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34B1 -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934B1
KR102428934B1 KR1020160013887A KR20160013887A KR102428934B1 KR 102428934 B1 KR102428934 B1 KR 102428934B1 KR 1020160013887 A KR1020160013887 A KR 1020160013887A KR 20160013887 A KR20160013887 A KR 20160013887A KR 102428934 B1 KR102428934 B1 KR 10242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ignal
content
mode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790A (ko
Inventor
차현식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934B1/ko
Priority to CN201780009816.2A priority patent/CN108605057B/zh
Priority to PCT/KR2017/001263 priority patent/WO2017135776A1/en
Priority to US15/425,050 priority patent/US10284909B2/en
Priority to EP17747819.5A priority patent/EP3369239A4/en
Publication of KR20170092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8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for seamlessly watching content streams when changing device, e.g. when watching the same program sequentially on a TV and then on a tabl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1Caching operations, e.g. of an advertisement for later insertion during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5LAN communic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AP(Access Point)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저장부 및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함에 따라 AP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를 인식하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하며,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가 쉽고 빠르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처리 개선에 대한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하면서, 화질 처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와 인터렉티브한 부분이 부족하여 사용자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다른 외부 기기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스마트 TV를 통해서 볼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내장된 동영상 파일이나 음악 파일 관련 앱을 실행시켜 동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한 후, share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를 직접 선택하여 재생되는 동영상이나 음악 관련 정보를 어느 기기로 전송할지 선택하고, 이에 따라, 약간의 버퍼링을 거쳐 선택된 기기에서 상기 동영상이나 음악이 재생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사용자의 조작이 개입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조작 또한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AP(Access Point)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저장부 및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가 상기 AP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AP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AP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상기 AP와 접속한 후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AP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IOT-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sleep-mode에서 상기 수신된 wake-up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IOT-on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가 AP(Access Point)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AP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AP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재생된 컨텐츠가 쉽고 빠르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wake-up 신호의 전송 및 컨텐츠 정보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on mode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on mode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on mode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셋탑 박스,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엑세스 포인트(AP)라 함은, 무선 LAN에서 기지국 역할을 소출력 무선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AP는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을 잇는 브릿지 역할을 하게 되며, 유선망 관점에서 AP는 라우터 또는 스위치 등에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AP는 유선망을 무선망으로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모뎀에 연결되는 IP 공유기, 무선 네트워크 카드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AP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AP를 경유하여 AP에 접속된 또 다른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장부(120)는 비휘발성 메모리(가령, 플래시 메모리, EEROM(Electrically Erasable ROM)),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함에 따라 AP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를 인식하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sleep mod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이 꺼진 상태를 의미하며, AP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성만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sleep mode에서는 AP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30)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sleep mode인 상태에서 외부 기기가 AP와 연결되면 AP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1 신호를 전송하며,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AP에 연결된 외부 기기가 어떤 기기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를 wake-up 신호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즉, 프로세서(130)는 AP로부터 수신된 wake-up 신호에 기초하여 AP에 접속된 외부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wake-up 신호는 AP에 접속된 외부 기기로부터 생성되며 AP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wake-up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준비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준비 상태란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wake-up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준비 상태에서, 프로세서(130)는 AP에 접속된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외부 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사진 촬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진을 촬영하여 저장하고,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음악을 재생하며,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웹 사이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웹 사이트에서 동영상을 재생한 경우, 컨텐츠 정보는 사진, 음악, 웹 사이트 및 동영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진, 음악, 웹 사이트 및 동영상에 관한 정보는 촬영된 사진에 대응되는 이미지 파일, 음악 관련 앨범 이미지 또는 재생 리스트, 웹 사이트 링크 주소, 동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링크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사진, 음악, 웹 사이트 및 동영상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AP를 경유하여 수신하여 저장부(120) 특히,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사진, 음악, 웹 사이트 및 동영상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Blue tooth 또는 WIFI direct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wake-up 신호의 전송 및 컨텐츠 정보의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AP(300)와 통신(10)을 수행하며 sleep mode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이미지(201)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중 AP(300)와 통신(20)을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술한 wake-up 신호(30)를 생성하여 AP(30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중인 이미지(201)와 관련된 정보를 AP(30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이미지(201)와 관련된 정보를 AP(30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Blue tooth 또는 WIFI direct 방식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이 흑백인 이유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은 연결되어 있으나, 화면이 꺼져 있으며 AP(300)와 통신하는 기능만 활성화가 된 sleep mode 상태인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신호는 외부 기기에서 생성되어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신호는 외부 기기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외부 기기를 움직임으로써 외부 기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2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이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IOT-on mode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IOT-on mod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TV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상태가 아닌, 저장부(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단순히 재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컨텐츠 정보가 사진, 음악, 웹 사이트 및 동영상에 관한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진, 웹 사이트 및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음악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성(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등)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on mode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취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라 제2 신호(310)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OT-on mode로 동작을 하면서 이미 저장부(120)에 저장된, 도 2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AP(300)에 접속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이미지(201)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AP(300)에 접속하기 전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201)와 동일하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이미지(320)를 디스플레이하는데 필요한 디스플레이부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2 신호가 수신되면 IOT-on mode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는 이미지가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썸네일 형태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 또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마치 화면이 눈을 뜨듯이 화면의 가운데서부터 이미지가 점진적으로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IOT-on mode에서 이미지(320)를 디스플레이할 때 화면의 가운데서부터 이미지(320)가 보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화면이 눈을 뜨듯이 보여지게 하는 효과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2 신호를 전송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뿐만 아니라,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서도 제2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들어올려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가리키도록 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는 제2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IOT-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2 신호를 어느 기기로부터 수신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외부 기기로부터 제3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TV-on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V-on mode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튜너부, 영상 처리부, 음향 처리부, 스케일러, 센서부 등과 같은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TV-on mode에서는 단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튜너부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EPG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신호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생성되어 수신되는 TV-on 신호일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구비된 TV-on 기능키가 눌렸을 때 생성되어 수신되는 TV-on 신호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on mode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제3 신호(510)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신호(510)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된 상태로 채널 10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520)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 중인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TV turn-on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제3 신호(510)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leep mode 상태에서 제2 신호가 수신되면 IOT-on mode로 동작하고, IOT-on mode 상태에서 제3 신호가 수신되면 TV-on mode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OT-on mode로 동작 시 외부 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IOT-on mode로 동작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welcome mode 서비스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외부에서 사용하다가 집안으로 들어와서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가리키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움직임이는 경우 마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를 맞이하듯이 자동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welcome mode 서비스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화면에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이 실행중임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되어 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프로세서(1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에 대해서는 미리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140)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i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IOT-on mode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제공하고, 메뉴를 통해 IOT-on mode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외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하며 외부 기기에서 IOT-on mode를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기기를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1 신호의 전송,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 정보의 전송,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IOT-on mode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신호의 전송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TV-on mode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3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의 명칭을 사용자에게 welcome mod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elcome mode assistant app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on mode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환경 설정 메뉴는 해상도, 색감, 화면 비율 등의 항목과 welcome mode 서비스를 활성화시킬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welcome mode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게 되면 이는 곧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IOT-on mode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한바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 설정 메뉴 상에서 welcome mode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외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QR 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고,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다운로드 가능한 링크 주소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이 실행된 상태에서 연결 가능한 AP들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기기는 연결 가능한 AP들의 목록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거나 기 설정된 아이콘을 병기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를 선택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를 선택하면 외부 기기는 해당 AP에 접속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자동적으로 제1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어떠한 형태(예를 들어, 전체 화면 형태 또는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지 및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은 외부 기기가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AP에 관한 정보, 해당 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1 신호 및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가 재생되는 방식 및 함께 제공되는 효과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1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 온 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공된 화면에 표시된 TV turn-on을 선택하면 외부 기기에 구비된 IR 송신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3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 설정 메뉴 상에서 welcome mode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AP에 접속하여 제1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더라도,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제1 신호를 무시할 수 있고, 설령 제2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IOT-on mode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휴대용 단말 장치,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wake-up 신호는 상술한 제1 신호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20)는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었는지 여부 또는 기 설정된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wake-up 신호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프로세서(220)는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동영상을 재생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영상이 재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에 접속하게 되면, 프로세서(220)는 자동적으로 wake-up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컨텐츠가 사진인 경우 프로세서(220)는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사진 파일 개수의 증가 여부 또는 새로 생성된 사진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한 업로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진이 업데이트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에 접속하게 되면, 프로세서(220)는 자동적으로 wake-up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기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wake-up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준비 상태로 동작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OT-on mode로 동작하여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220)는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지 않거나 기 설정된 컨텐츠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에 접속하게 되더라도 wake-up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wake-up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준비 상태로 동작하지 않으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OT-on mode로 동작하지 않으며 화면이 꺼진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적으로 연동하고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welcome mod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컨텐츠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은 welcome mode assistant app에 대응되며,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상술한 외부기기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welcome mode assistant app의 설치 과정 및 설정 과정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 설정된 컨텐츠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 중인 welcome mode assistant app에 의해 welcome mode 서비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시키고자 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welcome mode assistant app에 의해 welcome mode 서비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동시키고자 하는 기능에는 사진, 음악, 동영상, 인터넷 등의 재생 여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IOT-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OT-on 신호는 상술한 제2 신호에 대응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대해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기 설정된 움직임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IOT-on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부(12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하는 TV-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TV-on 신호는 상술한 제3 신호에 대응된다.
이러한 TV-on 신호는 도 5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welcome mode assistant app에 표시된 TV turn-on 아이콘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터치됨으로써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구비된 TV-on 기능키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눌려짐으로 인해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TV-on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시키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튜너부, 영상 처리부, 음향 처리부, 스케일러, 센서부 등과 같은 모든 구성이 활성화시키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용자 단말 장치(200) 및 AP(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된 AP(300)와 접속한 후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되거나 업데이트 된 경우 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IOT-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leep-mode에서 수신된 wake-up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인식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IOT-on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sleep-mode인 상태(S1110)에서 welcome mode 서비스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S1120)에 따라 welcome mode 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 스마트 폰(사용자 단말 장치(200))이 AP(300)에 접속하면(S1130), 스마트 폰은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실행하여 wake-up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wake-up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1140).
wake-up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최소 블록만을 활성화하여 부팅을 할 수 있다(S1150).
그리고, 스마트 폰은 welcome mode assistant app을 통해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활성화된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S1160).
이후,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를 들어올리거나 스마트 폰을 움직이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 또는 스마트 폰은 IOT-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면서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함께 제공한다(S1170).
한편, 스마트 폰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컨텐츠를 계속적으로 탐색하고(S1180), 사용하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재생하도록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고(S1114), 사용하는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INSTANT ON 상태로 동작한다(S1190). 여기서, INSTANT ON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welcome mode 서비스가 비활성화되도록 선택된 경우 또는 스마트 폰이 AP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 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TV-on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고, TV-on 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되면(S111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on 상태(S1112)가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을 활성화시켜 부팅할 수 있다(S1113).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가 AP(Access Point)에 접속함에 따라 AP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를 인식한다(S1210).
그리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220).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시호가 수신되면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한다(S1230).
여기서, IOT-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2 신호가 수신되면 IOT-on mode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정보는,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외부 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제3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TV-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IOT-on mode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ㅁ메뉴를 통해 IOT-on mode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외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하며 외부 기기에서 IOT-on mode를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된 AP(Access Point)와 통신한다(S1310).
그리고,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AP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한다(S1320).
이후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S1330).
여기서, 기 설정된 컨텐츠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IOT-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하는 TV-on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전자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프로세서
140: 디스플레이
200: 사용자 단말 장치 210: 통신부
220: 프로세서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sleep mode인 동안,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준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준비 상태인 동안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준비 상태인 동안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컨텐츠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IOT-on mode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가 AP(Acess Point)에 접속하기 전까지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3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TV-on mode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IOT-on mode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IOT-on mode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하며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IOT-on mode를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외부기기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준비 상태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IOT-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하는 TV-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sleep mode인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준비 상태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IOT-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sleep-mode에서 상기 수신된 wake-up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준비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IOT-on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는 것인, 시스템.
  11. sleep mode에서, 외부 기기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꺼져 있는 준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재생과 관련된 기능만을 활성화시키는 IOT-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OT-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IOT-on mode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기 설정된 화면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가 AP에 접속하기 전까지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제3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TV-on mode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IOT-on mode의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IOT-on mode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외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하며 상기 외부 기기에서 상기 IOT-on mode를 제어하기 위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sleep-mode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컨텐츠가 실행되거나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wake-up 신호에 대응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컨텐츠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IOT-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하도록 하는 TV-on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13887A 2016-02-04 2016-02-04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87A KR102428934B1 (ko) 2016-02-04 2016-02-04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201780009816.2A CN108605057B (zh) 2016-02-04 2017-02-06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PCT/KR2017/001263 WO2017135776A1 (en) 2016-02-04 2017-02-06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425,050 US10284909B2 (en) 2016-02-04 2017-02-06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7747819.5A EP3369239A4 (en) 2016-02-04 2017-02-06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87A KR102428934B1 (ko) 2016-02-04 2016-02-04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90A KR20170092790A (ko) 2017-08-14
KR102428934B1 true KR102428934B1 (ko) 2022-08-03

Family

ID=5949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87A KR102428934B1 (ko) 2016-02-04 2016-02-04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84909B2 (ko)
EP (1) EP3369239A4 (ko)
KR (1) KR102428934B1 (ko)
CN (1) CN108605057B (ko)
WO (1) WO2017135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6518B (zh) 2015-09-21 2023-05-16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doi显示方法及装置
CN110286870B (zh) * 2019-07-01 2022-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输出方法和输出设备
KR20210009670A (ko) * 2019-07-17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서버 및 서버의 제어 방법
CN113359971A (zh) * 2020-03-06 2021-09-07 中光电创境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显示控制系统及穿戴式装置
CN113867669A (zh) * 2021-09-22 2021-12-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090A (en) * 1971-06-02 1974-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stopper system for stopping a power supply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signals
JPS5647181A (en) * 1979-09-26 1981-04-28 Pioneer Electronic Corp Periodic electric-power-source turning-off device of terminal device of catv system
US4331977A (en) * 1980-12-15 1982-05-25 Zenith Radio Corporation Portable television controller with electronic switching
US5309146A (en) * 1988-05-03 1994-05-03 Electronic Environmental Controls Inc. Room occupancy indicator means and method
US6002380A (en) * 1996-08-13 1999-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vertical distortion of image by modes in display
US6205318B1 (en) * 1997-04-07 2001-03-20 Gateway 2000, Inc. Power management controller for computer system
KR100247275B1 (ko) * 1997-04-18 2000-03-15 윤종용 절전형 스크린 세이버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259486B1 (en) * 1999-10-20 2001-07-10 A. Pascal Mahvi Sensor unit for controlling television set operation
US7411631B1 (en) * 2000-05-31 2008-08-12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processor-based appliances
KR100434173B1 (ko) * 2002-05-1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의 전원 공급장치
KR20040056406A (ko) * 2002-12-23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복합 기기에서 동작 모드 전환 장치 및방법
US20050132420A1 (en) * 2003-12-11 2005-06-16 Quadrock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on with television content
DE602004024322D1 (de) * 2004-12-15 2010-01-07 St Microelectronics Res & Dev Vorrichtung zur Detektion von Computerbenutzern
US7873974B2 (en) * 2005-09-19 2011-01-18 Sony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television programming using a portable wireless device
JP2007158621A (ja) * 2005-12-02 2007-06-21 Sony Corp 機器制御システム、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1111913B1 (ko) * 2006-01-05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FR2901949B1 (fr) * 2006-05-30 2008-09-05 Nds Technologies France Soc Pa Procede de mise en veille d'un decodeur de television numerique et decodeur numerique a mode veille basse consommation
EP2475166A1 (en) * 2006-07-31 2012-07-1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planners
JP2008054085A (ja) * 2006-08-25 2008-03-06 Hitachi Ltd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
JP4827802B2 (ja) * 2007-07-05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KR20090008057A (ko) * 2007-07-16 200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된 전원 공급방법
JP4887431B2 (ja) * 2007-12-28 2012-02-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US8839356B2 (en) 2007-12-31 2014-09-16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cessing wake events of communication networks
JP4840454B2 (ja) * 2009-02-05 2011-12-2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64448B2 (ja) * 2009-03-09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外部装置と接続可能な電子機器及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8898486B2 (en) * 2009-06-01 2014-11-2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power
US8412798B1 (en) * 2009-10-03 2013-04-02 Frank C. Wang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101106715B1 (ko) 2010-02-23 2012-02-21 주식회사디비인포 무선네트워크망을 통해 개인휴대기기의 미디어 콘텐츠를 다이렉트로 tv로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ip 셋톱
US20120282914A1 (en) 2011-05-06 2012-11-08 Lael Andrew Alexander Smart phone companion loop
KR101913206B1 (ko) * 2011-08-30 2018-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KR101621524B1 (ko) * 2012-11-02 2016-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201427404A (zh)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電視機控制系統及方法
KR20140091356A (ko) * 2013-01-1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영상제공방법
WO2014119894A1 (en) * 2013-01-29 2014-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erforming function of device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40245041A1 (en) * 2013-02-28 2014-08-28 Barnesandnoble.Com Llc Apparatus for hibernation control in a device
US20140347565A1 (en) 2013-05-21 2014-11-27 Aliphcom Media devices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information appliances
US9979438B2 (en) 2013-06-07 2018-05-22 Apple Inc. Controlling a media device using a mobile device
WO2015012567A1 (en) 2013-07-22 2015-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motely controllabl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50075142A (ko) 2013-12-24 2015-07-03 전자부품연구원 범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81012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786B1 (ko) 2014-01-23 2015-07-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tⅴ와 모바일 스마트 단말 연동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5057B (zh) 2021-03-30
CN108605057A (zh) 2018-09-28
KR20170092790A (ko) 2017-08-14
US20170230710A1 (en) 2017-08-10
EP3369239A1 (en) 2018-09-05
US10284909B2 (en) 2019-05-07
EP3369239A4 (en) 2018-09-05
WO2017135776A1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1434B2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N108235086B (zh) 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终端
KR1024289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708534B2 (en)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US9544714B2 (en) Companion application for activity cooperation
US201402827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hannel indexed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ed with said system
KR10235276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연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81615A1 (en) Remote control
KR1021896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50304336A1 (en) Multi-screen interaction method of multimedia resource and terminal device
US201600069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48979B2 (en)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1164177A1 (zh) 播放媒体资源的方法、显示设备及移动终端
US2020031073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0483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35062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201900500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hereof
KR202000438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307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100018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294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 moving picture
US202004131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091627A (ko) 유튜브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TWI521957B (zh) A method and a device for sharing multimedia messages in a remote sequ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