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928B1 -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 Google Patents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928B1
KR102416928B1 KR1020220021858A KR20220021858A KR102416928B1 KR 102416928 B1 KR102416928 B1 KR 102416928B1 KR 1020220021858 A KR1020220021858 A KR 1020220021858A KR 20220021858 A KR20220021858 A KR 20220021858A KR 102416928 B1 KR102416928 B1 KR 10241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eding
image
unit
abdomi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금지수
김경남
박성준
김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센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센,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센
Priority to KR102022002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9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9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42Determining blood loss or bleeding, e.g. during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6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3D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7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termination of haemodynamic parameters, e.g. perfusion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lmo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rs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by an image inputting unit, receiving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a step of arranging, by an image arrangement unit,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ng a contrast medium in the received CT image; a step of using, by an image segmenting unit, a spine section segmenting model to segment a spine section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using a digestive organ segmenting model to segment a digestive organ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plurality of segmented sections; a step of inspecting, by a bleeding detecting unit, bleeding of the digestive organ segment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and determining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bleeding inspection; a step of forming, by a bleeding shape forming unit, a bleeding shape if bleeding is detected; a step of deter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ng unit,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from a plurality of sites if bleeding is detected; a step of designating, by an emergency care priority designating unit, priority of emergency care for bleeding if bleeding i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sites; a step of visualizing, by a bleeding location and shape displaying unit, the location and shape of bleeding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sites to be displayed on a screen; and a step of determining, by a control unit, whether to end the CT image analysis and end the analysis process if it is determined to end the CT image analys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helping emergency measures or setting of treatment plans directly and indirectly.

Description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및 방법{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통해 소화관 내부의 출혈 환자의 출혈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bleeding location of a bleeding patient inside the digestive tract through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t relates to a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병원의 응급실 CT에서 출혈 소견이 있는데, CT 영상에 익숙하지 않은 타과 의사가 이를 제때에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정신없이 밀려드는 응급 환자들 때문에 CT 영상을 제때에 확인하지 못해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결국, 이러한 상황들은 응급 환자들에 대해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한 진단 및 응급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가 더욱 위중한 상태로 되거나,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There are cases where there are bleeding findings on CT in the emergency room of the hospital, but other doctors who are not familiar with CT images may not recognize it accurately in a timely manner. In addition, the diagnosis may be delayed because CT images cannot be checked in time due to the rush of emergency patients. As a result, in these situations, accurate diagnosis and first aid are not performed quickly for emergency patients, which may result in a more serious condition for the patient or, in the worst case, death.

따라서, 복부 CT 영상 분석을 통해 소화관 내부의 출혈 환자의 출혈 위치를 정확히 검출하여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써, 의료진이 빠른 시간 내에 이를 확인하여응급처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ystem that accurately detects the bleeding location of a bleeding patient in the digestive tract through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o that medical staff can quickly identify it and provide emergency treatmen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6311호(2017.07.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6311 (2017.07.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복부 CT 영상 분석을 통해 소화관 내부의 출혈 환자의 출혈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nd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hat can accurately detect the bleeding location of a bleeding patient inside the digestive tract through abdominal CT image analysis. has its purpose 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부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와;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부와;an image alignment unit for aligning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상기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및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영상 분할부와;In the aligned image, the vertebral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spine section segmentation model, and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divided spine. with installments;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고,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출혈 검출부와;a bleeding detection unit for examining bleeding in the digestive tract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and determining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상기 출혈 검출부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검출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하는 출혈 형상 구성부와;a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that configures a shape of the detected bleeding when the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bleeding detection unit;

상기 출혈 검출부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와;an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bleed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when bleeding is det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bleeding detection unit;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 및a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that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상기 영상 입력부, 영상 정렬부, 영상 분할부, 출혈 검출부, 출혈 형상 구성부,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제어하고,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영상 입력부에 의해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By controlling the status check and operation of the image input unit, image alignment unit, image segmentation unit, bleeding detection unit,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first aid ranking unit, and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is finish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turns the analysis process to the step of receiving an image by the image input unit if it is not finished, and terminates the analysis process if it is finished.

여기서, 상기 영상 정렬부에서 정렬하는 CT 영상은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Arterial-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Portal-phase) 영상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T image aligned by the image alignment unit is a pre-phase image, an arterial-phase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second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 phase) image and a third set time elapsed (Delayed-phase) image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spin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vertebrae, lumbar vertebrae, and sacral/caudal vertebrae.

또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은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trac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s to the segmented vertebral segment in response to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sacrum / It may include a caudal segmentation model.

이때,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trac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the esophagus, stomach, ascending/descending colon, and transverse colon segment using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 can be divided into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 using the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rectal and s-colon segment using the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respectively.

또한,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um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이때,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may include a thoracic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 lumbar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또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configures the bleeding shap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bleeding shape in 3D.

또한,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는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함에 있어서,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assigns the first aid treatment priority to bleeding when bleeding is detected in multiple locations, when multiple bleeding is found in the images 20 seconds, 60 seconds, and 100 seconds or mor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 it is possible to prioritize first aid treatment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the bleeding rate at the site where bleeding is found.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r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은,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상 입력부, 영상 정렬부, 영상 분할부, 출혈 검출부, 출혈 형상 구성부,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으로서,Activity based on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n image input unit, an image alignment unit, an image segmentation unit, a bleeding detection unit, a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a first aid ranking unit, a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A method for detecting bleeding comprising:

a) 상기 영상 입력부가 외부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와;a) the image input unit receiving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b) 상기 영상 정렬부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하는 단계와;b) aligning, by the image aligning unit,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c)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및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와;c)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vertebral par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vertebral section segmentation model in the aligned image, and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divided spine dividing each into

d)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는 단계와;d) exa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bleeding in the digestive system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e)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e) deter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organs;

f) 상기 단계 e)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하는 단계와;f) if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e), configuring the bleeding shape by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g) 상기 단계 e)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상기 출혈 검출부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g) if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e), deter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h) 상기 단계 g)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가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h) if bleeding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g), designating the bleed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by the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designation unit;

i) 상기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가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i) 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j) 상기 제어부가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단계 a)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j)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is finished, if not, returns the analysis process to step a), and if it is finished, the analysis process is terminated.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복부 CT 영상은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Arterial-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Portal-phase) 영상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in step a), the abdominal CT image is a pre-phase image, an arterial-phase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second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 phase) image and a third set time elapsed (Delayed-phase) image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vertebra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step c), the vertebrae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lumbar, and sacral/caudal vertebrae.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은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in step c) may include a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divided vertebral segments.

이때,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trac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the esophagus, stomach, ascending/descending colon, and transverse colon segment using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 can be divided into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 using the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rectal and s-colon segment using the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respectively.

또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e),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it is determined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ontrast medium injection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can be discerned.

이때,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may include a thoracic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 lumbar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또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Also, in step f),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configures the bleeding shape, the shape of the bleeding may be configured in 3D.

또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함에 있어서,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in step h) detects bleeding at multiple locations, in assigning the bleeding first aid priority priority, a plurality of If bleeding is found, the first aid can be prioritiz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the bleeding rate at the site where the bleeding was foun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소화관 내부의 출혈 환자의 CT 영상에서 정확한 출혈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의사의 응급 조치나 치료 방향 설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etecting the exact location of bleeding in the CT image of a bleeding patient inside the digestive tra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irectly/indirectly help a doctor to take emergency measures or set a treatment direction.

또한, 영상의학과 의사가 상주하지 않는 모든 병·의원에서 출혈 환자에 대하여 지연없이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agnosis can be made without delay for bleeding patients at all hospitals and clinics where radiologists do not reside.

또한, 출혈의 형상(spillage)을 3D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고, 출혈량 및 출혈 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bleeding in 3D and to calculate the amount of bleeding and the bleeding rate.

또한, 복수 개소에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출혈량이나 출혈 속도를 산출함으로써 응급 처치가 필요한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bleeding occurs in multiple location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iority required for emergency treatment can be designated and indic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the bleeding 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3D 복부 CT 영상을 2D 슬라이스인 Coronal, Sagittal, Axial plane 영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대장의 하행결장 출혈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대장의 상행결장 출혈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척추 구간 분할 및 주요 소화기관의 축면(Axial plane)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조영제 주입 전 Sagittal Plane 영상을 척추 영역을 바탕으로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의 척추 구간별 소화기관 분할 모델로 영역 분할을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의 척추 구간별 출혈 검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에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에서의 Bitwise AND 및 Bitwise OR에 따른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조영제 주입 후 영상의 출혈 검출 결과에 따라 Axial, Coronal, Sagittal 영상에 위치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조영제 주입 후 영상에서 출혈 검출 후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조영제 주입 후 영상을 토대로 출혈량을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조영제 주입 후 영상에서 복수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량 산출하여 응급처리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슬라이스에서 Axial 영상 1픽셀의 간격과 두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 abdominal CT image as a 2D slice coronal, sagittal, and axial plane images.
4 is a view showing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ase of descending colonic bleeding of the large intestine.
5 is a view showing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ase of ascending colonic bleeding of the large intestine.
6 is a view showing an axial plane image of segmentation of the spine and major digestive organ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agittal plane imag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ased on a spinal region before contrast medium injec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egions are segmented using a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for each vertebral section of an axial plane image before an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bleeding detection for each spinal section of an axial plane image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organs and bleeding regions are marked on an axial plane image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organs and bleeding regions are marked according to bitwise AND and bitwise OR in axial plane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ositions are marked on axial, coronal, and sagittal images according to a bleeding detection result of an imag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bleeding shape in 3D after detecting bleeding in an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bleeding based on an imag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line for designat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ies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when multiple bleeding is found in an imag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val and a thickness of 1 pixel of an axial image in a slic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module”, and “devic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implemen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에 대해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Here, befor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irst described.

본 발명에서의 "활동성 출혈(Active Bleeding)"이란 대부분 "동맥성 출혈"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tive bleeding" mostly means "arterial blee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100)은 영상 입력부(110), 영상 정렬부(120), 영상 분할부(130), 출혈 검출부(140), 출혈 형상 구성부(150),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100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10 , an image alignment unit 120 , an image division unit 130 , a bleeding detection unit 140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150 , a first aid ranking unit 160 , a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170 , and a control unit 180 .

영상 입력부(110)는 외부(예를 들면, 병·의원의 CT 영상 데이터를 보관 및관리하고 있는 통합 서버나 의사의 개인 단말기 또는 CT 촬영 기기)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이와 같은 영상 입력부(110)는 3D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후술하는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는 입력받은 3D 복부 CT 영상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슬라이스인 Coronal plane 영상(a), Sagittal plane 영상(b) 및 Axial plane 영상(c)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eg, an integrated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CT image data of a hospital or clinic, a personal terminal of a doctor, or a CT imaging device). Here, the image input unit 110 may receive a 3D abdominal CT image, and 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isplays the received 3D abdominal CT image as shown in FIG. 3 , a 2D slice Coronal. A plane image (a), a sagittal plane image (b), and an axial plane image (c) can be converted and displayed.

영상 정렬부(120)는 상기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한다. 이때, 영상 정렬부(120)가 정렬하는 CT 영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a),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면, 20초 후)(Arterial-phase) 영상(b) 및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면, 60초 후)(Portal-phase) 영상(c)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0초 후, 60초 후는 하나의 예시로서, 반드시 이와 같은 시간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대상이나 상황에 따라 다른 시간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대장의 하행결장 출혈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대장의 상행결장 출혈의 경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The image alignment unit 120 aligns the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 At this time, the CT image aligned by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is, as shown in FIGS. 4 and 5 , a pre-phase image (a)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first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eg For example, after 20 seconds) (Arterial-phase) image (b) and after a second set time (eg, after 6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phase) image (c) and the thir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It may include an image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Delayed-phase). Here, after 20 seconds and after 60 seconds are examples,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time values, and may be set to other time values according to an applied object or situation. 4 shows images before an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in the case of descending colonic bleeding, and FIG. 5 shows images before an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in the case of ascending colonic bleeding.

영상 분할부(130)는 상기 영상 정렬부(120)에 의해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130a)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및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영상 분할부(130)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할부(130)가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영상 분할부(130)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할 수 있다.The image segmentation unit 130 divides the spinal segmen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spin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130a in the image aligned by the image arrangement unit 120, and digests the segments corresponding to the segments of the segmented spine. Each of the digestive organ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organ division model 130b. Here, when the image dividing unit 130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s shown in FIG. 6 , the spinal section may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lumbar, and sacral/coccyx. In addition,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130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130b,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130b is It may include a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spine segment. At this time,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130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130b, respectively, the digestive system uses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to divide the digestive system into the esophagus, stomach, and ascending · It can be divided into descending colon and transverse colon sections,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s using the lumbar section segmentation model, and rectum and s-colon sections using the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출혈 검출부(140)는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고,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출혈 검출부(140)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examines the bleeding of the digestive tract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and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Here,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as shown in FIG. 9 ,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um are compared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leeding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may include a thoracic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 lumbar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여기서, 상기 Arterial-phase, Portal-phase 및 Delayed-phase 영상과 관련하여 조금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Here, we will try to add a little more explanation in relation to the Arterial-phase, Portal-phase, and Delayed-phase images.

Arterial-phase(20∼40초) 영상으로부터 출혈이 감지되면 "동맥성" 출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CT에서 조영제 누출이 있으면 대부분 이 경우에 해당함), Portal-phase(60∼90초) 영상으로부터 출혈이 감지되면 "문맥성" 출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Delayed-phase(100초 이상) 영상으로부터 출혈이 감지되면 "정맥성" 출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If bleeding is detected from the arterial-phase (20-40 sec) image, it can be considered as possible "arterial" bleeding (this is the case in most cases if there is a contrast medium leak on CT), and the portal-phase (60-90 sec) image If bleeding is detected from a “portal” bleeding, it can be considered as a possibility of “venous” bleeding if bleeding is detected from a Delayed-phase (more than 100 seconds) image.

출혈 형상 구성부(150)는 상기 출혈 검출부(140)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150)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검출된 혈액 유출에 대한 3차원 연결 성분(connected component)을 분석한다. 즉, Axial 슬라이스에서 검출된 출혈에 3차원 연결 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출혈을 레이블링(labeling)하여, 각 출혈을 구분하게 된다.When bleeding is detected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 the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150 configures the detected bleeding shape as shown in FIG. 13 . Here,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150 configures the bleeding shape, the bleeding shape may be configured in 3D. Here, a three-dimensional connected component of the detected blood outflow is also analyzed. That is, each bleeding is classified by labeling the bleeding by applying the 3D connection component analysis to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axial slice.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는 상기 출혈 검출부(140)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①,②)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조영제 주입 후 영상으로부터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160 assigns the bleed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order if bleeding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 Here, as shown in FIG. 15 , the first aid ranking unit 160 determines where bleeding is found when a plurality of bleeding is found in the images 20 seconds, 60 seconds, and 100 seconds or mor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The first aid priority (①,②) can be specified by calculating the bleeding amount or bleeding rate. Here, the calculation of the bleeding amount or bleeding rate from the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will be described in a little more detail.

CT 영상의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태그에는 도 16과 같이 슬라이스에서 Axial 영상 1픽셀의 가로 및 세로의 픽셀 간격(Pixel Spacing)과, 슬라이스 두께(Slice Thickness)가 mm단위로 저장되어 있다. 이때, 1 픽셀의 부피를 단위 변환하면, 3세제곱밀리미터(mm3) = 0.003밀리리터(ml)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BAi(Arterial-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Blood Spillage)에 대한 출혈량(ml)), BPi(Portal-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에 대한 출혈량(ml)), BDi(Delayed-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에 대한 출혈량(ml))는 다음과 같은 수식 관계로 각각 표현될 수 있다.In the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tag of the CT image, as shown in FIG. 16 ,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 spacing of 1 pixel of the axial image and the slice thickness are stored in mm units. . At this time, if the volume of 1 pixel is converted into units, 3 cubic millimeters (mm 3 ) = 0.003 milliliters (ml). Based on this, B Ai (the amount of bleeding (ml) for the i-th blood spillage detected in the arterial-phase), B Pi (the amount of bleeding (ml) for the ith blood outflow detected in the portal-phase), B Di (the amount of bleeding (ml) for the i-th blood outflow detected in the delayed-phase)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BAi = k × VAi B Ai = k × V Ai

BPi = k × VPi B Pi = k × V Pi

BDi = k × VDi B Di = k × V Di

여기서, k는 영상 1픽셀의 mm3 부피에 해당하는 ml값, VAi는 Arterial-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에 대한 픽셀의 수, VPi는 Portal-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에 대한 픽셀의 수, VDi는 Delayed-phase에서 검출된 i번째 혈액 유출에 대한 픽셀의 수를 각각 나타낸다.where k is the ml value corresponding to the mm 3 volume of 1 pixel of the image, V Ai is the number of pixels for the i-th blood outflow detected in the arterial-phase, and V Pi is the i-th blood outflow detected in the portal-phase. The number of pixels, V Di represents the number of pixels for the i-th blood outflow detected in the Delayed-phase, respectively.

또한, 출혈 속도는 동일한 출혈에 대해 Phase 간 초당 출혈량(ml/sec)을 계산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수식 관계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bleeding rate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per second (ml/sec) between phases for the same bleeding. This can be expressed as a formula relation as follows.

Figure 112022018803457-pat00001
Figure 112022018803457-pat00001

Figure 112022018803457-pat00002
Figure 112022018803457-pat00002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는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는 일반적인 LCD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170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The bleeding position/shape display unit 17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LCD monitor.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입력부(110), 영상 정렬부(120), 영상 분할부 (130), 출혈 검출부(140), 출혈 형상 구성부(150),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제어하고,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영상 입력부(110)에 의해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1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includes the image input unit 110 ,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 the image division unit 130 ,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 the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150 , the first aid ranking unit 160 , the bleeding Controls the state check and operation of the position/shape display unit 170, determines whether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is finished, and if not, returns the analysis process to the step of receiving the image by the image input unit 110, and ends Terminates the analysis process. Such a control unit 180 may be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or the like.

여기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100)은 바람직하게는 외부의 기기 또는 네트워크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100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90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r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may include

여기서,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100)은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면, 일반적인 데스크탑 컴퓨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100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computer system (eg, a general desktop computer) in some cases.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에 기반한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based on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영상 입력부(110), 영상 정렬부(120), 영상 분할부 (130), 출혈 검출부(140), 출혈 형상 구성부(150),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100)을 바탕으로 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으로서, 먼저상기 영상 입력부(110)가 외부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다(단계 S201). 여기서, 상기 복부 CT 영상은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예를 들면, 20초) 경과 후(Arterial-phase) 영상 및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예를 들면, 60초) 경과 후(Portal-phase)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mage input unit 110 ,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 the image division unit 130 , and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as described above. ), bleeding shape component 150, first aid ranking unit 160, bleeding location / shape display unit 170, and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100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 control unit 180 based on As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first, the image input unit 110 receives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step S201). Here, the abdominal CT image is a pre-phase image, an Arterial-phase image after a first set time (for example, 20 seconds)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and a second set time (e.g. For example, it may include an image after 60 seconds) elapses (Portal-phase).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복부 CT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정렬부(120)는 상기 영상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한다(단계 S202). 여기서, 영상 정렬부(120)가 정렬하는 CT 영상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a),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면, 20초 후)(Arterial-phase) 영상(b),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예를 들면, 60초 후)(Portal-phase) 영상(c)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When an abdominal CT image is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aligns the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110 (step S202 ). Here, the CT image aligned by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is, as shown in FIGS. 4 and 5 , a pre-phase image (a)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first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eg, For example, after 20 seconds (Arterial-phase) image (b), after a second set time has elapsed (for example, after 6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phase) image (c), an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the third It may include an image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Delayed-phase).

이렇게 하여 영상 정렬부(120)에 의해 영상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영상 분할부(130)는 상기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130a)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한다(단계 S203). 여기서, 상기 영상 분할부(130)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130b)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분할부(130)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할 수 있다.When the image alignment is completed by the image alignment unit 120 in this way, the image division unit 130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spine section division model 130a in the aligned image, and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usi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130b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vertebrae (step S203). Here, when the image dividing unit 130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s shown in FIG. 6 , the image divider 130 may divide the spine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lumbar, and sacral/coccyx.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130b may include a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segmented vertebrae segments. At this time,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130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system divis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the esophagus, stomach, ascending and descending colon using the thoracic segment division model, As a transverse colon section, it can be divided into a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 using the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rectum and s-colon segment using the sacral/coccid segment segmentation model, respectively.

이렇게 하여 영상 분할부(130)에 의해 소화기관이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되면, 상기 출혈 검출부(140)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고(단계 S204),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205). 여기서, 상기 출혈 검출부(140)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the image dividing unit 130,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inspects the bleeding in the digestive organs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step S204), an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It is determined whether bleeding has been detected (step S205). Here,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it is determined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ontrast medium injection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can In this case,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as shown in FIG. 9 , may include a bleeding detection model in the thoracic region, a bleeding detection model in the lumbar region, and a bleeding detection model in the sacral/caudal region.

상기 단계 S205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150)가 출혈 형상을 구성한다(단계 S206). 여기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150)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205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지 않았으면, 분석프로세스를 단계 S210으로 진행한다.If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5, as shown in FIG. 13, the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150 configures a bleeding shape (step S206). Here,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150 configures the bleeding shape, the bleeding shape may be configured in 3D. In addition, if no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5, the analysis process proceeds to step S210.

또한, 상기 단계 S205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출혈 검출부(140)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207). 이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면, 분석프로세스를 단계 S209로 진행한다.In addition, when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5, the bleeding detec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step S207). In this determination, if no bleeding is det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analysis process advances to step S209.

그리고 상기 단계 S207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가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한다(단계 S208). 여기서,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함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①,②)를 지정할 수 있다.And, if bleeding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S207, the first aid treatment priority designating unit 160 assigns the bleeding first aid treatment priority order (step S208). Here, when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160 determines that bleeding is detected at multiple locations, in designating the bleed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as shown in FIG. 15 , after injection of the contrast medium 20 seconds, 60 seconds, If multiple bleeding is detected in the image for more than 100 seconds, the first aid priority (①,②) can be design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the bleeding rate at the site where the bleeding was found.

이상과 같이,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160)에 의해 응급처치 우선 순위가 지정된 후, 상기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는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단계 S209).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irst aid priority is designated by the first aid ranking unit 160, 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170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tep S209).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단계 S201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is finished, and if not, returns the analysis process to the step S201, and if it is finished, the analysis process is terminated.

여기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을 조금 더 부가해 보기로 한다.Here, we will try to add a little more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7은 조영제 주입 전 Sagittal Plane 영상을 척추 영역을 바탕으로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agittal plane imag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ased on a spinal region before contrast medium injection.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분할부(130)는 조영제 주입 전 Sagittal Plane 영상이 입력되면, 척추 구간 분할 모델(130a)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여기서는 3개의) 구간(예컨대, 흉추 구간, 요추 구간, 천추/미추 구간)으로 분할하고, Axial 슬라이스를 분할된 척추 구간으로 매핑하게 된다. 이때, 척추 구간 분할 모델 (13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 구간 분할의 정답 데이터에 대해 미리 학습을 하게 되며, 이러한 사전 학습을 바탕으로 척추 부분을 복수의(여기서는 3개의) 구간(예컨대, 흉추 구간, 요추 구간, 천추/미추 구간)으로 분할하게 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 when a sagittal plane image is input before contrast medium injectio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130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here, three) sections (eg, thoracic segment, It is divided into lumbar vertebrae and sacral/caudal vertebrae), and the axial slice is mapped to the divided vertebral segments. At this time, the spinal section division model 130a, as shown, learns in advance for the correct answer data of the spine section division, and divides the spine part into a plurality of (here, three) sections (for example, It will be divided into thoracic vertebrae, lumbar vertebrae, and sacral/caudal vertebrae).

도 8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의 척추 구간별 소화기관 분할 모델로 영역 분할을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regions are segmented using a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for each vertebral section of an axial plane image before and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도 8을 참조하면, (a)는 조영제 주입 전의 요추 구간의 Axial 영상이고, (b)는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의 요추 구간의 Axial 영상이며, (c)는 조영제 주입 후 60초 후의 요추 구간의 Axial 영상이다. 이상과 같은 (a), (b), (c)의 요추 구간의 Axial 영상이 입력되면, 소화기관 분할 모델(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 중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요추 구간의 소화기관 영역을 출력하게 된다. 동일한 원리로 흉추 구간의 Axial 영상이 입력되면,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흉추 구간의 소화기관 영역을 출력하게 되고, 천추/미추 구간의 Axial 영상이 입력되면,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천추/미추 구간의 소화기관 영역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마찬가지로 척추 구간별 각 소화기관 분할 모델은 흉추, 요추, 천추/미추 구간 각각에 대해 분할된 소화기관(즉, 흉추: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요추: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천추/미추: 직장, 에스결장/직장, 항문)의 정답 데이터에 대해 미리 학습을 하게 되며, 이러한 사전 학습을 바탕으로 흉추, 요추, 천추/미추 구간의 소화기관 영역을 각각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8, (a) is an axial image of the lumbar region before contrast agent injection, (b) is an axial image of the lumbar region 20 seconds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c) is an axial image of the lumbar region 60 seconds after contrast agent injection It is an axial image. When the axial image of the lumbar segment of (a), (b), and (c) as above is input, the lumbar segment is divided amo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s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sacral vertebrae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region of the lumbar vertebrae is output using the model. In the same principle, when the axial image of the thoracic segment is input, the digestive system region of the thoracic segment is output using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area of the sacral/coccyx section is output. At this time, similarly, each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for each vertebral segment is divided into the thoracic vertebrae, lumbar vertebrae, and sacral/coccyx segments (ie, thoracic vertebra: esophagus, stomach, ascending/descending colon, lumbar vertebra: transverse colon, ascending/descending colon) , sacrum/coccyx: Rectal, S-colon/rectum, anus) are learned in advance, and the digestive system regions of the thoracic, lumbar, and sacral/coccyx sections are outputted based on this prior learning.

도 10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에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organs and bleeding regions are marked on an axial plane image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도 10을 참조하면, 좌측의 요추 구간의 소화기관 출혈 영역에 있어서, (a) 조영제 주입전, (b)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c) 조영제 주입 후 60초 후의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170)는 우측의 그림과 같이 Axial Plane 영상에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0, in the bleeding region of the digestive tract in the left lumbar region, (a) before contrast medium injection, (b) 2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c) 6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170 displays the digestive organs and bleeding regions on the axial plane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도 11은 조영제 주입 전, 후 Axial Plane 영상에서의 Bitwise AND 및 Bitwise OR에 따른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organs and bleeding regions are marked according to bitwise AND and bitwise OR in axial plane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및 조영제 주입 후 60초 후의 각각의 입력 영상에 대해 'Bitwise AND(비트간 논리곱) 및 'Bitwise OR(비트간 논리합)'에 따라 Axial 영상에 소화기관과 출혈 영역을 각각 표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axial images according to 'Bitwise AND (bitwise OR) and 'Bitwise OR (bitwise OR)' for each input image 2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6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The digestive tract and bleeding area are marked respectively.

도 12는 조영제 주입 후 영상의 출혈 검출 결과에 따라 Axial, Coronal, Sagittal 영상에 위치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ositions are marked on axial, coronal, and sagittal images according to a bleeding detection result of an imag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및 60초 후의 각각의 입력 영상에 대해 출혈 검출 결과에 따라 Axial, Coronal, Sagittal 영상에 위치를 각각 표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 for each input image 20 seconds and 60 seconds after the injection of the contrast agent, the locations are displayed on the axial, coronal, and sagittal images according to the bleeding detection results, respectively.

도 14는 조영제 주입 후 영상을 토대로 출혈량을 산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bleeding based on an imag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도 14를 참조하면, (a)는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의 영상에 대해, 그리고 (b)는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의 영상에 대해, 각각 3차원 투영(projection) 방향의 영상을 바탕으로 출혈량을 산출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14 , (a) is an image 2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b) is an image 20 seconds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3D projection direction image. It is a conceptual representation of output.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및 방법은, 소화관 내부의 출혈 환자의 CT 영상에서 정확한 출혈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의사의 응급 조치나 치료 방향 설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exact location of bleeding in the CT image of a bleeding patient inside the digestive tract, thereby directly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elp indirectly.

또한, 영상의학과 의사가 상주하지 않는 모든 병·의원에서 출혈 환자에 대하여 지연없이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agnosis can be made without delay for bleeding patients at all hospitals and clinics where radiologists do not reside.

또한, 출혈의 형상(spillage)을 3D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고, 출혈량 및 출혈 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bleeding in 3D and to calculate the amount of bleeding and the bleeding rate.

또한, 복수 개소에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출혈량이나 출혈 속도를 산출함으로써 응급 처치가 필요한 우선 순위를 지정하여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bleeding occurs in multiple location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iority required for emergency treatment can be designated and indic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the bleeding rat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appl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explanatory to the technician. Accordingly,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본 발명)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110: 영상 입력부 120: 영상 정렬부
130: 영상 분할부 130a: 척추 구간 분할 모델
130b: 소화기관 분할 모델 140: 출혈 검출부
150: 출혈 형상 구성부 160: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
170: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 180: 제어부
190: 통신부
100: (Inventio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110: image input unit 120: image alignment unit
130: image segmentation unit 130a: spin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130b: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140: bleeding detection unit
150: bleeding shape component 160: first aid ranking unit
170: bleeding position / shape display unit 180: control unit
19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19)

외부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하는 영상 정렬부와;
상기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및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영상 분할부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고,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출혈 검출부와;
상기 출혈 검출부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검출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하는 출혈 형상 구성부와;
상기 출혈 검출부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와;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 및
상기 영상 입력부, 영상 정렬부, 영상 분할부, 출혈 검출부, 출혈 형상 구성부,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의 상태 체크 및 동작을 제어하고,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영상 입력부에 의해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an image alignment unit for aligning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In the aligned image, the vertebral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spine section segmentation model, and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divided spine. with installments;
a bleeding detection unit for examining bleeding in the digestive tract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and determining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a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that configures a shape of the detected bleeding when the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bleeding detection unit;
an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designation unit for designating a bleeding emergency treatment priority when bleeding is det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the bleeding detection unit;
a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that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By controlling the status check and operation of the image input unit, image alignment unit, image segmentation unit, bleeding detection unit,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first aid ranking unit, and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is finished, and a controller for returning the analysis process to the step of receiving an image by the image input unit if it is not completed, and terminating the analysis process if the end result is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렬부에서 정렬하는 CT 영상은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Arterial-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Portal-phase) 영상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T image aligned by the image alignment unit is a pre-phase image, an arterial-phase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second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phase)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n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images and images after a third set time has elapsed (delayed-phas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 which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dividing the spine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lumbar, and sacral/coccy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은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organ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s to the segmented vertebrae segment, a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segment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with segmentation mod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the esophagus, stomach, ascending/descending colon, and transverse colon segment using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hat divides each into a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 using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into a rectal and s-colon segment using the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ontrast medium injection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is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 thoracic vertebrae bleeding detection model, a lumbar vertebrae bleeding detec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o configure the bleeding shape in 3D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configures the bleeding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는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함에 있어서,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bleeding is detected at multiple locations,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assigns a bleeding first aid priority when a plurality of bleeding is found in images 20 seconds, 60 seconds, and 100 seconds or mor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o prioritize first aid treatment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bleeding rate at the found site.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 또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r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영상 입력부, 영상 정렬부, 영상 분할부, 출혈 검출부, 출혈 형상 구성부,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으로서,
a) 상기 영상 입력부가 외부로부터 복부 CT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와;
b) 상기 영상 정렬부가 상기 영상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CT 영상에서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정렬하는 단계와;
c)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정렬된 영상에서 척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 및 분할된 척추의 복수의 구간과 대응하여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와;
d)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소화기관의 출혈을 검사하는 단계와;
e)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f) 상기 단계 e)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하는 단계와;
g) 상기 단계 e)의 판별에서 출혈이 검출되었으면, 상기 출혈 검출부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h) 상기 단계 g)의 판별에서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으면,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가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단계와;
i) 상기 출혈 위치/형상 표시부가 상기 복수 개소에서 검출된 출혈의 위치 및 형상을 시각화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j) 상기 제어부가 CT 영상의 분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종료가 아니면 분석 프로세스를 상기 단계 a)로 회귀시키고, 종료이면 분석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Activity based on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n image input unit, an image alignment unit, an image segmentation unit, a bleeding detection unit, a bleeding shape configuration unit, a first aid ranking unit, a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A method for detecting bleeding comprising:
a) the image input unit receiving an abdominal CT image from the outside;
b) aligning, by the image aligning unit, images before and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 the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c)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vertebral part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vertebral section segmentation model in the aligned image, and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divided spine dividing each into
d) exa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bleeding in the digestive system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ections;
e) deter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organs;
f) if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e), configuring the bleeding shape by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g) if bleeding is det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e), determining by the bleeding detection unit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h) if bleeding is detec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determination of step g), designating the bleeding first aid priority by the first aid priority designation unit;
i) the bleeding location/shape display unit visualizes the location and shape of the bleeding detected in the plurality of locations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nd
j)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 unit ends the analysis of the CT image, returning the analysis process to step a) if it is not finished, and terminating the analysis process if it is finished.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복부 CT 영상은 조영제 주입 전(Pre-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1 설정 시간 경과 후(Arterial-phase) 영상, 조영제 주입 후 제2 설정 시간 경과 후(Portal-phase) 영상 및 조영제 주입 후 제3 설정 시간 경과 후(Delayed-phase) 영상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a), the abdominal CT image is a pre-phase image, an arterial-phase imag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and a second set tim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Portal-phase)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n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n image and an image after a third set time has elapsed (delayed-phase) after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척추 부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함에 있어서, 척추 부분을 흉추, 요추, 천추/미추의 3개의 구간으로 분할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c),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spine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the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divides the spine into three sections: thoracic, lumbar, and sacral/coccyx.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은 분할된 척추 구간에 대응하여 흉추 구간 분할 모델, 요추 구간 분할 모델,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c),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corresponds to the segmented vertebral segment, a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할부가 상기 소화기관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소화기관을 복수의 구간으로 각각 분할함에 있어서, 소화기관을 상기 흉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식도, 위, 상행·하행 결장, 횡행결장 구간으로, 상기 요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횡행결장, 상행·하행 결장 구간으로, 상기 천추/미추 구간 분할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에스결장 구간으로 각각 분할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image segmentation unit divides the digestive system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using the digestive system segmentation model, the digestive system is divided into the esophagus, stomach, ascending/descending colon, and transverse colon segment using the thoracic segment segmentation model, the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hat divides the transverse colon and ascending/descending colon section using the lumbar segment segmentation model, and the rectum and s-colon segment using the sacral/caudal segment segmentation model,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출혈 검출부가 상기 소화기관의 출혈 검사에 따라 출혈이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함에 있어서,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조영제 주입 전, 후의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출혈 검출 여부를 판별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e), when the bleed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bleeding test of the digestive tract, it is determined whether bleeding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ontrast medium injection using the digestive tract bleeding detection model.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관 출혈 검출 모델은 흉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요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 천추/미추 구간 출혈 검출 모델을 포함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igestive system bleeding detection model is an active bleeding detection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including a thoracic vertebrae bleeding detection model, a lumbar vertebr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and a sacral/caudal region bleeding detection mod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출혈 형상 구성부가 출혈 형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3D로 출혈의 형상을 구성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f), when the bleeding shape component constitutes the bleeding shape, the active bleeding detection method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o configure the bleeding shape in 3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에서 상기 응급처치 순위 지정부가 출혈이 복수 개소에서 검출되었을 경우, 출혈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함에 있어서, 조영제 주입 후 20초 후, 60초 후 및 100초 이상 영상에서 복수개의 출혈이 발견된 경우, 출혈이 발견된 부위의 출혈량 또는 출혈 속도를 산출하여 응급처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복부 CT 영상 분석을 이용한 활동성 출혈 검출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step h), when the first aid ranking unit detects bleeding in multiple locations, in assigning the bleeding first aid priority, multiple bleeding is detected in the images 20 seconds, 60 seconds, and 100 seconds or more after contrast medium injection. If found, a method for detecting active bleeding using abdominal CT image analysis to prioritize first ai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bleeding or bleeding rate at the site where bleeding was found.
KR1020220021858A 2022-02-21 2022-02-2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KR1024169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58A KR102416928B1 (en) 2022-02-21 2022-02-2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58A KR102416928B1 (en) 2022-02-21 2022-02-2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928B1 true KR102416928B1 (en) 2022-07-06

Family

ID=8240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58A KR102416928B1 (en) 2022-02-21 2022-02-21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92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311A (en) 2016-01-18 2017-07-2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52613A (en) * 2018-11-07 2020-05-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bdominal disease based on medical im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311A (en) 2016-01-18 2017-07-2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200052613A (en) * 2018-11-07 2020-05-15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bdominal disease based on medical imag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chael L. Wells 외. 'CT for Evaluation of Acute Gastrointestinal Bleeding' RadioGraphics 2018 38:4, pp.1089-1107. 2018년 6월 *
Reis, Fatima Regina Silva et al.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n patients with active gastrointestinal bleeding." Radiologia brasileira vol. 48,6 (2015): 381-90. doi:10.1590/0100-3984.2014.0014. *
Zhou, Yuyin, et al. "Multi-scale attentional network for multi-focal segmentation of active bleed after pelvic fractures." 2019년 6월 공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1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 medical condition on the baisis of medical image
Chiumello et al. Global and regional diagnostic accuracy of lung ultrasound compared to CT in 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US997208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60300026A1 (en) Patient Management Based On Anatomic Measurements
US116003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ata analysis with specialized video enabled software tools for medical environments
US9805161B2 (en) Medical care data display control device, method and program
JP2019103848A (en)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1050769B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Zhan et al. The impact of fatigue on complex CT case interpretation by radiology residents
US89235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uter aided detection using pixel intensity values
He et al. Accuracy and repeatability of a new method for measuring scoliosis curvature
KR101929953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specific diagnostic assistant information
KR102416928B1 (en) Active bleeding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bdominal CT(computed tomography) image analysis
CN112862752A (en) Image processing display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19180120A1 (en) Medical radiology report validation and augmentation system
Zhang et al. Deep Learning Model to Classify and Monitor Idiopathic Scoliosis in Adolescents Using a Single Smartphone Photograph
EP4020493A2 (en) Severity assessment device and model generation device
US20100220905A1 (en) Image diagnosis support apparatus, right and left breast image position corresponding method and program
JP2010268821A (en) Medical image system, medical image management device,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00227157A1 (en) Smooth image scrolling
Lee et al. Learning radiologist’s step-by-step skill for cervical spinal injury examination: Line drawing, prevertebral soft tissue thickness measurement, and swelling detection
US2022030966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30263495A1 (en) Pulmonary embolism diagnosis support apparatus, pulmonary embolism diagnosis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055507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arching and comparing immediate medical image
Del Gaizo et al. Diagnostic Error Categorization at Abdominal Imaging Peer Learning Confer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