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054B1 -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054B1
KR102421054B1 KR1020150191678A KR20150191678A KR102421054B1 KR 102421054 B1 KR102421054 B1 KR 102421054B1 KR 1020150191678 A KR1020150191678 A KR 1020150191678A KR 20150191678 A KR20150191678 A KR 20150191678A KR 102421054 B1 KR102421054 B1 KR 10242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parking
reflector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0301A (en
Inventor
정진영
손우영
이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054B1/en
Publication of KR2017008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0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E04H6/424Positio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는 주차모드로 진입하면 차량 주위의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이 상기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사된 광의 일부에서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DMD;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주차할 공간을 판단하고, 상기 DMD에게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램프에게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 park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parking space around the vehicle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a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when the sensing module detects the parking space; a DMD mounted inside the lamp and driven to display the parking space in a portion of the irradiated ligh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parking space through the sensing module, applies a driving command signal to the DMD, and applies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the lamp.

Description

주차 가이드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본 발명은 주차 가이드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헤드램프가 상기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동시에 상기 광의 패턴에 상기 빈 공간을 향해 화살표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가이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detect an empty space that can be parked so that a headlamp of a vehicl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empty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empty space in the light pattern A parking guide device and method for indicating an arrow mark towards a space.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In general, a vehicle includes a lamp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identify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vehicle during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notifying other vehicles or road user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를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이 중에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조등은, 빛을 멀리 비추어서 시야를 확보하는 하이빔모드와, 빛을 낮게 비추어서 전방을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로우빔모드를 제공하고 있다.For example, headlights and fog lights mainly serve a lighting function, and turn indicators, taillights, brake lights, and side markers mainly serve a signal function, and in some cases both a lighting function and a signal function. do. Among them, the headlamp for a vehicle has an essential function of securing the driver's field of vision at night by irradiating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headlamp provides a high-beam mode that secures a field of view by illuminating the light far away, and a low-beam mode that does not cause glare to a driver of a vehicle traveling in front or a driver of an oncoming vehicle by illuminating a low light to prevent glare.

또한, 카메라센서 및 컨트롤러를 통해 차량 주변의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하이빔 모드 및 로우빔 모드로 빛의 패턴이 자동으로 가변되는 헤드램프가 출시되고 있으며,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에 따라 헤드램프의 빛이 조사되는 방향이 가변되어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회전되는 헤드램프도 출시되고 있다.In addition, a headlamp whose light pattern is automatically changed in the high-beam mode and low-beam mode by detecting the state of the vehicle's surroundings through a camera sensor and a controller is being released, and the light of the headlamp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 headlamp that rotates in such a way that the irradiation direction is variable so that the light can shine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also being released.

한편, 상기 헤드램프의 DBL(Dynamic Bend lighting)은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데 반해, 최근에는 차량의 주향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광을 조사하는 SBL(Static Bend Lighting)을 더 설치하여서, 차량이 교차로에 진입 전에 횡단보도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넓게 확보하고 보행자의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DBL (Dynamic Bend Lighting) of the headlamp irradiates light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recent years, SBL (Static Bend Lighting) that irradiates ligh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further installed. By illuminating the crosswalk before entering this intersection, the driver's visibility is widened and the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can be reduced.

한국특허등록 제146072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60724 한국공개공보 제2008-0109409호Korean Publication No. 2008-01094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차량의 헤드램프가 상기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동시에 상기 광의 패턴에 상기 빈 공간을 향해 화살표 표시를 나타내는 주차 가이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detect an empty space that can be parked, so that the headlamp of the vehicl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empty space, and at the same time, parking showing an arrow mark toward the empty space in the pattern of light A guide device and method are provid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는 주차모드로 진입하면 차량 주위의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이 상기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사된 광의 일부에서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DMD;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주차할 공간을 판단하고, 상기 DMD에게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램프에게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A parking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parking space around the vehicle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a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when the sensing module detects the parking space; a DMD mounted inside the lamp and driven to display the parking space in a portion of the irradiated light;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parking space through the sensing module, applies a driving command signal to the DMD, and applies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the lamp.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방법은 차량이 주차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감지 모듈이 차량 주위의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단계; 제어 유닛이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주차할 공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램프에게는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고, DMD에게는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램프가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램프 내부에 장착된 DMD가 상기 조사된 광의 일부에서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arking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steps of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mode; detecting, by the sensing module, a parking space around the vehicle; determining, by a control unit, a space to park through the sensing module; applying, by the control unit,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the lamp and a driving command signal to the DM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by the lamp; and driving a DMD mounted inside the lamp to indicate the parking space in a portion of the irradiated light.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차량의 주차를 위해 서행하면서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헤드램프가 상기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고, 동시에 상기 광의 패턴에 상기 빈 공간을 향해 화살표 표시를 나타낼 수 있다.It can automatically detect an empty space for parking while driving slowly to park the vehicle. In addition, the headlamp of the vehicle may irradiate light toward the empty space and, at the same time, indicate an arrow mark toward the empty space in the pattern of the light.

그럼으로써 야간의 경우, 특히 실외에서 조명이 부족한 경우에도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주차할 공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a space to park at a distance even at night, especially when there is insufficient lighting outdoor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L(Dynamic Bend Lighting) 및 SBL(Static Bend Lighting)이 차량(3)의 전방을 향해 점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D(14)(Digital Micro-mirror Device)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미러(141)(Micro-mirror)에 전압을 인가(On) 또는 차단(Off)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가 설치된 차량(3)이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가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판단한 경우 광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D(14)가 전자 제어 유닛(ECU)(12)로부터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principle of a lidar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m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ynamic Bend Lighting (DBL) and Static Bend Lighting (SBL) are turned on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On) or blocked (Off) to the micro-mirror 1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cting a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in which the parking guide device 1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when the parking guid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can park.
10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MD 14 receives a driving command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guid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11),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13), 상기 램프(13)에 포함되어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DMD(14)(Digital Micro-mirror Device), 감지 모듈(11)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램프(13)에 포함된 광원부(131)와 DMD(14)에 동작 신호를 보내는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1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arking guid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module 11 for detecting a parking space, a lamp 13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The light source unit 131 included in the lamp 13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DMD 14 (Digital Micro-mirror Device) and the detection module 11 included in the lamp 13 and driven to display the parking spa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that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the DMD 14 .

감지 모듈(11)은 차량(3)의 정면부 또는 측면부에 설치되어 주차할 빈 공간을 감지한다. 차량(3)이 주차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차량(3)이 속력을 낮추고 서행하게 된다. 별도의 입력부가 존재하여 운전자가 직접 주차모드로 진입한다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주차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지만, 자동차가 일정 범위의 속력으로 서행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주차모드로 진입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 때 감지 모듈(11)은 차량(3)의 양 측방과 전방으로부터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 모듈(11)로는 일반적인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카메라와 같은 비전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detection module 11 is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r the side part of the vehicle 3 to detect an empty space to park. When the vehicle 3 enters the parking mode, the vehicle 3 lowers the speed and moves slowly. A separate input unit exists and the driver may enter the parking mode by directly performing an input to enter the parking mode, but may be set to automatically enter the parking mode when the vehicle moves slowly at a speed within a certain range. At this time, the detection module 11 detects an empty space that can be parked from both sides and the front of the vehicle 3 . A general sensor may be used as the detection module 11 , but a vision sensor such as a camera may also be used.

만약 감지 모듈(11)로 센서를 사용한다면, 초음파를 이용한 레이더(RADAR) 센서, 레이저를 이용한 라이다(LIDAR) 센서 등 원거리 물체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f a sensor is used as the detection module 11, it is preferable to use a remote object detection sensor such as a radar (RADAR) sensor using ultrasonic waves or a LIDAR sensor using a la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만약 감지 모듈(11)로 카메라와 같은 비전(Vision)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전은 기계에 시각과 판단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이 대상 물체를 인지하고 판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비전은 3차원 공간은 2차원 영상정보로 변환하므로 단독으로는 거리측정이 어렵지만, 촬영한 영상에서 대상을 인식하고 추출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센서나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If the detection module 11, a vision sensor such as a camera may be used. Vision is a machine with vision and judgment functions, and by taking an image using an image sensor, the system of hardware and software recognizes and judges the target object. Vision converts 3D space into 2D image information, so it is difficult to measure distance alone, but it has excellent ability to recognize and extract objects from captured imag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 additional sensor or stereo camera to measure the distanc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11)은 라이다 센서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11)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주차할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라이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Hereinafter, the detection modu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lidar sensor. However, the detection module 11 according to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ules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etect a parking spac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dar will be provided later.

램프(13)는 감지 모듈(11)이 감지한 상기 주차할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차량(3)에 설치되는 램프(13)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운전자가 램프(13)에서 조사되는 광을 보며 주차할 공간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는 차량(3)의 전방 또는 측방에 배치된다. 램프(13)는 차량(3)의 전방에 설치된 헤드램프일 수 있으며, 상기 헤드램프 가운데 차량(3)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DBL(Dynamic Bend Lighting) 또는 차량(3)의 주행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광을 조사하는 SBL(Static Bend Lighting)일 수도 있다.The lamp 13 irradiates light toward the empty space for parking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11 . Although there are various types of lamps 13 installed in the vehicle 3 , the driver must be able to recognize a parking space by looking 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amps 13 . Accordingly, the ram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front or on the side of the vehicle 3 . The lamp 13 may be a headlamp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3 , and among the headlamps, dynamic bend lighting (DBL) that irradiates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 or the vehicle 3 . It may be SBL (Static Bend Lighting) which irradiates ligh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일반적으로 차량(3)이 주차를 하기 위해서는 주차장 내에서 속력을 낮추고 서행한다. 그리고 운전자는 주위를 살피며 주차할 공간을 찾는다. 그러나 야간의 경우, 특히 실외에서 조명이 부족한 경우에는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주차할 공간을 바로 인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주차할 공간은 일반적으로 차량(3)의 전방 보다 차량(3)의 전측방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곧바로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는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배치되는 SBL(Static Bend Light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SBL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general, in order for the vehicle 3 to park, it lowers the speed in the parking lot and moves slowly. And the driver looks around and finds a parking space. However, it is not easy for a driver to immediately recognize a space to park from a distance at night, especially when the lighting is insufficient outdoors. In addition, the parking space is generally located i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3 rather than the front of the vehicle 3 , so that the driver may not immediately detect i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 SBL (Static Bend Lighting) dispos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3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BL will be described later.

DMD(14)(Digital Micro-mirror Device)는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된다. DMD(14)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해서 형성된 장치로써, 단일의 기판상에 광학 소자의 일종인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icro-mirror)(141)가 매트릭스상에 배열된 이차원 화상 형성 장치이다. 램프(13)에 포함된 광원부(131)로부터 조사된 광이 DMD(14)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광로가 변경된다. 그러나,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41)의 반사각이 각각 상이하므로 렌즈(133)로 투과되는 광과 투과되지 않는 광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133) 외부로 투과된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DMD(14)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MD 14 (Digital Micro-mirror Device) is driven to indicate the parking space. The DMD 14 is a device formed using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and is a two-dimensional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a type of optical element, are arranged in a matrix on a single substrate. forming device. A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included in the lamp 13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DMD 14 , the light path is changed. However, since the reflection angles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are different,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133 and light not transmitted exist.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make a special mark on the pattern of light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lens 133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MD 14 will be described later.

전자 제어 유닛(ECU)(12)은 차량(3)에 탑재된 각종 센서의 입력을 수신하고, 차량(3)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감지 모듈(11)이 전자 제어 유닛(ECU)(12)에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낸다. 감지 모듈(11)에 의해 빈 공간이 감지되면, 전자 제어 유닛(ECU)(12)이 이를 계산하여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인지 판단한다. 상기 빈 공간이 주차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유닛(ECU)(12)은 상기 광원부(131)와 DMD(14)에 각각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131)에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고, DMD(14)에는 상기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도록 액츄에이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별한 표시는 화살표인 것이 바람직하다.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receives inputs of various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3 ,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3 as a whole. The sensing module 11 periodically sends a signal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 When an empty spac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11 ,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calculates this and determines whether an empty space is available for park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pty space can be park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applies a command signal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and the DMD 14, respectively. Specifically,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is a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to irradiate light, and a driving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142 to make a special mark on the pattern of light is applied to the DMD 14 . The special ind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arr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LIDAR)의 기본 원리를 나타낸 참고도이다.2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principle of a lidar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레이저 레이더)는 레이저 펄스를 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대상 물체(2)의 위치좌표를 측정하는 레이더 시스템이다. 라이다는 물체(2) 판별 정확성은 다소 떨어지나, 높은 에너지 밀도와 짧은 주기의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대기 중의 물성 관측 및 거리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만약 라이다(LIDAR) 센서를 사용한다면, 레이저를 차량(3) 외부에 쏘면 레이저가 차량(3) 외부의 물체(2)에 부딪혀 반사된다. 이 반사파를 수신하여 외부의 물체(2)가 존재하는 거리, 위치, 나아가 상기 물체(2)의 물성까지도 판단할 수 있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laser radar) is a radar system that measure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arget object (2) by emitting a laser pulse and measuring the time it takes to reflect and return. Although the accuracy of identifying objects (2) is somewhat inferior, LiDAR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ore precise observation of properties in the atmosphere and distance measurement by utilizing its high energy density and ability to generate short-period pulse signals. If a LIDAR sensor is used, when a laser is shot outside the vehicle 3 , the laser hits an object 2 outside the vehicle 3 and is reflected. By receiving this reflected wav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tance, position, and even physical properties of the external object 2 .

라이다(LIDAR)의 구성은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발생하여 스캔하려는 영역에 레이저를 송신하는 레이저 송신부(111),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송신한 레이저를 검출하는 레이저 검출부(112), 레이저 송신부(111)와 레이저 검출부(112)로 송수신되는 레이저를 굴절시켜 진행방향을 조절하는 렌즈(113)로 구성된다. 라이다는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다는 차량(3)에 설치되므로, 상기 제어부의 역할은 전자 제어 유닛(ECU)(12)이 수행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LIDAR is varied depending on the field, but the basic configuration is a laser transmitter 111 that generates a laser and transmits a laser to the area to be scanned,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laser detection unit 112 for detecting a laser, a laser transmission unit 111 and a lens 113 for refracting the laser transmitted/received to and from the laser detection unit 112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The lida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signals and data. However, since the lid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hicle 3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performs the role of the control unit.

라이다는 레이저 신호의 변조 방법에 따라 time-of-flight(TOF) 방식과 phase-shift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TOF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송신부(111)가 레이저 펄스 신호를 방출하여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2)들로부터의 반사 펄스 신호들이 레이저 검출부(112)에 도착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Phase-shift 방식은 특정 주파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변조되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고 측정 범위 내에 있는 물체(2)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측정하여 시간 및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이다.LiDAR can be divided into a time-of-flight (TOF) method and a phase-shift method according to the modulation method of the laser signal. In the TOF method, as shown in FIG. 2 , the laser transmitter 111 emits a laser pulse signal and measures the time it takes for the reflected pulse signals from the objects 2 within the measurement range to arrive at the laser detector 112 . How to calculate distance. The phase-shift method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time and distance by emitting a laser beam that is continuously modulated with a specific frequency and measuring the phase change amount of the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2 within the measurement range.

레이저 광원은 250nm부터 11μm까지의 파장 영역에서 특정 파장을 가지거나 파장이 가변될 수도 있으며, 최근에는 소형, 저전력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된다. 레이저의 파장은 대기, 구름, 비 등에 대한 투과성과 안구보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사용 분야에 따라 파장의 선택이 중요하다. 광 스캐너의 성능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레이저 출력, 파장, 스펙트럼 특성, 펄스 폭 및 모양뿐만 아니라 수신기의 수신감도 및 다이내믹 레인지, 그리고 광학필터 및 렌즈(113)의 특성 또한 주요 요인이다. 이와 함께 수신기의 측정 각도를 나타내는 Field Of View(FOV), 측정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Field Stop, 레이저빔과 수신기의 FOV overlap 특성 등도 중요한 요소이다.The laser light source may have a specific wavelength or may have a variable wavelength in a wavelength range from 250 nm to 11 μm, and recently, a semiconductor laser diode featuring a small size and low power is widely used. Since the wavelength of the laser directly affects the transmittance and eye protection to the atmosphere, clouds, rain, etc.,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wavelength according to the field of use. Basically,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canner, laser power, wavelength, spectral characteristics, pulse width and shape, as well as receiver sensitivity and dynamic ran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filter and lens 113 are also major factors. Along with this, Field Of View (FOV) indicating the measurement angle of the receiver, Field Stop to select the measurement range, and the FOV overlap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beam and the receiver are also important factors.

기존의 라이다 기술들은 기상 관측 및 거리 측정을 목적으로 주로 연구되었으며, 최근에는 위성에서의 기상관측, 무인 로봇 센서 및 3차원 영상 모델링을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Existing lidar technologies have been mainly researched for the purpose of weather observation and distance measurement, and recently, technologies for weather observation from satellites, unmanned robot sensors, and 3D image modeling are being studi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am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131), 상기 광원부(131)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132), 상기 리플렉터(13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차량(3)의 외부로 조사하는 렌즈(133), 상기 광이 노면에 투영되면 상기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는 DMD(14)를 포함한다.The lamp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131 that emits light, at least one reflector 132 tha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 and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 A lens 133 for irradiating the applied light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and a DMD 14 for special marking on the pattern of the light when the light is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광원부(131)는 광을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31)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다. LED는 사람의 눈에 피로감을 적게 주고, 전력 소모량도 적으며,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13)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13)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필요로 하는 광량을 만족하기 위하여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31 serves to emit light. The light source unit 1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advantages of LED are that it gives less fatigue to the human eye, consumes less power, and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design, resulting in greater design freedo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laser diode (LD), bulb-type lamp 13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As the bulb-type lamp 13 , a halogen lamp, a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formed to satisfy a required amount of light, and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variously changed.

리플렉터(132)는 광원부(131)로부터 방출된 광을 리플렉터(132)의 전방에 위치한 렌즈(133)를 향해 반사한다. 리플렉터(132)는 광원부(131)에서 방출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포함한다. 반사면은 알루미늄, 크롬 등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재질이 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13)는 하나의 리플렉터(132)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리플렉터(1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렉터(132)는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광원부(131)의 상부에 위치하는 리플렉터(132)를 제1 리플렉터(132a), 광원부(131)의 하부에 위치하는 리플렉터(132)를 제2 리플렉터(132b)라 지칭한다.The reflector 132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31 toward the lens 133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flector 132 . The reflector 132 includes a reflective surface that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 The reflective surface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reflectivity, such as aluminum or chromium,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The lamp 13 may include one reflector 132 ,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flectors 132 as shown in FIG. 3 . It is preferable that there are two reflectors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reflector 132 positioned above the light source unit 131 is referred to as a first reflector 132a , and the reflector 132 positioned below the light source unit 131 is referred to as a second reflector 132b .

렌즈(133)는 광원부(131)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량(3)의 외부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리플렉터(132) 또는 DMD(14)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133)를 투사한다. 그리고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되어 노면에 투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33)는 비구면 렌즈(133)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면 렌즈(133)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렌즈(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ns 133 serves to irradi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or the DMD 14 and then projects the lens 133 . And it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and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3 , the lens 133 may be formed of an aspherical lens 133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lenses 133 including the spherical lens 133 .

DMD(14)는 상기 하나의 리플렉터(132)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131)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D(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플렉터(132b)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DMD(14)는 제2 리플렉터(132b)에 구속되지 않아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The DMD 14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ne reflector 132 and reflect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 As shown in FIG. 3 , the DMD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reflector 132b, and the DMD 14 is not constrained by the second reflector 132b, and thus freely can rotate

광원부(131)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는 제2 리플렉터(132b)로 입사한다. 제2 리플렉터(132b)로 입사한 광은 제2 리플렉터(132b)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로 렌즈(133)를 투과하여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된다. 광원부(131)에서 방출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제1 리플렉터(132a)로 입사한다. 제1 리플렉터(132a)로 입사한 광은 제1 리플렉터(132a)에 의해 반사된다. 그리고 제1 리플렉터(132a)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는 곧바로 렌즈(133)를 투과하여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된다. 제1 리플렉터(132a)에 의해 반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D(14)로 입사한다. DMD(14)로 입사한 광은 DMD(14)에 의해 반사된다. 그 후에 렌즈(133)를 투과하여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된다. 상기 제1 및 제2 리플렉터(132a, 132b)에 의해 반사된 후 곧바로 렌즈(133)를 투과한 광은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되어 노면에 투영된다. 그러나, DMD(14)에 의해 반사된 후 렌즈(133)를 투과한 광은 하기 기술할 바, 상기 투영된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게 된다. 상기 특별한 표시를 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is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or 132b. The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reflector 132b is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132b. And as shown in FIG. 3 , it is directly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133 and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 The remaining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is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or 132a.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reflector 132a is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32a. And a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32a directly passes through the lens 133 and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 The remaining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first reflector 132a is incident on the DMD 14 as shown in FIG. 3 . Light incident on the DMD 14 is reflected by the DMD 14 . Thereafter, it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through the lens 133 .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133 immediately after being refl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reflectors 132a and 132b is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and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However,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ens 133 after being reflected by the DMD 14 makes a special mark on the pattern of the projected light, as will be described below.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making the special mark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L(Dynamic Bend Lighting) 및 SBL(Static Bend Lighting)이 차량(3)의 전방을 향해 점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ynamic Bend Lighting (DBL) and Static Bend Lighting (SBL) are turned on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는 각각 헤드램프가 설치된다. 헤드램프는 차량(3)의 주행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DBL(Dynamic Bend Lighting)과, 차량(3)의 주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광을 조사하는 SBL(Static Bend Lighting)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L에 의하여 노면에 투영된 광은 D와 같고 SBL에 의하여 노면에 투영된 빛은 S와 같다.Headlamps are install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 headlamp includes DBL (Dynamic Bend Lighting) for irradiating light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 and SBL (Static Bend Lighting) for irradiating light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 . As shown in FIG. 4 , the light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DBL is equal to D, and the light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by the SBL is equal to S.

헤드램프는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따라서, SBL 또한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어서, 좌측에 설치된 SBL은 차량(3)의 주행방향에 대해 좌측으로 비스듬히 광을 조사하고, 우측에 설치된 SBL은 차량(3)의 주행방향에 대해 우측으로 비스듬히 광을 조사하게 된다.One headlamp is install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3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SBL is also arranged one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 of the vehicle 3 , so that the SBL installed on the left irradiates light obliquely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 , and the SBL installed on the right side is the vehicle 3 ). The light is irradiated obliquely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일반적으로 SBL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이 교차로 또는 좌, 우회전도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점등되어, 교차로에서 기존의 DBL이 조사하지 못하는 영역을 비춰준다. AFL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헤드램프의 한 가지 모드이다. 이러한 SBL이 구현되면, 교차로 또는 좌, 우회전도로에서 DBL도 비춰주지 못하는 빛의 사각지역에 대해 약 10m 이상 비춰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SBL이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람들이나 동물, 인도에 있는 사람이나 물체(2)를 비춰주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SB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헤드램프에는 별도의 반사면과 광원을 추가하여야 한다. 즉, 헤드램프의 DBL으로는 곡선로에서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헤드램프의 인보드(Inboard) 측에 별도로 구성된 반사 거울(MFR)과 별도의 광원을 장착함으로써, 교차로에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작용을 구현하게 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4 , the SBL is turned on in advance before the vehicle 3 enters an intersection or a left or right turn road, and illuminates an area that the existing DBL cannot irradiate at the intersection. This is one mode of 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headlamps. When such SBL is implemented, it has the effect of illuminating the blind spot of light that even DBL cannot illuminate at an intersection or left and right turns by about 10m or more. Therefore, SBL can help the driver to drive safely by illuminating people or animals crossing the crosswalk, people or objects on the sidewalk (2). In order to implement such SBL, a separate reflective surface and light source should be added to the headlamp. That is, the DBL of the headlamp secures visibility on curved roads, and by installing a separately configured reflective mirror (MFR) and a separate light source on the inboard side of the headlamp, the driver's visibility at the intersection is secured. to implement the action.

상기 기술한 바, 주차할 공간은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전방보다 운전자의 전방 좌, 우측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곧바로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13)는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배치되는 SBL(Static Bend Light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이 조사되면 노면에 일정한 표시를 하는 DMD(14)는 SBL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rking space is general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er's front rather than in front of the driver, the driver may not be able to detect it immediate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BL (Static Bend Lighting) dispos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MD 14 that makes a certain mark on the road surface when light is irradiated is installed in the SB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L은, 차량(3)이 일반적인 주행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차량(3)이 교차로 또는 좌, 우회전도로에서 차량(3)을 좌, 우회전하면 자동으로 해당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차량(3)이 주차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3)의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 여부에 따라 SBL의 역할이 달라지게 된다.In the SB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3 is in a general driving mo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3 turns left or right at an intersection or a left or right turn, the vehicle 3 automatically turns left or right. It serves to irradiate ligh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However, when the vehicle 3 enters the parking mode, it serves to irradiate light toward an empty space for parking. That is, the role of the SBL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3 is in a driving mode or a parking mode.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14)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14)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이용해서 형성된 장치로써, 단일의 기판상에 광학 소자의 일종인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Micro-mirror)(141)가 매트릭스상에 배열된 이차원 화상 형성 장치이다. DMD(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MD(14)로 입사된 광의 광로를 변환시키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미러(141)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미러(141)의 각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미러(141)를 각각 소정 각도로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42)로 구성된다.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 14 is a device formed using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technology, and a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which are a kind of optical element, are formed on a single substrate. It is a two-dimens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arranged on a matrix. As shown in FIG. 5 , the DMD 14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for converting the optical path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DMD 14, and is installed under each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and the micro-mirrors. It is composed of actuators 142 that rotate 141 at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41)의 배열에 의해서, DMD(14)의 전면에는 광원부(131)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형성된다. DMD(14)의 반사면은 해상도에 따라 상응하는 수만큼의 마이크로 미러(141)로 구성된다. 즉, 마이크로 미러(141) 하나가 반사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화소(Pixel) 하나에 대응된다. 일반적으로 반사면은 대략 1만 내지 130만개의 마이크로 미러(141)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 a reflective surface for reflec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MD 14 .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DMD 14 is composed of a corresponding number of micro-mirrors 141 according to the resolution. That is, one micromirror 141 corresponds to one pixel of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ive surface.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by approximately 10,000 to 1.3 million micromirrors 141 .

복수의 마이크로 미러(141)는 각각 액츄에이터(142)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전자 제어 유닛(ECU)(12)이 액츄에이터(142)에 개별적으로 전압을 인가(On) 또는 차단(Off)하여 마이크로 미러(141)가 각각 회동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DMD(14)는 빔 패턴을 가변시켜 다양한 빔 패턴 및 차량 정보(방향 신호, 턴 신호, 비상 신호, 차속 등의 심볼)를 노면에 표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icro-mirrors 141 are each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by an actuator 142 . The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individually applies (On) or cuts off (Off) a voltage to the actuator 142 , so that the micromirror 141 rotat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MD 14 can display various beam patterns and vehicle information (symbols such as a direction signal, a turn signal, an emergency signal, and a vehicle speed) on the road surface by changing the beam patter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미러(Micro-mirror)(141)에 전압을 인가(On) 또는 차단(Off)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oltage is applied (On) or cut off (Off) to the micro-mirror 1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이 인가(On)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42)는 마이크로 미러(141)가 Z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θ°만큼 회동하도록 구동시킨다. 그러면 리플렉터(132)에서 반사되어 마이크로 미러(141)로 입사된 입사광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133)로 입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이 차단(Off)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42)는 마이크로 미러(141)가 Z축을 중심으로 타 방향으로 θ°만큼 회동하도록 구동시킨다. 그러면 리플렉터(132)에서 반사되어 마이크로 미러(141)로 입사된 입사광이 렌즈(133)로 입사하지 않고 무효 빛이 된다. 따라서 해당 차량(3)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량이 없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On), as shown in FIG. 6 , the actuator 142 drives the micromirror 141 to rotate by θ° in one direction about the Z axis. . Then,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and incident on the micromirror 14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and is incident on the lens 133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tage is cut off (Off), as shown in FIG. 6 , the actuator 142 drives the micromirror 141 to rotate around the Z axis by θ° in the other direction. . Then,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and incident on the micromirror 141 does not enter the lens 133 and becomes invalid light. Accordingly, there is no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3 .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표시될 때, 검은 색으로 나타난 부분은 전압이 차단(Off)된 마이크로 미러(141)에 의해 표시된 것이고, 그 주변의 밝은 부분은 전압이 인가(On)된 마이크로 미러(141)에 의해 표시된 것이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검은 색으로 나타난 부분은 전압이 인가(On)된 마이크로 미러(141)에 의해 표시된 것이고, 그 주변의 밝은 부분은 전압이 차단(Off)된 마이크로 미러(141)에 의해 표시된 것일 수 있다.Using this method, when an arrow indicating a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FIG. 6 , the black portion is displayed by the micromirror 141 in which the voltage is turned off, and the The bright part is displayed by the micro-mirror 141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rtion indicated in black is displayed by the micromirror 141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On), and the bright portion around it is displayed by the micromirror 141 in which the voltage is turned off (Off). it could b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가 설치된 차량(3)이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7 and 8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detecting a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installed with the parking guid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arked.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주차할 공간을 찾게 되면, 주차장에서 여러 차량(3)이 주차되어 있는 주위를 서행하게 된다. 그리고 여러 차량(3)이 주차되어 있는 방식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주차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히 주차될 수도 있다.7 and 8 , when the driver finds a space to park, he/she moves slowly around several vehicles 3 are parked in the parking lot. Also, the manner in which several vehicles 3 are parked may also be parked in a line as shown in FIG. 7 , but may also be parked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8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차량(3)에 설치된 감지 모듈(11)로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존재하는 물체(2)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어느 일정 영역의 거리(L4) 가 주위에서 측정된 거리 L1및 L2보다 긴 것으로 측정되면, 차량(3)은 상기 거리 L1 및 L2로 측정된 물체(2)들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인지한다. 그리고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와 폭을 계산한다.As shown in FIG. 7 , first, the distance to the object 2 existing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3 is measured in real time with the detection module 11 installed in the vehicle 3 . If the distance L 4 of a certain area is measur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s L 1 and L 2 measured in the surroundings, the vehicle 3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objects 2 measured by the distances L 1 and L 2 . aware that it exists. Th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edetermined region are calculated.

상기 일정 영역의 폭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 상기 거리 L1 및 L2를 측정한 각도를 각각 계산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 L1, L2 및 L4를 측정한 물체(2)들과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수직 거리는 거리 L1 및 L2와 상기 측정한 각각의 각도를 이용하여 코사인값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거리 L1 및 L2를 측정한 물체(2)들은,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가 대략 유사할 것이고, 거리 L4를 측정한 물체(2)들은,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가 상기 거리 L1 및 L2를 측정한 물체(2)들보다 길 것이다. 이러한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 차이가 상기 일정 영역의 폭이다.In order to calculate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area, first, angle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s L 1 and L 2 are respectively calculated. Using thi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vehicle 3 and the objects 2 measuring the distances L 1 , L 2 and L 4 is calculated. The vertical distance may be obtained by calculating a cosine value using the distances L 1 and L 2 and each of the measured angles. Objects 2 measuring distances L 1 and L 2 will have approximately the same vertical distance from vehicle 3 , and objects 2 measuring distance L 4 will have a vertical distance from vehicle 3 The distances L 1 and L 2 will be longer than the measured objects 2 . This vertical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vehicle 3 is the width of the constant area.

한편,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L3)도 계산하여야 한다.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거리 L1 및 L2와, 상기 거리 L1 및 L2 사이의 각도를 이용한다. 상기 거리 L1 및 L2 사이의 각도가 α 라면, 제2 코사인 법칙에 의해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L3)는 수학식 1과 같다.Meanwhile, the length (L 3 ) of the predetermined region must also be calculated. To measure the length, the distances L 1 and L 2 and the angle between the distances L 1 and L 2 are used. If the angle between the distances L 1 and L 2 is α, the length L 3 of the predetermined region is the same as in Equation 1 according to the second cosine law.

Figure 112015129513012-pat00001
Figure 112015129513012-pat00001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유닛(ECU)(12)은 SBL의 광원부(131)에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고, DMD(14)에는 상기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도록 액츄에이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3 is an empty space in which to park,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applies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irradiate light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of the SBL, and the DMD 14 is A drive command signal is applied to drive the actuator 142 to make a special mark on the pattern of light.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의 차량(3)이 나란히 주차된 경우에도 주차할 공간을 감지할 수 있다. 우선 차량(3)에 설치된 감지 모듈(11)로 차량(3)의 전방 좌, 우측에 존재하는 물체(2)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어느 일정 영역의 거리(L8) 가 주위에서 측정된 거리 L5 및 L6보다 긴 것으로 측정되면, 차량(3)은 상기 거리 L5 및 L6으로 측정된 물체(2)들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인지한다. 그리고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와 폭을 계산한다.As shown in FIG. 8 , even when surrounding vehicles 3 are parked side by side, it is possible to sense a parking space. First, the distance to the object 2 existing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3 is measured in real time with the detection module 11 installed in the vehicle 3 . When the distance L 8 of a certain area is measured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s L 5 and L 6 measured in the surroundings, the vehicle 3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objects 2 measured by the distances L 5 and L 6 . aware that it exists. The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edetermined region are calculated.

상기 일정 영역의 폭을 계산하기 위해, 우선 상기 거리 L5 및 L6을 측정한 각도를 각각 계산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 L5, L6 및 L8 을 측정한 물체(2)들과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수직 거리는 거리 L5 및 L6와 상기 측정한 각각의 각도를 이용하여 코사인값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거리 L5 및 L6을 측정한 물체(2)들은,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가 대략 유사할 것이고, 거리 을 측정한 물체(2)들은,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가 상기 거리 및 을 측정한 물체(2)들보다 길 것이다. 이러한 차량(3)으로부터의 수직 거리 차이가 상기 일정 영역의 폭이다.In order to calculate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area, first, angles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s L 5 and L 6 are respectively calculated. Using this, the vertical distances from the objects 2 and the vehicle 3 for which the distances L 5 , L 6 , and L 8 are measured are calculated. The vertical distance may be obtained by calculating a cosine value using the distances L 5 and L 6 and each of the measured angles. Objects 2 measuring distances L 5 and L 6 will have approximately similar vertical distances from vehicle 3 , and objects 2 measuring distances L 5 and L 6 will have a vertical distance from vehicle 3 equal to this distance and will be longer than the objects (2) measuring . This vertical distance difference from the vehicle 3 is the width of the constant area.

한편,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L7)도 계산하여야 한다.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거리 L5 및 L6과, 상기 거리 L5 및 L6 사이의 각도를 이용한다. 상기 거리 L5 및 L6 사이의 각도가 β 라면, 제2 코사인 법칙에 의해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L7)는 수학식 2와 같다.Meanwhile, the length (L 7 ) of the predetermined region must also be calculated. To measure the length, the distances L 5 and L 6 and the angle between the distances L 5 and L 6 are used. If the angle between the distances L 5 and L 6 is β, the length L 7 of the predetermined region is the same as in Equation 2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cosines.

Figure 112015129513012-pat00002
Figure 112015129513012-pat00002

상기 계산된 일정 영역의 폭이 차량(3)의 전장보다 더 긴 것으로 계산이 되고, 동시에 상기 계산된 일정 영역의 길이(L7)가 차량(3)의 폭(차량(3)의 전폭과 사이드 미러 길이의 합)보다 더 긴 것으로 계산이 되면, 상기 인지한 빈 공간은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판단한다.It is calculated that the calculated width of the predetermined region is longer than the overall length of the vehicle 3 , and at the same time the calculated length L 7 of the predetermined region is the width of the vehicle 3 (the total width of the vehicle 3 and the side If it is calculated to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mirror lengths), the recognized empty space is determined a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can park.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장치(1)가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판단한 경우 광이 조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MD(14)가 전자 제어 유닛(ECU)(12)로부터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when the parking guide device 1 determine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can pa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MD 14 according to the example receives a driving command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

상기 일정 영역의 길이와 폭을 계산하여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유닛(ECU)(12)은 SBL의 광원부(131)에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고, DMD(14)에는 상기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도록 액츄에이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3)의 SBL에서는 차량(3)의 진행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광이 조사되고, 상기 조사된 광이 노면에 투영될 때 DMD(14)에 의해 화살표의 무늬가 노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화살표의 방향은 상기 판단된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향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3 is an empty space in which to park by calculating the length and width of the predetermined area,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sends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irradiate light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of the SBL. and a driving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142 to make a special mark on the pattern of light is applied to the DMD 14 . As shown in Fig. 9, in the SBL of the vehicle 3, light is irradiat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3, and when the irradiated light is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the pattern of the arrow is formed by the DMD 14 on the road surface. is displayed in And the direction of the arrow points toward an empty space in which the determined vehicle 3 can park.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표시될 때, DMD(14)에 포함된 마이크로 미러(141) 또한 상기 화살표의 무늬에 대응되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살표의 무늬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미러(141)는 전압이 차단(Off)된다. 따라서 리플렉터(132)에서 반사되어 마이크로 미러(141)로 입사된 입사광이 렌즈(133)로 입사하지 않고 무효 빛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살표의 무늬를 제외한 배경에 대응되는 마이크로 미러(141)는 전압이 인가(On)된다. 따라서 리플렉터(132)에서 반사되어 마이크로 미러(141)로 입사된 입사광은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133)로 입사한다.As shown in FIG. 10 , when an arrow indicating a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the micromirror 141 included in the DMD 14 is also driven to correspond to the pattern of the arr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of the micromirror 141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arrow is cut off (Off). Accordingly,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and incident on the micromirror 141 does not enter the lens 133 and becomes invalid ligh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is applied (On) to the micromirror 141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except for the pattern of the arrow. Accordingly, the incident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2 and incident on the micromirror 141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and is incident on the lens 133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가이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arking guid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전자가 차량(3)을 주행하는 도중(S1101)에는 주행모드를 유지한다(S1102). 그러나 주차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된 경우(S1103)에는 주차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1104).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BL은, 차량(3)이 일반적인 주행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차량(3)이 교차로 또는 좌, 우회전도로에서 차량(3)을 좌, 우회전하면 자동으로 해당 방향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차량(3)이 주차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차량(3)의 주행모드 또는 주차모드 여부에 따라 SBL의 역할이 달라지게 된다. 주차모드로 진입한 후에는 감지 모듈(11)이 차량(3)이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을 찾는다(S1105). 그리고 감지 모듈(11)에 의해 빈 공간이 감지되면(S1106), 전자 제어 유닛(ECU)(12)이 이를 계산하여 주차할 수 있는 빈 공간인지 판단한다. 상기 빈 공간이 주차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유닛(ECU)(12)은 상기 광원부(131)와 DMD(14)에 각각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S1107). 구체적으로, 광원부(131)에는 광을 조사하도록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고, DMD(14)에는 상기 광이 노면에 투영되면 광의 패턴에 특별한 표시를 하도록 액츄에이터(142)를 구동시키는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별한 표시는 화살표인 것이 바람직하다.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3 (S1101), the driving mode is maintained (S1102).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parking is necessary (S1103), the parking mode is entered (S1104). At this time, in the SB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3 is in a general driving mo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3 turns left or right at an intersection or a left and right turn road, It automatically irradiates light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However, when the vehicle 3 enters the parking mode, it serves to irradiate light toward an empty space for parking. That is, the role of the SBL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vehicle 3 is in a driving mode or a parking mode. After entering the parking mode, the detection module 11 finds an empty space in which the vehicle 3 can park (S1105). And when an empty space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11 ( S1106 ),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calculates this and determines whether an empty space is available for park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pty space can be park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2 applies a command signal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and the DMD 14, respectively (S1107). Specifically,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is applied to the light source unit 131 to irradiate light, and when the light is projected on the road surface, the DMD 14 receives a driving command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142 to make a special mark on the light pattern. approve The special ind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arrow.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주차 가이드 장치 2: 물체
3: 차량 11: 감지 모듈
12: 전자 제어 유닛(ECU) 13: 램프
14: DMD 111: 레이저 송신부
112: 레이저 검출부 113: 렌즈
131: 광원부 132: 리플렉터
132a: 제1 리플렉터 132b: 제2 리플렉터
133: 렌즈 141: 마이크로 미러
142: 액츄에이터
1: Parking guide device 2: Object
3: Vehicle 11: Detection module
12: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3: lamp
14: DMD 111: laser transmitter
112: laser detection unit 113: lens
131: light source 132: reflector
132a: first reflector 132b: second reflector
133: lens 141: micro mirror
142: actuator

Claims (11)

주차모드로 진입하면 차량 주위의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이 상기 주차할 공간을 감지하면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조사된 광의 일부에서 상기 주차할 공간을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미러부재;
상기 감지 모듈을 통해 주차할 공간을 판단하고, 상기 미러부재에게 구동 명령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램프에게 광 조사 명령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주차 가이드 장치.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parking space around the vehicle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a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when the sensing module detects the parking space;
a mirror member mounted inside the lamp and driven to display the parking space in a portion of the irradiated ligh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parking space through the sensing module, applying a driving command signal to the mirror member, and applying a light irradiation command signal to the lam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차량의 헤드 램프의 측면에 배치되어 차량이 좌, 우회전시 회전 방향으로 전등되는 SBL인, 주차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mp is
A parking guide device, which is an SBL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vehicle's headlamp and light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the vehicle is left or r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원거리 물체 감지 센서인, 주차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ion module is
A remote object detection sensor, a parking guid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라이다(LIDAR)인, 주차 가이드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etection module is
A parking guide device, which is a LIDAR that detects objects using a la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BL은,
주행모드인 경우에는 주행 도중 차량이 좌, 우회전시 회전 방향으로 점등되고, 상기 주차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차할 공간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주차 가이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BL is
In the case of the driving mode, the vehicle is turned 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when the vehicle is left or right while driving, and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the parking guide devic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park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듈에 의해서 기준되는 두 차량을 감지하고,
두 차량에 의해 전달되는 시간보다 크면 주차공간으로 판단하는 주차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Detect two vehicles as referenced by the detection module,
A parking guide device that judges a parking space if it is greater than the time transmitted by the two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재는,
상기 조사된 광의 일부에서 상기 주차할 공간을 화살표 모양으로 표시하도록 구동되는, 주차 가이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irror member,
A parking guide device that is driven to indicate the parking space in an arrow shape in a part of the irradiated l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BL은,
광원, 렌즈, 광원에 의한 광을 반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플렉터에 의한 반사광을 렌즈로 굴절시키는 보조 리플렉터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리플렉터는,
DMD로 형성된, 주차 가이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BL is
a light source, a lens, and at least one reflector for reflecting light by the light source; and
Comprising an auxiliary reflector for refracting the light reflected by the at least one reflector to the lens,
The auxiliary reflector is
A parking guide device formed from DM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모듈이 상기 주차할 공간을 형성하는 사물들과 상기 차량의 거리를 각각 감지하면,
상기 거리들을 기초로 상기 주차할 공간에 주차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산하여 판단하는, 주차 가이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sensing module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forming the parking space and the vehicle,
A parking guide device for calculating and determining whether to park in the parking space based on the distanc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의 광축에 대해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광축에 대해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리플렉터에 의한 반사광은,
DMD로 반사되며,
상기 DMD로 반사된 광 중 일부는 렌즈로 조사하고, 다른 일부는 렌즈를 조사하지 않는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주차 가이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flector
a first reflector disposed above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and a second reflector disposed below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source,
The reflected light by the first reflector,
Reflected by DMD,
Part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DMD is irradiated to the lens, and the other part is reflected in a direction not irradiating the lens, parking guid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에 의한 반사광은 렌즈로 직접 투과되는 주차 가이드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arking guide device in which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reflecto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lens.
KR1020150191678A 2015-12-31 2015-12-31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KR1024210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678A KR102421054B1 (en) 2015-12-31 2015-12-31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678A KR102421054B1 (en) 2015-12-31 2015-12-31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01A KR20170080301A (en) 2017-07-10
KR102421054B1 true KR102421054B1 (en) 2022-07-14

Family

ID=5935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678A KR102421054B1 (en) 2015-12-31 2015-12-31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0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725A (en)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Parking facility
JP2015108261A (en) 2013-12-05 2015-06-11 新明和工業株式会社 Vehicle position detector and vehicle guiding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9409A (en) 2007-06-13 2008-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1460724B1 (en) * 2012-03-19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reof
KR101401399B1 (en) * 2012-10-12 2014-05-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arking Assist Apparatus and Parking Assist Method and Parking Assist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725A (en) 2008-01-17 2009-07-30 Toyota Motor Corp Parking facility
JP2015108261A (en) 2013-12-05 2015-06-11 新明和工業株式会社 Vehicle position detector and vehicle guiding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01A (en)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6920B2 (en) LIDAR system and method
US11333743B2 (en) Lamp device, sensor system, and sensor device
JP6697636B2 (en) LIDAR system and method
US7350945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driving conditions for a motor vehicle
CN105270254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f at least one headlight of a vehicle
CN108859933B (en) Bulb for vehicle and vehicle
US8408765B2 (en) Light distribution pattern control using object detection and electrowetting lenses
JP5779028B2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ans for headlamp
JP6565806B2 (en) Camera system
US109608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display of a pictogram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a disruption in front of the vehicle
WO20170197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ght and image projection
US20120134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for vehicles
US20110228089A1 (en) Method for detecting vehicle lights and retroreflectors with a camera system
EP3584117B1 (en) Vehicle lamp to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lamp tool
JP5361901B2 (en) Headlight control device
JP2021500573A (en) Optical sensor system
CN113785248A (en) Exterior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376052B2 (en) Method for estimating a roadway cour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emission of at least one headlight of a vehicle
JP2020093600A (en) Reflected light detection device, reflected light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2421054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king Guide
KR20210085971A (en) Lamp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136107A (en) An automobile
KR1012323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for vehicles
JP6730174B2 (en) Vehicle lighting system
CN116714509A (en) Vehicl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