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534B1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534B1
KR102426534B1 KR1020210085381A KR20210085381A KR102426534B1 KR 102426534 B1 KR102426534 B1 KR 102426534B1 KR 1020210085381 A KR1020210085381 A KR 1020210085381A KR 20210085381 A KR20210085381 A KR 20210085381A KR 102426534 B1 KR102426534 B1 KR 10242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dge
movement
displayed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388A (ko
Inventor
유스께 미야자와
데쯔오 이께다
후미노리 홈마
레이꼬 미야자끼
겐 미야시따
쇼이찌로 모리야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8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388A/ko
Priority to KR102022008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화상을 수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대상의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부분 내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부재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없으면 상기 대상을 검출된 상기 이동에 상당하는 대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있으면 상기 검출된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정된 상기 화상은 상기 위치에 있는 상기 엣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조작체(operating object)에 의한 접촉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터치 패널은 조작체가 접촉해오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체가 접촉해오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예를 들어, JP 2010-157189A 참조).
또한, 조작체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패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터치 패널은 조작체가 근접해오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체가 근접해오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터치 패널이 사용되었던 경우에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표시 대상이 이동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면,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표시 대상이 이동될 수 있는 정도를 사용자가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신규이며 개선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상(image)을 수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대상의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부분 내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부재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없으면, 상기 대상을 검출된 상기 이동에 상당하는 대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있으면, 상기 검출된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정된 상기 화상은 상기 위치에 있는 상기 엣지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화상을 수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가 제공된다. 방법은, 대상의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부분 내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부재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없으면, 상기 대상을 검출된 상기 이동에 상당하는 대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있으면, 상기 검출된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정된 상기 화상은 상기 위치에 있는 상기 엣지를 포함한다.
제3 양태에서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을 수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대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부분 내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부재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더 실행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없으면 상기 대상을 검출된 상기 이동에 상당하는 대상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엣지가 상기 위치에 있으면 상기 검출된 이동에 따라 상기 화상을 수정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더 실행하며, 수정된 상기 화상은 상기 위치에 있는 상기 엣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고;
도 6은 플릭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소정의 표시가 보여지는 경우와 소정의 표시가 가려지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12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5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7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8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9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1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3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4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5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7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8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9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0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1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2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3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4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5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6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7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 및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에 이동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8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 및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에 이동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9는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이동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 고;
도 40은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이동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1은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2는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43은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4는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한 동작의 흐름(표시 대상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목할 것은,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지칭되고, 이러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는 것이다.
또한,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1. 실시예
1-1.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
1-2. 플릭(flick)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1-3.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1-4.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
1-5.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1-6. 플릭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의 동작
1-7.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1-8.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의 무효
1-9.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의 방향
1-10. 표시된 소정의 표시를 숨기는 경우
1-11.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
1-12.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1-13.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1-14. 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1-15.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 및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1-16.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1-17.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의 다른 예
1-18. 드래그 조작(XY축 방향으로)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동작
2. 변형례
3. 개요
<1. 실시예>
[1-1.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개요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A)는 표시 영역(display region)(141)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141)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A)에 의해 표시 대상(display object)(DB1)의 일부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B)는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DB2)의 일부(즉, 부분)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표시 대상(DB1) 및 표시 대상(DB2) 등과 같은 표시 대상은 엣지(DT)를 가지며, 엣지(DT)는 표시 대상의 각각의 상단(upper edge)인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사용자가 표시 대상을 하방향으로 스크롤하는 경우에, 엣지(DT)는 궁극적으로 표시 영역(141)의 상단(즉, 상부 위치)에 도달한다.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의 상단에 도달한 후, 표시 대상은 하방향으로 더 이상 스크롤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고 있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표시 대상이 어느 정도 이동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을 하방향으로 스크롤시키고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표시 영역(141)의 상단보다도 상방향으로 선행 판독 거리(read-ahead distance)(PR)만큼 진행된 위치의 표시 에리어(display area)를 읽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A)에 의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표시 대상(DB1)의 경우에, 표시 영역(14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선행 판독 거리(PR)를 진행함으로써 얻어진 위치가 표시 대상(DB1)의 엣지(DT)(상단)보다 아래에 있으면,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상단에 도달하기까지는 여전히 어느 정도 시간이 있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A)는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상단에 거의 도달한 것을 통지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B)에 의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표시 대상(DB2)의 경우에, 표시 영역(141)의 상단보다도 상방향으로 선행 판독 거리(PR)를 진행함으로써 얻어진 위치가 표시 대상(DB2)의 엣지(DT)(상단)보다도 위에 있으면, 엣지(DT)(상단)가 잠시 후 표시 영역(141)의 상단에 도달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B)는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거의 도달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주목할 것은, 표시 대상이 스크롤되게 하는 조작으로서는 터치 패널 등과 같은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한 플릭 조작이나 드래그 조작 등이 상정되지만, 어떤 하드웨어에 대해 어떤 종류의 조작이 수행되는지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대상을 스크롤시키기 위한 조작이 적어도 표시 대상이 이동되어야 할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조작일 필요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은 조작체(OP)(즉, 조작 부재)를 이용한 플릭 조작이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표시 대상이 스크롤되는 방향은 하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방향, 좌방향 또는 우방향일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2.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도 2는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C)는 표시 대상(DB1)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OP)에 의해 하방향으로 플릭 조작이 수행되면, 표시 대상(DB1) 중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로부터의 플릭 조작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표시 대상(DB1)의 상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영역이 이론상 플릭의 종료 동작에서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1)에 상당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플릭의 종료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D)가,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될 영역(DR1)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키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표시 대상(DB1)의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상단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 방식에서 플릭 조작에 의한 표시 대상(DB1)의 이동은 제1 가속도로 수행된다.
[1-3.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도 3은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E)는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DB1)의 일부를 표시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OP)에 의해 하방향으로 플릭 조작이 수행되면, 표시 대상(DB1) 중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으로부터의 플릭 조작의 강도에 따른 거리만큼 표시 대상(DB1)의 상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얻어진 영역이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2)에 상당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플릭의 종료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F)가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될 영역(DR2)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키려고 할지라도, 표시 대상(DB1)의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도달해버리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F)는 영역(DR2)을 표시시킬 수 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DB1)의 이동을 제2 가속도로 급격히 감쇠시키는 등, 이동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표시 대상(DB1)의 이동이 수행된다.
[1-4.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적어도 검출부(110), 판단부(120), 표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검출부(110)는 위치 검출 장치(210)를 포함하고,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표시 대상에 대한 이동 조작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검출부(110)는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플릭 조작이나 드래그 조작을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표시 대상에 대한 이동 조작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화살표 키나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에 대한 입력일 수도 있을 것이다.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조작에 기초한 이동 방향(즉, 조작체 방향)으로 표시 대상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는 경우에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조작이 소정의 방향으로 성분을 갖는 경우에, 판단부(120)는 그 소정의 방향을 이동 방향으로서 채용한다. 예를 들어, 이동 조작이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수행된 경우에, 판단부(120)는 이동 조작에 기초한 이동 방향을 하방향으로서 인식하고, 표시 대상을 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경우를 판단한다.
표시 대상이 이동되는 소정의 거리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 대상(DB1)이 이동 조작에 기초한 이동 방향(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진 경우에,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 대상(DB1)이 이동 조작에 기초한 이동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진 경우에,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30)는 이동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 표시 대상이 이동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동시에, 표시 대상이 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진 경우에 표시 대상의 엣지(DT)(예를 들어, 상단)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되면,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소정의 제1 표시에 대해서는 다양한 표시가 상정되지만,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저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저장부(150)는 판단부(120), 표시 제어부(130), 처리부(160) 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능, 및 그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저장부(150)는 각종 임계치(threshold)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표시부(140)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표시부(140)는 표시 영역(141)을 포함하고, 표시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을 참조해서 설명한 예에서는 표시부(140)가 표시 제어부(130)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의 일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로부터 표시 대상에서의 각각의 표시 위치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판단부(120)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 표시 대상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표시 에리어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소정의 거리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표시 대상을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경우, 판단부(120)는 표시 대상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위치에 기초해서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함으로써 얻어진 위치의 표시 에리어를 저장부(150)에 저장된 표시 대상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판단부(120)는 취득된 표시 에리어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지가 거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에리어에는 표시 대상의 엣지(DT)로부터 표시 대상의 표시 에리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처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처리부(160)는 예를 들어 조작체(OP)에 의해 선택된 항목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수신부(170)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경우에, 판단부(120)는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 표시 대상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표시 에리어의 위치, 이동 방향, 및 소정의 거리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소정의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수신부(170)는 표시 대상에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표시 에리어의 위치에 기초해서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함으로써 얻어진 위치의 표시 에리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경우에는 판단부(120)는 수신부(170)에 의해 수신된 표시 에리어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시 에리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소정의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했듯이,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이동을 급격히 감속시키는 등 이동 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표시 대상의 이동이 수행된다. 더 상세하게는 우선,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이동 조작이 플릭 조작인지를 더 판단한다. 이동 조작이 플릭 조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판단부(120)는 플릭 조작에 의해 유발된 표시 대상의 이동에 의해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를 통과하는지를 더 판단한다.
플릭 조작에 의해 유발된 표시 대상의 이동에 의해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를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부(120)가 판단하는 경우에, 표시 제어부(130)는 플릭 조작에 의해 유발된 표시 대상의 이동에 의해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를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보다 더 크게 표시 대상의 이동에 관련된 감속도 계수를 설정한다.
판단부(120), 표시 제어부(130), 처리부(160) 등은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고, 그 기능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에 전개하고 전개된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표시 제어부(130) 및 처리부(160)가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5.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위치 검출 장치(210), CPU(220), RAM(230), 표시 장치(240), 비휘발성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위치 검출 장치(210)는 위치 검출면을 가지며, 위치 검출면에 대한 조작체(OP)의 근접 좌표 또는 접촉 좌표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위치 검출 장치(210)로서는 예를 들어, 커패시티브 터치 패널(capacitive touch panel)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학식 터치 패널이 위치 검출 장치(210)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카메라가 위치 검출 장치(210)로서 이용될 수 있다.
CPU(220)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비휘발성 메모리(250) 또는 RAM(230)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 또는 그 일부의 제어를 수행한다.
RAM(230)은 CPU(220)에 의해 이용되는 프로그램 및 그 실행 중에 적절하게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저장한다.
표시 장치(24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표시 장치 등과 같이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된다. 표시 장치(2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 각종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2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 각종 처리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표시 영역(141)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장치(24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25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이고,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자기 저장 장치, 반도체 저장 장치, 광 저장 장치, 또는 광 자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250)는 CPU(22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예시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범용적인 부재를 이용해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에 전용되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할 때마다의 기술 수준에 따라 이용되는 하드웨어 구성이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1-6. 플릭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의 동작]
도 6은 플릭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주목할 것은, 도 6에 도시된 예가 이동 방향이 하방향인 예를 나타낼지라도, 이동 방향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방향, 좌방향 또는 우방향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플릭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101).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플릭 중인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101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스텝 S101로 복귀한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플릭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101에서 "예"),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플릭 조작이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02).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플릭 조작이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102에서 "예"), 판단부(120)는 선행 판독 거리 내에 표시 대상의 엣지(DT)(상단)가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03). 선행 판독 거리 내에 표시 대상의 엣지(DT)(상단)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103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스텝 S101로 복귀한다. 판단부(120)에 의해 선행 판독 거리 내에 표시 대상의 엣지(DT)(상단)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스텝 S103에서 "예"), 표시 제어부(130)는 위에서 설명한 표시 대상의 이동에 관련된 감속도 계수 등과 같은 소정의 파라미터를 산출하고(스텝 S104), 표시 대상의 상단까지의 플릭 처리를 개시하고(스텝 S105), 스텝 S101로 복귀한다.
[1-7.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도 7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대상(DB3)이 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진 경우에, 표시 대상의 엣지(DT)(예를 들어, 상단)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는 것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G)의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G)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G)(즉, 이미지)가 표시 영역(141)에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되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된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H)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G)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즉, 변화된 이미지)(H1, H2)가 표시 영역(141)에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상태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상단)가 표시 대상의 엣지(DT)(상단)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이미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이동 조작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의 내부로 진입하고 있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을 나타낸다.
검출부(110)에 의해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I)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영역(141)에서의 소정의 제2 표시(H1, H2)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영역(141)에서의 소정의 제2 표시(H1, H2)가 가려지는 타이밍에 대해서는 다양한 것이 상정되지만, 후에 설명하겠다.
[1-8.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의 무효]
도 8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900A)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고,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이미 도달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하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수행되면, 정보 처리 장치(900B)는 이동 조작을 인식할지라도, 표시 대상(DB3)은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다.
그러나, 표시 대상(DB3)이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다는 사실을 출력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하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무효로 되는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그래서,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의 엣지에 이미 도달한 상태에서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141)의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더 수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소정의 제2 표시를 수행한다.
[1-9.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의 방향]
도 9는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L)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며, 이 단계에서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여전히 도달하지 않았다.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된 이동 조작에 의해 표시 대상(DB3)이 이동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M)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며, 이 단계에서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표시 대상이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는 방향으로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려고 시도하는 조작은 오버 드래그라고 지칭되고, 오버 드래그 개시점은 조작을 개시한 시점에서 조작체(OP)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표시 대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조작체(OP)에 의해 오버 드래그가 수행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N)의 표시 제어부(130)는 정보 처리 장치(100M)의 표시 제어부(130)가 표시 대상(DB3)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DB3)을 표시한다. 이것은 표시 대상(DB3)을 더 이상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오버 드래그의 종료시에 조작체(OP)에 의해 지정되는 표시 대상에서의 위치는 조작점이라고 지칭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O)의 표시 제어부(130)도 정보 처리 장치(100M)의 표시 제어부(130)가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DB3)을 표시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표시 영역(141)에 표시 대상(DB3)을 표시한다. 조작체(OP)가 위치 검출면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O)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10. 표시된 소정의 표시를 숨기는 경우]
도 10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는 경우와 소정의 제2 표시가 가려지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P)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고, 이 단계에서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이미 도달했으므로, 소정의 제2 표시(J1)가 표시 영역(141)에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 조작이 수행되고 있는 사이에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오버 드래그 개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는 범위에 조작체(OP)가 배치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Q)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영역(141)에서의 소정의 제2 표시(J1)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오버 드래그 개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는 범위에 조작체(OP)가 배치되는 경우는 오버 드래그 개시점로부터 조작점으로의 방향과 이동 방향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체(OP)가 위치 검출면로부터 멀리 이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R)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조작이 수행되고 있는 사이에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오버 드래그 개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 조작체(OP)가 배치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S)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J1)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11.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
도 11은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201).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1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이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203). 판단부(120)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는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3에서 "아니오"), 표시 제어부(130)는 스텝 S201로 복귀한다. 판단부(120)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3에서 "예"),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서서히 가려지는 페이드 아웃 드로잉(Fadeout-drawing)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고(스텝 S204), 스텝 S201로 복귀한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1에서 "예"), 판단부(120)는 현재 오버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202). 현재 오버 드래그 중인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2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현재 오버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2에서 "예"),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오버 드래그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205).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은 오버 드래그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5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오버 드래그 개시점을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좌표로 대체하고(스텝 S206), 스텝 S201로 복귀한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5에서 "예"), 판단부(120)는 조작점이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207). 소정의 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 드래그 개시점에 기초하여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를 나타낸다.
조작점이 소정의 범위내에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207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스텝 S204으로 진행한다. 조작점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다고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되는 경우에(스텝 S207에서 "예"), 표시 제어부(130)는 오버 드래그 드로잉(Overdrag-drawing)을 업데이트하고(스텝 S208), 스텝 S201로 복귀한다. 오버 드래그 드로잉의 업데이트는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1-12.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단계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도 12 내지 도 32는 제각기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T)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된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U)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V)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3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여전히 도달하지 않았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X1)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X2)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의 엣지(DT)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표시 대상의 엣지(DT)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항목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서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의 엣지(DT)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 사이에 존재하는 항목 "Action", "Adventure", 및 "Animation"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표시 제어부(130)는 각각의 항목을 이동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항목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30)는 이동 방향으로의 각각의 항목의 길이가 B(1), B(2), B(3)로부터 A(1), A(2), A(3)로 변화되도록 이동 방향으로의 각각의 항목을 신장시킨다.
표시 대상의 엣지(DT)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 번호는 표시 대상의 엣지(DT)로부터 거리의 오름차순으로 1, 2, …, n으로 표현되고,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동 방향으로의 조작체(OP)의 이동 거리는 L로 표현되며, 표시 대상의 엣지(DT)로부터 i번째 항목의 형상 변화량 L(i)는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21075410688-pat00001
또한,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X3)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13.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도 34는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Y1)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Y2)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3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와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사이의 차이가 강조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예에서, 표시 제어부(13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의 형상을 조작체(OP)의 속도(v)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소정의 제3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존재하는 항목을 조작체(OP)의 속도(v)에 비례하는 양만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예에서는 표시 제어부(13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존재하는 항목 "Documentary"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표시 제어부(130)는 항목을 이동 방향으로 신장함으로써 항목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30)는 이동 방향으로의 항목의 길이가 B로부터 A로 변화되도록 항목을 이동 방향으로 신장시킨다.
또한,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Y3)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영역(141)에서의 소정의 제3 표시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14. 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
도 35는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a1)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대상의 엣지(DT1)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a2)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5에는 이동 방향(예를 들어, 상방향)으로의 표시 대상(DB4)의 길이가 이동 방향으로의 표시 영역(141)의 길이보다 짧은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a2)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표시 영역(141)에 도달한 표시 대상의 엣지(DT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표시 대상의 엣지(DT2)에 기초하여 표시 대상(DB4)을 표시 대상의 엣지(DT2)로부터 표시 대상의 엣지(DT1)로의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5에 도시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a2)의 표시 제어부(13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존재하는 항목 "Animation"의 표시 대상(DB4)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상방향)으로의 길이가 B(3)로부터 C(3)로 변화되고, 항목의 상방향에 존재하는 "Adventure"의 표시 대상(DB4)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상방향)으로의 길이가 B(2)로부터 C(2)로 변화되게 하는 방식으로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a3)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표시 대상이 작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되어 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b1)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대상의 엣지(DT1)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b2)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6에는 이동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의 표시 대상(DB4)의 길이가 이동 방향으로의 표시 영역(141)의 길이보다 짧은 예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b2)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표시 영역(141)의 엣지에 도달한 표시 대상의 엣지(DT1)에 기초하여 표시 대상의 엣지(DT1)으로부터 표시 대상의 엣지(DT2)로의 방향으로 표시 대상(DB4)을 신장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6에 도시된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b2)의 표시 제어부(13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존재하는 항목 "Action"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의 표시 대상(DB4)의 길이가 B(1)로부터 D(1)로 변화되고, 그 항목의 하방향으로 존재하는 "Adventure"의 표시 대상(DB4)의 이동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의 길이를 B(2)로부터 D(2)로 하는 방식으로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동 조작의 종료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b3)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영역(141)에서의 소정의 제2 표시가 가려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15.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기 전 및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도 37 내지 도 38은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 전 및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한 후에 이동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얻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지 않는 동안에, 정보 처리 장치(100c1)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2)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하기까지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아직 보여지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대상의 엣지(DT1)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에 이미 도달했을 때에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 조작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1 표시와 다른 소정의 제2 표시가 표시 영역(141)에서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7에 도시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의 엣지(DT1)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도 37에 도시된 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이동 방향으로의 항목 "Action" 및 "Adventure"을 신장함으로써 항목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각 항목의 신장량의 합계)이 M에 의해 표현되고,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이동 방향으로의 조작체(OP)의 이동 거리가 L로 표현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아래의 수학식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되는 M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DB5)을 신장시킬 수 있다.
Figure 112021075410688-pat00002
여기에서, β는 정수를 표현하고, 그 값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3/10(=0.3)으로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L의 변화에 기초해서 M이 변화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M에 대한 상한치 Mmax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방향으로의 표시 영역(141)의 길이가 N으로 표현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아래의 수학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되는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의 상한치로서의 Mmax을 이용하여 표시 대상(DB5)을 신장시킬 수 있다.
Figure 112021075410688-pat00003
여기에서, α는 정수를 표현하고, 그 값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3일 수 있을 것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방향과는 역방향인 이동 조작(예를 들어, 상방향)이 검출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4)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신장이 취소되고, 그럼으로써 표시 영역(141)에서 소정의 제2 표시를 가리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예에서 신장을 취소하는 방향(예를 들어, 상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정보 처리 장치(100c4)의 표시 제어부(130)는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에 대한 표시 대상(DB5)의 신장을 취소한다.
도 38에 도시된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M에 대응하는 길이에 대해 표시 대상(DB5)을 신장 방향(예를 들어, 하방향)으로 신장시킨다. 그러므로,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이 제로로 되기까지, 신장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정보 처리 장치(100c4)의 표시 제어부(130)는 그 이동 조작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에 대한 양만큼 신장을 취소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c5)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이 제로로 되었기 때문에, 신장 방향과는 역방향(예를 들어, 상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이 검출된 경우에는 그 이동 조작에 기초한 이동 거리를 위한 신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표시 대상(DB5)을 이동시킬 수 있다.
[1-16.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한 후의 조작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도 39는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한 후의 이동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38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시 대상의 엣지(DT1)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c6)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위 수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정되는 M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DB5)을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M에 대한 상한치 Mmax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c6)의 표시 제어부(130)는 위에서 설명한 수학식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되는 Mmax을 초과해서 표시 대상(DB5)을 신장시킬 수 없다.
따라서,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M)이 소정량(예를 들어, Mmax)에 도달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7)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자동 축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표시 대상(DB5)의 신장량(M)이 소정량(예를 들어, Mmax)에 도달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7)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신장이 취소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표시 대상(DB5)의 신장량(M)이 제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0은 표시 대상의 엣지(DT1)가 표시 영역(141)에 도달한 후의 이동 조작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c3)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38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 대상의 엣지(DT1)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체(OP)의 위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항목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소정의 제2 표시가 보여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계속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c8)의 검출부(110)가 이동 조작의 종료를 검출하는 것을 상정하자. 그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7)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자동 축소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검출부(110)가 이동 조작의 종료를 검출하는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100c7)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5)의 신장이 취소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표시 대상(DB5)의 신장량(M)이 제로로 복귀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표시 제어부(130)가 표시 대상(DB5)의 자동 축소를 수행하게 하는 다양한 기술이 상정된다. 예를 들어, V(t)가 시각 t에서의 표시 대상(DB5)의 길이를 표현하고, VEND가 표시 대상(DB5)의 길이의 종단치를 표현하며, VSTART는 표시 대상(DB5)의 길이의 초기치를 표현하고, tDURATION은 자동 축소에 걸리는 시간을 표현하며, γ는 감쇠 파라미터를 표현하면, 표시 제어부(130)는 아래의 수학식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되는 V(t)에 기초해서 표시 대상(DB5)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
Figure 112021075410688-pat00004
[1- 17.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의 다른 예]
도 41 내지 43은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W1)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를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키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체(OP)에 의해 상방향으로의 플릭 조작이 수행되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로부터의 플릭 조작의 강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표시 대상(DB3)의 상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얻어지는 표시 대상(DB3) 내의 영역이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3)(즉, 표시 대상 DB3의 일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플릭의 종료시에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W2)의 표시 제어부(130)가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3)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키려고 할지라도, 표시 대상(DB3)의 엣지(DT)(하단)이 표시 영역(141)의 엣지(하단)를 통과해버리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W2)의 표시 제어부(130)가 영역(DR3)을 표시시킬 수 없다. 표시 대상(DB3)의 엣지(DT)(하단)가 표시 영역(141)의 엣지(하단)를 통과하는지에 관한 판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단부(120)에 의해 수행된다.
플릭 조작에 의해 유발된 표시 대상(DB3)의 이동에 의해 표시 대상의 엣지(DT)가 표시 대상의 엣지(DT)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를 통과하는 것을 판단부(120)가 판단하는 경우에, 표시 대상(DB3)의 엣지(DT)가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141)의 엣지에 도달한 후, 정보 처리 장치(100W2)의 표시 제어부(130)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신장되게 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W2)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신장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1에는 표시 대상(DB3)의 엣지(DT)(하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항목 "Thriller"가 신장되고, 신장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정보 처리 장치(100W2)의 표시 제어부(130)가 제어를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신장된 표시 대상(DB3)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는 제어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정보 처리 장치(100W3)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이 취소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2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W3)의 표시 제어부(130)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항목 "Thriller"의 신장이 취소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W4)는 표시 대상(DB3)의 일부가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하방향으로의 플릭 조작이 조작체(OP)에 의해 수행되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로부터의 플릭 조작의 강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표시 대상(DB3)의 상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얻어진 표시 대상(DB3) 내의 영역이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4)에 상당하는 것으로 상정된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릭의 종료시에는, 이론상 플릭의 종료시에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는 영역(DR4)을 정보 처리 장치(100W5)의 표시 제어부(130)가 표시 영역(141)에 표시시키려고 하지만,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가 표시 영역(141)의 엣지(상단)에 도달해버리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100W5)의 표시 제어부(130)는 영역(DR4)이 표시되게 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W5)의 표시 제어부(130)는 예를 들어 신장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3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W5)의 표시 제어부(130)가 표시 대상(DB3)의 엣지(DT)(상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항목 "Action", 두번째로 가까운 항목 "Adventure" 및 세번째로 가까운 항목 "Animation"이 신장되고, 신장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30)에 의해 신장될 항목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플릭 조작의 속도에 기초하여 항목을 신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표시 대상(DB3)의 엣지(DT)로부터 가장 가까운 항목으로부터 계수된 소정의 개수의 항목의 각각을 동일한 양만큼 신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표시 대상(DB3)의 엣지(DT)로부터 더 가까울수록 항목이 신장되는 정도가 더 크도록 항목을 신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30)는 플릭 조작의 속도에 기초하여 항목을 신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표시 대상(DB3)의 엣지(DT)로부터 가장 가까운 항목으로부터 계수된 항목의 각각을 동일한 양만큼 신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또는 표시 대상(DB3)의 엣지(DT)로부터 더 가까울수록 항목이 신장되는 정도가 더 크도록 항목을 신장시킬 수도 있을 것인데, 이 때 항목의 개수는 플릭 조작의 속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신장된 표시 대상(DB3)을 표시 영역(141)에 표시하는 제어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정보 처리 장치(100W6)의 표시 제어부(130)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이 취소된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3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항목 "Action", "Adventure", 및 "Animation"의 신장이 취소되는 표시 대상(DB3)이 표시 영역(141)에 표시되도록 정보 처리 장치(100W6)의 표시 제어부(130)가 제어를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1-18. 드래그 조작(X축 및 Y축 방향으로)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동작]
도 44는 드래그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표시 대상이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경우)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01).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1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이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302). 판단부(120)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는 아니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2에서 "아니오"), 표시 제어부(130)는 스텝 S301로 복귀한다. 판단부(120)가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오버 드래그이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2에서 "예"), 표시 제어부(130)는 소정의 제2 표시가 서서히 가려지는 페이드 아웃 드로잉(Fadeout-drawing)이 실행되도록 제어를 수행하고(스텝 S303), 스텝 S301로 복귀한다.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조작이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1에서 "예"), 판단부(120)는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04).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이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4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조작이 현재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12). 조작이 현재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이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2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스텝 S302으로 진행한다.
조작이 현재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2에서 "예"), 판단부(120)는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13).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이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3에서 "예"), 판단부(120)는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15).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Y방향으로 오버 드래그가 아니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3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Y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개시점을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Y좌표로 대체하고(스텝 S314), 스텝 S315으로 진행한다.
판단부(120)는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15).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5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Y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드로잉을 업데이트하고(스텝 S318), 스텝 S301로 복귀한다. Y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드로잉의 업데이트는 소정의 제2 표시가 Y방향으로 보여지도록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5에서 "예"), 판단부(120)는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이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316).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도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이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6에서 "예"), 판단부(120)는 XY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드로잉을 업데이트하고(스텝 S311), 스텝 S301로 복귀한다. XY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드로잉의 업데이트는 소정의 제2 표시가 XY방향으로 보여지도록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전 처리 흐름에서 수행된 조작이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가 아니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16에서 "아니오"), 판단부(120)는 X방향으로의 오버 드래그 개시점을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X좌표로 대체하고(스텝 S317), 스텝 S311으로 진행한다. 조작이 현재 X방향으로 오버 드래그 중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스텝 S304에서 "예"), 판단부(120)는 스텝 S312에서 "예"인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X방향으로 처리를 수행한다.
<2. 변형례>
당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그 동등물 내에서의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콤비네이션 및 변경이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일어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실시예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소정의 제1 표시, 소정의 제2 표시 및 소정의 제3 표시를 수행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을지라도, 정보 처리 장치(100)가 소정의 제1 표시, 소정의 제2 표시 및 소정의 제3 표시를 전부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 표시, 소정의 제2 표시 및 소정의 제3 표시 중 적어도 1개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고, 소정의 제1 표시, 소정의 제2 표시 및 소정의 제3 표시 중 어떤 것이든 2개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3. 개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대상을 이동시키는 조작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표시 대상이 이동될 수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대상의 엣지가 표시 영역에 이미 도달한 단계에서 이동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에, 표시 대상이 더 이상 스크롤될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010년 10월 8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2010-228303호에서 개시되고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고로 통합되는 것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한다.

Claims (20)

  1. 화상을 수정하는 방법으로서,
    대상의 부분(portion)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 - 상기 대상은 제1 대상 방향 및 상기 제1 대상 방향과 상이한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음 -;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조작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1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됨 -;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의 제어 하에서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을 수정하는 단계 -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 상기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과 중첩하는 그래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대상과의 접촉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의 수정이 일어남 -;
    상기 조작 부재의 소정의 방향으로의 제2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2 이동의 속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엣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대상을 제1 가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엣지와 상기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 상기 대상을 상기 제1 가속도와 상이한 제2 가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은 검출된 제1 이동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중에 상기 조작 부재의 상기 검출된 이동의 특징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중에, 상기 모니터링된 특징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그래픽의 형상을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의 형상은 상기 검출된 이동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정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의 수정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그래픽의 크기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수정의 정도는 상기 검출된 이동의 상기 거리에 기초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은 원호(arc) 방식으로 수정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은 음영 영역(shaded area)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은 상기 화상의 부분 위에 나타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섬네일(thumbnail) 화상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 상기 엣지에 나타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은 곡선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의 구부러짐의 정도는 상기 검출된 이동의 거리에 기초하여 수정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곡선이 상기 검출된 이동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을 상기 검출된 이동의 방향에 따라 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이동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의 형상을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이동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의 크기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대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 상기 대상은 제1 대상 방향 및 상기 제1 대상 방향과 상이한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음 -,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이동을 검출하고 - 상기 조작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1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됨 -,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의 제어 하에서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을 수정하고 -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 상기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과 중첩하는 그래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대상과의 접촉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의 수정이 일어남 -,
    상기 조작 부재의 소정의 방향으로의 제2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이동의 속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엣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대상을 제1 가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엣지와 상기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 상기 대상을 상기 제1 가속도와 상이한 제2 가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명령어들로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은 검출된 제1 이동인, 장치.
  19.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대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 상기 대상은 제1 대상 방향 및 상기 제1 대상 방향과 상이한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될 수 있음 -,
    상기 대상의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엣지에 대한 조작 부재의 이동을 검출하고 - 상기 조작 부재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1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상기 조작 부재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대상이 상기 제2 대상 방향으로 스크롤됨 -,
    상기 엣지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의 제어 하에서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을 수정하고 -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 내에 표시되는 상기 엣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정된 화상은 상기 대상의 표시된 부분과 중첩하는 그래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대상과의 접촉을 해제하기 전에, 상기 검출된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의 수정이 일어남 -,
    상기 조작 부재의 소정의 방향으로의 제2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2 이동의 속도에 기초하여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엣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대상을 제1 가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엣지와 상기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판단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 상기 대상을 상기 제1 가속도와 상이한 제2 가속도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명령어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검출된 이동은 검출된 제1 이동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은 상기 복수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중첩하는, 방법.
KR1020210085381A 2010-10-08 2021-06-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6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808A KR20220103686A (ko) 2010-10-08 2022-07-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8303A JP5668401B2 (ja) 2010-10-08 2010-10-08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0-228303 2010-10-08
KR1020190082088A KR102273427B1 (ko) 2010-10-08 2019-07-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088A Division KR102273427B1 (ko) 2010-10-08 2019-07-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808A Division KR20220103686A (ko) 2010-10-08 2022-07-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388A KR20210084388A (ko) 2021-07-07
KR102426534B1 true KR102426534B1 (ko) 2022-07-29

Family

ID=44763925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965A KR101895612B1 (ko) 2010-10-08 2011-09-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80102120A KR101949096B1 (ko) 2010-10-08 2018-08-2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90008775A KR101999751B1 (ko) 2010-10-08 2019-01-2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90082088A KR102273427B1 (ko) 2010-10-08 2019-07-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10085381A KR102426534B1 (ko) 2010-10-08 2021-06-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086808A KR20220103686A (ko) 2010-10-08 2022-07-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965A KR101895612B1 (ko) 2010-10-08 2011-09-30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80102120A KR101949096B1 (ko) 2010-10-08 2018-08-29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90008775A KR101999751B1 (ko) 2010-10-08 2019-01-23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90082088A KR102273427B1 (ko) 2010-10-08 2019-07-08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808A KR20220103686A (ko) 2010-10-08 2022-07-14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7) US9619135B2 (ko)
EP (3) EP4318200A3 (ko)
JP (1) JP5668401B2 (ko)
KR (6) KR101895612B1 (ko)
CN (2) CN102566888B (ko)
BR (1) BRPI1105850A2 (ko)
DE (2) DE202011110989U1 (ko)
RU (1) RU2011139898A (ko)
TW (1) TW2012223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0224B2 (ja) 2011-07-11 2016-08-1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内燃機関用のスパークプラグ
US20130117698A1 (en) * 2011-10-31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TW201319921A (zh) * 2011-11-07 2013-05-16 Benq Corp 觸控螢幕畫面控制方法及觸控螢幕畫面顯示方法
JP6251948B2 (ja) * 2012-10-03 2017-12-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142493B2 (ja) * 2012-10-03 2017-06-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5537299A (ja) * 2012-10-31 2015-12-24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KR102174916B1 (ko) 2012-11-30 202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81927B1 (ko) * 2013-01-10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031363B2 (ja) * 2013-01-23 2016-11-24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4035692B (zh) * 2013-03-04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5693667B2 (ja) * 2013-06-27 2015-04-01 グリー株式会社 表示データ作成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JP6241071B2 (ja) * 2013-05-27 2017-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92535A1 (ja) 2013-05-27 2014-12-0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75572A1 (en) * 2013-06-20 2014-12-25 Microsoft Corporation Parametric motion curves and manipulable content
JP2015072665A (ja) * 2013-10-04 2015-04-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14225243A (ja) * 2014-03-27 2014-12-04 グリー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293627B2 (ja) * 2014-09-19 2018-03-14 アンリツ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6361441B2 (ja) 2014-10-10 2018-07-25 富士通株式会社 認証情報管理方法、認証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351317B1 (ko) * 2015-01-07 2022-0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문서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4850340B (zh) * 2015-01-30 2018-11-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控显示屏上的文档显示方法及装置
CN104881233B (zh) * 2015-05-15 2019-03-15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触控界面中的滑动控制方法和装置
JP6489214B2 (ja) * 2015-06-05 2019-03-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6046226B2 (ja) * 2015-10-08 2016-12-1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8032075A (ja) * 2016-08-22 2018-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1520469B2 (en) 2019-05-01 2022-12-06 Google Llc Interface for multiple simultaneous interactive views
EP4287006A3 (en) 2019-05-01 2024-02-21 Google LLC Interface for multiple simultaneous interactive views
US11385785B2 (en) * 2019-05-01 2022-07-12 Google Llc Interface for multiple simultaneous interactive view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2626B2 (ja) * 1990-03-22 1999-03-03 株式会社東芝 電子辞書及び情報検索方法
JPH1165811A (ja) 1997-08-11 1999-03-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マウス・カーソル、及び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7469381B2 (en) *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4404808B2 (ja) * 2004-06-21 2010-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機および表示装置
FR2874714A1 (fr) * 2004-09-02 2006-03-03 France Telecom Dispositif de selection tactile
KR100708135B1 (ko) 2005-05-25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항목의 블록화를 이용한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070064004A1 (en) * 2005-09-21 2007-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ving a graphic element
US7958456B2 (en) * 2005-12-23 2011-06-07 Apple Inc. Scrolling list with floating adjacent index symbols
US20070132789A1 (en) * 2005-12-08 2007-06-14 Bas Ording List scrolling in response to moving contact over list of index symbols
US7786975B2 (en) * 2005-12-23 2010-08-31 Apple Inc. Continuous scrolling list with acceleration
KR20090008976A (ko)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지도 스크롤 방법 및 그 네비게이션단말
EP2034399B1 (en) * 2007-09-04 2019-06-05 LG Electronics Inc. Sc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1432587B1 (ko) * 2007-09-04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메뉴검색 피드백 방법
KR20100020818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610673B2 (en) * 2008-12-0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JP2010157189A (ja) 2009-01-05 2010-07-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80891B2 (ja) 2009-03-27 2013-04-10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制御装置
US20100269038A1 (en) * 2009-04-17 2010-10-2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ariable Rate Scrolling
TWI412963B (zh) * 2009-07-01 2013-10-21 Htc Corp 資料顯示與移動方法及系統,及其電腦程式產品
KR101588242B1 (ko) * 2009-07-13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8624925B2 (en) * 2009-10-16 2014-01-07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 boundary signaling techniques
US9417787B2 (en) * 2010-02-12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ortion effects to indicate location in a movable data coll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79B1 (ko) 2007-09-04 2008-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스크롤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6888A (zh) 2012-07-11
US9904454B2 (en) 2018-02-27
EP2439629B1 (en) 2019-11-06
KR20180100094A (ko) 2018-09-07
US20230008798A1 (en) 2023-01-12
US20200073525A1 (en) 2020-03-05
BRPI1105850A2 (pt) 2013-03-05
KR20120036752A (ko) 2012-04-18
JP5668401B2 (ja) 2015-02-12
RU2011139898A (ru) 2013-04-10
KR20190010889A (ko) 2019-01-31
US20170123620A1 (en) 2017-05-04
US20210247885A1 (en) 2021-08-12
KR20220103686A (ko) 2022-07-22
US11010038B2 (en) 2021-05-18
EP2439629A3 (en) 2016-01-20
EP4318200A3 (en) 2024-04-03
EP2439629A2 (en) 2012-04-11
US20120086722A1 (en) 2012-04-12
CN202563488U (zh) 2012-11-28
EP3627306A1 (en) 2020-03-25
CN102566888B (zh) 2016-05-11
KR101999751B1 (ko) 2019-07-15
JP2012083878A (ja) 2012-04-26
US20180217729A1 (en) 2018-08-02
US9619135B2 (en) 2017-04-11
DE202011110988U1 (de) 2018-01-11
KR101895612B1 (ko) 2018-09-05
EP4318200A2 (en) 2024-02-07
US10514840B2 (en) 2019-12-24
US11487419B2 (en) 2022-11-01
KR20190084239A (ko) 2019-07-16
US9965163B2 (en) 2018-05-08
DE202011110989U1 (de) 2018-01-10
KR102273427B1 (ko) 2021-07-06
KR101949096B1 (ko) 2019-02-15
TW201222398A (en) 2012-06-01
KR20210084388A (ko) 2021-07-07
US20180004382A1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534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618828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799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318146B2 (en) Control area for a touch screen
JP597991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014044A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0568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141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21947A (ko) 랩 어라운드 탐색 기법
JP617690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814147B2 (ja) 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468970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