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824B1 -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824B1
KR102411824B1 KR1020200172050A KR20200172050A KR102411824B1 KR 102411824 B1 KR102411824 B1 KR 102411824B1 KR 1020200172050 A KR1020200172050 A KR 1020200172050A KR 20200172050 A KR20200172050 A KR 20200172050A KR 102411824 B1 KR102411824 B1 KR 102411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anufacturing site
control
data
energ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3867A (en
Inventor
반기동
강용태
최수영
유민상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코에버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에버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코에버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0017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24B1/en
Publication of KR2022008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zzy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제조 현장에서,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 센싱부,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제조 현장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부, 및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공조 시스템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며, 스마트 제어부는, 신규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반영하여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형 상황인지 기반의 공장 에너지 최적화 관리를 통해, 생산 에너지 관리의 효율화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Thi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receives data necessary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ing unit that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at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the smart sensor, the smart sensing unit, and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parameters and operating conditions,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the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smar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When it is determined that control change is necessary, an integrated server for generating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driving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cluded, wherein the smart control unit reflects the new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nd adjusted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cy of production energy management is possible through intelligent situational awareness-based factory energy optimization management.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형 상황인지 기반의 에너지 관리를 통해 공장 에너지 관리의 최적화 운영이 가능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optimized operation of factory energy management through intelligent situational awareness-based energy management.

일반적으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에너지 소비 최적화 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한국에너지 공단의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Energy Service COmpany)을 중심으로 보급이 확산중에 있다.In general,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supports energy consumption optimization activities, and the distribution is spreading centering on the Energy Service Company (ESCO) of the Korea Energy Agency.

그러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최적화 대상 및 수시로 변하는 현장 특성으로 인하여 높은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비용이 소요되며, 단순한 모니터링 솔루션만으로는 투자대비효과가 매우 낮아 대부분의 중소규모 공장들은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However,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requires high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s due to various optimization targets and frequently changing site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investment is very low with a simple monitoring solution alone, so most small and medium-sized factories are hesitant to introduce it.

한편, 연중 고청정, 항온, 항습을 유지해야 하는 클린룸(clean room)은 반도체 산업과 같이 정밀성이 요구되는 첨단 산업 현장에서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반도체 산업 외에도 LCD 패널, 휴대폰 등 전기전자 업종은 물론 대규모 공장이 아닌 소규모 첨단 산업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산업용 클린룸 외에도 무균, 유해균 실험실과 감염을 예방하는 특수치료 등 의료계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 clean room, which must maintain high cleanliness, constant temperature, and constant humidity throughout the year, is an essential element in high-tech industrial sites that require precision such as the semiconductor industry. It is also used in small high-tech industries, not factories. In addition to industrial clean rooms, it is also used in sterility and harmful bacteria laboratories and in the medical field for special treatment to prevent infection.

그런데, 전자산업의 경우, 클린룸 운영에 총 전력의 40%를 소비하고 있으며, 이중 냉난방 공조 및 급배기가 50%의 전력 소비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s industry, it is reported that 40% of the total power is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clean room, and it is reported that heating, cooling and air conditioning and air supply and exhaust account for 50% of the power consumption.

따라서, 클린룸 운영 등에 필요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여, 투자대비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인프라 구축 및 운영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ethod that can dramatically reduc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ng costs while maximizing the return on investment by applying a new technology to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required for clean room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형 상황인지 기반의 에너지 관리를 통해, 인프라 구축 및 운영비를 절감하면서도 투자대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ximizing investment return while reducing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ng costs through intelligent situational awareness-based energy manage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제조 현장에서,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 센싱부,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 현장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신규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반영하여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mart sensor-based manufacturing site, a smart sensing unit that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receives data required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ing unit, and sets According to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 smar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t the manufacturing site, and data obtain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in real time, and FBD (Fish Bone Diagram) data An integrated server for generating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driving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ased on a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wherein the smart control unit adjusts by reflecting the new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또한,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제어 상황별 유동 특성을 예측 및 진단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t may further include a simulation unit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flow characteristics for each control situation at the manufacturing site and providing it to the integrated serv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은, 제조 현장에 스마트 센싱부와 스마트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센싱부에서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상기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서,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 현장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센싱부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통합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서, 상기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반영하여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smart sensing unit and a smart control unit at a manufacturing site, and collecting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a smart sensor in the smart sensing unit. Step, in the smart control unit, receiving data necessary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manufacturing site according to set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the smart sensing unit and the smart In the integrated server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in real time and the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FBD (Fish Bone Diagram) data, the air conditioning Generating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driving control of the system, and in the smart controlle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djusted by reflecting the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includes steps.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in the processor.

본 발명에 따르면, 지능형 상황인지 기반의 공장 에너지 최적화 관리를 통해, 생산 에너지 관리의 효율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도화된 스마트 생산 체제의 도입 및 클린 환경 기반으로 품질 고도화도 이룰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공장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원인에 대해 신속한 파악 및 조치가 가능하며, 동적 모니터링을 통해 현장 전반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력 확보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기존에 설치된 시스템에 추가적인 장비와 프로그램의 설치에 의해 운영이 가능하므로, 인프라 구축 및 운영비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intelligent situational awareness-based factory energy optimization management, not only can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energy management be improved, but also quality advancement can be achieve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d smart production system and a clean environment. In addition, 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factory environment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and take action on the cause of abnormaliti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immediate response to problems occurring throughout the site through dynamic monitoring. And, since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by installing additional equipment and programs to the previously installed system,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operating costs can be reduc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도 1에서 통합 서버의 블럭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1 to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ergy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gateway in FIG. 3;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server in Figure 1, and
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등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 와 같은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or "neighboring", etc., and expressions such as that one element "transmits" a signal to another element,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to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스마트 센싱부(150), 스마트 제어부(200), 시뮬레이션부(250), 및 통합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smart sensing unit 150 , a smart control unit 200 , a simulation unit 250 , and an integrated server 300 .

이와 같은 구성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클린룸 등의 공조 제어를 위한 공조 시스템(400)이나 기타 공장 에너지 관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system 400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uch as a clean room or other factory energy-related devices.

스마트 센싱부(1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어댑터(160a ~ 160n) 및 스마트 센서(170a ~ 170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린룸과 같은 제조 현장에 설치되어, 제조 현황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센서부(150)는 온도, 습도, 먼지, VOC(Volatile Organic Composite) 등과 같은 환경 데이터, 기기 관련 데이터, 공정 관련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mart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sensor adapters 160a to 160n and smart sensors 170a to 170n, etc., and is installed in a manufacturing site such as a clean room, manufacturing status Various data related to it can be collected. For example, the smart sensor unit 150 may collect environmental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site (VOC), device-related data, process-related data, and the like.

센서 어댑터(160a ~ 160n)는 기존에 제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부터 유무선을 통해 각종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sensor adapters 160a to 160n may collect various types of monitoring data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from sensors previously installed at the manufacturing site.

스마트 센서(170a ~ 170n)는 지능화된 센서로 측정 대상물의 물리, 화학적 정보를 감지하는 일반 센서기술에 나노기술 또는 MEMS 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 통신 등의 신호처리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Smart sensors (170a ~ 170n) are intelligent sensors that combine nanotechnology or MEMS technology with general sensor technology that detects physical and chemical information of a measurement object to provide signals for data processing, automatic correction, self-diagnosis,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Processing functions can be built-in.

스마트 제어부(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마트 센서부(150)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통합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공조 시스템(400)이나 기타 공장 에너지 관련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제어부(200)는 제조 현장을 여러 개의 서브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스마트 게이트웨이(200a ~ 200n) 등을 이용하여, 각 서브 영역별로 서로 다른 구동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smart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smart gateways 200a to 200n, etc., and receives data required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or unit 150 , and in the integrated server 300 . According to the provided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400 or other plant energy-related devices may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smart control unit 200 may divide the manufacturing site into several sub-regions, and use each smart gateway 200a to 200n, etc. to control each sub-region with different driving conditions.

시뮬레이션부(250)는 스마트 센싱부(15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나 가상 센서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전산유체역학(computer fluid dynamics) 등을 이용하여, 제조 현장의 제어 상황별 유동 특성 등을 예측 및 진단한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산출하여 통합 서버(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부(250)는 생산 일정 계획 변경, 설비 교체 개선 활동 등에 대한 효과 등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 변동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수행할 수 있다.The simulation unit 250 predicts and diagnoses flow characteristics for each control situation at the manufacturing site by using computer fluid dynamics, etc. based on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150 or virtual sensor data. A simulation result may be calculated and provided to the integration server 300 . In addition, the simulation unit 250 may simulate effects on production schedule changes, facility replacement improvement activities, etc., and may also perform simulations on energy consumption fluctuations.

통합 서버(300)는 제조 현장의 상황 변화와, 현장 전문가 등에 의해 작성된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 러닝 등에 기초하여, 에너지 운영을 위한 최적화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통합 서버(300)는 스마트 센싱부(1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측정 및 분석된 데이터와 제조 현장에 대한 지능형 상황인지와 FBD 머신 러닝에 기초하여, 공조 시스템(400)의 최적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할 수 있으며, 기타 공장 에너지 운영의 최적화를 위한 각종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server 300 may generate optimized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energy operation based on a change in a manufacturing site situation and machine learning using fish bone diagram (FBD) data created by field experts or the like. That is, the integrated server 300 can measure and analyz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150 in real time, and based on the measured and analyzed data and intelligent situational awareness and FBD machine learning for the manufacturing site, air conditioning New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optimal driving control of the system 400 may be created, and various information for optimizing other plant energy operations may be provided.

통합 서버(300)에서 생성한 신규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은 스마트 제어부(200)로 전달되며, 스마트 제어부(200)는 신규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으로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공조 시스템(400) 등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new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generated by the integrated server 300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control unit 200, and the smart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djusted to the new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통합 서버(300)는 제조 현장에 대한 동적 모니터링 기능도 제공하며, 스마트 센싱부(150)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특정한 상황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하며, 전문가를 포함한 사용자 중심의 UI 환경도 제공하여, 통합 서버(300)에 축적된 정보를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 서버(300)는 FBD 머신 러닝을 통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부(250)를 통해 제공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제조 현장에 대한 단위 설비 분석이나 공정 에너지 효율 분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품질 불량 예측 정보, 설비 이상발생 예측 정보, 설비수명 예측 정보, 현장 이상발생 예측 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server 300 also provides a dynamic monitoring function for the manufacturing site, and measures and analyzes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150, and related information that enables immediate response according to a specific situation change. It also provides a user-centered UI environment including experts, so that the user can inquire the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integrated server 300 . The integrated server 300 utilizes modeling through FBD machine learning and simulation results provided through the simulation unit 250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unit facility analysis or process energy efficiency analysis for various manufacturing sites, etc.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quality defect prediction information, facility abnormal occurrence prediction information, facility life prediction information, and on-site abnormal occurrence prediction information.

또한, 통합 서버(300)는 스마트 센싱부(15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 정보의 예로는, 시설 기준 최적의 ESS(Energy Storage System) 도입을 위한 정보, 사무실 및 현장 조명의 LED 도입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또한, 통합 서버(300)는 선진 사례 수집 및 분석, 에너지 사용 개요(Energy Profile) 정보의 설계, 에너지관리 성과 분석, 유지보수 필요 정보의 설계. 모니터링 관련 주요 기능의 설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server 300 may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mart sensing unit 150, monitor the energy use status, and provide various analysis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ision making for energy optimization. Examples of such analysis information include information for introducing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optimal for facility standards, an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introduce LEDs for office and field lighting. In addition, the integrated server 300 collects and analyzes advanced cases, design of energy use outline (Energy Profile) information, energy management performance analysis, and design of maintenance required information. It can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sign of major monitoring-related functions.

통합 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 등에 연결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단위공장이나 협력업체에 각각 배치된 여러 개의 통합 서버(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위공장이나 협력업체 등을 모기업 업체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The integrated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 cloud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which it may be connected to an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etc., and multiple units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integrated servers 300 each disposed in a factory or a partner company. In addition, by such a configuration, unit factories or subcontractors may be managed integrally by the parent company.

이와 같은 구성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상시적인 다변량 에너지 모니터링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고, 개별 공정변수를 독립적인 대상으로 하는 접근 방식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에너지 문제들에 대해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중 변수를 함께 고려하는 머신 러 기반의 에너지 진단 및 예지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nables constant multivariate energy monitoring and analysis, and for energy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by an approach that targets individual process variables independently, based on big data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achiner-based energy diagnosis and prediction system that considers multiple variables together.

또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제조 현장의 원격 감시 및 각종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여, 유지보수 기술자는 물론 제어 기술자와 공장 관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들이 쉽게 진단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제조 현황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전 진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효율적인 에너지 장비에 대한 분석 및 기존 에너지 장비에 대한 개선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생산 운영의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enables remote monitoring of the manufacturing site and access to various devices, so that a variety of people, from maintenance technicians to control technicians and factory managers, can easily access diagnostic information. . In addition,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can provide a pre-diagnosis fun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tatus, and it is possible to analyze inefficient energy equipment and improve the existing energy equipment,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produce to realize operational optimization.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생산기술과 에너지 관리 기술 융합하여, 설비 제어 및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적용 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 제조공정(manufacturing process)에 에너지 관리 기술을 접목한 에너지 절감형 생산공정 시스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사용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고 이에 대한 문서화된 계획 및 통제를 통하여 생산량과 연계된 에너지 집약도 개선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은, 제조업체들이 에너지 자원을 전략적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필수 수단으로 인식하게 하고, 공장 내에서 에너지 자원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에너지 관리 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by convergence of production technology and energy management technology, can prepare a basis for facility control and applic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nd is an energy-saving type that combines energy management technology with a manufacturing process Production process system technology can be applied, and energy use is actively managed, and through documented planning and control, it is possible to build an infrastructure to improve energy intensity related to production. In addition,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can support manufacturers to recognize energy resources as essential means for securing strategic competitive advantage, effectively monitor energy resources within the factory, and utilize the results in energy management policies. have.

도 4는 도 3에서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블럭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gateway in FIG. 3 .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이동통신부(211), 무선 통신부(213), GPS부(215), 메모리(217), 디스플레이부(219), 인터페이스부(221), 센서 연결부(223), 상황인지 모듈(225), 전원 공급부(227), 및 제어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mart gateway 2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211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3 , a GPS unit 215 , a memory 217 , a display unit 219 , an interface unit 221 , and a sensor connection unit ( 223 ), a context awareness module 225 , a power supply unit 227 , and a control unit 229 . When thes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이동통신부(211)는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사용자 단말기, 서버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3)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나 기타 무선 통신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GPS부(215)는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11 may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to and from a base station,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3 provides a func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r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The GPS unit 215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메모리(217)는 제어부(229)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19)는 스마트 게이트웨이(210)에서 처리되거나 분석된 정보나 화면을 표시한다. The memory 217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229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The display unit 219 displays information or a screen processed or analyzed by the smart gateway 210 .

인터페이스부(221)는 스마트 게이트웨이(2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활을 수행한다. 센서 연결부(223)는 각종 센서나 측정 장치들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The interface unit 221 performs an interface rol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smart gateway 210 . The sensor connection unit 223 serves as an interface through which various sensors or measurement devices are connected.

상황인지 모듈(225)은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통합 서버(300)나 미리 설정된 담당자에게 메신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인지 메신저 기능을 제공한다. 상황인지 메신저는 이기종 장치의 상호 운용성 확보, 이기종 운영체제상의 동일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기반 설비 예지 진단을 지원하며, 직관적 상황인지를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ext-aware module 225 provides a context-aware messenger function capable of providing a messenger function to the integrated server 300 or a preset person in charg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by recognizing the situation at the manufacturing site. Context-aware messenger ensures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devices, provides the same service o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supports data-based facility predictive diagnosis, and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a collaborative system for intuitive situational awareness.

전원 공급부(227)는 제어부(229)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외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7)는 역률 유지를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UPS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LIB(Lithium Ion Battery) 및 BMS(Battery Monitoring Sys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27 may supply power required to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29 and externally apply power. The power supply 227 may include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for maintaining the power factor, and may include a lithium ion battery (LIB) and a battery monitoring system (BMS) modu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general UPS. .

제어부(229)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229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gateway 210 by gener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uni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스마트 센싱부(150)로부터 전달되는 제조 현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할 수 있으며, 공조 시스템(400)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smart gateway 210 may measure and analyze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tatus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150 in real time, and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system 400 and the like.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위치와 상황에 따른 인식 및 판단 기반 동적 네트워킹 기능, 전통적 방식의 시리얼통신 기능, TCP/IP 및 Fieldbus 데이터 통신 지원기능, 주변 장비와 무선통신을 위한 ZigBee, RFID, Bluetooth 및 W-Lan 지원 기능, 추가 센서 및 기존 제어기기의 입출력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지원 기능, 및 데이터 포맷 변환/가공용 논리 구성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mart gateway 210 is a dynamic networking function based on recognition and judgment according to location and situation, a serial communication function of a traditional method, a TCP/IP and Fieldbus data communication support function, ZigBee, RFID, Bluetooth and W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peripheral devices. -Lan support function, input/output device interface support function of additional sensors and existing control devices, and logic configuration function for data format conversion/processing can be provided.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센서 연결부(223)를 통해 연결된 센서나 측정 장치를 통해, 3상(RST)의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및 역률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력 품질, 주파수, 유효전력량, 무효전력량, 고조파 등을 측정하고, 단선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ESS(Energy Storage System)와 연동하여 역률 유지 및 피크치 제어, 전력 품질 및 전력량 모니터링을 통해 공장 전력 유지관리, 전력품질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고, ESS의 BMS(Battery Monitoring System), PCS(Power Conversion System) 상태 진단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신규 도입시 비용 최소화를 위하여 오픈 API 형태로 개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gateway 210 may measure the effective values and power factor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three-phase (RST) and the power factor through a sensor or a measuring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sensor connection unit 223, and in addition to power quality, frequency, It can measure active power, reactive power, harmonics, etc. and detect disconnection. In addition, the smart gateway 210 interworks with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to maintain the power factor, control the peak value, and monitor the power quality and amount of power to perform plant power maintenance and power quality stabilization functions, and the ESS's BMS (Battery Monitoring System) ), PCS (Power Conversion System) status diagnosis function, etc. may be performed. The smart gateway 210 may be developed in the form of an open API in order to minimize costs when newly introduced.

스마트 게이트웨이(210)는 현장의 실무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이동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형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현장의 엔지니어가 변경 및 추가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각 공정별 설비에 대한 지식, 설비와 운영 시스템을 연계하는 지식 등 각 현장의 일부 담당자가 보유한 지식을 전사가 공유하고 상호 교환하여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 구축할 수 있으며, 반제품 생산 환경 이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완제품 품질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 생산·설비·품질 개념 공통화를 위한 추론 엔진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Ubiquitous 환경을 위한 One Touch UI 기반 App 개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smart gateway 210 may be made portable so that practitioners in the field can carry it. Using such a mobile smart gateway, engineers in the field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work such as changes and additions, and some people in charge of each site, such as knowledge of facilities for each process and knowledge of linking facilities and operating systems, It is possible to build an environment in which the knowledge possessed by the company can be shared and exchanged for development, and i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n inference engine for common production, facility, and quality concepts, and to solve the problem of quality of finished products that arise from abnormalities in the semi-finished product production environment. It makes it possible to develop and apply One Touch UI-based App for the Ubiquitous environment.

도 5는 도 1에서 통합 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grated server in FIG. 1 .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서버(300)는, 환경변화 감지부(310), 오염발생원인 감지부(320), 상황인지 추론부(330), 스마트 모니터링부(340), 및 통합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integrated server 300 includes an environment change detection unit 310 , a pollution source detection unit 320 , a situation awareness inference unit 330 , a smart monitoring unit 340 ,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unit 350 . ) may be included. When these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환경변화 감지부(310)는 스마트 센싱부(150)에서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 위치 및 시간의 측정 데이터를 축적하여 데이터의 유효 범위값을 확보하고, 동일 조건으로 복수 관측하여 유효 범위값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며, 측정된 데이터가 유효 범위에 속하는지 혹은 벗어나는지 여부 등에 따라 제조 현장의 환경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change detection unit 310 secures an effective range value of data by accumulating measurement data of the same location and time with respect to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150, and performs multiple observations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determine the effective range value. It improves precision,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changes in the environment at the manufacturing site depending on whether the measured data falls within or out of the effective range.

오염발생원인 감지부(320)는 전력품질 데이터와, IP 카메라 데이터로부터 작업자의 작업 패턴 및 군집도를 추출하여, 제조 현장의 오염발생 원인을 감지할 수 있다.The pollution source detection unit 320 extracts the worker's work pattern and clustering from the power quality data and IP camera data, and detects the pollution source at the manufacturing site.

상황인지 추론부(330)는 환경변환 감지부(310)와 오염발생원인 감지부(320)에서 감지된 결과에 FBD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 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조 현장의 상황을 추론한다.The situation awareness inference unit 330 infers the situ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a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FBD data on the result detected by the environment transformation detection unit 310 and the pollution source detection unit 320 . do.

FBD, 또는 피쉬본 다이어그램은 자료분석 도구로서, 생긴모양이 생선뼈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문제가 커다란 가시를 이루고, 해결 또는 원인, 영향 등이 가시에 살처럼 붙어있는 형상이다. FDM는 원인과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 프로세스 초기 단계에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하기도 하며, 예상과 결과치를 분석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FBD, or fishbone diagram, is a data analysis tool, named because it looks like a fish bone. FDM is used to identify causes and effect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arly stages of a process, and to analyze predictions and results.

또한,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기계 학습은 인공 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에 미리 준비된 학습데이터를 훈련시켜, 훈련된 지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입력에 대하여 적절한 답을 찾고자 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를 훈련시키는 학습데이터가 질문(training input)과 정답(training output)이 모두 주어진 경우, 레이블링(labeling) 되어 있다고 한다. In addition, machine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is a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an be said to be a series of processes that try to find an appropriate answer to a new input based on the trained knowledge by training the learning data prepared in advance on the computer. have. At this time, when the training data for training the computer is given both a question (training input) and a correct answer (training output), it is said to be labeled.

FBD 머신러닝 과정은, 입력받은 FBD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습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원인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원인 결과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패턴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BD machine learning process may consist of generating cause-and-effect data to be used as learning data based on the received FBD data, and identifying patterns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the cause-and-effect data.

스마트 모니터링부(340)는 제조 현장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수집된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수정, 제거 방안을 수립할 수 있으여,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 가공 및 융합을 통한 통합 관리 모델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mart monitoring unit 340 provides a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for the manufacturing site, and can establish a method for detecting, correcting, and removing errors of the collected data, thereby deriving an integrated management model through processing and fusion of various unstructured data. make it possible

통합 관리부(350)는 상황인지 추론부(330)에서 추론된 제조 현장에 대한 상황 인지와 머신 러닝 등에 기초하여, 제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부(350)는 클린룸 등의 환경에서 머신 러닝을 통해 다기종 에너지 데이터를 통합 검색하고, 이를 통해 에너지 사용 패턴 유사도, 비용 예측, 다기종 에너지 기반 에너지 소비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350 may generate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control change is necessary based on situational awareness and machine learning for the manufacturing site inferred by the situational awareness inference unit 330 .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350 searches for multiple types of energy data through machine learning in an environment such as a clean room,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similarity of energy use patterns, cost predic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based on multiple types of energy. hav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장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factor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클린룸과 같은 제조 현장에 설치된 스마트 센싱부(150)에서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온도, 습도, 먼지, VOC(Volatile Organic Composite) 등과 같은 환경 데이터, 기기 관련 데이터, 공정 관련 데이터 등과 같은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S500). Referring to FIG. 6 , based on a smart sensor in the smart sensing unit 150 installed at a manufacturing site such as a clean room, environmental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site (VOC), device-related data, and process-related data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such as (S500).

스마트 제어부(200)는 스마트 센싱부(150)에서 수집한 데이터 중에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공조 시스템(400)를 제어한다(S510). The smart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400 according to the set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with reference to data required for control among the data collected by the smart sensing unit 150 (S510).

통합 서버(300)에는 제어 변경이 필요한 상황이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제어 변경이 필요한 상황은, 제조 현장에 환경 변화나 오염발생 등이 추론되는 상황 인지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제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나, 제어 결과를 모니터링한 값으로부터 제어 변경이 필요하다도 판단되는 경우, 시뮬레이션부(250)에서 시뮬레이션한 결과 제어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이 있다. The integration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a situation requiring a control change is recognized (S520). The situation in which control change is necessary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control change is necessary based on the situation recognition in which environmental changes or pollution are inferred at the manufacturing site and the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FBD (Fish Bone Diagram) data. ,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a control change is necessary based on the monitored value of the control result, a cas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a control change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performed by the simulation unit 250 .

통합 서버(300)는 제어 변경이 필요한 상황이 인지되면(S520), 에너지 최적화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을 생성한다(S530).When the integrated server 300 recognizes a situation requiring a control change ( S520 ), it creates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energy optimization ( S530 ).

생성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은 스마트 제어부(200)로 전달되며, 스마트 제어부(200)는 신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으로 조정하여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한다(S540).The generated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control unit 200, and the smart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y adjusting the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S54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인공지능 기반 에너지 운용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공조 시스템 등을 제어를 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I-based energy operation optimization algorith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applied limitedly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 embodiments are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저장장치, 입력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내용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 입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고차원적인 언어나, 객체지향적인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셈블리나 기계어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on a programmable computer. Such a computer may include a processor, a storage device,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code may be input with a mouse or keyboard input device. These programs can be implemented in a high-level language or an object-oriented language. It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system implemented in assembly or machine code.

또한, 본 발명의 내용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사용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른 어떤 컴퓨팅 또는 처리 환경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한 개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회로, 즉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논리회로(AND, OR NAND gates) 또는 프로세싱 장치(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 콘트롤러)로 구현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hardware or software, and is applicable to any other computing or processing environment. It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using circuits. That is,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programmable logic circuits, that i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logic circuits (AND, OR NAND gates) or a processing device (eg, a microprocessor, a controll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50: 스마트 센싱부 200: 스마트 제어부
250: 시뮬레이션부 300 : 통합 서버
150: smart sensing unit 200: smart control unit
250: simulation unit 300: integrated server

Claims (10)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제조 현장에서,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스마트 센싱부;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고,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 현장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하며,
상기 제조 현장의 전력 품질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조 현장의 설비 가동 상황을 추출하고, 상기 제조 현장의 영상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작업 패턴 및 군집도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오염발생 원인을 감지하는 통합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반영하여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a smart sensing unit that collects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at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the smart sensor;
a smart control unit receiving data necessary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manufacturing site according to set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nd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in real time and the pattern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using FBD (Fish Bone Diagram) data, a new control parameter for driving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reate driving conditions,
an integrated server that extracts the facility operation status of the manufacturing site from the electric power quality data of the manufacturing site, extracts the worker's work pattern and cluster degree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and detects the cause of pollution in the manufacturing site; includes,
The smart control unit,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adjusted by reflecting the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제1항에 있어서,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제어 상황별 유동 특성을 예측 및 진단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imulation unit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flow characteristics for each control situ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d providing it to the integrated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는, 상기 제조 현장에 대한 환경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server,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rovides a function of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ing site in real ti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제1 내지 제n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조 현장의 소정 생산 라인이나 설비 단위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여, 통보할 상황정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합 서버 및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control unit,
1st to nth smart gateway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in real time,
The smart gateway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roduction line or equipment unit of the manufacturing site,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the measured and analyzed dat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situation information to be notified, the integration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and a preset terminal.
제조 현장에 스마트 센싱부와 스마트 제어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센싱부에서 스마트 센서 기반으로 상기 제조 현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서,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와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 현장의 공조 시스템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센싱부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통합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센싱부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한 데이터와, FBD(Fish Bone Diagram)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 제어를 위한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생성하고, 상기 제조 현장의 전력 품질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조 현장의 설비 가동 상황을 추출하고, 상기 제조 현장의 영상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작업 패턴 및 군집도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오염발생 원인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서, 상기 신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을 반영하여 조정된 제어 파라미터 및 구동 조건에 따라 상기 공조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
Installing a smart sensing unit and a smart control unit at the manufacturing site;
collecting data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site based on a smart sensor in the smart sensing unit;
receiving, in the smart control unit, data necessary for control from the smart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manufacturing site according to set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In the integrated server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mart sensing unit and the smart control unit, data obtain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sensing unit in real time and FBD (Fish Bone Diagram) data learned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pattern,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for driving control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re generated, the facility operation status of the manufacturing site is extracted from the power quality data of the manufacturing site, and the operator from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detecting a cause of pollution in the manufacturing site by extracting the work pattern and clustering of and
and controlling, in the smart control unit, the driving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adjusted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by reflecting the new control parameters and driving conditions.
제6항에 있어서,
시뮬레이션부를 마련하고, 상기 시뮬레이션부에서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 현장의 제어 상황별 유동 특성을 예측 및 진단하여 상기 통합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simulation unit, predicting and diagnosing flow characteristics for each control situ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b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 the simulation unit, and providing it to the integrated ser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버에서, 상기 제조 현장에 대한 환경 조건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monitoring, in the integrated server,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ing site in real tim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제어부에서 상기 제조 현장의 상황을 인지하여, 상기 통합 서버 및 미리 설정된 담당자에게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manufacturing site in the smart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messenger function to the integrated server and a preset person in charge.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공장 에너지 관리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9 in the processor.
KR1020200172050A 2020-12-10 2020-12-10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102411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50A KR102411824B1 (en) 2020-12-10 2020-12-10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50A KR102411824B1 (en) 2020-12-10 2020-12-10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67A KR20220083867A (en) 2022-06-21
KR102411824B1 true KR102411824B1 (en) 2022-06-24

Family

ID=8221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50A KR102411824B1 (en) 2020-12-10 2020-12-10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8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2183A (en) 2022-10-14 2024-04-23 (주)이아이랩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energy-saving efficiency analysis and facility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2566456B1 (en) * 2022-11-30 2023-08-14 주식회사 엑센솔루션 Integrated managementing system of manufacturing site for root industry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1447A (en) * 2014-09-12 2016-04-25 株式会社東芝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085B1 (en) * 2018-01-02 2020-03-03 (주)코에버정보기술 Dynam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FBD machine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102644431B1 (en) * 2019-05-02 2024-03-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1447A (en) * 2014-09-12 2016-04-25 株式会社東芝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867A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085B1 (en) Dynam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FBD machine learning and method thereof
CN107272608B (en) Industrial device and system attestation in a cloud platform
US201902199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tory facilities using active black box
US1160503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ower system forecasting using deep neural networks
CN109032099A (en) Engineering machinery assemble production line online awareness system
KR102248727B1 (en) Multi-protocol iot gateway for energy management
KR102411824B1 (en)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US20120166115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profiling
CN103034211A (e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Zhang et al. Data-driven smart production line and its common factors
Moudgil et al. Integration of IoT in building energy infrastructure: A critical review on challenges and solutions
CN112527613A (en) Equipment fault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based on cloud edge cooperation
Laayati et al. Smart energy management: Energy consumption metering, monitoring and prediction for mining industry
CN116880396A (en) Intelligent factory dynamic cooperative scheduling method
Caiazzo et al. An IoT-based and cloud-assisted AI-driven monitoring platform for smart manufacturing: design architecture and experimental validation
CN112650195A (en) Equipment fault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based on cloud edge cooperation
CN104049590A (en) Extensible energy management architecture
Digitemie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s (BEMS) for improved efficiency
Sundaramoorthi CLOUD-BASED MQTT PROTOCOL FOR POWER MONITORING AND SOCKET CONTROL SYSTEM
CN112907911A (en) Intelligent anomaly identification and alarm algorithm based on equipment process data
CN111509855A (en) Multifunctional digital Internet switching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81759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me for clean room management based on artific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1024119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oviding real time monitering and ai diagnosing abnormality sign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KR101956703B1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hhotaray et al. Enhancement of Manufacturing Sector Performance with the Application of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