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359B1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359B1
KR102408359B1 KR1020170106523A KR20170106523A KR102408359B1 KR 102408359 B1 KR102408359 B1 KR 102408359B1 KR 1020170106523 A KR1020170106523 A KR 1020170106523A KR 20170106523 A KR20170106523 A KR 20170106523A KR 102408359 B1 KR102408359 B1 KR 10240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information
poi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595A (ko
Inventor
박준아
김진호
남현정
박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359B1/ko
Priority to US16/020,370 priority patent/US10558273B2/en
Publication of KR2019002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06F3/042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tracking fingers with respect to a virtual keyboard projected or printed on the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상기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ELECTRONIC DEVICE}
본 개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특히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및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보급되면서, 사용자에게 편리한 제어 환경을 위해 다양한 입력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사용자 입력 방법으로 버튼을 이용한 입력, 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이 있다.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와 같은 터치 스크린의 면적이 좁은 기기의 경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 방식은 불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화면의 일부분이 가려지거나, 또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하나의 화면에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인접한 인체 영역을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고 터치 입력 등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평탄한 면이 아닌 인체의 특성상 입력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상기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등 등 인체를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할 때, 주변에 위치한 빛 등에 의해 센서 모듈이 감지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등의 굴곡 등과 같이 인체의 특징과 관련된 정보를 미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인체의 특징을 반영하여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등의 굴곡과 같은 사용자의 인체 특징과 사용자의 필체를 하나의 인증 정보로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전자 장치와 가상의 입력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센서 모듈이 수신하는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센싱값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한 입력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1 보정값을 생성하고,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을 위한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상황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손등에 맞추어 저장 된 좌표계를 변경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손등의 굴곡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보정값에 포함시키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도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에 그려지는 궤적으로부터 곡률과 관련된 특징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에 그려지는 궤적이 이동하는 경우에 특징 정보를 변경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너클(knuckle)의 위치에 의해 생성된 손등의 굴곡을 이용하여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획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2 보정값을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1 보정값을 수정한 후 제 2 보정값을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체 터치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결제를 진행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글씨를 입력 받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글씨를 입력 받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암호화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전자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전자 장치와 가상의 입력 영역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자 장치(100),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 및 가상의 입력 영역(20)이 도시되어 있다. 가상의 입력 영역(20)은 전자 장치(100)의 주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의 입력 영역(20)에 사용자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측면에 거리나 근접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0)은, 예를 들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또는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0)은 센서 모듈(30)을 기준으로 X, Y 축 정보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와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락 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이 두 개의 층(layer) 이상으로 배열되는 경우, X, Y, Z 축 위치를 모두 측정하여 객체 등이 가상의 입력 영역에 접촉하기 직전의 3D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에는 다양한 기능성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기능성 객체는, 예를 들면, 아이콘, 목록, 버튼, 그림, 문자, 기호 등의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기능 실행 객체, 또는 다양한 정보 제공을 하는 기능성 객체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0)에 기능 실행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입력 영역(20)의 일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면, 전자 장치(100)는 일 지점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0) 상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기능 실행 객체를 선택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센서 모듈이 수신하는 입력 신호를 보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b의 (a-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11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이 손목에 착용된 전자 장치(100)와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11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제 1 자세는 손등의 위치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와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을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100)가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입력 영역은 손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b의 (a-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정보(110)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40)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에 대하여 평행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제 1 정보(110)를 표시한 후, 손등(40)을 평행하게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등을 디스플레이(10)에 대하여 평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등(40)을 평행으로 유지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0)은, 예를 들면, 광을 주사한 후 반사되는 시간 또는 광량을 수신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30)은, 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을 주사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40)에 객체(예: 손가락 등)가 없는 경우에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한 후 제 1 정보(110)와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b의 (b-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의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12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손등의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이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12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b의 (b-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정보(120)의 내용을 따라서 손가락(42)을 손등(40)의 일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40)에 객체(예: 손가락(42) 등)가 있는 경우에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제 2 정보(120)를 표시한 후, 손등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가락을 손등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손등에 위치하고 유지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과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의 손등(40) 등)에서 객체(예: 손가락(42) 등)가 검출되는 경우에 센서 모듈(30)이 감지하는 센싱값과 객체(예: 손가락(42) 등)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센서 모듈(30)이 감지하는 센싱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제조사에서 설정한 제 1 좌표계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손목 착용형 전자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조사가 입력한 평균적인 손등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 1 좌표계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좌표계의 각 지점들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 영역의 각 지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좌표계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하면, 전자 장치(100)는 손등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11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하기 전에, 센서 모듈(30)을 통해 입력 되는 센싱값을 보정하기 위한 과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최초에 입력 신호를 보정하기 위한 과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110)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잔여 기간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진동으로 알릴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2 정보(120)를 표시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 2 정보(120)에 표시되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잔여 기간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진동으로 알릴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 안내 만을 이용해서 센서 모듈(30)을 통해 입력되는 센싱값의 보정을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포함된 센서 모듈에서 수신되는 센싱값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도 2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이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의 손등)에서 수신되는 센싱값(예: 거리, 광량)의 변화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된 그래프의 A 구간은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 손등)에 객체(예: 손가락)이 접근하는 구간일 수 있다. B 지점은 객체(예: 손가락)가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 손등)을 터치한 순간일 수 있다. 또한, C 구간은 객체(예: 손가락)가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 손등)에서 멀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그래프는 시간 변화(X축)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도출하는 광량의 변화(Y축)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제 1 곡선(211)은 도 1b에서 기술한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을 표현한 곡선일 수 있다. 제 2 곡선(213)은 전자 장치(100)가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한 상태를 표현한 곡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곡선(211)과 제 2 곡선(213)의 차이값을 제 1 보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그래프는 시간 변화(X축)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가 도출하는 거리값의 변화(Y축)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제 3 곡선(221)은 도 1b에서 기술한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을 표현한 곡선일 수 있다. 제 4 곡선(223)은 전자 장치(100)가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한 상태를 표현한 곡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3 곡선(221)과 제 4 곡선(223)의 차이값을 제 1 보정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거리값을 측정하는 센서를 동시에 포함하는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의 입력 영역에 인접하여 발생되는 반사광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예를 들면, 적외선, 초음파,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가상의 입력 영역에 인접한 방해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거리값의 오차를 측정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예: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센싱값이 수신되어 발생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10), 프로세서(320), 디스플레이(330), 및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모듈(310)은 가상의 입력 영역에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도 1a의 센서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센서 어레이 등의 센서들 및 센서들과 연결되어 감지된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센서들을 제어하는 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310)은 센서들만을 포함하고, 프로세서(320)가 센서 컨트롤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센서들로부터 들어온 신호에 대한 잡음 필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가상의 입력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탭 입력, 터치 앤 홀드 입력, 더블 탭 입력, 드래그 입력, 패닝 입력 플릭 입력, 드래그 앤 드롭 입력, 스와이프 입력 및 핀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array)는 복수의 거리 및 근접 어레이 센서를 포함하거나, 선형(line type)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레이어(layer)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센서 어레이가 복수의 레이어 구조로 설계 된 경우 X, Y 축의 2D 위치는 물론 X, Y, Z 축의 3D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손가락의 위치를 찾아내는 경우 초음파의 펄스를 송수신하여 펄스 도달 시간의 삼각 측량법에 의해 초음파의 이동 시간을 측정한 후 손가락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 어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저전력으로 구현 가능하고 햇빛 등과 같은 조명 환경의 영상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어레이는 3D 센서를 선(line)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3D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손등과 같은 착용형 기기의 주변 영역인 입력 영역에서 고해상도의 위치 정밀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정밀한 패턴 인식(예를 들면, 문자 인식 등)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어레이는 DVS(dynamic visio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DVS를 사용하는 경우, 초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여 항시 켜짐 상태(always-on)로 빠르게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적외선(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R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센서에서 신호가 송출되면 손가락에 닿는 강도(intensity)를 측정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고, 착용형 기기의 주변 영역인 입력 영역 상의 손가락의 2D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손목에 착용하는 착용형 기기의 예를 들었으나 착용형 기기는 암 밴드 등을 이용하여 팔에 착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손등뿐 아니라 팔 위에서도 착용형 기기의 주변 영역인 가상의 입력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도 1a의 디스플레이(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32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330)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20)는 센서 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되도록 메모리(34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의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3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센서 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되도록 메모리(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제 1 센싱값과 제 2 센싱값의 차이값을 제 1 보정값으로 메모리(340)에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에 사용자 입력이 생성되는 경우에 센서 모듈(31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사용자 입력이 생성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20)의 제어에 따라 제 1 센싱값, 제 2 센싱값, 및 제 1 보정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한 입력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가 위치한 사용자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하, 인체 터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물리적인 버튼을 이용하여 인체 터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 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기능 실행 객체 등을 이용하여 인체 터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입력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인체 터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인체 터치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한 센싱값의 임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a-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에 있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11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이 손목에 착용된 전자 장치(100)와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11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제 1 자세는 손등의 위치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와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을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a-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정보(110)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40)을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제 1 정보(110)를 표시한 후, 손등(40)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등을 디스플레이(10)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등(40)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한 후 제 1 정보(110)와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b-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2 자세에 있도록 안내하는 제 3 정보(43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이 전자 장치(10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3 정보(43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제 2 자세는 손등이 전자 장치(100)에 포함 된 센서 모듈(30)과 가장 인접한 상태일 수 있다.
도 4의 (b-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3 정보(430)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40)이 전자 장치(100)와 둔각을 형성하도록 손목을 굽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한 후부터 제 3 정보(430)를 표시하고 기 설정된 시간 까지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하는 센싱값들을 제 3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손등(40)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와 평행한 상태에서부터 손등(40)이 전자 장치(10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지점까지 센서 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센싱값들을 제 3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제 3 정보(430)를 표시한 후,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한 센싱값이 센서 모듈(30)과 손등까지의 거리값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을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손목과 손등의 자세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2)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의 면과 손등(40)이 평행한 상태가 되는 지점(0도)부터 디스플레이(10)와 손등(40)이 대략 20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지점까지를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저장하고 있던 제 1 좌표계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손등(40)에서 거리값이 감지되지 않는 지점부터, 손등(40)의 일 지점부터 전자 장치(100)까지의 거리가 100mm 되는 지점까지를 객체(예: 손가락 등)의 입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등(40)과의 거리가 센싱값의 임계 범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 인체 터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110)를 표시하기 전에, 인체 터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자 장치(100)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110)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에 있도록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에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잔여 기간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진동으로 알릴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3 정보(430)를 표시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제 3 정보(430)에 표시되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 안내 만을 이용해서 센서 모듈(30)을 통해 입력되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2 자세에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잔여 기간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고, 또는 진동으로 알릴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손등(40)과의 거리 또는 상대 적인 위치가 상술한 센싱값의 임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손등(40)을 가상의 입력 영역으로 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체 터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인체 터치 기능 활성화를 위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추가적인 조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1 보정값을 생성하고,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을 위한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상황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제 1 보정값을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5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에 오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세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면과 사용자의 손등이 평행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제 1 정보를 표시한 후, 손등을 평행하게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등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등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동작 5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수신한 센싱값 중에서 하나의 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5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사용자의 신체 일 지점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제 2 정보를 표시한 후, 손등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가락을 손등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손등에 위치하고 유지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동작 52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수신된 센싱값 중에서 하나의 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5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과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제 2 센싱값과 제 1 센싱값의 차이를 제 1 보정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제 1 좌표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때,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 신체의 임계 범위를 설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5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 영역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제 1 자세에 오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세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면과 사용자의 손등이 평행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제 1 정보를 표시한 후, 손등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등을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등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동작 55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수신된 센싱값 중에서 하나의 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56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3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3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이 전자 장치(100)에 가장 인접하게 굽힐 수 있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제 3 정보를 표시한 후,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잔여 시간 동안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동작 56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한 후부터, 손목을 굽힌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까지 센서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센싱값들을 제 3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손등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와 평행한 상태에서부터 손등이 전자 장치(100)와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지점까지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센싱값들을 제 3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56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3 센싱값을 이용하여 인체 터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임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저장하고 있던 제 1 좌표계에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손등에서 거리값이 감지되지 않는 지점부터, 손등의 일 지점부터 전자 장치(100)까지의 거리가 100mm 되는 지점까지를 사용자의 입력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싱값의 임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손등에 맞추어 저장 된 좌표계를 변경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도 1b의 동작이 완료된 후 아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64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4 정보(640)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에 있는 복수 개의 너클(knuckle)들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착용한 손등(40)의 너클(610)에 순차적으로 손가락을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너클(610)에 위치하는 경우에 감지되는 센싱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너클(610)에 위치한 상태에서, 센서 모듈(30)이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는 동일한 거리값을 제 4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제 4 정보(640)를 표시한 후, 손등(40)의 너클(610)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가 너클(610)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진동을 통해서도 잔여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640)를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제 4 정보(640)에 포함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 안내 만을 이용해서 상술한 과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센싱값이 적어도 2개 이상 저장되면, 저장된 제 4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좌표계의 넓이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좌표계의 넓이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값은, 예를 들면, 너클(610)과의 거리값을 이용하여 손가락과의 거리를 유효하게 인식할 수 있는 유효 넓이(620)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넓이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값을 이용하여 제 1 좌표계의 크기를 확장하거나 축소하고 및/또는 제 1 좌표계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기 저장된 제 1 좌표계를 사용자의 손등에 맞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후술할 제 2 보정값에 제 1 좌표계의 넓이 및/또는 형태를 변경하는 변경값을 포함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너클(610)에서 센서 모듈(30)까지의 직선 거리를 축으로 하여 손등(40)의 굴곡에 의해 축의 위치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손등의 굴곡과 관련된 정보를 제 2 보정값에 포함시키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5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5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 손등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적어도 한 번 드래그 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등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궤적을 감지하여 손등의 굴곡 형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손등 위의 일 지점과 타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손등의 굴곡은 손목에서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 보다는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영역에서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더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일 지점은 손등에서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지점에 선정하고, 손등의 타 지점은 손등에서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일 지점에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제 5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제 5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포함된 센서 모듈(30)의 특성(예: 검출 능력, 검출 범위 등) 및 전자 장치(100)가 위치한 주변 환경(예: 주변 광량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제 5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인접한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1 정보, 사용자 손등의 너클이 위치한 영역에 인접한 제 3 지점에서 제 4 지점으로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2 정보, 및 사용자 손등의 중앙부의 제 5 지점에서 제 6 지점으로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3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 5-1 정보(751)는 사용자의 손목에 인접하여 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5-1 정보(751)의 내용을 따라서 손목에 인접하고,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제 1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후,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제 2 지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30)은 제 5-1 정보(751)의 안내에 따른 객체의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되는 이동 궤적을 제 1 이동 궤적 센싱값으로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제 5-2 정보(752)는 사용자 손등의 너클이 위치한 영역에 인접하여 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5-2 정보(752)의 내용을 따라서 너클에 인접하고,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제 3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후,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제 4 지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30)은 제 5-2 정보(752)의 안내에 따른 객체의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되는 이동 궤적을 제 2 이동 궤적 센싱값으로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제 5-3 정보(753)는 사용자 손등의 중앙부에서 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5-3 정보(753)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의 중앙부에,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제 5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후,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제 6 지점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모듈(30)은 제 5-2 정보(753)의 안내에 따른 객체의 이동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통해 감지되는 이동 궤적을 제 3 이동 궤적 센싱값으로 선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제 5 정보(751, 752, 753)에 포함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 안내 만을 이용해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수집된 제 1 이동 궤적 센싱값, 제 2 이동 궤적 센싱값, 및 제 3 이동 궤적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 궤적 센싱값을 이용하여 사용자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획득한 사용자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를 제 2 보정값에 포함하여 제 1 좌표계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제 2 보정값은, 예를 들면, 너클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손등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변경값 및 손등의 굴곡에 따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보정값과 제 2 보정값을 제 1 좌표계에 적용하여 제 2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의 과정은, 전자 장치(100)가 인체 터치 기능을 최초에 실행하는 경우에 인체 터치 기능을 위한 등록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640)를 표시하기 전에 제 2 보정값을 획득하는 과정이 시작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의 굴곡에 따른 정보를 도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객체(예: 손가락 등)를 이용하여 손등에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 정보(8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5 정보 객체(850)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에서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후,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타 지점으로 직선을 그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X축은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은 전자 장치(100)의 센서 모듈(30)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이용하여 객체가 이동하는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되는 궤적으로부터 손등 굴곡과 관련된 다양한 특징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손등에서의 궤적의 위치(예: 좌표값), 궤적의 형태, 궤적에 포함된 구부러진 부분의 곡률, 궤적의 진행 방향, 궤적에 포함된 변곡점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객체의 이동에 따른 손등의 변형 정보로부터 손등 굴곡과 관련된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8의 (a)와 같은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면, 손가락의 이동에 의한 궤적이 생성된 위치는 손등의 중앙부이고, 궤적의 진행 방향은 X축을 따라서 "-"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감지한 궤적의 정보를 이용하여 궤적의 변곡점 개수, 변형 곡률, 변형 축의 위치 등과 같은 손등 굴곡과 관련된 특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이용하여 감지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을 XZ 좌표계로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손등은 가운데 손가락의 너클부터 손목까지를 잇는 가상의 선이 주변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까지의 거리값(Z축)은 X축을 따라서 감소했다가 증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XZ 좌표계로 변환한 상태에서 곡선으로 표현된 궤적을 직선으로 변경하는 값을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으로 도출하고 제 2 보정값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은 도 7에서 상술한 사용자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은, 예를 들면, 곡선에 포함된 변곡점을 포함하고 X축과 평행인 가상이 직선을 가정하고, 곡선을 상기 가상의 직선에 투영하는 경우, 곡선에 포함된 점들이 가상의 직선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곡선의 양 끝점을 포함하고, X축과 평행인 가상의 직선을 가정하여 곡선을 상기 가상의 직선에 투영하는 경우, 곡선에 포함된 점들이 가상의 직선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곡선을 직선 상으로 투영하여 변경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 특성을 반영하여 곡선으로 그려지는 궤적을 직선으로 변경할 수 있는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이용하여 곡선의 궤적을 직선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조사가 저장한 제 1 좌표계에 대하여 도 1b에서 설명한 제 1 보정값과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제 2 보정값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손등의 굴곡에 맞추어진 제 2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굴곡이 있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를 들면,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접촉 위치, 객체의 드래그 동작과 방향을 오류 없이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에 그려지는 궤적으로부터 곡률과 관련된 특징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객체(예: 손가락 등)를 이용하여 손등에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 정보(850)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5 정보(850)의 내용을 따라서 손등에서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위치한 후,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타 지점으로 직선을 그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30)을 이용하여 객체가 이동하는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을 따라서 형성되는 궤적을 2차원 곡선으로 변경하여 XZ 좌표계에 표현하고, 곡선의 곡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X축은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은 전자 장치(100)의 센서 모듈(30)에서 객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의 (b) 내지 도 9의 (d)는 전자 장치(100)가 도출한 2차원 곡선과 2차원 곡선의 곡률의 크기를 시작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b-1), (c-1), (d-1) 은 도 9의 (a)와 같이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을 XZ 좌표계에 2차원 곡선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b-2), (c-2), (d-2)는 2차원 곡선의 곡률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진한 색으로 표시된 영역이 넓을수록 곡률의 크기가 작고, 진한 색으로 표시된 영역이 좁을수록 곡률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도 9의 (b) 내지 도 9의 (d)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곡선의 곡률과 진행 방향에 따라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으로 표현된 궤적 중에서 직선으로 보정해야 하는 구간을 제 1 구간(A)으로, 보정이 불필요한 구간을 제 2 구간(B)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9의 (b-1)의 곡선과 도 9의 (c-1)의 곡선을 비교하면, 도 9의 (b-1)의 곡선의 곡률이 도 9의 (c-1)의 곡선의 곡률보다 작다. 이로 인해, 도 9의 (b-2)의 제 1 구간(A)이 도 9의 (c-2)의 제 1 구간(A)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d-1)를 참조하면,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에 기반한 곡선은 두 개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변곡점과 곡률을 이용하여 곡선에서 제 1 구간(A)과 제 2 구간(B)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손등에 그려지는 궤적이 이동하는 경우에 특징 정보를 변경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인체 터치 기능 실행 시 발생될 수 있는 터치 인식 오류를 줄이기 위해 제 1 보정값 및 제 2 보정값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시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곡선으로 표현된 궤적을 직선으로 보정하는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재 생성 하거나 또는 수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터치 기능 실행 시 사용자의 손등 굴곡이 변할 수 있다.
도 10의 (a-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위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가 이동하는 궤적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객체의 이동 궤적을 XZ 좌표계로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XZ 좌표계로 변환한 상태에서 곡선으로 표현된 궤적을 직선으로 보정하는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은 전자 장치(100)가 인체 터치 기능을 최초로 실행하는 경우에 도 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인체 터치 기능을 제공하던 도중에 사용자의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가 이동하는 궤적이 변경되면, 변경된 궤적에 따라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재 생성하거나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10의 (a-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위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을 감지하고, XZ 좌표계로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변경 된 이동 궤적에 따라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재 생성 하거나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변경 된 이동 궤적에 따라서 직선으로 보정해야 하는 제 1 구간(A)의 위치가 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제 1 구간(A)의 위치에 맞추어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재 생성 하거나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인체 터치 기능을 사용하는 손등의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황에 맞추어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 수정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너클(knuckle)의 위치에 의해 생성된 손등의 굴곡을 이용하여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획득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손등을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각 손가락에 포함된 너클들을 기준으로 손등의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세로 방향의 4개의 영역들(1110)은 손등 중 각각의 너클들과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4개의 영역들(1110)에 인접하여 배치된 영역들은 너클에 의해 생성되는 굴곡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영역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역들은 색상이 진할수록 손등 위에 그려진 손가락의 궤적을 기반으로 생성한 변곡점에 인접한 영역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직선으로 보정해야 하는 구간(1120)을 결정하고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2 보정값을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12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4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에 있는 복수 개의 너클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를 표시한 후, 각각의 너클에 손가락을 터치하도록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을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진동 또는 소리로도 잔여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동작 12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를 표시한 후,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한 센싱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을 제 4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에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너클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제 4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와 같은 동작을 각각의 너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5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5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의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을 터치한 후 타 지점으로 선을 긋는 것처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포함된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제 5 정보에 포함된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음성 안내 만을 이용해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등에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궤적을 감지하여 손등의 굴곡 형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손등 위의 일 지점과 타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제 5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제 5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인접하여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1 정보, 사용자 손등의 너클(knuckle)이 위치한 영역에 인접하여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2 정보, 및 사용자 손등의 중앙부에 직선을 긋도록 안내하는 제 5-3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2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5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5 정보를 표시한 후,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한 센싱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을 제 5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2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센싱값과 제 5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2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2 보정값은, 예를 들면, 너클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손등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변경값 및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보정값과 제 2 보정값을 제 1 좌표계에 적용하여 제 2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 1 보정값을 수정한 후 제 2 보정값을 생성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13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보정값이 적용된 제 1 좌표계를 호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가상의 입력 영역(예: 사용자의 손등 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가 검출되는 경우의 센싱값과 객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의 센싱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동자 13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4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에 있는 복수 개의 너클(knuckle)에 객체(예: 손가락 등)를 순차적으로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에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너클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제 4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와 같은 동작을 각각의 너클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2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좌표계와, 제 4 센싱값을 적용한 제 1 좌표계의 크기 및/또는 형태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 인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좌표계와 변경된 좌표계의 면적이 100
Figure 112017081454194-pat00001
이상 차이가 거나 또는 중복되지 않는 면적의 넓이가 100
Figure 112017081454194-pat00002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330을 참조하면, 제 1 좌표계와, 제 4 센싱값을 적용한 제 1 좌표계의 크기 및/또는 형태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 5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5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등의 일 지점에 객체(예: 손가락 등)을 터치한 후 타 지점으로 선을 긋는 것처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3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5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 5 정보를 표시한 후,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한 센싱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값을 제 5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4 센싱값과 제 5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2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2 보정값은, 예를 들면, 너클까지의 거리에 기반한 손등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변경값 및 손등의 굴곡에 따른 변경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45를 참조하면, 제 1 좌표계와, 제 4 센싱값을 적용한 제 1 좌표계의 크기 및/또는 형태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 1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면과 사용자의 손등이 평행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 1 보정값을 다시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3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을 평행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잔여 시간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제 1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5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사용자의 신체 일 지점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36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센싱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손등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동안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하는 거리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제 2 센싱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36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센싱값과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 1 보정값을 다시 생성한 후, 동작 1330으로 진행하여 제 2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 1 좌표계에 제 1 보정값과 제 2 보정값을 적용하여 생성한 제 2 좌표계를 갱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때 발생되는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체 터치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14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서 감지된 센싱값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4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는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객체(예: 손가락 등)가 차지하는 영역이 센서 모듈이 검출 가능한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 면적의 1% ~ 3% 이내인 경우,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객체(예: 손가락 등)가 차지하는 영역이 센서 모듈이 검출 가능한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 면적의 3%를 초과하는 경우,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4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감지된 센싱값이 인체 터치 기능 실행의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라고 결정되면, 인체 터치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 에서 객체에 의하여 감지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는 인체 터치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제 2 보정값을 전자 장치(100)의 제조사가 저장해 놓은 제 1 좌표계에 적용하여 제 2 좌표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손가락(1510)이 손등(1520)의 일 지점(1531)에서 타 지점(1532)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5의 (a)의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손등의 굴곡을 보정하는 값을 포함하는 제 2 보정값을 생성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등(1520)위에서 손가락(1510)을 직선의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손가락(15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1510)은 직선으로 이동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입력(예: 굴곡이 있는 선)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5의 (b)의 경우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손등의 굴곡을 보정하는 값을 포함하는 제 2 보정값을 생성하여 제 1 좌표계에 적용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손등(1520)위에서 손가락(1510)을 직선의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손가락(15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손가락(1510)은 직선으로 이동하고, 전자 장치(100)는 손등의 굴곡에 대한 보정값을 이용하여 손가락(1510)의 이동을 직선 이동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전자 결제를 진행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결제가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삼성 페이 어플리케이션(Samsung Pa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결제를 진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지문 인식 또는 핀 번호(pin number)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 서명을 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전에 입력 받아 저장한 서명과 가상의 입력 영역에 입력되는 궤적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방법(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전자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글씨를 입력 받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동작 17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필체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의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이동 궤적이 글자의 형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필체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필체의 특징점은, 예를 들면, 자음/모음의 형태 및 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동작 17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추출한 특징점과 저장된 글씨체를 비교할 수 있다.
동작 17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교 결과 유사성이 높은 글씨체 후보군을 선정하고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7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글씨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7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글씨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하면, 사용자가 손등에 입력하는 궤적을 선택된 글씨체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76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글씨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확인되지 않으면, 가장 유사도가 높은 글씨체를 선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등에 입력하는 궤적을 선정한 글씨체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하여 글씨를 입력 받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암호화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동작 18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필체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의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이동 궤적이 글자의 형상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필체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필체의 특징점은, 예를 들면, 자음/모음의 형태 및 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동작 18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추출한 특징점과 저장된 글씨체를 비교할 수 있다.
동작 183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유사도가 가장 높은 글씨체를 선정할 수 있다.
동작 184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문구를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문구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100)는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을 감지하고, 문자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85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보정값과 문구를 결합하여 인증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문자로 변환 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 궤적과 제 2 보정값에 포함된 손등의 굴곡과 관련된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동작 186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도출한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동작 187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결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결제 진행 전에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188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문구와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가상의 입력 영역(예: 손등)에서 객체(예: 손가락 등)의 이동을 감지하여 문구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변환된 문구와 객체의 이동에 적용되는 보정값을 저장된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310: 센서 모듈
320: 프로세서
330: 디스플레이
340: 메모리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객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디스플레이;
    메모리;
    상기 센서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제 1 좌표계에 상기 제 1 보정값을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포함된 일부에서 검출되는 객체에 대한 센싱값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제 2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3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제 1 자세에서 상기 제 2 자세로 변경되는 동안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3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3 센싱값을 이용하여 센싱값의 유효 범위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등인 경우,
    상기 제 1 자세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의 손등이 평행한 상태이고, 상기 제 2 자세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의 손등이 둔각을 형성하는 자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효 범위에 포함되는 센싱값이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등인 경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손등에 포함된 복수 개의 너클(knuckle)들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4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너클(knuckle)들을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제 4 센싱값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 상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적어도 한번 드래그 하도록 안내하는 제 5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한 제 5 센싱값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제 4 센싱값, 및 제 5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보정값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의 특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광량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 일부 상에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1 정보, 제 3 지점에서 제 4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2 정보, 및 제 5 지점에서 제 6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3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등인 경우, 상기 제 1 지점, 상기 제 3 지점, 및 상기 제 5 지점은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지점이고, 상기 제 2 지점, 상기 제 4 지점, 및 상기 제 6 지점은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지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전자 장치 실행 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서 감지하는 센싱값과 상기 제 1 보정값 및 상기 제 2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조합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를 더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제 2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3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자세에서 상기 제 2 자세로 변경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3 센싱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 3 센싱값을 이용하여 센싱값의 유효 범위를 설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등인 경우,
    상기 손등에 포함된 복수 개의 너클(knuckle)들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4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너클(knuckle)들을 터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제 4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 상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적어도 한번 드래그 하도록 안내하는 제 5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한 제 5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 4 센싱값 및 상기 제 5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 2 보정값을 결정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 모듈의 특성,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일부 상에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1 정보, 제 3 지점에서 제 4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2 정보, 및 제 5 지점에서 제 6 지점으로 드래그하는 제 5-3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손등인 경우, 상기 제 1 지점, 상기 제 3 지점, 및 상기 제 5 지점은 새끼 손가락과 인접한 지점이고, 상기 제 2 지점, 상기 제 4 지점, 및 상기 제 6 지점은 엄지 손가락과 인접한 지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에서 감지하는 센싱값과 상기 제 1 보정값 및 상기 제 2 보정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조합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제 1 자세를 유지하도록 안내하는 제 1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자세가 유지되는 동안에,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신체 일부의 일 지점에 객체가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제 2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객체가 상기 일 지점에 위치하는 동안에, 상기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제 2 센싱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센싱값 및 상기 제 2 센싱값을 이용하여 제 1 보정값을 결정하는 동작; 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70106523A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0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23A KR102408359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6/020,370 US10558273B2 (en) 2017-08-23 2018-06-2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23A KR102408359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595A KR20190021595A (ko) 2019-03-06
KR102408359B1 true KR102408359B1 (ko) 2022-06-14

Family

ID=6543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23A KR102408359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8273B2 (ko)
KR (1) KR102408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1471B2 (en) 2013-08-16 2024-03-0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devices having secondary power sources in links of a band for providing secondary power in addition to a primary power source
US20150124566A1 (en) 2013-10-04 2015-05-07 Thalmic Labs Inc.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contact sensors
WO2015081113A1 (en) 2013-11-27 2015-06-04 Cezar Moru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ectromyography sensors
US20190121306A1 (en) 2017-10-19 2019-04-25 Ctrl-Lab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biological structures associated with neuromuscular source signals
US11961494B1 (en) 2019-03-29 2024-04-16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reduction i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s
US11493993B2 (en) * 2019-09-04 2022-11-0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performing inputs based on neuromuscular control
US11907423B2 (en) 2019-11-25 2024-02-20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ized interactions with an environment
US11481030B2 (en) 2019-03-29 2022-10-2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gestur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11150730B1 (en) 2019-04-30 2021-10-19 Facebook Technologies,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mputing devices via neuromuscular signals of users
CN112789577B (zh) 2018-09-20 2024-04-05 元平台技术有限公司 增强现实系统中的神经肌肉文本输入、书写和绘图
CN113423341A (zh) 2018-11-27 2021-09-21 脸谱科技有限责任公司 用于可穿戴电极传感器系统的自动校准的方法和装置
CN111240468B (zh) * 2019-12-31 2023-04-25 北京诺亦腾科技有限公司 手部动作捕捉的校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34612B1 (ko) * 2020-07-30 2021-04-01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근접 센서에서의 환경 보상 방법 및 개선된 환경 보상 성능을 가진 근접 센서
US11868531B1 (en) 2021-04-08 2024-01-0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Wearable device providing for thumb-to-finger-based input gestures detected based on neuromuscular signa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4442815A (zh) * 2022-04-08 2022-05-06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穿戴的短视频调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998A1 (en) 2014-05-06 2015-11-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70280394A1 (en) 2014-09-19 2017-09-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otion-based low powe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US20180192946A1 (en) 2016-01-04 2018-07-12 Omron Healthcare Co., Ltd.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079B2 (en) 2008-08-29 2014-06-03 Nec Corporation Positio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position information input method
US8624836B1 (en) * 2008-10-24 2014-01-07 Google Inc. Gesture-based small device input
EP2256592A1 (en) * 2009-05-18 2010-12-01 Lg Electronics Inc. Touchless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US8760391B2 (en) * 2009-05-22 2014-06-24 Robert W. Hawkins Input cueing emersion system and method
US10061387B2 (en) 2011-03-31 2018-08-2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s
US9367085B2 (en) * 2012-01-26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aking into account which limb possesses the electronic device
US9582035B2 (en) * 2014-02-25 2017-02-28 Medibotics Llc Wearable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for the wrist and/or forearm
US20160034764A1 (en) * 2014-08-01 2016-02-04 Robert A. Connor Wearable Imaging Member and Spectroscopic Optical Sensor for Food Identification and Nutrition Modification
JP2014106765A (ja) 2012-11-28 2014-06-09 Sharp Corp リストバンド型入力デバイスおよびリストバンド型入力デバイスを用いた文字入力方法
US9367136B2 (en) * 2013-04-12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olographic object feedback
KR101999958B1 (ko) * 2013-05-22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5041052A (ja) * 2013-08-23 2015-03-02 ソニー株式会社 リストバンド型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02109407B1 (ko) * 2013-09-25 202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제어 방법
JP2015121979A (ja) * 2013-12-24 2015-07-02 株式会社東芝 装着型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CN110251080B (zh) * 2014-02-11 2022-04-26 苹果公司 检测正在穿戴可穿戴电子设备的肢体
KR101534282B1 (ko) 2014-05-07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US10234952B2 (en) * 2014-07-18 2019-03-1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Wearable device for using human body as input mechanism
KR101909540B1 (ko) * 2014-10-23 2018-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의 입력 영역을 이용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KR102029756B1 (ko) * 2014-11-03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836083B2 (en) * 2015-03-12 2017-12-05 Flextronics Ap, Llc Complete wearable ecosystem
US11106273B2 (en) * 2015-10-30 2021-08-31 Ostendo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on-body gestural interfaces and projection displays
WO2018049426A1 (en) * 2016-09-12 2018-03-15 Sitime Corporation Frequency-modulating sensor arr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998A1 (en) 2014-05-06 2015-11-1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70280394A1 (en) 2014-09-19 2017-09-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otion-based low powe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US20180192946A1 (en) 2016-01-04 2018-07-12 Omron Healthcare Co., Ltd.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4931A1 (en) 2019-02-28
US10558273B2 (en) 2020-02-11
KR20190021595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835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9425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gesture thereof
JP7191714B2 (ja) デジタルデバイスとの対話のための直接的なポインティング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444908B2 (en) Virtual touchpads for wearable and portable devices
JP6287450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70893B2 (ja) 検出されたジェスチャーに基づいてデバイス動作を実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184494A1 (en) User Centri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sual Display that Recognizes User Intentions
US20110157236A1 (en) Head-mounted display
US99160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recognizing user operation based on an image
WO2017041433A1 (zh) 可穿戴设备的触控响应方法、装置及可穿戴设备
US20130343607A1 (en) Method for touchless control of a device
US20120299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054896B1 (en) Displaying virtual interaction objects to a user on a reference plane
US9383824B2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wearable apparatus
US20160162176A1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WO2017029749A1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2228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2534390B (zh) 用于提供虚拟输入工具的电子装置及其方法
JP6418585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動作方法
US20170212582A1 (en) User interface selection
US1055827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non-contact gesture and device for the same
JP6074403B2 (ja) タッチパネル式装置によ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上のポインタ操作が可能な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7045472A (ja) タッチパネル式装置による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上のポインタ操作が可能な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EP2677401B1 (en) Image data generation using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