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459B1 -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459B1
KR102428459B1 KR1020200159570A KR20200159570A KR102428459B1 KR 102428459 B1 KR102428459 B1 KR 102428459B1 KR 1020200159570 A KR1020200159570 A KR 1020200159570A KR 20200159570 A KR20200159570 A KR 20200159570A KR 102428459 B1 KR102428459 B1 KR 10242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tery
purchaser
local government
information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2213A (ko
Inventor
박건상
박효상
Original Assignee
박건상
박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상, 박효상 filed Critical 박건상
Priority to KR1020200159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45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2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2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Regular and instant lottery, e.g. electronic scratch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하는 거주민 전용으로 고정 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운영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 운영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로부터 상기 복권의 구매가 요청되면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구매자가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 경우에만 상기 복권의 구매 대금을 은행에 지불했는지 확인하고 복권을 발행하는 단계와, 기준일 이전에 판매한 복권에 대하여, 기설정된 빈돗수만큼 기설정된 주기로 추첨하는 단계와, 상기 추첨 결과 당첨된 구매자에 대하여 은행을 통해 당첨금을 상기 당첨된 구매자의 은행 계좌로 이체하는 단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복권 구입 대금이 지역 외로 유출되지 않고 해당 지역 주민을 위해 사용되게 하며, 해당 지역 주민의 당첨율 및 당첨 횟수를 높여 즐거움을 배가하며, 복권 당첨금 수령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LOTTERY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RESIDENTS BELONGING TO LOCAL GOVERNMENTS}
본 발명은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원대비 고정불변의 효율적인 확률을 가진 복권을 발행,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만 판매하되 당첨율과 추첨 빈도를 높여 구매자에게는 당첨 희망에 대한 지속적인 기대감과 추첨의 재미를 한층 더하고, 복권 판매를 통한 수익은 해당 지방 자치 단체에서 사용하여 그 혜택이 복권 당첨자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돌아갈 수 있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권이란 국가 또는 공공 기관 등에서 특정한 사업 자금을 마련할 목적으로 발행·판매하는 번호나 그림 따위의 특정 표시를 기입한 표(票)로서, 추첨 따위를 통하여 특정 당첨 조건에 맞으면 상금이나 상품을 주는 것을 말하며, 복권 발행자에게 들어온 수익의 일부를 소수의 당첨자에게 몰아주고, 나머지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의 자금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복권의 종류로는 복권의 종류를 복권 구매자의 참여 방법에 따라 나누어 볼 때, 복권의 당첨 요건인 숫자나 기호가 미리 인쇄되어 있는 것을 구매하여, 그 자리에서 해당 숫자나 기호 위에 덮인 차폐막을 제거함으로써 그 자리에서 당첨 여부를 알 수 있는 즉석식 복권과, 즉석식과는 달리 구입한 순간에는 당첨 여부를 알 수 없고 정해진 시간에 숫자가 적힌 공을 기계에 넣고 뽑아서 추첨하거나, 숫자가 적힌 회전판에 화살을 쏘아서 추첨하는 방식을 통해, 공개적으로 당첨 여부를 알 수 있는 추첨식 복권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복권을 운영하는 방식으로는, 종이 복권을 본권 판매처로 부터 구입하여, 방송, 신문 등의 복권 추첨 정보와 자신의 종이 복권을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확인하거나, QR 스캐너 등으로 종이 복권 내에 인쇄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당첨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기존에 종이 복권을 추첨 방송을 통해 확인하거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해서 확인하는 종이 복권과 미디어 추첨 확인을 중심으로 운영되던 복권 운영 방식이, QR 코드를 통해서 온라인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핸드폰, 컴퓨터를 포함하여 각종 정보 처리 수단의 발달로 종이 복권에서 온라인 복권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으며, 그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다양한 특허가 출원되고 있는 바, 본원에서 선행문헌1로 인용하는 등록특허 제10-1192537호(등록일자 : 2012년10월11일)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로또 복권 전송 시스템,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페베네 이용자에게 선물 메시지와 함께 로또 복권을 발행해주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로또 복권 전송 기술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허나 기존의 이 특허는 문자 메세지로 발행한다는 것엔 일맥상통하나 특허를 내기 위한 본 발명은 당첨자들에게 당첨 안내와 함께 당첨 금액 또한 자동으로 이체시킨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
한편, 본원에서 선행문헌2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2007-0099717호(공개일자 : 2007년10월10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이 가맹점에서 사용한 사용요금에 대한 적립금을 복권으로 바로 돌려받게 함으로써, 고객은 적립금이 일정 금액 이상 누적되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있고, 복권이 당첨되는 경우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며, 가맹점주의 경우에도 고객의 소비 증가로 인한 매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모바일을 이용한 복권 발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한편, 본원에서 선행문헌3으로 인용하는 공개특허 제2014-0082902호(공개일자 : 2014년07월03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적으로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의 납입 여부나 미납사실을 연금 복권과 같은 정규 복권을 첨부한 통지 메시지의 형태로 보험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보험 가입자의 통지 메시지 수신 사실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복권발행정보를 이용한 보험료 납입 통지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 복권 발행 시스템은 '복권 및 복권기금법'에 의해 국가 외에 개인이나 회사가 복권을 발행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복권 발행 시스템에서 발행되는 복권을 광고 메시지와 함께 전송하거나, 적립금으로 복권을 살 수 있게 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통지 메시지에 복권을 첨부하는 것으로서, 모두 기존 복권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복권 및 복권기금법'에 의해 허용되는 "사은품"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권에 대한 큰 기대감을 일으키기는 어렵다.
한편, 종래의 복권은, 한국 주택 은행에서 주관하던 주택 복권 및 찬스 복권, 국민 체육진흥 공단에서 주관하는 체육 복권, 한국 종합 기술 금융(KTB)에서 주관하는 기술 복권, 근로 복지 공단에서 주관하는 복지 복권, 중소 기업 진흥 공단에서 주관하는 기업 복권, 제주도에서 발행하는 관광 복권, 산림 조합 중앙회에서 발행하는 녹색 복권 등과 같이 목적으로 하는 기금 조성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복권은 전국 각지에서 판매된 복권 대금이 중앙에 위치한 각 주관사에서 총괄하여 관리하게 된다. 즉, 각 지역에서 유통되던 자금이 복권 판매 대금으로 지역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그 결과, 종래 복권이 활성화될수록 지역 경제가 압박받은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그와 같은 기금이 지역 주민을 위한 혜택으로 돌아오는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할 뿐, 타지역에서 소진되는 비용이 훨씬 크다.
허나 본 복권은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하는 지역 주민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당첨금은 지역 주민과 복권 대금의 수익을 그 지역의 발전이나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쓰인다는 점에서 또한 차별점이 있다.
또한, 기존 복권의 경우 1주일 단위로 추첨을 하며, 1주일 단위로 나오는 1등에게 상금의 대부분을 몰아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복권 당첨으로 인한 혜택을 보는 확률은 매우 낮다. 기존 로또의 경우를 예로 들면, 환급률(즉, 당첨금)은 전체 복권 판매 대금의 50%이며, 1등 당첨 확률은 대략 1/800만이나 복권 구매량에 따라 당첨 확률은 가변성을 가진다.
즉, 복권은 예컨대 1000원 정도의 소액에 비해 높은 당첨금에 대한 기대감이 큰데 반해, 1주일에 한번 기회가 오기 때문에, 당첨 확률과 빈도가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도박성으로 대량의 복권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사행심을 초래할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복권에서는 특정인에게 복권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미지정된 임의의 불특정 구매자에게 복권이 발행되기 때문에, 당첨 복권의 위조 및 변조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복권에서는 구매자가 당첨되더라도 고액 당첨자의 경우 지정 은행을 직접 방문, 신원 확인 등을 통한 당첨금 수령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당첨금 수령이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92537호(등록일자 : 2012년10월11일) 공개특허 제2007-0099717호(공개일자 : 2007년10월10일) 공개특허 제2014-0082902호(공개일자 : 2014년07월03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 내에서 판매된 복권 대금으로 발생한 수익을 해당 관할 지역 내에서 사용하게 하여, 각 지역의 유통 자금이 해당 지역 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만을 대상으로 인구당 효율성 있는 고정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발행하여 등수간 당첨 금액 차이를 줄이고 추첨 빈도는 현저히 높이는 등 당첨율을 기존 방식보다 높임으로써, 해당 지역민에게 당첨에 대한 지속적인 기대감과 당첨의 기쁨을 선사해주며, 당첨금을 또한 다수의 지역 주민에게 분산시켜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복권이 특정인에게 복권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미지정된 임의의 불특정 구매자에게 복권이 발행됨에 따라 당첨 복권의 위조 및 변조의 위험성이 상시 내제되어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권의 구입, 당첨 확인, 당첨금 수령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효율성 있는 고정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발행함으로써 보다 많은 이들을 당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하는 거주민 전용으로 복권을 운영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있어서, 구매자가 복권을 발급받기 위한 구매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상기 구매자로부터 복권 대금을 발급받고, 상기 구매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은행과,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의 주민 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지방 자치 단체에서 추첨한 복권 추첨 정보를 발신하는 지방 자치 단체 서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복권의 구매 요청시,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매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에서 보관하는 주민 정보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지역 주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역 주민이면 상기 은행으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상기 복권 대금 입금을 확인한 후 복권을 발행하여 상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로부터 상기 복권 추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와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구매자 중 당첨된 구매자에 대하여 당첨 안내 메시지를 발행함과 아울러, 상기 은행에서 상기 구매자의 계좌로 당첨금을 입금하게 하는 복권 서버를 구비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권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암호화된 정보를 데이터로 송수신하고, 수신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통신부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권을 구매한 구매자의 상기 구매자 정보 및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복권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와, 복권을 발행하는 복권 발행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복호화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 것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복권 구매가 허용된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에 대해 복권을 발행하도록 상기 복권 발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로부터 수신한 추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자 중 당첨된 구매자를 판정하여 상기 은행으로 하여금 당첨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복권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월간 복권으로 발행하고, 전월에 판매된 복권에 대하여 매일 추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하는 거주민 전용으로 복권을 운영하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에 있어서, 구매자로부터 상기 복권의 구매가 요청되면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구매자가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 경우에만 상기 복권의 구매 대금을 은행에 지불했는지 확인하고 복권을 발행하는 단계와, 기준일 이전에 판매한 복권에 대하여, 기설정된 빈돗수만큼 기설정된 주기로 추첨하는 단계와, 상기 추첨 결과 당첨된 구매자에 대하여 은행을 통해 당첨금을 상기 당첨된 구매자의 은행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로부터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가입을 받아, 상기 복권의 반복 구매시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 인증 단계를 간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권을 발행하는 단계는,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이 확인된 구매자에 대하여, 상기 복권에 대한 허용 구매량을 초과하는지 조회하여, 상기 허용 구매량의 범위 내에서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 내에서 판매된 복권 대금으로 발생한 수익을 해당 관할 지역 내에서 사용하게 하여, 각 지역의 유통 자금이 해당 지역 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성 있는 고정 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발행 추첨하므로 기존의 복권들보다 더 많은 지역민에게 해택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에 입주한 주민만을 상대로 복권을 발행하고, 등수간 당첨금 차이를 줄이며, 추첨 빈도를 높여, 당첨율을 높임으로써, 많은 지역민에게 당첨 희망을 높이고, 당첨의 즐거움을 주며, 다수의 지역 주민에게 당첨금을 분산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권의 구입, 당첨 확인, 당첨금 수령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지역이나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발행하여 얻은 수익으로 각 지자체마다 여러 재난 발생시 정부 지원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운영 방식에 얽매여 정부 차원에서 해결하는 시간 동안 지역 주민들이 많은 시간 고통 속에서 지내지 않고 먼저 그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용이성이 있으며 여러 가지의 지역 민생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금이 생기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로나나 그와 유사한 접촉성 전염병에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광고가 포함된 복권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적립금으로 복권을 구매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통보 메시지에 복권을 추가하는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방 자치 단체는 줄여서 지자체와 혼용하여 사용하고,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서버, 지자체 복권 서버, 서민 복권 서버, 복권 발권 서버, 복권 발매 서버, 복권 서버 등은 축약하여 상호간에 호환하여 부를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주민을 위한 복권이라 함은 기존 복권은 구매 대상이 특정된 지역 주민이 대상이 아닌 전 국민을 대상으로 그들이 구입한 복권의 수만큼의 변동된 확률을 가진 복권인 점과는 다르게 상기 그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만을 대상으로 1/50만이라는 고정 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임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는 평균 1/50만이지 추후 혹시나 있을 경쟁업체나 지자체와의 분쟁을 위해 범위는 1/20만에서 1/100만 까지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주민은 기존의 높은 확률을 가진 복권들을 사는 것이 아닌 훨씬 낮은 확률을 가진 복권을 구매하여 기존 보다는 적은 금액이지만 많은 지역민들이 해택을 누리게끔 하려는데 목적이 있는 본 발명의 취지에 맞다하겠다.
기존의 복권들을 당첨율이 N/구매자수로 거의 1/500만 이상(연금 복권의 경우 1/500만 이상, 로또 복권의 경우 1/600만 이상)인 반면 본 발명은 인구 대비 고정 불변의 확률인 평균 1/50만이다.
예를 들어 발매매수도 경기도(인원수 1340만명),인천광역시(인구수 294만명),서울특별시(인구수 968만명),대전광역시(인구수 146만명)가 각각 구매자수가 경기도 250만명, 인천광역시 50만명, 서울특별시 120만명, 대전광역시 35만명이라면 고정 불변의 1/50만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경기도는 5번, 인천광역시는 1번, 서울특별시는 3번, 대전광역시는 1번을 발행하며 통합하여 하루 1번 오후 5시에 MBC라는 방송국의 방송으로 추첨 같은 번호가 1등에 당첨되며 경기도는 1등이 5명, 인천광역시는 1명 서울특별시는 3명, 대전광역시는 1명이 나오게 된다.
처음엔 발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들은 추첨 전달에 동일한 50만장을 1번 발행하나, 복권을 완전 판매한 날이 일주일만이면 50만장을 2번 더 발행하고, 이주일만이면 1번 더 발행 하는 식으로 규칙을 두어 판매 매수를 늘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나 여기서 인원 대비 효율성 있는 고정 불변의 확률이 평균 1/50만이라 딱 정한 것은 아니며 이는 1/20만에서 1/100만까지의 확률로 또한 발매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는 구매자에게 한달 30,000원(하루 1,000원)이란 금액으로 1등 당첨금이 억단위가 되며 2등 당첨자, 3등 당첨자 또한 충분한 생활 자금을 주기위해 계산된 가장 적합한 확률이 1/50만이란 이야기임 또한 알아야 하겠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구매자 단말기(100)는 각 개인이 휴대하는 개인 단말기 또는 복권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판매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폰에서 지자체 복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판매용 단말기는 지자체 복권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전용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매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서버(400)로 복권 발매를 요청할 때,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 번호(MSISDN), USIM 번호, 단말기 식별 정보(IMEI), 구매자 단말기(복권 발매기 포함)의 무선 IP 주소, 블루투스 ID 등)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100)에서의 주민 등록 번호 입력, 자동차 운전 면허 번호 입력 등의 구매자 인증과 함께 해당 구매자의 정당한 구매자 단말기(100)임을 확인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100)는 복권 서버(400)에 발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과 복권 서버(400)로부터 수시한 정보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모듈을 구비하여, 복권 서버(400)와 송수신 하는 정보(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신원 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복권 번호를 선택하고, 복권 대금을 지불하고, 구입한 복권을 수령하고, 추첨 번호 및 추첨 결과를 수신하고, 당첨 결과당첨금을 수령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구매자 단말기(100)는 복권 구매자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예컨대,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을 사용 가능한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200)를 경유하여 복권 서버(400)와 복권 정보를 데이터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200)를 경유하여 은행(300)과 인터넷 뱅킹과 같은 금융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기(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은행(300) 사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 단말기(100)와 복권 서버(400) 사이, 복권 서버(400)와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유선 또는 무선망으로서,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은행(300)은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위탁받은 복권 운영 위탁 회사와의 계약을 통해서, 자신의 은행(300)에 계정을 만든 구매자로부터 복권 대금을 입금받고, 당첨금을 지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은행(300)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는 현행 복권법상 적법한 지급처가 은행이기 때문에 사용한 용어로서, 법률적으로 제약받지 않고 설계상 허용되는 경우, 지방 자치 단체,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위탁 받은 복권 사업 운영 회사 및 그 대리점 또는 판매점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복권 대금을 수령할 수 있고, 당첨 대금을 지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매자가 온라인 뱅킹 또는 해당 은행의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복권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당첨자 정보와 당첨 금액 및 지불 지시에 따라 구매자의 계좌로 당첨금을 바로 지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복권은 당첨자 정보가 없이 무작위로 복권이 발행되기 때문에, 당첨자라기 보다 당첨 복권을 가지고 있는 자에게 당첨금이 지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당첨 복권을 가지고 있는 자가 은행에 와서 당첨 복권을 확인한 후 당첨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당첨금 수령에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그 구입시 구매자 정보가 검증되고, 구매자 계정 역시 최초 개설시 은행에서 구매자 정보를 검증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당첨 즉시 당첨자의 계좌, 예컨대 복권 구매 대금이 지불된 계좌에 당첨금을 입금할 수 있기 때무에, 당첨자의 당첨금 수령이 편안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특히, 기존 복권이 주당 1회 추첨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보다 빈번한 주기, 예컨대 매일 추첨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당첨자수도 많을 뿐더라, 매번 당첨금 지급 절차를 거쳐햐 하므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복권 운영 위탁 회사의 업무량이 증가되고, 그 당첨금 지급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도 증가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구매자가 복권 대금을 지급한 계좌, 또는 구매자가 사전 설정한 복권 당첨금 지급 계좌에 당첨금을 이체함으로써, 당첨금 지급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당첨자의 안전하고 편한한 당첨금 수령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서버(400)는 통신부(410), 복권 서버 제어부(420),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 복권 발행부(450)로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구매자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며, 복권 서버(4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예컨대, 구매자 검증 확인 데이터, 발행한 복권 번호, 추첨 결과에 따른 당첨 번호, 추첨 결과 등을 암호화하고, 구매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컨대, 구매자의 신상 정보, 구매자의 ID, 구매자의 계좌 정보, 구매자가 입력한 복권 번호 등을 복호화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며, 복권 서버(4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 예컨대, 지방 자치 단체의 거주민인지를 조회하기 위한 구매자의 신상 정보 등을 암호화하고,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예컨대, 복권 서버(400)에서 조회한 구매자의 주민 등록 데이터, 추첨 번호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복권 서버(4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 복권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복권 구입이 요청되면, 구매자 단말기(100)로부터 구매자의 주민 등록 번호, 구매자의 운전 면허 번호 등과 같은 구매자 신상 정보를 입력받아,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로부터 해당 지방 자치 단체에 전입한 주민인지를 조회한다. 이때, 구매자의 전화 번호(MSISDN), USIM 번호, 단말기 식별 정보(IMEI)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아, 구매자와 구매자의 구매자 단말기(100)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구매자 검증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반복 구매하는 가입자의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구매자로부터 구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구매 가입자 신청을 받아, 가입 정보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한다. 이때, 가입자 정보에는, 가입자의 주민 등록 번호, 복권 구매 대금 결제 방법, 복권 구매 대금 결제 수단 정보, 당첨금 지불 계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입자 또는 구매자 정보에 주소 등 보다 상세한 정보까지 포함시킬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와의 절충점에서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매자가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구매 가입자가 되면, 매번 복권 구매시마다 지방 자치 단체 주민 인증 절차를 포함하여 복권 구매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 단말기(100)로 부터 전송된 구매자 정보에 근거하여,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에 해당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지를 조회하거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검색하여, 구매 요청자가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지방 자치 단체 주민만 복권을 구입할 수 있다는 복권 발행 불가 안내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복권 구매 요청자가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이라고 확인되더라도,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당월에 복권 구매 이력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해당 구매자의 구매 허용 범위를 초과한 경우, 당해 구매자의 구용 허용 범위에 대한 안내와 함께 복권 발행 불가 안내 메시지를 구매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가 복권 구매 허용된 대상이라는 것이 확인되고, 구매자 단말기(100)로부터 복권 구매 요청 후, 은행(300)으로부터 구매자의 대금 지불이 확인되면, 복권 발행부(450)에서 복권을 발행하도록 제어하고, 복권 발행부(450)로부터 발행된 복권 번호를 구매자의 신상 정보와 함께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복권 발행부(450)로부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를 통신부(410)에서의 암호화를 거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구매자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된 구매자에 대해서 복권이 발행되기 때문에, 예컨대 고유한 주민 등록 번호에 대해서 복권이 발행되고, 그 발행된 복권은 복권 서버(400) 내의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 보관되기 때문에, 복권의 위조, 변조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추첨 정보에 근거하여,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당첨자를 확인하고, 해당 당첨자의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100)에 당첨 번호 및 당첨 금액 등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통지한다.
또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당첨자의 당첨금 수령 은행(200)에 당첨 정보를 송신하여, 은행(200)에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위탁 사업자의 등록 계좌로부터 당첨자 계좌로 당첨 금액을 계좌 이체한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에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구매 가입자에 가입한 구매자의 가입 정보, 예컨대, 가입자의 주민 등록 번호, 복권 구매 대금 결제 방법, 복권 구매 대금 결제 수단 정보, 당첨금 지불 계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구매자 가입 정보는 가입자가 해당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전출되면, 해당 전출된 가입자에게 문의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해당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거나, 해당 전출자가 새로 전입하는 전입지 지방 자치 단체의 복권 서버(400)에 가입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개인 정보 보호와 전입시 신규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구매 가입을 간소화할 수 있다.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는 구매자가 구매한 복권의 유효 기간, 즉, 복권의 구매시부터, 당첨 탈락 확인 또는 당첨금 지급시까지 일시적으로 구매 데이터가 저장되며, 이 구매 데이터에는 구매자 정보 및 발행된 복권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구매 가입자인 경우에는 가입자 번호도 포함될 수 있다.
복권 발행부(450)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사업 계획에 근거하여, 지방 자치 단체의 목적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데 필요한 자금, 기간, 당첨금 지급율, 사업 운영비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 복권 발행 부수, 복권 판매 금액, 복권 판매 기간, 복권 추첨 주기에 따른 복권을 발행한다. 이때, 기존 복권과 마찬가지로 설정된 범위 내에서 구매자로부터 요청받은 번호로 발행할 수도 있고, 복권 발행 부수에 대응하는 복권 자릿수 내에서 임의 발행할 수도 있다.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는 주민 데이터베이스(510), 추첨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권 서버(400)의 조회 요청이 있을 때 해당 지방 자치 단체로 전입한 주민인지를 확인해주고, 기설정된 시간 및 기설정된 주기에 당첨 번호를 추첨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추첨된 추첨 번호의 입력에 따른 당첨 정보를 복권 서버(400)에 암호화하여 송신한다.
주민 데이터베이스(510)에는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에 전입 신고된 주민에 대한 신상 정보, 예컨대, 주민 등록 번호,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민 신상 정보가 포함된 주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추첨부(520)는 기설정된 시간 및 기설정된 주기에 당첨 번호를 추첨하거나, 오프라인으로 추첨된 추첨 번호의 입력에 따른 당첨 정보를 복권 서버(400)에 암호화하여 송신한다. 예컨대, 매일 오후 5시에 본권 추첨 번호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추첨 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추첨 번호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권 서버(400)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매일 오후 5시에 공식 참관인을 포함하는 복권 추첨 현장에서 숫자 뽑기, 화살로 맞추기 등의 기존에 알려진 추첨 방식을 통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진 추첨 데이터를, 참관인 입회, 승인, 확인 하에 암호화하여 복권 서버(400)에 송신한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에는 주민 자체 단체로 전입 또는 전출의 변동이 발생할 시, 실시간으로 갱신된 정보가 반영되어, 본 발명에서도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 내에서 판매된 복권 대금으로 발생한 수익을 해당 관할 지역 내에서 사용하게 하여, 각 지역의 유통 자금이 해당 지역 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에 입주한 주민만을 상대로 복권을 발행하고, 등수간 당첨금 차이를 줄이며, 추첨 빈도를 높여, 당첨율을 높임으로써, 많은 지역민에게 당첨 희망을 높이고, 당첨의 즐거움을 주며, 다수의 지역 주민에게 당첨금을 분산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따르면, 복권의 구입, 당첨 확인, 당첨금 수령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에 대해 보다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구매자 단말기(100)에서 지방 자치 단체 복권 발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10). 이때, 구매자 단말기(100)에 지방 자치 단체 복권 발매 애플리케이션이 없으면, 애플 스토어, 구글 스토어 등, 정보 처리 장치용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무상 또는 유상으로 다운로드하여 구매자 단말기(100)에 설치후 실행한다.
S110 단계에서 구매자 단말기(100) 상에 실행된 복권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매자가 구매 요청을 하면(S120), 복권 애플리케이션은 구매자에게 로그인 화면 또는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표시하고(S130), 구매자는 해당 화면 상에서 구매자의 신상 정보, 예컨대, 이름, 주민 등록 번호, 전화 번호, 비밀 번호 등을 입력한다(S140). 이때, 구매자가 이전 구매시 가입된 상태라면 로그인을 하고, 처음 가입하거나 미가입자라면 개인 신상 정보를 입력한다. 반복 구매자라면,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가입을 행하여 매 구매시마다 반복하여 인증할 필요없이,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하, S140 단계에서 입력된 개인 신상 정보는 보안을 위해서 구매자 단말기(100)에서 암호화된 후, 네트워크(200)를 통해서 복권 서버(400)에 전송된다.
S140 단계에서 입력된 구매자 정보가 수신되면, 복권 서버(400)의 통신부(410)는 수신된 구매자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호화된 구매자 정보를 복권 서버 제어부(420)에 전달하고,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구매자가 해당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구역에 거주하는, 즉, 해당 지방 자치 단체에 전입 신고된 주민인지 확인한다(S150). 즉, S140 단계에서 입력된 구매자 정보가 로그인 정보이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430)로부터 기존에 주민 확인 절차를 거쳐 가입된 가입자 인지를 확인하고, S140 단계에서 입력된 구매자 정보가 개인 신상 정보이면,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에 조회를 의뢰하여, 해당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인지를 확인한다.
S150 단계에서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이 아니라고 조회되면, 해당 복권 발행을 거부하는 메시지와 함께,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해당 지방 자치 단체 주민만 구매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60).
한편, S150 단계에서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이라고 조회되면,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를 검색하여, 당월 구매 이력을 조회한다(S115).
S115 단계에서 조회 결과에 근거하여,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당월 구매 이력이 없거나, 당월 구매 허용치 이내인지를 판정한다(S125).
S 125의 판정 결과, 당월 구매 이력이 있고, 구매 허용치를 초과했으면, 중복 구매 또는 과다 구매를 이유로 복권 발행 불가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구매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135).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의 사행성을 억제하고,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의 건전한 운영을 위해서, 주민당 복권 구매 매수를 기설정된 매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족의 명의로 구매하여 대량 구매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방 자치 단체에 전입 신고된 가족 단위를 기준으로 발매 매수를 한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 지역 주민당 2매로 제한하되, 가족 중에 구매자가 있으면 1매로 제한하는 등,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을 구매하는 데 지나치게 가계 비용을 지출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가계 경제가 피폐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한 발매 매수는 이외에도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의 판매 금액, 당첨율 등을 포함한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의 사업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S115 단계 내지 S135 단계는, 본 실시예에서 배제해도 구현하는 데 문제가 없으며,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자가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S125 단계의 판정 결과 당월 구매 이력이 없거나, 구매 허용 여력이 남아 있거나, 또는 S115 단계 내지 S125 단계의 과정을 배제할 경우 S150 단계에서 지방 자치 단체의 주민이라고 조회되면,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해당 구매자에 대한 복권을 발행하도록 복권 발행부(450)를 제어한다.
복권 서버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복권 발행부(450)는 기설정된 복권 발행 기준에 따라 복권을 발행하여 복권 서버 제어부(420)에 전송한다(S170). 이때 복권 발행 기준은, 예를 들어 한달권 30일권을 30,000원으로 책정하여 50만개를 발행하되, 매일 1번씩 1등 1명, 2등 2명, 3등 7명을 당첨자로 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1등을 기준으로 일주일 당첨자는 7명이 되어 1등 당첨 확률은 7/50만로 되어, 로또의 1/800만에 비해 당첨 확률이 훨씬 높아짐을 할 수 있다. 1등 외에 나머지 등수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기 때문에, 기존 복권 시스템에 비해 당첨 확률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한, 매일매일 추첨이 이루어지므로 매일 기대감을 불러일으켜 생활에 재미와 활력을 높여줄 수 있다. 상술한 수치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을 운영하는 지방 자치 단체의 규모, 지방 자치 단체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기금 규모를 고려하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당첨 금액을 줄이고, 당첨율(즉 당첨되는 사람의 수)는 늘려, 보다 많은 구매자가 만족감을 느끼고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 중복 당첨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당첨 금액이 작은 대신 중복 당첨을 가능하게 하여 기대감을 높이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처음엔 발행하는 지방 자치 단체들은 추첨 전달에 동일한 50만장을 1번 발행하나 복권을 완전 판매된 날이 일주일만이면 50만장을 2번 더 발행하고, 이주일만이면 1번 더 발행 하는 식으로 규칙을 두어 판매 매수를 늘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170 단계에서 복권 발행부(450)로부터 발행되는 복권은 단순한 숫자의 조합일 수도 있고, 해당 숫자 및 QR 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발행될 수도 있다. 또한, 발행하는 숫자는 발행 매수를 커버할 수 있는 숫자 범위 내에서 임의 조합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구매자가 원하는 숫자 범위로 선택될 수도 있다.
S170 단계에서 복권 발행부(450)로부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를 수신한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를 통신부(410)에서의 암호화를 거쳐서 네트워크(200)를 통해 구매자 단말기(100)에 전송하고,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S18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된 구매자에 대해서 복권이 발행되기 때문에, 예컨대 고유한 주민 등록 번호에 대해서 복권이 발행되고, 그 발행된 복권은 복권 서버(400) 내의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에 보관되기 때문에, 복권의 위조, 변조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후, 다음달부터 매일 기설정된 추첨 시간이 도래하면(S190),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 내의 추첨부(520)를 통해서 프로그램 상으로 랜덤하게 추첨하거나, 오프라인에서 참관인 입회하에 숫자가 적힌 구슬 토출식, 회전판 상의 숫자를 화살로 맞추는 과녁식 등의 전통 방식으로 추첨후, 추첨부(520)에 입력하여, 당첨자를 추첨한다(S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중 적어도 둘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지방 자치 단체 복권에 대하여 한곳에서 통합하여 추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매일 지정된 시간에 공영 방송을 통하여 복권을 추첨하여, 복권의 발행과 운용은 지방 자치 단체별로 행하지만, 추첨은 단일화하여, 추첨의 신뢰성을 높이고, 추첨에 들어가는 사업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S190 단계에서 추첨 기일이 도래할 때까지, 상술한 S140 내지 S18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지방 자치 단체 서버(500)는 S200 단계에서 추첨한 추첨 정보를 암호화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복권 서버(400)로 송신하고, 추첨 정보를 수신한 통신부(410)는 암호화된 추첨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권 서버 제어부(420)에 전송하고, 복권 서버 제어부(420)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당첨자를 확인하고(S210), 해당 당첨자의 구매자 정보에 포함된 구매자 단말기(100)에 당첨 번호 및 당첨 금액 등을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통지한다(S220).
또한, S220 단계에서 확인된 당첨자의 구매자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당첨자의 당첨금 수령 은행(200)에 당첨 정보를 송신하여, 은행(200)에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위탁 사업자의 등록 계좌로부터 당첨자 계좌로 당첨 금액을 계좌 이체한다(S240). 즉, 결과적으로 당첨 확인과 함께 복권 구매자의 수고 없이 당첨금이 자동으로 지급된다. 그 결과, 당첨자는 신속하고, 편안하며, 안전하게 당첨금을 수령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음달이 도달할 때까지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 내에서 판매된 복권 대금으로 발생한 수익을 해당 관할 지역 내에서 사용하게 하여, 각 지역의 유통 자금이 해당 지역 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에 따르면, 지방 자치 단체의 관할 지역에 입주한 주민만을 상대로 복권을 발행하고, 등수간 당첨금 차이를 줄이며, 추첨 빈도를 높여, 당첨율을 높임으로써, 많은 지역민에게 당첨 희망을 높이고, 당첨의 즐거움을 주며, 다수의 지역 주민에게 당첨금을 분산함으로써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에 따르면, 복권의 구입, 당첨 확인, 당첨금 수령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운영 방법에 따르면, 복권 구입시에서부터 복권의 수령시까지 전체 과정을 비대면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감기를 비롯해 유행성 질병 뿐만 아니라, 메르스, 코로나 등 심각한 전염병의 전염에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등가물을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 요소 또는 구조(어셈블리, 장치, 회로, 시스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수단"에 대한 참조 포함)는,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예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동일하지 않더라도, 기술된 구성 요소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즉, 기능적으로 동등한)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며, 각 청구 범위는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각 청구항은 별도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자체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종속항이 청구 범위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청구항과의 특정 조합을 언급할 수 있더라도),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서로 종속 또는 독립 청구항의 주제와 종속항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특정 조합이 의도되지 않았다고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제안된다. 또한, 이 청구항이 독립항에 직접적으로 종속되지 않더라도, 임의의 다른 독립항에 대한 청구항의 특징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 개시된 방법은 이들 방법의 각 동작의 각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명세서 또는 청구 범위에 개시된 다수의 동작 또는 기능의 개시는 특정 순서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동작 또는 기능의 개시는 이러한 동작 또는 기능이 기술적 이유로 상호 교환이 가능하지 않는 한 특정 순서로 이들을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행위는 다수의 하위 행위를 포함하거나, 다수의 하위 행위로 나눌 수 있다. 명시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이러한 하위 행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단일 행위의 개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램 가능 논리 어레이(FPGA : field programmable logic array), 또는 기타 등가의 통합 또는 이산된 논리 회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프로세서"는 전술한 구조 중 어느 하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를 말한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술은 하나 이상의 회로 또는 논리 요소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의 다양한 양태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DSP, ASIC,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의 통합 또는 이산된 논리 회로뿐만 아니라 이러한 요소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은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 내에서 또는 별도의 장치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그 위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을 포함하도록,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 또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은 실행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하여금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의 이점 중 일부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 요소가 적절히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에서도 다른 도면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음을 언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이러한 수정은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들의 법적 등가물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된다.
100 : 구매자 단말기
200 : 네트워크
300 : 은행
400 : (지방 자치 단체) 복권 서버
410 : 통신부
420 : 복권 서버 제어부
430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440 : 구매자 데이터베이스
450 : 복권 발행부

Claims (7)

  1. 지방 자치 단체에 거주하는 거주민 전용으로 고정 불변의 확률을 가진 복권을 운영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에 있어서,
    구매자가 복권을 발급받기 위한 구매자 단말기와,
    상기 구매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상기 구매자로부터 복권 대금을 발급받고, 상기 구매자에게 당첨금을 지급하는 은행과,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의 주민 정보를 보관하고, 기준일 이전에 판매한 복권에 대하여 기설정된 빈돗수만큼 기설정된 주기로 추첨하여, 상기 추첨한 복권 추첨 정보를 발신하는 지방 자치 단체 서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복권의 구매 요청시, 상기 구매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구매자로부터 입력받은 구매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에서 보관하는 주민 정보로부터 상기 구매자가 지역 주민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역 주민이면 상기 은행으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상기 복권 대금 입금을 확인한 후 복권을 발행하여 상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로부터 상기 복권 추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구매자에 대한 복권 정보와 비교하여 당첨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구매자 중 당첨된 구매자에 대하여 당첨 안내 메시지를 발행함과 아울러, 상기 은행에서 상기 구매자의 계좌로 당첨금을 입금하게 하는 복권 서버
    를 구비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권 서버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와 암호화된 정보를 데이터로 송수신하고, 수신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통신부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복권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권을 구매한 구매자의 상기 구매자 정보 및 상기 구매자 정보에 대응하는 복권 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와,
    복권을 발행하는 복권 발행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복호화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자가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인 것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복권 구매가 허용된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주민에 대해 복권을 발행하도록 상기 복권 발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지방 자치 단체 서버로부터 수신한 추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구매자 중 당첨된 구매자를 판정하여 상기 은행으로 하여금 당첨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복권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자치 단체 복권은 월간 복권으로 발행하고, 전월에 판매된 복권에 대하여 매일 추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59570A 2020-11-25 2020-11-25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KR10242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570A KR102428459B1 (ko) 2020-11-25 2020-11-25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570A KR102428459B1 (ko) 2020-11-25 2020-11-25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213A KR20220072213A (ko) 2022-06-02
KR102428459B1 true KR102428459B1 (ko) 2022-08-03

Family

ID=8198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570A KR102428459B1 (ko) 2020-11-25 2020-11-25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467B1 (ko) * 2003-11-18 2004-10-28 폰또정보기술(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한 복권사업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08287395A (ja) * 2007-05-16 2008-11-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2090941B1 (ko) * 2018-12-17 2020-03-19 한국플랫폼정보통신 주식회사 지역 사회 공헌 촉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화폐의 결제 승인 및 정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566A (ko) * 2002-04-22 2003-10-30 조재현 낙첨복권의 재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3939B1 (ko) 2006-04-05 2008-02-15 정길모 모바일을 이용한 복권발행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9512A (ko) * 2010-02-01 2011-08-09 한영수 지방자치단체에게 카드 적립금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KR101192537B1 (ko) 2011-12-12 2012-12-24 정길모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로또복권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140077996A (ko) * 2012-12-13 2014-06-25 장영진 이벤트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이벤트 제공 방법
KR20140082902A (ko) 2012-12-24 2014-07-03 주식회사 가인인컴 복권발행정보를 이용한 보험료 납입 통지시스템
KR20200087578A (ko) * 2019-01-11 2020-07-21 허암구 가상화폐 복권 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467B1 (ko) * 2003-11-18 2004-10-28 폰또정보기술(주)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용 단말기를 이용한 복권사업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08287395A (ja) * 2007-05-16 2008-11-27 Konica Minolta Holdings Inc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2090941B1 (ko) * 2018-12-17 2020-03-19 한국플랫폼정보통신 주식회사 지역 사회 공헌 촉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화폐의 결제 승인 및 정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2213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0823B2 (en) Processing of a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CN110462663A (zh) 用于表示动态真实凭证的静态令牌系统和方法
US20190066439A1 (en) Encrypted electronic gaming ticket
CN108702294A (zh) 采用位置匹配的认证系统和方法
US11776355B2 (en) Processing of a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CN108604989A (zh) 用于代码显示和使用的系统和方法
US20040111369A1 (en) Method to associate the geographic location of a participant with the content of a communications session
AU2012328881B2 (en) Game play system for automated terminals
AU20133127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game play through the use of barcodes on smart phones and hand held devices
KR20120032533A (ko) 인터넷과 모바일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보안된 복권 시스템 및 방법
US200501537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ttery transactions over an open network
US10217326B2 (en) Processing of a user device game-playing transaction based on location
JP2001344545A (ja) 処理システム、サーバ、処理端末、通信端末、処理方法、データ管理方法、処理実行方法、プログラム
US20130288768A1 (en) Method for tracking lottery purchases and notifying winners electronically
AU2016228202A1 (en) Game entry
CN108596816A (zh) 一种通过互联网购买彩票的信息系统及方法
KR102428459B1 (ko) 지방 자치 단체 관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권의 운영 장치 및 운영 방법
WO2018148759A1 (en) Complex computing operations in a gaming network environment
KR20010078424A (ko) 인터넷을 통한 즉석복권처리시스템과 그의 방법
US11669815B1 (en) Financial transaction gateway systems and methods
TW201347814A (zh) 彩券儲值系統
US202201483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leting a remote lottery ticket sales transaction via receiving payment at a point of sale
JP2024503668A (ja) 販売時点管理での支払いを受けることによって遠隔宝くじ券販売取引を完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6204443A1 (en)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ies based secured lottery system and method
KR101679618B1 (ko) 카드 결제에 대한 보상권 포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