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209B1 -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209B1
KR102417209B1 KR1020210153526A KR20210153526A KR102417209B1 KR 102417209 B1 KR102417209 B1 KR 102417209B1 KR 1020210153526 A KR1020210153526 A KR 1020210153526A KR 20210153526 A KR20210153526 A KR 20210153526A KR 102417209 B1 KR102417209 B1 KR 102417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odule
receiving
image signal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록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테크노 filed Critical (주)코리아테크노
Priority to KR102021015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D급이나 UHD급의 고해상도 영상신호의 처리가 가능하고, 수신모듈에는 스케일러를 구비하여 저해상도급의 모니터에서도 영상이 디스플레될 수 있고,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의 기판들은 컨트롤러의 제어보드에 슬롯 타입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1)와, 입력된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33)와,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35)와, 변조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7)를 포함하는 송신모듈(30);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3)와, 복조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25)와, 디코딩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27)와,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출력부(29)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모듈(20);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40);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모듈(30)과 복수의 수신모듈(20)이 탑재되는 기판(21, 31)들은 컨트롤러(10)가 탑재된 제어보드(11)에 구비된 레일부재(13)의 슬롯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broadcasting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HD급이나 UHD급의 고해상도 영상신호의 처리가 가능하고, 수신모듈에는 스케일러를 구비하여 저해상도급의 모니터에서도 영상이 디스플레될 수 있고,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의 기판들은 컨트롤러의 제어보드에 슬롯 타입으로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한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통신장비는 지상파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구내 방송신호 등을 외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내부의 TV, 스피커 등에 출력하여 방송하고, 내부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복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장비이다.
방송통신장비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0466069 "디지털 오디오 방송 송수신 장치", 등록특허 10-1367203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등이 개시되었다.
근래의 방송통신장비는 해상도 4K의 HD, 8K의 UHD의 고해상도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있고, 이러한 고해상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모니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저해상도의 영상은 디스플레이 가능하지만 고해상도의 영상은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저해상도 모니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고해상도 모니터는 고가의 제품으로서, 저해상도 모니터를 사용하던 사람들이 고행상도 모니터로 교체하기에는 비용부담이 크다.
그래서 비용부담이 적으면서 저해상도 모니터로 고해상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송통신장비는 제어보드에 송신모듈, 수신모듈 및 컨트롤러가 함께 탑재되어 있다. 그래서 송신모듈, 수신모듈 및 컨트롤러 중 어느 하나에 유지보수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되면 이들이 모두 탑재된 제어보드를 교체하는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고해상도 영상신호의 처리가 가능하고, 수신모듈에는 고해상도 영상신호를 저해상도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스케일러가 구비되어서 저해상도 모니터에서도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수신모듈과 송신모듈의 기판은 컨트롤러의 제어보드에 슬롯 타입으로 삽입 접속되어서 문제가 발생된 수신모듈이나 송신모듈만을 교체 가능한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송신모듈, 수신모듈, 컨트롤러 등이 내장되어 장착되는 함체의 케이스와 덮개가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1)와, 입력된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33)와,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35)와, 변조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7)를 포함하는 송신모듈(30);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3)와, 복조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25)와, 디코딩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27)와,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출력부(29)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모듈(20);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40);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모듈(30)과 복수의 수신모듈(20)이 탑재되는 기판(21, 31)들은 컨트롤러(10)가 탑재된 제어보드(11)에 구비된 레일부재(13)의 슬롯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 송신모듈(30), 수신모듈(20),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이 장착되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126)와, 상기 케이스(121)의 체결판(122)과 상기 덮개(126)의 체결판(127)을 체결시키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는 함체(120);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케이스(121) 체결판(122)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해상도 영상신호의 처리가 가능하고, 스케일러를 통해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절하여서 저해상도 모니터에서도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은 별도의 기판에 탑재되어서 컨트롤러의 제어보드에 간편하게 탈부착되고, 그에 따라 문제가 발생된 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모듈, 수신모듈, 컨트롤러 등이 장착되는 함체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수단을 구비한 볼트 및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감시모니터(40), 원격제어모듈(50), 파워서플라이(60), 조작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 수신모듈(20)은 외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내부의 TV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고, 상기 방송 송신모듈(30)은 내부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고, 상기 조작부(7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컨트롤러(10)는 조작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상기 방송 수신모듈(20)과 방송 송신모듈(30)을 제어하는 등으로 본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파워서플라이(60)는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10)와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등에 공급한다.
상기 방송 수신모듈(20)은 외부에서 여러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방송 수신모듈(20)은 수신부(21), 복조부(23), 디코더(25), 스케일러(27), 출력부(29)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21)는 지상파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구내 방송신호 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23)는 상기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대역폭 정보를 이용해 복조한다.
상기 디코더(25)는 상기 복조부(23)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스케일러(27)는 상기 디코더(25)에서 디코딩된 방송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해상도를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해상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바이패스하고, 고해상도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로서 모니터(TV)가 고해상도인 경우 바이패스하고, 모니터(TV)가 저해상도인 경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낮춰서 저해상도 모니터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케일러(27)는 상기 모니터(TV)와 데이터 통신하여서 모니터의 해상도 스펙(즉, 저해상도 고해상도 여부)을 확인하고, 확인된 해상도 스펙을 저장하여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에 따라 자동으로 바이패스시키거나 해상도를 조절한다.
상기 출력부(27)는 상기 디코더(25)에서 디코된 방송신호를 TV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여 방송되도록 한다.
상기 방송 송신모듈(30)은 입력부(31), 인코더(33), 변조부(35), 송신부(37)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1)는 마이크, PC 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인코더(33)는 상기 입력부(3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를 인코딩하여 압축한다.
상기 변조부(35)는 상기 인코더(33)에서 인코딩된 방송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송신부(37)는 상기 변조부(35)에서 변조된 방송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롤 송신한다.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조작부(70)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고, 상기 방송 송신모듈(30)과 방송 수신모듈(20)의 작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을 설정하고, 여러 방송신호가 동시에 수신되거나 입력되는 때에 우선순위가 빠른 방송신호가 먼저 처리되도록 하는 등으로 본 시스템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방송 송신모듈(30)과 방송 수신모듈(2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감시모니터(4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감시모니터(40)와 원격제어모듈(50)에서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분석처리한다.
상기 송신모듈(30)은 기판(39)에 탑재되고, 상기 수신모듈(20)도 기판(29)에 탑재되고, 이들 기판(29, 39)은 상기 컨트롤러(10)가 탑재된 제어보드(11)에 구비된 레일부재(13)에 슬롯 타입으로 삽입되어 접속된다.
상기 감시모니터(40)는 상기 방송 수신모듈(20)과 방송 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10)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방송수신모듈(20)과 방송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로는 방송신호의 세기(dB), 신호대잡음비(SNR), 비디오신호의 해상도, 오디오신호의 볼륨, 송수신 주파수 대역 등이 있다.
상기 감시모니터(40)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상태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컨트롤러(10)에 요청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감시모니터(40)는 평상시에 상기 복수의 방송 수신모듈 중에서 모니터(TV)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50)은 상기 컨트롤러(10)에 연결되고,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PC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예;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모듈(50)은 사용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방송 수신모듈(20)과 방송 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PC나 단말기로 다운받아 실시간 원격감시를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값 변경, 방송신호의 송수신 차단이나 허용 등의 명령신호를 PC나 단말기를 이용해 전송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시모니터(40)와 원격제어모듈(50)은 상기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등과 분리설치되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지만, 그리하면 설치공간이 늘어나고 관리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상기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와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은 하나의 함체(120)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와 도3에는 상기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감시모니터(40), 원격제어모듈(50), 파워서플라이(60), 조작부(70)가 장착되는 함체(1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함체(120)는 상기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감시모니터(40), 원격제어모듈(50), 파워서플라이(60), 조작부(70)가 내장되어 장착되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21)와 상기 덮개(126)의 측면에는 각각 체결판(122, 127)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이들 체결판(122, 127)은 볼트(B)와 너트(N)로 체결된다.
상기 케이스(121)의 전면에는 감시모니터(40)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70)로서 버튼(71)과, 상기 방송 수신모듈(20)들이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채널번호와 방송신호의 수신레벨을 숫자로 표시하여 알려주는 7-세그먼트(101)들과,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색상으로 알려주는는 감도표시 LED(102)들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21)와 상기 덮개(126)는 이들에 구비되는 체결판(122, 127)을 볼트(B)와 너트(N)가 체결하게 되는데, 함체(12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너트(N)가 서서히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덮개(126)가 케이스(121)에서 분리되거나 틈새가 벌어지게 되어서, 함체(120)에 장착된 컨트롤러(10), 방송 수신모듈(20), 방송 송신모듈(30), 감시모니터(40), 원격제어모듈(50), 파워서플라이(60), 조작부(70) 등이 먼지, 물기, 외력 등에 노출되어 위험해 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너트(N) 풀림방지수단을 도입하여 너트(N)가 볼트(B)에서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너트 풀림 방지수단은,
상기 케이스(121) 체결판(122)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도4b 기준으로 상부)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도4b 기준으로 하부)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진동 등에 의해서 풀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너트(N)를 풀기 위해 스패너를 상기 누름바(N2)가 있는 육각면에 맞춰서 끼우면, 스패너에 의해 상기 눌림부(N21)가 눌리면서 상기 누름바(N2)가 삽입하며, 이때 상기 가압부(N23)가 수직으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N22)가 하강하면서 상기 캠홈(N12)의 경사면을 밀어서 상기 밀림부(N13)를 후방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상기 래칫바(N1)가 후진하여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서 이탈하여, 스패너로 상기 너트(N)를 쉽게 풀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트롤러 20 : 방송 수신모듈
23 : 복조부 25 : 디코더
27 : 스케일러 29 : 출력부
30 : 방송송신모듈 33 : 인코더
35 : 변조부 37 : 송신부
40 : 감시모니터 50 : 원격제어모듈
60 : 파워서플라이 70 : 조작부
120 : 함체
121 : 케이스 126 : 덮개

Claims (3)

  1. 영상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1)와, 입력된 영상신호를 인코딩하는 인코더(33)와, 인코딩된 영상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35)와, 변조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7)를 포함하는 송신모듈(30);
    외부에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3)와, 복조된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25)와, 디코딩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27)와, 영상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출력부(29)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모듈(20);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40);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송신모듈(30)과 수신모듈(20)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모듈(30)과 복수의 수신모듈(20)이 탑재되는 기판(21, 31)들은 컨트롤러(10)가 탑재된 제어보드(11)에 구비된 레일부재(13)의 슬롯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상기 컨트롤러(10), 송신모듈(30), 수신모듈(20),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이 장착되는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126)와, 상기 케이스(121)의 체결판(122)과 상기 덮개(126)의 체결판(127)을 체결시키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는 함체(120);
    상기 너트(N)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케이스(121) 체결판(122)의 나사공(C3)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C32)의 바닥에 형성된 래칫 톱니부(C3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래칫 톱니부(C3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되,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출몰하는 결속부(N11)와, 상기 결속부(N11)의 후방으로 연장 연결되며 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캠홈(N12)을 구비한 밀림부(N13)로 구성된 래칫바(N1),
    상기 너트(N) 내부에서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를 향해 탄성 지지되되, 육각면으로 출몰하는 눌림부(N21)와, 상기 눌림부(N21)의 하부로 연장 연결되어 상기 밀림부(N13)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접하며 타면에 상기 캠홈(N12)에 끼워지는 가압돌기(N22)를 구비한 가압부(N23)로 구성된 누름바(N2)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 톱니부(C31)는 상기 너트(N)의 조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톱니들이 나사공(C3)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되면서 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래칫바(N1)는 상기 너트(N)의 전면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밀림부(N13)의 후단이 제1 스프링(N3)으로 지지되어,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너트(N)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누름바(N2)는 상기 너트(N)의 육각면 중 하나에 형성된 출몰홈 상에 끼워져 상기 가압부(N23)의 하단이 제2 스프링(N4)으로 지지되어, 상기 눌림부(N21)가 상기 너트(N)의 육각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눌림부(N21)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너트(N)를 상기 볼트(B)에 조여서 상기 결속부(N11)가 상기 래칫 톱니부(C31)에 접촉될 때 상기 래칫바(N1)가 전후로 출몰하면서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를 지나 완전하게 조여진 후, 상기 결속부(N11)가 래칫 톱니부(C31)의 톱니들 중 하나에 걸림에 따라 상기 너트(N)는 풀리지 않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53526A 2021-11-10 2021-11-10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26A KR102417209B1 (ko) 2021-11-10 2021-11-10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26A KR102417209B1 (ko) 2021-11-10 2021-11-10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209B1 true KR102417209B1 (ko) 2022-07-06

Family

ID=8240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526A KR102417209B1 (ko) 2021-11-10 2021-11-10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2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172B1 (ko) * 1992-12-09 2001-05-02 마크 홀린저 텔레비젼 프로그램 전송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터미널
JP2003101263A (ja) * 2001-09-19 2003-04-04 Ricoh Co Ltd 電子機器
JP2007059490A (ja) * 2005-08-22 2007-03-08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8235473A (ja) * 2007-03-19 2008-10-02 Denso Corp 電子装置
KR101512398B1 (ko) * 2013-12-19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고정 부재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172B1 (ko) * 1992-12-09 2001-05-02 마크 홀린저 텔레비젼 프로그램 전송시스템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기 위한 재프로그래밍 가능한 터미널
JP2003101263A (ja) * 2001-09-19 2003-04-04 Ricoh Co Ltd 電子機器
JP2007059490A (ja) * 2005-08-22 2007-03-08 Toshiba Corp 電子機器
JP2008235473A (ja) * 2007-03-19 2008-10-02 Denso Corp 電子装置
KR101512398B1 (ko) * 2013-12-19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고정 부재를 이용한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618B2 (en) SMATV headend using IP transport stream inpu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239912B2 (en) Wireless network base stations capable of receiving video signals
EP1748649B1 (en) Broadcasting signal handling
WO1995008245B1 (en) Video communication controller
RU2003127845A (ru) Распределение и передача по сети телевизионных, видео- и других сигналов, построение таких систем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 управление телевизорами
KR102417209B1 (ko) 멀티슬롯 타입의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KR20060027230A (ko) 미디어 게이트웨이
KR20030058118A (ko) 디지털 티브이 셋탑박스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간의무선 접속 장치
KR100682320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수신 시스템
KR200407831Y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간이 디엠비 셋톱박스
JP2001211441A (ja) 放送受信装置
CN213186298U (zh) 一种智能型易于安装的电视信息播控装置
KR100770568B1 (ko) Rf 리모컨을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CN213880059U (zh) 一种无线监视器
KR100990146B1 (ko)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KR20070040005A (ko) 티브이에서의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224412B2 (en) Ceiling suction type digital television device
KR100501186B1 (ko) 방송 수신 커넥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39445A (ko) 영상 신호 송수신 장치
KR200362434Y1 (ko) 매립형 고화질 영상 유니트
KR100744852B1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19915Y1 (ko) 무선마이크 수신기능을 갖는 티브이
KR20070037153A (ko)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수신 시스템
KR1012331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
KR100814365B1 (ko) 내장형 고화질방송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