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999B1 -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999B1
KR102407999B1 KR1020200043540A KR20200043540A KR102407999B1 KR 102407999 B1 KR102407999 B1 KR 102407999B1 KR 1020200043540 A KR1020200043540 A KR 1020200043540A KR 20200043540 A KR20200043540 A KR 20200043540A KR 102407999 B1 KR102407999 B1 KR 10240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ent
slide plate
outer fram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25828A (en
Inventor
이은경
김정근
진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4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99B1/en
Publication of KR2021012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027/0192Supplementary details
    • G02B2027/0196Supplementary details having transparent supporting structure for display mounting, e.g. to a window or a windsh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holder cover on which a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and serving as a front cover; an external frame to which the front hold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a slide plate that protrudes and moves backwards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outer frame and touches the face of the content user, where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is placed on the outer frame and slide plate of the body. a body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the user can see; It may include a rear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Description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본 발명은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R 콘텐츠와 같이 영상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using portable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evice for using video contents such as VR contents.

최근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콘텐츠의 이용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devices for using VR (Virtual Reality) content have been released.

가상현실은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인공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넓은 의미로 보면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등의 시뮬레이션, 세컨드 라이프 등의 게임과 같은 시각매체 역시 가상현실에 포함될 수 있다.Virtual reality means 'an artifici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 world but not real'. In a broad sense, virtual reality can also include simulations such as flight simulators and visual media such as games such as Second Life.

특히,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의미하는데,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몰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들, 예를 들어 VR 헤드셋 등이 도입된 것이다.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refers to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or the technology itself that is similar to reality created by artificial technology using computers, but is not real. It stimulates the five senses and allows a spatial and temporal experience similar to reality, and devices that enable such immersion, such as VR headsets, have been introduced.

즉, VR 콘텐츠 이용자들은 VR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VR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가상의 현실을 만끽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VR content users can enjoy virtual reality while watching VR content while wearing a VR headset.

그런데 기존의 VR용 장치들의 경우 휴대성만을 강조한 나머지 외부와 완벽하게 차폐시키지 못하거나 또는 VR 몰입만을 강조한 나머지 휴대하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형태를 갖는 것들뿐이고, 또한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VR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VR 장치의 경우 스마트폰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지 않아 VR 콘텐츠 이용중에 수시로 스마트폰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망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VR devices, they emphasize only portability and cannot completely shield the outside, or emphasize only VR immersion, so they have a somewhat burdensome shape to carry. In the case of a VR device that uses a smart phone, it is not easy to align the center when a smartphone is mounted, so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smartphone frequently while using VR contents, and a solution to this is desired.

공개특허 제10-2017-0102405호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240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콘텐츠(예를 들어 VR 콘텐츠) 몰입도를 향상시키고,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한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mprove the immersion level of content (eg VR content) while being convenient to carry, and to provide a center when an external display device (eg, a smartphone) is moun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arran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using portable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holder cover on which a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and serves as a front cover; an external frame to which the front hold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a slide plate that protrudes and moves backwards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outer frame and touches the face of the content user, wherein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is placed on the outer frame and slide plate of the body. a body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the user can see; and a rea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여기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band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and to bring th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ent user's face.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Here, the slide plate includes: a pair of lens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center so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can be viewed with a predetermined focal length;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content user's face when using the content, and includes a faceform made of a material that at least partially folds into the slide plate when stored.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된 것일 수 있다.Here, at least one inner guide rail is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of the bod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of the body, it is inserted into the inner guide rail of the outer frame and slides along the inner guide rail. At least one rail coupling protrusion may be generated.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outer frame of the body, and the slide plate front end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by an elastic action. At least one spring hook for fixing the slide to prevent the slide plate of the body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at 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of the body, four or more anti-distortion bands each connected to the external frame of the body and preventing vertical and horizontal distortion during sliding and protruding movement of the slide plate by elastic force may be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전면 홀더 커버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ront holder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serving as a front cover; and a second cover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having at least one viewing hole formed in the inner center so that a content user can view the content of the display devic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ortion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2 커버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닿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in the second cover, view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content user, respectively, an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cover, the first cover at respectiv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holes of the second cover. and a protrusion for fixing in contact with the display device inserted between the and 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관통홈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guid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formed between the viewing through-holes of the second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VR 콘텐츠 이용시 몰입도 향상을 위한 밀폐 구조를 가지면서도, VR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여 VR 콘텐츠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aving a closed structure for improving immersion when using VR content, it can be portable when not using VR content,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rs of VR content.

또한, VR 콘텐츠를 표시하는 스마트폰의 장착시 중앙 정렬이 용이하여 신속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easy to align the center when mounting a smartphone that displays VR content, so that it can be mounted quickly.

더 나아가 VR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빼 내는 경우 뒤틀림 방지 밴드가 외부 프레임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간에 연결되어 있어서 슬라이딩 이동상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자칫 뒤틀림에 의해 좌우 양안과 디스플레이 장치까지의 거리가 오차로 인해 VR 콘텐츠 이용시 어지러움을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inner slide plate is pulled out in a sliding manner to use VR content, the anti-warpage band is connect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slide plate to prevent distortion in sliding mo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zziness when using VR content due to an error in the d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면 홀더 커버의 세부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전면 홀더 커버에 디스플레이 장치(스마트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후면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바디의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뒤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바디의 외부 프레임의 상세 구조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상세 구조도이고,
도 12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빼 낸 상태에서 뒤틀림 방지 밴드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콘텐츠 이용이 종료된 후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뒤틀림 방지 밴드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후면 커버를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front holder cover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of FIG. 2;
5 to 7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lide plate of the body slides backward from the outer frame of th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is opened;
8 and 9 are detailed structural views of the outer frame of the body,
10 to 11 are detailed structural views of the slide plate of the body,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twisting band is extende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is removed for content use;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ti-distortion band is contracted as the slide plate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after the content use is finished;
1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rear cover to the front holder cov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hel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one of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 functions, or individual step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고, 도 2는 도 1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content u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 ,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of FIG. 1 .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는 전면 홀더 커버(100), 바디(200), 후면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holder cover 100 , a body 200 , and a rear cover 300 .

우선, 이러한 각각의 주요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brief description of each of these major components is as follows.

전면 홀더 커버(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40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ront holder cov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400 is detachably mounted from the outsi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lso functions as a front cover.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예를 들어 시청용 콘텐츠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VR(Virtual Reality) 콘텐츠인 것을 일 예로 한다.Here, the display device 400 displays, for example, content for viewing, and may correspond to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400 is virtual reality (VR) content as an example.

다음으로 바디(200)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가 전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갖고, 콘텐츠 이용자가 상술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 이용자가 안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밴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body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forementioned front holder cover 100 is mounted on the front,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a content user to view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aforementioned portable multimedia device, preferably the cont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edetermined band 230 to be worn on the user's face.

마지막으로 후면 커버(300)는 바디(200)의 후단부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콘텐츠 이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후면 커버(300)와 바디(200) 간에는 요철 결합/끼움 결합 등을 위한 구조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Lastly, the rear cover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body 200 and functions to seal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when the content user does not watch the content. For this, a structure for concave-convex coupling/fitting coupling, etc.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rear cover 300 and the body 200 .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주요 구성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main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3 및 도 4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의 세부 구성도가 나타나 있다.First,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shown in FIGS. 3 and 4 .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홀더 커버(10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ront holder cover 100 may include a first cover 110 and a second cover 120 .

여기서 제1 커버(110)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휴대하는 경우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뒷면(즉, 콘텐츠 표시 반대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cover 110 serves as a front cover, and functions to seal the front of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when carrying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without using content, and also It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400 (i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ontent display).

제2 커버(120)는 제1 커버(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커버(110)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121)이 형성된다.The second cover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110 and has at least one viewing purpose in the inner center so that the content user can view the content of the display device 400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110 and the first cover 110 . A through hole 121 is formed.

이러한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는 상하에 각각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1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ver 110 and the second cover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ortions 130 of an elastic material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13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이에 의해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일 예로 스마트폰)(400)가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될 때 연결부(130)는 늘어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그 탄성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와 밀착하게 되어 움직임이 최소화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 when the display device (eg, a smartphone) 40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110 and the second cover 120 , the connection part 130 is extended, and the After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display device 40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cover 110 and the second cover 120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minimizing movement.

특히, 제2 커버(120)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121)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제1 커버(110)의 후면부에는 제2 커버(120)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뒷면과 맞닿아 마찰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viewing holes 121 are formed in the second cover 1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content user. The protrusion 111 is formed at each corresponding position, and abuts against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400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110 and the second cover 120 to fix it by friction. .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크기가 비록 작더라도 최소한 콘텐츠 이용자 양안의 간격에 대응되는 크기 이상이기만 하면, 상술한 돌출부(111)가 돌출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밀어 냄으로써 앞서 설명한 연결부(130)의 탄성력과 맞물려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if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400 is small, as long as it is at least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of the content user,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art 130 is caused by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111 pushing the display device 400 in the protruding direction. ) in engagement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display device 400 can be minimized.

또한, 제2 커버(120)의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정렬 관통홈(122)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세로 방향의 관통함일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lignment through-holes 122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viewing through-holes of the second cove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ferably, the through-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이 가이드 정렬 관통홈(122)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VR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중앙 정렬 표시가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경우 콘텐츠 이용자는 그 중앙 정렬 표시가 상술한 제2 커버(120)의 정렬 관통홈(122)을 통해 보이는 위치에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guide alignment through hole 122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400. For example, when a central alignment mark for maximizing the VR eff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400, the content user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display device 400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alignment mark is visible through the alignment through hole 122 of the second cover 120 described above.

이에 따라 콘텐츠 이용자는 VR 콘텐츠 이용시 중앙 정렬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content users can easily align the center when using VR content.

또한 제2 커버(120)의 안쪽면에는 복수 개의 끼움 결합 돌기(123)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200)에 끼움 결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123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120 , which performs a function of fitting and coupling to the body 200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바디(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structure of the body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바디(200)는 외부 프레임(210)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외부 프레임(210)은 그 전면부에 전면 홀더 커버(100)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프레임(210)의 전면부에는 상술한 전면 홀더 커버(100)의 끼움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끼움 결합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body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frame 210 and a slide plate 220, wherein the outer frame 2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its front part. have it For example, a fitting groove 212 into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of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0 .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외부 프레임(21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통공에는 소정의 렌즈(221)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plate 220 has a structur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outer frame 210 , and the display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provided on the outer frame 210 and the slide plate 220 . A through hole 211 may be formed so that a content user can view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evice 400 .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lens 221 may be moun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slide plate 220 .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아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VR 콘텐츠 이용을 위한 초점거리를 확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slide plate 220 protrudes backward in a sliding mann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210 so that it touches the face of the content user and wears, thereby securing a focal length for VR content use. carry out

도 5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220 is inserted and seated inside the outer frame 210 .

즉, 도 5는 바디(200)의 뒷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후면 커버(300)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바디(200)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 역시 보관시에는 바디(200) 내부로 들어가 있게 된다.That is,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300 that has been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is opened. The head band 230 to be worn behind the head to closely adhere to the face of the content user is also placed inside the body 200 during storage.

이러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었다.The slide plate 220 mov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outer frame 210 , and this operation state is shown in FIGS. 6 and 7 .

편의상 도 6 및 도 7에서는 콘텐츠 이용자 머리 뒤쪽으로 착용하도록 하는 머리 밴드(230)를 제거하였다.For convenience, the head band 230 to be worn behind the head of the content user is removed in FIGS. 6 and 7 .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4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221)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lide plate 220 has a pair of lenses 221 on both sides of the inner center so that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400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100 can be viewed at a predetermined focal length. ) may be included.

특히,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후면부 바깥쪽에는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는 페이스폼(22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페이스폼은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내부로 접히는 소재(일 예로 스펀지와 러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on the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 plate 220, a face form 222 that touches the face of a content user when using content is formed. This face form is a material (eg, a sponge) in which at least part of the face form is folded into the slide plate 220 when stored. and rubber material).

이처럼 페이스폼이(222) 접혀 있는 상태가 도 5이고, 펼쳐져 있는 상태가 도 6이다.As such, the folded state of the face form 222 is shown in FIG. 5 , and the unfolded state is shown in FIG. 6 .

그리고 페이스폼(222)이 펼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상술한 밴드(230)를 이용하여 잡아당기면 도 7과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출 이동을 하게 된다.And when the slide plate 220 is pulled using the band 230 in the state in which the face form 222 is unfolded, the slide plate 220 slides and protrudes backward from the outer frame 210 as shown in FIG. 7 . will do

이처럼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되었다.As such, the structure for sliding the slide plate 220 inside the outer frame 210 is shown in FIGS. 8 to 11 .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213)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 위치에 레일 결합 돌출부(22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t least one inner guide rail 213 is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2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ail coupling protrusion 223 is located outside the slide plate 220 corresponding thereto. is formed.

즉,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3)은 소정의 홈에 해당할 수 있고,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바깥쪽에 형성된 레일 결합 돌출부(223)는 이러한 홈에 삽입된 채로 홈 주변의 턱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된 채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guide rail 213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210 may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groove, and the rail coupling protrusion 22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Only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ossible while left-right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jaw.

또한 바디(200)의 외부 프레임(210)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214)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위치에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engaging groove 214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outer frame 210 of the body 200, and a spring hook 224 for fixing the slide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of the slide plate 220 corresponding thereto. have.

즉,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전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체(일 예로 판형 스프링)로서, 탄성 작용에 의해 걸림홈(214)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the spring hook 224 for fixing the slide is an elastic body (for example, a plate-shaped spring)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220, and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14 by an elastic action to have a size smaller than a preset size during content use. It functions to prevent the slide plate 22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210 by an external force.

즉, 콘텐츠 이용을 위해 콘텐츠 이용자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잡아 빼게 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의 걸림홈(213)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약한 외력에 의해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안쪽으로 삽입 이동(보관을 위한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고,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224)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강한 외력에 의해서만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외부 프레임(210) 내부로 삽입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a content user pulls out the slide plate 220 to use the content, the spring hook 224 for fixing the slide of the slide plate 220 is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213 inside the outer frame 210, and this In this state, the slide plate 220 is not inserted and moved inside the outer frame 210 (slide movement for storage) by a weak external force, and slides only by a strong external force that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hook 224 for fixing the slide. The plate 220 may be inserted and moved into the outer frame 210 .

따라서 콘텐츠 이용중에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렌즈(221)의 초점이 어긋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ase in which the lens 221 is out of focus due to the slide plate 220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during content use.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와 외부 프레임(210)은 서로 뒤틀림 방지 밴드(225)를 통해 연결되는데,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단부에는 외부 프레임(210)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plate 220 and the outer frame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nti-twist band 225 ,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220 is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10 , respectively, and slides by elastic force. Four or more anti-twist bands 225 may be provided to prevent vertical and horizontal distortion during sliding and protruding movement of the plate 220 .

뒤틀림 방지 밴드(225)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 있는데, 도 12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으로부터 잡아 뺀 상태에서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휴대를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 안쪽으로 밀어 넣은 상태의 뒤틀림 방지 밴드(22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The anti-distortion band 225 is shown in FIGS. 12 and 13, and FIG. 12 shows the state of the anti-distortion band 225 when the slide plate 220 is pulled out from the outer frame 210 for content use. 13 shows the state of the anti-distortion band 225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220 is pushed into the outer frame 210 for portability.

즉, 뒤틀림 방지 밴드(225)는 콘텐츠 이용을 위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외부 프레임(210)로부터 잡아 빼내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골고루 발생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딩 이동 중에 상, 하, 좌, 우 한쪽 방향이 다른 쪽 방향보다 먼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anti-twist band 225 evenly generates elastic force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slide plate 220 from the outer frame 210 for content use, so that the slide plate 220 slides up, down, left, and righ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one direction from moving before the other.

한편, 상술한 후면 커버(30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상기 외부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210)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의 후면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을, 다른 하나에는 금속재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후면 커버(300)와 전면 홀더 커버(100) 둘 다 자석을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이용중에는 후면 커버(3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rear cover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frame 210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220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210 , thereby providing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 At least one of the rear cover 300 and the front holder cover 100 contains a magnet, and the other contains a metal material, or the rear cover 300 and the front holder cover 100 ) by including a magnet in both, the back cover 3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holder cover 100 by magnetic force during content use.

이처럼 후면 커버(300)가 전면 홀더 커버(100)에 부착되는 상태가 도 14에 나타나 있다.As such, the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300 is attached to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shown in FIG. 14 .

즉, 도 14(a)의 상태에서 도 14(b)의 상태가 되도록 후면 커버(300)를 전면 홀더 커버(100)에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ear cover 300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holder cover 100 so that the state of FIG. 14(b) is obtained from the state of FIG.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홀더 커버(100)가 후면 커버(30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front holder cover 100 may serve as the rear cover 300 .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는 후면 커버(300)가 없는 상태 즉, 전면 홀더 커버(100)와 바디(20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평상시에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이용하지 않고 휴대하는 경우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를 후면 커버(300) 대용으로 즉, 바디(100)의 후면에 장착하여 컴팩트한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1)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면 홀더 커버(100)를 바디(200)의 전면에 장착하여 VR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out the rear cover 300 , that is, the front holder cover 100 and the body 200 . In this case, it is usually portable When carrying without using the content using device 1,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body 100 as a substitute for the back cover 300, that is, to maintain a compact state, and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When using (1), the front holder cover 10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body 200 to enjoy VR contents.

이를 위해 전면 홀더 커버(100)에는 바디(200)의 후면에 장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더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ront holder co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tructure for mount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200 .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0 : 전면 홀더 커버
200 : 바디 300 : 후면 커버
110 : 제1 커버 120 : 제2 커버
130 : 연결부 210 : 외부 프레임
2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230 :밴드
1: device for using portable content 100: front holder cover
200: body 300: back cover
110: first cover 120: second cover
130: connection part 210: external frame
220: slide plate 230: band

Claims (10)

디스플레이 장치가 착탈식으로 장착되고, 전면 커버 역할을 하는 전면 홀더 커버와;
전면부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가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뒤쪽으로 돌출 이동하여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부에 닿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홀더 커버는, 전면 커버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커버와; 상기 제1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버와의 사이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내부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시청용 통공이 형성된 제2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는 상하에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력 있는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a front holder cover o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detachably mounted and serving as a front cover;
an external frame to which the front hold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a slide plate that protrudes and moves backwards in a sliding manner inside the outer frame and touches the face of the content user, wherein the outer frame and the slide plate allow the content user to display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Including a body with a through hole formed so that it can be seen,
The front holder cover may include: a first cover serving as a front cover;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over having at least one viewing hole in the inner center so that a content user can view the contents of the display devic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portion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for supporting the display device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프레임의 후면부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r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outer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slide plate is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좌우 양쪽과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밀착하도록 하는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and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bring the body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tent user's 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는,
내부 중앙 양쪽에 상기 전면 홀더 커버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소정의 초점거리를 두고서 볼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렌즈와;
후면부 바깥쪽에 형성되어 콘텐츠 이용시 콘텐츠 이용자의 안면에 닿고, 보관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내부로 접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페이스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lide plate is
a pair of lens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center so that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front holder cover can be viewed with a predetermined focal length;
A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content user's face when using the content, and includes a faceform made of a material that at least partially folds into the slide plate when stor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 가이드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 프레임의 내측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도록 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적어도 하나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t least one inner guide rail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outer frame of the body,
At least one rail coupling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guide rail of the outer frame and slides along the inner guide rai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 plate of the bod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 후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콘텐츠 이용 중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드 고정용 스프링 후크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t least one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inner frame of the body,
The slide plate front end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by an elastic action to prevent the slide plate of the body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frame of the body by an external force less than a preset size during content use. Portable content u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pring hook is provid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상기 바디의 외부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돌출 이동시 상하좌우 뒤틀림을 방지하는 4개 이상의 뒤틀림 방지 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t the front end of the slide plate of the body, four or more anti-distortion bands are further provided,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rame of the body and prevents vertical and horizontal distortion when the slide plate slides and protrudes by elastic force. device us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에는 콘텐츠 이용자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시청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커버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닿아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ver has openings for viewing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content user,
Portabl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over to contact and fix the display device inserted between the first cover and the second cover at respectiv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holes of the second cover. Content Consuming Devic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의 시청용 통공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 하는 관통홈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콘텐츠 이용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guid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viewing holes of the second cover.
KR1020200043540A 2020-04-09 2020-04-09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KR102407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40A KR102407999B1 (en) 2020-04-09 2020-04-09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40A KR102407999B1 (en) 2020-04-09 2020-04-09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28A KR20210125828A (en) 2021-10-19
KR102407999B1 true KR102407999B1 (en) 2022-06-14

Family

ID=7822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540A KR102407999B1 (en) 2020-04-09 2020-04-09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99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676A (en) * 2012-07-25 2014-02-05 허춘화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KR101655792B1 (en) * 2015-12-16 2016-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KR20170102405A (en) 2016-03-01 2017-09-11 (주)비트스페이스 HMD-based virtual reality system using a gyro sensor built using the same method and an indoor sports training center
CN106019597A (en) * 2016-07-27 2016-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Virtual reality glasses
KR20190108727A (en) * 2018-03-15 2019-09-25 민상규 Foldable virtual reali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28A (en)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874B2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KR101419007B1 (en) Head mounted stereoscopy device for a smart phone
KR200467827Y1 (en) Multi-Use Case for Mobile Terminal
KR101814883B1 (en) Smart Phone Case with Virtual Glasses and Virtual Relity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reof
KR20140013676A (en) Display terminal head-mounted apparatus
CN204666934U (en) Anaglyph spectacles
CN204154982U (en) A kind of head wearing type 3 D eyeglasses shelf used on giant-screen mobile phone
KR102407999B1 (en)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KR101850619B1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fixing case for mobile phone
CN111025650A (en) Wearable laser micro-projection device
KR101765392B1 (en) Head Mount Display
CN106371220A (en) Smart glasses for stereo imaging and vision enhancement
CN105717642A (en) Portable virtual reality glasses
CN203278946U (en) Apparatus used for watching handset images
KR20210136735A (en)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and front holder cover comprised in the portable device
CN105224079A (en) Based on wear-type virtual realit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of mobile terminal
CN205015556U (en) Wear -type virtual reality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CN204666964U (en) Anaglyph spectacles
KR20170003621U (en)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cassette for holding NFC card
KR20160003517U (e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enhanced wearing-feeling
KR102547621B1 (en) Portable device for contents use
KR20160093249A (en) Head mounting device for virtual reality using mobile device
KR102283026B1 (en) Viewer device for smartphone
CN208581266U (en) Take the lead aobvious 3D mobile phone
KR101921623B1 (en) Mobile phone case with virture reality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