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492B1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492B1
KR102408492B1 KR1020170180045A KR20170180045A KR102408492B1 KR 102408492 B1 KR102408492 B1 KR 102408492B1 KR 1020170180045 A KR1020170180045 A KR 1020170180045A KR 20170180045 A KR20170180045 A KR 20170180045A KR 102408492 B1 KR102408492 B1 KR 102408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glass
adhesive member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226A (ko
Inventor
정연재
박주혜
송나영
송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4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글라스, 커버글라스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 커버 접착부재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커버 글라스, 커버 접착부재,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가 벤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에서, 커버 접착부재는 커버글라스의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커버글라스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진적인 기술 발전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 구조적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벤더블(bendable), 폴더블(foldable) 커브드(curved), 롤러블(rolable), 및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이하, 벤더블, 폴더블 커브드, 롤러블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로 용어를 통일하여 명명함) 등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커버윈도우,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의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해야 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구성 중 커버글라스는 벤딩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커버글라스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커버글라스의 모서리에서 미세 균열이 발생되기 쉽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에서 요구되는 크기로 커버글라스를 커팅(cutting)할 때, 커버글라스의 얇은 두께로 인해 모서리에 미세 균열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진다.
모서리에 균열이 있는 커버글라스를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적용하고, 표시장치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 표시장치에 외력을 가할 때 커버글라스 모서리에 있는 미세 균열로부터 시작해 균열이 커버글라스 내부까지 퍼져 결국에는 커버글라스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장치에서는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을 접합하기 위해 접착층을 사용한다. 접착층 상면에는 커버글라스가 부착되며, 접착층 하면에는 표시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 측면에는 접착력이 남아 있는 상태로, 이물 등이 접착층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 재료가 응집력이 매우 낮은 재료일 경우, 접착층이 흘러 원하지 않는 영역에 접착층이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커버글라스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물성 제어를 통해 접착부재에 이물이 붙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비 접착 부분에서 접착부재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글라스, 커버글라스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 커버 접착부재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커버 글라스, 커버 접착부재, 표시패널 및 백 플레이트가 벤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에서, 커버 접착부재는 커버글라스의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한다.
이러한 커버 접착부재에서,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과,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비 접착되는 부분은 물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커버 접착부재에서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상커버글라스의 실리카(silica)와 가교 결합(cross linking)되고, 커버 접착부재에서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표시패널의 기판의 실리카(silica) 또는 고분자와 가교 결합되며, 커버 접착부재의 상면과, 커버 접착부재가 커버글라스와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은 자가 가교 결합(self-cross linking)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은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커버 접착부재의 커버부는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커버글라스, 커버글라스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 커버 접착부재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벤딩 영역에서 커버글라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버글라스의 하면과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된 접착부와, 커버글라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커버글라스의 측면과 접착되고 접착부의 측면 또는 상면과 접착된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커버글라스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물성 제어를 통해 접착부재에 이물이 붙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비 접착 부분에서 접착부재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커버 접착부재가 영역 별로 물성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다수의 벤딩 영역을 구비할 때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전 영역이 벤딩 영역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커버부재를 포함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의 양 측에는 비 벤딩 영역(NBA1, NBA2)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구부려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 될 수 있는 표시장치(100)일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100)는 예를 들어,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벤딩 영역(BA)영역에서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 커브드 표시장치, 롤러블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1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킨다는 것은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는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벤딩 영역"은 사용자 등의 벤딩 처리에 의해 벤딩 처리 이전의 상태와는 달라지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영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존재할 수 있으며, 벤딩 영역이 둘 이상인 경우 각기 벤딩 상태(예: 벤딩곡률, 벤딩된 표면상태 등)가 동일할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벤딩 영역의 위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고정된 위치일 수도 있고, 사용자 등의 벤딩처리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또한, 벤딩 영역의 크기는 항상 동일할 수도 있고, 사용자 등의 벤딩처리 방식 등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
한편, "비 벤딩 영역"은 벤딩 영역이 아닌 영역으로서, 벤딩 처리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비 벤딩 영역의 개수, 위치 및 크기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은 벤딩 영역의 개수, 위치 및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벤딩 형태는 일반적으로 완만한 곡선 형태일 수 있으나, 꺾인 형태인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다수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100)는 해당 영역이 이미지를 표시 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영역(AA) 및 비 표시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표시영역(AA)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비 표시영역(NA)은 이미지를 표시 하지 않는다. 비 표시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또는 배선들이 배치 될 수 있다. 비 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을 둘러쌀 수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벤딩 영역(BA)의 양 측에 위치한 제1 비 벤딩 영역(NBA1)과 제2 비 벤딩 영역(NBA2)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표시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인가된 외력에 따라 벤딩되는 벤딩 영역(BA)과 벤딩되지 않는 제1 비 벤딩 영역(NBA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2)을 포함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커버글라스(210)와 커버글라스(210)의 적어도 일 측면의 일부에 위치한 커버 접착부재(220) 및 커버글라스(210)와 커버 접착부재(220) 하부에 위치한 표시패널(200)을 포함한다. 즉, 커버글라스(210)와 커버 접착부재(220)는 평면상으로 표시패널(200)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100)이므로,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 역시 벤딩 영역(BA)에서 벤딩이 가능하다. 즉, 커버글라스(210), 커버 접착부재(220) 및 표시패널(200)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이 가능하다.
이들 구성 중 커버글라스(210)는 벤딩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글라스(21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커버글라스(210)를 벤딩 하는데 필요한 외력이 커지게 되는데, 커버글라스(210)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클수록,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하는 응력(재료 내부에 발생하는 힘으로 외력에 반하는 힘을 의미함) 역시 커져, 커버글라스(210)가 파손될 수 있다.
반면에, 커버글라스(210)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커버글라스(210)의 모서리에서 미세 균열이 발생되기 쉽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에서 요구되는 크기로 커버글라스(210)를 커팅할 때, 커버글라스(210)의 얇은 두께로 인해 모서리에 미세 균열(예를 들어, 커버글라스의 모서리에서 이가 빠진 흔적(chip) 등)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진다.
모서리에 균열이 있는 커버글라스(210)를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100)에 적용할 경우, 더 나아가, 모서리의 균열이 벤딩 영역(BA)에 위치할 경우, 표시장치(100)를 벤딩할 때 커버글라스(210) 모서리에 있는 미세 균열로부터 시작해 균열이 커버글라스(210) 내부까지 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100)에 외력을 가하여 표시장치(100)를 벤딩 할 때 커버글라스(210) 역시 벤딩 영역(BA)에서 벤딩 되는데, 커버글라스(210) 내에는 커버글라스(210)에 가해진 외력에 반하는 힘인 응력이 발생한다.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이 파괴 임계점에 도달할 때 커버글라스(210)는 파손되기 시작하는데, 커버글라스(210)의 모서리에 있는 미세 균열들은 파괴 임계점을 낮추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글라스(210)에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커버글라스(210) 모서리에 있는 미세 균열들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100)의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커버 접착부재(220)가 위치한다.
여기서, 커버 접착부재(220)의 모듈러스(modulus)는 커버글라스(210)의 모듈러스보다 낮을 수 있다. 모듈러스는 응력과 변형의 비를 나타내는 탄성계수이다.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가 벤딩 될 때,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의 분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응력의 분포 조절이란, 커버 접착부재(220)가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여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의 크기를 줄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딩 영역(BA)에서 파괴 임계점에 해당하거나 이를 상회하는 응력이 발생될 만큼의 외력이 커버글라스(210)에 가해지거나 커버글라스(210) 모서리에 미세 균열이 있더라도,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의 크기를 줄여주므로 커버글라스(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커버글라스(210), 커버 접착부재(220), 표시패널(200), 접착층(340) 및 백 플레이트(350)를 포함한다.
커버글라스(21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표시패널(200) 상에 위치하여, 표시패널(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20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200)은 상부기판, 하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200)의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은 벤딩이 가능한 얇은 유리 기판이거나,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표시패널(200)의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고분자 기판일 경우, 기판은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실란(polysilane),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실라잔(polysilazane), 폴리카르보실란(polycarbosilane),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olymethyl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polyethylacrylate),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metacrylat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OC), 사이클릭 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이미드(PI),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폴리스타이렌(PS),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퍼플루오로알킬 고분자(PFA), 스타이렌아크릴나이트릴코폴리머(SAN)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 플레이트(350)는 커버 바텀, 백커버 등 표시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200)을 보호하거나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벤딩 가능하고, 이에 따라, 커버글라스(210), 커버 접착부재(220), 표시패널(200), 접착층(340) 및 백 플레이트(350) 역시 벤딩 영역(BA)에서 벤딩이 가능하다.
커버 접착부재(22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 접착부재(220)는 표시장치의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의 일부와 하면의 일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접착부재(220)는 제1 비 벤딩 영역(NBA1)과 제2 비 벤딩 영역(NBA2)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글라스(210)와 커버 접착부재(220) 하부에는 표시패널(200)이 위치한다. 표시패널(200) 하부에는 백 플레이트(350)가 위치하며, 표시패널(200)과 백 플레이트(350)는 이들 사이에 위치한 접착층(34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 접착부재(220)의 하부에 위치한 접착부(321)와, 접착부(321)와 일체이고 접착부(321)의 측면으로부터 커버 접착부재(2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부(322)를 포함한다.
접착부(321)는 커버글라스(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표시패널(200)의 크기보다 작으며, 커버글라스(210)의 하면과 표시패널(200)의 상면과 접착된다. 그리고, 커버부(322)는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커버글라스(210)의 측면과 접착되고, 접착부(321)의 측면과 접착되거나또는 상면의 일부와 접착된다.
여기서, 접착부(321)는 커버글라스(210)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하는 역할을 하고, 커버부(322)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한다.
접착부(321)와 커버부(322)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커버글라스(210)의 모듈러스는 커버 접착부재(220)의 모듈러스보다 높고, 커버 접착부재(220)의 모듈러스는 표시패널(200)의 모듈러스보다 낮고, 표시패널(200)의 모듈러스는 접착층(340)의 모듈러스보다 높고, 접착층(340)의 모듈러스는 백 플레이트(350)의 모듈러스보다 낮다.
다시 설명하면, 커버글라스(21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의 모듈러스는 커버 접착부재(220)와 접착층(340)의 모듈러스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220)와 접착층(340)보다 커버글라스(21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가 파괴 임계점이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에서는 모듈러스가 높은 구성과 낮은 구성이 교번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100) 장치를 벤딩 시킬 때, 모듈러스가 비교적 높은(커버 접착부재와 접착층에 비해) 커버글라스(21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에 발생된 응력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글라스(21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에 벤딩에 대한 응력이 0인 중립 면을 포함하도록 하여 커버글라스(21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가 벤딩 시,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 접착부재(220)의 커버부(322) 역시 커버글라스(210)의 모듈러스보다 낮으며, 커버부(322)는 커버글라스(210)가 벤딩될 때,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의 크기를 줄여준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커버글라스(210), 커버 접착부재(220) 및 표시패널(200)의 배치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도 4는 도 3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의 하부에 위치한 접착부(321)와, 접착부(321)와 일체이고 커버글라스(210)와 접착부(321)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하는 커버부(322)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커버부(322)가 커버글라스(210)와 접착부(321)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접착부(321)의 폭(W1)과 커버부(322)의 폭(W2)의 합, 즉, 커버 접착부재(220)의 폭은 표시패널(200)의 폭(W3)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의미는 동일하거나 유사함을 의미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함의 의미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차이가 발생한 수준의 것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허용 오차 범위는 대략 2% 내지 3%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321)의 폭(W1), 커버부(322)의 폭(W1), 커버 접착부재(220)의 폭과 표시패널(200)의 폭(W3)은, 도 3에 도시한 절단선(A-B)을 따라 표시장치(100)를 절단하였을 때, 표시장치(100)의 높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접착부(321)의 폭(W1), 커버부(322)의 폭(W1), 커버 접착부재(220)의 폭과 표시패널(200)의 폭(W3)의 관계는 일 예일 뿐, 커버 접착부재(220)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커버 접착부재(220)의 커버부(322)는 표시장치(100)의 비 표시영역(NA)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부(322)로 인해 표시장치(100)의 베젤(bezel) 영역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베젤 영역이란 표시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실제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 외에 모든 요소를 의미한다.
한편, 커버 접착부재(220)의 물성이 영역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는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커버 접착부재가 영역 별로 물성이 상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접착부재(220)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511) 및 하면(512)과 접착되는 부분과, 커버글라스(210)의 측면(511) 및 하면(512)과 접착되지 않는 부분(비 접착되는 부분)은 물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 접착부재(220)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511) 및 하면(512)과 접착되는 부분은 접착력이 있는 부분이고, 커버글라스(210)의 측면(511) 및 하면(512)과 접착되지 않는 부분은 접착력이 없는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커버글라스(210)이 측면 및 하면과 물리적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결합된 상태라 함은 커버 접착부재(220)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이 커버글라스(210)의 실리카와 가교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설명하면,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와 가교 결합된 상태라 함은, 커버 접착부재(220)를 이루는 고분자 사슬과 커버글라스(210)를 이루는 고분자 사슬이 묶여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커버 접착부재(220)에서, 표시패널(200)의 상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표시패널(200)의 상면과 물리적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접착부재(220)는 표시패널(200)의 상부기판과 물리적 결합될 수 있다. 상부기판이 유리 기판일 경우, 커버 접착부재(220)는 상부기판의 실리카와 가교 결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상부기판이 고분자 기판일 경우, 커버 접착부재(220)는 상부기판의 고분자와 가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기판이 폴리이미드일 경우, 커버접착부재(220)는 폴리이미드와 가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접착부재(220)가 상부기판과 가교 결합된 상태라 함은, 커버 접착부재(220)를 이루는 고분자 사슬과 상부기판을 이루는 고분자 사슬이 묶여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커버 접착부재(22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511)과 하면(512) 및 표시패널(200)의 상면(501)과 가교 결합되어, 이들과의 계면에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와 표시패널(20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접합할 수 있다.
한편, 커버 접착부재(220)의 상면(521)과,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와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522) 전체는 자가 가교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자가 가교 결합이란, 커버 접착부재(220)가 다른 구성과 결합되지 않고, 커버 접착부재(220)를 구성하는 물질 내부에서 가교 결합이 발생된 상태를 말한다. 즉, 커버 접착부재(220)를 이루는 물질의 고분자 사슬끼리 묶여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커버 접착부재(220) 내부에서 고분자 사슬끼리 묶여 있을 경우, 물질 내부 결합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자가 가교 결합된 상태인 부분의 커버 접착부재(220)는 자가 가교 결합되지 않은 부분보다 단단해질 수 있다. 즉, 자가 가교 결합된 커버 접착부재(220)의 부분은 다른 구성과 가교 결합된 상태의 커버 접착부재(220)의 부분보다 단단해질 수 있있다.
또한, 커버 접착부재(220)의 고분자 사슬은 다른 구성의 고분자 사슬과 묶이면서 접착력이 발현되는데, 커버 접착부재(220)가 자가 가교 결합된 영역에서는 다른 구성(예를 들어, 커버글라스, 또는 표시패널의 상부기판)의 고분자 사슬과 묶이지 못하므로, 접착력이 발현되지 못한다. 즉, 커버 접착부재(220)가 자가 가교 결합된 영역에서는 접착력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자가 가교 결합된 영역인 커버 접착부재(220)의 상면(521)과,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와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522) 전체에서 이물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접착부재(220)의 상면(521)과,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와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522)이 자가 가교 결합에 의해 단단해지므로, 커버 접착부재(220)가 다른 영역으로 흘러서 원하지 않는 영역에 커버 접착부재(220)가 위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나 표시패널(200)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접착력이 있는 상태이고, 커버글라스(210)나 표시패널(200)과 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접착력이 없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접착부재(220)가 부분적으로 상이한 물리적 결합 상태를 갖기 위해, 커버 접착부재(220)를 포함하는 표시장치(10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커버글라스(210), 커버접착부재(220) 및 표시패널(200)이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커버글라스(210) 상면에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나 표시패널(200)과 접하는 부분에서는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 및 표시패널(200)과 가교 결합하고, 반대로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나 표시패널(200)과 접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커버 접착부재(220)가 자가 가교 결합 할 수 있다.
즉, 커버 접착부재(22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다른 구성과 접하는 면에서는 접하는 다른 구성과 가교 결합되고, 다른 구성과 접하지 않는 면에서는 자가 가교 결합된다.
특히, 커버 접착부재(220)가 친수성(hydrophilic)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의 실리카와 가교 결합이 활발해져 커버 접착부재(220)와 커버글라스(210)의 결합이 단단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접착부재(220)가 영역별로 상이한 접착력을 가짐으로써, 커버글라스(210)과 표시패널(200)을 결합하는 동시에,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덮으면서 이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커버 접착부재(220)의 접착부(321)와 커버부(322)가 일체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접착부재(220)의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표시장치(100)는 접착부(321)의 모듈러스와 커버부(322)의 모듈러스가 상이한 커버 접착부재(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부(321)와 커버부(322)의 모듈러스는 커버글라스(210)의 모듈러스와 표시패널(200)의 모듈러스보다 낮을 수 있다.
이때, 접착부(321)는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고, 커버부(322)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321)와 커버부(322)의 모듈러스가 상이할지라도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킬 때, 모듈러스가 비교적 높은(커버 접착부재에 비해) 커버글라스(210) 및 표시패널(200) 내에 발생된 응력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커버부(322)가 접착부(321)와 커버글라스(210)의 적어도 일 측면에 위치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접착부재(320)의 커버부(322)는 접착부(321)의 상면의 일부와 접하고, 커버글라스(320)의 적어도 일 측면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커버부(322)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322)가 다수의 층(621, 622)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322)는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다수의 층(621, 6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부(322)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621, 6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층의 모듈러스가 나머지 층들의 모듈러스와 상이한 구성이면 충분하다.
한편, 커버부(322)의 다수의 층(621, 622)들의 모듈러스는 커버글라스(210)와 표시패널(200)의 모듈러스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킬 때, 모듈러스가 비교적 높은(커버 접착부재에 비해) 커버글라스(210) 및 표시패널(200) 내에 발생된 응력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22)가 다수의 층(621, 622)을 포함하므로, 커버부(322) 내에 다수의 층(621, 622)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경계면(다수의 층들 사이의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물질 사이의 경계면은 수분과 공기의 침투를 지연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데, 커버부(322)가 다수의 층(621, 622)을 포함함으로써, 수분과 공기가 표시장치(100)로 침투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에서 벤딩 영역(BA)이 하나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가 다수의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다수의 벤딩 영역을 구비할 때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벤딩 영역(BA1, BA2)과 다수의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표시장치(100)가 두 개의 벤딩 영역인 제1 및 제2 벤딩 영역(BA1. BA2)과 세 개의 비 벤딩 영역인 제1 내지 제3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표시장치(100)는 커버 접착부재(220)를 포함하고, 커버 접착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1, BA2)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벤딩 영역(BA1, BA2)에 있는 커버글라스(210)의 모든 측면과 대응되도록 커버 접착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접착부재(220)는 제1 내지 제3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22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표시장치(100) 벤딩 시 커버글라스(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9 및 도 10를 통해 표시장치(100)가 다수의 벤딩 영역(BA)과 다수의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을 포함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의 전 영역이 벤딩 영역(BA)일 수도 있다.
도 11은 전 영역이 벤딩 영역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전 영역이 벤딩 영역(BA)일 수 있다. 이때,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220)는 커버글라스(210)의 측면 전체에서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표시장치(100) 벤딩 시 커버글라스(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평면상으로 커버글라스(210)와 커버 접착부재(220)는 표시패널의 상면 전체를 가릴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커버 접착부재(220)는 표시장치(100)의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220)가 커버글라스(210)의 측면 전체를 감싸더라도 표시 영역(AA)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 접착부재(22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이 아닌 영역에서도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 접착부재(22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하고, 벤딩 영역(BA)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비 벤딩 영역(NBA1, NBA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커버 접착부재(22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커버 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접착부재(220)는 표시장치(100) 벤딩 시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표시장치(100)를 벤딩 하거나, 표시장치(100) 운반 시,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도 커버글라스(2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커버글라스(210) 내에 발생된 응력을 줄여줄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접착부재는 벤딩 영역(BA)과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커버글라스(2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커버부재를 포함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400)는 백 플레이트(350) 하부에 위치하고, 백 플레이트(350), 표시패널(200), 커버 접착부재(220)의 측면 및 커버 접착부재(220)의 상면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40)는 커버 접착부재(220)가 노출한 커버글라스(2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재(1400)는 커버글라스(210), 커버 접착부재(220), 표시패널(200) 및 백 플레이트(35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40)는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커버 접착부재(220)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면서, 커버 접착부재(22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의 벤딩 영역(BA)에 충격이 가해질 때, 커버부재(140)에서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고, 커버 접착부재(220)에거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므로, 벤딩 영역(BA)에서 커버글라스(210) 모서리에 미세 균열이 있더라도 커버글라스(210)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커버글라스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물성 제어를 통해 접착부재에 이물이 붙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글라스와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의 비 접착 부분에서 접착부재가 흐르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200: 표시패널
210: 커버글라스
220: 커버 접착부재
340: 접착층
350: 백 플레이트

Claims (14)

  1.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글라스;
    상기 커버글라스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
    상기 커버 접착부재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접착부재,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 플레이트가 벤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에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적어도 일 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커버 접착부재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커버글라스의 하면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된 접착부; 및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과 접착되고, 상기 접착부의 측면과 접착되거나 상면의 일부와 접착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모듈러스(modulus)는 상기 접착부의 모듈러스와 상이하고,
    상기 커버부와 상기 접착부의 모듈러스는 상기 커버글라스와 상기 표시패널의 모듈러스보다 낮은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다른 모듈러스를 갖는 다수의 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층의 모듈러스는 상기 커버글라스와 상기 표시패널의 모듈러스보다 낮은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영역과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접착부재의 커버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에서,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과,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비 접착되는 부분은 물성이 서로 다르고,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물리적 결합된 상태인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에서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 및 하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상기 커버글라스의 실리카(silica)와 가교 결합된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과 물리적 결합된 상태인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되는 부분은 상기 표시패널의 기판의 실리카(silica) 또는 고분자와 가교 결합된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의 상면과, 상기 커버 접착부재가 상기 커버글라스와 접착되는 면의 반대면은 자가 가교 결합된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의 모듈러스는 상기 커버글라스의 모듈러스 보다 낮은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접착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비 벤딩 영역까지 연장된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백 플레이트, 상기 표시패널, 상기 커버 접착부재의 측면 및 상기 커버 접착부재의 상면을 감싸는 표시장치.
  14.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커버글라스;
    상기 커버글라스 하부에 배치된 커버 접착부재;
    상기 커버 접착부재 하부에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커버글라스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커버글라스의 하면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면과 접착된 접착부와,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커버글라스의 측면과 접착되고 상기 접착부의 측면과 접착되거나 상면의 일부와 접착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70180045A 2017-12-26 2017-12-26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08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45A KR102408492B1 (ko) 2017-12-26 2017-12-26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045A KR102408492B1 (ko) 2017-12-26 2017-12-26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26A KR20190078226A (ko) 2019-07-04
KR102408492B1 true KR102408492B1 (ko) 2022-06-13

Family

ID=6725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045A KR102408492B1 (ko) 2017-12-26 2017-12-26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8660A (zh) * 2019-08-09 2019-12-13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0634401A (zh) * 2019-08-23 2019-12-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盖板及柔性显示装置
CN110634404B (zh) * 2019-08-30 2021-03-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盖板及柔性显示装置
CN111128031A (zh) * 2020-01-15 2020-05-08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盖板及其修复方法、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WO2021145701A1 (ko) * 2020-01-15 2021-07-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126125A (ko)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글래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1186A (ko) 2021-04-27 2024-01-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장척 적층체
JP2022169387A (ja) * 2021-04-27 2022-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148A (ko) * 2013-06-28 2015-01-07 한국과학기술원 접히는 투명 복합체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9835B1 (ko) * 2014-09-22 2021-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6631B1 (ko) * 2015-06-08 2023-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26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49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37419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75599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54145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190350092A1 (en) Cover window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819008B (zh) 显示装置
CN105843434B (zh) 具有柔性窗衬底的柔性显示装置
KR1024028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436315B (zh) 可撓性顯示裝置
CN111199690B (zh) 显示面板盖
US2015020852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116867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37130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42043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21001343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0526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KR102356723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1774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shock absorbing layer
KR20170137690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54660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US20220208898A1 (en) Display device
KR10242839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72526A (ko) 기능성 기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1393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