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6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64B1
KR102418064B1 KR1020200122138A KR20200122138A KR102418064B1 KR 102418064 B1 KR102418064 B1 KR 102418064B1 KR 1020200122138 A KR1020200122138 A KR 1020200122138A KR 20200122138 A KR20200122138 A KR 20200122138A KR 102418064 B1 KR102418064 B1 KR 10241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ud
image
generating
surfac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9240A (en
Inventor
김부요
차주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2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6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8Volume rend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2001/006Main server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several sub-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3/00Real-time site-specific personalized weather information, e.g. nowcas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81Earth observation
    • G06T2207/30192Weather; Meteor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가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관심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관심지역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전자장치가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전자장치가 지표면 지도 및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eteorological data, comprising the steps of: an electronic device collecting weather data; Generating a ground surface map for the corresponding area,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and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visualization image by combining the ground surface map and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Other embodiments are also applicable.

Description

기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본 발명은 기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eteorological data.

구름은 태양복사 에너지를 반사 또는 흡수시키고 지구 복사에너지를 흡수 및 방출하며 대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기상요소로 대기 및 수문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름의 특성 및 공간 분포는 기상조절을 위한 인공증설(우) 실험과 구름 특성을 이용하는 다양한 연구에서 필수적인 기상정보이다. Clouds are important meteorological factors that reflect or absorb solar radiation, absorb and emit Earth's radiation, and change the state of the atmosphere,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tmospheric and hydrological cycle. These clou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are essential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various studies using cloud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 expansion (right) experiments for weather control.

이러한 인공증설(우) 실험은 따뜻한 구름에는 흡습성 물질인 염화칼슘과 같은 시딩(seeding) 물질을 살포하여 구름을 발달시키고, 차가운 구름에는 빙정핵 역할을 하는 요오드화은과 같은 시딩 물질을 살포하여 구름을 발달시켜 증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현재에는 기상항공기, 무인기, 로켓, 드론 등의 비행체를 이용하여 시딩 물질을 구름에 살포한다. 그리고 인공증설(우) 실험 이전, 실험 중 및 실험 이후에 적절한 목표 지점과 고도 위치에 시딩 물질이 살포되었는지 등에 대한 수평 및 수직 분포 정보를 확인한다. In this artificial expansion (right) experiment, a seeding material such as calcium chloride, which is a hygroscopic material, is sprayed on warm clouds to develop the clouds, and a seeding material such as silver iodide, which acts as an ice nucleus, is sprayed on cold clouds to develop the clouds. generate precipitation. To this end, currently, the seeding material is sprayed on the clouds using a flying vehicle such as a weather aircraft,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rocket, or a drone. And check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seeding material is sprayed at the appropriate target point and altitude posi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artificial expansion (right) experiment.

이와 같은 인공증설(우) 실험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부분 2차원의 표면적인 자료인 위성, 지상 관측 및 수치모델 등과 같은 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관적인 구름의 특성 및 공간 분포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artificial expansion (right) experiment, users can intuitiv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louds because data such as satellite, ground observation, and numerical models, which are mostly two-dimensional surface data, are used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구름을 3차원으로 가시화함으로써 기상항공기, 무인기, 로켓, 드론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시딩 경로와 구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구름 가시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re meteorological data that can intuitively check the seeding path and clouds of aircraft including meteorological aircraft, unmanned aerial vehicles, rockets, and drones by visualizing clouds in three dimensions using meteorological data. It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cloud visibility using data and a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은, 전자장치가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외부로부터 관심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지표면 지도 및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by an electronic device, weather data; receiving, by the electronic device, area-of-interest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generating a ground surface map for an area,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3D clou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and generating a visualization image by combining the ground surface map and the 3D cloud image by the electronic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또한,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단계는,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 및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상기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collecting the meteorological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tep of collecting the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the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the numerical model and the satellite data.

또한, 관심지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구름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심지역정보와 상기 3차원 구름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receiving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is a step of receiving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for visualizing the 3D cloud and the time for visualizing the 3D cloud, characterized in that do.

또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치 표고 모델의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상기 표고 자료에 결합하여 상기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enerating of the ground surface map includes generating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clud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by using the altitude data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a two-dimensional groun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alling a map image and generating the ground surface map by combining the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with the elevation data.

또한,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도 정보에 따른 상기 위도 및 경도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voxel) 격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셀 격자 및 상기 경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includes generating a voxel gri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to shape the cloud. Setting the boundary value, and generating the 3D cloud image using the voxel grid and the boundary valu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 장치는, 관심지역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관심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 및 상기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표면 지도 및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region of interest and weather data, and provides a ground map for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interest and a 3D map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and generating a visualized image by combining the ground surface map and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또한, 제어부는,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 및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상기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the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the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the numerical model and satellite data.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3차원 구름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심지역정보와 상기 3차원 구름을 가시화하고자 하는 시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from the input unit,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for visualizing the 3D cloud and the time at which the 3D cloud is to be visualized.

또한, 제어부는, 수치 표고 모델의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하여 상기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와 상기 표고 자료를 결합하여 상기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clud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by using the elevation data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calls a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and the The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and the elevation data are combined to generate the surface map.

또한, 제어부는, 상기 고도 정보에 따른 상기 위도 및 경도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 격자를 생성하고, 상기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셀 격자 및 상기 경계값을 이용하여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voxel gri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sets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as a boundary value to shape the cloud, and sets the voxel grid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is generated by using the boundary valu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상 자료를 이용한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및 장치는, 구름을 3차원으로 가시화하여 기상항공기, 무인기, 로켓, 드론을 포함하는 비행체의 시딩 경로와 구름을 직관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인 구름의 특성 및 공간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eteorological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clouds to intuitively check the seeding path and clouds of air vehicles including weather aircraft, unmanned aerial vehicles, rockets, and dron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lou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수행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ground surface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clou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creen view illustrat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nd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수행하는 전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display unit 130 , a memory 140 , and a control unit 150 .

통신부(11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여 전자장치(100)로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와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기상자료를 제공하는 외부서버(미도시) 또는 정지궤도위성 등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고도자료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제공하는 외부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provides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weather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numerical models and satellite data. city) or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s, and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s altitude data.

또한, 전자장치(100)가 시딩 물질을 살포하는 기상항공기, 무인기, 로켓, 드론을 포함하는 비행체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 통신부(110)는 시딩 물질을 살포하는 비행체와의 통신을 통해, 비행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 LTE 및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라디오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not provided in an air vehicle including a weather aircraft,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rocket, or a drone that sprays a seeding material,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that sprays the seeding material. You can control the action.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5th generation communication (5G), long term evolution-advance (LTE-A), LTE and wireless fidelity (Wi-Fi), and radio communication. can be done

입력부(120)는 전자장치(1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generates input dat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o this end,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keyboard,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nel, a touch key, a mouse, and a menu button. button) and the like.

표시부(13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표시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 display. and electronic paper displays. 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input unit 120 t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메모리(14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4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심영역정보,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간대 또는 특정 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기상자료 및 고도자료를 기반으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 및 지표면 지도와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3차원으로 가시화된 구름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The memory 140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In addi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 time period or a specific time for checking the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The memory 140 is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a surface map based on weather data and altitude data,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and a cloud imag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by combining the surface map and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Stores the algorithm that can generate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수신된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 생성을 위한 생성신호에 따라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와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기상자료를 수집한다. 예컨대, 수치모델은 UM(unified model), LDAPS(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일 수 있고, 위성자료는 천리안 2호(GK-2A)와 같은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연직 상대습도와 온도 자료가 포함된 기상자료를 일정 시간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모델은 10분에서 1시간 간격으로 1.5~100km의 공간해상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위성자료는 2~10분 간격으로 0.5~2km의 공간해상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server according to a generated signal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image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20, and weather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numerical model and satellite data to collect For example, the numerical model may be a unified model (UM) or a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and the satellite data may be data collected from geostationary satellites such as Chollian 2 (GK-2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collect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numerical model can collect data on a spatial resolution of 1.5 to 100 km at intervals of 10 minutes to 1 hour, and for satellite data, data on a spatial resolution of 0.5 to 2 km can be collected at intervals of 2 to 10 minutes. can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구름 가시화를 위한 3차원 공간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영역정보를 입력받고,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간대를 분 단위로 입력받는다. 물론, 제어부(150)는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시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관심영역정보는 비행체로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시간대 또는 특정 시각(이하, 시점이라고 통칭함)은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위도와 경도는 관심영역에 따라 한반도 전체 또는 국소지역의 설정이 가능하다. 제어부(150)는 수집된 기상자료에서 입력된 시점에 기상자료를 추출하는데, 제어부(150)는 입력된 시점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각과 이후 시각에 대한 기상자료를 추가적으로 추출하여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기상자료와 선형 내삽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for the 3D space for cloud visualization from the input unit 120 , and inputs a time period for checking the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in minutes. receive Of course, the controller 150 may receive a specific time at which to check the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In this case,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a region where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onto the aircraft, and a time period or a specific tim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time point) may be a time point at which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In addition, latitude and longitude can be set fo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or for a local area according to the area of interest. The controller 150 extracts meteorological data at the input time point from the collected meteorological data, and the controller 150 additionally extracts meteorological data for the previous and subsequent times closest to the input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point. It can be interpolated linearly with meteorological data.

제어부(150)는 설정된 관심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고 설정된 관심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한다. 첫 번째로, 제어부(150)는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서 고도자료를 호출한다. 이때, 고도자료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일 수 있으며, DEM은 전지구 지형고도 자료인 GSHHG(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 GTOPO30,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국지모델자료인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와 LDAPS 등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고도자료 및 설정된 관심지역정보와 관련된 위도 및 경도를 기반으로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ground surface map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the set ROI information, and generates a 3D cloud image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the set ROI information. First, the controller 150 calls the altitude data to generate a ground surface map. In this case, the altitude data may be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the DEM is a 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 (GSHHG), GTOPO30,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and local models, which are global topographical elevation data. It may be data such a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and LDAPS.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lated to the altitude data and the set ROI information.

제어부(150)는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구글어스, 네이버지도 등과 같은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된 관심지역정보와 관련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한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표고 자료와 호출된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결합하여 관심지역정보의 지형지세를 포함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150 calls a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for latitude and longitude related to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set using map data such as Google Earth and Naver Map provided online. The controller 150 combines the generated elevation data and the called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to generate a surface map including the topographical topography of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두 번째로, 제어부(150)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관심영역정보와 관련된 고도에 따른 위도 및 경도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voxel) 격자를 생성한다. 이때, 복셀 격자를 정수배로 배열을 크게 설정하면, 해당 위도와 경도 내의 복셀 격자를 보다 상세히 나타낼 수 있다. Second, in order to generate a 3D cloud image,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voxel grid in a 3D space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related to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In this case, if the arrangement of the voxel grid is set to be an integer multiple, the voxel grid within the corresponding latitude and longitude may be represented in more detail.

제어부(150)는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경계값을 기반으로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상대습도를 80~100%로 설정하여 경계값을 설정하거나, 습수를 0~6K로 설정하여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계값은 상대습도를 경계조건으로 설정할 경우를 예컨대,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의 복셀을 구름으로 가정하여 가시화하고, 습수를 경계 조건으로 설정할 경우 예컨대, 습수가 6K이하인 경우의 복셀을 구름으로 가정하여 가시화하기 위한 경계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경계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지형 고도, 비행체의 유효 비행 고도, 자연 강수 유무 및 구름의 광학적인 특성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습수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ler 150 sets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as a boundary value to shape a cloud, and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based on the set boundary valu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the threshold value by setting the relative humidity to 80 to 100%, or may set the threshold value by setting the wet water to 0 to 6K. At this time, the boundary value is visualized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set as the boundary condition, for example, voxels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80% or more as clouds, and when the wet water is set as the boundary condition, for example, voxels when the wet water is 6K or less It is assumed to be a cloud and means a boundary value for visualization. The boundary value can be set arbitrarily by the user, and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terrain altitude, the effective flight altitude of the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tural precipitation,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clouds. In addition, the calculation of the wet water can be set using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4,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설정된 관심영역정보 및 시점에 따라 생성된 지표면 지도와 생성된 3차원 구름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어부(150)는 생성된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시야각(viewing angle)을 조절하여 측면, 정면, 천정 등의 방향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Finally,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by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3D cloud image with the ground surface map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and viewpoint in the same 3D space.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generated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on the display unit 13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n image as viewed from the side, the front, the ceiling, etc.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20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201단계의 확인결과, 생성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203단계를 수행하고, 생성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생성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2 , in step 201 , the control unit 150 checks whether a gene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20 .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201, if the generated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step 203. If the generated signal is not received, the control unit 150 waits for the reception of the generated signal.

2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기상자료를 수집한다. 이때, 기상자료는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와 온도 자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치모델은 UM(unified model), LDAPS(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일 수 있고, 위성자료는 천리안 2호(GK-2A)와 같은 정지궤도위성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연직 상대습도와 온도 자료가 포함된 기상자료를 일정 시간격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모델은 10분에서 1시간 간격으로 1.5~100km의 공간해상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위성자료는 2~10분 간격으로 0.5~2km의 공간해상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전자장치(100)의 외부에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step 203, the control unit 150 collects meteorological data. At this time, the meteorological data includes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numerical models and satellite data. For example, the numerical model may be a unified model (UM) or a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LDAPS), and the satellite data may be data collected from geostationary satellites such as Chollian 2 (GK-2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collect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numerical model can collect data on a spatial resolution of 1.5 to 100 km at intervals of 10 minutes to 1 hour, and for satellite data, data on a spatial resolution of 0.5 to 2 km can be collected at intervals of 2 to 10 minutes. can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at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2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관심영역정보를 입력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구름 가시화를 위한 3차원 공간인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입력하고,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점 예컨대, 시간대를 분 단위로 입력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각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위도와 경도는 관심영역에 따라 한반도 전체 또는 국소지역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50)는 203단계에서 수집된 기상자료에서 입력된 시점에 기상자료를 추출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입력된 시점과 가장 가까운 이전 시각과 이후 시각에 대한 기상자료를 입력된 시점에 대응되는 기상자료와 선형 내삽할 수 있다.In step 205 ,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ROI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20 . More specifically, the user may input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which is a three-dimensional space for cloud visualization, and input a time point, for example, a time zone, at which the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image is to be checked in minutes, and input a specific time. can do. In this case, the latitude and longitude can be set for the entire Korean Peninsula or for a local area according to the area of interest.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150 extracts the meteorological data at the input time point from the meteorological data collected in step 203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linearly interpolate the meteorological data for the previous and subsequent times closest to the input time point with the meteorological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ime point.

이어서, 2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설정된 관심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고 209단계를 수행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설정된 관심영역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207단계 및 209단계는 각각 하기의 도 3 및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in step 207 ,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ground surface map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the set ROI information and performs step 209 . In step 209,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for the corresponding region based on the set ROI information. In this case, steps 207 and 20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respectively.

21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205단계에서 설정된 관심영역정보 및 시점에 따라 207단계에서 생성된 지표면 지도와 209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구름이미지를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비행체로 관심영역에 시딩 물질을 살포하기 전, 살포 시, 또는 살포 이후의 구름이 3차원으로 가시화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211, the control unit 150 visualizes 3D clouds by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ground surface map generated in step 207 and the 3D cloud image generated in step 209 in the same 3D space according to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and viewpoint set in step 205. create an image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three-dimensionally visualized image of the cloud before, during, or after spraying the seeding material in the region of interest with the aircraft.

21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생성된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입력에 따라 시야각(viewing angle)을 조절하여 측면, 정면, 천정 등의 방향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21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가시화 이미지의 생성을 종료하기 위한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종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203단계로 회귀하여 상기의 동작을 재수행할 수 있다. In step 213 , the control unit 150 displays the generated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on the display unit 13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an image as viewed from the side, the front, the ceiling, etc.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20 . Subsequently, in step 215 , when an end signal for terminating the generation of the visualiz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120 , the control unit 150 terminates the process. If no end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50 returns to step 203 and repeats the above operation. can be don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3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 ground surface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고도자료를 호출한다. 이때, 고도자료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일 수 있으며, DEM은 전지구 지형고도 자료인 GSHHG(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 GTOPO30,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국지모델자료인 RDAPS(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와 LDAPS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고도자료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고도자료 및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관심지역정보와 관련된 위도 및 경도를 기반으로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3 , in step 301 , the controller 150 calls the altitude data. In this case, the altitude data may be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the DEM is a global self-consistent, hierarchical, high-resolution geography database (GSHHG), GTOPO30,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and local models, which are global topographical elevation data. It may be data such a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and LDAPS. To this end, the controller 15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altitude data. In step 303,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based on the altitude data and the latitude and longitude related to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set in step 205 of FIG. 2 .

이어서, 3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온라인에서 제공하는 구글어스, 네이버지도 등과 같은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관심지역정보와 관련된 위도 및 경도에 대한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한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50)는 303단계에서 생성된 표고 자료와 305단계에서 호출된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결합하여 관심지역정보의 지형지세를 포함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여 도 2의 209단계로 리턴한다. 이를 통해, 지표면 지도는 관심지역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의 지형과 고도를 가시화하여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구름의 수평과 연직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Next, in step 305, the controller 150 calls a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for latitude and longitude related to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set in step 205 of FIG. 2 using map data such as Google Earth and Naver Map provided online. do. In step 307, the control unit 150 combines the elevation data generated in step 303 and the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called in step 305 to generate a surface map including the topographical topography of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and returns to step 209 of FIG. . Through this, the ground surface map can visualize and display the topography and altitude of the correspon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s of the clouds through thi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4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3D clou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관심영역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voxel) 격자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관심지역정보와 관련된 고도에 따른 위도 및 경도를 3차원 공간 내의 복셀 격자로 생성할 수 있다. 복셀 격자를 정수배로 배열을 크게 설정하면, 해당 위도와 경도 내의 복셀 격자를 보다 상세히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배열을 3배로 설정할 경우 3차원 공간 내의 배열의 크기는 27배로 증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in step 401 ,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voxel grid in a 3D space based on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related to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set in step 205 of FIG. 2 as a voxel grid in the 3D space. If the arrangement of the voxel grid is set to be an integer multiple, the voxel grid within the corresponding latitude and longitude can be represented in more detail. For example, when the array is set to three times, the size of the array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may be increased by 27 times.

이어서, 4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고 405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03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상대습도를 80~100%로 설정하여 경계값을 설정하거나, 습수를 0~6K로 설정하여 경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계값은 상대습도를 경계조건으로 설정할 경우를 예컨대, 상대습도가 80% 이상인 경우의 복셀을 구름으로 가정하여 가시화하고, 습수를 경계 조건으로 설정할 경우 예컨대, 습수가 6K이하인 경우의 복셀을 구름으로 가정하여 가시화하기 위한 경계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경계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지형 고도, 비행체의 유효 비행 고도, 자연 강수 유무 및 구름의 광학적인 특성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습수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Next, in step 403 , the controller 150 sets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as a boundary value to shape a cloud, and performs step 405 . More specifically, in step 403 , the controller 150 may set the threshold by setting the relative humidity to 80 to 100%, or may set the threshold by setting the wet water to 0 to 6K. At this time, the boundary value is visualized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set as the boundary condition, for example, voxels when the relative humidity is 80% or more as clouds, and when the wet water is set as the boundary condition, for example, voxels when the wet water is 6K or less It is assumed to be a cloud and means a boundary value for visualization. The boundary value can be set arbitrarily by the user, and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terrain altitude, the effective flight altitude of the vehic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natural precipitation,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clouds. In addition, the calculation of the wet water can be set using Equations 1 to 4 below.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1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1

(단,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2
는 수증기압을 의미하며, 기층의 온도에 따라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3
(0℃ 이상)와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4
(0℃ 미만)로 구분된다. RH는 상대습도, P는 해당 기층의 압력을 의미한다. 아울러, 수증기압, 기층의 온도, 상대습도 및 해당 기층의 압력은 도 2에서 추출된 기상자료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층은 추출된 기상자료에 따라 해면 기압 수준의 1013.25hPa 기층부터 0.01hPa 수준의 대기 상층까지 여러 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only,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2
is the water vapor pressur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3
(above 0℃) and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4
(less than 0℃). RH stands for relative humidity, and P stands for pressure of the corresponding substrate. In addition, the water vapor pressure, the temperature of the base layer,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pressure of the base laye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meteorological data extracted in FIG. 2 . In addition, the base layer may be composed of several base layers from the 1013.25 hPa base at sea level to the upper atmosphere at the 0.01 hPa level, depending on the extracted meteorological data.)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5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5

(이때,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6
는 이슬점 온도를 의미한다.)(At this time,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6
is the dew point temperature.)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7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7

여기서, 수학식 2는 따뜻한 구름 예컨대, 0℃ 이상인 조건에 적용되고, 수학식 3은 차가운 구름 예컨대, 0℃ 미만인 조건에 적용된다. 최종적으로 습수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온도와 이슬점 온도의 차이로 계산된다. Here, Equation 2 is applied to a warm cloud, for example, a condition of 0° C. or higher, and Equation 3 is applied to a cold cloud, for example, a condition less than 0° C. Finally, the damp water i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8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8

(이때,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9
는 각 기층의 온도이고
Figure 112020100581180-pat00010
와의 차이는 습수로 정의된다.)(At this time,
Figure 112020100581180-pat00009
is the temperature of each substrate
Figure 112020100581180-pat00010
The difference with is defined as wet water.)

이어서, 405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설정된 경계값을 기반으로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고 도 2의 211단계로 리턴한다. 이때, 경계값은 상대습도 또는 습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된 상대습도의 경계값 이상일 경우 또는 설정된 습수의 경계값 이하일 경우의 복셀을 구름으로 가정하여 가시화한다.Next, in step 405,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based on the set boundary value, and returns to step 211 of FIG. In this case, relative humidity or damp water may be used as the boundary value, and voxels in the cas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of the set relative humidity or less than the threshold of the set relative humidity are visualized as cloud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구름 가시화를 나타낸 화면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screen view illustrating 3D cloud visual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도 2의 211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동남향 각도에서 표시한 이미지이고, 도 5의 (b)는 도 2의 211단계에서 생성된 3차원 구름 가시화 이미지를 남향 각도에서 표시한 이미지이다. 이미지의 고도는 지위고도(km) 또는 기압(hPa)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도 2의 205단계에서 설정된 시점에 대응되는 구름이미지를 확인하되, 관심영역정보로 설정한 해당 영역의 고도, 경도 및 위도를 기준으로 3차원으로 가시화된 구름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시야각을 조절하여 동남향, 남향 등 다양한 각도에서 구름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of FIG. 5 is an image of the 3D cloud visualization image generated in step 211 of FIG. 2 from an east-south angle, and (b) of FIG. 5 is the image generated in step 211 of FIG. It is an image displayed from a south-facing angle of 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image. The altitude of the image can be expressed in terms of elevation (km) or barometric pressure (hPa). In this way, the user checks the clou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set in step 205 of FIG. 2, but can check the cloud imag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altitude, longitude, and latitude of the corresponding area set as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 by adjusting the viewing angle, you can check the cloud image from various angles, such as southeast or southeast.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전자장치가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 및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기상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지역정보와 상기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시점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기상자료 중 상기 시점에 대응하는 기상자료를 추출하여 상기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지표면 지도 및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도 정보에 따른 상기 위도 및 경도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voxel) 격자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상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경계값에 포함되는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복셀 격자를 구름으로 가시화하여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collecting, by the electronic device,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numerical models and satellite data;
receiving, by the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on the region of interest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at which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from the outside;
generating, by the electronic device, a ground surface map for a correspond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generating, by the electronic device,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by extracting the weather data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from among the weather data; and
generating, by the electronic device, a visualized image by combining the ground surface map and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includ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generating a voxel gri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setting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as a boundary value to shape the cloud;
generating the 3D cloud image by visualizing a voxel grid having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included in the boundary value as a clou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치 표고 모델의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상기 표고 자료에 결합하여 상기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름 가시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ground surface map comprises:
generating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cluded in the region of interest information by using the elevation data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calling a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and
generating the ground surface map by combining the two-dimensional surface map image with the elevation data;
A three-dimensional cloud visualization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위도, 경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지역정보와 상기 시딩 물질을 살포하고자 하는 시점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 및
수치모델과 위성자료를 포함하는 연직 상대습도 및 온도 자료를 포함하는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대응되는 해당 영역에 대한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기상자료 중 상기 시점에 대응하는 기상자료를 추출하여 상기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지표면 지도 및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결합하여 가시화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도 정보에 따른 상기 위도 및 경도로 3차원 공간 내의 복셀 격자를 생성하고, 상기 구름을 형상화하기 위해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계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상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경계값에 포함되는 상대 습도 및 습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복셀 격자를 구름으로 가시화하여 상기 3차원 구름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름 가시화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from the outside, information on the region of interest including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information at which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and the timing at which the seeding material is to be sprayed; and
It collects meteorological data including vertic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ata including numerical models and satellite data, generates a surface map for the correspon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and weather data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among the meteorological data a control unit that extracts data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area, and generates a visualized image by combining the ground surface map and the three-dimensional cloud image;
including,
The control unit is
Create a voxel gri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according to the altitude information, set at least one of relative humidity and wet water as a boundary value to shape the cloud, and set the boundary value to the boundary value based on the weather data 3D cloud visualiz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3D cloud image is generated by visualizing a voxel grid having at least one of included relative humidity and damp water as a clou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치 표고 모델의 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지역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표고 자료를 생성하고, 상기 위도 및 경도에 대응되는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를 호출하여 상기 2차원 지표면 지도 이미지와 상기 표고 자료를 결합하여 상기 지표면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구름 가시화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Elev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cluded in the area of interest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altitude data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the 2D surface map image is called by calling the 2D surface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3D cloud visua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combining the elevation data and generating the ground surface map.
삭제delete
KR1020200122138A 2020-09-22 2020-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KR102418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8A KR102418064B1 (en) 2020-09-22 2020-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138A KR102418064B1 (en) 2020-09-22 2020-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40A KR20220039240A (en) 2022-03-29
KR102418064B1 true KR102418064B1 (en) 2022-07-08

Family

ID=8099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138A KR102418064B1 (en) 2020-09-22 2020-09-22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6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383A (en) * 2008-07-29 2010-02-12 Fujitsu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program
KR101566381B1 (en) 2014-05-30 2015-11-09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e seeding line suitable for ground based verification network in cloud seeding experiment using aircraft
US20160299254A1 (en) 2015-04-13 2016-10-13 Lorenzo Martinez Martínez De La Escalera Apparatus and system for smart seeding within cloud formations
KR101802162B1 (en) 2016-07-27 2017-11-29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airborne glaciogenic seeding on winter clouds using numerical simulation
KR101820728B1 (en) 2016-12-02 2018-02-28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ditions and altitudes of cloud-seeding for the regulation of winter precipitation
US20190318434A1 (en) 2014-02-25 2019-10-1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Environmental management zone modeling and analysi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383A (en) * 2008-07-29 2010-02-12 Fujitsu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program
US20190318434A1 (en) 2014-02-25 2019-10-17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Environmental management zone modeling and analysis
KR101566381B1 (en) 2014-05-30 2015-11-09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e seeding line suitable for ground based verification network in cloud seeding experiment using aircraft
US20160299254A1 (en) 2015-04-13 2016-10-13 Lorenzo Martinez Martínez De La Escalera Apparatus and system for smart seeding within cloud formations
KR101802162B1 (en) 2016-07-27 2017-11-29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airborne glaciogenic seeding on winter clouds using numerical simulation
KR101820728B1 (en) 2016-12-02 2018-02-28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nditions and altitudes of cloud-seeding for the regulation of winter precipit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준혁, 하완수, 김용혁, 이강훈. "운고계 관측자료의 대화형 3차원 시각화".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8.6.) Vol. 24, No. 2, pp.21~2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240A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27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uating presentation of a terrain around a vehicle on a display in the vehicle
Menzel Cloud tracking with satellite imagery: From the pioneering work of Ted Fujita to the present
Akhlaq et al. A review of techniques and technologies for sand and dust storm detection
US7528938B2 (en) Geospatial image change detect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A2573318C (en) Geospatial image change detecting system with environmental enhancement and associated methods
US8433457B2 (en)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ing system using geospatial images and associated methods
US7630797B2 (en) Accuracy enhancing system for geospatial collection value of an image sensor aboard an airborne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s
US10451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istent mission data to a fleet of vehicles
US704336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visualizations of future weather conditions
CN106054283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inverting higher troposphere and lower stratosphere wind field
US94371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CN103942369A (en) Intelligent target occurrence method oriented at near space
Fero et al. Simulating the dispersal of tephra from the 1991 Pinatubo eruption: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widespread ash layers
US200900193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de angle radar training and simulation
KR1024180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Dimension Cloud Visualiz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CN112927356B (en)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Casana New approaches to spatial archaeometry: applications from the near east
Yang et al. Lapse rate characteristics in ice clouds inferred from GPS RO and CloudSat observations
CN111210515A (en) Airborne synthetic vision system based on terrain real-time rendering
CN116609857A (en) Cloud vertical structure parameter estimation method based on visible light, infrared and microwave images
JP2002156467A (en) Local weather observation system
US20130215268A1 (en) Unknown
JP7140478B2 (en) WEATHER DISPLAY DEVICE, WEATHER DISPLAY METHOD AND WEATHER DISPLAY PROGRAM
Lukens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Potential Value of Stratospheric Balloon Winds Assimilated in NOAA's Finite‐Volume Cubed‐Sphere Global Forecast System (FV3GFS)
JP2020530114A (en) Barometer and barometric pressure distribution determin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