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675B1 -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675B1
KR102417675B1 KR1020200186854A KR20200186854A KR102417675B1 KR 102417675 B1 KR102417675 B1 KR 102417675B1 KR 1020200186854 A KR1020200186854 A KR 1020200186854A KR 20200186854 A KR20200186854 A KR 20200186854A KR 102417675 B1 KR102417675 B1 KR 10241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analysis
data
level
cri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5034A (en
Inventor
김진영
심형섭
유범종
김병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8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75B1/en
Publication of KR2022009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which analyze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for each region, and efficiently visualize and express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Description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및 그 동작 방법{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fficiently visualizing and expressing details of an analyzed result by analyzing a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a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는 관련 법령 및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의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의거 발령하고 있는데, 이처럼,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를 발령하기 위해서는 그에 앞서 정량적 기준을 정의하여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Crisis alerts for each type of disaster are issu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level of crisis alerts in the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Needs to be.

그러나, 아직까지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 기준의 마련이 미진한 실정이며, 더욱이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에 있어서 정성적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정량적 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참조할 수 방안의 부재로 인해 담당자의 의사 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preparation of a quantitative standard for analyzing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is still insufficient, and furthermore, if a qualitative analysis is required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standard can be efficiently referenced. Due to the absence of the staff, it was difficult for the person in charge to make a decision.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는 전국단위로 발령되고 있어, 지역 단위의 위기경보 대응 활동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existing crisis alerts for each type of disaster are issu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crisis alert response activities at the local level.

이에, 본 발명에서는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가시화하여 표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for analyzing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for each region, and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and to efficiently visualize and express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는, 기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되도록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t least some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based on preset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s to be analyzed for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 decision unit to determine; an acquisition unit that inputs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to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obtains output data output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a display unit that visualizes and expresses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o tha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referenced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characterized.

구체적으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 및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s include an analysis target area that is a region requiring an analysis of a disaster risk level, and an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that is a disaster type that requires an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the determining unit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at match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may be determined as the analysis target data.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일부 실측재난데이터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간의 연관도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추정된 데이터 값의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type of disaster does not exist on the at least some actual disaster data,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some actual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y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based on the ,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of the estimated data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부는, 상기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acquisition unit,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for which th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by changing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through the changed set value, the specific The reflection rate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reflected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may be reduced, and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actual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may be increased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구체적으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부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ncludes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which is a period including a past time point and a future time point adjacent to the present time point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and the display unit,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The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element of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at is changed during the period is visualized and displayed. can express

구체적으로,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연관된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표출부는, 상기 연관재난유형에 대해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 및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ncludes an analysis result for a related disaster type that is a disaster type associated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ith respect to the related disaster type,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can be visualized and expressed.

구체적으로, 상기 연관도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 및 상기 연관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상기 연관재난유형 간에 서로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 개수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 each other between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n each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can be identified from

구체적으로, 상기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 또는 특정 포맷의 문서로 출력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transmits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or outputting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되도록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표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some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based on a preset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 necessary for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 decision step of determining the data to be analyzed; an acquisition step of inputting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to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obtaining output data output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an expression step of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o tha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referenc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characterized in that

구체적으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 및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ditions for analyz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include an analysis target area that is an area requiring an analysis of a disaster risk level, and an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that is a disaster type that requires an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d the determining step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at match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may be determined as the analysis target data.

구체적으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일부 실측재난데이터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간의 연관도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추정된 데이터 값의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determining step,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does not exist on the at least some actual disaster data, the association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some actual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y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ased on the figure,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of the estimated data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cquiring step,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for which th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is changed, and the changed set value is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flection rate at which specific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is reflected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nd increase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구체적으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단계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ncludes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which is a period including a past time point and a future time point adjacent to the present time point based on the current time point, and the expression step includes the disaster crisis level The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element of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at is chang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is visualized and displayed. can express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연관된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표출단계는, 상기 연관재난유형에 대해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 및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할 수 있다.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ncludes an analysis result for a related disaster type that is a disaster type associated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expression step includes a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ith respect to the related disaster type, and a disaster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express the analysis result of the crisis level.

구체적으로, 상기 연관도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 및 상기 연관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상기 연관재난유형 간에 서로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 개수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 each other between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n each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can be identified from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 또는 특정 포맷의 문서로 출력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method,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or It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ing step of outputting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이에, 본 발명의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 발령에 대한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visualize and express the detailed content of the analyzed result by analyzing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so the disaster risk leve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decision-making on the issuance of crisis alerts for each type of disaster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disast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 분석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의 표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n expression form of a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ng method of a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의 등급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을 다룬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que for supporting the grade determination of a crisis alert for each type of disaster is dealt with.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는 관련 법령 및 「재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의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의거 발령하고 있다.Crisis alerts for each type of disaster are issued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crisis alert level of the 「Standard Manual for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이와 같이,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를 발령하기 위해서는 재난유형 별로 정량적 기준 혹은 정량적 기준과 정성적 기준을 혼재하여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issue a crisis alert for each type of disast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evel of disaster risk by mixing quantitative criteria 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riteria for each type of disaster.

그러나, 아직까지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할 수 있는 정량적 기준의 마련이 미진한 실정이며, 더욱이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에 있어서 정성적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정량적 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참조할 수 방안의 부재로 인해 담당자의 의사 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preparation of a quantitative standard for analyzing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is still insufficient, and furthermore, if a qualitative analysis is required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standard can be efficiently referenced. Due to the absence of the staff, it was difficult for the person in charge to make a decision.

뿐만 아니라, 기존의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는 전국단위로 발령되는 양상을 띄어, 지역 단위의 위기경보 대응 활동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the existing crisis alerts for each type of disaster are issu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crisis alert response activities at the regional level.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method for analyzing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for each region, and effectively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이와 관련하여,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 분석 환경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In this regard, FIG. 1 exemplarily shows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 분석 환경에서는, 지역 별로 재난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표출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for analyzing and expressing a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a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can have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는 지역 별로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로부터 재난유형 별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의 상세 내용을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refers to a device that analyzes the disaster risk level for each disaster type from the real-time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for each region, and visualizes and displays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for exampl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can be

여기서, 실측재난데이터는 재난유형에 따라 구분된 측정(센싱) 정보로서 예컨대, 재난유형이 가뭄인 경우, 강수량, 농업용수, 생활용수, 댐용수 등의 측정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Here, the actual disaster data is measurement (sensing) information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disaster is drought,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precipitation, agricultural water, living water, and dam water may correspond.

이러한,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database server, proxy server, etc., and the network load balancing mechanism, or service device is the Internet or other One or more of various software to be able to operate on a network may be installe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ized system through this.

이때,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etwork may be an http network, and may be a private line, an intranet, or any other network. Also, in the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in the 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arbitrary. It can be connected to a secure network to prevent it from being attacked by hackers or other third partie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구성을 통해,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bove,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visualize and express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by analyzing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for realiz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와 관련하여,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In relation to, FIG. 2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을 위한 분석대상데이터를 결정하는 결정부(10),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획득부(20), 및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표출부(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10 that determines analysis target data for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nd analysis results o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cquisition unit 20 that acquires , and a display unit 30 that visualizes and expresse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사용자(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40 for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person in charge)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configuration.

이상의 결정부(10), 획득부(20), 표출부(30), 및 처리부(40)를 포함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 구성은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entire configuration or at least som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100 including the determination unit 10, the acquisition unit 20, the display unit 30, and the processing unit 40 is a hardware module type or a software module type , 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module and a software module may also be implemented.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software module may be understood as, for example, an instruction executed by a processor that controls operations i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nd these instructions are loaded in the memory i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may have a form.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유무선 통신망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50, which is an RF module responsible for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support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hav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Above,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efficiently visualizes and expresses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This becomes possible, and below,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i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for realizing this will be continued.

한편, 설명에 앞서,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준(이하,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라 칭함)는 이미 정의되어 있음을 전제하기로 한다.Meanwhile, prior to the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criteria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factor') are already defined.

결정부(1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을 위한 분석대상데이터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analysis target data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10)는 사용자(담당자)에 의해 설정되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10 determin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s set by the user (the person in charge) as the analysis target data required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이를 위해, 결정부(1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사용자(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담당자)로 하여금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조건 설정 창(2)을 통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의 설정을 지원한다.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unit 10 provid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UI,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3 to a user (person in charge), allowing the user (person in charge) to set conditions in the user interface window 2 It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s through the

이러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는, 예컨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과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 그리고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일정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As the conditions for analyz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for example,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the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hich is the disaster type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current time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which is a certain period including past and future time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set.

여기서, 분석대상지역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조건 설정 창(2) 이외에 지도 창(3)을 통해 전국 지도 기반, 시군구 단위 지역 범위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n the case of the analysis target area,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condition setting window 2 in the user interface, the nationwide map-based, city-gun-gu unit area range can be clicked and selected through the map window 3, of course.

이에 따라, 결정부(1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서 분석대상지역과 분석대상재난유형이 설정되면,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nalysis target area and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re set as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0 analyzes at least a part of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at match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target dat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required for analysis of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in the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is considered.

이와 관련하여, 결정부(10)는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각각의 연관도에 따라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분석대상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does not exist in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determination unit 10 analyz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based on the data values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evance of each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and apply it to the analysis target data.

이때, 결정부(10)는 분석대상지역과 달리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존재하는 타 지역의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타 지역에서 상기 특정 실측데이터의 데이터 값의 변동 추이와 설정치 미만(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차이를 보이는 실측재난데이터를 데이터 값 추정을 위한 기준데이터로 확인하게 되며, 분석대상지역 내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기준데이터와 동일한 실측재난데이터(동일한 종류의 실측재난데이터)를 선정하여 선정된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ing unit 10 is different from the analysis target area,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other area where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exists, the change trend of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ata in other regions and less than the set valu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 is confirmed as the reference data for data value estimation, and the same actual disaster data (same type of disaster data) as the reference data is selected and selected among the remaining actual disaster data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data value of the measured actual disaster data.

획득부(20)는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cquisition unit 20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th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부(20)는 분석대상지역의 재난위기수준 분석을 위한 분석대상데이터가 결정되면, 해당 분석대상데이터를 기 생성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nalysis target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of the analysis target area is determined, the acquisition unit 20 inputs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to the pre-generated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output data output from the level analysis algorithm is obtained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여기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은, 인공지능기법(예: 기계학습, 딥러닝 등)을 통해 과거 분석대상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생성된 자동분석모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can be understood as an automatic analysis model generated by learning past analysis target data as learning data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eg,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etc.).

한편, 획득부(20)는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결정된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acquisition unit 20 changes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hos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determined for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changed setting Through the value, the reflection rate at which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reflected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s reduced, and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actual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increased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이는,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결정된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추정된 데이터 값을 가지는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입력으로 인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출력되는 정량적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is the estimated data by applying the method of changing the hyperparameter setting value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to the case that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ith the estimated data value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determined for the analysis target area. It can be understood to prevent the accuracy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utput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from falling due to the input of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having a valu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략적 분석 결과에는, 분석대상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가 임계치 이상의 타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utput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nalysis result for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but also the related disaster that is related to other disaster types whose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nalysis results for types may be included.

여기서,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는, 분석대상재난유형과 타 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의 개수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Here, the degree of relevance with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can be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es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n each of the disaster type to be analyzed and other disaster types. .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30 performs a function of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analysis result for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보다 구체적으로,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정량적 분석 결과가 획득되면,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될 수 있도록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obtained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display unit 30 is quantitative so that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can be referred t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From the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is visualized and expressed.

이때,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30 visualizes and displays the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at is chang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set as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 and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or the selected time point.

또한,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획득되는 정략적 분석 결과로부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된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추출된 분석 결과를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와 함께 가시화시켜 표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extract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related disaster type whose relevance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btained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displays the extracted analysis result. It can be visualized and expressed along with the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앞서 예시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의 표출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an expression form of an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exemplified abov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조건 설정 창(2)에서는,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과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 그리고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일정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을 포함하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의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In the condition setting window (2),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the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hich is the disaster type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d the present time and the neighboring past based on the present time It can support the setting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ncluding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which is a certain period including the time point and the future time point.

또한, 지도 창(3)에서는, 전국 지도 기반, 시군구 단위 지역 범위를 클릭하는 방식으로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에 대한 설정을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p window 3,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support the setting of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an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by clicking on the national map-based, city-gun-gu unit area range.

또한, 현재 재난위기수준 분석 결과 표출 창(4)에서는 분석대상지역 별 분석대상재난유형에 대한 재난위기수준 분석 결과의 표출을 지원할 수 있고, 재난위기수준표 창(5)에서는, 재난위기수준을 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점수를 예컨대, 도 4 (a)에서와 같이, 막대그래프 형태로 표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of the current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result window (4) can support the expression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result for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by the analysis target area, and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is scored i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able window (5).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xpression of the converted score in the form of a bar graph, for example, as in FIG. 4 (a).

또한 재난위기수준 판단지표 창(6)에서는, 재난위기수준 분석 시 사용된 각종 지표를 통합 조회할 수 있도록 예컨대, 도 4 (b)에서와 같이, 각 지표의 점수 수준을 나타내는 통합 지표 차트 형태로 표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aster risk level determination index window 6,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b ),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index chart indicating the score level of each index so that various indexe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can be searched. can support expression.

여기서, 재난위기수준 분석 시 사용되는 지표에는, 심각성(인명피해, 재산피해의 정도(또는 예상 정도) 및 국가적 차원의 대응 필요한 정도), 시급성(인명 및 재산의 급격한 피해가 예상되거나 인명구조활동,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정도), 확대 가능성(재난의 피해규모가 증가하거나 다른 재난으로 전파될 가능성의 정도), 지속시간(재난발생 직후부터 수습, 복구까지의 재난 처리 프로세스에 소요되는 시간), 파급효과(재난이 발생하여 일어난 모든 간접 피해로 경제적 및 사회적 파장의 정도), 국내외여론(재난상황으로 인한 국민적 위기의식의 정도 및 언론 노출 정도), 및 정부대응능력(재난 상황 관리를 위한 정부 대응체계, 재난대응의 경험, 대응 및 복구 물자 등의 조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indicator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include severity (degree (or expected degree) of damage to human life, property damage, and degree of need for a national response), urgency (acute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s expected or lifesaving activities, degree of need for a preemptive response), escalation potential (the degree of likelihood that the damage scale of a disaster will increase or spread to other disasters), duration (the time taken for the disaster handling process from immediately after a disaster to recovery and recovery), ripple Effects (degree of economic and social repercussions from all indirect damage caused by a disast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degree of national crisis awareness and media exposure due to disaster), and government response capacity (government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a combination of disaster response experience, response and recovery materials, etc.).

또한 시계열 재난위기수준 현황 및 향후 예측 결과 창(7)에서는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예: 과거 1년, 향후 3개월)에 변화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ime series disaster and crisis level status and future prediction result window (7), the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element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at changes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eg, the past 1 year, the future 3 months) is visualized. can support expression.

여기서, 시계열 트랜드는 과거 시점, 현재 시점, 및 미래 시점의 재난위기수준이 예컨대, 도 4 (c)에서와 같이 재난위기수준에 따른 색과 그래프로 표현될 수 있다.Here, in the time series trend, the disaster crisis level of the past time point, the present time point, and the future time point may be expressed in colors and graphs according to the disaster crisis level, for example, as in FIG. 4(c).

또한 연관 재난위기수준 발생 현황 및 연관지수 분석 결과 창(8)에서는,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된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가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와 함께 표출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alysis result window (8) of the related disaster and crisis level occurrence status and related index analysis result,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ated disaster type for which the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judged to be above the threshold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can support being

여기서,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는, 예컨대, 도 4(d)에서와 같은 그래프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Here, the degree of association with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graph, for example, as in FIG. 4(d).

또한 재난위기수준 분석 기준 창(9)에는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표출되며, 이에 대한 사용자(담당자)의 변경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a standar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is displayed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standard window 9, an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hange of the user (person in charge) for this.

또한 종합 시계열 분석 창(10)에서는,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가 예컨대, 도 4(e)와 같은 형태로 표출되도록 지원하고, 세부 항목 창(11)에서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각각에 대한 세부 요소 값 들을 예컨대, 도 4(f)와 같은 형태로 표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rehensive time series analysis window 10,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are supported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for example, FIG. 4(e), and in the detailed item window 11, the disaster and crisis It can support the expression of detailed element values for each level analysis element, for example, in the form of FIG. 4(f).

또한 타임라인 창(12)에서는,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슬라이딩 선택되는 경우에 선택된 시점에 대한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앞서 예시한, 도 4 (b)에서와 같은 통합 정보 차트 형태로 표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imeline window 12, when a specific time point is slidingly selected during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for the selected time point is exemplified above, as in FIG. 4 (b), integrated information It can support display in chart form.

마지막으로 관련정보 창(13)에서는, 사용자(담당자)의 정성적 분석에 관한 의사 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각종 정보(예: 통보문, 뉴스, SNS, 지역 특성 정보, 관련 웹사이트 등)가 표출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고, 담당자 재난위기수준 평가 결과 입력 창(14)에는 사용자(담당자)가 의사 결정한 정성적 분석 결과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Finally, in the related information window 13, various information (eg, notice, news, SNS, regio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lated websites, etc.)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inpu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determined by the user (the person in charge) in the input window 14 of the disaster risk level evaluation result input window 14 in charge.

처리부(40)는 사용자(담당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ocessing unit 40 performs a function of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person in charge).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4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사용자(담당자)로부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입력된 정성적 분석 결과를 처리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from the user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e processing unit 40 processes the input qualitativ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will do

이때, 처리부(40)는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입력된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SMS, 이메일), 또는 특정 포맷(보고문 또는 통보문)의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40 may transmit the input qualitative analysis result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SMS, e-mail) or output it as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report or notification).

참고로, 사용자(담당자)로부터의 정성적 분석 결과는 앞서 예시한 도 3에서 담당자 재난위기수준 평가 결과 입력 창(14)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from the user (person in charg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14 of the disaster risk level evaluation result input window 14 in FIG. 3 exemplified abov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 발령에 대한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is analyzed for each region, and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are efficiently displayed. Sinc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express it, it can be seen that it can effectively suppor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disaster and crisis and the decision-making on the issuance of a crisis alert for each type of disaster based on this.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method of the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먼저, 결정부(10)는 사용자(담당자)에 의해 설정되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한다(S10-S20).First, the determination unit 10 determines at least a part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based o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set by the user (person in charge) as the analysis target data required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S10-S20). ).

이를 위해, 결정부(1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사용자(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담당자)로 하여금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조건 설정 창(2)을 통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의 설정을 지원한다.To this end, the determination unit 10 provide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UI, User Interface) as shown in FIG. 3 to a user (person in charge), allowing the user (person in charge) to set conditions in the user interface window 2 It supports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s through the

이러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는, 예컨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과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 그리고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일정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As the conditions for analyz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for example,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the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hich is the disaster type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current time A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period, which is a certain period including past and future time points adjacent to each other, can be set.

여기서, 분석대상지역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조건 설정 창(2) 이외에 지도 창(3)을 통해 전국 지도 기반, 시군구 단위 지역 범위를 클릭하여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n the case of the analysis target area,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n addition to the condition setting window 2 in the user interface, the nationwide map-based, city-gun-gu unit area range can be clicked and selected through the map window 3 .

이에 따라, 결정부(1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서 분석대상지역과 분석대상재난유형이 설정되면,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nalysis target area and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re set as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0 analyzes at least a part of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at match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t can be determined by the target dat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한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required for analysis of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does not exist in the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is considered.

이와 관련하여, 결정부(10)는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각각의 연관도에 따라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분석대상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does not exist in the actual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determination unit 10 analyzes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based on the data values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evance of each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and apply it to the analysis target data.

이때, 결정부(10)는 분석대상지역과 달리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존재하는 타 지역의 통계데이터를 기반으로 타 지역에서 상기 특정 실측데이터의 데이터 값의 변동 추이와 설정치 미만(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차이를 보이는 실측재난데이터를 데이터 값 추정을 위한 기준데이터로 확인하게 되며, 분석대상지역 내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기준데이터와 동일한 실측재난데이터(동일한 종류의 실측재난데이터)를 선정하여 선정된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근거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ing unit 10 is different from the analysis target area,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other area where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exists, the change trend of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ata in other regions and less than the set valu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 is confirmed as the reference data for data value estimation, and the same actual disaster data (same type of disaster data) as the reference data is selected and selected among the remaining actual disaster data in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data value of the measured actual disaster data.

그리고 나서, 획득부(20)는 분석대상지역의 재난위기수준 분석을 위한 분석대상데이터가 결정되면, 해당 분석대상데이터를 기 생성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한다(S30-S40).Then, when the analysis target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of the analysis target area is determined, the acquisition unit 20 inputs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for the pre-generated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output data output from the analysis algorithm is acquired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S30-S40).

여기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은, 인공지능기법(예: 기계학습, 딥러닝 등)을 통해 과거 분석대상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생성된 자동분석모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can be understood as an automatic analysis model generated by learning past analysis target data as learning data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eg,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etc.).

한편, 획득부(20)는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결정된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acquisition unit 20 changes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hos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determined for the analysis target area, the changed setting Through the value, the reflection rate at which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reflected in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s reduced, and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actual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increased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이는,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결정된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추정된 데이터 값을 가지는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입력으로 인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출력되는 정량적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This is the estimated data by applying the method of changing the hyperparameter setting value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to the case that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ith the estimated data value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determined for the analysis target area. It can be understood to prevent the accuracy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utput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from falling due to the input of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having a valu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정략적 분석 결과에는, 분석대상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뿐만 아니라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가 임계치 이상의 타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가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utput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nalysis result for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but also the related disaster that is related to other disaster types whose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Analysis results for types may be included.

여기서,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는, 분석대상재난유형과 타 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의 개수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Here, the degree of relevance with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can be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es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in each of the disaster type to be analyzed and other disaster types. .

나아가,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정량적 분석 결과가 획득되면,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될 수 있도록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한다(S50).Furthermore, when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obtained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display unit 30 provide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o that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can be referred t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element of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re visualized and expressed (S50).

이때,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으로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30 visualizes and displays the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at is chang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set as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 and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or the selected time point.

또한, 표출부(3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로부터 획득되는 정략적 분석 결과로부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가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된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추출된 분석 결과를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와 함께 가시화시켜 표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extracts the analysis result for the related disaster type whose relevance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btained from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displays the extracted analysis result. It can be visualized and expressed along with the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type of disaster to be analyzed.

이후, 처리부(40)는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사용자(담당자)로부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입력된 정성적 분석 결과를 처리한다(S60-S70).Thereafter,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from the user (the person in charg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e processing unit 40 processes the input qualitativ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 S60-S70).

이때, 처리부(40)는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입력된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SMS, 이메일), 또는 특정 포맷(보고문 또는 통보문)의 문서로 출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ing unit 40 may transmit the input qualitative analysis result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SMS, e-mail) or output it as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report or notification).

참고로, 사용자(담당자)로부터의 정성적 분석 결과는 앞서 예시한 도 3에서 담당자 재난위기수준 평가 결과 입력 창(14)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from the user (person in charge) may be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14 of the disaster risk level evaluation result input window 14 in FIG. 3 exemplified abov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재난유형 별 위기경보 발령에 대한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is analyzed for each region, and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are efficiently displayed. Sinc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nd express th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mplemented as digital electronic circuit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or at least one of them It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one or more modules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processing or execution by the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system” or “device” encompasses all apparatuses, devices, and machines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programmable processors, computers, or multiple processors or computers. A processing system may include, in addition to hardware, code that, upon request, forms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such as code constituting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any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a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ng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ortions of files that hold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executed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ar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CDs. -Can include all types of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tegrated into,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such as a web browser or graphical user that allows a user to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a front-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having an interface, or in a computing system including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ay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such a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descriptions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particular inventions. should be understood Likewise, certain features that are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that are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picted as claimed as such,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the claimed combination being a sub-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Also,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n this specification,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achieve desirable results.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에 따른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지역 별로 재난 유형에 따른 재난위기수준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 대한 상세 내용을 효율적으로 가시화하여 표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risk level according to the disaster type for each region can be analyzed and the details of the analyzed result can be efficiently visualized and expressed. It is an invention with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business of the applied device, not just the use of the related technology, is sufficient as it exceeds the limit of

100: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10: 결정부 20: 획득부
30: 표출부 40: 처리부
100: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10: decision unit 20: acquisition unit
30: expression unit 40: processing unit

Claims (16)

기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되도록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표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 및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간의 연관도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추정된 데이터 값의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에 포함시키며,
상기 획득부는,
상기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t least a part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as the analysis target data required for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based on the preset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conditions;
an acquisition unit that inputs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obtains output data output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n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It includes an expression unit that visualizes and expresses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o tha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referenc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s,
It includes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an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d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hich is the type of disaster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The determining unit is
At least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matching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is determined as the analysis target data, and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at least When it does not exist on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is estimated based o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estimated data value is Including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n the analysis target data,
The acquisition unit,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hos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by changing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the disaster risk level through the changed set value Disaster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reducing the reflection rate reflected in the analysis, and increasing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부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s,
Based on the present time, it includes a period for analyz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which is a period including the past and future time points adjacent to the present time,
The expression part,
Visualize and express a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at is chang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is expressed for the selected time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연관된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표출부는,
상기 연관재난유형에 대해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 및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It includ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ated disaster type, which is the disaster type related to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The expression part,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related disaster type, the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re visualized and expres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 및 상기 연관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상기 연관재난유형 간에 서로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 개수로부터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relationship is
Dis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 each other between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in each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Crisis level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 또는 특정 포맷의 문서로 출력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is,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or outputted as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cessing unit.
기 설정된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에 기초하여 실시간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는 결정단계;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에 대한 입력데이터로 입력하여,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를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로서 획득하는 획득단계; 및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의 분석 기준인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가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 참조되도록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로부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표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지역인 분석대상지역, 및 재난위기수준의 분석이 요구되는 재난유형인 분석대상재난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분석대상지역에서 수집되는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매칭되는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로 결정하고,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의 분석에 필요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일부의 실측재난데이터 각각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 간의 연관도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을 추정하여, 추정된 데이터 값의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를 상기 분석대상데이터에 포함시키며,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분석대상데이터 상에 데이터 값이 추정된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알고리즘의 하이퍼 파라미터의 설정 값을 변경하여, 변경된 설정 값을 통해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가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반영되는 반영률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반영률만큼 상기 특정 실측재난데이터의 데이터 값 추정에 이용된 나머지 실측재난데이터의 반영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
A decision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a part of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real time based on a preset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as the analysis target data required for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an acquisition step of inputting the analysis target data as input data to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nd obtaining output data output from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a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d
An expression step of visualizing and expressing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so that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which is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referenc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s,
It includes the analysis target area, which is an area requiring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and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which is the type of disaster that requires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The decision step is
At least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matching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measured disaster data collected in the analysis target area is determined as the analysis target data, and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is at least When it does not exist on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is estimated based on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of the at least some of the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specific measured disaster data, and the estimated data value is Including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n the analysis target data,
The acquisition step is
When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whose data value is estimated is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data, by changing the set value of the hyper parameter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algorithm,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is the disaster risk level through the changed set value A method of operating a disaster risk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reducing the reflection rate reflected in the analysis, and increasing the reflection rate of the remaining measured disaster data used for estimating the data value of the specific actual disaster data by the reduced reflection 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조건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시점과 이웃한 과거시점 및 미래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인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표출단계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동안에 변화되는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시계열 트랜드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며,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기간 중 특정 시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시점에 대해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condition is,
Based on the present time, it includes a period for analyz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which is a period including the past and future time points adjacent to the present time,
The expression step is
Visualize and express a time series trend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that is chang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When a specific time point is selected during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period, the method of operating a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and crisis level analysis element is expressed for the selected time poi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적 분석 결과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연관된 재난유형인 연관재난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며,
상기 표출단계는,
상기 연관재난유형에 대해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의 연관도, 및 재난위기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시켜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is,
It includ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lated disaster type, which is the disaster type related to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The expression step is
The operating method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he related disaster type, the correlation with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analysis result for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are visualized and display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도는,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 및 상기 연관재난유형 각각에서 재난위기수준 분석에 필요한 실측재난데이터 중, 상기 분석대상재난유형과 상기 연관재난유형 간에 서로 일치되는 실측재난데이터 개수로부터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relationship is
Disas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from the number of measured disaster data that match each other between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among the actual disaster data required for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risk level in each of the analysis target disaster type and the related disaster type How the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work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재난위기수준 분석요소 별 분석 결과의 표출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가 입력되는 경우, 기 정의된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정성적 분석 결과를 특정 수신처로 전송하거나, 또는 특정 포맷의 문서로 출력하는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위기수준표출장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method is
Whe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input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disaster risk level analysis element,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destination according to a predefined processing procedure, or outputted as a document in a specific format Operation method of the disaster and crisis level expres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cessing step.
KR1020200186854A 2020-12-29 2020-12-29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176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54A KR102417675B1 (en) 2020-12-29 2020-12-29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854A KR102417675B1 (en) 2020-12-29 2020-12-29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034A KR20220095034A (en) 2022-07-06
KR102417675B1 true KR102417675B1 (en) 2022-07-07

Family

ID=8239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854A KR102417675B1 (en) 2020-12-29 2020-12-29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6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203B1 (en) * 2022-12-28 2023-12-12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risk analysis service of societal disaster in regional uni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43B1 (en) * 2006-09-07 2009-05-27 정성은 Disaster state analysis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R102098897B1 (en) * 2017-01-03 2020-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lf-le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knowledge and automated workf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034A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462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measuring application performance using application index
US11055169B2 (en) Forecasting workload transaction response time
CN106104496B (en) The abnormality detection not being subjected to supervision for arbitrary sequence
EP3258426A1 (en) Automatic condition monitoring and anomaly detection for predictive maintenance
US20190087990A1 (en) Industrial asset intelligence
US20160292069A1 (en) Utilizing semantic clusters to Predict Software defects
US20140325276A1 (e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fault cause extraction utilizing performance values
CN111309539A (en) Abnormity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334816B (en) Industrial equipment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7418355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AND USE OF THE SYSTEM FOR TRACKING FOOD SAFETY RISKS AND HYGIENE COMPLIANCE
JP7036697B2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20180094775A1 (en) Leak Detection User Interfaces
US20170083926A1 (en) Visualizing and correlating feedback influencers
Fernández-Cantí et al. Set-membership identification and fault detection using a Bayesian framework
JP2020052714A5 (en)
KR102417675B1 (en) Expression apparatus for level of disaster cri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666171A (en) Fault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3093770A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detection of process fingerprints for monitoring in a process plant
US9249794B2 (en) Condition-based and predictive maintenance of compressor systems
US20160170395A1 (en) Case management linkage of updates, evidence, and triggers
Weeraddana et al. Long-term pipeline failure prediction using nonparametric survival analysis
Mohammad Fuad et al. Automated real time anomaly detection model for operation and production data at scale
US20170052867A1 (en) Integrating system dynamics modelling into information system quality measurement in determining quality of an information system
US11747035B2 (en) Pipeline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an HVAC health monitoring system combining rules and anomaly detection
US9473368B1 (en) Network graph representation of physically connected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