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251B1 -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 Google Patents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51B1
KR102415251B1 KR1020210176288A KR20210176288A KR102415251B1 KR 102415251 B1 KR102415251 B1 KR 102415251B1 KR 1020210176288 A KR1020210176288 A KR 1020210176288A KR 20210176288 A KR20210176288 A KR 20210176288A KR 102415251 B1 KR102415251 B1 KR 10241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cket
support
guide rod
bracke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2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재열
최해태
송채성
신세길
박성수
이상호
이만기
김세종
최용
홍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창
Priority to KR102021017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51B1/en
Priority to CN202111602909.0A priority patent/CN116252691A/en
Priority to US17/646,074 priority patent/US116609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럼버서포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서포트패널; 서포트패널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로드; 제1가이드로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링크브라켓; 제2링크브라켓 하측에 배치되어 제2링크브라켓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요추 부위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작동블록을 구비하는 제1링크브라켓; 상하로 연장되어 제1링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제1링크브라켓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회전스크류; 및 상하로 연장되어 제2링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제2링크브라켓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회전스크류;를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가 제공된다.A lumbar support installed on a vehicle seat and used to support a user's lumbar reg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anel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a first guide rod supporting the support panel; a second link bracket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first link bracket disposed under the second link bracket, form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bracket, and having an operation block that provides support to the lumbar region; a first rotating screw extending up and down to be screwed to the first link bracket and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vertically move the first link bracket; and a second rotation screw extending vertically to be screwed to the second link bracket and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link bracket up and down.

Description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Lumber support for vehicles with push-type actuation block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럼버서포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er support installed on a vehicle seat and used to support a user's lumbar spine.

차량의 시트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등에 따라 위치, 각도, 자세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 중 하나로 차량 시트에는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럼버서포트(lumbar support)가 구비되고 있다. 럼버서포트는 요추 부위에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해 착좌감 개선, 장시간 탑승에 따른 피로도 경감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at of the vehicle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osition, angle, posture, etc.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s one of them, the vehicle seat is provided with a lumb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Lumber support provides adequate support for the lumbar region, which can provide effects such as improved seating comfort and reduction of fatigue caused by riding for a long time.

럼버서포트는 다양한 방식들이 알려져 사용 중에 있다. 또한 일부 럼버서포트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자세 등에 따라 위치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372957호는 전후로 탄성 변형되는 럼버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0636402호는 일종의 랙 피니언 구조를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돌출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있다.Lumber support is known and us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some lumbar supports are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or the amount of protrus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nd posture. 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372957 uses a lumbar plat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ack and forth,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0636402 is implemented so tha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support plate can be adjusted through a kind of rack and pinion structure.

알려진 다양한 방식에도 불구하고, 보다 나은 착좌감, 작동감 등을 위해 럼버서포트의 개발은 지속되고 있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986536호를 통해 랙 피니언 구조를 이용한 벨트 신축형의 럼버서포트를 출원해 등록 받은 바 있고, 등록특허 제10-2102950호를 통해 견인휠과 와이어를 사용해 보다 정밀하고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는 럼버서포트를 출원해 등록 받은 바 있다.Despite the various known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lumbar support continues for better seating and operation. For example, the present applicant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belt extension type lumber support using a rack-and-pinion structure through Patent Registration No. 10-1986536, and through Registration Patent No. 10-2102950, more precision using a traction wheel and a wire It has applied for and has been registered for Lumber Support, which can realize a smooth operation feeling.

등록특허 제10-1372957호(2014.03.10.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372957 (Registered on March 10, 2014) 등록특허 제10-0636402호(2006.10.12.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0636402 (Registered on October 12, 2006) 등록특허 제10-1986536호(2019.05.31.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986536 (Registered on May 31, 2019) 등록특허 제10-2102950호(2020.04.14.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2102950 (Registered on April 14, 20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to provide a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that can properly support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 대비 작동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좀 더 다양한 모션이 가능한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operating feeling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can perform more various mo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인 하중 지지 구조를 갖춰 장기간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stable load support structure to provide a vehicle lumbar support that can minimize damage or deformation due to long-term use.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서포트패널; 상기 서포트패널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로드; 상기 제1가이드로드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링크브라켓; 상기 제2링크브라켓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요추 부위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작동블록을 구비하는 제1링크브라켓;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링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링크브라켓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회전스크류; 및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회전스크류;를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panel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upporting the lumbar region of the user; a first guide rod supporting the support panel; a second link bracket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first link bracket disposed below the second link bracket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bracket, the first link bracket having an operation block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umbar region; a first rotating screw extending up and down to be screwed to the first link bracket and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vertically move the first link bracket; and a second rotating screw extending vertically to be screwed to the second link bracket, and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vertically move the second link bracket; a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ncluding a.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대한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to provide adequate support for a user's lumbar reg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는 사용자의 체형, 자세 등에 따라 지지 부위의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 가능해 착좌감이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itting feeling and convenience of us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rotrusion amount or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postur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는 제1링크브라켓이 좌우의 제2가이드로드에 의해 안내되고, 중앙의 제1회전스크류를 통해 작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링크브라켓이 좌우의 제2가이드로드에 의해 안내되고, 중앙의 제2회전스크류를 통해 작동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하며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의 조절이 이뤄질 수 있고, 작동시의 떨림이나 래틀 소음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bracket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rods on the left and right,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 operating force through the first rotating screw in the center, while the second link bracket is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It is guided by a second guide rod of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and to adjust the protrusion amount or the vertical position, and to realize a smoother operating feeling by reducing vibration or rattle noise dur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는 좌우 한 쌍의 작동블록이 정중앙의 요추 부위를 피해 지지한 상태로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 조정이 이뤄질 수 있어 상하 위치 조절시 이질감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lumbar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protrusion or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can be made in a state where a pair of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are supported while avoiding the central lumbar region. can be implemen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other descriptions of the specification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서포트패널을 생략하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링크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링크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작동블록의 돌출량 조절을 보여주는 제1작동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작동블록의 상하 이동을 보여주는 제2작동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umber support for the vehicl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rear.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of FIG. 1 , with the support panel omitted.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bracket shown in FIG. 1 .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ink bracket shown in FIG. 1 .
FIG. 6 is a first operation view showing control of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operation block in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shown in FIG. 3 .
FIG. 7 is a second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block in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llustrated in FIG. 3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components or unclear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럼버서포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서포트패널을 생략하고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viewed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of FIG. 1 as viewed from the rear.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n FIG. 1 with a support panel omitted.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서포트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panel 110 .

서포트패널(110)은 사용자의 요추 부위 또는 등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서포트패널(110)은 사용자의 요추 부위 또는 등 부위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지지면을 갖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서포트패널(110)은 소정의 상하 높이 및 좌우 폭을 가진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예시되고 있다. 서포트패널(110)은 사용자의 요추 부위 또는 등 부위를 충분히 넓은 면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하 및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요추 부위 등이 넓은 접촉 면적을 갖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후술할 가변 동작 등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support panel 110 may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user's lumbar region or back region. The support panel 110 may be extended to have a predetermined support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user's lumbar region or back region.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nel 110 is exemplifi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nd left and right width. The support panel 110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contact and support the user's lumbar spine or back in a sufficiently large area. This is so that variable motion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performed while the lumbar region has a large contact area and is stably supported.

필요에 따라 서포트패널(110)에는 패널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패널홀(111)은 서포트패널(1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널홀(111)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패널홀(111)은 서포트패널(110)의 평면 상에 상하 또는 좌우로 이격되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널홀(111)은 후술할 작동블록(131)에 의한 서포트패널(110)의 탄성 변형에 대응해 서포트패널(110)의 적절한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위치, 크기,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패널홀(111)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변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는 경우에 따라 패널홀(111)은 서포트패널(110)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형상, 재질, 구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If necessary, a panel hole 111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nel 110 . The panel hole 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panel 1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plurality of panel holes 111 may b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panel holes 111 may be appropriately dispos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spaced apart on the plane of the support panel 110 . Preferably, the panel hole 111 may have a position, size, shape, etc. capable of inducing an appropriate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nel 110 in respons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nel 110 by an operation block 131 to be described later. have. However, the number, position, size, shape, etc. of the panel holes 111 may be appropriately varied as needed,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Alternatively, in some cases, the panel hole 111 may be replaced with a shape, material, structure, etc. capable of inducing deformation of the support panel 110 .

서포트패널(110)을 일부 또는 전부가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포트패널(110)은 전체가 하나의 탄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탄성 재질의 서포트패널(110)은 후술할 작동블록(131)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전체가 하나의 탄성 재질로 이뤄진 서포트패널(110)은 작동블록(131)의 이동에 따른 이질감을 완화해 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Part or all of the support panel 110 may be made of a deformable elastic material. Preferably, the entire support panel 110 may be made of a single elastic material. The support panel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operation block 131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panel 110 entirely made of a single elastic material can contribute to realizing a softer feeling of use by alleviat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block 131 .

서포트패널(110)은 후면 부위가 후술할 작동블록(131)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패널(110)은 작동블록(131)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돌출 변형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패널(110)은 작동블록(131)이 이동됨에 따라 돌출 변형된 위치가 변경되며 지지 부위를 달리할 수 있다.The support panel 110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a rear portion thereof by an operation block 131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support panel 110 is elastically protrudingly deformed at a position supported by the operation block 131 to provide support for the user's lumbar region. In addition, as the operation block 131 moves, the support panel 110 changes its protruding and deformed position and may have a different support portion.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1가이드로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guide rod 120 .

제1가이드로드(120)는 서포트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서포트패널(110) 내지 사용자의 하중에 대한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이드로드(120)는 소정 형상으로 연장된 로드(rod)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가이드로드(120)는 각각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된 한 쌍의 로드가 좌우로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로드 하단이 좌우로 다시 연결되어 대략 "U"자형을 이루도록 예시되고 있다. 다만 제1가이드로드(120)의 구조, 형상 등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고, 후술할 제1가이드로드(120)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 형상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1가이드로드(120)는 프레임, 브라켓 등의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od 12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anel 110 to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the support panel 110 or the user's load. The first guide rod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d or a fram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shap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uide rod 120 is illustrated such that a pair of rod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up and down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and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rods are connected again from side to side to form an approximately “U” shape, have. However, the structure, shape, etc. of the first guide rod 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and as long as it can properl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to be described later, various structures, shapes, etc. can be transformed into Also, in some cases, the first guide rod 120 may be replaced in the form of a frame, a bracket, or the like.

제1가이드로드(120)의 상, 하부에는 각각 상부프레임(121) 및 하부프레임(1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1)은 소정 높이를 갖고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제1가이드로드(120) 상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22)은 상부프레임(12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가이드로드(120)의 하단 부위에 체결될 수 있다. 상, 하부프레임(121, 122)은 후술할 회전스크류, 구동모터 등의 구성요소들이 적절히 장착 지지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 하부프레임(121, 122)의 구조, 형상 등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상, 하부프레임(121, 122)은 일부 또는 전부가 제1가이드로드(120)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n upper frame 121 and a lower frame 12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guide rod 120 , respectively. The upper frame 121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o be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 The lower frame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12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 The upper and lower frames 121 and 122 may provide a support structure in which components such as a rotating screw and a driving motor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perly mounted and supported. The structure, shape, etc.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21 and 122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and in some cases, the upper and lower frames 121 and 122 are partially or entirely integrated with the first guide rod 120 . may be provided in the form.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1링크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link bracket 130 .

제1링크브라켓(130)은 대체로 하부프레임(122)에 인접한 제1가이드로드(120)의 하측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0)은 후술할 제2링크브라켓(140)을 매개로 제1가이드로드(120)에 지지될 수 있고, 후술할 제1회전스크류(162)의 동작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0)은 제2링크브라켓(140)에 대해 상하 이동되어 요추 지지 부위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adjacent to the lower frame 122 . The first link bracket 130 can be supported on the first guide rod 120 via a second link bracket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to be described later. have.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nk bracket 140 to adjus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링크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bracket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1링크브라켓(130)은 좌우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브라켓(130)의 좌우에는 각각 후술할 제2가이드로드(150)가 체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로드(150)는 제1링크브라켓(13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4,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left and right. A second guide rod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respectively.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be fastened to penetrate the first link bracket 130 up and down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제1링크브라켓(130)은 작동블록(131)을 구비할 수 있다. 작동블록(131)은 하단이 제1링크브라켓(130)에 힌지 결합되어 좌우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작동블록(131)은 힌지축을 기점으로 상측으로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작동블록(131) 상단에서 전면 부위는 서포트패널(110)의 후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고, 후면 부위는 후술할 푸시돌기(145)에 의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의 후면 부위는 푸시돌기(145)에 의해 작동블록(131)이 전방 돌출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include an operation block 131 .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block 131 is hinged to the first link bracket 130 so that it can be rotated about the left and right axes. In addition, the operation block 131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degree from the hinge axis as a starting point. 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block 131 , the front portion may contact and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10 , and the rear portion may be contact-supported by a push protrusion 145 to be described later. The rear portion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so that the operation block 131 can protrude forward by the push protrusion 145 .

작동블록(131)은 좌우로 이격되어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작동블록(131)은 제1링크브라켓(130)의 좌우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사용자의 척추 부위를 중앙에 두고 한 쌍의 작동블록(131)이 좌우로 이격되어 각 부위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이질감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The operation block 131 may be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Preferably, the pair of operation blocks 13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eft and right centering on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Such an arrangement places the user's spine in the center and a pair of operation blocks 1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upport each part, thereby reducing a sense of heterogeneity and realizing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2링크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 the lumba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link bracket 140 .

제2링크브라켓(140)은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2가이드로드(150)를 매개로 제1링크브라켓(1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브라켓(140)은 좌우측의 단부가 각각 제1가이드로드(120)에 체결되어 제1가이드로드(120)에 의해 상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제2링크브라켓(140)은 제1링크브라켓(130)과 함께 상하 이동되어 요추 지지 부위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link bracket 14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support the first link bracket 130 via the second guide rod 150 .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may b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so that vertical movement may be guided by the first guide rod 120 . The second link bracket 140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appropriately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링크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ink bracket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제2링크브라켓(140)은 상부링크브라켓(141), 연결브라켓(142) 및 하부링크브라켓(1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연결브라켓(142)은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어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브라켓(142)은 대체로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의 좌우 중앙 부위에서 소정의 좌우 폭을 갖고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링크브라켓(140)의 세부 형상은 후술할 기능적 요건들을 갖춘 경우라면 예시된 바 외 다양한 형태로 적절히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link bracket 140 may include an upper link bracket 141 , a connection bracket 142 , and a lower link bracket 143 .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and 143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connection bracket 142 extends vertical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and 143 to form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 143) can be connected. The connection bracket 142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with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in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and 143 . However, the detailed shape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may be appropriately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other than those illustrated if it meet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s.

상부링크브라켓(141)은 좌우측 단부가 각각 제1가이드로드(12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로드(120)는 상부링크브라켓(14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상부링크브라켓(14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하게 하부링크브라켓(143)은 상부링크브라켓(14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측 단부가 각각 제1가이드로드(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링크브라켓(140)은 상하의 각 개소에서 좌우측 단부가 제1가이드로드(120)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한 상태로 요추 등의 지지 부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부드럽고 안정적인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link bracket 141 may have left and right ends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 The first guide rod 120 is fastened to penetrate the upper link bracket 141 up and down, thereby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upper link bracket 141 . Also, similarly, the lower link bracket 14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at left and right ends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link bracket 14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ly, the second link bracket 14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are supported by the first guide rod 120 at each location up and down. Such a structure allows a support part such as the lumbar spine to move while securing a stable support force in a larger area, thereby realizing a smooth and stable feeling of operation.

제2링크브라켓(140)의 후면에는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이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은 제2링크브라켓(140)의 좌우 중앙 부위에서 연결브라켓(142)을 따라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의 중앙으로는 후술할 제2회전스크류(172)가 상하로 관통하며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체결브라켓(144) 내지 제2링크브라켓(140)은 제2회전스크류(172)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적절히 이동될 수 있다.A screw fastening bracket 144 may be vertically exten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refer to FIG. 2 ).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long the connection bracket 142 in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In addition, a second rotating screw 17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and may be screwed. Accordingly,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to the second link bracket 140 may be properly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

상기에서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은 상하로 연장되어 제2회전스크류(172)와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한 상태로 작동력을 인가받게 된다. 이는 제2링크브라켓(140)이 사용자의 요추 부위나 등 부위를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지지하며 상대적으로 많은 하중을 받게 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상기와 같은 스크류체결브라켓(144)에 의해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푸시돌기(145)를 이동시켜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인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is extended vertically to receive an operating force while securing a sufficient supporting area with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econd link bracket 140 supports the user's lumbar region or back in a relatively large area and receives a relatively large load. That is, the vehicle lumber support 100 of this embodiment can implement a smoother and more stable operating feeling by moving the push protrusion 145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load is sufficiently stably supported by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as described above. .

한편 하부링크브라켓(143)의 전면에는 푸시돌기(145)가 구비될 수 있다. 푸시돌기(145)는 한 쌍의 작동블록(131)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푸시돌기(145)는 작동블록(131)의 후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고, 작동블록(131) 후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시돌기(145)는 작동블록(131)의 후면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작동블록(131)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해 부연한다.Meanwhile, a push protrusion 145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link bracket 143 . A pair of push protrusions 145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operation blocks 131 . The push protrusion 145 may contact and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block 131 ,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front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block 131 . Such a push protrusion 145 may be sli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operation block 131 to adjus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operation block 131 . This is amplifi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2가이드로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guide rod 150 .

제2가이드로드(150)는 상하로 연장된 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로드(150)의 상단은 상부링크브라켓(141)에 체결될 수 있고, 그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시 하부링크브라켓(143)에 체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로드(150)는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에 체결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od extending vertically.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be fastened to the upper link bracket 141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fastened to the lower link bracket 143 again.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be fixedly supported by being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and 143 .

또한 제2가이드로드(150)의 하단에는 제1링크브라켓(130)이 체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로드(150)는 제1링크브라켓(13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제1링크브라켓(130)은 제2가이드로드(150)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로드(150)는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rod 150 .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be fastened to penetrate the first link bracket 130 up and down, and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guided by the second guide rod 150 to move up and down. . That is, the second guide rod 150 may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제2가이드로드(15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링크브라켓(130)은 좌우 양측에서 제2가이드로드(150)에 의해 지지 및 안내되며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1링크브라켓(130) 내지 작동블록(131)이 보다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guide rods 150 may be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ly, the first link bracket 130 is supported and guided by the second guide rod 150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Therefore,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the operation block 131 can be moved more stably and smoothly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load is applied.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1구동모터(161) 및 제1회전스크류(16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161 and a first rotating screw 162 .

제1구동모터(161)는 제1링크브라켓(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2링크브라켓(14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161)는 제2링크브라켓(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제1구동모터(161)는 제1회전스크류(162)와 링크 결합되어 제1회전스크류(162)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제1회전스크류(162)는 제1구동모터(161)에 의해 길이 방향을 축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tor 161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The first driving motor 161 may mov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The first driving motor 161 may be link-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rotated in a forward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first driving motor 161 .

필요에 따라 제1구동모터(161)는 회전축에 적절한 감속수단이 구비되어 감속수단을 통해 제1회전스크류(162)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구동모터(161)는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제1회전스크류(162)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윔(worm)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는 제1구동모터(161)의 배치를 좀 더 쉽게 하면서 윔을 통한 충분한 감속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If necessary, the first driving motor 161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deceleration means on the rotation shaft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first rotation screw 162 through the deceleration means. As an example, the first driving motor 161 may have a rotation shaf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worm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to be meshed with the first rotation screw 162 to transmit a driving force. Such an arrangement makes it easier to arrange the first driving motor 161 and to implement a sufficient reduction ratio through the worm.

다만 제1구동모터(161)는 제1회전스크류(162)로 적절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이면, 상기 예시된 바 외 다양한 위치, 동력 전달 구조 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예시된 배치나 동력 전달 구조 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owever, if the first driving motor 161 is of a form capable of transmitting an appropriate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t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positions and power transmission structures other than those exemplifi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an arrangement or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한편 제1회전스크류(162)는 대략 제1링크브라켓(130)의 좌우 중앙 부위에서 제1링크브라켓(13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스크류(162)는 제1링크브라켓(13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링크브라켓(130)은 제1회전스크류(16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면, 상하로 이동되며 위치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링크브라켓(130)은 좌우 중앙 부위에서 제1회전스크류(16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고, 좌우 측의 제2가이드로드(150)에 의해 상하 이동이 안내되어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otation screw 162 may be fastened to penetrate the first link bracket 130 up and down at approximately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Here,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screw-coupled to the first link bracket 130 .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tation screw 162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move up and down and adjust its position. Meanwhile, the first link bracket 130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n the left and right central regions, and is guided up and down by the second guide rod 15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ructure. It can be moved up and down.

제1회전스크류(162)는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제1구동모터(161)과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 제1회전스크류(162) 하단과 제1구동모터(161) 간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감속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스크류(162)는 상기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링크브라켓(130)을 관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측에서 다시 제2링크브라켓(140)과 체결될 수 있다. 제1회전스크류(162)는 제1구동모터(161)에 의해 적절히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제2링크브라켓(1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and the low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161 to receive rotational driving force.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and the first driving motor 161, an appropriate deceleration means may be provided as needed.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end and can be screw-coupled through the first link bracket 130 , and again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can be contracted with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link bracket 140 so as to be properly rotationally driven by the first driving motor 161 .

필요에 따라 제1회전스크류(162)는 상하로 이격된 상, 하부링크브라켓(141, 143)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베어링 등 소정의 회전지지수단을 매개로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회전스크류(162)가 하부의 제1링크브라켓(130), 상부의 상부링크브라켓(141), 중단의 하부링크브라켓(143)에 의해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지 상태에서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하 이동이 이뤄질 수 있다.If necessary,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s fastened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link brackets 141 and 143 spaced up and down, and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through a predetermined rotation support means such as a bearing.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s supported by the lower first link bracket 130 , the upper link bracket 141 , and the lower link bracket 143 at the middle of the first link in a more stable supported stat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racket 130 may be made.

한편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2구동모터(171) 및 제2회전스크류(17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motor 171 and a second rotating screw 172 .

제2구동모터(171)는 하부프레임(122)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구동모터(171)는 제1, 2링크브라켓(130, 140)과 분리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구동모터(171)는 도시된 바와 달리 상부프레임(121)에 배치되거나, 소정의 지지 구조를 통해 제2회전스크류(172)의 길이 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구동모터(161)와 유사하게 제2구동모터(171)는 제1, 2링크브라켓(130, 140)과 분리된 소정의 위치에서 제2회전스크류로 적절히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구동모터(171)의 회전축에는 적절한 감속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tor 171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frame 122 . Alternatively,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nk brackets 130 and 140 . As an example,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frame 121 unlike the drawing, o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through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first driving motor 161,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is capable of properly transmitt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second rotating screw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nk brackets 130 and 140. it is free if In addition, if necessary, an appropriate deceleration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

제2회전스크류(172)는 대략 제2링크브라켓(140)의 좌우 중앙 부위에서 제2링크브라켓(14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제2링크브라켓(140)의 후면에는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이 구비될 수 있고, 제2회전스크류(172)는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스크류(172)는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을 상하로 관통하며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fastened to penetrate the second link bracket 140 up and down at approximately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a screw fastening bracket 14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 and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fastened to penetrate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up and down. can In addition,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screwed through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up and down.

제2회전스크류(172)는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은 제2구동모터(171)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회전스크류(162)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제2회전스크류(172)의 전방에 배치되고 있으며, 제2회전스크류(172)는 제1회전스크류(162)보다 긴 길이를 갖고 제1회전스크류(162)의 후방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제2회전스크류(172)의 상단은 상부프레임(12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하단은 하부프레임(122)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회전스크류(172)는 상, 하단의 각 지지점 및 스크류체결브라켓(144)에 체결된 중단 부위에서 적절히 지지된 상태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vertically, and the lower end thereof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to receive rotational driving force. For reference, as shown,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has a relatively short length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 and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is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 It has a long length and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21 , and the lower end may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122 .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rotationally driven while being properly support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pport points and the middle portion fastened to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작동블록의 돌출량 조절을 보여주는 제1작동도이다.FIG. 6 is a first operation view showing adjustment of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operation block in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shown in FIG. 3 .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1구동모터(161)의 작동을 통해 작동블록(131)을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작동블록(131)은 전방으로 보다 돌출되어 요추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하거나, 다시 후방으로 후퇴되어 지지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adjust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operation block 131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161 . The operation block 131 may protrude more forward to strengthen the support force for the lumbar region, or may retreat back to weaken the support force.

구체적으로 제1구동모터(161)가 정방향 구동되면, 제1회전스크류(162)가 길이 방향을 축으로 정방향 회전될 수 있다. 제1회전스크류(162)가 정방향 회전되면, 이에 나사 결합된 제1링크브라켓(130)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링크브라켓(140)은 상하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제1링크브라켓(130)만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161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When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link bracket 130 screwed thereto may be moved upward. Here, the second link bracket 140 is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position is maintained, and only the first link bracket 130 can be moved upward.

제1링크브라켓(13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작동블록(131)은 후면이 푸시돌기(145)에 의해 밀려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소정 정도 회동될 수 있다. 즉, 작동블록(131)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요추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작동블록(131) 및 푸시돌기(145) 간의 접촉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제1링크브라켓(130)이 보다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블록(131)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해 돌출량 또는 지지력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first link bracket 130 is moved upward,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block 131 is pushed by the push protrusion 145 and can be rotat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egree about the hinge axis. That is, the operation block 131 may protrude forward to strengthen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lumbar regi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operation block 131 and the push protrusion 145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and as the first link bracket 130 moves upward, the operation block 131 may protrude more forward. have.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appropriately change the protrusion amount or support force.

작동블록(131)은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어 정중앙의 요추 부위를 피해 좌우에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고, 이러한 배치 및 지지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A pair of operation blocks 13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o avoid the central lumbar region and support the user's waist from left to right, and move up and down in this arrangement and support state to realize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한편 제1구동모터(161)가 역방향 구동되면, 제1회전스크류(162)가 역방향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연동해 제1링크브라켓(130)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푸시돌기(145)는 후방으로 소정 정도 회동될 수 있고,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작아지면서 요추 부위에 대한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구동모터(16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해 요추 부위에 대한 지지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16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moved downward in association therewith. In addition, the push protrusion 145 may be rotated backward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as the amount of protrusion toward the front decreases, the supporting force for the lumbar region may be weakened. The user can properly adjust the support force for the lumbar region by driving the first driving motor 16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this way.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럼버서포트에서 작동블록의 상하 이동을 보여주는 제2작동도이다.FIG. 7 is a second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block in the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llustrated in FIG. 3 .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2구동모터(171)의 작동을 통해 지지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다. 작동블록(131)은 소정의 돌출량을 유지한 상태로 제2구동모터(17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체형 등에 따른 지지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7 ,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adjust the support position up and down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 The operation block 131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to adjust its posi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rotrus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upport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제2구동모터(171)가 정방향 회전되면, 제2회전스크류(172)가 길이 방향을 축으로 정방향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스크류(172)가 정방향 회전되면, 이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체결브라켓(144) 내지 제2링크브라켓(140)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브라켓(130)은 제1회전스크류(162)에 따라 제2링크브라켓(14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동블록(131)의 돌출량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screw fastening bracket 144 to the second link bracket 140 screwed thereto may be moved upward. Here, the first link bracket 130 may be moved upward along with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ccording to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 and accordingly,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operation block 131 may be maintained as it is. .

제1링크브라켓(130) 내지 작동블록(131)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 위치가 전체적으로 상측 방향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돌출량 조절과 유사하게, 작동블록(131)은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에서 허리 부위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하 이동시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As the first link bracket 130 to the operation block 131 are moved upward, the support position may be moved upward as a whole.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of the amount of protrusion, a pair of operation blocks 13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to support the waist from the left and right, so that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can be realized when moving up and down.

한편 제2구동모터(171)가 역방향 구동되면, 제2회전스크류(172)가 역방향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연동해 제2링크브라켓(140) 내지 작동블록(131)이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위치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에 따른 적절한 지지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driving motor 171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may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second link bracket 140 to the operation block 131 may be moved downward as a whole. have. Accordingly, the support position may be moved downward to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support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대한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umba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to provide adequate support for a user's lumbar reg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사용자의 체형, 자세 등에 따라 지지 부위의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를 적절히 조절 가능해 착좌감이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mba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protrusion amount or vertical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posture, etc.,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seating comfort and ease of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제1링크브라켓(130)이 좌우의 제2가이드로드(150)에 의해 안내되고, 중앙의 제1회전스크류(162)를 통해 작동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2링크브라켓(140)이 좌우의 제2가이드로드(150)에 의해 안내되고, 중앙의 제2회전스크류(172)를 통해 작동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유지하며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의 조절이 이뤄질 수 있고, 작동시의 떨림이나 래틀 소음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nk bracket 130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rod 150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operating force through the first rotation screw 162 in the center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ink bracket 140 is guided by the left and right second guide rods 15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an operating force through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in the cent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upport state and to adjust the protrusion amount or vertical position, and to realize a smoother operating feeling by reducing vibration or rattle noise dur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럼버서포트(100)는 좌우 한 쌍의 작동블록(131)이 정중앙의 요추 부위를 피해 지지한 상태로 돌출량이나 상하 위치 조정이 이뤄질 수 있어 상하 위치 조절시 이질감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umber suppor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protrusion or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can be made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operation blocks 131 are supported while avoiding the central lumbar region. It can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and realize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which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용 럼버서포트 110: 서포트패널
120: 제1가이드로드 130: 제1링크브라켓
140: 제2링크브라켓 150: 제2가이드로드
161: 제1구동모터 162: 제1회전스크류
171: 제2구동모터 172: 제2회전스크류
100: vehicle lumbar support 110: support panel
120: first guide rod 130: first link bracket
140: second link bracket 150: second guide rod
161: first driving motor 162: first rotating screw
171: second driving motor 172: second rotating screw

Claims (7)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하는 탄성 재질의 서포트패널(110);
상기 서포트패널(110)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로드(120);
상기 제1가이드로드(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링크브라켓(140);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요추 부위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작동블록(131)을 구비하는 제1링크브라켓(130);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1링크브라켓(130)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링크브라켓(130)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1회전스크류(162); 및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에 나사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을 상하 이동시키는 제2회전스크류(17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은,
좌우 측이 각각 상기 제1가이드로드(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링크브라켓(141);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41)의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좌우 측이 각각 상기 제1가이드로드(12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링크브라켓(143); 및
상기 상부링크브라켓(141) 및 상기 하부링크브라켓(143) 간에 연장 형성된 연결브라켓(142);을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Support panel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upporting the user's lumbar region;
a first guide rod 120 for supporting the support panel 110;
a second link bracket (140)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to be movable up and down;
A first link bracket ( 130);
a first rotating screw 162 extending up and down and screwed to the first link bracket 130 and rotating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first link bracket 130 up and down; and
A second rotation screw 172 that extends up and down and is screwed to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nd rotates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second link bracket 140 up and down; includes;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n upper link bracket 141 whos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to be movable up and down;
a lower link bracket 143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link bracket 14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spectively fastened to the first guide rod 120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including; a connection bracket (142) extending between the upper link bracket (141) and the lower link bracket (143).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은,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의 좌우 중앙 부위에서 상기 제2회전스크류(17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제2회전스크류(172)가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체결브라켓(144)을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 screw fastening bracket that is formed to extend up and down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otation screw 172 in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nd to which the second rotation screw 172 is screwed into the interior. (144) Lumber support for vehicles inclu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록(131)은,
하단이 상기 제1링크브라켓(130)에 좌우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에 구비된 푸시돌기(145)와 간섭되어 전방으로의 돌출량이 조절되도록 형성되며,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로 이격 배치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block 131 is,
The lower end is hinged to the first link bracket 13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eft and right axes, and the push protrusion 145 provided on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 ) and is formed to adjust the amount of protrusion forward, and a pair of lumbar supports for vehicles are provided and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o the left and righ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록(131)은,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푸시돌기(145)와 접촉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럼버서포트.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operation block 131 is,
A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that forms a contact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is form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push protrusion (14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의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블록(131)의 좌우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작동블록(131)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로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스크류(162)는,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로드(150) 사이에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130)의 좌우 중앙 부위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차량용 럼버서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of the second link bracket 140 is provided, and the second guide rod 150 is slidably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operation block 131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operation block 131 . )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rotating screw 162 is,
A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formed to be screwed to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link bracket (130)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15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로드(12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2회전스크류(172)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21);
상기 상부프레임(121)의 하측의 이격되어 상기 제1가이드로드(120)의 하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2회전스크류(172)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프레임(122);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갖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140)의 하부에 지지되며, 감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1회전스크류(162)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모터(161); 및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갖고 상기 하부프레임(122)에 지지되며, 감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2회전스크류(172)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모터(171);를 포함하는 차량용 럼버서포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frame 121 fasten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and rotatably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a lower frame 122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121 and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rod 120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screw 172;
a first driving motor 161 having a rotational shaft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supported under the second link bracket 140, and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first rotational screw 162 through a deceleration means; and
Lumber support for a vehicle comprising a; a second drive motor (171) having a rotation shaf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122), and providing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second rotation screw (172) through a deceleration means.
KR1020210176288A 2021-12-10 2021-12-10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KR102415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88A KR102415251B1 (en) 2021-12-10 2021-12-10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CN202111602909.0A CN116252691A (en) 2021-12-10 2021-12-24 Waist support frame for vehicle
US17/646,074 US11660990B1 (en) 2021-12-10 2021-12-27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88A KR102415251B1 (en) 2021-12-10 2021-12-10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251B1 true KR102415251B1 (en) 2022-06-30

Family

ID=8221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288A KR102415251B1 (en) 2021-12-10 2021-12-10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251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402B1 (en) 2005-07-25 2006-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mbar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KR20120098236A (en) * 2011-02-28 2012-09-05 (주)디에스시 4-way lumbar support assembly
KR101220939B1 (en) * 2011-02-08 2013-02-07 (주)디에스시 Lumbar support assembly
KR101372957B1 (en)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398321B1 (en) * 2013-10-02 2014-05-23 홍천유 Lumber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car seat
KR101592754B1 (en) * 2014-08-2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mbar support for vehicle
KR101986536B1 (en) 2017-11-02 2019-06-07 주식회사 금창 Belt new vehicle seat for use of the Lexen pinion and the Lumbersupport device
KR102057461B1 (en) * 2018-04-26 2019-12-20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Lumbar support assembly
KR102102950B1 (en) 2019-12-26 2020-04-21 주식회사 금창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402B1 (en) 2005-07-25 2006-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mbar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KR101220939B1 (en) * 2011-02-08 2013-02-07 (주)디에스시 Lumbar support assembly
KR20120098236A (en) * 2011-02-28 2012-09-05 (주)디에스시 4-way lumbar support assembly
KR101372957B1 (en) 2012-11-28 2014-03-10 현대다이모스(주)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398321B1 (en) * 2013-10-02 2014-05-23 홍천유 Lumber suppor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car seat
KR101592754B1 (en) * 2014-08-22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Lumbar support for vehicle
KR101986536B1 (en) 2017-11-02 2019-06-07 주식회사 금창 Belt new vehicle seat for use of the Lexen pinion and the Lumbersupport device
KR102057461B1 (en) * 2018-04-26 2019-12-20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Lumbar support assembly
KR102102950B1 (en) 2019-12-26 2020-04-21 주식회사 금창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850B1 (en) Power headrest apparatus
KR100320662B1 (en) Child seat with a tiltable back
KR20090031413A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JPS63212308A (en) Headrest apparatus
KR20160105198A (en) 4-way lumbar support
KR101592754B1 (en) Lumbar support for vehicle
KR101180677B1 (en) Leg rest for vehicle
KR101470213B1 (en) Apparatus for seat side bolster of vehicle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KR102415251B1 (en)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push type avtuating block
JP4438556B2 (en) Vehicle seat with variable seat cushion length
JPH0537860Y2 (en)
CN218948999U (en) Zero gravity vehicle seat and seat frame
KR102415256B1 (en) Lumber support for vehicle seat with rotating support rod
JPS6177538A (en) Sheet adjusting apparatus for car
KR101945797B1 (en) Power headresting apparatus
JP4499856B2 (en)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KR0166547B1 (en) Height-adjusting device of seat cushion side bolster
KR102284665B1 (en) Device for adjusting incline of seat cushion of car
US11660990B1 (en)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KR102338310B1 (en) Seat for vehicle
KR102611651B1 (en) Control armrest apparatus for a vehicle
KR102284666B1 (en) Device for adjusting incline of seat cushion of car
KR100551769B1 (en) Seat-tilt device for working together seat-track in automobile
KR20120090693A (en) Lumbar support assembl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