KR20170136784A (en)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잼 Smart measuring tape using pattern recogn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65665B1 (en) * 2017-09-08 2018-06-08 스케치온 주식회사 Skin printer
US20200084333A1 (en) * 2018-09-10 2020-03-1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91381A1 (en) * 2022-03-31 2023-10-05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Pri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1381A1 (en) 2023-10-05
KR20230141397A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4092B1 (en) Stationary Pen Printer
US10228721B2 (en) Portable computing system
US6231043B1 (en) Retractable exit tray for imaging apparatus
KR102433120B1 (en) Printing apparatus
EP1707391B1 (en) Image recording device
JP4415937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cording device
US20080069620A1 (en) Hand-operated Printer and Printer Dock Configured to Facilitate Auxiliary Printing
CA2224053A1 (en) Apparatus for moving a paper sheet
US20030106447A1 (en) Electronic stamp
KR20040033322A (en) A keyboard
US20070075484A1 (en) Sheet detecting device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CN104827768B (en) A kind of label machine and movement thereof
US10843467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US6736502B2 (en) Expandable/contractible type portable printer
EP1803670B1 (en) Sheet-conveying device
WO2020066573A1 (en)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body
JP7169535B2 (en)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 body of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JP376756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398438B1 (en) Sheet feeding techniqu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7161693B2 (en)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JIG, PORTABLE IMAGE FORMING SYSTEM AND POR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JIG SET
JP5051833B2 (en) Braille printer
US20030226460A1 (en) Image output apparatus having a paper folding line forming function and paper folding line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148840Y1 (en) Sheet supplying device for ink jet printer
KR100209511B1 (en) Ink-jet printer united to knock plate ad finger feeding device
KR200158791Y1 (en) Paper pick-up device for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