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226B1 -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226B1
KR102412226B1 KR1020180035559A KR20180035559A KR102412226B1 KR 102412226 B1 KR102412226 B1 KR 102412226B1 KR 1020180035559 A KR1020180035559 A KR 1020180035559A KR 20180035559 A KR20180035559 A KR 20180035559A KR 102412226 B1 KR102412226 B1 KR 102412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anagement module
service
serv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3200A (en
Inventor
장은수
장경래
최민정
정민규
박하진
이효중
정현명
노세혁
황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226B1/en
Publication of KR20190113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Reliability checks, e.g. acknowledgments or fault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메시지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측에 존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측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하고, 하나 이상의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3rd Party Message Server)와 연결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이 설치된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되어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과 상기 메시지 서버와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도즈 모드의 해제를 위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A message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management module present in an application server side; a device management module present on the application client side; and a message server that relays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is connected to one or more third party message servers, wherein the message server includes the application When the client and the device in whic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is installed are switched to a doze mod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message server is cut off, the metadata of the message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the application client performs a set operation for releasing the doze mode according to receiving the metadata from the device.

Description

메시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시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 처리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ssage processing techniqu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최근, 모바일 단말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보안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결제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은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외부 공격에 대한 시스템 보호를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의 신뢰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Recently, as the use of mobile terminals is generalized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the demand for a message processing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message services is increasing. Such a message processing system may b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security service, an e-mail service, and a payment service. In the message processing system, the send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messages relat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message processing system. In this case, the message processing system need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message transmitted between the send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in order to maintain service continuity and to protect the system against external attack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116호(2017.07.2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7116 (2017.07.2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된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3rd Party Message Server)와 연계하여 상기 디바이스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원활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means for smooth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o and from the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third party message server ( 3rd party message server) when the device is switched to the doze mode (doze mod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서버 측에 존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측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하고, 하나 이상의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3rd Party Message Server)와 연결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이 설치된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되어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과 상기 메시지 서버와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도즈 모드의 해제를 위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rvice management module in the application server side; a device management module present on the application client side; and a message server that relays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is connected to one or more third party message servers, wherein the message server includes the application When the client and the device in whic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is installed are switched to a doze mod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message server is cut off, the metadata of the message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tadata from the device, the application client performs a set operation for releasing the doze mode,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 측에서 상기 메시지를 중계하는 복수의 서비스 채널 관리부;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 측에서 상기 메시지를 중계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메시지 형식인 써드 파티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메시지 서버와,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중계하는 외부 채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ssage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for relaying the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side; a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for relaying the message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side; and an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that converts the message into a third-party message in a message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relays the third-party message between the message server and a gateway connected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can do.

상기 외부 채널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수 있다.The external channel manager may receive the meta data from the service channel manager and transmit it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may receive the meta data from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deliver it to the application client have.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는,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외부 채널 관리부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generates the metadata when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does not receive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message within a set time period, and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metadata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and the service The channel manager may transmit the message and the metadata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and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respectively.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상기 도즈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doze mode is release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to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로 전환되어 메시지 전달이 어려운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메타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여 상기 도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 관리 모듈을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is switched to the doze mode and it is difficult to deliver the messag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It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and thus messages can be delivered norm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모듈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예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 모듈 및 디바이스의 예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정보들의 예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즈 모드(doze mod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인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ssag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a third-party message ser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a third-party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a third-party message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a third-party message serv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a third-party message serv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oz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ivering a message to the device through a third-party message server when the device is in a doz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ample embodi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in no way be limiting.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장치(100)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메시지 서버(106) 및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 message server 106, and a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includes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 측 컴포넌트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메시지 서버(106)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디바이스(미도시)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카메라 제어, 마이크 제어, 녹음 기능 제어 등과 같은 보안 관련 서비스가 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어, 상술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디바이스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메시지,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즉, ACK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is an application server (not shown) side component,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messag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between the application server and the message server 106 .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server is a server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to a device (not shown).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for example, a security-related service such as a device camera control, a microphone control, a recording function control, etc.,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application ser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ddition, the message may be, for example, a control message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service in the device,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control message (ie, an ACK message), and the like.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후술할 서비스 채널 관리부 사이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에게 메시지 전송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수신 확인 메시지(즉, ACK 메시지)의 송수신, 메시지 전송 취소, 유저 아이디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의 아이디로 변환, 보안을 위한 인증 정보 관리, 멀티케스트(Multicast) 전송 요청 처리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provide reliability for message transmission to the application server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between the application server and a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ransmits/receives an acknowledgment message (ie, an ACK message), cancels message transmission, converts a user ID to an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manag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security, and requests multicast transmission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processing may be performed.

이러한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서로 다른 아이디(즉, 인스턴스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동일한 그룹 내에 속하게 되며, 동일한 그룹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모듈(102)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제1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특정 조직 또는 기업의 인트라넷(intranet)일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106)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uch service management modules 102 may exist, and each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have a different ID (ie, an instance ID). Also,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at processes the same application service may belong to the same group and may have the same group ID. In additio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the application server may be located in the first net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first network may be, for example, an intranet of a specific organization or enterprise.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generate a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server,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message server 106 . Also,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receive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rough the message server 106 .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디바이스 측 컴포넌트로서,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미도시)와 메시지 서버(106)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디바이스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모듈이다.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a device-side component, and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messages related to application services between the application client (not shown) installed in the device and the message server 106 .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nd may be,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a tablet P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lient is a module installed in the device to execute the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in the device.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후술할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사이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수신 확인 메시지(즉, ACK 메시지)의 송수신, 메시지 전송 취소, 보안을 위한 인증 정보 관리 등과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between the application client and a device channel manag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s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perform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ransmission/reception of an acknowledgment message (ie, an ACK message), cancellation of message transmission, manage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security, and the like.

이러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각 디바이스별로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서로 다른 아이디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최초로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메시지 서버(106)로부터 해당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설치된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는 제1 네트워크의 외부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internet)일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서비스 관리 모듈(102)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106)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One or more device management modules 104 may exist for each device, and each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have a different ID. The device may be assigned an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from the message server 106 in the process of activating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the device in whic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installed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network.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second network may be an area outside the first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generate a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client 302 ,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message server 106 . Als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receive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rough the message server 106 .

메시지 서버(106)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하는 서버이다. 이때, 메시지 서버(106)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사이의 DMZ(Demilitarized Zone)에 위치할 수 있다. DMZ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로서, 제1 네트워크와 DMZ 사이에는 방화벽이 존재할 수 있다.The message server 106 is a server that relays messages related to application services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In this case, the message server 106 may be located in a DMZ (demilitarized zone)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The DMZ is a sub-network located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and a firewall may exist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DMZ.

메시지 서버(106)는 메시지 중계를 위한 각종 채널 매니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매니저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106)의 상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message server 106 may include various channel managers for relaying messages, and may route the messages through the channel managers.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essage server 106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타 조직 또는 기업의 메시지 서버로서, 예를 들어 GCM(Google Cloud Messaging),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WNS(Windows Push Notification Service)의 메시지 서버(또는 푸시 서버)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메시지 서버(106)는 내부의 채널 매니저(즉, 후술할 외부 채널 관리부)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기 위한 용도,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웨이크-업(wake-up)/실행시키기 위한 용도, 또는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된 경우 상기 도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용도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is a message server of another organization or company, for example, a message server (or push server) of Google Cloud Messaging (GCM), 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APNS), or Windows Push Notification Service (WNS). can b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essage server 106 may transmit/receive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to and from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through an internal channel manager (ie, an external channel manager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wakes up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for the purpose of directly delivering a message to the application client wh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unavailable. up)/execution, or for releasing the doze mode when the device is switched to a doze mode, etc. may be usefully utiliz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모듈(102) 및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의 예시이다. 2 is an example of a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an applic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부하 분산을 위해 복수 개(예를 들어, 100개) 존재할 수 있으며, 라이브러리(미도시)를 통해 함수를 호출하는 형태로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106)를 통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네트워크에서 각 서비스 관리 모듈(102)과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eg, 100) of service management modules 1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ist for load balancing, and a function is called through a library (not shown). In the form,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in both directions with the application server 200 . To this end,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include an interface (not shown)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application server 200 .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generates a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server 200 , and stores the message in the database 150 , and stores the message i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through the message server 106 . It can be sent to (104). The database 150 may be connected to each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in the first network.

이때, 상기 메시지는 발신자 주소(source address),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 경유자(via) 정보,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이전에 전송된 메시지의 아이디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주소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자 주소는 메시지의 수신 대상인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서버(106)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경유자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한 후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ssage may include a source address, a destination address, via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eg, application ID, ID of a previously transmitted message, etc.). have. Here, the sender address may include the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at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recipient address may include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at is the receiving target of the message. The message server 106 may route the message using sender information, receiver information, passerby information, etc. included in the message, and then deliver it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및 디바이스(300)의 예시이다.3 is an illustration of a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a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디바이스(300)에 설치되어 각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에 해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라이브러리(미도시)를 통해 함수를 호출하는 형태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1)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와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evice 300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related to a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ice to each application client 302 .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bi-directionally communicate with the application client 302 in the form of calling a function through a library (not shown). To this e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1 may include an interface (not shown)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application client 302 .

또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메시지 서버(106)를 통해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서버(106)를 통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즉, ACK 메시지)를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receives a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rough the message server 106, and an acknowledgment message (ie, ACK) for the message through the message server 106 message) to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106)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버(106)는 복수의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등록 서버(406), 데이터베이스(408, DB), 복수의 내부 채널 관리부(410) 및 외부 채널 관리부(412)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essage server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the message server 10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402 , a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404 , a registration server 406 , a database 408 , DB), a plurality of in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s 410 and an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are included.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과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고, 서비스 관리 모듈(102) 측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메쉬(mesh) 형태로 복수의 서비스 관리 모듈(102)과 연결될 수 있다.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manag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 and relays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side. As shown in FIG. 4 , each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rvice management modules 102 in the form of a mesh.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각각은 서비스 관리 모듈(102)이 접속할 때마다 제1 라우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8)에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우팅 정보는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에 접속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의 아이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이 속한 그룹의 아이디,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의 아이디, 및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와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102) 간의 채널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라우팅 정보에 포함되는 서비스 관리 모듈의 아이디 또는 서비스 관리 모듈의 그룹 아이디에는 APID 또는 APIID가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APID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가 속한 그룹에 부여되는 아이디이며, APIID는 상기 그룹 내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 각각에 부여되는 아이디이다. Each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may store and update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8 whenever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ccesses. Here,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connected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 ID of a group to which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belongs, an ID of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d the service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hannel IDs between th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d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 In this case, the APID or APIID may be mapped to the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or the group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included in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The APID is an ID assigned to a group to which the application server 200 providing the same application service belongs, and the APIID is an ID given to each of the application servers 200 belonging to the group.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208, DB)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발신자 주소, 수신자 주소, 경유자 정보,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이전에 전송된 메시지의 아이디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주소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자 주소는 메시지의 수신 대상인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경유자 정보 등과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1 라우팅 정보 또는 제2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route the message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208 (DB).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generate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server 200 ,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 In this case, the message may include a sender address, a receiver address, passerby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eg, an application ID, an ID of a previously transmitted message, etc.). Here, the sender address may include the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at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recipient address may include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at is the receiving target of the messag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uses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such as sender information, receiver information, passerby information,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message to manage the message. can be routed.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의 통신 채널을 관리하고,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측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300)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최초로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등록 서버(406)에 디바이스(300) 및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등록하고, 등록 서버(406)로부터 해당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또한, 등록 서버(406)는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중 현재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에 할당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는 자신에게 할당된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manage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relays messages related to application services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side. To this end, the device 300 registers the device 300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nstalled in the device 300 to the registration server 406 in the process of activating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for the first time, and the registration server ( An ID of the corresponding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be assigned from 406 . Also, the registration server 406 may allocate a currently availabl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404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A message may be transmitted/received to and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이때,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각각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접속할 때마다 제2 라우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8)에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라우팅 정보는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 접속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의 아이디,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간의 채널 아이디, 및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may store and update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8 whenever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ccesses. Here,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the ID of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hannel ID between the two and informati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208, DB)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발신자 주소, 수신자 주소, 경유자 정보, 데이터 정보(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이전에 전송된 메시지의 아이디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주소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자 주소는 메시지의 수신 대상인 서비스 관리 모듈(102)의 아이디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아이디(APID)(또는 APIID)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경유자 정보 등과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1 라우팅 정보 또는 제2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및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개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및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개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많아질 수 있다.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route the message with reference to the database 208 (DB).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generate a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pplication client 302 ,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In this case, the message may include a sender address, a receiver address, passerby information, data information (eg, an application ID, an ID of a previously transmitted message, etc.). Here, the sender address may include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at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recipient address is the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that is the receiving target of the message or the ID (APID) (or APIID) of the application service. may inclu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uses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such as sender information, receiver information, passerby information,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message to manage the message. can be routed. Meanwhile, the number of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increase as the number of device management modules 104 increases.

등록 서버(406)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설치된 디바이스(300)의 정보(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의 IP 주소, MAC 주소 등)를 관리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중 하나를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에 할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300)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최초로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등록 서버(406)에 디바이스(300) 및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 서버(406)는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중 현재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에 할당할 수 있다. The registration server 406 manages information (eg, IP address, MAC address, etc. of the device 300 ) of the device 300 in whic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installed, and among a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404 . One is assign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300 may register the device 300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nstalled in the device 300 to the registration server 406 in the process of activating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for the first time. . Accordingly, the registration server 406 may allocate the currently availabl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rs 404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데이터베이스(408, DB)는 인스턴스 정보 및 라우팅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상기 인스턴스 정보는 메시지 서버(106) 내 구성들(서비스 채널 관리부, DC, 등록 서버, 내부 채널 관리부, 외부 채널 관리부 등) 각각에 대한 정보들로서, 각 구성들의 아이디, 각 구성들에 메시지 전달을 위한 아이피/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턴스 정보는 해당 컴포넌트가 기동되거나 다운될 때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database 408 (DB) is a storage in which instance information and routing information are stored. The insta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each of the components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DC, registration server, in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etc.) in the message server 106, the ID of each component, for message delivery to each component It may include IP/port information. The instance information may be updated when a corresponding component is started or is down.

또한, 상기 라우팅 정보는 메시지 서버(106) 내의 구성들(서비스 채널 관리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등록 서버, 내부 채널 관리부, 외부 채널 관리부 등) 중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처리할 컴포넌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각각은 서비스 관리 모듈(102)이 접속할 때마다 제1 라우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8)에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각각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접속할 때마다 제2 라우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8)에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uting information is used to determine a component to process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from among the components (service channel manager, device channel manager, registration server, internal channel manager, external channel manager, etc.) in the message server 106 . information that becomes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may store and update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8 whenever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ccesses,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each manages the device. Each time the module 104 connects, it may store and update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8 .

또한, 데이터베이스(408, DB)에는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후술할 내부 채널 관리부(410) 및 외부 채널 관리부(412) 간의 연결 관계 및 라우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408 (DB) may stor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routing information between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the internal channel manager 410 and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to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메시지 처리 장치(100) 내 각 컴포넌트에서의 라우팅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routing method in each component in the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서비스 관리 모듈(102)에서의 라우팅* Routing i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메시지에 포함된 경유자(via) 정보가 자신의 아이디(서비스 관리 모듈의 아이디 또는 서비스 관리 모듈의 그룹 아이디)이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인 경우, 서비스 관리 모듈(106)은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에 포함된 경유자(via) 정보가 자신의 아이디(서비스 관리 모듈의 아이디 또는 서비스 관리 모듈의 그룹 아이디)이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APID 또는 APIID인 경우,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상기 APID 또는 APIID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The vi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is its ID (the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or the group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In this case,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6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 In addition, when the vi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is its ID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or group ID of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APID or APIID, service The management module 102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APID or the application server 200 corresponding to the APIID.

*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에서의 라우팅* Routing in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자신의 아이디인 경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라우팅을 종료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APID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외의 경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수신된 메시지를 등록 서버(406)에서 할당 받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게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its I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terminate routing and deliver the message to the application client 302 corresponding to the APID included in the message. In other cases,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deliver the received message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llocated from the registration server 406 .

*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에서의 라우팅* Routing in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APID 또는 APIID인 경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1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APID 또는 APIID에 대응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의 아이디(또는 주소)를 찾아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APID or APIID,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refers to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and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corresponding to the APID or APIID ( 102 ) can be found and the message can be delivered to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

또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의 아이디인 경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2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접속된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의 아이디(또는 주소)를 찾아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UDP(User 디바이스 관리 모듈tagram Protocol) 채널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the ID of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refers to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find the ID (or address) of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to which it is connected,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In this case,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through a User Device Management Module tagram Protocol (UDP) channel.

*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서의 라우팅* Routing in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인 경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may deliver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또한, 메시지에 포함된 수신자 주소(destination address)가 APID 또는 APIID인 경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1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APID 또는 APIID에 대응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102)가 접속된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의 아이디(또는 주소)를 찾아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UDP 채널을 통해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message is APID or APIID,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refers to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to manage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APID or APIID The module 102 and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find the ID (or address) of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to which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is connected, and transmit the message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 In this case,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may deliver the message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through a UDP channel.

이와 같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및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데이터베이스(408, DB)에 저장된 제1 라우팅 정보 또는 제2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may relay the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by using the first routing information or the second rou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8, DB).

내부 채널 관리부(410)는 고보안 모드에서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한다. 내부 채널 관리부(410) 각각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하드웨어 상에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채널 관리부(410) 각각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 채널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TLS 채널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internal channel manager 410 relays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between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in the high security mode. Each of the in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s 410 may be located in different hardware, and may be used to transmit the message on different hardware. Each of the in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s 410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channel, and may transmit/receive messages through the TLS channel.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메시지 서버(106)와,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미도시)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한다. 이때,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상기 메시지를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에서 처리 가능한 메시지 형식인 써드 파티 메시지로 변환하고, 메시지 서버(106)와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및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UDP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 및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relays the mess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service between the message server 106 and a gateway (not shown) connected to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 In this case, the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converts the message into a third-party message in a message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nd relays the third-party message between the message server 106 and the gateway. have. In addition,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through a UDP channel,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with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hav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외부 채널 관리부(412) 및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예를 들어, APNS(108-1), GCM(108-2) 또는 WNS(108-3)일 수 있으며, 이들은 디바이스 1(110-1), 디바이스 2(110-2) 및 디바이스 3(110-3)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may be, for example, an APNS 108-1, a GCM 108-2, or a WNS 108-3, which may be a device 1 110-1. , device 2 110 - 2 and device 3 110 - 3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메시지 생성 및 전송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와 연계되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요청에는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가 아닌 외부 채널 관리부(412)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내용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상기 메시지를 해당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에서 처리 가능한 메시지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변환된 메시지를 ““써드 파티 메시지””라 칭하기로 한다.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게이트웨이(414)로 전달하고, 게이트웨이(414)는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의 타입(type)을 확인하여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가 전달될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414)는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해당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로 전달하고,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이를 디바이스(1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의 타입(또는 써드 파티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은 대응되는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may generate a message according to the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request of the application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 In this case, the message may be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nd in the request,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rather than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to the application client. It may include a command with the contents to be transmitted as . Accordingly,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may convert the message into a message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rresponding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Hereinafter, the converted message will be referred to as “a “third party message”. The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transmits the third-party message to the gateway 414, and the gateway 414 checks the type of the third-party message,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to which the third-party message is transmitted. ) can be determined. Thereafter, the gateway 414 transmits the third-party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may deliver it to the device 110 . Meanwhile, the type of the third-party message (or the typ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party message) may be different for each corresponding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종 정보들의 예시이다.6 is an example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a third-party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APNS(108-1), GCM(108-2) 및 WNS(108-3)의 써드 파티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Title(즉, 알림 항목의 타이틀)은 APNS(108-1), GCM(108-2) 및 WNS(108-3)의 써드 파티 메시지에 모두 포함되나, SubTitle(즉, 알림 항목의 서브 타이틀)은 GCM(108-2)의 써드 파티 메시지에만 포함되며 Ticker(즉, 알림이 발생될 때 알림바(notification bar)에 곧바로 표시되는 텍스트)는 GCM(108-2) 및 WNS(108-3)의 써드 파티 메시지에만 포함될 수 있다. 또한, APNS(108-1)의 경우 GCM(108-2) 및 WNS(108-3)와 달리 인증서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인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의 타입은 대응되는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별로 상이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414)는 써드 파티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로부터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의 타입(또는 형식)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가 전달될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각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의 메시지 타입은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Referring to FIG. 6 ,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 party messages of the APNS 108 - 1 , the GCM 108 - 2 and the WNS 108 - 3 may be different. As an example, Title (ie, the title of the notification item) is included in all third-party messages of the APNS 108-1, GCM 108-2, and WNS 108-3, but the SubTitle (ie, the Subtitles) are included only in third-party messages in GCM (108-2), and tickers (i.e. text displayed directly in the notification bar when a notification is triggered) are included in GCM (108-2) and WNS (108-) It can be included only in 3) third party messag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PNS 108-1, unlike the GCM 108-2 and the WNS 108-3,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certificate and a password may be used. As such, the type of the third-party message may be different for each corresponding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When receiving the third-party message, the gateway 414 confirms the type (or format) of the third-party message from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ird-party message, and accordingly, a third-party message server to which the third-party message is to be delivered ( 108) can be determined. Meanwhil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ssage type of each third-party message server shown in FIG. 6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특정 운영체제(예를 들어, iOS)를 사용하는 디바이스(300)의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에이전트는 해당 플랫폼의 특성으로 인해 수정이 불가능하여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의 연동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거치지 않고 해당 디바이스(300)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정책 등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안이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서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가 활용될 수 있다.In general, the MDM (Mobile Device Management) agent of the device 300 using a specific operating system (eg, iOS) cannot be modifi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sponding platform, so it may be difficult to interwork wit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have.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delivering a mess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policy, etc. to the device 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can be used as a method.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가 아닌 외부 채널 관리부(412)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상기 메시지를 써드 파티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거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메시지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에 직접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전달되는 메시지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transmit it to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instead of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may convert the message into a third-party message and directly transmit the third-party message to the application client 302 without going throug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not available, the message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application client 302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so that the send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The reliability of messages transmitted between them can be guaranteed.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항상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always operating.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등의 문제로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의 연결이 단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외부 채널 관리부(41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는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의 연결이 단절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람 신호로서, 외부 채널 관리부(412) 및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외부 채널 관리부(412)로부터 수신하여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연결이 단절되었음을 확인하고,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재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 다시 연결되는 경우,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상기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재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may receive a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transmit it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Thereafter,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However,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cut off due to a network problem,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cannot receive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message. Accordingly,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may determine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cut off, and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to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 The wake-up signal is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cut off,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 104) can be transferred. That is,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may receive the wake-up signal from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and transmit it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As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confirm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is disconnected, and attempt reconnection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Wh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gai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re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연결 단절을 감지하는 경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재연결을 시도하면 되나, 이를 감지하지 못한 채 상기 연결 단절이 지속되는 경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 간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웨이크-업 신호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하여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하여금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재연결을 시도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서 전송된 메시지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detects the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it may try to reconnect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but if the disconnection continues without detecting this,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 404), it is impossible to normally receive the message sent. Howe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cut off,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The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may be normally transmitt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by causing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o attempt reconnection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by forwarding it.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라이브러리(미도시)를 통해 함수를 호출하는 형태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와 통신하여 평상시에는 동작하고 있지 않는 것(즉,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연결되어 있지 않음)으로 가정한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ssage delivery process using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ommunicates with the application client 302 in the form of calling a function through a library (not shown) and is not normally operated (that is, is not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not) is assumed.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신호(notification signal)를 생성하여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전달한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상기 메시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Title, SubTitle, Bad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알림 신호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 및 외부 채널 관리부(412)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송할 수 있으나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상기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없게 된다. Referring to FIG. 9 ,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including the message a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ssag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 He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messag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Title, SubTitle, Badge, etc. shown in FIG. 6 . The service channel manager 402 may transmit the message and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nd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412 , respectively. Thereafter,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may transmit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but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not connected, so that the message cannot be normally transmitt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또한,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부터 상기 알림 신호를 수신하여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로 전달하고,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상기 알림 신호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한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예를 들어, 상기 알림 신호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설정된 알림바(notification bar)에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부가 정보를 확인하여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할 수 없는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알림 신호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하여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receives the notification signal from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d transmits it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transmits the notification signal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 to pass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display, for exampl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signal on a set notification bar, and the user check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execut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can Accordingly,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and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is not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nd thus cannot deliver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By deliver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rough to execut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an be connected with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nd thus the message can be delivered normally have.

이와 같이,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웨이크-업/실행시키는 보조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된 경우 상기 도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As such,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108 may be utilized as an auxiliary means to wake-up/execut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Furthermore,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may be used to release the doze mode when the device is switched to the doze mode.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즈 모드(doze mod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즈 모드는 디바이스의 배터리 성능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절전 모드로서, 정상 모드(normal mode)와 비교하여 일부 기능의 사용이 제한된다.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oz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ze mode is a power saving mode for efficiently increasing the battery performance of the device, and the use of some functions is limited compared to the normal mode.

도 10을 참조하면, 정상 모드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충전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디바이스에 탑재된 센서 또는 스크린이 사용되고 있을 때의 모드일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의 CPU, 네트워크 통신, 타이머(Timer) 등은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0 , the normal mode may be, for example, a mode when the device is connected to a charger or a sensor or screen mounted on the device is being used. In this case, the CPU, network communication, timer, etc. of the device can be used normally.

반면, 디바이스가 충전기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상 디바이스의 사용이 감지되지 않거나 설정된 시간 이상 스크린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의 CPU는 사용이 가능하나, 네트워크 통신, 타이머 등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charger and use of the device is not detected for more than a set time or the screen remains off for a set time or more, the device may be switched to the doze mode. In this case, the CPU of the device can be used, but network communication and timers cannot be used.

이러한 도즈 모드에서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부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상기 도즈 모드를 해제시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부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is doze mod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annot normally receive a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Accordingly,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ze mode is released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so that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an normally receive a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300)가 도즈 모드인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livering a message to the device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when the device 300 is in a doze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는 서비스 관리 모듈(1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 전달하고,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상기 메시지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300)가 도즈 모드로 전환되어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 메시지 서버(즉,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상기 메시지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없으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receives a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and transmits it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 and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can be transmitted However, when the device 300 is switched to the doze mod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the message server (that is,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is cut off, the message can be normally deliver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Otherwise,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cannot receive the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message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서비스 관리 모듈(102)은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시지의 첫 번째 재전송 시점에 재전송 대상이 되는 상기 메시지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설정된 데이터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예를 들어 1Kbyte 미만일 수 있다.Whe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does not receive the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message within the time set by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102 generates metadata for the message, and becomes a retransmission target at the first retransmission time of the message. The message and the meta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 Here, the metadata is data representing the messag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service related to the message. In addition, the metadata may be formed in a set data format, and the size may be, for example, less than 1Kbyte.

외부 채널 관리부(412)는 서비스 채널 관리부(402)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예를 들어, GCM)로 전달하고,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과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 간의 통신 채널은 항상 열려 있는 것(즉,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와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항상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receives the metadata from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2 and transmits it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eg, GCM),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transmits the meta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 Here, it is assumed that th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nd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is always open (that is,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are always connected). do.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상기 메타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로 전달하고,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는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도즈 모드의 해제를 위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동작이란 예를 들어, 디바이스(300)의 스크린을 온시키는 동작, 디바이스(300)에서 사운드를 출력시키는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도즈 모드에서도 CPU는 사용 가능하므로,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는 CPU를 통해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은 상기 도즈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에 연결되어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transmits the metadata to the application client 302 , and the application client 302 may perform a set operation for releasing the doze mode as the metadata is received. Here, the set operation may be, for example, an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creen of the device 300 , an operation of outputting sound from the device 300 , and the like. Since the CPU is usable even in the doze mode, the application client 302 may perform the above operation through the CPU, and thus the doze mode may be released. As the doze mode is release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may be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to receive the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r 404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300)가 도즈 모드로 전환되어 메시지 전달이 어려운 경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108)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메타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302)로 전달하여 상기 도즈 모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 관리 모듈(104)을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404)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300 is switched to the doze mode and it is difficult to transmit the message, the metadata of th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client 302 through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108. By releasing the doze mode,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104 can be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and thus the message can be normally deliver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 컴퓨팅 환경
12 : 컴퓨팅 장치
14 : 프로세서
16 :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 통신 버스
20 : 프로그램
22 :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 입출력 장치
26 :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 메시지 처리 장치
102 : 서비스 관리 모듈
104 : 디바이스 관리 모듈
106 : 메시지 서버
108 :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
150, 408 : 데이터베이스
200 : 애플리케이션 서버
300 : 디바이스
302 :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402 : 서비스 채널 관리부
404 :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406 : 등록 서버
410 : 내부 채널 관리부
412 : 외부 채널 관리부
414 : 게이트웨이
10: Computing Environment
12: computing device
14: processor
16: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8: communication bus
20: Program
22: input/output interface
24: input/output device
26: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100: message processing unit
102: service management module
104: device management module
106: message server
108: third party message server
150, 408: database
200 : application server
300: device
302 : application client
402: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4: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406 : registration server
410: in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2: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414: gateway

Claims (5)

애플리케이션 서버 측에 존재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측에 존재하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과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 사이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관련된 메시지를 중계하고, 하나 이상의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3rd Party Message Server)와 연결되는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이 설치된 디바이스가 도즈 모드(doze mode)로 전환되어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과 상기 메시지 서버와의 연결이 단절된 경우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를 통해 상기 메시지의 메타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는, 상기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도즈 모드의 해제를 위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a service management module existing on the application server side;
a device management module present on the application client side; and
a message server that relays messages related to application services between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is connected to one or more third - party message servers;
The message server is, when the device in which the application client and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re installed is switched to a doze mod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and the message server is cut off,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third party message server. passing metadata to the device;
The application client,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meta data from the device, performs a set operation for releasing the doze mode, a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서버는,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 측에서 상기 메시지를 중계하는 복수의 서비스 채널 관리부;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 측에서 상기 메시지를 중계하는 복수의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에서 처리 가능한 메시지 형식인 써드 파티 메시지로 변환하고, 상기 메시지 서버와,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를 중계하는 외부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ssage server,
a plurality of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relaying the message from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side;
a plurality of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s relaying the message from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side; and
An external channel management unit that converts the message into a third-party message in a message format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relays the third-party message between the message server and a gateway connected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 a message processing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채널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상기 써드 파티 메시지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receives the meta data from the service channel manager and transmits it to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wherein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receives the meta data from the third-party message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application clie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한 수신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채널 관리부는, 상기 메시지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외부 채널 관리부로 각각 전달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ervice management module generates the metadata when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does not receive an acknowledgment message for the message within a time set by the device channel management unit, and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metadata to the service channel management unit,
The service channel manager transmits the message and the meta data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and the external channel manager, respective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상기 도즈 모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디바이스 채널 관리부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evice management module is connected to the device channel manager as the doze mode is released and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device channel manager.
KR1020180035559A 2018-03-28 2018-03-28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12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59A KR102412226B1 (en) 2018-03-28 2018-03-28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559A KR102412226B1 (en) 2018-03-28 2018-03-28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00A KR20190113200A (en) 2019-10-08
KR102412226B1 true KR102412226B1 (en) 2022-06-22

Family

ID=6820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559A KR102412226B1 (en) 2018-03-28 2018-03-28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2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5112A (en) * 2020-11-30 2021-02-23 深圳市和讯华谷信息技术有限公司 Applicatio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63756B1 (en) * 2021-12-29 2023-08-04 주식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977B1 (en) 2012-01-26 2013-07-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Message transfer method using push server and the system thereby
WO2018035224A1 (en) 2016-08-16 2018-02-22 Convida Wireless, Llc Keeping the ue awak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60B1 (en) 2016-01-19 2017-09-19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Security monitoring system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of security monitoring for mobile device using it
KR20170087195A (en) * 2016-01-20 2017-07-28 장중혁 Method for providing push message relay service, system for gathering push message and user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977B1 (en) 2012-01-26 2013-07-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Message transfer method using push server and the system thereby
WO2018035224A1 (en) 2016-08-16 2018-02-22 Convida Wireless, Llc Keeping the ue aw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00A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9037B8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for being connected to communication equipment
US7814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mote instant messages
Warren et al. Push notification mechanisms for pervasive smartphone applications
US20160057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integration of web and mobile applications on the public internet with enterprise application servers in the public, private or hybrid cloud
US7685292B1 (en) Techniques for establishment and use of a point-to-point tunnel between source and target devices
CN109462655B (en) Network remote assistance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03297470B (en) The processing method of always online business, application server, user terminal and system
CN102739411A (en) Providing a witness service
JP2006333486A (en) System, method, service, and program for dynamically selecting optimum message pathway
US93694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network communications
CN106716975B (en) Transmission link continuous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2412226B1 (en)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1262452A (en) Network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and routing device
US8521804B2 (en) Interconnection system between at least one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remote data system and interconnection method
KR102412225B1 (en)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214824A1 (en) Smart home system
KR101944744B1 (en)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90172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Virtualization Using a MQ Proxy Network
US9450906B2 (en) Managing a messaging queue in an asynchronous messaging system
US11706290B2 (en) Direct server reply for infrastructure services
KR101965306B1 (en) Message server and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65307B1 (en)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KR102350911B1 (en) Message server
TWI754561B (en) Instan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Lee et al. A robust inter-domain DDS gateway based on token passing for large-scale Cyber-Physica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