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759B1 -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759B1
KR102423759B1 KR1020150068739A KR20150068739A KR102423759B1 KR 102423759 B1 KR102423759 B1 KR 102423759B1 KR 1020150068739 A KR1020150068739 A KR 1020150068739A KR 20150068739 A KR20150068739 A KR 20150068739A KR 102423759 B1 KR102423759 B1 KR 102423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object
antenna
signal
smart ke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447A (ko
Inventor
전희준
박찬우
김찬일
라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759B1/ko
Priority to EP16169637.2A priority patent/EP3096296B1/en
Priority to US15/158,133 priority patent/US9836900B2/en
Priority to CN201610329838.4A priority patent/CN106169196B/zh
Publication of KR2016013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6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using a biometric sensor integrated in the p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07C2009/003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starting with prompting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07C2009/004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starting with prompting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579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 G07C2009/00587Power supply for the keyless data carrier by batt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1Signal comprising different frequencies, e.g. frequency ho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결착 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형성되어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 회로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스트랩(strap) 및 상기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결착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Binding device with embedded smart key and objec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와 관련된다.
최근 들어, 대상 객체(예: 차량 등)와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대상 객체를 센싱하고, 인증된 대상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키(smart ke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마트 키의 휴대성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해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결착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결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착 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형성되어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 회로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스트랩(strap) 및 상기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스마트 키의 휴대성 및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착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하는 결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착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착 장치에 내장된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나타낸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의 결착부에 내장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한된 영역에 배치되는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되는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과 관련된 시스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착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의 (a)는 결착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결착 장치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b)에 도시된 결착 장치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착 장치는 스트랩(100) 및 덮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00)은 몸체부 및 결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100)은 몸체부에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스마트 와치(smart watch)의 본체(main body) 등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홀(hall)(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홀(110)은 몸체부의 일정 영역(예: 중앙 영역 등)에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예컨대, 본체 홀(110)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랩(100)은 본체 홀(110)의 테두리에 일정한 형태로 홈(groove)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스트랩(100)은 몸체부에 본체 홀(110)과 연결되고 본체 홀(110)로부터 일정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 1 밴드(band)(130) 및 제 1 밴드(130)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밴드(150)는 본체 홀(110)의 테두리 중 제 1 밴드(130)와 본체 홀(110)이 연결된 면의 반대 면과 연결되어 제 1 밴드(130)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랩(100)은 제 2 밴드(150)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밴드(130)는 양쪽 가장 자리가 본체 홀(1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밴드(130) 및 제 2 밴드(15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밴드 형태의 지지물일 수 있다. 제 1 밴드(130) 또는 제 2 밴드(150)는 고무, 플라스틱, 가죽, 또는 금속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랩(100)은 본체 홀(110)을 기준으로 제 1 밴드(130) 및 제 2 밴드(150)가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밴드(130) 및 제 2 밴드(150)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기능을 하는 연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 1 밴드(130)는 내측에 스마트 키(smart key) 관련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제 1 영역(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43)은 예컨대, 회로 기판(예: 제 1 회로 기판(circuit board)(137), 제 2 회로 기판(139) 등), 제어 칩(chip)(133), 및 제 1 안테나(135) 등이 배치될 수 있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143)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 2 영역(141)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영역(141)의 하부면이 제 1 영역(143)과 연결되어 배터리(131)가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밴드(130)는 내측에 배터리(131)가 안착될 수 있는 제 2 영역(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141)은 예컨대, 배터리(131)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제 2 영역(141)은 제 1 밴드(13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깊이로 함몰되어 배터리(131)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밴드(130)는 덮개(145)와의 체결을 위해 제 2 영역(141)에 대응하는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bump)(14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밴드(150)의 내측에 상기 제어 회로 중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제 3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회로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 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영역(143)에 배치된 상기 제어 회로의 구성요소들은 제 3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어 회로의 구성요소들과 스트랩(100) 내측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트랩(100)은 제 1 밴드(130) 또는 제 2 밴드(150)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 홀(11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 쪽 가장 자리의 일정 영역에 결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랩(100)은 제 1 밴드(130)가 본체 홀(11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 쪽 가장 자리의 일정 영역에 제 1 결착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밴드(150)가 본체 홀(11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 쪽 가장 자리의 일정 영역에 제 2 결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제 1 밴드(130)와 제 2 밴드(150)가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쌍(pair)을 이루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결착부(170)는 걸쇠이고, 제 2 결착부(190)는 홀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자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일정 크기의 면적으로 구성된 버클(buckle)일 수 있다. 또한, 제 1 결착부(170) 및 제 2 결착부(190)는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덮개(145)는 제 2 영역(141)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덮개(145)는 제 2 영역(141)에 안착된 배터리(13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 2 영역(141)을 덮을 수 있다. 덮개(145)는 제 2 영역(141)이 형성된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145)는 스트랩(100)의 제 2 영역(141)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149)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덮개(145)는 스트랩(100)의 제 2 영역(141)으로 적어도 일부가 맞물려 들어갈 수 있으며, 지정된 크기의 압력이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면 스트랩(100)에 형성된 돌기(147)와 덮개(145)에 형성된 홈(149)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덮개(145)는 특정 재질(예: 고무 등)의 이탈 방지 장치(예: 고무 링)가 홈(149)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덮개(145)는 스트랩(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체결될 수도 있지만, 스트랩(100)의 어느 한 면과 평평하게 또는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덮개(145)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거나 또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버튼(button)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결착 장치에 내장된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 회로는 회로 기판(210)에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230),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250), 제어 칩(270), 및 배터리(29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210)은 적어도 하나의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rinted circuit board, RPCB)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230) 및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250)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안테나가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구분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23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구성된 경우,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250)은 z축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안테나는 대상 객체(예: 차량 등)로의 센싱 신호 송신 및 상기 대상 객체로부터의 인증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안테나는 LF(low frequency) 안테나일 수 있다.
제어 칩(270)은 상기 대상 객체의 센싱, 인증, 및 제어를 위한 데이터의 통신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칩(270)은 상기 대상 객체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위한 제 2 안테나 및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예컨대, 상기 대상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객체로부터 인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대상 객체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인증된 상기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대상 객체로의 제어 신호 송신 및 상기 대상 객체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안테나는 RF(radio frequency) 안테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칩(270)은 상기 대상 객체로의 신호 송신을 위한 송신기 및 상기 대상 객체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위한 수신기가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제어 칩(270)은 상기 제 1 안테나 즉,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230) 및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250)이 포함되어 하나의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섭에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2 안테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본체 홀(예: 도 1의 본체 홀(11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안테나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대체할 수 있다.
배터리(290)는 회로 기판(210)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의 전원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스마트 키 회로의 구성요소들이 회로 기판(210)의 한쪽 면에만 배치된 구조를 나타내지만, 어떤 실시 예에서는 회로 기판(210)의 양쪽 면에 상기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90)가 상기 제 1 안테나의 좌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안테나와 제어 칩(27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키 회로는 필터(filter) 또는 스위치(switch) 등과 같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210)에 상술한 구성요소들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 회로는 상기 본체 홀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스마트 와치의 본체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 회로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반 통신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 회로는 각종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 회로는 생체 센서, 제스쳐 센서, 음성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또는 터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300)는 프로세서(310), 통신 인터페이스(330), 제 1 안테나(350), 제 2 안테나(370), 및 배터리(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대상 객체의 센싱, 인증, 및 제어를 위해 스마트 키(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10)는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기반으로 제 1 안테나(350)를 이용하여 센싱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센싱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제 1 안테나(350)로 감지한 인증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기반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인증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를 인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인증된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기반으로 제 2 안테나(370)를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대상 객체의 잠금 장치 개폐(예: 차량 문 개폐 또는 출입문 개폐 등), 또는 대상 객체의 특정 기능 개시 및 종료(예: 차량 시동 턴-온(turn-on)/턴-오프(turn-off) 또는 전등 턴-온/턴-오프 등) 등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는 통신 인터페이스(330)를 기반으로 제 1 안테나(350), 제 2 안테나(370), 또는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제 3 안테나(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와치의 본체 등)로 대상 객체에 대한 인증 정보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키(3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스마트 키(300)와 대상 객체 또는 스마트 키(3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대상 객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제 1 안테나(350)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와 LF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제 2 안테나(370)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와 RF 통신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330)는 제 1 안테나(350), 제 2 안테나(370), 또는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제 3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BLE 통신할 수도 있다.
제 1 안테나(350)는 대상 객체로의 센싱 신호 송신 및 대상 객체로부터의 인증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제 2 안테나(370)는 대상 객체로의 제어 신호 송신 및 대상 객체로부터의 피드백 신호 수신을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안테나(350) 및 제 2 안테나(37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300)는 제 1 안테나(350) 및 제 2 안테나(370) 이외에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예: 제 3 안테나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90)는 스마트 키(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90)는 예컨대, 코인 셀(coin cell) 배터리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배터리(390)는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원 인가 시 배터리(390)는 충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300)는 외부 전자 장치(예: 스마트 와치의 본체 등)에 연결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키(300)는 배터리(390)의 잔량이 부족할 시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연결된 배터리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내부 배터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원을 획득하여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90)의 잔량이 부족하더라도 스마트 키(300)는 스마트 와치의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획득하여 차량의 시동을 턴-온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착 장치의 스트랩(400)은 특정 밴드(예: 도 1의 제 1 밴드(130) 또는 제 2 밴드(150) 중 적어도 하나)에 스마트 키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밴드는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밴드는 재질의 종류 또는 두께 등에 따라서 구부러짐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밴드는 본체 홀(예: 도 1의 본체 홀(110))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서 재질의 종류 또는 두께 등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특정 밴드는 상기 본체 홀과 가까울수록 강성 재질의 함유량이 많아지거나 또는 재질의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 홀과 가까운 위치에는 스마트 키의 구성요소들이 경성 인쇄 회로 기판에 구성되고, 상기 본체 홀과 먼 위치에는 스마트 키의 구성 요소들이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밴드는 회로 기판(410)이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 스마트 키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키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예: 배터리(430), 제어 칩(450), 및 제 1 안테나(470) 등)은 복수 개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예: 제 1 연성 인쇄 회로 기판(411) 및 제 2 연성 인쇄 회로 기판(413) 등)이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다른 경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430)는 제 1 경성 인쇄 회로 기판(415)에, 제어 칩(450)은 제 2 경성 인쇄 회로 기판(417)에, 그리고 제 1 안테나(470)는 제 3 경성 인쇄 회로 기판(419)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트랩(4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430)는 스트랩(400)으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트랩(400)은 상기 특정 밴드에 배터리(4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일정한 크기의 배터리 영역(예: 도 1의 제 2 영역(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영역은 배터리(430)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특정 밴드의 양쪽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터리(43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400)은 배터리(430)가 원치 않게 외부에 방출(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배터리 영역을 덮을 수 있는 배터리 커버(cover)(490)(예: 도 1의 덮개(145))와 체결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490)는 스트랩(4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490)는 스트랩(400)과의 분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안쪽 테두리에 일정한 형태로 홈(groove)이 존재할 수 있으며, 특정 재질(예: 고무 등)의 이탈 방지 장치(예: 고무 링)가 상기 홈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490)가 스트랩(400)의 외부로 돌출되게 체결된 형태를 나타냈지만, 배터리 커버(490)는 스트랩(400)의 어느 한 면과 평평하게 또는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490)는 스프링(spring)을 포함하거나 또는 스프링과 연결되어 버튼(button)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의 결착부에 내장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결착 장치의 스트랩(예: 도 1의 스트랩(100))은 특정 밴드(예: 도 1의 제 1 밴드(130) 또는 제 2 밴드(150) 중 적어도 하나)에 본체 홀(예: 도 1의 본체 홀(11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 쪽 가장 자리의 일정 영역에 결착부(예: 도 1의 제 1 결착부(170) 또는 제 2 결착부(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착부는 상기 특정 밴드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며, 일정 크기의 면적으로 구성된 버클일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는 상부 덮개(510)가 하부 지지층(521) 및 연장층(523)과 접철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지지층(521)은 연장층(523)과 제 1 이음쇠(55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이음쇠(551)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연장층(523)은 상부 덮개(510)와 제 2 이음쇠(555)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이음쇠(555)를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덮개(510), 연장층(523), 및 하부 지지층(521)은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접철 시에 제 1 걸쇠(531) 및 제 2 걸쇠(533)는 서로 맞물리게 걸릴 수 있으며, 지정된 크기 이상의 힘이 지정된 방향으로 가해지지 않는 한, 맞물려 걸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 덮개(510) 및 하부 지지층(521)은 제 3 이음쇠(553) 및 제 4 이음쇠(557)를 통해 상기 특정 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에 스마트 키가 내장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스마트 키가 상부 덮개(510)에 내장된 형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상부 덮개(510)에 배터리(571), 제어 칩(573), 및 제 1 안테나(575)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부 덮개(510)는 배터리(571)가 분리될 수 있도록 배터리 영역(예: 도 1의 제 2 영역(141))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영역을 덮을 수 있는 배터리 커버(590)와 체결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590)가 상부 덮개(510)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으며, 어떤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 커버(590)가 상부 덮개(510)의 외부 면과 평평하게 또는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덮개(510)는 상층부(511)와 하층부(513)가 제 5 이음쇠(559)를 통해 연결되고, 제 5 이음쇠(559)를 기준으로 지정된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여 일정 영역이 분리되거나 또는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덮개(510)에 내장된 스마트 키의 구성요소들(예: 배터리(571), 제어 칩(573), 및 제 1 안테나(575) 등) 중 적어도 하나는 분리되어 교체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는 상술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착부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으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착 장치의 스트랩(예: 도 1의 스트랩(100))은 내측에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스마트 키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트랩은 일정 영역(예: 중앙 영역 등)에 본체 홀(610)이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 홀(610)과 연결되고 본체 홀(610)로부터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만큼 연장된 특정 밴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밴드(630)에 제어 칩(651), 배터리(미도시), 및 제 1 안테나(653) 등이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650)에 배치되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키 회로는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650)에 상기 스마트 키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되는 형태가 각 구성요소들이 경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 순서, 위치, 또는 이격 거리 등이 다양해질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밴드(630)에 본체 홀(610)을 기준으로 제어 칩(651), 배터리, 및 제 1 안테나(653)가 순차적으로 일정 이격 거리를 두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63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특정 밴드(630)에 본체 홀(610)을 기준으로 배터리, 제어 칩(651), 및 제 1 안테나(653)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제 1 안테나(653)는 간섭의 민감도 등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들보다 상대적으로 본체 홀(610)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특정 밴드(6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밴드(630)는 상기 배터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배터리 영역(예: 도 1의 제 2 영역(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터리 커버(670)가 특정 밴드(630)와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커버(670)는 특정 밴드(630)의 양쪽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터리 커버(670)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져 말려들어가는 방향의 반대쪽 면(예: 특정 밴드(630)의 양쪽 면 중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배터리 커버(670)가 체결될 수도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져 말려들어가는 방향의 면(예: 특정 밴드(630)의 양쪽 면 중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면)에 배터리 커버(670)가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결착부(690)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는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형태 이외에도 본체 홀(610)에 연결되는 외부 전자 장치 예컨대, 스마트 와치의 본체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키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스마트 와치의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키가 결착 장치에 내장되는 형태는 스마트 키 만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되는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가 외부 전자 장치의 내부에 종속되어 구성되는 형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이에 따른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한된 영역에 배치되는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 회로는 스트랩(예: 도 1의 스트랩(100))의 제한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키 회로는 상기 스트랩의 버클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키 회로는 각 구성요소들(예: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720),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730), 송신기(740), 수신기(750), 및 배터리(760) 등)이 회로 기판(710)의 양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720),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730) 및 배터리(760)가 회로 기판(7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송신기(740) 및 수신기(750)가 회로 기판(7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마트 키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로 간의 간섭 정보 및 각 구성요소의 간섭에 대한 민감도 등을 기반으로 배치되는 순서, 위치, 또는 이격 거리 등이 다를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배치되는 스마트 키 회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 회로는 회로 기판의 종류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이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키 회로는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각 구성요소들이 전부 배치되거나, 또는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경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 각 경성 인쇄 회로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스마트 키 회로가 적어도 하나의 경성 인쇄 회로 기판과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제 1 안테나(예: 제 1 안테나의 제 1 부분(820) 및 제 1 안테나의 제 2 부분(830))는 제 1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1)에, 송신기(840)는 제 2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2)에, 수신기(850)는 제 3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3)에, 그리고 배터리(860)는 제 4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815)는 제 1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1) 및 제 2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2)를 연결하고, 제 2 연결부(816)는 제 2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2) 및 제 3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3)을 연결하고, 제 3 연결부(817)는 제 3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3) 및 제 4 경성 인쇄 회로 기판(814)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연결부(815), 제 2 연결부(816), 또는 제 3 연결부(817) 중 적어도 하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키 회로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경성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경성 인쇄 회로 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착 장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에 형성되어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제 1 영역(예: 도 1의 제 1 영역(143)),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 회로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안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예: 도 1의 제 2 영역(141))을 포함하는 스트랩(예: 도 1의 스트랩(100)), 및 상기 제 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예: 도 1의 덮개(14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bump)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 2 영역에 체결되도록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bump)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스트랩의 결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결착부는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갖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접철되어 상기 상부 덮개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상기 상부 덮개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덮개는 지정된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며 일정 영역이 분리되거나 또는 체결되도록 상층부 및 하층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정 영역이 분리되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어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경성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구성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포함하고, 대상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 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결착 장치의 스트랩(예: 도 1의 스트랩(100))에 스마트 키(910)가 내장되고, 스트랩에 형성된 본체 홀(예: 도 1의 본체 홀(110))에 외부 전자 장치(950) 예컨대, 스마트 와치의 본체가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키(91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센싱 신호를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LF 안테나를 이용하여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대상 객체(930)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인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LF 안테나를 통해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LF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인증 신호를 분석하여 대상 객체(930)를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상기 인증 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정보가 스마트 키(910)에 저장된 대상 객체(930)에 대한 인증 정보와 동일한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키(910)는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객체(930)가 인증된 객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키(910)는 추가적으로 상기 인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키(910)는 외부 전자 장치(950)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인증된 대상 객체(9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RF 안테나를 이용하여 대상 객체(930)로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대상 객체의 잠금 장치 개폐 또는 대상 객체의 특정 기능 개시 및 종료 등의 제어 신호를 대상 객체(9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91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대상 객체(93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피드백 신호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전송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수행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 신호가 차량의 시동을 턴-온시키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신호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전송 완료 정보, 차량의 시동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시동 턴-온과 함께 수집되는 엔진 온도, 배터리량, 또는 연료량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키(910)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9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각종 센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생체 센서, 제스쳐 센서, 음성 센서, GPS 센서, 또는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930)의 제어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을 인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예컨대, 지문 정보 또는 홍채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910)는 상기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수집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과 관련하여, 스마트 키(910)는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사용자들의 생체 정보(예: 지문 정보 등)를 스마트 키(910)에 포함된 메모리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키(910)는 상기 사용자들로부터 인증에 사용될 생체 정보를 등록 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키(910)는 사용자 인증에 사용되는 사용자들의 생체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950)로부터 수집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키(910)는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 인증 정보 등을 외부 전자 장치(9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 스마트 키(910) 또는 외부 전자 장치(930)는 대상 객체(930)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스마트 키(910)는 상기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혈압, 혈류량, 체온, 또는 심박수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전자 장치(9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930)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수집된 제스쳐 입력 정보, 음성 정보, 위치 정보, 또는 터치 정보 등을 분석하고, 해당 정보들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키(910)에 포함된 음성 센서에 대상 객체(930)의 특정 기능 개시(예: 차량의 시동 턴-온) 기능으로 지정된 음성 정보(예: "시동 걸어")를 입력하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음성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키(910)를 소지(또는 착용)한 상태로 대상 객체(930)에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 키(910)에 포함된 GPS 센서를 기반으로 스마트 키(910)와 대상 객체(930)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시 수행하도록 지정된 제어 기능 예컨대, 잠금 장치 개방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9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 또는 음성 등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경우, 해당 정보에 따라 지정된 제어 기능 예컨대, 차량의 문 열림, 차량의 라이트(light) 턴-온, 차량의 트렁크 열림, 또는 차량의 자동 시동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 객체(930)는 스마트 키(9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대상 객체(93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스마트 키(910)로 전송할 수 있다. 대상 객체(930)는 대상 객체(930)의 주요 기능 및 주변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객체(930)가 차량인 경우, 대상 객체(930)는 차량의 이동 기능을 위한 조향 장치, 가감속 장치, 및 각종 기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스트랩에 연결되는 본체로서 스마트 키(91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스마트 키(91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스마트 키(91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대상 객체(9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된 제어 기능 목록에 포함된 특정 제어 기능 항목 선택에 대응하여 외부 전자 장치(950)는 스마트 키(910)로 해당 정보를 전달하거나 직접 대상 객체(930)로 제어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어 기능 목록은 대상 객체(930)가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객체(930)가 차량인 경우, 상기 제어 기능 목록은 온도 조절 장치 제어 기능, 교통 상황 정보 수집 기능, 또는 차량 상태 정보 제공 기능 등을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외부 전자 장치(95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930)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제스쳐 센서 또는 터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들을 통해 특정 사용자 입력(예: 제스쳐 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이 수신되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기능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 키(91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들을 기반으로 대상 객체(930)를 제어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외부 전자 장치(95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대상 객체(930)의 제어 기능을 달리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사용자 입력의 종류, 횟수, 또는 시간 등에 따라서 대상 객체(930)를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950)는 특정 제스쳐 입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입력되면, 입력된 시간 순서대로 단계적으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단계에는 대상 객체(930)의 잠금 장치 개방 기능을 수행하고, 순서대로 제 2 단계,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에는 각각 대상 객체(930)의 특정 기능을 개시(예: 시동 턴-온 또는 전등 턴-온 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객체(930)가 차량인 경우, 제 1 단계에서는 차량의 운전석 쪽 문이 열리고, 제 2 단계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고, 제 3 단계에서는 차량의 전면 라이트(light)가 턴-온되고, 제 4 단계에서는 차량의 실내등이 모두 턴-온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이내로 특정 제스쳐 입력 또는 특정 터치 입력이 지정된 횟수(예: 두 번) 발생되면, 차량의 모든 문이 열리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950)는 특정 터치 입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 계속 입력되면, 일정 시간 이후부터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스마트 키(910)로부터 상기 피드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9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전송 결과 정보 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수행 결과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상기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을 분석하고, 해당 정보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50)는 대상 객체(930)의 특정 기능 개시(예: 차량의 시동 턴-온 등)에 대한 수행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진동(vibration) 울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950)는 특정 기능 개시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예: 차량의 엔진 온도, 연료량, 또는 속도 등)를 대상 객체(930)와 연결된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의 스마트폰 등)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대상 객체(930)의 제어 권한을 가진 또 다른 스마트 키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910)는 대상 객체(930)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의 인증 정보를 가지는 또 다른 스마트 키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910)는 상기 다른 스마트 키를 통해 대상 객체(930)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운영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예: 도 3의 스마트 키(300))는 동작 1010에서, 센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키는 제 1 안테나(예: 도 3의 제 1 안테나(350))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센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상기 스마트 키는 대상 객체로부터의 인증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인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는 동작 1050에서, 상기 인증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인증 신호에 포함된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정보와 상기 스마트 키에 저장된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술한 두 인증 정보가 동일하거나 또는 일정 비율이상 유사한 경우,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인증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거나 또는 동작 1050에서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인증에 실패한 경우, 동작 1010을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동작 1070에서,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대상 객체로 상기 대상 객체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키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과 관련된 시스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1110)는 동작 1111에서, 대상 객체(1130)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대상 객체(1130)가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1131에서, 대상 객체(1130)는 대상 객체(113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스마트 키(1110)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키(1110)가 상기 인증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1113에서, 스마트 키(1110)는 대상 객체(113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키(1110)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가 대상 객체(1130)의 사용자 또는 소유자와 동일한 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대상 객체(1130)의 제어 기능 사용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 객체(1130)에 대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 동작 1111로 리턴할 수 있다. 대상 객체(1130)에 대한 인증에 성공한 경우, 동작 1115에서, 스마트 키(1110)는 대상 객체(1130)에 대한 제어 신호를 대상 객체(1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1117에서, 스마트 키(1110)는 외부 전자 장치(1150)로 상기 인증 신호 또는 상기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달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1150)는 상기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인증 신호에 포함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객체(113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동작 1151에서, 외부 전자 장치(1150)는 대상 객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객체 제어 프로그램은 대상 객체(1130)의 종류에 따라 대상 객체(1130)에 포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1150)는 대상 객체(1130)에 포함된 각종 기능들을 항목으로 포함하는 제어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1150)는 상기 제어 기능 목록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동작 1153에서, 외부 전자 장치(115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전자 장치(115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 기능 목록에 포함된 특정 제어 기능 항목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150)는 동작 1155에서, 상기 특정 제어 기능 항목 선택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를 스마트 키(1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키(1110)는 해당 정보를 제어 신호에 포함시켜 대상 객체(1130)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1150)는 동작 1157에서와 같이, 직접 대상 객체(1130)로 상기 특정 제어 기능 항목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착 장치의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결착 장치의 스트랩(strap) 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대상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객체를 인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객체를 인증하는 동작은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결착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집한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동작, 및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특정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객체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결착 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밴드들과 연결된 몸체부로 구성된 스트랩(strap), 상기 한 쌍의 밴드들 중 어느 하나의 밴드는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어 회로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밴드의 일측면으로부터 지정된 길이의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고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및
    상기 제 2 영역이 형성된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영역으로 적어도 일부가 맞물려 들어가 상기 제2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는 결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에는,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어 접촉되는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테두리의 일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bump)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스트랩의 상기 제 2 영역에 체결되도록 상기 일정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bump) 또는 적어도 하나의 홈(groove)이 형성되는 결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스트랩의 결착부에 형성되는 결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는,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갖는 상부 덮개; 및
    상기 상부 덮개와 접철되어 상기 상부 덮개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상기 상부 덮개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는,
    지정된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며 일정 영역이 분리되거나 또는 체결되도록 상층부 및 하층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정 영역이 분리되면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어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결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경성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적어도 하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구성되고,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결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포함하고,
    대상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결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결착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제어 회로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 또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결착 장치.
  10. 한 쌍의 밴드들과 연결된 몸체부를 포함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결착 장치의 대상 객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착 장치의 스트랩(strap) 내측에 배치되는 스마트 키 관련 제어 회로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대상 객체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
    상기 센싱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신호를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인증 신호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객체를 인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안테나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를 인증하는 동작은,
    상기 인증 정보를 상기 결착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집한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와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대상 객체의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동작; 및
    상기 생체 정보 또는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된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대상 객체 제어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특정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신호에 포함된 특정 제어 기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대상 객체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대상 객체 제어 방법.
KR1020150068739A 2015-05-18 2015-05-18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KR102423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39A KR102423759B1 (ko) 2015-05-18 2015-05-18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EP16169637.2A EP3096296B1 (en) 2015-05-18 2016-05-13 Binding device with embedded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using the same
US15/158,133 US9836900B2 (en) 2015-05-18 2016-05-18 Binding device with embedded smart key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using the same
CN201610329838.4A CN106169196B (zh) 2015-05-18 2016-05-18 具有嵌入的智能钥匙的绑定器件及利用其控制对象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739A KR102423759B1 (ko) 2015-05-18 2015-05-18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447A KR20160135447A (ko) 2016-11-28
KR102423759B1 true KR102423759B1 (ko) 2022-07-22

Family

ID=5661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739A KR102423759B1 (ko) 2015-05-18 2015-05-18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6900B2 (ko)
EP (1) EP3096296B1 (ko)
KR (1) KR102423759B1 (ko)
CN (1) CN106169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8704B2 (en) * 2016-08-12 2021-01-26 Bishop Tattoo Supply, Inc. Tattoo machine having an arm-mounted power supply
JP6801370B2 (ja) * 2016-10-28 2020-12-16 富士通株式会社 センサ装置
KR102241579B1 (ko) * 2017-01-03 202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단말기
US11879268B2 (en) * 2017-12-12 2024-01-23 Level Home, Inc. Door lock bezel with touch and wireless capabilities
KR102568181B1 (ko) * 2018-01-15 2023-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68136B1 (ko) * 2018-04-23 2022-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09952B1 (ko) * 2018-12-18 2019-08-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키
CN110086864B (zh) * 2019-04-23 2021-10-08 厦门中锐电力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锁具双密钥进行离线管控的方法
GB2584917B (en) 2019-07-29 2021-07-28 Armour Surveillance Security Equipment And Tech Ltd Wearab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9298A2 (en) * 2002-03-12 2003-09-25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assive vehicle actuation card incorporated into personal use item
US20150085623A1 (en) * 2014-06-25 2015-03-26 Dilshan Thilina Modaragamage Electronic watch clasp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512A (en) * 1976-12-27 1980-11-11 Citizen Watch Co., Ltd. Solid state watch module construction
WO2001020463A1 (en) * 1999-09-17 2001-03-22 Fingloq Ab Security arrangement
US20030174065A1 (en) * 2002-03-12 2003-09-1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assive vehicle actuation card incorporated into personal use item
US20030174049A1 (en) * 2002-03-18 2003-09-18 Precision Dynamics Corporation Wearable identification appliance that communicat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such as bluetooth
DE102004006939B3 (de) 2004-02-12 2005-07-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er für einen elektrischen Druckschalter, insbesondere bei Fahrzeugen
US9007195B2 (en) * 2004-06-25 2015-04-14 Lear Corporation Remote FOB integrated in a personal convenience device
DE102004059179B4 (de) * 2004-12-08 2006-12-28 Siemens Ag Verfahren zur Lokalisierung einer Sende- und Empfangseinrichtung
EP1688888A1 (fr) * 2005-02-04 2006-08-09 Sokymat Automotive GmbH Procédé de communication et de contrôle de données d'authentification entre un dispositif portable à transpondeur et une unité de lecture d'un véhicule
CN101001506B (zh) * 2006-01-10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电池盖结构
JP2010077603A (ja) 2008-09-24 2010-04-08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腕時計型無線携帯キー
GB2487447A (en) * 2011-01-10 2012-07-25 Lear Corp Combined personal convenience and remote fob device
KR101491220B1 (ko) * 2012-12-18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모듈의 자동 실행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03883166A (zh) * 2012-12-19 2014-06-25 孙亚楠 一种多功能钥匙
CN103886657A (zh) * 2012-12-20 2014-06-25 李尔公司 启用车辆和设备之间通信的遥控功能智能钥匙及其方法
TWM456517U (zh) 2012-12-24 2013-07-01 Hon Hai Prec Ind Co Ltd 具有無線充電功能的電子手錶
KR20140111495A (ko) * 2013-03-11 2014-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45288A (ko) * 2013-06-13 2014-12-23 홍진기 손목시계형 스마트키
CA2913483A1 (en) * 2013-06-21 2014-12-24 Mc10, Inc. Band with conformable electronics
KR102127927B1 (ko) 2013-07-30 202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스마트 워치 및 이동 단말기와 스마트 워치간 보안 인증방법
KR20150029453A (ko) * 2013-09-10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09596B1 (ko) 2014-05-08 2015-04-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원격 시동 및 관리용 이동 단말 시스템
CN106696894B (zh) * 2014-07-28 2018-12-21 保汇通(厦门)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手机的汽车无钥匙进入系统
CN104068572A (zh) * 2014-07-29 2014-10-01 王伟 一种手表表扣
CN104503215A (zh) * 2014-11-05 2015-04-08 王伟 一种手表表扣与其配备的表壳和共同装配的手表
US10162347B2 (en) * 2015-04-20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9298A2 (en) * 2002-03-12 2003-09-25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Passive vehicle actuation card incorporated into personal use item
US20150085623A1 (en) * 2014-06-25 2015-03-26 Dilshan Thilina Modaragamage Electronic watch clasp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9196A (zh) 2016-11-30
CN106169196B (zh) 2021-03-16
US9836900B2 (en) 2017-12-05
EP3096296B1 (en) 2020-09-09
KR20160135447A (ko) 2016-11-28
EP3096296A3 (en) 2017-02-22
EP3096296A2 (en) 2016-11-23
US20160343186A1 (en)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759B1 (ko) 스마트 키가 내장된 결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 객체 제어 방법
US20180329527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harging pen
CN106067891B (zh) 用于提供车辆服务的方法和装置
US201502886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 based authentication in wearable devices
KR1023189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415389B (zh) 姿势进入控制系统和预测移动设备相对于用户所在部位的方法
EP341484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storage medium
US20210035398A1 (en) A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11430277B2 (en) Seamless access control system using wearables
US11557162B2 (en) Prestaging, gesture-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11687164B2 (en) Modeling of preprogrammed scenario data of a gesture-based, access control system
US20210117008A1 (en) Knocking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KR102337177B1 (ko) 기능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70004298A1 (en) Binding device including sensor module, security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nding device
US11195354B2 (en)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a mobile device disposed in a containment carried by a user
US20210166511A1 (en) Gesture access control system utilizing a device gesture performed by a user of a mobile device
KR102383456B1 (ko) 폴더형 전자 장치
KR102324385B1 (ko) 액세서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683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40218B1 (ko) 이중 탈착형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