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659B1 -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659B1
KR102413659B1 KR1020210104507A KR20210104507A KR102413659B1 KR 102413659 B1 KR102413659 B1 KR 102413659B1 KR 1020210104507 A KR1020210104507 A KR 1020210104507A KR 20210104507 A KR20210104507 A KR 20210104507A KR 102413659 B1 KR102413659 B1 KR 10241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product
products
user
characteri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왕
이순 주
준지 양
문준영
김향은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59B1/ko
Priority to PCT/KR2021/011032 priority patent/WO2023017887A1/ko
Priority to TW110136385A priority patent/TW202307750A/zh
Priority to US17/562,561 priority patent/US11915296B2/en
Priority to KR1020220076346A priority patent/KR2023002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 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PROVIDING ITEM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의 개시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선택 가능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를 확인하여, 서비스의 이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들은 인터넷에의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등의 단말 장치를 통해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접속한 후, 뉴스, 지식, 게임, 커뮤니티 등과 관련된 각종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수요자들도 늘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쉽게 구매하기 위한 기능들을 도입하는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다.
관련하여 선행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24534 (2020.03.09)가 있다.
본 실시 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 가능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 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프로덕트 각각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고,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의 각 아이템의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이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제1페이지의 제1영역에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 중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각 프로덕트의 프로덕트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각 프로덕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아이템 식별자들 중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아이템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들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상기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 정보 중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위한 세부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신체의 부위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재고가 있는 아이템이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상기 이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브랜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고, 선호 브랜드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정보 내에 포함된 아이템 구매 내역 및 아이템 검색 내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입고 날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영역은 상기 입고 날짜에 관한 알림을 상기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영역에 포함된 제1프로덕트에 대한 상세 페이지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상품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고, 현재 구매할 수 없는 품절된 상품을 확인하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눈에 띄는 필터링 인터페이스의 구성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가 구체적인 상품을 확인하기 앞서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먼저 필터링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확인 및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 내 특정 특성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쉽게 탐색할 수 있게 하고,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부담을 덜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지니는 아이템의 재입고 알림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언제 구매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 의사 판단에 도움을 준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 결과가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 및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제시하거나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언제 구매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 의사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의 다른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덕트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의 예시 및 해당 프로덕트 내 아이템을 필터링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덕트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링이 적용된 프로덕트들을 나타내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나타낸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성요소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트랜시버(120), 및 메모리(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상품은 특정 아이템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자장치(100)와 관련된 서비스에서 아이템을 서비스의 이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 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영역에 표시되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프로덕트 각각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얘들에 따른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프로덕트의 각 아이템의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메모리(13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트랜시버(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제1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120)는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구성으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에 기반하여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데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아이템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검색 결과 페이지(200)는 제1페이지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도 1에 나타난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검색어(200a)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어(200a)는 이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하여 검색하는 검색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200a)를 이용하여,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product)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표시하는 제1페이지(200)를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페이지(200)는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200a)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2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덕트(product)는 상품을 구분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에게 판매되거나 서비스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상품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에게 판매되거나 서비스 이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프로덕트는 그 프로덕트의 특성(characteristic)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특성은, 하나의 프로덕트에 내재하는 속성(property)들의 차이에 따라 구분하는 기준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프로덕트는 특성에 기반하여 복수의 아이템(i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프로덕트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이템은 프로덕트 내에서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덕트는 A 모델의 신발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A 모델의 신발인 프로덕트는 다양한 신발 사이즈(size)라는 속성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모델 신발인 프로덕트는 '신발 사이즈가 250mm'인 특성을 만족하는 제1아이템, '신발 사이즈가 260mm'인 특성을 만족하는 제2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특성(characteristic)은 예를 들어 속성(property) 및 해당 속성에 대한 값(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사이즈가 250mm'인 특성은 '신발 사이즈'라는 속성 및 '250mm'라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201)은 각 프로덕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프로덕트 영역(201a)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덕트 영역(201a)은 해당 프로덕트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해당 프로덕트의 명칭, 할인된 가격, 할인 전 가격, 배송 관련 정보, 평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하여 해당 아이템의 프로덕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가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모두 제1영역(201)에 제시할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이 없는 프로덕트 또는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프로덕트들을 조회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이용자는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이 없거나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프로덕트라는 사실을 뒤늦게 확인하여 다시 검색을 수행하거나 다시 검색된 프로덕트들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어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서비스 이용자는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이 없는 프로덕트들 또는 원하는 특성을 가지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프로덕트들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제1페이지(200)에 포함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의 프로덕트 내 특성 별로 구분된 아이템마다 해당 아이템의 재고량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A 모델 신발인 프로덕트의 재고량을 저장함에 있어, '신발 사이즈가 250mm'인 특성을 만족하는 제1아이템의 재고량, '신발 사이즈가 260mm'인 특성을 만족하는 제2아이템의 재고량 등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200)는 상술한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제2영역(20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202a)은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200a)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프로덕트의 특성에 기초하여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필터링 인터페이스의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확인하고, 제2페이지(200)에 표시된 각 프로덕트 내에서 해당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량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전자 장치는 제2페이지(200)에 표시된 프로덕트들 중 재고가 있는 아이템이 있는 프로덕트만을 필터링하여 제1영역(201)에 표시할 수 있다.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200a)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중 가장 많은 프로덕트들을 포함하는 프로덕트의 카테고리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어(200a)로 검색한 결과 제1영역(201)에 나타난 프로덕트들 중 신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프로덕트들이 가장 많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제2영역(202)에 신발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예를 들어, 신발 자이즈)들을 표시할 수 있다.
제2영역(202)은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1세부 인터페이스들(20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세부 인터페이스(202a)는 예를 들어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을 구성하는 속성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값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세부 인터페이스(202a)는 예를 들어, 신발의 사이즈(size)인 속성에서 가질 수 있는 값들인 250mm, 255mm, 260mm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제1세부 인터페이스(202a)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1세부 인터페이스(들)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202) 내 서비스 이용자의 스크롤 없이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는 위치(202b)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상품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고, 현재 구매할 수 없는 품절된 상품을 확인하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눈에 띄는 필터링 인터페이스의 구성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가 구체적인 상품을 확인하기 앞서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먼저 필터링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용이하게 확인 및 탐색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특히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 내 특정 특성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쉽게 탐색할 수 있게 하고, 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부담을 덜게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영역(202)에 나타난 프로덕트의 특성들 중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합한 특성을 지시하는 아이콘(제1인디케이터)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서비스 이용자의 신체 부위의 크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 내역에 기초한 서비스 이용자가 선호하는 프로덕트의 브랜드, 서비스 이용자가 선호하는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신체 부위 중 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의 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합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합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2인터페이스에 실시예들에 따른 제1인디케이터(202c)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1인디케이터(202c)는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가장 많은 프로덕트들을 포함하는 프로덕트의 카테고리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을 상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필터 설정 인터페이스(2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가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 설정 인터페이스(200b)를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다양한 특성들을 상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페이지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가 신발 카테고리인 경우, 필터 설정 인터페이스(200b)는 신발 사이즈뿐만 아니라 신발의 색상 속성, 신발의 종류 속성 등으로 다양한 특성들을 상세하게 설정하기 위한 페이지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페이지(200)의 제2영역(202) 내의 필터링 인터페이스로부터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제1페이지(200)의 제1영역(201)에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는 단말 장치를 통하여 필터링 인터페이스로부터 특정 프로덕트에 대한 특성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특성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해당 입력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포함된 특성들을 확인한 후, 해당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추출한 프로덕트들의 목록을 제1영역(201)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각 프로덕트의 프로덕트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각 프로덕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들 중 필터링과 관련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확인한다. 즉, 전자 장치는 각 프로덕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아이템 식별자들 중 필터링과 관련된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전자 장치는 확인된 아이템 식별자 및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이용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검색 결과 페이지(300)는 제1페이지로 호칭될 수 있으며, 도 2의 제1페이지(200)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동작들 일부 또는 전부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난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의 검색어(300a)를 수신하여 검색어와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확인할 수 있고, 프로덕트(302)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제1영역 및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201)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300)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아이템의 상세 페이지(303)의 요청에 대응하여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303)를 제공할 수 있다. 아이템의 상세 페이지(303)는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제1페이지(300)의 프로덕트를 나타내는 영역(302)을 클릭함에 대응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303)는 예를 들어, 제2페이지(303)로 호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303)는 해당 프로덕트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역(303a), 해당 프로덕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영역, 해당 프로덕트 내에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프로덕트의 특성을 선택하는 특성 선택 영역(303b), 해당 프로덕트의 특성에 대한 구매자들의 후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후기 정보 영역(303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프로덕트는 해당 프로덕트의 특성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에 대응하는 프로덕트는, 해당 신발의 사이즈 특성에 따라 260mm 사이즈의 신발 아이템, 265mm 사이즈의 신발 아이템, 270mm 사이즈의 신발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203)의 특성 선택 영역(303b)은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 내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페이지(203)는 서비스 이용자가 특성 선택 영역(303b)을 클릭할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 내의 특성을 선택할 수 있는 제3페이지 또는 레이아웃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 이용자가 프로덕트 내 특성을 선택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프로덕트 내의 아이템을 확인하고, 해당 아이템의 재고량을 확인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페이지(303)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203)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인터페이스(30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상품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고, 현재 구매할 수 없는 품절된 상품을 확인하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덕트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의 예시 및 해당 프로덕트 내 아이템을 필터링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400)를 나타낸다. 제2페이지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의 제2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로 호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페이지(4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페이지(400)는 해당 프로덕트 내에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프로덕트의 특성을 선택하는 특성 선택 영역(400a), 해당 프로덕트의 특성에 대한 구매자들의 후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후기 정보 영역(400b) 및 구매 인터페이스(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특성 선택 영역(400a)은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 내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이용자가 특성 선택 영역(303b)을 클릭할 경우, 제2페이지(400)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 내의 특성을 선택할 수 있는 특성 선택 페이지(401)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성 선택 페이지(401)는 제3페이지(401)로 호칭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401)는 제2페이지(400) 위에 오버레이되어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3페이지(401)는 제2페이지(400)가 모두 가려지도록 제2페이지(400) 위에 표시될 수도 있고, 제2페이지(400)의 일부만 가려지도록 제2페이지(400) 위에 표시될 수도 있다.
제3페이지(401)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에 대한 특성(들)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페이지(401)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에 대한 속성을 표시하는 영역, 및 해당 속성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a)는 해당 속성의 값들로 표시된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는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a)들 중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의 특성들을 만족하는 아이템들의 재고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프로덕트의 특성들을 만족하는 아이템들 중 재고가 없는 아이템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재고가 없는 아이템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2세부 인터페이스를 음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신발 사이즈가 250mm인 아이템 및 신발 사이즈가 255mm인 아이템의 재고가 없음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해당 제2세부 인터페이스들을 음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제3페이지(401)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제2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3영역(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은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명칭, 해당 아이템의 가격, 해당 아이템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해당 아이템의 배송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페이지(401)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제2세부 인터페이스에 의해 선택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을 설정하기 위한 확인 인터페이스(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페이지(400)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a)들 중 하나의 특성을 선택하였으나,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경우 (즉, 서비스 이용자가 재고가 없는 아이템의 특성에 대한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b)를 선택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페이지(401)의 제3영역(404)은 해당 아이템의 재고가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일시 품절' 문구)를 더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아이템의 정보(예를 들어, 아이템의 명칭, 가격 등)를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페이지(400)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제2세부 인터페이스(402a)들 중 하나의 특성을 선택하였으나,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경우, 제3페이지(400)는 해당 아이템이 재입고 시 알람을 요청하기 위한 재입고 알람신청 인터페이스(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가 재입고 알람신청 인터페이스(405)를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이 물류 센터에 재입고 시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401)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부합하는 특성에 대한 제2세부 인터페이스에 제2인디케이터(402c)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자의 성별, 서비스 이용자의 신체 부위의 크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 내역에 기초한 서비스 이용자가 선호하는 프로덕트의 브랜드, 서비스 이용자가 선호하는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정보로부터 서비스 이용자의 신체 부위 중 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의 발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합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적합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나타내는 제2인터페이스에 실시예들에 따른 제2인디케이터(402c)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제2인디케이터(402c)는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3페이지의 세부 인터페이스들 및 세부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속성을 가지는 상품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고, 현재 구매할 수 없는 품절된 상품을 확인하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특성을 지니는 아이템의 재입고 알림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이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언제 구매할 수 있는지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의 구매 의사 판단에 도움을 준다.
도 5는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덕트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프로덕트 상세 페이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서비스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따른 제2페이지(500)를 나타낸다. 제2페이지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제2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페이지(500)는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또는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또는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명칭,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페이지(500)는 이용자로부터 해당 프로덕트의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특성 선택 영역(50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성 선택 영역(500a)은 도 4의 특성 선택 영역(400a)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프로덕트의 특성을 선택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는 특성 선택 영역(400a)을 클릭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제3페이지를 통하여 프로덕트의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선택한 프로덕트의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을 경우, 이용자는 해당 아이템을 바로 구매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에게 해당 아이템의 재입고 시 알림을 받을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특성 선택 영역(400a)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경우, 제3페이지(500)는 해당 아이템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 인터페이스(5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이용자가 특성 선택 영역(400a)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한 특성을 만족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는 경우, 제3페이지(500)는 해당 아이템이 재입고 시 알림을 받기 위한 재입고 알림을 신청하는 재입고 알림신청 인터페이스(50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가 해당 아이템의 재입고 시 알림을 받기 위하여 재입고 알림신청 인터페이스(501b)를 클릭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아이템이 재입고되는 시각에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링이 적용된 프로덕트들을 나타내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덕트의 특성(600a)에 기초하여 특성(600a)에 부합하는 아이템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가 제1영역(600)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덕트의 특성(600a)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덕트의 특성(600a)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을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영역(600)에 이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에 해당하는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신발 카테고리의 프로덕트를 검색하였고, 신발 카테고리에 대한 특성들 중 이용자가 '신발 사이즈가 260mm'또는'신발 사이즈가 265mm'인 신발을 선택(600a)하였으나, 해당 특성에 부합하는 재고가 있는 아이템이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페이지의 제1영역(600)은, 재고 있는 아이템이 없음을 나타내는 문구와 함께, 이용자가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응하는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선호하는 브랜드는 예를 들어,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이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 및 이용자의 검색 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구매한 아이템들 중 특정 브랜드에 대하여 다수 구매한 이력이 있을 경우 선호하는 브랜드를 해당 브랜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구매한 아이템들 중 특정 브랜드에 대하여 다수 검색한 이력이 있을 경우 선호하는 브랜드를 해당 브랜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덕트의 특성(600a)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으나,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로덕트의 특성(600a)에 부합하는 아이템이 특정 기간 이내에 입고가 예정되는 프로덕트가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이용자가 검색하는 시점에는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없으나, 특정 기간 이내에 해당 아이템의 입고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아이템의 프로덕트를 이용자에게 제시하면서 입고 예정 날짜를 이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영역(600)에 특정 기간 이내에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입고가 예정되어 있는 프로덕트(들)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600)은 특정 기간 이내에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입고가 예정되어 있는 각 프로덕트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명칭, 가격, 배송 정보 등, 601a),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의 입고 예정 날짜 또는 시각(601b), 및 해당 아이템이 재입고 시 이용자에게 알림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재입고 알림신청 인터페이스(60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검색 결과가 이용자가 검색한 검색어 및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용자가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제시하거나 이용자가 선택한 특성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언제 구매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구매 의사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이용자의 다른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검색 결과 정보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700 단계 내지 70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을 확인(700)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프로덕트 각각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이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1영역에 표시되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 (701)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제2영역은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 정보 중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를 위한 세부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아이콘(실시예들에 따른 제1인디케이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이용자의 신체의 부위의 사이즈(예를 들어, 발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프로덕트의 각 아이템의 재고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실시예들에 따른 검색어와 대응되는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가장 많은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 정보를 이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이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제1페이지의 제1영역에 복수의 프로덕트 중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의 목록을 표시하는 동작(단계)은, 검색어에 대응하는 각 프로덕트의 프로덕트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각 프로덕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아이템 식별자들 중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식별자를 확인하고, 아이템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들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이용자들로부터 선택 가능한 특성 정보에 대한 이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제1프로덕트에 대한 상세 페이지의 요청에 대응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제2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난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제1영역은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재고가 있는 아이템이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난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의 제1영역에 복수의 프로덕트들 중 이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브랜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난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제1페이지의 제1영역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입고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영역은 입고 날짜에 관한 알림을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난 동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프로덕트의 예시를 신발로 하고, 특성 정보의 예시로 신발 사이즈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동일한 프로덕트 내에서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아이템으로 분류 가능한 제품의 검색을 위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이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검색 결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product)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덕트는 특성 및 상기 특성에 관한 값을 기반으로 구별되는 아이템(item)들을 포함함;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제1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1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의 카테고리들 중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에 대한 목록은 각 프로덕트 내 아이템들의 재고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상기 특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값들을 포함함;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의 제2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목록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구매를 위한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목록은 상기 제1페이지의 제1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각 프로덕트의 프로덕트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각 프로덕트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식별하는 아이템 식별자들 중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에 대한 아이템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아이템 식별자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검색어와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 중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목록의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목록의 항목들 중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특성의 항목을 위한 세부 인터페이스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신체의 부위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입력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목록 내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 중 재고가 있는 아이템이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를 표시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목록 내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 중 상기 이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브랜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를 표시하고,
    상기 선호 브랜드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정보 내에 포함된 아이템 구매 내역 및 아이템 검색 내역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있는 프로덕트가 없는 경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특성 정보의 아이템의 입고 날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입고 날짜에 관한 알림을 상기 이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9. 삭제
  10. 검색 결과에 대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product)를 확인하고 - 상기 프로덕트는 특성 및 상기 특성에 관한 값을 기반으로 구별되는 아이템(item)들을 포함함 - , 상기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제1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1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포함된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의 제2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2목록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구매를 위한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의 카테고리들 중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에 대한 목록은 각 프로덕트 내 아이템들의 재고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상기 특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값들을 포함하고,
    전자 장치.
  11.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검색 결과에 대한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덕트(product)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프로덕트는 특성 및 상기 특성에 관한 값을 기반으로 구별되는 아이템(item)들을 포함함; 및
    상기 확인된 복수의 프로덕트의 제1목록을 표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1목록을 필터링하는 필터링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제1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프로덕트의 카테고리들 중 최다 프로덕트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특성에 대한 목록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에 대한 목록은 각 프로덕트 내 아이템들의 재고들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선택 가능한 상기 특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값들을 포함함;
    상기 필터링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이용자의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입력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재고가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덕트의 제2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목록에 포함된 상기 특성에 관한 값에 대응하는 아이템의 구매를 위한 제2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0104507A 2021-08-09 2021-08-09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1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07A KR102413659B1 (ko) 2021-08-09 2021-08-09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21/011032 WO2023017887A1 (ko) 2021-08-09 2021-08-19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TW110136385A TW202307750A (zh) 2021-08-09 2021-09-30 提供物品資訊之方法及其設備
US17/562,561 US11915296B2 (en) 2021-08-09 2021-12-27 Method for providing item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220076346A KR20230022796A (ko) 2021-08-09 2022-06-22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507A KR102413659B1 (ko) 2021-08-09 2021-08-09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46A Division KR20230022796A (ko) 2021-08-09 2022-06-22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659B1 true KR102413659B1 (ko) 2022-06-27

Family

ID=822471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507A KR102413659B1 (ko) 2021-08-09 2021-08-09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0076346A KR20230022796A (ko) 2021-08-09 2022-06-22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46A KR20230022796A (ko) 2021-08-09 2022-06-22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5296B2 (ko)
KR (2) KR102413659B1 (ko)
TW (1) TW202307750A (ko)
WO (1) WO20230178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97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리스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320B1 (ko) * 2016-02-16 2017-06-07 쿠팡 주식회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14703A (ko) * 2018-03-29 2019-10-10 네이버 주식회사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249527B1 (ko) * 2020-07-02 2021-05-07 구대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결제 플랫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036B1 (ko) 1999-12-23 2002-06-12 오길록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상품정보 필터링 장치 및 방법
CN100432963C (zh) * 2001-05-18 2008-11-12 尼康照相机贩卖株式会社 电子商店和电子公告牌的提供方法、站点检索方法
TW508518B (en) 2001-06-27 2002-11-01 Inventec Corp System using graphic interface to perform warehousing management
KR100762829B1 (ko) 2005-03-08 2007-10-02 메이크스타일주식회사 소비자의 구매 취향에 따른 상품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705410B1 (ko) 2005-05-19 2007-04-10 엔에이치엔(주) 상품모델과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상품 정보등록 방법 및 시스템
KR101230034B1 (ko) 2011-08-11 2013-03-15 공미선 취향 아이디 코드의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그리고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101509393B1 (ko) 2014-03-28 2015-04-13 주식회사 피넛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0459608B2 (en) 2014-12-01 2019-10-29 Ebay Inc. Mobile optimized shopping comparison
US11961280B2 (en) * 2015-08-26 2024-04-16 Incogna Inc. System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for trend analysis
KR20200024534A (ko) 2018-08-28 2020-03-09 십일번가 주식회사 상품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
CN109472672A (zh) 2018-11-07 2019-03-15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商品导购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320B1 (ko) * 2016-02-16 2017-06-07 쿠팡 주식회사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14703A (ko) * 2018-03-29 2019-10-10 네이버 주식회사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서버
KR102249527B1 (ko) * 2020-07-02 2021-05-07 구대본 온라인 쇼핑몰 통합 결제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97A1 (ko) * 2022-07-13 2024-01-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리스트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8472A1 (en) 2023-02-09
TW202307750A (zh) 2023-02-16
US11915296B2 (en) 2024-02-27
WO2023017887A1 (ko) 2023-02-16
KR20230022796A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4246B2 (en) Method for performing retail sales analysis
CN106021435B (zh) 处理搜索信息的方法和系统
US20190213223A1 (en) Page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age generating and page information providing
US20130204743A1 (en) Mobile shopping tools utilizing color-based identification, searching and matching enhancement of supply chain and inventory management systems
US9817846B1 (en) Content selection algorithms
US20130144759A1 (en) Product purchase device and product purchase method
KR20150128885A (ko) 추천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10073170A (ja) 推薦商品選択装置、推薦商品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商品検索装置
KR102413659B1 (ko)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41903A (ko)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9799065B1 (en) Associating items based at least in part on physical location information
JP69455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59583A (ko) 딜 정보 관리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697557B2 (en)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 searching and shopping carts
US9652792B1 (en) Dynamically generating resource tracking codes
JP7105478B2 (ja) コーディネート支援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端末装置,サーバー
KR102373486B1 (ko) 브랜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107336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product selection and profitability indication
KR102363333B1 (ko)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430471B1 (ko) 리뷰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364435B1 (ko) 아이템 피드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TW202345057A (zh) 推薦物品的方法及其設備
KR102422655B1 (ko) 검색어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7476152B2 (ja) 広告装置、広告方法、及び広告プログラム
TWI841179B (zh) 用於提供搜尋關鍵字資訊之方法及其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