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94B1 -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94B1
KR102416694B1 KR1020150191423A KR20150191423A KR102416694B1 KR 102416694 B1 KR102416694 B1 KR 102416694B1 KR 1020150191423 A KR1020150191423 A KR 1020150191423A KR 20150191423 A KR20150191423 A KR 20150191423A KR 102416694 B1 KR102416694 B1 KR 10241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o
frame
data
express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0161A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94B1/en
Publication of KR2017008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로고 잔상 방지를 위한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고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과 로고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은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함으로써, 로고가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고, 이를 통해,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 화상 품질 만족도를 크게 높여줄 수 있는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preventing a logo afterimage, and more specifically, by alternately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in which the logo is expressed and an image in which the logo is not intentionally expressed, the logo Disclosed are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continuously being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and thereby effectively prevent a logo afterimage and greatly increase user satisfaction with image quality.

Figure R1020150191423
Figure R1020150191423

Description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images is increasing in various forms, and in recent year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plasma display devices (PDPs), organic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are being used.

한편, 이러한 각종 표시장치의 화면 상에는,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하거나 레터링 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로고가 표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the screen of such various display devices, a logo corresponding to an image designed or lettered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a certain information using letters, symbols, numbers, etc. may be displayed.

이러한 로고는, 일 예로, 방송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각종 안내 정보, 자막, 날씨 정보, 스포츠 중계 안내 정보 등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Such a logo may be, for example, an image represen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various guide information, subtitles, weather information, sports relay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러한 로고는, 주변의 전체적인 영상이 바뀌더라도, 일반적으로, 화면 상단 오른쪽 또는 왼쪽, 화면 하단 왼쪽 또는 오른쪽 또는 가운데 등의 고정된 위치에서 변하지 않고 장시간 표출되는 경우가 많다. Such a logo is often displayed for a long time without changing in a fixed position such as the upper right or left of the screen, the lower left or right or the center of the screen, in general, even if the overall image around it is changed.

이와 같이, 로고가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표출되는 경우, 로고가 표출되지 않는 프레임 화면 상에 이전에 표출되었던 로고의 잔상이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As such, when the logo is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fterimage of the previously displayed logo is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이러한 로고 잔상은 표시장치의 화상 품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Such a logo afterimage may be a factor of lowering user satisfaction with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이러한 로고 잔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로고 영역의 휘도를 저감시키는 기술이 대표적이다. A technology for preventing such a logo afterimage is being developed, and among them, a technology for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logo area is representative.

이러한 종래의 로고 잔상 방지 기술은, 로고뿐만 아니라 로고 주변의 휘도가 전체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conventional logo afterimage prevention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not only the logo but also the luminance around the logo is lowered as a whole.

또한, 종래의 로고 잔상 방지 기술의 경우, 로고 자체가 계속적으로 표출되고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개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ogo afterimage prevention technology, since the logo itself is continuously expressed, there is a problem that fundamental improvement is impossible.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는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logo afterimage.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로고와 그 주변의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는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preventing a logo afterimage without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logo and its surroundings.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된 표시패널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 및 스캔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provide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by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a data drive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can driver, a data driv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can driver.

이러한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은, 로고(Logo)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한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하고, 이후, 로고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In such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panel displays a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for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period after displaying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expressed, and then, the logo is displayed. The displayed frame screen can be displayed again.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Logo)의 표출 영역에 해당하는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로고 인식부와,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로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고,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로고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로고 표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 a logo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n expression area of a logo on a frame screen by analyzing frame data, and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The logo display data for displaying the logo on the frame screen based on the frame data is output for M frame sections, and thereafter, the logo is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based on the frame data for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ler for a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a logo display control unit that outputs non-logo non-expression data to be non-expressed during N frame sections.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로고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단계와, 로고가 미 표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step of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in which a logo is displayed, and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n image i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

이러한 구동방법에서 제2 단계는,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와, 로고 영역의 주변 영역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산출하는 단계와, 배경 이미지를 로고 영역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ep in this driv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logo area by analyzing the frame data, calculating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surrounding area of the logo area, and expressing the background image in the logo area. may includ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는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logo afterimag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로고와 그 주변의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는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roller,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a logo afterimage without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logo and its surroundings.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로고와 이에 의한 잔상 발생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잔상 저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잔상 저감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잔상 저감을 위한 컨트롤러의 데이터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컨트롤러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한 로고 영역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컨트롤러가 로고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 변조 기법을 통해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컨트롤러가 로고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ogo displayed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d a phenomenon in which an afterimage is generat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an afterimag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reducing an afterimag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ata supply method of a controller for reducing an afterimag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7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logo area by a controll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9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at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ontrols the M+1th frame screen through the image data modulation technique in order not to display the logo.
10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at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ontrols the M+1th frame screen using frame data before the logo display graphic processing in order not to display the logo.
11 and 12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본 실시예들은, 로고 잔상 방지를 위해, 로고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과 로고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은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함으로써, 로고가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는 표시장치(100)와 그 구동방법과 컨트롤러(140)를 개시한다. These embodiments prevent the logo from being continuously displayed in a fixed position by alternately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in which the logo is expressed and the image in which the logo is not intentionally expressed in order to prevent the afterimage of the logo, and through this, Disclosed are a display device 100 capable of effectively preventing a logo afterimage, a driving method thereof, and a controller 140 .

아래에서는, 이러한 표시장치(100)와 그 구동방법과 컨트롤러(1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play device 100, its driving method, and the controller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로고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과 로고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은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하여, 로고가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는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lternately displays the original image in which the logo is expressed and the image in which the logo is not intentionally expressed, so that the logo is continuously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This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logo afterimag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배열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스캔 드라이버(130)와,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disposed. The display panel 110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SP) defined by GL are arranged, the data driver 120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 includes a scan driver 130 for driving, a data driver 120 , and a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the scan driver 130 .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40 supplies various control signals to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to control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The controller 140 starts scanning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and converts the input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er 120 to convert the converted image data (Data) output and control the data operation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이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이거나,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를 포함하여 다른 제어 기능도 더 수행하는 제어장치일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be a timing controller used in a typical display technology or a control device that further performs other control functions including a timing controller.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소스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The data driver 120 drives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by supplying data voltages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Here, the data driver 120 is also referred to as a 'source driver'.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to drive a plurality of data lines.

스캔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스캔 드라이버(130)는 '게이트 드라이버'라고도 한다. The scan driver 130 sequentially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by sequentially supplying scan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Here, the scan driver 130 is also referred to as a 'gate driver'.

이러한 스캔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scan driv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GDIC).

스캔 드라이버(13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The scan driver 130 sequentially supplies a scan signal of an on voltage or an off voltage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스캔 드라이버(130)에 의해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한다. 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by the scan driver 130 , the data driver 120 conver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40 into an analog data voltage and supplies it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도 1에서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예: 상측 또는 하측)에만 위치하고 있으나,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상측과 하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data driver 120 is located only on one side (eg, upper or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FIG. 1 , the data driver 120 is located on both sides (eg,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nd a panel design method. ) may be located in

스캔 드라이버(130)는, 도 1에서는 표시패널(110)의 일 측(예: 좌측 또는 우측)에만 위치하고 있으나,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scan driver 130 is located only on one side (eg, left or right) of the display panel 110 in FIG. 1 , the scan driver 130 is located on both sides (eg, left and right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 panel design method, etc. It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전술한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The above-described controller 140, along with the input image data, includes a vertical sync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 signal (Hsync), an input data enable (DE: Data Enable) signal, various types including a clock signal (CLK), etc. Timing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outside (eg host system).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DE 신호, 클럭 신호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n input DE signal, and a clock signal to control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Various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스캔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scan driver 130 , a gate start pulse (GSP), a gate shift clock (GSC), and a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Various gate control signals (GCS: Gate Control Signal) including Gate Output Enable) are output.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스캔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스캔 신호(게이트 펄스)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Here, the gate start pulse GSP controls the operation start timing of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constituting the scan driver 130 . The gate shift clock GSC is a clock signal commonly input to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and controls shift timing of a scan signal (gate pulse). The gate output enable signal GOE specifies timing information of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ata driver 120 , a source start pulse (SSP), a source sampling clock (SSC), and a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Source Output). Enable) and output various data control signals (DCS: Data Control Signal).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1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Here, the source start pulse SSP controls the data sampling start timing of one or mor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s constituting the data driver 120 . The source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sampling timing of data in each of th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s. The source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data driver 120 .

데이터 드라이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The data driver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to drive a plurality of data lines.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표시패널(110)에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is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 by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or a chip on glass (COG) method, or ,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 or may be integrated and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in some cases. In addition,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may be implemented in a Chip On Film (COF) method mounted on a film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Latch Circuit),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atch circuit,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n output buffer, and the like.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경우에 따라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in some cases.

스캔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an drive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GDIC).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는 표시패널(110)과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Each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GDIC is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 by a tape automatic bonding (TAB) method or a chip-on-glass (COG) method, or a gate in panel (GIP) type. may be implemented and dispos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110 , or may be integrated and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in some cases. In addition, each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GDIC may be implemented in a chip-on-film (COF) method mounted on a film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레벨 쉬프터(Level Shif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GDIC may include a shift register, a level shifter, and the like.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에 대한 회로적인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Source Printed Circuit Board)과 제어 부품들과 각종 전기 장치들을 실장 하기 위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and control components necessary for circuit connection to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and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for mounting various electric devices.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가 실장 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가 실장 된 필름이 연결될 수 있다.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may be mounted on at least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or a film on which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SDIC) is mounted may be connected.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에는,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와, 표시패널(110), 데이터 드라이버(120) 및 스캔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 등이 실장 될 수 있다.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includes a controller 140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130 , the display panel 110 , the data driver 120 , and the scan driver 130 . ) to supply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or a power controller that controls various voltages or currents to be supplied may be mounted.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may be circuitly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여기서, 연결 부재는 가요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가요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등일 수 있다. Here,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of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may be integrated into one printed circuit board.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or the like.

표시패널(110)에 배치되는 각 서브픽셀(SP)은, 표시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되어 있을 수 있다. Each sub-pixel SP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

일 예로,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각 서브픽셀(SP)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110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each subpixel SP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circuit elements such as a driving transistor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can be composed of

각 서브픽셀(SP)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The type and number of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each sub-pixel SP may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a provided function and a design method.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로고와 이에 의한 잔상 발생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2 and 3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ogo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nd an afterimage occurrence phenomenon by the logo.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의 화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로고(Logo, 200)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t least one logo (Logo, 20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

본 명세서에서 로고(200)는,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하거나 레터링 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logo 200 may refer to an image designed or lettered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any information using letters, symbols, numbers, and the like.

이러한 로고(200)는, 일 예로, 방송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 각종 안내 정보, 자막, 날씨 정보, 스포츠 중계 안내 정보 등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The logo 200 may be, for example, an image represent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broadcast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various guide information, subtitles, weather information, sports relay guide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러한 로고(200)는, 주변의 전체적인 영상이 바뀌더라도, 일반적으로, 화면 상단 오른쪽 또는 왼쪽, 화면 하단 왼쪽 또는 오른쪽 또는 가운데 등의 고정된 위치에서 변하지 않고 장시간 표출되는 특성을 갖는다. The logo 200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displayed for a long time without changing in a fixed position such as the upper right or left side of the screen, the lower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r the center of the screen, in general, even if the entire surrounding image is changed.

따라서, 로고(200)는, 화면 상의 고정된 위치에 일정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모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go 200 may mean anything that is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fixed position on the screen.

도 3을 참조하면, 로고(200)가 고정된 위치에서 K개의 프레임 구간(1번째 프레임 구간, … , K번째 프레임 구간) 동안 표출되는 경우, K+1번째 프레임에서 로고(200)가 표출하지 않는 경우에도, K번째 프레임 구간까지 표출되었던 로고의 잔상이 K+1번째 프레임 화면에 표시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logo 200 is displayed for K frame sections (1st frame section, …, Kth frame section) at a fixed position, the logo 200 is not expressed in the K+1th frame. Even if not, a phenomenon in which the afterimage of the logo displayed up to the Kth frame section is displayed on the K+1th frame screen may occur.

이러한 로고 잔상은 표시장치(100)의 화상 품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Such a logo afterimage may be a factor that greatly reduces user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100 .

이에, 본 실시예들은 로고 잔상을 방지해주는 잔상 저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may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an afterimage that prevents a logo afterimage.

아래에서는, 이러한 잔상 저감 방법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such an afterimage red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잔상 저감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an afterimag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로고(200)의 장시간 표출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로고 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1번째 프레임 화면, … , M번째 프레임 화면, M은 1 이상의 자연수)을 표시패널(110)에 표시한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200)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M+1번째 프레임 화면, … , M+N번째 프레임 화면)을 표시패널(110)에 표시하고, 이후,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패널(11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displays the frame screen (first time)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in order to prevent a logo afterimage that may occur due to the logo 200 being displayed for a long time. After displaying the frame screen, ..., the Mth frame screen,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on the display panel 110,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during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period ( The M+1th frame screen, ..., M+Nth fram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0 , and then,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may be displayed again on the display panel 110 .

다시 말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중간에, 표출되어야 하는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은 프레임 화면을 표시하여, 잔상을 발생시킬 정도의 시간 동안 로고(200)가 지속적으로 표출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에 따라,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does not continuously display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but does not intentionally express the logo 200 to be displayed in the middle. By displaying the frame screen, the logo 200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to generate an afterima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go afterimage.

위에서 언급한 M 값은, 로고(200)가 연속적으로 표출되는 프레임 개수로서, 고정 값 또는 가변 값일 수 있다. The M value mentioned above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200 is continuously displayed, and may be a fixed value or a variable value.

또한, 위에서 언급한 N 값은, 로고(200)가 연속적으로 미 표출되는 프레임 개수이고, 로고 잔상 회피를 위한 프레임 개수로서, 고정 값 또는 가변 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N value mentioned above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and is the number of frames for avoiding the logo afterimage, and may be a fixed value or a variable value.

이러한 M, N 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로고(200)로 인한 잔상 방지 효과와 로고(200)의 표출 제어를 위한 처리 부하 및 시간 증가를 고려하여, 전체적인 영상 구동 효율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효과적인 잔상 방지를 해줄 수 있다. By appropriately setting these M and N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afterimage prevention effect due to the logo 200 and the increase in processing load and time for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the logo 200, in a rang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verall image driving efficiency It can effectively prevent afterimage.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잔상 저감 예시도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of afterimage redu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5는 로고(200)가 연속적으로 표출되는 프레임 개수인 M 값이 1이고, 로고(200)가 연속적으로 미 표출되는 프레임 개수인 N 값이 1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M value, which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200 is continuously displayed, is 1, and the N value, which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is 1.

이에 따르면,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 및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이 1 프레임 구간씩 교번하여 표시된다. According to this,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and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are alternately displayed for one frame s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로고(200)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과 로고(200)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반복하여 표시해줌으로써, 로고(200)가 고정된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해주고, 이를 통해 잔상을 방지해준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repeatedly displays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and the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so that the logo 200 is displayed. It prevents continuous expression in a fixed position, thereby preventing afterimage.

이러한 잔상 저감 방법을 위해, 컨트롤러(140)는, 로고(200)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이 표시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변경하는 처리를 해줄 수 있다. For such an afterimage reduction method, the controller 140 may change the image data so that a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is displayed.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잔상 저감을 위한 컨트롤러(140)의 데이터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data supply method of the controller 140 for reducing an afterimage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40)는, M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1번째 프레임 화면, … , M번째 프레임 화면)에 로고(200)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로 출력하고, 이후, N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M+1번째 프레임 화면, … , M+N프레임 화면)에 로고(200)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로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logo expression data” that allows the logo 200 to be displayed on a frame screen (first frame screen, …, M-th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M frame sections. “Logo non-expression data that is output to the driver 120 and that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M+1th frame screen, ..., M+N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N frame sections thereafter " may be output to the data driver 120 .

여기서, 각 프레임 데이터는 여러 개의 서브픽셀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의 집합체일 수 있고, 로고 표출 데이터는 해당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200)가 표출되도록 하는 각 서브픽셀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으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는 해당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200)가 표출되지 않도록 하는 각 서브픽셀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Here, each frame data may be an aggregate of image data supplied to several sub-pixels, and the logo display data may be image data of each sub-pixel that allows the logo 200 to be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and no logo is displayed. The data may be image data of each sub-pixel that prevents the logo 200 from being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rame screen.

전술한 바에 따르면, 컨트롤러(140)의 영상 데이터 제어를 통해 로고 잔상 방지를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go afterimage through the image data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로고 표출 데이터로 되어 있는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부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생성하여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non-logo data from frame data for N frame sections, which are logo expression data, and output the data for N frame sections.

아래에서는, 로고 잔상 방지를 위하여, 컨트롤러(140)가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을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in order to prevent logo afterimage, a method for generating non-logo data that the controller 140 outputs during a frame section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to be displayed will be described.

컨트롤러(140)는,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을 프레임 구간으로 정해진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또는 N개의 프레임 구간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이전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200)가 표출될 또는 로고(200)가 표출된 "로고 영역"을 인식하고, 로고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로고(200) 대신에 로고 영역에 표출될 추정 이미지에 대한 추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analyzes the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or the previous frame sections of the N frame sections determined as the frame sections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to be displayed, and corresponds to the N frame sections or the previous frame sections. Recognizes the "logo area" in which the logo 200 is to be displayed or the logo 200 is expressed on the frame screen to Estimated image data for the estimated image may be generated.

앞으로 진행될 N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서의 로고 영역에서 로고(200)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추정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By dele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go 200 in the logo area i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to be proceeded and adding estimated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generate non-logo expression data.

여기서, 추정 이미지는, 로고(200)가 없었다면 있게 될 이미지로 추정되는 이미지로서, 로고(200)의 배경 이미지라고 한다. 따라서, 추정 이미지는 로고(200)의 주변 이미지와 유사할 수 있다. Here, the estimated image is an image estimated to be an image that would exist without the logo 200 , and is referred to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logo 200 . Accordingly, the estimated image may be similar to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logo 200 .

더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는, 로고 영역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을 추정 영상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0 may generate an average value of image data for a region surrounding the logo region as the estimated image data.

한편, 컨트롤러(140)는, 로고(200)를 다른 이미지(추정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출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져 있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40 does not newly generate and output the logo non-expression data that is expressed by replacing the logo 200 with another image (estimated image), but may be output using the previously created non-logo expression data. have.

이와 관련하여, 컨트롤러(140)는, M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한다. In this regard, the controller 140, from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M frame sections,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Based on the frame data, logo expression data is output for M frame sections.

이후, 컨트롤러(140)는,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140, from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Based on , it is possible to output non-logo data for N frame sections.

이러한 방식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과 이후의 영상을 가지고 있는 방송용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method may be applied to a case of displaying a broadcast program image having images before and after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컨트롤러(140)에 대한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컨트롤러(140)는, 로고 잔상 방지를 위하여, 로고 표출 프레임 구간과 로고 미 표출 프레임 구간에 대한 타이밍 제어 기능과, 로고 미 표출 프레임 구간에서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 변조 및 선택 등을 통해 로고 표출 제어 기능(영상 데이터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s a timing control function for a frame section in which a logo is displayed and a frame section in which a logo is not displayed, and a logo 200 in a frame section in which a logo is not displayed, in order to prevent a logo afterimage.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logo expression control function (image data control function) through image data modulation and selection, etc.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로고 인식부(720) 및 로고 표출 제어부(7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include a logo recognition unit 720 and a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

로고 인식부(720)는,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화면에 로고(200)가 표출된 로고 영역 또는 다음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로고(200)가 표출될 로고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may recognize the logo area i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by analyzing the previous frame data or the logo area in which the logo 200 is to be displayed by analyzing the next frame data.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존재하는 로고(200)를 그대로 표출시킬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로고(200)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한다.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logo expression data for displaying the logo 200 on the frame screen based on frame data for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in which the existing logo 200 is to be displayed as it is is output during M frame periods.

이후,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존재하는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질 않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로고(200)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the logo 200 on the frame screen based on the frame data for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in which the existing logo 200 is not intentionally displayed. Non-logo data to be displayed can be output for N frame sections.

전술한 컨트롤러(140)를 이용하면, 로고(200)가 표출되는 프레임 구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구간에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을 발생시킬 정도의 시간 동안, 로고(200)가 지속적으로 장시간 표출되지 않게 되어,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controller 140 is used, the logo 200 may not be intentionally displayed in at least one frame section between frame sections i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logo 200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long time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to generate an afterimage, thereby preventing a logo afterimage.

한편, 컨트롤러(140)는 프레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7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710)는 컨트롤러(140)의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4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710 for storing frame data. The storage unit 710 may be external to the controller 140 .

아래에서는, 로고 영역 인식 방법과 로고 표출 제어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Below, the logo area recognition method and the logo expression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컨트롤러(140)에 의한 로고 영역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a logo area by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로고 인식부(720)는, 로고 영역 인식을 위해, 화면의 전 영역을 미리 정해진 m행 n열로 된 m*n개의 영역(A, B, C, D, … , E, G, H, …)으로 분할한다. Referring to FIG. 8 ,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includes m*n areas (A, B, C, D, ... , E, G, H, …).

로고 인식부(720)는, m*n개의 영역(A, B, C, D, … , E, G, H, …) 각각에 대하여, 각 프레임 별 휘도 편차(이전 프레임에서 해당 영역과 현재 프레임에서 해당 영역 간의 휘도 편차)를 파악하여 휘도 편차가 미리 설정된 특정 값 미만인 영역(E)을 후보 영역으로 추출한다.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for each of the m * n areas (A, B, C, D, ..., E, G, H, ...), the luminance deviation for each frame (the corresponding area in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 the luminance devi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regions) is detected, and the region E in which the luminance deviation is less than a preset specific value is extracted as a candidate region.

로고 인식부(720)는 추출된 후보 영역(E)을 다시 여러 개의 서브 영역으로 분할한다.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divides the extracted candidate area E into several sub areas again.

도 8의 예시에서, 로고 인식부(720)는 추출된 후보 영역(E)을 3행 3열로 된 9개의 서브 영역(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으로 분할한다. In the example of FIG. 8 ,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divides the extracted candidate area E into nine sub areas A(11), A(12), A(13), A(21) with 3 rows and 3 columns. , A(22), A(23), A(31), A(32), A(33)).

로고 인식부(720)는, 9개의 서브 영역(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 각각에 대하여, 각 프레임 별 휘도 편차를 파악하여 휘도 편차가 특정 값 미만인 서브 영역(A(22))을 2차로 추출한다.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includes nine sub-regions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 32) and A(33)), the luminance deviation for each frame is grasped, and the sub-region A(22) having the luminance deviation less than a specific value is extracted secondarily.

로고 인식부(720)는 2차로 추출된 서브 영역(A(22))을 최종 로고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logo recognition unit 720 may recognize the secondly extracted sub area A(22) as the final logo area.

도 8의 예시에서는, 2 단계의 영역 분할을 통해 로고 영역을 인식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1 단계의 영역 분할만으로도 로고 영역을 인식할 수도 있고, 3 단계 이상의 영역 분할을 통해 로고 영역을 인식할 수도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8 , the logo area was recognized through area division in two steps, but in some cases, the logo area may be recognized only by area division in step 1, and the logo area may be recognized through area division in three or more steps. may be

도 9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컨트롤러(140)가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영상 데이터 변조 기법을 통해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 도 8의 로고 영역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9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that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ontrols the M+1th frame screen through the image data modulation technique in order not to display the logo 200. . Howev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the logo area recognition result of FIG. 8 .

도 9를 참조하면,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원래의 로고 표출 데이터를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여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도 9에서, 첫 번째 화면이 원래의 로고 표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고(200)가 표출된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가상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두 번째 화면이 영상 데이터 변조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세 번째 화면이 영상 데이터 변조 결과에 따라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은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가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9 ,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modulates the original logo expression data included in the frame data for N frame sections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intentionally displayed, into N logo expression data It can be output during the frame period. 9, the first screen is a virtual representation of the M+1th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expressed using the original logo expression data, the second screen conceptually shows the image data modulation process, and the three The th screen is a virtual representation of the M+1 th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according to the image data modulation result.

전술한 영상 데이터 변조 기법을 통해, 로고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프레임 구간에서의 원래 영상 데이터(로고 표출 데이터)를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여 출력함으로써, 표시장치(100)가 로고(200)가 있는 부분과 로고(200)가 없는 부분이 구분 없이 만들어진 형태의 영상 데이터(로고 표출 데이터)를 수신하더라도, 원하는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200)를 표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image data modulation technique, by modulating and outputting the original image data (logo expression data) in the frame section in which the logo is not intentionally expressed with the logo non-expression data, the display device 100 allows the logo 200 to be displayed. Even if the image data (logo expression data) in the form in which the part with and without the logo 200 is made without distinction is received, the logo 200 may not be displayed during the desired frame period.

더 구체적으로, 로고 영역 인식부(720)는,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N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200)가 표출될 로고 영역(A(22))을 인식한다. More specifically, the logo area recognition unit 720 analyzes frame data for N frame sections, and the logo area (A(22)) in which the logo 200 is to be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recognize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로고 영역(A(22))의 주변 영역(A(11), A(12), A(13), A(21), A(23), A(31), A(32), A(33))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로고(200) 대신에 로고 영역(A(22))에 표출될 추정 이미지(900)에 대한 추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the peripheral area (A(11), A(12), A(13), A(21), A(23), A(31) of the logo area (A(22)), Based on the image data for A(32) and A(33)), estimated image data for the estimated image 900 to be displayed in the logo area A(22) instead of the logo 200 is generated.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로고 영역(A(22))에서 로고(200)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추정 이미지(900)에 해당하는 추정 영상 데이터를 삽입(추가)하여, 원래의 로고 표출 데이터를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할 수 있다.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delete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go 200 in the logo area A(22) and inserts (adds) estimat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image 900, thereby forming the original logo. It is possible to modulate the displayed data to the non-logo expressed data.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로고 영역(A(22))의 주변 영역(A(11), A(12), A(13), A(21), A(23), A(31), A(32), A(33))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을 추정 영상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the peripheral area (A(11), A(12), A(13), A(21), A(23), A(31) of the logo area (A(22)), An average value of the image data for A(32) and A(33) may be generated as estimated image data.

도 8의 예시에서 인식된 로고 영역(A(22))에서 표출될 추정 이미지(900)에 대한 추정 영상 데이터(ED(22))는,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The estimated image data ED 22 for the estimated image 900 to be displayed in the recognized logo area A 22 in the example of FIG. 8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5129448716-pat00001
Figure 11201512944871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ED(22)는 로고 영역 A(22)에 표출될 추정 이미지(900)에 추정 영상 데이터이다. SUM은 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을 모두 더하는 연산자이다. 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는 세부 영역 A(11),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33)에 대한 영상 데이터이다. In Equation 1, the ED 22 is estimated image data in the estimated image 900 to be displayed in the logo area A 22 . SUM is an operator that adds all of 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 to be. D(11), D(12), D(13), D(21), D(22), D(23), D(31), D(32), D(33) are sub-region A(11) ), A(12), A(13), A(21), A(22), A(23), A(31), A(32), and A(33).

여기서, 추정 이미지는, 로고(200)가 없었다면 있게 될 이미지로 추정되는 이미지로서, 로고(200)의 배경 이미지라고 한다. 따라서, 추정 이미지는 로고(200)의 주변 이미지와 유사할 수 있다. Here, the estimated image is an image estimated to be an image that would exist without the logo 200 , and is referred to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logo 200 . Accordingly, the estimated image may be similar to the surrounding image of the logo 200 .

전술한 영상 데이터 변조 기법을 통해, 로고(200)가 있는 로고 영역(A(22))에, 로고(200) 대신에, 로고(200)가 없었다면 있게 될 이미지로 추정되는 추정 이미지(900)를 표출시킴으로써, 영상 이질감을 최소화하면서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Through the image data modulation technique described above, in the logo area A (22) where the logo 200 is located, instead of the logo 200, an estimated image 900 estimated to be an image that would exist without the logo 200 By expressing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go afterimage while minimizing the image heterogeneity.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컨트롤러(140)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 프레임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M+1번째 프레임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n which the controller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controls the M+1th frame screen on which the logo 200 is not intentionally displayed by usi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display graphic processing. It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40)의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M개의 프레임 구간(1번째 프레임 구간, 2번째 프레임 구간, … , M번째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로고(200)를 있는 그대로 표출할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730 of the controller 140 is configured as frame data for M frame sections (first frame section, second frame section, …, Mth frame section) inside or outside. Among the pre-stored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based on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the logo expression data during the M frame period in which the logo 200 is to be expressed as it is. print out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40)의 로고 표출 제어부(730)는,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N개의 프레임 구간(M+1번째 프레임 구간, M+2번째 프레임 구간, … , M+N번째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logo display control unit 730 of the controller 140 includes N frame sections (M+1th frame section, M+2th frame section, … M+Nth frame section), from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based on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N During the frame period, data without logo can be output.

일 예로, 방송용 프로그램 영상의 경우,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가 함께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용 프로그램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도 10과 같은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broadcast program imag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may exist together. Accordingly, when displaying a broadcast program image, the technique shown in FIG. 10 may be used.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기법을 활용하면, 어떠한 조작도 없는 경우에는 표출되게 되는 로고(200)를 손쉽게 표출시키지 않음으로써, 영상 데이터 변조 기법에 비해, 로고 표출 제어를 위한 처리 부하 및 시간을 상당히 줄여줄 수 있다. If the techniqu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is utilized, the logo 200 to be displayed is not easily expressed in the absence of any manipulation,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rocessing load and time for logo expression control compared to the image data modulation technique. can reduce

이상에서 설명한 로고 잔상 방지를 위한 구동방법을 간략하게 다시 설명한다. The driv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logo afterimage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again.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11 and 12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s.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은, 로고(200)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130)와, 로고(200)가 미 표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114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S1130 단계 및 S1140 단계는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displaying an original image i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 S1130 ), and an image in which the logo 200 is not displayed. and a step of displaying ( S1140 ) and the like. These steps S1130 and S114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전술한 S1130 이전에,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기준 시간 이상 표출되는 로고(2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로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110)와,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표출되는 로고(200)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로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로고 표출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S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efore S1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logo 200 that is displayed at a fixed loc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logo afterimage (S1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go 200 exist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logo afterim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1120) of starting logo display control.

전술한 S1110 단계에서, 로고(200)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 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하거나 너무 빈번한 로고 표출 제어를 줄여줄 수 있게 되어, 영상 구동 효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step S1110, by appropriately adjusting and setting the reference tim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logo 200 is present, unnecessary or too frequent logo expression control can be reduced, which greatly affects the image driving efficiency. It can effectively prevent logo afterimage without giving it away.

전술한 S1140 단계 이후, S1110 단계부터 다시 진행할 수 있다. After the aforementioned step S1140, it can proceed again from step S1110.

도 12를 참조하면, S1140는,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S1210)와, 로고 영역의 주변 영역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위에서 언급한 "추정 이미지"와 대응되는 의미임)를 산출하는 단계(S1220)와, 배경 이미지를 로고 영역에 표출하는 단계(S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2 , S1140 is a step of recognizing a logo area by analyzing frame data (S1210), and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area surrounding the logo area (meaning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image" mentioned above) ) may include calculating (S1220) and displaying a background image in the logo area (S123).

전술한 구동방법을 이용하면, 로고(200)가 표출되는 프레임 구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구간에 로고(200)를 의도적으로 표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상을 발생시킬 정도의 시간 동안, 로고(200)가 지속적으로 장시간 표출되지 않게 되어,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driving method is used, the logo 200 may not be intentionally displayed in at least one frame section between the frame sections in which the logo 200 is displayed. Accordingly, the logo 200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for a long time for a period of time sufficient to generate an afterimage, thereby preventing a logo afterima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로고 잔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해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 logo afterimage.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로고 영역의 휘도를 저감시키지 않기 때문에, 로고(200)와 그 주변의 휘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로고 잔상을 방지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since the luminance of the logo area is not reduced, the logo afterimage can be prevented without reducing the luminance of the logo 200 and its surroundings.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combine configuration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데이터 드라이버
130: 스캔 드라이버
140: 컨트롤러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data driver
130: scan driver
140: controller

Claims (16)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스캔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스캔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로고(Logo)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한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하고, 이후, 상기 로고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다시 표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화면에서 상기 로고의 표출 영역에 해당하는 로고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로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와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는 상기 로고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산출된 추정 영상 데이터인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by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a data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scan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the scan driver,
The display panel is
After displaying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displayed,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is displayed for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period, and then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displayed is displayed again and
The controller is
Recognizing the logo area corresponding to the expression area of the logo on the frame screen by analyzing the frame data,
Outputs logo expression data that allows the logo to be expressed and logo non-expression data that allows the logo not to be expressed,
The logo non-expression data is estimated image data calculated based on image data for a region surrounding the log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s
Outputs the logo expression data o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Thereafter,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the non-logo data on a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ler is
A display device for modulating the logo expression data included in the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into the non-logo expression data and outputting them during the N frame sec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상기 이전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서의 상기 로고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로고 대신에 상기 로고 영역에 표출될 추정 이미지에 대한 추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로고 영역에서 상기 로고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추정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원래의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는 표시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ler is
By analyzing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or previous frame sections of the N frame sections,
Recognizing the logo area i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or the previous frame section,
Based on the image data for the surrounding area, generating estimated image data for the estimated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logo area instead of the logo,
A display device that modulates the original logo expression data into the logo non-expression data by dele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go in the logo area and adding the estimated image dat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평균값을 상기 추정 영상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is
A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an average value of the image data for the peripheral region as the estimated image data.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값은, 상기 로고가 연속적으로 표출되는 프레임 개수로서, 고정 값 또는 가변 값인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 value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is continuously displayed, and is a fixed value or a variabl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값은, 상기 로고를 연속적으로 미 표출시키는 프레임 개수로서, 고정 값 또는 가변 값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N value is the number of frames in which the logo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and is a fixed value or a variable value.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Logo)의 표출 영역에 해당하는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로고 인식부; 및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고,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로고 표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는 상기 로고의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와 대응되는 추정 영상 데이터인 표시장치용 컨트롤러.
a logo recognition unit that analyzes frame data and recognizes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n expression area of a logo on a frame screen; and
On the basis of frame data for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data, logo expression data for displaying the logo on a frame screen is output during the M frame periods, and then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logo non-expression data for not displaying the logo on the frame screen during the N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The logo non-expression data is estimate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image data for a region surrounding the logo.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표출 제어부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여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표시장치용 컨트롤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A controller for a display device for modulating the logo expression data included in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into the non-logo expression data and outputting the data during the N frame secti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고 인식부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또는 상기 이전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서의 상기 로고 영역을 인식하고,
상기 로고 표출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로고 대신에 상기 로고 영역에 표출될 추정 이미지에 대한 추정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로고 영역에서 상기 로고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추정 영상 데이터를 추가하여, 원래의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로 변조하는 표시장치용 컨트롤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go recognition unit,
By analyzing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or previous frame sections of the N frame sections,
Recognizing the logo area i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or the previous frame section,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Based on the image data for the surrounding area, generating estimated image data for the estimated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logo area instead of the logo,
A controller for a display device for deleting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go in the logo area and adding the estimated image data to modulate the original logo expression data into the logo non-expression data.
삭제delete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로고가 표출된 원래의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로고 영역의 주변 영역의 이미지와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상기 로고 영역에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step of displaying the original image on which the logo is expressed; and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n image i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The second step is
Recognizing a logo area by analyzing frame data;
calculating a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a region surrounding the logo region; and
and displaying the background image on the logo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는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표출되는 로고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로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이상 표출되는 상기 로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로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로고 표출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Prior to the first step,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ogo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logo afterimage; and
The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arting logo display contro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go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exis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ogo afterimage may occur.
다수의 데이터 라인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이 배열된 표시패널;
상기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스캔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스캔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은,
로고(Logo)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한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표시하고, 이후, 상기 로고가 표출된 프레임 화면을 다시 표시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상기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상기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by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a data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 scan driver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ata driver and the scan driver,
The display panel is
After displaying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displayed,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not displayed is displayed for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period, and then the frame screen in which the logo is displayed is displayed again and
The controller is
Outputs logo expression data for displaying the logo on a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sections,
Thereafter, the logo non-expression data is output so that the logo is not displayed on the fram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N frame sections,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which are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the M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the M Outputs the logo expression data during the frame period,
Then, from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the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the non-logo data for N frame sections.
프레임 데이터를 분석하여 프레임 화면에서 로고(Logo)의 표출 영역에 해당하는 로고 영역을 인식하는 로고 인식부; 및
M(M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표출 데이터를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고, 이후,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레임 화면에 상기 로고가 미 표출되도록 하는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출력하는 로고 표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고 표출 제어부는,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상기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M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에 대한 프레임 데이터로서 내부 또는 외부에 미리 저장된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와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후의 프레임 데이터 중에서, 상기 로고 표출 그래픽 처리 이전의 프레임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N개의 프레임 구간 동안 상기 로고 미 표출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장치용 컨트롤러.
a logo recognition unit that analyzes frame data and recognizes a logo area corresponding to an expression area of a logo on a frame screen; and
On the basis of frame data for M (M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frame data, logo expression data for displaying the logo on a frame screen is output during the M frame periods, and then N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a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for outputting logo non-expression data for not displaying the logo on the frame screen during the N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The logo expression control unit,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which are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the M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the M Outputs the logo expression data during the frame period,
Then, from among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and the frame data after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stored in advance inside or outside as frame data for the N frame sections, based on the frame data before the logo expression graphic processing, the A controller for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the data without the logo being displayed during N frame sections.
KR1020150191423A 2015-12-31 2015-12-31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102416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23A KR102416694B1 (en) 2015-12-31 2015-12-31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423A KR102416694B1 (en) 2015-12-31 2015-12-31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61A KR20170080161A (en) 2017-07-10
KR102416694B1 true KR102416694B1 (en) 2022-07-05

Family

ID=5935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423A KR102416694B1 (en) 2015-12-31 2015-12-31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21A (en) * 2018-08-31 2020-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171B1 (en) * 2002-08-01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20100026739A (en) * 2008-09-01 201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06556B1 (en) * 2012-10-29 2020-05-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47125B1 (en) * 2012-11-27 2019-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41968B1 (en) * 2012-11-27 2019-1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iming controller,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18725A (en) * 2013-08-09 2015-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122534B1 (en) * 2013-12-24 2020-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421A (en) * 2018-08-31 2020-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2552299B1 (en) 2018-08-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922600B2 (en) 2018-08-31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Afterimage compensat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161A (en)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99B1 (en) Timing controller, display panel, and display panel
KR102432472B1 (en) Display panel
KR10245054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im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timing controller
KR20170077937A (en) Timing controller, data driv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102018691B1 (en) Power output circuit, controller,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10770021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416694B1 (en)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KR102576534B1 (en) Gate driver,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2017006508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52693B1 (en) Video wall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US20150356933A1 (en) Display device
KR2017008105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iming controller and method for driving the timing controller
KR102458514B1 (en) Data driving method, data driver, and display panel
KR102210870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439155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170064176A (en) Controlle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70064647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424706B1 (en) Timing controlle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40907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249546B1 (en) Display device
KR102502562B1 (en) Video wall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CN109561293B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00626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613292B1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display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2501396B1 (en) Display device, gate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