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699B1 -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699B1
KR102418699B1 KR1020210145694A KR20210145694A KR102418699B1 KR 102418699 B1 KR102418699 B1 KR 102418699B1 KR 1020210145694 A KR1020210145694 A KR 1020210145694A KR 20210145694 A KR20210145694 A KR 20210145694A KR 102418699 B1 KR102418699 B1 KR 10241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giver
patient
signal
termi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14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on a bio-signal from a smart device of a patient; comparing the received data with a comparison pattern; transmi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a caregiver terminal of a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hen a comparison valu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and, if a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ransmitting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디바이스나 스마트밴드처럼 장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환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환자의 응급상황을 정확히 판단하여 응급상황이 조기에 해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and more specifical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a patient using a smart device or smart band mounted smart device, the patient's smart device It relates to a method for accurately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based on a received signal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resolved early, and a management serv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2019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대한민국의 국민의 평균 기대수명은 83세로서, 이미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위와 같이, 평균 기대수명이 크게 늘어나면서, 국가의 전체 인구에서 장년층,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은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평균 기대수명이 늘어났더라도 노년층은 실질적으로 병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것은 불가피하고, 거동이 불편하거나 중증 질환으로 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노인들을 돌보는 간병인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in 2019,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s is 83 year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s described above,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in the total population of the country is also showing a fairly high figure. Even if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it is inevitable that the elderly will actually need help from a hospital, and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ho are inconvenient or need protection due to serious diseases increases, the caregiver industry to take care of the elderly naturally developed.

최근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간병인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는 25만명이 넘으며, 향후 간병인의 고용률은 계속 올라갈 전망이라고 해석된다. 전통적인 개념의 가족의 해체는 독거노인가구를 폭증시켰고, 의료보험보장 범위의 확대에 따라 간병인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의견이다.According to recent statistics, there are over 250,000 workers in Korea as caregivers,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employment rate of caregivers will continue to rise in the future. The disintegration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family has exploded in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living alone, and experts are of the dominant opinion that the demand for caregivers will continue to increase along with the expansion of medical insurance coverage.

그러나, 간병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간병인의 업무가 환자를 보조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특성을 가지는 바, 간병인은 낮은 직무 만족도를 가질 수 밖에 없으며, 간병인의 급여가 체납되는 경우도 많은 실정이다. 간병인은 근무를 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보험료를 연간 납부하는데, 연속적이고 장기적인 근무가 불가능한 업무여건에 의해서, 급여를 지급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험료만 먼저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도나 사업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However, despite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caregivers, the caregiver's job has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the task of assisting the patient, so the caregiver has no choice but to have low job satisfaction, and the caregiver's salaries are often arrears. to be. A caregiver pays insurance premiums annually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ve worked, but due to work conditions that make continuous and long-term work impossible, there are often situations in which only insurance premiums have to be paid first without being paid. I need a variety of research on business methods.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가 빠르게 발전하고 보급률도 증가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환자 및 간병인들도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환자의 조기회복에 도움을 주며, 간병인의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간병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rapid development and penetration of smart devices, the number of patients and caregivers who use smart devices is also increas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work, there is a need for skills that can help caregive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0741호 (2021.03.22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30741 (Announcement on March 22,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신호와 그 신호 다음에 후속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서 환자의 응급상황을 빠르게 탐지하여 환자의 건강상태가 악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detect a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signal received through a smart device and a signal subsequently received after the signal to minimize the time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deteriorates.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management serv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로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환자에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에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about a biosignal from a patient's smart device; comparing the received data with a comparison pattern; transmi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a caregiver terminal of a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hen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and if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ransmitting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 단말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method, 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a specified time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 단말 외에 상기 간병인 단말에도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the method, in the transmitting of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in addi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간병인 및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포함되고, 기설정된 앱을 통해 접근가능한 대화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대화방이 있으면, 상기 대화방에 제2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method,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whether there is a chat room including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of the patient and accessible through a preset app , and if there is the chat room,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that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s displayed in the chat room.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림출력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간병인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에 시각적출력 및 청각적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In the above method, the notification message may be output in at least one of visual output and auditory output to the caregiver terminal and the guardian terminal, ignoring the notification output setting preset in the chat room.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로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환자에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일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상기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간병일지의 호출이 오면, 상기 보호자 단말에 상기 간병일지 정보 및 상기 추가된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이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일지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about a biosignal from a patient's smart device; comparing the received data with a comparison pattern; transmi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a caregiver terminal of a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hen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receiving care diary information for the patien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adding a transmission history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 diary information; And when a call for a care diary comes from a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protector of the patient, transmitting the diary data so that the care diary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added first notification signal are output together to the caregiver terminal; include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포함된 간병일지의 양식(form)이 체크리스트(check list)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이 체크리스트라면, 상기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을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form of a care diary included in the care diary information is a check list; and if the form of the care diary is a checklist, converting the form of the care diary into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based on a keyword included in the checklist.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포함된 간병일지의 양식이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이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라면, 상기 문서의 양식을 상기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체크리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form of a care diary included in the care diary information is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and if the form of the care diary is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converting the form of the document into a checklist based on keywords included in the document; may further inclu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는, 간병인 단말 및 보호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 및 제1 알림신호 및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상기 환자의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송신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aregiver terminal and the guardian terminal;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data to be transmitte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wherein the processing unit compar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with a comparison pattern, and when the comparison result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output unit calculate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processe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be transmitted to a caregiver terminal of the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and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he caregiver If it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may process to transmit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used by the patient's guardi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자의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빠르게 응급상황의 발생사실을 전달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가 더 악화되기 전에 환자를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a patient, the patient can be saved before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deteriorates further by quickly commun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to the caregiver and guardian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의 업무를 보조할 수 있게 되어, 간병인이 다른 업무로 인해 자리를 비우더라도, 간병인은 환자의 응급상황 발생사실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work of a caregiver taking care of a patient, so that even if the caregiver is away for other tasks, the caregiver can quickly recogniz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보호자는 간병일지에 기록된 추가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건강상태 변화 및 간병인의 근무 적정성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of the patient can quickly determine the change in the patient's health statu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regiver's work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care diary.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의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간병인과 보호자가 속해있는 대화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대화방에 출력된 제2 알림신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관리서버에 의해 변환되는 간병일지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었을 때의 간병인 공고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3 .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guardian described in FIG. 5 belon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output to a chat room.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re diary converted by a management server.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aregiver announcemen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without limiting the meaning.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ar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전체 시스템(1)은 관리서버(200)에 환자 단말(110),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전체 시스템(1)은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으로 약칭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entir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smart device includes a patient terminal 110 , a caregiver terminal 130 , and a guardian terminal 15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have a connected structure. Hereinafter, the entire system 1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smart device will be abbreviated as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

환자 단말(110)은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에 포함된 관리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 단말(110)은 환자의 손목에 장착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111) 및 스마트 디바이스(1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가공하여 관리서버(200)에 송신하는 스마트폰(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tient terminal 110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 As shown in FIG. 1 , the patient terminal 110 includes a smart device 111 that can be mounted on the patient's wrist and a smart phone 113 that process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111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 may be included.

먼저, 스마트 디바이스(111)는 환자의 손목에 장착되어 환자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호를 스마트폰(113) 또는 관리서버(2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스마트 디바이스(111)가 환자의 손목에 장착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은 환자 단말(110)의 종류를 특정한 종류로 한정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손목이 아닌 다른 부위에 장착된 각종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도 스마트 디바이스(111)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First, the smart device 111 is mounted on the patient's wrist, collects biosignals genera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from the patien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signals to the smart phone 113 or the management server 200 . d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lthough it has been said that the smart device 111 is mounted on the patient's wris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type of the patient terminal 110 to a specific type, so various wearables mounted on a part other than the patient's wrist A (wearable) device is also considered to be equivalent to the smart device 111 .

일반적으로 환자로부터 수집되는 생체신호를 분석하면,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다양하게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면, 환자의 맥박, 환자의 최고혈압값 및 최저혈압값, 환자의 심전도검사결과(ECG), 환자의 혈당 등을 알 수 있다. 특히, 과거에는 환자의 혈당을 알아내기 위해서, 반드시 환자의 혈액이 필요하였으나, 최근에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을 이용하여 비침습적 방법을 통해 환자의 혈당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어, 스마트 디바이스에도 구현되었으며, 본 발명은 환자의 혈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가 환자 단말(110)을 통해 수집되는 실시 예를 포함한다.In general, by analyzing the bio-signals collected from the patient, the patient's health statu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by analyzing the patient's biosignals, the patient's pulse, the patient'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values, the patient's electrocardiogram (ECG), and the patient's blood sugar can be found. In particular, in the past, to find out the patient's blood sugar, the patient's blood was absolutely necessary, but recently,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atient's blood sugar through a non-invasive method using Raman spectroscopy has been introduced. It has been implemented in a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bodiment in which a bio-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patient's blood sugar is collected through the patient terminal 110 .

본 발명에서, 스마트 디바이스(111)는 통신망(170)을 통해 직접 관리서버(200)에 수집된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고성능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폰(113)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수집된 생체신호를 스마트폰(113)에 전달하는 스마트밴드(smart band)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11)가 관리서버(200)에 직접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111)가 수집한 데이터가 스마트폰(113)을 경유하여 관리서버(200)에 송신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111 is a high-performanc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bio-signals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directly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70, as well as the smart phone 113 and the local area network. It is connected and includes a smart band that transmits the collected bio-signals to the smart phone 113 .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device 111 may transmit data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smart device 111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 113)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간병인 단말(130)은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에 포함된 각 구성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간병인 단말(130)은 간병인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장치, 간병인 단말(130)의 입력이나 단말의 처리결과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장치(디스플레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의미하므로, 전술한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통신모듈만 포함하고 있다면, 크기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aregiver terminal 130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 The caregiver terminal 130 includes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the input of the caregiver, an output device (display) for visually outputting the input of the caregiver terminal 130 or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Since it means a smart device, it is not limited in size or type as long as it includes only the above-described input device, output device and communication module.

보호자 단말(150)은 환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환자의 보호자에 대응되는 단말을 의미하고, 간병인 단말(130)과 마찬가지로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에 포함된 각 구성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150 means a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guardian of the patient using the patient terminal 110 , and, like the caregiver terminal 130 , transmits/receives data to and from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 I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capable communication module.

일 예로서, 도 1에서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은 스마트폰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구현될 때의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은 스마트폰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PC)처럼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기기나,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C), 넷북과 같은 휴대용 단말이 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alth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caregiver terminal 150 in FIG. 1 are shown in the form of a smartphone,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caregiver terminal 150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s limited to a smart phone. It may be a device installed in a fixed location like a general personal computer (PC), or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or netbook.

관리서버(200)는 통합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된 서버로서,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에 포함된 나머지 구성들과 통신하면서, 데이터흐름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관리서버(200)에는 통합관리 프로그램(통합관리앱)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통합관리 프로그램의 일부는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서 구동되는 클라이언트(client) 형태로 구현되어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설치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is a server on which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is installed, and means a server that manages and controls data flow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remain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integrated management app) is install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ar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is in the form of a client running in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It may be implemented and installed in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환자 단말(110)을 제1 그룹,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을 제2 그룹으로 분류했을 때, 본 발명은 관리서버(200)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1 그룹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2 그룹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론을 포함한다.When the patient terminal 110 is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into the second group, the management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a methodology for processing the data generated in the first group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cond group.

통신망(20)은 환자 단말(110),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과 관리서버(200)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망, 이동통신망, 인터넷 등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patient terminal 110,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include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a data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ca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별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관리서버의 일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nagement server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30), 처리부(25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it can be seen that the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210 , a communication unit 230 , a processing unit 250 , and an output unit 27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00) 및 관리서버(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부(230), 처리부(250), 출력부(27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or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 the processing unit 250 , and the output unit 270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are driven in a form included in a hardware device such as a microprocessor or general-purpose computer system. can be

도 2에 도시된 관리서버(200)에 포함된 각 모듈의 명칭은, 각 모듈이 수행하는 대표기능을 직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임의로 명명된 것으로서, 관리서버(200)가 실제로 구현되었을때, 각 모듈에는 도 2에 기재된 명칭과는 다른 명칭이 부여될 수 있다. The name of each module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shown in FIG. 2 is arbitrarily named to intuitively explain the representative function performed by each module. When the management server 200 is actually implemented, each module may be given a name different from the name shown in FIG. 2 .

또한, 도 2의 관리서버(200)에 포함되어 있는 모듈의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매번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관리서버(200)는 총 3개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이 둘 이상의 모듈로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modules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of FIG. 2 may vary each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200 of FIG. 2 includes a total of three modules,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wo or more modules are integrated into one module, or at least one or more modules are separated into two or more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데이터베이스(210)는 관리서버(200)가 동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일 예로서, 데이터베이스(210)는 관리서버(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10)는 통신부(230)가 환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210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operate. As an example, the database 210 stores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 and the database 210 receives th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30 from the patient terminal 110 . can be saved

통신부(230)는 환자 단말(110),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the patient terminal 110 , the caregiver terminal 130 ,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처리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부(250)가 처리하는 데이터는 환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processing unit 250 processes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30 and data to be transmitted. The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250 includes data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caregiver terminal 150 as well as data received from the patient terminal 110 .

일 실시 예로서, 처리부(250)는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11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처리부(250)는 비교한 결과(비교값)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후술하는 출력부(270)에서 산출된 제1 알림신호를 통신부(230)에 전달하여, 통신부(230)가 간병인 단말(13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통신부(230)가 보호자 단말(150)에 출력부(270)에서 산출된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대한 도식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s an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250 may compare the data received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111 with the comparison pattern, and determine whether the comparison result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mparison result (comparison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processing unit 250 transmits a first notifica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output unit 270 to the communication unit 2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 At this time, if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calculated by the output unit 270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 A schemat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

출력부(270)는 처리부(250)의 명령을 받아서 각종 데이터를 산출하고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출력부(270)는 제1 알림신호 및 제2 알림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알림신호는 환자의 응급상황이 감지되었을 때, 이 사실을 간병인에게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고, 제2 알림신호는 제1 알림신호를 간병인이 수신하고 나서 여전히 환자의 응급상황이 개선되지 않았을 경우에 출력부(270)에서 출력되어 보호자 단말(150)에 송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The output unit 270 receives a command from the processing unit 25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alculating and outputting various data. As an example, the output unit 270 may calculate a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means a signal for notifying the caregiver when a patient's emergency is detected, and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s a signal for notifying the caregiver after the caregiver receive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t means a signal that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270 and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when there is no improve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응급상황 판별 시스템(1)에서 특히, 관리서버(200)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데이터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도 3은 도 2에서 설명한 관리서버(200) 및 관리서버(200)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3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low of data in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system 1 described in FIG. 1 , in particular, based on the management server 200 . In other words, FIG. 3 may be implement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management server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Hereinafter,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decide to do

통신부(230)는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1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310). 단계 S310에서, 통신부(230)가 수신하는 신호는 스마트 디바이스(111)가 아니라 스마트폰(113)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111 (S310). In step S310 ,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the smart phone 113 rather than the smart device 111 .

처리부(250)는 수신된 신호를 비교패턴과 비교하여 분석한다(S320).The processing unit 250 compares and analyzes the received signal with the comparison pattern (S320).

처리부(250)는 단계 S320에서 비교결과를 비교값으로 산출하고,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30),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간병인 단말(130)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한다(S340). 단계 S340에서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것은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111)에 수집된 생체신호를 처리부(250)가 분석했을 때, 환자의 혈압이 지나치게 높거나, 환자의 혈당이 갑자기 떨어져서 저혈당쇼크가 온 경우, 제1 알림신호가 간병인 단말(130)에 송신될 조건이 된다. 전술한 고혈압, 저혈당쇼크 외에 다양한 증상이 처리부(25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250 calculates the comparison result as a comparison value in step S320, determines whether the calculated comparison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S330), and when the calculated comparison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A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S340). When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in step S340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it may mean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patient. For example, when the processing unit 250 analyzes the biosignals collected in the smart device 111, when the patient's blood pressure is too high or the patient's blood sugar suddenly drops and a hypoglycemic shock occur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he caregiver It becomes a condi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30 .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hypertension and hypoglycemic shock, various symptoms may be determined by the processing unit 250 .

또한, 처리부(250)는 출력부(270)에 제1 알림신호를 산출하라는 명령을 전달하고, 출력부(270)에서 출력된 제1 알림신호를 통신부(230)가 간병인 단말(1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통신부(230), 처리부(250) 및 출력부(270)가 하나의 모듈(SoC)을 구성한다면, 처리부(250)에서 전술한 모든 과정을 통합처리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알림신호 및 제2 알림신호는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200)에서 출력부(270)는 생략될 수 있다.Also, the processing unit 250 transmits a command to calculate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put unit 27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unit 270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 If the communication unit 230 , the processing unit 250 , and the output unit 270 constitute a single module (SoC), the processing unit 250 may integrate all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may be stored as data in advance in the database 210 , and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270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be omitted.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처리부(250)는 스마트 디바이스(1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일정시간내에 수신되는 신호까지 분석한 결과로 제1 알림신호가 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는, 하루 기준으로 환자의 건강상태가 여러번 악화되더라도 환자의 옆에 간병인이 있어서 빠르게 악화상태가 해소될 수 있는 상황에서는 제1 알림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1 알림신호의 출력에 유예시간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부(250)에는 제1 알림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일정시간(유예시간)의 값(value)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250 may control so that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calculated as a result of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mart device 111 and then analyzing the signal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optional embodiment, even if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deteriorates several times per day,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output in a situation in which the worsening condition can be quickly resolved because there is a caregiver beside the patient. It is characterized by giving a grace time. A value of a predetermined time (grace time) may be preset in the processing unit 250 as a condition for calculating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처리부(250)는 단계 S340에서 간병인 단말(130)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지정된 시간내에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350),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각각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70). 단계 S370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370의 다른 예로서, 처리부(250)는 제2 알림신호를 보호자 단말(150)에만 송신할 수도 있고, 간병인 단말(130)에 먼저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보호자 단말(150)에 송신할 수도 있다.After transmitting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in step S340, the processing unit 250 determines whether a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within a specified time (S350), and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caregiver terminal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respectively (S370). Step S37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mbodiments. As another example of step S370, the processing unit 250 may transmit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only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and after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first,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the guardian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50 .

또한, 단계 S350의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확인신호도 제1확인신호 및 제2확인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부(250)는 간병인 단말(130)에서 제1확인신호를 수신한 것을 단순히 제1 알림신호를 수신했다는 취지로 이해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추가적으로 간병인 단말(130)으로부터 제2확인신호를 수신하면, 환자에게 발생된 응급상황이 해소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서 처리부(250)는 제2확인신호와 함께 현재 시점에서의 환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여 분석하고, 환자의 건강상태가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기 전보다 월등히 나아진 것을 확인한 후에, 환자에게 발생된 응급상황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하여 후술하는 대기모드(S360)로 전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of step S350, the confirmation signal may also be divided into a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a second confirmation signal. Specifically, the processing unit 250 understands that the reception of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simply means that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is additionally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to the patient has been resolved. In this optional embodiment, the processing unit 250 additionally receives and analyzes information on the patient's biosignal at the current time together with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nd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is significantly better than before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After confirming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caused to the patient has been resolved, and it may be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S3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처리부(250)는 수신된 신호를 비교패턴과 비교분석하여 비교값을 산출하고, 그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다시 특정한 생체신호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어 수신될 때까지 관리서버(200)에 포함된 각 모듈이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60).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단계 S360은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거나, 수집된 생체신호로 산출되는 비교값이 임계값 이하라서, 환자의 응급상황이 전혀 감지되지 않을 때에 관리서버(200)가 대기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의미한다.The processing unit 250 compares and analyzes the received signal with a comparison pattern to calculate a comparison value, and if the comparison value does not exceed a preset threshold, information on a specific biosignal is generated and received again in the patient's smart device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module includ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wait until it becomes (S360). As shown in FIG. 3 , in step S360 , a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 or a comparison valu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bio-signals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so the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is not detected at all. It means a step in which the management server 200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when it does not work.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환자의 응급상황이 탐지되었을 때, 환자의 간병인에게 1차적으로 응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확인신호가 관리서버(200)에 수신되는 경우처럼 간병인의 빠른 대처가 없을 경우, 2차적으로 보호자에게 알려서 환자의 응급상황이 빠르게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실시 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제2 알림신호를 보호자뿐만 아니라 간병인에게도 송신하여 간병인이 환자를 도와 응급상황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한번 더 부여하고, 보호자 입장에서는 환자의 상태회복을 조기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when a patient's emergency situation is detected based on the patient's biosignal, the patient's caregiver is given an opportunity to primarily resolve the emergency situation, and a confirmation signal When there is no quick response by the caregiver, as in the case in which the .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not only to the caregiver but also to the caregiver to give the caregiver an opportunity to help the patient and resolve the emergency situation once more, and the caregiver to restore the patient's condition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early.

도 4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3 .

도 4는 간병인 단말(130)에 제1 알림신호가 송신되었을 때, 간병인 단말(13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렌 아이콘과 함께 간병인에게 1차 알림신호가 감지되었다는 안내문구가 간병인 단말(130)에서 출력되고, 이를 확인한 간병인은 '예'버튼(410), '아니오'버튼(430) 및 '즉시확인'버튼(450) 중 어느 하나에 입력을 가하여, 입력에 대응되는 페이지가 간병인 단말(13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4 exemplarily illustrates a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caregiver terminal 130 when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 Referring to FIG. 4 , a notice indicating that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has been detected to the caregiver along with the siren icon is outpu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caregiver who has confirmed this outputs a 'Yes' button 410, a 'No' button 430 And by applying an input to any one of the 'immediate confirmation' button 450 , a page corresponding to the input may be output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

일 예로서, 간병인이 '예'버튼(410)에 입력을 가하면, 신호확인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확인 페이지에는 환자의 GPS상의 위치, 환자가 현재 겪고 있는 응급상황의 추정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 caregiver applies an input to the 'Yes' button 410, a signal confirmation page may be output.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the signal confirmation page may include the patient's GPS location, estimat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the patient is currently experiencing, and the like.

다른 예로서, 간병인이 '아니오'버튼(430)에 입력을 가하면, 신호확인 페이지는 출력되지 않고,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관리서버(200)로 확인신호가 송신되지도 않는다. 간병인은 이후에 출력되는 고객센터나 보호자의 전화번호로 연락을 해서 후속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regiver applies an input to the 'No' button 430 , a signal confirmation page is not output, and a confirma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Caregivers can take follow-up measures by contacting the customer center or the guardian's phone number, which is printed later.

또 다른 예로서, 간병인이 '즉시확인'버튼(450)에 입력을 가하면, 신호확인 페이지는 출력되지 않지만 관리서버(200)로 즉시 확인신호가 송신된다. 이 경우는, 간병인이 환자 바로 옆에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일시적으로 건강상태가 나빠질 경우에 발생가능한 사례이며, 간병인은 신호확인 페이지의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관리서버(200)에 확인신호를 보내서 응급상황을 종료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aregiver applies an input to the 'immediate confirmation' button 450 , a signal confirmation page is not output, but an immediate confirm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In this case, it is a case that can occur when the patient temporarily deteriorates in a state where the caregiver is right next to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sends a confirmation signal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It can end an emergency.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단계 S310 내지 S350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escription of steps S310 to S350 in FIG. 5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in FIG. 3 and thus will be omitted.

처리부(250)는 지정된 시간 내에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간병인과 보호자가 속해있는 대화방에 통신망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0).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within the specified time, the processing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access to the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belong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510).

간병인과 보호자가 속해있는 대화방이란, 간병인과 보호자가 메시지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고,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앱)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간병인과 보호자가 속해있는 대화방에서는 간병인과 보호자가 메시지 입력을 통해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관리서버(200)의 개입이 불가능하다. The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belong means a space where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can communicate by message, and may be implemented by an application (app) installed in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In the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belong,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can communicate through message input,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cannot intervene in a general situation.

다만,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응급상황을 간병인과 보호자에 조속하게 알리고, 환자의 건강상태를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해서,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지정된 시간내에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간병인과 보호자가 모두 속해있는 대화방에 경고 메시지 또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시킬 수 있다(S530). 단계 S530를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서,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설치된 대화방 앱은 관리서버(200)에서 배포되어 관리서버(200)와 연동가능한 클라이언트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f a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within a specified time in order to promptly notify the caregiver and the caregiver of the patient's emergency and quickly recover the patient's health, both the caregiver and the protector belong A warning message or a notification message may be output to the chat room in which there is (S530). In order to smoothly implement step S530, the chat room app installed on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is distribu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is preferably a client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간병인과 보호자가 속해있는 대화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guardian described in FIG. 5 belong.

도 6의 (A)는 간병인이 대화를 나누었던 보호자들 목록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서 간병인이 환자 C의 보호자 D에 입력을 가해서 입장가능한 대화방에서 이루어진 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는 간병인을 기준으로 설정된 대화방목록이지만, 보호자를 기준으로 설정된 대화방목록도 도 6의 (A)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Fig. 6 (A) is a list of guardians with whom the caregiver had a conversation, and Fig. 6 (B) is a conversation made in a chat room where the caregiver inputs input to the guardian D of patient C in FIG. 6 (A). shown as an example. 6(A) is a chat room list set based on the caregiver,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hat room list set based on the guardian also has a form similar to that of FIG. 6(A). .

도 7은 대화방에 출력된 제2 알림신호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output to a chat room.

도 7의 (A)는 제2 알림신호에 따른 알림 메시지(710)가 간병인과 보호자 B가 속해있는 대화방에 방금 출력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7A exemplarily illustrates that the notification message 710 according to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has just been output to the chat room to which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B belong.

도 7의 (B)는 도 7의 (A)에서 간병인이나 보호자 B가 대화방에 입장했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알림 메시지(73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2 알림신호는 간병인이나 보호자 B와는 독립적인 주체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로 가공되며, 간병인 및 보호자 B는 대화방에 출력된 알림 메시지를 빠르게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FIG. 7B illustrates a visual notification message 730 that can be checked when the caregiver or guardian B enters the chat room in FIG. 7A . Referring to (B) of FIG. 7 ,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is processed into a message input by a subject independent of the caregiver or guardian B, and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B can quickly check and respond to the notification message output to the chat room. do.

도 7의 (B)의 확장적인 실시 예로서, 대화방에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면서 청각적인 효과가 추가될 수 있으며, 추가되는 청각적인 효과는 환자의 응급한 정도에 따라서, 대화방에 미리 설정된 알림 설정을 무시하고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출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병인 및 보호자가 대화방의 알림출력 설정을 OFF로 하고 있더라도, 제2 알림신호에 따라 대화방에 알림 메시지(또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될 때에는 일시적으로 대화방의 설정을 무시하고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구성된 메시지가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As an extended embodiment of FIG. 7B , an auditory effect may be added while a notification message is output to the chat room, and the added auditory effect may include a notification setting preset in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patient's emergency level. It may be ignored and output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For example, even if the caregiver and guardian turn off the notification output setting of the chat room, when a notification message (or warning message) is output to the chat room according to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he chat room setting is temporarily ignored and visual or auditory A message configured as an enemy may be output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판별 방법의 또 다른 일 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간병인이 환자를 간병하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간병일지를 작성하는 것을 전제로 한 실시 예이다. 간병인이 작성한 간병일지는 관리서버(200)에 전달되어 가공되고, 가공된 간병일지가 보호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을 통해 간병인의 간병일지를 작성하는 부담을 줄이고, 보호자는 알고 싶은 정보가 추가되어 있는 간병일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내용이 없다면, 도 3과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되는 것으로 간주한다.8 is an embodiment on the premise that a caregiver creates a care diary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while caring for a patient. The care log written by the caregiver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for processing, and the processed care log is delivered to the caregiver,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writing the care diary for the caregiver. You can check the diary.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same process as that of FIG. 3 is performed unless there is an explicit objection in the description of FIG. 8 .

먼저, 환자에 대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처리부(250)는 제1 알림신호를 산출하여 간병인 단말(130)에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230)는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제1 알림신호는 이전에 수신된 환자의 생체신호를 기반으로 작성되므로, 처리부(250)는 제1 알림신호를 통해 환자의 생체신호가 어떻게 변화했고 그 변화에 대해서 어떠한 결과가 추정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First, when an emergency situation for the patient occurs, the processing unit 250 calculates a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controls it to be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a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 can At this time, since the calculated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ly received patient's bio-signal, the processing unit 250 determines how the patient's bio-signal changed through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what results are estimated for the change. information can be judged.

처리부(250)는 출력부(270)로부터 제1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한 후, 통신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S810). 이 과정에서 제1 알림신호를 분석한 결과는 처리부(250) 또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다.The processing unit 250 may receive and analyze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output unit 270 , and then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230 ( S810 ). In this proces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stored in the processing unit 250 or the database 210 .

이어서, 통신부(230)는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간병일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20).Then,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the care diary information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S820).

처리부(250)는 단계 S820에서 수신한 간병일지 정보에 제1 알림신호의 분석결과를 추가한다(S830).The processing unit 250 adds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 diary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820 (S830).

처리부(250)는 보호자 단말(150)로부터 간병일지를 호출하는 신호가 수신되면(S840), 보호자 단말(150)에 간병일지 및 제1 알림신호의 분석결과가 출력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보호자 단말(150)에 송신할 수 있다(S850).When a signal for calling the care diary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150 (S840), the processing unit 250 transmits data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to output the analysis result of the care log and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 can be transmitted to (S850).

도 9는 관리서버에 의해 변환되는 간병일지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are diary converted by a management server.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간병인은 간병인 단말(130)을 통해서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10)를 작성할 수 있다.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30)에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기분, 컨디션, 체온, 식사횟수, 수면시간, 낮잠을 잤는지 여부, 대변 및 소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caregiver may fill out a caregiver diary 910 in the form of a checklist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 The checklist form of the care diary 930 may include information on mood, condition, body temperature, number of meals, sleep time, whether or not taking a nap, stool and urine for the patient.

또한, 간병인은 간병인 단말(130)을 통해서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를 작성할 수도 있다.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는 입력방식에 특별한 제한이 없는 문서편집기를 통해서 간병인이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는 간병인이 해당 일자에 환자를 간병하면서 알게 된 정보가 복수의 문장을 통해 표현되어 있다. Also, the caregiver may create a free-form caregiver diary 930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 The free-form care log 930 can be freely created by a caregiver through a text editor that does not have any special restrictions on the input method, and in general, the free-form care log 930 is information that the caregiver learned while caring for the patient on the day. is expressed through multiple sentences.

간병인은 보호자로부터 간병일지에 반드시 기재해달라는 취지의 요청을 받고, 해당 요청에 따라 특정한 내용이 간병일지에 포함되도록 기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환자의 소변색깔과 소변횟수를 간병일지에 기재해달라고 요청하고 그에 대한 설정을 하면,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10) 및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에는 해당 항목이 추가되어 간병인이 추가된 항목을 보고 그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The caregiver receives a request from the guardian to the effect that it must be written in the care diary,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specific contents may be written to be included in the care diary. For example, if the guardian requests that the patient's urine color and frequency of urine be recorded in the care diary and sets it, the item is added to the checklist form's care log (910) and free-form care log (930) As a result, the caregiver can see the added item and wri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tem.

관리서버(200)는 간병인이 작성한 간병일지의 양식을 변환할 수 있다. 간병인이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를 작성하는 것을 선호하고, 보호자가 자유양식의 간병일지를 보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학습하여, 관리서버(200)는 간병인이 작성한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10)를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간병인이 작성한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를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10)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50)에 설치된 앱의 설정을 읽어들여서 간병인이 작성한 간병일지를 보호자가 원하는 양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convert the form of a care diary written by a caregiver. Learning that the caregiver prefers to write a checklist form of a care diary and that the guardian prefers to view a free form care diary, the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care diary 910 of the checklist form written by the caregiver. It can be converted into a free-form nursing diary (930). As anothe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convert the free-form care diary 930 prepared by the caregiver into the checklist-type care diary 910 .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read the settings of the app installed on the guardian terminal 150 and convert the care diary written by the caregiver into a format desired by the guardian.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간병인 단말(130)로부터 환자에 대한 간병일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간병일지 정보를 다른 양식으로 변환하면서,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분석결과)을 추가할 수 있다. 본 선택적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간병일지에 간병인이 환자의 응급상황이 발생된 것을 잊고 기록하지 않더라도 보호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어느 날에 응급상황이 3회 발생하여, 제1 알림신호가 간병인 단말(130)에 3회 송신되었지만, 간병인이 즉시 확인하여 제2 알림신호가 한번도 산출되지 않았더라도, 환자가 3회 응급상황을 겪은 이력정보(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가 간병일지에 자동으로 추가되어, 보호자가 간병일지를 보고 환자에게 발생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care diary information for the patien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converts the received care diary information into another form, while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alysis result) ) can be added. According to this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the caregiver even if the caregiver forgets that the patient's emergency has occurred and does not record it in the care diary. Specifically, the patient has an emergency 3 times on one day, and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3 times, but the caregiver immediately confirms it and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has never been calculated, even if the patient History information of three emergency situations (transmission history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added to the care log, so the guardian can see the care log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o the patient.

도 9를 참조하면,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10)에는 체크리스트 양식의 간병일지(930)에 대응되는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950)이 추가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에는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에 대응되는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970)이 추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간병인이 간병일지에 따로 기록하지 않더라도 간병일지에는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이 추가되며, 특히, 보호자는 자유양식의 간병일지(930)에 추가된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970)을 읽고, 2021년 8월 10일에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3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9 , a transmission history 950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ecklist-type care log 930 is added to the care diary 910 in the checklist form, and similarly, a care diary in the free form At 930 , a transmission history 970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e-form care log 930 is added. As shown in FIG. 9 , even if the caregiver does not record separately in the care diary,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added to the care diary. By reading the transmission history 970, it is possible to know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ree times to the patient on August 10, 2021.

위와 같이, 관리서버(200)는 간병일지의 양식을 상호 변환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제1 알림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간병일지에 추가함으로써, 간병인이 간병일지를 작성하는 부담감을 덜어주고, 보호자가 환자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nagement server 200 not only functions to convert the forms of the care diary, but also add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 diary,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the caregiver writing the care diary, and helping the caregiver Provide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condition.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었을 때의 간병인 공고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aregiver announcemen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0의 간병인 공고에는 간병인에게 환자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기 위한 환자정보 페이지(1000)가 포함되어 있으며, 환자정보 페이지(1000)에는 환자의 이름, 환자가 입원해있는 병원, 보호자 연락처 외에 스마트 디바이스보유여부 정보(1010), 스마트 디바이스수집 데이터 정보(1030)가 포함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보유여부 정보(1010)는 환자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O 또는 X로 기재한 정보이다. 스마트 디바이스수집 데이터 정보(1030)는 과거에 스마트 디바이스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집된 환자의 특성정보로서, 간병인이 간병인으로 근무할 때에 참고할 수 있는 간략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The caregiver notice of FIG. 10 includes a patient information page 1000 for providing the caregiver with a summary of the patient's information, and the patient information page 1000 includes the patient's name, the hospital where the patient is hospitalized, and the guardian's contact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mart phone number. Device possession information 1010 and smart device collection data information 1030 may be included. The smart device possession information 1010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patient has the smart device as O or X. The smart device collection data information 1030 is patient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llected by analyzing data collected by smart devices in the past, and includes brief information that a caregiver can refer to when working as a caregiver.

간병인은 복수의 간병인 공고들 중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환자들만 필터링하여 공고에 지원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200)는 과거의 제1 알림신호, 확인신호, 제2 알림신호 등을 기초로 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환자들에 대해서, 간병인 공고에 스마트 디바이스보유여부 정보(1010) 및 스마트 디바이스수집 데이터 정보(1030)를 더 부가할 수 있다.A caregiver can filter only patients who have a smart device among a plurality of caregiver announcements and apply for the announcement, and the management server 200 is smart based on the past first notification signal, confirmation signal, second notification signal, etc. For patients who have devices, smart device possession information 1010 and smart device collection data information 1030 may be further added to the caregiver notification.

본 발명의 선택적 일 실시 예로서, 관리서버(200)는 이하의 프로세스를 통해 간병인이 환자의 일상적인 약품 투여 행위를 효과적으로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병원에서 처방받는 전문의약품 외에 다른 기저질환 등을 다스리기 위해서 일반의약품을 약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며, 환자의 거동이 불편한 경우, 실질적으로 간병인이 환자의 전문의약품 또는 일반의약품의 사용을 보조하게 된다.As an op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allow the caregiver to effectively assist the patient's daily drug administration behavior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In general, patients purchase over-the-counter medications from pharmacies to treat other underlying diseases in addition to prescription medications prescribed at the hospital. will assist

다만, 의사나 간호사가 아니면 타인에게 의약품을 투여하는 것이 의료법상 문제될 소지가 있으므로, 차후에 문제될 소지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관리서버(200)는 간병인이 환자를 도와서 의약품을 투여할 때마다 보호자의 동의를 받도록 간병인과 보호자를 중개할 수 있다. However, since administering medicines to others other than doctors or nurses may pose a problem under the Medical Act, in order to fundamentally eliminate the potential for problems in the future, the management server 200 is configured every time a caregiver helps a patient to administer medicines. Caregivers and guardians can be intermediary to obtain parental consent.

먼저, 의약품을 투여할 시간이 되면, 관리서버(200)는 간병인 단말(130) 및 보호자 단말(150)에 제3알림신호를 송신한다. 간병인은 간병인 단말(130)을 통해서 환자에게 의약품을 투여할 시간이 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150)을 통해서 간병인의 의약품투여에 대해 동의한다는 취지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 단말(150)에 대한 입력은 보호자의 서명(signature)일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보호자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서명을 간병인 단말(130)에 송신하며, 간병인 단말(130)을 통해 보호자의 동의를 확인한 간병인은 환자에게 의약품을 투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관리서버(200)는 의약품을 투여할 시간을 측정하지 않고, 간병인 단말(130)에 입력된 입력에 따라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도 있고, 의약품이 투여되지 않아서 환자의 생체신호상으로 이상이 감지되는 때에 한해 보호자의 동의를 받아 의약품을 투여하는 프로세스에 진입할 수 있다.First, when it is time to administer the medicine,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a thir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and the guardian terminal 150 . The caregiver may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administer the medicine to the patient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 and the guardian may input to the effect that the caregiver agrees to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150 . In this case, the input to the guardian terminal 150 may be a signature (signature) of the guardian.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the signature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150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 and the caregiver who confirms the guardian's consent through the caregiver terminal 130 can administer the medicine to the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start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put input to the caregiver terminal 130 without measuring the time to administer the medicine, or the medicine is not administered, so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atient's biosignal. Only when it is detected, the process of administering medicines can be entered with the consent of the guardian.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게 부착되어 생체신호를 수집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환자의 응급상황 발생을 빠르게 감지하고 환자의 조기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that is attached to the patient and collects bio-signals and promotes early recovery of the patient.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자의 간병인 및 보호자에게 빠르게 응급상황의 발생사실을 전달함으로써, 환자의 건강상태가 더 악화되기 전에 환자를 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a patient, the patient can be saved before the patient's health condition deteriorates further by quickly communicat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to the caregiver and guardian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간병하는 간병인의 업무를 보조할 수 있게 되어, 간병인이 다른 업무로 인해 자리를 비우더라도, 간병인은 환자의 응급상황 발생사실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work of a caregiver taking care of a patient, so that even if the caregiver is away for other tasks, the caregiver can quick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보호자는 간병일지에 기록된 추가정보를 통해서, 환자의 건강상태 변화 및 간병인의 근무 적정성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of the patient can quickly determine the change in the patient's health statu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regiver's work through the additiona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care diary.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and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includes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ROM , RAM, flash memory, etc.,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illustrative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be used in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s including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same as Finally,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re is an explicit order or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limited by the claims. it'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10: 환자 단말
111: 스마트 디바이스
113: 스마트폰
130: 간병인 단말
150: 보호자 단말
170: 통신망
200: 관리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30: 통신부
250: 처리부
270: 출력부
110: patient terminal
111: smart device
113: smartphone
130: caregiver terminal
150: guardian terminal
170: communication network
200: management server
210: database
230: communication department
250: processing unit
270: output unit

Claims (10)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로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환자에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에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신호는,
제1 확인신호 및 제2 확인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존재, 또는 위치, 또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진 신호이며,
상기 제1 확인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이고,
상기 제1 확인신호는,
상기 제1 알림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에 송신되고 나서,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처음으로 수신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상기 제1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를 판별하는 방법.
Receiving data on the biosignal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smart device);
comparing the received data with a comparison pattern;
transmi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a caregiver terminal of a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hen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and
When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ransmitting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includes,
The confirmation signal is
a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a second confirmation signal;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signals that exist or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re transmitted/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different signals,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After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it is a signal firs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is
A method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which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지정된 시간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 단말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를 판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mprises: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within a specified time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guardian terminal,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emergency through a sm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보호자 단말 외에 상기 간병인 단말에도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를 판별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mprises: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in addition to the caregiver terminal, a method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간병인 및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포함되고, 기설정된 앱을 통해 접근가능한 대화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대화방이 있으면, 상기 대화방에 제2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를 판별하는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ransmitting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comprises:
If the confirm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t room that includes the caregiver and the guardian of the patient and is accessible through a preset app,
If there is the chat room, a method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controlling to display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in the chat roo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대화방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림출력 설정을 무시하고, 상기 간병인 단말 및 상기 보호자 단말에 시각적출력 및 청각적출력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환자의 응급상황를 판별하는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notification message is
A method of ignoring the notification output setting preset in the chat room, and outputting to the caregiver terminal and the guardian terminal in at least one output method of a visual output and an auditory output, a method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a patient through a smart device.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생체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한 결과로 산출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환자에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제1 알림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를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일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상기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간병일지의 호출이 오면, 상기 보호자 단말에 상기 간병일지 정보 및 상기 추가된 제1 알림신호의 송신이력이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일지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신호는,
제1 확인신호 및 제2 확인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존재, 또는 위치, 또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진 신호이며,
상기 제1 확인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이고,
상기 제1 확인신호는,
상기 제1 알림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에 송신되고 나서,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처음으로 수신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상기 제1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관리서버가 간병인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중개하는 방법.
Receiving data on the biosignal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comparing the received data with a comparison pattern;
transmi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a caregiver terminal of a caregiver corresponding to the patient when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xceeds a preset threshold;
receiving a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caregiver terminal, and receiving care diary information for the patien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adding a transmission history of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 diary information; and
When a call for a care diary is received from a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transmitting the diary data so that the caregiver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added first notification signal are output together to the caregiver terminal; includes; do,
The confirmation signal is
a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a second confirmation signal;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signals that exist or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re transmitted/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different signals,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After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it is a signal receiv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is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the management server, which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mediates the caregiver terminal and the guardia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포함된 간병일지의 양식(form)이 체크리스트(check list)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이 체크리스트라면, 상기 체크리스트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을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서버가 간병인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중개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determining whether a form of a care diary included in the care diary information is a check list; and
If the form of the care diary is a checklist, converting the form of the care diary into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based on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checklist; How to broker a guardian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일지 정보에 포함된 간병일지의 양식이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간병일지의 양식이 복수의 문장을 포함하는 문서라면, 상기 문서의 양식을 상기 문서에 포함된 키워드를 기초로 하여 체크리스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리서버가 간병인 단말 및 보호자 단말을 중개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determining whether the form of the care diary included in the care diary information is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and
If the form of the care diary is a doc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tences, converting the form of the document into a checklist based on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document; further comprising, the management server is a caregiver terminal and guardian terminal How to brok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간병인 단말 및 보호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데이터 및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 및
제1 알림신호 및 제2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환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패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제1 알림신호를 상기 환자의 대응된 간병인의 간병인 단말에 송신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에 대응되는 확인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환자의 보호자가 사용하는 보호자 단말에 상기 제2 알림신호를 송신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확인신호는,
제1 확인신호 및 제2 확인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알림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존재, 또는 위치, 또는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 송수신이 이루어진 신호이며,
상기 제1 확인신호와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서로 상이한 신호이고,
상기 제1 확인신호는,
상기 제1 알림신호가 상기 간병인 단말에 송신되고 나서,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처음으로 수신된 신호이고,
상기 제2 확인신호는,
상기 제1 확인신호가 수신되고 나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간병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인, 관리서버.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caregiver terminal and the caregiver terminal;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data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data to be transmitted;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a second notification signal,
The processing un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patient's smart device is compared with a comparison pattern, and when the comparison result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output unit calculate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processing to transmit to a caregiv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caregiver of the patient;
If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processes to transmit the second notification signal to the caregiver terminal used by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The confirmation signal is
a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a second confirmation signal;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signals that exist or a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or are transmitted/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and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are different signals,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After the firs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it is a signal receiv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caregiver terminal,
The second confirmation signal is
The management server, which i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aregiver termi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first confirmation signal is received.
KR1020210145694A 2021-10-28 2021-10-28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KR1024186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94A KR102418699B1 (en) 2021-10-28 2021-10-28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94A KR102418699B1 (en) 2021-10-28 2021-10-28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99B1 true KR102418699B1 (en) 2022-07-11

Family

ID=8239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94A KR102418699B1 (en) 2021-10-28 2021-10-28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9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744B1 (en)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310A (en) * 2008-01-17 2009-07-22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of the old human and the handicapped
KR20190086112A (en) * 2018-01-12 2019-07-22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care system having real time diagnosis function
KR20200141838A (en) * 2019-06-11 2020-12-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eyword chat room
KR102230741B1 (en) 2018-12-24 2021-03-2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Caregi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9310A (en) * 2008-01-17 2009-07-22 다진정보기술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of the old human and the handicapped
KR20190086112A (en) * 2018-01-12 2019-07-22 군장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care system having real time diagnosis function
KR102230741B1 (en) 2018-12-24 2021-03-22 주식회사 에이치엔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Caregiver
KR20200141838A (en) * 2019-06-11 2020-12-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keyword chat 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744B1 (en) * 2023-08-17 2024-03-19 주식회사 에스지엘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809B2 (en) Care plan administration
US11978356B2 (en) Care plan administration: patient feedback
US10162940B2 (en) System and method of applying state of being to health care delivery
EP3195247B1 (en) Care plan administration using thresholds
US20180350455A1 (en) Sensor-enabled mobile health monitoring and diagnosis
JP2017200587A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Fayn et al. Toward a personal health society in cardiology
US20210407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nformal observations about a care recipient by caregivers
Bickmore et al. Context-awareness in a persistent hospital companion agent
KR102418699B1 (en) Method for determine patient's emergency based on smart device and server thereof
TW202016944A (en) Cloud-based medicine service management system
Mars et al. Electronic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for Healthcare
WO2020004079A1 (en) Telemedicine support system, medical institution computer, support institution computer, method executed by medical institution computer, and program
Xu et 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elemedicine-based psychiatric extended care and care of psychiatric patients
JP2020004385A (en) Telemedicine support system, medical institution computer, support institution computer, method implemented in medical institution computer, and program
KR1023354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afety of clinical trials
Costantini et al. An intelligent ecosystem to improve patient monitoring using wearabl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123211A (en) Method for requesting an aid, by using bio-signals based on wearable devices and apparatus thereof
KR20230101516A (en) Dementia care system
WO2023092009A1 (e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CN115410339A (en) Early shock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for emergency patients based on wearable equipment
JP2023170929A (en) Nurse call determination device, nurse call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