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099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099B1
KR102422099B1 KR1020180052590A KR20180052590A KR102422099B1 KR 102422099 B1 KR102422099 B1 KR 102422099B1 KR 1020180052590 A KR1020180052590 A KR 1020180052590A KR 20180052590 A KR20180052590 A KR 20180052590A KR 102422099 B1 KR102422099 B1 KR 10242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basket
refrigerator
fram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28421A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099B1/en
Publication of KR2019012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4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바스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리브;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이 형성되는 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이 형성된다.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defining a storage room;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basket mounted to the refrigerator door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wherein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an elevating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basket, wherein the basket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a container uni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 a fram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spacer extending from the frame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 separation preventing rib protruding from the spacer;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pacer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nd a restrain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and moving along the elevating guide, wherein a slot for accommodating the spac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a surface on which the slot is formed is a rib for receiv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allows food to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It is designed to store food in an optimal state.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Such refrigerator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diverse user preferences, and refrigerators equipped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ce devices for user convenience and freshness of stored food are being released.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측과 도어의 배면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되어 다양한 식품들을 냉동 및 냉장저장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고내 또는 도어에 제공되는 선반과 바스켓 등은 저장되는 식품 크기에 따라 분리되어 원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저장되는 식품에 따른 고내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helves, drawers, baskets, etc. are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rear of the door to freeze and refrigerate various foods. On the other hand, shelves and baskets provided in the cabinet or the door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od to be stored and to be mounted at a desired locat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of the space in the cabinet according to the food to be stored.

그러나, 상기 선반과 바스켓 등에 식품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과 바스켓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는 식품을 모두 들어낸 후 선반과 바스켓을 분리하고, 원하는 위치에 다시 장착한 후 식품을 다시 선반과 바스켓에 저장하여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However,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elf and basket while food is stored in the shelf and basket, the shelf and basket are removed after all the food is removed, and the food is stored on the shelf and basket again after remounting it at a desired location. going through a complex process.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상기 선반과 바스켓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과 바스켓의 상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refrigerator with improved ease of use has been developed that is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shelf and the basket can be adjusted while the shelf and the basket are mount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38098호에는,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가 개시된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138098 discloses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height-adjustable storage member.

상기 냉장고의 도어 테두리에는 안내홈과 고정홈이 형성된 수납부재 장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재의 양측면에는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와 수납부재의 회동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수납부재의 상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다. A receiving member mounting portion having guide grooves and fixing grooves is formed on the door edge of the refrigerator, and guide projections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s and fixing projection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by rotation of the storage member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d fix the storage member.

그런데, 상기의 종래 기술과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의도치 않게 수납부재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납부재가 낙하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prior art,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ceiving member carelessly or unintentionally by the user, the fix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an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receiving member may be dropped.

즉, 수납부재의 고정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수납부재의 낙하로 인한 식품의 손상 및 사용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That is, since the fixed position of the storage member cannot be stably maintained, the user may feel insecur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food damage and user injury may occur due to the falling of the storage member.

본 발명의 과제는, 프레임과 용기부로 구성되는 바스켓에서 용기부를 사용자 측으로 당기더라도 용기부가 프레임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container par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even when the container part is pulled toward the user in a basket including a frame and the container part.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바스켓을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바스켓이 냉장고 도어와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fixing of the basket to the refrigerator door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basket toward the user.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바스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리브;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이 형성되는 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이 형성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cabinet defining a storage room;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basket mounted to the refrigerator door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wherein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an elevating guid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basket, wherein the basket has an open upper portion and a container uni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 a fram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spacer extending from the frame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 separation preventing rib protruding from the spacer;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pacer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nd a restraining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and moving along the elevating guide, wherein a slot for accommodating the spac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a surface on which the slot is formed is a rib for receiv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상기 프레임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수용되고, 상기 용기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The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gion formed by the frame, the oth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may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상기 슬롯은 상기 용기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 방지 리브는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브 수용홈은 상기 슬롯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lot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part,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spacer, and the rib receiving groove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slot.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되며 높이가 상기 제 1 부분 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에 상기 이탈 방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pacer may include a firs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ame,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and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portion,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have.

상기 지지부는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A height of the support part may be high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part.

상기 용기부는, 상기 슬롯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일부가 수용되는 스페이서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receiving groove disposed above the slot and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spacer.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일부가 상기 스페이서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다른 일부 및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슬롯에 위치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spacer is received in the spacer receiving groove, another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spacer and the first part may be positioned in the slot.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부재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부재에서 연장될 수 있다. The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members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members extending in a left-right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a front-rear direction, wherein the spacer includes the first member can be extended from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복수의 톱니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구속부재가 통과하는 상기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서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복수의 톱니부 중 일 톱니부에 구속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elevating guide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and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lot through which the restraining member passes, and the restrain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in the refrigerator door. It can be constrained to one of the teeth in the middle.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strain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fixed to the support part; a first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상기 톱니부는, 평면인 상면과, 상기 상면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oothed portion may include a flat upper surface, and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ip of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inwardly.

상기 제 2 연장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톱니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톱니부의 상면에 안착된다. The second extension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sion, a fix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oothed parts, and the fixing part is at a lower side of the fixing part in the fixing groove.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ed part to be position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을 냉장고 도어와 가까워지도록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바스켓이 냉장고 도어에서 높이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부주의하거나 의도치 않게 바스켓을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서 바스켓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the height of the basket becomes adjustable at the refrigerator door by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basket closer to the refrigerator door, so that the height of the basket is prevented from being changed by inadvertently or unintentionally pulling the basket toward the user. can be

또한, 상기 용기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의 이탈 방지 리브가 리브 수용홈에 수용되어 회전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용기부가 프레임에서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tainer part is not only coupled to the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of the frame is accommodated in the rib receiving groove and acts as a rotational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part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11을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바스켓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바스켓의 하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3은 바스켓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refrigerator door in FIG. 1 ;
3 is a front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6 ;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8 ;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7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asket is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ket;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ket is lowered;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냉장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door is opened in FIG. 1 ,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인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refrigera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ilt-in type may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10)을 구비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저장실(11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110 and a refrigerator door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110 . may include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에는 가구장(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가구장 내에 상기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으로 수용될 수 있다. In general, a furniture cabinet (not shown) is installed in a kitchen or a specific space, and the refrigerator 1 may be accommodated in a built-in type in the furniture cabinet.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상기 캐비닛 도어(210)와 가구장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door 200 may include the cabinet door 210 and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가구장 내로 수용되고, 상기 캐비닛 도어(210)는, 상기 가구장 도어(20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abinet 1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urniture cabinet, and the cabinet doo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

상기 가구장 도어(202)의 회전 시, 상기 가구장 도어(202)와 연결된 상기 캐비닛 도어(210)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110)이 개방될 수 있다. When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is rotated, the cabinet door 210 connected to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is rotated together to open the storage room 110 .

그리고, 상기 캐비닛 도어(210)가 상기 저장실(110)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구장 도어(202)가 상기 캐비닛 도어(210)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닛 도어(210)를 커버하여, 상기 캐비닛 도어(21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lso, in a state in which the cabinet door 210 closes the storage room 110 ,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covers the cabinet door 210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door 210 , so that the cabinet door 210 is closed.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가구장 도어(202) 또는 상기 캐비닛 도어(210)에 연결되어 상기 가구장 도어(202) 또는 상기 캐비닛 도어(210)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is a hinge assembly 500 connected to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or the cabinet door 210 so that the furniture cabinet door 202 or the cabinet door 210 can rotate together. may further include.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에 위치되는 기계실(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room 400 positioned below the cabinet 100 .

<냉장고 도어> <Refrigerator doo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200)에는 바스켓(300)이 설치될 수 있다. 3 and 4 , a baske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door 200 .

이때, 상기 냉장고 도어(20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사용자는 상기 바스켓(30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may change the height of the basket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or door 200 .

상기 바스켓(3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ske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제 1 패널(210)과, 상기 제 1 패널(210)에 연결되는 제 2 패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tor door 200 may include a first panel 210 and a second panel 230 connected to the first panel 210 .

상기 제 1 패널(2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함몰된 형태의 수납홈(21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anel 210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2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recessed shape.

상기 수납홈(211)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패널(210)의 양측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211)은, 일 예로 상기 제 1 패널(210)의 일부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벤딩(bend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s 211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irst panel 210 . The receiving groove 211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bending a portion of the first panel 210 to be concave inwardly.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상기 수납홈(211)에 수용되며 상기 바스켓(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door 20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guide 2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asket 300 .

상기 제 2 패널(230)에는 상기 제 1 패널(210)의 수납홈(211)과 연통되는 개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231)는 상기 제 2 패널(23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An opening 231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211 of the first panel 21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anel 230 . The opening 231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second panel 230 .

상기 제 1 패널(210)과 제 2 패널(230) 또는,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 상기 제 2 패널(230) 사이에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시트(240)가 구비될 수 있다. An adhesive sheet 240 having adhesive layers formed on both surfac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nel 210 and the second panel 230 or between the lifting guide 220 and the second panel 230 .

따라서, 상기 제 2 패널(230)은 접착시트(240)에 의해 상기 제 1 패널(210) 및/또는 상기 승강 가이드(220)에 접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anel 230 may be adhered to the first panel 210 and/or the elevating guide 220 by the adhesive sheet 240 .

일 예로 상기 제 1 패널(210)의 수납홈(211)에 상기 승강 가이드(220)를 수용시키고, 상기 제 1 패널(210)과 결합 브라켓(220)의 노출면에 접착시트(240)를 부착한 뒤, 상기 제 2 패널(230)을 접착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2 패널(230)을 제 1 패널(210)에 접합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fting guide 2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 of the first panel 210 , and the adhesive sheet 240 is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panel 210 and the coupling bracket 220 . Then, the second panel 230 may be bonded to the first panel 210 by bonding the second panel 230 .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 가이드(220)의 폭(W1)은 상기 수납홈(211)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width W1 of the elevating guide 22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receiving groove 211 .

또한, 상기 개구(231)의 폭(W3) 역시 상기 수납홈(211)의 폭(W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width W3 of the opening 23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receiving groove 211 .

상기 승강 가이드(220)는 상기 수납홈(211) 일측(제 1 패널의 중심과 가까운 방향)에 설치된다. The lifting guide 2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first panel).

이때,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 수납홈(211)의 타측(제 1 패널의 경계와 가까운 방향)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ifting guide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in a direction close to the boundary of the first panel).

한편, 상기 제 2 패널(230)은 상기 제 1 패널(210)과 승강 가이드(220)를 커버하되, 상기 개구(231)는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 수납홈(211)의 타측 사이에 마련된 공간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다.Meanwhile, the second panel 230 covers the first panel 210 and the elevating guide 220 , but the opening 231 is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guide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 It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pace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냉장고 도어(200)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개구(231)만 외부에서 보이고, 상기 승강 가이드(220)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관상 미려하다.Accordingly, when the refrigerator door 200 is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3 , only the opening 23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the lifting guide 22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it is beautiful in appearance.

또한, 상기 개구(231)는 하단에 그 폭이 확장된 출입구(2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입구(233)는 후술되는 프레임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된 구속부재가 출입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출입구(233)의 크기는 프레임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된 구속부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231 may form a doorway 233 having an expanded width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entrance 233 is used as a space through which a support part of a frame and a restrain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ar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nter and exit. To this end, the size of the doorway 233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restrain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참고로, 상기와 같은 출입구(233)가 형성된 구간에는 프레임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된 구속부재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승강 가이드(220)가 배치되지 않거나, 승강 가이드(220)가 형성되더라도, 후술할 톱니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section where the doorway 23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guide 220 is not disposed or the lifting guide 220 is formed to facilitate entry and exit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restrain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eth may not be formed.

따라서, 상기 출입구(233)를 통해 프레임의 지지부 및 지지부에 고정된 구속부재가 삽입되고, 이후, 지지부는 상기 개구(231)를 따라 상부도 이동하고, 구속부재는 상기 승강 가이드(22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straint member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of the frame is inserted through the doorway 233 , and then, the support part moves upward along the opening 231 , and the constraint member moves along the elevating guide 220 . can move upwards.

즉, 상기 승강 가이드(220)가 상기 수납홈(211) 일측(제 1 패널의 중심과 가까운 방향)에 설치되고, 후술되는 프레임의 지지부가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 수납홈(211)의 타측(제 1 패널의 중심과 먼 방향) 사이에 형성된 틈에 수용되면, 결과적으로 구속부재가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 연결된다. That is, the elevating guide 2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in a direc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first panel), and a support part of the frame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guide 220 and the receiving groove 211 . When accommodated in the gap form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far direction of the first panel), as a result, the restrai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guide 220 .

또한, 상기의 경우, 추후 수축 등의 이유로 양측에 배치된 수납홈(211) 사이 간격의 줄어들더라도, 지지부에 고정된 구속부재가 간격이 좁아진 승강 가이드(220) 사이에 끼이면서 이동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grooves 211 disposed on both sides is reduced for reasons such as shrinkage later, the constrain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is caught between the elevating guides 220 with a narrowed gap, making it difficult to mov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즉, 수축 등의 이유로 양측에 배치된 상기 수납홈(211) 및 승강 가이드(220) 사이 간격이 줄어들더라도, 구속부재의 이동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211 and the elevating guide 220 disposed on both sides is reduced due to shrinkage, the movement of the constraining member may proceed smoothly.

한편, 상기 제 1 패널(210) 또는 승강 가이드(220)에는 상기 접착시트(240)가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adhesive groove 212 concavely formed inwardly to accommodate the adhesive sheet 240 may be formed in the first panel 210 or the elevating guide 220 .

상기와 같이 접착홈(212)이 형성되면, 접착시트(240)의 부착 위치가 명확해져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음은 물론, 제 2 패널(230)과 제 1 패널(210)의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adhesive groove 21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adhesive sheet 240 becomes clear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as well as surface contact between the second panel 230 and the first panel 210 . can be done

또한, 상기 제 2 패널(230)은 상기 개구(231)를 형성하는 양측 단부가 내측으로 굽어져 상기 수납홈(211)의 모서리 또는 상기 승강 가이드(220)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절곡부(232)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anel 230 is bent so that both ends forming the opening 231 are bent inwar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receiving groove 211 or the edge of the lifting guide 220 . can form.

상기 절곡부(232)는 상기 개구(231)의 양측에 구비된 양측 단부를 내측으로 벤딩(bending)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bent portion 232 may be formed by bending both end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231 inward.

따라서, 승강 가이드(220)를 보다 확실히 차폐하여 승강 가이드(2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Accordingly, the elevating guide 220 is more reliably shielded so that the elevating guide 22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개구(231) 및 수납홈(211)에 수용되는 프레임의 지지부가 절곡부(232)와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지부의 승강 동작이 보다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frame accommodated in the opening 231 and the receiving groove 2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232 , and as a resul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performed more smoothly.

다른 예로, 상기 절곡부는 제 2 패널(230)의 외측 테두리에도 형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bent portion may also b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panel 230 .

상기 절곡부는 제 1 패널(210)의 외측 모서리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는 추후 가스켓(600) 등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곡부가 형성되면, 외측에서 바라봤을 때, 제 1 패널(210)이 전혀 보이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고, 외관상 미려한 이점이 있다.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cover the outer edge of the first panel 210 , and the bent portion may be covered with a gasket 600 or the like later. When the bent portion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the first panel 210 is not visible at all, so that durability is improved, and there are advantages in appearance.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상기 제 1 패널(210)의 수납홈(211)에 수납된 상기 승강 가이드(220)를 상기 제 1 패널(2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 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수단(250)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door 200 includes a fastening means 250 for detachably fixing the elevating guide 22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1 of the first panel 210 to the first panel 210 . )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fastening means 250 may include a bolt and a nut.

또한, 상기 수납홈(211)이 형성된 상기 제 1 패널(210)의 배면에는 상기 수납홈(2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강판(26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260)은 제 1 패널(210)의 배면 전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납홈(211)이 형성된 영역 및 그 주변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plate 26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groove 21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10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211 is formed. The reinforcing plate 260 may be disposed o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first panel 210 , or may be disposed only in the region where the receiving groove 211 is formed and its periphery.

상기와 같은 보강판(260)의 구성으로, 상기 제 1 패널(210)의 강도가 향상되는 것은 물론, 상기 제 1 패널(210) 특히 수납홈(211)이 수축 등의 이유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260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he strength of the first panel 210 is improved, but also the first panel 210, particularly the receiving groove 211,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due to shrinkage or the like. can

<바스켓의 기본 구성> <Basic composition of baske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8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7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6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8 ,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of FIG. 7 .

도 11을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300)은, 상기 냉장고 도어(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6 to 11 , the basket 300 may be mounted on the refrigerator door 200 and height can be adjusted by a user.

상기 바스켓(300)은, 용기부(310)와, 상기 용기부(310)를 지지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200)에 결합되는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sket 300 may include a container part 310 and a frame 350 supporting the container part 310 and coupled to the refrigerator door 200 .

상기 용기부(3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식품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11)을 형성한다. 일 예로, 상기 용기부(3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unit 310 has an open top and forms a receiving space 311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For example, the container unit 31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상기 프레임(350)은, 상기 용기부(3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은 상기 용기부(350)와 분리될 수 있다. The frame 350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unit 310 . The frame 35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part 350 .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350)에서 용기부(310)가 분리되면, 상기 용기부(310)의 세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When the container part 31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350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tainer part 310 is easily cleaned.

상기 프레임(35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50)은 상기 구속부재(3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3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frame 350 may include a support part 360 for supporting the restraining member 330 .

일 예로 상기 프레임(350)에 복수의 지지부(360)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지지부(360)에 구속부재(330)가 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36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rame 350 . A restraining member 330 may be fastened to each of the supporting parts 360 .

상기 프레임(35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부재(351, 352)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 부재(380, 38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ame 350 includes a pair of first members 351 and 35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members 380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381) may be included.

상기 각 제 1 부재(351, 352)에는 상기 제 2 부재(380, 38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54, 355)가 구비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may include coupling portions 354 and 355 to be coupled to the second members 380 and 381 .

일 예로 상기 제 1 부재(351, 352)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제 2 부재(380, 381)를 향하여 상기 각 결합부(354, 355)가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coupling portions 354 and 355 may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toward the second members 380 and 381 .

그리고, 상기 제 1 부재(351, 352)의 결합부(354, 355)가 상기 제 2 부재(380, 381)에 삽입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354, 355)와 상기 제 2 부재(380, 381)가 체결부재(S1)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coupling portions 354 and 355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members 380 and 381, and in this state, the coupling portions 354 and 355 and the second The members 380 and 381 may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S1.

상기 복수의 지지부(360)는 상기 각 제 1 부재(351)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2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360 may extend from each of the first members 351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200 and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36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기 구속부재(3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360) 사이에 상기 구속부재(330)가 위치된다. 상기 구속부재(330)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360)에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training member 330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360 . Accordingly, the restraining member 330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360 . The restraining member 330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360 by a fastening member.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36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 제한을 위한 제한 리브(364)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limiting ribs 364 for limiting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arts 360 facing each other.

상기 제한 리브(364)는 상기 수납홈(211) 내부로 상기 구속부재(3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360)와 상기 승강 가이드(220)와의 간격을 줄여 상기 바스켓(300)의 좌우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The limiting rib 364 reduc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part 360 and the elevating guide 220 while the restraining member 330 is drawn into the receiving groove 211 to rotate the basket 300 left and right. can be limited.

<구속부재> <Constraint member>

상기 구속부재(330)는, 적어도 두 부분이 소정 부분으로 이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두 부분의 간격이 좁혀졌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좁혀졌던 간격이 다시 벌어지면서,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The constraining member 330, at least two parts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part,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gap between the two parts is narrow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narrowed gap is widened again, and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

상기 구속부재(330)는 상기 지지부(360)에 고정되는 바디(331)와, 상기 바디(331)의 일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332)와, 상기 바디(331)의 다른 일 지점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aining member 330 includes a body 331 fixed to the support part 360 , a first extension part 332 extending downward from one point of the body 331 , and the other of the body 331 . It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334 extending downward at one point.

상기 제 2 연장부(334)는 상기 제 1 연장부(33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33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33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구속부재(330)는, 상기 제 1 연장부(332)의 하단에서 절곡된 절곡부 (333a)와, 상기 절곡부(333a)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부(333b)를 포함하는 고정부(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straining member 330 includes a bent portion 333a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332 and a horizontal portion 333b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333a. It may further include a government 333 .

상기 절곡부(333a)는 상기 제 1 연장부(322)에서 상기 용기부(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수평부(333b)는 상기 절곡부(333a)의 하단에서 상기 용기부(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bent part 333a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iner part 310 in the first extension part 322 , and the horizontal part 333b is the container part 310 at the lower end of the bent part 333a. ) can be extended in a direction closer to

상기 제 2 연장부(334)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연장부(33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334 may be convex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sion 332 .

<용기부와 프레임의 결합 구조> <Combination structure of container and frame>

상기 용기부(310)는 상기 프레임(350)과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container unit 310 may be adjusted together with the frame 350 in the coupled state.

또한, 상기 용기부(310)는 상기 프레임(350)의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container part 310 is coupl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rame 350 .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360)와 상기 용기부(31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각 제1부재(351, 352)에서 스페이서(361)가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336)는 스페이서(361)에서 더 연장될 수 있다. Spacers 361 in each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support part 360 and the container part 310 while the container part 310 is coupled to the frame 350 . is extended, and the support part 336 may further extend from the spacer 361 .

상기 스페이서(361)는, 상기 제 1 부재(351, 352)의 제 1 면(352a)에서 연장되는 제 1 부분(361a)과, 상기 제 1 부분(361)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360)와 연결되는 제 2 부분(36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r 361 includes a first portion 361a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s 352a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 and the support portion 360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361 , It may include a connected second portion 361b.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1 부분(361a)의 높이는 상기 제 1 부재(354, 355)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 2 부분(361b)의 높이는 제 1 부분(361a)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first part 361a of the spacer 361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irst members 354 and 355,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 361b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 361a. can

상기 지지부(360)의 높이는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2 부분(361b)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A height of the support part 360 may be higher than a height of the second part 361b of the spacer 361 .

상기 용기부(310)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350)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수용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350)을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container unit 310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region formed by the frame 350 , and another portion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frame 350 on an outer surface.

상기 용기부(310)의 다른 일부가 상기 프레임(35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용기부(310)와 상기 스페이서(361, 361a)의 간섭이 방지되어야 한다. In order to arrange the oth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310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350, interference between the container part 310 and the spacers 361 and 361a should be prevented.

따라서, 상기 용기부(310)에는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1 부분(361a)의 삽입을 위한 슬롯(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314)은 상기 용기부(31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a slot 314 for insertion of the first portion 361a of the spacer 361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portion 310 . The slot 314 may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part 310 .

상기 슬롯(314)의 상방에는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2 부분(361)의 일부가 수용되는 스페이서 수용홈(312)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A spacer receiving groove 312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part 361 of the spacer 361 is accommodate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bove the slot 314 .

따라서, 상기 용기부(310)를 상기 프레임(350)의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부(3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용기부(310)의 슬롯(314)을 스페이서(361)의 제 2 부분(361b)이 상기 슬롯(3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310)를 하방으로 더 이동 시키면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2 부분(361b)이 상기 스페이서 수용홈(312)에 수용되고,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1 부분(361a) 및 제 2 부분(361b)이 상기 슬롯(314)에 위치된다.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part 310 is moved downward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part 310 is positioned above the frame 350 , the slot 314 of the container part 310 is removed from the spacer 361 . A second part 361b is inserted into the slot 314 .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part 310 is further moved downward, the second part 361b of the spacer 361 is accommodated in the spacer receiving groove 312 , and the first part 361a of the spacer 361 ). and a second portion 361b is located in the slot 314 .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2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프레임(320)을 손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00)을 상하 이동시킨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part 310 is seated on the frame 320 , the user moves the basket 300 up and down while supporting the frame 320 by hand.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32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00)을 상하 이동시키더라고 상기 프레임(320)의 스페이서가 상기 용기부(3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Since the spacer of the frame 3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part 310 even when the user moves the basket 300 up and down while supporting the frame 320 , the container part 310 is connected to the frame. Separation at 320 may be prevented.

그러나, 상기 냉장고 도어(200)가 열린 상태에서 유아가 상기 용기부(310)를 잡고 매달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부(310)로 회전력이 가해지고, 상기 용기부(310)로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20)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다. However, in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tor door 200 is open, a child may hang while holding the container unit 310 . In this case,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part 310 ,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container part 310 may be separated from the frame 320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container part 310 .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용기부(310)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350)과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스페이서(361)에는 이탈 방지 리브(366)가 추가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additionally formed in the spacer 361 so that the container part 310 is not separated from the frame 350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는 상기 스페이서(361)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361)에서 돌출될 수 있다.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may protrude from the spacer 361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pacer 361 .

일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는, 상기 스페이서(361)의 제 2 부분(361b)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는 상기 제 1 부재(351, 352)의 제 1 면(352a)과 이격된다. For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portion 361b of the spacer 361 . Accordingly,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s 352a of the first members 351 and 352 .

그리고, 상기 용기부(310)의 슬롯(314)을 형성하는 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31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rib receiving groove 315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366 is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unit 310 forming the slot 314 .

상하 방향으로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에 결합되므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상기 리브 수용홈(315)에 수용되기 위하여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는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스 수용홈(315)도 상기 용기부(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Since the container part 310 is coupled to the frame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366 is the second part of the spacer so that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366 is accommodated in the rib receiving groove 315 . The two portions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ase receiving groove 315 may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tainer unit 310 .

따라서, 도 11과 같이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에 결합되면,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상기 리브 수용홈(315)에 수용되므로, 상기 용기부(310)로 회전력이 가해져도 상기 용기부(310)의 스페이서(361)가 상기 슬롯(314)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과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 when the container part 310 is coupled to the frame 350 ,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accommodated in the rib receiving groove 315 ,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tainer part 310 . Even when applied, the spacer 361 of the container part 3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slot 314 , and thus the container part 3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350 .

특히,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361b)에 형성되므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상기 리브 수용홈(31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의 일부는 상기 스페이서 수용홈(312)에 위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formed in the second part 361b of the spacer,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366 is accommodated in the rib receiving groove 315. A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spacer receiving groove 312 .

따라서, 상기 이탈 방지 리브(366)가 상기 리브 수용홈(315)에서 빠지기 위해서는 상기 용기부(310)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려야 하며, 상기 용기부(310)를 들어올려랴 하는 구간이 길어져서 의도치 않게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in order for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366 to come out of the rib receiving groove 315, the container part 310 must be lift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tion for lifting the container part 310 is It is long and the container part 31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350 unintentionally.

한편, 사용자의 의도하에서는 상기 용기부(31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되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용기부(310)를 상기 프레임(35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container part 310 is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 the user's intention,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container part 310 from the frame 350 .

<바스켓의 높이 조절을 위한 구조 및 방법> <Structur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sket>

도 12는 바스켓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바스켓의 하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3은 바스켓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basket is rotated in a direction to lift the basket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ket, and FIG.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sket is lowered.

도 5,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가이드(220)는, 상기 제 1 패널(310)과 접촉하는 배면부(221)와, 상기 배면부(2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톱니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5, 12 and 13 , the lifting guide 220 includes a rear portion 221 in contact with the first panel 310 , and a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protruding forward from the rear portion 221 . (222).

상기 복수의 톱니부(222)는 상기 배면부(22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2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portion 221 .

상기 각 톱니부(222)는, 상면(223)이 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면(223)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24)을 형성할 수 있다. Each of the toothed portions 222 may have an upper surface 223 that forms a plane, and an inclined surface 224 that is inclined inwardly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ip of the upper surface 223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상면(223)과 경사면(224)에 의해 승강 가이드(220)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225)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ing groove 225 concavely form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may be formed in the elevating guide 220 by the upper surface 223 and the inclined surface 224 .

상기 고정홈(225)에는 상기 구속부재(330)의 고정부(333)가 수용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33 of the restraining member 3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groove 225 .

또한, 상기 승강 가이드(220)는 상기 배면부(221)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패널(230)과 대면하는 전면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ing guide 22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rear portion 221 and further include a front portion 226 facing the second panel 230 .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33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바스켓(300)이 회동하면, 상기 전면부(226)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고정부(333)는, 상기 제 2 탄성부(334)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고정홈(225)에서 이탈될 수 있다(도 12 참조). In addition, when the basket 300 is rotated by a user's manipulation, the second extension part 334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ront part 226 , and the fixing part 333 is the When the second elastic part 334 is elastically deformed,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25 (see FIG. 12 ).

또한, 상기 바디(331) 및 제 1 연장부(332)는 상기 고정부(333)가 상기 고정홈(2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면(223)과 경사면(224) 사이에 마련된 평면형상의 측벽(227)에 면접촉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331 and the first extension 332 have a planar shape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23 and the inclined surface 224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ortion 33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5 . Whil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wall 227, it can be stably suppor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속부재(330) 및 승강 가이드(220)에 의해 상기 바스켓(300)은 상부로는 쉽게 올릴 수 있는 반면, 하부로의 이동은 바스켓(300)의 하단을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만 이루어져, 바스켓(300)이 임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asket 300 can be easily raised upwards by the constraining member 330 and the elevating guid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reas the downward movement moves the lower end of the basket 300 forward. It is made only in a rotated stat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ket 300 from arbitrarily descend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스켓의 승강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ask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개구(231)의 하단에 마련된 출입구(233)로 구속부재(330)와 지지부(360)를 끼우고 상부로 밀면, 도 13과 같이 고정부(333)는 고정홈(225)에 수용되고, 고정부(333)의 수평부(333b)은 상기 톱니부(222)의 상면(223)에 걸쳐진다.First, when the restraining member 330 and the support part 360 are inserted into the doorway 23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231 and pushed upward, the fixing part 333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groove 225 as shown in FIG. , the horizontal portion 333b of the fixing portion 333 spans the upper surface 223 of the toothed portion 222 .

또한, 상기 바디(331) 및 제 1 연장부(332)는 측벽(227)에 면접촉된 상태이며, 상기 제 2 연장부(334)는 라운드부(334c)가 전면부(226)에 접촉 지지된 상태이다. In addition, the body 331 and the first extension 332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wall 227 , and the second extension 334 has a round portion 334c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26 . is in a state of being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333)의 수평부(333b)는 상기 톱니부(222)의 상면(223)에 걸쳐져 상기 구속부재(330)는 하강하지 않으며, 바스켓(300)은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portion 333b of the fixing portion 333 spans the upper surface 223 of the toothed portion 222 so that the restraining member 330 does not descend, and the basket 300 can be fixed. have.

도 12와 같이, 바스켓(300)을 상부로 올리면, 상기 제 2 연장부(334)가 전면부(226)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33)의 경사부(333a)가 상기 톱니부(222)의 경사면(226)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 연장부(334)와 제 1 연장부(332) 간의 간격이 줄어든다.As shown in FIG. 12 , when the basket 300 is raised upward, the inclined portion 333a of the fixing portion 333 becomes the teeth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34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26 . It moves up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6 of the part 222, and in this proces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xtension part 334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332 is reduced.

이후, 고정부(333)는 이전의 고정홈(225)보다 상부의 고정홈에 수용되고, 고정부(333)의 수평부(333b)는 다시 상기 톱니부(222)의 상면(223)에 걸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33)의 수평부(333b)가 상기 톱니부(222)의 상면(223)에 걸쳐져 상기 구속부재(330)는 하강하지 않으며, 바스켓(300)은 승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fixing part 333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groove above the previous fixing groove 225 , and the horizontal part 333b of the fixing part 333 again spans the upper surface 223 of the toothed part 222 . can get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rtion 333b of the fixing portion 333 is spread over the upper surface 223 of the toothed portion 222 so that the restraining member 330 does not descend, and the basket 300 is fixed at the elevated position. can

상기한 바와 같이, 바스켓(300)의 상승은 바스켓(300)을 잡고, 상부로 움직이기만 하면, 손쉽게 진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aising of the basket 300 can be easily performed by holding the basket 300 and moving upward.

반면, 상기 바스켓(300)을 잡고 하부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333)의 수평부(333b)가 상기 톱니부(222)의 상면(223)에 걸쳐져 바스켓(300)은 하강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basket 300 is grabbed and pulled downward, the horizontal portion 333b of the fixing portion 333 is spread over the upper surface 223 of the toothed portion 222 and the basket 300 does not descend.

본 발명의 경우, 바스켓(3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부(333)를 고정홈(225)에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lower the basket 300 ,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fixing part 333 from the fixing groove 225 .

이를 위해, 도 12와 같이 바스켓(300)의 하단이 들어올려지도록 회동(도면 상의 시계 반대 방향)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2, the lower end of the basket 3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o be lifted.

상기 바스켓(300)의 하단을 회동하면, 상기 제 2 연장부(334)가 전면부(226)에 접촉된 상태로 가압되어 펴지면서, 제 2 연장부(334)와 제 1 연장부(332)의 간격이 줄어든다. When the lower end of the basket 300 is rotate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34 is pressed and unfolded while in contact with the front portion 226 ,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34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32 . spacing is reduced.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333)는 상기 고정홈(225)으로 부터 이탈되어 상기 측벽(227)과 전면부(2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바스켓(300)을 하방으로 잡아 당기면, 도 13과 같이, 상기 바스켓(300)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In this process, the fixing part 333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25 and positioned between the side wall 227 and the front part 226 . In this state, if the basket 300 is pulled downward, as shown in FIG. 13 , the basket 300 may move downward.

즉, 상기 바스켓(300)의 하단이 회동하면, 상기 제 2 탄성부(334)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변형공간(335)의 전후방향 폭이 좁아지고, 상기 구속부재(330)가 경사지면서, 하단부에 위치된 상기 고정부(333)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홈(225)으로 부터 이탈되고, 상기 바스켓(300)의 하강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wer end of the basket 300 is rotated, the front-rear width of the deformation space 335 is narrow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part 334, and the restraining member 330 is inclined, The fixing part 333 located at the lower end may be moved forward and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25 , and the basket 300 may be lowered.

한편, 상기 제 2 연장부(334)는 상기 바스켓(300)의 전단이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Meanwhile, the second extension part 334 continuously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basket 300 rotates downward.

따라서, 상기 바스켓(300)의 전단을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3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바스켓(300)에서 손을 떼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제 2 연장부(3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333)가 상기 고정홈(225)에 곧 바로 삽입되고, 바스켓(300)은 하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basket 300 is move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basket 300 is rotated upward, and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basket 300, the second extension part 334 is The fixing part 333 may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 and the basket 300 may be fixed in a lowered position.

또한, 사용자가 상기 바스켓(300)을 상하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상기 바스켓(300)를 놓치더라도 상기 탄성부(3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333)가 상기 고정홈(225)에 자동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300)의 낙하로 인한 파손 및 식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misses the basket 300 when the user moves the basket 300 up and down, the fixing part 333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334 .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Accordingly, damage due to the fall of the basket 300 and damage to food can be prevented.

그리고, 바스켓(3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고정부(333)는 상기 제 2 탄성부(3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225)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33)가 상기 고정홈(225)으로 부터 임의로 탈거되어 상기 바스켓(300)이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Also,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asket 300 , the fixing part 333 can maintain a state st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2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art 334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sket 300 from falling because the fixing part 333 is arbitrarily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225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바스켓(300)의 상부 이동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반면, 바스켓(300)의 하부 이동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조작 시에만 이루어져, 바스켓(300)이 임의로 하강하지 않도록 하며, 무엇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바스켓(3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upper movement of the basket 300, while the lower movement of the basket 300 is made only during a specific operation by the user, so that the basket 300 does not descend arbitrarily. And, above 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sket 300 can be stably fixed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용기부(310)를 당기더라도 상기 용기부(310)가 상기 프레임(3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lso, even if the user pulls the container part 310 , it can be prevented that the container part 310 is separated from the frame 350 .

1: 냉장고 100: 캐비닛
200: 냉장고 도어 220: 승강 가이드
300: 바스켓 310: 용기부
312: 스페이서 수용홈 314: 슬롯
315: 리브 수용홈 350: 프레임
360: 지지부 361: 스페이서
366: 이탈 방지 리브
1: refrigerator 100: cabinet
200: refrigerator door 220: elevating guide
300: basket 310: container unit
312: spacer receiving groove 314: slot
315: rib receiving groove 350: frame
360: support 361: spacer
366: escape prevention rib

Claims (12)

저장실을 정의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바스켓의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에서 돌출되는 이탈 방지 리브;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수용되기 위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이 형성되는 면에는 상기 이탈 방지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용기부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 리브는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브 수용홈은 상기 슬롯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탈방지 리브는, 상기 캐비닛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리브 수용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cabinets defining the storage room;
a refrigerator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basket mounted to the refrigerator door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an elevating guid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asket,
The basket may include: a container part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 fram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a spacer extending from the frame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 separation preventing rib protruding from the spacer;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pacer toward the refrigerator door; and
Containing a constraint member coupled to the support and moving along the elevating guide;
A slot for accommodating the spacer is formed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a rib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is formed on a surface where the slot is formed,
The slot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pacer,
The rib receiving groov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slot,
The separation preventing rib is supported by the rib receiving groov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abin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수용되고,
상기 용기부의 다른 일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을 둘러싸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frame,
A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gion formed by the frame,
Anoth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refrigerato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에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서 연장되며 높이가 상기 제 1 부분 보다 높게 형성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에 상기 이탈 방지 리브가 형성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includes a firs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ame;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ortion and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portion,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separation prevention rib is formed in the second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는 상기 제 2 부분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슬롯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일부가 수용되는 스페이서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ain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receiving groove disposed above the slot and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spac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일부가 상기 스페이서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제 2 부분의 다른 일부 및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슬롯에 위치되는 냉장고.
7. The method of claim 6,
A refrigerator in which another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spacer and the first part are positioned in the slot while a part of the second part of the spacer is accommodated in the spacer receiv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부재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 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 1 부재에서 연장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ncludes a pair of first member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member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pacer extends from the firs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에는 복수의 톱니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구속부재가 통과하는 상기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 내에서 상기 구속부재가 상기 복수의 톱니부 중 일 톱니부에 구속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levating guide,
The refrigerator door includes the slot through which the support part and the restraining member pass;
A refrigerator in which the restraining member is constrain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eeth in the refrigerator do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
상기 제 1 연장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straining member is
a body fixed to the support part;
a first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d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는, 평면인 상면과,
상기 상면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othed portion, a flat upper surface,
Refrigerator comprising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ip of the upper surface and inclined inwar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인접하는 두 톱니부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서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톱니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냉장고.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sion,
A fix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toothed parts,
The fixing par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ed part located below the fixing part in the fixing groove.
KR1020180052590A 2018-05-08 2018-05-08 Refrigerator KR102422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90A KR102422099B1 (en) 2018-05-08 2018-05-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590A KR102422099B1 (en) 2018-05-08 2018-05-08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21A KR20190128421A (en) 2019-11-18
KR102422099B1 true KR102422099B1 (en) 2022-07-18

Family

ID=6872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590A KR102422099B1 (en) 2018-05-08 2018-05-08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0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3493B1 (en) * 2020-12-15 2022-01-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JP7178472B2 (en) * 2020-12-15 2022-11-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502B1 (en) * 2003-03-20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drawer door of the refrigerator
KR101638193B1 (en) * 2010-01-04 2016-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150045749A (en) * 2013-10-21 201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EP2843333A1 (en) * 2014-07-23 2015-03-04 Gorenje d.d. Enhanced system for vertically adjusting a deposit container in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2391682B1 (en) * 2016-01-05 2022-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421A (en) 201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3501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7731805B2 (en) Dishwasher rack lift system
KR101639135B1 (en) Storage box assembly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EP2225510B1 (en) Refrigerator
KR102579883B1 (en) Refrigerator
EP3489600B1 (en) Refrigerator
KR20140048102A (en) Refrigerating appliance
EP3023719A1 (en) Refrigerator
KR102422099B1 (en) Refrigerator
KR102583877B1 (en) Refrigerator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US20200378613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lowerable door, which has a specific retaining spring for a bearing bush
KR102445184B1 (en) refrigerator
KR200492419Y1 (en) Receiving device
KR102456241B1 (en) A refrigerator
KR101654994B1 (en) Storage box assembly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KR102463850B1 (en) Refrigerator
KR102338782B1 (en) Refrigerator
KR102584693B1 (en) Refirgerator
KR102093461B1 (en) Refirgerator
KR20210027913A (en) A refrigerator
KR100334652B1 (en) Refrigerator for kimchi
JPH0434737Y2 (en)
KR101663751B1 (en) Cabinet Capable Of Keeping A Shelf Without Interfering With Hinge
KR20060015148A (en) Acceptance structure for built in type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